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427A -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2427A
KR20210112427A KR1020200026914A KR20200026914A KR20210112427A KR 20210112427 A KR20210112427 A KR 20210112427A KR 1020200026914 A KR1020200026914 A KR 1020200026914A KR 20200026914 A KR20200026914 A KR 20200026914A KR 20210112427 A KR20210112427 A KR 20210112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ower
phase detection
line communication
power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848B1 (ko
Inventor
김수철
이광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이드
Priority to KR102020002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48B1/ko
Publication of KR20210112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1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frequency or phase of a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상 검출 장치는,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phase)의 제로크로싱(Zero Crossing) 시점에서 송출된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타이머; 및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를 검출하는 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간단한 구성으로 전원상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Detecting apparatus, detecting system and detecting method for phase of supplied power}
본 발명은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전력선 통신을 통해 전원상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한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 발전된 전력은 일반적으로 3상 4선식(three-phase four-wire system)으로 변압기로 공급되며, 변압기에서 감압되어 최종 수용자에게 공급된다. 최종 수용자가 공급받는 전력은 3상 4선식인 경우도 있지만, 일반 주택에서는 보통 단상 전력을 공급받게 된다.
한편, 전력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서는 각 상(phase) 별로 전력 소모가 동일하여야 하며, 따라서 각 상 별로 소비되는 전력이 불균형한 경우에는 보정해 줄 필요가 있다.
각 상 별 소비 전력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수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전원의 상이 어떤 상인지 확인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수용자 측 전원이 어떤 상인지 확인하는 것과 관련된 종래기술 중의 하나로 등록번호 제10-0730627호의 '상 정보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발전소, 변전소 또는 상 확인이 가능한 임의 장소에 설치되고 3상 송/배전선로의 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주 장치와 상기 주 장치와의 무선 통신에 의해 작업자가 임의의 측정 장소에서 송/배전선로의 상 정보를 확인하는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선로의 상을 검출한다.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a) 상기 측정 장치와 주 장치의 통신이 이루어진 후, 상기 무선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국에서 가지고 있는 현재시각으로 상기 측정 장치와 주 장치의 시각을 일정 시각마다 동기시키는 단계, b) 동기된 시간을 세분하여 분주하고, 분주된 시간에 측정 선로의 위상과 동일한 파형을 만들어 측정한 상에 대한 위상을 대입하여 위상각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c) 상기 주 장치는 상기 측정 장치에서 송신된 위상각 정보와 상기 주 장치가 설치된 송/배전선로의 위상각을 비교하여 위상각 차이가 -60도 초과 +60도 미만의 범위에 있는 상을 동일한 상으로 판별하여 상기 측정 장치로 통지하는 단계를 통해 선로의 상을 검출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의해 전원상을 검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 장치와 측정 장치 간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무선통신수단이 필요하고, 무선통신 상태에 따라 주 장치와 측정 장치의 시간 동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 판별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0730627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간단한 구성을 통해 수용자 측에서 사용하는 전원의 상을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phase)의 제로크로싱(Zero Crossing) 시점에서 송출된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타이머; 및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를 검출하는 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타이머는,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바로 다음에 발생하는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 검출부는, 상기 시간차가 0 ± 1ms 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 상이 상기 특정 상과 동일한 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차가 2.7 ± 1ms 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 상이 상기 특정 상의 이전 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시간차가 5.4 ± 1ms 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 상이 상기 특정 상의 다음 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상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타이머; 및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를 검출하는 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는 상기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는 상기 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로 송출하고,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된 전원상 검출 장치가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에 의해,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로부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송출된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상검출 신호 수신단계; 상기 전원상 검출 장치가 타이머에 의해, 상기 상검출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시간차 측정단계; 및 상기 전원상 검출 장치가 상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 검출하는 상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상 검출단계 후에 진행되는, 상기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가 상기 상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공급부측 통신부로 송출하는 상 정보 송출단계; 및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중앙 서버로 송출하는 상 정보 집계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전력 수용부측에서 소비하는 전원상을 확인할 때 전력선 통신을 활용하여 별도의 통신 수단 없이 경제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상의 검출 과정에서 상검출 신호를 제로크로싱 시점을 통해 송출하기 때문에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신호가 감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검출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장치의 상 도출부가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방법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장치(1)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 타이머(20) 및 상 검출부(30)를 포함한다.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주택과 같이 전력을 최종적으로 소비하는 시설에 설치된다.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전력선을 통해 아래에서 설명할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전력선 통신 자동 원격검침 시스템을 위해 설치된 전력량계에 내장된 전력선 모뎀일 수 있다.
