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794A - Wet air cleaner - Google Patents

Wet air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794A
KR20210109794A KR1020200024829A KR20200024829A KR20210109794A KR 20210109794 A KR20210109794 A KR 20210109794A KR 1020200024829 A KR1020200024829 A KR 1020200024829A KR 20200024829 A KR20200024829 A KR 20200024829A KR 20210109794 A KR20210109794 A KR 2021010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air
water
air purifi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8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9551B1 (en
Inventor
이지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토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토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토너스
Priority to KR1020200024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551B1/en
Publication of KR2021010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5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24F2006/1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using pressurised air for spr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Provided is a wet type air purifier, which comprises: an air suction unit sucking outdoor air to the inside of the wet type air purifier; an air purification unit purifying contaminants of the outdoor air sucked by the air suction unit; and an air discharge unit discharging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unit. The air purification unit comprises: a water tank storing washing water; and a washing water injector inject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orm the water tank. The washing water injected from the washing water injector comes in contact with the air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thereby collecting the contaminants of the air in the washing water and allowing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contaminants to collide with an inner wall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to be returned to the water tank.

Description

습식 공기 청정기 {Wet air cleaner}Wet air cleaner {Wet air cleaner}

본 발명은 습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너지 효율의 최적화 등을 위한 기술적 특징이 적용된 습식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ai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air purifier to which technical features for optimizing energy efficiency and the like are applied.

대기 중의 공기에는 세균, 병원균, 곰팡이, 모래, 유해가스, 연기, 먼지, 기름성분, 수분, 타이어분진, 꽃가루 및 0.1μm 크기보다 작은 미세먼지, 및 냄새 입자를 포함한 오염물질이 혼합되어 있다.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오염 물질이 제거된 청정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청정기는 생활냄새 제거, 진드기, 꽃가루, 애완동물 털 등 작은 입자 제거, 공기 감염으로 인한 질병예방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질 수 있다.Contaminants including bacteria, pathogens, mold, sand, noxious gases, smoke, dust, oil components, moisture, tire dust, pollen, fine dust smaller than 0.1 μm, and odor particles are mixed in the air in the atmosphere. The air purifier may discharge clean air from which pollutants are removed by removing pollutants in the air.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may have various functions, such as removal of living odors, removal of small particles such as mites, pollen, and pet hair, and prevention of diseases caused by air infection.

공기 청정기는 크게 건식 공기 청정기와 습식 공기 청정기로 구분된다. 그리고 건식 공기 청정기는 크게 기계식 필터 공기 청정기와 전기집진식 공기 청정기로 구분된다.Air purifiers are largely divided into dry air purifiers and wet air purifiers. And dry air purifiers are largely divided into mechanical filter air purifiers and electrostatic precipitation air purifiers.

기계식 필터 공기 청정기는 분진이 함유된 공기가 유인되면, 필터에 분진이 누적되어 공기청정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터를 장기간 사용할 경우, 병원균이 필터에 번식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기계식 필터 공기 청정기는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며, 폐기된 필터로 인한 환경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Mechanical filter air purifiers have a problem in that, when air containing dust is attracted, dust accumulates in the filter, thereby reducing air cleaning efficiency. In addition, when the filter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a risk that pathogens may propagate in the filter. Therefore, the mechanical filter air purifier has to periodically replace the filter,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may occur due to the discarded filter.

전기집진식 공기 청정기는 1μm 이하의 비전도성 미세입자에 대한 공기정화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이온을 발생하는 공기 청정기는 인체에 유해한 오존을 발생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ion type air purifier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air purification efficiency for non-conductive fine particles of 1 μm or less is low. In addition, an air purifier that generates negative ions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generate ozone harmful to the human body.

습식 공기 청정기는 흡입된 공기를 고속 회전하는 세척수 분사기에 의하여 비산된 물에 접촉시켜 오염물질을 물에 침전시킴으로써, 공기를 정화한다. 그리고 습식 공기 청정기는 오염 물질이 포집된 세정수를 원심분리하여 공기를 정화한다. 습식 공기 청정기는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으며, 가습기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wet air purifier purifies the air by contacting the sucked air with water scattered by a high-speed rotating washing water sprayer to precipitate contaminants in the water. In addition, the wet air purifier purifies the air by centrifuging the washing water in which the contaminants are collected. Wet air purifiers do not need to change filters, make less noise, and have the advantages of being able to function as a humidifier.

본 명세서에서 습식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소수성 소재를 사용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 또한 압전 소자를 사용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 또한 컴프레서를 이용한 열조절이 가능한 습식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A wet air purifier is provided herein. More specifically, a wet air purifier using a hydrophobic material is provided. Also provided is a wet air purifier using a piezoelectric element. In addition, a wet air purifier capable of thermal control using a compressor is provided.

본 개시에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습식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의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공기 정화부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탱크, 및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공기 정화부의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세척수에 공기의 오염 물질이 포집되고, 상기 오염 물질을 포집한 세척수가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벽에 충돌하고, 상기 물 탱크로 회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가 제공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n air intake unit that sucks external air into the wet air purifier, an air purifier that purifies pollutants of external air sucked in by the air intake unit, and an air purifier that is purified by the air purifier and an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air, wherein the air purification unit includes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and a washing water sprayer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nd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injector is the air. Wet air, characterized in that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air of the purification unit, air pollutants are collect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pollutants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and returns to the water tank. A purifier is provid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벽은, 소수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오염 물질을 포집한 세척수가 상기 내부벽에 흡착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so that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contaminants is not adsorbed to the inner wall.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벽은, 상기 오염 물질을 포집한 세척수와 충돌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기키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er includes a piezoelectric element for generating electric energy by colliding with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contaminant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 분사기는, 소수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분사기에 흡착되지 않는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sprayer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not adsorbed to the washing water spray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습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세척수 분사기와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액화함으로써, 상기 세척수 분사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응축기, 및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비산된 냉매를 기화함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t air purifier is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and liquefi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thereby supply thermal energy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by liquefying the condenser, and the air discharge unit to vaporize the scattered refrigerant. By doing so, it may include an evaporator that absorbs thermal energy from the air outle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습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증발기의 열에너지 흡수량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프로세서의 의하여 결정된 열에너지 흡수량에 따라, 열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et air purifier includes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heat energy absorbed by the evaporator to adjust 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wherein the evaporato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hermal energy may be absorbed from the air exhaust un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absorbed by the processo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흡입부는, 공기 흡입을 위한 임펠러와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임펠러로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intake unit includes an impeller for air suction and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impeller, and the impeller sprays the washing water as the impeller rotates. It may include a nozzle that doe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정화부는, 2개 이상의 세척수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two or more washing water sprayers.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세척수 분사기는, 상기 세척수의 분사 방향과 분사 속도를 조절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분사 노즐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에 대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원심 임펠러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shing water sprayer may include a spray nozzle for controlling a spraying direction and a spraying speed of the washing water, and a centrifugal impeller for generating water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washing wa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pray nozzle is loc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 노즐은, 윗면보다 아랫면이 넓은 기둥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세척수가 측면의 미세 구멍으로 소정의 각도로 분사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ray nozzle has a pillar shape with a lower surface wider than an upper surface, and the washing water is designed to be spray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to the fine holes on the side, and the predetermined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90 degrees It can be characterized as small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분사 노즐은,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세척수가 측면의 미세 구멍으로 측면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pray nozzle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design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in a lateral direction through minute holes on the side surfac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 탱크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tank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when the contamination level of the washing water sens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물 탱크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방류되고, 새로운 세척수가 상기 물 탱크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tank includes a sensor for detecting a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and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discharged and , fresh washing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습식 공기 청정기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습식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 능력 및 에너지 효율이 향상되고, 공기 청정기의 내부벽에 오염 물질이 침전된 세척수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wet air purifier provided herein, the air purifying ability and energy efficiency of the wet air purifier may be improved, and it may be possible to prevent adsorption of washing water having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er.

