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638A -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 Google Patents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638A
KR20210112638A KR1020200027893A KR20200027893A KR20210112638A KR 20210112638 A KR20210112638 A KR 20210112638A KR 1020200027893 A KR1020200027893 A KR 1020200027893A KR 20200027893 A KR20200027893 A KR 20200027893A KR 20210112638 A KR20210112638 A KR 20210112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bracket
wiring
applian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9917B1 (en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200027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917B1/en
Publication of KR20210112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63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4Press fits, force fits, interference fits, i.e. fits without heat or chemical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8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 H02G3/281Installations of cables, lines, or separate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conduits or ducts pre-established in walls, ceilings or floors in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which comprises: a plurality of ducts (100) including a duct casing (110) having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a lower side wall and a cover (120) that is detachably installed on an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to open or close the upper side; and a bracket (300) for a mechanism which can be installed to cover one or more surfaces of the ducts (100) and has a wiring opening (390) on an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or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ducts (100) of a part where the bracket (300) for a mechanism is installed has an upper side opened and communicate with a wiring space (B)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ucts (100) and the inside of the bracket (300) for a mechanism.

Description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본 발명은 배관배선기구와, 이에 연결되는 범용의 브라켓을 일체형으로 구비한,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ct assembly having a piping wiring mechanism and a general-purpose bracket connected thereto as an integral body.

건축 시공시 전기선, 통신선 등 배선 공사가 이루어진다.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의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면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미관상 좋지 못하기에, 다양한 형태로 배선을 감싸거나 보호하여 배선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배관배선기구 또는 덕트가 사용된다.During construction, wiring works such as electric lines and communication lines are performed. When wiring, such as an electric or communication line,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 risk of a safety accident and the aesthetics are not good. As a method for this, a piping wiring mechanism or a duct is used.

배관배선기구는, 벽체, 바닥, 천정슬라브, 기둥 등의 공사시 배관배선기구를 매립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배관배선기구는, 매립되는 PVC 또는 주름관과 같은 배관과, 이러한 배관 내에 위치하는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케이블 등 다양한 배선과, 여기에 필요한 전원수구, 스위치 등을 구비한 배선기구 박스를 의미한다.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s constructed by embedding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during construction of walls, floors, ceiling slabs, columns, etc. and then pouring concrete. The piping wiring apparatus used herein includes piping such as PVC or corrugated pipe to be buried, various wiring such as electric wires, communication lines, telephone lines, data cables, etc. located in such piping, and wiring apparatus having power supply fittings, switches, etc. necessary for this. means box.

배관배선기구를 매립하여 시공할 수도 있지만, PC(pre-cast) 공법을 사용하는 경우, 또는 매립되는 구조체 배근이나 구조체의 위치, 시공 난이도 등 다양한 이유에 의해, 배관배선기구의 매립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종종 있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 PC 공법이 널리 사용되는바, 배관배선기구의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다.Although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piping and wiring equipment by embedding it, when the PC (pre-cast) method is used, or when the embedding of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tself is not possible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the placement of the embedded structure, the location of the structure, and the difficulty of construc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often In particular, since the recent PC method is widely used, the use of piping and wiring mechanisms is very limited.

배관배선기구 없이 배관이나 배선 덕트를 사용하는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A method of using a pipe or a wiring duct without a pipe wiring device is also used.

배관은 아연도금강으로 형성되며, 배관이 배선을 감싸서 보호한다. 배관 자체의 크기는 크지 않은 편으로 비교적 자유로운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시공성이 우수하다. 하지만, 배관 자체의 내구성이 높지 않아 안정성이 낮으며, 배선을 분기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해 해체/재조립이 어렵고, 외부 충격에 취약하여 내구성이 낮고 미관성 좋지 않다. 배관을 천정슬라브 등에 매달기 위한 별도 브라켓과 기구 설치를 위한 별도 브라켓이 각각 필요하다.The pipe is formed of galvanized steel, and the pipe wraps and protects the wiring. The size of the pipe itself is not large, and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relatively freely, so it has excellent workability. However, the durability of the pipe itself is not high, so the stability is low, disassembly/reassembly for branching or maintenance is difficult, and it has low durability and poor aesthetics because it is vulnerable to external shock. A separate bracket for hanging the pipe from the ceiling slab, etc. and a separate bracket for installing the instrument are required, respectively.

배선 덕트 역시 배관과 같이 배선을 감싸서 보호하는 구조이나 배관보다 크기가 크고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되어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일반적인 배선 덕트는 단면이 ㅁ자이며 길게 연장되는 형태이며, 상부에는 탈착이 가능한 덮개가 구비되고, 좌우 측면에는 일정한 크기의 개구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배선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잘 휘거나 좌우 측벽 일부를 떼어낼 수 있도록 PVC 재질로 이루어진다. 배선 덕트 내에 다양한 배선이 수납되며, 배선 일부가 외부로 분기될 필요가 있는 경우, 또는 배선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 경우, 배선이 측면의 개구부를 통과하게 하거나 또는 배선 덕트의 측면 일부를 떼어내고 배선이 분기된다. The wiring duct also has a structure that wraps and protects wiring like a pipe, but is larger than a pipe and has relatively high durability because it is made of aluminum or the like. A general wiring duct has a U-shaped cross-section and is elongated, and a detachable cover is provided on the top, and openings of a certain size are continuously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 wiring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is made of PVC material so that it can bend easily or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can be removed. Various wiring is housed in the wiring duct, and when a part of wiring needs to be branched to the outside, or when wiring equipment needs to be installed, let the wiring pass through the opening on the side or remove a part of the side of the wiring duct and separate the wiring. is branched

그러나, 첫째, 배선 덕트에는 배선 분기 부분을 고려하여 좌우 측면에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개구부를 통하여 이물질이 많이 유입된다. 특히, 배선 덕트가 지하주차장과 같이 먼지가 많은 공간에 설치될 경우 유입되는 먼지나 이물질 등으로 인해 화재 위험이 있다. 습기가 유입되면 고장의 원인이 된다. However, first, a plurality of openings are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in consideration of the wiring branching in the wiring duct, and a larg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flows in through these openings. In particular, when the wiring duct is installed in a dusty space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re is a risk of fire due to inflowing dust or foreign substances. If moisture enters, it may cause malfunction.

