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760A - Refrigerator for drinks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for drin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760A
KR20210112760A KR1020200028203A KR20200028203A KR20210112760A KR 20210112760 A KR20210112760 A KR 20210112760A KR 1020200028203 A KR1020200028203 A KR 1020200028203A KR 20200028203 A KR20200028203 A KR 20200028203A KR 20210112760 A KR20210112760 A KR 20210112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beverage
cover assembly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대웅
양희수
오민규
이수영
김자연
최화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2760A/en
Priority to CN202180014853.9A priority patent/CN115103989A/en
Priority to PCT/KR2021/001919 priority patent/WO2021177627A1/en
Priority to EP21764401.2A priority patent/EP4116656A1/en
Priority to US17/193,735 priority patent/US20210278111A1/en
Publication of KR20210112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7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F25D31/007Bottles or c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25D2201/10Insulation with respect to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refrigerator. The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es a cabinet (10) including a storage chamber (32) provided therein and accommodating beverage containers (B), wherein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32) is exposed through an opening hole (22) opened upward, and the beverage containers (B) are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hole (22) to stand in the storage chamber (32). A support (33)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32) toward the opening hole (22),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thereof toward the opening hole (22) is controlled as the support (33) is lifted or lowered. A cover assembly (90) wraps around and fixes an entrance (Ba) of the beverage containers (B), and the cover assembly (90) is caught and fixed by an upper cover (20) of the cabinet (10) to block the opening hole (22), sealing the storage chamber (32). In this situation, a fixing structure composed of the support (33) and the cover assembly (90) enables beverage containers (B) of various sizes to be fixed at a certain height.

Description

음료용 냉장고{Refrigerator for drinks}Refrigerator for drinks

본 발명은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에 담긴 음료를 냉각하기 위한 음료용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verage refrigerator for cooling bottled beverages.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that is shielded by a door. To this end, the refrigerator is configured so that the stored food can be stored in an optimal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generated through heat exchange with a refrigerant circulating in the refrigeration cycle.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특히, 와인, 샴페인과 같은 주류의 소비와 기호가 증대됨에 따라 주류의 종류에 따라 저장에 적합한 냉장고와, 김치와 같은 숙성식품을 장시간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 등이 개발되고 있다.Recently, refrigerators are becoming more multifunctional according to changes in eating habits and the trend of luxury products, and refrigerators with various structures and convenient devices that allow users to conveniently use the interior space and efficiently use the interior space are being released. In particular, as consumption and preference for alcoholic beverages such as wine and champagne increase, refrigerators suitable for storage and refrigerators for storing aged foods such as kimchi for a long time have been developed depending on the type of alcoholic beverages.

이 중에서 와인 등 음료를 보관할 수 있는 와인냉장고는 최근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26606와,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80906에는 이러한 와인냉장고가 공개되어 있다.Among them, wine refrigerators that can store beverages such as wine are recently in increasing demand among the general public. Korean Patent No. 10-0526606 and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20-0380906 disclose such a wine refrigerator.

이러한 종래의 와인냉장고 중에는 와인병을 높이 방향으로 세워서 보관하고, 보관된 와인병에서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 형태의 기술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82732에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와인병들의 입구를 동일한 높이로 조절하기 위해서 디스펜서의 내부에 승강유닛을 설치한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승강유닛은 내부에 모터나 유압실린더와 같은 구동수단이 필요하고, 구조가 복잡한 단점이 있다. Among these conventional wine refrigerators, there is a dispenser type technology for storing wine bottles in a height direction and taking out wine from the stored wine bottles.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8273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lifting unit is installed inside the dispenser to adjust the inlets of wine bottles having different heights to the same height. However, such a lifting unit requires a driving means such as a motor or a hydraulic cylinder therein, and has a complex structure.

또한, 디스펜서(냉장고)의 도어를 전면으로 개방하고, 와인병을 내부에 수납해야 하는데, 이렇게 도어를 개방하는 순간 외부의 따뜻한 공기가 냉장고의 전면전체를 통해서 저장실로 유입되어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특히, 와인을 취출하기 위한 토출관도 도어 안쪽에 위치하므로, 사용자는 와인을 취출할 때마다 전면도어를 열어야 한다. 따라서, 와인냉장고의 냉각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In addition, the door of the dispenser (refrigerator) should be opened to the front and the wine bottle should be stored inside. At the moment of opening the door in this way, warm air from the outside flows into the storage room through the entire front of the refrigerator and increases the temperature. In particular, since the discharge pipe for taking out the wine is also located inside the door, the user has to open the front door every time the wine is taken out. Accordingly,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wine refrigerator is reduced.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하면, 디스펜서의 내부에 와인병을 수납할 때 와인병의 하단은 승강유닛에 지지되고 상단의 입구는 밀폐유닛에 고정되는데, 승강유닛과 밀폐유닛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펜서의 내부공간은 적어도 와인병의 전체 높이와 승강유닛 및 밀폐유닛의 높이를 더한 높이를 가져야 하므로, 디스펜서를 소형화하기 어렵다. 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storing the wine bottle inside the dispenser, the lower end of the wine bottle is supported by the elevating unit and the upper inlet is fixed to the airtight unit, and the elevating unit and the airtight unit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have. Therefore, since the inner space of the dispenser must have at least the height of the total height of the wine bottle plus the heights of the elevating unit and the sealing unit,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the dispenser.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사용자는 디스펜서의 승강유닛 중심부에 와인병의 하단을 정확하게 안착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승강유닛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와인병의 상단(입구)이 밀폐유닛에 정확하게 끼워지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펜서는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user must accurately seat the lower end of the wine bottle in the center of the lifting unit of the dispenser. Otherwise, there is a risk that the upper end (inlet) of the wine bottle cannot be accurately fitted into the sealing unit in the process of the lifting unit ascending. Therefore, the conventional dispenser has a problem in that ease of use is inferior.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26606호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526606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80906호No. 20-0380906 for the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Offic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2732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82732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음료용기를 세워서 보관하되, 간단한 고정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한 크기의 음료용기가 일정한 높이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rect and store a beverage container inside a beverage refrigerator, and to store beverag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t a constant height using a simple fixing structure. to be able to be fix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용 냉장고의 상부에 구비된 도어를 통해서 음료용기가 내부로 수납되고, 외부로 노출된 출수노즐을 통해 음료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a beverage container to be accommodated inside through a door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a beverage refrigerator, and to supply beverages through a water outlet nozzl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조립체를 이용해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보관하거나 저장실에서 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커버조립체 자체가 저장실을 차폐하는 내부도어 역할도 하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the cover assembly to keep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storage room or to take it out from the storage room while fixing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t the same time, the cover assembly itself serves as an internal door to shield the storage room. will b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버조립체를 이용해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삽입하면 음료용기의 중심이 자연스럽게 저장실의 중심부에 맞춰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enter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naturally fit into the center of the storage chamber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hamber in a state where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using the cover assembly.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위쪽으로 개방된 개방홀을 통해 내부가 노출되는 저장실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된 음료용기를 수납하는 캐비넷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서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돌출되되, 승강을 통해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돌출된 정도가 조절되는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에 인접하도록 냉각장치가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커버조립체가 감싸 고정하고,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아 상기 저장실을 차폐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받침대와 커버조립체로 구성된 고정구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음료용기를 일정한 높이로 고정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compartment exposed inside through an upwardly open opening hole, and in the direction of being erec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opening hole. A cabinet for accommodating the inserted beverage container is included. In addition, a pedestal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th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through lifting and lowering is installed, and a cool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cabine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torage chamber. A cover assembly wraps around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fixes it, and when the cover assembly is caught and fixed on the upper cover of the cabinet, the opening hole is blocked to shield the storage compartme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ix the beverag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to a certain height through the fixing structure composed of the pedestal and the cover assembly.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저장실과 연결된 개방홀이 관통되어, 상기 개방홀은 상기 음료용기가 상기 저장실로 수납되는 입구가 된다. An opening hole connected to the storage chamber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cover, and the opening hole is an entrance into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그리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캐비넷의 바닥으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디와, 상기 승강바디를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pedestal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evating body provided to be able to elevate from the bottom of the cabinet, and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elevat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또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은 상기 커버조립체에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 고정하는 결합부의 중심과 일치한다. In addition, the center of the pedestal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to wrap and fix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over assembly.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의 개방홀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상기 개방홀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 차폐하는 결합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And, when the cover assembly is fix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hole of the upper cover, a cover plate that blocks the opening hole, the cover plate protrudes into the opening hole from the cover plate, and a coupling part that surrounds and shields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a handl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plate and protru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커버조립체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조립체의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캠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캠돌부에 밀려 이동하면 압축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부를 주변을 압박한다. The handle portion has a cam protrusion whos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varies as the handle portion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over assembl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movably provided on the cover assembly, When the coupling part is pushed and moved to the cam protrusion, it is compressed and presses the periphery of the inlet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개방홀 주변을 차폐하는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감싸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이에 더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압부와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회전과정에서 상기 가압부를 눌러 이동시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압박하게 하는 캠돌부가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The cover assembly includes a cover plate for shielding the periphery of the open hole, and a coup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cover plate to wrap around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addi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is provided with a cam protrusion that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cover plate and a pressing part movable from the cover plat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nd presses and moves the pressing part in the rotation process to press the periphery of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ncludes a handle part;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부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캠돌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저면 방향으로 눌릴 수 있는 가압블록과, 상기 가압블록 보다 상기 결합부의 저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감싸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면 상기 캠돌부에 의해 눌린 상기 가압블록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압박하는 압박블록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pressing part is movable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coupling part, and the pressing block that can be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of the coupling part by the cam protrusion of the handle part, and the pressing block closer to the bottom of the coupling part than the pressing block. Positioned,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wraps around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coupling portion, when the handle portion rotates,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pressing block pressed by the cam protrusion to press the periphery of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t includes a compression block that

그리고, 상기 가압블록과 상기 압박블록의 사이에는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커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고정되어 상기 가압블록의 이동을 제한한다. And, a fixing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block and the pressing block, and the fixing plate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plate or the coupling par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block.

또한, 상기 커버조립체의 커버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커버조립체의 손잡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블록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cover plate of the cover assembly includes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assembled to the first plate with the handle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insulating block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do.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부에는 전달관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싼 상태로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전달관은 상기 출수노즐과 상기 음료용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즐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다. And a delivery pipe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assembly, and when the cover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cover in a state that surrounds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delivery pipe connects between the water outlet nozzle and the beverage container to connect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beverage can be deli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또한, 상기 저장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냉각장치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면에는 단열패널이 설치되어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저장실의 앞부분을 차폐하고,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구성하며 상기 저장실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이다. In addition, a heat insulation panel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opposite the cooling device with the storage room interposed therebetween, the heat insulation panel shields the front part of the storage room,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constitutes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It is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so that the storage chamber can be seen through.

그리고,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넷의 전체 높이구간 안에 위치한다. In addition, the water outlet nozzle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or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outlet nozzle is located within the entire height section of the cabinet.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refrigerator for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alvag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에서 음료용 냉장고의 저장실에는 음료용기가 보관되는데, 음료용기의 하단(바닥)은 받침대가 지지하고, 상단(입구)은 커버조립체가 고정한다. 받침대는 승강가능한 구조로 만들어지고 커버조립체는 음료용기의 입구를 특정 높이에 걸어 고정한다. 이처럼, 받침대와 커버조립체로 구성된 고정구조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음료용기를 일정한 높이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조를 이용하여 음료용 냉장고의 호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r is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beverage refrigerator, the lower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and the upper (inlet) is fixed by the cover assembly. The pedestal is made of a structure that can be lifted and the cover assembly is fixed by hanging the mouth of the beverage container at a specific height. As such, since beverag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can be fixed at a constant height through the fixing structure composed of the pedestal and the cover assembly,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compatibility of the beverage refrigerator using a simple structure.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음료용 냉장고의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지 않고, 전면에는 출수노즐이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번 도어를 열지 않고도 출수노즐을 통해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음료용기를 꺼내기 위해서 도어를 여느 순간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냉각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no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for beverages, and the water outlet nozzle protrudes from the front. Accordingly, the user can receive beverages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without opening the door every time, and heat loss occurring at any moment in the door to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prevented, thereby improv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refrigerator.

