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5237A - 광원모듈 - Google Patents

광원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5237A
KR20210115237A KR1020200030724A KR20200030724A KR20210115237A KR 20210115237 A KR20210115237 A KR 20210115237A KR 1020200030724 A KR1020200030724 A KR 1020200030724A KR 20200030724 A KR20200030724 A KR 20200030724A KR 20210115237 A KR20210115237 A KR 2021011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ayer
light source
light guide
light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호
나태경
최세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5237A/ko
Publication of KR2021011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2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58Optical field-shap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광원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광원모듈은, 투명 재질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면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광가이드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1광가이드층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2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가이드층의 두께는 상기 제2광가이드층의 두께보다 크다.

Description

광원모듈{Light source module}
본 실시예는 광원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다양한 광원을 활용한 광원모듈은 각 전자기기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광원을 활용하여 광 효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광원모듈은 평판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백라이트유닛이나, 실내환경에 사용하는 실내등, 또는 자동차 외부에 설치되는 전조등, 안개등, 후퇴등, 차폭등, 번호등, 후미등, 제동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 차량외부에서 V2V, V2C를 위해서 다양한 이미지를 구현하는 차량램프, 차량의 바디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노출되진 않지만 빛을 구현하는 Hidden Lighting을 위한 차량램프, 자동차 내부에 설치되는 실내조명등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LED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은 칩에서 패키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패키지 단계에서는 방열판 등을 이용하여 열 방출 효율이 좋은 물질을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류를 인가시켜 열적으로 안정한 구조를 구성하거나, 패키지의 광학적인 구조나 특성을 고려한 최적 설계로 광추출 효율을 상승시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상당부분이 실험실 수준에서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얻고 있지만, 실제 제조공정에서 적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구조를 개선하여 높은 광효율을 가지고, 면광원을 위한 핫스팟을 제거할 수 있는 광원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 차량램프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면광원을 위하여 Uniformity를 개선 할 수 있는 광원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은, 투명 재질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면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광가이드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1광가이드층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2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가이드층의 두께는 상기 제2광가이드층의 두께보다 크다.
본 실시예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광원을 배치하여 종래 대비 상기 광원모듈 내 광경로가 증가하게 되므로, 광 균일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즉, 광원이 인쇄회로기판의 상, 하면 중 출사면과 마주하는 면과 반대면에 배치되어 핫스팟(Hot spot)이 제거될 수 있고, 확산층의 두께 또한 종래 대비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광이 조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광학 패턴에 따른 휘도 변화를 보인 도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휘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
도 5 및 6은 전면부 및 후면부 두께에 따라 변화되는 광의 균일도를 측정한 도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단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의 광이 조사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이며, 도 3은 광학 패턴에 따른 휘도 변화를 보인 도표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과의 거리에 따라 휘도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5 및 6은 전면부 및 후면부 두께에 따라 변화되는 광의 균일도를 측정한 도표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100)은, 인쇄회로기판(110), 광원(120), 광가이드층(130), 반사층(140), 확산층(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면에 상기 광원(120)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은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110)은 필름 형태의 유리나 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재질은 PET, PEN, PI, 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면에는 상기 광원(1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전극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전극 또한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은 ITO 또는 Cu/Ag 재질의 메쉬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발광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면에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구동에 의해 광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직하형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발광소자(120)는 측면형(side view type) 발광다이오드일 수 있다. 상기 광원(120)은 LED Chip 형태일 수 있으며 또는 LED PKG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반사층(1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4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40)은 상기 광원(120)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방을 향해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이 투명 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하방으로 조사된 후 상기 반사층(140)에서 반사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상방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4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층(140) 상부, 즉 상기 광원(120)과 마주보는 면에는 복수개의 반사패턴(미도시)이 배치 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반사패턴(미도시)는 White Ink를 상기 반사층의 상부에 인쇄하는 공정을 통해 배치 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반사패턴(미도시)은 상기 광원(120)에서 발생되는 광을 상부로 반사되는 양을 증가시켜 상기 광원모듈(100)이 출사하는 광의 휘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120)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직하형 발광다이오드인 경우 상기 광원(120)의 중심 부분에서 광이 집중되므로 상기 복수개의 반사패턴(미도시)은 상기 광원(120)에서 멀어질수록 밀도가 작아지도록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130)은 내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을 수용하며,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130)은 후술할 확산층(150)과 상기 반사층(140)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Air gap)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광가이드층(130)은 수지 또는 레진 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 또는 몰드 형상 일 수 있으며,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을 기준으로 하부 또는 상부에 배치되는 광가이드층(130)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갖는 레진 재질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레진 