도 1은 습식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추상화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내부벽 및/또는 세척수 분사기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 구조의 내부벽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내부벽에 구비된 압전 소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상측으로 세척수를 비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부가 설명된다.
도 5는 측면으로 세척수를 비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부가 설명된다.
도 6은 복수의 공기 정화부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추상화한 구조도이다.
도 7은 컴프레서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추상화한 구조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다른 도면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한,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abstrac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wet air purifier.
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inner wall and/or an inner wall of a micro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a washing water sprayer.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an inner wall.
4 illustrates an air purifying unit that purifies air by scattering washing water upward.
5 illustrates an air purifying unit that purifies air by scattering washing water to the side.
6 is an abstract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et air purifier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7 is a structural diagram abstrac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wet air purifier including a compress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element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omitted unless described in other drawings.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only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은 습식 공기 청정기(1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추상화한 구조도이다.1 is a structural diagram abstrac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wet air purifier 100 .

습식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 흡입부(110), 공기 정화부(120), 및 공기 배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습식 공기 청정기(100)는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정화에 필요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The wet air purifier 100 may include an air intake unit 110 , an air purification unit 120 , and an air discharge unit 130 . The wet air purifier 1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mponent necessary for air pur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공기 흡입부(110)는 습식 공기 청정기(10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한다. 공기 흡입부(110)는 공기 흡입을 위한 임펠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습식 공기 청정기(100)는 내부에 회전축(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 임펠러가 설치될 수 있다. 임펠러의 회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The air intake unit 110 suck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wet air purifier 100 . The air intake unit 110 may include an impeller (not shown) for air intake. The wet air purifier 100 may include a rotating shaft (not shown) therein. And an impeller may be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By rotation of the impeller, air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일 실시 예에 따라, 공기 흡입부(110)는 임펠러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110)의 임펠러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임펠러의 날개 끝에 형성되어, 임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세척수가 공기 중에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흡입부(110)는 워터 필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흡입부(110)에서 1차적으로 정화된 공기가 공기 정화부(120)에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intake unit 110 may include a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shing water to the impeller. And the impeller of the air suction unit 110 may include a spray nozzle for spraying washing water. The spray nozzle is formed at the wing tip of the impeller, and as the impeller rotates, the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into the air. Accordingly, the air intake unit 110 may serve as a water filter. In addition, the air primarily purified by the air intake unit 1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

공기 정화부(120)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워터 필터로 구성된다. 공기 정화부(120)의 워터 필터는 내부벽(122), 세척수 분사기(124), 물탱크(126)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정화부(120)의 워터 필터는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includes a water filter that purifies air by spraying washing water. The water filter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n inner wall 122 , a washing water sprayer 124 , and a water tank 126 .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filter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may additionally include other components.

세척수 분사기(124)는 물탱크(126)와 연결되어, 물탱크(126)로부터 세척수 분사기(124)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기(124)는 회전축에 설치되며, 모터 등 동력 수단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기(124)는 원심 임펠러와 분사 노즐로 구성될 수 있다. 원심 임펠러에 의하여 분사 방향으로 세척수에 압력을 가하여, 세척수가 분사되기 충분한 정도의 수압이 분사 노즐이 위치한 방향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미세한 구멍이 뚫린 노즐에 의하여, 작은 물방울 형태의 세척수가 소정의 방향으로 분사된다. 분사 노즐은 원심 임펠러가 발생하는 수압에 따라, 적정한 분사 속도 및 분사 방향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노즐의 구멍의 크기 및 개수가 설계될 수 있다.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is connected to the water tank 126 , and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126 to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 And the washing water injector 124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and may be rotated by a power means such as a motor.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may include a centrifugal impeller and a spray nozzle. By applying pressure to the washing water in the injection direction by the centrifugal impeller, a water pressure sufficient to spray the washing water is gener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jection nozzle is located. Then, the washing water in the form of small water droplets is sprayed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the nozzle having a fine hole. In the spray nozzle, the size and number of holes of the nozzle may be designed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sprayed at an appropriate spray speed and spray direction according to the water pressure generated by the centrifugal impeller.

공기의 오염물질이 침전된 세척수는 내부벽(122)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물탱크(126)로 포집된다.Washing water in which air contaminants are deposited is collected along the inner wall 122 and into the water tank 126 by gravity.

세척수 분사기(124)에서 분사된 세척수의 일부가 내부벽(122)에 부딪친 후, 물탱크(126)로 흘러가지 않고, 내부벽(122)에 흡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내부벽(122)에 흡착된 오염된 세척수에 의하여 습식 공기 청정기(100)에 세균 및 곰팡이가 번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벽(122)을 소수성(hydrophobic) 소재로 구성하여 내부벽(122)에 세척수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fter a part of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122 , it does not flow into the water tank 126 and is adsorbed to the inner wall 122 may occur. Accordingly, there may be a problem that bacteria and mold grow in the wet air purifier 100 due to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adsorbed on the inner wall 12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ashing water from adsorbing to the inner wall 122 by configuring the inner wall 122 with a hydrophobic material.

