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470A -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 Google Patents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470A
KR20210111470A KR1020200026455A KR20200026455A KR20210111470A KR 20210111470 A KR20210111470 A KR 20210111470A KR 1020200026455 A KR1020200026455 A KR 1020200026455A KR 20200026455 A KR20200026455 A KR 20200026455A KR 20210111470 A KR20210111470 A KR 20210111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ard
sub
control
remote controller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47147B1 (en
Inventor
윤선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147B1/en
Publication of KR20210111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47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1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05Details
    • G01S5/0242Determining the position of transmitters to be subsequently used in position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70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 H04Q2209/75Arrangements in the main station, i.e. central controller by polling or interrogating the sub-station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which supports a function to check a location of a remote controller by applying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es with various other electronic products, and a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ler perform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supporting a user to accurat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as need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ort to find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n various different spaces, and it is possible to increase communication speed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s and to improve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Description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 확인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Electronic devices that support the location check function of remote controllers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양방향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해서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 확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location checking function of a remote controller by applying a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기와 TV 등 가정이나 산업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전자 제품들은 대부분 온/오프 동작, 기능 제어 및 옵션 설정 등 다양한 동작과 기능들을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있다. 즉, 전자 제품들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전자 제품들의 다양한 기능이나 설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리모컨이 구비되어 있다. 전자 제품의 본체에도 인터페이스 가능한 컨트롤러가 구비되어 리모컨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자 제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 하지만, 사용자들은 리모컨을 이용해서 전자 제품들을 직접 조작하지 않고도 전자 제품들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ir conditioners, such as air conditioners, and electronic products widely used for home and industrial purposes, such as TVs, are manufactured so that various operations and functions such as on/off operation, function control and option setting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That is, a remote control is provided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or settings of the electronic products at a location away from the electronic products.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product is also provided with an interfaceable controller, so that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controlled without using a remote control. However, users can control the electronic products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without directly manipulating the electronic products using the remote control.

그러나, 리모컨은 사용자가 제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정 내의 여러 사용자가 리모컨을 사용하고 불특정한 위치에 놔두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다른 사용자가 어떤 전자 제품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해당 전자 제품의 리모컨을 찾는 수고를 하여야 하며, 특히 어두운 곳이나 밤에는 불을 켜지 않고 리모컨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불편함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However, since the number of users of the remote control is not limited, many users in the home use the remote control and leave it in an unspecified location. Therefore, in order for another user to operate a certain electronic produc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remote control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product, and in particular, in a dark place or at night, since the remote control cannot be found without turning on the light, the inconvenience is inevitably increased.

전자 제품들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서 가전 제품들의 수는 더욱 많아지고 있으며, 각각의 전자 제품별로 다수의 리모컨을 사용하게 되므로 리모컨들의 분실 횟수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As the types of electronic products are diversified, the number of home appliances is increasing, and since a plurality of remote controllers are used for each electronic product, the number of lost remote controllers is further increasing.

이에,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921호(2011.12,06) 등으로는 사용자가 필요시에 리모컨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었다. Accordingly,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30921 No. 10-2011-0130921 (2011.12,06) has proposed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check the location of a remote control when necessary.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컨들은 대부분 IR(Infrared Ray communication)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리모컨이 다소 깊숙이 위치해있거나 전자 제품과는 다른 공간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그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낼 수 없었다. However, since most remote controllers according to the prior art use IR (Infrared Ray communication) communication method, when the remote control is located somewhat deep or in a spa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lectronic product,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 cannot be accurately found.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제품의 리모컨은 한 방향으로만 무선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리모컨의 위치 확인을 위한 검출 신호를 한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밖에 없었다. 즉, 리모컨에서 본체로 신호를 송신하거나 리모컨으로부터 위치 신호를 수신해야만 리모컨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컨에서의 신호 전송이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리모컨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었다. In addition, since the remote control of an electronic product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ransmits a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 in only one direction, it has no choice but to transmit a detection signal for confirm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in one direction. That is,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can be detected only by transmitting a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to the main body or receiving a position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could not be detected in a state in which signal transmission from the remote control was impossible.