또한, 본 발명에서 음료용기의 출입구는 냉장고의 상면에 있고, 출입구는 음료용기의 폭(직경) 보다 약간 큰 정도로만 형성된다. 따라서, 출입구의 폭이 좁기 때문에 냉기누설로 인한 열손실을 더욱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nd the entrance is formed only to a degree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diameter)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refore, since the width of the entrance is narrow, heat loss due to leakage of cold air can be further reduced.

그리고, 본 발명에서 음료용 냉장고의 전면에는 도어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가스켓 및 힌지 등의 부품을 생략하고 전면 전체에 단열패널을 적용할 수 있으며, 단열패널을 투명한 재질로 만들면 저장실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쪽으로 가장 많이 노출되는 냉장고의 전면 디자인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oor is not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everage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omit parts such as gaskets and hinges and apply the insulation panel to the entire front surface. The area can be enlarged. Therefore, the front design of the refrigerator, which is most exposed to the user,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front design more beautiful.

또한, 본 발명에서 음료용기의 상단입구는 커버조립체가 고정하는데, 커버조립체는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한 상태로 저장실의 출입구를 차폐하여 그 자체가 일종의 내부도어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음료용기의 입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조가 필요 없고, 고정구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냉장고의 내부에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냉장고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by the cover assembly, and the cover assembly shields the entrance of the storage room in a state where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thereby serving as a kind of internal door itself. Accordingly,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pace for installing the fixing structure inside the refrigerator, the height of the refrigerator can be lowered.

특히, 커버조립체는 도어와 함께 저장실을 차폐해주므로, 출입구를 이중으로 단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열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cover assembly shields the storage room together with the door, it is possible to double insulate the doorway, thereby improving the insulation effect.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음료용기를 커버조립체에 끼운 상태로 저장실에서 꺼내거나 저장실에 수납할 수 있다. 이렇게 커버조립체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용기의 입출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taken out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or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ver assembly. As such, the cover assembly serves as a kind of handle,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easily entered and exited.

특히, 본 발명의 커버조립체를 구성하는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 손잡이부에 연동한 가압부가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압박하여 커버조립체에 음료용기가 강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무거운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수납하거나, 반대로 저장실에서 꺼낼 때, 안정적으로 음료용기를 옮길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handle portion constituting the cover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ed, the pressing portion interlocked with the handle portion presses the periphery of the mouth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strongly fixed to the cover assembly. Therefore, when storing a heavy beverage container in the storage room or, conversely, when taking it out from the storage room,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moved stably.

이때, 사용자가 커버조립체를 파지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를 자연스럽게 회전시키게 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 없이도 음료용기를 강하게 집어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높다. At this time, since the user naturally rotates the handle in order to grip the cover assembly, the user can strongly pick up the beverage container and move it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nd thus the convenience of use is high.

또한, 본 발명에서 커버조립체에 음료용기를 고정한 상태로 음료용기를 저장실에 삽입하면 커버조립체가 저장실의 입구(개방홀)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고, 음료용기의 하단은 받침대에 지지된다. 따라서, 음료용기의 상단 및 하단이 저장실의 정확한 중심에 자연스럽게 맞춰지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음료용기의 중심을 맞출 필요가 없다.In addition, when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hamber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is fixed to the cover assem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assembly is caught by the edge of the entrance (open hole) of the storage chamber and fixed, and the low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supported on the pedestal. Therefore, sin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verage container are naturally aligned with the exact cente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individually align the center of the beverag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료용 냉장고의 일실시례의 후면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서 음료용기가 추출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냉각장치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은 도 8의 커버조립체를 구성하는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부품 중에서 냉각장치에 의해 저장실이 냉각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이용해서 음료용기를 저장실 내부에 수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커버조립체의 손잡이부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되는 커버조립체의 내부구조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례를 구성하는 저장실의 내부에 음료용기가 수납된 모습을 각각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refrigerator for beverag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beverag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beverage container is extrac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 of FIG. 1;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oling device from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ve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arts constituting the cover assembly of FIG. 8;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storage chamber is cooled by a cooling device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11 is a working state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storage room us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ver assembly that is interlocked as the handle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14 and 15 are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 beverage container accommod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본 발명의 음료용 냉장고(이하 '냉장고'라 함)에 대한 일실시례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아래에서는 와인병과 같이 세로 방향으로 긴 음료용기(B)를 보관하기 위한 냉장고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냉장고는 와인병 이외에도 병에 담긴 다양한 음료를 냉각시킬 수 있는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beverage refrig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referenc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refrigerator for storing a beverage container (B)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such as a wine bottl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refrige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cooling various beverages contained in a bottle in addition to a wine bottle. can

도 1과 도 2를 보면, 캐비넷(10)은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은 비교적 전후 폭이 짧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는 바닥면적이 좁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없고, 따라서 바닥에 두거나, 또는 식탁 위 등에도 설치할 수 있다. 1 and 2 , the cabinet 10 forms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and as shown, the cabinet 10 is made to have a relatively short front and rear width.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frigerator does not require a large installation area because the floor area is narrow, so it can be placed on the floor or installed on a dining table.

본 실시례에서 상기 캐비넷(10)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는 설치공간(S, 도 5참조)이 있고, 상기 설치공간(S)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이너케이스(30)와 냉각장치(C) 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이너케이스(30)의 안에는 저장실(32)이 만들어져 음료용기(B)가 수납될 수 있다. 참고로 도 3에는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서 꺼내진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abinet 10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has an installation space (S, see FIG. 5) inside, and the installation space (S) includes an inner case 30 and a cooling device C to be described below. ) are installed. And the storage chamber 32 is made in the inner case 30, the beverage container (B) can be accommodated. For reference, Figure 3 shows the beverage container (B) inserted into the cover assembly (90) taken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도 4를 보면,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비넷(10)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후면플레이트(13), 상부커버(20) 및 하부커버(26)는 서로 조립되어 내부에 설치공간(S)을 만들고,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단열패널(42)이 설치되는데,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abinet 10 are shown in an exploded state. The cabinet 10 includes a pair of side plates 11 , a rear plate 13 , an upper cover 20 and a lower cover 26 . The pair of side plates 11, rear plate 13, upper cover 20 and lower cover 26 are assembled with each other to create an installation space S therein, and form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A heat insulation panel 42 to be described below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which will be described again below.

상기 캐비넷(10)을 구성하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를 보면,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가 있다. 상기 공기흡입구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냉장고의 내부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공기흡입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흡입그릴(15)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구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조립되는 배출그릴(16)에 형성된다. 물론, 상기 흡입그릴(15) 및 상기 배출그릴(16)이 생략되고, 상기 공기흡입구와 상기 공기배출구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직접 만들어질 수도 있다. Looking at the rear plate 13 constituting the cabinet 10 , the rear plate 13 has an air inlet and an air outlet. The air inlet is a portion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the air outlet is a portion through which internal air of the refrigerato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embodiment, the air inlet is formed in the suction grill 15 assembled to the rear plate 13 , and the air outlet is formed in the exhaust grill 16 assembled to the rear plate 13 . Of course, the suction grill 15 and the exhaust grill 16 may be omitted, and the air inlet and the air outlet may be made directly on the rear plate 13 .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는 스페이서(14)가 있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서 바깥쪽, 즉 냉장고의 설치공간(S)의 반대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냉장고가 설치되는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거리를 두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 보듯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만들어진다. 상기 스페이서(14)는 상기 후면플레이트(13)와 설치장소의 벽면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유동공간을 만들어준다. 이러한 스페이서(14)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스페이서(14)를 파지하고 냉장고를 옮길 수 있는 것이다. The rear plate 13 has a spacer 14 . The spacer 14 protrudes outward from the rear plate 13 , that is, opposite to the installation space S of the refrigerator. The spacer 14 is to provide a distance between the rear plate 13 and the wall of the installation place where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and is elong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s shown in FIG. 2 . The spacer 14 naturally creates an air flow space between the rear plate 13 and the wall of the installation site. This spacer 14 may also serve as a kind of handle. That is, the user can hold the spacer 14 and move the refrigerator.

다시 도 4를 보면,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 및 상기 후면플레이트(13)의 위쪽에 조립되는 것으로, 설치공간(S)의 상부를 차폐한다. 본 실시례에서 냉장고의 도어(24)는 냉장고의 상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도어(24)가 설치되는 일종의 프레임역할도 한다. Referring back to FIG. 4 , the upper cover 20 is assembled above the pair of side plates 11 and the rear plate 13 , and shields the upper portion of the installation space S. In this embodiment, the door 24 of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refrigerator, and the upper cover 20 also serves as a kind of frame in which the door 24 is installed.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는 개방홀(22)이 관통된다. 상기 개방홀(22)은 아래에서 설명될 저장실(32)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어(24)가 개방되면 저장실(32)을 외부로 노출시키는 일종의 출입구 역할을 한다. 도 3에서 상기 음료용기(B)는 상기 개방홀(22)을 통해서 바깥쪽으로 꺼내어진 것이다. 상기 개방홀(22)의 주변에는 시일부재(21)가 설치되는데, 상기 시일부재(21)는 도어(24)가 닫혔을 때 상부커버(20)의 상면과 도어(24) 사이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An open hole 22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20 . The opening hole 22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hamber 32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s as a kind of entrance for exposing the storage chamber 32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24 is opened. In Figure 3, the beverage container (B) is taken out through the opening hole (22). A sealing member 21 is installed around the opening hole 22. The sealing member 21 serves to seal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0 and the door 24 when the door 24 is closed. do

상기 상부커버(20)에는 도어(24)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4)는 상기 개방홀(22)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도어(24)는 힌지(25)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어(24)는 닫힌 상태고, 도 3에서는 개방된 상태다. 이와 달리, 상기 도어(24)는 슬라이딩방식으로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되거나, 또는 상기 도어(24)가 생략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조립체(90)만으로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할 수도 있다. A door 24 is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20 . The door 24 selectively opens the opening hole 22 , and in this embodiment, the door 24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upper cover 20 through a hinge 25 . 1 and 2, the door 24 is in a closed state, and in FIG. 3 it is in an open state. On the other hand, the door 24 is assembled to the upper cover 20 in a sliding manner, or the door 24 is omitted and the opening hole 22 is shielded with only the cover assembly 90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도 4를 보면, 상기 상부커버(20)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넷(10)의 바닥쪽에는 하부커버(26)가 있다. 상기 하부커버(26)는 상기 캐비넷(10)의 하단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평판구조이다. 상기 하부커버(26)는 냉장고가 설치되는 면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상기 하부커버(26)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 there is a lower cover 26 at the bottom of the cabinet 10 that is opposite to the upper cover 20 . The lower cover 26 constitute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cabinet 10 and has a flat plate structure. Since the lower cover 26 provides a surface on which the refrigerator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cover 26 be configured as a flat surface.

