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632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632A
KR20210111632A KR1020200026817A KR20200026817A KR20210111632A KR 20210111632 A KR20210111632 A KR 20210111632A KR 1020200026817 A KR1020200026817 A KR 1020200026817A KR 20200026817 A KR20200026817 A KR 20200026817A KR 20210111632 A KR20210111632 A KR 2021011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usher
rear frame
hinge bracke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11632A/ko
Priority to US17/190,652 priority patent/US11668123B2/en
Publication of KR2021011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25Means acting between hinged edge an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제1방향 또는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도어와 본체를 연결하도록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도어는 도어의 제1방향 회동을 보조하여 수용공간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로서, 힌지브라켓을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개시는 도어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해 세탁조 내부에 투입된 세탁물, 세탁수, 세제를 함께 교반시킴으로써 상호간의 마찰을 통해 세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세탁기의 종류에는 회전조를 수평으로 배치하여 회전조가 수평축에 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할 때 세탁물이 회전조의 내주면을 따라 상향으로 올려져서 낙하 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드럼 세탁기와, 내부에 펄세이터를 구비한 회전조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이 회전조가 수직축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방식인 수직축 세탁기가 있다.
드럼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 내부에 설치되며 세탁수가 담기는 원통 형상의 터브와,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과, 터브의 후방에 배치되어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와, 캐비닛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캐비닛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드럼으로 연통되는 투입구가 마련되고, 도어는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세탁 행정이 완료된 후, 도어는 사용자가 의도하여 강제로 닫지 않는 경우에도 도어의 자중 또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닫힐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세탁기 내부 습기 방출이 어려워져 곰팡이 또는 냄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유아가 세탁기 내에 들어간 경우 내부 산소량 부족으로 인한 인명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의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푸셔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세탁기 내부의 용존 산소량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도어 열림 각도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세탁기 본체의 디자인 구현에 제한이 없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본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기 제1방향 회동을 보조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로서, 상기 힌지브라켓을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기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리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프레임의 일 측에는 상기 돌기가 관통하는 돌기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는 상기 리어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압부 및 상기 돌기가 상기 리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돌기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 단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전면패널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레그, 상기 복수의 레그 각각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복수의 레그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리어프레임,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해 회동하도록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수용된다.
상기 푸셔는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고 일 단이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레그가 수용되기 위한 복수의 레그수용홈을 형성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복수의 레그수용홈 사이에 마련된다.
상기 푸셔는 탄성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푸셔의 스트로크(stroke) 길이는 2mm이상 10mm이하로 마련된다.
상기 푸셔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른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는 5도 이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투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 측에 상기 힌지 브라켓의 샤프트가 연결되는 리어프레임 및 상기 투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리어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한다.
상기 푸셔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스프링의 일 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프레임의 일 측 전방에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가 상기 리어프레임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내부에 고정되어 장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투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샤프트를 갖는 힌지브라켓으로서, 상기 도어의 일 측에 상기 샤프트가 수용되는 힌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도어의 일 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푸셔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어프레임 및 상기 리어프레임과 함께 상기 샤프트가 수용되기 위한 샤프트수용홈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된다.
도어에 푸셔를 형성함으로써, 세탁기 내부 습기를 방지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세탁기 내부 용존 산소량을 확보할 수 있어 인명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푸셔가 도어의 회전축과 가까운 곳에 마련됨으로써, 짧은 길이로도 도어의 큰 열림 각도를 확보할 수 있다.
