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453A -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453A
KR20210110453A KR1020200025266A KR20200025266A KR20210110453A KR 20210110453 A KR20210110453 A KR 20210110453A KR 1020200025266 A KR1020200025266 A KR 1020200025266A KR 20200025266 A KR20200025266 A KR 20200025266A KR 20210110453 A KR20210110453 A KR 2021011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pattern
animal
pattern image
nos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8500B1 (ko
Inventor
최형인
최수진
변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Priority to KR1020200025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8500B1/ko
Priority to PCT/KR2020/009004 priority patent/WO2021172670A1/ko
Publication of KR2021011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8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8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06K9/00362
    • G06K9/620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를 포함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 고양이, 소, 말 등 동물의 코 표면에 새겨진 고유한 코무늬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등록 저장된 코무늬를 바탕으로 동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코무늬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무늬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Method of registration, authentication and inquiry service of animal nose pattern image using camera built-in terminal}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 고양이, 소, 말 등 동물의 코 표면에 새겨진 고유한 코무늬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를 바탕으로 동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등록 저장된 코무늬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코무늬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은 본 발명의 발명자들이 앞서 특허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94716호, 제10-1494717호 및 제10-1527801호에서는 애완동물(반려동물) 또는 동물들과 함께 사는 사람들이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접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촬영 획득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애완동물(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들이 직접 코무늬 등록, 코무늬 인증 및 코무늬 조회를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또는 종래기술에서는 통상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 및/또는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되거나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직접 비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비문을 이용하여 비문 인증을 하거나 또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비문들을 이용하여 비문 조회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94716호(B1), 등록특허번호 제10-1494717호(B1), 등록특허번호 제10-1527801호(B1),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9302호(A)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개, 고양이, 소, 말 등의 동물의 코무늬가 사람의 홍채 또는 지문처럼 동물들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지므로 해당 동물들의 코무늬 이미지를 동물의 보호 및/또는 관리를 위하여 등록 및/또는 인증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부착 또는 내장된 카메라 및/또는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기르는 주인 및/또는 관리하는 관리인 등이 본 발명에 따라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해당 앱(App.)을 다운로드받을 경우에 용이하게 해당 애완동물 또는 동물을 등록 및/또는 인증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로 종래에는 동물의 몸속에 부착하는 칩(chip) 또는 몸 일측에 달고 다니는 RFID 택 등이 있으나, 정보의 위변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동물의 주인 또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당 동물을 보호하거나 관리하는 사람이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하여 해당 동물의 인증, 등록 및 조회 중 적어도 하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 과제의 해결 수단은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등록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기 버튼을 눌러 진행하되, 등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의 1차로 촬영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고,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를 2차로 촬영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한 후, 1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2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로 판단될 때 해당 코무늬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코무늬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인증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 중에서 인증을 진행할 동물을 검색 선택하는 단계와,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을 위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인증을 위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인증 성공 또는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인증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의 해결 수단은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하여 조회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조회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조회를 위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복수(N)의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있을 경우에 조회 성공이고, 없을 경우에 조회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개, 고양이, 소, 말 등 동물의 코무늬가 사람의 홍채 또는 지문처럼 각각 고유한 특성을 가지므로 해당 동물들의 코무늬 이미지를 동물의 등록, 인증 및/또는 조회에 사용할 경우에, 높은 신뢰성를 가지면서 효율적으로 동물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본 발명에 따른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해당 앱(App.)