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147A -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147A
KR20210109147A KR1020200024024A KR20200024024A KR20210109147A KR 20210109147 A KR20210109147 A KR 20210109147A KR 1020200024024 A KR1020200024024 A KR 1020200024024A KR 20200024024 A KR20200024024 A KR 20200024024A KR 20210109147 A KR20210109147 A KR 20210109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verification information
zone
worker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엔아이엔씨 (주)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엔아이엔씨 (주), (주)에프에스알엔티 filed Critical 에이치엔아이엔씨 (주)
Priority to KR102020002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147A/ko
Publication of KR2021010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1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기반으로 한 위치측위 기법을 이중 검증 방식으로 활용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자기 차폐가 잦고 폐쇄형 공간이 많은 작업장 내부에서도 작업자 위치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자별 업무 성과 확인 및 전체 공정현황 파악이 가능하며, 작업장 개조 공사 없이도 손쉽게 시스템 설치가 가능하여 시스템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System for Task Management based on Loc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작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의 수신신호세기(RSSI)를 기반으로 한 복합 측위 기법을 통해,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가 잦은 작업장 내부에서도 작업자 위치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작업자별 업무 성과 확인 및 전체 공정현황 파악이 가능하며, 작업장 개조 공사 없이도 손쉽게 시스템 설치가 가능하여 시스템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전파를 정보의 전송 매체로 이용하여 가까운 거리에 있는 각종 정보처리 기기들간의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을 의미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에는 Bluetooth, NFC, UWB, RFID 등이 포함된다.
한편, 용접 등이 수행되는 작업장은 일반적으로 그 내부에 다수의 철판이나 벽으로 인한 폐쇄형 공간이 많아 전자기 차폐(Electromagnetic shielding)가 자주 발생된다. 이러한 작업장의 특성상 GPS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를 통한 작업자의 위치 파악은 거의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양한 센서와 통신 기능을 활용한 실내 위치 측위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인 실내 위치 측위 방법에는 추측항법(Dead-Reckoning), 수신신호세기(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기반으로 한 위치측위 기법 등이 있다.
추측항법은 사람의 걷기 동작을 감지하여 위치를 추적하는 방법으로, 위치 좌표 추정 값이 계속 누적되는 방식을 따른다. 그러므로 추측항법은 위치 좌표 추정과정에서 오류가 한번 발생되면 보정되지 않고 계속 누적되어 오차율이 점점 증가하는 한계점이 있다.
수신신호세기(RSSI)를 기반으로 한 위치측위 기법은 실내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AP(Access Point)로부터 사용자 단말기에서 센싱되는 수신신호세기(RSSI)를 이용하여 대상 물체의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흔히 WPS(Wi-Fi Positioning System) 측위방식이라 불린다. 이는 기존에 구성된 무선랜(WLAN, Wireless LAN) 인프라를 활용하거나 BLE(Bluetooth Low Energy) 단말을 추가로 구축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수신신호세기(RSSI)를 기반으로 한 위치측위 기법은 비선형성이 높은 전파모델의 신호세기를 기준으로 위치를 측정하므로, 주변 환경(건물외벽, 사람, 전파 신호 등)에 취약한 단점을 가진다. 즉 전파모델의 신호세기를 기준으로 한 측위 방식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으므로, 단일 측위 방식만으로는 실내 위치측위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아직까지는 GNSS와 같이 대표적이고 효과적인 시스템으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장애물과 폐쇄형 공간이 많은 작업장에서 작업자의 위치여부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위치측위 기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81430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886158호
본 발명은 수신신호세기(RSSI)를 기반으로 하되 복합 측위 방식을 사용하여, 장애물과 폐쇄형 공간이 많은 작업장에서도 작업자의 위치여부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작업장(1)에 구획 형성된 복수의 단위 구역(10) 내부 또는 통로에 배치되고, 구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 구역인증신호를 송신하는 구역검증용 매체(100); 상기 단위 구역(10) 내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하거나 작업용구에 장착되고, 상기 구역검증용 매체(100)로부터 구역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구역인증신호의 구역 식별정보 및 수신신호세기(RSSI) 값,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포함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며, 작업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 작업자인증신호를 송신하는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상기 단위 구역(10) 내에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작업자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작업자인증신호의 작업자 식별정보 및 수신신호세기(RSSI) 값,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가 포함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 및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및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단위 구역을 검출하는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역검증용 매체(100)는, 상기 구역인증신호를 BLE(Blu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송신하는 비콘 단말기(110);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상기 구역인증신호 중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기준신호세기 값을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유효 구역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유효 구역인증신호 추출유닛(210); 및 상기 생성된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제1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상기 작업자인증신호를 BLE(Blu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송신하는 작업자인증신호 송신유닛(250);을 포함하고, 상기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상기 작업자인증신호 