상기 하부커버(26)에는 받침판(27)이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상기 하부커버(26)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으로, 상기 받침판(27)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상기 받침판(27)은 아래에서 설명될 출수노즐(70)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27)에 컵을 올려둔 상태에서 출수노즐(70)을 통해 음료를 추출하면, 컵에 음료가 채워질 수 있다. The lower cover 26 has a support plate 27 . The support plate 27 is a portion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cover 26 , and may be viewed as a part of the support plate 27 . The support plate 27 is provided at a position facing the water outlet nozzle 70 to be described below. Therefore, when the beverage is extracted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70 while the cup is placed on the support plate 27, the beverage may be filled in the cup.

상기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이너케이스(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의 설치공간(S)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캐비넷(10)에 의해 둘러싸인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이너케이스(30)의 내부에는 저장실(32)이 만들어지고, 상기 저장실(32)에 음료용기(B)가 수납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과 별개물로 구성되지만,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상기 캐비넷(1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일 수 있고,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An inner case 30 is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10 . The inner case 30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S of the cabinet 10 , and is installed in a form surrounded by the cabinet 10 . A storage chamber 32 is formed inside the inner case 30 , and the beverage container B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32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case 30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abinet 10 , but the inner case 30 may be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abinet 10 or may be omitted.

도 4 및 도 8에는 이너케이스(30)의 구조가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중심에 있는 저장실(32)을 기준으로, 상기 저장실(32)을 감싸는 형태의 입체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너케이스(30)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는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결합되는 냉각가이드(40)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합성수지와 같은 비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4 and 8 show the structure of the inner case 30 in detail. The inner case 30 has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at surrounds the storage compartment 32 based on the storage compartment 32 in the cen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ner case 30 can be viewed in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inner case 30 may be entirely or at least partially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In this embodiment, except for the cooling guide 40 coupled to the inner case 30, the remaining part is made of a non-metall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

도 4를 보면 상기 이너케이스(30)의 골격은 한 쌍의 측면부(31a)와 상기 측면부(31a)를 연결하고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부(31b)에 의해 만들어진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와 상기 바닥부(31b)에 의해 둘러싸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안쪽에는 수납바디(35)가 있다. 상기 수납바디(35)는 음료용기(B)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으로, 상기 수납바디(35)의 내부에 저장실(32)이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skeleton of the inner case 30 is made by a pair of side parts 31a and a bottom part 31b connecting the side parts 31a and forming a bottom. In addition, there is a storage body 35 inside the inner case 30 surrounded by the pair of side portions 31a and the bottom portion 31b. The storage body 35 is to surround at least a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t can be seen that the storage chamber 32 is made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dy (35).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바닥부(31b)에는 받침대(33)가 있다. 상기 받침대(33)는 상기 바닥부(31b)에서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상기 받침대(33)는 상기 음료용기(B)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대(33)는 적어도 상기 음료용기(B)의 바닥면 보다 넓거나 같은 면적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 there is a pedestal 33 on the bottom 31b. The pedestal 33 protrudes from the bottom part 31b toward the storage chamber 32 and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pedestal 33 is a part for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t is preferable that the pedestal 33 provides at least an area wider than or equa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상기 받침대(33)는 승강바디(도면부호 미부여)와 탄성부재(33a)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바디는 상기 바닥부(31b)에 승강가능한 형태로 설치된다. 즉 상기 승강바디는 상기 바닥부(31b)로부터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edestal 33 includes an elevating body (reference numeral not given) and an elastic member 33a. The elevating body is installed in a form that can elevate the bottom (31b). That is, the lifting body can protrude from the bottom part 31b toward the opening hole 22 or retreat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처럼 상기 승강바디가 승강가능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높이의 음료용기(B)가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높이가 높은 음료용기(B)가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저장실(32)의 높이를 더 확보해주고(도 15참조), 높이가 낮은 음료용기(B)가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상승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는 것이다.(도 14참조)Since the elevating body has a structure capable of elevating as described above, beverage containers (B) of various heigh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at is,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having a high height is accommodated, the elevating body descends downward to further secure the heigh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see FIG. 15),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with a low height is accommodated, the elevating body is lowered. The body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to fill the remaining space. (See FIG. 14)

이를 위해서, 상기 탄성부재(33a)는 상기 승강바디를 탄성지지해준다. 상기 탄성부재(33a)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바디를 아래쪽에서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즉, 상기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바디가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최대한 상승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To this end, the elastic member 33a elastically supports the lifting body. The elastic member 33a may be formed of a spring, and may support the elevat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from below.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B) is not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 elevating body is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body is maximally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이때, 상기 탄성부재(33a)는 상기 음료용기(B)의 무게를 어느 정도 견딜 수 있는 탄성계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무거운 음료용기(B)가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되더라도, 상기 탄성부재(33a)가 과도하여 탄성변형되어 상기 승강바디를 하강시키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음료용기(B)의 상단 입구(Ba)를 고정하고 있는 커버조립체(90)에 과도한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33a) preferably has a modulus of elasticity that can withstand the weight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o some extent. In this case, even if the heavy beverage container (B) is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32), the elastic member (33a) is excessively elastically deformed so as not to lower the elevating body, and the upper inlet (B)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loa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cover assembly 90 fixing Ba).

상기 받침대(33)의 중심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조립체(90)에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감싸 고정하는 결합부(93)의 중심과 일치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받침대(63)의 중심과, 결합부(93)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연장선은 중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이다. 따라서 커버조립체(90)로 음료용기(B)를 고정한 상태로 음료용기(B)를 저장실(32) 내부에 수납하면, 상기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받침대(33)의 사이에 음료용기(B)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음료용기(B)의 중심을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다. The center of the pedestal 33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93 for wrapping and fixing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cover assembly 90 to be described below. More precisely, an imaginary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edestal 63 and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93 extends along the direction of gravity. Therefor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32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B) is fixed with the cover assembly (90), the beverage container (B) between the cover assembly (90) and the pedestal (33) ) can be precisely aligned,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adjust the center of the beverage container (B) one by one.

한편,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바디(35)는 상기 한 쌍의 측면부(31a)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상부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수납바디(35)는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그 하단에서 냉각가이드(40)와 연결된다. 상기 한 쌍의 수납바디(35)의 사이에는 구획벽(34)이 구비되는데, 상기 구획벽(34)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저장실(32)을 구획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구획벽(34)은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가이드(40)의 한쪽 끝 부분과 만나 냉각가이드(40)를 지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receiving body 35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side portions 31a, but is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case 30 . The receiving body 35 extends downward and is connected to the cooling guide 40 at the lower end thereof. A partition wall 34 is provided between the pair of storage bodies 35 , and the partition wall 34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partition the two storage compartments 32 . In addition, the partition wall 34 may meet with one end of the cooling guide 40 to be described below and serve to support the cooling guide 40 .

상기 수납바디(35)에는 경사부(36)가 있는데, 상기 경사부(36)는 상부, 즉 상부커버(20)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저장실(32)의 폭을 좁게 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면이다. 상기 경사부(36)는 상기 저장실(32)의 폭을 좁게 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경사부(36)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음료용기(B)의 입구부(Ba) 쪽에 가깝게 된다. 이처럼 상기 경사부(36)가 상기 저장실(32) 상부의 폭을 좁힘에 따라 상기 저장실(32)의 체적도 함께 줄어들게 되고, 보다 효과적인 저장실(32) 냉각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6)의 바깥쪽, 즉 상기 저장실(32)의 반대편 쪽은 단열재(도시되지 않음)로 채워질 수 있다. The storage body 35 has an inclined portion 36 , which is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narrowing the width of the storage chamber 32 toward the upper portion, that is, the upper cover 20 . The inclined portion 36 narrows the width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 and thus the inclined portion 36 is closer to the inlet portion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which is relatively narrow in width. As such, as the inclined portion 36 narrows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32 , the volume of the storage chamber 32 is also reduced, enabling more effective cooling of the storage chamber 32 . In addition, the outside of the inclined portion 36, that is, the opposite side of the storage chamber 32 may be fill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not shown).

상기 수납바디(35)에는 냉각가이드(40)가 결합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바디(35)에 결합되어 안쪽에 저장실(32)을 만든다. 도 4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이너케이스(30)에서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도 5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수납바디(35) 아래쪽에 결합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A cooling guide 4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body 35 . The cooling guide 4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body 35 to make a storage chamber 32 inside. Although the cooling guide 40 is shown separated from the inner case 30 in FIG. 4 , in FIG. 5 , the cooling guide 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body 35 of the inner case 30 . is shown in the state of being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수납바디(35)에 결합되면 상기 냉각가이드(40)와 수납바디(35)는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수납바디(35)와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 하나의 공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수납바디(35)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 즉 상부를 감싼다면,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음료용기(B)의 본체부분을 감싼다. When the cooling guide 40 is coupled to the accommodation body 35 , the cooling guide 40 and the accommodation body 35 are continuously connected. Accordingly, the storage chamber 32 can be made into one space by the accommodation body 35 and the cooling guide 40 . In this embodiment, if the receiving body 35 wraps around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hat is, the upper portion, the cooling guide 40 surrounds the body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er B.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을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아래에서 설명될 냉각장치(C)에 직접 연결되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의 동작에 의해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냉각가이드(40)의 안쪽공간인 저장실(32)의 온도도 함께 내려가게 된다. The cooling guide 4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torage chamber 32 , and serve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32 . The cooling guide 4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cooling device (C)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the temperature of the cooling guide 40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cooling device (C). On the ground,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32, which is the inner space of the cooling guide 40, is also decreased.

이때, 상기 이너케이스(30)에 형성된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독립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32)은 상기 냉각가이드(40), 상기 바닥부(31b) 및 상기 단열패널(42)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다수개의 저장실(32)이 상기 바닥부(31b)와 상기 단열패널(42)은 서로 공유하되 상기 냉각가이드(40)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저장실(32)을 구획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32 formed in the inner case 3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cooling guide 40 provided in the inner case 30 to form an independent space.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compartment 32 is formed by the cooling guide 40, the bottom part 31b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42, and a plurality of storage compartments 32 are formed with the bottom part 31b and the bottom part 31b. The heat insulation panel 42 is shared with each other, but the cooling guide 40 is configured in plurality to partition each storage chamber 32 .

한편,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은 개방되어, 상기 저장실(32)도 전방으로 개방되는데, 이렇게 개방된 부분은 단열패널(42)이 차폐한다.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저장실(32)을 사이에 두고 냉각장치(C)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단열재질로 만들어지는 평판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of the inner case 30 is opened, and the storage chamber 32 is also opened forward, and the opened portion is shielded by the heat insulating panel 42 . The heat insulating panel 42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case 30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oling device C with the storage chamber 3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has a flat plate structure made of a heat insulating material.

이러한 단열공간의 한쪽을 구성하는 단열패널(42)을 보면, 상기 단열패널(42)은 상기 이너케이스(30)에 구비된 상기 냉각가이드(40)와 함께 상기 저장실(32)을 감싼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가이드(40), 단열패널(42) 및 상기 바닥부(31b)가 함께 저장실(32)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32)의 상부는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도어(24)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Looking at the heat insulation panel 42 constituting one side of the heat insulation space, the heat insulation panel 42 surrounds the storage chamber 32 together with the cooling guide 40 provided in the inner case 30 . More precisely, the cooling guide 40, the insulation panel 42, and the bottom part 31b together form a storage chamber 32,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chamber 32 includes the cover assembly 90 and the door ( 24) is selectively shielded by

도 4에는 상기 단열패널(42)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단열패널(4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열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단열패널(42)은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로 구성되고, 이들은 각각 단열유리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투명한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을 통해서 저장실(32)을 볼 수 있고,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를 관찰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열패널(42)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패널(43)과 상기 제2패널(44)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만들어질 수도 있고, 상기 빈 공간에는 진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4 shows the structure of the heat insulating panel 42 . As can be seen, the insulating panel 42 may be made of at least one insulating glass. In this embodiment, the heat insulating panel 42 is composed of a first panel 43 and a second panel 44, each of which is insulating glass. Therefore, the user can see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rough the transparent first panel 43 and the second panel 44, and can observe the beverage container (B)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 user can check the type of beverage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rough the insulation panel 42 . An empty spac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panel 43 and the second panel 44 , and a vacuum may be formed in the empty space.