이에 따라, 더욱 다양하고 확실한 통신 모듈들을 적용해서 리모컨의 위치를 표시하는 복잡한 기술들이 더 제안될 수도 있었다. 하지만, 전자 제품 본체의 가격이나 기능에 대비해서는 리모컨의 기능과 가격이 너무 단순하고 저렴하기 때문에, 리모컨의 설계 구조를 더욱 복잡하게 하거나 가격을 크게 높일 수 없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리모컨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기술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Accordingly, more complex techniques for display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by applying more diverse and reliable communication modules could be further proposed. However, compared to the price or function of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product, since the function and price of the remote control are too simple and cheap,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sign structure of the remote control is more complicated or the price cannot 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improving the technology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

본 발명은 다양한 전자 제품들 간의 통신 방식을 개선하고 전자 제품의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양방향 무선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accurately confirming the location of a remote controller, if necessary, by improving a communication method between various electronic products and support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main body of the electronic product and a remot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술, Sub 1GHz (ISM Band, 900MHz) 통신 기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한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device that can support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mote controller smoothl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ub 1GHz (ISM Band, 900MHz) communication technology. aim to do

또한, 본 발명은 저전력 유지기능 및 노드별 최단거리 통신 경로 가변 기능을 수행해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exten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with low power by perform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a low power and a variable function of a shortest distance communication path for each node.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mentioned may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다른 다양한 전자 제품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전자 기기의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 with various other electronic products, and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ler perform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f necessary. Support.

리모트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는 양방향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해서 구성되며,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키로 입력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메인 컨트롤 보드로 전송한다.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home appliance include the sam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nd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with the key to the main control board. send to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와 가전 기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는 양방향 무선 통신이 수행함으로써 메인 컨트롤 보드로부터 위치 알림 제어신호가 리모트 컨트롤러에 수신되면 리모트 컨트롤러는 발광 및 사운드 발생 동작으로 알림 기능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a posi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by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home appliance by perform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mote controller performs a notification function through light emission and sound generation operations.

메인 컨트롤 보드와 리모트 컨트롤러는 서로 동일하게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와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ain control board and the remote controller are equipped with a Sub 1GHz (ISM Band, 900MHz)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and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다른 다양한 전자 제품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전자 기기의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 with various other electronic products, and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ler perform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user can accurately check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if necessary. can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and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기술,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기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다양한 공간에서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찾아내고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communicat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mote controller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Sub 1GHz (ISM Band, 900MHz) communication technology. ca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ort to find and confirm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even in various different spa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저전력 유지기능 및 노드별 최단거리 통신 경로 가변 기능을 수행해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전자 기기들 간의 통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소비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with low power by perform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low power and a function of varying the shortest distance communication path for each node. Accordingly, a communication speed between electronic devices may be increased, and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devices may also be improved.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describ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들의 컨트롤 보드간 통신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내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무선 컨트롤 보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 확인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control boards of th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 board of the first indoor unit shown in FIG. 1 .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ntrol board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 .
FIG. 5 is a flowchart for sequentially explaining a process of confirming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S. 1 and 4 .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the elements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each other, but there is another element between each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lements may be “interposed,” or that each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rough another elem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so, 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ing of" or "comprising"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various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some of which components or some steps are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not include, or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본 발명은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확인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a remote controller positioning function.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확인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로는 적어도 하나의 실내기와 실외 등을 포함해서 구성된 공기 조화기, TV, 홈 씨어터, 빔프로젝터 등 홈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는 다양한 가전기기들이 될 수 있다. The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remote controller location check function may be various home appliances that can form a home network, such as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t least one indoor unit and an outdoor unit, a TV, a home theater, a beam projector,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실내기와 실외기 등으로 구성된 공기 조화기를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및 천장형 공기조화기 중 어느 것이라도 적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any of a stand-type air conditioner, a wall-mounted air conditioner, and a ceiling-type air conditioner may be applied as 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확인 기능을 지원하는 전자기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n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a remote controller location check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는 제1 실내기(110), 제2 실내기(410), 제3 실내기(310), 실외기(210), 및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3개의 실내기(110,310,410)와 하나의 실외기(210)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의 실내기와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형 공기 조화기 등에도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electronic device illustrated in FIG. 1 may include a first indoor unit 110 , a second indoor unit 410 , a third indoor unit 310 , an outdoor unit 210 , and a remote controller 510 . Here, three indoor units 110 , 310 , 410 and one outdoor unit 210 are illustrated, but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multi-typ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t least one outdoor unit. Of course, it can be applied to others as well.

