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375A -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375A
KR20210114375A KR1020210121635A KR20210121635A KR20210114375A KR 20210114375 A KR20210114375 A KR 20210114375A KR 1020210121635 A KR1020210121635 A KR 1020210121635A KR 20210121635 A KR20210121635 A KR 20210121635A KR 20210114375 A KR20210114375 A KR 20210114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y
payment
transfer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향원
Original Assignee
한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향원 filed Critical 한향원
Priority to KR102021012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375A/ko
Publication of KR20210114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375A/ko
Priority to KR1020220128518A priority patent/KR202201436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4Identity check for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2Confirmation, e.g. check or permission by the legal debtor of pay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산품 거래에 따른 기업간 대금을 이체하기 위하여 은행 결제서버로 자금이체 요청을 하는 계좌이체 정보 생성부 및 은행 결제서버로부터 기업의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되는 결제승인번호를 입력받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승인번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펌 뱅킹시 자금 이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공산품 거래 후 요청되는 기업간 자금이체 정보를 수신받은 은행은 기업의사에 따른 자금이체 요청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한 기업간 거래시 자금이체 결제의 안정성 및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ACCOUT TRANSFER METHOD ON FIRM BANKING AND ACCOUNT TRANSFER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펌 뱅킹시 회사 명의 계좌에서 회사의 동의 없이 자금이 이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기업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은행을 통해 전자자금이체 등 은행관련업무를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가정이나 기업에서는 컴퓨터, 스마트폰을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면 은행의 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게 되고, 입출금명세·예금잔액 등의 금융정보를 획득하며, 계좌간의 이체 등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 중에 가정이나 개인이 은행과 온라인상으로 금융거래를 하는 경우 홈뱅킹이라 하고, 기업과 은행간의 업무처리를 펌뱅킹(Firm Banking)이라고 한다. 펌뱅킹은 기업체의 호스트 컴퓨터와 금융기관의 서버를 전용회선 또는 부가가치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으로 연결하여 기업자금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금융서비스를 말한다. 기업은 VAN사가 제공하고 있는 VAN 통신망을 사용함에 따라 물리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비용적으로도 금융기관과의 계약에 따라 수수료를 감면받을 수 있고, 은행과 약속된 전자문서 교환을 통하여 거래됨으로 거래건수 제한이 없고 속도가 빠른 편리성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정보통신의 발전에 따라 인터넷망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활발해짐에 따라 공산품의 구매거래를 중계하는 전자상거래업체에서 제공하는 메인서버(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판매자를 대신하여 구매자가 선택한 은행, 신용카드사 등으로부터 결제대금을 지급받아 일정수수료를 공제하고 판매자에게 지급해주는 서비스인 PG(Payment Gateway)를 제공하는 전자지급결제대행업체(PG사)가 등장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4922호의 "펌뱅킹을 이용한 네트워크형 실시간 금융계좌 이체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상에서 복수의 클라이언트 PC 사용자 또는 복수의 개인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실시간 금융계좌이체시스템을 제공하는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 또는 연계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 받은 후, 금융계좌 데이터와 이체금액등을 입력하거나 클라이언트 PC 또는 개인휴대단말기에 저장된 금융계좌 데이터를 호출하여 이체금액 및 수금요청 금융계좌 등의 금융데이터와 함께 당해 메인 서버와 연동된 개별은행간 펌뱅킹망을 통해 해당 금융기관 서버와 접속을 진행하여, 해당 금융기관 서버에서 해당 클라이언트 PC 사용자 또는 개인휴대단말기 사용자가 요구한 금융계좌로 실시간 이체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인터넷망에 연결된 실시간 금융계좌이체시스템을 제공하는 메인 서버에 사용자로부터 금융계좌 데이터 등의 고객 결제정보가 남아 유출의 위험이 있다. 