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1156A -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1156A
KR20210111156A KR1020210019208A KR20210019208A KR20210111156A KR 20210111156 A KR20210111156 A KR 20210111156A KR 1020210019208 A KR1020210019208 A KR 1020210019208A KR 20210019208 A KR20210019208 A KR 20210019208A KR 20210111156 A KR20210111156 A KR 20210111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tation
new radio
interference
area
interference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366B1 (ko
Inventor
엄중선
김봉수
김이고르
박승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7/186,24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10214B2/en
Publication of KR2021011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은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에 대한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상기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간섭 영향에 따른 상기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제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hared Information for Joint Use of Frequencies between Base Stations}
본 발명은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고,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은 한정된 자원을 서로 다른 무선국, 서비스 또는 시스템이 시간적, 공간적, 주파수적, 신호 레벨 중 하나 이상의 영역(Domain)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479 ~ 698 MHz의 UHF TV 방송 대역은 1차 서비스로 방송 서비스 용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방송사와 같은 무선국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3.55 ~ 3.7GHz 대역은 레이다 시스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5925 ~ 7125MHz 대역에 대하여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6GHz 대역은 전세계 적으로 고정 통신, 고정 방송 중계 및 고정 위성 상향 링크 등과 같은 1차 서비스에 사용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이동 방송 중계 서비스로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최근, Wi-Fi, LTE-LAA, 5G NR-U 등과 같은 비면허 무선 통신이 매우 증가하면서,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무선국에 발생하는 간섭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연구가 요구된다.
Wi-Fi, LTE-LAA, 5G NR-U 등과 같은 RLAN (Radio Local Area Network)은, 기존의 무선국과 달리, 스마트폰이나, PC와 같은 통신 단말은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계속해서 변경될 수 있어, 간섭 영향에 대한 동적인 계산이 요구되며,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무선국을 보호하기 위하여, RLAN을 지원하는 무선국이 특정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유 정보를 결정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에 미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계산하고,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을 보호하고, 신규 무선국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은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에 대한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상기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간섭 영향에 따른 상기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제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 상기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파수 별 상기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감쇄 영향의 차이 및 i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위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무선국이 복수인 경우, 상기 신규 무선국들 각각에 대한 간섭 영향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단위 영역 별로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높은 단위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상기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높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무선국과 다른 신규 무선국들의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기존 무선국에 임계치 이상의 간섭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및 송신 전력 밀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에 대한 감쇄 영향을 결정하고,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상기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계산하고, 상기 간섭 영향에 따른 상기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제한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 상기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 별 상기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감쇄 영향의 차이 및 i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위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무선국이 복수인 경우, 상기 신규 무선국들 각각에 대한 간섭 영향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단위 영역 별로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높은 단위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상기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높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무선국과 다른 신규 무선국들의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기존 무선국에 임계치 이상의 간섭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및 송신 전력 밀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에 미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계산하고,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기존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을 보호하고, 신규 무선국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쇄 영향 및 간섭 영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및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의 형태에 따라 감쇄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과 신규 무선국 및 보호 영역을 2차원의 공간 상에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조건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이 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 별 단위 높이에 따른 간섭 영향을 계산하기 위한 예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따른 단위 영역 별 단위 높이를 고려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네트워크 구성과, 신규 무선국의 동작에 따라 결정된 보호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액세스 포인트를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액세스 포인트와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된 보호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계치를 수정함에 따라 보호 영역을 다시 결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수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이 확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을 수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안테나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의 보호 영역 없이 일정 개수의 신규 무선국에 대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간섭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간섭 영역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간섭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간섭 영역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분석 영역, 보호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쇄 영향, 간섭 영향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이 수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또는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거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단위 영역 당 간섭 영향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분석하고,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함으로써,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은, 공유 정보의 생성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며, 공유 정보의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기존 무선국 및 신규 무선국과 통신이 가능한 별도의 전자 장치일 수 있고, 기존 무선국 또는 신규 무선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공유 정보는, i) 신규 무선국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ii) 채널, 및 iii) 신규 무선국이 가용 가능한 송신 전력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공유 정보는,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하나의 기존 무선국에 대해서 그 주변의 신규 무선국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송신 전력의 밀도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에 대해, 복수의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간섭 영향을 분석하고, 기존 무선국을 통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간섭 영향과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에 대한 정보와 신규 무선국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기존 무선국과 신규 무선국 간에 주파수를 공동 사용하기 위한 보호 영역 및 공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기존 무선국은 기존 무선국을 의미할 수 있고, 신규 무선국은 신규 무선국을 의미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은, 고정 통신, 고정 방송중계, 고정 위성 상향 링크와 같은 1차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하며, 신규 무선국은, Wi-Fi, LTE-LAA, 5G NR-U 등의 비면허 무선통신 시스템과 같은 2차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1차 서비스의 채널의 대역폭과 2차 서비스의 채널의 대역폭은 서로 다르며, 중심 주파수도 상이할 수 있다. 2차 서비스의 채널의 대역폭이 서로 다른 복수의 값 일 수 있다. 채널의 대역폭에 따라, 전체 방사 전력 세기를 동일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단위 대역폭(예: Resolution Bandwidth) 당 방사 전력 세기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에 대한 정보는, 기존 무선국의 i) 수신 마스크, ii) 중심 주파수, iii) 대역폭, iv)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에 대한 정보는, 신규 무선국의 i) 위치, ii) 실내외 여부, iii) 송신 전력, iv) 송신 마스크, v) 대역폭, vi) 중심 주파수, vii) 높이 viii) 서비스 영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계(201)에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에 대한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감쇄 영향은,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이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하여 감쇄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및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주파수 별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2)에서, 생성 장치는,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까지의 경로 손실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감쇄 영향 및 경로 손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주파수 별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i)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감쇄 영향의 차이 및 ii) 신규 무선국의 위치와 기존 무선국의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이 복수인 경우, 신규 무선국들 각각에 대한 간섭 영향의 합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 및 신규 무선국의 높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생성 장치는, 간섭 영향에 따른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은,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높은 단위 영역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과 다른 신규 무선국들의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단계(204)에서,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유 정보는, 기존 무선국에 임계치 이상의 간섭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신규 무선국의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및 송신 전력 밀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쇄 영향 및 간섭 영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에 대하여 간섭 영향을 주는 신규 무선국의 채널 및 대역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단위 기본 대역폭 당 방사 전력 세기는 방사 전력 밀도(Power Spectral Density)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2차 서비스의 채널의 대역폭이 X이고, 최대 방사 전력 세기가 Y일 때, 채널의 대역폭이 두 배로 증가가 되면 최대 방사 전력 세기는 Y로 동일하지만, 방사 전력 밀도는 절반으로 감소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2차 서비스의 경우, 도 3a의 (a)와 같이, 20, 40, 80, 160, 320 MHz의 채널의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도 3a의 (a)와 같이,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가 30MHz의 채널의 대역폭(301)을 사용하는 경우, 신규 무선국의 채널의 대역폭들(302)이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에 따라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에 간섭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도 3a의 (b)는,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필터(303)와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304)의 관계에 따른 간섭 영향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단일한 신규 무선국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할 때,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304)이 클수록, 전력 밀도는 낮아지고, 간섭 영향도 작아질 수 있다. 단일한 신규 무선국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할 때,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304)이 작을수록, 전력 밀도는 높아지고, 간섭 영향도 커질 수 있다.
