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874A -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874A
KR20210110874A KR1020217025068A KR20217025068A KR20210110874A KR 20210110874 A KR20210110874 A KR 20210110874A KR 1020217025068 A KR1020217025068 A KR 1020217025068A KR 20217025068 A KR20217025068 A KR 20217025068A KR 20210110874 A KR20210110874 A KR 20210110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user device
signaling
information
cap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6594B1 (ko
Inventor
젠 양
난 장
웨이 카오
카이보 티안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4701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2857A/ko
Publication of KR20210110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4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 H04W56/004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of reception due to propagation delay compensating for timing error by altering transmission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0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synchronizing of arrival of multiple up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6Airborne or Satellite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에서 TA 조정 스킴들을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이 설명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로,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타이밍 어드밴스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이 제공되며,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본 특허 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들을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들은 점점 더 연결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로 세상을 움직이고 있다. 무선 통신들의 급속한 성장과 기술의 발전들은 용량 및 연결성에 대한 더 큰 요구를 야기해왔다. 에너지 소비, 디바이스 비용, 스펙트럼 효율, 및 레이턴시와 같은 다른 측면들도 또한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들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데 중요하다.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비해, 차세대 시스템들과 무선 통신 기술들은 증가하는 사용자들과 디바이스들을 위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본 명세서는 무선 통신에서 타이밍 어드밴스 (TA; timing advance)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들,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은 개선된 유연성을 갖는TA 조정 스킴들을 제공하여, 더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들에 대한 요구를 충족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인다.
일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결정되는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타이밍 어드밴스(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i)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정보; 또는 ii) 타이밍 어드밴스(TA) 시그널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에 기초하여 업링크 전송을 위한 TA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제공된다.
다른 양태에서, 개시된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다른 양태에서,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때, 프로세서가 본 문서에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한다.
상기 및 다른 양태들 및 이들의 구현들은 도면들, 설명들, 및 청구범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에 기반한 무선 통신에서의 기지국 (BS) 및 사용자 장비 (UE)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에 기반한 장치의 일부의 블록 다이어그램의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에 기반한 TA 조정 스킴의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업링크 타이밍의 레이트 변경의 개념을 도시한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에 기반한 TA 조정 스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에 기반한 TA 조정 스킴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에 기반하여 TA 조정 스킴의 예가 적용되는 위성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섹션 표제들은 본 명세서에서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서만 사용되며, 각 섹션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및 기술들의 범위는 그 섹션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5G 용어는 일부 경우들에서 개시된 기술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이는 5G 또는 3GPP 프로토콜들 이외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무선 시스템들 및 디바이스들에 적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타이밍 어드밴스 (TA)를 조정하기 위한 기술들을 제공하기 위한 구현들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은 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향상된 유연성을 갖는 TA 조정 스킴들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일부 구현들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OFDM (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시스템에서, 서브캐리어들 간의 직교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업링크 신호의 동기 에러가 CP (Cyclic Prefix) 길이보다 작아야 한다. 만약 업링크 신호의 동기 에러가 CP의 길이보다 작지 않으면, 서브캐리어들 간의 직교성이 파괴되어 캐리어 간 간섭이 발생한다. 이 경우 시스템 성능이 크게 영향을 받는다. LTE (Long Term Evolution) 및 NR (New Radio Access Technology) 시스템들에서는 업링크 동기 에러가 시스템이 허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타이밍 어드밴스 (TA; Timing Advance) 조정 메커니즘이 채택된다. TA 조정 메커니즘에 따르면, 기지국 BS와 같은 네트워크 스테이션은 사용자 디바이스 UE의 업링크 동기 에러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동기 에러가 특정 문턱값에 도달한 후, BS는 MAC CE (MAC layer control unit)를 통해 UE에 UE-특정 TA 조정 시그널링을 전송하고, UE는 동기 에러의 변화가 CP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도록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자신의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를 증가 또는 감소시킨다. TA 조정 메커니즘은 UE의 업링크 동기 상태를 효과적으로 유지하고 UE가 CP의 보호 범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현재의 지상파 네트워크의 경우, 기존의 TA 조정 메커니즘은 요구를 충족시키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미래에 예상되는 일부 가능한 시나리오들의 경우, 기존 TA 메커니즘은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의 결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LTE 또는 NR 기술을 이용하는 저궤도 위성 통신 시스템들의 경우, 위성이 지구 주위를 고속 (7km/s 이상)으로 이동함에 따라 지상 UE와 위성 간의 거리가 급격히 변한다. 