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8510A -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8510A
KR20210108510A KR1020200022500A KR20200022500A KR20210108510A KR 20210108510 A KR20210108510 A KR 20210108510A KR 1020200022500 A KR1020200022500 A KR 1020200022500A KR 20200022500 A KR20200022500 A KR 20200022500A KR 20210108510 A KR20210108510 A KR 20210108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tient
drug
printing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5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200022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8510A/en
Publication of KR2021010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51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Job scheduling, e.g. queuing, determine appropriat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92Mobile client, e.g. wireless prin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drugs, e.g. their side effects or intended us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a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comprising: a first step of intercepting drug print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 printing device that prints drug packaging; a second step of providing the intercepted drug print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to a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a third step of outputting N (N >= 1) pieces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part of the patient uniq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ug print information; a fourth step of receiving n (1 <= n <= N)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 a touch input, and receiving a touch input of the touche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 fifth step of requesting to confirm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 sixth step of providing, by the touch screen devic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operation server; a seventh step of the operation server receiv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 eighth step of generating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based on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nd a ninth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Description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약국 내 단말에서 지정된 환자의 약품조제를 위해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탐지하여 수집하며, 상기 약국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환자의 식별정보 및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 받아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복약관리정보를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In more detail,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transmitted to a printing device that prints the drug packaging for the specified patient's drug dispensing in the terminal in the pharmacy is detected and collected, and the patient through the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Touch screen device for receiv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touch input to confirm whether the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nd then providing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ug print information to the wireless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patient It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based drug print information.

전 세계적으로 건강에 대한 관심은 높을 수밖에 없으므로 관련 의료 시장은 그 수요와 규모가 계속 커지고 있으며 또한 의료산업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건강관리(헬스케어) 관련 사업의 규모와 수요 역시 가파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Since interest in health is inevitably high around the world, the demand and scale of the related medical market continues to grow, and the scale and demand of various health care (health care)-related businesses derived from the medical industry are also showing rapid growth.

특히 사람들의 의료정보와 바이오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2차 서비스 시장에서 관련 의료 정보 및 의약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매우 복잡한 경로와 높은 수준의 통제가 필요하여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들은 법을 통해서도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다.In particular, in the secondary service market that collects and utilizes people's medical information and bio-information, the collection of related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formation requires a very complex path and high level of control. is also strictly regulated.

이중에서도 환자들이 병원의 처방을 통해서 약국에서 제조 받은 의약 정보는 의료정보 가운데 헬스케어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으며, 복약기준이나 장기적으로 다른 치료나 처방시에도 이력정보로 활용할 수 있고 본인의 지속적인 건강관리에 매우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다.Among them, the drug information that patients receive from the pharmacy through the prescription of the hospital is in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health care service among the medical information, and it can be used as history information for medication standards or other treatments or prescriptions in the long term, and it can be used as a basis for maintaining the health of the patient. It can be said to be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management.

이에 따라 의약 정보를 정당한 본인 동의 하에 수집하려고 하는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오고 있으나, 여기에는 확산이 어려운 기술적 환경적 문제점이 존재한다. Accordingly, services that attempt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with the consent of the individual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but there are techn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spread.

첫번째는 제조하는 약국에서 제조 의약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업무의 부담과, 매번 환자에게 동의를 구해야 하며 환자 역시 동의 및 정보관리를 위한 프로그램의 설치 등의 번거러움과 관리 업무가 늘어나게 된다. The first is the burden of inputting manufacturing drug information at the manufacturing pharmacy, and the need to obtain consent from the patient every time.

두번째는 약국에서 사용하는 의약 정보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해당 정보를 수집하는 경우 매우 많은 종류의 의약 관리 프로그램들간 연계 작업을 해야 하고 프로그램의 기능과 버전이 변경되면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상당히 많은 작업과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Second, when collecting the relevant information using the drug information management program used in the pharmacy, it is necessary to link very many types of drug management programs, and if the function and version of the program are changed, a considerable amount of work and It may cost money.