제1 실내기(110)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를 포함하며 메인 컨트롤 보드(100) 및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통한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The first indoor unit 110 includes the main control board 100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through the main control board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510 .

제1 실내기(110)는 실내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 측 열교환기,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송풍팬,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포함하는 송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측 열교환기는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압축기는 인버터 압축기, 정속 압축기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The first indoor unit 110 may include an indoor heat exchanger that is disposed indoors and performs a cooling/heating function, a blower fan that promotes heat dissipation of a refrigerant, a blower including an electric motor that rotates the blower fan, and the like. Here, at least one indoor heat exchanger may be installed, and at least one of an inverter compressor and a constant speed compressor may be used as the compressor.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자체의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나,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통해서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제1 실내기(110)가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 및 압축기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 board 100 allows the first indoor unit 110 to perform a cooling/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its interface module or a user's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510 . Controls the operation of heat exchangers, indoor blowers, and compressors.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인터페이스 모듈이나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제2 및 제3 실내기(310,410)가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2 및 제3 실내기(310,41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해서 제2 및 제3 실내기(310,410)가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 board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cond and third indoor units 310 and 410 perform a cooling/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or the remote controller 510 . Then, a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and third indoor units 310 and 410 to control the second and third indoor units 310 and 410 to perform a cooling/heating function.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인터페이스 모듈이나 리모트 컨트롤러(51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실외기(210)가 실외측의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실외기(21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해서 실외기(210)가 실외측의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The main control board 100 generate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outdoor unit 210 performs a heat exchange function on the outdoor side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face module or the remote controller 510 . Then, a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outdoor unit 210 to control the outdoor unit 210 to perform a heat exchange function on the outdoor side.

또한,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사용자가 인터페이스 모듈에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위치를 찾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알림 명령을 입력하면,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미리 설정된 근거리 통신 방식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10)로 전송한다. 이에,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한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board 100 generates a posi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when a user inputs a remote controller position notification command for finding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to the interface module and generates a posi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hrough a preset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to the remote controller ( 510).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ler 510 receiving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may perform a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제1 실내기(110)의 메인 컨트롤 보드(100), 제2 및 제3 실내기(310,410), 실외기(210) 및 리모트 컨트롤러(510) 간의 무선 통신 방식과 위치알림 제어신호 전송 기술 특징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서 이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ransmission technology characteristics between the main control board 100 of the first indoor unit 110, the second and third indoor units 310 and 410, the outdoor unit 210, and the remote controller 510 are attache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2 실내기(410)는 실내를 냉방시키는 냉방기일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난방시키는 히트 펌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실내기(410)는 제1 서브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며, 제1 서브 컨트롤 보드로 수신되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The second indoor unit 410 may be an air conditioner that cools the room, or alternatively, it may be configured as a heat pump that cools or heats the room. The second indoor unit 410 includes a first sub control board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board 100 received from the first sub control board.

제2 실내기(410)의 제1 서브 컨트롤 보드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냉/난방 기능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제2 실내기(410)가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히트 펌프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first sub control board of the second indoor unit 410 operates such as a heat pump so that the second indoor unit 410 performs a cooling/heating function according to a cooling/heating function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main control board 100 . to control

제3 실내기(310)는 벽걸이나 천정에 배치되어,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실내측 열교환기, 냉매의 방열을 촉진시키는 송풍팬, 송풍팬을 회전시키는 전동기를 포함하는 실내 송풍기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공기 조화기일 수 있다. The third indoor unit 310 is disposed on a wall or ceiling and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that performs cooling/heating functions, a blower fan that promotes heat dissipation of the refrigerant, and an indoor blower that includes an electric motor that rotates the blowing fan. It may be a configured air conditioner.

