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220A -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nd hollow slab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nd hollow slab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2220A KR20210112220A KR1020200087327A KR20200087327A KR20210112220A KR 20210112220 A KR20210112220 A KR 20210112220A KR 1020200087327 A KR1020200087327 A KR 1020200087327A KR 20200087327 A KR20200087327 A KR 20200087327A KR 20210112220 A KR20210112220 A KR 202101122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
- spacer
- support
- hollow slab
- de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04B5/043—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having elongated hollow co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17—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 E04B2005/176—Floor structures partly formed in situ with peripheral anchors o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공슬래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 전체의 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휨과 처짐에 대한 저항성능을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며, 슬래브 내부에 중공을 형성하는데 있어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의 유동을 최소화하여 균일한 품질의 중공슬래브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중공슬래브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llow slab,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entire slab and at the same time maximize the resistance to bending and deflection, and to form a hollow inside the slab.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capable of forming a hollow slab of uniform quality by minimizing flow, and a hollow slab having the same.
건축물의 주요 구성요소로는 기둥, 슬래브, 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슬래브는 건축 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진다. 대규모의 건축 요소로서 슬래브는 큰 중량을 가질 수밖에 없는데, 건축물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슬래브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이 유리하다.The main components of a building are columns, slabs, and beams. Among them, the slab forms the floor of the architectural space and has the largest scale. As a large-scale building element, the slab inevitably has a large weight, and it is advantageous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lab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예를 들어, 건축물을 PC 부재로 시공하는 경우, 구조물을 구성하는 기둥, 슬래브, 보 등의 PC부재를 미리 생산하여 시공현장에 이송한 후,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각각의 PC부재를 구조물의 형상에 맞춰 조립하고, 각 PC부재의 접합부를 대상으로 체결부재나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추가로 시공하여 PC부재를 일체화함으로써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이때 각 PC부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일정 패턴으로 배근된 내부철근을 PC 몰드에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주입한 후, 일정온도에서 양생시킴으로써 PC부재를 생산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방식으로 생산되는 PC 슬래브가 과도한 중량을 갖는 경우, 이를 시공현장까지 이송하기가 어려워짐은 물론, PC 슬래브를 설치한 후에도 PC 슬래브의 자중으로 인한 처짐 및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For exampl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with PC members, PC members such as pillars, slabs, and beams constituting the structure are produced in advance and transported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n each PC member is adjusted to the shape of the structure using a lifting device. The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by assembling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and integrating the PC members by additionally constructing a fastening member or cast-in-place concrete for the joint of each PC member. At this time, in order to produce each PC member, the PC member is produced by inserting internal reinforcing bars reinforced in a certain pattern into the PC mold, injecting concrete, and curing it at a certain temperature. However, if the PC slab produc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has an excessive weight, it becomes difficult to transport it to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re is a risk of deflection and damage due to the weight of the PC slab even after the PC slab is installed.
슬래브의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슬래브 중앙부분의 두께를 양측단부보다 얇게 형성하여 제작하는 방법도 사용된 바 있으나, 두께가 감소된 슬래브는 진동 및 지진하중에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층간소음의 발생과 함께 구조적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reduce the self-weight of the slab, a method of making the central part of the slab thinner than both ends has been used. However, since the slab with reduced thickness is very vulnerable to vibration and seismic loads, i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stability is lowered.