을 다운로드받을 경우에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부착 또는 내장된 카메라 및/또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애완동물을 기르는 주인 및/또는 관리인 등이 직접 해당 동물들을 등록, 인증 및 조회 중 적어도 하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 종래에는 동물의 몸속에 부착하는 칩(chip) 또는 몸의 일측에 달고 다니는 RFID 택 등이 있으나, 정보의 위변조가 용이하고 동물의 보호자 또는 관리자가 용이하게 필요한 정보를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동물을 보호하거나 관리하는 사람이 직접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등록, 인증 또는 조회를 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증 및 조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등록 저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하여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등록을 위하여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차로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한 것을 화면에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차로 획득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화면에 나타냄과 동시에 이차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차 촬영 버튼을 눌러서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이차로 해당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차 및 이차로 획득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나타냄과 동시에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단계를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8는 동일한 코무늬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 저장함과 동시에 비문등록번호, 동물등록번호 및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부여함을 화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동일한 코무늬가 아닐 경우에 다시 촬영을 요청하는 것을 화면으로 안내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코무늬 외 촬영시 경고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동물 코무늬의 일대일로 비교하여 인증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일대일로 비교하여 인증을 진행하기 위하여 코무늬 이미지가 등록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코무늬 등록번호를 검색하여 원하는 코무늬 이미지를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일대일로 비교하여 인증을 진행하기 위하여 비교대상이 되는 동물의 QR 코드를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인증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서 인증 시작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5는 인증 진행중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코무늬 이미지 인증 결과 동일한 코무늬로 판단되어 인증에 성공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코무늬 이미지 인증 결과 동일하지 않은 코무늬로 판단되어 인증에 실패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1 : N 검색을 통해서 인증을 반복하여 코무늬를 조회하는 코무늬 조회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앱을 이용하여 해당 동물 코무늬를 촬영 획득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1:N 코무늬 조회 결과 성공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1은 1:N 코무늬 조회 결과 실패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2는 인증 및 조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등록 저장하기 위한 플로우챠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일대일로 비교하는 인증 플로우챠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N개)를 일대복수개(N개)를 비교하는 조회 플로우챠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 고양이, 소, 말 등 동물의 코 표면에 새겨진 고유한 코무늬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등록 저장된 코무늬 이미지를 바탕으로 동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 이미지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무늬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을 제공받기 위하여서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리 서버에서 제공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의 앱(App.)을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다운로드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앱(App.)을 다운로드 받은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앱 역시 통상의 앱을 스마트폰에 다운로드 받는 것과 동일 내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살펴본다.
<실시 예>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은 동물이 가진 코무늬 이미지 각각이 서로 다른 고유한 코무늬 특성을 가지므로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코무늬를 가진 동물들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개, 고양이, 소, 염소, 말 등 코무늬를 가진 동물은 모두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 기재된 '애완동물', '반려동물', '동물' 등의 용어는 '코무늬를 가진 동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동물'이라는 의미로 표현 방법만 다를 뿐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비문' 이라는 용어 대신에 '코무늬'를 많이 사용한다.
'비문'은 '비밀스러운 문서' 또는 '비석에 새겨진 문장' 등의 의미로도 사용되므로 이러한 의미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코무늬'라는 용어를 사용할 뿐, 비문이라는 용어와 동일하다.
코무늬 이미지 등록은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고,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 이미지는 '인증' 또는 '조회' 시에 사용된다.
인증은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복수 또는 수많은 코무늬 이미지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 후,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부착 또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하거나, 또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관리 서버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복수 또는 수많은 코무늬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지 여부를 비교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발명의 명세서 상에서의 '인증'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일대일 대응시켜 비교하든지 일대복수(N 개)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존재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된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 저장하는 단계와, 인증을 위하여 서로 비교하는 단계와, 서로 비교하여 동물을 조회하는 단계에서 저장시 저장되는 메모리 크기를 줄이고 인증 및/또는 조회시 처리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알고리즘으로 '코무늬 코드' 또는 '코무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부착 또는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로부터 등록, 인증 및 조회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때 '코무늬 코드' 또는 '코무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무늬 코드' 또는 '코무늬 템플릿'을 생성하는 단계는 앞서 제시한 종래기술들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고,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이 아니므로 기재를 생략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19302호(A)에 기재된 코무늬(비문) 템플릿은 인증 시 처리속도를 높이고, 저장 시 메모리 용량을 줄이기 위하여 코무느(비문) 이미지를 푸리에 변환 또는 웨이블릿 변환 등으로 가공하여 코무늬(비문)를 가진 동물 각각의 고유한 생체 특성을 담은 것이다.
예를들어, 원본 코무늬(비문) 이미지가 차지하는 메모리가 약 100 KByte라면, 이에 해당하는 코무늬(비문) 템플릿은 약 10 KByte 이하의 메모리 크기로 원본 코무늬(비문) 이미지 데이터의 약 1/10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동물의 코무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코무늬 이미지 형태는 처리속도 및/또는 저장용량을 고려하여 코무늬(비문) 템플릿으로 등록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인증 및 조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등록 저장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한다'는 의미는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에서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환된 후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 상태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한다'된다는 의미이다.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비교 시에도 메모리 크기와 처리속도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에서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환된 후 진행된다.