예를 들어, 내부벽(122)은 소수성 화학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 화학 물질은 테플론과 같은 불소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상 상태의 불소 수지를 내부벽(122)에 분사하거나, 내부벽(122)을 액상 상태의 불소 수지를 침지함으로써, 내부벽(122)이 화학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ner wall 122 may be coated with a hydrophobic chemical. The hydrophobic chemical may include a fluororesin such as Teflon. In addition, by spraying a liquid fluororesin on the inner wall 122 or immersing the inner wall 122 in a liquid fluororesin, the inner wall 122 may be coated with a chemical material.

또는 내부벽(122)에 미세구조 패턴을 부가하여, 내부벽(122)은 소수성으로 전환될 수 있다. 내부벽(122)의 미세구조 패턴은 도 2에서 자세히 설명된다.Alternatively, by adding a microstructure pattern to the inner wall 122 , the inner wall 122 can be converted to hydrophobicity. The microstructure pattern of the inner wall 122 is described in detail in FIG. 2 .

내부벽(122)은 세척수가 유로에 따라 물탱크(126)로 포집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물리적 및/또는 화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벽(122)은 세척수의 유로가 있는 부분에 홈이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는 내부벽(122)의 세척수의 유로가 있는 부분을 친수성 소재로 구성하고, 내부벽(122)의 나머지 부분을 소수성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친수성 소재로 구성된 부분에 세척수가 모이도록 내부벽(122)이 설계될 수 있다.The inner wall 122 may be designed to collect the washing water into the water tank 126 along the flow path. The flow path may be physically and/or chemically designed. For example, the inner wall 122 may be designed so that there is a groove in the portion where the washing water flow path is. Alternatively, the inner wall 122 is designed so that the portion of the inner wall 122 with the flow path of the washing water is made of a hydrophilic material, and the rest of the inner wall 122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collected in the portion made of the hydrophilic material. can

또한, 세척수 분사기(124) 역시 소수성 소재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 분사기(124)와 세척수 간의 흡착력이 약해짐으로써, 최소한의 에너지로 세척수 분사기(124)로부터 세척수가 비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척수 분사기(124)를 소수성 소재로 구현함으로써, 공기 정화에 사용되는 에너지량이 감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may also be implemented with a hydrophobic material. Accordingly, as the adsorption force between the washing water injector 124 and the washing water is weakened, the washing water may be scattered from the washing water injector 124 with minimal energy. Therefore, by implementing the washing water injector 124 as a hydrophobic material, the amount of energy used for air purification can be reduced.

도 2는 내부벽(122) 및/또는 세척수 분사기(124)에 적용될 수 있는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inner wall 122 and/or the inner wall 220 of a microstructure that can be applied to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

도 2의 좌측에는 평면 구조의 내부벽(200)과 이에 흡착된 물방울(210)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의 우측에는 소수성의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과 이에 흡착된 물방울(230)이 도시되어 있다.On the left side of FIG. 2 , the inner wall 200 having a planar structure and water droplets 210 adsorbed thereto are shown. And on the right side of FIG. 2 , the inner wall 220 having a hydrophobic microstructure and water droplets 230 adsorbed thereto are shown.

물방울(210)에는 지면 방향의 중력(212)과 지면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저항력(214)이 작용한다. 평면 구조의 내부벽(200)의 경우, 물방울(210)에 작용하는 저항력(214)이 중력(212)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물방울(210)이 지면으로 떨어지지 않고, 평면 구조의 내부벽(200)에 흡착될 수 있다.Gravity 212 in the ground direction and resistance force 21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round direction act on the water droplet 210 . In the case of the inner wall 200 having a planar structure, the resistive force 214 acting on the water droplet 210 may be greater than the gravity 212 . Accordingly, the water droplet 210 may be adsorbed to the inner wall 200 of the planar structure without falling to the ground.

마찬가지로, 물방울(230)에도 지면 방향의 중력(232)과 지면 방향의 반대 방향의 전단력(234)이 작용한다. 그러나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의 경우, 물방울(230)에 작용하는 저항력(234)이 중력(23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물방울(230)은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에 흡착되지 않고, 지면으로 떨어질 수 있다.Similarly, the gravity 232 in the ground direction and the shear force 234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round direction also act on the water droplet 230 . However, in the case of the microstructured inner wall 220 , the resistive force 234 acting on the water droplet 230 may be smaller than the gravity 232 . Accordingly, the water droplets 230 may fall to the ground without being adsorbed on the inner wall 220 of the microstructure.

평면 구조의 내부벽(200)과 소수성의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의 차이는 물방울(210,230)에 작용하는 저항력이다. 저항력은 물방울(210,230)과 내부벽(200,220) 간의 접착력 및 물방울(210,230)에 작용하는 전단력에 의하여 결정된다. 물방울(210,230)과 내부벽(200,220) 간의 접착력 및 물방울(210,230)에 작용하는 전단력은 물방울(210,230)과 내부벽(200,220) 간의 접촉면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므로 접촉면이 넓은 평면 구조의 내부벽(200)과 물방울(210)에 의하여 작용하는 저항력이 접촉면이 좁은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과 물방울(230)에 의하여 작용하는 저항력보다 크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inner wall 200 of the planar structure and the inner wall 220 of the hydrophobic microstructure is the resistance force acting on the water droplets 210 and 230 . The resistance force is determined b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water droplets 210 and 230 and the inner walls 200 and 220 and the shear force acting on the water droplets 210 and 230 .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water droplets 210 and 230 and the inner walls 200 and 220 and the shear force acting on the water droplets 210 and 23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water droplets 210 and 230 and the inner walls 200 and 220 . Therefore, the resistive force acting by the inner wall 200 and the water droplet 210 having a large contact surface is greater than the resistive force acting by the inner wall 220 and the water droplet 230 having a narrow contact surface.

