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513A -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513A
KR20210111513A KR1020200026544A KR20200026544A KR20210111513A KR 20210111513 A KR20210111513 A KR 20210111513A KR 1020200026544 A KR1020200026544 A KR 1020200026544A KR 20200026544 A KR20200026544 A KR 20200026544A KR 20210111513 A KR20210111513 A KR 20210111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fine dust
spray
heat island
ligh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371B1 (ko
Inventor
김학기
Original Assignee
김학기
유한회사 엘에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기, 유한회사 엘에스디 filed Critical 김학기
Priority to KR10202000265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371B1/ko
Publication of KR20210111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4Fixed devices, e.g. permanently- installed flus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ime, or sequence, of deliv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받고 복수의 분사부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유체를 몰딩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 내의 유로를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배관을 단순화하고 유체의 운반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 단위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적어도 일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며, 복수의 분사부로 유체를 공급할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배관의 배치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소형화되도록 구비되며 미스트와 함께 빛의 조사가 가능한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복수의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섹터별로 구비된 정보전송수단 및 환경조건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의 미스트 분사 및/또는 빛 조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중앙제어관리를 통해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Mist Injection Lighting Device and System For Relieving Fine Dust and Heat Island}
본 발명은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를 공급받고 복수의 분사부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유체를 몰딩에 의해 형성된 몸체부 내의 유로를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배관을 단순화하고 유체의 운반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분사노즐 단위체를 내부에 수용하여 적어도 일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며, 복수의 분사부로 유체를 공급할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배관의 배치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소형화되도록 구비되며 미스트와 함께 빛의 조사가 가능한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복수의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섹터별로 구비된 정보전송수단 및 환경조건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의 미스트 분사 및/또는 빛 조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중앙제어관리를 통해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 및 국외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폭염, 가뭄, 산사태, 생태계변화, 태풍, 호우피해, 해수면 상승 등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이며, 이 중 여름철 폭염으로 인한 피해는 도시지역에서 그 심각성을 더해가고 있다. 주변의 타 지역보다 대도시 지역에서 주목할 정도로 기온이 높은 현상이 나타나며, 이로 인한 도시 지역에서 시민의 불쾌감, 열쾌적성의 저하를 포함한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도심지의 미세먼지 및 황사로 인한 피해가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높은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의 발생 등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세먼지는 입자크기에 따라서 분류되며, 입자를 이루는 성분이 인체에 대해 독성을 지니고, 크기가 매우 작아 코와 기도를 거쳐 폐포에 용이하게 도달하며, 크기가 작을수록 폐포를 직접 통과하여 혈액을 통해 전신적인 순환이 가능하여 인명피해가 가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대안이 요구되고 있으나, 도로에 살수차를 이용하여 물을 살포하는 정도의 미봉책에 지나지 않는 방안들이 실시되고 있다.
최근 도시의 폭염 및 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람들의 활동공간인 도시공원의 경우 쿨링포그시스템(Cooling fog system)을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국외의 제품을 그대로 적용한 바 실질적인 정량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사용자의 열쾌적성, 불쾌감 등의 평가도 이루어지지 않고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한정적인 장소에서 사용된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낮은 실정이다.