또한 이렇게 수집된 의약 정보의 활용에 있어서도 결국 정보주체인 환자 본인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들이 활성화되기 위해서 정보의 안전한 공유와 이용에 제약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사정은 다양한 경로로 의료정보를 수집하고자 개발되고 있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 및 스마트폰을 이용한 장치들도 연계와 동의, 정보활용의 복잡성 문제는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이 개시된 바, 이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in the utilization of the collected medical information, there are bound to be restrictions on the safe sharing and use of information in order to activate services that can be helpful to the patient himself, who is the information subject. Under this circumstance, wearable devices and devices using smartphones, which are being developed to collect medic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channels, still have problems of complexity of linkage, consent, and information us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atent literature has been disclosed, and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it as follow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07622호(2016년03월24일 등록)는 모바일 출력 환경에서의 보안을 위한 프린트 관리 서버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에 따르면, 개인정보와 키워드의 임계치 검출 여부에 따라 출력 수행여부 및 출력물의 내용 수정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07622 (registered on March 24, 2016) relates to a print management server for security in a mobile printing environ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to perform output and whether to modify the contents of an output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은 특정 출력정보의 추출과 환자 동의를 위한 기술적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아 개인정보노출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forementioned patent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personal information may be exposed because technical contents for extraction of specific output information and patient consent are not described.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6755호(2019년01월21일 공개)는 복약 지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환자 및 가족 정보를 복약 지도 사이트에 등록하고, 처방전을 촬영하여 처방전 영상을 상기 복약 지도 사이트에 업-로드하면, 처방전 영상을 자동으로 분석하여 관련 내용을 저장하고 약제 정보를 제공하며, 분석된 내용을 기반으로 복약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06755 (published on January 21, 2019) relates to a medication guidance system and a method therefor. When an image is uploaded to the medication guidance site, a method of automatically analyzing a prescription image, storing related contents, providing med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a medication notification based on the analyzed contents is disclosed.

그러나, 전술한 특허문헌은 환자가 일일이 처방전을 영상으로 촬영해서 업로드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 docu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patient has to upload the prescription one by one by shooting an imag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약국 내 단말에서 지정된 환자의 약품조제를 위해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탐지하여 수집하며, 상기 약국에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환자의 식별정보 및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 받아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복약관리정보를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로 제공하기 위한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detect and collect drug printing informa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transmitted to a printing device that prints drug packaging for a designated patient's drug preparation at a terminal in the pharmacy,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by receiving a touch input of the pati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a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for providing to a wireless terminal.