이러한 거리의 급격한 변화는 결국 UE의 업링크 동기 에러의 급격한 변화로 이어지며, 이는 지상파 네트워크의 그것보다 훨씬 높다. 또한, 위성 셀의 UE의 수가 지상 셀의 UE의 수 보다 훨씬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의 TA 조정 요구는 지상 네트워크보다 훨씬 높다. 만약 기존 TA 조정 메커니즘이 저궤도 위성 네트워크에 임의의 변경들 없이 채택될 경우,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들이 불가피하다. 예를 들어, MMTC (대규모 기계 유형 통신;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s) 또는 NB-IoT (협대역-사물 인터넷; Narrowband-Internet of Things) 어플리케이션 시나리오들에는, 작은 영역에 많은 정적 또는 준 정적 IoT 디바이스들이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들에서 업링크 동기 에러는 주로 BS와 UE의 클럭 드리프트에 의해 발생한다. 클럭 드리프트로 인한 동기 에러 변경 비율은 저궤도 위성 시스템보다 훨씬 낮지만, 기존 TA 조정 메커니즘을 이용하면 수 많은 UE로 인해 여전히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기존의 TA 조정 메커니즘의 한계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개시된 기술은 TA 조정 메커니즘의 다양한 구현들을 제공한다. 다양한 구현들은 네트워크 측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BS (120) 및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비 (UE) (111, 112 및 113)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5G 또는 NR 셀룰러 네트워크)의 예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들은 본 개시된 기술 (131, 132, 133)의 구현들을 이용하여 BS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고, 이는 BS로부터 UE들로의 후속 통신 (141, 142, 143)을 가능하게 한다. UE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모바일 컴퓨터, 머신 투 머신 (M2M; Machine to Machine) 디바이스, 사물 인터넷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도 2는 장치의 일부의 블록 다이어그램 표현의 예를 도시한다.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 (또는 UE)와 같은 장치 (210)는 본 명세서에 제시된 기술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장치들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210)는 안테나 (24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전자장치들 (230)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210)는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장치 (210)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들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 전자장치들 (220)은 트랜시버 전자장치들 (230)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기술들, 모듈들 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장치 (210)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도 3은 개시된 기술의 구현들에 기반한 TA 조정 스킴의 예를 도시한다. 동작 (1) 내지 (7)은 도 3에 도시되지만, 제안된 TA 조정 스킴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동작들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개시된 기술의 다양한 구현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들 (1) 내지 (7) 중 적어도 일부만을 포함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동작 (1): 사용자 장비 (UE)는 정보를 네트워크 측, 예를 들어, 기지국 (BS)으로 전송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UE 측은 BS 측에 UE의 능력 정보 (capability information)를 보고하기 위해 능력 보고를 수행한다. UE의 능력 정보는 포지셔닝 능력, 포지셔닝 정확도, UE 계산 레벨, 또는 GPS 능력 (예를 들어, UE가 별의 트랙/궤도력 정보를 알고 있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UE 측은 능력 보고를 수행하지 않고 UE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UE 관련 정보의 예들은 UE의 물리적 위치, UE의 서빙 빔 (serving beam)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구현들에서, 능력 정보의 수행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i) UE 측이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BS 측에 보고한다. 자율 TA 조정 능력은 UE가 BS의 도움 없이 업링크 신호 전송의 타이밍 어드밴스를 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는 ii) UE 측은 그룹 기반 TA 조정 시그널링을 수신할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BS 측에 보고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BS는 UE들을 그룹핑하고 그룹에 기반하여 TA 시그널링을 전송할 수 있다. 그룹 기반 TA 조정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다는 것은 UE가 속한 그룹으로 전송된 TA 시그널링을 UE가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동작 (2): BS 측은 UE로부터 제공된 능력 정보 또는 UE 관련 정보에 기반하여 UE의 초기 그룹핑을 수행한다. 각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UE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 그룹핑에 이용된 정보에 따라 다음 두 가지 경우들이 구현될 수 있다:
경우 1: UE는 UE 측에서부터 제공되는 능력 정보에 기반하여 그룹핑된다. 이 경우,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가진 UE들은 그룹-A로 정의되는 하나의 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고, 남아있는 UE들은 그룹-B로 정의되는 다른 그룹으로 분할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B의 UE들은 서브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고, 각 서브그룹에는 고유한 서브그룹-ID 식별자가 할당된다. 분할의 기준은 UE의 물리적 위치 또는 UE의 서빙 빔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경우 2: 기지국은 UE로부터 보고된 지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UE를 그룹핑한다. 이 경우, 각 그룹은 특정 플래그를 갖는다.
경우 3: 기지국은 UE가 위치한 릴레이 노드를 기반으로 UE를 그룹핑한다. 릴레이 노드는 레이어 3 릴레이 노드 (대역내 반이중, 대역외) 또는 레이어 2 릴레이 노드일 수 있다. 만약 레이어 3 릴레이 노드가 이용되는 경우, 릴레이 노드는 UE에 의해 독립된 BS로 간주된다. 그러면, 릴레이 노드와 UE 사이의 상호작용 프로세스는 경우 1과 경우 2를 포함한다. 만약 레이어 2 릴레이 노드가 이용되는 경우, 릴레이 노드는 오직 PDSCH 전송에만 이용되며, 스케줄러는 BS에 존재한다. 그런 다음, BS는 여전히 UE 제어를 담당한다. 따라서, 해당 BS와 UE 간의 상호작용 프로세스는 경우 1과 경우 2를 포함한다.