둘째, 지하주차장과 같은 장소에서 배선 덕트는 천정슬라브나 보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설치되는데(도 9 참조), 이 과정에서 배선 덕트를 지지하는 별도 브라켓이 추가로 필요하다. 필요한 브라켓만큼 시공성이 낮아진다.Second, in a place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the wiring duct is installed in a way that it is suspended from a ceiling slab or beam (see FIG. 9), and in this process, a separate bracket to support the wiring duct is additionally required. The workability is lowered as much as the required bracket.

셋째, 배선 덕트에서 분기된 배선을 이용하여 센서, 조명 기구, CCTV, 중계기, 스피커 등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기구는 덕트와는 별개의 장소에서 천장 구조체에 매달리도록 설치되기에. 천정슬라브 등에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과는 또 다른 종류의 브라켓이 필요하다. 이들을 설치하는 작업의 난이도가 높음은 물론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Third, using the branched wiring from the wiring duct, sensors, lighting equipment, CCTV, repeaters, speakers, etc. can be installed, since these devices are installed to be hung from the ceiling structure in a place separate from the duct. A different type of bracket is required from the bracket for supporting the ceiling slab. The difficulty of installing them is high, and it takes a lot of manpower and time.

(특허문헌 1) KR10-2060032B1(Patent Document 1) KR10-2060032B1

(특허문헌 2) KR10-2018-0106840A(Patent Document 2) KR10-2018-0106840A

(특허문헌 3) KR10-1897592B1(Patent Document 3) KR10-1897592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배관배선기구가 매립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활용 가능하며, 종래의 배관이나 배선 덕트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배관배선기구를 지지하기 위한 브라켓과 부가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 등 다양한 브라켓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Specifically, it can be used stably even in an environment where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s not buried, can solve the problems of conventional piping or wiring ducts, and various brackets such as brackets for supporting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nd brackets for installing additional device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uct assembly, which is provided integrally.

배선이나 배선기구에 먼지나 습기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덕트만으로 덕트 지지를 위한 브라켓과 센서, 조명 기구, CCTV, 중계기, 스피커 등 다양한 기구들의 설치가 모두 해결되는 일체형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To prevent dust or moisture from entering the wiring or wiring equipment, and to provide an integrated duct that can be installed with brackets, sensors, lighting equipment, CCTV, repeaters, speakers, etc.

시공성을 향상시켜 배관배선기구 작업의 편의성을 높이고, 경제성을 상승시키며, 어떠한 구조의 배선 배치에도 적용 가능한 범용성 높은 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It is intended to provide a highly versatile duct that can be applied to any type of wiring arrangement by improving the workabilit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working with the piping and wiring equipment, increasing the economic efficiency.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과,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덕트(100); 및 상기 덕트(100)의 1면 이상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며, 그 상면,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된 기구용 브라켓(300)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된 부분의 덕트(100)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덕트(100)의 외측이자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선공간(B)과 연통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and the duct casing 110 having left and right walls and a lower wall to open or close the upper side. a plurality of ducts 100, including a cover 120 capable of; And it can be installed to cover one or more surfaces of the duct 100, and includes a bracket 300 for an appliance provided with a wiring opening 390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s a duct assembly, The duct 100 of the part wher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has an upper side open, and communicates with the wiring space B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uct 100 and insid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ntegrated duct assembly is provided.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 따른 전후방에 덕트용 개구(A)를 형성하는 외벽체(310)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용 개구(A)의 크기는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덕트(100)의 외면 크기에 대응되고, 상기 외벽체(310) 내측으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 내측에 상기 배선공간(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the outer wall 310 forming the opening A for the duct i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uct 100, and the size of the opening A for the duct is the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ing space (B)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s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310 and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100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uct 100 .

또한, 상기 덕트(1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고정용 브라켓(20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bracket 200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duct 100 .

또한,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고정용 브라켓홈(130)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측벽 및 좌우측벽을 구비한 ㄷ자 형태이고, 상기 상측벽에 고정홈(290)이 위치하고 상기 좌우측벽의 하측 말단에 덕트용 돌기(230)가 위치하며, 상기 덕트용 돌기(230)가 상기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bracket grooves 130 for fixing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casing 110 , and the fixing bracket 200 has a U-shape having an upper wall and left and right walls, and a fixing groove 290 on the upper wall. ) is located and the duct protrusion 230 is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s,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uct protrusion 230 be insertable into the fixing bracket groove 130 .

또한, 상기 덕트(100)는 다수의 연결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50)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연결부재 돌기(155)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하측벽에는 상방으로 연결부재홈(115)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과 상기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uc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50 ,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positioned downward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50 , and the lower wall of the duct casing 110 has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is positioned upward, some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s 155 ar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of any one of the duct casings, and the oth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s 155 is the other one.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of the duct casing of, it is preferable that the one of the duct casing and the other duct casing are connected.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부품의 다른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walls and the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duct 100 , and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formed of two parts having the same shape, one end of the part.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connecting body 320 is positioned, and the connecting body groove 340 into which the connecting body 320 is inserted is preferably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art.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힌지(3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부품 중 다른 하나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duct 100, and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formed of two parts that can be rotated by a hinge 325, A protruding connector 32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any one of the two parts, and a connector groove 340 into which the connector 320 is inserted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other of the two parts. desirable.