도 3a의 (c)는, 복수의 신규 무선국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할 때,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위치에 따라 발생이 가능한 간섭 영향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단일한 신규 무선국에 의한 간섭 영향을 단일 간섭 영향, 복수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간섭 영향을 누적 간섭 영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3a의 (c)를 참조하면,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위치가 기존 무선국의 주파수의 위치와 가까울수록 간섭 영향이 커질 수 있고, 기존 무선국의 주파수의 위치와 멀수록 간섭 영향이 작아질 수 있다. 즉, 복수의 신규 무선국의 분포 및 동작 상황에 따라 간섭 영향은 복합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간섭 영향을 계산하기 위하여,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의 수신 필터에 의한 감쇄 영향 및 기존 무선국과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차이에 따른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감쇄 영향은,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이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하여 감쇄되는 정도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수학식 1에서, MD는 Masks Discrimination의 약자로, 기존 무선국의 수신 필터에 의한 감쇄 영향을 의미하고, NFD는, Net Filter Discrimination의 약자로, 기존 무선국과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차이에 따른 감쇄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이 20dB일 때, 감쇄 영향이 10dB인 경우, 기존 무선국에 10dB로 수신될 수 있고, 1차 서비스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이고, 송신 마스크는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는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의 수신 마스크를 의미한다. 수신 마스크는 수신 선택 마스크를 의미할 수 있다.
f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의 대역폭은 1차 서비스의 수신 필터의 대역폭 보다 작은 대역폭으로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는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간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기존 실시예에 따른, 간섭 영향의 결정 방법은, MD와 NFD를 이용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의 수신 필터의 대역폭과 주파수에 따른 감쇄 영향들을 아래 표 1과 같이 미리 결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표 1에서, D(Z, a)는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간의 차이가 Z이고,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이 a인 경우의 MD와 NFD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표 1에서, BW(MHz)은 MHz 단위의 대역폭을 의미할 수 있다. Δf 은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3b의 (a)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스펙트럼 마스크가,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에 대한 수신 선택 마스크에 포함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의 (b)는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가,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에 대한 중심 주파수와 차이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의 (c)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이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에 대한 수신 선택 마스크 보다 큰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까지의 경로 손실을 결정할 수 있다. 경로 손실은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거리에 기초하여 손실되는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감쇄 영향 및 경로 손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경로 손실은 무선국 간의 거리로 인하여 신호 세기가 감소되는 양을 의미할 수 있다. 경로 손실은 반사, 회절, 산란, 투과 손실 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일례로, 경로 손실은 매 실시 마다 따로 직접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고, 다른 예로, ITU-R에서 정의한 경로 손실 모델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경로 손실을 결정하는 방법은, 특정한 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아래 수학식 3에 따라, 단일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단일 간섭 영향이 결정될 수 있다. 간섭 영향의 단위는 dB일 수 있다.
Figure pat00007
n은 신규 무선국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고, p는 n번째 신규 무선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2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I는 간섭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X는 n번째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dBm)을 나타내고, Pathloss는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Pathloss는 X 값에 포함되어 미리 계산될 수도 있다. D(
Figure pat00008
, BW)는 주파수 위 표 1에서 결정되는 감쇄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감쇄 영향 및 경로 손실의 차이에 기초하여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학식 4가 이용될 수 있다.
Figure pat00009
N은 기존 무선국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신규 무선국의 수를 의미할 수 있다. n은 신규 무선국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고, pn는 n번째 신규 무선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ITot은 복수의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누적 간섭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생성 장치는, 복수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단일 간섭 영향들의 합에 기초하여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신규 실시예에 따른, 간섭 영향의 결정 방법은,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대역폭의 차이 및 중심 주파수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는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신규 실시예에 따른, 간섭 영향의 결정 방법은,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이 기존 무선국의 대역폭 보다 높은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대역폭 차이 및 중심 주파수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에 따라 기존 기준 감쇄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과 비례하여 기존 기준 감쇄를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 간의 대역폭 차이에 기초하여 신규 기준 감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 간의 대역폭 차이가 클수록 신규 기준 감쇄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기존 무선국 간의 대역폭 차이와 반비례하여 신규 기준 감쇄를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중심 주파수 간의 차이에 기초하여 제3 기준 감쇄를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가 +A 부터 -A 사이인 경우, 제3 기준 감쇄를 M dB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가 +A 부터 +B 또는 -A 부터 -B 사이의 값인 경우, 제3 기준 감쇄를 N dB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A, B, M, N은 양의 실수로 미리 결정될 수 있고, B는 A보다 크고, M은 N 보다 클 수 있다. A, B, M, N은 특정한 값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례로, N은 M+ D(
Figure pat00010
)일 수 있다. D(
Figure pat00011
)는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에 따른, 기존 무선국의 수신 필터에 의한 감쇄 영향(MD)과 기존 무선국과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차이에 따른 감쇄 영향(NFD)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가 +A 부터 +B 이상이거나 -B 이하의 값인 경우, 제3 기준 감쇄를 K dB로 결정할 수 있다. K는 N보다 큰 값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이 클수록 제3 기준 감쇄는 더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가 +A 부터 -A 사이일 때,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이 20MHz인 경우, 신규 제3 기준 감쇄가 M dB로 결정될 수 있다. 무선국과 기존 무선국 간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가 +A 부터 -A 사이일 때,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이 40MHz 이상인 경우, 제3 기준 감쇄는 M 보다 2M dB로 결정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기존 또는 제3 기준 감쇄의 합을, 신규 실시예에 따른 감쇄 영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감쇄 영향 및 경로 손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신규 실시예에서, 아래 수학식 5에 따라, 단일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단일 간섭 영향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2
수학식 5에서, n은 신규 무선국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고, p는 n번째 신규 무선국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2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I는 간섭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X는 n번째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dBm)을 나타내고, Pathloss는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Pathloss는 X 값에 포함되어 미리 계산될 수도 있다. D2는 신규 실시예에서 결정된 감쇄 영향을 의미하고, 기존 내지 제3 기준 감쇄의 합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감쇄 영향 및 경로 손실의 차이에 기초하여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학식 4가 이용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복수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단일 간섭 영향들의 합에 기초하여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간섭 영향의 결정 방법은,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에 기초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에 기초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과정은 도 4에서 후술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402)을 도시한 도면이고, 단위 기준 대역폭과 단위 기준 대역폭 당 전력이 점유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단위 기준 대역폭의 길이(도 4의 L1)는 1MHz일 수 있다. 단위 기준 대역폭의 길이(도 4의 L1)과 단위 기준 대역폭 당 전력의 크기(도 4의 L2)는 기재된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4의 (b)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을 도시한 도면이고, 단위 기준 대역폭과 단위 기준 대역폭 당 전력의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은 기존 무선국(401)의 수신 마스크(403)로 인하여 신규 무선국의 전력이 감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b')은 기존 무선국(401)의 수신 마스크(403)로 인하여 신규 무선국의 전력이 감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을 단위 기준 대역폭으로 구분하여, 각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은,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및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단위 기준 대역폭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세분화된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에 포함되는 단위 기준 대역폭에 대한 감쇄 영향은 N %로 설정하고, 수신 마스크의 경계에 인접하는 단위 기준 대역폭에 대한 감쇄 영향은 N보다 큰 M%로 설정하고, 수신 마스크에 포함되지 않는 단위 기준 대역폭에 대한 감쇄 영향은 M보다 큰 K%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에 따른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이 미리 표로 결정될 수 있고,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에 따른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이 미리 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501)의 중심 주파수 또는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의 형태에 따라 감쇄되는 정도가 달라지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신규 무선국(501)의 송신 마스크(504)에 의하여 전력이 감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단위 기준 대역폭(503)의 전력의 크기 L2가 신규 무선국(501)의 송신 마스크(504)에 의하여 L1으로 줄어들 수 있다.
