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0254A - Fabric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Fabric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10254A
KR20210110254A KR1020210110334A KR20210110334A KR20210110254A KR 20210110254 A KR20210110254 A KR 20210110254A KR 1020210110334 A KR1020210110334 A KR 1020210110334A KR 20210110334 A KR20210110334 A KR 20210110334A KR 20210110254 A KR20210110254 A KR 20210110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ilter
air
uni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03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43322B1 (en
Inventor
강형하
김재형
장세민
정주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93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94610B1/en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10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3322B1/en
Publication of KR20210110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254A/en
Priority to KR1020220107809A priority patent/KR102625459B1/en
Priority to KR1020220112325A priority patent/KR102541188B1/en
Priority to KR1020220112324A priority patent/KR10265548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3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33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forming a processing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a filter module having a filter unit that filters out dust from air passing therethrough; an air passage in which a plurality of passages for guiding the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processing space are preset; a fan for moving air on the air passage; at least one valve disposed on the air passage; a valve operation module for operating the valv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valve operation module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passages is selected. The plurality of passages may include: at least one bypass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bypass the filter unit; and at least one filtering passage for guiding the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can implement various and variable functions through switching of the passages.

Description

의류 처리 장치 {Fabric treating apparatus}Clothing treating apparatus {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 장치의 공기의 유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flow path structure of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의류 처리 장치는 가정 내 또는 세탁소 등에서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 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세탁 기능과 건조 기능을 겸하는 세탁기 겸 건조기,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의류의 불필요한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 등이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device refers to all devices for managing or processing clothes, such as washing, drying, and wrinkle removal of clothes at home or in a laundry. For exampl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washing machine for washing clothes, a dryer for drying clothes, a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both washing and drying functions,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and a steamer for removing unnecessary wrinkles from clothes. (Steamer) and others.

리프레셔는 보다 구체적으로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에 향을 공급하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티머는 일반적으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다리미와 달리 의류에 열판이 닿지 않으므로 섬세하게 의류의 구김을 제거한다. 리프레셔와 스티머의 기능을 함께 갖춤으로써, 스팀과 열풍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및 냄새 제거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efresher is a device for making clothes more pleasant and fresh,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drying clothes, supplying fragrance to clothes,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generation of clothes, 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es. A steamer is a device that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by supplying steam to clothes in general, and unlike a general iron, a hot plate does not touch clothes, so it delicately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There is known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that has both functions of a refresher and a steamer,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removing wrinkles and odors of clothes stored therein by using steam and hot air.

또한, 처리실 내에 의류가 걸리는 옷걸이봉을 구비하여, 의류가 매달린 상태에서 처리실 내로 스팀을 제공하거나 처리실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열풍을 공급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In addition, there is known a device that includes a hanger rod on which clothes are hung in the processing chamber, and supplies steam into the processing chamber while the clothes are hung, or supplies hot air while circulating air in the processing chamber.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556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25568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각 부품들의 기능과 다양한 공기 유로의 조합에 의한 더욱 다양한 기능 발휘의 가능성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ssibility of exhibiting more various functions by the combin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respective parts and various air passages is limited. 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의류에 달라 붙은 초미세 먼지를 제거하기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In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ultrafine dust adhering to the clothes.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본 발명의 제 3과제는 필요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하여, 의류 처리 장치가 더욱 다양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external air to clothes as needed so tha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exhibit more various functions.

본 발명의 제 4과제는 효율적인 구조로 유로의 변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flow path change control with an efficient structure.

본 발명의 제 5과제는 사용자가 쉽게 필터를 교환/세척할 수 있게 도와주고, 필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fif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help a user to easily exchange/clean the filter, and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filter.

본 발명의 제 6과제는 교환 가능한 필터를 쉽게 탈거가능하게 하면서도 평상시 보호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A six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remove an exchangeable filter and to protect it in everyday life.

본 발명의 제 7과제는 다양한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기능을 발현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 seven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fficient structure capable of expressing a function with respect to air passing through various flow paths.

상기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을 형성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측에서 상기 처리 공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처리 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이너 토출구와, 상기 처리 공간의 공기가 흡입되는 이너 흡입구를 형성하는 유로 바디; 상기 유로 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흡입구로 흡입된 공기를 상기 이너 토출구로 보내는 팬; 상기 이너 흡입구를 통해 상기 유로바디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배치되고, 통과하는 공기 중의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모듈; 상기 이너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우회하도록 형성되는 제 1입구를 개폐하는 제 1밸브; 상기 이너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제 2입구를 개폐하는 제 2밸브; 및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밸브를 구동시키는 밸브 작동 모듈을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a cabinet forming a processing space for accommodating clothes; a flow path body disposed below the processing space inside the cabinet and forming an inn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processing space and an inner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from the processing space; a fan disposed inside the flow path body and configured to send air sucked in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to the inner discharge port; a filter module which is arranged to be withdrawn inside the flow path body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and includes a filter unit for filtering dust from passing air; a first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first inlet formed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inner suction port bypasses the filter unit; a secon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a second inlet formed so that air flowing into the inner suction port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and a valve operation module for driving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제 1입구와 상기 제 2입구 사이에 형성되는 필터 모듈 삽입구로 삽입된다.The filter module is inserted into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상기 제 1입구는, 상기 이너 토출구에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보다 근거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2입구는, 상기 이너 토출구에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보다 원거리에 배치된다. The first inlet is disposed in the inner discharge port closer to the filter module insertion port than the filter module insertion port, and the second inlet is disposed in the inner discharge port farther than the filter module insertion port.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 밸브 각각은, 상기 제 1밸브와 상기 제 2 밸브 각각의 축부 양단에 배치된 밸브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Each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is rotatably supported by a valve support portion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of each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상기 제 1밸브의 축부와 상기 제 2밸브의 축부 사이로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가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 and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is formed between the shaft portion of the first valve and the shaft portion of the second valve.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 하측에 배치되고, 통과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를 지지하는 필터 바디부; 및 상기 필터 바디부가 상기 유로 바디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모듈 삽입구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 바디부 상측으로 형성되는 핸들을 포함한다.The filter module may include a filter unit disposed below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and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passing therethrough; a filter body part supporting the filter part; and a handle disposed above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body is completely retracted into the flow path body, and formed above the filter body.

상기 필터 모듈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흡입구를 통해 제 1입구 및 상기 제 2입구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를 더 포함한다.I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odule and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filter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moving to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상기 보조 필터는 상기 유로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The auxiliary filter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flow path body.

상기 보조 필터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부와, 상기 보조 필터부를 지지하는 보조 바디부를 포함한다.The auxiliary filter includes an auxiliary filter unit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and an auxiliary body unit supporting the auxiliary filter unit.

보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에 수직하게 배치된다.The auxiliary filter unit is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lter unit.

상기 필터모듈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면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한다.It further includes a cover that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module and is detachably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상기 이너 흡입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처리 공간의 바닥면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된다.The inner suction port is formed by a gap between the cover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상기 유로 바디는 상기 커버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바디를 포함한다.The flow path body includes a cover support for supporting the cover, and the cover includes a cover body supported by the cover support.

상기 커버 바디는 상기 처리 공간의 바닥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평면을 형성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를 받쳐주는 커버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서포터의 상단은 상기 커버부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커버 지지부에 접촉된다.The cover body includes a cover part forming a plan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over supporter for supporting the cover part, and an upper end of the cover supporter is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art, The low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support.

상기 처리 공간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스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필터부는 HEPA 필터를 포함한다.A steam module for supplying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is further included, and the filter unit includes a HEPA filter.

유로를 전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가 보다 다양하고 가변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By being able to switch the flow path,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implement more diverse and variable functions.

또한, 상기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링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공기가 상기 필터부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서도, 필요시 처리 공간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bypass flow path and the filtering flow path, it is possible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air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when necessary while considering the effect of air on the filter unit.

또한, 환기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의류에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환기 유로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의류 처리 장치 주변의 공기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Moreover, by providing the ventilation flow path, clean air can be supplied to clothes. Furthermore, by selectively providing the ventilation flow path, there is an effect that even an effect on the air around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be considered.

상기 팬 및 상기 열교환 모듈을 상기 공유 구간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팬의 작동으로 유로 상의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고, 하나의 열교환 모듈로 유로 상의 공기의 가열 또는 냉각이 가능하다.By disposing the fan and the heat exchange module in the shared section, air on the flow path can be moved by the operation of one fan regardless of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selected, and one heat exchange module heats or cools the air on the flow path. This is possible.

상기 스팀 모듈 및 상기 HEPA 필터가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링 유로 및 상기 우회 유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HEPA 필터의 고성능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스팀 모듈을 통해 처리 공간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HEPA에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filtering flow path and the bypass flow path in a state in which the steam module and the HEPA filter are provided, a high-performance function of the HEPA filter can be utilized, and when steam is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through the steam module, the HEPA This may lead to the passage of vapors through the

상기 우회 모드에서 상기 처리 공간 내로 스팀이 분사되고 상기 우회 유로가 선택됨으로써, 상기 처리 공간에 공급되는 증기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하지 않게 하면서도, 상기 처리 공간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공기에 별도의 처리를 할 수 있다.In the bypass mode, steam is injected into the processing space and the bypass flow path is selected, so that the steam supplied to the processing space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while circulating air in the processing space and performing a separate treatment on the air. can

상기 소정 각(Ag1)이 상기 각(Ag2)보다 크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밸브 조절부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제 1밸브 연결부 및 상기 제 2밸브 연결부 중 회전하는 것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Since the predetermined angle Ag1 is provided to be greater than the angle Ag2, rotation of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valve control part.

상기 제 1기어부 및 상기 제 2기어부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하나의 상기 주동 기어부를 통해 상기 제 1기어부 및 상기 제 2기어부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ar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the same distance, both the first gear unit and the second gear unit can be operated through one main gear unit.

상기 제 1기어부 및 제 2기어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회전축 및 제 2회전축은 상기 중심축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만큼 이격되게 함으로써, 상기 하나의 주동 기어부를 통해 상기 제 1기어부 및 상기 제 2기어부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The first gear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ar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by the same distance (d), so that the first gear part through the one main gear part Both the part and the second gear part can be operated.

상기 구속부를 구비함으로써, 홀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제 1밸브 및 제 2밸브의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restraint por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positions of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without using a Hall sensor.

상기 커버는 상기 이너 흡입구 및 상기 향기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링 유로를 통하는 공기에 모두 효율적으로 향기를 첨가시킬 수 있다.By providing the cover with the inner suction port and the fragrance sheet,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dd fragrance to bot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and the filtering passage.

상기 보조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하나의 보조 필터로 상기 우회 유로 및 상기 필터링 유로에 모두 보조 필터링 기능 추가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auxiliary filter, an auxiliary filtering function may be added to both the bypass passage and the filtering passage with one auxiliary fil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어(15)가 열린 상태의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처리 공간(10s)의 일부가 보이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1-S1'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2-S2'를 따라 수평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의류 처리 장치(1)의 기계실(18) 내에 배치된 유로 바디(26)의 일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유로 바디(26)에 배치된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이 도시된다.
도 7은, 도 6a의 밸브 작동 모듈(80)의 내부 투영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6a 및 도 6b의 유로 바디(26)에 배치된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의 동작 메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들로서, 좌측에는 유로 바디(26) 및 도어(15)를 상하로 자른 단면 개념도가 도시되고, 우측에는 밸브 작동 모듈(80)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내부 입면도가 도시된다. 도 8a는 우회 순환 유로(Pa)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b는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8c는 환기 유로(Pc)가 선택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도 3의 의류 처리 장치(1)의 케비닛(10)에서 커버(25), 보조 필터(23) 및 필터 모듈(90)이 탈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a)는 케비닛(10)에서 커버(25)가 탈거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9(b)는 보조 필터(23)가 탈거된 상태를 보여주며, 도 9(c)는 필터 모듈(90)이 탈거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0은, 도 3 및 도 9의 커버(25), 보조 필터(23) 및 필터 모듈(90)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3의 의류 처리 장치(1)를 라인 S3-S3'을 따라 수직하게 자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a 및 도 6b의 유로 바디(26)에 필터 모듈(90)이 인입 중 또는 인출 중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f FIG. 1 with the door 15 ope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processing space 10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f FIG. 2 .
4A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FIG. 1 taken horizontally along line S1-S1', and FIG. 4B is a line S2-S2 view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FIG. 1 . It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cut horizontally along '.
FIG.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f FIG. 1 .
6A and 6B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art of the flow path body 26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8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FIG. 1 , the valve 70 and the valve disposed on the flow path body 26 . An actuation module 80 is shown.
FIG. 7 is an interior projection perspective view of the valve actuation module 80 of FIG. 6A .
8A to 8C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valve 70 and the valve actuating module 80 disposed in the flow path body 26 of FIGS. 6A and 6B, and on the left side the flow path body 26 and the door ( 15) is a cross-sectional conceptual view cut up and down, and an internal elevatio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is shown on the right side. FIG. 8a shows a state in which the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is selected, FIG. 8b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is selected, and FIG. 8c shows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passage Pc is selected.
FIG. 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cover 25 , the auxiliary filter 23 , and the filter module 90 are removed from the cabinet 10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FIG. 3 . 9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ver 25 is removed from the cabinet 10, FIG. 9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ilter 23 is removed, and FIG. 9 (c) is a filter It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dule 90 is removed.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ver 25, the auxiliary filter 23 and the filter module 90 of FIGS. 3 and 9 .
1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f FIG. 3 taken vertically along the line S3-S3'.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odule 90 is being drawn in or taken out of the flow path body 26 of FIGS. 6A and 6B .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및 Z축에 의한 공간 직교좌표계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 각 축방향(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인 양의 방향을 의미한다. 각 축방향의 앞에 '-'부호가 붙는 것(-X축방향, -Y축방향, -Z축방향)은, 각 축이 뻗어나가는 양쪽 방향 중 나머지 한 방향인 음의 방향을 의미한다.In order to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made on the basis of a spatial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with an X-axis, a Y-axis, and a Z-axis orthogonal to each other.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Adding a '+' sign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a positive direction that is one of the two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Adding a '-' sign in front of each axial direction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means the other negative direction among both directions in which each axis extends.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Y)/후(-Y)/좌(+X)/우(-X)/상(+Z)/하(-Z)”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XYZ 좌표축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Expression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before (+Y)/after (-Y)/left(+X)/right(-X)/up(+Z)/down(-Z)” mentioned below are XYZ I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coordinate axis, but this is for explana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to the last,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each direction may be defin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re the reference is placed.