또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중 일부와 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에 기구용 브라켓홈(131)이 위치하고,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양 말단에 외벽체 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 돌기(311)는 상기 기구용 브라켓홈(131)에 삽입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ower wall of the duct 100 , and bracket grooves 131 for the appliance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100 , the appli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300 has an outer wall protrusion 311 formed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outer wall protrusion 311 can be inserted into the bracket groove 131 for the mechanism.

또한, 상기 덕트 조립체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하측에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설치되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상기 어느 하나에 이르는 전기선 또는 통신선은 상기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다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측, 상기 배선공간(B) 및 상기 배선개구(390)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uct assembly is to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d any one or more of a lighting device, a vehicle detection sensor, a CCTV, and a parking availability notification ligh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nd a lighting device to be installed, The electric wire or communication line reaching any one of the vehicle detection sensor, CCTV, and parking availability notification light proceed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uct 100. The open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the wiring space (B) and it is preferably connected through the wiring opening 39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에 의하여, 배관을 사용하지 않고, 덕트 자체로 배선이 분기되며, 덕트 및 배선 관련 부가 기기의 시공에 필요한 다양한 브라켓들이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덕트 조립체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using a pipe, the wiring is branched by the duct itself, and there is provided a duct assembly in which various brackets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uct and wiring related additional equipment are provided integrally.

배관배선기구가 매립되지 않는 환경에서, 천정슬라브 등에 대한 지지와 다양한 기구의 설치가 모두 한 번의 시공으로 해결되는 덕트 조립체가 제공된다. 시공자는 상부 구조물에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설치하면 족하다. 이에 따라 작업 난이도가 낮아지고 사용되는 부품 전체 개수가 감소하며 시공 기간이 단축된다. Provided is a duct assembly in which support for a ceiling slab and the like and installation of various mechanisms are all solved with one construction in an environment where piping and wiring mechanisms are not buried. It is sufficient for the contractor to install the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 the superstructure. This lowers the difficulty of the work, reduces the total number of parts used, and shortens the construction period.

또한, 기구용 브라켓에는 각종 기구가 바로 장착될 수 있어서 분기된 배선이 외부로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배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이물질이나 습기로부터 배선을 보호할 수 있다. In addition, various instruments can be directly mounted on the bracket for the instrument, so that the branched wiring is not exposed at all to the outside. Due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wiring from foreign substances or moisture that may affect the wiring.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일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은 시공성을 고려하여 1개 또는 2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시공이 완료된 이후에도 간단하게 탈거될 수 있기에, 기구 또는 배선 수리시 간편하게 해제하고 작업한 후 다시 장착할 수 있다. Maintenance is easy. In one embodiment, since the bracket for the appliance is made of one or two parts in consideration of constructability and can be easily removed even after construction is completed, it can be easily released and reinstalled after work when repairing the appliance or wiring.

2개의 부품으로 기구용 브라켓을 형성하는 경우, 동일한 부품을 사출한 후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었기에, 제품 단가가 낮고 작업성이 우수하며, 유지보수가 간편하다. In the case of forming a bracket for an instrument with two parts, since it is designed in a way that one is connected to the other after the same part is injected,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 is low, the workability is excellent, and maintenance is easy.

특히, 지하주차장과 같이 열악한 환경에서 상부 구조물에 조립체를 매다는 방식으로 사용될 경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나, 상측은 물론 하측으로도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용 브라켓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기에, 건물 내 어디에서든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In particular, it shows an excellent effect when used in a manner that the assembly is hung on the upper structure in a harsh environment such as an underground parking lot, but an opening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s well as the lower side. It can be used universally anywhe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가 실제 설치되는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덕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덕트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덕트가 다수 연결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을 형성하는 부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도 1의 화살표에 따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가 실제 시공된 사진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2 실시예로서 기구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3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3 실시예에서 기구용 브라켓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ntegrated 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exemplari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nstalled.
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ct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exemplarily show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ducts are connect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an applian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the piping and wi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mponent forming a bracket for an applian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the piping and wi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arrow of FIG. 1 .
9 is a picture showing the actual construction of the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ntegrated 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an appliance as a second embodiment of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bracket for an appliance in a third embodiment of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 1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A first embodiment of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는 덕트(100)와 기구용 브라켓(300)을 포함하며, 경우에 따라 고정용 브라켓(200)을 더 포함한다. The 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uct 100 and a bracket 300 for an appliance, and further includes a bracket 200 for fixing in some cases.

덕트(100)는 전기선, 통신선, 전화선, 데이터케이블 등의 배선(L)이 내측에 실장되는 공간이다. The duct 100 is a space in which wiring L, such as an electric line, a communication line, a telephone line, and a data cable, is mounted inside.

덕트(100)는 다수 개가 연결될 수 있도록 다수의 단위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이들을 연결하는 방식은 후술한다. The duct 100 is made of a plurality of unit parts so that a plurality of them can be connected. A method of connecting them will be described later.

연결되는 덕트(100)의 개수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개수에 제한되지 않고 시공자가 원하는 만큼 확장될 수 있기에, 설치 공간에 따라 자유롭게 채택 가능하다. 설명을 위한 예시로서, 도 2에서는 덕트(100)가 7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하며, 도 3은 2개, 도 5는 4개 연결된 형태를 도시한다. Of course, there is no limit to the number of ducts 100 to be connected. Since the number is not limited and can be expanded as much as the installer wants, it can be freely adopt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pace. As an example for description, FIG. 2 shows a form in which seven ducts 100 are connected, FIG. 3 is two, and FIG. 5 shows four connected forms.