제3 실내기(310)는 제2 서브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며, 제2 서브 컨트롤 보드로 수신되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The third indoor unit 310 includes a second sub control board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board 100 received from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제3 실내기(310)의 제2 서브 컨트롤 보드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냉/난방 기능 제어 명령에 따라서 제3 실내기(310)가 냉/난방 기능을 수행하도록 열교환기와 실내 송풍기 및 압축기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of the third indoor unit 310 includes a heat exchanger, an indoor blow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compressors, etc.

실외기(210)는 냉매를 압축시키는 압축기, 압축기용 전동기, 실외측 열교환기, 냉매의 방열을 실외팬, 실외팬을 제어하는 송풍기, 냉매를 압축기로 공급하는 어큐뮬레이터 등을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The outdoor unit 210 may include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an electric motor for the compressor, an outdoor heat exchanger, an outdoor fan for dissipating heat of the refrigerant, a blower for controlling the outdoor fan, an accumulator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compressor, and the like.

실외기(210)는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를 더 포함하며,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로 수신되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The outdoor unit 210 further includes a third sub control board, and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board 100 received from the third sub control board.

실외기(210)의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를 통해 입력되는 열교환 제어 명령에 따라서 실외기(210)가 열교환 기능을 수행하도록 압축기와 전동기 및 실외측 열교환기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third sub control board of the outdoor unit 21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the electric moto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so that the outdoor unit 210 performs a heat exchange function according to a heat exchange control command input through the main control board 100 . .

리모트 컨트롤러(510)와 제1 실내기(110)의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양방향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이에,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사용자가 키로 입력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 전송함과 아울러,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The remote controller 510 and the main control board 100 of the first indoor unit 110 are configured to include the sam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so that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remote controller 5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main control board 100 to the main control board 100 , and when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100 , the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will be performed.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기기들의 컨트롤 보드간 통신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path between control boards of the electronic devices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내기(110)의 메인 컨트롤 보드(100)와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무선 컨트롤 보드(500)는 서로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와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송수신한다. Referring to FIG. 2 , the main control board 100 of the first indoor unit 110 and the wireless control board 500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are provided with the sam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receiv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and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are transmitted and received.

메인 컨트롤 보드(100)와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동일하게 구비하여, Sub 1GHz 통신 방식으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와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The main control board 100 and the remote controller 510 have the same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signals and positions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in the Sub 1 GHz communication method A notification control signal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반면, 제1 실내기(110)의 메인 컨트롤 보드(100), 제2 실내기(410)의 제1 서브 컨트롤 보드(400), 제3 실내기(310)의 제2 서브 컨트롤 보드(300), 및 실외기(210)의 제3 서브 컨트롤 보드(200) 각각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을 구비하여, PLC 방식으로 제어명령 및 제어신호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On the other hand, the main control board 100 of the first indoor unit 110 , the first sub control board 400 of the second indoor unit 410 ,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300 of the third indoor unit 310 , and the outdoor unit Each of the third sub control boards 200 of 210 includ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and performs transmission/reception of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in a PLC manner.

제1 실내기(110)의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제1 서브 컨트롤 보드(400), 제2 서브 컨트롤 보드(300), 및 제3 서브 컨트롤 보드(200)로 각각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의 동작 수행 여부를 확인하면서 제어 신호의 송수신 속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와의 거리를 산출한다. 그리고, 메인 컨트롤 보드(100)와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의 거리 순서에 따라 메인 컨트롤 보드(100)와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 간의 최단거리 경로를 설정한다. 이에,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최단거리 경로 설정 순서에 따라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배열해서 순서대로 송신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줄이면서 PLC 통신 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The main control board 100 of the first indoor unit 110 transmits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sub control board 400 ,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300 , and the third sub control board 200 , respectively. While checking whether the operations of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 and 200 are performed, the distance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and 200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speed of the control signal. Then,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distance between the main control board 100 and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300, 200, the shortest path between the main control board 100 and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300, 200 is set. . Accordingly, the main control board 100 can extend the PLC communication distance while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rranging and sequentially transmitting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shortest path setting order.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다시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의 동작 수행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그 송수신 속도에 따라 제1 서브 컨트롤 보드(400), 제2 서브 컨트롤 보드(300), 및 제3 서브 컨트롤 보드(200)의 순서대로 최단거리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의 순서대로 최단거리 경로가 설정되면, 최단거리 경로 설정 순서에 따라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배열해서 시리얼하게 순서대로 송신할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 the main control board 100 transmits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 and 200 , and again operates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and 200 . By check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performed, the shortest distance path may be set in the order of the first sub control board 400 ,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300 , and the third sub control board 200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speed. In addition, when the shortest path is set in the order of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 and 200 , the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may be arranged and serial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hortest path setting order.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내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control board of the first indoor unit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내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100)는 센싱 모듈(101), 제1 서브 통신 모듈(102), 인터페이스 모듈(103), 제1 PLC 모듈(104), 메모리(105), 디스플레이 패널(106), 메인 컨트롤러(107)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main control board 100 of the first indoor unit includes a sensing module 101 , a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102 , an interface module 103 , a first PLC module 104 , and a memory 105 . , a display panel 106 , and a main controller 107 .