물론,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환하지 아니하고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설치된 관리 서버가 있고,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관리 대상인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있다.
상기 관리 서버와 관리 대상인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등록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는 관리 서버에 탑재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동물을 보호하거나 관리하는 자들에게 제공된다.
도 2 내지 도 10은 동물을 보호하거나 관리하는 자들이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앱을 이용하여 보호 또는 관리하는 동물을 효율적으로 손쉽게 관리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에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하여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또는 이물질을 티슈 또는 헝겊으로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왜냐하면,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하여 빛이 반사될 경우에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지 못하고, 또한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을 때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도 3은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을 위하여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차로 해당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에 일차로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가 선명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촬영하기를 이용하여 카메라로 코무늬 이미지를 다시 촬영 획득할 수 있다.
도 5는 일차로 획득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가 만족할 만한 경우에 일차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화면에 나타냄과 동시에 이차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이차 촬영 버튼을 눌러서 카메라로 코무늬를 촬영 획득하기 위한 안내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만약에, 이차로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 역시 선명하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촬영하기를 이용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다시 촬영 획득할 수 있다.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기 위한 수단으로,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또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수단은 수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이차로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해당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차 및 이차로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동시에 나타냄과 동시에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화면에 표시된 코무늬 등록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코무늬 이미지로 등록 저장되는 것이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의 형태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알고리즘에 의해 변환된(생성된)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8는 일차와 이차에 걸쳐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동물에 대해 비문등록번호, 동물등록번호 및 QR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부여됨을 나타낸 것이다.
비문등록번호, 동물등록번호 및 QR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해당 동물의 1 : 1 또는 1 : N 인증 또는 조회에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일차와 이차에 걸쳐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아닐 경우에 등록하지 아니하고 다시 촬영을 요청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일차와 이차에 걸쳐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아닐 경우에 등록할 수 없는 이유는 동물의 인증 및/또는 조회 시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할 때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 시 원하는 코무늬 부분을 최대한 선명하게 카메라로 촬영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는 코무늬 이미지는 인증과 조회 시 항상 사용되므로 서비스의 신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도 10은 코무늬 외 부분을 촬영할 경우에 표시되는 경고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앱에서는 촬영자가 동물의 움직임에 의해 또는 잘못 촬영하여 코무늬 외 부분을 촬영할 경우에 이를 인지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도 10과 같은 경고 화면을 제공하여 촬영자가 보다 세심하게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하고 촬영자에게 주의를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1은 동물 코무늬의 일대일 인증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관리 서버와 서로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중 하나의 코무늬 이미지를 선택한 후, 이를 스마트폰에 부착된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일대일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할 경우에 인증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화면에 표시된다.
도 12는 일대일 인증 진행을 위하여 코무늬 이미지가 등록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코무늬 등록번호를 검색하여 선택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코무늬 등록번호 대신 동물등록번호 또는 QR 코드를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대일 인증 진행을 위하여 제공되는 QR 코드 입력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인증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서 인증을 시작시키는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앱을 이용하여 인증이 시작되면, 선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카메라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할 때,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코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또는 물기 또는 이물질을 제거한 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인증 시작을 수행시켜 인증이 진행중임을 나타낸 화면이다.
도 16은 코무늬 인증 결과 성공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로 판단되면 인증 결과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 성공 화면을 보여준다.
도 17은 비교 결과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아닌 경우에 코무늬 인증 결과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인증 실패 화면을 보여준다.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아닐 때 인증 결과 실패한 화면을 보여준다.
도 18은 1 : N 검색을 통해서 인증을 반복 수행하는 코무늬 조회를 수행하기 위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N 개의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비교하여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 조회한다.
도 19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 이미지와 비교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앱을 이용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화면에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1:N 코무늬 조회 결과 성공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서 등록 저장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 결과 성공한 화면을 보여준다.
도 21은 1:N 코무늬 조회 결과 실패한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서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인증 결과 실패한 화면을 보여준다.