도 5의 (b)는, 신규 무선국(501)의 중심 주파수 및 기존 무선국(502)의 중심 주파수(k) 간의 차이로 인하여,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에 의한 감쇄가 발생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단위 기준 대역폭들(503) 주 일부가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와 인접하는 경우,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에 인접하는 두개의 단위 기준 대역폭(503)에 대해, 미리 설정된 기존 비율로 감쇄를 적용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 비율은 일정한 크기의 양수일 수 있다.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의 주파수 범위를 벗어난 단위 기준 대역폭(503)은 기존 비율 보다 큰 신규 비율로 일괄되게 감쇄가 적용되어, 감쇄 영향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의 주파수 범위에 포함되고, 수신 마스크(505)에 인접하지 않는, 단위 기준 대역폭(503)은 감쇄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생성 장치는, 각각의 단위 기준 대역폭(503)에 대해, 신규 무선국(501)의 송신 마스크(504)에 따라 단위 기준 대역폭(503)에 감쇄를 적용하고, 기존 무선국(502)의 수신 마스크(505)에 따라 추가적으로 단위 기준 대역폭(503)에 감쇄를 적용함으로써, 단위 기준 대역폭(503) 당 감쇄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각 단위 기준 대역폭(503) 별로 결정된 감쇄 영향들과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감쇄 영향이 결정되기 위해서는, 신규 무선국(501)의 송신 전력, 대역폭, 중심 주파수,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다. 간섭 영향이 결정되기 위해서는, 송신 전력, 감쇄 영향, 경로 손실이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아래 수학식 6을 이용하여,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일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단일 간섭 영향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13
n은 신규 무선국(501)의 인덱스를 나타낼 수 있고, p는 n번째 신규 무선국(501)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고, 2차원 좌표로 표현될 수 있다. Im,n,p는 n번째 신규 무선국(501)에 대한 m번째 단위 기준 대역폭(503)의 간섭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M은 단위 기준 대역폭(503)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Pathloss는 경로 손실을 의미할 수 있다. Pathloss는 X 값에 포함되어 미리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하기 위해서, 수학식 4가 이용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복수의 신규 무선국에 의한 단일 간섭 영향들의 합에 기초하여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영향을 결정하기 위한 기존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계산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 간의 조합도 가능하다.
도 6a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과 복수의 신규 무선국들이 배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신규 무선국(602-606)으로 인한 간섭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존 무선국(601)의 위치를 기준으로, 인접한 신규 무선국(602-606)이 사용할 수 없는 채널 및 주파수의 결정이 요구될 수 있다.
보호 영역은, 기존 무선국(601)의 보호를 위한 영역으로, 신규 무선국(602-606)이 존재할 때 기존 무선국에 일정 기준 이상 간섭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보호 영역은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601)의 안테나 패턴, 안테나 지상고, 안테나 해발고 높이, 안테나의 지향 각도, 안테나의 이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보호 영역은 달라질 수 있고, 신규 무선국(602-606)과 통신하는 무선 기기의 동작 파라미터, 무선 기기의 위치(예: 실내 또는 실외)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보호 영역은, 신규 무선국(602-606)으로부터 방사되어 1차 서비스에 미치는 간섭 영향의 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신규 무선국(602-606)과 기존 무선국(601)의 지형, 주변 환경, 주변 건물 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후, 기술되는 보호 영역의 결정 방법은 위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으나, 후술하는 조건들로 단순화하여 기술한다.
보호 영역은 먼저 실제 신규 무선국(602-606)이 동작하는 상황과 관계없이 기존 무선국(601)에 대한 정보 및 1차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 영역은 신규 무선국(602-606)이 동작하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601)에 대한 정보 및 1차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신규 무선국(602-606)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보호 영역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601)을 기준으로, 신규 무선국(602-606)들과 위치 관계를 고려하여 단위 영역 별로, 새로운 신규 무선국이 위치할 경우, 기존 무선국(601)에 발생할 수 있는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하고, 단일 간섭 영향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그 단위 영역을 보호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임의의 위치에 대해, 특정 기존 무선국(601)에 대한 단일 간섭 영향은 없으나, 인접하는 다른 신규 무선국(602-606)과의 관계로 인하여 특정 기존 무선국(601)에 대한 누적 간섭 영향이 발생할 수 있어, 누적 간섭 영향이 보호 영역의 결정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a을 참조하면, 기존 무선국(601)에 대해 복수의 신규 무선국(602-606)들이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6a는 2차원의 공간 상에 기존 무선국(601)과 신규 무선국(602-606)들을 나타낸 것일 수 있다.
도 6a에서, 2차원의 공간은 단위 영역(600)들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일례로, 각 신규 무선국(602-606)들은 하나의 단위 영역(600)을 차지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601)에 대한 단일 간섭 영향을 단위 영역(600) 별로 계산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600) 별 간섭 영향이 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례로, 단위 영역(600) 별 간섭 영향은, 단위 영역(600)에 신규 무선국이 위치할 때, 기존 무선국(601)에 미칠 수 있는 단일 간섭 영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생성 장치는, 각 단위 기준 대역폭 별로 결정된 감쇄 영향들과 경로 손실에 기초하여 결정된 단일 간섭 영향들을 합하여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600) 별 간섭 영향에 따라 결정된 보호 영역(620)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c의 보호 영역(620)은, 단일 간섭 영향이 임계치(예: -10 dB) 보다 큰 단위 영역(600)들로 구성될 수 있다. 단위 영역의 단일 간섭 영향이 미리 설정된 임계치 보다 큰 경우, 보호 영역(62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외 조건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이 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호 영역은 신규 무선국의 동작 특성이나,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등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위치, 송신 전력, 송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 기존 무선국(701)의 송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송신 전력, 송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 동작 특성, 실내외 여부, 공간상 위치, 기존 무선국(701)의 송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들을 모두 고려하여 동적으로 보호 영역(702, 703)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일괄적으로 신규 무선국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결정하고, 기존 무선국(701)들의 보호 영역(702)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 건물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여, 기존 무선국(701)들의 보호 영역(703)을 결정할 수 있다.
실내 높이가 낮아질수록 간섭 영향이 줄어들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은 단위 영역에서 가장 나쁜 조건(Worst case)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 건물 높이의 중간 값 또는 통계 값에 위치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도 7의 (a)는, 일괄적으로 신규 무선국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전제하여 결정된 보호 영역(702)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b)는, 신규 무선국이 실내에 위치한 경우, 건물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전제하여, 결정된 보호 영역(703)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c)는, 도 7의 (a)에서 결정된 보호 영역(702)과 도 7의 (b)에서 결정된 보호 영역(703)을 모두 고려하여 결정된 보호 영역(702, 703)을 도시한 도면이다.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일괄적으로 신규 무선국이 실외에 있는 것으로 전제하여 계산한 간섭 영향과, 신규 무선국이 건물의 최대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전제로 계산한 간섭 영향 중 더 큰 값을 단위 영역의 간섭 영향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보호 영역(702, 703)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 별 단위 높이에 따른 간섭 영향을 계산하기 위한 예이다.