센싱 모듈(101)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 센서를 포함해서 실시간으로 실내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 정보를 메인 컨트롤러(107)로 전송한다. The sensing module 101 includes at least one temperature sensor to sense the room temperature in real time and transmits the sensed temperature information to the main controller 107 .

제1 서브 통신 모듈(102)은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리모트 컨트롤러(500)로부터 Sub 1GHz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어 명령을 메인 컨트롤러(107)로 전송한다. The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102 includes a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500 in a Sub 1 GHz communication method. Then, the control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07 .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사용자가 냉/난방 등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위치를 찾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알림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키패드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이에,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알림이 요청되면 제어 명령이나 알림 명령을 메인 컨트롤러(107)로 전송한다. The interface module 103 includes a keypad that allows a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uch as cooling/heating or to request a remote controller location notification for finding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510 . Accordingly, the interface module 103 transmits a control command or a notification command to the main controller 107 when a user's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or a remote controller location notification is requested.

제1 PLC 모듈(104)은 메인 컨트롤러(107)의 제어에 따라 최단거리 경로 설정 순서대로 제어명령 및 제어신호를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로 전송한다. The first PLC module 104 transmits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 and 200 in the order of setting the shortest path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07 .

메모리(105)는 현재의 온도 정보와 냉/난방 등의 동작 설정 정보 및 옵션 기능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메인 컨트롤러(107)와 동작 설정 정보 및 옵션 기능 설정 정보를 공유한다. The memory 105 stores current temperature information,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such as cooling/heating, and option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and shares operation setting information and option function setting inform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107 .

디스플레이 패널(106)은 메인 컨트롤러(107)의 제어에 따라 온도 정보, 설정된 목표 온도 정보, 현재 습도 정보, 동작 상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The display panel 106 displays temperature information, set target temperature information, current humidity information, operation state information, and the like under the control of the main controller 107 .

메인 컨트롤러(107)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나 제1 서브 통신 모듈(102)을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5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로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The main controller 107 includes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 400,300,200) to transmit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메인 컨트롤러(107)는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의 동작 수행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그 송수신 속도에 따라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에 대한 최단거리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된 최단거리 경에 따라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배열해서 순서대로 송신한다. The main controller 107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300, and 200, and checks whether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300, and 200 perform the operation. to the third sub control board 400 , 300 , and 200 are set the shortest distance path. Then, the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are arranged and transmitted in order according to the set shortest distance.

메인 컨트롤러(107)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이상으로 입력 및 수신되지 않으면,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저전력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400,300,200)가 액티브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 신호를 먼저 송신한 후, 제어 명령 및 제어신호를 배열해서 시리얼하게 순서대로 송신할 수 있다. When the user's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and received for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period, the main controller 107 transmits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 300 , and 200 are switched to a sleep mode to maintain a low power state. can do. In addition, when a user's control command is input,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400, 300, and 200 are first transmitted so that the control signal is switched to the active mode, and then the control command and the control signal are arranged and serially transmitted in order. .

또한, 메인 컨트롤러(107)는 인터페이스 모듈(103)의 키패드로 사용자의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알림이 요청되면,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제1 서브 통신 모듈(102)로 공급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510)로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한다. 이에,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s remote controller location notification is requested by the keypad of the interface module 103 , the main controller 107 generates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102 , thereby providing the remote controller 510 . to transmit the posi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ly, when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100 , the remote controller 510 performs a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무선 컨트롤 보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wireless control board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리모트 컨트롤러(510)는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컨트롤 보드(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remote controller 510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input by a user to the main control board 100 , and when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100 , a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It includes a wireless control board 500 to perform.

