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829A - Recording Medium - Google Patents

Recording Mediu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829A
KR20210109829A KR1020200024913A KR20200024913A KR20210109829A KR 20210109829 A KR20210109829 A KR 20210109829A KR 1020200024913 A KR1020200024913 A KR 1020200024913A KR 20200024913 A KR20200024913 A KR 20200024913A KR 20210109829 A KR20210109829 A KR 20210109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reography
sound source
video
function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9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무공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무공장
Priority to KR1020200024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829A/en
Publication of KR2021010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82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06F16/43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9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 H04N21/23892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encrypting involving embedding information at multiplex stream level, e.g. embedding a watermark at packet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esented is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providing an additional service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is recorded, wherein optimal choreography content among choreography created by choreographers is matched for each part (section) in sound source content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reation,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can be provided on the basis of the choreography content generated depending on the matched content. The presented recording medium i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comprise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ound source (that is, a sound source segmented into multiple parts)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reation to terminals of all registered choreographers; a function of inserting a watermark into an upload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when choreographers create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in a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reation and has been received in the choreographers' terminals and upload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a function of storing, in a database, a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reation, and at least one choreography video (that is,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t least one choreography video (that is,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reation to a terminal of a corresponding content producer; a function of transmitting, to a serv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desired choreography video selection when a producer selects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in a sound source; a function of storing, in a database, information (that is, selection information) of selecting at least one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reation in a database; a function of generating choreography matching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orresponding choreography creation on the basis of selec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storing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a database and providing a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on the basis of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Description

기록매체{Recording Medium}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원 컨텐츠에 대응하는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s corresponding to sound source contents.

문화가 탄생하기 위해서는 창조적인 흐름이 기초가 되어야 하며, 창조적인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창작에 대해 적절한 보상과 대가가 따라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a culture to be born, a creative flow should be the foundation, and it is desirable that appropriate rewards and rewards for creation should follow in order for creative content to be continuously created and developed.

이를 위해 문화 콘텐츠를 보호하고, 하나의 창작물로 인정하는 권리가 창작자에게 부여되어야 한다. 여기서,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독점적으로 이용하거나 이를 남에게 허락할 수 있는 인격적, 재산적 권리를 저작권이라 한다. 저작권은 문학, 영화 등 예술 작품 등 저작물에 대한 독점적이고 배타적인 이용을 보장하는 권리이며, 복제를 통해 저작권자의 저작물을 출판하거나 저작물을 임의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권리이기도 하다.To this end, the right to protect cultural content and to recognize it as a creative work should be granted to creators. Here, the personal and property rights of the author to exclusively use his or her work or to permit it to others are called copyright. Copyright is a right that guarantees the exclusive and exclusive use of works of art such as literature and films, and it is also the right to prevent the publication of the copyright holder's work or the arbitrary use of the work through reproduction.

현재 방송이나 음악 분야의 저작권은 관련단체, 법률 체제정비가 잘 갖춰져 있어 그 분야의 창작자들은 창작의 대가를 적절히 보상받고 있으며, 새로운 창작물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관련비용을 지급받는다.Currently, copyrights in the broadcasting and music fields are well-established with related organizations and legal systems, so creators in those fields are adequately compensated for their creations, and when a new creation is created, related costs are paid.

반면, 안무가들이나 단체는 음악에 맞추어 적절한 안무를 창작하고 관련비용을 지급받는다. 이후는 저작권의 개념이 모호해진다. 음악저작권에 관련된 작곡가, 작사가, 가수는 방송출연 횟수, 뮤직 비디오 조회 수 등을 통하여 추후 발생하는 저작권료를 지급받으나, 안무가는 아무런 이득이 없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기준도 없다는 것이 현재의 안무 저작권의 문제이다. On the other hand, choreographers or groups create appropriate choreography according to the music and receive related expenses. After that, the concept of copyright becomes ambiguous. Composers, lyricists, and singers related to music copyright receive royalties that are accrued in the future based on the number of broadcast appearances and music video views. is a problem of

즉, 최근의 경우 안무가는 비쥬얼 시대에 걸맞게 안무를 통해 음원홍보에 큰 역할을 하게 된 반면에, 유튜브 광고수익이나 앨범수입에서 완전히 제외되어 있어 상대적 박탈감이 커지고 있다.In other words, in the recent case, choreographers have played a big role in promoting music sources through choreography in line with the visual era.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955호(안무 저작권 시스템에서 동작동기화 및 상호간섭작용 구현장치 및 그 방법)Prior Ar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65955 (A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motion synchronization and mutual interference in a choreography copyright system)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13577호(안무 구상 지원 장치 및 방법)Prior Ar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2013577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horeography Concept)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8345호(온라인 댄스 강의 시스템)Prior Art 3: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08345 (Online Dance Lecture System) 선행기술 4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2585호(율동 기반 음악 동조화 장치 및 방법)Prior art 4: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62585 (Rhythm-based music synchronization device and method) 선행기술 5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18920호(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댄스 교습 방법 및 장치)Prior Art 5: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18920 (Method and Apparatus for Dance Teaching Using Mobile Device) 선행기술 6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9195호(질의동작기반 안무 검색 시스템 및 방법)Prior Art 6: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729195 (query motion-based choreography search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 컨텐츠내의 파트별(구간별)로 안무가들이 창작한 안무중에서 최적의 안무 컨텐츠를 매칭시키고 이를 기초로 생성한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the optimal choreography content is matched among the choreography created by choreographers for each part (by section) in the sound source content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and the choreography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is is match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can be provided based on various additional service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즉, 다수의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안무가들이 자신의 단말에 수신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할 경우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능;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 및 해당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 제작자가 음원내 파트별로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할 경우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 선택에 상응하는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기능;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즉,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안무 매칭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gistered as a member of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that is, a sound source segmented into multiple parts). the ability to transmit to terminals of all choreographers; a function of inserting a watermark into the upload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when the choreographers create a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in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received in their terminal and upload a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a function of storing, in a database, a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and at least one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ie,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a function of transmitting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o be produced (that is,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to a terminal of a corresponding content producer; When the producer selects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horeography video sel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ie, selection information) of selecting one or more desired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in a database; a function of generating choreography matching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hat is a target of a corresponding choreography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a function of providing a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fter storing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a database.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내의 파트별(구간별)로 안무가들이 창작하여 업로드시킨 안무들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안무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안무 컨텐츠를 생성하고,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안무 동영상 조회 서비스 및 안무 동영상의 조회수에 따라 해당 안무가에 대한 수익을 분배해 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choreography content is generated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based on one choreography selected from among choreography created and uploaded by choreographers for each part (by section) in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and choreography Based on the content,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according to the choreography video inquiry service and the number of views of the choreography video.

또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내의 파트별(구간별)로 안무가들이 창작하여 업로드시킨 안무들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안무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안무 컨텐츠를 생성하고,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안무 제작요청이 있게 되면 적절한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In addition, choreography content is created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based on one choreography selected from among the choreography created and uploaded by choreographers for each part (by section) in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and choreography based on the choreography content If there is a production request, we can recommend an appropriate choreographer.

또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내의 파트별(구간별)로 안무가들이 창작하여 업로드시킨 안무들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안무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안무 컨텐츠를 생성하고,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온라인상에서 댄스 강의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choreography content is created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based on one choreography selected from among the choreography created and uploaded by choreographers for each part (by section) in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and based on the choreography content, online You can give dance lessons on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안무 매칭 데이터 생성 및 안무 매칭 데이터 를 기초로 생성된 안무 컨텐츠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to which an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er shown in FIG. 1 .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servicing choreography content generated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amples of screens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 3 .
6 to 9 are examples of screens employed to explain the operation of an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to which an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의 시스템은, 제작자 단말(10), 안무가 단말(20), 네트워크(30), 데이터베이스(40), 서버(50), 및 시청자 단말(70)을 포함한다.The system of FIG. 1 includes a producer terminal 10 , a choreographer terminal 20 , a network 30 , a database 40 , a server 50 , and a viewer terminal 70 .

제작자 단말(10)은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로서,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업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은 안무가 안무되지 않은 순수한 음원 자체를 의미한다. The producer terminal 10 is a terminal of a content producer, and may upload a sound source for choreography production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Here,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means the pure sound source itself without the choreography.