푸셔가 힌지브라켓과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므로 도어의 미관이 향상되며 푸셔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푸셔가 힌지브라켓 만을 가압하도록 마련되어, 그 외의 세탁기의 형상에 관하여는 자유롭게 디자인 구현이 가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힌지브라켓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의 일부 및 힌지브라켓을 확대하여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푸셔와 리어플레이트를 도시한 후방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푸셔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제1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푸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제2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푸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푸셔의 스트로크 길이 및 도어의 열림 각도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각종 구성품을 수용하는 본체(10)와,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도록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되는 터브(20)와, 터브(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세탁물을 수용하고 회전하는 드럼(30) 및 드럼(3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전방이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후면판(11d)과, 후면판(11d)의 전방으로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되는 양 측면판(11b, 11c)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본체(10)는 후면판(11d)과 양 측면판(11b, 11c)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 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후면판(11d) 및 양 측면판(11b, 11c)은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개방된 전방에 마련되는 전면패널(11a)과, 바닥에 마련되는 베이스(19), 그리고 상부에 마련되는 탑커버(11e)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350)에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16a)와 세탁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6b)를 갖는 컨트롤패널(16)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9)는 캐비닛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하부프레임(19b) 및 하부프레임(19b)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하부보강프레임(19a)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의 상부에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4b)와 급수관(14a)들, 급수과정에서 터브(20) 내부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40)는 공급관(17)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급수관(14a)을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공급장치(40)를 경유하여 세제와 혼합되며,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는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급수관(14a)은 별도의 제어밸브(미도시)를 통하여 직접 터브(20)의 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세제는 세제공급장치(40)를 거쳐 세제공급관(17)(미도시)을 통하여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드럼(30)의 후방에는 구동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장치(60)는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모터(61)에서 발생한 구동력을 회전축에 전달하여 드럼(30)을 회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모터(61)는 고정된 스테이터(63)와, 스테이터(63)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회전하는 로터(65)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즉 기계적인 회전력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터브(20)는 세탁수와 세제가 혼합된 혼합수를 저수하며, 대략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는 본체(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체(10)의 전면패널(11a)의 투입구(12)와 터브(20)는 다이어프램(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이어프램(50)의 일 측에는 순환호스와 연결되어 순환되는 혼합수를 드럼(30)의 내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70)이 마련될 수 있다. 분사노즐(70)은 드럼(30)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 전체에 고르게 혼합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순환호스는 터브(20)의 하부에서 저수된 혼합수를 펌핑하기 위한 순환펌프(71)에 연결될 수 있다.
드럼(30)은 터브(20)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상승 및 낙하시킴으로써 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드럼(30)은 본체(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은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32)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30)의 내부에는 복수의 리프터(31)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터브(20)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관(미도시), 배수밸브(미도시)등을 포함하는 배수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터브(20)는 상부의 스프링(220)(미도시) 및 하부의 댐퍼(80)들에 의해 본체(10)로부터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스프링(220)(미도시)과 댐퍼(80)들은 드럼(30)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20) 및 본체(10)로 전달될 때, 터브(20) 및 본체(10) 사이에서 진동에너지를 흡수하여 본체(1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체(10)의 전면패널(11a)에는 드럼(30)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터브(20)와 드럼(30)에는 캐비닛의 전방으로 세탁물을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터브(20)와 드럼(30)의 개구는 전면패널(11a)의 투입구(12)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전면패널(11a)에 마련되는 투입구(12)는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또한 드럼(30)의 수용공간(32)은 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도어(100)는 수용공간(32) 및 투입구(12)를 개방하는 제1방향(A) 또는 수용공간(32) 및 투입구(12)를 폐쇄하는 제2방향(B)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제1방향(A)은 시계방향이고, 제2방향(B)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어(100)의 회전 방향 변경이 가능한 세탁기(1)의 경우 힌지브라켓(300)의 장착 위치에 따라 제1방향(A)이 반시계방향이 되고, 제2방향(B)이 시계방향이 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100)는 힌지브라켓(300)에 의해 본체(10)의 전면패널(11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300)은 도어(100)와 본체(10)를 연결하도록 본체(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힌지브라켓(300)은 본체(10)의 전면패널(11a)의 전방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힌지브라켓(300)은 본체(1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후술할 