도 1은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3828호에 개시된 안개 분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안개 분무장치는 안개 분무효율을 높이고 물 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안개의 형태로 분무하여 공원, 놀이터 등 주위 온도를 낮출 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개 분무장치의 경우 충분한 수분 공급을 위해서 다수의 노즐을 구비하게 되는데, 노즐까지 유체를 공급함에 있어서 배관의 배치가 복잡하고, 누수의 발생이 쉬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분무장치의 경우 미세먼지와 열섬현상 완화를 위해서 가로등과 같은 조명장치와 같이 구비될 수 있는데, 배관과 배선의 문제가 까다로워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분무되는 노즐까지 배관의 배치가 단순하고 노즐까지의 유체 유동 시 누수가 방지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실용실안공보 제20-0363828호(2004.10.0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미세 수분을 분사할 수 있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유체를 상기 복수의 분사부까지 유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어 누수의 발생을 막고 배관이 경제적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로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유체를 상기 복수의 분사부까지 유동시켜 배관이 복잡하지 않은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유로는 1차유로와 2차유로가 상호 교차하며, 분사부가 하우징 상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일면으로 분사부를 노출하여 상기 분사부를 통해 미스트가 분사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지지체는 소정높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지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주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환경정보를 전송받고 미스트 분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조건에 따라 미스트의 분사와 빛의 조사를 제어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미세 수분을 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부는 미세 수분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분사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각 분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유체를 상기 복수의 분사부까지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는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고,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분사부로 유체를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유로로부터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통공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관부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되되, 분기부와 유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는 몸체부와 연결되어 상기 관부에 흐르는 유체를 상기 몸체부로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는, 적어도 일면으로 분사부를 노출하여 상기 분사부를 통해 미스트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소정높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지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부는 제1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명은 상기 제2지지체 상에 구비되어 미스트 분사와 함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조명부는 제2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조명은 제1지지체 상에 구비되어 측면으로 미스트와 함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은 복수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주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환경정보를 전송받고 미스트 분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미세 수분을 분사할 수 있는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로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유체를 상기 복수의 분사부까지 유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은 일체로 형성되어 누수의 발생을 막고 배관이 경제적인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로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유체를 상기 복수의 분사부까지 유동시켜 배관이 복잡하지 않은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 유로는 1차유로와 2차유로가 상호 교차하며, 분사부가 하우징 상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미스트의 분사가 균일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은 유로로부터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통공에 기밀하게 체결되어 분사 시 누수가 방지되는 분사노즐 단위체를 제공하는 효과를 수반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면으로 분사부를 노출하여 상기 분사부를 통해 미스트가 분사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체는 소정높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지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미스트와 함께 빛을 조사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주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환경정보를 전송받고 미스트 분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조건에 따라 미스트의 분사와 빛의 조사를 제어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발명에 따른 안개 분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분사노즐 단위체(1)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분사노즐 단위체(1)의 사시도
도 6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
도 8은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6의 B-B'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단위체(1')의 사시도
도 11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의 B'-B''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부(13)의 단면도
도 13은 도 2의 D 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51)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정보전송수단(60)을 도시한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감지부(61)를 도시한 블록도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수단(70)을 도시한 블록도는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여 직접 맞닿아 연결되는 것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고, 볼트와 너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고,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연결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고, 다른 구성요소 또한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는 분사노즐 단위체(1)를 내부에 수용하여 적어도 일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며, 적어도 일면으로 분사부(115)를 노출하되, 바람직하게는 노즐부(1153)만을 노출하도록 함으로써 분사노즐 단위체(1)가 최소 노출된 상태로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하며, 복수의 분사부(115)로 유체를 공급할 시 누수가 발생하지 않고 배관의 배치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소형화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1)와 장치부(3)를 포함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에 구비되는 분사노즐 단위체(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C 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6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분사노즐 단위체(1)는 유체를 공급받고 복수의 분사부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유체를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 내의 유로를 통해 유동시킴으로써 배관을 단순화하고 유체의 운반 시 누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는 몸체부(11)와 관부(13)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몸체부(11)는 후술하는 