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4289A -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4289A
KR20210114289A KR1020200029823A KR20200029823A KR20210114289A KR 20210114289 A KR20210114289 A KR 20210114289A KR 1020200029823 A KR1020200029823 A KR 1020200029823A KR 20200029823 A KR20200029823 A KR 20200029823A KR 20210114289 A KR20210114289 A KR 20210114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
breeding
data
piglets
ac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8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호
고대화
김세정
박효미
강경완
권승철
조원준
지창근
Original Assignee
(주)호현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현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호현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20002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4289A/en
Publication of KR2021011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89A/en
Priority to KR1020210142802A priority patent/KR202101331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are a smart farm pig raising system and a method. The smart farm pig raising system includes: a user response unit for receiving changes in a pig's livestock house according to user's manipulation from a user terminal; and a data update unit for updating breeding data so that the information on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added to the breeding data of a corresponding pi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manage the breeding data of each individual to reflect real-time information regardless of movement of the barn for each growth cycle during an entire growing period of the pig.

Description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nd method.

일반적으로 축사에서 사육되는 가축은 출산, 출하 또는 폐사 등을 이유로 개체수의 증감이 빈번하며, 축산 분야에서 가축의 생육 관리는 생산성 및 수입과 직결되기 때문에, 사육 과정에서의 데이터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In general, livestock raised in livestock houses frequently increase or decrease the number of individuals due to childbirth, shipment, or death, etc. In the livestock field, since the growth management of livestock is directly related to productivity and income, data management in the breeding process is very important.

특히 양돈(養豚)의 경우, 서열동물인 돼지의 특성상 생육 주기별 축사 이동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축사 이동되더라도 개체 단위의 데이터는 갱신되어 연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igs, since it is essential to move the barn for each growth cyc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pigs, which are high-ranking animals, even if the barn is moved, the data of the individual unit must be updated and continuously managed.

그러나, 종래의 양돈 시스템은 돼지들의 축사 이동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각 돼지 개체별로 수동으로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고, 관련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ig system, in order to manage the movement of pigs to livestock, it is inconvenient to manually correct existing data for each pig individual and additionally input related data.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돼지들의 축사 이동시 돼지 개체들에 대한 데이터가 즉각적으로 갱신 처리되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갱신되지 않고 있다. Due to this inconvenience, in general, data on pigs is not updated immediately or is not continuously updated when the pigs move to the barn.

따라서, 돼지 개체의 축사 이동에 따른 데이터 관리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양돈 작업이 양돈업자의 경험에 치중되어 실시될 뿐, 높은 생산성의 체계적인 양돈 사업 관리가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data managemen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gs to the livestock was not continuously performed, so that the pig farming operation was carried out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the pig producer, and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ig farming business with high productivity was impossible.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193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21936 한국등록특허 제10-201435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14353

본 발명은 돼지의 전체 생육 기간(즉, 출생으로 사육이 개시된 후 출하 또는 도축 등으로 인해 사육이 종료될 때까지의 기간) 동안 생육 주기별 축사 이동에 관계없이 실시간 정보가 각 개체의 사육 데이터에 반영되도록 연속적으로 관리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time information to the breeding data of each individual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livestock for each breeding cycle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of the pig (that is, the period from when breeding is started at birth until breeding is terminated due to shipment or slaughter, etc.) It is to provide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nd method continuously managed to be reflected.

본 발명은 돼지의 사육 축사 변동 사항이 그래픽 사용자 환경(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시각화되어 관리될 수 있고, GUI 환경에서 이동된 개체 이미지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가 해당 돼지 개체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됨으로써 돼지의 축사 이동시에도 개체 데이터가 연속하여 관리될 수 있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nges in pig breeding houses can be visualized and managed in a drag and drop method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correspond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moved object image in the GUI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nd method in which individual data can be continuously managed even when pigs move to a barn by being included in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pig individual and managed.

본 발명은 모돈(母豚)과 자돈(子豚) 간의 혈통 관계 및 자돈의 사육 과정 정보를 토대로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고, 모돈의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자돈의 최적 사육 조건을 도출함으로써, 체계적이며 생산성 높은 양돈 사업이 영위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nterprets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based on the pedigree relationship between sows and piglets and information on the breeding process of piglets, and derives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based o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and to provide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a highly productive pig farming business to be conducted.

본 발명은 최적 사육 조건을 이루는 각 영향 인자들의 우선도를 고려하여 제한된 생산 비용으로도 최적의 사육 환경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 높은 양돈 사업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nd method that enables a highly economical pig farming business by ensuring an optimal breeding environment even with limited production costs in consideration of the priority of each influencing factor constituting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

본 발명은 각 실제 구획 영역(예를 들어, 실제 양돈 현장에 설치된 돈사, 돈방, 돈칸 등)에 현재 배치된 돼지들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품종, 체중, 일령 등)와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에 참조하여 이동 관리될 대상 돼지를 결정하고, 이동 관리를 위한 작업 계획을 자동 수립하여 양돈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양돈 작업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status information (eg, breed, weight, age, etc.) of pigs currently placed in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eg, a pig house, a pig room, a pig box, etc. installed at the actual pig site) and placement criteria for each compartment area In order to provide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nd method that determines a target pig to be moved and managed by referring to the , and provides a smart farm piggy system and method to automatically establish a work plan for movement management and provide it to a pig producer so that the pig work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bject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따른 돼지의 축사 변동 사항을 제공받는 유저 대응부; 및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관한 정보가 상응하는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는 실제 양돈 현장의 실제 구획 영역인 돈사와 돈방에 대응되는 가상의 구획 영역과, 실제 양돈 현장의 돼지 배치 상황에 대응되도록 각 가상의 구획 영역에 개체 이미지가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의 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가상의 구획 영역에 표시되는 개체 이미지는 상응하는 돼지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관리되며,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축사 이동 대상인 돼지에 상응하는 개체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가상의 구획 영역에서 다른 가상의 구획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축사 변동 사항이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사육 데이터가 돼지의 전체 생육 기간 동안의 정보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상응하도록 이동된 실제 구획 영역에 대응되도록 수집된 부가 정보가 상기 사육 데이터에 더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response unit for receiving changes in the pig's livestock according to the user oper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a data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added to the breeding data of the corresponding pig, where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a virtual virtual farm corresponding to a pig house and a pig room that is an actual division area of an actual pig farm. A management screen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environment in which an object image is displayed in each virtual compartment area is displayed to correspond to the compartment area and the pig placement situation at the actual pig site, and the object image displayed in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It is managed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pigs, and the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g, which is the target of moving the livestock at the actual pig farm, is moved from one virtual compartment area to another virtual compartment area by drag and drop method.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information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of the pig, the breeding data is collected so that the breeding data corresponds to the actual partition area mov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breeding house. There is provided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additional information is further added to the breeding data.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은,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포함된 모돈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모돈과 자돈 간의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고,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는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mart farm pi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analysis unit that generates a pedigree tree between sows and piglets with reference to the sow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reeding data of each pig, and interprets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s with reference to the breeding data of the piglets. can