동작 (3): BS 측은 패킷 구성 정보를 UE 측에 전송한다. 패킷 구성 정보는 i) UE가 속한 그룹을 지시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 인덱스, ii) UE가 속한 그룹 구성의 검증 기간 또는 타이머, iii) 그룹 인덱스 및 TA 조정 파라미터들 간의 매핑 관계, 또는 iv) 그룹 내 UE의 식별들 (ID들)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UE의 그룹을 지시하기 위해, 그룹 인덱스는 UE에게 직접 제공될 수 있거나, 그룹 내 모든 UE들의 ID들이 제공될 수 있다. 그룹 구성 정보는 UE가 속한 그룹 또는 서브그룹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패킷 구성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은 UE가 초기 액세스에 있는 경우 BS 측에 의해 초기 패킷 구성 정보를 UE 측에 전송하거나, 만약 패킷 구성 정보가 이미 UE에 제공된 경우 BS 측에 의해 업데이트된 패킷 구성 정보를 UE 측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동작 (4): BS 측은 패킷 구성 정보에 기반하여 TA 시그널링을 UE 측으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TA 시그널링은 i) 제1 TA 조정 파라미터 (TA_1), 또는 ii) 제2 TA 조정 파라미터 (TA_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TA 조정 파라미터는 같은 그룹 내의 UE들에 의해 공유된다. 이 경우, TA 시그널링은 시스템 정보, MAC, 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또는 공통 DCI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패킷 구성 정보는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 및/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패킷 메시지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제2 TA 조정 파라미터는 UE 특정적이다. 이 경우, TA 시그널링은 RRC, 또는 MAC CE (MAC Control Element)와 같은 MAC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 시그널링(들)이 브로드캐스팅 시그널링,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또는 공통 RRC 구성을 통해 전송되면,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해당 그룹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만약 파라미터(들)가 UE 특정 시그널링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파라미터들은 하나의 UE에 전용될 것이다.
어떤 TA 조정 파라미터(들)가 UE 측에 전송되어야 하는지는 TA 조정 모드들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3개의 모드들, 즉 모드 1, 모드 2, 모드 3이 존재할 수 있다. 모드 1에서, BS 측은 TA_1 및 TA_2를 전송한다. 모드 2에서 BS 측은 TA_1만 전송한다. 모드 3에서 BS 측은 TA_2만 전송한다. TA 조정 모드는 다양한 방식들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BS의 서비스 유형에 기반하여 TA 조정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TA 조정 모드는 UE 유형, UE의 능력, 또는 UE의 지리적 위치를 포함하는 측정 보고 등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BS가 공장이나 농지와 같은 지역 전용 IoT (예를 들어, NB-IoT) 전용인 경우, 모든 UE들에 대한 TA는 비슷하기 때문에 UE들의 전체 그룹에 의해 공유된 TA-1을 BS가 전송하도록 TA 조정 모드는 모드 2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UE 유형들이 혼합되거나 BS에 대한 커버리지의 큰 확장이 있는 시나리오들에 대해 TA 조정 모드는 BS 측에서 TA_1 및 TA_2를 모두 전송하도록 모드 1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TA 조정 모드는 BS의 커버리지 내에서 UE에게 TA 상의 큰 편차가 예상되는 경우 동작을 위해 모드 3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BS 측에서는 TA_2만 전송한다.
TA_1의 값은 절대값 또는 상대값일 수 있다. 절대값은 임의의 기준점 (예를 들어, UL 전송 기준) 없이 전송에서 TA 값이 구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대값은 이전 전송에서 이용된 TA와 비교하여, 오는 UL에서 TA 값의 편차 또는 더 미세 조정이 채택됨을 의미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TA 값은 디바이스의 시동 후 네트워크의 초기 액세스에서 절대적이다. 이 경우, BS는 프리앰블의 검출에 기반하여 절대 TA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TA 값은 상대적이다. 이 경우, BS는 PUCCH (Physcial Uplink Control Channel)/PUSCH (Physcial Uplink Shared Channel)에 대한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또는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포함하는 진행 중인 UL 시그널링의 수신을 기반으로 이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TA_2는 업링크 동기 에러의 레이트 변경을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BS 측은 N (N≥1)개의 TA 시그널링(들)을 전송한다. 일부 구현들에서, N (N≥1)개의 TA 시그널링(들)은 L (L≥1)개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은 i) 그룹 내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제1 TA 값, ii) 제2 TA 값, iii) 그룹 인덱스, iv) 그룹 인덱스 및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 간의 매핑 관계, v) TA 변화율, 또는 vi)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의 검증 기간 또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UE의 그룹 인덱스 단독으로 또는 그룹 인덱스와 TA 조정 파라미터들 간의 매핑 관계와 함께 이용하여, UE는 어떤 TA 조정 파라미터가 UE가 속한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지를 이해할 수 있다. TA 변화율로 인해 UE는 해당하는 조밀도, 예를 들어 BS와 UE 중 하나에 대한 시간의 분율 또는 위치의 변화들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TA 파라미터를 조정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조밀도는 도 4에 도입될 Δt 또는 Δd에 해당할 수 있다. 조밀도의 관점에서, 최종 TA 값은 UE에 의해 TA_최종 = 이전_TA + TA 변화율 X 조밀도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조밀도는 TA 파라미터들에 대한 동일한/상이한 시그널링을 통해 UE에 시그널링되거나, 사양에 나열된 미리 정의된 값일 수 있다.