본 설명에서 언급되는 '상류 및 하류'는 기설정된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된다.'Upstream and downstream' referred to in this description are defined based on a preset air flow direction.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 1, 제 2, 제 3'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 1 구성요소 없이 제 2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The use 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third' in front of the components mentioned below is only to avoid confusion of the components referred to, and the order, importance, or master-sla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etc. is irrelevant For example, an invention including only the second component without the first component can also be implemen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A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바닥에 놓이거나 외부의 벽에 고정되는 케비닛(10)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의류를 수용하는 처리 공간(10s)을 형성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유로(P)를 구비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를 이동시키는 팬(50)을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 모듈(6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공기 유로(P)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밸브(70)를 포함한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밸브(70)를 작동시키는 밸브 작동 모듈(80)을 포함한다.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0 placed on an external floor or fixed to an external wall. The cabinet 10 defines a processing space 10s for accommodating clothing.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hanger module 30 provided to hang clothes or a clothes hanger.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n air flow path P for supplying air to clothes.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fan 50 that moves air on the air passage P.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heat exchange module 60 that heats or cools air passing therethrough.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t least one valve 70 disposed on the air passage P.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 valve operation module 80 that operates the valve 70 .

의류 처리 장치(1)는,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부(95)를 구비하는 필터 모듈(90)을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필터 모듈(90)과 다른 성능을 가진 보조 필터(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filter module 90 having a filter unit 95 that filters out dust from passing ai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filter 23 having a performance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lter module 90 .

의류 처리 장치(1)는 각종 부품을 제어하는 제어부(2)를 포함한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제어한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control unit 2 that controls various parts. The control unit 2 controls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selected.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케비닛(10)은 외관을 형성한다. 케비닛(10)은, 상측면을 형성하는 탑 패널(11)과,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2)과, 후측면을 형성하는 리어 패널(13)를 포함한다. 케비닛(10)은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4)를 포함한다. 상기 사이드 패널(12)은, 좌측면을 형성하는 제 1사이드 패널(12a)과 우측면을 형성하는 제 2사이드 패널(12b)을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cabinet 10 forms an exterior. The cabinet 10 includes a top panel 11 forming an upper side surface, side panels 12 forming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and a rear panel 13 forming a rear side surface. The cabinet 10 includes a base 14 forming a bottom surface. The side panel 12 may include a first side panel 12a forming a left side surface and a second side panel 12b forming a right side surface.

케비닛(10)은, 내측면을 형성하는 내부 케비닛(10a)을 포함한다. 케비닛(10)은,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 케비닛(10b)을 포함한다.The cabinet 10 includes an inner cabinet 10a defining an inner surface. The cabinet 10 includes an outer cabinet 10b defining an outer surface.

케비닛(10)은 처리 공간(10s)에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도어(15)를 포함한다. 도어(15)는 처리 공간(10s)의 개구된 면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5)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처리 공간(10s)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5)가 닫히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와 격리되고, 도어(15)가 열리면 처리 공간(10s)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어(15)는 닫힌 상태에서 후술할 외기 연결구(45)를 덮어줄 수 있다. 도어(15)는 닫힌 상태에서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를 덮어줄 수 있다.The cabinet 10 includes a door 15 for putting clothes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door 15 may open and close an open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door 15 may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10s by rotating about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door 15 is closed, the processing space 10s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and when the door 15 is opened, the processing space 10s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door 15 may cover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closed state. The door 15 may cover the condensate storage unit 28 and the supply water storage unit 29 in a closed state.

내부 케비닛(10a)과 도어(15)의 내측면은 처리 공간(10s)을 정의한다. 처리 공간(10s)은, 의류에 공기(예를 들어, 열풍), 스팀, 방향제 및/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가해 의류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성질이 변하도록 처리하는 공간이다.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다양한 방법으로 의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a and the door 15 defines a processing space 10s. The processing space 10s is a space in which air (eg, hot air), steam, a fragrance, and/or an antistatic agent is applied to clothes to chang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the clothes. Cloth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treated with various methods.

예를 들어,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열풍을 가하여 의류를 건조시킬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에 생긴 주름을 펼 수 있다. 처리 공간(10s) 내에 공급된 공기 및/또는 스팀은 수용된 의류의 물리적 성질 또는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열풍 또는 스팀에 의해 의류의 조직 구조가 이완되어 주름이 펴지게 되고, 의류에 베어있는 냄새 분자가 스팀과 반응함으로써 불쾌한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 및/또는 스팀은 의류에 기생하는 세균을 살균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clothes may be dried by applying hot air to the cloth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By supplying steam to the cloth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wrinkles generated on the clothes can be unfolded. The air and/or steam supplied into the treatment space 10s affects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the clothes contained therein. The tissue structure of clothes is relaxed by hot air or steam, and wrinkles are spread, and unpleasant odors can be removed by reacting the odor molecules on the clothes with the steam. In addition, hot air and/or steam can sterilize parasitic bacteria on clothes.

예를 들어, 공기의 순환 및 필터링을 통해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케비닛(10) 외부의 공기를 의류에 공급시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를 제습시키거나 의류의 냄새를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 공간(10s) 내의 의류에 방향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향기가 나도록 처리하거나, 정전기 방지제를 분사하여 의류에서 정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dust from cloth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removed through air circulation and filtering. In addition, by supplying air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et 10 to the clothes, it is possible to dehumidify the cloth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or to remove the smell of the cloth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from being generated in the clothes by spraying an air freshener to the cloth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so that the clothes smell, or by spraying an antistatic agent.

케비닛(10)은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처리를 위한 기계실(18)을 구비한다. 기계실(18)은 처리 공간(10s)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유로 바디(26), 팬(50) 및 열교환 모듈(6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에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이 배치될 수 있다. The cabinet 10 has a machine room 18 for the treatment of air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machine room 18 may be disposed below the processing space 10s. A flow path body 26 , a fan 50 , and a heat exchange module 60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8 . A valve 70 and a valve actuating module 80 may be arranged in the machine room 18 .

기계실(18) 내에 필터 모듈(90)이 배치될 수 있다. 기계실(18) 내로부터 필터 모듈(90)이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이 기계실(18) 내에 배치된 상태에서, 필터 모듈(90)을 덮어주는 커버(2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버(25)와 필터 모듈(90) 사이에 탈거 가능하게 배치되는 보조 필터(23)가 구비될 수 있다.A filter module 90 can be arranged in the machine room 18 . The filter module 90 may be arranged to be withdrawn from within the machine room 18 .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odule 90 is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8 , a cover 25 covering the filter module 90 may be disposed. In addition, an auxiliary filter 23 detachably disposed between the cover 25 and the filter module 90 may be provided.

도 2를 참고하여, 행거 모듈(30)은 처리 공간(10s)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행거 모듈(30)은 케비닛(10)에 의해 지지된다. 행거 모듈(30)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hanger module 30 may be disposed above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hanger module 30 is supported by a cabinet 10 . The hanger module 30 may be movably provided.

행거 모듈(30)은 의류 또는 옷걸이를 걸도록 구비되는 행거 바디(31)를 포함한다. 일 예로, 행거 바디(31)는 옷걸이가 걸리도록 걸림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행거 바디(31)는 옷을 직접 걸수 있도록 후크(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도 있다.The hanger module 30 includes a hanger body 31 provided to hang clothes or a hanger. For example, the hanger body 31 may form a locking groove (not shown) to hang the hanger. As another example, the hanger body 31 may include a hook (not shown) to directly hang clothes.

행거 바디(31)는 행거 유동부(33)를 통해 케비닛(10)과 연결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는 소정의 진동 방향(+X, -X)으로 진동하게 구비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는 진동 방향(+X, -X)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행거 바디(31)의 상측면에 복수의 걸림 홈(미도시)이 진동 방향(+X, -X)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은 진동 방향(+X, -X)을 가로지르는 방향(+Y, -Y)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hanger body 31 may be connected to the cabinet 10 through the hanger flow part 33 . The hanger body 31 may be provided to vibrate in a predetermined vibration direction (+X, -X). The hanger body 31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in the vibration direction (+X, -X).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not sho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ger body 3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ibration direction (+X, -X). The locking groove may be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Y, -Y) transverse to the vibration direction (+X, -X).

행거 모듈(30)은 행거 바디(31)를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행거 유동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진동 방향(+X, -X)으로 유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가 운동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는 행거 바디(31)가 운동할 때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행거 유동부(33)의 상단은 케비닛(10)에 고정되고 하단은 행거 바디(31)에 고정된다. 행거 유동부(33)는 상하로 연장될 수 있다.The hanger module 30 may include a hanger flow part 33 for movably supporting the hanger body 31 . The hanger flow part 33 is formed to be able to flow in the vibration direction (+X, -X). The hanger flow part 33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o that the hanger body 31 can move. The hanger flow part 33 may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is elastically deformable when the hanger body 31 moves. The upper end of the hanger flow part 33 is fixed to the cabinet 10 and the lower end is fixed to the hanger body 31 . The hanger flow part 33 may extend up and down.

행거 모듈(30)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유닛(39)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유닛(39)은 행거 바디(31)에 연결되어, 진동 유닛(39)의 진동을 행거 바디(31)에 전달한다. 진동 유닛(39)은 행거 바디(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행거 바디(31)는 진동 방향(+X, -X)과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연장된 슬릿(미도시)을 형성하고, 진동 유닛(39)은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유닛(39)의 상기 돌기부는 행거 바디(31)의 상기 슬릿에 삽입된 채 상기 직교하는 방향(+Y, -Y)으로 상기 슬릿에 대해 상대 운동함으로써, 행거 바디(31)에 진동 방향(+X, -X)의 가진력만 전달할 수 있다.The hanger module 30 may include a vibration unit 39 that generates vibration. The vibration unit 39 is connected to the hanger body 31 , and transmits the vibration of the vibration unit 39 to the hanger body 31 . The vibration unit 39 may be disposed above the hanger body 31 . For example, the hanger body 31 forms a slit (not shown) extending in a direction (+Y, -Y) orthogonal to the vibration direction (+X, -X), and the vibration unit 39 moves downward. It may include a protrusion (not shown) that protrudes and is inserted into the slit. The protrusion of the vibrating unit 39 is inserted into the slit of the hanger body 31 and moves relative to the slit in the orthogonal directions (+Y, -Y), thereby providing the hanger body 31 in the vibrating direction ( Only the excitation force of +X, -X) can be transmitted.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공기 유로(P)는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한다. 공기 유로(P)에는,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된다. 밸브 작동 모듈(80) 및 밸브(70)에 의해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공기 유로(P)를 구획하는 유로 바디(26)를 포함한다. 유로 바디(26)는 기계실(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8A to 8C , the air flow path P guides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e air flow path P, a plurality of flow paths for guiding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are prese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selected by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and the valve 70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flow path body 26 that partitions the air flow path P. The flow path body 26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8 .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이너 흡입구(41)가 구비된다. 이너 흡입구(41)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내부 케비닛(10a)의 바닥면에 이너 흡입구(41)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와 내부 케비닛(10a)의 사이에 이너 흡입구(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공기 유로(P) 내로 유입될 수 있다.1 to 4 , an inner suction port 41 for sucking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is provided. The inner suction port 41 is disposed in the inner cabinet 10a. An inner suction port 41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a. An inner suction port 41 may be formed between the cover 25 and the inner cabinet 10a.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flow path P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41 .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이너 토출구(44)가 구비된다. 이너 토출구(44)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내부 케비닛(10a)의 바닥면에 이너 토출구(44)가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에 방사형 망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공기 유로(P) 내의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될 수 있다.An inner discharge port 44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s provided. The inner discharge port 44 is disposed in the inner cabinet 10a. An inner discharge port 44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binet 10a. A radial mesh structure may be formed in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Air in the air flow path P may be discharg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후술할 순환 유로(Pa, Pb)가 선택된 상태에서,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부터 공기 유로(P)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너 흡입구(41) 및 이너 토출구(44)는 각각 처리 공간(10s) 바닥의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된다.In a state in which circulation passages Pa and P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selected, air sucked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into the air passage P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41 is subjected to a predetermined process and is passed through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discharged 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uction port 41 and the inner discharge port 44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ottom of the processing space 10s.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의 공기를 흡입하는 외기 유입 구간(P4)이 구비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해 외부 공간(Ou)의 공기가 공기 유로(P)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후술할 환기 유로(Pc)의 상류 말단부를 구성한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n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for sucking air in the external space Ou of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Air of the external space Ou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flow path P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may be formed in a hole shape.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may be disposed in the door 15 .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constitutes an upstream end of a ventilation passage Pc to be described later.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may be opened and closed.

후술할 환기 유로(Pc)가 선택된 상태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해 외부 공간(Ou)으로부터 공기 유로(P) 내로 흡입된 공기는, 소정의 처리를 거쳐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될 수 있다.In a state in which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selected, the air sucked into the air flow path P from the external space Ou through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is processed through the inner discharge port 44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 It may be discharged into the space 10s.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배기 유출 구간(P5)이 구비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을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홀(hol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처리 공간(10s)과 외부 공간(Ou)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처리 공간(10s)과 외부 공간(Ou)을 연결하는 유로를 구성한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An exhaust outlet section P5 for discharging air to the external space Ou of the cabinet 10 may be provided.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discharged to the external space Ou through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may be formed in a hole shape.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may be disposed in the door 15 .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ocessing space 10s and the external space Ou.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constitutes a flow path connecting the processing space 10s and the external space Ou.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may be opened and closed.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과한 공기가 외기 연결구(45)를 거쳐 기계실(18)내로 유입된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의 배면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의 하류 말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외기 유입 구간(P4) 및 외기 연결구(45)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유로 바디(26) 내부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외기 연결구(45)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 통과 구간(P2) 내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door 15 is closed,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flows into the machine room 18 through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may be opened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5 .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15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and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sequentially is introduced into the flow path body 26 . Specifical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passing section (P2).