구체적으로, 울퉁불퉁한 미세 구조의 패턴에 의하여,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과 물방울(230) 간의 접촉면이 최소화된다. 또한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과 물방울(230) 간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물방울(230)의 물 분자와 내부벽(220)의 분자가 서로 끌어당기기 보다는, 물방울(230)의 물 분자들 간에 서로 뭉치는 경향이 강해진다. 따라서, 물방울(230)의 형태가, 물방울(210)에 비하여, 원형에 가까워진다. 결과적으로,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과 물방울(230) 간의 접착력 및 전단력이 감소하여, 미세 구조의 내부벽(220)은 소수성을 띄게 된다.Specifically,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inner wall 220 of the microstructure and the water droplet 230 is minimized by the uneven microstructure pattern. In addition, since an ai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inner wall 220 and the water droplet 230 having a microstructure, the water molecules of the water droplet 230 and the water molecules of the inner wall 220 are not attracted to each other, but rather agglomerate between the water molecules of the water droplet 230 . tends to be stronger.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water droplet 230 is closer to a circle than that of the water droplet 210 . As a result, the adhesive force and shear force between the inner wall 220 of the microstructure and the water droplet 230 are reduced, and the inner wall 220 of the microstructure becomes hydrophobic.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벽(122)에 압전 소자가 구비될 수 있다. 압전 소자는, 기계적인 외력에 의하여 전압을 발생하는 압전 효과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소자를 의미한다. 내부벽(122)에 압전 소자가 구비될 경우, 세척수 분사기(124)에 의하여 비산된 세척수와 압전 소자가 충돌하면서, 압전 효과에 따라 전기 에너지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발생한 전기 에너지는 습식 공기 청정기(100)의 공기 정화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벽(122)에 압전 소자가 구비됨으로써, 습식 공기 청정기(100)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내부벽(122)에 구비된 압전 소자는 도3에서 자세히 설명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piezoelectric element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122 . The piezoelectric element refers to an element capable of converting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a piezoelectric effect of generating a voltage by a mechanical external force. When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122 , the washing water scattered by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collides with the piezoelectric element, and electrical energy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piezoelectric effect. And the generated electrical energy may be used for air purification of the wet air purifier 100 . Therefore, since the piez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122 , energy required for the wet air purifier 100 can be saved. The piezoelectric element provided on the inner wall 122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도 3은 내부벽(122)에 구비된 압전 소자(3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provided on the inner wall 122 .

압전 소자(300)는 압전 효과에 따라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압전 효과는 전기 쌍극자(electric dipole)를 포함하는 물질의 변형에 의하여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쌍극자를 포함한 물질에 기계적 힘이 작용될 때, 전기 쌍극자의 밀도 또는 편극 방향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질을 수축시키는 힘이 작용될 때, 전기 쌍극자의 밀도가 증가한다. 반대로, 물질을 팽창시키는 힘이 작용될 때, 전기 쌍극자의 밀도가 감소한다. 물질의 전기 쌍극자 밀도의 변화에 따라, 물질 내부의 전기장의 변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압전 소자와 연결된 회로에 전기가 발생될 수 있다.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refers to an element that converts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ccording to the piezoelectric effect. The piezoelectric effect is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a material containing an electric dipole. Specifically, when a mechanical force is applied to a material including an electric dipole, the density or polarization direction of the electric dipole may change. For example, when a force that causes a material to contract is applied, the density of the electric dipole increases. Conversely, when a force is applied to expand the material, the density of the electric dipole decreases. As the electric dipole density of a material changes,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inside the material occurs.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electricity may be generated in the circuit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도 3에 따르면, 압전 소자(300)는 세척수 분사기(124)로부터 분사되는 물방울(310)가 충돌하도록 내부벽(122)의 안 쪽에 설치된다. 물방울(310)이 압전 소자(300)와 충돌하면, 압전 소자(300)가 수축된다. 그리고 수축된 압전 소자(300)는 복원력에 따라, 다시 원래 크기로 팽창한다. 따라서, 물방울(310)과의 충돌로 인한 압전 소자(300)의 진동으로 인하여, 압전 소자(300)와 연결된 회로(320)에 전기가 흐를 수 있다.According to FIG. 3 ,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wall 122 so that the water droplets 310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sprayer 124 collide. When the water droplet 310 collides with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contracts. And the contracted piezoelectric element 300 expands back to its original size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Accordingly, due to the vibration of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due to the collision with the water droplet 310 , electricity may flow in the circuit 320 connected to the piezoelectric element 300 .

내부벽(122)의 안 쪽에 복수의 압전 소자(30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 분사기(124)의 회전 에너지로부터 생성된 물방울들의 기계적 에너지가 복수의 압전 소자(300)에 의하여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회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inner wall 122 . Accordingly, the mechanical energy of the water droplets generated from the rotational energy of the washing water injector 124 may be recovered in the form of electrical energy by the plurality of piezoelectric elements 30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탱크(126)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습식 공기 청정기(1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하여, 경고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tank 126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In addition,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a warning signal may be generated by the processor (not shown) controlling the wet air purifier 10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물탱크(126)는 상하수도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습식 공기 청정기(100)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하여, 상하수도를 통해, 물탱크(126)의 오염된 세척수가 방류되고, 깨끗한 물이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water tank 126 may be connected to water and sewage. And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sens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of the water tank 126 is discharged through the water supply and sewerage by the processor (not shown) controlling the wet air purifier 100, Clean water can flow in.

공기 배출부(130)는 공기 정화부(120)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외부에 배출한다. 공기 배출부(130)는 공기의 흐름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는 통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공기 배출부(130)는 임펠러를 포함하여, 능동적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 unit 130 discharges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to the outside. The air discharge unit 130 may be implemented as a passage for discharging air according to the flow of air. In addition, the air discharge unit 130 may include an impeller, and may be designed to actively discharge air.

이하, 도 4및 도 5에서, 도 1에서 설명된 습식 공기 청정기(100)의 공기 정화부(120)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 설명된다.Hereinafter, in FIGS. 4 and 5 , how 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of the wet air cleaner 100 described in FIG. 1 can be implemented is described.

도 4는 상측으로 세척수를 비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부(400)가 설명된다.4 illustrates an air purification unit 400 that purifies air by scattering washing water upward.

공기 정화부(400)는 내부벽(402), 세척수 분사기(404), 물탱크(406), 회전축(408), 흡입구(410), 및 배출구(412)로 구성된다. The air purification unit 400 includes an inner wall 402 , a washing water sprayer 404 , a water tank 406 , a rotating shaft 408 , an inlet 410 , and an outlet 412 .

내부벽(402)은 세척수 분사기(404)를 중심으로 한 돔의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기(404)는 회전축(408)에 배치되며, 회전축(408)에 배치된 급수관을 통해, 물탱크(406)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기(404)는 회전하면서 상측 방향으로 세척수를 비산할 수 있다.The inner wall 402 may be designed in the shape of a dome centered on the washing water sprayer 404 . The washing water sprayer 404 is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408 and may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406 through a water supply pipe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408 . And the washing water sprayer 404 may scatter washing water in an upward direction while rotating.