재질로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층(130)의 두께는 상기 반사층(140) 또는 상기 확산층(150)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 의해 상기 광가이드층(130)은 제1광가이드층(132)과 제2광가이드층(134)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광가이드층(134)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의 두께(T1)는 상기 제2광가이드층(134)의 두께(T2)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은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을 거쳐 상기 반사층(140)으로부터 반사된 후,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 상기 인쇄회로기판(110), 상기 제2광가이드층(134) 및 상기 확산층(1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피조사 영역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150)의 상면은 상기 발광모듈(100) 내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가이드층(13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구획되는 제1광가이드층(132)과 제2광가이드층(134)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상기 광가이드층(130)은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확산층(150)은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의 상면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150)은 상기 광가이드층(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층(150)은 외부로 출사되는 상기 광원(120)의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상기 확산층(150)의 재질은 레진을 포함 하거나 투명 필름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150)의 상면에는 렌즈 형상의 광학 패턴(1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패턴(152)은 복수개의 돌출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형상은 반구, 반구의 일 부분, 원뿔 또는 각뿔 형상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확산층(150)을 통해 광 손실 없이 상기 광원(120)으로부터의 광이 피조사영역에 조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하면에 상기 광원(120)을 배치하여 즉, 상기 광원모듈(100)의 출사 방향과 상기 광원(120)의 출사 "?袖* 서로 반대로 구성하여 종래 대비 상기 광원모듈(100) 내 상기 광원(120)의 광경로가 증가하게 되므로, 광 균일도가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광원(12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의 상, 하면 중 상기 광원모듈(100)의 출사면과 마주하는 면과 반대면에 배치되어 핫스팟(Hot spot)이 제거될 수 있고, 상기 광원모듈(100)의 균일성을 개선하면서 상기 광가이드층(130)의 두께 또한 종래 대비 얇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광학 패턴(152)의 형상에 따라 휘도 및 광도값이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패턴(152) 내 복수개의 돌출부 각각의 크기가 클수록 상기 광원모듈(1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도 및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 패턴(152) 내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 간격이 작을수록, 상기 광원모듈(10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도 및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3의 표를 참조하여 Case 2, Case5, Case6을 비교하면 상기 광학 패턴(152) 내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264um로 동일하며 크기는 서로 다르다. 이때, Case6에서의 광도 및 휘도가 가장 크므로 돌출부의 크기가 클수록 광도 및 휘도는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ase 2, Case 3, Case 4를 비교하면 상기 광학 패턴(152) 내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은 서로 다르며, 돌출부의 크기는 반구 형상을 기준으로 반지름이 60um로 동일하다. 이때, Case 4에서의 광도 및 휘도가 가장 크므로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의 간격이 작으면 작을수록 광도 및 휘도는 증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광원(120)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원의 광도 및 휘도가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의 반경은 45um 내지 75u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돌출부 사이 간격은 176um 내지 264u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접한 돌출부 사이 간격은 돌출부의 중심간 직선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광원모듈(100)의 휘도 및 광도를 증대하기 위해서는 상기 확산층(150)의 상면을 기준으로 단위 면적 당 상기 광학 패턴(152)의 체적이 크면 클수록 좋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광원모듈(100)의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휘도는, 중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원(120)과 수평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영역을 중앙부(0)로 정의할 때, 상기 중앙부(0)에서 출사되는 광이 가장 높은 휘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LED 광원 모듈(100)의 경우, 출사되는 광의 최소 휘도를 최대 휘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 균일도가 87.3%를 만족하여, 광이 균일하게 출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 및 6에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10)을 기준으로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을 전면부, 상기 제2광가이드층(134)을 후면부로 정의하여, 상기 전면부의 두께(T1) 또는 상기 후면부의 두께(T2)에 따른 광 균일도와 휘도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부의 경우 두께(T2)가 1mm에서, 상기 전면부의 경우 두께(T1)가 2.5mm에서 높은 광 균일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광가이드층(132)의 두께(T1)는 2mm 내지 3mm 이하로, 상기 제2광가이드층(134)의 두께(T2)는 0.5mm 내지 1.5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즉, Uniformity를 87% 이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부의 두께(T1)은 2.4mm ~ 3.0mm 이어야 하며, 상기 후면부의 두께(T2)는 0.9mm ~ 1.1mm 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후면부의 두께(T2)는 상기 전면부의 두께(T1) 대비하여 30% 내지 46% 이하가 되는 것이 좋다. 이때 가장 높은 광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면부의 두께(T1)은 2.5mm 일 때 가장 좋으므로 상기 후면부의 두께(T2)는 상기 전면부의 두께(T1) 대비하여 36% 내지 44% 이하가 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투명 재질의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면에 배치되는 광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광가이드층;
    상기 광가이드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반사층; 및
    상기 광가이드층의 상부에 배치되는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층은 상기 인쇄회로기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1광가이드층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부에 배치되는 제2광가이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가이드층의 두께는 상기 제2광가이드층의 두께보다 큰 광원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의 상면에는 광학 패턴이 형성되고,
    상기 광학 패턴은 반구형상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광원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각각의 반경은 45um 내지 75um 이하이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 사이 간격은 176um 내지 264um 이하인 광원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층은 상기 확산층의 하면과 상기 반사층의 상면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Air gap)인 광원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층의 재질은 수지 또는 레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가이드층과 상기 제2광가이드층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포함하는 수지 또는 레진 재질을 포함하는 광원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상기 광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광원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가이드층의 두께는 2mm 내지 3mm 이하이고,
    상기 제2광가이드층의 두께는 0.5mm 내지 1.5mm 이하인 광원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가이드층의 두께는 상기 제1광가이드층의 두께 대비하여 30% 내지 46% 인 광원모듈.

