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306A -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306A
KR20210115306A KR1020200030881A KR20200030881A KR20210115306A KR 20210115306 A KR20210115306 A KR 20210115306A KR 1020200030881 A KR1020200030881 A KR 1020200030881A KR 20200030881 A KR20200030881 A KR 20200030881A KR 20210115306 A KR20210115306 A KR 2021011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main body
line
coupling
wo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8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79770B1 (en
Inventor
유성원
이강해
Original Assignee
유성원
이강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원, 이강해 filed Critical 유성원
Priority to KR102020003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9770B1/en
Publication of KR2021011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0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9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97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3Tread wear sensors, e.g. electronic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24Wear-indicating arrangements
    • B60C11/246Tread wear monito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6Warning devices, e.g. devices generating noise due to flat or worn tyres
    • B60C2019/007Warning devices, e.g. devices generating noise due to flat or worn tyres triggered by sensors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for sensing wear of a tire, comprises: a first body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ire; a second body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to correspond to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 power supply unit including input and output terminal line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rough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 lines, and supplying current to the second body; and a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input and output terminal lines to measure a wear valu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and a voltage value,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easured wear value.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the first body is worn, the processing unit measures the changed wear value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main body; a first sub-body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main body, and positioned on on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ain body, and positioned o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main body; a second sub-body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at of the second main body, and positioned on on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and a coupl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to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Therefore, the degree of wear of the tire can be more accurately confirmed.

Description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Tire wear detection device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본 발명은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easily detecting a wear level of a tire.

차량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tire)와 도로의 마찰력에 의해 주행한다. 타이어에서 트레드(tread)는 도로 표면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도로 표면과의 마찰로 인해 마모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드의 마모는 차량 탑승자의 안전과 직결되기에 타이어 평가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The vehicle is driven by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tire mounted on the vehicle and the road. In a tire, a tread is a part in direct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may be worn due to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Such tread wear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ire evaluation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afety of vehicle occupants.

일반적으로 타이어의 트레드에는 제동력과 구동력 향상을 위하여 홈(그루브(groove)라고 불리기도 한다)이 깊게 파여 있다. 즉, 타이어의 트레드에 무늬가 없는 경우에는 미끄러짐이 많이 발생하여 위험하기에, 홈은 타이어의 드레드에 형성되어,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은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다.In general, a groove (also called a groove) is deeply dug in the tread of a tire to improve braking force and driving force. That is, when there is no pattern on the tread of the tire, a lot of slippage occurs and it is dangerous, so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the tread of the tire, so that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tire can drive safely.

차량이 주행할 때 발생하는 소음 및 트레드의 마모량은 트레드에 형성된 홈의 깊이와 형성 방향에 따라 크게 좌우될 수 있다. 홈의 형성 방향에 따라 리브형, 러그형, 블록형 등과 같은 다양한 패턴을 갖는 트레드가 있다.Noise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the amount of tread wear may be greatly influenced by the depth and direction of the groove formed in the tread. There are treads having various patterns such as a rib type, a lug type, a block type,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차량이 주행함에 따라 타이어의 트레드가 마모되기에, 트레드에 형성된 홈의 깊이는 점점 얕아진다. 결국에는 트레드는 무늬가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어, 차량의 제동력은 감소되고, 차량 탑승자는 안전에 있어 위협받게 된다.As the tread of the tire wears out as the vehicle travels, the dep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tread becomes shallower. Eventually, the tread becomes unpatterned, reducing the vehicle's braking power and jeopardizing the safety of the vehicle's occupants.

종래에 운전자는 타이어의 드레드에 형성된 홈의 깊이를 직접 측정하고, 홈의 깊이가 감소된 경우에 타이어를 교체하였다. 이로 인해, 타이어 생산 업체는 타이어의 사이드 월에 삼각형을 표시하였다. 또한, 타이어의 원주에 수직인 방향으로 표시된 삼각형을 따라가면, 홈의 일부에는 돌출된 부분이 있고, 운전자는 돌출된 부분의 높이와 홈이 형성되지 않은 트레드 높이가 같은 경우에 타이어의 교체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Conventionally, the driver directly measures the depth of the groove formed in the tread of the tire, and when the depth of the groove decreases, the tire is replaced. Because of this, tire manufacturers have marked a triangle on the sidewall of the tire. In addition, when following the triangle indic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a part of the groove has a protruding part, and the driver returns to the time of tire replacement when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part and the tread height without the groove are the same. could judge

하지만, 상기와 같이 타이어의 트레드가 어느 정도 마모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운전자는 직접 육안으로 타이어의 트레드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차량의 주행 중에 직접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heck how much the tread of the tire is worn, the drive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heck the tread of the tire with the naked eye,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nnot be checked directly while the vehicle is driving.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육안으로 타이어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타이어의 마모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 wear state of a tire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tir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의 마모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that can more accurately check the degree of wear of a tire.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어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타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tir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tir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asks, and another task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타이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 1 몸체; 제 1 몸체에 대응하도록 타이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제 1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를 포함하고,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을 통해 제 2 몸체에 연결되고, 전류를 제 2 몸체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될 때, 제 1 몸체는 마모되고, 처리부는 변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제 1 몸체는, 제 1 메인 몸체; 제 1 메인 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1 서브 몸체; 및 제 1 메인 몸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제 2 메인 몸체; 제 2 메인 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제 2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2 서브 몸체; 및 결합 돌기에 대응하도록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detecting tire wear, comprising: a first body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tire; a second bod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to correspond to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 power supply including an input line and an output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rough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nd supplying a current to the second body; and a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to measure a wear valu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and a voltage value, and generate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wear value, wherein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 the first body is worn, the processing unit measures the changing wear value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first body comprising: a first main body; a first sub-body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main body and positioned on one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and a coupling protrusion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ain body and positioned o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wherein the second body includes: a second main body; a second sub-body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main body and positioned on one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and a coupl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whereby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nnected. have.