따른, 단위 영역 별 단위 높이에 따른 간섭 영향을 계산하기 위하여, 단위 높이(H1, H2)가 정의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단위 높이(801-804) 마다 기존 무선국(800)에 미칠 수 있는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이 실외인 경우를 전제로, 단위 영역 별로 단위 높이(801-804) 마다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신규 무선국이 실내인 경우, 생성 장치는, 결정된 간섭 영향에서 실외 투과 손실을 고려하여 간섭 영향을 수정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 별 단위 높이를 고려하여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분석 영역 결정 및 단위 영역 크기 결정 단계(901)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고, 복수의 단위 영역들로 구성되는 분석 영역(예: 도 6a 내지 도 6c에서 단위 영역으로 구성된 그리드 전체)을 결정할 수 있다. 건물 높이 정보 존재 단계(902)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에 포함되는 건물의 높이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1차 Fresnel Zone의 단위 영역 판별 단계(903)에서, 생성 장치는, 건물의 높이 정보가 없는 경우, 프레스넬 영역(Fresnel zone)에 대응하는 단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2차원 동일 단위 영역 최대 높이 단위 영역 확인 단계(904)에서, 생성 장치는, 높이 정보가 존재하는 건물이 포함된 단위 영역 또는 프레스넬 영역에 대응하는 단위 영역의 최대 높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단위 높이 별 감쇄 영향, 간섭 영향 산출 단계(905)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높이 별로 감쇄 영향과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생성 장치는, i) 높이 별 산출 동작(906)을 통해 단위 높이 마다 감쇄 영향과 간섭 영향을 계산하거나, ii) 최고 높이 영향 분석 후 산술식 기반 높이별 영향 산출 동작(907)을 통해 최고 높이를 기준으로 간섭 영향을 결정하고, 그 이하 높이에 대해서는 산술적으로 간섭 영향을 계산하거나, iii) Bullington point 변화에 따른 회절 손실 고려 산출 동작(908)을 통해 불링턴 포인트(bullington-point)의 변화에 따른 Knife-edge의 회절 손실을 고려하여 단위 높이 별로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2차원 영역 다른 단위 영역 선택 단계(909)에서, 생성 장치는, 다른 단위 영역을 선택할 수 있다. 영역 존재 단계(910)에서, 생성 장치는 다른 단위 영역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른 단위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단계(904)-단계(908)를 다른 단위 영역에 대해 처리할 수 있다. 다만, 다른 단위 영역이 없는 경우, 모든 단위 영역에 대한 단위 높이 별 간섭 영향이 결정되고, 3차원 감쇄영향, 보호 영역 산출 단계(911)에서, 3차원의 보호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네트워크 구성과, 신규 무선국의 동작에 따라 결정된 보호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a)는 신규 무선국(1002)의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신규 무선국(1002)의 네트워크는 액세스 포인트(1003)(access point, AP)와 신규 무선국(1002)(예: STA)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003)는 위치 정보가 제공될 수 있는 반면, 신규 무선국(1002)은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례로, 액세스 포인트(1003)가 보호 영역(1004)에 위치하지 않더라도, 액세스 포인트(1003)와 연결되는 신규 무선국(1002)이 보호 영역(1004) 내에서 신호를 방사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03)가 기존 무선국(1001)의 보호 영역(1004)에 위치하지 않으나, 액세스 포인트(1003)와 연결되는 신규 무선국(1002)이 보호 영역(1004) 내에서 신호를 방사하여 간섭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신규 무선국(1002)과 액세스 포인트(1003) 간의 최대 거리를 고려하여, 액세스 포인트(1003) 위치에 대응하거나 인접하는 단위 영역을 보호 영역(1004)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의 (b)는, 기존 지기국의 보호 영역(1004)과 액세스 포인트(1003)의 위치를 분석 영역 내 나타낸 것이다.
도 10의 (b)의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3)는 보호 영역(1004)에 속하지 않으나, 액세스 포인트(1003)와 신규 무선국(1002)이 연결될 수 있는 범위가 보호 영역(1004)과 일부 중첩되기 때문에, 액세스 포인트(1003)가 위치하는 단위 영역도 보호 영역(1005)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의 (c)는, 액세스 포인트(1003)가 위치하는 단위 영역이 보호 영역(1005)으로 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액세스 포인트(1003)가 위치하는 단위 영역이 보호 영역(1005)으로 결정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03)가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송신 전력, 신규 무선국(1002)의 송신 전력, 출력 레벨 등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정적 보호 영역 산출 단계(1101)에서, 생성 장치는, 정적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신규 무선국들의 송신 전력, 위치, 송신 마스크,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등에 기초하여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정의 단계(1102)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RLAN 동작 등록 단계(1103)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RLAN)의 동작 상황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위치,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RLAN 간섭 영향 계산 단계(1104)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RLAN)의 실내외 여부, 위치, 높이 등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여 간섭 영향을 다시 계산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반영 단계(1105)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한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단계(1101)에서 결정된 보호 영역과 비교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변경 필요 단계(1106)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101)에서 결정된 보호 영역을 변경할지 결정할 수 있다. 단계(1101)에서, 보호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단위 영역의 간섭 영향이 단계(1104)에서 계산될 때 임계치 보다 큰 경우 단계(1101)에서 결정된 보호 영역을 보호 영역 산출 단계(1107)에서 변경할 수 있고, 보호 영역 정의 단계(1102)에서 보호 영역을 다시 정의할 수 있다.
RLAN 신규 등록 대기 단계(1108)에서,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이 모두 결정된 이후, 새로운 신규 무선국에 대한 정보가 들어올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새로운 신규 무선국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도 11의 단계들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액세스 포인트를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정적 보호 영역 산출 단계(1201)에서, 생성 장치는, 정적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신규 무선국들의 송신 전력, 위치, 송신 마스크,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등에 기초하여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정의 단계(1202)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RLAN 동작 등록 단계(1203)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RLAN)의 동작 상황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위치, 높이, 서비스 영역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RLAN 서비스 영역 계산 단계(1204)에서, 생성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신규 무선국 중 보호 영역에 속하지 않는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을 수집할 수 있다. 보호 영역과 중첩 단계(1205)에서,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이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과 중첩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이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보호 영역 확장 처리 또는 가용 채널 정보 수정 단계(1206)에서,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고, 신규 무선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신규 무선국의 동작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 영역이나 채널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신규 무선국에 제공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이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기존 보호 영역 유지 또는 가용 채널 정보 유지 단계(1207)에서,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을 유지할 수 있고,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신규 무선국의 액세스 포인트와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정적 보호 영역 산출 단계(1301)에서, 생성 장치는, 정적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신규 무선국들의 송신 전력, 위치, 송신 마스크,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등에 기초하여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정의 단계(1302)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RLAN 동작 등록 단계(1303)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RLAN)의 동작 상황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위치, 높이, 서비스 영역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RLAN 서비스 영역 계산 단계(1304)에서, 생성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신규 무선국 중 보호 영역에 속하지 않는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을 수집할 수 있다. 보호 영역과 중첩 단계(1305)에서,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이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과 중첩되는지 결정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이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보호 영역 확장 처리 또는 가용 채널 정보 수정 단계(1306)에서,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고, 신규 무선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또는, 신규 무선국의 동작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보호 영역이나 채널 정보를 변경하지 않고, 신규 무선국에 제공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RLAN 간섭 영향 계산 및 저장 단계(1307)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 별 동작 상황을 등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들의 실내외 여부, 위치, 높이, 서비스 영역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이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경우, 보호 영역 확장 처리 또는 가용 채널 정보 수정 단계(1308)에서, 생성 장치는, 복수의 신규 무선국들의 동작을 고려하여, 단위 영역 별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간섭 영향 기준 초과 단계(1309)에서, 생성 장치는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확장 처리 또는 가용 채널 정보 수정 단계(1306)에서,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보호 영역 및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유지 또는 가용 채널 정보 유지 단계(1207)에서, 생성 장치는,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보호 영역을 유지할 수 있고,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채널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결정된 보호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위치, 동작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파라미터는, 실내외 여부, 안테나 패턴, 안테나 지향성, 높이, 출력 레벨, 설치 높이, 대역폭, 실내 건물 특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동작 파라미터에 따른 간섭 영향은, 이전 통계를 고려하여 미리 결정될 수 있다. 동작 파라미터는 실제 측정값으로 결정될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특정 신규 무선국에 대한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고, 보호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단위 영역들 중, 다른 신규 무선국에 의한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보호 영역을 추가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특정 신규 무선국에 대한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고, 보호 영역으로 결정되지 않은 단위 영역들 중, 다른 신규 무선국에 의한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큰 경우 새로운 보호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영향에 의한 보호 영역을 결정함에 있어, 임계치를 낮게 설정하고,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은 임계치가 낮아지기 전보다 넓어질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별 누적 간섭 영향을 계산함으로써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초기의 임계치를 기준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1401)이 결정되고,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수정된 임계치에 따라 보호 영역(1402)이 추가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계치를 수정함에 따라 보호 영역을 다시 결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일 간섭 보호 영역 선택 또는 확인 또는 산출 단계(1501)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 단일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분석 영역 중 단일 간섭 보호 영역 제외 RLAN 전개 단계(1502)에서, 생성 장치는,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을 식별할 수 있다.