도 4는 업링크 TA의 레이트 변화의 개념을 나타낸다. 업링크 TA의 레이트 변화는 지정된 시간 간격 동안 UE와 BS 사이의 거리 변화들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는 3차원 좌표들 (a, b, c)을 갖는 'O' 지점에 위치되고, t0에서, UE는 3차원 좌표들 (xt0, yt0, zt0)을 갖는 'A' 지점에 위치되고, t1에서, t1이 t0+Δt로 결정될 때, UE는 3차원 좌표들 (xt1, yt1, zt1)을 갖는 'B' 지점에 위치된다.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간격에서, BS와 UE 사이의 거리는 D t0에서 D t1으로 변화한다. BS와 UE 사이의 거리 변화 Δd는 다음 방정식으로 결정된다.
Figure pct00001
이러한 거리 변화는 TA_2의 값이 될 수 있는 업링크 TA의 변화를 야기한다.
UE 측에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i) 만약 UE가 그룹-A에 속하고 UE의 업링크 동기 에러가 문턱값에 도달하면, BS는 UE에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TA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만약 UE가 자율적인 TA 조정 능력을 가지고 있고 능력 기능이 켜져 있는 경우,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타이밍은 UE의 자율 TA 조정들의 충돌들을 피하기 위해, 신호 전파 지연, 처리 지연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ii) 만약 UE가 그룹-B에 속하고 그룹 B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업링크 동기 에러들이 문턱값에 도달하면, BS는 UE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타이밍 어드밴스를 계산하고, TA 시그널링을 단일 UE에 유니캐스트 및/또는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전송한다. (iii) 만약 UE가 그룹-B에 속하고 그룹-B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업링크 동기 에러들이 문턱값에 도달하면, BS는 그룹-B에 있는 모든 UE들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타이밍 어드밴스를 계산하고, TA 시그널링을 브로드캐스팅 형태로 그룹-B에 있는 모든 UE들에게 전송한다.
동작 (5): 만약 UE 측이 TA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경우, UE 측은 BS 측으로부터 전송된 수신된 TA 시그널링에 기반하여 최종 TA 값을 결정한다. 모드 1에서, UE 측은 TA_1과 TA_2를 수신하고, 따라서 최종 TA 값인 TA_최종은 TA_1과 TA_2의 합이 된다. 모드 2에서, UE 측은 TA_1만을 수신하고, 따라서 TA_최종은 TA_1이 된다. 모드 3에서, UE 측은 TA_2만을 수신하고, 따라서 TA_최종은 TA_2가 된다. 일부 구현들에서, 최종 TA 값은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TA_1, UE에 특정한 TA_2, TA 변화율, 또는 이전 TA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설명들에 기반하여, 최종 TA 값은 i) 하나의 값, 예를 들어,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TA_1 또는 UE에 특정한 TA_2에 의해, 또는 ii) 다음 조합들,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TA_1, 사용자 디바이스에 특정한 TA_2],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TA_1, TA 변화율], [사용자 디바이스에 특정한 TA_2, TA 변화율], 또는 [이전 TA 값, TA 변화율] 중 하나를 갖는 두 개의 값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UE는 BS로부터 DL 시그널링의 수신을 통해 이전 TA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부 다른 구현들에서, BS로부터의 임의의 시그널링 없이도, 이전 TA 값은 이전 전송으로부터 UE에 의해 기록될 수 있다.
동작 (6): UE가 최종 TA 조정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UE는 최종 TA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업링크 전송을 BS 측에 전송한다. 만약 UE가 그룹-A에 속하는 경우, UE는 유니캐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TA 조정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만약 UE가 그룹-B에 속하는 경우, UE는 유니캐스트 형태와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제공되는 TA 조정 시그널링을 동시에 청취한다.
