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706A -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 Google Patents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706A
KR20210108706A KR1020200023641A KR20200023641A KR20210108706A KR 20210108706 A KR20210108706 A KR 20210108706A KR 1020200023641 A KR1020200023641 A KR 1020200023641A KR 20200023641 A KR20200023641 A KR 20200023641A KR 20210108706 A KR20210108706 A KR 20210108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name
cover
printed
aut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시오페아출판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시오페아출판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시오페아출판사
Priority to KR1020200023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706A/ko
Publication of KR20210108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6Indexing means on book cover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자신의 이름을 적고 소설 따위의 글을 수기로 직접 저술하여 그 자체를 장서로서 보관할 수 있게 된 창작 을 위한 책과 그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서, 그 창작을 위한 책은 다수의 공지로 제본된 책자본체(2)와 이 책자본체(2)의 겉표지로서 함께 제본된 표지부(3)를 포함하며, 그 표지부(3)는 그 다수의 공지에 저술할 내용과 관련하여 책 제목(4,4')이랑 출판사명(7,7') 및 저자명에 붙는 문구(8,8') 등이 고정서체 또는 디 자인 서체로 깔금하게 인쇄되어 있고 저자명은 수기로 직접 써 놓을 수 있게 마련된 공란부(9,9')를 가지 고 있다. 즉, 기존의 학습용 노트나 일기장과는 달리, 책 내용과 관련하여 주어진 책 제목 등이 인쇄된 인쇄물로 되는 표지부를 구비한 창작을 위한 책을 제공함으로써 그 자체로 일반의 책과 다름없이 장서로 서의 가치를 높여줄 수 있으며, 그리하여 누구든 자신의 이름으로 저술된 책을 쓰고 장서로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문작가는 물론 학생등 많은 아마츄어 작가들의 자유로운 창작활동을 높여주 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STORY WRITING BOOK AND BOOK COVER THEREOF}
본 고안은 창작을 위한 책과 그 책표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신의 이름을 적고 소설 따위의 글을 수기로 직접 저술하여 그 자체를 장서로서 보관할 수 있게 다수의 공지로 제본한 책자본체를 그 창착할 내 용과 관련하여 특별히 디자인 및 인쇄된 인쇄물로 되는 책표지로 장식하여 되는 창작을 위한 책과 그 책 표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이라 함은 소설 시집 수필집 등의 문학서적은 물론 각종 연구과제에 대한 논문이나 보고서 그리고 일기나 여행기 및 회고록 등의 저술내용이 가지런히 인쇄되어 있는 다수의 인쇄물로 제본된 것을 말한다. 그리고 책표지는 통상 저술 내용의 주제와 관련된 책 제목이랑 저자의 성명 그리고 출판사명 등 이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인쇄되어 있으며 또한 다양한 도안이나 삽화를 포함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글 쓰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이름으로 저술된 책을 하나쯤은 갖기를 희망할 것이다. 그 러나 책을 발간하기 위해서는 우선 불특정 다수의 독자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많은 발행 부수가 전제되어 야 한다. 비록 비상업적인 경우라 하더라도, 책은 그 책표지 디자인하고 저술내용의 편집과 인쇄 및 제본 에 이르기까지 책을 완성하는 데 많은 노력과 비용이 투자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즉 단지 장서로 보관하 기 위한 단 한 권의 책을 만드는 데는 상기와 같이 현실적인 문제가 따르는 것이다.
기존 문방구점에서 판매되고 있는 학습용 노트나 일기장 등을 사용하면 굳이 책표지를 디자인하고 별도의 제본과정을 거치지 아니하더라도 책자 형태를 갖출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학습용 노트나 일기 장 등은 일반 소설책과 같이 인쇄발행된 책자와는 그 형태가 많이 다르며, 특히 책표지에 저술한 내용의 주제와 관련한 책 제목 등이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깔끔하게 인쇄되어 있지 않으므로 일반 책자에 비 해 그 품격이 많이 떨어지는 등 장서로서의 가치가 현저히 떨어진다.
한편, 일반 원고지를 사용하는 경우, 원고를 마감하기 까지는 대체로 꽤 긴 시일이 소요되므로 그동안 원 고를 유실하는 등 그 보관에 어려움이 많다. 또한 긴 시일에 걸쳐 완성한 원고를 모아서 간이제본업체에 제본을 의뢰할 경우에도, 책표지를 별도로 디자인하여야 함은 물론 제본상태가 깨끗하지 못하고 원고의
일부가 손상되는 일이 많다.