이를 위해, 무선 컨트롤 보드(500)는 키 입력부(501), 무선 컨트롤러(502), 제2 서브 통신 모듈(503), 발광 모듈(504), 및 스피커(505)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wireless control board 500 includes a key input unit 501 , a wireless controller 502 , a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 a light emitting module 504 , and a speaker 505 .

키 입력부(501)는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을 무선 컨트롤러(502)로 전송한다. The key input unit 501 supports a user to input a control command, and transmits the contro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to the wireless controller 502 .

제2 서브 통신 모듈(503)은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부터 Sub 1GHz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그리고,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무선 컨트롤러(502)로 전송한다.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includes a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es a posi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100 in a Sub 1 GHz communication method. Then, when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it is transmitted to the wireless controller 502 .

발광 모듈(504)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무선 컨트롤러(502)의 제어에 따라 발광 동작을 수행한다. The light emitting module 504 includes at least one light emitting diode control circuit, and performs a light emitt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2 .

스피커(505)는 무선 컨트롤러(502)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를 발생시켜서 알람 동작을 수행한다. The speaker 505 generates a sound under the control of the wireless controller 502 to perform an alarm operation.

무선 컨트롤러(502)는 키 입력부(501)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해서 제2 서브 통신 모듈(503)로 공급한다. 이에,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메인 컨트롤 보드(100)에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When a user's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501 , the wireless controller 502 generate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and supplies it to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 Accordingly,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is controlled to be supplied to the main control board 100 in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또한, 무선 컨트롤러(502)는 제2 서브 통신모듈(503)을 통해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발광 모듈(504)은 발광 동작을 수행하고, 스피커(505)는 알림 사운드를 발생시켜서 알람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when the wireless controller 502 receives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from the main control board 100 through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the light emitting module 504 performs a light emitting operation, and the speaker 505 Controls to perform an alarm action by generating a notification sound.

무선 컨트롤러(502)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미리 설정된 기준 기간 이상으로 입력 및 수신되지 않으면 제2 서브 통신 모듈(503), 발광 모듈(504), 스피커(505)가 모두 슬립 모드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2 서브 통신 모듈(503), 발광 모듈(504), 스피커(505)를 모두 액티브 모드로 전환해서 제어할 수 있다. The wireless controller 502 controls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the light emitting module 504, and the speaker 505 to all switch to the sleep mode when the user's control command is not input and received for more than a preset reference period. can Thereafter, when a user's control command is input,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 the light emitting module 504 , and the speaker 505 may all be switched to an active mode and controlled.

도 5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 확인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FIG. 5 is a flowchart for sequentially explaining a process of confirming a posi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shown in FIGS. 1 and 4 .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분실시에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키패드로 리모콘 위치 알림을 요청할 수 있다(ST1). Referring to FIG. 5 , first, when the user loses the remote controller 510 , the interface module 103 may request a remote controller location notification through the keypad ( ST1 ).

이에, 인터페이스 모듈(103)은 알림 명령을 메인 컨트롤러(107)로 전송하고, 메인 컨트롤러(107)는 해당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제2 서브 통신 모듈(503)로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전송되도록 제1 서브 통신 모듈(102)의 근거리 무선 통신 수행을 제어한다(ST2). Accordingly, the interface module 103 transmits a notification command to the main controller 107, and the main controller 107 controls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of the corresponding remote controller 510. Controls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of the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102 (ST2).

제1 서브 통신 모듈(102)은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대역에 맞게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제2 서브 통신 모듈(503)로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송출한다(ST3). The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102 transmits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by perform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ccording to a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band (ST3).

무선 컨트롤러(502)는 제2 서브 통신 모듈(503)을 통해 메인 컨트롤 보드(100)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수신 여부를 재확인하여 에러를 체크하고(ST4), 자체적으로 모드 설정 상태를 엑티브 모드로 변경한다(ST6). When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100 through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503, the wireless controller 502 checks whether or not it is received and checks the error (ST4), and activates the mode setting state by itself. Mode is changed (ST6).

