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891A -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2891A KR20210112891A KR1020200028500A KR20200028500A KR20210112891A KR 20210112891 A KR20210112891 A KR 20210112891A KR 1020200028500 A KR1020200028500 A KR 1020200028500A KR 20200028500 A KR20200028500 A KR 20200028500A KR 20210112891 A KR20210112891 A KR 202101128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ice waveform
- user
- evaluating
- amplitude
- vo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136 deep learning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358 ge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서비스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0: 서비스 서버 40: 데이터베이스
Claims (14)
- 사용자 단말로부터 말하기 지문에 대한 사용자 음성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음성에서 음성 파형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에서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말하기 지문에 대한 미리 저장된 원어민의 음성 파형에서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등급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의 평가 결과와 상기 사용자 등급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단어(word) 매핑 및 문장(sentence) 매핑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단어(word) 매핑 및 문장(sentence) 매핑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워드 매핑에서 사라지는 단어를 기준으로 연음 처리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의 연음 처리와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연음 처리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의 끊어 읽기와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끊어 읽기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진폭 값이 사리지는 시간을 기준으로 끊어 읽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발음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의 단어 억양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단어 억양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억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의 문장 억양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문장 억양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억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말하기 지문의 쉼표와 접속어 주변 단어의 진폭 값들의 추세를 기준으로 단어 억양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억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말하기 지문의 문장 마지막 단어의 진폭 값들의 추세를 기준으로 문장 억양을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억양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의 단어 강세, 문장 강세와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의 단어, 문장 강세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강세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말하기 지문의 단어 별 진폭의 피크 값이 존재하는 상대적 시간을 기준으로 단어 강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강세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파형의 진폭의 피크 값을 가지는 시간 값들을 기준으로, 상기 사용자의 음성 파형과 상기 원어민의 음성 파형을 매핑(mapping)하여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말하기 지문의 문장 내 단어들 중 진폭의 최대 피크 값이 포함된 단어를 기준으로 문장 강세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강세를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500A KR102361102B1 (ko) | 2020-03-06 | 2020-03-06 |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8500A KR102361102B1 (ko) | 2020-03-06 | 2020-03-06 |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891A true KR20210112891A (ko) | 2021-09-15 |
KR102361102B1 KR102361102B1 (ko) | 2022-02-09 |
Family
ID=7779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8500A Active KR102361102B1 (ko) | 2020-03-06 | 2020-03-06 |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1102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8292A (ko) * | 2012-11-22 | 2014-06-09 | (주)케이믹글로벌 | 말소리 유창성 향상을 위한 훈련 학습 시스템 |
KR20140079677A (ko) * | 2012-12-19 | 2014-06-27 | 주홍찬 |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연음 학습장치 및 방법 |
KR101487006B1 (ko) * | 2013-11-13 | 2015-01-29 | (주)위버스마인드 | 연음법칙이 적용되는 발음의 발음교정을 실시하는 외국어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
-
2020
- 2020-03-06 KR KR1020200028500A patent/KR10236110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8292A (ko) * | 2012-11-22 | 2014-06-09 | (주)케이믹글로벌 | 말소리 유창성 향상을 위한 훈련 학습 시스템 |
KR20140079677A (ko) * | 2012-12-19 | 2014-06-27 | 주홍찬 | 언어 데이터 및 원어민의 발음 데이터를 이용한 연음 학습장치 및 방법 |
KR101487006B1 (ko) * | 2013-11-13 | 2015-01-29 | (주)위버스마인드 | 연음법칙이 적용되는 발음의 발음교정을 실시하는 외국어 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1102B1 (ko) | 2022-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478578B2 (en) | Mobile speech-to-speech interpretation system | |
US11145222B2 (en) | Language learning system, language learning support server,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US9613140B2 (en) | Real-time audio dictionary updating system | |
US2024029675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language skill assessment and development using avatars | |
KR102337754B1 (ko) | 평가 함수를 적용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
CN109784128A (zh) | 具有文本及语音处理功能的混合现实智能眼镜 | |
KR102410110B1 (ko) | 한국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 |
WO2021159734A1 (zh) |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 |
JP6625772B2 (ja) | 検索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 |
KR102196917B1 (ko) | 영어 말하기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
KR101637975B1 (ko) | 말하기 자동평가 시스템, 그 방법 및 장치 | |
KR20200000215A (ko) | 스피치 코칭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102312993B1 (ko)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대화형 메시지 구현 방법 및 그 장치 | |
KR20200113675A (ko) | 대사를 캐릭터별 상이한 목소리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웹툰 동영상 생성 방법 | |
KR20130052800A (ko) | 음성 인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의 오류 발음 검출 능력 향상을 위한 음성 인식 방법 | |
KR102361102B1 (ko) | 음성 파형을 기초로 한 영어 말하기 평가 방법 | |
KR20220140304A (ko) | 학습자의 음성 명령을 인식하는 화상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5206342A (zh) |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 |
WO2020149621A1 (ko) | 영어 말하기 평가 시스템 및 방법 | |
Seymour et al. | Your voice is my passport | |
CN111091821B (zh) | 一种基于语音识别的控制方法及终端设备 | |
KR20120042490A (ko) | 어학 발음 평가 시스템 및 평가 방법 | |
KR102220926B1 (ko) | 영어 문장 생성 시스템 및 방법 | |
KR20200108261A (ko) | 음성 인식 수정 시스템 | |
KR20190102484A (ko) | 음성 인식 수정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