세척수 분사기(404)는 원심 임펠러(414) 및 노즐(4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세척수가 작은 물방울의 형태로 비산될 수 있도록 작은 구멍이 뚫린 노즐(416)이 원심 임펠러(414)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노즐(416)은 윗면은 좁고 아랫면은 넓은 기둥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416)의 옆 면에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어, 세척수가 0~90도 중 특정 각도로 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416)은 세척수가 약 15~75도 각도로 비산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4에는 노즐(416)로부터 비산된 세척수의 분출 경로가 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washing water sprayer 404 may be composed of a centrifugal impeller 414 and a nozzle 416 . A nozzle 416 with a small hole in it may be positioned to cover the centrifugal impeller 414 so that the washing water can be scattered in the form of small water droplets. The nozzle 416 may be designed in the form of a column having a narrow upper surface and a wide lower surface. And since there is a fine hole in the side surface of the nozzle 416, the washing water can be scattered at a specific angle from 0 to 90 degrees. For example, the nozzle 416 may be designed to scatter the washing water at an angle of about 15 to 75 degrees. In FIG. 4 , the ejection path of the washing water scattered from the nozzle 416 is shown by a long broken line.

세척수 분사기(40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세척수가 내부벽(402)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의 오염물질이 침전된 세척수는 내부벽(402)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물탱크(406)로 포집된다. 도 4에는 세척수의 회수 경로가 짧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Washing water may be sprayed toward the inner wall 402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ashing water sprayer 404 .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in which air contaminants are deposited is collected along the inner wall 402 and into the water tank 406 by gravity. 4, the recovery path of the washing water is shown by a short broken line.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구(410)로부터 공기 정화부(400)에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공기 정화부(400) 내에서 세척수에 의하여 정화된다. 그리고 세척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412)를 통해 배출된다. 도 4에는 공기의 흐름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입구(410) 및/또는 배출구(412)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Air containing contaminants may be sucked into the air purification unit 400 from the inlet 410 . And the air containing the pollutants is purified by the washing water in the air purification unit 400 . And the air purified by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12). In FIG. 4, the flow of air is shown by a dotted line. Although not shown in FIG. 4 , the inlet 410 and/or the outlet 412 may be provided with a blower to induce a flow of air.

내부벽(402)은 소수성 소재로 구성되어, 오염된 세척수가 내부벽(40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벽(402)에 압전 소자가 설치되어, 공기 정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기(404)를 소수성 소재로 구성하여, 세척수의 비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inner wall 402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to prevent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from being adsorbed to the inner wall 402 . In addition, since a piez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402 , energy required for air purification can be saved. And by configuring the washing water sprayer 404 with a hydrophob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nergy required for the scattering of the washing water.

도 5는 측면으로 세척수를 비산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 정화부(500)가 설명된다. 도 5의 공기 정화부(500)는, 세척수의 분출 방향에 있어서, 도 4의 공기 정화부(400)와 차이가 있다.5 illustrates an air purification unit 500 that purifies air by scattering washing water to the side. The air purification unit 500 of FIG. 5 is different from the air purification unit 400 of FIG. 4 in the jet direction of the washing water.

공기 정화부(500)는 내부벽(502), 세척수 분사기(504), 물탱크(506), 회전축(508), 흡입구(510), 및 배출구(512)로 구성된다.The air purification unit 500 includes an inner wall 502 , a washing water sprayer 504 , a water tank 506 , a rotating shaft 508 , an inlet 510 , and an outlet 512 .

내부벽(502)은 세척수 분사기(504)를 중심으로 한 원통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 세척수 분사기(504)는 회전축(508)에 배치되며, 회전축(508)에 배치된 급수관을 통해, 물탱크(506)으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기(504)는 회전하면서 측면 방향으로 세척수를 비산할 수 있다.The inner wall 502 may be designed in a cylindrical shape centered on the washing water sprayer 504 . The washing water sprayer 504 is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508 and may receiv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506 through a water supply pipe disposed on the rotating shaft 508 .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sprayer 504 may scatter washing water in a lateral direction while rotating.

세척수 분사기(504)는 원심 임펠러(514) 및 노즐(5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으로 설계된 노즐(516)이 원심 임펠러(514)를 덮을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노즐(516)의 옆 면에 미세한 구멍이 뚫려 있어, 세척수가 측면 방향으로 비산될 수 있다. 도 5에는 노즐(516)로부터 비산된 세척수의 분출 경로가 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The washing water sprayer 504 may be composed of a centrifugal impeller 514 and a nozzle 516 . A cylindrically designed nozzle 516 may be positioned to cover the centrifugal impeller 514 . Since there is a fine hole in the side surface of the nozzle 516, the washing water may be scattered in the side direction. In FIG. 5 , the ejection path of the washing water scattered from the nozzle 516 is shown by a long broken line.

세척수 분사기(504)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세척수가 내부벽(502)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의 오염물질이 침전된 세척수는 내부벽(502)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물탱크(506)로 포집된다. 도 5에는 세척수의 회수 경로가 짧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Washing water may be sprayed toward the inner wall 502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washing water injector 504 .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in which air contaminants are deposited is collected along the inner wall 502 into the water tank 506 by gravity. 5, the recovery path of the washing water is shown by a short broken line.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구(510)로부터 공기 정화부(500)에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오염 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공기 정화부(500) 내에서 세척수에 의하여 정화된다. 그리고 세척수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512)를 통해 배출된다. 도 5에는 공기의 흐름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흡입구(510) 및/또는 배출구(512)는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송풍기가 구비될 수 있다.Air containing contaminants may be sucked into the air purification unit 500 from the suction port 510 . And the air containing contaminants is purified by washing water in the air purification unit 500 . And the air purified by the washing wate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512). 5, the flow of air is shown by a dotted line.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the inlet 510 and/or the outlet 512 may be provided with a blower in order to induce a flow of air.

도 4와 마찬가지로, 내부벽(502)은 소수성 소재로 구성되어, 오염된 세척수가 내부벽(50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벽(502)에 압전 소자가 설치되어, 공기 정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수 분사기(504)를 소수성 소재로 구성하여, 세척수의 비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4 , the inner wall 502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to prevent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from adsorbing to the inner wall 502 . In addition, since a piez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502, energy required for air purification can be saved. And by configuring the washing water sprayer 504 with a hydrophob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nergy required for the scattering of the washing water.

도 6은 복수의 공기 정화부를 포함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6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추상화한 구조도이다.6 is an abstract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et air purifier 600 including a plurality of air purifiers.