중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기준신호세기 값을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유효 작업자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추출유닛(310); 및 상기 생성된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제2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저장되는 검증정보 DB(410); 데이터 수집주기(T1)마다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및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여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하는 데이터수집 모듈(430); 및 데이터 분석주기(T2)마다 상기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통해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가 위치하는 단위 구역인 구역매칭결과를 검출하되, 상기 구역매칭결과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여 검출하는 데이터분석 모듈(4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상기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중 최근 로드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된 것을 전부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각각이 가리키는 작업자를 매칭시켜 분류한 하나 이상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 상기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각각이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수신신호세기(RSSI) 값에 비례하는 구역별 확률값을 도출하되,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에는 제1 가중치가, 상기 제2 구역검증정보에는 제2 가중치가 부여되어 도출되는 구역별 확률값 연산유닛(453); 상기 도출된 구역별 확률값을 합산하고, 상기 구역별 확률값이 가장 큰 단위 구역을 검출하여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하는 구역매칭결과 생성유닛(455); 및 상기 생성된 구역매칭결과를 상기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하는 구역매칭결과 저장유닛(457);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이중 검증 방식으로 활용함으로써 전자기 차폐가 발생하기 쉽고 폐쇄형 공간이 많은 작업장에서도 위치인식에 높은 정확도와 정밀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작업자별 업무 성과 확인 및 전체 공정현황 파악이 가능하며, 작업장 개조 공사 없이도 손쉽게 시스템 설치가 가능하여 시스템 구축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관리시스템이 활용되는 구조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기술구성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컴포넌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용 컴포넌트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역배치용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기술구성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역배치용 컴포넌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역배치용 컴포넌트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8의 데이터수집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데이터수집 모듈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데이터분석 모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데이터분석 모듈의 작동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따른 작업관리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따른 작업 지시 내역 및 구역매칭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서버, 비콘 단말기, BLE(Bluetooth Low Energy), RSSI, 게이트웨이, LoRa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은 작업자가 위치하는 작업장 내 단위 구역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작업장은 선박, 건물, 플랜트 등의 내부 또는 외부를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용접, 취부(가접), 도장, 마감 공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구역검증용 매체(100),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 및 서버(400)를 포함한다.
구역검증용 매체(100)는 작업장(1)에 구획 형성된 복수의 단위 구역(10) 내부 또는 통로에 배치되는 것으로, 단위 구역(10)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작업장(10) 벽면 기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역검증용 매체(100)는 구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 구역인증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구역검증용 매체(100)는 구역인증신호를 BLE 방식으로 송신하는 비콘 단말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 구역(10)은 작업장(1)의 특성에 따라 구획되는데, 복수의 단위 구역(10)이 서로 일정한 면적을 가지도록 구획되거나 장애물 또는 폐쇄형 공간에 따라 세분화 정도를 달리하도록 구획할 수 있다.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단위 구역(10) 내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하거나 작업용구에 장착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구역검증용 매체(100)가 송신한 구역인증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구역검증용 매체(100)로부터 각각 구역인증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와 구역검증용 매체(100) 사이의 거리(도 2에서의 R1)에 따라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달라진다. 즉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와 구역검증용 매체(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커지고, 반대의 경우 작아지게 된다.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이렇게 수신한 구역인증신호에 포함된 구역 식별정보, 구역인증신호에 대한 수신신호세기(RSSI) 값, 각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에 설정된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포함되는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는 해당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에게 할당되어 설정된 것이다. 생성된 제1 구역검증정보는 도 2와 같이 서버(400)로 송신된다.