상기 단열패널(42)를 구성하는 제1패널(43) 및 제2패널(44)은 단열프레임(4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41)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제1패널(43)은 상기 단열프레임(4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패널(44)은 상기 이너케이스(30)의 전면에 직접 결합된다.The first panel 43 and the second panel 44 constituting the heat insulation panel 42 may be installed in the heat insulation frame 41 . The heat insulation frame 41 is installed on the front edge of the inner case 30 , 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anel 43 is installed on the heat insulation frame 41 . And the second panel 44 is directly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30).

다음으로 냉각장치(C)를 살펴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설치공간(S)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저장실(32)의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된 음료용기(B)의 온도가 함께 내려가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을 감싸는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여, 냉각성능을 높일 수 있다. Next, looking at the cooling device (C), the cooling device (C) is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space (S) serve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32).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is lowered, the temperat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is decreased toge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device 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ase 30 surrounding the storage compartment 32 to increase cooling performance.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기 위해서 상기 저장실(32)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과 단열패널(42)의 사이를 제외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좌우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The cooling device (C)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storage room (32) in order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room (32), the cooling device (C) except between the storage room (32) and the insulation panel (42) I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For example, the cooling device (C)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rage chamber (32), or may be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torage chamber (32).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단열패널(42)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된다. 상기 냉각장치(C)가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설치되면, 상기 냉각장치(C)의 한쪽은 상기 후면플레이트(13)에 구비된 흡입그릴(15) 및 배출그릴(16)과 마주보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저장실(32)의 후방에 가장 넓은 설치공간(S)이 확보되어 있기도 하므로 상기 냉각장치(C)를 설치하기에 용이한 면도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 4 , the cooling device (C)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torage chamber (32) opposite the heat insulating panel (42). When the cooling device (C)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storage chamber (32), one side of the cooling device (C) faces the suction grill (15) and the exhaust grill (16) provided on the rear plate (13) Therefore, the cool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widest installation space (S) is secured at the rear of the storage chamber (32), it is also easy to install the cooling device (C).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가 구비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저장실(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는 것인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저장실(32)은 2개이므로, 상기 냉각장치(C)도 2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냉각장치(C)는 각각 별개의 저장실(32)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저장실(32)은 내부온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어 독립냉각이 가능하다.The cooling device (C) is provided in plurality. More precisely, the cooling device (C) is configured with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torage chambers (32). . The plurality of cooling devices (C) serve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each separate storage chamber (32).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torage chambers 32 may have different internal temperatures, so that independent cooling is possible.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냉각장치(C)에서 발생한 냉기는 냉각가이드(40) 방향(화살표 ①)으로 이동하고, 상기 냉각가이드(40)의 표면을 따라(화살표 ②) 전체를 냉각시키며, 냉각된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상기 저장실(32) 방향(화살표 ③)으로 냉기를 제공하여 상기 저장실(32)을 냉각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the cold air generated by the cooling device C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cooling guide 40 (arrow ①), and cools the whole along the surface of the cooling guide 40 (arrow ②), and cooling The cooling guide 40 may cool the storage chamber 32 by providing cold air in the direction (arrow ③) of the storage chamber 32 .

이러한 냉각장치(C)의 구성을 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열전소자(55)를 포함하는데, 열전소자(55)는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상기 저장실(32)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를 상기 저장실(32) 방향으로 연결하고, 고온부는 방열하여 상기 저장실(32)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oling device (C), the cooling device (C)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55, which utilizes the Peltier effec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32 low. . And, the cooling device (C) has a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low-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in the direction of the storage chamber 32 and the high-temperature portion to radiate heat to effectively cool the storage chamber 32 .

도 6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냉각장치(C)는 다수개의 부품이 서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냉각장치(C)에는 소자하우징(51)이 포함되는데, 상기 소자하우징(51)은 냉각장치(C)의 골격을 만든다. 상기 소자하우징(51)은 일종의 사각틀 형상이고, 그 중심에는 수용공간(53)이 관통된다. 상기 수용공간(53)에는 열전소자(55)를 비롯한 다수의 부품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53)은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중심에서 열전소자(55) 방향으로 돌출된 프레임부(51a)의 안쪽에 만들어진다. 도면부호 52는 소자하우징(51)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보스로 다수개가 구비되는데, 그 중 일부는 다른 부품이 소자하우징(51)에 조립되도록 할 수도 있다. Referring specifically to FIG. 6 , the cooling device C is configured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arts. The cooling device (C) includes a device housing 51, the device housing 51 makes a skeleton of the cooling device (C). The device housing 51 has a kind of rectangular frame shape, and the receiving space 53 passes through the center thereof. A plurality of components inclu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may be loc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53 . The accommodating space 53 is formed inside the frame portion 51a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device housing 51 toward the thermoelectric device 55 . Reference numeral 52 denotes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for fixing the element housing 51 , some of which may allow other parts to be assembled to the element housing 51 .

상기 수용공간(53)에는 열전소자(55)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소자(55)는 저온부와 고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온부와 고온부는 상기 열전소자(55)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가 고온부보다 상기 냉각가이드(4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온부는 후술할 쿨링블록(57)과 접할 수 있고, 상기 고온부는 상기 히트싱크(58)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냉각가이드(40)를 냉각시키고, 상기 히트싱크(58)에서는 방열이 일어날 수 있다. 도면부호 56은 상기 열전소자(55)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을 나타낸다. A thermoelectric element 55 is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53 .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may include a low temperature portion and a high temperature portion, and the low temperature portion and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voltag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The low-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ooling guide 40 than the high-temperature portion. The low temperature part may be in contact with a cooling block 57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high temperature part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58 . The cooling block 57 may cool the cooling guide 40 , and heat may be radiated from the heat sink 58 . Reference numeral 56 denotes a cable for applying power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상기 열전소자(55)에는 쿨링블록(57)이 접촉된다.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와 상기 냉각가이드(40) 사이에 위치하여, 한쪽은 상기 쿨링블록(57)에 접촉되고 반대쪽은 냉각가이드(40)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쿨링블록(57)은 상기 열전소자(55)의 저온부의 냉기를 상기 냉각가이드(40)에 전달할 수 있다. A cooling block 57 is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The cooling block 57 is positioned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and the cooling guide 40 , one side i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block 57 and the oth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cooling guide 40 . Accordingly, the cooling block 57 may transmit the cold air of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to the cooling guide 40 .

상기 쿨링블록(57)에는 가압부(57a)가 돌출된다. 상기 가압부(57a)는 상기 쿨링블록(57)에서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사각형상이다. 상기 가압부(57a)의 표면은 상기 열전소자(55)와 밀착되는 부분이고, 상기 가압부(57a)는 상기 열전소자(55)를 히트싱크(58)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열전소자(55)는 상기 가압부(57a)와 히트싱크(58)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A pressing portion 57a protrudes from the cooling block 57 . The pressing portion 57a protrudes from the cooling block 57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53 of the element housing 51 and has a rectang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57a is a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and the pressing part 57a presses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in the heat sink 58 direction,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 may be fixed between the pressing part 57a and the heat sink 58 .

상기 열전소자(55)를 사이에 두고 상기 쿨링블록(57)의 반대쪽에는 히트싱크(58)가 설치된다. 상기 히트싱크(58)는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에 접촉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고온부를 방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히트싱크(5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방열팬(65)이 결합되어 방열팬(65)이 히트싱크(58)를 식혀줄 수 있다. A heat sink 58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oling block 57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interposed therebetween. The heat sink 58 is in contact with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and functions to radiate heat from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A heat dissipation fan 65 to be described below is coupled to the heat sink 58 so that the heat dissipation fan 65 cools the heat sink 58 .

상기 히트싱크(58)의 구조를 보면, 상기 히트싱크(58)는 방열플레이트(도면부호 미부여)와, 복수의 방열핀(5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방열핀(59)은 이웃한 방열핀(59)과 이격된 상태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방열핀(59)과 접촉하도록 결합된다. Looking at the structure of the heat sink 58 , the heat sink 58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plate (reference numeral not assigned) and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59 .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59 may be stacked in a spaced apart state from the adjacent heat dissipation fins 59 . The heat dissipation plate is formed in a thin plate shape, and is coupled to contact the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59 .

상기 방열플레이트는 상기 열전소자(55)와 접촉하기 위한 소자접촉판(5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자접촉판(58a)의 면적은 상기 방열플레이트의 면적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자접촉판(58a)은 대략적으로 상기 열전소자(55)의 표면과 동일한 크기의 표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자접촉판(58a)은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을 통해서 상기 열전소자(55) 방향으로 노출된다. The heat dissipation plate may further include an element contact plate 58a for contac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An area of the device contact plate 58a may be smaller than an area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For example, the device contact plate 58a may be formed to have a surface area of approximately the same size as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device 55 . The device contact plate 58a is exposed toward the thermoelectric device 55 through the receiving space 53 of the device housing 51 .

상기 냉각장치(C)에는 상기 열전소자(55)를 둘러싸는 단열프레임(6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55)는 상기 단열프레임(6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열프레임(60)에는 전후방향으로 개방된 소자장착홀(61)이 마련되고, 상기 소자장착홀(61) 안에 상기 열전소자(55)가 위치된다.The cooling device C may further include an insulating frame 60 surroun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may be located in the heat insulating frame 60 . A device mounting hole 61 ope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provided in the heat insulating frame 60 , and the thermoelectric device 55 is positioned in the device mounting hole 61 .

상기 단열프레임(60)과 상기 쿨링블록(57)이 서로 밀착되는 부분에는 가스켓(6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63)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63)은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단열프레임(60)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63)은 실링 부재 역할을 하여, 상기 단열프레임(60)과 상기 쿨링블록(57)의 사이로 열이 발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부호 64는 상기 가스켓(63)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를 나타내는 것이다. A gasket 63 may be coupled to a portion where the insulating frame 60 and the cooling block 57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gasket 63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 gasket 6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ulating frame 60 . Here, the gasket 63 serves as a sealing member to prevent heat from being radiated between the insulating frame 60 and the cooling block 57 . Reference numeral 64 denotes a holder for fixing the gasket 63 .

상기 단열프레임(60)의 후면에는 백플레이트(62)가 위치한다. 상기 백플레이트(62)는 상기 열전소자(55)의 주변을 감싸면서 상기 단열프레임(6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백플레이트(62)도 상기 단열프레임(60)과 마찬가지로, 상기 열전소자(55)의 열이 상기 열전소자(55)의 둘레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열전소자(55)의 냉각 효율을 높히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백플레이트(62)는 상기 소자하우징(51)의 수용공간(53) 안에 위치할 수 있다. A back plate 62 is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heat insulating frame 60 . The back plate 62 may be assembled to the heat insulating frame 60 while surround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 The back plate 62 also prevents the he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from being conducted to the peripher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similarly to the thermal insulation frame 60,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55. plays a role The back plate 62 may be located in the receiving space 53 of the device housing 51 .