또한, 제 1 메인 몸체 및 결합 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메인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first main bod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the second main body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또한, 결합 돌기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be screwed.

또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 지점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연결 라인을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되어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류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n-conductive, and the second body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is located around the coupling groove in the second main body, and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line and the output terminal line, respectively, A connection line is included so that at least one point is adjacent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but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worn, the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and the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 the processor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current value.

또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1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에서 결합 돌기 주위에 위치되며, 양종단이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 1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종단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종단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며,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 돌기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가 위치되고,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홈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가 위치되며,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가 상호 간에 접촉될 때, 제 1 연결 라인은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며,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는 마모되어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압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n-conductive, and the first body is made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and is located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first main body, and both ends correspond to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the first main body. One first connection line is included, and the second body is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is located around the coupling groove in the second main body, and each end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line and the output terminal line, and each The other end includes a pair of second connection lin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 end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and the second end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is made of an elastic conductor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A first connecting body is located, and a second connecting body made of an elastic conducto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is located on the other longitudinal end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along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When the first connecting body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are coupled and contacted with each other, the first connecting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line, and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the first body is worn and the first connecting line is disconnected and when the first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the processing unit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tage value.

또한, 결합 돌기의 종단면에는 원뿔 형상의 삽입 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측 종단면에는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ical insertion protrusion may be convexly formed o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may be concavely formed on an inner longitudinal section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또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입력단 라인의 종단 및 출력단 라인의 종단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제 2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될 때, 처리부는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마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made of a conductor, and the end of the input end line and the end of the output end line face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2 When the body is worn, the processing unit may measure a reduced voltage value to calculate a wear rate of the tire.

또한, 처리부는 차량에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고, 차량에는 출력 신호에 따른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to transmit an output signal to the vehicle, and at least one of a sound, text, and imag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may be output to the vehicle.

또한, 처리부는, 출력단 라인과 전원부에 연결되고, 출력단 라인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 사이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전류 측정부 및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고,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처리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and the power supply,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for measuring the current value of the output line; a voltag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nd measuring a voltage value between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nd a processing body connected to the current measuring unit and the voltage measuring unit,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and a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to the vehicle. ca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타이어의 마모 상태가 육안으로 타이어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감지될 수 있다.(1) The wear condition of the tire can be detected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tire.

(2) 타이어의 마모된 정도가 보다 정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2) The wear level of the tire can be checked more accurately.

(3)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타이어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타이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3)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tire and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tire.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effects that can be achieved by the device for detecting tire we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타이어에 설치된 다양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herei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ire mounted on a vehicle.
3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states in which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ire.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number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proces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identifiers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s that each component is responsible for, and some of the main functions of each of the components are different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may be performed exclusively by the component.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ur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차량에 장착된 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가 타이어에 설치된 다양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ire mounted on a vehicle. ,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various aspects of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installed on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제 1 몸체(101), 제 2 몸체(102), 전원부(103) 및 처리부(104)를 포함하고, 차량(1)에 장착된 타이어(10; tire)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트레드(11; tread)에 설치되어, 타이어(10)에서 트레드(11)의 외주면의 마모를 감지하고, 감지된 트레드(11)의 외주면의 마모 상태를 차량(1)에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트레드(11)는 타이어(10)에서 노면과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서, 고무층이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트레드(11)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1 to 3 ,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1 , a second body 102 , a power supply unit 103 , and a processing unit 104 . is installed on a tread 11 form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mounted on the vehicle 1 , and detects and senses wea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read 11 in the tire 10 . It can be used to provide the vehicle 1 with a worn stat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orn tread 11 . Here, the tread 11 is a portion of the tire 10 in direct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s a rubber layer, and may have relatively good wear resistance. In addition, the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ead 11 .

제 1 몸체(10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된다. 여기서, 타이어(10)의 외주면은 트레드(11)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노면과 마주하는 부분을 의미하고, 특히, 노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이격된 상태로 돌출 형성된 돌출 영역(11a)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는 제 1 메인 몸체(111), 제 1 서브 몸체(113) 및 결합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01 is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means a portion of the tread 11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faces the road surface, and in particular, may have a protruding area 11a formed to be spaced apart so as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have. Also, the first body 101 may include a first main body 111 , a first sub-body 113 , and a coupling protrusion 115 .

제 1 메인 몸체(11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main body 111 has a cylindrical shape.

제 1 서브 몸체(113)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111)의 일종단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 1 서브 몸체(113)의 외경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The first sub-body 113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is located in one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1 .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sub-body 113 may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main body 111 .

결합 돌기(115)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위치된다. 여기서, 결합 돌기(115)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 돌기(115)의 외경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 11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1 . Here,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main body 111 .