이러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도 3과 같이 유효 구역인증신호 추출유닛(210), 제1 구역검증신호 생성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 구역인증신호 추출유닛(210)은 수신한 구역인증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효 구역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추출되는 유효 구역인증신호는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기준신호세기 값을 초과하는 것이거나, 설정된 제1 유효신호 추출개수만큼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큰 순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제1 구역검증신호 생성유닛(230)은 유효 구역인증신호 추출유닛(210)로부터 생성된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즉 추출된 하나 이상의 유효 구역인증신호 각각에 포함된 구역 식별정보 및 수신신호세기(RSSI) 값과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를 기반으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생성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의 작동은 도 4와 같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스캔기준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스캔기준시간 동안 대기한 후 인접한 구역검증용 매체(100)로부터 구역인증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에서 유효 구역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한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한편,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작업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 작업자인증신호를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작업자인증신호를 BLE 방식으로 송신하는 작업자인증신호 송신유닛(25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단위 구역(10) 내에 복수 개 배치되는 것으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작업자인증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하나 이상의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각각 작업자인증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와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사이의 거리(도 5에서의 R2)에 따라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달라진다. 즉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와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커지고, 반대의 경우 작아지게 된다.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이렇게 수신한 작업자인증신호에 포함된 작업자 식별정보, 작업자인증신호에 대한 수신신호세기(RSSI) 값, 각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에 설정된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가 포함되는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2 구역검증정보는 도 5와 같이 서버(400)로 송신된다.
이러한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도 6과 같이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추출유닛(310), 제2 구역검증신호 생성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추출유닛(310)은 수신한 작업자인증신호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효 작업자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추출되는 유효 작업자인증신호는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기준신호세기 값을 초과하는 것이거나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큰 순으로 설정된 제2 유효신호 추출개수만큼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제2 구역검증신호 생성유닛(330)은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추출유닛(310)로부터 생성된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즉 추출된 하나 이상의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각각에 포함된 작업자 식별정보 및 수신신호세기(RSSI) 값과 해당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에게 할당되어 설정된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를 기반으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이후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생성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서버(400)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의 작동은 도 7과 같이 관리자에 의해 설정된 스캔기준시간마다 주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스캔기준시간 동안 대기한 후 인접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작업자인증신호를 수신하고, 이 중에서 유효 작업자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생성한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하게 된다.
서버(400)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저장하고 분석하는 것으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제1 구역검증정보를,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서버(400)는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위치한 단위 구역을 검출하게 된다.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수신되는 제1 구역검증정보에는 아래의 예시와 같이,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구역인증신호, 해당 작업자용 컴포넌트(200)가 스캔한 구역검증용 매체(200)의 수신신호세기(RSSI) 값, 데이터 검증용 카운트, 해당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의 배터리 잔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구역검증용 매체(100)의 수신신호세기(RSSI) 값은 0에 가까울수록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검증용 카운트는 작업자용 컴포넌트(200)가 서버(400)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1씩 증가시키며 데이터를 카운트(0~255; 255 이후 0으로 반복)한 정보이다. 이는 송신한 제1 구역검증정보가 서버(400)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구역인증신호
구역검증용 매체(100)의 RSSI
데이터 검증용 카운트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의
배터리 잔량
00040002 00010015 -65 18 78
00040002 00010017 -69 18 78
00040002 00010018 -73 18 78
00040002 00010001 -76 18 78
00040002 00010004 -78 18 78
00040002 00010013 -80 18 78
00040002 00010014 -80 18 78
또한,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수신되는 제2 구역검증정보에는 아래의 예시와 같이, 구역검증용 컴포넌트 ID, 작업자인증신호, 해당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가 스캔한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의 수신신호세기(RSSI) 값, 데이터 검증용 카운트, 해당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의 배터리 잔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구역검증용 매체(100)의 수신신호세기(RSSI) 값은 0에 가까울수록 큰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검증용 카운트는 작업자용 컴포넌트(200)가 서버(400)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1씩 증가시키며 데이터를 카운트(0~255; 255 이후 0으로 반복)한 정보이다. 이는 송신한 제1 구역검증정보가 서버(400)로 송신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