도시되지 않았으나, 90도 꺾이는 코너용 덕트, 또는 그 외의 어떠한 각도로도 꺾이는 굽은 형태의 덕트 채용도 가능하다. 코너용 덕트의 구조는 후술하는 일반적 덕트(100)와 크게 다르지 않으며 오직 덕트 케이싱(110)만 예를 들어 ㄱ자로 굽혀진 것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t is possible to employ a duct for a corner bent by 90 degrees, or a duct having a bent shape that is bent at any other angle. The structure of the duct for the corner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duct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only the duct casing 110 may be bent, for example, in an L-shape.

고정용 브라켓(200)은 덕트(100)를 천정슬라브와 같은 상부 구조물에 매달기 위한 일체형 부품이다.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부 구조물에 매달 필요가 있는 부분에만 설치되며,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총 2개의 고정용 브라켓(20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된다. The fixing bracket 200 is an integral part for hanging the duct 100 on an upper structure such as a ceiling slab. The fixing bracket 200 is installed only on the part that needs to be hung on the upper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brackets may be provided. In FIG. 2 , it is shown as provided in a total of two fixing brackets 200 .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측벽 및 좌우측벽을 구비한 ㄷ자 형태이고, 상측벽에 고정홈(290)이 위치하고 좌우측벽의 하측 말단에 덕트용 돌기(230)가 위치한다. 고정홈(290)에는 나사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280)가 삽입될 수 있어서, 상부 구조물에 체결된다. The fixing bracket 200 has a U-shape having an upper wall and left and right walls, and a fixing groove 290 is located on the upper wall and a duct protrusion 23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s. A separate fixing member 280 such as a screw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90 so as to be fastened to the upper structure.

덕트용 돌기(230)는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위치하는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삽입 가능하여, 덕트(100) 중 원하는 위치에 고정용 브라켓(200)이 설치될 수 있으며,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용 브라켓(200)이 움직일 수도 있다. The duct protrusion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groove 13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casing 110, so that the fixing bracket 200 can be installed at a desired position among the duct 100, In the installed state, the fixing bracket 200 may move.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에서 배선(L)이 분기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배출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여기에 다양한 기구(D)들이 장착된다. 설치될 수 있는 기구(D)에는 제한이 없으나, 덕트 조립체가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경우, 중계기,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등 각종 센서, CCTV, 스피커 및 주차 가용 알림등 등일 수 있다.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to be installed in a portion where the wiring L is branched from the duct 100 and discharged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and various instruments D are mounted therei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mechanism (D) that can be installed, but when the duct assembly is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it may be a repeater, a lighting fixture, various sensors such as a vehicle detection sensor, CCTV, a speaker, and a parking availability notification light.

기구(D)에 이르는 전기선 또는 통신선 등 배선(L)이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다가 덕트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측, 배선공간(B) 및 배선개구(390)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한 연결 방법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wiring L, such as an electric or communication line leading to the appliance D, proceed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uct 100, and then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open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the wiring space B and the wiring opening 390. It can be connect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 detailed connection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

기구용 브라켓(300) 역시 부착되어야 하는 기구(D)가 필요한 곳에만 설치된다.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되는 부분에는 덕트(100)의 덮개(120)가 연결되지 않아 배선(L)이 통과할 수 있다. The appliance bracket 300 is also installed only where the appliance (D) to be attached is required. Since the cover 120 of the duct 100 is not connected to the part wher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he wiring L may pass therethrough.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덕트(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3 to 5, the duct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덕트(100)는,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 및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한다.The duct 100 is provided detachab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and the duct casing 110 having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a lower wall, and a cover 120 that can open or close the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 ) is included.

덮개(120)가 장착될 경우 배선(L)이 모두 덕트(100) 내에 위치하게 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덮개(120)가 탈거될 경우 덕트(100)의 상측이 개방되어 배선(L)이 이를 통해 고정용 브라켓(300) 내 배선공간(B)으로 진입할 수 있다. When the cover 120 is mounted, all of the wires L are located in the duct 100 and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120 is removed, the upper side of the duct 100 is opened so that the wiring L can enter the wiring space B in the fixing bracket 300 through this.

덮개(120)가 탈거될 경우, 탈거된 모든 상측면이 고정용 브라켓(300)에 의해 실질적으로 모두 감싸진다. 이 경우, 어떠한 배선(L)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이물질 유입 내지 습기 영향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 When the cover 120 is removed, substantially all of the removed upper side surfaces are covered by the fixing bracket 300 . In this case, since no wiring L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or the influence of moisture can be minimized.

도 5는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중간의 2개의 단위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여기를 통하여 배선(L)이 분기되어 덕트(100) 외측으로 빠져 나올 수 있다.5 shows an embodiment, the upper side of the two unit duct casings 110 in the middle are open, and the wiring L is branched through this and can be exit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100 .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고정용 브라켓홈(130)이 위치한다. 여기에, 고정용 브라켓(200)의 덕트용 돌기(230)가 삽입된다. 고정용 브라켓(200)이 고정부재(280)에 의해 상부 구조물에 장착되어 매달릴 경우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의해 덕트(100)가 매달리기에, 안정적 하중 분배를 위해, 고정용 브라켓홈(130)은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의 높이 상 중간 아래 쪽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racket grooves 130 for fixing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casing 110 . Here, the projection 230 for the duct of the fixing bracket 200 is inserted. When the fixing bracket 200 is mounted on the upper structure by the fixing member 280 and suspended, the duct 100 is suspended by the fixing bracket groove 130, for stable load distribution, the fixing bracket groove 130 ) is preferably located in the lower middle on the height of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casing 110 .