상기와 같은 제 1 몸체(101)에서 결합 돌기(115)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5) 및 제 1 메인 몸체(111)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점점 삽입되어, 제 1 서브 몸체(113)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타이어(1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1 서브 몸체(113)가 타이어(10)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때까지, 결합 돌기(115) 및 제 1 메인 몸체(11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몸체(10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 영역(11a)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In the first body 101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first main body 111 are gradually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so that the first sub-body 113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and i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can be located.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first main body 111 may be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until the first sub-body 113 is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Here, the first body 10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region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as show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regions 11a.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제 1 몸체(101)에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10)의 내주면은 타이어(10)에서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반대편에 위치되고 트레드(11)에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제 2 몸체(102)는 제 2 메인 몸체(121), 제 2 서브 몸체(123) 및 결합홈(125)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02 may be inserted and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01 . 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means a portion of the tire 10 that is located opposit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in the tread 11 . In addition, the second body 102 may include a second main body 121 , a second sub body 123 , and a coupling groove 125 .

제 2 메인 몸체(121)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main body 12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the same outer diameter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main body 111 .

제 2 서브 몸체(123)는 원형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121)의 일종단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제 2 서브 몸체(123)의 외경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sub-body 123 is formed in a circular plate shape, and is located on one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sub-body 123 may be grea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결합홈(125)은 결합 돌기(115)에 대응하도록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의 중앙에 오목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홈(125)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홈(125)의 내경은 결합 돌기(115)의 외경에 대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돌기(115)는 결합홈(125)에 삽입되어 결합홈(125)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돌기(115)가 결합홈(125)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과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은 접촉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125 is concavely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1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15 . Here, a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125 ,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coupling groove 125 may correspond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 For this reason, the coupling protrusion 115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to be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5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 the other longitudinal end 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and the other longitudinal end 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21 may be in contact.

상기와 같은 제 2 몸체(102)에서 제 2 메인 몸체(121)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메인 몸체(12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삽입된 제 1 메인 몸체(11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제 2 메인 몸체(121)가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되면서, 결합 돌기(115)와 결합홈(125)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제 2 서브 몸체(123)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타이어(10)의 내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제 2 서브 몸체(123)가 타이어(10)의 내주면 상에 위치될 때까지, 제 2 메인 몸체(121)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인 몸체(121)는 제 1 메인 몸체(111)에 연결될 수 있다. 즉, 결합 돌기(115)는 결합홈(125)에 나사 결합되어 완전히 삽입되면,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에 접촉될 수 있고, 제 1 서브 몸체(113) 및 제 2 서브 몸체(123)는 각각 타이어(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상호 간에 결합되어 타이어(10)에 고정되어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In the second body 102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main body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Here, the second main body 121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main body 111 inserted i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As the second main body 121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coupling groove 125 may be screwed together. The second sub-body 123 may be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The second main body 121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until the second sub body 123 is position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Also, the second main body 121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body 111 . That is,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5 is screw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and completely inserted, the other longitudinal end 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21 may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longitudinal end 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 and the first The sub-body 113 and the second sub-body 123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fixed to the tire 10 and maintained in an installed state.

한편, 결합 돌기(115)의 종단면에는 원뿔 형상의 삽입 돌기(115a)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고, 결합홈(125)의 내측 종단면에는 삽입 돌기(115a)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125a)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3(c) 참조). 삽입 돌기(115a)가 뾰쪽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에, 제 1 몸체(10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conical insertion protrusion 115a may be convexly formed on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engaging protrusion 115, and an insertion groove 125a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ng protrusion 115a on the inner longitudinal sectional surface of the engaging groove 125. This can be formed concave (see Fig. 3(c)). Since the insertion protrusion 115a has a pointed shape, the first body 101 may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and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제 1 몸체(101)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경우,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서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몸체(101)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들 사이에 위치된 경우,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의 내주면에서 돌출 영역(11a)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When the first body 101 is position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area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the second body 102 is located in the protruding are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11a). Further, when the first body 101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areas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the second body 102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areas 11a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may be positioned to correspond.

한편, 본 실시예의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원기둥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결합 돌기(115)와 결합홈(125)의 나사 결합을 통해 상호 간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결합 돌기(115)와 결합홈(125)는 나사 결합뿐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상호 간에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are illustrated in a cylindrical shape, they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of this embodiment are shown to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screw coupling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coupling groove 125, but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coupling groove 125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various known coupling methods as well as screw coupling.

전원부(103)는 제 2 몸체(102)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전류는 제 2 몸체(102)에 공급될 수 있고, 제 1 몸체(101)에도 공급될 수 있다. 즉, 전원부(103)는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와 조합하여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전원부(103)는 차량(1)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축전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03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02 to supply current. Here, the current may be supplied to the second body 102 , and may also be supplied to the first body 101 . That is, the power supply unit 103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to form a circuit. In some cases, the power supply unit 103 may be connected to the battery of the vehicle 1 to store electricity.

또한, 전원부(103)는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ower supply unit 103 may include an input terminal line 131 and an output terminal line 133 .