관부(13)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고 복수개의 분사부(115)를 통해 미스트를 분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는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일면이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분사부(115)를 통한 미스트의 분사가 용이하게 이뤄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및 후술하는 시스템(1000)에서의 시공성이나 균일한 미스트의 분사를 위하여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부(11)는 하우징(111), 유로(113), 체결공(114), 분사부(115) 및 마개(11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11)은 몸체부(11)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하우징(111)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분사되는 물과 접촉에 의해 부식성이 낮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1)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몰딩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소정의 방식으로 제조된 금형에 가열된 자재를 주입하고 냉각시켜 하우징(111)을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유로(113)를 통한 유체의 유동 시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복수의 분사부(115)에 복잡한 배관을 통해 유체를 공급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11)과 유로(113)를 통해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 단위체(1')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의 B'-B''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111)은 외부와 연통되는 통공(1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공(111a)은 하우징(111) 상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1)의 일면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분사부(115)와의 체결을 통해 미스트가 분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우징(111)의 일면에 4개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분사부(115)와 체결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8개가 형성되어 역시 분사부(115)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통공(111a)은 제1통공(111aa)과 제2통공(111a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통공(111aa)은 후술하는 1차유로(1131)의 경로 상에 형성될 수 있고, 제2통공(111ab)은 2차유로(1133)의 경로 상에 형성되되 1차유로(1131)가 지나가지 않는 곳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 및 도 9에서, 1차유로(1131)가 형성된 좌측의 통공이 제1통공(111aa)으로 구분되고, 우측의 통공은 제2통공(111ab)으로 구분된다. 이때, 제1통공(111aa)의 중심을 이은 선(x1)은 후술하는 1차유로(1131)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1통공(111aa)의 중심을 이은 선(x1)과 제2통공(111ab)의 중심을 이은 선(x2)은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통공(111a)은 나사산(111b)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분사부(115)가 통공(111a)과 결합 시 나사결합을 통해 기밀하게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유로(113)는 하우징(111) 내에 형성되어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구비되며, 후술하는 분사부(115)와 연통되어 유체를 미스트의 형태로 외부로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111)이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유로(113)는 하우징(111)의 제조 시 빈 공간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구비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11)을 연삭하거나 구멍을 뚫음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로(113)는 하우징(111)이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용접이나 이음 등의 과정이 필요없이 하우징(111) 내부로 유입된 유체를 통공(111a)과 연결되는 분사부(115)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유로(113)는 일체로 연통되며,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유로(113)는 하우징(111) 내에서 여러 갈래로 분기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통공(111a)이 유로(113)로부터 외부와 연통되면서 하우징(111)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유로(113)가 분기되면서 유체를 통공(111a) 및 분사부(115)로 유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통공(111a)이 하우징(111)의 일면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므로, 상기 유로(113)는 네 모서리 쪽으로 유체를 유동시키도록 분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유로(113)는 후술하는 유입부(135)로부터 유체를 공급받는 유입구(113a)와, 상기 유입구(113a)로부터 전체적으로 수평하게 통공(111a)까지 유체를 운반하는 운송부(113b)가 분기되며 구비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통공(111a)이 형성되지 않은 면에서 외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연통부(113c)를 구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유로(113)는 하우징(111)의 일측으로부터 형성되며 관부(13)와 연결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1차유로(1131)와, 상기 1차유로와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유로(1133)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가 연삭 또는 드릴링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 원형 단면을 갖고 중심선이 직선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유로(113)를 통해 하우징(111)에 구비된 복수의 통공(111a)에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서 1차유로(1131)와 2차유로(1133)가 교차하며 형성될 수 있다. 2차유로(1133)는 상기 1차유로(1131)와 직각으로 교차됨이 바람직하고, 연장되는 부분에서 제2통공(111ab)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공(111a)이 균일하게 배치되어 미스트를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다.
또한, 2차유로(113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데,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차유로(1133)의 각 중심선(y1 내지 y4) 사이의 간격(d)이 일정하게 구비되어 2차유로(1133) 사이의 간격이 균일하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통공(111a) 및 분사부(115)가 하우징(111) 상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유로(113)와 통공(111a) 간의 관계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통공(111aa)이 1차유로(1131)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1차유로(1131)가 하우징(111)의 중앙 부분에 구비되고 2차유로(1133)가 상기 1차유로(1131)와 직각으로 교차하되, 하우징(111) 상의 모든 통공(111a)이 2차유로(1133)와 연통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공(114)은 하우징(1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며, 하우징(111)의 대략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체결공(114)을 관통하는 체결수단(315)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분사부(115)는 하우징(111)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어 유체를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1)의 일면에 복수개 구비된 통공(111a)과 기밀하게 체결되어 누수 없이 유체를 외부로 분사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사부(115)는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분사되는 수분의 입자크기를 바람직하게는 10~30㎛로 할 수 있다. 분사되는 입자크기는 주변환경, 즉 주변의 온도와 습도,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적정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분사부(115)는 삽입부(1151), 노즐부(1153) 및 밀착부(11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1151)는 중앙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미세 유로를 구비하면서 형성되고, 통공(111a)에 삽입되도록 구비되는데, 통공에 구비된 나사산(111b)에 대응되도록 외부가 나사산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삽입부(1151)가 나사결합을 하면서 통공(111a)과 체결됨에 따라 하우징(111)과 분사부(115)의 기밀한 체결이 가능하다.