간섭 영향 분석 단계(1503)에서, 생성 장치는,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의한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반복 수행 횟수 종료 단계(1504)에서, 생성 장치는, 미리 결정한 반복 수행 횟수와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계산한 횟수를 비교한다.
미리 결정한 반복 횟수가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계산한 횟수 보다 큰 경우, 단계(1502-1504)가 새로운 신규 무선국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미리 결정한 반복 횟수가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계산한 횟수와 동일한 경우, 누적 간섭 영향 분석 및 기준값 비교 단계(1505)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에 포함된 모든 신규 무선국을 고려하여 단위 영역 별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단계(15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과 단계(15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을 비교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변경 필요 단계(1506)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501)에서 결정된 간섭 영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산출 단계(1507)에서, 각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15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이 단계(15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 보다 큰 경우, 생성 장치는, 단계(15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각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15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이 단계(15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 보다 작은 경우,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보호 영역 기준 수정 단계(1508)를 수행할 수 있다. 단일 간섭 보호 영역 기준 수정 단계(1508)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501)에서 이용된 임계치를 수정하고, 단일 간섭 영향과 수정된 임계치를 비교함으로써 보호 영역을 다시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적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수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일 간섭 보호 영역 선택 또는 확인 또는 산출 단계(1601)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 단일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분석 영역 중 단일 간섭 보호 영역 제외 RLAN 전개 단계(1602)에서, 생성 장치는,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을 식별할 수 있다.
간섭 영향 분석 단계(1603)에서, 생성 장치는,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의한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반복 수행 횟수 종료 단계(1604)에서, 생성 장치는, 미리 결정한 반복 수행 횟수와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계산한 횟수를 비교한다.
미리 결정한 반복 횟수가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계산한 횟수 보다 큰 경우, 단계(1602-1604)가 새로운 신규 무선국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미리 결정한 반복 횟수가 결정된 보호 영역 이외 단위 영역에 있는 신규 무선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계산한 횟수와 동일한 경우, 누적 간섭 영향 분석 및 기준값 비교 단계(1605)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에 포함된 모든 신규 무선국을 고려하여 단위 영역 별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단계(16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과 단계(16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을 비교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변경 필요 단계(1606)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601)에서 결정된 간섭 영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산출 단계(1609)에서, 각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16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이 단계(16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 보다 큰 경우, 생성 장치는, 단계(16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계(16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이 단계(16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 보다 작은 경우, 주요 간섭 발생 추가 단위 영역 분석 단계(1607)를 수행할 수 있다. 주요 간섭 발생 추가 단위 영역 분석 단계(1607)에서, 생성 장치는, i) 반복 회차 중 누적 간섭 영향이 가장 큰 단위 영역, ii) 누적 간섭 영향이 특정 값 이상으로 나타나는 단위 영역, iii) 반복 회차 중 특정 횟수 이상 기준값 이상으로 누적 간섭 영향이 발생하는 단위 영역, iv) 누적 간섭 분석 결과, 기준값 보은 높은 회차에서, 가장 큰 누적 간섭 영향 또는 일정 범위 이상인 간섭 영향인 단위 영역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단위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선택된 추가 단위 영역 단일 간섭 보호 영역에 추가 단계(1608)에서, 생성 장치는, 결정된 단위 영역을 보호 영역으로 추가할 수 있다. 추가로 보호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1601-1606)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이 확장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결정한 보호 영역(1703)을 수정함에 있어, 보호 영역(1703)에 속하지 않는 신규 무선국 중 미리 결정된 수만큼의 신규 무선국(1702)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1703)이 아닌 단위 영역의 누적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1703)이 아닌 단위 영역들 중 보호 영역의 경계에 있거나, 누적 간섭 영향이 큰 단위 영역을 기준으로 누적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특정 단위 영역(1704)의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보다 큰 경우, 특정 단위 영역(1704)을 보호 영역(1703)으로 추가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을 수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단일 간섭 보호 영역 선택 또는 확인 또는 산출 단계(1801)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 단일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누적 간섭 분석 RLAN 수 결정 단계(1802)에서, 생성 장치는, 누적 간섭 영향을 계산함에 있어 고려할 무선 무선국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조건 단위 영역 결정 단계(1803)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801)에서 보호 영역으로 결정된 단위 영역과 인접한 단위 영역 또는 누적 간섭 영향이 가능 높을 있는 단위 영역을 조건 단위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RLAN 전개 단계(1804)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802)에서 결정된 신규 무선국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간섭 영향 분석 단계(1805)에서, 생성 장치는, 결정된 신규 무선국에 단일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단계(1802)에서 결정된 신규 무선국을 기준으로, 단계(1805)에서 결정된 단위 영역의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반복 수행 종료 단계(1806)을 통해 누적 간섭 영향이 정확하게 결정되도록 반복될 수 있다.