입력단 라인(131)은 전원부(103)와 제 2 몸체(102)를 연결한다. 여기서, 입력단 라인(131)은 전원부(103)의 (+)극에 연결된다. 전류는 입력단 라인(131)을 통해 전원부(103)로부터 제 2 몸체(102)로 유동할 수 있다.The input terminal line 131 connects the power source 103 and the second body 102 . Here, the input terminal line 131 is connected to the (+) pole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 Current may flow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3 to the second body 102 through the input terminal line 131 .

출력단 라인(133)은 입력단 라인(131)으로부터 이격되고, 전원부(103)와 제 2 몸체(102)를 연결한다. 여기서, 출력단 라인(133)은 전원부(103)의 (-)극에 연결된다. 전류는 출력단 라인(133)을 통해 제 2 몸체(102)로부터 전원부(103)로 유동할 수 있다.The output terminal line 133 is spaced apart from the input terminal line 131 , and connects the power supply unit 103 and the second body 102 . Here, the output terminal line 133 is connected to the (-) pole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 Current may flow from the second body 102 to the power supply unit 103 through the output terminal line 133 .

한편,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원부(103)로부터 공급된 전류의 유동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configured as follows for the flow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103 .

우선,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제 2 몸체(102)의 제 2 메인 몸체(121)의 내부에는 결합홈(125) 주위에 연결 라인(120)이 위치될 수 있다(도 3(a) 및 도 3(c) 참조). 한편, 연결 라인(120)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First,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made of a non-conductor through which current does not flow, and the inside of the second main body 121 of the second body 102 is formed around the coupling groove 125 . A connection line 120 may be located (see FIGS. 3(a) and 3(c) ). Meanwhile, the connection line 120 may be loca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연결 라인(120)은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종단은 각각 전원부(103)의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라인(120)의 적어도 일 지점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고,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에 위치될 수 있다.The connection line 120 is made in the form of a wire, and both ends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line 131 and the output terminal line 133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 respectively. At least one point of the connection line 120 may be located adjacent to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and may be located in the protruding area 11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타이어(10)의 외주면, 특히 돌출 영역(11a)이 노면에 접촉되어 우선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따라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순서대로 마모될 수 있다. 특히, 제 1 메인 몸체(111)가 마모되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마모가 시작되면,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은 거의 마모된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2 메인 몸체(121)가 마모되어, 연결 라인(120)은 마모되어 단선될 수 있다. 연결 라인(120)이 단선되면, 전원부(103)에 의한 전류는 연결 라인(120)에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region 1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may be preferentially worn. According to the wea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sequentially worn.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main body 111 is worn and the second main body 121 begins to wear, the protruding area 11a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may be in a substantially worn state. This may be a dangerous state i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 or a state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tire 10 . Here, the second main body 121 is worn and the connection line 120 may be worn and disconnected. When the connection line 120 is disconnected, the current by the power supply unit 103 may not flow in the connection line 120 .

또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몸체(101)의 제 1 메인 몸체(111)의 내부에는 결합 돌기(115) 주위에 제 1 연결 라인(120a)이 위치되고, 제 2 몸체(102)의 제 2 메인 몸체(121)의 내부에는 결합홈(125) 주위에 제 2 연결 라인(120b)이 위치될 수 있다(도 3(b) 참조). 한편, 제 1 연결 라인(120a)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 있고, 제 2 연결 라인(120b)은 제 2 메인 몸체(121)의 외주면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메인 몸체(111)의 길이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Also,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formed of an insulator through which current does not flow. Inside the first main body 111 of the first body 101,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is positioned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second main body 121 of the second body 102 is Therein, a second connection line 120b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coupling groove 125 (see FIG. 3(b)). Meanwhile,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 and the second connection line 120b may be position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Also, the length of the first main body 111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region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제 1 연결 라인(120a)은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양종단은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에는 결합 돌기(115) 주위를 따라 제 1 연결체(120a')가 위치되고, 제 1 연결체(120a')는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1 연결 라인(120a)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is made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and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ther longitudinal end 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and both ends may be exposed through the other longitudinal end 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 In addition, on the other longitudinal end surface of the first main body 111, a first connector 120a' is position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protrusion 115, and the first connector 120a' is made of a conducto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120a.

제 2 연결 라인(120b)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 2 연결 라인(120b) 중 적어도 하나는 입력단 라인(131)에 연결되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제 2 연결 라인(120b) 중 다른 하나는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에는 결합홈(125) 주위를 따라 제 2 연결체(120b')가 위치되고, 제 2 연결체(120b')는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고 제 2 연결 라인(120b)에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line 120b is formed in a pair, and each is form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At least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s 120b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line 131 and may be exposed from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and the other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s 120b is the output terminal line 133 . ) and may be exposed from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1 .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b' is position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groove 125 on the other longitudinal 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121, and the second connecting body 120b' is made of an elastic conductor and 2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ine 120b.

결합 돌기(115)가 결합홈(125)에 완전히 삽입되면, 제 1 연결체(120a') 및 제 2 연결체(120b')는 상호 간에 접촉되어 압축될 수 있고, 제 2 메인 몸체(121)의 타종단면과 제 1 메인 몸체(111)의 타종단면 사이를 밀폐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결 라인(120a)의 양종단은 연결체(120a')에 접촉되고 제 2 연결 라인(120b)의 종단은 제 2 연결체(120b')에 접촉되어, 제 1 연결 라인(120a)의 양종단은 각각 제 2 연결 라인(120b)의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15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25 , the first coupling body 120a ′ and the second coupling body 120b′ can be compressed by contacting each other, and the second main body 121 . It is possible to seal betwee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and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111 . Here, both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are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body 120a' and the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 120b are in contact with the second connection body 120b', and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connection line 120b.

