KR20210116676A -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6676A
KR20210116676A KR1020217028747A KR20217028747A KR20210116676A KR 20210116676 A KR20210116676 A KR 20210116676A KR 1020217028747 A KR1020217028747 A KR 1020217028747A KR 20217028747 A KR20217028747 A KR 20217028747A KR 20210116676 A KR20210116676 A KR 20210116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block
prediction mode
mode
in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형문
허진
남정학
최장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16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66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6Tree coding, e.g. quad-tre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본 개시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트라 예측을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 장치 및 본 개시의 영상 부호화 방법/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송되는 정보량 또는 비트량이 증가하게 된다. 전송되는 정보량 또는 비트량의 증가는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고해상도, 고품질 영상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거나 저장하고, 재생하기 위한 고효율의 영상 압축 기술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부호화/복호화 효율이 향상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인트라 예측을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한 후, 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는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복호화되어 영상의 복원에 이용되는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은,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인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이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IBC(Intra Block Copy) 예측인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중심 위치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는 Planar 모드 또는 DC 모드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트리 구조는 듀얼 트리(DUAL_TREE) 구조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DM(Direct Mode)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면,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되고,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DM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은,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인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이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중심 위치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는 Planar 모드 또는 DC 모드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전송 방법은, 본 개시의 영상 부호화 장치 또는 영상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본 개시의 영상 부호화 방법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부호화/복호화 효율이 향상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인트라 예측을 이용하여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한 후, 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부호화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르면,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에 의해 수신되고 복호화되어 영상의 복원에 이용되는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비디오 코딩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영상 복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 따른 블록의 분할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타입 트리를 수반하는 쿼드트리(quadtree with nested multi-type tree) 구조의 파티션 분할 정보의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인트라 예측 기반 비디오/영상 인코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인트라 예측부(185)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인트라 예측 기반 비디오/영상 디코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인트라 예측부(265)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인트라 예측 모드 도출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DM 모드의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한 소정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0은 대응하는 블록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고 크로마 블록을 부호화하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는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 새롭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한 기술 분야에서 통용되는 통상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픽처(picture)"는 일반적으로 특정 시간대의 하나의 영상을 나타내는 단위를 의미하며, 슬라이스(slice)/타일(tile)은 픽처의 일부를 구성하는 부호화 단위로서, 하나의 픽처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타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스/타일은 하나 이상의 CTU(coding tree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픽셀(pixel)" 또는 "펠(pel)"은 하나의 픽처(또는 영상)를 구성하는 최소의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픽셀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샘플(sample)"이 사용될 수 있다. 샘플은 일반적으로 픽셀 또는 픽셀의 값을 나타낼 수 있으며, 루마(luma) 성분의 픽셀/픽셀값만을 나타낼 수도 있고, 크로마(chroma) 성분의 픽셀/픽셀 값만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유닛(unit)"은 영상 처리의 기본 단위를 나타낼 수 있다. 유닛은 픽처의 특정 영역 및 해당 영역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은 경우에 따라서 "샘플 어레이", "블록(block)" 또는 "영역(area)" 등의 용어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우, MxN 블록은 M개의 열과 N개의 행으로 이루어진 샘플들(또는 샘플 어레이) 또는 변환 계수(transform coefficient)들의 집합(또는 어레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현재 블록"은 "현재 코딩 블록", "현재 코딩 유닛", "부호화 대상 블록", "복호화 대상 블록" 또는 "처리 대상 블록"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 블록"은 "현재 예측 블록" 또는 "예측 대상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변환(역변환)/양자화(역양자화)가 수행되는 경우, "현재 블록"은 "현재 변환 블록" 또는 "변환 대상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필터링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 블록"은 "필터링 대상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현재 블록"은 크로마 블록이라는 명시적인 기재가 없는 한 루마 성분 블록과 크로마 성분 블록을 모두 포함하는 블록 또는 "현재 블록의 루마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크로마 블록은 명시적으로 "크로마 블록" 또는 "현재 크로마 블록"과 같이 크로마 블록이라는 명시적인 기재를 포함하여 표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와 ","는 "및/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B"와 "A, B"는 "A 및/또는 B"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A/B/C"와 "A, B, C"는 "A, B 및/또는 C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또는"은 "및/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1) "A" 만을 의미하거나 2) "B" 만을 의미하거나, 3) "A 및 B"를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에서 "또는"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를 의미할 수 있다.
비디오 코딩 시스템 개요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비디오 코딩 시스템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코딩 시스템은 부호화 장치(10) 및 복호화 장치(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장치(10)는 부호화된 비디오(video) 및/또는 영상(image) 정보 또는 데이터를 파일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디지털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호화 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예 따른 부호화 장치(10)는 비디오 소스 생성부(11), 부호화부(12), 전송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 장치(20)는 수신부(21), 복호화부(22) 및 렌더링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12)는 비디오/영상 부호화부라고 불릴 수 있고, 상기 복호화부(22)는 비디오/영상 복호화부라고 불릴 수 있다. 전송부(13)는 부호화부(12)에 포함될 수 있다. 수신부(21)는 복호화부(22)에 포함될 수 있다. 렌더링부(23)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부는 별개의 디바이스 또는 외부 컴포넌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비디오 소스 생성부(11)는 비디오/영상의 캡쳐, 합성 또는 생성 과정 등을 통하여 비디오/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비디오 소스 생성부(11)는 비디오/영상 캡쳐 디바이스 및/또는 비디오/영상 생성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영상 캡쳐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카메라, 이전에 캡쳐된 비디오/영상을 포함하는 비디오/영상 아카이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영상 생성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컴퓨터, 타블렛 및 스마트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적으로) 비디오/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등을 통하여 가상의 비디오/영상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관련 데이터가 생성되는 과정으로 비디오/영상 캡쳐 과정이 갈음될 수 있다.
부호화부(12)는 입력 비디오/영상을 부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부(12)는 압축 및 부호화 효율을 위하여 예측, 변환, 양자화 등 일련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부호화부(12)는 부호화된 데이터(부호화된 비디오/영상 정보)를 비트스트림(bitstream)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전송부(13)는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된 부호화된 비디오/영상 정보 또는 데이터를 파일 또는 스트리밍 형태로 디지털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복호화 장치(20)의 수신부(21)로 전달할 수 있다. 디지털 저장 매체는 USB, SD, CD, DVD, 블루레이, HDD, SSD 등 다양한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13)는 미리 정해진 파일 포멧을 통하여 미디어 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방송/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전송을 위한 엘리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21)는 상기 저장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비트스트림을 추출/수신하여 복호화부(22)로 전달할 수 있다.
복호화부(22)는 부호화부(12)의 동작에 대응하는 역양자화, 역변환, 예측 등 일련의 절차를 수행하여 비디오/영상을 복호화할 수 있다.
렌더링부(23)는 복호화된 비디오/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렌더링된 비디오/영상은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 개요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영상 부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영상 분할부(110), 감산부(115), 변환부(120), 양자화부(130), 역양자화부(140), 역변환부(150), 가산부(155), 필터링부(160), 메모리(170), 인터 예측부(180), 인트라 예측부(185) 및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180) 및 인트라 예측부(185)는 합쳐서 "예측부"라고 지칭될 수 있다. 변환부(120), 양자화부(130), 역양자화부(140), 역변환부(150)는 레지듀얼(residual) 처리부에 포함될 수 있다. 레지듀얼 처리부는 감산부(11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부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인코더 또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DPB(decoded picture buffer)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장 매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영상 분할부(110)는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 입력된 입력 영상(또는, 픽쳐, 프레임)을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processing unit)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처리 유닛은 코딩 유닛(coding unit, CU)이라고 불릴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코딩 트리 유닛(coding tree unit, CTU) 또는 최대 코딩 유닛(largest coding unit, LCU)을 QT/BT/TT (Quad-tree/binary-tree/ternary-tree) 구조에 따라 재귀적으로(recursively)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코딩 유닛은 쿼드 트리 구조, 바이너리 트리 구조 및/또는 터너리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하위(deeper) 뎁스의 복수의 코딩 유닛들로 분할될 수 있다. 코딩 유닛의 분할을 위해, 쿼드 트리 구조가 먼저 적용되고 바이너리 트리 구조 및/또는 터너리 트리 구조가 나중에 적용될 수 있다.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최종 코딩 유닛을 기반으로 본 개시에 따른 코딩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최대 코딩 유닛이 바로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고, 최대 코딩 유닛을 분할하여 획득한 하위 뎁스의 코딩 유닛이 최종 코닛 유닛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코딩 절차라 함은 후술하는 예측, 변환 및/또는 복원 등의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코딩 절차의 처리 유닛은 예측 유닛(PU: Prediction Unit) 또는 변환 유닛(TU: Transform Unit)일 수 있다. 상기 예측 유닛 및 상기 변환 유닛은 각각 상기 최종 코딩 유닛으로부터 분할 또는 파티셔닝될 수 있다. 상기 예측 유닛은 샘플 예측의 단위일 수 있고, 상기 변환 유닛은 변환 계수를 유도하는 단위 및/또는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얼 신호(residual signal)를 유도하는 단위일 수 있다.