사육 데이터에는 일령별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체온, 체중, 운동량, 사료 종류, 급이 횟수, 급이량 및 급이 시각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요소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석 유닛은 상기 혈통 가계도에 포함된 자돈들 중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대비하여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항목을 고려 요소 항목으로 결정하여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며, 상기 고려 요소 항목과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될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할 수도 있다.Breeding data may include element items for one or more of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body temperature, weight, exercise amount, feed type, number of feedings, feeding amount, and feeding time by age. In this case, the analysis unit is configured to include breeding data of piglets of a first group that satisfy the preset shipment performance criteria among piglets included in the pedigree pedigree and breeding data of piglets of a second group that do not satisfy the preset shipment grade criteria. Analyzes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by determining factor items affecting shipment performance as consideration factor items in preparation for It is also possible to creat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또한, 상기 분석 유닛은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된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출하 성적을 더 참조하여 상기 최적 사육 조건을 갱신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nalysis unit may update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with further reference to breeding data and shipping results of piglets delivered in the future from the sows.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운영 비용이 고정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분석 유닛은 고려 요소 항목들을 파라미터로 가지도록 미리 지정된 목적 함수에서 고정된 운영 비용과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각 고려 요소 항목들의 설정값을 찾도록 미리 규정된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cost at the actual pig farm is set to be fixed, the analysis unit sets the fixed operating cost in the objective function predefined to have the consideration factor items as parameters and the set value of each consideration factor item that satisfies the pre-specified shipment performance criterion Optimal breeding conditions can be created using a predefined machine learning method to find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은, 실제 구획 영역에 배치된 돼지들의 사육 데이터에서 인식된 상태 정보와 실제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을 대비하여 축사 이동 대상인 대상 돼지를 결정하고, 대상 돼지들의 축사 이동에 관한 작업 계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작업 계획 수립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determines the target pig to be moved to the livestock house by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breeding data of the pigs placed in the actual compartment area and the placement standard for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and work plan information regarding the moving of the target pigs to the livestock house. It may further include a work planning unit to generate and provide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스마트팜 양돈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따른 돼지의 축사 변동 사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관한 정보가 상응하는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상응하도록 이동된 실제 구획 영역에 대응되도록 수집된 부가 정보가 상기 사육 데이터에 더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는 실제 양돈 현장의 실제 구획 영역인 돈사와 돈방에 대응되는 가상의 구획 영역과, 실제 양돈 현장의 돼지 배치 상황에 대응되도록 각 가상의 구획 영역에 개체 이미지가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의 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가상의 구획 영역에 표시되는 개체 이미지는 상응하는 돼지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관리되며,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축사 이동 대상인 돼지에 상응하는 개체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가상의 구획 영역에서 다른 가상의 구획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축사 변동 사항이 입력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a smart farm pig farming method, the computer program causing the computer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wherein the steps are performed by a user from a user terminal. receiving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of pigs according to the operation;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added to the breeding data of the corresponding pig; and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add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to correspond to the actual partition area mov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further added to the breeding data, wherein the user terminal includes the actual partition area of the actual pig farm. The management screen of the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the object image is displayed in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pig house and the pig room and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actual pig placement situation at the pig farm is displayed, and the virtual compartment is displayed. The object image displayed in the area is managed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g, and the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g, which is the target of moving the livestock at the actual pig farm, is dragged from one virtual compartment area to another virtual compartment area. There is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which the change of the congratulatory message is input by moving in a drag and drop manner.

스마트팜 양돈 방법은,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포함된 모돈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모돈과 자돈 간의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혈통 가계도에 포함된 자돈들 중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대비하여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항목을 고려 요소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려 요소 항목과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될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육 데이터에는 일령별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체온, 체중, 운동량, 사료 종류, 급이 횟수, 급이량 및 급이 시각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요소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The smart farm pig farming method includes generating a pedigree tree between sows and piglets with reference to sow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breeding data of each pig; Among the piglets included in the pedigree pedigree, the breeding data of piglets of the first group that satisfy the pre-specified shipping performance standard and the breeding data of piglets of the second group that do not meet the pre-specified shipping grade standard are compared to affect the shipment performance. determining a factor item affecting and generating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to be delivered from the sow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the consideration factors and breeding data of the first group of piglets. Here, the breeding data may include element items for one or more of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body temperature, weight, exercise amount, feed type, number of feeding, feeding amount, and feeding time by age.

상기 최적 사육 조건은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된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출하 성적을 더 참조하여 갱신될 수 있다.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may be updated with further reference to breeding data and shipment results of piglets delivered in the future from the sows.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운영 비용이 고정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최적 사육 조건은 고려 요소 항목들을 파라미터로 가지도록 미리 지정된 목적 함수에서 고정된 운영 비용과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각 고려 요소 항목들의 설정값을 찾도록 미리 규정된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When the operating cost at the actual pig farm is set to be fixed,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 is the setting of each consideration factor that satisfies the fixed operating cost and the pre-specified shipment performance criterion in a pre-designated objective function to have the consideration factor items as parameters It can be generated using a predefined machine learning method to find a value.

스마트팜 양돈 방법은, 실제 구획 영역에 배치된 돼지들의 사육 데이터에서 인식된 상태 정보와 실제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을 대비하여 축사 이동 대상인 대상 돼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대상 돼지들의 축사 이동에 관한 작업 계획을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farm pig farming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determining a target pig to be moved to a livestock house by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recognized in the breeding data of pigs placed in the actual compartment area and the placement standard for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And it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generating a work pla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determined target pigs to the user terminal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돼지의 전체 생육 기간 동안 생육 주기별 축사 이동에 관계없이 각 개체의 사육 데이터가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도록 연속적으로 관리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breeding data of each individual is continuously managed to reflect real-time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barn for each growth cycle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of the pig.

또한, 돼지의 사육 축사 변동 사항이 그래픽 사용자 환경(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시각화되어 관리될 수 있고, GUI 환경에서 이동된 개체 이미지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가 해당 돼지 개체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됨으로써 돼지의 축사 이동시에도 개체 데이터가 연속하여 관리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changes in the breeding barn of pigs can be visualized and managed in a drag and drop method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corresponding to the moving position of the moved object image in the GUI environment. Since the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corresponding pig individual and managed, there is an effect of continuously managing the individual data even when the pig moves to the barn.

또한, 모돈과 자돈 간의 혈통 관계 및 자돈의 사육 과정 정보를 토대로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고, 모돈의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자돈의 최적 사육 조건을 도출함으로써, 체계적이며 생산성 높은 양돈 사업이 영위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based on the pedigree relationship between sows and piglets and information on the breeding process of piglets, and deriving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based o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a systematic and highly productive piglet business is conducted. There is an effect.

또한, 최적 사육 조건을 이루는 각 영향 인자들의 우선도를 고려하여 제한된 생산 비용으로도 최적의 사육 환경을 확보하도록 함으로써, 경제성 높은 양돈 사업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considering the priority of each influencing factor constituting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to secure an optimal breeding environment even with limited production costs, there is an effect of enabling a highly economical pig farming business.

