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356A -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356A
KR20210109356A KR1020200024555A KR20200024555A KR20210109356A KR 20210109356 A KR20210109356 A KR 20210109356A KR 1020200024555 A KR1020200024555 A KR 1020200024555A KR 20200024555 A KR20200024555 A KR 20200024555A KR 20210109356 A KR20210109356 A KR 2021010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oting
input data
shooting input
weight
n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창선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4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356A/ko
Publication of KR2021010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4Aiming or laying means for dispersing fire from a battery ; for controlling spread of shots; for coordinating fire from spaced weap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5/00Elevating or traversing control systems for gu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장치는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는 사격 제원을 포함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는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ire}
본 발명은 사격 데이터를 학습하여 명중률을 향상시키는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력 무기체인 화포의 발사는, 사표(firing table)에 기초하여 최초의 화포가 발사된 후, 목표점과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에 따른 수정량이 반영되어 최초 이후의 화포가 발사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화포는 최초로 발사된 이후 적군의 대응에 의해 명중률이 현저히 저하되며, 자동 사격 제어 장치에 의해 사격 제원 및 수정량이 자동으로 결정된다 하더라도 여전히 최초의 화포의 명중률은 높지 않다.
적군의 대응에 따라 화포의 명중률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화포의 명중률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격 데이터를 학습하여 명중률을 향상시키는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장치는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는 사격 제원을 포함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는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은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는 사격 제원을 포함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는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소정 개수 이상인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소정 항목의 값이 동일한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격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량이 반영되어 수정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중치가 상기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중치가 상기 제2 가중치 이하이면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연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연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연산 값이 상기 제2 연산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연산 값이 상기 제2 연산 값 이하이면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격 입력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를 다음 사격 입력 데이터로 결정하여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가중치를 계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고, 가중치의 갱신은 사격 출력 데이터로부터 산출되는 명중률이 명중에 가까워지도록 반복될 수 있으며, 이처럼 사격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최초의 화포의 명중률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우선순위가 보다 높은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수정량이 반영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사격의 명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의 사표(firing table) 갱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기준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1차, 2차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프로세서(130) 및 메모리(15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한다.
사격 출력 데이터는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 사격에 따른 폭발 범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격 실시 후 사용자 입력 또는 센서에 의해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는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와 구별되며,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는 메모리(150)에 사표의 형태로 저장된 복수의 사격 입력 데이터들을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고,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고,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산출한다.
프로세서(130)는 사표(firing table)의 형태로 저장된 복수의 사격 입력 데이터들로부터 하나의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사격 입력 데이터는 서로 대응하는 사격 제원, 상태 데이터, 기상 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데이터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사격 입력 데이터는 복수의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격 제원은 탄종, 장약의 종류, 장약의 온도, 신관, 거리, 방위각, 사각, 경사각, 부각, 수정량, 위치, 탄도 등의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태 데이터는 포구의 초속, 포신의 온도 등의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상 데이터는 날씨, 온도, 습도, 풍속, 풍향, 기압 등의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사격 입력 데이터는 화포의 무기 체계명, 사격발수 등의 항목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는 결정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역전파 알고리즘은 다층의 순행공급 신경망에서 사용되는 학습 알고리즘으로, 이종의 무기들 또는 동종의 복수의 무기들로 이루어진 무기 체계에 적용되며 사격 제원 입력에 따른 사격 실시를 수행하는 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격 출력 데이터로부터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 및 사격에 따른 폭발 범위를 추출하고,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사격에 따른 폭발 범위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명중률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명중률에 따라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명중률이 0인 경우 이를 명중으로 판단하고 가중치를 1.5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명중률이 10% 내지 50%인 경우 이를 유효사격으로 판단하고, 명중률에 반비례하도록 가중치를 1.4 내지 1.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명중률이 50% 이상인 경우 이를 비유효사격으로 판단하고 가중치를 0.7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격 입력 데이터에 가중치를 곱한 결과를 다음 사격 입력 데이터로 결정하고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가중치를 계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면,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로부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소정 개수 이상인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소정 항목의 값이 동일한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90% 이상인 하나 이상의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1 사격 입력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격 제원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인 거리, 방위각, 위치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90%에 가장 가까운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1 사격 입력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격 제원 중 가장 중요한 항목인 거리, 방위각, 위치가 가장 유사한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제2 사격 입력 데이터 중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제2 사격 입력 데이터 중 하나와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 사이의 오차에 비례하는 값을 수정량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와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를 비교하고, 제1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제1 가중치가 제2 가중치 이하이면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기준으로서, 비유효사격으로 판단된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배제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가중치가 0.7 이하인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로부터 배제시킬 수 있다.