도 22는 앞서 설명한 인증 및 조회에 사용할 수 있도록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기 위한 순서를 플로우챠드로 나타낸 것이다.
즉, 도 22는 앞서 설명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기 위한 각각의 단계를 순서대로 정리 도시한 것이며, 각각의 단계사이에 더 필요한 기술적 구성이 있으면 더 추가할 수도 있고, 생략 가능한 구성은 생략할 수도 있다.
도 23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한 후, 스마트폰에 내장된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일대일로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플로우챠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4는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N개)를 일대복수개(N개)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조회 플로우챠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3 및 도 24의 플로우챠드에서 '비문비교'라는 판단 기호에서의 '판단'의 의미는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되어 있는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스마트폰(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로 촬영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문비교'는 일대일로 비교하거나 일대복수(N개)로 비교하는 것이다.
다시 한번 설명하면,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카메라로 촬영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한다'는 의미는 카메라로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에서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환된 후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 상태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한다'된다는 의미이다.
또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 비교 시에도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알고리즘에서 '동물의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환된 후, 코무늬 템플릿 형태로 서로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앞서 기술한 내용을 바탕을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살펴본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등록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코무늬 등록하기 버튼을 눌러 진행하되, 등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1차로 촬영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고,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를 2차로 촬영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한 후, 1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2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일 때 해당 코무늬를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인증 또는 조회 시 처리속도를 높임 및 저장용량을 줄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코무늬를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두번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서로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일 때 해당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3차 이상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서로 비교하여 동일함과 선명함을 판단하여 가장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로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등록 저장된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에 대하여 보호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코무늬 이미지 등록번호 및 QR 코드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1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2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재촬영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코무늬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면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촬영을 요구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을 요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등록, 인증 및 조회에 사용할 만큼 만족한 상태가 아닐 경우에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재촬영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코무늬 이미지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면 집중해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하는 경고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인증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 중에서 인증을 진행할 동물을 검색 선택하는 단계와,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을 위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인증을 위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에 인증 성공이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코무늬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거나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촬영을 요구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로 인증 실패로 판단된 경우에는 인증 다시 시도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와 서로 비교하여 동일할 경우에 인증 성공이고 동일하지 않을 경우에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하여 조회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조회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을 위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있을 경우에 조회 성공이고, 없을 경우에 조회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코무늬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거나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촬영을 요구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조회 실패를 판단된 경우에는 조회 다시 시도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는 경우에 조회 성공이고, 동일한 것이 없는 경우에 조회 실패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 또는 내장된 스마트폰를 포함한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 고양이, 소, 말 등 동물의 코 표면에 새겨진 고유한 코무늬를 카메라로 촬영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등록 저장된 코무늬를 바탕으로 동물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코무늬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코무늬 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무늬 조회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메라가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동물 보호자 또는 관리자들이 동물을 보호 또는 관리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18)

  1.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등록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등록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빛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코무늬 등록하기 버튼을 눌러 진행하되, 등록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무늬를 1차로 촬영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고,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를 2차로 촬영하여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한 후, 1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2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일 때 해당 코무늬를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두번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일 때 해당 코무늬를 등록하는 단계에서는 3차 이상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서로 비교하여 동일함과 선명함을 판단하여 가장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로 등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등록 저장된 해당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에 대한 코무늬 이미지 등록번호 및 QR 코드를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1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와 2차로 촬영하여 획득한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코무늬 이미지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재촬영을 요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 코무늬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면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촬영을 요구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는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등록, 인증 및 조회에 사용할 만큼 만족한 상태가 아닐 경우에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재촬영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가 코무늬 이미지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면 집중해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경고화면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0.