요컨대, 어떤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보다 자유로이 책 내용을 저술하게 하면서 그 저술한 자체로 일반 책 자와 같은 형태를 갖출 수 있게 하는 것은, 전문 작가는 물론 아마츄어 작가, 특히 경제적 능력이 없는 학생들의 창작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일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노트에 필기하는 것처럼 수기로 원하는 또는 주어진 주제의 소설 따위를 창 작케 하고, 그것을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그 자체로 일반의 인쇄발간된 책자와 같은 자신의 이름으 로 된 책자의 형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공지(空紙)로 제본된 책자본체를 가지고 있고 그 표지부가 미리 정해진 책 제목이랑 출판사명 등을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인쇄되어 있고 저자명은 저자 자신이 이름을 직접 적거나 또는 별도의 전사지 등으로 전사할 수 있게 공란으로 남겨져 있는 창작을 위한 책과 그 책표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학습용 노트나 일기장과는 달리, 책 내용과 관련하여 주어진 책 제목 등이 인쇄된 인쇄물로 되는 표지부를 구비한 창작을 위한 책을 구성함으로써 그 자체로 일반의 책과 다름없이 장서로서의 가치를 높여주며, 그리하여 누구든 자신의 이름으로 저술된 책을 쓰고 장서로 서 보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창작을 위한 책과 그 책표지는 전문작가의 원고로서는 물론 학생들의 글짓기용으 로서 훌륭한 교재로서 활용됨으로써 많은 사람의 활발한 창작활동을 일으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다수의 공지로 제본된 책자본체와 이 책자본체의 겉표지 로서 함께 제본된 표지부를 포함하며, 그 표지부가 그 다수의 공지에 저술할 내용과 관련하여 디자인 및 인쇄된 인쇄물로 되어, 자체로 로 책을 쓰고 장서로서 보관할 수 있는 창작을 위한 책을 구성하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쇄물로 된 표지부에는 책 내용의 주제로서 미리 설정한 책 제목과 펴낸곳을 알리는 출판사명 그리고 저자나 편역자 성명의 앞 또는 뒤에 붙는 문구를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인쇄하고, 그 저자나 편역자의 성명은 직접 써 넣거나 별도의 전사지로 깔끔하게 전사할 수 있게 공란으로 남겨둠으로 써, 자신의 이름으로 된 책을 쓰고 보관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지부에 책 권수를 수식하는 문구를 더 인쇄하고 아울러 그 권수의 숫자를 직 접 적을 수 있게 공란부를 남겨둠으로써, 책 내용이 장편 또는 후편으로 연속되어 한 권으로 마칠 수 없 는 경우에 그 권수를 표시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다른 방안으로서 다수의 공지로 제본된 창작을 위한 책의 표지 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창작을 위한 책에 쓸 내용의 주제로 미리 설정한 책 제목과 펴낸곳을 알리는 출판사명 그리고 저자나 편역자의 성명의 앞 또는 뒤에 붙는 문구를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인 쇄하고, 저자나 편역자의 성명은 직접 써 넣거나 별도의 전사지로 깔끔하게 전사할 수 있게 공란으로 남 겨 둔 책표지를 구성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창작을 위한 책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창작을 위한 책의 표지부를 펼쳐보인 전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창작을 위한 책을 그 표지부에 저자 명을 수기로 기입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로서 창작을 위한 책 과 이의 표지부에 씌우기 위한 책표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창작을 위한 책(1)은, 외관상 일반 책자와 같 이 책자본체(2)와 이 책자본체(2)의 앞면과 뒷면 및 제본부 측면을 커버하도록 함께 제본된 표지부
(3;3a,3b,3c)로 구성된 것으로, 이를 좀더 자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책자본체(2)는 일반 책자와 달리 다수의 공지(부호 생략됨)로 제본되어 있다. 여기서 다수의 공지는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그 대부분의 영역이 공백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바꿔말하면, 쪽번 호가 차례로 인쇄되거나 또는 본문을 기술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들어갈 머리말이나 꼬리말 등 을 배려한 공란이나 서식 등이 표시되도록 부분적으로 인쇄되어진 양식용지도 배제하지 않는 것이다. 즉, 그 다수의 공지상에 공백으로 남겨진 대부분의 영역에다 창착할 내용의 본문을 직접 수기로 써 내려감으로써 하나의 책을 저술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표지부(3;3a,3b,3c)는 책자본체(2)를 구성하는 다수의 공지와는 다르게 별도로 디자인 및 인쇄제작한 인 쇄물을 사용함으로써 일반 책자와 같은 세련된 품격을 연출하도록 한다. 