푸셔(200)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푸셔(200)와 힌지브라켓(300)의 구체적인 관계는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 및 힌지브라켓을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00)는 복수의 프레임(110, 120, 140) 및 도어글라스(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는 프론트프레임(110), 내부프레임(120), 도어글라스(130) 및 리어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프레임(110)은 도어(100)의 전방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프레임(110)은 도어커버(111) 및 사이드프레임(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커버(111)는 도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112)은 도어커버(111)와 결합되어 도어(10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이드프레임(112)은 대략 환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프레임(112)은 커버와 리어프레임(140)을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드프레임(112)은 리어프레임(140)과 홈돌기 결합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은 프론트프레임(110)의 후방 및 리어프레임(140)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부프레임(120)은 프론트프레임(110)과 리어프레임(1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은 환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어 개구를 가지며, 리어프레임(140)과 함께 도어글라스(130)의 테두리부(131)를 고정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의 후방에서 체결부재(170)가 삽입되어 리어프레임(140), 지지플레이트(150), 내부프레임(120)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글라스(130)는 내부프레임(120)과 리어프레임(140)의 사이에 배치되는 테두리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글라스(130)는 내부프레임(120)과 리어프레임(14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은 도어(100)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의 일 측에는 힌지브라켓(300)이 결합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의 타 측에는 도어(100)가 본체(10)의 투입구(12)를 폐쇄하는 위치로 회동하는 경우, 도어(10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레버(160)가 결합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은 개구를 가지며 대략 환형의 링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은 내부프레임(120)과 함께 도어글라스(130)의 테두리부(131)를 지지 및 고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의 일 측에는 후술할 푸셔(200)의 돌기(210)가 관통하는 돌기통과홀(143)이 형성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과 내부프레임(120)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50)는 힌지브라켓(300)이 결합되는 측인 리어프레임(14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레이트(150)는 푸셔(200)의 스프링(220)의 일 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50)의 후방에서 체결부재(170)가 관통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 푸셔(200), 지지플레이트(150) 및 힌지브라켓(300)의 구체적인 결합관계는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의 일부 및 힌지브라켓을 확대하여 도시한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푸셔와 리어플레이트를 도시한 후방 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푸셔의 장착 관계를 도시한 전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100)는 푸셔(200) 및 지지플레이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셔(200)는 돌기(210) 및 스프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00) 내부에서의 푸셔(200) 장착 및 푸셔(200)의 구성에 관해 서술한다.
푸셔(200)의 돌기(210)는 힌지브라켓(300)의 전면(350)을 가압하도록 도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셔(200)의 돌기(210)는 리어프레임(140)의 돌기통과홀(143)을 관통할 수 있다.
푸셔(200)의 돌기(210)는 리어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힌지브라켓(300)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가압부(211) 및 돌기(210)가 리어프레임(14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이탈방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211)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힌지브라켓(300)의 전면(350)을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211)는 도어(100)의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가압부(211)는 도어(100)로부터 본체(1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12)는 가압부(21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12)는 대략 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212)의 반경은 리어프레임(140)의 돌기통과홀(143)의 반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기(210)가 돌기통과홀(143)을 통해 도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푸셔(200)의 돌기(210)의 일부분은 리어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돌기(210)의 다른부분은 리어프레임(14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푸셔(200)의 돌기(210)는 POM(Poly-Oxy-Methylene)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POM(Poly-Oxy-Methylene)은 강도 및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이다. 다만, 돌기(210)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푸셔(200)의 돌기(210)의 가압부(211)가 힌지브라켓(300)을 직접 가압함에 따라, 가압부(211)의 재질은 일반적인 플라스틱보다 강도가 큰 재질로 형성되어 재료의 소실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셔(200)의 스프링(220)은 돌기(210)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프링(220)은 돌기(210)의 이탈방지부(212)에 감겨 돌기(210)의 전방이동 및 후방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스프링(220)의 일 단은 지지플레이트(1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220)의 타 단은 돌기(210)의 이탈방지부(212)에 감겨진다. 지지플레이트(150)는 리어프레임(14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푸셔(200)는 리어프레임(140)과 리어프레임(140)의 전방에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150)의 사이에서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의 사이에서 고정되는 부분은 스프링(220) 및 이탈방지부(212)일 수 있다. 가압부(211)는 리어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푸셔(200)는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 사이에 고정될 수 있고 푸셔(200)의 일 단은 도어(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푸셔(200)가 도어(100) 내측에 수용되어 결합됨으로써 푸셔(200)와 도어(100)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푸셔(200)가 도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힌지브라켓(300)은 도어(100)의 일 측에 장착될 수 있다.