누적 간섭 영향이 결정된 경우, 누적 간섭 영향 분석 및 기준값 분석 단계(1807)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의 누적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변경 필요 단계(1806)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801)에서 결정된 간섭 영향의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산출 단계(1809)에서,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18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이 단계(18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 보다 큰 경우, 생성 장치는, 단계(18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1801)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이 단계(1804)에서 결정한 간섭 영향 보다 크지 않은 경우, 생성 장치는, 주요 간섭 발생 추가 단위 영역 분석 단계(1810)를 수행할 수 있다. 주요 간섭 발생 추가 단위 영역 분석 단계(1810)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1807)에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의 단위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선택된 추가 단위 영역 단일 간섭 보호 영역에 추가 단계(1811)에서, 생성 장치는, 식별된 단위 영역을 보호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안테나 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1차 서비스를 수신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안테나 패턴이 특정 방향을 지향하는 경우, 보호 영역은, 기존 무선국 주변의 동심원(1901)과 특정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기존 무선국의 수신 안테나 패턴은 0도 방향(위쪽)일 수 있다. 이 경우, 보호 영역은 기존 무선국의 수신 안테나 패턴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의 보호 영역 없이 일정 개수의 신규 무선국에 대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RLAN 전개 영역 결정 단계(2001)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에 포함된 신규 무선국을 포함된 단위 영역들을 결정할 수 있다. RLAN 전개 단계(2002)에서, 생성 장치는 특정 신규 무선국을 선택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으로부터 신규 무선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간섭 영향 분석 단계(2003)에서, 생성 장치는 특정 신규 무선국의 단위 영역 별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반복 수행 횟수 종료 단계(2004)에서, 생성 장치는 반복 횟수가 될 때까지 분석 영역에 포함된 다른 신규 무선국에 대해서 단위 영역 별 단일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누적 간섭 영향 분석 및 기준값 비교 단계(2005)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 내 모든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단위 영역 별 단일 간섭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기존 보호 영역 변경 필요 단계(2006)에서, 생성 장치는, 단계(2005)에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단일 간섭 영향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변경할 지 결정할 수 있다.
보호 영역 산출 단계(2007)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2005)에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이 단일 간섭 영향 간의 차이가 일정 기준 이하인 경우, 단일 간섭 영향에 의해 결정된 보호 영역으로 결정할 수 있다.
주요 간섭 발생 추가 단위 영역 분석 단계(2008)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에 대해 단계(2005)에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이 단일 간섭 영향 간의 차이가 일정 기준 초과인 경우, 단일 간섭 영향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과 인접한 단위 영역들을 식별할 수 있다.
선택된 추가 단위 영역 단일 간섭 보호 영역에 추가 단계(2009)에서, 생성 장치는 식별된 단위 영역에 대해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서비스 영역, 높이 등을 고려하여 간섭 영향을 다시 계산하고, 임계치 이상인 경우 식별된 단위 영역을 보호 영역으로 추가할 수 있다.
간섭 또는 보호 영역 선택, 확인 또는 산출 단계(2010)에서, 생성 장치는 추가된 보호 영역을 기준으로 인접한 단위 영역들을 식별할 수 있고, 단계(2001)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간섭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간섭 영역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간섭 영역은 단위 영역으로 구성되며, 분석 영역에 포함되는 임의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 내에서 복수의 간섭 영역을 설정하고, 각 간섭 영역에서 결정된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보호 영역(2108)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간섭 영역은 특정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 원 등 일반 도형이나, 특정 방향의 부채꼴, 임의의 모델일나 수학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21의 (a)을 참조하면, 간섭 영역은 기존 무선국(2101)을 중심으로 포함하는 원(제1 간섭 영역(2102)) 및 기존 무선국(2101)의 수신 안테나의 지향 방향으로 형성된 사각형(제2 간섭 영역(2103))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1의 (b)를 참조하면, 생성 장치는, 제2 간섭 영역(2103)이 포함되는 분석 영역(2104)의 신규 무선국(2105)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2104)의 신규 무선국(2105)들에 의한 누적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제2 간섭 영역(2103)을 확장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1의 (c)를 참조하면, 생성 장치는, 제1 간섭 영역(2102)이 포함되는 분석 영역(2107)의 신규 무선국(2105)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2107)의 신규 무선국(2105)들에 의한 누적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제1 간섭 영역(2102)을 확장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간섭 영향을 확장하기 위하여, 누적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비교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제1 간섭 영역(2102) 또는 제2 간섭 영역(2103)의 단위 영역 별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적어질 때까지, 간섭 영향을 확장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제1 간섭 영역(2102)과 제2 간섭 영역(2103)을 확장함에 있어, 서로 다른 임계치가 이용될 수 있다. 간섭 영역 별로 사용되는 임계치는, 간섭 영역이 포함된 분석 영역(2107)의 인구 밀도, 예상 보호 영역(2108)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상 보호 영역(2108)은, 단일 간섭 영향 또는 1차 서비스의 안테나 패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21의 (d)를 참조하면, 생성 장치는 확장된 제1 간섭 영역(2102)과 제2 간섭 영역(2103)에 따라 최종적인 보호 영역(2108)을 결정할 수 있다.
도 2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의의 간섭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된 간섭 영역에 기초하여 최종적인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과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N개 영역 구분 M번 순차분석 정의 Th(m, n) 기준값들 정의 m=n=0 단계(2201)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에서 N개의 간섭 영역을 설정하고, 순차 분석을 위한 횟수를 정의하고, 각 간섭 영역의 각 순차 분석 마다 이용되는 임계치를 정의할 수 있다. 순차 분석은, 누적 간섭 영향에 따라 간섭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m차 n번째 영역 간섭 분석 단계(2202)에서, 생성 장치는, n번째 간섭 영역에 대한 m번째 순차 분석을 수행한다. 간섭 영향 기준 만족 Th(m,n) 단계(2203)에서, 생성 장치는, n번째 간섭 영역의 m번째 순차 분석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작은지 결정할 수 있다.
n번째 간섭 영역의 m번째 순차 분석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큰 경우,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 확장 단계(2204)에서 보호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n번째 간섭 영역의 m번째 순차 분석시 결정된 누적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작은 경우, 생성 장치는, n=n+1 단계(2205)에서, 간섭 영역의 인덱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n=N 단계(2206)에서, 생성 장치는, 모든 간섭 영역에 대한 m차 순차 분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보호 영역 확인 단계(2207)에서 보호 영역을 확인하고, m차 n번째 영역 간섭 분석 단계(2202)를 다음 간섭 영역에 대해 수행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모든 간섭 영역에 대한 순차 분석이 수행된 경우, m=m+1 단계(2208)에서, 순차 분석의 인덱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m=M 단계(2209)에서, 생성 장치는, 순차 분석이 M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n=0, 보호 영역 확인 단계(2210)에서, 간섭 영역의 인덱스를 0으로 설정하고, 모든 간섭 영역에 대하여 m+1번째 순차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m=M 단계(2209)에서, 생성 장치는, 순차 분석이 M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n=0, 보호 영역 산출(2211)에서, 분석된 간섭 영역을 결합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성 장치는 순차 분석을 수행함에 있어, 3차원으로 간섭 영향을 분석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생성 장치는, 도 23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2301)에서, 생성 장치는, 보호 영역을 결정하기 위하여 단일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2302) 또는 누적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2303)를 이용할 수 있다.
단일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2302)에서, 생성 장치는, 정적 보호 영역 실시예(2304) 또는 동적 보호 영역 실시예(2305)를 이용할 수 있다. 정적 보호 영역은,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예: 실내외 여부, 서비스 영역 등)과 관계없이 단일 간섭 영향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보호 영역일 수 있다. 동적 보호 영역은,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예: 실내외 여부, 서비스 영역 등)을 고려하여 단일 간섭 영향과 임계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결정되는 보호 영역일 수 있다.
정적 보호 영역 실시예(2304)에서, 생성 장치는, 2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06), 또는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07)을 이용할 수 있다. 2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06)는, 신규 무선국의 높이와 관련없이 계산되는 간섭 영향에 따라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일 수 있다.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07)는, 신규 무선국의 높이를 고려하여 계산되는 간섭 영향에 따라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일 수 있다.