외기 연결구(45)는 처리 공간(10s)의 하측에 배치된다. 도어(15)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5)는 외기 연결구(45)를 덮어준다. 외기 연결구(45)는 기계실(18)의 도어(15)를 바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외기 연결구(45)는 기계실(18)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외기 연결구(45)는 노출될 수 있다.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is disposed below the processing space 10s. When the door 15 is closed, the door 15 covers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may b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door 15 of the machine room 18 .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machine room 18 .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5 is opened,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may be exposed.

도어(15)에 배치된 제 1아우터 흡입부(47a) 및 제 2아우터 흡입부(47b)에 대응하여,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는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외기 연결구(45a) 및 제 2외기 연결구(45b)는 응축수 저장부(28) 및 공급수 저장부(29)를 사이에 두며 배치될 수 있다.Corresponding to the first outer suction unit 47a and the second outer suction unit 47b disposed on the door 15 , a first outdoor air connector 45a and a second outdoor air coupler 45b may be provided. The first outdoor air coupler (45a) and the second outdoor air coupler (45b) may be arranged symmetrically left and right. The first outdoor air connector 45a and the second outdoor air connector 45b may be disposed with the condensate storage unit 28 and the supply water storage unit 29 interposed therebetween.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외기 유입 구간(P4)을 형성하는 아우터 흡입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도어(15)에 대해 소정의 회전 방향(M1)으로 회전하여, 외기 유입 구간(P4)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부(47)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도어(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n outer suction unit 47 that forms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 The outer suction part 47 may be disposed on the door 15 . The outer suction unit 47 may open and close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The outer suction unit 47 may be rotated in a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M1 with respect to the door 15 to open and close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The outer suction part 47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oor 15 about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operating the outer suction unit 47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or 15 .

복수의 아우터 흡입부(47a, 47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아우터 흡입부(47a) 및 제 2아우터 흡입부(47b)가 도어(15)의 양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아우터 흡입부(47a, 47b)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uter suction parts 47a and 47b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er suction part 47a and the second outer suction part 47b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oor 15 .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parts 47a and 47b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t the same time.

도 4(a)를 참고하여,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정의하는 개폐부(47o)를 포함할 있다. 외기 유입 구간(P4)은 개폐부(47o)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개폐부(47o)는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어(15)의 외측에 외기 유입 구간(P4)에 대응하는 흡입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a)의 화살표 Af를 참고하여, 개폐부(47o)가 회전하여 외기 유입 구간(P4)의 상류측 말단이 도어(15)의 상기 흡입 홀과 일치되면, 외기 유입 구간(P4)을 통해 외부 공간(Ou)의 공기가 기계실(18) 내로 유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 ), the outer suction part 47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part 47o defining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part 47o. The opening/closing portion 47o is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5 . A suction hole corresponding to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door 15 . Referring to the arrow Af of FIG. 4( a ), when the opening/closing part 47o rotates and the upstream end of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coincides with the suction hole of the door 15 ,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Air of the external space Ou may be introduced into the machine room 18 .

의류 처리 장치(1)는, 상기 배기 유출 구간(P5)을 형성하는 아우터 토출부(48)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도어(15)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도어(15)에 대해 소정의 회전 방향(M2)으로 회전하여, 배기 유출 구간(P5)을 개폐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토출부(48)를 동작시키는 구동부(미도시)가 도어(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n outer discharge unit 48 that forms the exhaust discharge section P5 . The outer discharge part 48 may be disposed on the door 15 . The outer discharge part 48 may open and close the exhaust discharge section P5. The outer discharge part 48 may rotate in a predetermined rotation direction M2 with respect to the door 15 to open and close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 The outer discharge part 48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oor 15 about a predetermined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ving unit (not shown) that operates the outer discharge unit 48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or 15 .

복수의 아우터 토출부(48a, 48b)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아우터 토출부(48a) 및 제 2아우터 토출부(48b)가 도어(15)의 양측에 배치된다. 복수의 아우터 토출부(48a, 48b)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uter discharge parts 48a and 48b may b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outer discharging portion 48a and the second outer discharging portion 48b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oor 15 . The plurality of outer discharge parts 48a and 48b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t the same time.

아우터 토출부(48)는 아우터 흡입부(47)의 상측에 배치된다. 아우터 토출부(48) 및 아우터 흡입부(47)는 동시에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outer discharge unit 48 is disposed above the outer suction unit 47 . The outer discharge part 48 and the outer suction part 47 may be provided to open and close at the same time.

도 4(b)를 참고하여,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정의하는 개폐부(48o)를 포함할 있다. 배기 유출 구간(P5)은 개폐부(48o)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개폐부(48o)는 도어(15)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어(15)의 외측에 토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b)의 화살표 Af를 참고하여, 개폐부(48o)가 회전하여 배기 유출 구간(P5)의 하류측 말단이 도어(15)의 상기 토출 홀과 일치되면, 배기 유출 구간(P5)을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B , the outer discharge unit 48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unit 48o defining the exhaust discharge section P5 .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is formed through the opening/closing part 48o. The opening/closing portion 48o is rotatab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door 15 . A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outside the door 15 . Referring to the arrow Af of FIG. 4( b ), when the opening/closing part 48o rotates and the downstream end of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coincides with the discharge hole of the door 15 , through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flow out to the external space Ou.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팬(50)은 공기 유로(P) 상의 공기에 압력을 가한다. 팬(50)은 공기 유로(P) 상에 배치된다. 팬(50)은 유로 바디(26) 내에 배치된다. 팬(50)은 후술할 공유 구간(P0)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팬(50)으로 공기 유로(P) 상의 공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8A to 8C , the fan 50 applies pressure to the air on the air passage P. The fan 50 is disposed on the air passage P. The fan 50 is disposed in the flow path body 26 . The fan 50 is disposed in a sharing section P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no matter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selected, the air flow on the air flow path P may be induced by one fan 50 .

팬(50)은 유로 바디(26)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50)은 이너 흡입구(41)보다 이너 토출구(44)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전방에서 후측으로의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하다가 상측으로 꺾여 이너 토출구(44)로 안내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팬(50)은 공유 구간의 상측으로 꺾인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50)은 원심팬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fan 50 may be disposed at a rear portion of the flow path body 26 . The fan 5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inner discharge port 44 than the inner suction port 41 . The sharing section P0 forms a flow path for guiding the flow of air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then bends upward to form a flow path for guiding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The fan 50 may be disposed at a point bent upwards of the sharing section. The fan 5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ifugal fan.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열교환 모듈(60)은 공기 유로(P) 상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60)은 유로 바디(26) 내에 배치된다. 열교환 모듈(60)은 후술할 공유 구간(P0)에 배치된다. 이를 통해, 복수의 유로 중 어느 것이 선택되더라도, 하나의 열교환 모듈(60)로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를 처리할 수 있다.8A to 8C , the heat exchange module 60 is disposed on the air passage P. The heat exchange module 60 is disposed in the flow path body 26 . The heat exchange module 60 is disposed in a sharing section P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is, no matter which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selected, the air on the air flow path P may be treated with one heat exchange module 60 .

열교환 모듈(60)은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교환 모듈은 증발기로 기능하는 제 1열교환기(61) 및 응축기로 기능하는 제 2열교환기(63)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은, 압축기(미도시) 및 팽창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상기 압축기, 상기 응축기, 상기 팽창 밸브 및 상기 증발기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냉매 사이클이 구비될 수 있다. 공기 유로(P) 상의 공기는 먼저 제 1열교환기(61)를 거치며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고, 응축수 발생으로 열용량이 작아진 공기는 제 2열교환기(63)를 거치며 가열된다. 이에 따라, 제 1열교환기(61)를 거치기 전의 공기에 비해 제 2열교환기(63)를 거친 후의 공기가, 낮은 습도 및 높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heat the air on the air passage P. Specifically, the heat exchange module may include a first heat exchanger 61 functioning as an evaporator and a second heat exchanger 63 functioning as a condenser.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include a compressor (not shown) and an expansion valve (not shown).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be provided with a refrigerant cyc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compressor, the condenser, the expansion valve, and the evaporator. The air on the air flow path P first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61 to condense moisture in the air, and the air whose heat capacity is reduced due to the generation of condensed water is heated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63 . Accordingly, the air after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63 has a lower humidity and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air before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61 .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서, 열교환 모듈(60)은 처리된 공기가 처리 전 공기보다 냉각되게 하는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as another embodiment,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include a cooling device that allows the treated air to be cooled than the air before treatment.

열교환 모듈(60)의 작동 여부는 제어부(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이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팬(50)을 작동시켜, 공기 유로(P) 상을 흘러가며 별도의 가열 처리가 되지 않은 공기가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되게 할 수도 있다.Whether the heat exchange module 60 operates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 . By operating the fan 50 in a state in which the heat exchange module 60 is not operating, air that has not been separately heated while flowing over the air flow path P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열교환 모듈(60)에서 발생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 저장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의 제 1열교환기(61)에서 발생한 응축수는 응축수 저장부(28) 내로 수집될 수 있다. 응축수 저장부(28)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응축수 저장부(28)는 정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2 and 3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28 that stores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heat exchange module 60 . The condensed water generated in the first heat exchanger 61 of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be collected into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28 . The condensed water storage unit 28 may be arranged to be withdrawn.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5 is opened, the condensate storage unit 28 may be drawn out to the front.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공급하는 스팀 모듈(7)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 모듈(7)은, 증기를 발생시키는 스팀 발생기(미도시)와, 발생된 증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키는 스팀 분사구(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팀 발생기는 기계실(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팀 분사구(21)는 내부 케비닛(10a)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팀 분사구(21)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의 후방에 배치된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steam module 7 that supplies steam into the treatment space 10s. The steam module 7 may include a steam generator (not shown) for generating steam, and a steam injection hole 21 for discharging the generated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steam generator may be disposed in the machine room 18 . The steam injection port 21 is disposed in the inner cabinet 10a. In this embodiment, the steam injection port 21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의류 처리 장치(1)는 스팀 모듈(7)에 공급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공급수 저장부(29)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수 저장부(29) 내의 물은 상기 스팀 발생기로 이동하여 증기로 변화할 수 있다. 공급수 저장부(29)는 인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15)가 열린 상태에서, 공급수 저장부(29)는 정면으로 인출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1 may include a supply water storage unit 29 for storing water to be supplied to the steam module 7 . Water in the feed water storage unit 29 may be changed to steam by moving to the steam generator. The supply water storage unit 29 may be arranged to be withdrawn.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5 is opened, the supply water storage unit 29 may be drawn out to the front.

도 5를 참고하여, 의류 처리 장치(1)는 On/Off 또는 각종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3)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3)는 키, 버튼, 다이얼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n input unit 3 for receiving On/Off or various commands. The input unit 3 may include a key, a button, a dial and/or a touch screen, and the like.

의류 처리 장치(1)는 의류 처리를 위한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센싱부(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처리 공간(10s) 내에 수용된 의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처리 공간(10s) 내부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공기 유로(P) 상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정보는 외부 공간(Ou)의 공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sensing unit 4 that senses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processing clothe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on clothes accommodated in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inside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on the air flow path P. The environment information may include state information of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Ou.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상태 정보는 공기의 오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emperature information. The air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humidity information. The air condition information may include air pollution information.

예를 들어, 센싱부(4)는 처리 공간(10s)의 내부에 수용되는 의류를 감지하는 의류 인식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는 공기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4)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센서 및 온도 센서는 습도 및 온도를 동시에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ensing unit 4 may include a clothing recognition sensor (not shown) that detects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sensing unit 4 may include a humidity sensor (not shown) for detecting the humidity of the air. The sensing unit 4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The humidity sensor and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temperature-humidity sensor that simultaneously senses humidity and temperature.

의류 처리 장치(1)는, 외부의 서버, 단말기 및/또는 충전대 등과 통신하게 구비된 통신부(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5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server, a terminal, and/or a charging station.

의류 처리 장치(1)는,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출력부(6)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6)는 스피커 및/또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may include an output unit 6 for notifying a user of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he output 6 may include a speaker and/or a display.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방향제를 공급하는 방향제 공급 모듈(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의류 처리 장치(1)는 처리 공간(10s) 내로 정전기 방지제를 공급하는 정전기 방지제 공급 모듈(9)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 perfume supply module 8 for supplying perfume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may further include an antistatic agent supply module 9 for supplying an antistatic agent into the treatment space 10s.

제어부(2)는 입력부(3)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통신부(5)를 통해 정보를 수신하거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입력부(3) 또는 통신부(5)를 통해 입력 받은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들(6, 7, 8, 9, 50, 60, 80, 47, 48)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 may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3 and process it. The control unit 2 may receive information or transmit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various components 6, 7, 8, 9, 50, 60, 80, 47, 48 based on the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3 or the communication unit 5. have.

제어부(2)는 센싱부(4)로부터 감지된 환경 정보를 입력 받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센싱부(4)가 감지한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들(6, 7, 8, 9, 30, 50, 60, 80, 47, 48)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는, 외부 공간(Ou)의 공기의 습도가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의 습도보다 낮다는 환경 정보에 근거하여, 후술할 환기 모드를 선택하도록 의류 처리 장치(1)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 may receive and process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ensed from the sensing unit 4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various components 6, 7, 8, 9, 30, 50, 60, 80, 47, 48 based on the environment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4 . For example, the controller 2 may be configured to select the ventilation mode to be described later based on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at the humidity of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Ou is lower than the humidity of the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 can be controlled.