상기 히트싱크(58)의 후방에는 방열팬(65)이 결합된다. 상기 방열팬(65)은 상기 히트싱크(58)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흡입구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를 상기 히트싱크(58)로 송풍시킬 수 있다. 상기 방열팬(65)은 팬(67)과, 팬(67)의 외측을 둘러싸는 팬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67)은 일 예로 축류형 팬일 수 있다. 상기 팬(67)은 상기 히트싱크(58)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상기 방열팬(65)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상기 히트싱크(58)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팬(65)은 고정핀(66)에 의해서 상기 히트싱크(58)에 고정될 수 있다. A heat dissipation fan 65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heat sink 58 . The heat dissipation fan 6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58 , and blow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to the heat sink 58 . The heat dissipation fan 65 may include a fan 67 and a fan housing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fan 67 . The fan 67 may be, for example, an axial fan. The fan 67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sink 58 . In this way,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blown by the heat dissipation fan 65 is minimized, and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n the heat sink 58 can be increased. The heat dissipation fan 65 may be fixed to the heat sink 58 by a fixing pin 66 .

한편, 앞선 실시례와 달리, 상기 냉각장치(C)는 상기 냉각가이드(40)를 직접 냉각시키지 않고, 저장실(32) 내부로 냉기를 토출하여 상기 저장실(32)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냉각가이드(40)는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질일 필요가 없고, 상기 이너케이스(30)에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또는 생략될 수도 있다. Meanwhile, unlike the previous embodiment, the cooling device C may cool the storage chamber 32 by discharging cold air into the storage chamber 32 without directly cooling the cooling guide 40 . In this case, the cooling guide 40 does not need to be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case 30 or may be omitted.

도 5를 보면, 상기 캐비넷(10)에는 출수노즐(70)이 있다.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저장실(32)에 저장된 음료용기(B)로부터 음료가 추출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출수노즐(70)은 상기 저장실(32)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2개로 구성된다. 각각의 출수노즐(70)은 서로 다른 저장실(32)에 저장된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를 공급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달리, 상기 출수노즐(7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넷(10)의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5 , the cabinet 10 has a water outlet nozzle 70 . The water outlet nozzle 70 is a portion from which beverages are extracted from the beverage container B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 and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outlet nozzle 7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 The water outlet nozzles 70 may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the storage chambers 32 .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outlet nozzles 70 are composed of two. Each of the water outlet nozzles 70 is used to supply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B) stored in different storage chambers (32). Alternatively, all or part of the water outlet nozzle 7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abinet 10 .

상기 출수노즐(70)에는 상기 캐비넷(10)에 연결되는 연결관(72)과, 상기 연결관(72)에 연결되고, 냉장고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출수헤드(71)가 포함된다. 상기 출수헤드(71)의 내부에는 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서 상기 음료용기(B)에 내장된 음료가 공급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음료용기(B)의 내부압력을 높이면, 상기 음료용기(B)에 담긴 음료가 상기 연결관(72) 및 상기 배출구를 통과해서 외부로 공급될 수 있다. The water outlet nozzle 70 includes a connection pipe 72 connected to the cabinet 10 , and a water extraction head 71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pe 72 and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A discharge port (not shown) is formed inside the water extraction head 71, so that the beverage stored in the beverage container B can be suppli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For reference, although not shown,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o increas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B) is transferred to the connection pipe 72 and the It can be suppli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이와 같이, 본 실시례에서 상기 출수노즐(70)은 캐비넷(10)의 상면이 아니라 전면의 단열패널(42)이 설치된 부분에 설치된다. 이것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도어가 없고, 전면이 단열패널(42)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에 도어(24)를 설치하면, 상기 도어(24)가 여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출수노즐(70)과 간섭되지만,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도어(24)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이 아니라 상부커버(20) 쪽에 설치되기 때문에 도어(24)를 여닫을 때 출수노즐(70)과 간섭될 염려가 없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water outlet nozzle 70 is installed no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0 but on the portion where the front heat insulating panel 42 is installed. This is possible because there is no door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 and the front side is composed of an insulating panel 42 . More precisely, when the door 24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it interferes with the water outlet nozzle 70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24, but in this embodiment, the door 24 is Since it is installed on the upper cover 20 side rather than the front side of the cabinet 10, there is no fear of interfering with the water outlet nozzle 70 when the door 24 is opened or closed.

상기 출수노즐(70)에 인접한 위치에는 전면패널(80)이 조립되고,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설치된다.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캐비넷(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평판형상이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전면패널(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단열패널(42) 중에서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한 제2패널(44)의 안쪽에 위치하는데, 이와 달리 상기 제2패널(44)의 높이가 더 낮고, 나머지 부분을 전면패널(80)이 메울 수도 있다. A front panel 80 is assembl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water outlet nozzle 70 , and a display 83 is installed on the front panel 80 . The front panel 80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0 and has a flat plat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front panel 8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panel 44 located relatively outside among the heat insulation panels 42 described above. It is low, and the front panel 80 may fill the remaining part.

상기 전면패널(80)에는 디스플레이(83)가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83)는 냉장고의 정보를 제공하거나, 명령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83)는 터치입력이 가능한 형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83)에는 상기 저장실(32)의 온도, 보관된 음료의 보관기간, 음료의 종류 등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원하는 저장실(32)의 온도, 내부 조명의 밝기, 냉장고 전원의 온/오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The front panel 80 includes a display 83 . The display 83 is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frigerator or an interface for inputting a command, and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83 is a type capable of a touch input. The display 83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 storage period of the stored beverage, the type of beverage, and the like, and the user may display the desired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 brightness of the internal lighting, and the power of the refrigerator. You can input on/off of

상기 전면패널(80)은 상기 출수노즐(70)과 같은 높이로 설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전면패널(80)에는 상기 출수노즐(70)의 연결관(72)이 통과하는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 연결관(72)이 상기 저장실(32)의 안쪽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The front panel 80 is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water outlet nozzle 70 . More precisely, a through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pipe 72 of the water outlet nozzle 70 passes is formed in the front panel 80, and the connection pipe 72 is connected to the storage chamber ( 32) can be connected to the inside.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개방된 상태로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다.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중심에 있는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음료용기(B)도 저장실(32) 바깥쪽으로 함께 딸려나오고, 반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상기 음료용기(B)를 끼운 후에 상기 저장실(32) 안으로 수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일종의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fitted in the cover assembly (90) in an open state. The cover assembly 90 serves to block the entrance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and at the same time also serves to shield the opening hole (22) in the center of the upper cover (20). In addition, when the user lifts the cover assembly 90, the beverage container B inserted into the cover assembly 90 also comes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and on the contrary, the beverage container (B) is attached to the cover assembly 90. After inserting B), it may be stor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32 . Accordingly, the cover assembly 90 may also serve as a kind of handle.

도 7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여 차폐한 모습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지면,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강하게 고정될 수 있고, 커버조립체(90)에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진 상태로 상기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보관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커버조립체(90) 자체게 구비되어 있다.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A of FIG. 5, and the cover assembly 90 is shown in cross-sectional view by pressing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and shielding. In this way, when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fitted to the cover assembly (90),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can be strongly fixed, and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cover assembly (90)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Ba) of (B) is inserted. And, the structure for the cover assembly 90 to press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provided with the cover assembly 90 itself.

도 8에는 커버조립체(90)의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9는 상기 커버조립체(9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을 분해하여 보인 것이다.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하는 커버플레이트(9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그 안쪽에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지는 결합부(9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는 회전가능하게 손잡이부(95)가 조립되는데, 상기 손잡이부(95)가 도 3과 같이 회전하여 들어올려지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할 수 있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assembly 90 , and FIG. 9 is an exploded view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ver assembly 90 .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assembly 90, the cover assembly 90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cover plate 91 and the cover plate 91 for shielding the open hole 22, the beverage inside it It includes a coupling portion 93 into which the inlet Ba of the container B is fitted. And the cover plate 91 is rotatably assembled with a handle portion 95, when the handle portion 95 is rotated and lifted as shown in FIG. 3, the user can grip it.

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상부커버(20)의 개방홀(22)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는 부분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대략 판상구조이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한쪽은 직사각형상이고, 다른쪽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비대칭구조이다. 그리고 원호형상으로 구성된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다른쪽에는 손잡이부(95)가 둘러싸게 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ver plate 91 is a portion fix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hole 22 of the upper cover 20, and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plate 91 has a substantially plate-shaped structure. One side of the cover plate 91 has a rectangular shape,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in an arc shape to have an asymmetric structure. And the other side of the cover plate 91 configured in the arc shape is surrounded by the handle portion 95.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상기 개방홀(22)과 그 주변을 덮기 때문에,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하면,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일종의 내부도어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상부커버(20)에 조립되면 조립된 위치에서 움직일 수 없으므로, 상기 커버조립체(90)에 끼워진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도 자연스럽게 정확한 위치에 고정된다. 특히,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개방홀(22) 주변의 안착부분과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앞서 설명한 대로 전후가 비대칭구조이므로, 오조립될 가능성도 없다. Since the cover plate 91 covers the opening hole 22 and its periphery, when the cover assembly 90 is assembled to the upper cover 20, the cover assembly 90 serves as a kind of inner door. . And when the cover assembly 90 is assembled to the upper cover 20, it cannot move in the assembled position, so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fitted to the cover assembly 90 is also naturally fixed at the correct position. do.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3, the seating portion around the open hole 22 and the cover plate 91 are made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cover plate 91 has an asymmetric structure before and aft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ossibility of assembly.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아래쪽에는 결합부(93)가 있는데, 상기 결합부(93)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홀(22) 안쪽, 보다 정확하게는 저장실(32) 내부로 어느 정도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93)에는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끼워져 차폐된다. There is a coupling part 93 under the cover plate 91 , the coupling part 93 protrudes downward from the cover plate 91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hole 22 , more precisely, the storage compartment 32 . It can be inserted to some extent inside.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fitted to the coupling portion 93 and shielded.

상기 손잡이부(95)는 상기 커버조립체(90)에 음료용기(B)를 끼워 이동시킬 때는 도 3과 같이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상기 저장실(32)에 음료용기(B)를 수납한 후에는 회전하여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연속된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The handle portion 95 is used in an upright state as shown in FIG. 3 when moving the beverage container B into the cover assembly 90, but after storing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It can be rotated to form a continuous plane with the cover plate 91). That is, it may be seen that the handle portion 95 constitutes a part of the cover plate 91 .

이때,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여 도 3과 같이 들어올려지면, 상기 손잡이부(95)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93)를 변형시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상기 결합부(93) 안쪽에 강하게 눌려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handle portion 95 is rotated and lifted as shown in FIG. 3 , a portion of the handle portion 95 deforms the coupling portion 93 so that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The coupling portion 93 may be strongly pressed inside to be fixed, and a detail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본 실시례에서 상기 손잡이부(95)에는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결합부(93)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캠돌부(95b')가 있다. 그리고 캠돌부(95b')는 상기 결합부(93)가 상기 캠돌부(95b')에 밀려 이동하면 압축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을 압박하게 된다. In this embodiment, in the handle portion 95, th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93 of the cover assembly 90 is variable as the handle portion 95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over assembly 90. There is a cam protrusion 95b'. And the cam protrusion (95b') is compressed when the coupling part 93 is pushed by the cam protrusion (95b') to press the vicinity of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도 9에는 커버조립체(90)의 구성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상기 커버조립체(90)를 구성하는 커버플레이트(91)는 크게 3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플레이트(91)는 가장 위쪽에 위치하는 제1플레이트(91a)와 가장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플레이트(91b)가 서로 조립되고, 그 사이에는 단열블록(91c)이 삽입된다. 상기 단열블록(91c)은 폴리우레탄 수지나 에어로겔 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짐으로써, 상기 커버조립체(90) 자체가 내부도어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단열블록(91c)은 상기 제1플레이트(91a)와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사이에 단열재가 충진되어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다. 9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assembly 90 in an exploded state. As can be seen, the cover plate 91 constituting the cover assembly 90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parts. The cover plate 91 is assembled with a first plate 91a positioned at the uppermost portion and a second plate 91b positioned at the lowermost position, and an insulating block 91c is inserted therebetween. The insulating block 91c is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olyurethane resin or airgel, so that the cover assembly 90 itself can serve as an inner door. The heat insulating block 91c may be made by filling an insulating material between the first plate 91a and the second plate 91b.