최근에는 슬래브 내부에 튜브를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중공슬래브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중공슬래브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튜브는 아직 경화하지 않은 콘크리트에 대하여 부력을 갖게 되며, 튜브의 부유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중공슬래브는 그 내부의 튜브의 부피만큼 콘크리트가 생략되는 것이므로 중량은 현저히 감소되지만, 필요한 구조적 성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튜브가 정확히 설계 지점에 위치하여 그 주위의 경화된 콘크리트가 구조설계에 따라 응력을 부담할 것이 요구된다.Recently, hollow slabs for pouring concrete by placing tubes inside the slab have been developed. Howev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hollow slab, after pouring the concrete, the tube has buoyancy with respect to the concrete that has not yet been hardened, and the floating phenomenon of the tube may occur. Since the hollow slab omits concrete as much as the volume of the tube inside, the weight is significantly reduced, but in order to provide the necessary structural performance, the tube is located exactly at the design point, and the hardened concrete around it bears the stress according to the structural design. it is required to do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공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해 슬래브 내부에 삽입되는 튜브의 설치위치를 고정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발생되는 부력으로 인한 튜브의 유동을 방지하여 생산비용의 절감 및 균일한 품질을 가진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중공슬래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by fix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ube inserted into the slab to produce a hollow slab, the tube flow due to the buoyancy generated during concrete pouring is prevented.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having a reduction in production cost and uniform quality and a hollow slab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데크부(100) 상에 배치되어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스페이서(200)가 제공된다. 이러한 스페이서(200)는, 상기 관체부(300)가 안착되면 상기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받침부(22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여 상기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하도록 구성된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이 경우, 상기 구속부는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구속편(212)을 포함하되, 상기 관체부(300)의 안착시 상기 관체부(300)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구속편(212)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관체부(300)가 통과하고, 상기 관체부(300)가 상기 몸체부(210)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구속편(2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on one or both ends of the
여기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탄성구속편(212)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구속편(212)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지지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strai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상기 관체부(300)는 그 외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구속편(212)이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는 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한편, 몸체부(210)는 상기 반원 또는 원호 형상의 개방되는 방향이 수직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반원 또는 원호 형상의 곡률반지름이 상기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 이상일 수도 있지만, 상기 몸체부(210)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된 경우 상기 반원 또는 원호 형상의 곡률반지름은 상기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 이하일 수도 있다.The
상기 구속부는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편(240)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traint portion may include a
이 경우, 상기 체결편(240)은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는 하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상부에는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함몰부(120)의 하면 및 내벽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받침편(221)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220)가 상기 함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편(221)은 상기 걸림턱(125)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of the
상기 받침편(221)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220)의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시 상기 스페이서(200)를 가압하면 상기 받침편(221)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받침부(220)가 상기 함몰부(120)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부(220)가 상기 함몰부(120)에 삽입되면 상기 받침편(2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탄성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25)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는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받침부본체(2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받침편(221)은 상기 받침부본체(225)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받침부본체(225)와 상기 받침편(221) 사이에 철근수용홈(235)이 형성되고, 상기 철근수용홈(235)은 삽입되는 철근(17)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여기서, 상기 몸체부(210)의 높이 및 형상은 상기 삽입되는 철근(17)이 상기 몸체부(210)와 상기 걸림턱(12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Here, the height and shap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는 상기 철근(17)이 삽입된 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몸체부(210) 또는 상기 받침부(220)로부터 상기 철근수용홈(235) 내로 연장되는 철근고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는 상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걸림돌출부(121)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부(220)에는 상기 걸림돌출부(121)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The bent portion of the
이 경우, 상기 걸림돌출부(121)는 그 상부가 하부보다 큰 폭을 가지며, 상기 받침부(220)의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시 상기 스페이서(200)를 가압하면 상기 받침부(220)는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걸림돌출부(121)가 상기 결합홈(226) 내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출부(121)가 상기 결합홈(226)에 삽입되면 상기 받침부(2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탄성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출부(121)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데크부(100)의 하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상기 데크부(100)에 접하도록 구성된 고정플랜지(22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중공슬래브가 제공된다. 중공슬래브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데크부(100); 내부가 빈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부(300);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스페이서(200); 및 상기 관체부(300)의 내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데크부(100)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타설되는 콘크리트(10)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200)는, 상기 관체부(300)가 안착되면 상기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받침부(22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여 상기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하도록 구성된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slab is provided. The hollow slab, the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단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개시된 기술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description of the technology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disclosed technology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limited thereby.
또한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be termed a first component.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Furthermore,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specif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중공슬래브를 생산하는데 있어 슬래브 내부에 중공관을 설치함과 동시에 중공관의 설치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물량을 감소시켜 슬래브 시공에 따른 생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 중공관이 부유되는 것을 방지하여 중공슬래브 생산에 따른 균일한 품질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 the amount of concrete to be poured by installing a hollow tube inside the slab and fix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llow tube at the same time to produce a hollow slab,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the slab construction. ,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hollow pipe from floating due to concrete pouring and maintaining uniform quality according to the hollow slab pro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가 적용될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hollow slab to which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ollow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acer for the hollow slab tube shown i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acer for the hollow slab tube shown in FIG.