그리고, 제작자 단말(10)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적합한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한다.And, when the producer terminal 10 uploads a sound source that is a target for choreography, it requests that a choreography be produced suitable for the sound source.

또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은 몇 개의 파트(구간)로 분절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은 초입부, 후렴부, 메인부 등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어 있을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은 대략 4 ~ 20초 정도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여러개의 단위 음원 파트들로의 음원 분절은 컨텐츠 제작자가 할 수 있다.Also, the sound source, the target of choreography, would have been segmented into several parts (sections). For example, a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may be segmented into unit sound source parts such as an introductory part, a chorus part, and a main part. As another example,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may be segmented into unit sound source parts of approximately 4 to 20 seconds. Here, the sound source segment into several unit sound source parts may be performed by the content creator.

제작자 단말(10)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대한 간단한 설명(예컨대, 분위기, 탄생 배경 등)을 함께 보낼 수 있다. 이는 추후의 안무가의 안무 창작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이다.When the producer terminal 10 uploads a sound source, which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to the server 50, a brief description (eg, atmosphere, birth background, etc.) of the sound source may be sent together. This is to help choreographers create choreography in the future.

한편으로, 제작자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가 추천 요청을 할 수 있다. 안무가 추천 요청시, 제작자 단말(10)은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 및 그에 대한 간단한 정보(예컨대, 분위기, 탄생 배경 등)를 서버(50)에게로 함께 보낼 수 있다. 여기서, 안무가 추천 요청시의 음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oducer terminal 10 may make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When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is made, the producer terminal 10 may send a sound source requiring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and simple information (eg, atmosphere, birth background, etc.) about it to the server 50 together. Here, the sound source at the time of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may be segmented into predetermined unit sound source parts as described above.

도 1에서는 제작자 단말(10)을 하나만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여러개의 제작자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In FIG. 1, only one manufacturer's terminal 10 is shown,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actually several manufacturer's terminals.

또한, 제작자 단말(10)은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를 서버(50)에게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이 서버(50)에 업로드되면 서버(50)는 해당 음원을 회원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한다. 이후, 안무가들은 수신한 음원을 확인한 후에 해당 음원내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그리고, 서버(50)는 수신한 음원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해당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해당 제작자 단말(10)의 제작자는 각각의 파트별로 가장 최적이라고 여겨지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하면 해당 음원의 모든 파트에 대한 안무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제작자의 음원내 파트별 안무 선택이 완료되면 그에 상응하는 파트별 선택 정보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된다.Also, the producer terminal 1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selecting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to the server 50 . That is, when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is uploaded to the server 50 , the server 50 transmits the sound source to the terminals 20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Thereafter, after checking the received sound source, the choreographers create a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upload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to the server 50 . Then, the server 50 transmits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sound source part received to the corresponding producer terminal 10 . Accordingly, the producer of the corresponding producer terminal 10 selects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that are considered most optimal for each part.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choreography for all parts of the sound source. When the producer's selection of choreography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is completed, selec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corresponding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안무가 단말(2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 접속하여 회원등록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등록시 해당 안무가의 프로필 정보, ID 또는 태그, 패스워드, 창작가능한 안무 장르 등을 등록한다. 여기서, 프로필 정보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요 경력 사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may access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and register as a member. For example,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e profile information of the choreographer, ID or tag, password, and the choreography genre that can be created are registered. Here, the profile information may include a name,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major career details, and the like.

안무가 단말(20)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수신하고, 해당 음원내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 동영상을 제작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즉, 안무가 단말(20)에는 웹 카메라(도시 생략) 등이 설치되어 있어서 안무가의 안무를 촬영한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할 수 있다. 이때, 안무가 단말(20)은 해당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의 정보를 해시태그 등과 같은 태그의 형태로 안무 동영상과 함께 업로드할 수 있다.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may receive a sound source that is a target for choreography, create a choreography video for a desired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upload it to the server 50 . That is, since a web camera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 a video of the choreographer's choreography can be uploaded to the server 50 . In this case,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may upload the information of the choreographer who created the choreography video together with the choreography video in the form of a tag such as a hashtag.

안무가는 안무를 창작하기 위해, 음원의 모든 파트중에서 희망하는 파트를 재생시켜 청취하면서 그에 적절한 춤을 추게 된다. 이 경우, 춤을 추기 전에 안무가 단말(20)에는 소정의 대기시간이 표시되고 대기시간이 종료되면 안무가는 춤을 추면 된다. In order to create the choreography, the choreographer plays and listens to the desired part among all the parts of the sound source and dances the appropriate dance. In this case, a predetermined waiting time is displayed on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before dancing, and when the waiting time is over, the choreographer may dance.

도 1에서는 안무가 단말(20)을 하나만 도시하였는데, 실제로는 여러개의 안무가 단말이 존재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Although only one choreographer terminal 20 is shown in FIG. 1,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actually several choreographer terminals.

네트워크(30)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네트워크(30)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The network 30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such a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In addition, the network 30 is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Bluetooth),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i-Fi (Wi-Fi), LTE (Long) Term Evolution) may be implemented in all types of wireless networks. If necessary, the network 30 may be a network in which wired and wireless are mixed.

데이터베이스(40)는 회원 등록 정보를 저장한다.The database 40 stores member registration information.

데이터베이스(40)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 및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에 대해 업로드된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40 may store a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and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uploaded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선택 정보(즉,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선택된 안무 동영상이 어떤 것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atabase 40 may store selection information from the producer terminal 10 (that is,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choreography video is selected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또한, 데이터베이스(40)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안무 매칭 데이터는 해당 안무 제작 대상인 음원의 분석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을 분석한 정보),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음원 내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 식별 정보 등), 및 시간구간 정보(예컨대, 음원내에서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database 40 stores choreography matching data. Here,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clude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subject of the choreography (eg, genr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information), choreograp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part information in the sound source (eg, choreography vide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etc.) ), and time section information (eg, time section information occupied by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the like.

한편, 데이터베이스(40)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저장한다. 여기서,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은 안무 컨텐츠라고 할 수 있으며, 각각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은 저마다의 댄스 강사명(즉, 안무가명), 해당 영상과 결부되어 있는 음원의 파트 정보, 및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database 40 stores a plurality of streaming images for dance lectures. Here, a plurality of streaming videos for dance lectures can be said to be choreography content, and each streaming video for dance lectures includes a dance instructor name (ie, a choreographer name), part information of a sound source associated with the video, and time section information, etc. will contain

서버(50)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안무 컨텐츠(즉, 1개의 음원에 대해 해당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이 하나 이상 존재하는 안무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생성된 안무 컨텐츠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될 수도 있다.Since the server 50 can generate choreography content (ie, choreography content in which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exist for one sound source)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the generated choreography content is stored in the database ( 40) may be stored.

시청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 조회 신청을 할 수 있다. 안무 조회 신청시, 시청자 단말(70)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가 안무되어 있는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시청자 단말(70)은 안무 조회 신청시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정보(예컨대, 안무가 성명 또는 태그)를 추가로 입력할 수 있다.The viewer terminal 70 may request a choreography inquiry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When applying for a choreography inquiry, the viewer terminal 70 may input the name of the song and the singer of the sound source in which the choreography to be inquired is choreographed. If necessary, the viewer terminal 70 may additionally input information (eg, a choreographer's name or tag) of a choreography video to be inquired when applying for a choreography inquiry.

또한, 시청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댄스 강의 요청을 할 수 있다. 댄스 강의 요청시, 시청자 단말(70)은 희망하는 댄스 강사명 및/또는 곡명을 함께 입력할 수 있다. Also, the viewer terminal 70 may request a dance lecture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When requesting a dance lecture, the viewer terminal 70 may input a desired dance instructor name and/or a song name together.