도 1의 습식 공기 청정기(100)와 다르게, 습식 공기 청정기(600)는 공기 정화 효과를 강화하기 위하여, 복수의 워터 펌프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습식 공기 청정기(600)는 공기 흡입부(610), 복수의 워터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부(620) 및 공기 배출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습식 공기 청정기(600)는 실시 예에 따라, 공기 정화에 필요한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공기 흡입부(610) 및 공기 배출부(630)는 도 1의 공기 흡입부(110) 및 공기 배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Unlike the wet air purifier 100 of FIG. 1 , the wet air purifier 600 may include an air purifier 620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pumps in order to enhance the air purifying effect. Accordingly, the wet air purifier 600 may include an air intake unit 610 , an air purification unit 620 including a plurality of water filters, and an air discharge unit 630 . In addition, the wet air purifier 6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configuration necessary for air pur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ir intake unit 610 and the air discharge unit 630 of FIG. 6 may perform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s as the air intake unit 110 and the air discharge unit 130 of FIG. 1 .

공기 정화부(620)는 내부벽(622), N개의 세척수 분사기, 및 물탱크(628)로 구성될 수 있다. 도 6에서 N개의 세척수 분사기는 제1 세척수 분사기(624) 내지 제N 세척수 분사기(626)로 구성된다. 상기 N은 자연수이다.The air purification unit 620 may include an inner wall 622 , N wash water sprayers, and a water tank 628 . In FIG. 6 , the N wash water sprayers are configured of a first wash water sprayer 624 to an Nth wash water sprayer 626 . N is a natural number.

제1 세척수 분사기(624) 내지 제N 세척수 분사기(626)는 물탱크(628)와 연결되어, 물탱크(628)로부터 제1 세척수 분사기(624) 내지 제N 세척수 분사기(626)로 세척수가 공급된다. 그리고 제1 세척수 분사기(624) 내지 제N 세척수 분사기(626)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하여 세척수가 내부벽(622)을 향하여 분사될 수 있다. 공기의 오염물질이 침전된 세척수는 내부벽(622)을 따라, 중력에 의하여 물탱크(628)로 포집된다.The first washing water injector 624 to the Nth washing water injector 626 are connected to the water tank 628 , and wash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628 to the first washing water injector 624 to the Nth washing water injector 626 . do. In addition, the washing water may be sprayed toward the inner wall 622 by centrifugal forc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first washing water injector 624 to the Nth washing water injector 626 . Washing water in which air contaminants are deposited is collected along the inner wall 622 into the water tank 628 by gravity.

도 1과 마찬가지로, 내부벽(622)은 소수성 소재로 구성되어, 오염된 세척수가 내부벽(62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벽(622)에 압전 소자가 설치되어, 공기 정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절약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세척수 분사기(624) 내지 제N 세척수 분사기(626)를 소수성 소재로 구성하여, 세척수의 비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1 , the inner wall 622 is made of a hydrophobic material to prevent the contaminated washing water from adsorbing to the inner wall 622 . In addition, since a piezoelectric element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622 , energy required for air purification can be saved. 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first washing water injector 624 to the N-th washing water injector 626 with a hydrophob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energy required for scattering of the washing water.

내부벽(622)과 제1 세척수 분사기 (624) 내지 제N 세척수 분사기 (626)의 위치 및 형태는 공기 정화의 효율성을 위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물탱크(628)는 도 1의 물탱크(12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The position and shape of the inner wall 622 and the first washing water injector 624 to the N-th washing water injector 626 may be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or air purification efficiency. In addition, the water tank 628 of FIG. 6 may be design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water tank 126 of FIG. 1 .

도 7은 온도 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700)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추상화한 구조도이다.7 is an abstract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et air purifier 700 hav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도 1의 습식 공기 청정기(100)와 다르게, 습식 공기 청정기(700)는 공기 정화 효과 강화 및 습도 조절 기능의 부가를 위하여, 온도 조절 장치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습식 공기 청정기(700)는 공기 흡입부(710), 공기 정화부(720) 및 공기 배출부(730)와 더불어 컴프레서의 가열기(740) 및 냉각기(7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공기 흡입부(710), 공기 정화부(720) 및 공기 배출부(730)는 도 1의 공기 흡입부(110), 공기 정화부(120) 및 공기 배출부(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Unlike the wet air purifier 100 of FIG. 1 , the wet air purifier 700 may additionally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to enhanc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and add a humidity control function. Accordingly, the wet air purifier 700 may include a heater 740 and a cooler 750 of the compressor as well as the air intake unit 710 , the air purification unit 720 , and the air discharge unit 730 . The air intake unit 710 , the air purification unit 720 , and the air discharge unit 730 of FIG. 7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ir intake unit 110 , the air purification unit 120 and the air discharge unit 130 of FIG. 1 . can perform the same function.

가열기(740)는 공기 정화부(7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공기 정화부(720)에 열에너지를 공급한다. 가열기(740)는 공기 정화부(720)의 세척수 분사기(724)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세척수 분사기(724)에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다. 가열기(740)에 의하여, 세척수 분사기(724)가 높은 온도로 가열됨으로써, 물 입자가 보다 작게 비산될 수 있다.The heater 74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720 to supply thermal energy to the air purification unit 720 . The heater 74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724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720 to supply thermal energy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724 . By the heater 740, the washing water sprayer 724 is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so that water particles can be scattered smaller.

냉각기(750)는 공기 배출부(730)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공기 배출부(730)의 열에너지를 흡수한다. 따라서, 냉각기(750)에 의하여 공기 배출부(730)가 냉각되므로, 공기 배출부(7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머금은 수증기가 액화된다. 따라서, 냉각기(750)의 열에너지 흡수 기능을 이용하여, 공기 배출부(7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cooler 750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unit 730 to absorb thermal energy of the air discharge unit 730 . Accordingly, since the air discharge unit 730 is cooled by the cooler 750 , the water vapor contained i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730 is liquefied. Accordingly, 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730 may be adjusted by using the heat energy absorption function of the cooler 750 .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만약 실내의 습도가 증가되어야 할 경우, 가열기(740)만 활성화하고, 냉각기(750)는 비활성화함으로써, 습식 공기 청정기(700)가 가습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실내의 습도를 낮게 유지하여야 할 경우, 가열기(740)와 냉각기(750)를 모두 활성화함으로써, 공기 배출부(7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낮출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if the humidity in the room needs to be increased, only the heater 740 is activated and the cooler 750 is deactivated, so that the wet air purifier 700 may serve as a humidifier. In addition, when indoor humidity needs to be kept low, by activating both the heater 740 and the cooler 750 , 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730 can be lowered.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습식 공기 청정기(700)의 프로세서(미도시)는 냉각기(750)의 열에너지 흡수량을 제어하여, 공기 배출부(7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기(750)는 프로세서의 의하여 결정된 열에너지 흡수량에 따라, 열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공기 배출부(73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ocessor (not shown) of the wet air purifier 700 may control the amount of heat energy absorbed by the cooler 750 to adjust 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730 . In addition, the cooler 750 absorbs heat energy according to the amount of heat energy absorbed by the processor, so that 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discharge unit 730 may be constantly maintained.