10 is a plan view showing the spacer for the hollow slab tube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선호적인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가 적용될 수 있는 중공슬래브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hollow slab to which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에서는 슬래브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튜브, 즉 관체부(300)를 포함하여 슬래브 내에 중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데크부(100) 상에 배치된 관체부(300) 위로 콘크리트(10)를 타설하면, 콘크리트(10)가 관체부(300) 안으로는 진입하지 못하여 관체부(300)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데크부(100)는 강판을 절곡한 형태로 제작되어 필요한 내응력을 보충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in the hollow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hollow may be formed in the slab including a tube, that is, a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에서는 관체부(300)가 비어 있으므로 경화 전의 콘크리트에 대하여 부력을 갖게 된다. 물체가 받는 부력의 크기는 물체가 밀어낸 부피만큼의 유체가 갖는 무게와 같으므로, 유체의 밀도 ρf와 밀어낸 부피 V에 대하여 부력 Fb는 Fb=ρfV 와 같이 계산된다. 예를 들어, 직경 140mm, 미터당 무게 2kg의 관체부(300) 위로 밀도 24kN/m3 의 콘크리트가 타설되면, 관체부(300)의 자중을 제외한 부력은, (π×702×1000×10-9)m3/m × 24kN/m3 - 0.02kN/m = 0.35kN/m으로 계산된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도 1의 구성에서와 같이 관체부(300) 위에 격자 형태로 배근된 철근(15)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는 위와 같은 정도의 부력을 저항하기에는 부족하며, 부력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철근(15)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은 슬래브의 중량을 감소시키려는 중공슬래브 원래의 취지에 반한다. 더욱이, 관체부(300)는 부력으로 인해 위로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는 것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도 유동할 수 있는데 상부의 철근(15)은 이를 방지하지는 못한다. 종래기술에서는 폼타이, 밴드 등으로 튜브를 고정시키는 방법이 사용되나, 이는 매우 번거로운 작업으로서 비용을 증가시키고 공기를 지연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As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 the reinforcing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스페이서를 나타낸 것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hollow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2 .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the spacer shown in FIGS. 2 and 3 .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는 크게 데크부(100), 스페이서(200) 및 관체부(300)를 포함할 수 있고, 철근(15, 17)을 배근한 후에 콘크리트(10)를 데크부(100)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타설하고 이를 양생함으로써 상기 관체부(300)에 의해 중공을 가진 중공슬래브가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hollow sla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largely include a
데크부(10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철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한 것일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는 데크부(100)가 하나의 선으로만 묘사되어 있으나 데크부(100)가 필요한 내응력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가질 것이라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크부(100)가 오목하게 파인 절곡부를 함몰부(120)라 지칭하고 볼록하게 돌출된 절곡부를 능선부(110)라 지칭한다. 함몰부(120)의 하면에는 걸림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부에는 걸림턱(1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의 역할에 대해서는 이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함몰부(120)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함몰되어 있고, 그 하면의 중앙 부분에서 역사다리꼴 형상의 걸림돌출부(121)가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물론, 함몰부(120) 및 걸림돌출부(121)의 형상이 이와 같은 역사다리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걸림돌출부(121)의 위치가 함몰부(120)의 중앙 부분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2 and 3 , the recessed
관체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가 빈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데크부(100)의 절곡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관체부(3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용융 아연도금 강판(SGC245Y)으로 제작될 수 있다. The
또한, 관체부(300)는 외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형강관으로 알려진 튜브는 외주면이 파형으로 굴곡되되, 하나 이상의 홈이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하나의 홈이 나선형으로 관체부(30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이어지는 경우도 외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콘크리트(10)가 타설될 때, 콘크리트(10)가 관체부(300) 내로 진입하지 못하게 하여 관체부(300) 내부의 빈 공간이 중공슬래브의 중공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콘크리트(10)는 관체부(300)의 재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데크부(100)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타설될 수 있다.Also, the
스페이서(200)는 중공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해 데크부(100) 상에 배치되어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페이서(200)는 상측단부로는 관체부(300)를 지지고정시키고, 하측단부는 상기 데크부(100)의 함몰부(120) 형상에 대응되어 일체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스페이서(200)는 크게, 관체부(300)가 안착될 때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지지하도록 구성된 몸체부(210)와, 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데크부(100)에 결합되는 받침부(220)와,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관체부(300)에 접촉하여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가하도록 구성된 구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4, the
몸체부(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몸체부(210)가 각각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직선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형 단면을 가진 관체부(300)가 안착될 때 2개의 교차하는 직선부재가, 하나는 관체부(300) 하부의 일측에서, 다른 하나는 관체부(300) 하부의 타측에서, 관체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몸체부(210)가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면서 관체부(300)를 지지함으로써, 콘크리트(10)가 타설되기 전에 관체부(30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에는 몸체부(210)가 대체적으로 반원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몸체부(210)가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관체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몸체부(210)가 관체부(300)를 직접 지지하는 면만 반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관체부(300)를 직접 지지하는 면의 전부가 또는 일부분만이 반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10)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ase in which the