제어부(2)는 출력부(6)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방향제 공급 모듈(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정전기 방지제 공급 모듈(9)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팬(5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열교환 모듈(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의 진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6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team module 7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ragrance supply module 8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ntistatic agent supply module 9 . The controller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an 50 . The controller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 module 60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vibration of the hanger module 30 .

제어부(2)는 밸브 작동 모듈(8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 참고) 제어부(2)는 밸브 작동 모듈(80)을 작동시켜,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시킬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See FIGS. 8A to 8C ) The control unit 2 operate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change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to another one.

밸브 작동 모듈(80)에 의해 밸브(70)가 동작되면,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선택 유로'가 변경된다. 여기서, 상기 선택 유로란, 제어부(2)에 의해 복수의 유로 중 현재의 모드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8a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우회 순환 유로이고, 도 8b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필터링 순환 유로이고, 도 8c에서 상기 선택 유로는 환기 유로이다.When the valve 70 is operated by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 the 'selection flow path'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changed. Here, the selected flow path means any one selected in the current mode among a plurality of flow paths by the control unit 2 . For example, in FIG. 8A , the selection flow path is a bypass circulation flow path, in FIG. 8B , the selection flow path is a filtering circulation flow path, and in FIG. 8C , the selection flow path is a ventilation flow path.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 참고)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 The controller 2 may control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selected. (See FIGS. 8A to 8C)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복수의 유로가 기설정된 상기 공기 유로(P)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공기 흐름 방향(Af)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도시되며, 공기 유로(P)의 각 구간별로 화살표의 종류를 달리하여 도시된다.Hereinafter, the air flow path P in which a plurality of flow paths are prese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 In FIGS. 8A to 8C , arrows indicating the air flow direction Af are shown, and the types of arrows are shown differently for each section of the air flow path P. As shown in FIG.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순환 공급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처리 공간(10s) 내로 토출시킬 수 있다. 공기 유로(P)를 통해, 외부 공간(Ou)의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 있다. Air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air flow path P.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circulated and supplied through the air flow path P. Through the air passage P,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sucked in and discharg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Air of the external space Ou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air flow path P.

공기 유로(P)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는 소정의 처리 과정을 거쳐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제습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내로 공급시킬 수 있다. 열교환 모듈(60)에 의해 냉각된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은 공기를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시킬 수도 있다. 방향제 또는 정전기 방지제 등을 첨가시킨 공기를 공기 유로(P)를 통해 처리 공간(10s) 내로 공급할 수도 있다.Air moving through the air flow path P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a predetermined processing process. For example, air heated by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Air dehumidified by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Air cooled by the heat exchange module 60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addition, air that has not been separately processed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Air to which a fragrance or an antistatic agent is added may be suppli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air passage P.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기설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8a, 도 8b 및 도 8c에서 복수의 유로(Pa, Pb, Pc)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된 상태가 도시되나, 이에 제한될 필요없이 상기 복수의 유로는 2개로 기설정될 수도 있고 4개 이상으로 기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에 의해서, 복수의 유로 중 어느 한 선택 유로에서 다른 한 선택 유로로 변경될 수 있다.It is preset so tha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is selec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low paths Pa, Pb, and Pc is selected is shown in FIGS. 8A, 8B, and 8C, but without being limited thereto,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preset to two. and four or more may be preset. By the at least one valve 70 , one selected flow path among a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changed to another selected flow path.

상기 복수의 유로는, 공기가 필터부(95)를 통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우회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 및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상기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Pb, P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부(95)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어느 한 필터부(95)를 기준으로 정의되는 것이며, 추가로 구비된 별도의 필터부(예를 들어, 보조 필터부(23b))를 통과하는지 여부는 무관하다. 즉, 공기가 필터부(95)를 우회한다는 것은, 공기가 상기 별도의 필터부(23b)를 통과하는 것까지 배제하는 의미는 아니다.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air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Referring to FIG. 8A ,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include at least one bypass flow path Pa for guiding the air to bypass the filter unit 95 . 8B and 8C ,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include at least one filtering flow path Pb and Pc for guiding the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Here, whether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95 is defined based on any one filter unit 95, and whether it passes through an additionally provided separate filter unit (eg,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is irrelevant That is, the fact that the air bypasses the filter unit 95 does not mean that the air passes through the separate filter unit 23b.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우회 유로(Pa)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게 구비된 우회 순환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Pb, Pc)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필터링 순환 유로(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유로(Pb, Pc)는,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환기 유로(Pc)를 포함할 수 있다.The at least one bypass passage Pa may include a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provided to guide air sucked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at least one filtering passage Pb and Pc may include a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for guiding air sucked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at least one filtering passage (Pb, Pc) may include a ventilation passage (Pc) for guiding air sucked from the external space (Ou).

상기 복수의 유로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의 순환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 유로(Pa, P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복수의 유로는, 케비닛(10)의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 유로(Pc)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air circulate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8A and 8B ,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include at least one circulation flow path Pa and Pb for guiding air sucked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Referring to FIG. 8C , the plurality of flow paths may include at least one ventilation flow path Pc for guiding air sucked from the external space Ou of the cabinet 10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 유로(Pa, Pb)는, 상기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우회 순환 유로(P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순환 유로(Pa, Pb)는,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안내하는 필터링 순환 유로(P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유로(Pc)는,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공기를 안내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circulation passage Pa, Pb may include a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for guiding air to bypass the filter unit 95 . The at least one circulation passage Pa and Pb may include a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for guiding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The ventilation passage Pc may be provided to guide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본 실시예에서, 우회 순환 유로(Pa)는, 필터부(95)를 우회하도록, 처리 공간(10s) 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링 순환 유로(Pb)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처리 공간(10s)내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기 유로(Pc)는, 필터부(95)를 통과하도록, 외부 공간(Ou)으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안내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guides the air sucked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so as to bypass the filter unit 95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guides the air sucked from within the processing space 10s so as to pass through the filter portion 95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guides the air sucked from the external space Ou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공기 유로(P)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구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 유로(P)는, 상기 우회 유로(Pa)의 일부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 Pc)의 일부를 공통되게 구성하는 공유 구간(P0)을 포함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상기 순환 유로(Pa, Pb)의 일부와 상기 환기 유로(Pc)의 일부를 공통되게 구성할 수 있다. 공유 구간(P0)은 처리 공간(10s)으로 공기가 유출되게 안내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는,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유입되는 이너 유입 구간(P1)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는, 공기가 상기 필터부(95)를 통과하게 안내하는 필터 통과 구간(P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로(P)는, 외부 공간(Ou)의 공기가 유입되게 안내하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포함할 수 있다.Each section constituting a part of the air flow path P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A to 8C . The air flow path P may include a sharing section P0 that commonly configures a part of the bypass flow path Pa and a part of the filtering flow paths Pb and Pc. The sharing section P0 may configure a por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s Pa and Pb and a portion of the ventilation passage Pc in common. The sharing section P0 may guide the air to be discharged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air flow path P may include an inner inflow section P1 into which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is introduced. The air flow path P may include a filter passage section P2 for guiding air to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The air flow path P may include an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that guides the air in the external space Ou to be introduced.

도 8a를 참고하여,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는, 상기 이너 유입 구간(P1),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1밸브(70a)가 열리고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제 1입구(42)는 열리고 제 2입구(43)는 닫힌다. 도 8a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 경우,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닫아주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닫아준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에서 이너 유입 구간(P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제 1입구(42)를 통해 이너 유입 구간(P1)에서 공유 구간(P0)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이 때, 외부 공간(Ou)과 처리 공간(10s) 사이에서 공기가 유출입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8A , the bypass circulation path Pa may be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inner inflow section P1 and the sharing section P0. 8A and 11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70a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70b is closed, the first inlet 42 is opened and the second inlet 43 is closed. Referring to FIGS. 8A and 4 , in this case, the outer suction part 47 closes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 and the outer discharge part 48 closes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inlet section P1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41 . Air is introduced from the inner inlet section P1 to the sharing section P0 through the first inlet 42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haring section P0 is discharged 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At this time, no air flows in and out between the external space Ou and the processing space 10s.

도 8b를 참고하여,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는, 상기 이너 유입 구간(P1), 상기 필터 통과 구간(P2),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8b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1밸브(70a)가 닫히고 제 2밸브(70b)가 열린 상태에서, 제 1입구(42)는 닫히고 제 2입구(43)는 열린다. 도 8a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 경우,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닫아주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닫아준다.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처리 공간(10s)에서 이너 유입 구간(P1)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제 2입구(43)를 통해 이너 유입 구간(P1)에서 필터 통과 구간(P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통과 구간(P2)에서 필터부(95)를 통과한 공기는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이 때, 외부 공간(Ou)과 처리 공간(10s) 사이에서 공기가 유출입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8B ,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is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inner inflow section P1 , the filter passing section P2 , and the sharing section P0 . 8B and 11 ,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70a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70b is opened, the first inlet 42 is closed and the second inlet 43 is opened. Referring to FIGS. 8A and 4 , in this case, the outer suction part 47 closes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 and the outer discharge part 48 closes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inlet section P1 from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41 . Air is introduced from the inner inlet section (P1) to the filter passing section (P2) through the second inlet (43).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95 in the filter passage section P2 is introduced into the sharing section P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haring section P0 is discharged 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At this time, no air flows in and out between the external space Ou and the processing space 10s.

도 8c를 참고하여, 상기 환기 유로(Pc)는, 상기 외기 유입 구간(P4), 상기 필터 통과 구간(P2), 및 상기 공유 구간(P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도 8c 및 도 11을 참고하여,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에서,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모두 닫힌다. 도 8c 및 도 4를 참고하여, 이 경우,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열어주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열어준다. 외부 공간(Ou)에서 외기 유입 구간(P4)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외기 연결구(45)를 통해 외기 유입 구간(P4)에서 필터 통과 구간(P2)으로 공기가 유입된다. 필터 통과 구간(P2)에서 필터부(95)를 통과한 공기는 공유 구간(P0)으로 유입된다. 공유 구간(P0)을 통과하는 공기는 이너 토출구(44)를 통해 처리 공간(10s)으로 토출된다. 또한,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가 배기 유출 구간(P5)을 통해 외부 공간(Ou)으로 유출된다.Referring to FIG. 8c ,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is formed by sequentially connecting the outdoor air inflow section P4 , the filter passing section P2 , and the sharing section P0 . 8C and 11 , in a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are closed,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are both closed. Referring to FIGS. 8C and 4 , in this case, the outer suction unit 47 opens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opens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 Air is introduced into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from the external space Ou.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to the filter passing section (P2) through the outdoor air connector (45).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95 in the filter passage section P2 is introduced into the sharing section P0.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haring section P0 is discharged to the processing space 10s through the inner discharge port 44 . In addition, the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flows out to the external space Ou through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이하, 도 6a 내지 도 8c 및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 및 밸브 작동 모듈(8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at least one valve 70 and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8C and FIG. 11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의 작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유로(Pa, Pb, Pc) 중 어느 하나의 선택 유로에서 다른 하나의 선택 유로로 변경되게 구비된다. 상기 밸브(70)의 작동은 상기 밸브(70)의 개폐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우회 유로(Pa)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 Pc)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순환 유로(Pa, Pb) 및 상기 환기 유로(Pc)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70)의 개폐에 따라,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 상기 필터링 유로(Pb, Pc) 및 상기 환기 유로(Pc) 중 어느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변경되게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t least one valve 70 , any one selected flow path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Pa, Pb, and Pc is provided to be changed to the other selected flow path. The operation of the valve 70 may mean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70 .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70 , any one of the bypass flow path Pa and the filtering flow path Pb and Pc may be changed to anothe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70 , any one of the circulation passages Pa and Pb and the ventilation passage Pc may be provided to be changed to another.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70 , any one of the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the filtering passages Pb and Pc, and the ventilation passage Pc may be provided to be changed to another.

이너 흡입구(41)의 하류측에 제 1입구(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이너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공유 구간(P0)의 상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필터부(95)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ner suction port 41 . The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inlet section P1. The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sharing section P0. The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filter module 90 . The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lter unit 95 . The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downstream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The first inlet 42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이너 흡입구(41)의 하류측에 제 2입구(43)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이너 유입 구간(P1)의 하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필터 통과 구간(P2)의 상류측 말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필터부(95)에 대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입구(43)는 보조 필터부(23b)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A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downstream of the inner suction port 41 .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at the downstream end of the inner inlet section P1.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at the upstream end of the filter passing section P2.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extraction direction of the filter module 90 .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lter unit 95 .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같은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는 필터 모듈(9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 사이에 필터 모듈(90)이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는 필터 모듈 삽입구(26h)가 형성된다.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on the same plane.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may be disposed with the filter module 90 interposed therebetween. A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26h into which the filter module 90 is retractably inser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는, 상기 우회 유로(Pa) 상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 1밸브(7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제 1입구(42)를 개폐할 수 있다. 제 1밸브(70a)는, 상기 우회 유로(Pa)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연다. 제 1밸브(70a)는 상기 필터링 유로(Pb, Pc)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닫는다. 제 1밸브(70a)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닫는다. 제 1밸브(70a)는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제 1입구(42)를 닫는다.The at least one valve 70 may include a first valve 70a disposed on the bypass flow path Pa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The first valve 70a may open and close the first inlet 42 . The first valve 70a opens the first inlet 42 when the bypass flow path Pa is selected. The first valve 70a closes the first inlet 42 when the filtering passages Pb and Pc are selected. The first valve 70a closes the first inlet 42 when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is selected. The first valve 70a closes the first inlet 42 when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is selected.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밸브(70)는, 상기 필터링 유로(Pb, Pc) 상에 배치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제 2밸브(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제 2입구(43)를 개폐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될 때 제 2입구(43)를 연다. 제 2밸브(70b)는, 상기 우회 유로(Pa)가 선택될 때 제 2입구(43)를 닫는다. 제 2밸브(70b)는,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제 2입구(43)를 닫는다.The at least one valve 70 may include a second valve 70b disposed on the filtering passages Pb and Pc to open and close the passages. The second valve 70b may open and close the second inlet 43 . The second valve 70b opens the second inlet 43 when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is selected. The second valve 70b closes the second inlet 43 when the bypass flow path Pa is selected. The second valve 70b closes the second inlet 43 when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is selected.