힌지브라켓(300)은 본체(10)의 전면패널(11a)에 결합되는 바디(310)와, 바디(310)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레그(320) 및 샤프트(33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300)의 바디(310)는 도어(100)와 마주하는 전면(350) 및 본체(10)와 접하는 후면(36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300)의 후면(360)에는 복수의 후크(340)가 형성될 수 있다. 후크(340)는 본체(10)의 전면패널(11a)에 형성되는 후크홀(미도시)에 삽입되어 힌지브라켓(300)과 본체(10)의 전면패널(11a)이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힌지브라켓(300)과 본체(10)가 결합할 수도 있다.
복수의 레그(320)는 바디(310)의 전면(35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레그(320)는 도어(100)에 형성되는 복수의 레그수용부(142, 152)에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레그수용부(142, 152)는 리어프레임(140) 및 지지플레이트(150)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의 레그(320)는 2개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복수의 레그(320)는 도어(100)의 자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레그(320)는 대략 ㄱ자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복수의 레그(320) 각각으로부터 도어(100)의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샤프트(330)는 후술할 샤프트수용홈(451)에 수용될 수 있다. 샤프트(330)를 통해 도어(100)가 힌지브라켓(3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어(100)의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는 힌지브라켓(300)과 도어(100)를 결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는 힌지브라켓(300)의 샤프트(330)를 수용하도록 샤프트수용홈(451)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은 제1샤프트수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샤프트수용부(141)는 힌지브라켓(300)의 샤프트(330)의 대략 절반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샤프트수용부(141)는 리어프레임(140)의 전방에서 후방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50)는 제2샤프트수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샤프트수용부(151)는 힌지브라켓(300)의 샤프트(330) 중 리어프레임(140)에 수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 대략 절반을 수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샤프트수용부(151)는 지지플레이트(1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1샤프트수용부(141)와 제2샤프트수용부(151)는 함께 샤프트수용홈(451)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브라켓(300)의 샤프트(330)는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의 사이에 수용되어 도어(100)가 힌지브라켓(30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는 복수의 레그(320)를 수용하기 위한 복수의 레그수용홈(452)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은 제1레그수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레그수용부(142)는 힌지브라켓(300)의 복수의 레그(320)가 수용되도록 리어프레임(140)의 일 측에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레그수용부(142)는 제1샤프트수용부(141)와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50)는 제2레그수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레그수용부(152)는 힌지브라켓(300)의 복수의 레그(320)가 수용되도록 지지플레이트(1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제2레그수용부(152)는 제2샤프트수용부(151)와 연결되어 함께 절곡될 수 있다.
제1레그수용부(142)와 제2레그수용부(152)는 함께 복수의 레그수용홈(45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힌지브라켓(300)의 복수의 레그(320)는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100)가 닫히는 경우 힌지브라켓(300)의 복수의 레그(320)가 도어(100) 내측에 수용되게 되어 도어(100)가 완전하게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푸셔(200)는 힌지브라켓(300)을 가압할 수 있다.
푸셔(200)는 복수의 레그(320) 사이에서 바디(310)의 전면(350)을 가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푸셔(200)는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 사이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레그수용홈(452)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리어프레임(140)의 돌기통과홀(143)은 복수의 레그수용홈(452) 사이에 마련되어, 푸셔(200)의 돌기(210)의 가압부(211)는 복수의 레그수용홈(452) 사이에서 도어(10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푸셔(200)는 대략 힌지브라켓(300)의 바디(310)의 전면(350)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다.
푸셔(200)가 복수의 레그수용홈(452)의 사이에 마련되어 힌지브라켓(300) 바디(310)의 전면(350) 중앙부를 가압함으로써, 큰 모멘트를 들이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도어(100)의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푸셔(20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푸셔(200)가 힌지브라켓(300)만을 가압하도록 마련됨으로써, 도어(100) 및 힌지브라켓(300)만으로 도어(100)의 열림을 유지할 수 있다. 만약 푸셔(200)가 힌지브라켓(300)이 아닌 예를 들어 본체(10)의 전면패널(11a)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면, 세탁기(1)의 디자인 변경 시에도 푸셔(200)에 의해 가압되는 부분만은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디자인을 구현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의 푸셔(200)는 힌지브라켓(300)을 가압하도록 마련되어 도어(100)와 힌지브라켓(300) 외 세탁기(1) 본체(10) 등의 디자인은 얼마든지 자유롭게 구현 가능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푸셔(200)의 장착방식을 서술한다.