예측부(인터 예측부(180) 또는 인트라 예측부(185))는 처리 대상 블록(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는 현재 블록 또는 CU 단위로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또는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예측부는 현재 블록의 예측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측에 관한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부(190)에서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85)는 현재 픽처 내의 샘플들을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참조되는 샘플들은 인트라 예측 모드 및/또는 인트라 예측 기법에 따라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neighbor)에 위치할 수 있고, 또는 떨어져서 위치할 수도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복수의 비방향성 모드와 복수의 방향성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방향성 모드는 예를 들어 DC 모드 및 플래너 모드(Planar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모드는 예측 방향의 세밀한 정도에 따라, 예를 들어 33개의 방향성 예측 모드 또는 65개의 방향성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설정에 따라 그 이상 또는 그 이하의 개수의 방향성 예측 모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85)는 주변 블록에 적용된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부(180)는 참조 픽처 상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되는 참조 블록(참조 샘플 어레이)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된 블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인터 예측 모드에서 전송되는 움직임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해 주변 블록과 현재 블록 간의 움직임 정보의 상관성에 기반하여 움직임 정보를 블록, 서브블록 또는 샘플 단위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인터 예측 방향(L0 예측, L1 예측, Bi 예측 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 주변 블록은 현재 픽처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 주변 블록(spatial neighboring block)과 참조 픽처에 존재하는 시간적 주변 블록(temporal neighbo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참조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와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는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은 동일 위치 참조 블록(collocated reference block), 동일 위치 CU(colCU) 등의 이름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시간적 주변 블록을 포함하는 참조 픽처는 동일 위치 픽처(collocated picture, colPic)라고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부(180)는 주변 블록들을 기반으로 움직임 정보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참조 픽처 인덱스를 도출하기 위하여 어떤 후보가 사용되는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예측 모드를 기반으로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킵 모드와 머지 모드의 경우에, 인터 예측부(180)는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를 현재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스킵 모드의 경우, 머지 모드와 달리 레지듀얼 신호가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움직임 정보 예측(motion vector prediction, MVP) 모드의 경우, 주변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움직임 벡터 예측자(motion vector predictor)로 이용하고, 움직임 벡터 차분(motion vector difference) 및 움직임 벡터 예측자에 대한 지시자(indicator)를 부호화함으로써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를 시그널링할 수 있다. 움직임 벡터 차분은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와 움직임 벡터 예측자 간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측부는 후술하는 다양한 예측 방법 및/또는 예측 기법을 기반으로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부는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해 인트라 예측 또는 인터 예측을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동시에 적용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해 인트라 예측과 인터 예측을 동시에 적용하는 예측 방법은 combined inter and intra prediction (CIIP)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예측부는 현재 블록의 예측을 위해 인트라 블록 카피(intra block copy, IBC)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인트라 블록 카피는 예를 들어 SCC(screen content coding) 등과 같이 게임 등의 컨텐츠 영상/동영상 코딩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IBC는 현재 블록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의 현재 픽처 내 기복원된 참조 블록을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IBC가 적용되는 경우, 현재 픽처 내 참조 블록의 위치는 상기 소정의 거리에 해당하는 벡터(블록 벡터)로서 부호화될 수 있다. IBC는 기본적으로 현재 픽처 내에서 예측을 수행하나, 현재 픽처 내에서 참조 블록을 도출하는 점에서, 인터 예측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IBC는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인터 예측 기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예측부를 통해 생성된 예측 신호는 복원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레지듀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감산부(115)는 입력 영상 신호(원본 블록, 원본 샘플 어레이)로부터 예측부에서 출력된 예측 신호(예측된 블록, 예측 샘플 어레이)를 감산하여 레지듀얼 신호(residual signal, 잔여 블록, 잔여 샘플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레지듀얼 신호는 변환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변환부(120)는 레지듀얼 신호에 변환 기법을 적용하여 변환 계수들(transform coefficients)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 기법은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DST(Discrete Sine Transform), KLT(Karhunen-Loeve Transform), GBT(Graph-Based Transform), 또는 CNT(Conditionally Non-linear Transfor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BT는 픽셀 간의 관계 정보를 그래프로 표현한다고 할 때 이 그래프로부터 얻어진 변환을 의미한다. CNT는 이전에 복원된 모든 픽셀(all previously reconstructed pixel)을 이용하여 예측 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기반하여 획득되는 변환을 의미한다. 변환 과정은 정사각형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픽셀 블록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정사각형이 아닌 가변 크기의 블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양자화부(130)는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로 전송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는 양자화된 신호(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는 레지듀얼 정보라고 불릴 수 있다. 양자화부(130)는 계수 스캔 순서(scan order)를 기반으로 블록 형태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1차원 벡터 형태로 재정렬할 수 있고, 상기 1차원 벡터 형태의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기반으로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는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등과 같은 다양한 인코딩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 외 비디오/이미지 복원에 필요한 정보들(예컨대 신택스 요소들(syntax elements)의 값 등)을 함께 또는 별도로 인코딩할 수도 있다. 인코딩된 정보(ex. 인코딩된 비디오/영상 정보)는 비트스트림 형태로 NAL(network abstraction layer) 유닛 단위로 전송 또는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어댑테이션 파라미터 세트(APS), 픽처 파라미터 세트(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또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 등 다양한 파라미터 세트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일반 제한 정보(general constraint informa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시그널링 정보, 전송되는 정보 및/또는 신택스 요소들은 상술한 인코딩 절차를 통하여 인코딩되어 상기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트스트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고, 또는 디지털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방송망 및/또는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장매체는 USB, SD, CD, DVD, 블루레이, HDD, SSD 등 다양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부(미도시) 및/또는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가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내/외부 엘리먼트로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전송부는 엔트로피 인코딩부(190)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양자화부(130)로부터 출력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은 레지듀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50)를 통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적용함으로써 레지듀얼 신호(레지듀얼 블록 or 레지듀얼 샘플들)를 복원할 수 있다.
가산부(155)는 복원된 레지듀얼 신호를 인터 예측부(180) 또는 인트라 예측부(185)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에 더함으로써 복원(reconstructed) 신호(복원 픽처, 복원 블록, 복원 샘플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스킵 모드가 적용된 경우와 같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이 없는 경우, 예측된 블록이 복원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산부(155)는 복원부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라고 불릴 수 있다. 생성된 복원 신호는 현재 픽처 내 다음 처리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링을 거쳐서 다음 픽처의 인터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필터링부(160)는 복원 신호에 필터링을 적용하여 주관적/객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160)는 복원 픽처에 다양한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수정된(modified)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수정된 복원 픽처를 메모리(170), 구체적으로 메모리(170)의 DPB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필터링 방법은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양방향 필터(bilateral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부(160)는 각 필터링 방법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링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생성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필터링에 관한 정보는 엔트로피 인코딩부(190)에서 인코딩되어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170)에 전송된 수정된 복원 픽처는 인터 예측부(180)에서 참조 픽처로 사용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이를 통하여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100)와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의 예측 미스매치를 피할 수 있고, 부호화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메모리(170) 내 DPB는 인터 예측부(180)에서의 참조 픽처로 사용하기 위해 수정된 복원 픽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현재 픽처 내 움직임 정보가 도출된(또는 인코딩된) 블록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이미 복원된 픽처 내 블록들의 움직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터 예측부(180)에 전달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현재 픽처 내 복원된 블록들의 복원 샘플들을 저장할 수 있고, 인트라 예측부(185)에 전달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 개요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영상 복호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가산부(235), 필터링부(240), 메모리(250), 인터 예측부(260) 및 인트라 예측부(2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60) 및 인트라 예측부(265)를 합쳐서 "예측부"라고 지칭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는 레지듀얼 처리부에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부들의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는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어 디코더 또는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DPB를 포함할 수 있고, 디지털 저장 매체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한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도 2의 영상 부호화 장치(100)에서 수행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적용된 처리 유닛을 이용하여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코딩의 처리 유닛은 예를 들어 코딩 유닛일 수 있다. 코딩 유닛은 코딩 트리 유닛이거나 또는 최대 코딩 유닛을 분할하여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복호화 장치(200)를 통해 디코딩 및 출력된 복원 영상 신호는 재생 장치(미도시)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200)는 도 2의 영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비트스트림 형태로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신호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를 통해 디코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파싱하여 영상 복원(또는 픽처 복원)에 필요한 정보(예컨대, 비디오/영상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어댑테이션 파라미터 세트(APS), 픽처 파라미터 세트(PPS),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PS) 또는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PS) 등 다양한 파라미터 세트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영상 정보는 일반 제한 정보(general constraint information)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영상을 디코딩하기 위해 상기 파라미터 세트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일반 제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된 시그널링 정보, 수신되는 정보 및/또는 신택스 요소들은 상기 디코딩 절차를 통하여 디코딩됨으로써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는 지수 골롬 부호화, CAVLC 또는 CABAC 등의 코딩 방법을 기초로 비트스트림 내 정보를 디코딩하고, 영상 복원에 필요한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 레지듀얼에 관한 변환 계수의 양자화된 값들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CABAC 엔트로피 디코딩 방법은, 비트스트림에서 각 구문 요소에 해당하는 빈을 수신하고, 디코딩 대상 구문 요소 정보와 주변 블록 및 디코딩 대상 블록의 디코딩 정보 혹은 이전 단계에서 디코딩된 심볼/빈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context) 모델을 결정하고, 결정된 문맥 모델에 따라 빈(bin)의 발생 확률을 예측하여 빈의 산술 디코딩(arithmetic decoding)을 수행하여 각 구문 요소의 값에 해당하는 심볼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CABAC 엔트로피 디코딩 방법은 문맥 모델 결정 후 다음 심볼/빈의 문맥 모델을 위해 디코딩된 심볼/빈의 정보를 이용하여 문맥 모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엔트로피 디코딩부(210)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예측에 관한 정보는 예측부(인터 예측부(260) 및 인트라 예측부(265))로 제공되고, 엔트로피 디코딩부(210)에서 엔트로피 디코딩이 수행된 레지듀얼 값, 즉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 및 관련 파라미터 정보는 역양자화부(22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엔트로피 디코딩부(210)에서 디코딩된 정보 중 필터링에 관한 정보는 필터링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영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미도시)가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내/외부 엘리먼트로서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수신부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의 구성요소로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디오/영상/픽처 복호화 장치라고 불릴 수 있다. 상기 영상 복호화 장치는 정보 디코더(비디오/영상/픽처 정보 디코더) 및/또는 샘플 디코더(비디오/영상/픽처 샘플 디코더)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정보 디코더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샘플 디코더는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30), 가산부(235), 필터링부(240), 메모리(250), 인터 예측부(260) 및 인트라 예측부(26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에서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역양자화하여 변환 계수들을 출력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2차원의 블록 형태로 재정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정렬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수행된 계수 스캔 순서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는 양자화 파라미터(예를 들어 양자화 스텝 사이즈 정보)를 이용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한 역양자화를 수행하고, 변환 계수들(transform coefficient)을 획득할 수 있다.