제 1밸브(70a)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2밸브(70b)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은 제 1입구(42)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2회전축(Ob)은 제 2입구(43)의 일 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필터 모듈(9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제 1밸브(70a)의 제 2밸브(70b)를 바라보는 측 말단에 제 1회전축(Oa)이 배치되고, 제 2밸브(70b)의 제 1밸브(70a)를 바라보는 측 말단에 제 2회전축(Ob)이 배치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 사이에 필터 모듈(90)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valve 70a may rotate about the first rotation axis Oa. The second valve 70b may rotate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The first axis of rotation Oa and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b are virtual axe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fer to actual parts of the device. The first axis of rotation Oa and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b may be disposed in parallel. The first rotation shaft Oa may extend along one side of the first inlet 42 .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may extend along one side of the second inlet 43 . The first rotation shaft O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The first rotation shaft O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filter module 90 . When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are closed, the first rotation shaft Oa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first valve 70a facing the second valve 70b, and the second valve A second rotation shaft Ob may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side facing the first valve 70a of the 70b. The filter module 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otation shaft O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제 1밸브(70a)는, 제 1회전축(Oa)의 기능을 제공하는 축부(미도시) 및 회전하며 제 1입구(42)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상기 축부 및 사익 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valve 70a may include a shaft part (not shown) providing a func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Oa and an opening/closing part (not shown) that rotates and opens and closes the first inlet 42 . The shaft portion and the wing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first valve 70a may be integrally formed.

제 2밸브(70b)는, 제 2회전축(Ob)의 기능을 제공하는 축부(미도시) 및 회전하며 제 2입구(43)를 개폐하는 개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상기 축부 및 사익 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valve 70b may include a shaft portion (not shown) providing a function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and an opening/closing portion (not shown) that rotates and opens and closes the second inlet 43 . The shaft portion and the wing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f the second valve 70b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유로 바디(26)는 밸브(7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 지지부(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축부의 양 말단에 배치된 밸브 지지부(26b)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축부의 양 말단에 배치된 밸브 지지부(26b)가 구비될 수 있다.The flow path body 26 may include a valve support part 26b that rotatably supports the valve 70 . Valve support portions 26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of the first valve 70a may be provided. Valve support portions 26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shaft portion of the second valve 70b may be provided.

상기 유로 바디(26)는, 밸브(7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밸브 리미트(2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리미트(26c)는, 밸브(70)가 닫힌 상태의 위치를 설정해줄 수 있다. 제 1밸브 리미트(26c1)는, 제 1밸브(70a)가 닫힌 상태에서 제 1밸브(70a)가 접촉하게 구비된다. 제 2밸브 리미트(26c2)는, 제 2밸브(70b)가 닫힌 상태에서 제 2밸브(70b)가 접촉하게 구비된다. (도 6a, 도 6b 및 도 11 참고)The flow path body 26 may include a valve limit 26c that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valve 70 . The valve limit 26c may set the position of the valve 70 in a closed state. The first valve limit 26c1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first valve 70a when the first valve 70a is closed. The second valve limit 26c2 is provided so that the second valve 70b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valve 70b in a closed state. (See FIGS. 6A, 6B and 11)

제 1밸브(70a)는 닫힌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릴 수 있다. 제 1밸브 리미트(26c1)는 공기 흐름 방향(Af)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1밸브 리미트(26c1)는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70a may be opened while rotating in an upward direction in a closed state. The first valve limit 26c1 may form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Af. The first valve limit 26c1 may form a surface facing upward.

제 2밸브(70b)는 닫힌 상태에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하며 열릴 수 있다. 제 2밸브 리미트(26c2)는 공기 흐름 방향(Af)의 반대 방향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 2밸브 리미트(26c2)는 상측을 바라보는 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valve 70b may be opened while rotating in an upward direction in a closed state. The second valve limit 26c2 may form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ir flow direction Af. The second valve limit 26c2 may form a surface facing upward.

제 1밸브(70a)의 상기 축부의 일단은 후술할 제 1밸브 연결부(81)에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 홀더(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상기 축부의 일단은 후술할 제 2밸브 연결부(82)에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 홀더(2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밸브 홀더(27)는 유로 바디(26)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홀더(27)는 유로 바디(26)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홀더(27)는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을 연결하며 연장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 및 밸브 홀더(27)의 사이에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배치된다.One end of the shaft portion of the first valve 70a may be fixed to a first valve connection portion 81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valve holder 27 .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of the second valve 70b may be fixed to a second valve connecting portion 8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may be rotatably supported by the valve holder 27 . The valve holder 27 may be fixed to the flow path body 26 . The valve holder 27 may be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low path body 26 . The valve holder 27 may extend while connec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Oa and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A first valve 70a and a second valve 70b are disposed between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and the valve holder 27 .

밸브 작동 모듈(80)은 유로 바디(26)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유로 바디(26)의 외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be fixed to the flow path body 26 .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b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low path body 26 .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be disposed at one side of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동시에 닫힘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 중 어느 하나는 열림 상태가 되고 다른 하나는 닫힘 상태가 되도록 작동시킬 수 있다.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operate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o be in a closed state at the same time.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operate so that any one of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is in an open state and the other is in a closed state.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개폐시킴으써, 후술할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된다.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는 열림되고 제 2밸브(70b)는 닫힘되는 제 1모드와, 제 1밸브(70a)는 닫힘되고 제 2밸브(70b)는 열림되는 제 2모드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힘되는 제 3모드를 포함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is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modes to be described lat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includes a first mode in which the first valve 70a is opened and the second valve 70b is closed, and the first valve 70a is closed and the second valve 70b is opened. Any one of a plurality of modes including the second mode and the third mode in which both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are closed is provided to be selectable.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를 개폐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는 하나의 모터(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83)는 일측으로 돌출된 모터축(83a)을 포함한다. 모터(83)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통해서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개폐를 조작할 수 있다.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include one motor 83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he motor 83 includes a motor shaft 83a protruding to one side. The motor 83 may operat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hrough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밸브 작동 모듈(80)은 모터(83)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듈 케이싱(87)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은 유로 바디(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은 후술할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은 후술할 밸브 조절부(8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모듈 케이싱(87)에 후술할 구속부(88)가 고정된다.The valve actuation module 80 may include a module casing 87 accommodating the motor 83 therein. The module casing 87 may be supported by the flow path body 26 . The module casing 87 may rotatably support a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and a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module casing 87 may rotatably support the valve control unit 84 to be described later. A restraining part 88 to be described later is fixed to the module casing 87 .

밸브 작동 모듈(80)은, 회전시 제 1밸브(70a)가 같이 회전하도록 제 1밸브(70a)와 연결되는 제 1밸브 연결부(81)를 포함한다. 제 1밸브 연결부(81)는 소정의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밸브(70a)는 제 1밸브 연결부(81)에 고정되어 제 1밸브(70a) 및 제 1밸브 연결부(81)가 일체로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 1밸브 연결부(81)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1밸브(70a)는 제 1회전축(Oa)과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제 1밸브 연결부(81)가 회전하면 연결된 기어나 벨트 등에 의해 제 1밸브(70a)가 함께 회전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includes a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70a so that the first valve 70a rotates together during rotation.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may rotate about a predetermined first rotational axis Oa.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valve 70a is fixed to the first valve connecting portion 81 so that the first valve 70a and the first valve connecting portion 81 are integrally rotated about the first rotational shaft Oa. .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rotates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Oa and the first valve 70a rotates about a rotational axis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al axis Oa, When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rotates, the first valve 70a may be provided to rotate together by a connected gear or belt.

제 1밸브 연결부(81)는 제 1밸브(70a)가 고정되는 제 1밸브 고정부(81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밸브(70a)의 상기 축부의 일단이 제 1밸브 고정부(81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1밸브 고정부(81a)는 제 1회전축(Oa)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 1밸브 고정부(81a)는 모듈 케이싱(8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1밸브 고정부(81a)는 제 1밸브(70a)와의 상대적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스플라인축(spline shaft)을 형성할 수 있다.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may include a first valve fixing part 81a to which the first valve 70a is fixed.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of the first valve 70a may be fixed to the first valve fixing portion 81a. The first valve fixing part 81a may protrude along the first rotational axis Oa. The first valve fixing part 81a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casing 87 . The first valve fixing part 81a may form a spline shaft to prevent sliding during relative rotation with the first valve 70a.

제 1밸브 연결부(81)는 제 1기어부(8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는 밸브 조절부(8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1기어부(81b)는 제 1회전축(Oa)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는 모듈 케이싱(8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기어부(81b)와 제 1밸브 고정부(81a)는 일체로 회전한다.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may include a first gear part 81b. The first gear unit 81b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valve control unit 84 . The first gear unit 81b may form a plurality of gear tee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Oa. The first gear part 81b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ing 87 . The first gear portion 81b and the first valve fixing portion 81a rotate integrally.

밸브 작동 모듈(80)은, 회전시 제 2밸브(70b)가 같이 회전하도록 제 2밸브(70b)와 연결되는 제 2밸브 연결부(82)를 포함한다. 제 2밸브 연결부(82)는 소정의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2밸브(70b)는 제 2밸브 연결부(82)에 고정되어 제 2밸브(70b) 및 제 2밸브 연결부(82)가 일체로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제 2밸브 연결부(82)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 2밸브(70b)는 제 2회전축(Ob)과 다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제 2밸브 연결부(82)가 회전하면 연결된 기어나 벨트 등에 의해 제 2밸브(70b)가 함께 회전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includes a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70b so that the second valve 70b rotates together during rotation.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may rotate about a predetermined second rotational shaft Ob.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valve 70b is fixed to the second valve connecting portion 82 so that the second valve 70b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ng portion 82 are integrally rotated about the second rotational shaft Ob. .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rotates about a second rotational axis Ob and the second valve 70b rotates about a rotational axis different from the second rotational axis Ob, When the second valve connecting portion 82 rotates, the second valve 70b may be rotated together by a connected gear or belt.

제 2밸브 연결부(82)는 제 2밸브(70b)가 고정되는 제 2밸브 고정부(8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밸브(70b)의 상기 축부의 일단이 제 2밸브 고정부(82a)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밸브 고정부(82a)는 제 2회전축(Ob)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제 2밸브 고정부(82a)는 모듈 케이싱(87)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 2밸브 고정부(82a)는 제 2밸브(70b)와의 상대적 회전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스플라인축(spline shaft)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may include a second valve fixing part 82a to which the second valve 70b is fixed. One end of the shaft portion of the second valve 70b may be fixed to the second valve fixing portion 82a. The second valve fixing part 82a may protrude along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The second valve fixing part 82a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odule casing 87 . The second valve fixing part 82a may form a spline shaft to prevent sliding during relative rotation with the second valve 70b.

제 2밸브 연결부(82)는 제 2기어부(8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기어부(82b)는 밸브 조절부(8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 2기어부(82b)는 제 2회전축(Ob)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할 수 있다. 제 2기어부(82b)는 모듈 케이싱(8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기어부(82b)와 제 2밸브 고정부(82a)는 일체로 회전한다.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may include a second gear part 82b. The second gear unit 82b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from the valve control unit 84 . The second gear unit 82b may form a plurality of gear tee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second rotation shaft Ob. The second gear unit 82b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ing 87 . The second gear portion 82b and the second valve fixing portion 82a rotate integrally.

밸브 작동 모듈(80)은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밸브 조절부(84)를 포함한다. 밸브 조절부(84)는 모듈 케이싱(87)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includes a valve control unit 84 provided to rotate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 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dule casing 87 .

밸브 조절부(84)는 모듈 케이싱(87)에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밸브 조절부(84)는 모터(83)의 동력에 의해 소정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The valve control unit 84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module casing 87 about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Oc.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around a predetermined central axis Oc by the power of the motor 83 .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회전시키는 것이 달라지게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어느 하나에만 회전력을 전달하게 회전할 수 있다.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어느 것에도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게 회전할 수 있다.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be provided to be rotated differently among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rotate to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only one of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81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8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rotate without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o any of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81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82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중심축(Oc)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가상의 축으로서 장치의 실제 부품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중심축(Oc)은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과 다른 회전축으로 기설정된다. 중심축(Oc)은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entral axis Oc is an imaginary axis for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fer to an actual part of the device. The central axis Oc is preset as a rotation axis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 axis Oa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Ob. The central axis Oc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first axis of rotation Oa and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b.

밸브 조절부(84)는, 회전각에 따라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맞물리는 기어부가 달라지게 구비되는 주동 기어부(84a)를 포함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어느 하나만 맞물리게 구비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모두 맞물리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include a main gear unit 84a provided with a gear to be engaged among 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second gear unit 82b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The main gear unit 84a may be provided to mesh with any one of 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second gear unit 82b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 The main gear unit 84a may be provided so that both 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second gear unit 82b do not mesh with the rotation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

주동 기어부(84a)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소정 각(Ag2) 범위에서 밸브 조절부(84)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소정 각(Ag2) 범위에서 상기 회전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한다. 상기 각(Ag)는 예각 범위의 각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The main gear unit 84a may be formed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in the range of a predetermined angle Ag2 around the central axis Oc. The main gear part 84a forms a plurality of gear teeth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in the range of the predetermined angle Ag2. The angle Ag may be preset as an angle within an acute angle range.