전력의 수용부측에서는 전력의 공급부측에서 공급하는 3상 중 전력량계의 상(phase)에 따라 임의 상(P2)의 전력을 소비하고, 따라서 각 상별 전력 소모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전력의 수용부측에서 사용되는 임의 상(P2)의 전력이 어떤 상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택과 같은 전력의 수용부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이 어떤 상인지 확인하기 위해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P1)의 제로크로싱(Zero Crossing) 시점에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고,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이 상검출 신호(S)를 수신한다. 상검출 신호(S)가 송출된 특정 상(P1)이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의 상(P2)과 동일하지 않더라도,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와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N(Neutral)선을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다.
타이머(20)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에서 상검출 신호(S)를 수신한 시점, 즉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가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한 특정 상(P1)의 제로크로싱 시점(ZC1)과 전력의 수용부측에서 사용되는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사이의 시간차(Δt)를 측정한다. 타이머(20)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에 내장될 수 있다.
상 검출부(30)는 타이머(20)가 측정한 시간차(Δt)를 이용해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를 검출한다. 전력 수용부측에서 사용되는 전력은 전력 공급부측으로부터 공급받은 것이므로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와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의 전력은 동일한 파형을 가지고, 따라서 측정한 시간차(Δt)를 통해 상검출 신호(S)를 전달한 특정 상(P1)과 임의 상(P2)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여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 검출부(30) 또한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에 내장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상의 전류는 120°간격을 가지는데, 각 상이 1주기당 2번의 제로크로싱 시점을 가지므로 각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은 60°의 간격을 갖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검출 신호(S)가 A상을 통해 송출되었다고 하였을 때,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한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각도 차가 0°인 경우에는 임의 상(P2)이 A상과 동일한 상이고,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한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의 각도 차가 60°인 경우에는 임의 상(P2)이 A상의 이전 상인 C상이며,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한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의 각도 차가 120°인 경우에는 임의 상(P2)이 A상의 다음 상인 B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력 수용부측에 공급되는 전력의 일반적인 주파수인 60㎐를 예로 하면, 타이머(20)에서 측정된 시간차(Δt)가 0 정도인 경우에는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한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각도 차가 0°인 것이므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는 특정 상(P1)과 임의 상(P2)이 동일한 상이고, 측정된 시간차(Δt)가 약 2.7ms인 경우에는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한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각도 차가 60°인 것이므로 임의 상(P2)이 특정 상(P1)의 이전 상이며, 측정된 시간차(Δt)가 약 5.4ms인 경우에는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한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각도 차가 120°인 것이므로 임의 상(P2)이 특정 상(P1)의 다음 상이다.
오차를 고려하여, 측정된 시간차(Δt)가 0±1ms인 경우에 임의 상(P2)이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는 특정 상(P1)과 동일한 상이고, 2.7±1ms인 경우에 임의 상(P2)이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는 특정 상(P1)의 이전 상이며, 5.4±1ms인 경우에 임의 상(P2)이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는 특정 상(P1)의 다음 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전력 수용부측에서 소비하는 전력의 상을 확인할 때 전력선 통신을 활용하면 원격으로 위치하는 전력 공급부측과 전력 수용부측 간의 상 관련 정보 전달을 위해 별도의 통신 수단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 그리고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면 노이즈와 신호 감쇄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상 검출 결과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타이머(20)는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중에서도 상검출 신호(S)가 수신된 시점(ZC1)의 바로 다음에 발생하는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과 상검출 신호(S)가 수신된 시점 사이의 시간차(Δt)를 측정한다.
도 2에서와 같이 특정 상(P1)과 임의 상(P2)은 다수 위치에서 제로크로싱이 이루어지며 어느 제로크로싱 시점을 기준으로 측정된 시간차(Δt)에 의해서도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 도출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상검출 신호(S)가 수신된 시점(ZC1)의 바로 다음에 발생하는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과 상검출 신호(S)가 수신된 시점 사이의 시간차(Δt)를 측정하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를 도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전원상 검출 장치(1)의 설명시 언급된 내용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와 전원상 검출 장치(1)를 포함한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변압기와 같이 고압의 전력을 감압하여 수용자 측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시설에 설치된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별도의 통신 라인이 아닌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통해 전원상 검출 장치(1)에 대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변압기 등의 전력 공급부측에서 3상(A상, B상, C상)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3상을 통해 전력선 통신이 가능하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변압기에 설치된 데이터 집중장치(DCU; Data Concentration Unit)를 구성하는 전력선 모뎀일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집중장치는 전력선 통신 자동 원격검침 시스템을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P1)의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한다.