동작 (7): BS 측은 UE의 업링크 신호에 기반하여 UE의 업링크 동기 에러 및/또는 UE로부터의 보고들을 모니터링한다. 모니터링에 기초하여, BS 측은 UE 측에 전송될 패킷 구성 정보 및/또는 제1/제2 TA 파라미터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A의 UE에 대해, BS 측은 UE의 자율 TA 조정 능력의 작동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만약 업링크 동기 에러율 또는 업링크 타이밍 편차가 충분히 높고 UE가 그룹 기반 TA 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경우, BS는 UE를 그룹-B의 특정 서브그룹으로 이동시키고 UE에게 자율 TA 조정의 기능을 끄도록 통지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그룹-B에 있는 UE에 대해, BS 측은 UE의 관련 측정 수량을 모니터링하고, 만약 측정 수량이 변경되는 경우, BS는 UE의 서브그룹을 변경할 수 있다. 측정 수량의 변경은 UE의 물리적 위치의 변경, UE의 서빙 빔의 변경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5는 개시된 기술의 구현들에 기반한 TA 조정 스킴의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TA 조정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TA 시그널링을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TA 시그널링의 전송은 도 3의 동작 4에 해당할 수 있다.
도 6은 개시된 기술의 구현들에 기반한 TA 조정 스킴의 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TA 조정 방법은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610에서, 사용자 디바이스는 i)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정보 또는 ii) TA 시그널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을 수신한다. 그룹 정보는 도 3의 동작 3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패킷 구성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은 도 3의 동작 4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TA 시그널링에 포함될 수 있다. 620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수신에 기반하여 TA 값을 결정하며, 이는 도 3의 동작 5에 해당할 수 있다.
도 7은 TA 조정 스킴의 일 예가 적용된 위성 통신 시스템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위성이 지상을 커버하기 위해 다중 빔들을 이용하는 BS 노드로 행동하는 저궤도 위성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는 오직 두 개의 빔만이 도시되어있고, {UE1, UE2, UE3, UE4}는 빔 1에 할당되고, {UE5, UE6, UE7, UE8}은 빔 2에 할당된다. UE2 및 UE8은 GPS 디바이스들을 갖추고 있으므로 매 순간 위성의 위치를 인지하고, 남아있는 UE들은 GPS 디바이스들이 없는 일반적인 UE들이다. 모든 UE들은 그룹 기반 TA 조정들을 지원한다.
BS 측에서, BS는 UE2 및 UE8이 UE에 의해 보고된 능력 정보에 기반한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고, 모든 UE들이 그룹 기반 TA 조정을 지원한다는 것을 학습한다. BS는 UE의 측정에 의해 {UE1, UE3, UE4}가 빔1의 커버리지 영역내에 있고, {UE5, UE6, UE7}이 빔2의 커버리지 영역내에 있음을 알게된다. BS는 UE 능력 및 UE의 서빙 빔을 기반으로 UE를 그룹핑하며, 여기서 {UE2, UE8}은 그룹-A에 속하고, 남아있는 UE들은 그룹-B에 속한다. 또한, {UE1, UE3, UE4}는 서브그룹1에 속하고, {UE5, UE7, UE8}은 서브그룹2에 속한다. BS는 그룹 구성 정보를 UE로 전송하고, 구성 정보는 각 UE가 속한 그룹 인덱스, 및/또는 그룹 인덱스와 TA 조정 파라미터들 간의 매핑 정보를 포함한다.
BS는 UE의 업링크 동기 에러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동기 에러의 문턱값을 ethreshold이라고 가정한다. 동기 에러는 BS에 의해 계산된 UL 시그널링 수신을 위한 이상적인 순간과 현실적 순간 사이의 타이밍 오프셋들을 의미한다. 그룹-A에 속한 UE의 경우, 동기 에러가 초과되면, BS는 UE에게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UE 특정 TA 시그널링을 전송한다. 그룹-B의 각 서브그룹에 대해, 만약 적은 수의 서빙 UE (예를 들어, 50% 미만)에 대한 UE 업링크 동기 에러들 변경이, ethreshold보다 크면 BS는 UE 특정 TA 시그널링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UE에 전송한다; 그렇지 않으면, BS는 그룹 기반 TA 조정 패킷을 서브그룹내의 모든 UE들에 브로드캐스트하고, UE 특정 TA 시그널링은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서브그룹내의 하나 이상의 UE들로에 전송된다. 그룹-A에 속한 UE의 경우, 만약 BS가 자신의 자율 TA 조정 결과가 좋지 않음을 감지하면, BS는 UE를 그룹-A에서 그룹-B의 특정 서브그룹으로 이동하고 UE에게 후속 패킷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알린다. 그룹-B에 있는 UE의 경우, 만약 BS가 자신의 서빙 빔이 변경된 것을 감지하면, BS는 UE를 그룹-B의 특정 서브그룹에서 다른 서브그룹으로 이동하고 UE에게 후속 패킷 구성 정보를 업데이트하도록 알린다.