또한, 각 실제 구획 영역에 현재 배치된 돼지들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품종, 체중, 일령 등)와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에 참조하여 이동 관리될 대상 돼지를 결정하고, 이동 관리를 위한 작업 계획을 자동 수립하여 양돈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양돈 작업이 효율적으로 실시되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by referring to the status information (eg, breed, weight, age, etc.) of pigs currently placed in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and the placement criteria for each compartment area, the target pig to be moved is determined, and a work plan for movement management It also has the effect of making pig farming work efficiently by automatically establishing and providing pig far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인 구획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사육 축사 변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돼지의 혈통 관리를 통한 최적 사육 조건 도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ierarchical parti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drag and drop breeding bar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lock configuration of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of deriving optimal breeding conditions through lineage management of pi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addition,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he same or related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층적인 구획 영역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사육 축사 변동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hierarchical parti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drag-and-drop breeding barn ch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100)(이하, 양돈 시스템(100)이라 칭함)은 전체 생육 기간(즉, 출생후 출하/도축시까지의 사육 기간) 동안 돼지 개체 각각에 대한 사육 데이터가 연속성을 유지하도록 저장 및 관리한다. 1, the smart farm pig system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ig system 100) is breeding data for each pig individual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that is, the breeding period from birth to shipment / slaughter). Store and manage to maintain continuity.

양돈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유저 단말(150) 및 부가 장치(16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pig farming system 100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50 and the additional device 160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유저 단말(150)은 양돈업자의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아 양돈 시스템(100)으로 제공하고, 양돈 시스템(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한다. 양돈업자 등인 사용자는 예를 들어, 유저 단말(150)을 이용하여 돼지들 각 개체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모돈 번호, 분만일, 산차 등) 입력, GUI 환경에서의 개체 이미지 이동 조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유저 단말(150)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피씨, 컴퓨터 장치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50 receives the user operation of the pig farmer and provides it to the pig farming system 100 , and displays the data provided from the pig farming system 100 on the screen. A user, such as a pig farmer, uses the user terminal 150 to, for example, input information about each individual of pigs (eg, sow number, farrowing date, childbirth, etc.) can be done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of a smartphone, a tablet PC, and a computer device.

부가 장치(160)는 사육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될 부가 정보를 양돈 시스템(100)으로 제공한다. The additional device 160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to be managed by being included in the breeding data to the pig farming system 100 .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돼지 개체들의 사육 환경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온도, 습도, 가스 농도 등), 각 개체의 체중, 체온 등일 수 있다. 부가 장치(160)는 예를 들어, 돼지가 사육되는 구획 영역별(즉, 실제 양돈 현장에 설치된 돈사, 돈방, 돈칸 등의 실제 구획 영역별)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한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온도계와 습도계, 실제 구획 영역 내의 상황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또는/및 열화상 카메라), 실제 구획 영역 내의 악취 가스 농도를 센싱하여 센싱 정보를 생성하는 가스 센서, 돼지 개체의 체중을 측정하는 체중계 등일 수 있다.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breeding environment of pig individuals (eg,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etc.), weight of each individual,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The additional device 160 includes, for example, a thermometer for generating sensing information for sensing temperature and humidity for each compartment area in which pigs are bred (that is, for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such as a pig house, a pig room, and a pig box installed at an actual pig site) and A hygrometer, a camera (or/and a thermal imaging camera) that generates image data that captures the situation in the actual compartment, a gas sensor that generates sensing information by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odor gas in the real compartment, and a pig that measures the weight of a pig It may be a weight scale or the like.

각각의 부가 장치(160)는 예를 들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양돈 시스템(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부가 장치(160)에서 생성된 부가 정보는 후술될 데이터 관리 블록(110)의 정보 수집부(114)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Each of the additional devices 160 may be connected to the pig farming system 100 to operate, for example, in an Internet of Things (IoT) environment, and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device 160 is a data management block to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collected by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4 of 110 .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양돈 시스템(100)은 데이터 관리 블록(110)과 데이터베이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 the pig farming system 100 may include a data management block 110 and a database 130 .

데이터 관리 블록(110)은 유저 대응부(112), 정보 수집부(114), 데이터 갱신부(116) 및 데이터 가공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대응부(112), 정보 수집부(114), 데이터 갱신부(116) 및 데이터 가공부(118) 등의 구성요소는 프로그램 코드들의 조합에 따른 소프트웨어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ata management block 110 may include a user correspondence unit 112 , an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4 , a data update unit 116 , and a data processing unit 118 . Here, components such as the user correspondence unit 112 ,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4 , the data update unit 116 , and the data processing unit 118 may be formed of a softwar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program codes.

정보 수집부(114)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부가 장치(160)로부터 부가 정보를 수집한다. 부가 정보는 예를 들어 돼지 사육을 위한 각 실제 구획 영역의 사육 환경에 관한 정보, 각 돼지의 체중, 체온 등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4 collects additional information from the additional device 160 connected throug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 additional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the breeding environment of each actual compartment for breeding pigs, the weight of each pig,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예를 들어, 부가 장치(160)에 체중계가 포함되는 경우, 돼지의 체중은 체중계에서 측정하여 제공하는 정보가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될 수 있다. 사육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eight scale is included in the additional device 160 , information provided by measuring the weight of a pig by the scale may be included in the breeding data of each pig and managed. Breeding data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130 .

다른 방식으로써, 돼지의 체중, 체온 등은 부가 장치(160)인 열화상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열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산출될 수도 있다. 즉, 양돈 시스템(100)은 부가 장치(160)로부터 제공받은 열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거나, 외곽선 인식을 통한 가축의 형상과 크기에 기반하여 무게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영상 해석부(도시되지 않음)가 데이터 관리 블록(110)에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열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가축의 체온을 측정하거나 외곽선 해석을 통한 가축의 무게를 측정하는 기법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lternatively, the pig's weight, body temperature, etc. may be calculated using thermal image data provided by a thermal imaging camera serving as the additional device 160 . That is, the pig system 100 may measure the body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by analyzing the thermal image data provided from the additional device 160 , or measure the weight based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livestock through outline recognition. For this purpose, an image analysis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data management block 110 . However, since the technique of measuring the body temperature of the livestock by analyzing the thermal image data 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livestock through the outline analysis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유저 대응부(112)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유저 단말(150)을 이용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 The user correspondence unit 112 performs a process according to a user operation using the user terminal 150 conn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유저 단말(150)에는 돼지들의 사육 데이터 관리를 위한 관리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화면은 유저 단말(150)에 미리 설치된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표출되는 실행 화면이거나, 유저 단말(150)이 미리 지정된 웹주소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공받은 웹페이지일 수 있다.A management screen for managing breeding data of pigs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50 . For example, the management screen may be an execution screen in which a program installed in advance in the user terminal 150 is driven and displayed, or a web page provided by the user terminal 150 by accessing a pre-designated web address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양돈업자 등인 사용자는 관리 화면을 이용하여, 돼지 출산 정보(예를 들어, 모돈 식별번호, 산차 정보, 자돈 식별번호 등), 돼지들의 사육에 관한 급이 정보(예를 들어, 사료 종류, 급이 횟수, 일 급이량 등) 등과 같이 양돈 작업 과정에서 발생되는 사육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여 양돈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리 화면은 임의의 돼지 개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리스트 선택 및 정보 입력창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user, such as a pig farmer, uses the management screen to provide pig birth information (eg, sow identification number, fertility information, piglet identification number, etc.), and feeding information (eg, feed type, feed The number of times, daily feed amount, etc.),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pig system 100 by inputting information about breeding generated during the pig working process. To this end, the management scree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ist selection and information input window to input information on any pig entity.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GUI 환경으로 구축된 관리 화면에서 개체 이미지를 드래그앤드롭 방식으로 이동시켜(도 3 참조), 돼지들의 축사 이동에 대한 정보를 관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user can also manage information about pigs moving to the barn by moving the object image in a drag-and-drop manner on the management screen built in the GUI environment (see FIG. 3 ).