역변환부(230)에서는 변환 계수들를 역변환하여 레지듀얼 신호(레지듀얼 블록, 레지듀얼 샘플 어레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측부는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포함하는 예측된 블록(predi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부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로부터 출력된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또는 인터 예측이 적용되는지 결정할 수 있고, 구체적인 인트라/인터 예측 모드(예측 기법)를 결정할 수 있다.
예측부가 후술하는 다양한 예측 방법(기법)을 기반으로 예측 신호를 생성할 수 있음은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예측부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된 바와 동일하다.
인트라 예측부(265)는 현재 픽처 내의 샘플들을 참조하여 현재 블록을 예측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85)에 대한 설명은 인트라 예측부(26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60)는 참조 픽처 상에서 움직임 벡터에 의해 특정되는 참조 블록(참조 샘플 어레이)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된 블록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인터 예측 모드에서 전송되는 움직임 정보의 양을 줄이기 위해 주변 블록과 현재 블록 간의 움직임 정보의 상관성에 기반하여 움직임 정보를 블록, 서브블록 또는 샘플 단위로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움직임 벡터 및 참조 픽처 인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정보는 인터 예측 방향(L0 예측, L1 예측, Bi 예측 등)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 예측의 경우에, 주변 블록은 현재 픽처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 주변 블록(spatial neighboring block)과 참조 픽처에 존재하는 시간적 주변 블록(temporal neighboring block)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 예측부(260)는 주변 블록들을 기반으로 움직임 정보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수신한 후보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의 움직임 벡터 및/또는 참조 픽처 인덱스를 도출할 수 있다. 다양한 예측 모드(기법)를 기반으로 인터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예측에 관한 정보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터 예측의 모드(기법)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산부(235)는 획득된 레지듀얼 신호를 예측부(인터 예측부(260) 및/또는 인트라 예측부(265) 포함)로부터 출력된 예측 신호(예측된 블록, 예측 샘플 어레이)에 더함으로써 복원 신호(복원 픽처, 복원 블록, 복원 샘플 어레이)를 생성할 수 있다. 스킵 모드가 적용된 경우와 같이 처리 대상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이 없는 경우, 예측된 블록이 복원 블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가산부(155)에 대한 설명은 가산부(235)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가산부(235)는 복원부 또는 복원 블록 생성부라고 불릴 수 있다. 생성된 복원 신호는 현재 픽처 내 다음 처리 대상 블록의 인트라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필터링을 거쳐서 다음 픽처의 인터 예측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필터링부(240)는 복원 신호에 필터링을 적용하여 주관적/객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링부(240)는 복원 픽처에 다양한 필터링 방법을 적용하여 수정된(modified) 복원 픽처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수정된 복원 픽처를 메모리(250), 구체적으로 메모리(250)의 DPB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필터링 방법은 예를 들어, 디블록킹 필터링, 샘플 적응적 오프셋(sample adaptive offset), 적응적 루프 필터(adaptive loop filter), 양방향 필터(bilateral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의 DPB에 저장된 (수정된) 복원 픽처는 인터 예측부(260)에서 참조 픽쳐로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현재 픽처 내 움직임 정보가 도출된(또는 디코딩된) 블록의 움직임 정보 및/또는 이미 복원된 픽처 내 블록들의 움직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된 움직임 정보는 공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 또는 시간적 주변 블록의 움직임 정보로 활용하기 위하여 인터 예측부(260)에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현재 픽처 내 복원된 블록들의 복원 샘플들을 저장할 수 있고, 인트라 예측부(265)에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영상 부호화 장치(100)의 필터링부(160), 인터 예측부(180) 및 인트라 예측부(185)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각각 영상 복호화 장치(200)의 필터링부(240), 인터 예측부(260) 및 인트라 예측부(265)에도 동일 또는 대응되도록 적용될 수 있다.
CTU의 분할 개요
전술한 바와 같이, 코딩 유닛은 코딩 트리 유닛(CTU) 또는 최대 코딩 유닛(LCU)을 QT/BT/TT (Quad-tree/binary-tree/ternary-tree) 구조에 따라 재귀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예컨대, CTU는 먼저 쿼드트리 구조로 분할될 수 있다. 이후 쿼드트리 구조의 리프 노드들은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 의하여 더 분할될 수 있다.
쿼드트리에 따른 분할은 현재 CU(또는 CTU)를 4등분하는 분할을 의미한다. 쿼드트리에 따른 분할에 의해, 현재 CU는 동일한 너비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4개의 CU로 분할될 수 있다. 현재 CU가 더 이상 쿼드트리 구조로 분할되지 않는 경우, 현재 CU는 쿼드트리 구조의 리프 노드에 해당한다. 쿼드트리 구조의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CU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고 전술한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쿼드트리 구조의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CU는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 의하여 더 분할될 수 있다.
도 4는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 따른 블록의 분할 타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 따른 분할은 바이너리 트리 구조에 따른 2개의 분할과 터너리 트리 구조에 따른 2개의 분할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너리 트리 구조에 따른 2개의 분할은 수직 바이너리 분할(vertical binary splitting, SPLIT_BT_VER)과 수평 바이너리 분할(hotizontal binary splitting, SPLIT_BT_HOR)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바이너리 분할(SPLIT_BT_VER)은 현재 CU를 수직 방향으로 2등분하는 분할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현재 CU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현재 CU의 너비의 절반의 너비를 갖는 2개의 CU가 생성될 수 있다. 수평 바이너리 분할(SPLIT_BT_HOR)은 현재 CU를 수평 방향으로 2등분하는 분할을 의미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바이너리 분할에 의해 현재 CU의 높이의 절반의 높이를 갖고 현재 CU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갖는 2개의 CU가 생성될 수 있다.
터너리 트리 구조에 따른 2개의 분할은 수직 터너리 분할(vertical ternary splitting, SPLIT_TT_VER)과 수평 터너리 분할(hotizontal ternary splitting, SPLIT_TT_HOR)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터너리 분할(SPLIT_TT_VER)은 현재 CU를 수직 방향으로 1:2:1의 비율로 분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터너리 분할에 의해 현재 CU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현재 CU의 너비의 1/4의 너비를 갖는 2개의 CU와 현재 CU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고 현재 CU의 너비의 절반의 너비를 갖는 CU가 생성될 수 있다. 수평 터너리 분할(SPLIT_TT_HOR)은 현재 CU를 수평 방향으로 1:2:1의 비율로 분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터너리 분할에 의해 현재 CU의 높이의 1/4의 높이를 갖고 현재 CU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갖는 2개의 CU와 현재 CU의 높이의 절반의 높이를 갖고 현재 CU의 너비와 동일한 너비를 갖는 1개의 CU가 생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멀티타입 트리를 수반하는 쿼드트리(quadtree with nested multi-type tree) 구조의 파티션 분할 정보의 시그널링 메커니즘을 예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CTU는 쿼드트리의 루트(root) 노드로 취급되며, 쿼드트리 구조로 처음으로 파티셔닝된다. 현재 CU(CTU 또는 쿼드트리의 노드(QT_node))에 대해 쿼드트리 분할을 수행할 지 여부를 지시하는 정보(예컨대, qt_split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t_split_flag가 제1 값(예컨대, "1")이면, 현재 CU는 쿼드트리 분할될 수 있다. 또한, qt_split_flag가 제2 값(예컨대, "0")이면, 현재 CU는 쿼드트리 분할되지 않고, 쿼드트리의 리프 노드(QT_leaf_node)가 된다. 각 쿼드트리의 리프 노드는 이후 멀티타입 트리 구조로 더 파티셔닝될 수 있다. 즉, 쿼드트리의 리프 노드는 멀티타입 트리의 노드(MTT_node)가 될 수 있다. 멀티타입 트리 구조에서, 현재 노드가 추가적으로 파티셔닝되는지를 지시하기 위하여 제1 플래그(a first flag, ex. mtt_split_cu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만약 해당 노드가 추가적으로 파티셔닝되는 경우(예컨대, 제1 플래그가 1인 경우), 분할 방향(splitting direction)을 지시하기 위하여 제2 플래그(a second flag, ex. mtt_split_cu_verticla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플래그가 1인 경우, 분할 방향은 수직 방향이고, 제2 플래그가 0인 경우, 분할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그 후 분할 타입이 바이너리 분할 타입인지 터너리 분할 타입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하여 제3 플래그(a third flag, ex. mtt_split_cu_binary_flag)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플래그가 1인 경우, 분할 타입은 바이너리 분할 타입이고, 제3 플래그가 0인 경우, 분할 타입은 터너리 분할 타입일 수 있다. 바이너리 분할 또는 터너리 분할에 의해 획득된 멀티타입 트리의 노드는 멀티타입 트리 구조로 더 파티셔닝될 수 있다. 그러나, 멀티타입 트리의 노드는 쿼드트리 구조로 파티셔닝될 수는 없다. 상기 제1 플래그가 0인 경우, 멀티타입 트리의 해당 노드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고, 멀티타입 트리의 리프 노드(MTT_leaf_node)가 된다. 멀티타입 트리의 리프 노드에 해당하는 CU는 전술한 최종 코딩 유닛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mtt_split_cu_vertical_flag 및 mtt_split_cu_binary_flag를 기반으로, CU의 멀티타입 트리 분할 모드(multi-type tree splitting mode, MttSplitMode)가 표 1과 같이 도출될 수 있다.