UE 측에서, UE는 자신의 능력 정보를 BS에 보고하고, 능력 정보는 그것이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 및 UE가 그룹 기반 TA 조정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포함한다. BS는 패킷 구성 정보, 예를 들어, UE가 속한 그룹 또는 서브그룹의 정보를 전송한다. 그룹-A에 있는 UE에 대해, UE는 수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UE-특정 TA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그룹 B에 있는 UE에 대해, UE는 수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전송되는 UE-특정 TA 시그널링 및 그룹 기반 TA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그룹-A에 있는 UE에 대해, UE는 수신된 구성 정보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 UE-특정 TA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만약 UE에 의해 수신된 TA 신호가 TA의 절대값인 경우, UE는 절대값을 업링크 신호 전송의 TA 값으로 이용한다. 만약 TA 시그널링이 TA의 상대값을 포함하는 경우, UE는 현재 TA 값에 상대값을 더하고 그 합을 업링크 신호 전송에 이용한다. 만약 TA 시그널링이 업링크 TA의 변화율 μ를 포함한다면, 현재 시점을 t, 이전 시점
Figure pct00002
에서의 타이밍 어드밴스를
Figure pct00003
이라고 가정하면, 현재 시점에 대한 최종 양은
Figure pct00004
로서 계산될 수 있다.
위에서 논의된 상술한 방법들/기술들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실시예들은 절 (clause)-기반 설명 형식을 이용하여 아래에서 설명된다.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을 포함하는 타이밍 어드밴스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은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에 따라 결정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정보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그룹 기반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능력 정보,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 또는 서빙 빔을 포함한다.
3.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여기서 사용자 디바이스를 그룹핑하는 단계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가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를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4.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i)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 인덱스, ii) 그룹 구성의 검증 기간 또는 타이머, iii) 그룹 인덱스와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 간의 매핑 관계, 또는 iv) 각각의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 구성 정보를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은 i) 그룹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제1 TA 값, ii) 제2 TA 값, iii) 그룹 인덱스, iv) 그룹 인덱스와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 간의 매핑 관계, v) TA 변화율, 또는 vi)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의 검증 기간 또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6. 제 5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TA 값은 TA 시그널링에 의해 그룹 인덱스와 함께 전송되거나, TA 시그널링에 의해 복수의 TA 파라미터들이 전송된다.
7.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TA 시그널링은 시스템 정보, RRC (Radio Resource Control) 구성, 또는 MAC CE (MAC Control El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8.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는, (i)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는 제1 그룹에 속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에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ii)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이 없는 제2 그룹에 속하고 더 적은 수의 업링크 에러들이 문턱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단지 사용자 디바이스에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iii) 사용자 디바이스가 제2 그룹에 속하고 많은 수의 업링크 에러들이 문턱값에 도달하는 경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제2 그룹의 추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9. 제 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i)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의 모니터링, 또는 ii) 그룹 내의 사용자 디바이스의 업링크 타이밍 편차의 검출에 기반하여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0. 제10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i) 사용자 디바이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또는 ii) 그룹 내에서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브그룹을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1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i)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정보; 또는 ii) 타이밍 어드밴스(TA) 시그널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에 기반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한 TA 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 디바이스의 정보는 포지셔닝 능력, 포지셔닝 정확도, 사용자 디바이스의 계산 레벨, GPS 전송 정보, 사용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빙 빔, 자율 TA 조정 능력, 또는 그룹 기반 TA 조정 능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13. 제 1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TA 값은,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제1 TA 조정 파라미터, 사용자 디바이스에 특정한 제2 TA 조정 파라미터, TA 변화율, 또는 이전 TA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14. 제 1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적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 또는 사용자 디바이스가 그룹 기반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능력 보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15. 제 11절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그룹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계산 능력을 갖는 제1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하는 단계는 유니캐스트 형태로 전송된 TA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룹 정보가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계산 능력이 없는 제2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수신하는 단계는 유니캐스트 형태와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전송된 TA 시그널링을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6.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는 메모리로부터 코드를 판독하고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명세서는 도면들과 함께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여기서 예시적인 것은 예를 의미하고,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상적인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의미하지 않음이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이용된 바와 같이, "또는"의 이용은 맥락이 명백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및/또는"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일부는 방법들 또는 프로세스들의 일반적인 맥락에서 설명되며, 프로그램 코드와 같은 네트워크화된 환경들에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일 실시예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읽기 전용 메모리 (ROM; Read Only Memory),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Random Access Memory), 컴팩트 디스크들 (CD들),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들 (DVD)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이동식 및 비이동식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그램 모듈들은 특정 작업들을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들을 구현하는 루틴들, 프로그램들, 객체들, 구성요소들, 데이터 구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로 또는 프로세서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 및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들의 단계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의 예들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또는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의 특정 시퀀스는 이러한 단계들 또는 프로세스들에 설명된 기능들을 구현하기 위한 해당하는 행동들의 예들을 나타낸다.