리어프레임(140)의 전방에서 돌기통과홀(143)로 푸셔(200)의 돌기(210)를 삽입한다. 돌기(210)의 전방에 스프링(220)을 장착한 후, 지지플레이트(150)를 리어프레임(140)에 장착한다. 이 때, 스프링(220)은 지지플레이트(150)와 돌기(210) 사이에서 가압된다. 돌기(210)는 스프링(220)과 리어프레임(140)의 사이에서 가압된다.
따라서, 푸셔(200)는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사이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어 이탈이 방지된다.
푸셔(200)가 리어프레임(140)의 전방, 즉 도어(100)의 내측에서 결합됨으로써 푸셔(200)의 장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력에 의해 푸셔(20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제1방향(A)으로 회동하는 경우 푸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도어가 제2방향(B)으로 회동하는 경우 푸셔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00)가 제1방향(A)으로 회동하는 경우라 함은 도어(100)가 개방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이다. 즉, 도어(100)가 투입구(12) 및 수용공간(32)을 개방하는 경우이다. 도어(100)가 제2방향(B)으로 회동하는 경우라 함은 도어(100)가 폐쇄 상태로 회동하는 경우이다. 즉, 도어(100)가 투입구(12) 및 수용공간(32)을 폐쇄하는 경우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어(100)는 힌지브라켓(30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는 내부에 푸셔(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100)의 최전방에는 도어커버(111)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커버(111)는 도어(100)의 전면(350)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며 도어커버(111)의 후방에는 내부프레임(120)이 마련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은 리어프레임(140)과 함께 도어글라스(130)의 테두리부(131)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글라스(130)의 테두리부(131)는 리어프레임(140)과 내부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과 리어프레임(140)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15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50)와 리어프레임(140) 사이에는 푸셔(200)가 수용될 수 있다.
내부프레임(120)과 리어프레임(140)은 체결부재(17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170)는 리어프레임(140)의 후방에서 내부프레임(120)을 향하는 전방으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 역시 체결부재(17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재(170)는 리어프레임(140)의 후방에서 지지플레이트(150)를 향하는 전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100) 전체 구성의 조립성 및 결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어(100)가 제1방향(A)으로 회동하는 경우, 푸셔(200)의 스프링(220)은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서, 푸셔(200)가 리어프레임(140)의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푸셔(200)의 돌기(210)의 가압부(211)가 리어프레임(140)의 돌기통과홀(143)을 통과할 수 있다. 푸셔(200)의 돌기(210)의 이탈방지부(212)는 돌기통과홀(143)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어 푸셔(200)의 돌기(210)가 리어프레임(14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도어(100)가 제2방향(B)으로 회동하는 경우, 푸셔(200)는 힌지브라켓(300)의 전면(350)을 가압할 수 있다. 푸셔(200)는 도어(100)의 제2방향(B) 회동을 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푸셔(200)는 도어(100)의 제1방향(A)으로의 회동을 보조하여 드럼(30) 내 수용공간(32)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푸셔(200)의 스프링(220)은 도어(100)의 제2방향(B) 회동에 의해 일시적으로 압축될 수 있으나 스프링(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팽창될 수 있다. 푸셔(200)의 스프링(220)이 다시 팽창되는 경우 도어(100)는 일정 수준의 열림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도어(100)의 닫힘 상태를 락킹하기 위해 사용자가 도어(100)를 제2방향(B)으로 회동시켜 도어(100)의 레버(160)가 본체(10)에 체결되는 경우에는 푸셔(200)의 스프링(220)이 최대로 압축하여 푸셔(200)의 대부분이 리어프레임(1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행정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도어(10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푸셔(200)는 도어(100)의 열림 상태를 유지하여 드럼(30) 내부 수용공간(32)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푸셔(200)는 도어(100)의 제1방향(A)으로의 회동을 보조하여 사용자가 도어(100)를 개방하는 경우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도어(100)를 열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푸셔(200)의 구성을 통해 유아가 실수로 세탁기(1) 내부에 들어가는 경우에도 수용공간(32) 내 일정수준의 용존산소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용존산소량은 대략 18프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용존산소량을 확보하기 위한 도어(100)의 열림 각도 및 이를 위한 푸셔(200)의 스트로크 길이에 관한 내용은 후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푸셔의 스트로크 길이 및 도어의 열림 각도에 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푸셔(200)는 도어(100) 내부 수용공간(32)의 용존산소량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정 스트로크 길이(d)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도어(100)는 일정 수준의 열림 각도(θ)를 확보할 수 있다.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란, 리어프레임(140)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00)의 후면(360)과 힌지브라켓(300)의 전면(350) 사이의 각도를 말하는 것이다. 도어(100)가 사용자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한,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는 5도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는 대략 5.5도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를 유지하기 위해 푸셔(200)는 일정 수준의 스트로크 길이(d)를 가질 수 있다. 스트로크 길이(d)란, 푸셔(200)가 탄성적으로 전후방 이동할 수 있는 길이를 말한다.