상기 노즐부(1153)는 유체를 미스트의 형태로 분사시키도록 구비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0~30㎛의 입경으로 미스트를 분사시킬 수 있으며, 후술하는 중앙제어수단(70)의 제어에 따라 분사량 및/또는 분사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밀착부(1155)는 분사부(115)의 삽입 시 분사부(115)와 하우징(111)이 밀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O-ring으로 구비되어 분사부(115)와 하우징(111) 표면에 밀착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분사부(115)가 통공(111a)에 밀착되어 구비되므로, 유체가 일체로 형성된 하우징(111)과 유로(113)를 통해 누수 없이 복수의 분사부(115)를 통해 미스트의 형태로 외부로 분사될 수 있고, 배관이 각각의 분사부(115)에 연결되는 것보다 간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마개(117)는 상기 연통부(113c)를 막아 유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부에도 나사산(111b)이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마개(117)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어 유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추가적으로 밀착부(1155)와 같은 O-ring을 통해 밀착하도록 하여 유체의 유출을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통부(113c)를 마개(117)로 막지 않고 다른 배관과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관부(13)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관부(13)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단이 몸체부(11)와 연결되어 배관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를 몸체부(11)로 유입시키거나 분기시켜 계속 진행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관부(13)는 분기부(131), 연결부(133) 및 유입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기부(131)는 일측으로 유입되어 일방으로 흐르는 유체를 분기하여 몸체부(11) 또는 타측으로 유출시키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분기부(131)가 T자 형상으로 구비되어 한쪽에서 유입되는 유체를 유입부(135)를 통해 몸체부(11)로 유입시키거나 타측의 연결부(133)로 유출시킬 수 있다. 분기부(131)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분기몸체(131a)와 분기몸체 내부의 분기유로(131b)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33)는 배관과 관부(13)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분기부(131)와 바람직하게는 나사결합을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33)는 바람직하게는 T자 형상의 분기부(131)의 마주보는 양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연결몸체(133a)와 연결유로(133b)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135)는 상기 몸체부(11)와 연결되어 관부(13) 내에 흐르는 유체를 몸체부(11)로 유입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부(135)는 유입구(113a)와 연결되어 유체를 유로(113) 내로 안내하고, 나사결합 등의 방법을 통해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부(135)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입몸체(135a)와 유입유로(135b)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장치부(3)는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를 내부에 수용하고, 외부로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전체적으로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고,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부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장치부(3)는 지지체(31)와 연결관(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31)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1)와 연결관(32)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가 복수의 분사부를 형성하고, 복수의 분사부(115)에 유체를 전달하는 것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부(11)를 통해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이 단순화되고 누수가 방지되는바 상기 지지체(31)는 전체적으로 적은 폭을 가지면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체(31)는 바람직하게는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체(311)와 제1지지체(311)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체(31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체(311) 및 제2지지체(313)에 분사노즐 단위체(1) 및 조명부(5)를 수용할 때 사용되는 체결수단(31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체(311)는 지상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됨이 바람직하다. 제1지지체(311)는 중공을 가진 튜브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튜브 형상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1지지체(311)의 형상은 수용되는 분사노즐 단위체(1)의 평면 형상에 적어도 일부가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체(311)는 적어도 일면으로 분사부(115)를 노출시켜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분사노즐 단위체(1)를 수용함에 있어서, 분사부(115)가 노출되는 면의 반대편 면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개구부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1)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체(313)는 제1지지체(31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연장된다. 제2지지체(313)는 중공을 가진 튜브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사각튜브 형상이 바람직하나 그 형상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지지체(313)의 형상은 수용되는 분사노즐 단위체(1)의 평면 형상에 적어도 일부가 상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지지체 또한 적어도 일면으로 분사부(115)를 노출시켜 미스트를 분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분사노즐 단위체(1)와 후술하는 제1조명(51)이 제2지지부에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제2지지체(313)는 분사노즐 단위체(1)를 수용함에 있어서, 하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함입되는 개구부(313a)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부(313a)를 통해 분사노즐 단위체(1) 및 후술하는 제1조명(51)이 하측면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가 하면에 구비됨으로써 상부에서 낙하하는 빗방울 등으로 인한 침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분사노즐 단위체(1)와 후술하는 제1조명(51)이 개구부(313a)에 수용되면, 체결수단(315)이 제2지지체(313)의 상측 일단과 연결되어 아래로 연장되고, 분사노즐 단위체(1)의 하우징(111)에 형성된 체결공(114)을 통해 체결수단(315)이 분사노즐 단위체(1)와 제2지지체(313)를 체결하게 된다. 이후 분사노즐 단위체(1)의 분사부(115)만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313a)을 폐색하고 체결하면 상부에서 낙하하는 물질 등에 의한 침수 문제가 방지된다.