KR1020200030724A 2020-03-12 2020-03-12 광원모듈 KR202101152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24A KR20210115237A (ko) 2020-03-12 2020-03-12 광원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724A KR20210115237A (ko) 2020-03-12 2020-03-12 광원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37A true KR20210115237A (ko) 2021-09-27

Family

ID=77926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724A KR20210115237A (ko) 2020-03-12 2020-03-12 광원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52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0916B2 (en) Lamp unit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101191213B1 (ko) 조명기구
US8643041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JP2009152142A (ja) 発光素子ユニット及びこれを複数備えた面発光ユニット
KR101185523B1 (ko) 일체형 도광판이 구비된 led 평판조명장치
CN102163682A (zh) 发光器件封装
JP4127098B2 (ja) 面状光源装置
JP6175469B2 (ja) 自動車用照明装置
CN114599914B (zh) 照明装置
KR20110088130A (ko) 양면 조명용 led 렌즈와 led 모듈 및 이를 이용한 led 양면 조명장치
US9310046B2 (en) Light emit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06228588A (ja) 面状照明装置
KR20120047061A (ko) 발광소자 어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장치
CN216353096U (zh) 光源模组、照明装置和显示装置
KR20210115237A (ko) 광원모듈
KR100801923B1 (ko) 차량용 조명장치
KR20130108019A (ko) 광 확산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유닛
KR20180028683A (ko) 조명 장치
KR20130095051A (ko) 광원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CN209762867U (zh) 照明器具
KR100856003B1 (ko) 자동차 조명용 광학모듈
KR20230020795A (ko) 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램프
KR20210115236A (ko) 광원모듈
KR200465474Y1 (ko) 엘이디 조명모듈
CN116964376A (zh) 照明装置及包括其的车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