상기 제1플레이트(91a)와 상기 제2플레이트(91b) 사이에는 손잡이부(95)가 삽입되는데, 상기 손잡이부(95)는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91a)와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각각 제1회전홈(91a')과 제2회전홈(91b')이 있다. 상기 제1회전홈(91a')과 제2회전홈(91b')은 서로 맞물려 대략 원형의 긴 채널을 만들고, 여기에는 손잡이부(95)의 회전축(95b)이 삽입된다. 물론, 상기 단열블록(91c)에도 상기 손잡이부(95)의 회전축(95b)이 끼워지는 회전홈(91c')이 존재할 수 있다. A handle portion 95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plate 91a and the second plate 91b. Since the handle portion 95 must be rotatably assembled, the first plate 91a and the second plate 91b A first rotation groove 91a ′ and a second rotation groove 91b ′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portions of the second plate 91b facing each other. The first rotation groove (91a') and the second rotation groove (91b')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orm a substantially circular long channel, and the rotation shaft 95b of the handle part 95 is inserted therein. Of course, a rotation groove 91c' into which the rotation shaft 95b of the handle part 95 is fitted may also exist in the heat insulating block 91c.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중심에는 작동홀(91b'')이 관통된다. 상기 작동홀(91b'')은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중심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빈 공간으로, 여기에는 손잡이부(95)의 회전축(95b)에 있는 캠돌부(95b')가 위치한다. 상기 캠돌부(95b')는 상기 작동홀(91b'')을 통해 아래쪽으로 돌출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가압블록(94a)을 눌러줄 수 있다. An operation hole 91b''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91b. The operation hole 91b'' is an empty space penetr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second plate 91b, where the cam protrusion 95b' on the rotation shaft 95b of the handle part 95 is located. do. The cam protrusion 95b' may press the pressing block 94a to be described below while protruding downward through the operation hole 91b''.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는 결합부(93) 및 가압부(94)가 조립된다. 상기 결합부(93)와 가압부(94)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을 감싸는 것으로, 단순히 음료용기(B)의 입구(Ba) 주변을 감싸는데 그치지 않고, 음료용기(B)의 입구(Ba) 표면을 강하게 압박하여 음료용기(B)가 상기 커버조립체(9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A coupling part 93 and a pressing part 94 are assembled to the cover plate 91 . The coupling portion 93 and the pressing portion 94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late 91 to wrap around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and simply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 not only wraps around, but also strongly presses the surface of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o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B)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assembly (90).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결합부(93)는 일종의 하우징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기에 상기 가압부(94)가 삽입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부(93)의 중심에 있는 결합공간(93a)과 상기 커버플레이트(91) 사이에 가압부(94)가 조립되는 것이다. 상기 결합공간(93a)에는 가압부(94)가 설치되고,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상기 가압부(94) 안쪽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Specifically, the coupling part 93 serves as a kind of housing, and the pressing part 94 may be inserted therein. More precisely, the pressing part 94 is assembled between the coupling space 93a at the center of the coupling part 93 and the cover plate 91 . A pressing part 94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space 93a, and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located inside the pressing part 94.

상기 가압부(94)는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상기 결합부(93)의 사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로부터 상기 결합부(93)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가압부(94)는 상기 회전축(95b)의 캠돌부(95b')에 의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는 역할을 한다. The pressing part 94 is installed between the cover plate 91 and the coupling part 93 , and at least a portion is movable from the cover plate 91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93 . The pressing part 94 is elastically deformed while moving downward by the cam protrusion 95b' of the rotation shaft 95b, and serves to press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이러한 구조를 자세히 보면,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가압부(94)는 가압블록(94a), 고정플레이트(94b) 및 압박블록(94c)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블록(94a)은 상기 커버플레이트(91) 및 상기 결합부(93)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가압블록(94a)은 상기 손잡이부(95)의 상기 캠돌부(95b')에 의해 상기 결합부(93)의 저면 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즉, 상기 손잡이부(95)가 회전하면 상기 가압블록(94a)은 이에 연동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Looking at this structure in detail, as shown in FIG. 9 , the pressing part 94 includes a pressing block 94a, a fixing plate 94b and a pressing block 94c. The pressing block (94a) is installed so as to be liftable between the cover plate (91) and the coupling portion (93), the pressing block (94a) is on the cam protrusion (95b') of the handle (95). is pr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93 by the That is, when the handle portion 95 rotates, the pressing block 94a can move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it.

상기 가압블록(94a)은 상기 손잡이부(95)에 연동하여 아래쪽, 즉 상기 압박블록(94c) 방향으로 이동하여 압박블록(94c)을 탄성변형시키는데, 상기 가압블록(94a)의 하강 거리는 상기 압박블록(94c)을 눌러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정도면 되므로, 상기 가압블록(94a)이 실제 승강하는 거리는 크지 않을 수 있다. The pressing block 94a is linked to the handle 95 and moves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ing block 94c to elastically deform the pressing block 94c, and the downward distance of the pressing block 94a is the pressing distance. Since it is enough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pressing the block 94c, the distance the pressing block 94a actually moves may not be large.

상기 가압블록(94a)은 대략 원기둥형상으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을 수 있고, 강도가 높아 탄성변형량이 적은 재질인 것이 좋다. 상기 가압블록(94a)에는 걸림홈(94a')이 함몰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홈(94a')에는 고정플레이트(94b)의 체결암(94b')이 삽입될 수 있다. The pressing block 94a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or metal,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strength and a small amount of elastic deformation. A locking groove 94a' is recessed in the pressing block 94a, and a fastening arm 94b' of the fixing plate 94b may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94a'.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가압블록(94a)에 눌려 탄성변형되는 것으로,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변형이 용이한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압박블록(94c)은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감싸야 하므로 중심에 압박홀(94c')이 관통된 원통형상이고, 상기 가압블록(94a)의 저면에 눌려야 하므로 그 직경은 상기 가압블록(94a)의 직경과 비슷하다. The pressing block 94c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block 94a,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such as rubber or silicone. The pressure block 94c has a cylindrical shape through which a pressure hole 94c' is penetrated in the center because it has to surround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and must be pres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essure block 94a, so its diameter is It is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block (94a).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결합부(93)의 결합공간(93a) 안에 위치한다.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결합공간(93a) 안에서 상기 가압블록(94a)에 의해 눌려 탄성변형되므로, 직경이 커지는 방향으로는 탄성변형될 수 없고, 상기 압박홀(94c')의 직경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압박블록(94c)이 탄성변형되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상기 압박홀(94c') 내부에 강하게 끼어, 상기 커버조립체(90)와 상기 음료용기(B) 사이의 결합력이 높아지게 된다. The pressing block 94c is located in the coupling space 93a of the coupling part 93 . Since the pressing block 94c is elastically deformed by being pressed by the pressing block 94a in the coupling space 93a, it cannot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and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hole 94c' decreases. inevitably elastically deformed in one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pressure block (94c) is elastically deformed,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rongly inserted into the pressure hole (94c'), and between the cover assembly 90 and the beverage container (B). bonding strength is increased.

상기 결합부(93)의 상면에는 체결홈(93b)이 있다. 상기 체결홈(93b)은 상기 결합부(93)의 상면에서 함몰된 것으로, 여기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94b)의 체결암(94b')이 체결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94b)가 상기 결합부(93)의 체결홈(93b)에 조립되면, 상기 고정플레이트(94b)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가압블록(94a)의 승강높이가 제한된다. 상기 가압블록(94a)의 걸림홈(94a')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94b)의 체결암(94b')이 끼워진 상태인데, 상기 가압블록(94a)이 하강하다가 상기 걸림홈(94a')의 안쪽 끝에 상기 체결암(94b')이 닿으면 상기 가압블록(94a)은 더 이상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것이다.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93 has a fastening groove 93b. The fastening groove 93b is reces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93, and the fastening arm 94b' of the fixing plate 94b is fastened thereto. When the fixing plate 94b is assembled into the fastening groove 93b of the coupling part 93, the fixing plate 94b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and thus the elevation height of the pressing block 94a is limited. do. The locking arm 94b' of the fixing plate 94b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94a' of the pressing block 94a, and while the pressing block 94a descends, the inside of the locking groove 94a' When the end of the fastening arm (94b') is touched, the pressing block (94a) can no longer move downward.

한편, 상기 결합부(93)는 상기 가압부(9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가압부(94)가 분해되지 않고 상기 결합공간(93a)과 상기 제2플레이트(91b)의 상기 작동홀(91b'') 사이에 수납되어 있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part 93 is assembled to the cover plate 91 with the pressing part 94 interposed therebetween, so that the pressing part 94 is not disassembled and the coupling space 93a and the second plate are assembled. It may be accommodated between the operation holes 91b'' of the 91b.

상기 손잡이부(95)를 보면, 상기 손잡이부(95)는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원호형상의 파지몸체(95a)와, 상기 파지몸체(95a)의 끝에서 연결되는 회전축(95b)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95b)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도 3과 같이 상기 손잡이부(95)가 세워지면 상기 가압부(94)가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하는 상태가 되지만, 상기 손잡이부(95)가 상기 커버플레이트(91)와 같은 평면을 이루도록 눕혀지면 상기 가압부(94)가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압박한 상태가 해제된다. Looking at the handle portion 95, the handle portion 95 is composed of an arc-shaped gripping body 95a to be gripped by the user, and a rotating shaft 95b connected at the end of the gripping body 95a. The rotation shaft 95b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cover plate 91 . When the handle portion 95 is erected as shown in FIG. 3 , the pressing portion 94 is in a state of pressing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but the handle portion 95 is the cover plate 91 . When it is laid down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pressurizing portion 94, the state of pressing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released.

도 7 및 도 9에서 보듯이, 상기 회전축(95b)에는 캠돌부(95b')가 있는데, 상기 캠돌부(95b')는 상기 손잡이부(95)의 회전에 따라 아래쪽, 즉 상기 가압부(94)를 향해 돌출된 정도가 달라진다. 정확하게는, 상기 손잡이부(95)가 세워지는 방향(도 7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캠돌부(95b')는 가압부(94)의 가압블록(94a)을 향해 돌출된 정도가 커지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블록(94a)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상기 캠돌부(95b')는 다양한 형상일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원형의 단면인 회전축(95b)에서 더 돌출되어 대략 직교한 모서리를 갖는 형상이다. 7 and 9, there is a cam protrusion 95b' on the rotation shaft 95b, and the cam protrusion 95b' moves downwar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andle part 95, that is, the pressing part 94. ) and the degree of protrusion toward Precisely, when the handle part 95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erected (counterclockwise with reference to FIG. 7 ), the cam protrusion part 95b ′ protrudes toward the pressing block 94a of the pressing part 94 . As the degree increases, the pressing block 94a is pressed down accordingly. The cam protrusion 95b ′ may have various shapes. In this embodiment, the cam protrusion 95b ′ protrudes further from the rotation shaft 95b , which i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has an approximately orthogonal edge.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커버플레이트(91)의 내부에는 음료공급관인 전달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관은 한쪽은 상기 음료용기(B)의 내부로 삽입되고, 반대쪽은 상기 출수노즐(70)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B)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츨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버조립체(90)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감싼 상태로 상기 상부커버(20)에 안착되면 상기 전달관은 상기 출수노즐(70)과 상기 음료용기(B)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음료용기(B)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즐(70)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the inside of the cover plate 91 may be provided with a delivery pipe that is a beverage supply pipe. One side of the delivery pipe is inserted into the beverage container (B),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70, and serves to transfer the beverag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oward the water outlet nozzle. That is, when the cover assembly 90 is seated on the upper cov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wrapped, the delivery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let nozzle 70 and the beverage container (B). By connecting them,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B) can be delivered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70).