정적 보호 영역 실시예(2304)에서, 생성 장치는, 2차원,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08)를 이용할 수 있다. 2차원,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08)에서,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 및 높이를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누적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2302)에서,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영향을 기반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하여 보호 영역을 산출하는 실시예(2309) 또는 누적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2310)를 이용할 수 있다.
단일 간섭 영향을 기반으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하여 보호 영역을 산출하는 실시예(2309)에서, 생성 장치는, 정적, 동적, 2차원,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11)을 이용할 수 있다. 정적, 동적, 2차원,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11)에서, 생성 장치는,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함에 있어,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송신 마스크, 실내외 여부, 높이, 위치, 중심 주파수, 대역폭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누적 간섭 영향을 기준으로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실시예(2310)에서, 생성 장치는, 정적, 동적, 2차원,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12)을 이용할 수 있다. 정적, 동적, 2차원, 3차원, 보호 영역 실시예(2312)에서, 생성 장치는,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함에 있어,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중심 주파수,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송신 마스크, 실내외 여부, 높이, 위치, 중심 주파수, 대역폭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도 2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을 플로우 차트로 도시한 도면이다.
각종 영역, 파라미터, 조건 등 정의 단계(2401)에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을 중심으로 분석 영역을 설정하고, 신규 무선국의 출력 레벨, 안테나의 높이, 안테나 패턴, 안테나 이득, 안테나 지향 방향 등의 조건을 미리 결정하고,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 수신 마스크 및 신규 무선국들의 송신 마스크, 대역폭, 중심 주파수 송신 전력 등의 파라미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단위 영역 별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 분석 단계(2402)에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을 단위 영역 별로 결정할 수 있다.
단위 영역 별 단위 기준 대역폭 별 감쇄 영향 테이블 산출 단계(2403)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에 기초하여 감쇄 영향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감쇄 영향 테이블은, 중심 주파수 및 대역폭에 따른 감쇄 영향을 정의할 수 있다.
단위 영역 별 간섭 영향 분석 단계(2404)에서,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단일 간섭 영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경로 손실 및 감쇄 영향에 기초하여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이 결정된 경우, 단위 기준 대역폭 당 전력 세기를 나타내는 전력 밀도를 기준으로 단일 간섭 영향을 결정할 수 있다.
단일 간섭 보호 영역 산출 단계(2405)에서,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영향과 임계치를 비교하여, 단위 영역의 단일 간섭 영향이 임계치 이상인 경우 보호 영역으로 결정한다.
생성 장치는, 단일 간섭 영향을 계산함에 있어, 신규 무선국의 높이를 고려하여 3차원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3차원으로 결정된 단일 간섭 영향에 따라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보호가 필요한 1차 서비스의 주파수 별로, 보호 영역을 따로 생성할 수 있고, 주파수 별로 결정된 보호 영역을 통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누적 간섭 보호 영역 산출 단계(2406)에서, 생성 장치는, 분석 영역 내 포함된 신규 무선국들에 의한 누적 간섭 영향을 계산하고, 누적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보호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1st 1차 서비스 무선국 보호 영역 산출 단계(2407)에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에 대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Nth 1차 서비스 무선국 보호 영역 산출 단계(2408)에서, 생성 장치는, 다른 기존 무선국을 기준으로 새로운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주파수 공유 영역 공유 정보 산출 단계(2409)에서, 생성 장치는, 기존 무선국들의 1차 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하여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특정 주파수 또는 1차 서비스 무선국 기준 보호 영역 산출 가능 단계(2410)에서,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에 기초하여 1차 서비스의 특정 주파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신규 무선국은 1차 서비스의 특정 주파수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영역에서 특정 주파수를 이용한 통신이 제한될 수 있다.
특정 단위 영역 또는 일부 영역 별 가용 주파수 채널 정보 산출 가능 단계(2411)에서,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에 기초하여 1차 서비스의 특정 단위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및 채널을 결정할 수 있다.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여러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를 고려하여 결정한 보호 영역을 고려하여 신규 무선국이 단위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 및 채널을 이용할 수 있다.
특정 영역, 특정 주파수 당 허용 전력 레벨 또는 밀도 정보 산출 가능 단계(2412)에서, 생성 장치는, 공유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주파수 별 신규 무선국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전력 레벨 및 전력 밀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전력 레벨은 신규 무선국의 단위 기준 대역폭에서 송신 전력의 출력 레벨을 의미하고, 전력 밀도는, 전력 레벨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생성 장치, 누적 간섭 영향을 결정함에 있어,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결정하기 때문에, 보호 영역에 따라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전력 레벨 및 전력 밀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분석 영역, 보호 영역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의 (a)는, 기존 무선국(2506)의 수신 마스크(2501), 기존 무선국(2507)의 수신 마스크(2502)와,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의 (b)는, 기존 무선국(2506)의 분석 영역(2508), 및 기존 무선국(2507)의 분석 영역(2509)을 도시한 것이고, 분석 영역(2508, 2509)은 주파수를 공유하는 전체 영역(2504)의 단위 영역(2505)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쇄 영향, 간섭 영향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의 (a)는, 신규 무선국의 단위 기준 대역폭 별 송신 전력 밀도(2602)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의 (b)는,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밀도(2602)가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2601)로 인하여 감쇄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의 (c)는, 단위 영역과 주파수에 따른 감쇄 영향 테이블의 예이다. 생성 장치는, 단위 영역 별로, 주파수에 따른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을 계산하여, 감쇄 영향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6의 (d)는, 단위 영역 별로 결정된 간섭 영향을 나타내는 간섭 영향 테이블이다. 도 26의 (e)는, 기존 무선국(2604)의 분석 영역(2605)을 도시한 것이고, 분석 영역(2605)은 주파수를 공유하는 전체 영역(2603)의 단위 영역(2606)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이 수정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의 (a)는, 기존 무선국(2701)의 보호 영역(2702)이 단일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의 (b)는, 누적 간섭 영향이나, 신규 무선국의 동작 상황에 따라 일부 보호 영역(2703)이 추가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의 (d)는, 기존 무선국(2705)의 보호 영역(2706)이 단일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누적 간섭 영향에 의하여 일부 보호 영역(2707)이 추가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의 (c)는, 기존 무선국(2701, 2705)의 보호 영역(2702, 2706)들을 결합한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기존 무선국(2701)의 중심 주파수가 K이고, 도 27의 Pa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은 K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기존 무선국(2705)의 중심 주파수가 M인 경우, 도 27의 Pd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은 M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다.