개시된 실시예들 중 일부는 하드웨어 회로들,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이용하여 디바이스들 또는 모듈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 회로 구현은 예를 들어 인쇄된 회로 기판의 일부로 집적되는 이산 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개시된 구성요소들 또는 모듈들은 어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및/또는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디바이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은 본 출원의 개시된 기능들과 연관된 디지털 신호 처리의 동작 요구들에 최적화된 아키텍처를 갖는 특수 마이크로프로세서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를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각 모듈 내의 다양한 구성요소들 또는 하위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및/또는 모듈들 내의 구성요소들 사이의 연결성은 인터넷, 적절한 프로토콜들을 이용하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들을 통한 통신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당업계에 공지된 연결 방법들 및 매체 중 임의의 하나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많은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청구된 발명의 또는 청구될 범위 상에 대한 제한들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 실시예들에 특정한 특징들에 대한 설명들로 해석되어야 한다. 별도의 실시예들의 맥락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역으로, 단일 실시예의 맥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다중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특징들은 특정 조합들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심지어 초기에 그렇게 청구될 수도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일부 경우들에서 조합에서 제거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의 변형으로 지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들이 도면들에 특정한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들을 달성하기 위해 그러한 작업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모든 도시된 작업들이 수행될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단지 소수의 구현들 및 예들만이 설명되고 다른 구현들, 개선들 및 변형들이 본 개시내용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것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 디바이스에,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타이밍 어드밴스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에 따라 결정됨 -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그룹 기반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능력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물리적 위치 또는 서빙 빔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그룹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가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그룹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 인덱스, ii) 그룹 구성의 검증 기간 또는 타이머, iii) 상기 그룹 인덱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 간의 매핑 관계, 또는 iv)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식별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패킷 그룹 구성 정보를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는 i) 상기 그룹 내의 다른 디바이스와 공유되는 제1 TA 값, ii) 제2 TA 값, iii) 그룹 인덱스, iv) 상기 그룹 인덱스와 상기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 간의 매핑 관계, v) TA 변화율, 또는 vi) 상기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의 검증 기간 또는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TA 값은 상기 TA 시그널링에 의해 상기 그룹 인덱스와 함께 전송되거나, 상기 TA 시그널링에 의해 복수의 TA 파라미터들이 전송되는 무선 통신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A 시그널링은 시스템 정보, RRC (Radio Resource Control) 구성, 또는 MAC CE (MAC Control El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는, (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을 갖는 제1 그룹에 속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i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조정 능력이 없는 제2 그룹에 속하고 더 적은 수의 업링크 에러들이 문턱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단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 또는 (ii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상기 제2 그룹에 속하고 많은 수의 업링크 에러들이 상기 문턱값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그룹의 추가 사용자 디바이스에 상기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상기 TA 시그널링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로부터의 통신의 모니터링, 또는 ii) 상기 그룹 내의 사용자 디바이스들의 업링크 타이밍 편차의 검출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그룹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는 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다른 그룹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또는 ii) 상기 그룹 내에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브그룹을 변경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i)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할당된 그룹을 나타내는 그룹 정보; 또는 ii) 타이밍 어드밴스(TA) 시그널링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TA 조정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수신에 기반하여 업링크 송신을 위한 TA 값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상기 정보는 포지셔닝 능력, 포지셔닝 정확도,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계산 레벨, GPS 전송 정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위치,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의 서빙 빔, 자율 TA 조정 능력, 또는 그룹 기반 TA 조정 능력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TA 값은, 상기 그룹에 의해 공유되는 제1 TA 조정 파라미터,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특정한 제2 TA 조정 파라미터, TA 변화율, 또는 이전 TA 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적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 또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그룹 기반 TA 조정 능력을 갖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능력 보고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계산 능력을 갖는 제1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유니캐스트 형태로 전송된 상기 TA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그룹 정보가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가 자율 TA 계산 능력이 없는 제2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유니캐스트 형태와 브로드캐스트 형태로 전송된 상기 TA 시그널링을 동시에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코드를 판독하고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7.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매체 코드가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17025068A 2019-01-11 2019-01-11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KR102656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11542A KR20240052857A (ko) 2019-01-11 2019-01-11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9/071461 WO2020034574A1 (en) 2019-01-11 2019-01-11 Timing advance adjustment schemes in wireless communic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542A Division KR20240052857A (ko) 2019-01-11 2019-01-11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874A true KR20210110874A (ko) 2021-09-09
KR102656594B1 KR102656594B1 (ko) 2024-04-09

Family

ID=695250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068A KR102656594B1 (ko) 2019-01-11 2019-01-11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KR1020247011542A KR20240052857A (ko) 2019-01-11 2019-01-11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1542A KR20240052857A (ko) 2019-01-11 2019-01-11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345281A1 (ko)
KR (2) KR102656594B1 (ko)
CN (1) CN113316956B (ko)
WO (1) WO202003457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0238B2 (en) * 2019-03-29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for a non-terrestrial networ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8066A1 (en) * 2019-08-30 2021-03-0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 radio access network entity to adjust timing in wireless networks