표지부(3;3a,3b,3c)는 앞면 표지 부(3a)와 뒷면 표지부(3b) 및 제본면 표지부(3c)로 구분되는데, 특별히 앞면 표지부(3a)와 제본면 표지부 (3c)에 도 2의 전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책 내용으로서 저술하게 할 내용의 주제와 관련하여 미리 주어 진 책 제목(4,4'), 책 권수를 수식하는 문구(5,5'), 펴낸곳을 알리기 위한 출판사명(7,7'), 및 저자명에 붙는 문구(8,8')를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깔끔하게 인쇄하는 것이다. 그리고 책 권수의 숫자와 저자명 은 수기로 직접 써 넣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은 별도의 문자용 전사지를 사용하여 전사할 수 있도록 공란 부(6,6',9,9')로 남겨두었다.
도면의 실시예에 따르면, 책 제목(4,4')으로서 윤곽선 글꼴로 인쇄된 '동서남북'이 설정되어 있는데, 앞 면 표지부(3a)에는 상단 좌측에서 우측으로 횡서하고 제본면 표지부(3c)에는 상단에서 아래로
종서하였다. '동서남북'의 책 제목(4,4') 밑에는 굵은 고딕으로 책 권수를 수식하는 문구(5,5')로서 '제 편'을 인쇄하고, 이 밑에는 저자명에 앞 또는 뒤에 붙는 문구(8,8')로서 '지은이'와 '지음'을, 각 하단에 는 출판사명(7,7')을 가리키는 '○○출판사'를 인쇄하였다. 한편, 책 권수의 수식 문구(5,5') 내부에는 그 권수의 숫자를 수기로 기입할 수 있게 한 공란부(6,6')와 저자명에 붙는 문구(8,8')의 인접하여 저자 명을 수기로 써 넣을 있게 한 공란부(9,9')를 마련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은 창작을 위한 책(1)은 저술하게 할 내용의 주제로서 '동서남북'이 주어져 있다. 즉, 그 책(1)을 소유한 사람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책 권수의 숫자 공란부(6,6')에 숫자 '1'을 써 쓰고 또 한 저자명 공란부(9,9')에 자신의 성명, 예컨대 ' '을 수기로 써 놓은 다음, 책자본체(2)에는 그 주어진 책 제목(4,4')인 '동서남북'을 주제로 하는 책 내용을 수기로 저술함으로써 자신(홍길동)의 이름 으로 된 책을 낼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그 주제의 책 제목(4,4')이 앞면 표지부(3a)와 제본면 표지부(3 c)에 깔끔한 고정 서체로 인쇄되어 있으므로 일반의 책자와 같은 품위를 충분히 갖게 되며, 따라서 저자 는 별도의 인쇄나 제본과정 없이도 그 자체로 완성된 장서로 서 보관 할 수 있는 책자를 완성하게 되는 것 이다. 물론 이렇게 저술 및 장서된 책(1)은 나중에 정식 인쇄발행을 위해 잘 정돈된 원고로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책 제목(4,4')은 창착하게 할 주제에 따라, 예컨대, '△△△시집','□□여행기' 등 다양하게 주어질 수 있다. 이와같은 책 제목(4,4')의 주어진 문자와 함께 표식을 위한 고정문자들의 글꼴이나 그 배치는 도면 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글꼴의 고정서체 또는 디자인 서체를 사용할 수 있고 그 배치도 변화가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각 고정문자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저자명에 붙는 '지 은이'나 '지음' 대신 '씀','저자','편저','역자','옮김','그림','편집' 등 다양한 고정문구로 바꾸어 인 쇄할 수 있다. 또한 한 권의 책으로 저술을 완성할 수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 상기한 책 권수의 수식 문구 (5,5')를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도 4는 본 고안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것으로서, 역시 창작을 위한 책(1')의 표지부 (3')에 씌우기 위해 별도의 인쇄물로 제작한 책표지(10)를 보인다. 이 책표지(10)는 앞면 표지부(10a)와 뒷면 표지부(10b)와 제본면 표지부(10c) 및 책(1') 표지부(3') 안쪽으로 접어넣도록 연장된 날개부 (10d,10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앞의 실시예와 똑같이 그 앞면 표지부(10a)와 제본면 표지부(10c)에 책 제목(4,4'), 책 권수의 수식 문구(5,5'), 출판사명(7,7'), 및 저자명에 붙는 문구(8,8')를 고정 또는 디 자인 서체로 깔끔하게 인쇄하였고, 책 권수의 숫자와 저자명을 위한 공란부(6,6',9,9')를 마련하였다. 이 실시예에 의한 책표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책(1)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