상기 체결수단(315)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단면을 가지고 연장될 수 있고, 일단에 헤드를 포함하되 헤드는 체결수단(315)보다 넓은 단면을 갖도록 하여 미스트 분사노즐(1)이 탈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315)은 제2지지체(313) 뿐만아니라 제1지지체(311)와 미스트 분사노즐(1)의 체결을 매개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32)은 분사노즐 단위체(1)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분사노즐 단위체(1)가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내에 수용되는 경우, 각 분사노즐 단위체(1)로의 유체 공급을 위하여 연결관(3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관(32)은 지하의 수도시설과 분사노즐 단위체의 연결부(13) 사이를 연결할 수 있고, 일측 분사노즐 단위체의 연결부(13)와 타측 분사노즐 단위체의 연결부(13)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단순한 배관의 배치로도 복수의 분사노즐에 효과적으로 유체를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는 조명부(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5)가 적어도 일측을 향해 빛을 조사하므로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는 미스트를 분사함과 동시에 조명장치 또는 가로등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5)는 제1조명(51)과 제2조명(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조명(51)의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조명(51)은 제2지지부(313)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명(51)은 바디(511), 조사부(513) 및 도선(515)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511)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면서 개구부(313a)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디(511)는 개구부(313a)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체결공(511a)을 구비함이 바람직하고, 조사부(513) 측의 제1바디(5111)와 타측의 제2바디(5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5111)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형으로 구비되고, 전체적으로 소정의 요철을 가질 수 있다. 개구부(313a)에 삽입될 시 개구부(313a)의 크기와 상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5113)는 소정의 체적을 갖도록 입방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313a)의 깊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삽입 시 정착된다.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2바디(5113)는 복수의 방열판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사부(513)는 바람직하게는 반구형으로 구비되어 넓은 영역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으며, 밝기와 색상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도선(515)은 조사부(513)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내의 전기 배선과 연결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2조명(53)은 제1지지부(311)에 설치되어 측면을 향해 빛을 조사함이 바람직하다. 제2조명(53)은 LED 패널로 구비되어 시간 또는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조명(53)은 조사부(531), 보호부(533) 및 체결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부(531)는 제1지지체(311)의 일측 표면으로부터 소정깊이 함입된 공간에 설치되며, 일측으로 빛을 조사하며, 바람직하게는 LED패널로 구비되어 시간 또는 조건에 따라 색상과 밝기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보호부(533)는 상기 조사부(531)를 보호할 수 있도록 조사부(531)를 덮도록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 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35)는 보호부(533)와 제1지지체(311)를 체결하여 보호부(533) 및 조사부(531)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1)를 수용하여 복수의 분사부(115)를 통해 미스트를 분사하면서, 부가적으로 조명을 통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사부(115)가 길게 노출되어 소정 높이에서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사부(115)는 소정 높이에서 흔들리도록 구비되어 다방향으로 미스트를 분사하거나 심미감을 줄 수도 있는데, 하우징의 통공(111a)과 분사부(115)를 연결하는 관이 별도로 구비되되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flexible)되어 상기 분사부(115)가 소정 높이에서 흔들리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하부에서 조명을 통해 빛을 조사하여 심미감을 조성하거나 분사되는 미스트가 더욱 잘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10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10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고하면,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1000)은 복수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와, 섹터별로 구비된 정보전송수단(60) 및 환경조건에 대한 데이터에 따라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의 미스트 분사 및/또는 빛 조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70)을 포함하여 중앙제어관리를 통해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섹터에 따라 복수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와 정보전송수단(60a 내지 60d)이 구비되며, 중앙제어수단(70)은 복수의 섹터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받고 미스트의 분사와 빛의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1000)은 섹터에 따라 저장수단(미도시)과 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각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로 공급되는 유체를 저장하고 도관 등을 통해 유체를 보낼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정보전송수단(60)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감지부(61)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고하면, 정보전송수단(60)은 주변 환경조건을 감지하고 이를 후술하는 중앙제어수단(7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수단(60)은 환경감지부(61), 전송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감지부(61)는 도 16에 도시된 섹터 또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주변의 환경상태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환경감지부(61)는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공지된 또는 공지될 주변환경 감지를 위한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환경감지부(61)는 온도센서(613), 습도센서(615) 및 미세먼지 농도센서(6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613)는 섹터 또는 미스트 분사수단(100)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온도센서(613)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함에 따라 폭염 및 혹서기 해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습도센서(615)는 섹터 및/또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주변의 습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대습도 또는 절대습도를 측정하여 가로수에 