데이터 갱신부(116)는 유저 단말(150)에서 제공되는 정보 및 부가 장치(160)에서 생성된 부가 정보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를 갱신 처리한다. The data updater 116 updates the breeding data of each pig stored in the database 130 usin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and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additional device 160 .

예를 들어, 데이터 갱신부(116)는 유저 단말(150)로부터 돼지 출산 정보가 수신되면, 자돈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사육 데이터를 신규 생성하고, 해당 돼지에 관한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사육 데이터를 갱신 처리함으로써, 전체 생육 기간 동안 해당 돼지에 대한 사육 데이터가 연속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처리한다. 사육 데이터에는 후술되는 모돈 식별 번호 등과 같이 혈통 분석을 위한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pig birth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50 , the data update unit 116 newly generates bree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piglet identification number, and every time information about the pig is generated, breeding data is updated. By the update process, it is processed so that the breeding data for the corresponding pig can be continuously managed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Breeding data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for pedigree analysis, such as a sow identification number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데이터 갱신부(116)는 임의의 돼지가 축사 이동되면 축사 변동 사항이 사육 데이터에 반영되도록 처리하고, 이동된 축사에서 사육되는 동안 수집되는 부가 정보(예를 들어, 온도, 습도, 체중 등)와 급이 정보 등이 사육 데이터에 포함되도록 지속적으로 갱신 처리한다. In addition, the data update unit 116 processes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to be reflected in the breeding data when any pig is moved to the livestock, and additional information (eg, temperature, humidity, weight, etc.) collected while breeding in the moved barn ) and feeding information are continuously updated so that they are included in the breeding data.

데이터 가공부(118)는 지속적으로 갱신되어 관리되는 각 돼지들에 대한 사육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 가공 데이터는 예를 들어, 특정 돼지의 성장 추이 정보, 각 구획 영역 내에 배치된 돼지들의 평균 체중 정보, 온도/습도 변화나 사료 종류에 따른 돼지들의 평균 체중 변화 정보 등과 같이 효율적인 양돈 사업 수행을 위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석 기법에 따른 데이터일 수 있다. 데이터 가공부(118)는 필요시되는 가공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data processing unit 118 generates processing data using breeding data for each pig that is continuously updated and managed. Processing data is necessary for efficient pig farming business, such as growth trend information of specific pigs, average weight information of pigs placed in each compartment, and average weight change information of pigs according to temperature/humidity change or feed type It may be data according to various analysis techniques. The data processing unit 118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processing data required, and since it is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돈 시스템(100)은 각 돼지의 전체 생육 기간 동안 생육 주기별 축사 이동에 관계없이 각 개체의 데이터가 실시간 정보를 반영하도록 연속적으로 관리하는 특징을 가진다. 돼지가 출하되면, 사육 데이터는 해당 돼지의 출하 성적 정보와 연동되도록 관리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i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inuously manages the data of each individual to reflect real-time information,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livestock for each growth cycle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of each pig. When a pig is shipped, the breeding data may be managed so as to be linked with the shipment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pig.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양돈 시스템은 사용자가 GUI 환경에서 개체 이미지의 표시 위치 변경만으로도 돼지의 축사 이동에 관한 데이터 변경이 쉽게 완료되어 각 돼지 개체들에 대한 연속적인 데이터 축적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i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llows the user to easily change the data related to the pig's livestock movement only by chang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bject image in the GUI environment, so that continuous data accumulation and management for each pig individual is possible. function is also provided.

이하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돼지의 사육 축사 변동 사항이 GUI 환경에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시각화되어 관리되고, 개체 이미지의 이동 위치에 상응하는 정보가 해당 돼지 개체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관리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00215의 개체 식별번호(320)를 가지는 돼지가 실제 양돈 현장의 원시 돈방으로부터 목적 돈방으로 실제 이동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drawings, changes in the pig breeding house are visualized and managed in a drag and drop method in a GUI environment,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object image is included in the data of the pig object. Describe how to manage it. Howev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s illustrated in FIG. 3 , it is assumed that a pig hav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number 320 of 00215 is actually moved from the original pig room at the actual pig site to the target pig room.

도 2를 참조하면, 양돈업자의 양돈 현장에는 복수의 실제 구획 영역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실제 구획 영역들은 예를 들어 돈사, 돈방, 돈칸 등과 같이 포함 관계를 가지도록 계층화될 수 있다. 실제 양돈 현장에서 돈사(210)와 돈방(220) 등은 각각 하나 이상으로 구획화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돈방(220) 내에는 하나 이상의 돼지가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actual partitioned areas may be installed at a pig farm of a pig producer, and the actual partitioned areas may be layered to have an inclusive relationship such as, for example, a pig house, a pig room, and a pig box. In an actual pig farm, the pig house 210 and the pig room 220 may be installed in one or more compartments, respectively, and one or more pigs may be disposed in the pig room 220 .

유저 단말(150)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GUI 화면은 실제 양돈 현장에 설치된 실제 구획 영역의 수량 및 배치에 대응되는 가상의 구획 화면이 표시된 화면 구성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실제 양돈 현장의 돼지 배치 현황에 부합하도록 가상의 구획 영역 내에는 개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개체 이미지가 어떤 가상의 구획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것인지는 각 돼지 객체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표시된 개체 이미지는 돼지 한마리를 나타낼 수도 있으나, 특정 기준(예를 들어, 품종, 체중 등)에 따라 그룹핑된 복수의 돼지들을 나타낼 수도 있다.The GUI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user terminal 150 may be generated in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a virtual partition screen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and arrangement of an actual partition area installed in an actual pig farming site is displayed. In addition, an object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to match the arrangement of pigs at the actual pig farming site. Here, in which virtual partition area each object image is to be displayed, it may be determined by referring to breed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0 to correspond to each pig object. The displayed individual image may represent a single pig, or may represent a plurality of pigs grouped according to a specific criterion (eg, breed, weight, etc.).

참고로, 돼지는 생육 기간 동안 포유돈(젖먹이 돼지), 자돈(새끼 돼지), 육성돈(중간단계 돼지), 비육돈(성인 돼지) 등 생육주기별 축사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때 비슷한 몸무게를 가진 개체들을 대상으로 하여 축사 이동된다. For reference, during the growing period, pigs move to the barn for each growth cycle, such as lactating pigs, piglets (pigs), growing pigs (intermediate-stage pigs), and finisher pigs (adult pigs). to move the barn.