중심축(Oc)을 중심으로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이 이루는 소정 각(Ag1)은, 상기 각(Ag2)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밸브 조절부(84)의 회전각에 따라 제 1밸브 연결부(81) 및 제 2밸브 연결부(82) 중 회전하는 것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Oc)과 제 1회전축(Oa)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에 주동 기어부(84a)가 위치할 때, 주동 기어부(84a)는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제 1기어부(81b)에만 접촉하게 된다. 도 8b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Oc)과 제 2회전축(Ob)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 상에 주동 기어부(84a)가 위치할 때, 주동 기어부(84a)는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 중 제 2기어부(82b)에만 접촉하게 된다. 도 8c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Ag1)의 범위내에 주동 기어부(84a)가 위치할 때, 주동 기어부(84a)는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에 모두 접촉하지 않게된다.A predetermined angle Ag1 formed by the first rotational axis Oa and the second rotational axis Ob about the central axis Oc may be greater than the angle Ag2. Through this, the rotation of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valve control part 84 . Referring to FIG. 8a, when the main gear unit 84a is position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ral axis Oc and the first rotation axis Oa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the main gear unit Reference numeral 84a comes into contact with only the first gear part 81b among the first gear part 81b and the second gear part 82b. Referring to FIG. 8b, when the main gear unit 84a is position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he central axis Oc and the second rotation axis Ob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the main gear unit Reference numeral 84a comes into contact with only the second gear part 82b among the first gear part 81b and the second gear part 82b. Referring to FIG. 8c, when the main gear part 84a is positioned within the range of the angle Ag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valve control part 84, the main gear part 84a is the first gear part 81b and All of the second gear parts 82b are not in contact.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는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기어부(81b) 중 중심축(Oc)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기어이 및 제 2기어부(82b) 중 중심축(Oc)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의 기어이는,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주동 기어부(84a)는 중심축(Oc)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기어이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동 기어부(84a)를 통해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second gear unit 82b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c by the same distance. That is, the gear teeth at the closest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c among 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gear teeth at the closest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c among the second gear units 82b are the same from the central axis Oc.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In addition, the main gear portion (84a) forms a gear tooth at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ral axis (Oc).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perate both 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second gear unit 82b through one main gear unit 84a.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회전축(Oa) 및 제 2회전축(Ob)은 중심축(Oc)으로부터 동일한 거리(d)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나의 주동 기어부(84a)를 통해 제 1기어부(81b) 및 제 2기어부(82b)를 모두 조작할 수 있다.The first gear part 81b and the second gear part 82b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The first axis of rotation Oa and the second axis of rotation O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Oc by the same distance 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operate both the first gear unit 81b and the second gear unit 82b through one main gear unit 84a.

본 실시예에서, 밸브 조절부(84)는 모터(83)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 기어부(8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실시예로, 밸브 조절부(84)에 모터축(83a)이 직접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include a driven gear unit 84b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83 . Although not shown, in another embodiment, the motor shaft 83a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valve control unit 84 to receive rotational force.

종동 기어부(84b)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기어이를 형성시킬 수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후술할 동력 전달부(85)에 접촉하여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종동 기어부(84b)는 후술할 웜 기어(85)에 맞물릴 수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주동 기어부(84a)와 일체로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The driven gear unit 84b may form a plurality of gear teeth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central axis Oc. The driven gear unit 84b may receive rotational force by contacting the power transmission unit 85 to be described later. In this embodiment, the driven gear portion 84b may mesh with a worm gear 85 to be described later. The driven gear unit 84b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c integrally with the main gear unit 84a.

밸브 조절부(84)는 주동 기어부(84a) 및 종동 기어부(84b)가 배치되는 회전 바디부(84c)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바디부(84c)는 모듈 케이싱(87)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회전 바디부(84c)는 중심축(Oc)을 따라 돌출된 중심 축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고, 모듈 케이싱(87)에 회전 바디부(84c)의 상기 중심 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홈 또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주동 기어부(84a)는 회전 바디부(84c)에서 중심축(Oc)의 연장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종동 기어부(84b)는 회전 바디부(84c)의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한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The valve control unit 84 may include a rotating body portion 84c in which the main gear portion 84a and the driven gear portion 84b are disposed. The rotating body portion 84c may be rotatably disposed on the module casing 87 . The rotating body portion 84c may form a central shaft portion (not shown) protruding along the central axis Oc, and the central shaft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portion 84c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module casing 87 . Grooves or holes may be formed. The main gear portion 84a may be disposed to protrude from the rotating body portion 84c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central axis Oc. The driven gear unit 84b may be dispos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entral axis Oc of the rotating body unit 84c.

밸브 작동 모듈(80)은, 모터(83)의 회전력을 밸브 조절부(84)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85)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85)는 기어, 벨트 및/또는 풀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unit 85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83 to the valve control unit 84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85 may include a gear, a belt, and/or a pulley.

동력 전달부(85)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동력 전달부(85)가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85 may include at least one gea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85 includes one ge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부(85)는 상기 모터축(83a)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웜 기어(8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축(83a)은 가상의 전달축(Om)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웜 기어(85)는 전달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구비된다. 웜 기어(85)는 모터축(83a)과 일체로 회전한다. 웜 기어(85)는 종동 기어부(84b)에 맞물려 전달축(Om)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밸브 조절부(84)는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한다.In this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unit 85 may include a worm gear 85 fixed to the motor shaft 83a and rotating. The motor shaft 83a may be disposed on the virtual transmission shaft Om. The worm gear 85 is provided to rotate about the transmission shaft Om. The worm gear 85 rotates integrally with the motor shaft 83a. The worm gear 85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unit 84b to rotate about the transmission shaft Om, and accordingly,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about the central axis Oc.

밸브 작동 모듈(80)은 밸브 조절부(84)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구속부(88)를 포함한다. 구속부(88)는 모듈 케이싱(87)의 내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속부(88)의 위치는 고정되며, 밸브 조절부(84)의 후술할 제 1 및 2 걸림면은 중심축(Oc)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구속부(88)에 접촉되거나 이격된다.The valve actuation module 80 includes a constraint 88 that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valve adjuster 84 . The restraining portion 88 may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module casing 87 . The position of the restraining part 88 is fixed, and first and second engaging surfaces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valve adjusting part 84 rotate about the central axis Oc and contact or spaced apart from the restraining part 88 .

구속부(88)는 밸브 조절부(84)의 제 1방향 회전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제 1구속부(88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속부(88)는 밸브 조절부(84)의 제 2방향 회전의 최대치를 제한하는 제 2구속부(88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방향 및 상기 제 2방향 중 어느 하나는 시계 방향을 의미하고 다른 하나는 반시계 방향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방향은 주동 기어부(84a)가 제 1 및 2 밸브 연결부(81, 82) 중 제 1밸브 연결부(81) 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기 제 2방향은 주동 기어부(84a)가 제 1 및 2 밸브 연결부(81, 82) 중 제 2밸브 연결부(82) 측으로 회전하는 방향을 의미한다.The restraining part 88 may include a first restraining part 88a limiting the maximum value of rotation of the valve adjusting part 84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straining part 88 may include a second restraining part 88b for limiting the maximum value of the rotation of the valve adjusting part 84 in the second direction. Here, on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means a clockwise direction and the other means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Here, the firs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main gear part 84a rotates toward the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1 of the first and second valve connection parts 81 and 82, and the second direction is the main gear part ( 84a)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valve connection parts 81 and 82 rotate towar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2 side.

회전 바디부(84c)는 제 1구속부(88a)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1걸림 면(미도시)을 포함한다. 회전 바디부(84c)는 제 2구속부(88b)에 접촉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 2걸림 면(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 1걸림면 및 상기 제 2걸림면이 이루는 각은 상기 소정 각(Ag2)이 될 수 있다. 상기 제 1걸림면 및 상기 제 2걸림면의 사이 각도 범위에 주동 기어부(84a)가 배치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portion 84c includes a first engaging surface (not shown)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restraining portion 88a. The rotating body portion 84c includes a second engaging surface (not shown)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straining portion 88b. An angle formed by the first engaging surface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may be the predetermined angle Ag2. A main gear portion 84a may be disposed in an angular range between the first engaging surface and the second engaging surface.

도 8a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할 때 제 1밸브(70a)가 열림된 상태가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 2밸브(70b)는 닫힘된 상태가 된다. 도 8a의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밸브 연결부(81)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1밸브(70a)는 제 1입구(42)를 닫아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c를 참고하여, 주동 기어부(84a)가 상기 소정 각(Ag1) 범위 내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며, 제 1밸브(70a)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8c의 밸브 조절부(84)의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밸브(70a)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되, 제 2밸브 연결부(82)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2밸브(70b)는 제 2입구(43)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b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8A , the first valve 70a may be in an open stat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At this time, the second valve 70b is in a closed stat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of FIG. 8a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control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81 is connected to the main gear unit 84a and By engaging and rotating, the first valve 70a rotates in a direction to close the first inlet 42 . Her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continues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8C , the main gear unit 84a is in a state disposed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Ag1 range, and the first valve ( 70a) becomes the closed stat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in the state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of FIG. 8C , the first valve 70a maintains a closed state, but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82 is the main gear The second valve 70b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ortion 84a to open the second inlet 43 . Her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continues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referring to FIG. 8B , the valve control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second direction.

도 8b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할 때 제 2밸브(70b)가 열림된 상태가 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 1밸브(70a)는 닫힘된 상태가 된다. 도 8b의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밸브 연결부(82)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2밸브(70b)는 제 2입구(43)를 닫아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c를 참고하여, 주동 기어부(84a)가 상기 소정 각(Ag1) 범위 내에 배치되는 상태가 되며, 제 2밸브(70b)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8c의 밸브 조절부(84)의 상태에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2밸브(70b)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되, 제 1밸브 연결부(81)는 주동 기어부(84a)와 맞물려 회전하여 제 1밸브(70a)는 제 1입구(42)를 열어주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여기서, 밸브 조절부(84)가 계속해서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8a를 참고하여,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가 된다.Referring to FIG. 8B , the second valve 70b may be in an open stat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to the maximum in the second dir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valve 70a is in a closed stat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while the valve control unit 84 of FIG. 8B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82 is connected to the main gear unit 84a and By engaging and rotating, the second valve 70b rotates in a direction to close the second inlet 43 . Her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continue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8c , the main gear unit 84a is in a state disposed within the predetermined angle Ag1 range, and the second valve ( 70b) becomes the closed stat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in the state of the valve control unit 84 of FIG. 8C , the second valve 70b maintains a closed state, but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81 is the main gear The first valve 70a rotates in engagement with the portion 84a to open the first inlet 42 . Here, when the valve control unit 84 continues to rotate in the first direction, referring to FIG. 8A , the valve control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구속부(88)에 밸브 조절부(84)가 걸림된 상태에서, 모터축(83a)도 구속되어 회전을 정지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모터 회전의 구속과 스텝(step) 회전을 이용하여,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축(83a)의 정방향 회전은 밸브 조절부(84)를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을 의미하고, 모터축(83a)의 역방향 회전은 밸브 조절부(84)를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방향을 의미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valve adjusting part 84 is engaged with the restraining part 88, the motor shaft 83a is also restrained and rotation is stopped. The rotation of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can be controlled by using the restriction of the motor rotation and the step rotation. Here, the forward rotation of the motor shaft 83a refers to a rotation direction in which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reverse rotation of the motor shaft 83a causes the valve control unit 84 to rotate in the second direction. It means the direction of rotation to rotate in the direction.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 중 어느 하나는 닫히고 다른 하나는 열린 상태(도 8a 및 도 8b 참고)로 제어하기 위하여, 모터축(83a)을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속부(88)에 의해 구속될 때까지 충분히 회전시킬 수 있다. 도 8a를 참고하여, 모터축(83a)을 정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제 1밸브(70a)는 열림 상태가 되고 제 2밸브(70b)는 닫힘 상태가 된다. 도 8b를 참고하여, 모터축(83a)을 역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에서, 제 2밸브(70b)는 열림 상태가 되고 제 1밸브(70a)는 닫힘 상태가 된다.In order to control one of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o be closed and the other open (refer to FIGS. 8A and 8B ), the motor shaft 83a is moved in any one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It can be rotated sufficiently until it is constrained by the restraining part 88 . Referring to FIG. 8A, in a state in which the motor shaft 83a is sufficiently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valve control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valve 70a is in an open state and the second valve ( 70b) becomes the closed state. Referring to FIG. 8b, in a state in which the motor shaft 83a is sufficiently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valve adjusting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valve 70b is in an open state and the first valve ( 70a) becomes the closed state.

또한,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도 8c 참고)로 제어하기 위하여, 모터축(83a)을 정방향 및 역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속부(88)에 의해 구속될 때까지 충분히 회전시킨 다음, 반대 방향으로 일정 회전각만큼 회전(스텝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모터축(83a)을 정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도 8a)에서 제 1밸브(70a)는 열림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모터축(83a)을 소정 회전각만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힘 상태(도 8c)가 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모터축(83a)을 역방향으로 충분히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2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된 상태(도 8b)에서 제 2밸브(70b)는 열림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모터축(83a)을 소정 회전각만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밸브 조절부(84)가 상기 제 1방향으로 회전하며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힘 상태(도 8c)가 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control both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o be in a closed state (refer to FIG. 8c ), the motor shaft 83a is moved in any one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by the restraining unit 88 After sufficient rotation until constrained, it can be rotated (step rotation) by a certain rotation angle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example, by sufficiently rotating the motor shaft 83a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irst valve 70a is in an open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adjusting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first direction (FIG. 8A), where the motor shaft (83a)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so that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in the second direction and both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are in a closed state (FIG. 8c). can As another example, by sufficiently rotating the motor shaft 83a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econd valve 70b is in an open state in a state in which the valve adjusting unit 84 is rotated to the maximum in the second direction (FIG. 8B), where the motor shaft (83a)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so that the valve control unit 84 rotates in the first direction and both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are in a closed state (FIG. 8c). can

상기 회전각은 동력 전달부(85) 및 밸브 조절부(84)의 기어비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가 일정한 경우, 상기 회전각은 상기 모터의 기설정된 회전 시간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The rotation angle may be preset to an appropriate value according to the gear ratio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85 and the valve control unit 84 .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is constant, the rotation angle may be controlled by a preset rotation time of the motor.