타이어(10)의 외주면, 특히 돌출 영역(11a)이 노면에 접촉되어 우선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따라 제 1 몸체(101)는 마모될 수 있다. 특히, 제 1 메인 몸체(111)가 거의 마모되면,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은 거의 마모된 상태일 수 있다. 이는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인 몸체(111)의 마모에 의해 제 1 연결 라인(120a)은 마모되어 단선될 수 있다. 제 1 연결 라인(120a)이 단선되면, 전원부(103)에 의한 전류는 제 2 연결 라인(120b) 및 제 2 연결체(120b)에서만 유동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region 1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may be preferentially worn. The first body 101 may be worn according to the wea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main body 111 is substantially worn, the protruding region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may be in a substantially worn state. This may be a dangerous state i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 or a state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tire 10 . Here,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may be worn and disconnected due to the wear of the first main body 111 . When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is disconnected, the current by the power source 103 may flow only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line 120b and the second connection body 120b.

또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3(d) 참조). 여기서, 전원부(103)의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은 각각 종단면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제 2 몸체(102)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부(103)가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와 조합하여 회로를 형성할 때,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저항으로써 기능을 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몸체(101)에서 제 1 메인 몸체(111) 및 제 1 서브 몸체(113) 및 제 2 몸체(102)에서 제 2 메인 몸체(121) 및 제 2 서브 몸체(123)는 절연 재료로 피복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made of a conductor through which an electric current can flow (refer to Fig. 3(d)). Here, the input terminal line 131 and the output terminal line 133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may be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body 102 so that their longitudinal cross-sections face each other. When the power supply unit 103 is combined with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to form a circuit,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function as a resistor. On the other hand, the first main body 111 and the first sub-body 113 i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main body 121 and the second sub-body 123 in the second body 102 ar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can be covered with

타이어(10)의 외주면, 특히 돌출 영역(11a)이 노면에 접촉되어 우선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따라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순서대로 마모될 수 있다.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마모되면서 작아지는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 1 메인 몸체(111)의 길이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의 높이에 대응될 수 있다.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region 11a may be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and may be preferentially worn. According to the wea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sequentially wor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have a resistance value that decreases as they wear. Here, the length of the first main body 111 may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area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처리부(104)는 전원부(103)의 입력단 라인(131) 및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할 수 있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부(104)는 전류 측정부(141), 전압 측정부(143) 및 처리 몸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104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line 131 and the output terminal line 133 of the power supply unit 103 to measure a wear valu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and a voltage value, and output according to the measured wear value signal can be generated. Here, the processing unit 104 may include a current measurement unit 141 , a voltage measurement unit 143 , and a processing body unit 145 .

전류 측정부(141)는 전원부(103) 및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고, 출력단 라인(133)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current measuring unit 141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03 and the output line 133 , and may measure a current value of the output line 133 .

전압 측정부(143)는 입력단 라인(131)과 출력단 라인(133)에 연결되고 입력단 라인(131)과 출력단 라인(133) 사이의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다.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line 131 and the output line 133 and measure a voltage value between the input line 131 and the output line 133 .

처리 몸체부(145)는 전류 측정부(141) 및 전압 측정부(143)에 연결되고, 전류 측정부(141)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ing body 145 is connected to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41 and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143 , and among the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41 and the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143 ,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예를 들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가 타이어(10)에 위치되고, 전원부(103)가 전류를 제 2 몸체(102)에 공급할 때, 전류 측정부(141)는 일정한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돌출 영역(11a)의 마모에 의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가 마모됨에 따라, 연결 라인(120)이 단선되거나, 제 1 연결 라인(120a)이 단선될 수 있다. 이는 돌출 영역(11a)이 거의 마모된 상태, 즉,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류는 연결 라인(120)에서 유동되지 않아, 전류 측정부(141)는 전류값을 0A로 측정할 수 있고, 처리 몸체부(145)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도 3(a) 및 도 3(c) 참조). 또한, 전류가 제 1 연결 라인(120a)에서 유동되지 않아, 전압 측정부(143)는 변화된 전압값, 특히 감소된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고, 처리 몸체부(145)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도 3(b) 참조)For example, whe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re positioned on the tire 10 , and the power source 103 supplies current to the second body 102 , the current measurement unit 141 is A constant current value can be measured. As mentioned above, as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re worn by the abrasion of the protruding region 11a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the connection line 120 is disconnected, or the One connection line 120a may be disconnected. This may be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region 11a is almost worn,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1 is in a dangerous state or the tire 10 needs to be replaced. Here, current does not flow in the connection line 120 , so the current measuring unit 141 may measure a current value of 0A, and the processing body 145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FIG. 3(a)). ) and Fig. 3(c)). In addition, since no current flows in the first connection line 120a,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may measure a changed voltage value, particularly a reduced voltage value, and the processing body 145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can be (see Fig. 3(b))

또한, 출력 신호는 차량(1)에 전송되어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은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이거나, 타이어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라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향은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텍스트 및 이미지는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차량 탑승자는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를 통해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인지하고 타이어(10)를 교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1 and output in the form of sound, text, image, or the like. The output sound, text, image, etc. may include a meaning of a dangerous state in driving of the vehicle 1 or a state requiring replacement of a tire. For example, sound may be output through a speaker of the vehicle, and text and images may be output through an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The vehicle occupant may recognize the wear state of the tire 10 through sound, text, and image and replace the tire 10 .