푸셔(200)는 도어(100)가 개방된 상태일 때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100)의 후방으로 최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일 때 푸셔(200)의 전체가 리어프레임(140) 또는 도어(100)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셔(200)는 도어(100)가 폐쇄된 상태일 때 스프링(220)이 압축되어 도어(100)의 후방으로 일부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스트로크 길이(d)는 푸셔(200)의 최대 길이와 최소 길이의 차이값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는 5도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를 대략 5.5도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한 스트로크 길이(d)는 대략 3mm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셔(200)의 스트로크 길이(d)는 2mm이상 10mm이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푸셔(200)의 돌기(210)와 스프링(220)을 합한 푸셔(200) 전체의 길이는 대략 13mm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푸셔(200)는 짧은 스트로크 길이(d)로 큰 열림 각도(θ)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 용존 산소량을 보다 크게 확보 가능할 수 있다.
푸셔(200)의 스트로크 길이(d) 및 이에 따른 도어(100)의 열림 각도(θ)가 상술한 바와 같이 설정됨으로써, 드럼(30) 내부 수용공간(32)의 용존산소량은 대략 18%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셔(200) 전체의 길이 및 스트로크 길이(d)를 조절하여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를 언제든지 재설정할 수 있고 스트로크 길이(d)가 길어질수록 도어(100)의 열림 각도(θ)가 더 크게 확보될 수 있다. 도어의 열림 각도(θ)가 커질수록, 드럼(30) 내부 수용공간(32)의 용존산소량은 더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푸셔(200)는 도어(100)의 일 측에 형성되어 힌지브라켓(300)을 가압하도록 마련된다. 즉 푸셔(200)가 힌지브라켓(300) 측에 형성됨으로써 짧은 스트로크 길이(d)로도 도어(100)의 열림 각도(θ)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푸셔(200)의 길이가 비교적 짧게 형성됨으로써 푸셔(20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푸셔(200)가 소형화되어 세탁기(1) 도어(100)의 후방의 미관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푸셔(200)가 힌지브라켓(30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됨으로써 사용자에게 푸셔(200)의 노출이 최소화 됨에 따라 세탁기(1)의 전체적인 미관이 향상될 수 있고 푸셔(20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푸셔(200)는 별도의 결합부재나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리어프레임(140)과 지지플레이트(150)의 사이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푸셔(200)가 장착되기 위해 새로운 형상의 구조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조 공정상에 별도의 추가적인 단계가 필요하지 않아 기존의 세탁기(1)에 푸셔(200)가 손쉽게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본체
20; 터브
30; 드럼
32; 수용공간
100; 도어
120; 내부프레임
140; 리어프레임
451; 샤프트수용홈
452; 레그수용홈
200; 푸셔
210; 돌기
220; 스프링
300; 힌지브라켓
310; 바디
320; 복수의 레그
330; 샤프트
d; 스트로크 길이
θ: 열림 각도

Claims (20)

  1. 본체;
    세탁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제1방향 또는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는 제2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를 연결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상기 제1방향 회동을 보조하여 상기 수용공간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되는 푸셔로서, 상기 힌지브라켓을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마련되는 돌기; 를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리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어프레임의 일 측에는 상기 돌기가 관통하는 돌기통과홀이 형성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리어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가압부; 및
    상기 돌기가 상기 리어프레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돌기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일 단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전면패널에 결합되는 바디;
    상기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레그;
    상기 복수의 레그 각각으로부터 상기 도어의 회전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복수의 레그 사이에서 상기 바디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리어프레임;
    상기 리어프레임의 전방에 마련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도어가 상기 힌지브라켓에 대해 회동하도록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수용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고 일 단이 상기 도어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레그가 수용되기 위한 복수의 레그수용홈을 형성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복수의 레그수용홈 사이에 마련되는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탄성적으로 이동하고 상기 푸셔의 스트로크(stroke) 길이는 2mm이상 10mm이하로 마련되는 세탁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의 스트로크 길이에 따른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도어의 열림 각도는 5도 이상으로 마련되는 세탁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브라켓은 상기 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세탁기.