가열기(740) 및 냉각기(750)는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740) 및 냉각기(750)는 컴프레서의 응축기 및 증발기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열기(740)의 역할을 수행하는 컴프레서의 응축기는 기화된 냉매를 압축시킨 후, 압축된 냉매를 저온에서 액화함으로써, 열에너지를 방출한다. 그리고 냉각기(750)의 역할을 수행하는 컴프레서의 증발기는 액화된 냉매를 저온 저압의 환경에서 물방울의 형태로 비산시킨 후, 비산된 냉매를 기화함으로써, 냉각기(750) 주변의 열에너지를 흡수한다.The heater 740 and the cooler 750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using a compressor. For example, the heater 740 and the cooler 750 may be implemented as a condenser and an evaporator of a compressor. Specifically, the condenser of the compressor serving as the heater 740 compresses the vaporized refrigerant and then liquefies the compressed refrigerant at a low temperature, thereby releasing thermal energy. And, the evaporator of the compressor serving as the cooler 750 scatters the liquefied refrigerant in the form of water droplets in a low-temperature and low-pressure environment, and then vaporizes the scattered refrigerant to absorb thermal energy around the cooler 750 .

가열기(740)와 냉각기(750)는 별도의 분리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기(740)는 가스 가열기, 증기 가열기, 고주파 유도 가열기 등과 같이 열 에너지를 방출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기(750)는 상기 가열 장치와 분리되어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냉각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장치는 직접 팽창식 냉각기, 흡수식 냉각기 및 초저온 냉각기 등일 수 있다. 가열기(740)와 냉각기(750)가 별도로 분리된 경우, 도 7에서 묘사된 열교환은 발생하지 않는다.The heater 740 and the cooler 750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and separate devices. For example, the heater 74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for emitting thermal energy, such as a gas heater, a steam heater, a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r, or the like. In addition, the cooler 750 may be implemented as a cooling device that is separated from the heating device and absorbs thermal energy. The cooling device may be a direct expansion chiller, an absorption chiller, a cryogenic chiller, or the like. When the heater 740 and the cooler 750 are separately separated, the heat exchange depicted in FIG. 7 does not occur.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의 습식 공기 청정기(100, 400, 500, 600, 700)의 기술적 특징은 다양한 물리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 내지 도 7은 습식 공기 청정기(100, 400, 500, 600, 700)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습식 공기 청정기(100, 400, 500, 600, 700)의 외관 및 설계 사항에 의하여 권리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 1, 6 및 7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들의 설계사항 및 외관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다.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wet air purifiers 100 , 400 , 500 , 600 , and 700 of FIGS. 1 and 4 to 7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physical forms. In addition, FIGS. 1 and 4 to 7 are only examples for explain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wet air cleaners 100, 400, 500, 600, and 700, and the wet air cleaners 100, 400, 500, 600, and 700 are illustrated in FIGS. The scope of rights is not limited by the appearance and design of And the design details and appearance of each component described in FIGS. 1, 6 and 7 can be easily deriv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related to the air purifier.

습식 공기 청정기(100, 400, 500, 600, 700)의 기능은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에 의하여 사용자가 습식 공기 청정기(100, 400, 500, 600, 700)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습식 공기 청정기(100, 400, 500, 600, 700)는 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온라인으로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될 수 있다.The functions of the wet air purifiers 100, 400, 500, 600, and 700 may be controlled by a processor (not shown). In addition, a user may input a command to the wet air purifiers 100 , 400 , 500 , 600 and 700 through a user interface (not shown). The wet air purifiers 100 , 400 , 500 , 600 , and 700 may inclu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not shown) in which a program including instructions for performing its function is stored. The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may be uploaded or downloaded onlin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relevant field,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References in the singular herein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that the singular is singular.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발명은 특정한 최상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외에 본 발명에 대체, 변형 및 수정이 적용된 발명들은 전술한 설명에 비추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즉, 청구범위는 이러한 모든 대체, 변형 및 수정된 발명을 포함하도록 해석한다. 그러므로 이 명세서 및 도면에서 설명한 모든 내용은 예시적이고 비제한적인 의미로 해석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articular preferred embodiment, other inventions in which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pplie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light of the foregoing description. That is, the claims are to be construed to cover all such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modified inventions. Therefore, all cont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should be interpreted in an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sense.

Claims (13)