전원상 검출 장치(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 타이머(20) 및 상 검출부(30)를 포함하여,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에서 상검출 신호(S)를 수신하면, 타이머(20)가 상검출 신호(S)가 수신된 시점(ZC1)과 수용부측이 소비하는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사이의 시간차(Δt)를 측정하고, 상 검출부(30)가 측정된 시간차(Δt)를 이용해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 검출한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에서 상검출 신호(S)의 송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전원상의 검출 작업은 전력 수용부측이 신규로 설치되거나 전력 수용부측의 전력량계를 교환하면서 새로운 전력량계를 등록할 때 진행될 수 있다. 즉, 전력량계에 내장된 모뎀의 등록요청 신호에 따라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에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할 수 있다.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에서의 요청 신호는 전력선 통신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상 검출부(30)에서 검출된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를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로 송출하고,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시스템은 중앙 서버(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3)는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로부터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는다.
중앙 서버(3)이 수신받은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는 상 별 전력 소모를 균등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측 전류의 상이 해당 지역에서 부하가 집중된 상과 동일한 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수용부측에서 사용하는 전류의 상을 다른 상으로 바꾸어 주는 것으로서 상 별 전력 소모를 균등하게 해줄 수 있다.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는 전력선 통신 통해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를 송출하여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는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를 전력선 통신 또는 일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중앙 서버(3)로 송출할 수 있다.
중앙 서버(3)는 예를 들어, 한국전력공사의 서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원상 검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원한 검출 방법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검출 신호 수신단계(S20), 시간차 측정단계(S30) 및 상 검출단계(S40)를 통해 진행된다.
상검출 신호 수신단계(S20)에서는 전원상 검출 장치(1)의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가 상검출 신호(S)를 수신한다. 상검출 신호(S)는 변압기와 같이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에 설치된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P1)의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송출한다. 상검출 신호(S)의 수신은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통신선이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면 신호에 노이즈가 발생하거나 신호가 감쇄되는 최소화할 수 있다.
시간차 측정단계(S30)에서는 전원상 검출장치(1)가 타이머(20)에 의해 상검출 신호(S)가 발생하는 시점(ZC1)과 임의 상(P2)의 제로크로싱 시점(ZC2) 사이의 시간차(Δt)를 측정하고, 상 검출단계(S40)에서는 전원상 검출장치(1)가 상 검출부(30)에 의해 시간차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시간차(Δt)를 이용해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 검출한다.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와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의 전력은 동일한 파형을 가지므로 측정한 시간차(Δt)를 통해 상검출 신호(S)를 전달한 특정 상(P1)과 임의 상(P2)의 각도 차이를 계산하여 임의 상(P2)이 어떤 상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 검출단계(S40)에서는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와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의 전력이 60㎐의 주파수를 가질 때, 시간차(Δt)가 0 ± 1ms 인 경우에는 임의 상(P2)이 특정 상(P1)과 동일한 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시간차(Δt)가 2.7 ± 1ms 인 경우에는 임의 상(P2)이 특정 상(P1)의 이전 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시간차(Δt)가 5.4 ± 1ms 인 경우에는 임의 상(P2)이 특정 상(P1)의 다음 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검출 신호 송출단계(S20) 전에는 상검출 신호 요청단계(S10)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상검출 신호 요청단계(S10)에서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가 전력선 통신을 통해 상검출 신호(S)의 송출을 요청한다. 따라서, 전력 수용부측에서 새로운 전력량계를 설치하는 경우와 같이 전원상 검출 작업이 필요할 때에만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에서 상검출 신호(S)를 송출하도록 할 수 있다.
상 검출단계(S40) 후에는, 상 정보 송출단계(S20)와 상 정보 집계단계(S20)가 차례대로 진행될 수 있다.
상 정보 송출단계(S20)에서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10)가 상 검출단계(S40)에서 검출된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를 공급부측 통신부로 송출하고, 상 정보 집계단계(S20)에서는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2)가 수신한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를 중앙 서버(3)로 송출한다.
중앙 서버(3)로 송출된 임의 상(P2)에 관한 정보는 해당 지역의 상 별 부하 집중 상태를 토대로 하여 상 별 전력 소모를 균등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전원상 검출 장치
2 :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
3 : 중앙 서버
10 :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
20 : 타이머
30 : 상 검출부

Claims (8)

  1.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phase)의 제로크로싱(Zero Crossing) 시점에서 송출된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타이머; 및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를 검출하는 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는,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의 바로 다음에 발생하는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 검출부는,
    상기 시간차가 0 ± 1ms 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 상이 상기 특정 상과 동일한 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간차가 2.7 ± 1ms 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 상이 상기 특정 상의 이전 상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시간차가 5.4 ± 1ms 인 경우에는 상기 임의 상이 상기 특정 상의 다음 상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장치.