실제 양돈 현장에서 00215의 개체 식별번호(320)를 가지는 돼지가 원시 돈방으로부터 목적 돈방으로 이동된 경우, 이에 따른 사육 축사 변동 사항이 해당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추가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는 GUI 화면에 표시된 원시 돈방에 상응하는 가상의 구획 영역에 표시된 00215의 개체 식별번호(320)를 가지는 개체 이미지(310)에 마우스 커서(330)를 위치시켜 선택(클릭)한다(도 3의 (a) 참조). 이때, 선택된 개체 이미지(310)에 상응하는 돼지에 대한 상세 정보가 데이터베이스(130)에서 독출되어 상세 정보창(340)에 표시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When a pig having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number 320 of 00215 in an actual pig farm is moved from the original pig room to the target pig room, in order to add the resulting changes to the breeding house to the breeding data of the pig, the user can display the Position and select (click) the mouse cursor 330 on the object image 310 having the object identification number 320 of 00215 displayed in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original pig room (see Fig. 3 (a)). In this case, detailed information on the pig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bject image 310 may be read from the database 130 and may be preset to be displayed on the detailed information window 340 .

사용자는 해당 개체 이미지(310)에 대한 선택 상태를 유지하면서, 개체 이미지(310)를 목적 돈방에 상응하는 가상의 구획 영역으로 끌어 이동시킨다(드래그 앤 드롭).The user drags and moves the object image 310 to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target pig room while maintaining the selected state for the object image 310 (drag and drop).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개체 이미지(310)가 새로운 가상의 구획 영역으로 이동되면, 유저 대응부(112)는 관리 화면 내에서의 각 가상의 구획 영역별 영역 좌표 범위를 참조하여 개체 이미지(310)가 이동된 가상의 구획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When the object image 310 is moved to a new virtual partition area in a drag-and-drop method, the user correspondence unit 112 refers to the area coordinate range for each virtual partition area in the management screen so that the object image 310 is displayed. The moved virtual partition area can be recognized.

도 3에서는 하나의 개체 이미지가 원시 돈방에서 목적 돈방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예시되었으나, 복수의 개체 이미지가 그룹핑되어 함께 선택됨으로써 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한번에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신규로 출생한 돼지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포유돈을 임의의 가상의 구획 영역(예를 들어, 포유돈사) 내에 배치시키는 과정도 전술한 개체 이미지의 이동 방식으로 실시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In FIG. 3 , a case in which one object image is moved from the original pig room to the target pig room is exemplified, but it is natural that a plurality of object images may be grouped and selected together so that they can be moved at once by a drag and drop method. In addition, when there is a newly born pig, the process of arranging the swine in an arbitrary virtual compartment (eg, a swine house)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manner of moving the individual image described above.

유저 대응부(112)가 이동된 구획 영역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 갱신부(116)로 제공하면, 데이터 갱신부(116)는 해당 개체 이미지(310)에 대응되는 돼지가 목적 돈방으로 이동되었음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이동 일자, 이동된 구획 영역 정보 등)를 레코드로 생성하고, 해당 돼지에 상응하는 사육 데이터에 추가함으로써 사육 데이터를 갱신한다. When the user correspondence unit 112 provides information on the moved section area to the data update unit 116, the data update unit 116 relates to the pig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mage 310 being moved to the target pig room. Breeding data is updated by creating information (eg, moving date, moved compartment area information, etc.) as a record and adding it to the breed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pig.

이와 같이, 실제의 양돈 현장에서 돼지의 축사 이동이 이루어졌거나 예정된 경우, 사용자가 돼지의 사육 축사 변동 사항에 대해 개별적인 데이터 수정 및 입력의 필요없이, GUI 환경에서 개체 이미지의 표시 위치 이동 처리만으로 사육 축사 변동 사항의 반영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when pigs are moved or scheduled at the actual pig farm, the user does not need to edit and input individual data for changes in the pig breeding house, but only by process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bject image in the GUI environment.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mplete the reflection of changes.

사육 축사 변동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해당 돼지에 상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사육 데이터는 이동된 실제 구획 영역에 상응하는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갱신 처리될 것이며, 이러한 처리는 생육 기간 내내 반복될 것이다. 이를 통해, 사육되는 돼지들 각각에 대해 전체 생육 기간 동안, 사육 축사 변동에 관계없이 사육 데이터가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Even if the breeding barn is changed, breed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130 to correspond to the pig will be continuously updated us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d actual compartment area, and this processing will be repeated throughout the growing period. will be. Through this, the breeding data can be stored and managed so that continuity is maintained for each of the breeding pigs, regardless of changes in breeding pens,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돼지의 혈통 관리를 통한 최적 사육 조건 도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lock configuration of 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eriving optimal breeding conditions through lineage management of pig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wing fo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데이터 관리 블록(110)의 데이터 가공부(118)는 가공 처리 유닛(410), 분석 유닛(420) 및 작업 계획 수립 유닛(430)을 포함할 수 있다. 4 and 5 , the data processing unit 118 of the data management block 110 may include a processing processing unit 410 , an analysis unit 420 , and a work planning unit 430 .

가공 처리 유닛(410)은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되어 전체 생육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갱신되도록 관리되는 각 돼지들에 대한 사육 데이터를 이용하여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processing unit 410 generates processing data using breeding data for each pig that is stored in the database 130 and managed to be continuously updated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분석 유닛(420)은 모돈과 자돈 간의 혈통 관계 및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토대로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고, 모돈의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자돈의 최적 사육 조건을 도출한다. 분석 유닛(420)은 혈통 분석 모듈(422) 및 최적화 모듈(42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nalysis unit 420 interprets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 based on the pedigree relationship between the sow and the piglet and the breeding data of the piglets, and derives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the piglets based o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 The analysis unit 420 may include a pedigree analysis module 422 and an optimization module 424 .

혈통 분석 모듈(422)은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된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돈과 자돈간의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고, 자돈들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한다. The pedigree analysis module 422 creates a pedigree pedigree between sows and piglets with reference to the breeding data of each pig stored in the database 130 , and interprets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s with reference to the breeding data of the piglets.

사육 데이터에는 자돈들 각각의 전체 생육 기간 동안 축적된 데이터들이 존재한다. 사육 데이터에는 예를 들어 일령별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체온, 체중, 운동량, 사료 종류, 급이 횟수, 급이량, 급이 시각 등에 대한 다양한 요소 항목(즉, 영향 인자 항목)의 데이터가 누적될 수 있다. The breeding data includes data accumulated during the entire growth period of each piglet. Breeding data includes, for example, data of various element items (i.e., influencing factor items) for each age,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body temperature, weight, exercise amount, feed type, number of feeding, amount of feeding, feeding time, etc. can be accumulated.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 혈통 분석 모듈(422)은 자돈들 중 미리 지정된 수량으로 가장 높은 출하 성적(예를 들어, 육질 등급, 규격등급 등)을 가지는 자돈들의 사육 데이터들을 추출한 후, 그 이외의 자돈들의 사육 데이터들과 대비하여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항목들을 결정할 수 있고, 각 요소 항목들 간의 우선도를 결정할 수도 있다.In order to analyze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the pedigree analysis module 422 extracts breeding data of piglets having the highest shipment performance (eg, meat quality, standard grade, etc.) in a predetermined quantity among piglets, and then the In comparison with the breeding data of other pigle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shipment performance,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priority between each element.