또한,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에서 마모된 제 2 몸체(102) 및 연결 라인(120)은 타이어(10)로부터 분리되고 수리된 이후에 새로운 제 1 몸체(101)와 조합하여 새로운 타이어(10)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도 3(b)에 도시된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에서 마모되지 않는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제 1 몸체(101)와 조합하여 새로운 타이어(1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재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shown in FIGS. 3A and 3C , the worn second body 102 and the connection line 120 are separated from the tire 10 after being repaired. It can be applied to the new tire 10 in combination with the new first body 101 . In particular, in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shown in FIG. 3B , the second body 102 that is not worn is separated from the tire 10 and combined with the new first body 101 to form a new tire 10 . can be applied to That is,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used.

또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도체로 이루어져, 전원부(103)에 대한 저항으로써 작용하는 경우,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에 의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마모될 수 있다.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감소되는 저항값을 나타낼 수 있다(도 3(d) 참조).In additio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re made of a conductor, and when acting as a resistance to the power supply unit 103 ,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re abrad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2 The body 102 is subject to wear.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exhibit a reduced resistance value (refer to FIG. 3(d)).

전압 측정부(143)는 점점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수 있고, 처리 몸체부(145)는 전압 측정부(143)에 측정된 전압값을 바탕으로 하여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의 마모에 대응되는 타이어(10)의 마모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10)의 마모율은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현재 측정된 전압값을 뺀 값을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기본 전압값으로부터 임계 전압값을 뺀 값으로 나눈 값으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may measure a gradually decreasing voltage value, and the processing body unit 145 is based on the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i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The wear rate of the tire 10 corresponding to the wear of 102 may be calculated. For example, the wear rate of the tire 10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urrent measured voltage value from the basic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143 , and the threshold voltage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current measured voltage value from the basic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ement unit 143 . It can be calculated from a value divided by a value minus a value.

여기서, 기본 전압값은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가 트레드(11)의 돌출 영역(11a)에 설치되고 돌출 영역(11a)의 마모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을 의미하고, 임계 전압값은 트레드(11)의 돌출 영역(11a)이 거의 마모된 상태, 즉,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일 때, 전압 측정부(143)에 의해 측정되는 전압값을 의미한다. 또한, 제 1 몸체(101)가 거의 마모된 상태일 때, 임계 전압값이 측정될 수 있다. 즉, 타이어(10)의 마모율은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 또는 타이어(10)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에 대비하여 타이어(10)의 마모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Here, the basic voltage value is applied to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in a state in which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is installed in the protruding area 11a of the tread 11 and the protruding area 11a is not worn. means a voltage value measured by In the state, it means a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 Also, when the first body 101 is in an almost worn state, a threshold voltage value may be measured. That is, the wear rate of the tire 10 may indicate the degree of wear of the tire 10 in preparation for a dangerous state or a state requiring replacement of the tire 10 in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1 .

한편, 처리 몸체부(145)는 타이어(10)의 마모율에 대응하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신호를 통해 차량(1)(예를 들어, 계기판 등)에 타이어(10)의 마모율을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압 측정부(143)가 임계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때 처리 몸체부(145)는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는 차량(1)에 전송되어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되는 음향, 텍스트, 이미지 등은 차량(1)의 운행에 있어 위험 상태이거나, 타이어의 교체가 필요한 상태라는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음향은 차량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고, 텍스트 및 이미지는 차량의 계기판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차량 탑승자는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를 통해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인지하고 타이어(10)를 교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ing body 145 generates an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wear rate of the tire 10 to display the wear rate of the tire 10 on the vehicle 1 (eg, an instrument panel, etc.) through the output signal. can make it happen Also, when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measures a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value, the processing body unit 145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The output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1 and output in the form of sound, text, image, or the like. The output sound, text, image, etc. includes the meaning that the vehicle 1 is in a dangerous state or a tire replacement is required. In addition, the sound may be output through a speaker of the vehicle, and text and images may be output through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The vehicle occupant may recognize the wear state of the tire 10 through sound, text, and image and replace the tire 10 .

한편, 제 1 메인 몸체(111)의 길이가 타이어(10)의 외주면에서 돌출 영역(11a)의 높이에 대응되는 경우, 전압 측정부(143)가 임계 전압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측정할 때, 제 2 몸체(102)는 마모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타이어(10)의 교체가 이루어지면, 마모되지 않는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로부터 분리되고 새로운 제 1 몸체(101)와 조합하여 교체된 타이어(10)에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재사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main body 111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protruding region 11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10 , when the voltage measuring unit 143 measures the voltage value corresponding to the threshold voltage value , the second body 102 may not be worn. Here, when the tire 10 is replaced, the non-wearing second body 102 may be separated from the tire 10 and applied to the replaced tire 10 in combination with the new first body 101 . That is,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used.