한편, 시청자 단말(70)은 댄스 강의 요청을 하게 되면 서버(50)로부터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게 된다. 이때, 시청자 단말(70)은 수신한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에 대하여 구간 반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대략 60초 프레임으로 고농도 촬영한 0.1초 단위 특수 슬로우 모션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시청자 단말(70)은 웹 카메라 등을 구비하여 해당 시청자(즉, 댄스 수강자)의 댄스 영상을 원클릭으로 피드백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시청자 단말(70)은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 영상 업로드 뷰에 대응하여 댄스 강사 입장에서는 피드백 화면 뷰(예컨대, 영상씬별로 영상/음성/텍스트 피드백 가능)를 보낼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viewer terminal 70 requests a dance lecture, it receives a streaming image for a dance lecture from the server 50 . In this case, the viewer terminal 70 may not only repeat a section on the received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but also perform a special slow motion in units of 0.1 seconds, which is captured at a high concentration in a frame of approximately 60 seconds. In addition, the viewer terminal 70 may be provided with a web camera and the like to perform a function of one-click feedback of a dance image of a corresponding viewer (ie, a dance participant). Meanwhile, the viewer terminal 70 may send a feedback screen view (eg, video/audio/text feedback is possible for each video scene) from the viewpoint of the dance instructor in response to the view of uploading the feedback image of the dance learner.

시청자 단말(70)을 조작하는 시청자는 일반인, 가수, 댄스 인플루언서(dance influencer) 등이 될 수 있다.A viewer who operates the viewer terminal 70 may be a public person, a singer, a dance influencer, or the like.

서버(50)는 회원 등록된 안무가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하고,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할 때, 서버(50)는 해당 음원내의 파트중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하여 안무를 창작하여 동영상을 업로드해 달라는 요청을 함께 보낸다.The server 50 stores the member-registered choreographer information in the database 40 and transmits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from the producer terminal 10 to the terminals 20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Here, when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which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to the terminals 20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the server 50 sends a request to create a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among the parts in the sound source and upload a video together. .

안무가들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내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함에 따라, 서버(50)는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서버(50)는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만약,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되면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choreographers create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in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and upload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to the server 50, the server 50 inserts a watermark into the upload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source for choreography production consists of three parts and two choreography videos are uploaded for each part, the server 50 can visually recognize the choreography video to protect the choreography copyright. Insert an absent watermark. In this case, the watermark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choreographer's choreography video for each choreography video. Here, it is believed that a person in the same industry can fully understand the method of inserting a watermark with a well-known technique. If a visually recognizable watermark is inserted, the embedded watermark can be removed using an image processing program, so it is preferable to insert a visually unrecognizable watermark.

그리고, 서버(50)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과 해당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워터마크 포함)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Then, the server 50 stores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and the choreography video (including watermark)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in the database 40 .

또한, 서버(50)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워터마크 포함)을 해당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server 50 transmits a choreography video (including a watermark)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to the producer terminal 10 .

또한, 서버(50)는 컨텐츠 제작자가 파트별로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함에 따른 정보(즉,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서버(50)는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 In addition, the server 50 stores information (ie, sele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 producer selecting one or more desired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in the database 40 . Then, the server 50 generates choreography match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database 40 .

또한, 서버(50)는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시킨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이라 함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내의 파트별로 하나의 안무 동영상이 선택됨에 따라 이를 근거로 생성된 해당 음원에 대한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컨텐츠 제작자에게 보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이라 함은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업로하거나 시청자가 요청하는 음원에 대한 안무 컨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것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시청자가 안무 컨텐츠를 보고 따라 춘 자신의 춤 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하면 이를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업로드해 주는 것도 안무 컨텐츠 서비스 제공이라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50 provides a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40 . Here, the provision of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means that when one choreography video is selected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for the sound source generated based on this is sent to the content creator. can In addition, the provision of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may mean uploading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to TikTok, Instagram, YouTube, etc., or selectively providing choreography content for sound sources requested by viewers. have. Of course, if a viewer uploads a video of his dance that he followed after watching the choreography content to the server 50, uploading it to TikTok, Instagram, YouTube, etc. can also be said to be a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provision.

안무 컨텐츠 서비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음원에 대한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이외로,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에 기초한 결합 컨텐츠 생성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을 이용한 댄스 인플루언서의 안무 컨텐츠 생성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에 기초한 학습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에 기초한 학습 서비스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저작권 수익 분배 서비스, 안무 매칭 데이터 및 음원 데이터에 기초한 강의 컨텐츠 제작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컨텐츠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즉, 음원 컨텐츠라고 할 수 있음)내의 각 파트별로 최적의 하나의 안무 동영상(즉, 안무 컨텐츠라고 할 수 있음)을 결합시킨 것을 의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is other than a service that provides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for sound sources, combined content creation service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sound sources, and dance influencers using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music of choreography content creation servic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learning service based on sound source data, database management and copyright revenue distribution service including learning service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sound source data, and lecture content production service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sound source data and the like. Here, the combined content may mean combining one optimal choreography video (that is, choreography content)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that is, sound source content)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특히, 서버(50)는 상술한 안무 컨텐츠(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무 매칭 데이터일 수 있음)를 기반으로, 시청자 단말(70)로부터의 다양한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예컨대, 안무 조회 서비스, 댄스 강의 서비스 등)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erver 5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horeography content (which may be more specifically choreography matching data), according to various requests from the viewer terminal 70,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s (eg, choreography inquiry service, dance lessons, etc.)

한편, 서버(50)는 상술한 안무 컨텐츠(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무 매칭 데이터일 수 있음)를 기반으로,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안무가 추천 요청에 따라 최적의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 Meanwhile, the server 50 may recommend an optimal choreographer according to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from the producer terminal 10 based on the above-described choreography content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horeography matching data).

상술한 서버(50)는 플랫폼 서버 등으로 불리울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server 50 may be referred to as a platform server or the like.

상술한 도 1에서는 데이터베이스(40)와 서버(50)를 별개로 구성시켰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데이터베이스(40)가 서버(50)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도 무방하다.Although the database 40 and the server 50 are configured separately in FIG. 1 described above, the database 40 may be included in the server 50 if necessary.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제작자 단말(10)을 제 1 단말이라고 하고, 안무가 단말(20)을 제 2 단말이라고 하고, 시청자 단말(70)을 제 3 단말이라고 할 수도 있다.Meanwhile, if necessary, the producer terminal 1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terminal,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terminal, and the viewer terminal 70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termina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버(50)의 내부 구성도이다. FIG. 2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server 50 shown in FIG. 1 .

서버(50)는 수신부(51),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 송신부(53), 워터마크 삽입부(54), 안무가 추천부(55), 조회수 판단부(56), 수익 분배부(57), 및 제어부(58)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rver 50 includes a receiving unit 51, a database management unit 52, a transmitting unit 53, a watermark insertion unit 54,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a number of hits determination unit 56, a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and a control unit 58 .

수신부(51)는 안무가 단말(20)로부터의 회원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수신한다.The receiver 51 receives member registration information from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 and receives a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from the producer terminal 10 .

수신부(51)는 안무가 단말(20)로부터의 안무 동영상을 수신하고, 제작자 단말(10)로부터 컨텐츠 제작자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1개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함에 따른 정보(즉,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안무가 단말(20)로부터의 안무 동영상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들중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해당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을 의미한다.The receiver 51 receives the choreography video from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and the content creator selects one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from the producer terminal 10 (ie, selection information). ) is received. Here, the choreography video from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means a choreography video of the choreographer for a desired part among the parts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또한, 수신부(51)는 안무 조회 신청, 안무가 추천 요청, 댄스 강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Also, the receiver 51 may receive a choreography inquiry request,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and a dance lecture request.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는 데이터베이스(40)로의 정보 저장 및 저장된 정보의 갱신 등을 관리한다.The database management unit 52 manages information storage in the database 40 and updating of the stored information.

송신부(53)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송신한다.The transmitter 53 transmits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to the terminals 20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송신부(53)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한다.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여러 안무가들이 저마다의 안무를 창작하여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으므로, 안무 제작을 의뢰한 컨텐츠 제작자의 입장에서는 음원내 파트별로 가장 마음에 드는 안무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선택을 하도록 하기 위해, 송신부(53)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하는 것이다.The transmitter 53 transmits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to the producer terminal 10 . Since several choreographers can create their own choreography and upload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subject of choreography, the content creator who has requested the choreography needs to choose the choreography that they like the most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ccordingly, in order to make a selection, the transmitter 53 transmits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to the producer terminal 10 .