이와 같이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는 상측면에 관체부(300)가 안착되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관체부(3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210)는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곡률반지름이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 이상으로 설계되어 관체부(300)가 몸체부(210)에 쉽게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몸체부(210)가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곡률반지름이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 이하로 설계되어 몸체부(210)가 관체부(300)에 밀착되면서 이를 강하게 구속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몸체부(210)의 곡률반지름이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에 비해 과도하게 작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스페이서(200)의 구속부는 관체부(300)가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에 안착되었을 때 관체부(300)에 접촉하여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straining part of the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200)는 그 구속부가 탄성구속편(212)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구속편(212)은 몸체부(210)의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4에는 탄성구속편(212)이 몸체부(2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10)의 일측 단부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2 to 4 , the
탄성구속편(212)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서 탄성변형이 요구되는 구성요소에서는 해당 구성요소의 재질, 두께 및 구조를 통해 적정 수준의 탄성변형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omponents requiring elastic de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elastic constraining
관체부(300)가 스페이서(200)에 안착될 때, 관체부(300)가 아래로 가압되면 탄성구속편(212)은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관체부(300)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고, 관체부(300)가 몸체부(210)에 안착된 후, 탄성구속편(2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탄성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할 수 있다.When the
즉, 스페이서(200)에 관체부(300)가 삽입되면 상기 탄성구속편(212)은 외측방향으로 압축되며, 관체부(300)가 몸체부(210)의 상면에 완전히 안착되면 탄성구속편(212)은 내측방향으로 이완되어 관체부(300)의 상부 소정의 위치에 밀착하게 되어 관체부(300)를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에 지지고정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도 4를 참조하면, 탄성구속편(212)이 관체부(300)에 접촉하는 면(213)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관체부(300)가 파형강관과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경우 특히 유용할 수 있는데, 탄성구속편(212)의 돌출부가 관체부(300) 외주면의 홈과 치합하여 힘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관체부(300)의 외주면에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여 기타 실시예에서는 탄성구속편(212)이 관체부(300)에 접촉하는 면(213)에 돌출부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4 , 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일부 실시예에서는 구속부가 걸림지지부(2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지지부(214)는 탄성구속편(212)의 외측에 형성되어 탄성구속편(212)이 소정 거리 이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관체부(300)의 안착시 또는 스페이서(200)가 시공에 사용되기 전에 부주의로 탄성구속편(212)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면 탄성구속편(212)이 복원불가능한 정도 또는 위치로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으므로, 탄성구속편(212)의 후면에 걸림지지부(214)를 두어 과도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는 걸림지지부(214)가 몸체부(210)의 단부에서 소정 높이까지 위로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걸림지지부(214)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4에서 걸림지지부(214)가 끝까지 위로 연장되어 탄성구속편(212)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탄성구속편(212)의 탄성변형 범위 자체가 변경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restraint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받침부(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고 데크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220)는 받침부본체(225)와 받침편(221)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본체(225)는 몸체부(210)의 하부에서 하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받침편(221)은 받침부(220)의 하부에서 데크부(100)의 절곡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일례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스페이스(200)는 데크부(100)에서 오목하게 함몰된 함몰부(120)에 장착될 수 있는데, 받침편(221)는 함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함몰부(120)의 하면 및 내벽에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경우, 함몰부(120)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침편(221) 역시 그 하면이 역사다리꼴 형상에 대응된다.Referring to FIGS. 3 and 4 as an example, th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크부(100)는 함몰부(120)의 상부에 걸림턱(125)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25)은 함몰부(12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받침편(221)은 걸림턱(125) 아래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받침부(220)가 함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받침편(221)은 걸림턱(125)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받침편(221)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부(220)를 데크부(100)에 결합하기 위해 스페이서(200)를 가압하면 받침편(221)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받침부(220)가 함몰부(12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받침부(220)가 함몰부(120)에 삽입되면 받침편(2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탄성적으로 복원하여 걸림턱(125)에 걸리게 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는 데크부(100)에 상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걸림돌출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스페이서(200)의 받침부(220)에는 걸림돌출부(12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결합홈(22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걸림돌출부(121)가 함몰부(12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고 결합홈(226)이 받침부(22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걸림돌출부(121)의 상부가 하부보다 큰 폭을 가진 역사다리꼴 형상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in some embodiments, a lock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220)의 하면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받침부(220)를 데크부(100)에 결합하기 위해 스페이서(200)를 가압하면 받침부(220) 하면의 결합홈(226) 양측이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걸림돌출부(121)가 결합홈(226)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걸림돌출부(121)가 결합홈(226)에 삽입되면 받침부(22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탄성적으로 복원하여 걸림돌출부(121)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물론, 받침부(220)의 하면이나 받침편(221)이 반드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데, 일부 실시예에서는 스페이서(200)를 데크부(100)의 가장자리에서 삽입하여 정해진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Of course, the lower surface or the