비유효사격으로 판단된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기준에서 배제시킴으로써, 화포의 명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연산 값을 산출하고,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연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학식 1을 통해 제1 연산 값 및 제2 연산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Figure pat00001
F는 연산 값, N은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제1 또는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NIn은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CIn은 제1 또는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W는 제1 또는 제2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연산 값이 제2 연산 값을 초과하면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제1 연산 값이 제2 연산 값 이하이면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정량이 반영되어 수정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수정량이 반영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가중치를 계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메모리(150)는 사표의 형태로 복수의 사격 입력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50)는 사격 입력 데이터와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가중치는 사격 입력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우선순위는 명중률이 높은 순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의 사표(firing table) 갱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한다(S201).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50)에 저장된 사표에 기초하여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사격 입력 데이터는 사격 제원, 상태 데이터, 기상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면, 사격 실시 명령에 따라 화포에 의한 사격이 실시된다(S203).
이어서,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한다(S205).
프로세서(130)는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산출한다(S207).
프로세서(130)는 사격 출력 데이터로부터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 및 사격에 따른 폭발 범위를 추출하고,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사격에 따른 폭발 범위로 나눈 값으로부터 명중률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명중률에 반비례하도록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명중의 경우 가중치를 최대치로 산출하고, 유효사격의 경우 명중률에 반비례하도록 가중치를 산출하고, 비유효사격의 경우 가중치를 최소치로 산출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어서, 메모리(150)는 사격 입력 데이터 및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209).
한편, 프로세서(130)는 사격 입력 데이터에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를 다음 사격 입력 데이터로 결정하여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가중치를 계속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가중치의 갱신은 사격 출력 데이터로부터 산출되는 명중률이 명중에 가까워지도록 반복될 수 있으며, 이처럼 사격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최초의 화포의 명중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일 실시예에 따른 사격 제어 방법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기준 선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S301).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는 메모리(150)에 사표의 형태로 저장된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들과 상이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로부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소정 개수 이상인 제1 사격 입력 데이터를 추출한다(S303).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소정 개수를 90%로 미리 결정하고,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90% 이상인 하나 이상의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1 사격 입력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로부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소정 항목의 값이 동일한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를 추출한다(S305).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사원 제원 중 거리, 방위각, 위치를 소정 항목으로 미리 결정하고,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거리, 방위각, 위치가 동일한 하나 이상의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를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로서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제2 사격 입력 데이터 중 하나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S307), 수정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면, 사격 실시 명령에 따라 화포에 의한 사격이 실시된다(S309).
도 1,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와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를 비교한다(S401).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모리(150)에 사표의 형태로 저장된 복수의 사격 입력 데이터들 각각에는 가중치가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다.
제1 가중치는 메모리(150)에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가중치를 의미하고, 제2 가중치는 메모리(150)에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가중치가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한다(S403).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가중치가 제2 가중치 이하이면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한다(S405).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우선순위가 보다 높은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수정량이 반영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사격의 명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연산 값을 산출한다(S501).
예를 들어,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거리가 1000m, 방위각이 15도, 위치가 105도이고,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거리가 1000m, 방위각이 15도, 위치가 105도, 가중치가 0.8인 경우, 수학식 1의 N은 3, NI1=1000, NI2=15, NI3=105, CI1=1000, CI2=15, CI3=105, W=0.8이 되며, 프로세서(130)는 수학식 1을 통해 F=0.8의 제1 연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연산 값을 산출한다(S503).