또한, 송신부(53)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한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transmitter 53 may transmit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for a sound source that is a target of choreography to the producer terminal 10 .

한편, 수신부(51)에서 댄스 강의 요청(예컨대, 희망하는 댄스 강사명 및/또는 곡명 포함)을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의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즉, 안무 컨텐츠라고 할 수 있음)중에서 댄스 강의 요청한 내용에 상응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스트리밍 전송된 댄스 강의용 영상은 구간반복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댄스 수강자 입장에서는 피드백용 영상을 업로드할 수 있고, 그에 상응하여 댄스 강사 입장에서도 피드백용 화면을 업로드할 수 있다. 댄스 강사측에서 업로드시킨 피드백용 화면은 서버(50)를 통해 해당 댄스 수강자(즉, 시청자)의 단말에게로 전송될 것이다. 이러한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 및 댄스 강사의 피드백용 화면의 송수신은 제어부(58)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unit 51 receives a request for a dance lecture (eg, including a desired dance instructor name and/or song name), the control unit 58 controls a plurality of streaming images for dance lectures in the database 40 (ie, choreography content). possible), a streaming image for a dance lecture corresponding to the requested content of the dance lectur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viewer terminal 70 through the transmitting unit 53 . Here, the streaming-transmitted dance lecture video may be reproduced in sections repeatedly. In this case, a video for feedback may be upload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dance learner, and a screen for feedback may be upload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dance instructor correspondingly. The screen for feedback uploaded by the dance instructor will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dance participant (ie, the viewer) through the server 50 . The transmission/reception of the video for feedback of the dance participant and the screen for feedback of the dance instructor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8 .

한편으로, 수신부(51)에서 안무 조회 신청(예컨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가 안무되어 있는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을 포함)을 수신하게 되면 제어부(58)는 그에 상응하는 안무 컨텐츠(즉, 데이터베이스(40)의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안무 컨텐츠)를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eiving unit 51 receives a choreography inquiry application (eg, including the song name and singer name of the sound source in which the choreography to be inquired is choreographed), the control unit 58 controls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content (that is, the database 40 ) may be transmitted to the viewer terminal 70 through the transmitter 53 ).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안무 조회 신청이 있게 되면 제어부(58)는 안무 조회 신청과 함께 입력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에 따른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안무 컨테츠에서 해당 음원의 파트별로 최고의 안무(예컨대, 조회수가 가장 많은 안무 또는 조회수 대비 좋아요가 가장 많은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을 컨텐츠화하여 송신부(53)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부(53)는 입력받은 해당 컨텐츠를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음원의 파트별 최고의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을 제공하게 되면 시청자들의 보다 많은 조회를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무가에게 더욱 많은 수익을 분배해 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해당 음원의 파트별 최고의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을 컨텐츠화하여 보낼 때, 추가적으로 제어부(58)는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예컨대, 조회수 기준의 베스트 안무, 조회수 대비 좋아요 기준의 베스트 안무)를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보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추가적으로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를 제공하게 되면 시청자들의 보다 좋은 반응 및 조회를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안무가에게 더욱 더 많은 수익을 분배해 줄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when a choreography inquiry request is made, the control unit 58 controls the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in the choreography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ccording to the song name and singer name of the sound source input together with the choreography inquiry request ( For example, a full image of a collection of choreography with the most number of views or choreography with the greatest number of likes compared to the number of views) may be converted into content and sent to the transmitter 53 . Accordingly, the transmitter 53 may transmit the received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viewer terminal 70 . In this way, providing a full video that collects the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can induce more inquiries from viewers, thereby distributing more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In addition, when sending a full video that collects the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as content, the control unit 58 additionally controls 1 to 3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eg,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The best choreography and best choreography based on the number of likes compared to the number of views) may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viewer terminal 70 through the transmitter 53 . In this way, by providing about 1 to 3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it is possible to induce a better response and inquiry from viewers, thereby distributing more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워터마크 삽입부(54)는 수신부(51)에 수신된 음원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예를 들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워터마크 삽입부(54)는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종업계에 종사하는 자라면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주지의 기술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으리라 본다. 만약,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워터마크를 삽입하게 되면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워터마크 삽입부(54)는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mark insertion unit 54 inserts a watermark into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sound source part received by the receiving unit 51 .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is composed of three parts and two choreography videos are uploaded for each part, the watermark insertion unit 54 visually protects the choreography copyright for the choreography video. Insert an unrecognizable watermark. In this case, the watermark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choreographer's choreography video for each choreography video. Here, it is believed that those who work in the same industry can fully understand a method of inserting a watermark with well-known techniques. If a visually recognizable watermark is inserted, the embedded watermark can be removed using an image processing program. desirable.

결국, 워터마크 삽입부(54)에 의해 워터마크가 삽입된 음원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은 송신부(53)에 의해서 해당 제작자 단말(10)에게로 송신된다.As a result,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sound source part into which the watermark is inserted by the watermark insertion unit 54 ar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producer terminal 10 by the transmission unit 53 .

안무가 추천부(55)는 수신부(51)에서 안무가 추천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안무가 추천 요청과 함께 수신된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에 대한 특성(예컨대, 장르, 분위기, 비트(beat)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이 3개의 파트로 분절된 경우로 가정하여 부연설명한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의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에 매칭되는 단위 음원 파트를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무 컨텐츠(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무 매칭 데이터일 수 있음)중에서 추출한다. 여기서, 매칭은 100% 동일하면 가장 좋겠으나, 100% 동일한 것이 없을 경우에는 임계값 이상으로 유사한 것이 매칭된다고 할 수 있다. 상술한 임계값은 설정하기 나름이다. 그리고 나서, 안무가 추천부(55)는 추출된 단위 음원 파트의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시킨 안무가를 해당 파트의 안무가로 추천할 수 있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을 요청한 음원의 각각의 파트마다 한 명 이상의 안무가를 추천해 줄 수 있다.As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receiving unit 51,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eg, genre, atmosphere, beat, etc.) of the sound source that requires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ceived along with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We can recommend a suitable choreographer.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source that needs to be recommended by a choreographer is segmented into three parts.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identifies th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needs to be recommended by the choreographer, and a plurality of choreographers pre-stored in the database 40 for unit sound source parts matching th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each identified part. It is extracted from content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horeography matching data). Here, it is best if the matching is 100% identical, but when there is no 100% identical thing, it can be said that a similar thing is matched by more than a threshold value. The above-described threshold value is set depending on the setting. Then,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may recommend a choreographer who has uploaded a choreography video of the extracted unit sound source part as a choreographer for the corresponding part.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may recommend one or more choreographers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for which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is requested.

조회수 판단부(56)는 안무 조회 신청된 안무를 포함하는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의 조회수를 판단(계산)한다. 그에 따라, 제어부(58)는 조회수 판단부(56)에서 판단된 조회수에 근거하여 해당 음원의 전체 안무 영역에서 베스트 파트(킬링 파트; 포인트 파트라고도 함)를 파악할 수 있다.The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6 determines (calculates) the number of views of the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including the choreography for which the choreography inquiry has been request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8 may identify the best part (killing part; also referred to as a point part) in the entire choreography area of the sound source based on the number of hits determined by the hit number determination unit 56 .

수익 분배부(57)는 조회수 판단부(56)에서의 조회수에 근거하여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을 분배할 수 있다. 이때, 수익 분배부(57)는 수익이 발생될 때마다 수익 분배를 할 수도 있고 수익 분배 시점이 되면 수익을 분배할 수도 있다. 수익 분배부(57)에서의 수익 분배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distribute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who created the choreography video of the corresponding part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by the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6 . In this case,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distribute revenue whenever revenue is generated, or may distribute revenue when the timing of revenue distribution is reached. The revenue distribution method in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be various.

또한, 댄스 강의 요청이 있게 되면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그에 상응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되므로, 제어부(58)의 제어에 의해 수익 분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요청자(예컨대,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quest for a dance lecture, a streaming image for a dance lecture corresponding thereto among a plurality of streaming images for a dance lecture stored in the database 40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70 of the corresponding viewer, so that the control unit 58 Accordingly,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distribute the revenue for the dance instructo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streaming video for the dance lecture is sent to the requestor (eg, the viewer).

