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390A -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390A
KR20210115390A KR1020200031090A KR20200031090A KR20210115390A KR 20210115390 A KR20210115390 A KR 20210115390A KR 1020200031090 A KR1020200031090 A KR 1020200031090A KR 20200031090 A KR20200031090 A KR 20200031090A KR 20210115390 A KR20210115390 A KR 202101153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mall
scale
ratio
consum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31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390A/ko
Publication of KR202101153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4Energy storage un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은,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의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하며, 설정된 기간 동안의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ENERGY STORAGE CLOUD SYSTEM AND ELECTRIC POWER DEM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에서 대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을 공유하여 각각의 태양광 발전 사업자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지분의 형태로 참여하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장의 옥상형 태양광 발전 및 100kW 이하의 소규모 사업자에게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 가중치를 주면서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는 특정 지역에 몰려있기 때문에 전력계통의 면에서는 해당 지역의 배전망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가 존재하는 것과 같게 된다.
이와 같은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의 증가는 전력계통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것이 사실이나,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는 비용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 사업자와 같이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설치하여 출력 안정화 및 발전 시간대를 이동하는 기능은 거의 가지고 있지 않다.
특히, 최근의 리튬이온 ESS 시스템의 빈번한 화재로 인하여 ESS 시스템의 설치 시에 화재 안전 시스템에 대한 설치가 강화되었으며, 이로 인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 사업자 및 소규모 수용가의 피크 절감용 ESS 설치는 화재에 대한 불안과 초기 설치비용을 더욱 가중화시킴에 따라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64340호 (등록일자: 2016.10.04)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에서 대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을 공유하여 각각의 태양광 발전 사업자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지분의 형태로 참여하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은,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의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하는 전력 통합장치;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수용비율 산출장치; 및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상기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전력수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은,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통합전력 저장장치; 및 상기 통합전력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공급하는 통합전력 공급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비율 산출장치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통합전력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의 공급비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상기 수용 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
전술한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발전비율 산출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은, 상기 수용비율 산출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과, 상기 발전비율 산출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전력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 분배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방법은,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의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수요 관리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하는 단계; (b)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상기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전력수요 관리방법은, (d) 상기 (a) 단계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 의해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b) 단계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d) 단계에 의해 저장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의 공급비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상기 수용 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
전술한 전력수요 관리방법은, (f)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a) 단계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전력수요 관리방법은, (g) 상기 (b)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과, 상기 발전비율 산출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저장된 상기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로부터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에서 대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을 공유하여 각각의 태양광 발전 사업자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지분의 형태로 참여하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의해 발전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 및 소규모 수용가(20)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는 공장의 옥상형 태양광 발전소나 100kW 이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말한다. 또한, 소규모 수용가(20)는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저장 시스템 등에서 생산된 에너지 중에서 100kW 이하의 전력을 소모하는 수용가를 말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전력 통합장치(110), 수용비율 산출장치(120), 수요전력 관리장치(130), 통합전력 저장장치(140), 통합전력 공급장치(150), 발전비율 산출장치(160) 및 전력 분배장치(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통합장치(110)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한다. 이때, 전력 통합장치(110)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통합하거나, 대규모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설치하고 하드웨어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즉, 전력 통합장치(110)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에 발전되는 전력의 전력량, 발전의 주요 시간대 등에 대한 전력량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수집하거나,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수집하여 대규모 ESS에 저장하며 저장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서 발전되는 전력에 대한 전력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수용비율 산출장치(12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전력 통합장치(110)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 즉, 수용비율 산출장치(120)는 설정된 기간 동안에 전력 통합장치(110)에 의해 통합되는 전체 전력량에 대하여,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가 수용하는 전력량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다. 이때, 수용비율 산출장치(120)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에 대한 전력량, 주요수용 시간대 등의 수용전력정보를 수집하거나,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로부터 그 수용전력에 대한 수용전력정보를 수집하거나, 설정된 기간 동안에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의한 수용전력을 모니터링 하여 수용전력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수용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통합장치(110)에 의해 통합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수요전력 관리장치(130)는 수용비율 산출장치(120)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한다. 이때, 수요전력 관리장치(130)는 수용비율 산출장치(120)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에 따라,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해 비용을 청구하거나,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대하여 태양광 발전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통합전력 저장장치(140)는 전력 통합장치(110)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을 저장한다. 이때, 통합전력 저장장치(140)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수집한 전력량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의 ESS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합전력 공급장치(150)는 통합전력 저장장치(140)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공급한다. 이때, 통합전력 공급장치(150)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정보에 따라, 통합전력 저장장치(140)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용비율 산출장치(12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통합전력 저장장치(140)에 저장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로의 공급비율에 따라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수용 전력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때에는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대응하는 ESS가 설치되지 않아 적절한 시기에 적정량의 전력을 공급받지 못할 수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전력의 공급비율은 높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통합전력 공급장치(150)는 통합전력 저장장치(140)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최적의 시간에 최적의 전력량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전력의 공급비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발전비율 산출장치(160)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전력 통합장치(110)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의 발전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 이때, 발전비율 산출장치(160)는 통합전력 저장장치(140)에 저장된 통합전력에 대하여,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전력 분배장치(170)는 수용비율 산출장치(120)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과, 발전비율 산출장치(160)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의 발전전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통합전력 자장장치(140)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로 전력을 분배한다. 이때, 전력 분배장치(170)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수용전력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가 원하는 최적의 시간대에 최적의 전력량을 분배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은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에서 대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공유하여 각각의 태양광 발전 사업자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지분의 형태로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를 최적의 효율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요 관리방법은 도 2에 나타낸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한다(S110).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통합하거나, 대규모 ESS를 설치하고 하드웨어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서 설정된 기간 동안에 발전되는 전력의 전력량, 발전의 주요 시간대 등에 대한 전력량정보를 모니터링 하여 수집하거나,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서 발전되는 전력을 수집하여 대규모 ESS에 저장하며 저장되는 전력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서 발전되는 전력에 대한 전력량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는,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이 대용량의 ESS를 설치하고, 하드웨어적으로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의 발전된 전력을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통합되는 전력을 저장한다(S120).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수집한 전력량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을 모두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의 ESS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공급한다(S130).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정보에 따라,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적절하게 공급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S140). 즉,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설정된 기간 동안에 통합되는 전체 전력량에 대하여,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가 수용하는 전력량에 대한 비율을 산출한다.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그에 대응하는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에 대한 전력량, 주요수용 시간대 등의 수용전력정보를 수집하거나,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로부터 그 수용전력에 대한 수용전력정보를 수집하거나, 설정된 기간 동안에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의한 수용전력을 모니터링 하여 수용전력정보를 수집하며, 수집되는 수용전력정보에 기초하여 전력 통합장치(110)에 의해 통합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저장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로의 공급비율에 따라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수용 전력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가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로부터 직접 전력을 공급받을 때에는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대응하는 ESS가 설치되지 않아 적절한 시기에 적정량의 전력을 공급받지 못할 수가 있었으며, 그로 인해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전력의 공급비율은 높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대용량의 ESS에 저장된 전력을 이용하여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최적의 시간에 최적의 전력량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전력의 공급비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설정된 기간 동안의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의 발전전력의 비율을 산출한다(S150).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저장된 통합전력에 대하여,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의해 발전된 전력의 비율을 산출할 수도 있다.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과,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의 발전전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로 전력을 분배하며, 기 분배된 전력에 대하여 조절을 수행한다(S160).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한 수용전력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가 원하는 최적의 시간대 및 전력량에 따라 최적의 전력량을 분배하거나 조절할 수 있다.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한다(S170). 이때,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100)은 산출되는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의 수용전력의 비율에 따라, 각각의 소규모 수용가(20)에 대해 비용을 청구하거나, 각각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10)에 대하여 태양광 발전비용을 지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의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하는 전력 통합장치;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수용비율 산출장치; 및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상기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전력수요 관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통합전력 저장장치; 및
    상기 통합전력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공급하는 통합전력 공급장치;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용비율 산출장치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통합전력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의 공급비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상기 수용 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발전비율 산출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비율 산출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과, 상기 발전비율 산출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통합전력 저장장치에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 전력을 분배하는 전력 분배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5. 다수의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 및 소규모 수용가가 집중되어 있는 배전망의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전력수요 관리방법에 있어서,
    (a)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에 의해 발전되는 전력을 통합하는 단계;
    (b)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전력 통합장치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c)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 비율에 따라 상기 배전망에서의 전력수요를 관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요 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d) 상기 (a) 단계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을 저장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 의해 저장된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공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d) 단계에 의해 저장된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의 공급비율에 따라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에 대한 상기 수용 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요 관리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f) 설정된 기간 동안의 상기 (a) 단계에 의해 통합되는 전력에 대한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요 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g) 상기 (b)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의 수용전력의 비율과, 상기 발전비율 산출장치에 의해 산출되는 각각의 상기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전력의 비율에 기초하여, 저장된 상기 전력을 각각의 상기 소규모 수용가로 전력을 분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수요 관리방법.