MttSplitMode mtt_split_cu_vertical_flag mtt_split_cu_binary_flag
SPLIT_TT_HOR 0 0
SPLIT_BT_HOR 0 1
SPLIT_TT_VER 1 0
SPLIT_BT_VER 1 1
하나의 CTU는 루마 샘플들의 코딩 블록(이하, "루마 블록"이라 함)과 이에 대응하는 크로마 샘플들의 두개의 코딩 블록(이하, "크로마 블록"이라 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코딩 트리 스킴은 현재 CU의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에 대해 동일하게 적용될 수도 있고, 개별적(separate)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CTU 내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이 동일 블록 트리 구조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트리 구조는 싱글 트리(SINGLE_TREE)라고 나타낼 수 있다. 또는, 하나의 CTU 내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은 개별적 블록 트리 구조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트리 구조는 듀얼 트리(DUAL_TREE)라고 나타낼 수 있다. 즉, CTU가 듀얼 트리로 분할되는 경우, 루마 블록에 대한 블록 트리 구조와 크로마 블록에 대한 블록 트리 구조가 별개로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루마 블록에 대한 블록 트리 구조는 듀얼 트리 루마(DUAL_TREE_LUMA)라고 불릴 수 있고, 크로마 블록에 대한 블록 트리 구조는 듀얼 트리 크로마(DUAL_TREE_CHROMA)라고 불릴 수 있다. P 및 B 슬라이스/타일 그룹들에 대하여, 하나의 CTU 내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들은 동일한 코딩 트리 구조를 갖도록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I 슬라이스/타일 그룹들에 대하여,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들은 서로 개별적 블록 트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만약 개별적 블록 트리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 루마 CTB(Coding Tree Block)는 특정 코딩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CU들로 분할되고, 크로마 CTB는 다른 코딩 트리 구조를 기반으로 크로마 CU들로 분할될 수 있다. 즉, 개별적 블록 트리 구조가 적용되는 I 슬라이스/타일 그룹 내 CU는 루마 성분의 코딩 블록 또는 두 크로마 성분들의 코딩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동일 블록 트리 구조가 적용되는 I 슬라이스/타일 그룹 내 CU와 P 또는 B 슬라이스/타일 그룹의 CU는 세가지 컬러 성분(루마 성분 및 두개의 크로마 성분)의 블록들로 구성될 수 있다.상기에서 멀티타입 트리를 수반한 쿼드트리 코딩 트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CU가 분할되는 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BT 구조 및 TT 구조는 다수 분할 트리 (Multiple Partitioning Tree, MPT) 구조에 포함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고, CU는 QT 구조 및 MPT 구조를 통해 분할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QT 구조 및 MPT 구조를 통해 CU가 분할되는 일 예에서, QT 구조의 리프 노드가 몇 개의 블록으로 분할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택스 요소(예를 들어, MPT_split_type) 및 QT 구조의 리프 노드가 수직과 수평 중 어느 방향으로 분할되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택스 요소(예를 들어, MPT_split_mode)가 시그널링됨으로써 분할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CU는 QT 구조, BT 구조 또는 TT 구조와 다른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QT 구조에 따라 하위 뎁스의 CU가 상위 뎁스의 CU의 1/4 크기로 분할되거나, BT 구조에 따라 하위 뎁스의 CU가 상위 뎁스의 CU의 1/2 크기로 분할되거나, TT 구조에 따라 하위 뎁스의 CU가 상위 뎁스의 CU의 1/4 또는 1/2 크기로 분할되는 것과 달리, 하위 뎁스의 CU는 경우에 따라 상위 뎁스의 CU의 1/5, 1/3, 3/8, 3/5, 2/3 또는 5/8 크기로 분할될 수 있으며, CU가 분할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트라 예측의 개요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인트라 예측에 대해 설명한다.
인트라 예측은 현재 블록이 속하는 픽처(이하, 현재 픽처) 내의 참조 샘플들을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예측 샘플들을 생성하는 예측을 나타낼 수 있다.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에 사용할 주변 참조 샘플들이 도출될 수 있다.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은 nWxnH 크기의 현재 블록의 좌측(left) 경계에 인접한 샘플 및 좌하측(bottom-left)에 이웃하는 총 2xnH 개의 샘플들, 현재 블록의 상측(top) 경계에 인접한 샘플 및 우상측(top-right)에 이웃하는 총 2xnW 개의 샘플들 및 현재 블록의 좌상측(top-left)에 이웃하는 1개의 샘플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은 복수열의 상측 주변 샘플들 및 복수행의 좌측 주변 샘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은 nWxnH 크기의 현재 블록의 우측(right) 경계에 인접한 총 nH 개의 샘플들, 현재 블록의 하측(bottom) 경계에 인접한 총 nW 개의 샘플들 및 현재 블록의 우하측(bottom-right)에 이웃하는 1개의 샘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 중 일부는 아직 디코딩되지 않았거나,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디코더는 이용 가능한 샘플들로 이용 가능하지 않은 샘플들을 대체(substitution)하여 예측에 사용할 주변 참조 샘플들을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이용 가능한 샘플들의 보간(interpolation)을 통하여 예측에 사용할 주변 참조 샘플들을 구성할 수 있다.
주변 참조 샘플들이 도출된 경우, (i) 현재 블록의 주변(neighboring) 참조 샘플들의 평균(average) 혹은 인터폴레이션(interpolation)을 기반으로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 있고, (ii)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 중 예측 샘플에 대하여 특정 (예측) 방향에 존재하는 참조 샘플을 기반으로 상기 예측 샘플을 유도할 수도 있다. (i)의 경우는 비방향성 모드 또는 비각도 모드, (ii)의 경우는 방향성(directional) 모드 또는 각도(angular) 모드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참조 샘플들 중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대상 샘플을 기준으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방향에 위치하는 제1 주변 샘플과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제2 주변 샘플과의 보간을 통하여 상기 예측 샘플이 생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경우는 선형 보간 인트라 예측(Linear interpolation intra prediction, LIP) 이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선형 모델(linear model)을 이용하여 루마 샘플들을 기반으로 크로마 예측 샘플들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LM(Linear Model) 모드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필터링된 주변 참조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의 임시 예측 샘플을 도출하고, 상기 기존의 주변 참조 샘플들, 즉, 필터링되지 않은 주변 참조 샘플들 중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도출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 샘플과 상기 임시 예측 샘플을 가중합(weighted sum)하여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샘플을 도출할 수도 있다. 이 경우는 PDPC(Position dependent intra prediction) 라고 불릴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의 주변 다중 참조 샘플 라인 중 가장 예측 정확도가 높은 참조 샘플 라인을 선택하여 해당 라인에서 예측 방향에 위치하는 참조 샘플을 이용하여 예측 샘플을 도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된 참조 샘플 라인에 관한 정보(예컨대, intra_luma_ref_idx)는 비트스트림에 부호화되어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이 경우는 multi-reference line intra prediction (MRL) 또는 MRL 기반 인트라 예측이라고 불릴 수 있다. MRL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현재 블록에 직접 인접한 참조 샘플 라인으로부터 참조 샘플들이 도출될 수 있고, 이 경우, 참조 샘플 라인에 관한 정보는 시그널링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을 수직 또는 수평의 서브파티션들로 분할하고, 각 서브파티션에 대해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기반으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인트라 예측의 주변 참조 샘플들은 각 서브파티션 단위로 도출될 수 있다. 즉, 부호화/복호화 순서 상 이전 서브파티션의 복원된 샘플이 현재 서브파티션의 주변 참조 샘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서브파티션들에 동일하게 적용되되, 상기 서브파티션 단위로 주변 참조 샘플을 도출하여 이용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인트라 예측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예측 방법은 intra sub-partitions (ISP) 또는 ISP 기반 인트라 예측이라고 불릴 수 있다.