덕트 케이싱(110)의 중앙에는 별도의 격벽(140)이 위치하여 덕트 케이싱(110) 내측 공간을 분할할 수 있어서 다양한 배선(L)을 상황에 맞추어 구분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전기선과 통신선이 격벽(140)의 좌우에서 별도로 수납될 수 있다. 격벽(140)은 공간 분할과 동시에 덮개(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A separate partition wall 140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uct casing 110 to divide the inner space of the duct casing 110, so that various wiring L can be install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example, an electric line and a communication line may be separately accommod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40 . The partition wall 140 serves to stably support the cover 120 while dividing the space.

전술한 바와 같이, 덕트(100)는 다수 개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어느 하나의 덕트(100)를 인접한 다른 하나의 덕트(100)에 연결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50)가 사용된다.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ducts 100 may be used in combina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150 is used to connect one duct 100 to the other adjacent duct 100 .

연결부재(150)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연결부재 돌기(155)가 위치하고, 덕트 케이싱(110)의 하측벽에는 상방으로 연결부재홈(115)이 위치한다. 연결부재 돌기(155)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되고, 연결부재 돌기(155) 중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됨으로써 덕트 케이싱(110)들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덕트(100)가 시공자가 원하는 만큼 연결될 수 있다. 격벽(140)에는 양측으로 연결부재 막이(116)가 위치하여, 연결부재(150)의 이탈을 추가로 방지한다.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positioned downward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50 , and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is positioned upwardly on the lower wall of the duct casing 110 .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of one of the duct casings, and anoth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of the other duct casing. The duct casings 110 are connected,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ducts 100 may be connected as many times as desired by the installer. Connecting member membranes 116 a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40 to further prevent sepa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50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6 and 7,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의 1면 이상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서는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The instrument bracket 300 can be installed to cover one or more surfaces of the duct 100 .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install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duct 100 .

기구용 브라켓(300)의 상면,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그 변형도 가능하여, 예를 들어 측면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배선개구(390)는 덕트(100)를 통과하여 진행하는 배선(L)이 분기되어 덕트 조립체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배선개구(390)에 직접 조명 등의 기구(D)가 부착된다면, 배선(L)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고 기구(D)에 직접 이어지게 된다(도 2 참조).A wiring opening 39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lthough shown as being provided on bot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drawing, the modification is possible, for example, the wiring opening 39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The wiring opening 390 is a portion where the wiring L that passes through the duct 100 is branched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uct assembly. Accordingly, if the device D such as direct lighting is attached to the wiring opening 390 , the wiring 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at all and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device D (refer to FIG. 2 ).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 따른 전후방에 덕트용 개구(A)를 형성하는 외벽체(310)가 위치한다. 여기서, 덕트용 개구(A)의 크기는 덕트(100)의 진행 방향(도 2의 우하단 방향)에서 덕트(100)의 외면 크기에 대응되어, 덕트(100)가 외벽체(310)에 의하여 단단히 지지되며 배선(L)의 외부로의 노출을 방지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덕트용 개구(A)에 맞추어져 덕트(100)가 결합된 형상이 도시된다.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has an outer wall body 310 that forms an opening (A) for the duct in the front and rea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uct 100 . Here, the size of the opening (A) for the duct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100 in the proceeding direction (lower right direction in FIG. 2) of the duct 100, so that the duct 100 is firmly secured by the outer wall 310 It is supported and prevents the wiring L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1 and 2, the duct 100 is coupled to the opening (A) for the duct is shown.

덕트(100)의 외측과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 사이에 배선공간(B)이 형성되며, 여기에서 배선(L)이 진행된다. 배선공간(B)은 덕트(100)의 개방된 상측과 연통한다. 덕트(100)를 타고 진행하던 배선(L)이 분기된 후 배선공간(B)에 진입하는 것이다. 배선공간(B)에는 배선개구(390)가 형성되기에, 분기된 배선(L)이 외부로 배출된다(도 8 참조).A wiring space (B) is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duct 100 and the inside of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and the wiring (L) proceeds here. The wiring space B communicates with the open upper side of the duct 100 . After the wiring (L), which was traveling on the duct (100), is branched, it enters the wiring space (B). Since the wiring opening 390 is formed in the wiring space B, the branched wiring 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refer to FIG. 8).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기구용 브라켓(300)은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됨으로써, 제조 및 시공 편의성을 높이고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7은 1개의 개별 부품을 도시한다. 이 경우, 각 부품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다른 말단에는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함으로써, 시공자는 손쉽게 이를 체결하거나 해제할 수 있어서, 시공성을 향상시키며 유지 보수를 위한 해체 및 재조립이 편리하다. On the other hand, the bracket 300 for a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wo parts of the same shape, thereby increasing manufacturing and construction convenience and lowering the unit cost. 7 shows one individual part. In this case, the protruding connector 32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each part, and the connector groove 340 into which the connector 320 is inserted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so that the installer can easily fasten or release it, It improves constructability and is convenient to dismantle and reassemble for maintenance.

도 1과 도 8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의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1 and 8 together, a method of installing a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시공 계획에 따라 연결되어야 하는 단위 덕트(100)의 개수만큼 이들을 연결시키고, 덕트(100)가 상부 구조물과 연결되는 부분을 확인하고, 해당 부분에 고정용 브라켓(200)을 위치시킨다. Connect them as much as the number of unit ducts 100 to be connect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 check the part where the duct 100 is connected to the upper structure, and place the fixing bracket 200 in the corresponding part.

시공 계획에 따라 덕트(100)에서 배선(L)이 분기되어야 하는 부분을 확인하고, 해당 부분의 덮개(120)를 제거하며 기구용 브라켓(300)을 위치시킬 부분을 확인한다.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lan, check the part where the wiring (L) is to be branched in the duct 100, remove the cover 120 of the corresponding part, and check the part wher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to be located.