습식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외부의 공기를 상기 습식 공기 청정기 내부로 흡입하는 공기 흡입부;
상기 공기 흡입부에 의하여 흡입된 외부의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정화하는 공기 정화부; 및
상기 공기 정화부에 의하여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정화부는,
상기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 탱크, 및 상기 물 탱크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사하는 세척수 분사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 분사기로부터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공기 정화부의 공기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세척수에 공기의 오염 물질이 포집되고, 상기 오염 물질을 포집한 세척수가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벽에 충돌하고, 상기 물 탱크로 회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 wet air purifier comprising:
an air intake unit for sucking external air into the wet air purifier;
an air purification unit for purifying external air pollutants sucked in by the air intake unit; and
and an air discharge unit for discharging the air purified by the air purification unit,
The air purification unit,
A water tank for storing the washing water, and a washing water sprayer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As the washing water sprayed from the washing water spray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air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air pollutants are collected in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pollutants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and returns to the water tank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able to.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벽은,
소수성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오염 물질을 포집한 세척수가 상기 내부벽에 흡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It is composed of a hydrophobic material, the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contaminants is not adsorbed to the inner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의 내부벽은,
상기 오염 물질을 포집한 세척수와 충돌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생기키는 압전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wall of the air purification unit,
and a piezoelectric element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by colliding with the washing water collecting the polluta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기는,
소수성의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세척수가 상기 세척수 분사기에 흡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water sprayer,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hydrophobic material, the washing water is not adsorbed to the washing water spray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세척수 분사기와 연결되어, 압축된 냉매를 액화함으로써, 상기 세척수 분사기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응축기; 및
상기 공기 배출부와 연결되어, 비산된 냉매를 기화함으로써,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et air purifier is
a condenser connected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to liquefy the compressed refrigerant to supply thermal energy to the washing water injector; and
and an evaporator connected to the air outlet and vaporizing the scattered refrigerant to absorb thermal energy from the air outle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 공기 청정기는,
상기 증발기의 열에너지 흡수량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는,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기 배출부로부터, 상기 프로세서의 의하여 결정된 열에너지 흡수량에 따라, 열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wet air purifier is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absorbed by the evaporator to adjust the humidity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outlet;
the evaporator,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absorbs thermal energy from the air discharge unit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rmal energy absorbed by the proces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는,
공기 흡입을 위한 임펠러와 상기 물 탱크로부터 상기 세척수를 상기 임펠러로 공급하는 급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임펠러는,
상기 임펠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intake unit,
an impeller for air intake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impeller,
The impeller is
As the impeller rotates, the wet air purifier comprises a nozzle for spraying the washing wa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부는,
2개 이상의 세척수 분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purification unit,
A wet air purifier comprising two or more washing water spray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기는,
상기 세척수의 분사 방향과 분사 속도를 조절하는 분사 노즐; 및
상기 분사 노즐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기 세척수에 대하여 수압을 발생시키는 원심 임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shing water sprayer,
a spray nozzle for controlling a spraying direction and a spraying speed of the washing water; and
and a centrifugal impeller for generating water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washing wat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pray nozzle is locat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윗면보다 아랫면이 넓은 기둥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세척수가 측면의 미세 구멍으로 소정의 각도로 분사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소정의 각도는 0도 보다 크고 90도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pray nozzle is
It has the shape of a column with the lower side wider than the upper side,
The washing water is designed to be sprayed at a predetermined angle into the fine holes on the side,
The predetermined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et air purifi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세척수가 측면의 미세 구멍으로 측면 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pray nozzle is
having a cylindrical shape,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is designed to be sprayed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fine holes on the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경우, 경고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tank is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Wet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는,
세척수의 오염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세척수의 오염 정도가 소정의 임계 값 이상일 경우,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방류되고, 새로운 세척수가 상기 물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기 청정기.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tank is
Includ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water detected by the sens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discharged and new washing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tank.
KR1020200024829A 2020-02-28 2020-02-28 Wet air cleaner KR1023295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29A KR102329551B1 (en) 2020-02-28 2020-02-28 Wet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829A KR102329551B1 (en) 2020-02-28 2020-02-28 Wet air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794A true KR20210109794A (en) 2021-09-07
KR102329551B1 KR102329551B1 (en) 2021-11-22

Family

ID=7779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829A KR102329551B1 (en) 2020-02-28 2020-02-28 Wet air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551B1 (en)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30A (en) * 2002-02-07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ith apparatus for disposing condensed water
KR20060041128A (en) * 2004-11-08 2006-05-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ter washing type air cleaner
JP2006212588A (en) * 2005-02-07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leaning apparatus, air cleaner and humidifier
KR20180004665A (en) * 2016-07-04 2018-01-12 김영수 Shower filter for air cleaning
JP2018522750A (en) * 2015-07-17 2018-08-16 ホーワキ,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Hoowaki, LLC Microstructured surface
KR20180133053A (en) * 2017-06-05 2018-12-13 이만호 Gas filtering apparatus
KR20190035432A (en) * 2017-09-26 2019-04-03 김도경 Air conditioner
KR20190046025A (en) * 2017-10-25 2019-05-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co friendly smart air cleaner using water film
KR102030414B1 (en) * 2019-02-08 2019-11-08 최희 wet type Air cleaner
KR20190139737A (en) * 2018-06-08 2019-12-18 한국과학기술원 Wet air purifier
KR102082026B1 (en) * 2016-06-25 2020-02-26 오문섭 Wet type air cleaner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230A (en) * 2002-02-07 2003-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with apparatus for disposing condensed water
KR20060041128A (en) * 2004-11-08 2006-05-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Water washing type air cleaner
JP2006212588A (en) * 2005-02-07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ir cleaning apparatus, air cleaner and humidifier
JP2018522750A (en) * 2015-07-17 2018-08-16 ホーワキ,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Hoowaki, LLC Microstructured surface
KR102082026B1 (en) * 2016-06-25 2020-02-26 오문섭 Wet type air cleaner
KR20180004665A (en) * 2016-07-04 2018-01-12 김영수 Shower filter for air cleaning
KR20180133053A (en) * 2017-06-05 2018-12-13 이만호 Gas filtering apparatus
KR20190035432A (en) * 2017-09-26 2019-04-03 김도경 Air conditioner
KR20190046025A (en) * 2017-10-25 2019-05-07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Eco friendly smart air cleaner using water film
KR20190139737A (en) * 2018-06-08 2019-12-18 한국과학기술원 Wet air purifier
KR102030414B1 (en) * 2019-02-08 2019-11-08 최희 wet type Air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551B1 (en)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137B1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utilizing a spin vaporizer
US20130025462A1 (en) Centrifugal, wet-type air cleaner
US5425902A (en) Method for humidifying air
US20140182453A1 (en) Centrifugal wet type cleaner
KR101595028B1 (en) Air conditioner
JP2008518777A (en) Wet air purifier
KR102041255B1 (en) All-in-one wet air clean conditioning apparatus
CN109812882A (en) Constant humidity machine
KR20060102535A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KR102329551B1 (en) Wet air cleaner
KR20050032673A (en) Humidifier combined an air cleaner
KR101565094B1 (en) Air Purifier
KR20070001848A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KR20190122357A (en) Humidifier
KR20220090632A (en) Humidity controlled air sterilizer and disinfection spray system for virus and bacterial extinction
KR100716903B1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utilizing a centrifugal impeller
CN210220065U (en) Multifunctional air purifying device
KR20060108350A (en) Wet-type air cleaner with vibrators
KR20060118391A (en) Centrifugal wet type air cleaner
KR20230000109A (en) air purifier
KR200269702Y1 (en) a humidifier combination air cleaner for car
KR20190092779A (en) Fine dust-Air Cleaner having a function controlling humidity
KR100531343B1 (en) Apparatus for cleaning air
KR200388417Y1 (en) Wet-type Air Cleaner with Vibrators
KR102331135B1 (en) Purification device capable of cleaning and purifying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