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하여 인증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인증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 중에서 인증을 진행할 동물을 검색 선택하는 단계와,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을 위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카메라로 촬영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와 인증을 위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인증 성공 또는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인증 실패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 코무늬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거나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촬영을 요구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인증 실패를 판단된 경우에는 인증 다시 시도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인증 성공 또는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 인증 실패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4.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에 해당 앱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하여 조회하기 위하여 해당 앱을 실행하여 코무늬 이미지 조회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는 단계와,
    해당 앱에서 제공하는 안내에 따라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을 위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와,
    획득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에 기초하여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 저장된 복수의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결과 동일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가 있을 경우에 조회 성공이고, 없을 경우에 조회 실패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이전에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에 의한 반사를 방지하여 선명한 코무늬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해당 동물의 코 표면에 존재하는 액체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카메라로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에 코무늬와 무관한 경우로 판단되거나 만족하지 않을 경우에 다시 촬영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촬영을 요구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조회 실패를 판단된 경우에는 조회 다시 시도하기 버튼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다시 코무늬 이미지를 촬영 획득하여 검색 선택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한 것이 있을 경우에 조회 성공 또는 동일한 것이 없을 경우에 조회 실패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18.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증 또는 조회 시 처리속도를 높임 및 저장용량을 줄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단말기에 내장 또는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획득한 동물의 코무늬 이미지를 코무늬 템플릿으로 변화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저장하거나 서로 비교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내장 또는 부착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20200025266A 2020-02-28 2020-02-28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KR102318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66A KR102318500B1 (ko) 2020-02-28 2020-02-28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PCT/KR2020/009004 WO2021172670A1 (ko) 2020-02-28 2020-07-09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266A KR102318500B1 (ko) 2020-02-28 2020-02-28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53A true KR20210110453A (ko) 2021-09-08
KR102318500B1 KR102318500B1 (ko) 2021-10-29

Family

ID=7749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266A KR102318500B1 (ko) 2020-02-28 2020-02-28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8500B1 (ko)
WO (1) WO202117267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8103A (ko) * 2014-10-31 2014-12-03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494717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527801B1 (ko) 2013-05-22 2015-06-11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90059148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테오아 신원 확인 기관에서의 비문 인식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 방법
KR20200019302A (ko) 2018-08-13 2020-02-24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의 비문 이미지 획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501A (ja) * 2005-11-21 2007-06-07 Atom System:Kk 鼻特徴情報生成装置及び鼻特徴情報生成プログラム
KR101788272B1 (ko) * 2016-11-01 2017-10-19 오승호 생체 인식을 통한 반려 동물 인식 및 등록 관리 방법
KR101954739B1 (ko) * 2018-06-15 2019-03-07 (주)블록체인연구소 블록체인 기반의 동물 비문 저장 및 비문 이용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01B1 (ko) 2013-05-22 2015-06-11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40138103A (ko) * 2014-10-31 2014-12-03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494716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101494717B1 (ko) 2014-10-31 2015-02-26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KR20190059148A (ko) * 2017-11-22 2019-05-30 주식회사 테오아 신원 확인 기관에서의 비문 인식을 이용한 반려동물의 신원 확인 방법
KR20200019302A (ko) 2018-08-13 2020-02-24 주식회사 아이싸이랩 동물의 비문 이미지 획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8500B1 (ko) 2021-10-29
WO2021172670A1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0075172A5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
US6081607A (en) Animal body identifying device and body identifying system
KR101527801B1 (ko)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94716B1 (ko)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US9826713B2 (en) Animal muzzle pattern scanning device
US20140212008A1 (en) Touchless fingerprinting acquisition and processing application for mobile devices
JP2001161199A (ja) 動物の映像管理方法および映像記録方法
KR101494717B1 (ko) 동물들의 코무늬를 이용한 동물 개체 인식 장치
US11450130B2 (en) Animal identification based on unique nose patterns
CN108959884B (zh) 人证核验装置和方法
CN109727194B (zh) 一种获取宠物鼻纹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04078791A5 (ko)
KR102318500B1 (ko) 카메라가 내장된 단말기를 이용한 동물 코무늬 이미지의 등록, 인증 및 조회 서비스 방법
JP3982132B2 (ja) 情報出力制御方法及び情報表示装置
JP201812473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31007B1 (ko) 동물 등록 및 인증 중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844723A (zh) 票据处理装置、票据处理方法以及记录介质
Roy et al. Black Bengal goat identification using iris images
JP2001056858A (ja) 指紋照合装置及び指紋照合方法
JP200610115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2003204427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画像データの処理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5852507B2 (ja) 静脈認証装置および静脈認証方法
CN111967549A (zh) 一种动物耳标识别方法、设备、系统及存储介质
US7724927B2 (en) Large-area biometric specimen comparison with small-area biometric sample
JP7294729B1 (ja) 動物情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