전술한 인트라 예측 기법들은 방향성 또는 비방향성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구분하여 인트라 예측 타입 또는 부가 인트라 예측 모드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인트라 예측 타입 또는 부가 인트라 예측 모드 등)은 상술한 LIP, LM, PDPC, MRL, IS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IP, LM, PDPC, MRL, ISP 등의 특정 인트라 예측 타입을 제외한 일반 인트라 예측 방법은 노멀 인트라 예측 타입이라고 불릴 수 있다. 노멀 인트라 예측 타입은 상기와 같은 특정 인트라 예측 타입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전술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기반으로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 도출된 예측 샘플에 대한 후처리 필터링이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인트라 예측 절차는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 단계, 주변 참조 샘플 도출 단계,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기반 예측 샘플 도출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도출된 예측 샘플에 대한 후처리 필터링(post-filtering) 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6은 인트라 예측 기반 비디오/영상 인코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의 인코딩 방법은 도 2의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610은 인트라 예측부(18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620은 레지듀얼 처리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620은 감산부(11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30은 엔트로피 인코딩부(19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630의 예측 정보는 인트라 예측부(185)에 의하여 도출되고, 단계 S630의 레지듀얼 정보는 레지듀얼 처리부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레지듀얼 정보는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관한 정보이다. 상기 레지듀얼 정보는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대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은 영상 부호화 장치의 변환부(120)를 통하여 변환 계수들로 도출되고, 상기 변환 계수들은 양자화부(130)를 통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관한 정보가 레지듀얼 코딩 절차를 통하여 엔트로피 인코딩부(190)에서 인코딩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S610).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을 결정하고,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을 도출한 후,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및 상기 주변 참조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 내 예측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 주변 참조 샘플들 도출 및 예측 샘플들 생성 절차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어느 한 절차가 다른 절차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인트라 예측부(185)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인트라 예측부(185)는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부(186), 참조 샘플 도출부(187) 및/또는 예측 샘플 도출부(18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부(186)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참조 샘플 도출부(187)는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예측 샘플 도출부(188)는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후술하는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인트라 예측부(185)는 예측 샘플 필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복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들 중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하여 적용되는 모드/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들에 대한 율왜곡 비용(RD cost)을 비교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영상 부호화 장치는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예측 샘플 필터링은 포스트 필터링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에 의하여 상기 예측 샘플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필터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상기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영상 부호화 장치는 예측 샘플들 또는 필터링된 예측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S620).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원본 샘플들로부터 상기 예측 샘플들을 감산하여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즉, 영상 부호화 장치는 원본 샘플값으로부터 대응하는 예측 샘플값을 감산함으로써, 레지듀얼 샘플값을 도출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인트라 예측에 관한 정보(예측 정보) 및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에 관한 레지듀얼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인코딩할 수 있다(S630). 상기 예측 정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또는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인코딩된 영상 정보를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된 비트스트림은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레지듀얼 정보는 후술하는 레지듀얼 코딩 신택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을 변환/양자화하여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레지듀얼 정보는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 장치는 복원 픽처(복원 샘플들 및 복원 블록 포함)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다시 역양자화/역변환 처리하여 (수정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지듀얼 샘플들을 변환/양자화 후 다시 역양자화/역변환을 수행하는 이유는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도출되는 레지듀얼 샘플들과 동일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예측 샘플들과 상기 (수정된) 레지듀얼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포함하는 복원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복원 블록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픽처에 대한 복원 픽처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 픽처에 인루프 필터링 절차 등이 더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인트라 예측 기반 비디오/영상 디코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수행된 동작과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의 디코딩 방법은 도 3의 영상 복호화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딘계 S810 내지 S830은 인트라 예측부(265)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고, 단계 S810의 예측 정보 및 단계 S840의 레지듀얼 정보는 엔트로피 디코딩부(210)에 의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의 레지듀얼 처리부는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S840). 구체적으로 상기 레지듀얼 처리부의 역양자화부(220)는 상기 레지듀얼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양자화된 변환 계수들을 기반으로, 역양자화를 수행하여 변환 계수들을 도출하고, 상기 레지듀얼 처리부의 역변환부(230)는 상기 변환 계수들에 대한 역변환을 수행하여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단계 S850은 가산부(235) 또는 복원부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는 수신된 예측 정보(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을 도출할 수 있다(S810).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S820).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및 상기 주변 참조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 내 예측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S830).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는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측 샘플 필터링은 포스트 필터링이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에 의하여 상기 예측 샘플들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필터링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는 생략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수신된 레지듀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레지듀얼 샘플들을 생성할 수 있다(S840).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예측 샘플들 및 상기 레지듀얼 샘플들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복원 샘플들을 생성하고, 상기 복원 샘플들을 포함하는 복원 블록을 도출할 수 있다(S850). 상기 복원 블록을 기반으로 상기 현재 픽처에 대한 복원 픽처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복원 픽처에 인루프 필터링 절차 등이 더 적용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인트라 예측부(265)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복호화 장치의 인트라 예측부(265)는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부(266), 참조 샘플 도출부(267), 예측 샘플 도출부(268)를 포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부(266)는 영상 부호화 장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부(186)에서 생성되어 시그널링된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을 결정하고, 참조 샘플 도출부(266)는 현재 픽처 내 복원된 참조 영역으로부터 상기 현재 블록의 주변 참조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예측 샘플 도출부(268)는 상기 현재 블록의 예측 샘플들을 도출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예측 샘플 필터링 절차가 수행되는 경우, 인트라 예측부(265)는 예측 샘플 필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예를 들어 MPM(most probable mode)가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지 아니면 리메이닝 모드(remaining mode)가 적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ex. intra_luma_mpm_flag)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MPM이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들(MPM 후보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인덱스 정보(ex. intra_luma_mpm_idx)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들(MPM 후보들)은 MPM 후보 리스트 또는 MPM 리스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MPM이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후보들(MPM 후보들)을 제외한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리메이닝 모드 정보(ex. intra_luma_mpm_remaind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MPM 후보 모드들은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예컨대, 좌측 주변 블록 및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추가적인 후보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 정보는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들 중 하나를 지시하는 인트라 예측 기법 인덱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 정보는 상기 MRL이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지 및 적용되는 경우에는 몇번째 참조 샘플 라인이 이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참조 샘플 라인 정보(ex. intra_luma_ref_idx), 상기 ISP가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지를 나타내는 ISP 플래그 정보(ex. intra_subpartitions_mode_flag), 상기 ISP가 적용되는 경우에 서브파티션들의 분할 타입을 지시하는 ISP 타입 정보 (ex. intra_subpartitions_split_flag), PDPC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또는 LIP의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ISP 플래그 정보는 ISP 적용 지시자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또는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 정보는 본 개시에서 설명된 코딩 방법을 통하여 인코딩/디코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및/또는 상기 인트라 예측 기법 정보는 truncated (rice) binary code를 기반으로 엔트로피 코딩(ex. CABAC, CAVLC)을 통하여 인코딩/디코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타입 결정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주변 블록(ex. 좌측 및/또는 상측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추가적인 후보 모드들을 기반으로 도출된 mpm(most probable mode) 리스트를 구성하고, 수신된 mpm 인덱스를 기반으로 mpm 리스트 내 mpm 후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mpm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를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에 적용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후보들 중에 있는지(즉, mpm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지), 아니면 리메이닝 모드 중에 있는지는 mpm flag (ex. intra_luma_mpm_flag)를 기반으로 지시될 수 있다. mpm flag의 값 1은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후보들(mpm 리스트) 내에 있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mpm flag의 값 0은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mpm 후보들(mpm 리스트) 내에 없음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mpm 인덱스는 mpm_idx 또는 intra_luma_mpm_idx 신택스 요소의 형태로 시그널링될 수 있고, 상기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rem_intra_luma_pred_mode 또는 intra_luma_mpm_remainder 신택스 요소의 형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전체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상기 mpm 후보들(mpm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는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예측 모드 번호 순으로 인덱싱하여 그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는 루마 성분(샘플)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일 수 있다. 이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상기 mpm flag (ex. intra_luma_mpm_flag), 상기 mpm 인덱스 (ex. mpm_idx 또는 intra_luma_mpm_idx), 상기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rem_intra_luma_pred_mode 또는 intra_luma_mpm_remaind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MPM 리스트는 MPM 후보 리스트, candModeList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도 10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의 인트라 예측 모드 시그널링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에 대한 MPM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S1010). 상기 MPM 리스트는 상기 현재 블록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은 후보 인트라 예측 모드들(MPM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PM 리스트는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특정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S1020). 영상 부호화 장치는 다양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기반으로 예측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기반한 RDO (rate-distortion optimization)을 수행하여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이 경우 상기 MPM 리스트에 포함된 MPM 후보들만을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MPM 리스트에 포함된 MPM 후보들뿐 아니라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더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만약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타입이 노멀 인트라 예측 타입이 아닌 특정 타입 (예를 들어 LIP, MRL 또는 ISP)인 경우에는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MPM 후보들만을 이용하여 상기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MPM 후보들 중에서만 결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mpm flag를 인코딩/시그널링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특정 타입의 경우에는 mpm flag를 별도로 시그널링 받지 않고도 mpm flag가 1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MPM 리스트 내에 있는 MPM 후보들 중 하나인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MPM 후보들 중 하나를 가리키는 mpm 인덱스(mpm idx)를 생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MPM 리스트 내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MPM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에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같은 모드를 가리키는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인코딩하여 비트스트림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S1030).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전술한 mpm flag, mpm 인덱스 및/또는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mpm 인덱스와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alternative한 관계로 하나의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지시함에 있어서, 동시에 시그널링되지는 않는다. 즉, mpm flag 값이 1일 때 mpm 인덱스가 시그널링되고, mpm flag 값이 0일 때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블록에 특정 인트라 예측 타입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mpm flag가 시그널링되지 않고 그 값이 1로 추론(infer)되며, mpm 인덱스만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상기 mpm 인덱스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 S1020은 S1010보다 뒤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S1020은 S1010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1은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의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결정 및 시그널링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110).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mpm flag, mpm 인덱스,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MPM 리스트를 구성할 수 있다(S1120). 상기 MPM 리스트는 상기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구성된 MPM 리스트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MPM 리스트는 주변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도 있고, 미리 정해진 방법에 따라 특정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에 도시된 예에서, S1120은 S1110보다 뒤에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S1120은 S1110보다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MPM 리스트 및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S1130). 단계 S1130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인트라 예측 모드 도출 절차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의 단계 S1210 및 S1220은 각각 도 11의 단계 S1110 및 S112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210 및 S12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획득하고, MPM 리스트를 구성한 후(S1210, S1220), 소정의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S1230).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pm flag의 값이 1인 경우(S1230에서 Yes),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MPM 리스트 내의 MPM 후보들 중에서 상기 mpm 인덱스가 가리키는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할 수 있다(S1240). 다른 예로, 상기 mpm flag의 값이 0인 경우(S1230에서 No),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MPM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에서 상기 리메이닝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가리키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할 수 있다(S1250). 한편, 또 다른 예로,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타입이 특정 타입(ex. LIP, MRL 또는 ISP 등)인 경우(S1230에서 Yes),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mpm flag의 확인 없이도, 상기 MPM 리스트 내에서 상기 mpm 인덱스가 가리키는 후보를 상기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할 수도 있다(S1240).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일 예로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과 33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플래너(planar) 인트라 예측 모드 및 DC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2번 내지 34번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너 인트라 예측 모드는 플래너 모드라고 불릴 수 있고, 상기 DC 인트라 예측 모드는 DC 모드라고 불릴 수 있다.