제어부(58)는 서버(5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58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rver 50 .

특히, 제어부(58)는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52)를 통해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안무 매칭 데이터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해당 안무 제작 대상인 음원의 분석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을 분석한 정보),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음원 내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 식별 정보 등), 및 시간구간 정보(예컨대, 음원내에서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58 may generate choreography matching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40 through the database manager 52 . Here, as described above,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clude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subject of the choreography (eg, genr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information), choreograp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part information in the sound source (eg, the choreography of the corresponding part). video identification information, etc.), and time section information (eg, time section information occupied by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the like.

그리고, 제어부(58)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송신부(53)를 통해 제작자 단말(10)에게로 보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58 may transmit the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to the producer terminal 10 through the transmitter 53 .

한편, 제어부(58)는 안무 컨텐츠(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무 매칭 데이터일 수 있음)를 기반으로, 시청자 단말(70)로부터의 다양한 요청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부가서비스(예컨대, 안무 조회 서비스, 댄스 강의 서비스 등)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58 based on the choreography content (more specifically, may b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ccording to various requests from the viewer terminal 70, corresponding additional services (eg, choreography inquiry service, dance lecture) service, etc.) can be controlled.

한편, 제어부(58)는 안무 컨텐츠(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무 매칭 데이터일 수 있음)를 기반으로, 제작자 단말(10)로부터의 안무가 추천 요청에 따라 최적의 안무가 추천을 제어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ntroller 58 may control an optimal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according to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from the producer terminal 10 based on the choreography content (more specifically, it may be choreography matching data).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안무 매칭 데이터 생성 및 안무 매칭 데이터 를 기초로 생성된 안무 컨텐츠의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설명에 채용되는 화면예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horeography matching data generation and a service process of choreography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and 5 are screens employed in the description of FIG. Yes.

먼저, 안무가는 자신의 단말(20)을 조작하여 서버(50)에 접속한 후에 회원 등록한다(S10). 예를 들어, 회원등록시 해당 안무가의 성명, 생년월일, ID, 패스워드, 창작가능한 안무 장르 등을 등록한다. First, the choreographer operates his/her terminal 20 to access the server 50 and then registers as a member (S10). For example,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the name of the choreographer, date of birth, ID, password, and the choreography genre that can be created are registered.

이와 같이 다수의 안무가가 서버(50)에 회원 등록된 상태에서, 컨텐츠 제작자는 자신의 단말(10; 제작자 단말)을 조작하여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2). 여기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은 안무가 안무되지 않은 순수한 음원 자체를 의미하고, 해당 제작자 단말(10)은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업로드할 때 해당 음원에 적합한 안무를 제작해 주기를 요청한다.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choreographers are registered as members in the server 50 , the content producer manipulates his or her terminal 10 (producer's terminal) to upload the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do (S12). Here,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means the pure sound source itself that is not choreographed, and the producer terminal 10 requests to produce a choreography suitable for the sound source when uploading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for choreography.

서버(50)는 수신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즉, 다수의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한다(S14). 여기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회원 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20)에게로 전송할 때, 서버(50)는 해당 음원내의 파트중에서 희망하는 파트에 대하여 안무를 창작하여 동영상을 업로드해 달라는 요청을 함께 보낸다.The server 50 transmits the received choreography target sound source (ie, a sound source segmented into multiple parts) to the terminals 20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S14). Here, when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which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to the terminals 20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the server 50 sends a request to create a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among the parts in the sound source and upload a video together. .

그에 따라, 안무가들은 자신의 단말(20)에 수신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을 확인한 후에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S16). 이때, 업로드되는 안무 동영상이 누구의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고유 정보도 함께 업로드된다.Accordingly, the choreographers check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received in their terminal 20, create a choreography for the desired part, and upload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to the server 50 (S16). At this time, unique information that enables identification of whose choreography video is uploaded is also uploaded.

이어, 서버(50)는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한다(S18). 예를 들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이 3개의 파트로 구성되고 각각의 파트별로 2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되었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서버(50)는 안무 동영상에 대한 안무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해서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는 워터마크를 삽입한다. 이때, 워터마크는 각각의 안무 동영상에 대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Next, the server 50 inserts a watermark into the upload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S18). For example, if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source for choreography production consists of three parts and two choreography videos are uploaded for each part, the server 50 can visually recognize the choreography video to protect the choreography copyright. Insert an absent watermark. In this case, the watermark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choreographer's choreography video for each choreography video.

그리고 나서, 서버(50)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 및 해당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S20)한 후에,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게로 송신한다(S22).Then, the server 50 stores (S20) in the database 40 at least one choreography video (ie, a video with a watermark)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production, and the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production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that is,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0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ducer (S22).

이후, 해당 컨텐츠 제작자는 음원내 파트별로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다(S24).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예컨대, Trippin)이 5개의 파트(파트 A, 파트 B, 파트 C, 파트 D, 파트 E)로 분절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컨텐츠 제작자가 파트 A에 대해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하기 위해 도 4에서의 파트 A 영역(60)을 클릭하면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는 도 5에서와 같은 인터페이스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5의 인터페이스 화면은 파트 A에 대해 4개의 안무 동영상(즉, 파트 A에 대해 4개의 안무 동영상이 업로드된 것임)이 선택사항으로 존재하는 것을 보여주는데, 컨텐츠 제작자는 4개의 안무 동영상을 각각 확인한 후에 그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하나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 선택에 상응하는 정보가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서 서버(50)에게로 전송된다.Thereafter, the content creator selects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S24).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a sound source (eg, Trippin) to be choreographed is segmented into 5 parts (part A, part B, part C, part D, and part E) as shown in FIG. 4 . In such a state, when the content creator clicks the part A area 60 in FIG. 4 to select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the part A, an interface screen as shown in FIG. 5 is displayed on the terminal 10 of the content producer. is displayed. The interface screen of FIG. 5 shows that 4 choreography videos for Part A (that is, 4 choreography videos are uploaded for Part A) are optional, and after the content creator checks each of the 4 choreography videos Choose one choreography video you like the most. Accordingl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ion of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0 of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ducer to the server 50 .

서버(50)는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즉,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다(S26). 즉,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이 선택됨에 따라, 하나의 음원에 대한 모든 파트의 안무가 결정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The server 50 stores information (ie, selection information) of selecting one or more desired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in the database 40 (S26). That is,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one or more desired choreography videos are selected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choreography, the choreography of all parts for one sound source is determined.

이후, 서버(50)는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한다(S28). 여기서, 안무 매칭 데이터는 해당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분석 정보(예컨대, 장르, 특성을 분석한 정보), 해당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음원 내 파트 정보(예컨대, 해당 파트의 안무 동영상 식별 정보 등), 및 시간구간 정보(예컨대, 음원내에서 각각의 파트가 차지하는 시간구간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erver 50 generates choreography match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target of the choreography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S28). Here,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clude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that is the subject of the choreography (eg, genre and characteristic analysis information), choreograp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part information in the sound source (eg, choreography video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art, etc.) ), and time section information (eg, time section information occupied by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and the like.

그리고, 서버(50)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한 후에,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한다(S30). 즉, 서버(50)는 컨텐츠 제작자가 안무 제작의뢰한 음원에 대한 안무 컨텐츠(즉, 안무 매칭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안무 컨텐츠)를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10)에게로 전송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서버(50)는 안무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할 수도 있다.Then, after storing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the database 40, the server 50 provides a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S30). That is, the server 50 transmits the choreography content (ie,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for the sound source requested by the content producer to the terminal 10 of the content producer. Of course, if necessary, the server 50 may store the choreography content in the database 40 .

그에 따라, 컨텐츠 제작자는 안무 컨텐츠를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업로드할 수 있다. 물론, 서버(50)는 컨텐츠 제작자의 요청이 있게 되면 해당 컨텐츠 제작자를 대신하여 안무 컨텐츠를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업로드해줄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ntent creator can upload the choreography content to TikTok, Instagram, YouTube, or the like. Of course, when there is a request from a content producer, the server 50 may upload the choreography content to TikTok, Instagram, YouTube, etc. on behalf of the content producer.