예를 들어, 혈통 분석 모듈(422)은 클러스터링(clustering) 기계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자돈들의 사육 데이터의 요소 항목의 데이터들을 분산시켰을 때, 높은 출하 성적을 나타내는 자돈들의 요소 항목의 데이터들만으로 차별화되는 군집이 형성되는 요소 항목이 존재하면 해당 요소 항목이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고려 요소 항목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차별화되는 이격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고려 요소 항목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도를 부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모돈을 공통으로 하는 다수의 자돈들의 사육 데이터를 대비하여 높은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항목을 검출하도록 하는 기계 학습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when the pedigree analysis module 422 uses a cluster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to distribute the data of the element items of the breeding data of piglets, it is differentiated only with the data of the element items of piglets showing high shipment results. If a grouping element item exist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element item is a factor to be considered that affects shipment performance. In this case, a relatively high priority may be given to a consideration factor item having a relatively large degree of differentiated separation. Of course, in addition to this, the machine learning method for detecting element items affecting high shipment performance in preparation for breeding data of a large number of piglets having a common sow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혈통 분석 모듈(422)은 전술한 모돈의 유전 특성과 출하 성적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통해, 출하 성적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고려 요소 항목을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정보는 해당 모돈의 유전 특성 정보로 데이터베이스(13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pedigree analysis module 422 may derive a consideration factor item that has a relatively large influence on the shipment performance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 and the shipment performance described above, and the derived information is the genetic characteristic of the sow. It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30 as information.

최적화 모듈(424)은 각 모돈에 대한 유전 특성 정보를 참조하여 각 모돈에서 분만된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한다. The optimization module 424 generates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delivered from each sow with reference to genetic characteristic information for each sow.

최적 사육 조건은 예를 들어 높은 출하 성적을 나타낸 자돈들의 데이터가 고려 요소 항목에 대한 설정값으로 설정되도록 하는 방식 등으로 생성하도록 미리 규정될 수 있다.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may be predefined to generate, for example, in such a way that the data of piglets showing high shipping performance are set as set values for consideration factors.

최적 사육 조건은 모돈의 유전 특성에 부합하도록 생성되기 때문에, 각 모돈별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돈 A의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은 일령 30일부터 50일까지 온도 23도, 급이 시간 오전 10시로 설정하는 것이지만, 모돈 B의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은 일령 20일부터 40일까지 온도 25도, 급이 시간 오전 8시로 설정하는 것으로, 서로 상이할 수 있다.Sinc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are created to match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they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sow. For example,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of sow A are to set the temperature at 23 degrees Celsius and feeding time at 10 am from 30 to 50 days of age, but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of sow B are from 20 to 40 days of age. By setting the temperature to 25 degrees until the day and feeding time at 8 am, they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양돈업자는 모돈을 기준으로 생성된 최적 사육 조건에 기초하여 동일/유사한 최적 사육 조건을 가지는 돼지들을 동일한 구획 영역에 배치시켜 사육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ig producer will be able to rearrange pigs having the same/similar optimal breeding conditions in the same compartment based on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generated based on the sow.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하된 자돈들의 출하 성적 및 사육 데이터를 토대로 모돈의 유전 특성이 해석될 수 있고, 해석된 유전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최적 사육 조건은 해당 모돈이 향후 분만하는 자돈들의 사육을 위해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5 ,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s can be interpreted based on the shipping results and breeding data of the shipped piglets, and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determined based on the analyzed genetic characteristics are breeding of piglets that the piglets give birth in the future. can be used for

이후, 최적 사육 조건에 의해 사육된 자돈들이 출하되면, 출하된 자돈들에 대한 출하 성적과 사육 데이터를 더 고려하여 해당 모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은 지속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Thereafter, when piglets raised under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are shipped,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the sows may be continuously updated by further considering the shipment results and breeding data for the shipped piglets.

또한, 최적화 모듈(424)은 사용자가 돼지 사육에 관한 운영 비용을 한정한 경우, 미리 지정된 기계 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한정된 운영 비용에서의 최적 사육 조건을 도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최적화 모듈(424)은 고려 요소 항목들을 파라미터로 가지는 미리 지정된 목적 함수에서 한정된 운영 비용과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최적의 고려 요소 항목별 설정값을 도출하는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limits the operating cost of pig breeding, the optimization module 424 may derive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 at the limited operating cost by using a pre-specified machine learning technique. For example, the optimization module 424 may use a machine learning method for deriving an optimal setting value for each item of the consideration factor that satisfies the limited operating cost and shipment performance criteria in a predetermined objective function having the factor items to be considered as parameters. will be.

이와 같이, 분석 유닛(420)은 모돈의 유전 특성을 고려하여 자돈의 사육을 위한 최적의 후천적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계적이며 생산성 높은 양돈 사업이 영위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효과적인 농장 경영 전략을 수립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analysis unit 420 can provide an optimal acquired environment for breeding piglets in consideration of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 so that a systematic and productive piggy business can be run, and also an effective farm management strategy There are advantages that can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작업 계획 수립 유닛(430)은 양돈 현장의 각 실제 구획 영역에 배치된 돼지들의 사육 데이터에서 인식된 상태 정보(예를 들어, 체중)와 실제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을 대비하여 축사 이동될 대상 돼지를 결정하고, 축사 이동에 관한 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유저 단말(150)로 제공한다. The work planning unit 430 compares the status information (eg, weight) recognized in the breeding data of pigs arranged in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of the pig farming site and the placement standard for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to the target pig to be moved to the livestock house. Determined, establish a work plan for moving the livestock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50 .

일반적으로 돼지는 서열동물이므로, 동일한 구획 영역 내에 몸무게 차이가 나는 돼지들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 작은 개체는 사료를 먹지 못해 성장이 제약된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비슷한 크기의 개체들이 동일한 구획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하는 축사 이동이 자주 실시되지만, 양돈업자가 각 구획 영역을 대상으로 축사 이동될 대상 돼지를 매번 결정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작업이다. In general, pigs are high-ranking animals, so when pigs with different weights are mixed in the same compartment, small individuals cannot eat feed and growth is restricted. 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livestock movements are frequently carried out so that individuals of similar sizes are placed in the same compartment area, but it is a very cumbersome task for a pig farmer to determine the target pigs to be moved to each compartment for each compartment area each time.

이러한 번거로움을 제거하기 위해, 작업 계획 수립 유닛(430)은 부가 장치(160)에서 수집된 부가 정보를 이용하여 획득된 각 돼지의 체중과 각 구획 영역의 체중 기준 범위를 대비하여 저체중인 돼지와 고체중인 돼지를 각각 상응하는 구획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양돈업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각 구획 영역별로 배치될 돼지의 체중 기준 범위 등과 같은 배치 기준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In order to eliminate this inconvenience, the work planning unit 430 compares the weight of each pig obtained by using the add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attachment device 160 and the weight reference range of each compartment to compare the weight of each pig with the underweight pig. A work plan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the pig producers to move the solid pigs to their respective compartments. To this end, placement criteria such as a weight reference range of pigs to be arranged for each compartment area may be preset.