고정부재(280)를 이용하여 고정용 브라켓(200)을 천정슬라브와 같은 상부 구조물에 장착한다. 고정용 브라켓(200)의 장착으로 덕트(100)도 함께 장착되어 매달리게 된다. By using the fixing member 280, the fixing bracket 200 is mounted on an upper structure such as a ceiling slab. With the mounting of the fixing bracket 200, the duct 100 is also mounted and suspended.

배선(L)을 덕트(100) 내측을 통해 진행시킨다. 시공자는 덮개(120)를 탈착하면서 손쉽게 작업할 수 있다. The wiring L runs through the inside of the duct 100 . The installer can easily work while detaching the cover 120 .

미리 확인된 분기 부분에서 배선(L)을 분기시킨다. 동시에, 해당 부분에 기구용 브라켓(300)을 장착하며 분기된 배선(L)을 배선개구(390)를 통해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품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덕트(100)가 상부 구조물에 고정된 상태에서도 손쉽게 기구용 브라켓(300)을 장착할 수 있다. The wiring L is branched at the previously confirmed branching portion. At the same tim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part and the branched wiring L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ing opening 390 . As shown in Figure 7, since it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it is possible to easily mount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duct 100 is fixed to the upper structure.

배선(L)이 분기되면, 예시적으로 도시된 도 8과 같이 형성될 것이다. 즉, 덕트(100)를 통해 진행하던 배선(L)은, 덮개(120)가 탈거되어 개방된 덕트(100)의 상측으로 배출되고, 기구용 브라켓(300)과 덕트(100) 사이의 공간인 배선공간(B)을 통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배선개구(390)를 통해 배출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선(L)이 기구용 브라켓(300)의 상측으로 배출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덕트(100)의 상측 및 배선공간(B)을 통과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의 상부 배선개구(39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wiring L is branched, it will be formed as illustrated in FIG. 8 . That is, the wiring (L) proceeding through the duct 100, the cover 120 is removed and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open duct 100, the space between the bracket 300 and the duct 100 for the instrument. After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wiring space (B),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wiring opening (390). Although not shown, even when the wiring L is to be discharged to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t passes through the upper side of the duct 100 and the wiring space B in the same manner as the upper part of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t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wiring opening 390 .

다음, 기구용 브라켓(300)에 기구(D)를 장착하면서, 분기된 배선(L)을 중계기, 센서, CCTV, 조명, 스피커와 같은 기구(D)와 연결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배선(L)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Next, while mounting the appliance (D) to the appliance bracket 300, the branched wiring (L) is connected to the appliance (D) such as a repeater, a sensor, a CCTV, lighting, and a speaker. With this structure, the wiring L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조립체가 실제 설치된 사진을 도시한다.Figure 9 shows a photograph in which the 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installed.

도 9의 (a)는 덕트(100)와 고정용 브라켓(200)이 상부 구조물에 장착된 사진이다. 도 9의 (b)와 (c)는 다수의 기구(D)가 설치된 사진이다. 여기에서는 조명기구와 CCTV가 장착되어 있다. 9 (a) is a photograph in which the duct 100 and the fixing bracket 200 are mounted on the upper structure. 9 (b) and (c) are photographs in which a plurality of mechanisms (D) are installed. It is equipped with lighting fixtures and CCTV.

제 2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0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의 형태가 상이하다.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ntegrated duct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secon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rm of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제 2 실시예에 따른 기구용 브라켓(300) 역시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다만, 기구용 브라켓(300)을 구성하는 2개의 부품은 힌지(3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2개의 부품이다. 즉,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다른 하나의 일 말단에는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한다.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also install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duct 100 . However, the two parts constituting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are two parts that can be rotated by the hinge 325 . That is, a protruding connector 32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any one of the two parts, and a connector groove 340 into which the connector 320 is inserted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other.

힌지(325)에 의한 회동이 가능하므로,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덕트(100)가 상부 구조물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손쉽게 설치 및 탈거가 가능하다. Since rotation by the hinge 325 is possible, as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nd remove the duct 100 even in a state in which it is mounted on the upper structure.

제 3 실시예의 설명Description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를 설명한다. 제 3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기구용 브라켓(300)의 형태 및 장착 방식이 상이하며, 이에 따라 고정용 브라켓(200)이 설치되는 방식이 약간 상이하다. A piping and wiring mechanism integrated duct assembly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 The third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rm and mounting method of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and accordingly, the manner in which the fixing bracket 200 is installed is slightly different.

제 3 실시예에 따른 기구용 브라켓(300)은 덕트(100)의 좌우측벽 중 일부와 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구용 브라켓(300)은 하측면을 구비하되 상측면에 없고 좌우측면은 일부만 구비한다.The appliance bracket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ower wall of the duct 100 . As shown in Fig. 12,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has a lower side, but is not on the upper side, and only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re provided.