또는, 자연 영상(natural video)에서 제시된 임의의 에지 방향(edge direction)을 캡쳐하기 위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트라 예측 모드는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과 65개의 확장된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플래너 모드 및 DC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2번 내지 66번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된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모든 사이즈의 블록들에 적용될 수 있고, 루마 성분(루마 블록) 및 크로마 성분(크로마 블록)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는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과 129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플래너 모드 및 DC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2번 내지 130번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트라 예측 모드는 전술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 외에도 크로마 샘플을 위한 CCLM(cross-component linear model) 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CLM 모드는 LM 파라미터 도출을 위하여 좌측 샘플들을 고려하는지, 상측 샘플들을 고려하는지, 둘 다를 고려하는지에 따라 L_CCLM, T_CCLM, LT_CCLM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크로마 성분에 대하여만 적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모드는 예를 들어 아래 표 2와 같이 인덱싱될 수 있다.
Intra prediction mode Associated name
0 INTRA_PLANAR
1 INTRA_DC
2..66 INTRA_ANGULAR2..INTRA_ANGULAR66
81..83 INTRA_LT_CCLM, INTRA_L_CCLM, INTRA_T_CCLM
도 14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방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에서, 점선 방향은 정사각형이 아닌 블록에만 적용되는 광각(wide angle) 모드를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영상(natural video)에서 제시된 임의의 에지 방향(edge direction)을 캡쳐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인트라 예측 모드는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와 함께 93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플래너 모드 및 DC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는 도 14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2번 내지 80번과 -1번 내지 -14번으로 구성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너 모드는 INTRA_PLANAR로 표기될 수 있고, DC 모드는 INTRA_DC로 표기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는 INTRA_ANGULAR-14 내지 INTRA_ANGULAR-1 및 INTRA_ANGULAR2 내지 INTRA_ANGULAR80과 같이 표기될 수 있다.이하, 본 개시에 따른 크로마 성분 블록의 예측 샘플 도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현재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수행되는 경우, 현재 블록의 루마 성분 블록(루마 블록)에 대한 예측 및 크로마 성분 블록(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크로마 성분(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는 루마 성분(루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와 개별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는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를 기반으로 지시될 수 있으며, 상기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는 intra_chroma_pred_mode 신택스 요소의 형태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는 플래너(Planar) 모드, DC 모드, 수직(vertical) 모드, 수평(horizontal) 모드, DM(Derived Mode), CCLM 모드들 중 하나를 가리킬 수 있다. 일 예로, 인트라 예측 모드가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과 33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래너 모드는 0번 인트라 예측 모드, 상기 DC 모드는 1번 인트라 예측 모드, 상기 수직 모드는 26번 인트라 예측 모드, 상기 수평 모드는 10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로, 인트라 예측 모드가 2개의 비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과 65개의 방향성 인트라 예측 모드들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래너 모드는 0번 인트라 예측 모드, 상기 DC 모드는 1번 인트라 예측 모드, 상기 수직 모드는 50번 인트라 예측 모드, 상기 수평 모드는 18번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DM은 direct mode라고 불릴 수도 있다. CCLM은 LM이라고 불릴 수 있다.
한편, DM과 CCLM은 루마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크로마 블록을 예측하는 종속적인 인트라 예측 모드이다. 상기 DM은 상기 루마 성분(루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인트라 예측 모드가 상기 크로마 성분(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 모드로 적용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CCLM은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루마 블록의 복원된 샘플들을 서브샘플링한 후, 서브샘플링된 샘플들에 CCLM 파라미터인 α 및 β를 적용하여 도출된 샘플들을 상기 크로마 블록의 예측 샘플들로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DM 모드의 개요
현재 크로마 블록이 DM으로 예측된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대응하는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5는 DM 모드의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한 소정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에서, 예컨대 크로마 블록은 수직 바이너리 분할되고, 현재 크로마 블록은 빗금친 영역의 블록일 수 있다. 이 때,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루마 블록은 루마 블록 내 빗금친 영역의 블록일 수 있다.
도 15에서, DM으로 예측된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는 대응 루마 블록 내 소정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로 유도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루마 블록 내 센터 우하측 샘플(중심 위치)(CR)을 커버하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중심 위치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좌상단 위치(TL)와 같이 대응 루마 블록 내 다른 위치일 수도 있다.
또는 현재 크로마 블록에 다중 DM(Multiple Direct Modes, MDM)가 적용될 수도 있다.
다중 DM은 상기 단일 DM 모드를 복수의 모드로 확장하여 사용하는 모드로서, 현재 크로마 블록의 화면 내 예측 모드를 유도하기 위해 복수의 DM 모드를 포함하는 DM 후보 리스트를 구성하고, DM 후보 리스트에 포함된 후보들 중 하나를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할 수 있다. 다중 DM이 적용되는 경우, DM 후보 리스트는 아래의 복수의 DM 후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 대응 루마 블록의 CR, TL, TR, BL, BR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
- 현재 크로마 블록의 주변 블록인 L, A, BL, AR, AL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
- PLANAR 모드 및 DC 모드
- 이미 포함된 방향성 모드에 오프셋(예컨대, 1)을 가감하여 도출된 방향성 모드
- 디폴트 DM 후보 모드: 수직 모드, 수평 모드, 2, 34, 66, 10, 26번 모드(65개 방향성 모드의 경우)
- 4개의 디폴트 DM 후보(PLANAR 모드, DC 모드, 수직 모드 및 수평 모드)가 DM 후보 리스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포함되지 않은 디폴트 DM 후보로 리스트에 이미 포함된 DM 후보 대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의 시그널링 개요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총 8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인코딩될 수 있다. 상기 8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은 종래의 5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과 CCLM (cross-component linear model mode)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CCLM이 가용한지의 여부는 상위 레벨에서 시그널링되는 정보(예컨대, 시퀀스 레벨에서 전송되는 sps_cclm_enabled_flag)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표 3은 CCLM이 가용하지 않은 경우(sps_cclm_enabled_flag = 0)의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도출을 위한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다.
intra_chroma_pred_mode[xCb][yCb] IntraPredModeY[xCb + cbWidth/2][yCb + cbHeight/2]
0 50 18 1 X ( 0  <=  X  <=  66 )
0 66 0 0 0 0
1 50 66 50 50 50
2 18 18 66 18 18
3 1 1 1 66 1
4 0 50 18 1 X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intra_chroma_pred_mode) 및/또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IntraPredModeY)에 기반하여 유도될 수 있다.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블록 또는 크로마 블록의 센터 우하측 샘플(중심 위치)을 커버하는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센터 우하측 샘플 위치는 (xCb + cbWidth / 2, yCb + cbHeight / 2)로 유도되며, 이 때, (xCb, yCb)는 대응 루마 블록의 좌상단 샘플(top-left sample)의 좌표를 의미하고, cbWidth와 cbHeight는 각각 대응 루마 블록의 너비와 높이를 의미한다. 예컨대, 표 4에서, intra_chroma_pred_mode가 0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0(플래너 모드)로 결정되고, intra_chroma_pred_mode가 1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50(수직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intra_chroma_pred_mode가 2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18(수평 모드)로 결정되고, intra_chroma_pred_mode가 3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1(DC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intra_chroma_pred_mode가 4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intra_chroma_pred_mode가 4인 것은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DM으로 도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표 3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IntraPredModeC[ xCb ][ yCb ])의 인덱스들은 상기 표 2에 나타낸 인트라 예측 모드의 인덱스들과 대응될 수 있다.
표 4에 따르면, intra_chroma_pred_mode 값이 0 내지 3 일 때, IntraPredModeY 값에 따라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전술한 인트라 예측 모드(플래너 모드, 수직 모드, 수평 모드, DC 모드)가 아닌 66으로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intra_chroma_pred_mode 값 0은 플래너 모드를 나타내는데, 이 때 IntraPredModeY가 0(플래너 모드)이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66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모두 플래너 모드로서 동일한 경우 intra_chroma_pred_mode 값은 0이 아닌 DM을 지시하는 4로 결정된다. 따라서, intra_chroma_pred_mode 값이 0 내지 3 일 때,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66으로 결정되는 경우는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즉, intra_chroma_pred_mode가 0 내지 3인 경우,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intra_chroma_pred_mode 값에 기반하여 플래너 모드, 수직 모드, 수평 모드 및 DC 모드 중 하나로 도출될 수 있고, intra_chroma_pred_mode가 4인 경우,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intra_chroma_pred_mode 값과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전술한 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intra_chroma_pred_mode가 0 내지 3인 경우에도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예컨대, intra_chroma_pred_mode) 및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표 4는 CCLM이 가용한 경우(sps_cclm_enabled_flag = 1)의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도출을 위한 매핑 테이블을 나타낸다.
intra_chroma_pred_mode[xCb][yCb] IntraPredModeY[xCb + cbWidth/2][yCb + cbHeight/2]
0 50 18 1 X ( 0  <=  X  <=  66 )
0 66 0 0 0 0
1 50 66 50 50 50
2 18 18 66 18 18
3 1 1 1 66 1
4 81 81 81 81 81
5 82 82 82 82 82
6 83 83 83 83 83
7 0 50 18 1 X
표 4는 CCLM이 가용한 경우로서, 표 3의 모드들에 더하여 추가적으로 CCLM 모드를 시그널링하기 위한 모드들을 포함한다. 표 4에서, intra_chroma_pred_mode가 4 내지 6인 경우, 각각 INTRA_LT_CCLM, INTRA_L_CCLM, INTRA_T_CCLM을 나타낼 수 있다. 표 4에서 intra_chroma_pred_mode가 0 내지 3 및 7인 경우는 표 3에서 intra_chroma_pred_mode가 0 내지 4인 경우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즉, intra_chroma_pred_mode가 7인 것은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DM으로 도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표 3 및 표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intra_chroma_pred_mode) 및/또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가 DM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와 동일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16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종래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인트라 예측된 현재 크로마 블록이 입력되면(S1610), 대응하는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 있다(S1620).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대응 루마 블록 내 소정 위치(중심 위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획득된 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 및/또는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표 3 또는 표 4를 참조함으로써,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될 수 있다(S1630). 이 후, 도출된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1640).