작업자
인증신호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의 RSSI
데이터 검증용 카운트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의
배터리 잔량
00030047 00040023 -60 05 78
00030047 00040027 -60 05 78
00030047 0004001C -72 05 78
00030047 00040021 -72 05 78
00030047 00040025 -76 05 78
00030047 0004001E -80 05 78
00030047 00040024 -83 05 78
이러한 서버(400)는 도 8과 같이 검증정보 DB(410), 데이터수집 모듈(430), 데이터분석 모듈(450)을 포함한다.
검증정보 DB(410)에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저장된다.
데이터수집 모듈(430)은 데이터 수집주기(T1)마다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와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수집 모듈(430)은 도 9와 같이 컴포넌트 DB(431), 검증정보 수집유닛(433), 노이즈 필터링유닛(435), 검증정보 저장유닛(437)이 포함한다.
컴포넌트 DB(431)은 각각의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와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에 할당되어 설정된 작업자용 컴포넌트 ID와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가 저장된다.
검증정보 수집유닛(433)은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와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한다. 노이즈 필터링유닛(435)은 검증정보 수집유닛(433)이 수신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중에서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설정된 최대 노이즈기준치보다 크거나 설정된 최소 노이즈기준치보다 작은 것을 필터링, 즉 삭제 또는 제외시킨다.
검증정보 저장유닛(437)은 노이즈 필터링유닛(435)을 통해 필터링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검증정보 DB(410)에 저장시킨다.
이러한 데이터수집 모듈(430)은 도 10과 같이 데이터 수집주기(T1)마다 작동된다. 즉 데이터 수집주기(T1) 동안 대기한 후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받아 노이즈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한다. 이때 제1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주기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집주기가 다를 수 있다.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데이터 분석주기(T2)마다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로드하여 분석한다. 데이터분석 모듈(450)의 분석은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서로 매칭시켜 현재 작업자용 컴포넌트(200)가 위치하는 단위구역인 구역매칭결과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때 구역매칭결과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함으로써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도 11과 같이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 구역별 확률값 연산유닛(453), 구역매칭결과 생성유닛(455), 구역매칭결과 저장유닛(457)을 포함한다.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은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중에서 최근 로드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된 것을 전부 로드한다. 예를 들어, 로드기준시간이 3분으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최근 3분 이내에 수신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모두 로드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은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각각이 가리키는 작업자를 매칭시킨다. 즉 제1 구역검증정보는 이에 포함된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를 기준으로 작업자를 매칭시키되,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가리키는 작업자 정보는 컴포넌트 DB(431)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구역검증정보는 이에 포함된 작업자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작업자를 매칭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은 이렇게 매칭시킨 작업자별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3명인 경우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은 총 3개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구역별 확률값 연산유닛(453)은 생성된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각각이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수신신호세기(RSSI) 값에 비례하는 구역별 확률값을 도출하게 된다. 이때 구역별 확률값은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정보 중 제1 구역검증정보에 해당되는 것에는 제1 가중치(
Figure pat00001
), 제2 구역검증정보에 해당되는 것에는 제2 가중치(
Figure pat00002
)가 부여되어 도출될 수 있다. 이렇게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구역별 확률값에 합산되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각각의 비중을 조절할 수 있어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구역매칭결과 생성유닛(455)은 도출된 구역별 확률값을 합산하고, 합산된 구역별 확률값이 중 값이 가장 큰 단위 구역을 검출하여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한다.
구역매칭결과 저장유닛(457)은 생성된 구역매칭결과를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한다.
이러한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도 12와 같이 데이터 분석주기(T2)마다 작동된다. 즉 데이터 분석주기(T2) 동안 대기한 후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분류하여 하나 이상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구역별 확률값을 연산한 후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하여 저장한다.
<실시예1>
실시예로서,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관리시스템을 통해 구역매칭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용 컴포넌트 ID와 작업자 식별정보가 같은 형식을 취하는 것으로 본다.
도 13에 따른 실시예에서 작업장의 단위 구역은 A 내지 H 까지 총 8개로 구획되어 형성된다. 또한 구역검증용 매체(100)는 각 단위 구역의 중심에 배치되고, 각각 s1 내지 s8 의 구역 식별정보를 부여받는다.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작업자가 소지하는 장비에 설치된다고 보며, 각 M1, M2, M3 의 작업자 식별정보를 부여받는다.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은 각 단위 구역별로 총 4개씩 배치되는데 단위 구역의 모서리부분에 배치되며, 각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가 할당된다(a1 ~ 4, b1 ~ 4 ...).
아래의 표 1과 표 2는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정보 중에서 최근 로드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된 것을 전부 로드한 것이며, 이때 표 1은 제1 구역검증정보에 해당되고, 표 2는 제2 구역검증정보에 해당된다.
제1 구역검증정보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구역 식별정보 RSSI 값