그러면 시청자들(댄스 인플루언서(dance influencer) 포함)은 안무 컨텐츠를 보고서 안무를 따라 추면서 배우게 될 것이다. 또한, 시청자들은 자신이 따라 춘 안무(춤)를 촬영하여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직접 업로드할 수도 있다. 물론, 서버(50)는 시청자가 안무 컨텐츠를 보고 따라 춘 자신의 춤 영상을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하면 해당 시청자를 대신하여 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에 업로드해 줄 수 있다.Then viewers (including dance influencers) will see the choreography content and learn by following the choreography. In addition, viewers can film their own choreography (dance) and upload it directly to TikTok, Instagram, YouTube, etc. Of course, when a viewer uploads a video of his/her dance followed by watching the choreography content to the server 50, the server 50 may upload it to TikTok, Instagram, YouTube, etc. on behalf of the viewer.

이하에서는,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행해지는 안무 조회 서비스, 댄스 강의 서비스, 안무가 추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horeography inquiry service, a dance lecture service, and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service performed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will be described.

먼저, 안무가 추천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service will be described.

안무가 추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제작자 단말(1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가 추천 요청(즉, 소정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된 음원 포함)을 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안무가 추천 요청은 제작자 단말(10) 이외로 안무가 단말(20) 또는 시청자 단말(70)에서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안무가 단말(20) 또는 시청자 단말(70)은 안무가 추천 요청시 소정의 단위 음원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함께 보내야 한다.In order to receive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service, the producer terminal 10 makes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ie, including the sound source segmented into a predetermined unit sound source part)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If necessary,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may be made in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or the viewer terminal 70 in addition to the producer terminal 10 . In this case, the choreographer terminal 20 or the viewer terminal 70 must send the sound source segmented into a predetermined unit sound source part together when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is requested.

그에 따라, 서버(50)의 수신부(51)는 안무가 추천 요청을 수신하게 되고, 안무가 추천 요청과 함께 수신된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이 안무가 추천부(55)에게로 전송된다.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51 of the server 50 receives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and the sound source requiring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ceived along with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quest is transmitted to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

안무가 추천부(55)는 수신된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에 대한 특성(예컨대, 장르, 분위기, 비트(beat) 등)을 파악하여 적절한 안무가를 추천한다.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recommends an appropriate choreographer by identifying the received characteristics (eg, genre, atmosphere, beat, etc.) of a sound source that needs to be recommended by a choreographer.

예를 들어,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이 3개의 파트로 분절된 경우로 가정하여 부연설명한다. 안무가 추천부(55)는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의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각각의 파트의 음원 특성에 매칭되는 단위 음원 파트를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안무 컨텐츠중에서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안무가 추천부(55)는 추출된 단위 음원 파트의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시킨 안무가를 해당 파트의 안무가로 추천한다. For example, it is assumed that the sound source that needs to be recommended by a choreographer is segmented into three parts.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identifies th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needs to be recommended by the choreographer, and a plurality of choreographers pre-stored in the database 40 for unit sound source parts matching the sound source characteristics of each identified part. Extract from content. Then, the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5 recommends the choreographer who uploaded the choreography video of the extracted unit sound source part as the choreographer of the corresponding part.

이번에는, 안무 조회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This time, the choreography inquiry service will be described.

시청자 단말(70)이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안무 조회 신청을 한다. 이때, 시청자 단말(70)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예컨대, 안무가 성명 및/또는 태그), 해당 안무 동영상이 포함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을 입력한다. The viewer terminal 70 requests a choreography inquiry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At this time, the viewer terminal 70 inpu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horeographer name and/or tag) of the choreography video to be inquired, the song name and singer name of the sound source including the choreography video.

그에 따라, 서버(50)의 수신부(51)는 안무 조회 신청(예컨대,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가 안무되어 있는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을 포함)을 수신하고, 수신한 안무 조회 신청을 제어부(58)에게로 보낸다.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51 of the server 50 receives the choreography inquiry request (eg, including the song name and singer name of the sound source in which the choreography to be inquired is choreographed), and sends the received choreography inquiry request to the control unit 58 send to

제어부(58)는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 또는 조회 대상인 안무 동영상이 포함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과 일치하는 안무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40)에서 추출한 후에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보낸다. 물론, 이 경우에 조회수 판단부(56)는 해당 안무 컨텐츠의 조회수를 +1 증가시킨다. 수익 분배부(57)는 수익 분배 시점에 조회수 판단부(56)의 해당 안무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 및 안무 매칭 데이터에 따라 해당 안무 컨텐츠의 음원의 파트별 안무 동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8 extracts the choreography content match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oreography video to be inquired or the song name and singer name of the sound source including the choreography video to be inquired from the database 40, and then through the transmitter 53 to the viewer terminal 70 ) is sent to Of course, in this case, the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6 increases the number of views of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content by +1.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distributes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who created the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of the choreography content according to the number of hits and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for the choreography content of the hit number determination unit 56 at the time of revenue distribution. can

이와 다른 방법으로는, 안무 조회 신청이 있게 되면 제어부(58)는 안무 조회 신청과 함께 입력된 조회하고자 하는 안무 동영상의 식별정보 또는 조회 대상인 안무 동영상이 포함된 음원의 곡명 및 가수명 등에 따라 데이터베이스(40)에 저장되어 있는 안무 컨텐츠에서 해당 음원의 파트별로 최고의 안무(예컨대, 조회수가 가장 많은 안무 또는 조회수 대비 좋아요가 가장 많은 안무)를 모은 풀(full) 영상(즉, 단위 음원 파트별 영상의 집합)을 컨텐츠화하여 송신부(53)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에 따라, 송신부(53)는 입력받은 해당 컨텐츠를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송신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추가적으로 제어부(58)는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예컨대, 조회수 기준의 베스트 안무, 조회수 대비 좋아요 기준의 베스트 안무)를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 단말(70)에게로 보낼 수 있다. 그러면 해당 시청자 단말(70)에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은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6의 화면에서, 해당 시청자가 풀 영상 영역(80)에서 안무를 보고자 하는 또는 배우고자 하는 영상을 선택하면 그에 상응하는 신호(즉, 선택 신호 또는 조회 신호라고 함)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전송되고, 서버(50)는 해당 시청자가 선택된 영상을 재생시켜 준다. 이때, 서버(50)의 조회수 판단부(56)는 재생된 영상에 대한 조회수를 +1 증가시킬 것이다. 이 경우에도, 수익 분배부(57)는 수익 분배 시점에 조회수 및 안무 매칭 데이터에 따라 해당 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할 수 있다. Alternatively, when there is a choreography inquiry application, the control unit 58 controls the database 40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horeography video to be inquired or the song name and singer name of the sound source including the choreography video to be inquired, which is input together with the choreography inquiry application. ) from the choreography contents stored in ), the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eg, the choreography with the most views or the choreography with the most likes compared to the number of views) is a full video (i.e., a set of images for each unit sound source part) can be converted into content and sent to the transmitter 53 . Accordingly, the transmitter 53 may transmit the received corresponding content to the corresponding viewer terminal 7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8 additionally transmits about 1 to 3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eg, the best choreography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the best choreography based on the number of likes compared to the number of views) through the transmitter 53 to the corresponding viewer. may be sent to the terminal 70 . Then, the screen as illustrated in FIG. 6 may be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viewer terminal 70 . In the screen of FIG. 6 , when the viewer selects an image to see or learn choreography in the full image area 80 , a corresponding signal (that is, referred to as a selection signal or inquiry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network 30 .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50, and the server 50 plays the image selected by the viewer. At this time, the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6 of the server 50 will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for the reproduced image by +1. Even in this case,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distribute the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who created the video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s and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t the time of revenue distribution.