이어, 무선 컨트롤러(502)는 수신된 위치알림 제어신호에 따라 발광 모듈(504)은 발광 동작을 수행하고, 스피커(505)는 사운드를 발생시켜서 알람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T7). Next, the wireless controller 502 controls the light emitting module 504 to perform a light emitting operation and the speaker 505 to generate a sound to perform an alarm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ST7).

이상,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의 전자 기기들은 다른 다양한 전자 제품들과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전자 기기의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510)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510)의 위치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communicate with various other electronic products, and the main body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remote controller 510 perform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remote controller 510 as needed. We can assist you in accurately locating the

또한, 본 발명의 전자 기기들은 PLC 기술,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기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해서 본체와 리모트 컨트롤러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서로 다른 다양한 공간에서도 리모트 컨트롤러의 위치를 찾아내고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moothly communicat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remote controller using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such as PLC technology and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technology.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ort to find and confirm the loc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even in various different spac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들은 저전력 유지기능 및 노드별 최단거리 통신경로 가변 기능을 수행해서 저전력으로 무선 통신거리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에, 전자 기기들 간의 통신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전자 기기들의 전력 소비 효율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nic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with low power by performing a function of maintaining low power and a function of varying the shortest distance communication path for each node. Accordingly, a communication speed between electronic devices may be increased, and power consumption efficiency of the electronic devices may also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is obvious that variations can be made. In addition, even if 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described while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the effect predictable by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10: 제1 실내기
210: 실외기
310: 제3 실내기
410: 제2 실내기
510: 리모트 컨트롤러
110: first indoor unit
210: outdoor unit
310: third indoor unit
410: second indoor unit
510: remote controller

Claims (10)

메인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1 실내기;
제1 서브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며, 제1 서브 컨트롤 보드를 통해 수신되는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2 실내기; 및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와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 first indoor unit including a main control board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a second indoor unit including a first sub control board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board received through the first sub control board; and
and a remote controller that performs a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when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by performing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 board
Electronics.
제 1 항에 있어서,
제2 서브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컨트롤 보드로 수신되는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제3 실내기; 및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로 수신되는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실외기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a third indoor unit including a second sub control board and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board received from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and
a third sub control board,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outdoor unit operating according to a control command of the main control board received through the third sub control board
Electronic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 상기 제2 실내기의 제1 서브 컨트롤 보드, 상기 제3 실내기의 제2 서브 컨트롤 보드, 및 상기 실외기의 제3 서브 컨트롤 보드 각각은 PLC(Power Line Communication) 모듈을 구비하여, PLC 방식으로 상기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의 송수신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first indoor unit, the first sub control board of the second indoor unit,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of the third indoor unit, and the third sub control board of the outdoor unit includes a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 a PLC method
Electronics.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는
상기 제1 서브 컨트롤 보드, 상기 제2 서브 컨트롤 보드, 및 상기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로 각각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의 동작 수행 여부를 확인하면서 상기 제어 신호의 송수신 속도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와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의 거리 순서에 따라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와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 간의 최단거리 경로를 설정하는
전자 기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control board is
transmitting the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sub control board, the second sub control board, and the third sub control board, respectively;
calculating the distance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reception speed of the control signal while checking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is performed;
setting a shortest distance path between the main control board and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according to the order of distances between the main control board and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Electronic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는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와의 최단거리 경로 설정 순서에 따라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배열해서 시리얼하게 순서대로 송신하는
전자 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control board is
The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are arranged and serially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hortest distance path setting sequence with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Electronics.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는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Sub 1GHz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사용자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서브 통신 모듈;
키패드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 위치 알림이 요청되면 제어 명령이나 알림 명령을 상기 메인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모듈; 및
최단거리 경로 설정 순서대로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로 전송하는 제1 PLC 모듈; 및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로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가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서브 컨트롤 보드에 대한 최단거리 경로를 설정하고 설정된 최단거리 경에 따라 제어 명령 및 제어 신호를 배열해서 순서대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ain control board is
a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module, the first sub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 control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in a Sub 1 GHz communication method;
an interface modu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or a notification command to the main controller when a user's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pad or a remote controller location notification is requested; and
a first PLC module for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and a control signal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in the shortest path setting order; and
It controls the transmission of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sets a shortest path for the first to third sub control boards, and sends control commands and control signals according to the set shortest distance path. Including a main controller that arranges and controls to be transmitted in order,
Electronic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와 상기 제1 실내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는 양방향 무선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해서 구성되며,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키로 입력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기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first indoor unit are configured to include the sam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o perform two-way wireless communication,
The remote controller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a user's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with a key to the main control board, and performs a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when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Electronic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내기의 메인 컨트롤 보드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서로 동일하게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와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전자 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ain control board of the first indoor unit and the remote controller are provided with a Sub 1GHz (ISM Band, 900MHz) communication module to transmit and receive a control signal and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control command.
Electronic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로 전송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로부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위치 알림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mote controller is
and a wireless control board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put by the user to the main control board, and performs a location notification function when a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Electronics.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컨트롤 보드는
Sub 1GHz(ISM Band, 900MHz)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로부터 Sub 1GHz 통신 방식으로 전송되는 위치알림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제2 서브 통신 모듈; 및
키 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해서 상기 제2 서브 통신 모듈로 공급하고, 상기 위치알림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발광 모듈이 발광 동작을 수행하고, 스피커는 사운드를 발생시켜서 알람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무선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wireless control board
a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ub 1 GHz (ISM Band, 900 MHz) communication module and receiving a posi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board in a Sub 1 GHz communication method; and
When a user's control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and supplied to the second sub communication module, and when the location notification control signal is received, the light emitting module performs a light emitting operation, and the speaker provides Containing a wireless controller controlling to generate an alarm operation,
Electronics.
KR1020200026455A 2020-03-03 2020-03-03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KR1023471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55A KR102347147B1 (en) 2020-03-03 2020-03-03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6455A KR102347147B1 (en) 2020-03-03 2020-03-03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470A true KR20210111470A (en) 2021-09-13
KR102347147B1 KR102347147B1 (en) 2022-01-03