즉 상기 선행기술은 고객이 자금이체의 요청이 없더라도 메인서버가 저장되어 있는 고객의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펌뱅킹망을 통하여 개별은행간 자금이체를 처리하여 고객에게 막대한 피해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인 기업이 공산품 구매 후 기업대 기업간(B2B) 자금이체를 통한 대금결제시 구매자가 전자상거래업체에서 제공하는 메인서버(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제공하는 결제창에 이체계좌정보를 포함한 결제정보를 입력하면 결제정보는 해당 은행의 PG사로 전송되고, 이후 VAN 통신망을 통하여 은행 결제서버에 전송되어 펌뱅킹망을 통하여 자금이체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온라인 쇼핑몰,PG사, VAN사는 구매자인 기업이 자금이체에 대한 의사인 결제요청을 하지 않더라도 이체요청을 할 수 있음으로 은행은 자신과 계약을 한 온라인 쇼핑몰업체, PG사 또는 VAN사 이외의 다른 업체들에게는 펌뱅킹망을 통한 자금이체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은행간 펌뱅킹을 통한 자금이체시 은행은 온라인 쇼핑몰 업체, PG사, VAN사가 제공하는 중계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받은 기업간 자금이체 요청이 해당 기업의 의사에 의하여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선행기술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84922호(2001,09.07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은행은 온라인 쇼핑몰에서 공산품 거래후 기업간 자금이체 요청이 있는 경우 수신받은 자금이체 요청이 해당 기업의 의사에 의하여 요청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펌 뱅킹시 자금 이체시스템은 공산품 거래에 따른 기업간 대금을 이체하기 위하여 은행 결제서버로 자금이체 요청을 하는 계좌이체 정보 생성부 및 은행 결제서버로부터 기업의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되는 결제승인번호를 입력받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승인번호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은행 결제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자금이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결제승인번호를 생성하여 기업의 담당자 휴대폰을 전송하고, 생성한 결제승인번호와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결제승인번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자금이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은 서비스 서버는 기업(구매자)의 공산품 거래에 따른 대금을 이체하기 위한 자금이체요청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은행 결제서버는 미리 등록된 상기 기업 담당자 휴대폰으로 결제승인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는 결제승인번호를 입력받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은행 결제서버는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결제승인번호와 기업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한 결제승인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금이체를 수행하고 이체완료정보를 기업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라인 쇼핑몰을 통한 공산품 거래 후 요청되는 기업간 자금이체 정보를 수신받은 은행은 기업의사에 따른 자금이체 요청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전자상거래를 통한 기업간 거래시 자금이체 결제의 안정성 및 신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은행은 기업의사에 따른 자금이체 요청이 있음을 결제승인번호의 인증을 통하여 명확히 알 수 있음으로 다양한 온라인 쇼핑몰에서 이루어지는 기업간 거래를 더욱 활성화시킴으로써 전자상거래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입장에서도 공산품 거래시 발생하는 자금이체정보가 온라인 쇼핑몰업체, PG사 및 VAN사가 기업의 의사에 반하여 은행에 자금이체 요청을 할 수 없음으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자금이체 거래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뱅킹시 자금이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기업간 공산품 거래 후 자금이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자금이체 요청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 뱅킹시 자금이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펌 뱅킹시 자금이체 시스템(100)은 구매자 단말(20)과 인터넷망을 통하여 공산품 구매 중계 서비스 및 기업간 자금이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00), 서비스 서버로부터 VAN 통신망을 통하여 자금이체 요청을 수신받고, 상기 자금이체 요청이 기업의 의사에 따른 것인지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자금이체 요청에 따라 기업간 자금이체 처리를 수행하는 은행 결제(2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20)은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서비스 서버(1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서비스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에서 공산품을 구매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운영하는 웹서버일 수 있으며, 구매자 단말(20)에 물품 거래를 위한 웹사이트를 제공하며, 판매자 및 구매자들의 회원정보를 관리하고, 판매자 및 구매자들이 공산품 거래에 따른 대금에 대한 자금이체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서버(100)는 구매자 단말(20) 자신의 기업계좌에서 공산품 구매에 따른 자금이체를 요청하는 경우, 판매자를 대신하여 미리 등록된 구매자의 계좌로부터 결제대금을 지급받아 일정수수료를 공제하고 판매자에게 지급해주는 전자지급결제대행서비스(PG,Payment Gateway)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구매자 및 판매자는 기업으로 공산품 거래 대금에 대한 자금이체는 펌뱅킹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네트워크망(10)은 구매자 단말(10)과 서비스 서버(100)를 연결하기 위한 인터넷 망, 서비스 서버(100)에서 기업간 자금이체 요청을 은행 결제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VAN 통신망(펌 뱅킹망) 및 은행 결제서버(300)에서 생성된 결제인증번호를 기업 담당자 휴대폰(3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이동통신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은행 결제서버(20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되는 기업정보, 이체계좌 정보, 결제금액 및 휴대폰 번호의 결제정보을 포함하는 자금이체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된 휴대폰번호인지 확인하고, 결제승인번호를 생성하여 기업 담당자 휴대폰(30)에 전송한다. 