추가적으로, 해당 시청자 단말(70)에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해당 시청자가 안무 조회 신청한 해당 음원의 각각의 파트별로 1 ~ 3개 정도의 베스트 안무(예컨대, 조회수 기준의 베스트 안무, 조회수 대비 좋아요 기준의 베스트 안무)가 디스플레이되므로, 희망하는 파트의 베스트 안무를 선택하여 재생시켜 볼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서버(50)의 조회수 판단부(56)는 재생된 영상에 대한 조회수를 +1 증가시킬 것이다. 이때에도, 서버(50)의 조회수 판단부(56)는 재생된 영상에 대한 조회수를 +1 증가시킬 것이다. 이 경우에도, 수익 분배부(57)는 수익 분배 시점에 조회수 및 안무 매칭 데이터에 따라 해당 영상을 창작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할 수 있다. Additionally, as illustrated in FIG. 6 , in the viewer terminal 70 , about 1 to 3 best choreography for each part of the corresponding sound source for which the viewer applied for a choreography inquiry (eg, the best choreography based on the number of views, good compared to the number of views) standard) is displayed, so you can select and play the best choreography for the desired part. Even in this case, the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6 of the server 50 will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for the reproduced image by +1. Even at this time, the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6 of the server 50 will increase the number of views for the reproduced image by +1. Even in this case,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distribute the revenue to the choreographer who created the video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s and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t the time of revenue distribution.

마지막으로, 댄스 강의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Finally, the dance lecture service will be described.

시청자 단말(70)은 네트워크(30)를 통해 서버(50)에게로 댄스 강의 요청을 한다. 댄스 강의 요청시, 시청자 단말(70)은 희망하는 댄스 강사명 및/또는 곡명을 함께 입력한다. The viewer terminal 70 requests a dance lecture to the server 50 through the network 30 . When requesting a dance lecture, the viewer terminal 70 inputs a desired dance instructor name and/or a song name together.

그에 따라, 서버(50)의 수신부(51)는 댄스 강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58)에게로 보낸다.Accordingly, the receiving unit 51 of the server 50 receives the dance lecture request, and sends it to the control unit 58 .

제어부(58)에서 판단 결과, 댄스 강사명 및 곡명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입력받은 댄스 강사명 및 곡명과 일치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도 7 참조)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해당 시청자는 자신의 단말(70)의 화면에 나타나는 댄스 강사(90)의 춤을 따라 배우게 된다. 여기서, 댄스 수강자가 자신이 따라 추고 있는 안무(춤)에 대하여 댄스 강사의 피드백을 받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추고 있는 안무(춤)를 촬영한 영상(즉, 피드백용 영상)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서버(50)는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을 댄스 강사의 단말(도시 생략)에게로 보내면 댄스 강사는 영상씬 별로 보정 사항에 대해 피드백해 주는데,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댄스 수강자(시청자)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70)상에서 어느 한 모션에 대한 댄스 강사의 피드백이 있음을 나타내는 영역(95)을 선택하면 댄스 수강자의 단말(70)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댄스 강사가 해당 영상씬(즉, 모션씬)에 대한 보정 사항을 피드백해 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댄스 수강자는 해당 영상씬에 대하여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댄스 강사가 피드백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수익 분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와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58, if the name of the dance instructor and the name of the song are input, the control unit 58 for a dance lecture that matches the name of the dance instructor and the song receiv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treaming images for dance lectures stored in the database 40 in advance. The streaming image (refer to FIG. 7 )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70 of the corresponding viewer through the transmitter 53 . Accordingly, the viewer learns along the dance of the dance instructor 90 appearing on the screen of his/her terminal 70 . Here, when a dance participant wants to receive feedback from a dance instructor about the choreography (dance) that he is following, he/she sends a video (that is, a video for feedback) of the choreography (dance) he is dancing to the server 50 upload to The server 50 sends the dance instructor's feedback video to the dance instructor's terminal (not shown), and the dance instructor feeds back on corrections for each video scene. can For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dance participant (viewer) selects an area 95 indicating that there is a dance instructor's feedback for any one motion on his/her terminal 70 as illustrated in FIG. 8 , the dance participant's terminal ( 70), as shown in FIG. 9 , the content that the dance instructor fed back corrections for the corresponding image scene (ie, motion scene)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dance learner can check the content that the dance instructor gave feedback to the corresponding video scene in one or more of text, audio, and video.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perform revenue distribution for the corresponding dance instructo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is sent to the viewer and revenue distribution for the choreographer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한편으로, 제어부(58)에서 판단 결과, 댄스 강사명만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입력받은 댄스 강사명과 일치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즉,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한다. 시청자의 단말(70)이 다수개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시청자는 희망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자신의 단말(70)의 화면에 나타나는 댄스 강사(90)의 춤을 따라 배우게 된다. 여기서, 댄스 수강자가 자신이 따라 추고 있는 안무(춤)에 대하여 댄스 강사의 피드백을 받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추고 있는 안무(춤)를 촬영한 영상(즉, 피드백용 영상)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서버(50)는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을 댄스 강사의 단말(도시 생략)에게로 보내면 댄스 강사는 영상씬 별로 보정 사항에 대해 피드백해 주는데,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댄스 수강자(시청자)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70)상에서 어느 한 모션에 대한 댄스 강사의 피드백이 있음을 나타내는 영역(95)을 선택하면 댄스 수강자의 단말(70)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댄스 강사가 해당 영상씬(즉, 모션씬)에 대한 보정 사항을 피드백해 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댄스 수강자는 해당 영상씬에 대하여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댄스 강사가 피드백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수익 분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와,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수행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determination by the control unit 58, if only the name of the dance instructor is input, the control unit 58 for a dance lecture that matches the name of the dance lecturer receiv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treaming images for a dance lecture pre-stored in the database 40 The image (that is, there may be more than on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70 of the corresponding viewer through the transmitter 53 . When the viewer's terminal 70 receives a plurality of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the viewer selects a desired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Accordingly, the user learns along the dance of the dance instructor 90 appearing on the screen of his/her terminal 70 . Here, when a dance participant wants to receive feedback from a dance instructor about the choreography (dance) that he is following, he/she sends a video (that is, a video for feedback) of the choreography (dance) he is dancing to the server 50 upload to The server 50 sends the dance instructor's feedback video to the dance instructor's terminal (not shown), and the dance instructor feeds back on corrections for each video scene. can For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dance participant (viewer) selects an area 95 indicating that there is a dance instructor's feedback for any one motion on his/her terminal 70 as illustrated in FIG. 8 , the dance participant's terminal ( 70), as shown in FIG. 9 , the content that the dance instructor fed back corrections for the corresponding image scene (ie, motion scene)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dance learner can check the content that the dance instructor gave feedback to the corresponding video scene in one or more of text, audio, and video.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perform revenue distribution to the corresponding dance instructo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streaming video for dance lectures are sent to viewers, and revenue distribution to the choreographer based on choreography matching data.