받침부(220)에는 고정플랜지(222)가 형성될 수도 있다. 고정플랜지(222)는 평행하게 연장되며 데크부(100)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함몰부(120)의 걸림돌출부(121)에 접촉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플랜지(222)에는 도 4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체결홈이 형성되어 볼트, 리벳 등의 체결수단이나 용접 등을 이용한 방법으로 받침부(220)를 데크부(100)에 결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A fixing
받침부(220)에 요구되는 강성과 변형도 및 사용되는 재료의 절감을 고려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받침부(220)의 일부분에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A hole may be formed in a part of the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체부(300)의 하부에도 철근(17)을 배치할 수 있는데, 슬래브에 가해지는 인장 응력을 부담하기 위해서는 철근(17)을 슬래브의 하측에 배근하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받침부(220)는 받침부본체(225)와 받침편(221)을 포함하되, 받침부본체(225)가 하향으로 연장되고 받침편(221)이 받침부본체(225)의 하부로부터 연장되면서 받침부본체(225)와 받침편(221) 사이에 철근수용홈(235)이 형성될 수 있다. 철근수용홈(235)에는 관체부(30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철근(17)이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철근수용홈(235)은 철근(17)이 중공슬래브 내에서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reinforc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는 소정의 높이 및 형상으로 설계되어, 삽입되는 철근(17)이 몸체부(210)와 걸림턱(125)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예를 들어, 도 3에는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와 데크부(100)의 걸림턱(125) 사이의 간격이 "d"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 간격(d)이 철근수용홈(235)에 삽입되는 철근(17)의 직경보다 작다. 철근(17)을 설치함에 있어서 각각의 스페이서(200)의 철근수용홈(235)에 먼저 철근(17)을 넣은 후 스페이서(200)를 데크부(100)에 장착할 수도 있고, 스페이서(200)를 데크부(100)에 장착한 후에 철근(17)을 데크부(100)의 가장자리에서 길이 방향으로 삽입할 수도 있지만,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철근(17)을 스페이서(200)의 측면에서 몸체부(210)와 걸림턱(125) 사이로 삽입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in FIG. 3 , the interval between th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는 철근고정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철근고정부(230)는 삽입된 철근(17)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수용홈(235)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철근고정부(230)는 몸체부(210) 또는 받침부(220)에 형성될 수 있다.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철근고정부(23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철근(17)이 철근수용홈(235)에 삽입될 때, 철근(17)이 아래로 가압되면 철근고정부(230)는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철근(17)이 통과하도록 할 수 있고, 철근(17)이 철근수용홈(235)에 삽입된 후, 철근고정부(230)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라도 탄성적으로 복원하여 철근(17)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스페이서(200)는 몸체부(210)와 받침부(220)의 여러 구성요소가 서로 결합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일체형 부품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200)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이 요구되는지 여부에 따라 각 부분의 두께를 달리하여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의 몸체부(210)와 받침부본체(225) 등은 비교적 높은 강성이 요구되므로 부담할 하중을 고려하여 두께를 크게 설계할 수 있고, 탄성구속편(212) 등은 탄성변형이 요구되므로 파손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두께를 작게 설계할 수 있다.The
도 4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에 따르면, 도 2의 중공슬래브를 시공할 때 스페이서(200)를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데크부(100)에 결합하도록 할 수 있고, 관체부(300)를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스페이서(200)에 결합되도록 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철근(17)도 측면에서 단순히 가압함으로써 적정 높이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부(100) 상에 스페이서(200), 관체부(300) 및 철근(15, 17)이 배치된 후 콘크리트(10)를 타설하면, 데크부(100)에 고정된 스페이서(200)는 관체부(300)를 고정하여 관체부(300)가 부상하거나 수평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는 이와 같이 매우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되면서도 구조적으로 무결성을 유지하므로 절감된 생산비용으로 균일한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pacer for the hollow slab tube shown in FIG. 4, when the hollow slab of FIG. 2 is constructed, it can be coupled to the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몸체부(210)는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반원 또는 원호의 개방되는 방향이 수직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at least a portion of the
위와 같이 원호의 개방되는 방향이 수직 상향이 아니고 수직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짐에 따라, 탄성구속편(212)은 보다 높은 위치에서 힘을 가할 수 있고, 탄성구속편(212)이 탄성력으로 내측을 향해 가하는 힘 중에서 관체부(300)의 부력에 대항하는 방향인 수직 하향으로 가해지는 성분이 증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몸체부(210) 자체의 일부가 관체부(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관체부(300)의 부력에 저항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부력에 저항하는 힘을 가하는 몸체부(210)의 일부가 구속부를 이루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5에는 구속부의 일부로서 탄성구속편(212)이 몸체부(21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탄성구속편(212)이 상부에 위치한 단부에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s above, as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arc is not vertically upward, but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the elastic constraining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shown in FIG. 6 .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shown in FIG. 8, and FIG. 10 is a hollow slab shown in FIG. It is a plan view showing a spacer for a tub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200)에서는 구속부가 체결편(240)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편(240)은 몸체부(2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6 and 7 , in the