단계 S1630에 있어서,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가 DM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와 동일한 값으로 도출될 수 있다.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가 DM 모드 이외의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플래너 모드, DC 모드, 수직 모드, 수평 모드 및 CCLM 모드들 중 하나로 도출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의 방법은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 고려하고 있지 않다.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CTU 내 루마 블록 및 크로마 블록은 동일 블록 트리 구조(SINGLE_TREE)로 분할되거나, 개별적 블록 트리 구조(DUAL_TREE)로 분할될 수 있는데, 듀얼 트리의 경우, 루마 블록과 이에 대응하는 크로마 블록은 동일한 예측 모드로 부호화될 수도 있고 상이한 예측 모드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즉, 인트라 예측된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루마 블록은 인트라 예측될 수도 있고, 다른 예측 모드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만약 대응하는 루마 블록이 인트라 예측되지 않은 경우, 단계 S1620에서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획득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예컨대, DM 모드로 인트라 예측된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종래 방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7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먼저 인트라 예측된 현재 크로마 블록이 입력된다(S1710). 그 후,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기 위해 필요한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가용한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1720). 전술한 바와 같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는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예컨대, 중심 위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720의 판단은 대응 루마 블록의 상기 소정 위치의 예측 모드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루마 블록의 상기 소정 위치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인 경우,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는 가용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대응 루마 블록의 상기 소정 위치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 이외의 모드(예컨대, IBC 모드)인 경우,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는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 S1720의 판단은 대응 루마 블록의 상기 소정 위치가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갖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도 있다.
단계 S1720에서,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가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 S1730, S1740 및 S1760이 순차적을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730, S1740 및 S1760은 도 16의 단계 S1620, S1630 및 S1640에 각각 대응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딘계 S1720에서,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즉,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 및/또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될 수 있다(S1750). 이 때, 가용하지 않은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 대신에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가 DM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가 DM 모드 이외의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플래너 모드, DC 모드, 수직 모드, 수평 모드 및 CCLM 모드들 중 하나로 도출될 수 있다. 이후, 도출된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를 이용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S1760).
단계 S1750에서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 모드 또는 Planar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기정의된 소정의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8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한지 여부의 판단은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인 경우에만 수행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먼저 인트라 예측된 현재 크로마 블록이 입력된다(S1810). 그 후,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815).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가 아닌 경우, 즉, 싱글 트리 구조인 경우, 크로마 블록과 대응 루마 블록은 동일하게 인트라 예측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는 가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단계 S1820의 판단은 스킵될 수 있다. 다시말해,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싱글 트리 구조인 경우, 곧바로 단계 S1830, S1840 및 S1860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815에서,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인 경우, 단계 S1820의 판단이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 S1820의 판단 결과에 따른 처리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단계 S1820 내지 S1860은 도 17의 단계 S1720 내지 S1760의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8의 단계 S1815 및 S1820의 판단은 도 17의 단계 S1720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9는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함으로써 전술한 종래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한지 여부의 판단은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이고, IBC가 허용되는 경우에만 수행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먼저 인트라 예측된 현재 크로마 블록이 입력된다(S1910). 그 후,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915).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가 아닌 경우, 즉, 싱글 트리 구조인 경우,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는 가용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단계 S1917 및 단계 S1920의 판단은 스킵될 수 있다. 따라서, 싱글 트리 구조의 경우, 곧바로 단계 S1930, S1940 및 S1960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915에서,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인 경우, IBC가 허용되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1917). IBC가 허용되는지 여부는 현재 블록의 상위 레벨(예컨대, 시퀀스)에서 시그널링되는 정보(예컨대, sps_ibc_enabled_flag)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ps_ibc_enabled_flag가 1이면, IBC는 허용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고, sps_ibc_enabled_flag가 0이면, IBC는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P 및 B 슬라이스/타일 그룹들에 대하여 싱글 트리만이 허용되고, I 슬라이스/타일 그룹들에 대하여 싱글 트리와 듀얼 트리가 모두 허용될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이면, 현재 블록은 I 슬라이스/타일 그룹에 속한다. I 슬라이스/타일 그룹에 포함된 블록에 대한 예측이 인트라 예측과 IBC 예측으로 제한된다고 가정할 때, 현재 블록은 인트라 예측 또는 IBC 예측 중 하나로 예측될 수 있다. 따라서, IBC가 허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재 블록은 인트라 예측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단계 S1917에서 IBC가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응 루마 블록은 인트라 예측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단계 S1920의 판단은 스킵되고, 곧바로 단계 S1930, S1940 및 S1960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917에서 IBC가 허용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대응 루마 블록은 인트라 예측 또는 IBC 예측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단계 S1920의 판단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S1920의 판단 결과에 따른 처리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단계 S1920 내지 S1960은 도 17의 단계 S1720 내지 S1760의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예에서, I 슬라이스/타일 그룹에 속하는 블록들에 대해서는 인트라 예측 또는 IBC 예측만 가능한 것으로 가정하므로, 단계 S1917에서 IBC 허용 여부만을 판단한다. 그러나, I 슬라이스/타일 그룹에 속하는 블록들에 대해 인트라 예측 또는 IBC 예측 외에 다른 제3 예측 모드가 가능한 경우에는 단계 S1917에서 IBC 허용 여부뿐만 아니라 제3 예측 모드의 허용 여부에 대한 판단도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IBC와 제3 예측 모드가 모두 허용되지 않을 때에만 단계 S1920이 스킵될 수 있다. 즉, IBC와 제3 예측 모드 중 하나라도 허용되는 경우, 단계 S1920 및 그에 따른 후속 처리가 전술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9의 단계 S1915, S1917 및 S1920의 판단은 도 17의 단계 S1720의 구체적인 실시예일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의 변형예로서,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인지의 판단에 선행하여, 현재 블록의 슬라이스/타일 그룹의 타입이 판단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슬라이스/타일 그룹의 타입이 P 또는 B 슬라이스/타일 그룹인 경우,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는 싱글 트리 구조로 결정되므로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가 듀얼 트리 구조인지의 판단(S1815 또는 S1915)이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P 또는 B 슬라이스/타일 그룹인 경우, 곧바로 대응하는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획득한 후 이에 기반하여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의 슬라이스/타일 그룹의 타입이 I 슬라이스/타일 그룹인 경우,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는 싱글 트리 구조 또는 듀얼 트리 구조일 수 있으므로, S1815 또는 S1915를 포함하여 도 18 및 도 19의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0은 대응하는 블록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부호화/복호화 대상인 현재 블록이 입력될 수 있다(S2010). 현재 블록은 인트라 예측된 블록으로서,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직접적으로 시그널링되지 않고 대응하는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예컨대, 현재 블록은 크로마 블록일 수 있다. 현재 블록이 입력되면, 현재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블록이 특정되고,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한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S2020). 예컨대, 대응 블록은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일 수 있다. 단계 S2020은 대응 블록이 인트라 예측되었는지의 판단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대응 블록의 예측 모드가 인트라 모드 이외의 모드(예컨대, IBC 모드)인지의 판단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또는, 단계 S2020은 대응 블록이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갖는지의 판단에 기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대응 블록이 인트라 예측되었거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갖는 경우,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가용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대응 블록이 인트라 모드 이외의 모드로 예측되었거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갖니 않는 경우,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가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020은 현재 블록이 포함된 슬라이스/타일 그룹의 타입에 대한 판단,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에 대한 판단, 현재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 외에 IBC 또는 제3 예측 모드가 허용되는지에 대한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현재 블록과 대응 블록은 크로마 블록과 대응 루마 블록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현재 블록이 루마 블록이고 대응 블록이 대응 크로마 블록일 수도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이 제1 색성분 블록이고 대응 블록이 제2 색성분 블록일 수도 있다. 이 때, 제1 색성분은 예컨대, 루마 성분 및 복수의 크로마 성분 중 하나일 수 있고, 제2 색성분은 제1 색성분과 상이한 색성분일 수 있다. 예컨대, 제1 색성분 블록은 제1 크로마 성분 블록이고, 제2 색성분 블록은 제2 크로마 성분 블록일 수도 있다.