US11956050B2 (en) * 2019-10-02 2024-04-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eam selection for high 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12788532A (zh) * 2019-11-07 2021-05-11 索尼公司 电子设备、用户设备、无线通信方法和存储介质
EP3890208A1 (en) 2020-03-20 2021-10-06 Nokia Technologies Oy Group timing adjustment for uplink transmission and command activation in non-terrestrial networks
EP4128906A1 (en) 2020-04-02 2023-02-08 Nokia Technologies Oy Timing advance signalling
WO2022141597A1 (zh) * 2020-12-31 2022-07-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上行定时提前量更新、更新配置确定方法和装置
WO2022141598A1 (zh) * 2020-12-31 2022-07-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上行定时提前量确定、公共定时相关信息广播方法和装置
US11388690B1 (en) * 2021-01-04 2022-07-12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timing advance adjustment schemes
KR20220135947A (ko) * 2021-03-31 2022-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타이밍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892290A (zh) * 2021-09-03 2022-01-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定时提前值上报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913313A (zh) * 2021-09-30 2023-04-0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公共ta确定方法及通信装置
CN116113028A (zh) * 2021-11-11 2023-05-12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发送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4026782A1 (en) * 2022-08-04 2024-02-08 Apple Inc. Gradual timing adjustments for air-to-ground u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086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동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38480A (ko) * 2011-06-28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60013159A (ko) * 2013-08-09 2016-02-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밍 조정 방법 및 장치
US20160100432A1 (en) * 2012-01-25 2016-04-07 Ofinno Technologies, Llc Managing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Device
KR20180048382A (ko) * 2016-11-01 2018-05-10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54984B (zh) * 2006-09-25 2012-10-0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保持上行同步的方法及系统
CN101841778A (zh) * 2009-03-17 2010-09-22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上行链路多点接收中的时间提前量的调整方法和装置
CN102932947B (zh) * 2011-08-12 2016-03-30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控制用户设备在从小区上的自主的上行传输的方法
EP2807885A1 (en) * 2012-01-25 2014-12-03 Dinan, Esmael, Hejazi Timing advance in a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with timing advance groups based on ue capabilities
US8995405B2 (en) 2012-01-25 2015-03-31 Ofinno Technologies, Llc Pathloss reference configur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base station
CN104094548B (zh) * 2012-02-07 2018-01-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传送定时调整的方法和装置
US8964593B2 (en) * 2012-04-16 2015-02-24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transmission power
EP2856830A1 (en) * 2012-05-29 2015-04-08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Timing advance management in the presence of repeaters and remote radio heads
CN103491622B (zh) * 2012-06-12 2016-09-2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上行传输方法和设备
CN107787039B (zh) * 2016-08-29 2020-12-15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传输方法、下行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US11497015B2 (en) * 2016-09-30 2022-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utonomous timing adjustment for a wireless device
US11202272B2 (en) * 2017-11-17 2021-12-14 Qualcomm Incorporated Beam-specific timing advance groups
CN113395760A (zh) * 2018-08-09 2021-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的方法和装置
CN111385013B (zh) * 2018-12-29 202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广播数据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1086A (ko) * 2010-01-07 2011-07-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간 동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038480A (ko) * 2011-06-28 2014-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와, 하향링크 신호 전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60100432A1 (en) * 2012-01-25 2016-04-07 Ofinno Technologies, Llc Managing Sounding Reference Signals in a Wireless Device
KR20160013159A (ko) * 2013-08-09 2016-02-0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타이밍 조정 방법 및 장치
KR20180048382A (ko) * 2016-11-01 2018-05-10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 타이밍 어드밴스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0238B2 (en) * 2019-03-29 2022-11-22 Qualcomm Incorporated Random access for a non-terrestrial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316956B (zh) 2022-11-18
EP3909317A1 (en) 2021-11-17
KR102656594B1 (ko) 2024-04-09
CN113316956A (zh) 2021-08-27
KR20240052857A (ko) 2024-04-23
US20210345281A1 (en) 2021-11-04
WO2020034574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594B1 (ko) 무선 통신의 타이밍 어드밴스 조정 스킴들
KR10210372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고 ps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3613335B (zh) 上行链路波束管理
KR10228135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을 선택하고 pssch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9492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adapting guard time based on timing advance
US110512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beam search or beam transmission based on location erro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88205B2 (en) Uplink power control message indexing in wireless OFDMA systems
CN11099947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波束故障恢复的方法及其设备
EP3579631B1 (en) Method by which terminal measures channel occupancy ratio (cr) and performs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110327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ranging informa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0849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A and data associated with congestion contro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42630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플래툰 통신에 관련된 신호 송수신 방법
US111027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ranging information by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11343770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ceiving signal through T-RP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28017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단말이 자원을 선택하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28479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다른 단말로부터 신호를 수신한 단말이 피드백을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CN111201816A (zh) 用于终端在无线通信系统中在载波聚合期间针对多个cc设置发送功率的方法和设备
US20230354233A1 (en) Methods for allocating preconfigured resources
WO2020034576A1 (en) Timing adjustment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CN111096013A (zh) 终端在无线通信系统中在多个cc上选择资源并发送信号的方法及设备
US11997633B2 (en) Timing adjustments for data transmission in wireless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