이외에도, 작업 계획 수립 유닛(430)은 유저 단말(150)에 대해 각 구획 영역에 대한 급이 시간, 청소 시간 등에 대한 알람 처리와, 각 구획 영역별 사료 종류, 급이량, 설정될 온도 및 습도 등에 관한 사육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work plan establishment unit 430 performs alarm processing for the feeding time, cleaning time, etc. for each compartment area for the user terminal 150, and the type of feed for each compartment area, the amount of feed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to be se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further breeding information on the like.

상술한 스마트팜 양돈 방법은 영상 처리 장치 등의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 등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mart farm pig farming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an application, etc. embedded in a digital processing device such as a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ay be performed as an automated procedure according to a time-series sequenc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or the like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art. In addition,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a (computer readable media), is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changed.

100 :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110 : 데이터 관리 블록
112 : 유저 대응부 114 : 정보 수집부
116 : 데이터 갱신부 118 : 데이터 가공부
130 : 데이터베이스 150 : 유저 단말
160 : 부가 장치 210 : 돈사
220 : 돈방 310 : 개체 이미지
320 : 개체 식별번호 330 : 마우스 커서
410 : 가공 처리 유닛 420 : 분석 유닛
422 : 혈통 분석 모듈 424 : 최적화 모듈
430 : 작업 계획 수립 유닛
100: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110: data management block
112: user response unit 114: information collection unit
116: data update unit 118: data processing unit
130: database 150: user terminal
160: additional device 210: pig house
220: money room 310: object image
320: object identification number 330: mouse cursor
410: processing unit 420: analysis unit
422: lineage analysis module 424: optimization module
430: work planning unit

Claims (11)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따른 돼지의 축사 변동 사항을 제공받는 유저 대응부; 및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관한 정보가 상응하는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데이터 갱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는 실제 양돈 현장의 실제 구획 영역인 돈사와 돈방에 대응되는 가상의 구획 영역과, 실제 양돈 현장의 돼지 배치 상황에 대응되도록 각 가상의 구획 영역에 개체 이미지가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의 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가상의 구획 영역에 표시되는 개체 이미지는 상응하는 돼지의 식별정보에 대응되도록 관리되며,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축사 이동 대상인 돼지에 상응하는 개체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가상의 구획 영역에서 다른 가상의 구획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축사 변동 사항이 입력되고,
상기 데이터 갱신부는 상기 사육 데이터가 돼지의 전체 생육 기간 동안의 정보 연속성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상응하도록 이동된 실제 구획 영역에 대응되도록 수집된 부가 정보가 상기 사육 데이터에 더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a user response unit receiving changes in the pig's livestock house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from the user terminal; and
Comprising a data update unit for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added to the breeding data of the corresponding pig,
In the user terminal, a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ing to a pig house and a pig room, which is an actual division area of the actual pig site, and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n which an object image is displayed in each virtual compartment area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situation of pigs at the actual pig site The environment's management screen is displayed,
The object image displayed in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is managed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g, and the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g, which is the target of moving the livestock at the actual pig farm, is displayed in one virtual compartment area in another virtual compartment area. The changes in the barn are input by moving them in a drag and drop method,
In order for the data update uni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information for the entire breeding period of the pig, add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to correspond to the actual division area mov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further added to the breeding data.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updating the breeding data.
제1항에 있어서,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포함된 모돈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모돈과 자돈 간의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고,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는 분석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Smart farm piggy system, further comprising an analysis unit for generating a pedigree tree between sows and piglets with reference to the sow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breeding data of each pig, and interpreting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the sows with reference to the breeding data of the piglets.
제2항에 있어서,
사육 데이터에는 일령별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체온, 체중, 운동량, 사료 종류, 급이 횟수, 급이량 및 급이 시각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요소 항목이 포함되고,
상기 분석 유닛은 상기 혈통 가계도에 포함된 자돈들 중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대비하여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항목을 고려 요소 항목으로 결정하여 모돈의 유전 특성을 해석하며, 상기 고려 요소 항목과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될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Breeding data includes element items for at least one of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body temperature, body weight, exercise amount, feed type, number of feedings, feeding amount and feeding time by age,
The analysis unit compares breeding data of piglets of a first group that satisfy a preset shipment performance criterion among piglets included in the pedigree pedigree and breeding data of piglets of a second group that do not satisfy a predetermined shipment grade criterion, The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ws are analyzed by determining factor items that affect shipment performance as consideration factors, and optimal breeding for piglets to be delivered from the sow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the consideration factor item and the breeding data of the first group of piglets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reates condition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유닛은,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된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출하 성적을 더 참조하여 상기 최적 사육 조건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analysis unit, smart farm pigle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updating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s with further reference to breeding data and shipment results of piglets delivered from the sow in the future.
제3항에 있어서,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운영 비용이 고정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분석 유닛은 고려 요소 항목들을 파라미터로 가지도록 미리 지정된 목적 함수에서 고정된 운영 비용과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각 고려 요소 항목들의 설정값을 찾도록 미리 규정된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operating cost at the actual pig farm is set to be fixed, the analysis unit sets the fixed operating cost in the objective function predefined to have the consideration factor items as parameters and the set value of each consideration factor item that satisfies the pre-specified shipment performance criterion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reates optimal breeding conditions using a predefined machine learning method to find
제1항에 있어서,
실제 구획 영역에 배치된 돼지들의 사육 데이터에서 인식된 상태 정보와 실제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을 대비하여 축사 이동 대상인 대상 돼지를 결정하고, 대상 돼지들의 축사 이동에 관한 작업 계획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작업 계획 수립 유닛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팜 양돈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By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breeding data of pigs arranged in the actual compartment area and the placement standard for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the target pig to be moved is determined, and work plan information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target pigs is generated to the user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work planning unit to provide for, smart farm pig farming system.
스마트팜 양돈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유저 단말로부터 사용자 조작에 따른 돼지의 축사 변동 사항을 제공받는 단계;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관한 정보가 상응하는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축사 변동 사항에 상응하도록 이동된 실제 구획 영역에 대응되도록 수집된 부가 정보가 상기 사육 데이터에 더 추가되도록 상기 사육 데이터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유저 단말에는 실제 양돈 현장의 실제 구획 영역인 돈사와 돈방에 대응되는 가상의 구획 영역과, 실제 양돈 현장의 돼지 배치 상황에 대응되도록 각 가상의 구획 영역에 개체 이미지가 표시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의 관리 화면이 표시되고,
가상의 구획 영역에 표시되는 개체 이미지는 상응하는 돼지의 식별 정보에 대응되도록 관리되며,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축사 이동 대상인 돼지에 상응하는 개체 이미지를 어느 하나의 가상의 구획 영역에서 다른 가상의 구획 영역으로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축사 변동 사항이 입력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a smart farm pig farming method, the computer program causing the computer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the steps comprising:
receiving, from a user terminal, changes to the pig's livestock according to the user's operation;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added to the breeding data of the corresponding pig; and
Updating the breeding data so that additional information collected to correspond to the actual division area moved to correspond to the changes in the livestock house is further added to the breeding data,
In the user terminal, a virtual compartment area corresponding to a pig house and a pig room, which is an actual division area of the actual pig site, and a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in which an object image is displayed in each virtual compartment area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situation of pigs at the actual pig site The environment's management screen is displayed,
The object image displayed in the virtual compartment area is managed to correspond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g, and the objec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g, which is the target of moving the livestock at the actual pig farm, is displayed in one virtual compartment area in another virtual compartment area.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which the change of the congratulatory speech is input by moving it in a drag and drop manner.
제7항에 있어서,
각 돼지의 사육 데이터에 포함된 모돈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모돈과 자돈 간의 혈통 가계도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혈통 가계도에 포함된 자돈들 중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지 않는 제2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대비하여 출하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항목을 고려 요소 항목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려 요소 항목과 제1 그룹의 자돈의 사육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될 자돈에 대한 최적 사육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사육 데이터에는 일령별 온도, 습도, 가스 농도, 체온, 체중, 운동량, 사료 종류, 급이 횟수, 급이량 및 급이 시각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요소 항목이 포함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The method of claim 7,
generating a pedigree tree between sows and piglets by referring to sow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breeding data of each pig;
Among the piglets included in the pedigree pedigree, the breeding data of piglets of the first group that satisfy the pre-specified shipping performance standard and the breeding data of piglets of the second group that do not meet the pre-specified shipping grade standard are compared to affect the shipment performance. determining a factor item affecting an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optimal breeding conditions for piglets to be delivered from the sow in the future by referring to the consideration factor items and breeding data of the first group of piglets,
The breeding data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which includes element items for one or more of temperature, humidity, gas concentration, body temperature, body weight, exercise amount, feed type, number of feedings, feeding amount and feeding time by age. computer progra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 사육 조건은 상기 모돈에게서 향후 분만된 자돈의 사육 데이터와 출하 성적을 더 참조하여 갱신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 is updated with further reference to breeding data and shipment results of piglets delivered in the future from the sow,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제8항에 있어서,
실제 양돈 현장에서의 운영 비용이 고정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최적 사육 조건은 고려 요소 항목들을 파라미터로 가지도록 미리 지정된 목적 함수에서 고정된 운영 비용과 미리 지정된 출하 성적 기준을 만족하는 각 고려 요소 항목들의 설정값을 찾도록 미리 규정된 기계 학습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9. The method of claim 8,
When the operating cost at the actual pig farm is set to be fixed, the optimal breeding condition is the setting of each consideration factor that satisfies the fixed operating cost and the pre-specified shipment performance criterion in a pre-designated objective function to have the consideration factor items as parameters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reated using a predefined machine learning method to find a value.
제7항에 있어서,
실제 구획 영역에 배치된 돼지들의 사육 데이터에서 인식된 상태 정보와 실제 구획 영역별 배치 기준을 대비하여 축사 이동 대상인 대상 돼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대상 돼지들의 축사 이동에 관한 작업 계획을 생성하여 상기 유저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8. The method of claim 7,
determining the target pig to be moved to the livestock house by comparing the status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breeding data of the pigs arranged in the actual compartment area and the placement standard for each actual compartment area; an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a work plan for the determined target pigs moving to the barn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KR1020200029823A 2020-03-10 2020-03-10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KR20210114289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23A KR20210114289A (en) 2020-03-10 2020-03-10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KR1020210142802A KR20210133188A (en) 2020-03-10 2021-10-25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823A KR20210114289A (en) 2020-03-10 2020-03-10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802A Division KR20210133188A (en) 2020-03-10 2021-10-25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89A true KR20210114289A (en) 2021-09-23