수분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가 오는 날에는 습도센서(615)가 상대습도가 100%인 것을 감지함으로써 미스트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대습도가 매우 낮은 상태가 지속되면 습도센서(615)가 이를 감지하여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농도센서(617)는 섹터 또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미세먼지는 대한민국을 기준으로 지름이 10㎛ 이하인 것을 미세먼지, 2.5㎛ 이하인 것을 초미세먼지로 분류하며, 특히 직경 2.5㎛ 이하의 초미세먼지는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기 쉬워 기관지, 폐 등에 붙어 각종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은 광역적인 오염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하는 것으로 지표 부근에서 측정하지 않는 경우가 많은 바, 가로수 부근의 경우 자동차 등 국지적인 오염원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표된 미세먼지 농도보다 그 수치가 높을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 주변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여 추가적인 미세먼지 오염에 대한 대책으로써 미스트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63)는 환경감지부(61)에서 받아들인 주변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송하는 데이터는 후술하는 중앙제어수단(70)으로 전송되고,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를 제어하게 된다. 데이터는 공지된 또는 공지될 방법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제어수단(70)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중앙제어수단(70)은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10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중앙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환경감지부(61)에서 감지된 기상에 관한 데이터와 기 입력된 기상데이터를 비교하여 각 센서의 고장이나 최적 운영정보를 도출해낼 수도 있다. 감지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75)가 미세수분 분사에 대한 계산 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미세수분의 분사를 제어하게 된다. 중앙제어수단(70)은 정보수신부(71), 모니터링부(73), 제어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수신부(71)는 정보전송부(61)에서 전송된 정보, 상세하게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 저장수단의 레벨 등의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섹터별로 구비된 정보전송부에서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는 바, 정보수신부(71)는 섹터별로 데이터를 구분하여 수신하고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73)는 정보수신부(71)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관리자 등이 확인할 수 있도록 시각 또는 청각적인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100)에 구비된 정보전송부에서 상기 정보들이 수신되는 바, 이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표시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부(75)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미스트의 분사와 빛의 조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감지부(61)에서 주변환경조건을 측정한 결과 비가 내리고 있는 것으로 측정된다면(상대습도 100% 등) 제어부(75)는 미스트를 분사하지 않을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 농도가 기준치 이상이거나 주변 기온이 높아 폭염 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미스트 분사량을 증가시켜 주변의 온도를 낮추거나 미세먼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1: 분사노즐 단위체
11: 몸체부 111: 하우징
113: 유로 114: 체결공
115: 분사부 117: 마개
13: 관부 131: 분기부
133: 연결부 135: 유입부
3: 장비부 31: 지지부
311: 제1지지부 313: 제2지지부
313a: 개구부 32: 연결관
33: 센서부 35: 저장부
5: 조명부
51: 제1조명 53: 제2조명
1000: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
60: 정보전송수단 61: 환경감지부
63: 전송부 70: 중앙제어수단
71: 정보수신부 73: 모니터링부
75: 제어부

Claims (14)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 단위체와,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비된 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노즐 단위체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면에 구비되는 분사부를 포함하여 미세 수분을 분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미세 수분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복수의 분사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포함하되, 상기 유로는 각 분사부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여러갈래로 분기되어 유체를 상기 복수의 분사부까지 유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유로로부터 외부와 연통되는 복수의 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통공에 기밀하게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관부와 연결되어 유입구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1차유로와 상기 1차유로와 교차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2차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유로는 1차유로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유로는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2차유로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구비되어 분사부가 하우징 상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소정높이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체와 상기 제1지지체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2지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2지지체는 상기 분사노즐을 통해 하방으로 미스트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는 빛을 조사하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지지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1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명은 상기 제2지지체 상에 구비되어 미스트 분사와 함께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2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제2조명은 제1지지체 상에 구비되어 측면으로 미스트와 함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12. 복수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와, 주변의 환경조건을 감지하는 정보전송수단과, 상기 정보전송수단으로부터 환경정보를 전송받고 미스트 분사를 제어하는 중앙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수단은 환경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감지부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미세먼지 농도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감지한 온습도 및/또는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수단은 상기 각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별로 미스트 분사 및/또는 빛의 조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시스템.