도 11에는 음료용기(B)를 냉장고의 저장실(32)에 수납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보듯이, 사용자는 먼저 냉장고의 커버(24)를 열고, 개방홀(22)을 막고 있는 커버조립체(90)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막고 있는 상태인데, 손잡이부(95)가 상부커버(20) 쪽으로 회전되어 있으므로 먼저 손잡이부(95)를 상부커버(20)에서 멀어지는 방향, 즉 상기 손잡이부(95)를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11,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of the refrigerator is sequentially shown. As can be seen, the user first opens the cover 24 of the refrigerator and separates the cover assembly 90 blocking the opening hole 22 . At this time, the cover assembly 90 is in a state of blocking the opening hole 22 , and since the handle portion 95 is rotated toward the upper cover 20 , first move the handle portion 95 away from the upper cover 20 . , that is, the handle portion 95 must be rotated in a direction in which it is erected.

상기 손잡이부(95)가 세워지면, 사용자는 손잡이부(95)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커버조립체(90) 전체를 상기 개방홀(22)에서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a)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분리하면 상기 저장실(32)의 위쪽이 외부로 드러난 상태가 된다. When the handle portion 95 is erected, the user can separate the entire cover assembly 90 from the opening hole 22 while holding the handle portion 95 .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1 (a). When the cover assembly 90 is removed,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chamber 32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저장실(32)이 외부로 드러나지만, 노출되는 면적은 개방홀(22)의 면적에 한정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개방홀(22)은 음료용기(B)의 출입구이므로 음료용기(B)가 삽입될 수 있을 정도, 즉 상기 음료용기(B)의 폭(직경) 보다 약간 큰 정도로 형성된다. 따라서, 출입구인 상기 개방홀(22)이 오픈되더라도 상기 저장실(32)의 냉기가 누설되는 면적이 개방홀(22)에 한정되어 좁기 때문에 냉기누설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At this time, although the storage chamber 32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exposed area is limited to the area of the open hole 22 .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opening hole 22 is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he beverage container (B) can be inserted, that is, it is formed to a degree slightly larger than the width (diameter)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herefore, even when the open hole 22, which is the entrance, is opened, since the area through which the cold air leaks from the storage chamber 32 is limited to the open hole 22 and narrow, heat loss due to cold air leakage can be minimized.

이어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음료용기(B)에 결합한다. 상기 음료용기(B)는 뚜껑이 제거된 상태고,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부(Ba)에 끼우면,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압입부(93)가 상기 입구부(Ba)의 주변을 감싸면서 강하게 고정해준다. Then, the user couples the cover assembly 90 to the beverage container (B). The beverage container (B) is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removed, and when the cover assembly 90 is inserted into the inlet par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the press-fitting part 93 of the cover assembly 90 is the It is strongly fixed while wrapping around the inlet part (Ba).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손잡이부(95)를 눕힌 상태로 만든 후에, 상기 커버조립체(90)의 결합부(93)의 안쪽에 있는 결합공간(93a)에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끼운다. 이어서 상기 손잡이부(95)를 다시 세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결합공간(93a) 안에 음료용기(B)의 입구(Ba)가 강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모습이 도 12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More precisely, after making the handle portion 95 of the cover assembly 90 in a lying state,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coupling space 93a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portion 93 of the cover assembly 90 ) and insert the inlet (Ba). Then, when the handle portion 95 is rotated in a direction to be erected again,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rongly fixed in the coupling space 93a. Such a state is shown in FIGS. 12 and 13 .

도 12를 보면,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손잡이부(95)가 눕힌 상태로 있는데, 이때는 회전축(95b)의 상기 캠돌부(95b')가 아직 상기 가압부(94)의 가압블록(94a)을 누르기 전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블록(94a) 역시 압박블록(94c)을 탄성변형시키기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상기 압박블록(94c)의 안쪽에 있는 압박홀(94c')에 비교적 쉽게 끼워질 수 있다. 12, the handle portion 95 of the cover assembly 90 is in a lying state. At this time, the cam protrusion 95b' of the rotation shaft 95b is still the pressing block 94a of the pressing part 94. before pressing Therefore, since the pressing block 94a also does not elastically deform the pressing block 94c,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a pressing hole 94c' on the inside of the pressing block 94c. can be inserted relatively easily.

이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95)를 화살표 ①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돌부(95b')는 같은 방향인 화살표 ②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캠돌부(95b')가 상기 가압부(94)를 구성하는 가압블록(94a)을 아래쪽, 즉 도 13의 화살표 ③방향으로 누르게 된다. 상기 가압블록(94a)이 하강하면, 상기 가압블록(94a)의 아래쪽에 적층된 형태로 밀착되어 있는 상기 압박블록(94c)이 눌려 탄성변형된다. When the handle portion 95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① in this state, the cam protrusion 95b ′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② in the same direction. In this case, the cam protrusion 95b ′ presses the pressing block 94a constituting the pressing portion 94 downward, that i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3 in FIG. 13 . When the pressing block 94a is lowered, the pressing block 94c,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ressing block 94a in a stacked form, is pressed and elastically deformed.

이때, 상기 압박블록(94c)은 바깥쪽이 상기 결합부(93)에 의해 막혀 있으므로, 안쪽(화살표 ④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압박블록(94c)의 중심에 있는 압압홀(94c')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압박블록(94c)은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강하게 눌러 고정시켜줄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outer side of the pressing block 94c is blocked by the coupling portion 93, it is inevitably elastically deformed inward (arrow ④ direction). Therefore, as the diameter of the pressing hole (94c') in the center of the pressing block (94c) is reduced,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rongly pressed. As a result, the pressing block (94c) can be fixed by strongly pressing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따라서 도 11(b)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들어올리면, 상기 음료용기(B)도 함께 들어올려지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커버조립체(90)의 손잡이부(95)를 파지하고, 상기 음료용기(B)를 냉장고의 상기 개방홀(22)을 통해 저장실로 수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11(c)에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사용자는 상기 음료용기(B)를 커버조립체(90)에 끼운 상태로 저장실(32)에서 꺼내거나 저장실(32)에 수납할 수 있다. 이렇게 커버조립체(90)가 일종의 손잡이 역할을 함으로써 음료가 담겨 무거운 음료용기(32)의 입출이 용이해질 수 있다. 특히, 음료용기(B)의 입구(Ba)는 폭이 좁기 때문에 파지하기 어려운데, 상기 커버조립체(90)를 이용하면 음료용기(B)를 쉽게 옮길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user lifts the cover assembly 90 as shown in Figure 11 (b), the beverage container (B) is also lifted together. The user may hold the handle portion 95 of the cover assembly 90 and store the beverage container B into the storage chamber through the open hole 22 of the refrigerator. Such a state is shown in Fig. 11(c). In this way, the user can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B)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32) in a state inserted in the cover assembly (90), or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In this way, the cover assembly 90 serves as a kind of handle, so that it is easy to put in and out of the heavy beverage container 32 in which the beverage is contained. In particular,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difficult to grip because the width is narrow, using the cover assembly (90) can easily move the beverage container (B).

도 11(d)에서 보듯이, 상기 음료용기(B)가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삽입되면,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를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조립체(90)는 상기 개방홀(22)을 차폐하여 그 자체가 내부도어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어(24)와 함께 커버조립체(90)가 저장실을 차폐해주므로, 출입구인 개방홀(22)을 이중으로 단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11 (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the cover assembly 90 is to shield the opening hole (22). The cover assembly 90 shields the opening hole 22 and serves as an internal door itself. Therefore, since the cover assembly 90 together with the door 24 shields the storage room, the open hole 22, which is the entrance, can be double insulated, thereby increasing the insulation effect.

한편, 상기 음료용기(B)를 상기 저장실(32)에 수납하는 과정을 자세히 보면, 상기 음료용기(B)의 바닥은 저장실(32)의 내부에 있는 받침대(33)에 지지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33)의 승강바디가 승강가능한 구조이므로, 다양한 높이의 음료용기(B)가 상기 저장실(32)에 수납될 수 있다. 즉, 높이가 높은 음료용기(B)가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저장실(32)의 높이를 더 확보해주고(도 15참조), 높이가 낮은 음료용기(B)가 수납되면 상기 승강바디가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상승하여 남은 공간을 메우는 것이다.(도 14참조)On the other hand, if you look closely at the process of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 bottom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upported on the pedestal 33 in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At this time, since the elevating body of the pedestal 33 has a structure capable of elevating, beverage containers B of various heights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 That is,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having a high height is accommodated, the elevating body descends downward to further secure the height of the storage compartment 32 (see FIG. 15), and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with a low height is accommodated, the elevating body is lowered. The body rises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to fill the remaining space. (See FIG. 14)

이 과정에서 상기 받침대(33)의 상기 탄성부재(33a)는 상기 승강바디를 탄성지지해준다. 상기 탄성부재(33a)는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강바디를 아래쪽에서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즉, 상기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바디가 상기 개방홀(22) 방향으로 최대한 상승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In this process, the elastic member 33a of the pedestal 33 elastically supports the lifting body. The elastic member 33a may be formed of a spring, and may support the elevat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from below.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B) is not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the elevating body is in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body is maximally raise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22).

결과적으로 상기 음료용기(B)의 하단은 받침대(33)가 지지하고, 상단의 입구(Ba)는 커버조립체(90)가 지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받침대(33)의 중심은 상기 커버조립체(90)에서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감싸 고정하는 결합부(93)의 중심과 일치한다. 따라서 커버조립체(90)로 음료용기(B)를 고정한 상태로 음료용기(B)를 저장실(32) 내부에 수납하면, 상기 커버조립체(90)와 상기 받침대(33)의 사이에 음료용기(B)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음료용기(B)의 중심을 일일이 조정할 필요가 없다. As a result, the lower end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33, and the upper inlet (Ba) is supported by the cover assembly 90.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pedestal 33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93 for wrapping and fixing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cover assembly 90 . Therefore,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ored in the storage chamber 32 in a state in which the beverage container (B) is fixed with the cover assembly (90), the beverage container (B) between the cover assembly (90) and the pedestal (33) ) can be precisely aligned,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adjust the center of the beverage container (B) one by one.

이어서, 들어올려져 있던 상기 손잡이부(95)를 눕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손잡이부(95)는 상기 상부커버(20)의 상기 개방홀(22) 주변에 함몰된 상기 커버안착단(22')을 메우게 된다. 도 11를 기준으로 보면, 상기 손잡이부(9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e)에 잘 도시되어 있다. Then, when the lifted handle portion 95 is rotated in a direction to lay down, the handle portion 95 closes the cover seating end 22 ′ recessed around the opening hole 22 of the upper cover 20 . will be filled Referring to FIG. 11 , the handle 95 is rotated clockwise. Such a state is well illustrated in Fig. 11(e).