다른 한편으로, 제어부(58)에서 판단 결과, 곡명만을 입력받은 경우라면, 제어부(58)는 데이터베이스(40)에 기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중에서 입력받은 곡명과 일치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즉, 하나 이상일 수 있음)을 송신부(53)를 통해 해당 시청자의 단말(70)에게로 전송한다. 시청자의 단말(70)이 다수개의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수신하였을 경우에는 해당 시청자는 희망하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선택한다. 그에 따라 해당 시청자는 자신의 단말(70)의 화면에 나타나는 댄스 강사(90)의 춤을 따라 배우게 된다. 여기서, 댄스 수강자가 자신이 따라 추고 있는 안무(춤)에 대하여 댄스 강사의 피드백을 받고자 할 때에는, 자신이 추고 있는 안무(춤)를 촬영한 영상(즉, 피드백용 영상)하여 서버(50)에게로 업로드한다. 서버(50)는 댄스 수강자의 피드백용 영상을 댄스 강사의 단말(도시 생략)에게로 보내면 댄스 강사는 영상씬 별로 보정 사항에 대해 피드백해 주는데,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피드백을 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댄스 수강자(시청자)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단말(70)상에서 어느 한 모션에 대한 댄스 강사의 피드백이 있음을 나타내는 영역(95)을 선택하면 댄스 수강자의 단말(70)에는 도 9에서와 같이 댄스 강사가 해당 영상씬(즉, 모션씬)에 대한 보정 사항을 피드백해 준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댄스 수강자는 해당 영상씬에 대하여 텍스트, 음성, 영상중에서 하나 이상으로 댄스 강사가 피드백한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수익 분배부(57)는 댄스 강의용 스트리밍 영상을 시청자에게 보낸 회수를 근거로 해당 댄스 강사에 대한 수익 분배와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한 안무가에 대한 수익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by the controller 58 that only the song name is input, the controller 58 controls the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that matches the name of the received song from among a plurality of streaming images for a dance lecture pre-stored in the database 40 . (ie, there may be more than one)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70 of the corresponding viewer through the transmitter 53 . When the viewer's terminal 70 receives a plurality of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the viewer selects a desired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Accordingly, the viewer learns to follow the dance of the dance instructor 90 appearing on the screen of his/her terminal 70 . Here, when a dance participant wants to receive feedback from a dance instructor about the choreography (dance) that he is following, he/she sends a video (that is, a video for feedback) of the choreography (dance) he is dancing to the server 50 upload to The server 50 sends the dance instructor's feedback video to the dance instructor's terminal (not shown), and the dance instructor feeds back on corrections for each video scene. can For example, when the corresponding dance participant (viewer) selects an area 95 indicating that there is a dance instructor's feedback for any one motion on his/her terminal 70 as illustrated in FIG. 8 , the dance participant's terminal ( 70), as shown in FIG. 9 , the content that the dance instructor fed back corrections for the corresponding image scene (ie, motion scene) is displayed. In this case, the dance learner can check the content that the dance instructor gave feedback to the corresponding video scene in one or more of text, audio, and video.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revenue distribution unit 57 may perform revenue distribution for the corresponding dance instructor based on the number of times the streaming video for a dance lecture is sent to the viewer and revenue distribution for the choreographer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제작자 단말 20 : 안무가 단말
30 : 네트워크 40 : 데이터베이스
50 : 서버 51 : 수신부
52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53 : 송신부
54 : 워터마크 삽입부 55 : 안무가 추천부
56 : 조회수 판단부 57 : 수익 분배부
58 : 제어부
10: producer terminal 20: choreographer terminal
30: network 40: database
50: server 51: receiver
52: database management unit 53: transmission unit
54: watermark insertion unit 55: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unit
56: number of views determination unit 57: revenue distribution unit
58: control unit

Claims (8)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서비스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로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즉, 다수의 파트로 분절된 음원)을 회원 등록되어 있는 모든 안무가의 단말에게로 전송하는 기능;
안무가들이 자신의 단말에 수신된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희망하는 파트에 대한 안무를 창작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 동영상을 업로드할 경우 업로드받은 파트별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능;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 및 해당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즉, 워터마크가 삽입된 동영상)을 해당 컨텐츠 제작자의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
제작자가 음원내 파트별로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을 선택할 경우 희망하는 안무 동영상 선택에 상응하는 정보가 서버로 전송되는 기능;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의 파트별로 희망하는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즉, 선택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
선택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안무 제작대상인 음원에 대응하는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 및
안무 매칭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 후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안무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안무 컨텐츠 기반의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s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s that can provide various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s,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ound source (ie, a sound source segment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o be choreographed to the terminals of all registered choreographers;
a function of inserting a watermark into the upload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when choreographers create a choreography for a desired part on a sound source received in their terminal and upload a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a function of storing, in a database, a sound source to be choreographed and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hat is,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a function of transmitting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o be produced (that is, a video with a watermark inserted) to a terminal of a corresponding content producer;
When the producer selects a desired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choreography video selection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 function of storing information (ie, selection information) of selecting one or more desired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a sound source that is a choreography production target in a database;
a function of generating choreography matching data corresponding to a sound source that is a target of a corresponding choreography based on the selection information;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including a function of providing a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fter storing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a databas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는 상기 음원의 분석 정보, 상기 음원내 파트별 안무가 식별정보, 상기 음원내 파트 정보, 및 시간구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cludes analysis information of the sound source, choreograph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ach part in the sound source, part information in the sound source, and time section inform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음원 및 상기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음원의 파트별로 하나의 안무 동영상을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고, 안무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
상기 음원을 회원등록된 모든 안무가의 단말에게로 송신하고, 상기 업로드받은 상기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자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안무 매칭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안무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능;
상기 안무 추천 요청에 따라, 상기 안무 컨텐츠를 기반으로 안무가 또는 안무 컨텐츠 추천을 행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The method of claim 1,
The server is
a function of receiving the sound source and at least one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receiving information on selecting one choreography video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and receiving a choreography recommendation request;
a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ound source to terminals of all choreographers registered as members, and transmitting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uploaded sound source to a producer terminal;
a function of generating and storing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in the database, and providing the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the choreography matching data;
and a function of recommending a choreographer or choreography content based on the choreography content in response to the choreography recommendation reques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을 행하는 기능은,
상기 안무 추천 요청과 함께 수신된 안무가 추천이 필요한 음원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상응하는 안무가 또는 안무 컨텐츠를 추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to make the above recommendation is
and recommending a choreographer or choreography content corresponding thereto by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a sound source that requires a choreographer recommendation received together with the choreography recommendation reques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무 추천 요청을 수신하는 기능은,
수신된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에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워터마크 삽입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choreography recommendation request is,
The recording medium further comprising a watermark insertion function for inserting a watermark into one or more choreography moving pictures for each part received.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마크는 해당 안무 동영상이 어느 안무가의 안무 동영상인지를 의미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atermark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which choreographer's choreography video is the corresponding choreography video.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자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워터마크가 삽입된 상기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상기 제작자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o the producer terminal is,
and a function of transmitting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into which the watermark is inserted to the producer terminal.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음원의 파트별 하나 이상의 안무 동영상을 제작자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은,
상기 안무 컨텐츠를 상기 제작자 단말에게로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one or more choreography videos for each part of the sound source to the producer terminal is,
and transmitting the choreography content to the producer terminal.
KR1020200024913A 2020-02-28 2020-02-28 Recording Medium KR2021010982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13A KR20210109829A (en) 2020-02-28 2020-02-28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913A KR20210109829A (en) 2020-02-28 2020-02-28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829A true KR20210109829A (en) 2021-09-07

Family

ID=77797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913A KR20210109829A (en) 2020-02-28 2020-02-28 Recording Mediu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829A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8920A (en) 2006-02-14 2006-03-02 이갑형 A mobile dance teaching system
KR100762585B1 (en) 2005-07-13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music synchronization based on dancing
KR20150008345A (en) 2013-07-13 2015-01-22 (주)앤에스티 Online dance training system
KR101729195B1 (en) 2014-10-16 2017-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Choreography Database based on Motion Inquiry
KR102013577B1 (en) 2015-09-14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choreograph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585B1 (en) 2005-07-13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of music synchronization based on dancing
KR20060018920A (en) 2006-02-14 2006-03-02 이갑형 A mobile dance teaching system
KR20150008345A (en) 2013-07-13 2015-01-22 (주)앤에스티 Online dance training system
KR101729195B1 (en) 2014-10-16 2017-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Choreography Database based on Motion Inquiry
KR102013577B1 (en) 2015-09-14 2019-08-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Apparatus and method for designing choreograph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5955호(안무 저작권 시스템에서 동작동기화 및 상호간섭작용 구현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632B1 (en) Enhanced video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distributed community network
TW504934B (en) Enhanced video programming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a shared whiteboard
JP2001175688A (en) Level-improved video programm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user profile information
JP2008096482A (en) Receiving terminal, network learning support system, receiving method, and network learning support method
KR20210109832A (en) Progra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CN114631324A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elivery of targeted content in streaming content
KR2021010985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KR20210109829A (en) Recording Medium
KR20210109825A (en) Recording Medium
KR20210109821A (en) Recording Method
KR20210109848A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40A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43A (en)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28A (en) Progra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41A (en)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22A (en) Program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4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09837A (en)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
KR20210120636A (en) Apparatus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s
KR20210120592A (en) Method for providing supplementary services based on choreography contents
KR20210120648A (en) Method for providing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KR20210109836A (en) Program for providing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KR20210109833A (en) Recording Medium
KR20210109849A (en) Method for providing choreography content service
KR101495618B1 (en) Method for Operating Multimedia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