  4. 전력을 공급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상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
    상기 상검출 신호가 수신된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타이머; 및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를 검출하는 상 검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는 상기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에서의 요청에 따라 상기 상검출 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는 상기 상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로 송출하고,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로부터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수신받는 중앙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시스템.
  7. 전력을 공급받아 임의 상의 전력을 소비하는 부분에 설치된 전원상 검출 장치가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에 의해,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로부터 전력선 통신을 통해 특정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에서 송출된 상검출 신호를 수신하는 상검출 신호 수신단계;
    상기 전원상 검출 장치가 타이머에 의해, 상기 상검출 신호가 발생하는 시점과 상기 임의 상의 제로크로싱 시점 사이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시간차 측정단계; 및
    상기 전원상 검출 장치가 상 검출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시간차를 이용해 상기 임의 상이 어떤 상인지 검출하는 상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 검출단계 후에 진행되는,
    상기 수용부측 전력선 통신부가 상기 상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공급부측 통신부로 송출하는 상 정보 송출단계; 및
    상기 공급부측 전력선 통신부가 수신한 상기 임의 상에 관한 정보를 중앙 서버로 송출하는 상 정보 집계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상 검출 방법.
KR1020200026914A 2020-03-04 2020-03-04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451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914A KR102451848B1 (ko) 2020-03-04 2020-03-04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914A KR102451848B1 (ko) 2020-03-04 2020-03-04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427A true KR20210112427A (ko) 2021-09-15
KR102451848B1 KR102451848B1 (ko) 2022-10-11

Family

ID=77793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914A KR102451848B1 (ko) 2020-03-04 2020-03-04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627B1 (ko) 2005-12-27 2007-06-21 (주)에디테크 상 정보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JP2008510149A (ja) * 2004-08-16 2008-04-03 エネル ディストリビュズィオーネ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基準相電圧に対する未知相電圧の配線相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20080035116A (ko) * 2006-10-18 2008-04-23 주식회사 세니온 배전 선로의 상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자동화 시스템 및방법
JP2011208975A (ja) * 2010-03-29 2011-10-2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系統の位相角差検出装置
JP2016125935A (ja) * 2015-01-06 2016-07-11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交流3相電路の相判別支援装置、相判別装置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10149A (ja) * 2004-08-16 2008-04-03 エネル ディストリビュズィオーネ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基準相電圧に対する未知相電圧の配線相を検出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730627B1 (ko) 2005-12-27 2007-06-21 (주)에디테크 상 정보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KR20080035116A (ko) * 2006-10-18 2008-04-23 주식회사 세니온 배전 선로의 상을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자동화 시스템 및방법
JP2011208975A (ja) * 2010-03-29 2011-10-20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電力系統の位相角差検出装置
JP2016125935A (ja) * 2015-01-06 2016-07-11 東京電力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交流3相電路の相判別支援装置、相判別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848B1 (ko) 2022-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91399B1 (en) Synchronized phasor measurement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EP2732296B1 (en) Power determination from separated voltage and current sensors
EP2321658B1 (en) Determining electric grid endpoint phase connectivity
US821764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the phases in a multi-phase electrical system
KR100860551B1 (ko) 상 식별 시스템
US201500915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assigning individual phase conductors in a polyphase energy distribution network
JP2011208975A (ja) 電力系統の位相角差検出装置
CN110865316A (zh) 一种电表接线识别检测系统及方法
KR102451848B1 (ko) 전원상 검출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230280383A1 (en) Wireless synchronized measurements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JP2001313595A (ja) 電力線通信方法及び電力線通信システム
KR101904662B1 (ko) 배전선로의 상 판별이 가능한 지능형전력량계시스템,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상 판별 및 도전 관리 방법
CN104012014B (zh) 用于同步与通信网络相连的设备的方法和装置
KR100844166B1 (ko) 타임마크를 이용한 시각 동기화 및 표준 상 검출 장치
KR20130026841A (ko) 위상 검출을 위한 원격 검침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0949A (ko) 전기에너지 관리시스템
US1169990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hase identification using relative phase angle measurements
CN110244124B (zh) 卫星时间同步校对标准相位检测方法及系统
JP2012141666A (ja) 監視制御システム及び監視制御方法
KR101108683B1 (ko) 프로세스 버스 기반의 차동보호계전 lED의 위상각 차 보상장치 및 방법
KR20220111511A (ko) 표준전파의 시각정보를 이용한 삼상 배전선로의 기준상 측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9092417A (ja) 地絡発生バンク特定方法および地絡発生バンク特定装置
JP5063125B2 (ja) 電気機器の時刻補正システム及びその時刻補正方法
JP2023074121A (ja) 不平衡調整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不平衡調整情報提供方法
CN116520088A (zh) 一种低压线路电流检测系统和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