은행 결제서버(200)는 결제승인번호의 일치여부를 판단하는 승인절차를 진행하여 해당 자금이체 요청에 따른 기업간 자금이체 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쇼핑몰에서 기업간 공산품 거래 후 자금이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서버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는 공산품 중계 서비스 및 자금이체 서비스에 따른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10) 및 판매자 및 구매자의 이름, 휴대폰번호, 주소, 로그인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을 포함하는 회원정보(121), 거래 대상이 되는 판매자가 업로드한 공산품 정보(122), 거래에 따른 공산품 거래정보(123) 및 기업(구매자 및 판매자)의 계좌정보(124) 등을 저장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1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00)의 제어부(11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구매자와 판매자간 공산품 거래를 중계하기 위하여 공산품 검색, 판매자 검색, 판매정보 등을 표시하는 공산품 거래부(111), 공산품 거래에 따른 기업간 대금을 이체하기 위하여 은행 결제서버로 자금이체 요청을 하는 계좌이체 정보 생성부(112) 및 은행 결제서버로부터 기업의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되는 결제승인번호를 입력받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결제승인번호 전송부(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 제공하는 자금이체 요청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00)는 공산품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거래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구매자(기업)에 대한 기업정보(141), 이체계좌번호(142), 결제금액(143) 및 휴대폰번호(144) 등의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계좌이체요청 화면을 구매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 담당자는 계좌이체요청 화면에 표시된 이체버튼(145)을 선택함으로써 서비스 서버(100)는 자금이체 요청을 은행 결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도 4의 (a)참조). 계속적으로 서비스 서버(100)는 은행 결제서버(200)로부터 기업 담당자 휴대폰(30)으로 전송되는 결제승인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승인입력화면을 구매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기업 담당자가 전송받은 결제승인번호를 결제승인번호 입력창(147)에 입력한 후 전송버튼(148)을 선택하면, 결제승인번호를 은행 결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도 4의 (b)참조).
여기서 자금이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비스 서버(200)가 구매자 단말에 표시하는 계좌이체요청 화면 및 승인입력화면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공산품 거래를 마치는 경우, 서비스 서버(200)는 해당 거래 화면에 결제버튼이 표시하고, 구매자가 상기 결제버튼을 선택하면, 서비스 서버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구매자의 휴대폰 번호를 은행 결제서버(300)로 전송하고, 이후 은행 결제서버(300)로부터 전송받은 결제승인번호 및 기업정보, 이체계좌정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자금이체요청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0)는 기업(구매자)의 공산품 거래가 완료한 후(s31), 거래에 따른 대금을 이체하기 위한 휴대폰번호를 포함하는 자금이체요청을 은행 결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3). 계속적으로 자금이체 요청을 수신받은 은행 결제서버(200)는 전송받은 휴대폰번호가 미리 등록된 휴대폰 번호인지 확인하고(S34) 일치하는 경우, 결제승인번호를 생성하여 기업 담당자 휴대폰(30)으로 전송한다(S35). 여기서 은행 결제서버(200)는 자금이체에 필요한 기업정보, 기업담당자 휴대폰 번호, 이체계좌정보 등을 저장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적으로 기업 담당자는 자신이 전송받은 결제승인번호를 서비스 서버(100)에 입력하고(S36), 서비스 서버(100)는 입력된 결제승인번호 및 기업정보, 결제금액을 포함한 결제정보를 은행 결제서버(200)로 전송한다(S37). 은행 결제서버(200)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수신받은 결제승인번호와 기업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한 결제승인번호가 일치 여부 및 전송받은 기업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업정보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 지정된 계좌(구매자 계좌)에 지정한 계좌(예를 들어 서비스 서버를 운영하는 온라인 쇼핑몰 계좌)로 전송받은 결제금액에 대한 자금이체를 수행하고. 자금이체 결과에 따른 완료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00) 및 기업 담당자 휴대폰(30)으로 전송할 수 있다(S37).