M1
S2 4
S1 3
S6 3
S5 2


M2
S7 4
S3 3
S2 2
S6 2


M3
S6 5
S5 3
S2 2
S7 1
제2 구역검증정보
작업자 식별정보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 RSSI 값


M1
a4 8
b3 9
e2 8
f1 9


M2
b4 8
c3 9
g1 9
f2 8


M3
b3 7
e2 7
f1 8
f3 7
로드된 구역검증정보들은 각각이 가리키는 작업자(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또는 작업자 식별정보를 참조)를 매칭시켜 분류한 하나 이상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M1, M2, M3에 대한 총 3개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가 생성된다.
분류된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는 각각이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수신신호세기(RSSI) 값에 비례하는 구역별 확률값을 도출하게 된다. 이때 제1 구역검증정보에는 제1 가중치(
Figure pat00003
)가 부여되고 제2 구역검증정보에는 제2 가중치(
Figure pat00004
)가 부여되어 도출된다. 이후 도출된 구역별 확률값은 아래의 표 3과 같이 합산된다.

작업자
구역별 확률값 (
Figure pat00005
= 제1 가중치,
Figure pat00006
= 제2 가중치)
A B C D E F G H

M1
Figure pat00007

+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
Figure pat00010

0

0
Figure pat00011

+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
Figure pat00014

0

0

M2

0
Figure pat00015

+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
Figure pat00018

0

0
Figure pat00019

+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
Figure pat00022

0

M3
Figure pat00023

+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
Figure pat00028

+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이때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의 비를 아래의 1:1로 설정할 경우 구역별 확률값은 아래의 표 4와 같이 도출된다. 여기서 제1 가중치와 제2 가중치의 비는 위치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서, 시스템이 설치되는 환경 또는 작업자가 실시하는 작업의 종류, 구역검증용 매체나 작업자용/구역배치용 컴포넌트로 사용되는 장비 구성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작업자
구역별 확률값 (
Figure pat00031
= 1,
Figure pat00032
= 1)
A B C D E F G H
M1 11 13 0 0 10 12 0 0
M2 0 10 12 0 0 10 13 0
M3 0 9 0 0 10 21 1 0
상기의 표 4와 같이 도출된 구역별 확률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가지는 단위 구역을 검출하면, 작업자 M1의 경우 단위 구역 B가, 작업자 M2의 경우 단위 구역 G가, 작업자 M3의 경우 단위 구역 F가 검출된다. 이러한 검출 결과에 따라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구역매칭결과들은 다시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다.
따라서 작업자 또는 관리자는 언제든지 검증정보 DB(410)로부터 저장된 구역매칭결과들을 로드하여 작업 현황 또는 히스토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도 14와 같이 그래프를 통해 어느 작업자의 업무 성과를 확인하여 공정현황을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서 Block 축은 단위 구역을 나타내는데, 작업 지시 내역과 구역매칭결과를 비교했을 때 작업자의 이동이 약 3시간 정도 미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2>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관리시스템을 통해 구역매칭결과를 도출해내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수신신호세기(RSSI) 값은 0에 가까울수록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①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컴포넌트 DB(431)에 저장된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를 로드하고, 이 중 분석에 필요한 ID만으로 형성된 [표 7]과 같은 ID 리스트를 생성한다.
[분석대상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리스트]
00040001
00040002
00040003
...
0004000A
0004000B
0004000C
0004000D
0004000E
0004001E
②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2 구역검증정보 중에서 최근 10분간 누적된 것을 전부 로드한다.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이렇게 로드된 제2 구역검증정보 중에서 각 데이터의 작업자인증신호가 가리키는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분석대상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리스트]에 포함된 것과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들은 [표 8]과 같이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큰 순서대로 최대 3개가 산출되어 [제2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이 생성되어 저장된다.
제2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_1st