KR1020200031090A 2020-03-13 2020-03-13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KR202101153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90A KR20210115390A (ko) 2020-03-13 2020-03-13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90A KR20210115390A (ko) 2020-03-13 2020-03-13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90A true KR20210115390A (ko) 2021-09-27

Family

ID=77925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090A KR20210115390A (ko) 2020-03-13 2020-03-13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53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40B1 (ko) 2015-04-14 2016-10-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340B1 (ko) 2015-04-14 2016-10-12 유진레이델 주식회사 에너지저장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7304B2 (en) Versatile site energy router
US9640996B2 (en) Electric power supply system
Jin et al. Optimiz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with energy storage in the electricity market
Kiran et al. Demand response and pumped hydro storage scheduling for balancing wind power uncertainties: A probabilistic unit commitment approach
WO2014115556A1 (ja) 電力系統の制御システム
US11289914B2 (en) Cryptocurrency mining data center with a solar power distribution and management system
US10461535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power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102072143B1 (ko) 복수의 수용가를 대상으로 전력을 효율적으로 공급하고 남는 전력을 매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
JP5474716B2 (ja) 太陽光発電設備分譲システム
JP2021164405A (ja) 需要管理基盤の分散資源統合運営システム
US11967826B2 (en) Optimization and management of power supply from an energy storage device charged by a renewable energy source in a high computational workload environment
Tushar et al. A canonical coalitional game theoretic approach for energy management for nanogrids
Castelo-Becerra et al. Cooperative distributed aggregation algorithm for demand response using distributed energy storage devices
WO2013179809A1 (ja) 電力管理装置、電力管理システム、及び電力管理方法
KR102308343B1 (ko) 통합전력관리시스템
US202303946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icity supply from demand
US120343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icity supply from demand
KR20210115390A (ko) 에너지저장 클라우드 시스템 및 그 전력수요 관리방법
KR101496187B1 (ko) 가상 발전소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16157438A (ja) 電気料金管理装置、電気料金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ao et al. Joint energy procurement and demand response towards optimal deployment of renewables
US111776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electricity supply from demand
Charoen et al. Fair Billing Mechanism for Energy Consumption Scheduling with User Deviation in the Smart Grid
US20190288511A1 (en) Storage unit for a load, and storage system
Erol-Kantarci et al. Overlay energy circle formation for cloud data centers with renewable energy futures contr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