제어부(2)는,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하여, 의류 처리 장치(1)의 전원 입력 시 항상 밸브(70)의 위치를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모두 닫힌 상태(도 8c 참고)로 초기화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always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valve 70 when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are both closed when power is input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 It can be initialized to a state (refer to FIG. 8C).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필터 모듈(90)은,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 모듈(90)은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9 to 12 , the filter module 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The filter module 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

필터 모듈(90)은 유로 바디(26)에 형성된 필터 모듈 삽입구(26h)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이 필터 모듈 삽입구(26h)로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공기 유로(P) 상의 필터 통과 구간(P2)에 필터부(95)가 배치된다. The filter module 90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26h formed in the flow path body 26 . In a state in which the filter module 9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26h, the filter unit 95 is disposed in the filter passage section P2 on the air passage P.

필터 모듈(90)은 소정의 착탈 모션 방향(M3)으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은 필터링 유로(Pb, Pc)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 모듈(90)은 상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필터 모듈(90)은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filter module 90 is provided to be retractable and withdrawable in a predetermined detachable motion direction M3. The filter module 90 is provided to be withdrawn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iltering passages Pb and Pc. In this embodiment, the filter module 90 is provided to be withdrawn upward. The filter module 90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필터 모듈(90)은 통과하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95)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95)는, 후술할 보조 필터부(23b)와 기능이 다른다. 필터부(95)는, 보조 필터부(23b)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까지 필터링할 수 있다. The filter module 90 includes a filter unit 95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passing therethrough. The filter unit 95 has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filter unit 95 can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that ar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상기 필터부(95)는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HEPA 필터는 소모성으로서 교체가 필요하다. 상기 HEPA 필터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미세 먼지, 박테리아, 곰팡이 등을 걸러준다. 예를 들어, 상기 HEPA 필터는 0.3μ정도의 입자로 99.97% 이상의 여과율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HEPA 필터는, 유리섬유나 아스베스트 섬유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lter unit 95 may include a 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filter (HEPA). The HEPA filter is consumable and needs to be replaced. The HEPA filter filters relatively very small fine dust, bacteria, mold,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HEPA filter maintains a filtration rate of 99.97% or more with particles of about 0.3 μm. For example, the HEPA filter may be formed of a material of glass fiber or asbestos fiber.

상기 HEPA 필터는, 물로 씻을 수 없고, 솔이나 브러쉬 등으로 털어서 청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HEPA에 소정치 이상의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필터링 유로(Pb, Pc)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HEPA 필터의 고성능 기능을 활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우회 유로(Pa)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팀 모듈(7)을 통해 처리 공간 내에 증기를 공급하는 경우에는 상기 HEPA에 증기가 통과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다.The HEPA filter cannot be washed with water and can be cleaned by brushing it with a brush or a brush.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HEPA so that no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of steam passes through it. By providing the filtering passages Pb and Pc, the high-performance function of the HEPA filter can be utilized, and when steam is supplied into the treatment space through the steam module 7 by providing the bypass passage Pa, the HEPA This may lead to the passage of vapors through the

필터 모듈(90)은 필터부(95)를 지지하는 필터 바디부(91)를 포함한다. 필터 바디부(91)에 필터부(95)는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95)를 교체하기 위하여, 필터 바디부(91)를 유로 바디(26)로부터 인출한 뒤, 필터부(95)를 필터 바디부(91)로부터 탈거시킬 수 있다.The filter module 90 includes a filter body part 91 supporting the filter part 95 . The filter part 95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filter body part 91 . In order to replace the filter part 95 , the filter body part 91 may be withdrawn from the flow path body 26 , and then the filter part 95 may be removed from the filter body part 91 .

필터 모듈(90)은 필터 바디부(91)가 유로 바디(26) 내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필터 모듈(90)을 손으로 잡기위해 제공되는 핸들(93)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93)은 필터 바디부(91)에 고정된다. 핸들(93)은 필터 바디부(9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 및 보조 필터(23)를 탈거시키면, 핸들(93)이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module 90 may include a handle 93 provided for a user to hold the filter module 90 by hand while the filter body 91 is completely retracted into the flow path body 26 . The handle 93 is fixed to the filter body 91 . The handle 93 may be disposed above the filter body 91 . When the cover 25 and the auxiliary filter 23 are removed, the handle 93 may be exposed.

필터 바디부(91)는 필터부(95)가 배치되는 필터 배치부(91a)를 포함한다. 필터 배치부(91a)는 필터부(95)의 위치를 안내해준다. 필터 배치부(91a)는 필터부(95)의 일측면에 접촉한다. 필터 배치부(91a)는 격자형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필터 배치부(91a)는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 1배치부(91a1)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배치부(91a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는 필터 배치부(91a)가 형성하는 개구부를 통과한다.The filter body part 91 includes a filter arrangement part 91a in which the filter part 95 is disposed. The filter arrangement unit 91a guides the position of the filter unit 95 . The filter arrangement part 91a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lter part 95 . The filter arrangement unit 91a may form a lattice structure. The filter arrangement part 91a may include a first arrangement part 91a1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second arrangement part 91a2 extending vertically. Air passes through the opening formed by the filter arrangement 91a.

필터 바디부(91)는 핸들(93)과 필터부(95) 사이의 상대적 위치 관계를 설정해주는 프레임부(91b)를 포함한다. 프레임부(91b)는 필터부(95)의 둘레를 둘러쌀 수 있다. 프레임부(91b)는 필터부(95)와 핸들(93) 사이에 소정 거리의 간격이 유지되는 구조를 형성한다.The filter body part 91 includes a frame part 91b for setting a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andle 93 and the filter part 95 . The frame part 91b may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part 95 . The frame portion 91b forms a structure in which a predetermined distance is maintained between the filter portion 95 and the handle 93 .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커버(25)는 상기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하며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상기 우회 유로(Pa)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로 공기가 유입되는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는 커버(25)와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 사이의 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3 and 9 to 11 , the cover 25 forms the inner suction port 41 and may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module 90 in the drawing out direction. The cover 25 may form an inner suction port 41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into the bypass passage Pa and the filtering passage Pb. The inner suction port 41 may be formed by a gap between the cover 25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커버(25)는 필터 모듈(90)의 인출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 커버(25)는 보조 필터(23)의 탈거 방향 측면을 덮어줄 수 있다.The cover 25 may cover the side of the filter module 90 in the extraction direction. The cover 25 may cover the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23 in the removal direction.

커버(25)는 케비닛(10)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내부 케비닛(10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25)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25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cabinet 10 . The cover 25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the inner cabinet 10a. The cover 25 may be detachably dis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유로 바디(26)는 커버(25)를 지지하는 커버 지지부(26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는 공기 유로(P)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는 이너 유입 구간(P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는 내부에 공기 유로(P)를 형성하는 기둥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의 상단부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 지지부(26a)에는 커버 서포터(25a2)가 올려지도록 단차진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The flow path body 26 may include a cover support part 26a supporting the cover 25 . The cover support 26a may form a part of the air flow path P. The cover support 26a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inflow section P1. The cover supporting part 26a may be formed in a column shape forming an air flow path P therein. The upper end of the cover support 26a may be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A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over supporter 26a so that the cover supporter 25a2 is mounted thereon.

커버(25)는 커버 지지부(26a)에 의해 지지되는 커버 바디(25a)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바디(25a)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과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평면을 형성하는 커버부(25a1)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25a1)는 상측에서 바라볼 때, 이너 흡입구(41)를 가려준다. 커버 바디(25a)는 커버부(25a1)를 받쳐주는 커버 서포터(25a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서포터(25a2)의 상단은 커버부(25a1)의 하측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커버 지지부(26a)에 접촉될 수 있다. 커버 서포터(25a2)는 커버부(25a1)에서 하측으로 특정 지점까지 연장되고 상기 특정 지점에서 수평으로 꺾여 연장될 수 있다. 좌우 한 쌍의 커버 서포터(25a2)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서포터(25a2)와 커버부(25a1)의 사이에 틈이 이너 흡입구(41)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ver 25 may include a cover body 25a supported by the cover support part 26a. The cover body 25a may include a cover part 25a1 forming a plan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ver part 25a1 covers the inner suction port 41 when viewed from the upper side. The cover body 25a may include a cover supporter 25a2 supporting the cover part 25a1 . An upper end of the cover supporter 25a2 may be fixed to a low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25a1 , and a lower end of the cover supporter 25a2 may be in contact with the cover supporter 26a. The cover supporter 25a2 may extend downwardly from the cover part 25a1 to a specific point and may be extended by being horizontally bent at the specific point. A pair of left and right cover supporters 25a2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to each other. A gap between the cover supporter 25a2 and the cover part 25a1 may form at least a part of the inner suction port 41 .

커버(25)는 향기 시트(25b)를 포함할 수 있다. 향기 시트(25b)는 인접한 공기에 사용자를 쾌적하게 하는 향을 첨가시킬 수 있다. 이너 흡입구(41)를 형성하는 커버(25)에 향기 시트(25b)를 구비시킴으로써, 우회 유로(Pa) 및 필터링 유로(Pb)를 통하는 공기에 효율적으로 향기를 첨가시킬 수 있다.Cover 25 may include a fragrance sheet (25b). Fragrance sheet (25b) can be added to the fragrance to make the user pleasant to the adjacent air. By providing the fragrance sheet 25b to the cover 25 forming the inner suction port 41,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dd fragrance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bypass passage (Pa) and the filtering passage (Pb).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보조 필터(23)는 필터 모듈과 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제 1입구(42) 및 제 2입구(43)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필터 모듈(90)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커버(25)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9 to 11 ,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lter module and the cover.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first inlet 42 and the second inlet 43 .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isposed upstream of the filter module 90 .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over 25 .

보조 필터(23)는 유로 바디(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내부 케비닛(10a)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23)는 처리 공간(10s)의 바닥면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supported by the flow path body 26 .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etachably disposed.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etachably disposed in the inner cabinet 10a. The auxiliary filter 23 may be detachably dispos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10s.

보조 필터(23)는 이너 흡입구(41)를 통해 상기 우회 유로(Pa) 및 상기 필터링 유로(Pb)로 이동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 필터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통과하는 공기 중 먼지를 걸러내되 상기 필터부(95)와 기능이 다를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상기 HEPA 필터가 아니다. 예를 들어, 보조 필터부(23b)는 메시 필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필터부(23b)는 상기 필터부(95)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만 걸러낼 수 있다. 보조 필터부(23b)는 증기가 통과해도 무방하도록 구비된다. 이를 통해, 하나의 보조 필터(23)로 우회 유로(Pa) 및 필터링 유로(Pb)에 모두 보조 필터링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The auxiliary filter 23 may include an auxiliary filter unit 23b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moving to the bypass passage Pa and the filtering passage Pb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41 .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may have a different function from the filter unit 95 while filtering out dust in the passing air.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is not the HEPA filter. For example,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may form a mesh filter. For example,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may filter out only foreign substances having a relatively large volume compared to the filter unit 95 . The auxiliary filter unit 23b is provided so that steam may pass through. Through this, an auxiliary filtering function may be added to both the bypass passage Pa and the filtering passage Pb with one auxiliary filter 23 .

필터 모듈(90)은 보조 필터부(23b)를 지지하는 보조 바디부(23a)를 포함한다. 보조 바디부(23a)는 공기의 흐름 방향(Af)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바디부(23a)는 복수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개구부에 보조 필터부(23b)가 배치된다.The filter module 90 includes an auxiliary body portion 23a that supports the auxiliary filter portion 23b. The auxiliary body portion 23a may be disposed to cross the air flow direction Af. The auxiliary body part 23a forms a plurality of openings, and the auxiliary filter part 23b is disposed in the plurality of openings.

도 3 및 도 9를 참고하여, 사용자는 도어(15)를 열고, 커버(25)를 탈거한 뒤 필터 모듈(90)을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커버(25)를 탈거한 뒤, 후술할 보조 필터(23)를 탈거한 뒤 필터 모듈(90)을 인출할 수 있다.3 and 9 , the user may open the door 15 , remove the cover 25 , and then take out the filter module 90 . After removing the cover 25 , the user may take out the filter module 90 after removing the auxiliary filter 23 to be described later.

도 9(a)를 참고하여, 커버(25)를 케비닛(10)으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보조 필터(23)의 일측면이 노출된다. 도 9(b)를 참고하여, 보조 필터(23)를 케비닛(10)으로부터 탈거한 상태에서, 필터 모듈(90)의 핸들(93)이 노출된다. 보조 필터(23)가 탈거된 상태에서, 제 1밸브(70a) 및 제 2밸브(70b)가 노출될 수 있다. 도 9(c)를 참고하여, 핸들(93)을 잡고 당김으로써, 필터 모듈(90)은 필터 모듈 삽입구(26h)로부터 인출된다.Referring to FIG. 9A , in a state in which the cover 25 is removed from the cabinet 10 , one side of the auxiliary filter 23 is exposed. Referring to FIG. 9B ,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ilter 23 is removed from the cabinet 10 , the handle 93 of the filter module 90 is exposed. In a state in which the auxiliary filter 23 is removed, the first valve 70a and the second valve 70b may be exposed. Referring to FIG. 9( c ), by pulling the handle 93 , the filter module 90 is withdrawn from the filter module insertion hole 26h.

이하, 도 5 및 도 8a 내지 도 8c를 참고하여, 복수의 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는, 기설정된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된다. 제어부(2)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의류 처리 장치(1) 내 각종 부품들을 제어할 수 있다.Hereinafter, a plurality of mod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8A to 8C . The control unit 2 is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a plurality of preset modes. The controller 2 may control various parts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selected mode.

상기 복수의 모드는, 공기가 필터부(95)에 의해 필터링 되도록 하는지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우회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필터링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air is to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95 . The plurality of modes may include at least one bypass mode and at least one filtering mode.

상기 우회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스팀(steam)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우회 유로(Pa)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처리 공간(10s)에 공급되는 증기가 필터부(95)를 통과하지 않게 하면서도, 처리 공간(10s) 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별도의 처리를 할 수 있다.In the bypass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steam module 7 to inject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e bypass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In the bypass mode, the controller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the bypass flow path Pa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Accordingly, while the steam supplied to the processing space 10s does not pass through the filter unit 95 , the air in the processing space 10s is circulated and a separate treatment can be performed.