또한, 도 3에서 제 1 몸체(101)가 돌출 영역(11a)에 대응하도록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 2 몸체(102)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몸체(101)는 돌출 영역(11a)들 사이의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타이어(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 2 몸체(10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1 몸체(101)는 타이어(10)의 외주면에 어디에서나 설치될 수 있다. 3, the first body 101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region 11a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02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body 101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between the protruding regions 11a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02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That is, the first body 101 may be installed anywher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에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에서 타이어(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고 나사 결합되어 상호 간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3)는 제 2 몸체(102)에 연결되어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와 조합하여 회로를 형성하고, 처리부(104)는 상기의 회로에서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를 마모값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어(10)의 외주면의 마모, 예를 들어, 돌출 영역(11a)의 마모가 이루어지면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가 마모될 때, 처리부(104)는 변하는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출력 신호는 차량(1)에서 타이어의 마모율의 형태로 출력되기도 하고, 타이어(10)의 마모 상태를 음향, 텍스트, 이미지 형태로 출력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육안으로 타이어(10)를 확인하지 않더라도 차량(1)의 내부에서 타이어(10)의 마모를 감지할 수 있고, 타이어(10)의 마모된 정도를 확인할 수 있다.In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re inserted into the outer a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tire 10 in the tire 10, and are screwed to each other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have. Here,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installed in a fixed state to the tire 10 .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103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102 to form a circuit in combination with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nd the processing unit 104 is the current value and voltage in the circuit. At least one of the values may be measured as a wear value. For example, when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are worn whil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is worn, for example, the protruding region 11a is worn, the processing unit 104 is At least one of a changing current value and a voltage value is measured, and an output signal is generated accordingly. The output signal is output in the form of a wear rate of the tire in the vehicle 1 , and the wear state of the tire 10 is also output in the form of sound, text, or image. Accordingly, the tire wear detection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detect the wear of the tire 10 inside the vehicle 1 without visually checking the tire 10 , and the degree of wear of the tire 10 . can be checked.

또한,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를 타이어(10)의 외주면 및 내주면에 삽입시켜 상호 간에 연결함으로써 타이어(10)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몸체(101) 및 제 2 몸체(102)는 타이어(1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의 트레드(11)에는 제 1 몸체(101)의 외경 이하의 내경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는 천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천공 작업은 타이어(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까지 관통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100)는 타이어(10)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타이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타이어(10)의 제조가 완료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타이어(10)에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be installed on the tire 10 by inserting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into the outer and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ire 10 and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have. Here, the first body 101 and the second body 102 may be screwed to the tire 10 . In addition, a drilling operation of forming a hole having an inner diameter equal to or les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body 101 may be performed in the tread 11 of the tire 10, and the drill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10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t may be made to be possible. For this reason,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tire 10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ire 10 , so that the tire 10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tire 10 is manufactured. 10) can be installed.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the abov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by the person.

100: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101: 제 1 몸체
102: 제 2 몸체
103: 전원부
104: 처리부
100: tire wear detection device
101: first body
102: second body
103: power supply
104: processing unit

Claims (9)