  15. 투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며 일 측에 상기 힌지 브라켓의 샤프트가 연결되는 리어프레임; 및
    상기 투입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리어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힌지브라켓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푸셔;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면을 가압하도록 마련되는 돌기; 및
    상기 돌기를 탄성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스프링의 일 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리어프레임의 일 측 전방에 장착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돌기가 상기 리어프레임의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내부에 고정되어 장착되는 세탁기.
  19. 투입구를 갖는 본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샤프트를 갖는 힌지브라켓으로서, 상기 도어의 일 측에 상기 샤프트가 수용되는 힌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힌지브라켓의 전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도어의 일 측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푸셔;를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후면의 일부를 형성하는 리어프레임; 및
    상기 리어프레임과 함께 상기 샤프트가 수용되기 위한 샤프트수용홈을 형성하는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는 상기 리어프레임과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장착되는 세탁기.


KR1020200026817A 2020-03-03 2020-03-03 세탁기 KR20210111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17A KR20210111632A (ko) 2020-03-03 2020-03-03 세탁기
US17/190,652 US11668123B2 (en) 2020-03-03 2021-03-03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817A KR20210111632A (ko) 2020-03-03 2020-03-03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632A true KR20210111632A (ko) 2021-09-13

Family

ID=7755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817A KR20210111632A (ko) 2020-03-03 2020-03-03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68123B2 (ko)
KR (1) KR202101116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78687S1 (en) * 2017-05-31 2020-03-17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care appliance
US20220364291A1 (en) * 2021-05-12 2022-11-17 Whirlpool Corporation Door For A Wash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039A (ko) 2007-09-13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
KR101708679B1 (ko) 2009-09-14 2017-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5645464B2 (ja) 2010-05-06 2014-12-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JP6553449B2 (ja) 2015-08-21 2019-07-3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KR20180136106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8123B2 (en) 2023-06-06
US20210277691A1 (en)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866B1 (ko) 세탁기
KR102147819B1 (ko)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10655269B2 (en) Washing machine
EP1747316B1 (en) Drum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EP3189179B1 (en) Washing machine
CA2898942C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drum connected to motor shaft
KR10259782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819891B1 (ko)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US7338141B2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EP3272926A1 (en) Washing machine
EP3339488B1 (en) Washing machine
EP3372723B1 (en) Washing machine
KR20210111632A (ko) 세탁기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KR102421544B1 (ko) 세탁기
EP3372726B1 (en)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KR102567517B1 (ko) 세탁기
US20120272690A1 (en) Motor-mounted balance ring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JP6807698B2 (ja) ドラム式洗濯機及びドラム式洗濯乾燥機
WO2023281828A1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130077995A (ko) 전자동 세탁기용 도어장치
WO2022249628A1 (ja) 洗濯機
KR102350236B1 (ko) 세탁기
KR20110009916A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060128396A (ko) 드럼 세탁기의 터브용 밸런스 웨이트 결합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