다시 도 20을 참조하여, 단계 S2020에서,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하면,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획득되고(S2030),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될 수 있다(S2040). 단계 S2020에서,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으면,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되고(S2050),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될 수 있다(S2060). 단계 S2050의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 모드 또는 Planar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기정의된 소정의 인트라 예측 모드 또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널링되는 인트라 예측 모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도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있으므로, 대응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현재 블록에 대한 인트라 예측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1은 대응 루마 블록에 기반하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고 크로마 블록을 부호화하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1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대응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먼저 현재 크로마 블록이 입력된다(S2110).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크로마 블록에 적용 가능한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최적의 모드를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부호화 장치는 현재 크로마 블록에 DM 모드를 적용할 지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대응하는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영상 부호화 장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가용한지 여부를 먼저 판단할 수 있다(S2120). 단계 S2120의 판단은 단계 S1720의 판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S2120은 현재 블록이 포함된 슬라이스/타일 그룹의 타입에 대한 판단, 현재 블록의 트리 구조에 대한 판단, 현재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 외에 IBC 또는 제3 예측 모드가 허용되는지에 대한 판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 S2120에서,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가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로부터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획득하고(S2130),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포함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S2140). 예컨대,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를 포함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에 적용 가능한 하나 이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하나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전술한 RD-cost의 비교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영상 부호화 장치가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은 상기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되면, 도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S2160). 예컨대,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결정되는 경우,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는 DM을 나타내는 값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단계 S2120에서,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가 가용하지 않은 경우, 인트라 루마 예측 모드 대신에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할 수 있다(S2150).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도출되면, 도출된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부호화할 수 있다(S2160).
단계 S2150에서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DC 모드 또는 Planar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기정의된 소정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사용하거나 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가 결정되고, 결정된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가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널링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소정의 동작(단계)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는 해당 동작(단계)의 수행 조건이나 상황을 확인하는 동작(단계)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소정의 동작을 수행한다고 기재된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 또는 영상 복호화 장치는 상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상기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된 영상 복호화 장치 및 영상 부호화 장치는 멀티미디어 방송 송수신 장치, 모바일 통신 단말, 홈 시네마 비디오 장치, 디지털 시네마 비디오 장치, 감시용 카메라, 비디오 대화 장치, 비디오 통신과 같은 실시간 통신 장치, 모바일 스트리밍 장치, 저장 매체, 캠코더, 주문형 비디오(VoD) 서비스 제공 장치, OTT 비디오(Over the top video) 장치, 인터넷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장치, 3차원(3D) 비디오 장치, 화상 전화 비디오 장치, 및 의료용 비디오 장치 등에 포함될 수 있으며, 비디오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OTT 비디오(Over the top video) 장치로는 게임 콘솔, 블루레이 플레이어, 인터넷 접속 TV, 홈시어터 시스템, 스마트폰, 태블릿 PC, DVR(Digital Video Recod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된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크게 인코딩 서버, 스트리밍 서버, 웹 서버, 미디어 저장소, 사용자 장치 및 멀티미디어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코딩 서버는 스마트폰,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입력 장치들로부터 입력된 컨텐츠를 디지털 데이터로 압축하여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이를 상기 스트리밍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다른 예로, 스마트폰,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입력 장치들이 비트스트림을 직접 생성하는 경우, 상기 인코딩 서버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비트스트림은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된 영상 부호화 방법 및/또는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상기 비트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웹 서버를 통한 사용자 요청에 기반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웹 서버는 사용자에게 어떠한 서비스가 있는지를 알려주는 매개체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웹 서버에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하면, 상기 웹 서버는 이를 스트리밍 서버에 전달하고,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은 별도의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 서버는 상기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내 각 장치 간 명령/응답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미디어 저장소 및/또는 인코딩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코딩 서버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활한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리밍 서버는 상기 비트스트림을 일정 시간동안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예로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스트리밍 시스템 내 각 서버들은 분산 서버로 운영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 서버에서 수신하는 데이터는 분산 처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는 영상을 부호화/복호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5)

  1. 영상 복호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으로서,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인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이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IBC(Intra Block Copy) 예측인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중심 위치인 영상 복호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는 Planar 모드 또는 DC 모드인 영상 복호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트리 구조는 듀얼 트리(DUAL_TREE) 구조인 영상 복호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DM(Direct Mode)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면,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되고,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가 DM 모드를 나타내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로 도출되는 영상 복호화 방법.
  9.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 복호화 장치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현재 크로마 블록의 예측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 및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크로마 예측 모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고,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며,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영상 복호화 장치.
  10. 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영상 부호화 방법으로서,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인트라 예측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응하는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에 대한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인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고,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소정 위치의 예측 방법이 인트라 예측이 아닌 경우, 상기 현재 크로마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에 기반하여 도출되는 영상 부호화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는 상기 대응 루마 블록의 중심 위치인 영상 부호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폴트 인트라 예측 모드는 Planar 모드 또는 DC 모드인 영상 부호화 방법.
  15. 제10항의 영상 부호화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1020217028747A 2019-03-14 2020-03-13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101166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818730P 2019-03-14 2019-03-14
US62/818,730 2019-03-14
PCT/KR2020/003562 WO2020185047A1 (ko) 2019-03-14 2020-03-13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6676A true KR20210116676A (ko) 2021-09-27

Family

ID=72428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8747A KR20210116676A (ko) 2019-03-14 2020-03-13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770537B2 (ko)
EP (1) EP3941046A4 (ko)
JP (2) JP7410168B2 (ko)
KR (1) KR20210116676A (ko)
WO (1) WO20201850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90A1 (ko) * 2022-01-04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87071B2 (en) * 2018-02-05 2020-06-16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WO2023016424A1 (en) * 2021-08-11 2023-02-16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Method, apparatus, and medium for video processi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2150A (ja) * 2009-08-12 2013-01-17 トムソン ライセンシング 改善されたイントラ・クロマ符号化および復号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RU2612386C2 (ru) 2011-01-05 2017-03-09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Устройства и способы видеокодирования и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 сохранением относящейся к ppg информации
EP4145831A1 (en) 2011-03-06 2023-03-08 LG Electronics Inc. Intra prediction method of chrominance blocks
SG10201408745YA (en) 2011-06-28 2015-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roma component of image using luma component of image
CN103220508B (zh) * 2012-01-20 2014-06-11 华为技术有限公司 编解码方法和装置
CN107707920B (zh) * 2012-04-16 2021-06-01 韩国电子通信研究院 用于解码视频信号的方法
US10567759B2 (en) * 2016-03-21 2020-02-18 Qualcomm Incorporated Using luma information for chroma prediction with separate luma-chroma framework in video coding
WO2018062921A1 (ko) * 2016-09-30 2018-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코딩 시스템에서 블록 분할 및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US20200045322A1 (en) * 2016-10-04 2020-02-06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chroma coding in image and video coding
WO2018064956A1 (en) * 2016-10-07 2018-04-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a chroma coding in image and video coding
US11025903B2 (en) * 2017-01-13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video data using derived chroma mode
EP3422717A1 (en) * 2017-06-26 2019-01-02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ost probable mode (mpm) sorting and signaling in video encoding and decoding
AU2018311926B2 (en) * 2017-08-03 2022-08-18 FG Innovation Company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artitioning video blocks in an inter prediction slice of video data
JP2021010046A (ja) * 2017-10-06 2021-01-2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及び画像復号装置
US10687071B2 (en) * 2018-02-05 2020-06-16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US10567801B2 (en) * 2018-03-07 2020-02-18 Tencent Americ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coding with primary and secondary transforms
EP3799429A4 (en) * 2018-04-01 2021-07-2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CODING / DECODING USING INTRA PREDICTION
CN117750036A (zh) * 2019-09-21 2024-03-22 Lg电子株式会社 图像编码/解码方法、存储介质及数据传输方法
CN114651446A (zh) * 2019-09-21 2022-06-21 Lg 电子株式会社 基于变换的图像编译方法及其装置
JP7362910B2 (ja) * 2019-09-23 2023-10-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パレットモードを用いた画像符号化/復号化方法、装置、及びビットストリームの伝送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590A1 (ko) * 2022-01-04 2023-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및 비트스트림을 저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79189A1 (en) 2022-09-01
JP7410168B2 (ja) 2024-01-09
EP3941046A4 (en) 2022-12-21
EP3941046A1 (en) 2022-01-19
US20230388512A1 (en) 2023-11-30
US11770537B2 (en) 2023-09-26
JP2022525600A (ja) 2022-05-18
WO2020185047A1 (ko) 2020-09-17
JP2024023789A (ja) 202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6280B1 (ko) 인트라 예측 기반 영상/비디오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36157A (ko) Mip 및 lfnst를 수행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EP3985971A1 (en) Imag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device for utilizing simplified mpm list generation method,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itstream
KR20220019242A (ko) 적응적 루프 필터를 적용하는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KR102465614B1 (ko) 루마 샘플 위치를 참조하여 크로마 블록의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JP7410168B2 (ja) イントラ予測を行う画像符号化/復号方法、装置、およびビットストリームを伝送する方法
KR20220080738A (ko) 무손실 색상 변환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10158386A (ko) Mip 모드 매핑이 단순화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10158385A (ko) 인트라 예측 모드 변환에 기반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20019243A (ko) 인루프 필터링 기반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KR20220137935A (ko) 레지듀얼 코딩에 대한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47824A (ko) 참조 샘플 필터링을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10158395A (ko) 레지듀얼 코딩에 대한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47834A (ko) 팔레트 모드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CN112567749B (zh) 使用仿射运动预测来处理视频信号的方法和装置
JP7490797B2 (ja) 長方形スライスのサイズ情報を選択的に符号化する画像符号化/復号化方法及び装置、並びにビットストリームを伝送する方法
KR20220136436A (ko) 필터 가용 정보를 선택적으로 시그널링 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20146564A (ko)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58396A (ko) 비디오 또는 영상 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134632A (ko) 영상 디코딩 방법 및 그 장치
KR20210114065A (ko) 크로마 블록에 대한 분할 제한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10109636A (ko)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20002687A (ko) 크로마 블록의 적응적 크기 제한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20024764A (ko) Ibc를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KR20220002688A (ko) 크로마 블록의 크기를 제한하는 영상 부호화/복호화 방법, 장치 및 비트스트림을 전송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