Family

ID=779264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823A KR20210114289A (en) 2020-03-10 2020-03-10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KR1020210142802A KR20210133188A (en) 2020-03-10 2021-10-25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802A KR20210133188A (en) 2020-03-10 2021-10-25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4289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1605A (en) * 2023-09-26 2023-12-22 北京中育种猪有限责任公司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monitoring weight of bred pigs
CN117437095A (en) * 2023-10-08 2024-01-23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Skill assess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rtual pig raising
CN117934195A (en) * 2024-03-19 2024-04-26 华中农业大学 Live pig global digital intelligent breeding system
CN117437095B (en) * 2023-10-08 2024-06-04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Skill assess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rtual pig rais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936A (en) 2015-08-18 2017-03-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nimal management server and animal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014353B1 (en) 2018-12-11 2019-08-26 에이비주식회사 Smart farm livestock management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936A (en) 2015-08-18 2017-03-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Animal management server and animal management method thereof
KR102014353B1 (en) 2018-12-11 2019-08-26 에이비주식회사 Smart farm livestock management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71605A (en) * 2023-09-26 2023-12-22 北京中育种猪有限责任公司 Method, system, terminal and storage medium for monitoring weight of bred pigs
CN117437095A (en) * 2023-10-08 2024-01-23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Skill assess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rtual pig raising
CN117437095B (en) * 2023-10-08 2024-06-04 厦门农芯数字科技有限公司 Skill assess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based on virtual pig raising
CN117934195A (en) * 2024-03-19 2024-04-26 华中农业大学 Live pig global digital intelligent breeding system
CN117934195B (en) * 2024-03-19 2024-06-07 华中农业大学 Live pig global digital intelligent bree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188A (en)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lvarez et al. Capturing farm diversity with hypothesis-based typologies: An innovativ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farming system typology development
US20230153693A1 (en) Livestock and feedlot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using uhf-band interrogation o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s for feedlot arrival and risk assessment
da Rosa Righi et al. Towards combining data prediction and internet of things to manage milk production on dairy cows
JP5464619B2 (en) Livestock management system
EP4102441A1 (en)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livestock raising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Martin et al. Robots and transformations of work in farm: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research agenda
JP6551943B2 (en) Growth management device, growth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US20230419421A1 (en) Genomic technologies for agriculture produc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US11568530B2 (en) System and method to analyse an animal's image for market value determination
US202001965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imal feed
Emam et al. Economics of egg poultry production in Khartoum State with emphasis on the open-system-Sudan
Menendez III et al. ASAS–NANP Symposium: Mathematical Modeling in Animal Nutrition: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of confined and extensive precision livestock production
KR20210133188A (en) Smart farm pig-raising system and method
WO2021081428A1 (en) Agricultural systems and platforms
Andrieu et al. Simulation of forage management strategies considering farm-level land diversity: example of dairy farms in the Auvergne
KR20200057440A (en) Shipment forecasting system based on swine growth condition platform, and method thereof
Küster et al. Automatic behavior and posture detection of sows in loose farrowing pens based on 2D-video images
Keates The Design and Validation of a Process Data Analytics Methodology for Improving Meat and Livestock Value Chains.
Mollo et al. Precision livestock tools to improve products and processes in broiler production: a review
KR102067068B1 (en) Administration system for diary of livestock pens using the diary images
CN114746889A (en) Anim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im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nim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animal product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Krpalkova et al. Decision-Making Strategies on Smart Dairy Farms: A Review
Sugiharti et al. Online information system for data collection of cattle quality
JP7251861B1 (en) Livestock meat quality management device, livestock meat quality management system, livestock meat quality management method, and livestock meat quality management program
Agrusti Big Data approaches as a support for precision livestock farm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939;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1119

Effective date: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