기존 무선국(2701)의 중심 주파수가 K이고, 기존 무선국(2705)의 중심 주파수가 M인 경우, 도 27의 Pc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은 K, M에 대응하는 주파수의 사용이 제한될 수 있고, Pb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은 K, M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위 영역에서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또는 채널의 대역폭을 결정하거나, 전력 레벨을 결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의 (a)는,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 수신을 위한 수신 마스크(2801), 단위 기준 대역폭(2802), 신규 무선국이 동작하는 서로 다른 채널(F1, F2, F3)의 대역폭들(2803)을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28의 (b)는, 감쇄 영향에 따라 결정된 간섭 영향의 레벨을 도시한 도면이다. 감쇄된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2804)가 기존 무선국의 1차 서비스 수신에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도 28의 (c)는, 1차 서비스의 보호를 위해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없는 채널(2805)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의 (d)는, 사용할 수 없는 채널(2805)에 따라,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레벨이 조정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생성 장치는, 사용할 수 없는 채널(2805)에 따라 대역폭에 대한 송신 전력의 밀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신규 무선국은 특정 채널이 보호 영역에 의해 사용할 수 없는 채널이더라도 송신 전력, 출력 레벨, 송전 전력 밀도를 조정하여 그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파라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단위 영역 당 간섭 영향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간섭 영향 테이블(2901)은, 단위 영역 마다, 신규 무선국의 채널의 대역폭에 따른 단일 간섭 영향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영향 테이블(2902)은, 단위 영역 마다, 신규 무선국의 높이에 따른 단일 간섭 영향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영향 테이블(2903)은, 단위 영역 마다, 신규 무선국의 단일 간섭 영향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영향 테이블(2904)은, 단위 영역 마다, 시간에 따른 단일 간섭 영향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간섭 영향 테이블(2905)는, 단위 영역 마다, 서로 다른 기존 무선국을 기준으로 한 단일 간섭 영향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되어 마그네틱 저장매체, 광학적 판독매체, 디지털 저장매체 등 다양한 기록 매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각종 기술들의 구현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조직으로,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 예를 들어 프로그램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의 동작에 의한 처리를 위해, 또는 이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정보 캐리어, 예를 들어 기계 판독가능 저장 장치(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전파 신호에서 유형적으로 구체화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파일된 또는 인터프리트된 언어들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기록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모듈, 구성요소, 서브루틴,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다른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로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서 하나의 컴퓨터 또는 다수의 컴퓨터들 상에서 처리되도록 또는 다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배되고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매체일 수 있고, 컴퓨터 저장매체 및 전송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장치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1: 공유 정보의 생성 장치

Claims (18)

  1.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에 있어서,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에 대한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상기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간섭 영향에 따른 상기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제한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 상기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단계는,
    주파수 별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감쇄 영향의 차이 및 i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위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무선국이 복수인 경우, 상기 신규 무선국들 각각에 대한 간섭 영향의 합을 계산하는,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단위 영역 별로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높은 단위 영역들로 구성되는,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 영향을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상기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높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신규 무선국과 다른 신규 무선국들의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하는, 생성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기존 무선국에 임계치 이상의 간섭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및 송신 전력 밀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성 방법.
  10.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을 수행하는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성 장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로 인한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에 대한 감쇄 영향을 결정하고,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으로 인한 상기 기존 무선국의 간섭 영향을 계산하고, 상기 간섭 영향에 따른 상기 기존 무선국의 보호 영역을 결정하고, 상기 보호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무선국이 이용할 수 있는 공유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신규 무선국이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가 제한되는 영역을 의미하는,
    생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존 무선국의 수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마스크, 상기 신규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중심 주파수의 차이, 상기 신규 무선국의 대역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주파수 별 단위 기준 대역폭 당 감쇄 영향의 합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감쇄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송신 전력과 상기 감쇄 영향의 차이 및 ii) 상기 신규 무선국의 위치와 상기 기존 무선국의 거리에 따른 경로 손실 간섭 영향에 기초하여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무선국이 복수인 경우, 상기 신규 무선국들 각각에 대한 간섭 영향의 합을 계산하는, 생성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쇄 영향을 이용하여, 단위 영역 별로 상기 간섭 영향을 결정하고,
    상기 보호 영역은,
    상기 간섭 영향이 임계치 보다 높은 단위 영역들로 구성되는, 생성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실내외 여부, 상기 신규 무선국의 서비스 영역 및 상기 신규 무선국의 높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영역에 대한 간섭 영향을 결정하는, 생성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신규 무선국과 다른 신규 무선국들의 간섭 영향을 고려하여, 상기 결정된 보호 영역을 수정하는, 생성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정보는,
    상기 기존 무선국에 임계치 이상의 간섭 영향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하는 상기 신규 무선국의 주파수, 채널, 송신 전력 및 송신 전력 밀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생성 장치.
KR1020210019208A 2020-03-02 2021-02-10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2458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186,245 US11510214B2 (en) 2020-03-02 2021-02-26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hared information for joint use of frequencies between radio statio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6243 2020-03-02
KR1020200026243 2020-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156A true KR20210111156A (ko) 2021-09-10
KR102458366B1 KR102458366B1 (ko) 2022-10-25

Family

ID=7777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208A KR102458366B1 (ko) 2020-03-02 2021-02-10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36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2920A (ja) * 2008-03-05 2009-09-17 Ntt Docomo Inc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90113987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에서 보호대역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40079581A (ko) * 2012-12-17 2014-06-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펨토셀의 주파수 대역 선택 방법 및 매크로셀 기지국 및 펨토셀 기지국이 공유 부대역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
KR20150100095A (ko) * 2014-02-24 2015-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용주파수 확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6141A (ko) * 2015-08-03 201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70105781A (ko) * 2016-03-10 201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 대역 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간 주파수 공유를 위한 간섭온도 기반 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2920A (ja) * 2008-03-05 2009-09-17 Ntt Docomo Inc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20090113987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통신에서 보호대역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140079581A (ko) * 2012-12-17 2014-06-2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펨토셀의 주파수 대역 선택 방법 및 매크로셀 기지국 및 펨토셀 기지국이 공유 부대역을 사용하는 통신시스템
KR20150100095A (ko) * 2014-02-24 2015-09-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용주파수 확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16141A (ko) * 2015-08-03 2017-0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KR20170105781A (ko) * 2016-03-10 201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동일 대역 내 서로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간 주파수 공유를 위한 간섭온도 기반 정보 교환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366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ekovee Quantifying the availability of TV white spaces for cognitive radio operation in the UK
US11350422B2 (en) Control device, wireless device,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63397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ons resource allocation for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8718541B2 (e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WO20182159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protection area (dpa) protection
Son et al. Coexistence of 5G system with Fixed satellite service Earth station in the 3.8 GHz Band
US11671838B2 (en) Methods and nodes for negotiating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devices active antenna system antenna pattern and radio planning for citizen's broadband radio service band
Wang et al. Tractable model for heterogeneous cellular networks with directional antennas
Ullah et al. Multi-tier exclusion zones for dynamic spectrum sharing
Khawar et al. Spectrum sharing between small cells and satellit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1155875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environmental sensing capability planning in a shared spectra
Huang et al. Non-intrusive cognitive radio networks based on smart antenna technology
KR102458366B1 (ko) 무선국 간의 주파수를 공동으로 사용하기 위한 공유 정보의 생성 방법 및 장치
US2021035250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 Radio Frequency for Use in a Cell-Area of a Wireless Network
US115102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hared information for joint use of frequencies between radio stations
Han et al. Numerical approximation of millimeter-wave frequency sharing between cellular systems and fixed service systems
Girma et al. Frequency re-use distance calculation in cellular systems based on Monte-Carlo simulation
Nekovee Quantifying the TV white spaces spectrum opportunity for cognitive radio access
Abdulrazak Coexistence of IMT-Advanced Systems for Spectrum Sharing with FSS Receivers in C-Band and Extended C-Band
Sun et al. Coexistence of Airborne radar and IMT systems in the 3GHz Band
Park et al. Impact of 5G New Radio Downlink Signal on Fixed-Satellite Service Earth Station
US11914063B2 (en) Automated border coordination for radiofrequency network sectors
Abdulrazak et al. Interference Assessment Methodology
KR102314024B1 (ko) 공존 영향 분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arimi et al. Spectrum sharing between the Mobile Service and existing fixed and fixed satellite services in the 3.6–3.8 GHz b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