또한, 기구용 브라켓(300)은 양 말단에 외벽체 돌기(311)가 형성되며, 외벽체 돌기(311)는 덕트(100)의 기구용 브라켓홈(131)에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기구용 브라켓홈(131)은 고정용 브라켓홈(13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has an outer wall protrusion 311 is formed at both ends, and the outer wall protrusion 311 is insertable into the appliance bracket groove 131 of the duct 100 . The bracket groove 131 for such a mechanism is preferably located below the fixing bracket groove 130 .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 조립체에서는 기구용 브라켓(300)이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반하여 제 3 실시예에서는 1개의 부품으로 구성되기에, 설치 시간, 제조 난이도 및 제조 단가에서 장점이 있다. 다만, 배선(L)이 하측으로만 배출될 수 있으며, 분기되는 부분에서 덮개(120)가 없기에 배선(L)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는 차이가 있다. In the duct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composed of two parts, whereas in the third embodiment, it is composed of one part, so it has advantages in installation time, manufacturing difficulty and manufacturing cost. have. However, the wiring L may be discharged only to the lower side, and since there is no cover 120 at the branching portion, there is a difference that a portion of the wiring L is exposed to the outside.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modifications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덕트
110: 덕트 케이싱
115: 연결부재홈
116: 연결부재 막이
120: 덮개
130: 고정용 브라켓홈
131: 기구용 브라켓홈
140: 격벽
150: 연결부재
155: 연결부재 돌기
200: 고정용 브라켓
230: 덕트용 돌기
280: 고정부재
290: 고정홈
300: 기구용 브라켓
310: 외벽체
311: 외벽체 돌기
320: 연결체
325: 힌지
340: 연결체홈
390: 배선개구
A: 덕트용 개구
B: 배선공간
D: 기구
L: 배선
100: duct
110: duct casing
115: connection member groove
116: connecting member membrane
120: cover
130: bracket groove for fixing
131: bracket groove for appliance
140: bulkhead
150: connecting member
155: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200: bracket for fixing
230: protrusion for duct
280: fixing member
290: fixed groove
300: bracket for instruments
310: exterior wall
311: outer wall protrusion
320: connector
325: hinge
340: connector groove
390: wiring opening
A: opening for duct
B: wiring space
D: apparatus
L: wiring

Claims (9)

좌우측벽 및 하측벽을 구비한 덕트 케이싱(110)과,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상측에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측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덮개(120)를 포함하는, 다수의 덕트(100); 및
상기 덕트(100)의 1면 이상을 커버하도록 설치 가능하며, 그 상면, 하면, 또는 상면과 하면 모두에 배선개구(390)가 구비된 기구용 브라켓(300)를 포함하는, 덕트 조립체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이 설치된 부분의 덕트(100)는 상측이 개방되어, 상기 덕트(100)의 외측이자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배선공간(B)과 연통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A duct casing 110 having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a lower wall;
A plurality of ducts 100 including a cover 120 that is detachably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to open or close the upper side; and
As a duct assembly, which can be installed to cover one or more surfaces of the duct 100 and includes a bracket 300 for an appliance provided with a wiring opening 390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or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duct 100 of the part wher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has an upper side open, and communicates with the wiring space B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duct 100 and inside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 따른 전후방에 덕트용 개구(A)를 형성하는 외벽체(310)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용 개구(A)의 크기는 상기 덕트(100)의 진행 방향에서 상기 덕트(100)의 외면 크기에 대응되고,
상기 외벽체(310) 내측으로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 내측에 상기 배선공간(B)이 형성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300 for the mechanism,
An outer wall body 310 forming an opening (A) for the duct is located at the front and rear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uct 100,
The size of the opening (A) for the duct corresponds to the siz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uct 100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duct 100,
The wiring space (B) is formed inside the bracket 300 for the mechanism as the inside of the outer wall 310,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 상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 가능한 고정용 브라켓(200)을 더 포함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xing bracket 200 detachably attachable to the duct 100,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좌우측벽에 고정용 브라켓홈(130)이 위치하고,
상기 고정용 브라켓(200)은 상측벽 및 좌우측벽을 구비한 ㄷ자 형태이고, 상기 상측벽에 고정홈(290)이 위치하고 상기 좌우측벽의 하측 말단에 덕트용 돌기(230)가 위치하며,
상기 덕트용 돌기(230)가 상기 고정용 브라켓홈(130)에 삽입 가능한,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4. The method of claim 3,
Bracket grooves 130 for fixing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casing 110,
The fixing bracket 200 has a U-shape having an upper wall and left and right walls, a fixing groove 290 is located on the upper wall, and a duct protrusion 23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left and right walls,
The duct protrusion 230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bracket groove 130,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100)는 다수의 연결부재(15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50)의 하측면에는 하방으로 연결부재 돌기(155)가 위치하고,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하측벽에는 상방으로 연결부재홈(115)이 위치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일부가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재 돌기(155) 중 다른 일부가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의 연결부재홈(11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어느 하나의 덕트 케이싱과 상기 다른 하나의 덕트 케이싱이 연결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duct 10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150,
A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positioned downward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50,
A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is positioned upwardly on the lower wall of the duct casing 110,
A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of any one of the duct casings, and anoth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protrusion 155 is in the connecting member groove 115 of the other duct casing. By being inserted, the one duct casing and the other duct casing are connected,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동일한 형태의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부품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부품의 다른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duct 100,
The bracket 300 for the mechanism is formed of two parts of the same shape,
A protruding connector 320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part, and a connector groove 340 into which the connector 320 is inserted is positioned at the other end of the part.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및 상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힌지(325)에 의해 회동 가능한 2개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상기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일 말단에는 돌출된 연결체(320)가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부품 중 다른 하나의 일 말단에는 상기 연결체(320)가 삽입되는 연결체홈(340)이 위치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o cover the left and right and upper and lower walls of the duct 100,
The bracket 300 for the instrument is formed of two parts that can be rotated by a hinge 325,
At one end of any one of the two parts, a protruding connector 320 is positioned, and at one end of the other one of the two parts, a connector groove 340 into which the connector 320 is inserted is positioned,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 중 일부와 하측벽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덕트(100)의 좌우측벽에 기구용 브라켓홈(131)이 위치하고,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은 양 말단에 외벽체 돌기(311)가 형성되며,
상기 외벽체 돌기(311)는 상기 기구용 브라켓홈(131)에 삽입 가능한,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is installed to cover a part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and the lower wall of the duct 100,
Bracket grooves 131 for instruments a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walls of the duct 100,
The bracket 300 for the mechanism is formed with an outer wall protrusion 311 at both ends,
The outer wall protrusion 311 can be inserted into the bracket groove 131 for the mechanism,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조립체는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기구용 브라켓(300)의 하측에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되며,
설치되는 조명기구, 차량 감지 센서, CCTV, 및 주차 가용 알림등 중 상기 어느 하나에 이르는 전기선 또는 통신선은 상기 덕트(100)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진행하다 상기 덕트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측, 상기 배선공간(B) 및 상기 배선개구(390)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연결되는,
배관배선기구 일체형 덕트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duct assembly is to be installed in an underground parking lot,
Any one or more of a lighting fixture, a vehicle detection sensor, a CCTV, and a parking availability notification light is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bracket 300 for the appliance,
An electric or communication line reaching any one of the installed lighting equipment, vehicle detection sensor, CCTV, and parking availability notification light proceed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duct 100. The open upper side of the duct casing 110, the Connect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ing space (B) and the wiring opening (390),
A duct assembly with an integrated piping and wiring mechanism.
KR1020200027893A 2020-03-05 2020-03-05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KR102369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93A KR102369917B1 (en) 2020-03-05 2020-03-05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893A KR102369917B1 (en) 2020-03-05 2020-03-05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638A true KR20210112638A (en) 2021-09-15
KR102369917B1 KR102369917B1 (en) 2022-03-03