상기 필터링 모드(필터링 순환 모드,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스팀을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필터링 유로(Pb, Pc)가 선택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filtering mode (filtering circulation mod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steam module 7 not to inject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filtering passages Pb and Pc to b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상기 복수의 모드는, 처리 공간(10s) 내 공기 순환 여부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순환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환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air is circulated in the processing space 10s. The plurality of modes may include at least one circulation mode and at least one ventilation mode.

상기 순환 모드(우회 순환 모드,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순환 유로(Pa, Pb)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를 제어한다.In the circulation mode (bypass circulation mode, filtering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In the circulation mode, the controller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the circulation passages Pa and Pb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상기 순환 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 또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된다.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 또는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될 때,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즉,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닫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닫는다.When the circulation mode is selected, the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or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is selected. When the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or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to be closed. That is, the outer suction unit 47 closes the outdoor air inlet section P4 and the outer discharge section 48 closes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를 제어한다.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ler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the ventilation passage Pc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상기 환기 모드가 선택될 때,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된다.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될 때,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열림되게 제어한다. 즉, 아우터 흡입부(47)는 외기 유입 구간(P4)을 열고 아우터 토출부(48)는 배기 유출 구간(P5)을 연다.When the ventilation mode is selected,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flow paths. When the ventilation flow path Pc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to be opened. That is, the outer suction unit 47 opens the outside air inlet section P4 and the outer discharge section 48 opens the exhaust outlet section P5 .

상기 복수의 모드는, 우회 순환 모드, 필터링 순환 모드 및 환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사용자가 입력부(3)의 입력을 통해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하나의 의류 처리 과정에서 시간 구간별로 달리 선택되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모드는, 센싱부(4)에 의해 감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달리 선택되어 진행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modes may include a bypass circulation mode, a filtering circulation mode and a ventilation mode. 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selected by a user through an input of the input unit 3 . 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differently selected for each time section in one garment processing process. 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selected differently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sensing unit 4 to proceed.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우회 순환 유로(Pa)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는 열리고 제 2밸브(70b)는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상기 우회 순환 모드를 통해서, 스팀이 효율적으로 의류에 공급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steam module 7 to inject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the bypass circulation passage Pa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irst valve 70a to open and the second valve 70b to close. 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to be closed. Through the bypass circulation mode, it is possible to help steam to be efficiently supplied to the clothes.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필터링 순환 유로(Pb)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는 닫히고 제 2밸브(70b)는 열리도록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닫힘되게 제어한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를 통해서, 의류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In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steam module 7 not to inject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e filtering cycle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In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the filtering circulation passage Pb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In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irst valve 70a to close and the second valve 70b to open. In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to be closed. In the filtering cycle mode,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hanger module 30 to vibrate. Through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clothes.

상기 우회 순환 모드 및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제어부(2)는 각각 행거 모듈(30)의 진동 패턴을 달리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제어부(2)는, 상기 우회 순환 모드에서 행거 모듈(30)이 상대적으로 천천히 진동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필터링 순환 모드에서 행거 모듈(30)이 상대적으로 빨리 진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and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may vary the vibration pattern of the hanger module 30 ,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ontroller 2 may control the hanger module 30 to vibrate relatively slowly in the bypass circulation mode, and control the hanger module 30 to vibrate relatively quickly in the filtering circulation mode.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스팀 모듈(7)이 처리 공간(10s) 내로 증기를 분사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팬(50)이 작동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상기 복수의 유로 중 상기 환기 유로(Pc)가 선택되도록 밸브 작동 모듈(80)을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제 1밸브(70a)가 닫히고 제 2밸브(70b)가 닫히도록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아우터 흡입부(47) 및 아우터 토출부(48)가 열림되게 제어한다. 상기 환기 모드에서, 제어부(2)는 행거 모듈(30)이 진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를 통해서, 의류에 함유된 습기나 냄새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 모드에서, 처리 공간(10s) 내의 먼지나 냄새 성분을 외부로 배출하여,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steam module 7 not to inject steam into the processing space 10s. 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an 50 to operate. 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valve operation module 80 to select the ventilation passage Pc am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first valve 70a to close and the second valve 70b to close. 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controls the outer suction unit 47 and the outer discharge unit 48 to be opened. In the ventilation mode, the control unit 2 may control the hanger module 30 not to vibrate. Through the ventilation mode, moisture or odor components contained in clothes can be efficiently removed. In addition, in the ventilation mode, dust or odor components in the processing space 10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1: 의류 처리 장치 2 : 제어부
7 : 스팀 모듈 10 : 케비닛
10s : 처리 공간 23 : 보조 필터
25 : 커버 26 : 유로 바디
30 : 행거 모듈 41 : 이너 흡입구
42 : 제 1입구 43 : 제 2입구
44 : 이너 토출구 45 : 외기 연결구
47 : 아우터 흡입부 48 : 아우터 토출부
50 : 팬 60 : 열교환 모듈
70 : 밸브 70a : 제 1밸브
70b : 제 2밸브 80 : 밸브 작동 모듈
81 : 제 1밸브 연결부 82 : 제 2밸브 연결부
83 : 모터 84 : 밸브 조절부
85 : 동력 전달부 87 : 모듈 케이싱
88 : 구속부 90 : 필터 모듈
95 : 필터부 Pa, Pb, Pc : 복수의 유로
P0 : 공유 구간 P1 : 이너 유입 구간
P2 : 필터 통과 구간 P4 : 외기 유입 구간
P5 : 배기 유출 구간 Oa : 제 1회전축
Ob : 제 2회전축 Oc : 중심축
Om : 전달축
1: clothes processing device 2: control unit
7: steam module 10: cabinet
10s: processing space 23: auxiliary filter
25: cover 26: euro body
30: hanger module 41: inner intake port
42: first entrance 43: second entrance
44: inner discharge port 45: outdoor air connection port
47: outer suction unit 48: outer discharge unit
50: fan 60: heat exchange module
70: valve 70a: first valve
70b: second valve 80: valve operation module
81: first valve connection part 82: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83: motor 84: valve control unit
85: power transmission unit 87: module casing
88: constraint 90: filter module
95: filter part Pa, Pb, Pc: a plurality of flow paths
P0: Sharing section P1: Inner inflow section
P2: Filter passage section P4: Outside air inlet section
P5: Exhaust outlet section Oa: 1st rotation shaft
Ob: second rotation axis Oc: central axis
Om: transmission shaft

Claims (15)

의류가 수용되는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케비닛;
상기 케비닛의 내부에서 상기 처리공간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처리공간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이너토출구 및 상기 처리공간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이너흡입구가 형성된 유로바디;
상기 처리공간에 수분을 공급하는 스팀모듈;
상기 유로바디 내부에 구비되어 통과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모듈;
상기 필터모듈의 상류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흡입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모듈에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밸브; 및
상기 이너흡입구의 하류 및 상기 밸브의 상류에 구비되어 상기 이너흡입구를 통과한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forming a processing space in which clothes are accommodated;
a flow path body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space inside the cabinet and having an inner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processing space and an inner suction port for sucking air from the processing space;
a steam module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processing space;
a filter module provided inside the flow path body to filter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passing air;
a valve provided upstream of the filter module to selectively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to the filter module; and
and an auxiliary filter provided downstream of the inner suction port and upstream of the valve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통과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필터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필터는,
통과하는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보조필터부; 및
상기 보조필터부를 지지하는 보조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보조필터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이물질까지 걸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module is
a filter unit tha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erethrough; and
It includes a filter body part for detachably supporting the filter part,
The auxiliary filter is
Auxiliary filter unit for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passing through; and
It includes an auxiliary body part for supporting the auxiliary filter part,
and the filter unit filters out foreign substances that are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the auxiliary filt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HEPA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lter unit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EPA filt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 및 상기 보조필터 각각은 상기 이너흡입구에 인입 또는 상기 이너흡입구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each of the filter module and the auxiliary filter is provided to be drawn into or out of the inner suction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은 상기 필터바디부에 구비되며 상기 보조필터가 상기 이너흡입구로부터 인출될 때 파지 가능한 핸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filter module is provided in the filter body and further includes a handle capable of gripping the auxiliary filter when the auxiliary filter is drawn out from the inner suction po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모듈이 상기 이너흡입구에 인입될 때 상기 필터모듈을 덮도록 구비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필터는 상기 커버의 하류 및 상기 필터모듈의 상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cover provided to cover the filter module when the filter module is introduced into the inner suction port,
and the auxiliary filter is provided downstream of the cover and upstream of the filter modu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면과 상하방향으로 이격된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처리공간의 바닥면과 함께 상기 이너토출구를 형성하는 커버서포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over is
a cover part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cover support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ver part to form the inner discharge port together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process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부는 수평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uxiliary filter unit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horizontally.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auxiliary filter unit is vertically provided to the filter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바디는,
상기 이너흡입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모듈을 우회하도록 안내하는 제1입구; 및
상기 이너흡입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모듈로 안내하는 제2입구를 더 형성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제1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입구를 개폐하는 제1밸브; 및
상기 제2입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입구를 개폐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며,
하나의 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를 회전시키는 밸브작동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uro body is
a first inlet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to bypass the filter module; and
Further forming a second inlet for guiding the air passing through the inner suction port to the filter module,
The valve is
a first valve rotatably provided at the first inlet to open and close the first inlet; and
and a second valve rotatably provided at the second inlet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inlet,
and a valve operation module including one motor to rotate the first valve and the second valv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밸브는 상기 필터바디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밸브는 상기 필터바디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rst valve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filter body, and the second valve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filter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작동모듈은,
상기 제1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밸브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1밸브연결부;
상기 제2밸브와 연결되어 상기 제2밸브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밸브연결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밸브연결부 또는 상기 제2밸브연결부를 회전시키는 밸브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valve operating module,
a first valv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first valve and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first valve;
a second valve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second valve and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second valve;
and a valve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motor to rotate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or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조절부는 상기 제1밸브연결부 또는 상기 제2밸브연결부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제1밸브연결부와 상기 제2밸브연결부 각각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valve control unit rotates one of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or is spaced apart from each of the first valve connection unit and the second valve connection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처리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비닛의 외부와 상기 유로바디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아우터 흡입구; 및
상기 아우터 흡입구의 상부에서 상기 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케비닛의 외부와 상기 처리공간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아우터 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processing space;
an outer suction port rotatably provided on the door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the inside of the flow path body; and
and an outer discharge port rotatably provided on the door above the outer suction port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outside of the cabinet with the treatment space.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공간의 하측에서 상기 유로바디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기계실; 및
상기 기계실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 흡입구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필터모듈로 안내하는 외기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a machine room provided to accommodate the flow path body at a lower side of the processing space; and
and an outdoor air connector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chine room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outer suction port to the filter module.
KR1020210110334A 2019-07-02 2021-08-20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4433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0334A KR102443322B1 (en) 2019-07-02 2021-08-20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07809A KR102625459B1 (en) 2019-07-02 2022-08-26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5A KR102541188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4A KR102655485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9316A KR102294610B1 (en) 2017-12-08 2019-07-02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10110334A KR102443322B1 (en) 2019-07-02 2021-08-20 Fabric treating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316A Division KR102294610B1 (en) 2017-12-08 2019-07-02 Fabric treat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809A Division KR102625459B1 (en) 2019-07-02 2022-08-26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4A Division KR102655485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5A Division KR102541188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254A true KR20210110254A (en) 2021-09-07
KR102443322B1 KR102443322B1 (en) 2022-09-15

Family

ID=7779721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0334A KR102443322B1 (en) 2019-07-02 2021-08-20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07809A KR102625459B1 (en) 2019-07-02 2022-08-26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5A KR102541188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4A KR102655485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40002948A KR20240010064A (en) 2019-07-02 2024-01-08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40002947A KR20240010063A (en) 2019-07-02 2024-01-08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40040325A KR20240045185A (en) 2019-07-02 2024-03-25 Fabric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7809A KR102625459B1 (en) 2019-07-02 2022-08-26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5A KR102541188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20112324A KR102655485B1 (en) 2019-07-02 2022-09-05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40002948A KR20240010064A (en) 2019-07-02 2024-01-08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40002947A KR20240010063A (en) 2019-07-02 2024-01-08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0240040325A KR20240045185A (en) 2019-07-02 2024-03-25 Fabric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7) KR10244332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7900A (en) * 1991-04-26 1992-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othes refreshing device
KR20060074377A (en)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dryer
KR101525568B1 (en)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JP2016165357A (en) * 2015-03-09 2016-09-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Clothes dry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8101B2 (en) * 2000-01-31 2005-08-03 株式会社ノーリツ Bathroom heating dryer
KR20030094988A (en) * 2002-06-11 2003-12-18 신재영 Furniture having the function of air conditioning
JP4862731B2 (en) * 2007-04-09 2012-01-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Clothes dryer
KR100893217B1 (en) * 2007-05-31 2009-04-16 김학열 Air cleaner having the function of clothes care
KR101414635B1 (en) * 2008-03-26 2014-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 treating apparatus
KR101210712B1 (en) * 2010-01-11 2012-12-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Damper unit for Dryer
KR102118045B1 (en) * 2013-03-19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20170128958A (en) * 2016-05-16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27900A (en) * 1991-04-26 1992-11-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lothes refreshing device
KR20060074377A (en) * 2004-12-27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Clothing dryer
KR101525568B1 (en) 2008-12-09 2015-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JP2016165357A (en) * 2015-03-09 2016-09-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063A (en) 2024-01-23
KR102541188B1 (en) 2023-06-13
KR20220129504A (en) 2022-09-23
KR102625459B1 (en) 2024-01-16
KR20240010064A (en) 2024-01-23
KR20220123362A (en) 2022-09-06
KR20220129505A (en) 2022-09-23
KR102443322B1 (en) 2022-09-15
KR102655485B1 (en) 2024-04-08
KR20240045185A (en) 2024-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4609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294610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AU2022209319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1999535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443322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989105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370122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294608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1999534B1 (en) Fabric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