이렇게 되면, 상기 캠돌부(95b')가 상기 가압부(94)의 가압블록(94a)을 눌렀던 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압박블록(94c)이 상기 음료용기(B)의 입구(Ba)를 강하게 누르고 있던 상태도 해제될 수 있다. When this happens, the cam protrusion (95b') releases the pressing block (94a) of the pressing part (94), so that the pressing block (94c) closes the inlet (Ba) of the beverage container (B). It can be released even if it was pressed strongly.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도어(24)를 회전시켜 닫으면 상기 커버조립체(90)를 비롯한 상부커버(20)의 위쪽이 차폐된다. 이때, 상기 도어(24)에는 단열플레이트(24c)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도어(24)도 외부도어로서 단열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Finally, when the user rotates and closes the door 24 ,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20 including the cover assembly 90 is shielded. At this time, since the door 24 includes the heat insulating plate 24c, the door 24 can also perform a heat insulating function as an external door.

이렇게 음료용기(B)가 저장실(32)에 수납되면, 상기 음료용기(B)와 상기 출수노즐(70) 사이가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출수노즐(70)을 통해 저장실(32)에 있는 음료용기(B)의 음료를 취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음료용 냉장고의 내부에 저장된 음료용기(B)를 꺼내지 않고도 출수노즐(70)을 통해 음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음료용기(B)를 꺼내기 위해서 도어(24)를 여느 순간 매번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beverage container (B) is stor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32 in this way, the beverage container (B) and the water outlet nozzle (70) are connected. Therefore, the user can take out the beverage from the beverage container (B) in the storage chamber (32) through the water extraction nozzle (70). The user can receive the beverage through the water outlet nozzle 70 without taking out the beverage container B stored in the beverage refrigera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loss that occurs every time the door 24 is opened at any moment in order to take out the beverage container (B).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the above, even though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as on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herent, unless otherwise stated, so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Rather, it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able to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commonly used,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캐비넷 20: 상부커버
22: 개방홀 24: 도어
26: 하부커버 30: 이너케이스
33: 받침대 35: 수납바디
40: 냉각가이드 51: 소자하우징
55: 열전소자 57: 쿨링블록
58: 히트싱크 60: 단열프레임
65: 방열팬 70: 출수노즐
80: 상부패널 90: 커버조립체
C: 냉각장치
10: cabinet 20: top cover
22: open hole 24: door
26: lower cover 30: inner case
33: pedestal 35: storage body
40: cooling guide 51: element housing
55: thermoelectric element 57: cooling block
58: heat sink 60: insulation frame
65: heat dissipation fan 70: water outlet nozzle
80: upper panel 90: cover assembly
C: chiller

Claims (14)

위쪽으로 개방된 개방홀을 통해 내부가 노출되는 저장실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에 세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된 음료용기를 수납하는 캐비넷;
상기 저장실의 바닥에서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돌출되되, 승강을 통해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돌출된 정도가 조절되는 받침대;
상기 저장실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며,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
상기 캐비넷의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음료용기에 연결되어 상기 음료용기에 담긴 음료를 외부로 공급할 수 있는 출수노즐; 및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감싸 고정하고, 상기 캐비넷의 상부커버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아 상기 저장실을 차폐하는 커버조립체;를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exposed to the inside through an upwardly opened open hole, and accommodating a beverage container inserted in a direction to stand in the storage chamber through the open hole;
a pedestal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storage chamber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th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being adjusted through lifting and lowering;
a cooling device installed inside the cabinet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torage chamber and cooling the storage chamber us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 water outlet nozzle install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cabine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connected to the beverage container to supply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beverage container to the outside; and
A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ing a; a cover assembly that surrounds and fixes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blocks the opening hole to shield the storage compartment when it is caught and fixed on the upper cover of the cabin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커버에는 상기 저장실과 외부를 연결시키는 개방홀이 관통되어, 상기 음료용기가 상기 개방홀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에 수납될 수 있는 음료용 냉장고.
The beverag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open hole connecting the storage chamber and the outside is penetrated in the upper cover, and the beverage container can be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hamber through the open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캐비넷의 바닥으로부터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바디; 및
상기 승강바디를 상기 개방홀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edestal
an elevating body provided to be elevated from the bottom of the cabinet; and
A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ing a; an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ift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ho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중심은 상기 커버조립체에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 고정하는 결합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beverag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nter of the pedestal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that wraps and fixes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cover assemb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상부커버의 개방홀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면 상기 개방홀을 가로막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에서 상기 개방홀 안쪽으로 돌출되고,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싸 차폐하는 결합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ssembly is
a cover plate that blocks the opening hole when it is fixed to the edge of the opening hole of the upper cover;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over plate to the inside of the opening hole, and enclosing and shielding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ing a; a handl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cover plate to protrud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커버조립체를 기준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커버조립체의 결합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가 가변되는 캠돌부가 있고, 상기 결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조립체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가 상기 캠돌부에 밀려 이동하면 압축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부를 주변을 압박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handle portion has a cam protrusion to which the degree of protrus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ver assembly is variable as the handle portion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over assembl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is moved to the cover assembly. Provided as possible, when the coupling part is pushed and moved to the cam protrusion, it is compressed to press the periphery of the inlet part of the beverage conta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는
상기 개방홀 주변을 차폐하는 커버플레이트;
상기 커버플레이트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감싸는 결합부;
상기 커버플레이트와 상기 결합부의 사이에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커버플레이트로부터 상기 결합부의 저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가압부; 및
상기 커버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회전과정에서 상기 가압부를 눌러 이동시켜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압박하게 하는 캠돌부가 구비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ver assembly is
a cover plate for shielding the periphery of the open hole;
a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plate and surrounding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a pressing part installed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coupling par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movable from the cover plate to a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and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ing a; is rotatably assembled to the cover plate, the handle portion provided with a cam protrusion for pressing and moving the pressing portion in the rotation process to press the periphery of the mouth of the beverage contain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커버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부 사이에서 승강가능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상기 캠돌부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저면 방향으로 눌릴 수 있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 보다 상기 결합부의 저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결합부의 내부에 수납되어 상기 결합부와 함께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감싸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면 상기 캠돌부에 의해 눌린 상기 가압블록에 의해 탄성변형되어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 주변을 압박하는 압박블록;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ressing part
a pressing block capable of lifting and lowering between the cover plate and the coupling part and being press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by the cam protrusion part of the handle part;
It is located closer to the bottom of the coupling part than the pressing block, is accommodated in the coupling part 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mouth of the beverage container together with the coupling part, and when the handle part rotates, by the pressing block pressed by the cam protrusion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ing; a compression block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to press the periphery of the inlet of the beverage container.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압블록과 상기 압박블록의 사이에는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커버플레이트 또는 상기 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 고정되어 상기 가압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beverag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a fixing plate is provided between the pressing block and the pressing block, and the fixing plate is fixed to at least one of the cover plate and the coupling par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block.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의 커버플레이트는
제1플레이트;
상기 커버조립체의 손잡이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 조립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블록;을 포함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cover plate of the cover assembly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assembled to the first plate with the handle of the cover assembly therebetween; and
Beverage refrigerator comprising; an insulating block install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조립체의 내부에는 전달관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조립체가 상기 음료용기의 입구를 감싼 상태로 상기 상부커버에 안착되면 상기 전달관은 상기 출수노즐과 상기 음료용기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음료용기의 음료를 상기 출수노즐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elivery pipe is provided inside the cover assembly, and when the cover assembly is seated on the upper cover in a state that surrounds the entrance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delivery pipe connects between the water outlet nozzle and the beverage container A beverage refrigerator capable of delivering the beverage in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direction of the water outlet nozz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을 사이에 두고 상기 냉각장치의 반대편에 해당하는 상기 이너케이스의 전면에는 단열패널이 설치되며,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저장실의 앞부분을 차폐하고, 상기 단열패널은 상기 캐비넷의 전면을 구성하며 상기 저장실을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인 음료용 냉장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oling device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heat insulation panel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ner cas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cooling device with the storage room therebetween, and the heat insulation pane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refrigerator for beverages is made of a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 that shields the front part, and the insulation panel constitutes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allows the storage compartment to be transpare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출수노즐은 상기 캐비넷의 전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출수노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캐비넷의 전체 높이구간 안에 위치하는 음료용 냉장고.
The beverag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outlet nozzle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or at least a part of the water outlet nozzle is located within an entire height section of the cabine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케이스에는 다수개의 상기 저장실이 마련되고, 다수개의 상기 출수노즐은 각각 서로 다른 상기 저장실에 연결되는 음료용 냉장고.
The beverage refrigera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he storage chambers are provided in the inner case, and the plurality of water outlet nozzle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different storage chambers.
KR1020200028203A 2020-03-06 2020-03-06 Refrigerator for drinks KR20210112760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203A KR20210112760A (en) 2020-03-06 2020-03-06 Refrigerator for drinks
CN202180014853.9A CN115103989A (en) 2020-03-06 2021-02-15 Refrigerator for beverage
PCT/KR2021/001919 WO2021177627A1 (en) 2020-03-06 2021-02-15 Beverage refrigerator
EP21764401.2A EP4116656A1 (en) 2020-03-06 2021-02-15 Beverage refrigerator
US17/193,735 US20210278111A1 (en) 2020-03-06 2021-03-05 Refrigerator for drin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203A KR20210112760A (en) 2020-03-06 2020-03-06 Refrigerator for drin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760A true KR20210112760A (en) 2021-09-15

Family

ID=77793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203A KR20210112760A (en) 2020-03-06 2020-03-06 Refrigerator for drin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12760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906Y1 (en) 2005-01-04 2005-04-07 김현석 A Freezer For Wine
KR100526606B1 (en) 2003-07-08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Wine refrigerator
KR101482732B1 (en) 2013-08-21 2015-01-14 김용 Wine dispens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606B1 (en) 2003-07-08 2005-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Wine refrigerator
KR200380906Y1 (en) 2005-01-04 2005-04-07 김현석 A Freezer For Wine
KR101482732B1 (en) 2013-08-21 2015-01-14 김용 Wine dispens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9747B2 (en)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having a storage chamber
US9513049B2 (en) Refrigerator with bottom mount freezer with multiple sliding drawers
EP3232144A1 (en) Refrigerator
KR20210112760A (en) Refrigerator for drinks
KR100814692B1 (en) Refrigerator having door shelf height lifting cover
KR20210112761A (en) Refrigerator for drinks
CN109695993B (en) Portable refrigerating device
KR20210112990A (en) Refrigerator for drinks
EP4116656A1 (en) Beverage refrigerator
KR20210112993A (en) Refrigerator for drinks
CN109708367B (en) Portable refrigerating device
EP4116655A1 (en) Beverage refrigerator
CN113218123B (en) Portable refrigerating device
CN211084548U (en) Portable constant temperature hutch that refrigerates
KR102141999B1 (en) Ice table
CN109708363B (en) Portable refrigerating device
CN218442934U (en) Refrigerator
CN106766603B (en) Top transparent vertical foaming cabinet body, refrigeration equipment and cabinet body assembling method
CN106595169B (en) Vertical foaming cabinet body, refrigeration equipment and cabinet body assembling method
CN109708365B (en) Portable refrigerating device
WO2022000822A1 (en) Refrigerator
CN218442938U (en) Refrigerator
CN220001224U (en) Mechanical wine taking mechanism of wine storage cabinet
CN220855762U (en) Milk outlet structure for self-service milk vending machine
CN211664710U (en) Beer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