타이어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위치되는 제 1 몸체;
제 1 몸체에 대응하도록 타이어의 내주면에 삽입되어 제 1 몸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를 포함하고,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을 통해 제 2 몸체에 연결되고, 전류를 제 2 몸체에 공급하는 전원부; 및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어, 전류값 및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측정된 마모값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될 때, 제 1 몸체는 마모되고, 처리부는 변하는 마모값을 측정하고 출력 신호를 생성하며,
제 1 몸체는,
제 1 메인 몸체;
제 1 메인 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1 서브 몸체; 및
제 1 메인 몸체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고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위치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제 2 메인 몸체;
제 2 메인 몸체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고 제 2 메인 몸체의 일종단면에 위치되는 제 2 서브 몸체; 및
결합 돌기에 대응하도록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 first body inserted and position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a second bod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to correspond to the first body and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 power supply including an input line and an output line, connected to the second body through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nd supplying a current to the second body; and
A processing unit connected to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measuring a wear value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and a voltage value,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wear value,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the first body is worn, and the processing unit measures the changing wear value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first body is
a first main body;
a first sub-body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main body and positioned on one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and
It has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irst main body and includes a coupling protrusion located o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The second body is
a second main body;
a second sub-body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econd main body and positioned on one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and
and a coupling groove concavely formed i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second main body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 tire wear det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coupled, so that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제 1 메인 몸체 및 결합 돌기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메인 몸체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main body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tire wear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main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제2항에 있어서,
결합 돌기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주면 상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 tire wear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screwed together.
제1항에 있어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양종단이 각각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적어도 일 지점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인접하도록 연결 라인을 포함하되,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마모되어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류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n-conductive,
The second body is
It is made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is located around the coupling groove in the second main body,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input end line and the output end line, respectively, and includes a connection line such that at least one point is adjacent 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but,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worn and the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When the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the processing unit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current value.
제1항에 있어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부도체이며,
제 1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1 메인 몸체에서 결합 돌기 주위에 위치되며, 양종단이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제 1 연결 라인을 포함하고,
제 2 몸체는,
전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되, 제 2 메인 몸체에서 결합홈 주위에 위치되고, 각각의 일종단이 입력단 라인 및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각각의 타종단이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 대응되는 한 쌍의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며,
제 1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 돌기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1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1 연결체가 위치되고, 제 2 메인 몸체의 타종단면에는 결합홈 주위를 따라 탄성 재질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는 제 2 연결체가 위치되며,
결합 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고 결합되어 제 1 연결체와 제 2 연결체가 상호 간에 접촉될 때, 제 1 연결 라인은 제 2 연결 라인에 연결되며,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됨에 따라, 제 1 몸체는 마모되어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되고,
제 1 연결 라인이 단선될 때, 처리부는 측정된 전압값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non-conductive,
The first body is
Doedoe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it is located around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first main body, and both ends include one first connection line corresponding to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The second body is
A pair made in the form of an electric wire, positioned around the coupling groove in the second main body, each end connected to the input end line and the output end line, and each other e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econd main body a second connection line of
On the other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first main body, a first connector made of an elastic conductor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line is locat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upling protrusion. A second connecting body made of a conductor and connected to a second connecting line is located,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nd coupled so that the first coupling body and the second coupling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first coupling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line,
A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the first body is worn and the first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When the first connection line is disconnected, the processing unit generates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measured voltage value.
제1항에 있어서,
결합 돌기의 종단면에는 원뿔 형상의 삽입 돌기가 볼록하게 형성되고, 결합홈의 내측 종단면에는 삽입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의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tire wear detec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conical insertion protrusion is convexly formed on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n insertion groove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protrusion is concavely formed on an inner longitudinal section of the coupl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도체로 이루어지고, 입력단 라인의 종단 및 출력단 라인의 종단은 상호 간에 마주하면서 제 2 몸체의 측면에 연결되고,
타이어의 외주면이 마모되어,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가 마모될 때, 처리부는 감소되는 전압값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마모율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made of a conductor, and the end of the input line and the end of the output line ar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second body while facing each other,
Wh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re is worn and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worn, the processing unit measures the reduced voltage value to calculate the wear rate of the tire.
제1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차량에 연결되어 출력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고,
차량에는 출력 신호에 따른 음향, 텍스트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vehicle and transmits an output signal to the vehicle,
Tire wear det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 sound, text, and imag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is output to the vehicle.
제1항에 있어서, 처리부는,
출력단 라인과 전원부에 연결되고, 출력단 라인의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에 연결되고 입력단 라인과 출력단 라인 사이의 전압값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전류 측정부 및 전압 측정부에 연결되고,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값 및 전압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값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에 전달하는 처리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마모 감지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ocessing unit,
a current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output line and the power source and measuring a current value of the output line;
a voltage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nd measuring a voltage value between the input line and the output line; and
a processing body connected to the current measuring unit and the voltage measuring unit,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a current value measured by the current measuring unit and a voltage value measured by the voltage measur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output signal to the vehicle Tire wear detection device.
KR1020200030881A 2020-03-12 2020-03-12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KR1023797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881A KR102379770B1 (en) 2020-03-12 2020-03-12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881A KR102379770B1 (en) 2020-03-12 2020-03-12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06A true KR20210115306A (en) 2021-09-27
KR102379770B1 KR102379770B1 (en) 2022-03-28

Family

ID=77925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881A KR102379770B1 (en) 2020-03-12 2020-03-12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977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9291A1 (en) * 2013-08-06 2015-02-12 Intread Gmbh Measuring element for arrangement in a tread of a tire
KR20180026980A (en) * 2016-09-05 2018-03-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9291A1 (en) * 2013-08-06 2015-02-12 Intread Gmbh Measuring element for arrangement in a tread of a tire
KR20180026980A (en) * 2016-09-05 2018-03-14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Tir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9770B1 (en) 202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720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TWI652203B (en) A bearing for supporting a shaft, in particular a rudder stock or a rudder blade, an electronic bearing clearance measuring device, comprising a rudder for supporting a bearing of a shaft or a rudder blade, and a method for measuring wear of a bearing supporting the shaft or the rudder blade
JP563133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tread groove depth of automotive tire
US7280036B2 (en)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US9778121B2 (en) Tension monitoring arrangement and method
CA2391788A1 (en) Suspension rope wear detector
CN104228477A (en) Abradeable sensor system for tire wear monitoring
US20070022805A1 (en) Tire monitor
KR101388465B1 (en) Apparatus for measuring tread abrasion of tire
JP4127206B2 (en) Tire and whee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102379770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KR102379769B1 (en) Apparatus for monitoring wear of tire
US11840405B2 (en) Belt conveyor and drum for a belt conveyor
KR20180026980A (en) Tire system
KR10218570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wear-sensitive tire and a wear-sensitive tire manufactured thereby
KR201900436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ondition of vehicle tires
CN114008435A (en) Tire deterioration estimation device and tire deterioration estimation method
KR101965964B1 (en) Tire & Wheel Contact Pressure Monitoring System
CN204961649U (en) Survey device of brake block thickness
WO2003056215A1 (en) Wear indicator for a seal of a suction roll of a paper or board machine
US20170002917A1 (en) V-ribbed belt and method for showing a wear state of a v-ribbed belt
JP4482860B2 (en) Tire sensor pins and tires
CN214028071U (en) Engineering machinery tire abrasion sensor and engineering machinery tire
KR102247479B1 (en) Method of detecting a tire abnormal wear of a vehicle
KR20130013102A (en) Electrical system of a vehicle for measuring wear condition of a tire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