예를 들어,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결합홈(216)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편(24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결합돌기(24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편(240)의 결합돌기(246)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몸체부(210)의 결합홈(216)은 원통형 홈으로 형성되되, 원추형 밑변의 지름이 결합홈(216)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편(240)을 가압하면 결합돌기(246)가 결합홈(216) 내로 압입되되, 결합돌기(246)의 형상 및 크기로 인해 체결편(240)이 이탈하지 못하게 된다.For example, a
체결편(240)은 관체부(300)의 상부를 에워싸며 관체부(300)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체결편(240)은 각각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직선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원형 단면을 가진 관체부(300)가 안착될 때 2개의 교차하는 직선부재가, 하나는 관체부(300) 상부의 일측에서, 다른 하나는 관체부(300) 상부의 타측에서, 관체부(300)를 접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210)는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면서 관체부(300)를 지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개의 교차하는 직선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체결편(240)이 관체부(300)의 상부를 에워싸며 관체부(300)에 접촉하고 이러한 체결편(240)이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면서 관체부(300)를 지지하는 몸체부(210)에 결합됨에 따라, 스페이서(200)는 관체부(300)를 전체적으로 에워싸면서 지지할 수 있고, 관체부(300)가 부력에 의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도 6 내지 도 10에는 체결편(240)이 대체적으로 반원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체결편(240)이 관체부(300)의 상부를 에워싸며 관체부(3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체결편(240)이 관체부(300)를 직접 접촉하는 면만 반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관체부(300)를 직접 접촉하는 면의 전부가 또는 일부분만이 반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체결편(240)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6 to 10 , a case in which the
이와 같이 스페이서(200)의 체결편(240)은 몸체부(210)의 상면에 안착된 관체부(300)의 상부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또는 양측 단부가 몸체부(210)의 단부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몸체부(210)와 마찬가지로, 체결편(240)은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곡률반지름이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 이상으로 설계되어 체결편(240)이 관체부(300) 위로 쉽게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에서는 체결편(240)이 탄성을 가진 재질로 형성되고, 반원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의 곡률반지름이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 이하로 설계되어 체결편(240)이 관체부(300)에 밀착되면서 이를 강하게 구속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체결편(240)의 곡률반지름이 관체부(300)의 곡률반지름에 비해 과도하게 작은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며, 체결편(240)이 몸체부(210)에 올바로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로 구현되어야 할 것이다.As such, the
도 6 내지 도 10에는 체결편(240)과 몸체부(210) 모두가 대체적으로 반원의 형상을 가진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편(240)이 사용되는 경우 체결편(240)과 몸체부(210) 중 어느 하나만 반원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다른 하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 대각선으로 배치되어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직선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서로 교차하는 대각선 직선부재는 관체부(300)의 직경에 구애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6 to 10 , the case where both the
도 6과 도 7에는 체결편(240)이 압입 맞춤에 의해 몸체부(210)와 결합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체결편(240)과 몸체부(210) 사이의 결합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편(240)과 몸체부(210)의 결합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한 가지 예가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6 and 7 , the case in which th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스페이서(200)의 몸체부(210)에는 도 9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결합홈(216)이 형성될 수 있고, 체결편(240)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결합돌기(24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체결편(240)의 결합돌기(246)는 소정의 폭을 가진 디스크부 및 상기 디스크부보다 작은 폭을 가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몸체부(210)의 결합홈(216)은 상기 디스크부에 대응하는 폭의 슬롯과 연결부에 대응하는 폭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홈(216)은 관체부(30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 또는 양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도 10의 평면도에서는 결합홈(216)이 일측으로 개방되되 도면의 위쪽으로 개방되어 있다.8 to 10 , the
이와 같은 구조의 경우, 체결편(240)을 몸체부(2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체결편(240)을 몸체부(210)의 후측에 배치한 후, 체결편(24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결합돌기(246)가 결합홈(216)내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결합돌기(246)가 결합홈(216) 내에 삽입된 후에는 결합돌기(246)의 디스크부가 결합홈(216) 상부의 슬롯보다 큰 폭을 가지고 있으므로 체결편(240)이 수직 방향으로는 이탈할 수 없게 된다.In the case of such a structure, in order to couple the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스페이서(200)의 경우, 몸체부(210) 위에 관체부(300)가 안착된 상태에서 체결편(240)이 관체부(300) 위로 이동하는 것이기 때문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는 달리 체결편(240)에서 관체부(300)에 접촉하는 부분이 모두 정확히 관체부(300)의 형상에 대응하지 않고 체결편(240)의 일부만이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체결편(240)의 하면이 모두 원호의 형상을 갖지 않고 일부분에 사각형 등의 여유공간이 제공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상기와 같이 데크부(100)에 스페이서(200)를 고정시키고, 상기 스페이서(200)에 관체부(300)를 지지결합시킴으로써, 몰드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도 관체부(300)가 부유되는 것이 방지되어 균일한 중공을 형성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중공슬래브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By fixing the
또한 중공슬래브를 생산하는데 투입되는 콘크리트의 양을 절감시켜 생산비용의 절감이 가능한 한편, 구조적 안정성을 통해 내부 인장력 및 지진하중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by reducing the amount of concrete input to produce the hollow slab, while also having the advantage of increasing the internal tensile force and seismic load through structural stabilit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can do what you can do.