  1. 다수의 공지로 제본된 책자본체와 이 책자본체의 겉표지로서 함께 제본된 표지부를 포함하며, 그 표지부 가 다수의 공지에 저술할 내용과 관련하여 디자인 및 인쇄된 인쇄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 작을 위한 책.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로 된 표지부에는 책 내용의 주제로 미리 설정된 책 제목과 펴낸곳을 알 리는 출판사명 그리고 저자나 편역자 성명의 앞 또는 뒤에 붙는 문구가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인쇄되 고 그 저자나 편역자 자신의 성명은 직접 써 넣거 나 별도의 전사지로 전사할 수 있게 공란부로 남겨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창작을 위한 책.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표지부에 책 권수를 수식하는 문구가 더 인쇄되어 있고, 그 권수의 숫자는 직접적을 수 있게 공란부로 남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작을 위한 책.

  4. 다수의 공지로 제본된 창작을 위한 책의 표지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것으로서, 그 창작을 위한 책에 쓸 내 용의 주제로 미리 설정한 책 제목과 펴낸곳을 알리는 출판사명 그리고 필자 성명의 앞 또는 뒤에 붙는 고 정문구가 고정 또는 디자인 서체로 인쇄되고, 필자 자신의 성명은 직접 쓰거나 별도의 전사지로 전사할

    수 있도록 공란부로 남겨진 책표지.

KR1020200023641A 2020-02-26 2020-02-26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KR20210108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41A KR20210108706A (ko) 2020-02-26 2020-02-26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641A KR20210108706A (ko) 2020-02-26 2020-02-26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706A true KR20210108706A (ko) 2021-09-03

Family

ID=7778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641A KR20210108706A (ko) 2020-02-26 2020-02-26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7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nter Editing early modern texts: an introduction to principles and practice
Levy et al. The Broadview introduction to book history
Eddy The interactive notebook: How students learned to keep notes during the Scottish Enlightenment
Bennett Editing Aubrey
May et al. Manuscripts in Tudor England
Caie The manuscript experience: what medieval vernacular manuscripts tell us about authors and texts
KR20210108706A (ko) 창작을 위한 책 등 출판물의 표지 디자인
KR200180676Y1 (ko) 창작을 위한 책과 그 책표지
Dobronravin Design Elements and Illuminations in Nigerian “Market Literature” in Arabic and ʿAjamī
Bronson-Bartlett From Loose Leaves to Readymades: Manuscript Books in the Age of Emerson and Whitman
Hatcher Producing a quality family history
Stalker et al. Descriptive cataloging and rare books
Pettersson et al. Divine pages
Ambrose et al. Layout for Graphic Designers: An Introduction
Pulkkinen Manuscripts Imitating Printed Books: Bibliographic Codes and Peritexts in Finnish Juvenalia from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Allban et al. Analysis of tactile elements of braille magazines in Egypt
Goldstone et al. Index of Modern Scholars
Scheiding Materiality
Bustarret et al. The Handmade Tale: The Paper Medium as the Place for Action
Birnbaum F. Encyclopedia
Hunter A Late Medieval Multi-Text Manuscript and Its Printed Precedents
Billingsley Cambridge 1629 Anglican Trilogy
Linhart Michael Riedel: Books as Event
Vandendorpe The Page in the Western Tradition--ArchBook: Architectures of the Book
Crosby et al. Introduction:“Writing Is the Divine Rev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