예를 들어,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거리가 1000m, 방위각이 15도, 위치가 105도이고,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거리가 1000m, 방위각이 13도, 위치가 102도, 가중치가 0.9인 경우, 수학식 1의 N은 3, NI1=1000, NI2=15, NI3=105, CI1=1000, CI2=13, CI3=102, W=0.9이 되며, 프로세서(130)는 수학식 1을 통해 F=0.852의 제2 연산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프로세서(130)는 제1 연산 값과 제2 연산 값을 비교한다(S505).
프로세서(130)는 제1 연산 값이 제2 연산 값을 초과하면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S507), 제1 연산 값이 제2 연산 값 이하이면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한다(S509).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이 제1 연산 값이 0.8이고, 제2 연산 값이 0.852인 경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우선순위가 보다 높은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수정량이 반영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함으로써 사격의 명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된 발명 및 청구된 발명과 균등한 발명들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격 제어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30: 프로세서
150: 메모리

Claims (5)

  1.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는 사격 제원을 포함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는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사격 제어 장치.
  2. 사격 입력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
    사격 실시에 따른 사격 출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전파(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을 통해 가중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가중치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격 입력 데이터는 사격 제원을 포함하고, 상기 사격 출력 데이터는 사격 목표점과 사격 탄착점 사이의 거리를 포함하는, 사격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종래 사격 입력 데이터로부터,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동일한 값을 가지는 항목이 소정 개수 이상인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소정 항목의 값이 동일한 제2 사격 입력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 및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격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수정량이 반영되어 수정된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실시 명령을 생성하는 단계인, 사격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와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가중치가 상기 제2 가중치를 초과하면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가중치가 상기 제2 가중치 이하이면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격 제어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1 연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와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공통 항목 개수,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항목 값, 및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가중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의 제2 연산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제1 연산 값이 상기 제2 연산 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연산 값이 상기 제2 연산 값 이하이면 상기 제2 사격 입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신규 사격 입력 데이터의 수정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격 제어 방법.
KR1020200024555A 2020-02-27 2020-02-27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10109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555A KR20210109356A (ko) 2020-02-27 2020-02-27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555A KR20210109356A (ko) 2020-02-27 2020-02-27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356A true KR20210109356A (ko) 2021-09-06

Family

ID=77782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555A KR20210109356A (ko) 2020-02-27 2020-02-27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3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40948B (zh) 一种射击训练系统及射击训练方法
EA024098B1 (ru) Оптоэлектронное цифр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мощи оператору при определении положения стрельбы, придаваемого ручному гранатомету, для поражения движущейся цел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US20200363168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tals target
KR101119882B1 (ko) 사격제원 성능 분석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105589B1 (en) Handheld automatic weapon subsystem with inhibit and sensor logic
US90111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firing a gun
CN101300458A (zh) 优化武器或火炮开火的方法
US6658980B1 (en) Combat pilot aid system
US20060185506A1 (en) Method of making a projectile in a trajectory act at a desired point at a calculated point of time
KR20210109356A (ko) 사격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60257825A1 (en) Shooting training system
EP3415859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increasing aiming accuracy of a sniper rifle
KR102380999B1 (ko) 전투체계에서 사격 제원을 계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317676B1 (ko) 실 사격 탄도 계산 오차 보정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982933B1 (en) Automatic weapon subsystem with a plurality of types of munitions, and that chooses selected target and munitions
US11781835B2 (en) Automatic weapon sub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automated weapons subsystems
US11209244B1 (en) Automated weapons system with selecting of target, identification of target, and firing
CN114091255A (zh) 一种舰炮对陆间接射击火力毁伤评估仿真方法
US20220034630A1 (en) Automatic Weapon Subsystem AWS with Target Selection and Aim Positioning
RU273414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делирования процесса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средств противовоздушной обороны
KR20220119803A (ko) 발사체의 사격제원계산 시스템과 사격제원 계산 방법
WO2021071582A1 (en) Probabilistic low-power position and orientation
JPH07159095A (ja) 射撃模擬装置
RU2763897C1 (ru) Способ подготовки к выполнению задачи стрельбы на поражение из минометов
JPH037016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