Family

ID=7779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893A KR102369917B1 (en) 2020-03-05 2020-03-05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917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14343A (en) * 2022-11-23 2023-02-24 广东宏际线管实业有限公司 Assembled metal wire casing
KR20230054125A (en)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arking light
KR102526783B1 (en) * 2022-05-24 2023-04-27 삼인싸이언스(주) Profile assembly for utility equipment with joint duc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034A (en) * 1991-07-01 1993-01-22 Mirai Ind Co Ltd Wiring/piping duct
KR20050035216A (en) * 2005-03-07 2005-04-15 윤덕칠 Electric wire cable duct establish structure of clean room
KR20060101741A (en)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for wiring
KR100820085B1 (en)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A protection cover with lamp device
KR100994260B1 (en) *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Duct
KR101025532B1 (en) * 2010-05-28 2011-04-01 주식회사 투윈스컴 Mounting apparatus of the cctv camera
JP2014158338A (en) * 2013-02-14 2014-08-28 Kandenko Co Ltd Wire housing bod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stages and laying method of wire and cable using the same
KR101712939B1 (en) * 2016-12-01 2017-03-09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Fixed bracket for race-way
KR20210027649A (en) * 2019-08-30 2021-03-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034A (en) * 1991-07-01 1993-01-22 Mirai Ind Co Ltd Wiring/piping duct
KR20050035216A (en) * 2005-03-07 2005-04-15 윤덕칠 Electric wire cable duct establish structure of clean room
KR100674414B1 (en) * 2005-03-07 2007-01-26 주식회사 서강이엔씨 Electric wire cable duct establish structure of clean room
KR20060101741A (en) * 2005-03-21 2006-09-26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on structure of duct for wiring
KR100820085B1 (en) * 2006-07-26 2008-04-10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A protection cover with lamp device
KR100994260B1 (en) * 2008-11-10 2010-11-12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Connecting Apparatus for Distributing Duct
KR101025532B1 (en) * 2010-05-28 2011-04-01 주식회사 투윈스컴 Mounting apparatus of the cctv camera
JP2014158338A (en) * 2013-02-14 2014-08-28 Kandenko Co Ltd Wire housing body consisting of upper and lower stages and laying method of wire and cable using the same
KR101712939B1 (en) * 2016-12-01 2017-03-09 주식회사 엘에스조명 Fixed bracket for race-way
KR20210027649A (en) * 2019-08-30 2021-03-11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A duct assembly for cross wiring work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4125A (en) * 2021-10-15 2023-04-24 주식회사 진우씨스템 Parking light
KR102526783B1 (en) * 2022-05-24 2023-04-27 삼인싸이언스(주) Profile assembly for utility equipment with joint duct
CN115714343A (en) * 2022-11-23 2023-02-24 广东宏际线管实业有限公司 Assembled metal wire casing
CN115714343B (en) * 2022-11-23 2023-06-27 广东宏际线管实业有限公司 Assembled metal wire sl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917B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9917B1 (en) Duct assembly integrated with wiring
KR102240222B1 (en)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2156232B1 (en) holding apparatus of cable tray for apartment building
KR101703982B1 (en) Assembly ceiling structure
KR102169713B1 (en) Speaker assembly used in combination with wiring duct
KR100833876B1 (en) Electrical wiring assembly box for a building
KR102258368B1 (en) Post-filled outlet box for interior lightweight partition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0784175B1 (en) Multi duct for parking lot
KR102134870B1 (en) Distribution box for wire tray installation
JP4341618B2 (en) Bathroom ventilation drying equipment
KR100726424B1 (en) Fixing device for cctv camera
KR100985855B1 (en) Method for installing cable distribute box in apartment house
KR200433347Y1 (en) cable holding device
EP3636843A1 (en) Insulating panel system
US9966747B1 (en) Universal surface flush junction box
KR102270664B1 (en) Connection box for vertical cable tray
KR200402019Y1 (en) Doorframe capable of leading-in and drawing-out the wires
JP7229875B2 (en) Cover member and cover structure
FI84534B (en) Distribution arrangement for electricity and information leads for a room
KR100435240B1 (en) Metal ceiling structure
KR20080102761A (en) Supporting appratus for cable arrangement
KR200358286Y1 (en) an outlet terminal box
KR100914408B1 (en) Electric wire fixing assembly installed on wall
JP3192203B2 (en) Power supply
JPS58548A (en) Cei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