RSSI_1st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_2nd

RSSI_2nd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_3rd

RSSI_3rd
00040001 00030041 -72 00030045 -76 00030008 -81
00040002 00030026 -68 0003000A -75 00030045 -76
00040003 0003004B -82 0003004F -88 00030028 -96
...
0004000D 00030015 -70 00030028 -72 0003001E -87
0004000E 0003000A -65 0003002A -74 0003004F -87
0004000F 00030028 -76 0003003B -78 0003000A -90
③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 중에서 최근 3분간 누적된 것을 전부 로드한다.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이렇게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 중에서 각 데이터의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상기 [분석대상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리스트]에 포함된 것과 매칭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들은 [표 9]와 같이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큰 순서대로 최대 3개가 산출되어 [제1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이 생성되어 저장된다.
제1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구역 식별정보_1st

RSSI_1st

구역 식별정보 _2nd

RSSI_2nd

구역 식별정보 _3rd

RSSI_3rd
00040001 0001001A -78 0001001F -79 00010030 -96
00040008 0001001F -65 00010018 -74 00010005 -77
00040013 00010011 -81 00010004 -87 00010008 -88
...
0004000D 00010021 -80 0001000D -82 00010011 -94
0004000E 00010018 -75 0001001A -89 00010010 -91
0004000F 00010005 -67 0001001F -80 0001000C -83
④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 및 [제2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을 로드하되, [제1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은 최근 2시간 데이터를, [제2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은 최근 1시간 데이터를 로드한다. 이후 [제1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 및 [제2 구역검증정보 중간결과 테이블] 각각에 포함된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를 기준으로 작업자를 매칭시켜, [표 10]과 같이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한다.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구역 식별정보_1st

RSSI_1st

구역 식별정보_2nd

RSSI_2nd

구역 식별정 _3rd

RSSI_3rd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_1st

RSSI_1st

구역배치용 컴포넌트_2nd

RSSI_2nd

구역배치용 컴포넌트_3rd

RSSI_3rd
00040001 0001001A -78 0001001F -79 00010030 -96 00030041 -72 00030045 -76 00030008 -81
00040008 0001001F -65 00010018 -74 00010005 -77 0003026 -68 0003000A -75 00030045 -76
...
0004000D 00010021 -80 0001000D -82 00010011 -94 00030015 -70 00030028 -72 0003001E -87
0004000E 00010018 -75 0001001A -89 00010010 -91 0003000A -65 0003002A -74 0003004F -87
0004001E 00010005 -67 0001001F -80 0001000C -83 00030028 -76 0003003B -78 0003000A -90
생성된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에서 각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를 기준으로 가장 RSSI 값이 가장 큰 데이터만 추출한 [제1 결과 테이블]을 [표 11]과 같이 생성하여 저장한다. [표 11]에서 센서 ID는 구역 식별정보 또는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에 자이로센서가 포함되는 경우, [표 11]과 같이 자이로센서의 센싱 값이 수신되어 accel_gyro 값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제1 결과 테이블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센서 ID