KR1020200026544A 2020-03-03 2020-03-03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KR102323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44A KR102323371B1 (ko) 2020-03-03 2020-03-03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544A KR102323371B1 (ko) 2020-03-03 2020-03-03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513A true KR20210111513A (ko) 2021-09-13
KR102323371B1 KR102323371B1 (ko) 2021-11-09

Family

ID=77796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544A KR102323371B1 (ko) 2020-03-03 2020-03-03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66B1 (ko) * 2021-11-10 2022-05-09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재이용수 공급시스템
KR102613382B1 (ko) * 2023-06-27 2023-12-14 조민희 펜스용 방초시트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919B1 (ko) 2023-01-17 2024-04-29 안개핀조경 주식회사 Led 조명기구 겸용 분무 노즐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828Y1 (ko)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101403594B1 (ko) * 2014-01-28 2014-06-03 문대석 멀티기능을 가지는 가로등장치
KR101998116B1 (ko) * 2018-12-05 2019-07-09 안개핀조경 주식회사 쿨링 포그 분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828Y1 (ko) 2004-07-01 2004-10-07 고혜경 안개 분무장치
KR101403594B1 (ko) * 2014-01-28 2014-06-03 문대석 멀티기능을 가지는 가로등장치
KR101998116B1 (ko) * 2018-12-05 2019-07-09 안개핀조경 주식회사 쿨링 포그 분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5366B1 (ko) * 2021-11-10 2022-05-09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재이용수 공급시스템
KR102613382B1 (ko) * 2023-06-27 2023-12-14 조민희 펜스용 방초시트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371B1 (ko)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371B1 (ko) 미세먼지 및 열섬 완화를 위한 미스트 분사 조명장치 및 시스템
US7502665B2 (en) Networked diagnostic and control system for dispensing apparatus
ATE526061T1 (de) Unter einer flachplatte verborgener sprinkler für wohngebäude
US9849316B2 (en) Tunnel fire protection system
US5193354A (en) Humidification system with droplet discrimination
KR101998116B1 (ko) 쿨링 포그 분사장치
KR101789054B1 (ko) 소화기능을 가지는 안개분무시스템
KR102019789B1 (ko)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410621B1 (ko) 미스트 분사노즐과 그 노즐을 이용한 분사장치 및 시스템
US20180343813A1 (en) Clog resistant in-line vortex element irrigation emitter
KR20230094019A (ko)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클린로드용 노즐장치
KR102424872B1 (ko) 가로수보호대 적용 물 공급장치 및 그 시스템
KR20090094485A (ko) 가로수 수분 공급장치
KR102310885B1 (ko) 쿨링포그수단의 수요를 예측할 수 있는 쿨링포그 관리 시스템 수단
JP6118737B2 (ja) 環境試験装置、並びに、降雪用噴霧ノズル
KR20220087774A (ko) 미스트노즐 막힘 방지장치
KR200489785Y1 (ko) 이동형 쿨링 분무시스템
KR102478716B1 (ko) 클린로드용 노즐장치
CN215179526U (zh) 一种环境模拟试验设备
US6098900A (en) Portable sprinkler distribution assembly
KR102310869B1 (ko) IoT 기반 쿨링포그 관리 시스템 수단
KR102444895B1 (ko) 신호등 연계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KR102565846B1 (ko) 대류증발냉각장치
KR102402083B1 (ko) 자동제어식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KR20200022716A (ko) Led가 설치되는 냉방기를 포함하는 양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