Family

ID=77796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455A KR102347147B1 (en) 2020-03-03 2020-03-03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147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1208A (en) * 2004-02-27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using it
JP2008309379A (en) * 2007-06-13 2008-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Remote controller for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264997B2 (en) * 2009-04-22 2013-08-14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190092990A (en)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1208A (en) * 2004-02-27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Position detecting method for remote controller, and air conditioner using it
JP2008309379A (en) * 2007-06-13 2008-12-25 Mitsubishi Electric Corp Remote controller for air condition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ing system
JP5264997B2 (en) * 2009-04-22 2013-08-14 三菱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190092990A (en) * 2018-01-31 2019-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147B1 (en) 2022-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1207B2 (en) Ubiquitous home network system
US97567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and appliance control
JP4699722B2 (en) Central control system for multi air conditioner and its operation method
CN104635505A (en) Method for interacting with indoor intelligent equipment
US20230283500A1 (en) Smart home controller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8689570B2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14218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for a remote control system
US10951750B2 (en) Networked thermostat control for ductless HVAC
KR20120039359A (en) Digital device automatic control system using smart phone
KR102549128B1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central control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remote control apparatus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indoor appratus of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KR20150141129A (en) Light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appliaiance with infrared communication
KR101981851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2347147B1 (en) Electronic device that support function confirming location of remote controller
KR101962628B1 (en) Multi type air conditioner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JP6910221B2 (en) Air conditioner
WO2008007893A1 (en) Apparatus for automatic control of ventilation fan
WO2016116988A1 (en) Communications device, load control system, and load control device
KR20180110716A (en) IoT SYSTEM USING LAMP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W202139673A (en) Visual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directly picking virtual home appliance model displayed in three-dimensional indoor environment model to easily control home appliance
KR20120080873A (en) Air conditioning network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60267784A1 (en) Wi-Fi/RADIO FREQUENCY CONVERTING DEVICE
KR101540262B1 (en) Remote Controller and Driving Methods Thereof
US10904990B2 (en) Internet of things system
KR20180128139A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 same
KR20120016751A (en) Air conditio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