10: 콘크리트
100: 데크부
200: 스페이서
300: 관체부10: concrete 100: deck part
200: spacer 300: tube body
Claims (9)
상기 관체부(300)가 안착되면 상기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받침부(22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여 상기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하도록 구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In the spacer 200 which is disposed on the deck part 100 to form a hollow slab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tubular body part 300,
a body portion 210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e portion 300 when the tube portion 300 is seated and to support the tube portion 300 ;
a support portion 220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0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deck portion 100; and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including a restraining portion configured to contact the tube portion 300 and apply a downward force to resist the floating of the tube portion 300 .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of the surface supporting the tube portion (300) has a semicircle or arc shape.
상기 구속부는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형성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구속편(212)을 포함하되,
상기 관체부(300)의 안착시 상기 관체부(300)를 가압하면 상기 탄성구속편(212)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관체부(300)가 통과하고, 상기 관체부(300)가 상기 몸체부(210)에 안착되면 상기 탄성구속편(212)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straint portion includes an elastic restraint piece 212 that is formed at one or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10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tubular part 300 is pressed when the tubular part 300 is seated, the elastic constraining piece 212 is elastically deformed to allow the tubular part 300 to pass, and the tubular part 300 to the body.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characterized in that when seated in the portion 210, the elastic constraining piece 212 applies a force to resist the rise of the tubular portion 300 downward in a state at least partially elastically restored. .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반원 또는 원호 형상의 개방되는 방향이 수직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ody portion 210 is a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direction of the semicircle or arc shap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상기 구속부는 상기 몸체부(210)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되는 체결편(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aint portion comprises a fastening piece (240) coupled to one or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10).
상기 체결편(240)은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고, 상기 몸체부(210)는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는 면의 적어도 일부가 반원 또는 원호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용 스페이서.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fastening piece 240 in contact with the tubular portion 300 has the shape of a semicircle or arc, and the body portion 210 has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supporting the tube portion 300 . A spacer for a hollow slab,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emicircle or arc shape.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는 하향으로 함몰된 형상의 함몰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함몰부의 상부에는 상기 함몰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부(220)는 상기 함몰부(120)의 하면 및 내벽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받침편(221)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220)가 상기 함몰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받침편(221)은 상기 걸림턱(125)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The method of claim 1,
The bent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0 includes a depression portion 120 of a downwardly depressed shape, and a locking jaw 125 protruding to the inside of the depression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epression portion,
The support part 220 includes a support piece 221 configured to contact the lower surface and the inner wall of the recessed part 120,
The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part 120, the support piece 221 is configured not to be separated by being caught by the locking jaw 125.
상기 받침편(221)은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220)의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시 상기 스페이서(200)를 가압하면 상기 받침편(221)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받침부(220)가 상기 함몰부(120) 내에 삽입되고, 상기 받침부(220)가 상기 함몰부(120)에 삽입되면 상기 받침편(22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25)에 걸려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 튜브용 스페이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piece 221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spacer 200 is pressed when coupled to the deck part 100 of the support part 220 , the support piece 221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support part 220 is in the recessed part 120 . It is inserted, and when the support part 220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120, the support piece 221 is at least partially elastically restored and is configured not to be caught by the locking jaw 125 and not separated. Spacer for hollow slab tube characterized.