따라서 은행간 펌뱅킹을 통한 자금이체시 은행은 온라인 쇼핑몰 업체, PG사, VAN사가 제공하는 중계시스템을 통하여 수신받은 기업간 자금이체 요청이 해당 기업의 의사에 의하여 요청되었는지를 결제승인번호의 인증을 통하여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기업간 자금이체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20:구매자 단말 30:기업 담당자 휴대폰
100:서비스 서버 110:제어부
111:공산품 거래부 112:계좌이체 정보 생성부
113:결제승인번호 전송부 120:데이터베이스
121:회원 정보 122:공산품 정보
123:공산품 거래정보 124:계좌정보
141:기업정보 표시창 142:계좌번호 표시창
143:결제금액 표시창 145:이체 버튼
147:결제승인번호 입력창 200:은행 결제서버
1000:자금이체 시스템

Claims (1)

  1. 서비스 서버가 기업의 공산품 거래에 따른 대금을 이체하기 위한 자금이체요청을 구매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아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은행 결제서버가 상기 자금이체요청에 포함된 휴대폰 번호가 미리 등록된 휴대폰 번호인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기업 담당자 휴대폰으로 상기 기업의 공산품 거래에 따른 대금 이체를 위한 결제승인번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기업 담당자로부터 상기 결제승인번호를 입력받아 상기 결제승인번호, 기업정보 및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상기 은행 결제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은행 결제서버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결제승인번호와 상기 기업 담당자 휴대폰으로 전송한 결제승인번호가 일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기업정보와 미리 등록되어 있는 기업정보가 일치하는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결제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자금이체를 수행하고 이체완료정보를 상기 기업 담당자 휴대폰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자금이체요청을 위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베이스(120)에 저장되어 있는 거래정보를 검색하여 구매자의 기업정보, 구매자의 기업계좌에 관한 이체계좌정보, 결제금액 및 휴대폰 번호의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계좌이체요청 화면을 구매자 단말기의 디스플레부이에 표시한 후, 상기 결제승인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승인입력화면을 구매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KR1020210121635A 2020-12-29 2021-09-13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20210114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1635A KR20210114375A (ko) 2020-12-29 2021-09-13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20220128518A KR20220143616A (ko) 2020-12-29 2022-10-07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5864A KR20210002098A (ko) 2020-12-29 2020-12-29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20210121635A KR20210114375A (ko) 2020-12-29 2021-09-13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64A Division KR20210002098A (ko) 2020-12-29 2020-12-29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18A Division KR20220143616A (ko) 2020-12-29 2022-10-07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375A true KR20210114375A (ko) 2021-09-23

Family

ID=741279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64A KR20210002098A (ko) 2020-12-29 2020-12-29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20210121635A KR20210114375A (ko) 2020-12-29 2021-09-13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20220128518A KR20220143616A (ko) 2020-12-29 2022-10-07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64A KR20210002098A (ko) 2020-12-29 2020-12-29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518A KR20220143616A (ko) 2020-12-29 2022-10-07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2100020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22A (ko) 2001-04-17 2001-09-07 서은영 펌뱅킹망을 이용한 네트워크형 실시간 금융계좌 이체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4922A (ko) 2001-04-17 2001-09-07 서은영 펌뱅킹망을 이용한 네트워크형 실시간 금융계좌 이체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098A (ko) 2021-01-06
KR20220143616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4860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US825532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over a network with a gateway adapter
US20090182674A1 (en) Facilitating financial transactions with a network device
EP2074581A2 (en)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anonymous on-line purchases
KR102020006B1 (ko) 리뷰 권한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US11790333B2 (en) Tokenized data having split payment instructions for multiple accounts in a chain transaction
US20130290176A1 (en) Transaction service purchase options via a payment provider
KR20010008292A (ko) 이메일 계정을 이용한 금융거래시스템 및 그 거래방법
TW201013557A (en) Online processing for offshore business transactions
KR101753254B1 (ko) 지인 관계에서의 식당 대리 결제 서비스 방법
US10311506B1 (en) System and method for e-commerce accessibility
KR100897498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통합형 금융 서비스 시스템
KR101885921B1 (ko) 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29735A (ko) 빠른 대출이 가능한 인터넷 대출 방법
KR20180117434A (ko) Sns를 이용한 쇼핑 활성화와 안전 거래를 위한 방법과 시스템 그리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170082997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20210114375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102006960B1 (ko) 위치정보 기반의 온라인 중고물품 거래 시스템
KR20010085205A (ko) 전자상거래에 의한 전자영수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32109A (ko) 펌 뱅킹시 자금 이체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자금이체 시스템
KR20020014973A (ko) 중개 서버와 오프라인 가맹점을 통한 전자 상거래 대금의직접 지불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12132A (ko) 모바일 배송 시스템 및 방법
JP5918995B2 (ja) 支払処理方法およびその支払処理に用いる銀行サーバ
KR20030033876A (ko) 인터넷과 휴대폰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64473A (ko) 전자지갑과 통합된 전자 지불 보증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