RSSI

accel_gyro
00040001 00030041 -72 0
00040008 0001001F -65 7
...
0004000D 00030015 -70 0
0004000E 0003000A -65 22
0004001E 00010005 -67 0
⑤ 데이터분석 컴포넌트(450)는 저장된 제1 결과 테이블 중 최근 1시간 내에 생성된 것을 로드하고, 로드된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자용 컴포넌트 ID를 추출하여 [표 12]와 같이 [유효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는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중에서 고장이나 오작동 등의 사유로 인해 작동되지 않는 것을 제외시키기 위한 것이다.
유효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리스트
00040003
00040004
...
0004000A
0004000B
0004000C
00040001E
데이터분석 컴포넌트(450)는 저장된 제1 결과 테이블 중 최근 2시간 내에 생성된 것을 로드한다. 그리고 로드된 제1 결과 테이블의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상기 생성된 [유효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리스트]에 포함된 것만 추출하여 센서별 확률값을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센서별 확률값은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별로 연산하되, 구역 식별정보 또는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의 검출 횟수를 카운트하여 비율값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00040003"인 경우에 대하여 센서별 확률값을 연산하면 [표 13]과 같을 수 있다.
구역별 확률값
작업자용 컴포넌트 ID 센서 ID CNT 확률값
00040003 00030041 43 0.56
00040003 0001001F 22 0.29
00040003 00010011 7 0.09
00040003 00030015 3 0.04
00040003 Not Found 2 0.02
이렇게 산출되는 센서별 확률값 중 확률값이 가장 높은 센서 ID를 기반으로 하여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가장 비율이 높은 센서 ID가 "Not Found"일 경우에는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의 센서 ID를 기반으로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한다.
만약 작업자용 컴포넌트(200)에 부착된 자이로센서의 센싱 값(accel_gyro 값)을 수신할 경우, accel_gyro 값이 50 이상인 데이터는 상기 ⑤ 과정을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1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accel_gyro 값이 50 이상이면 사용자가 이동 중일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⑤의 과정이 없이도 데이터의 정확도가 보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 : 작업장
10 : 단위 구역
100 : 구역검증용 매체
110 : 비콘 단말기
200 : 작업자용 컴포넌트
210 : 유효 구역인증신호 추출유닛
230 : 제1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
250 : 작업자인증신호 송신유닛
300 :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310 :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추출유닛
330 : 제2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
400 : 서버
410 : 검증정보 DB
430 : 데이터수집 모듈
431 : 컴포넌트 DB
433 : 검증정보 수집유닛
435 : 노이즈 필터링유닛
437 : 검증정보 저장유닛
450 : 데이터분석 모듈
451 :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
453 : 구역별 확률값 연산유닛
455 : 구역매칭결과 생성유닛
457 : 구역매칭결과 저장유닛
T1 : 데이터 수집주기
T2 : 데이터 분석주기

Claims (5)

  1. 작업장(1)에 구획 형성된 복수의 단위 구역(10) 내부 또는 통로에 배치되고, 구역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 구역인증신호를 송신하는 구역검증용 매체(100);
    상기 단위 구역(10) 내에 위치한 작업자가 소지하거나 작업용구에 장착되고, 상기 구역검증용 매체(100)로부터 구역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구역인증신호의 구역 식별정보 및 수신신호세기(RSSI) 값, 작업자용 컴포넌트 ID가 포함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며, 작업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설정된 작업자인증신호를 송신하는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상기 단위 구역(10) 내에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로부터 작업자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한 작업자인증신호의 작업자 식별정보 및 수신신호세기(RSSI) 값, 구역배치용 컴포넌트 ID가 포함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 및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및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전송되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작업자가 위치한 단위 구역을 검출하는 서버(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역검증용 매체(100)는,
    상기 구역인증신호를 BLE(Blu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송신하는 비콘 단말기(110);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상기 구역인증신호 중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기준신호세기 값을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유효 구역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유효 구역인증신호 추출유닛(210); 및 상기 생성된 유효 구역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1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제1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2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는,
    상기 작업자인증신호를 BLE(Blutooth Low Energy) 방식으로 송신하는 작업자인증신호 송신유닛(250);을 포함하고,
    상기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는,
    상기 작업자인증신호 중 수신신호세기(RSSI) 값이 기준신호세기 값을 초과하는 하나 이상의 유효 작업자인증신호를 추출하여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생성하는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추출유닛(310); 및 상기 생성된 유효 작업자인증신호 리스트를 기반으로 제2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제2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400)는,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저장되는 검증정보 DB(410);
    데이터 수집주기(T1)마다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 및 구역배치용 컴포넌트(300)로부터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수신하여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하는 데이터수집 모듈(430); 및
    데이터 분석주기(T2)마다 상기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를 통해 상기 작업자용 컴포넌트(200)가 위치하는 단위 구역인 구역매칭결과를 검출하되, 상기 구역매칭결과는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가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부여한 후 합산하여 검출하는 데이터분석 모듈(4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분석 모듈(450)은,
    상기 검증정보 DB(410)에 저장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중 최근 로드기준시간 이내에 수신된 것을 전부 로드하고, 상기 로드된 제1 구역검증정보와 제2 구역검증정보 각각이 가리키는 작업자를 매칭시켜 분류한 하나 이상의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를 생성하는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생성유닛(451);
    상기 작업자별 구역검증정보 각각이 가리키는 단위 구역에 대하여 수신신호세기(RSSI) 값에 비례하는 구역별 확률값을 도출하되, 상기 제1 구역검증정보에는 제1 가중치가, 상기 제2 구역검증정보에는 제2 가중치가 부여되어 도출되는 구역별 확률값 연산유닛(453);
    상기 도출된 구역별 확률값을 합산하고, 상기 구역별 확률값이 가장 큰 단위 구역을 검출하여 구역매칭결과를 생성하는 구역매칭결과 생성유닛(455); 및
    상기 생성된 구역매칭결과를 상기 검증정보 DB(410)에 저장하는 구역매칭결과 저장유닛(4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관리시스템.
KR1020200024024A 2020-02-27 2020-02-27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KR20210109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024A KR20210109147A (ko) 2020-02-27 2020-02-27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024A KR20210109147A (ko) 2020-02-27 2020-02-27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147A true KR20210109147A (ko) 2021-09-06