내부가 빈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의 연장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관체부(300);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에 결합되어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스페이서(200); 및
상기 관체부(300)의 내부를 제외한 부분에서 상기 데크부(100) 위로 소정의 높이까지 타설되는 콘크리트(10)를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200)는,
상기 관체부(300)가 안착되면 상기 관체부(300)의 하부를 에워싸며 상기 관체부(3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데크부(100)의 절곡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데크부(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받침부(220); 및
상기 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관체부(300)에 접촉하여 상기 관체부(300)의 부상을 저항하는 힘을 하향으로 가하도록 구성된 구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슬래브.Deck portion 100 in which the bent portion is formed;
The tube body 300 is formed in a hollow tube shape and extend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a spacer 200 coupl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0 and configured to support the tubular portion 300; and
Containing concrete (10) poured to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deck part (100) in a portion except for the inside of the tube body part (300),
The spacer 200,
a body portion 210 configured to surround the lower portion of the tube portion 300 when the tube portion 300 is seated and to support the tube portion 300 ;
a support portion 220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ent portion of the deck portion 100 and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deck portion 100; and
The hollow slab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10) and comes in contact with the tube portion (300) and includes a restraining portion configured to apply downward force to resist the floating of the tube portion (3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6894 | 2020-03-04 | ||
KR20200026894 | 2020-03-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220A true KR20210112220A (en) | 2021-09-14 |
KR102423432B1 KR102423432B1 (en) | 2022-07-21 |
Family
ID=77774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7327A KR102423432B1 (en) | 2020-03-04 | 2020-07-15 |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nd hollow slab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3432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52226B1 (en) * | 2015-05-28 | 2015-09-10 |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 Structure of mounting form on the T-typed deckplate for the hollow core slab |
KR200478953Y1 (en) * | 2014-10-27 | 2015-12-04 | 박시환 | Reinforcing Spacers for Deck Plates |
KR101713632B1 (en) | 2016-05-31 | 2017-03-08 | (주)까뮤이앤씨 | Precast Concrete Hollow Core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
KR101942842B1 (en) * | 2018-07-31 | 2019-01-28 | 최창식 | Deck-Plate for Long Span |
KR20190137673A (en) | 2018-06-01 | 2019-12-11 | 이호석 | Production device of wet hollow core slab using vinyl tube and the method thereof |
-
2020
- 2020-07-15 KR KR1020200087327A patent/KR10242343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8953Y1 (en) * | 2014-10-27 | 2015-12-04 | 박시환 | Reinforcing Spacers for Deck Plates |
KR101552226B1 (en) * | 2015-05-28 | 2015-09-10 |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 Structure of mounting form on the T-typed deckplate for the hollow core slab |
KR101713632B1 (en) | 2016-05-31 | 2017-03-08 | (주)까뮤이앤씨 | Precast Concrete Hollow Core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reof |
KR20190137673A (en) | 2018-06-01 | 2019-12-11 | 이호석 | Production device of wet hollow core slab using vinyl tube and the method thereof |
KR101942842B1 (en) * | 2018-07-31 | 2019-01-28 | 최창식 | Deck-Plate for Long Spa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3432B1 (en) | 2022-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016195B (en) | Drop panel structure of lattice-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065633B1 (en) | Prestressed steel tubular truss beam by external prestressing method | |
KR101781603B1 (en) | Prefabricated beam structure with concrete form | |
KR101204329B1 (en) | Structure of bracket | |
KR102183909B1 (en) | The composite box girder bridge structure with a support block and a tensile member,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694805B1 (en) | Hollow prestressed concrete HPC girder and spliced hollow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HPC bridge construction method | |
KR102404761B1 (en) | Steel composite girder with buoyance prevention member for preventing buoyance of inner hollownes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10176805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ame | |
US20150027076A1 (en) | Sleeve Device For Increasing Shear Capacity | |
KR102423432B1 (en) | Spacer for a hollow slab tube and hollow slab having the same | |
KR101069095B1 (en) | Prestressed Steel Pipe with Steel Reinforcement and Preflexion | |
KR100747665B1 (en) | Concrete mold for slab and construction method of slab using the same | |
KR102173275B1 (en) | Long-span composite beam | |
KR101014195B1 (en) | Prestessed Composite beam having Profiled Steel Web | |
JP3745752B2 (en) | Steel pipe column structure | |
KR101707942B1 (en) | Precast concrete hollow core slab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0559764B1 (en) | Steel girder adhered arch rib | |
KR20100045740A (en) | Support assembly for precast half depth cantilever deck, constructing method of such cantilever deck, bridge using such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for such bridge | |
JP2009114738A (en) | Joint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lumn | |
KR101881075B1 (en) | Constructing Method of Support Part for Pipe | |
KR102031416B1 (en) | Mat slab | |
KR101740004B1 (en) | Box girder bridge construction and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2383333B1 (en) | Sqaure shape steel pipe with opening for distribution of reba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steel beam join structure using the same | |
KR200354531Y1 (en) | support plate | |
KR100387751B1 (en)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a foundation pi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