Family

ID=7778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024A KR20210109147A (ko) 2020-02-27 2020-02-27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91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0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다중 리버스 비콘 신호 병합을 통한 이동체 정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30A (ko) 2014-12-31 2016-07-08 주승철 작업자의 고도 검출을 통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KR101886158B1 (ko) 2017-12-01 2018-08-07 김동관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1430A (ko) 2014-12-31 2016-07-08 주승철 작업자의 고도 검출을 통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KR101886158B1 (ko) 2017-12-01 2018-08-07 김동관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3408A (ko) 2022-09-05 2024-03-12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다중 리버스 비콘 신호 병합을 통한 이동체 정밀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6413B2 (en) Computer 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Wi-Fi based indoor localization
US78984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bject localization and path identification based on RFID sensing
CN102395200B (zh) 无线传感器网络中节点定位方法及装置
CN101526601B (zh) 采取toa与rss融合方式的自适应定位方法、设备和系统
Tomažič et al. Confidence-interval-fuzzy-model-based indoor localization
KR20180087814A (ko) 위치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N104657755A (zh) 室内工作人员定位和文件管理系统及其监控方法
KR20170032147A (ko)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Chen et al. Exploring the quantitative impact of localization accuracy on localization-based safety monitoring’s performance on a construction jobsite
KR20210109147A (ko) 근거리 무선통신 기반의 작업관리시스템
Tsang et al. A bluetooth-based indoor positioning system: a simple and rapid approach
Soleimanifar et al. Applying received signal strength based methods for indoor positioning and tracking in construction applications
Xu et al. Dccla: Automatic indoor localization using unsupervised wi-fi fingerprinting
Silva et al. Real-world deployment of low-cost indoor positioning systems for industrial applications
Le et al. Convert wi-fi signals for fingerprint localization algorithm
Tang et al. Fingerprint localization using WLAN RSS and magnetic field with landmark detection
Xu et al. Toward emergency indoor localization: Maximum correntropy criterion based direction estimation algorithm for mobile TOA rotation anchor
Li et al. Assessment of a smart phone-based indoor localization solution for improving context awarenes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lshami et al. A light WLAN radio map for floor detection in multi-floor environment localization
Chou et al. Application of Bluetooth low energy indoor positioning to optical lenses manufacturing factory
Wu et al. Study on improved algorithm of RSSI correction and location in mine-well based on bluetooth positioning information
Jahan et al. Wireless tracking for industrial services
Tu et al. Research on underground chemical gas monitoring and target location based on an improved moth flame algorithm
Sjöbro Automatic retrieval of data for industrial machines with handheld devices: Positioning in indoor environments using iBeacons
Uy et al. System Design for Automating Smart Internet of Things Devices Using Bluetooth Loc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