본 발명에 따른 의약관리모듈을 구비한 약국 내 단말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과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상기 정보처리모듈과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와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제1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 입력받고, 상기 터치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받는 제4 단계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5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7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제8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rough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provided in a terminal in a pharmacy having a drug managemen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interlocking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and an oper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the touch screen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s provided in a pharmacy through a medication management module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is intended to be delivered to a printing device that prints medication packaging. A first step of intercepting information, a second step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providing the intercepted drug print information to a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the touch screen device receives the drug print information and receives the touch screen A third step of outputting N (N≥1) pieces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atient uniq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ug print information through A fourth step of receiving a touch input of nth (1≤n≤N)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N pieces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receiving a touch input of the touche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 fifth step of sending the input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to request confirmation of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 sixth step of providing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operation server, wherein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and receives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 seventh step of linking and storing the n-th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th patient's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r database), or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or extracts) the first An eighth step of generating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based on the n-th patient's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erver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use the app of the n-th patient's wireless terminal. In response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may include a ninth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ep, when intercept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deliver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to the printing device on behalf of the prin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품인쇄정보는, 환자 고유정보와 약품 포장지에 인쇄될 약품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may include patient-specific information and drug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the drug packaging.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말 내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구동된 경우, 상기 구동된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a 단계와,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제b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s driven in the terminal, the drive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refers to a setting file associated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or refers to the system information of the terminal by referring to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and A first step of confirming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that prints the drug packaging paper in conjunction,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transmits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based 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includes a bth step of detecting whether can be don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drug packaging paper, po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port interworking with the printing device, and a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through the printing devic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metho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river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or the printing port may be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USB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n a USB manner and interworks with the drug management module, the bth step includ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with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drug management module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step, where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works with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to enable the printing device It may be made including the step of intercepting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apparatus is connected to a terminal in a serial port manner and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the bth step includ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relating to the serial port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drug management module in conjunction with a driver, wherein the first step is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works with the serial port-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It may be made including the step of intercepting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device interworks with the medication management modul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in step b,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works with the Bluetooth-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enable the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a medicine management module, wherein the first step is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Bluetooth-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It may be made including the step of intercepting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장치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apparatus interworks with the drug management module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the bth step include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locking with the network-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a medicine management module, wherein the first step is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a network-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It may be made including the step of intercepting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urth step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storing, by the touch screen device,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 designated management storage area by using the n-th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done by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유효시간 경과 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evice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ssociation with the management storage area, and then checking whether a specified effective time elapses, and when the effective time elapses, the The touch screen device may further include delet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xth step, 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re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the touch screen device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and The step of deleting drug print information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또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fth step,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and the operation server is a member design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checking the DB to check the service subscription status of the n-th patient, and when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cannot be confirmed, the operation server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receive the n-th patient's wireless providing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an app of the terminal; Step, the operation server stor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ember DB, When confirming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or newly stor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ember DB , The operation server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providing service subscrip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n-th patient to the touch screen devic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the operation server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uniquely identify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Confirming information and performing a procedure of sending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by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제n 환자 고유정보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상기 회원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venth step, 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newly stored in the member DB, the operation server includes the n-th patient-specif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nd It may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stor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ssociation with the member DB.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약관리정보는, 지정된 복약 기간 중 복약관리를 위한 일시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date and time for medication management during a designated medication period.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통신번호정보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igh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toring, by the operation server,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ssociation with a designated storage medium.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inth step, the operation server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confirm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perform a procedure of sending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have.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시설에서 생성되는 의료 및 의약정보를 간편하게 환자 동의를 받아 수집하며 이를 빅데이터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medical and drug information generated in a medical facility can be conveniently collected by obtaining patient consent and converted into big data.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직접 처방정보를 등록하지 않아도 편리하게 복약관리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atient can conveniently receive th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without directly registering prescription inform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악품인쇄정보를 이용하여 복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에서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과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무선단말로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a touch screen device-based bad product pr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tercepting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rminal in a pharmacy to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a patient through a terminal and a touch screen device in a pharma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o subscribe to a service by using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to a patient's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inciple of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description. However, the drawings shown below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for pre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mong various method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drawings and description.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That is, the following embodiment corresponds to an embodiment of a preferred union type among numer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in which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is omitt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 or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An embodiment in which a function implemented in a function is divided into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or an embodiment in which a function implemented in two or more configurations (or step) is integrated into any one configuration (or step), a specific configuration (or step) Embodiments in which the order of operation is replaced, and the like, are clearly stat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not specifically mention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refore, it is clearly specified that various embodiments corresponding to a subset or a complement can be divided retroactively from the filing date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ollowing example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환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patient or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As a resul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e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nly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악품인쇄정보를 복약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based on a touch screen device based on a med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약국 내 단말(125)에서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탐지하여 수집하며, 상기 약국에 구비되며 상기 약국 내 단말(125)과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145)를 통해 환자의 식별정보 및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 받아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서비스에 가입한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상기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면,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복약관리정보를 확인하거나 생성하여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this figure 1 detects and collects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at is provided in the pharmacy to print the medicine packaging, and is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the terminal in the pharmacy ( 125) through the touch screen device 145 interworking with the patien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received by touch to confirm whether the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nd then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medicine When print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operation server 100 checks or create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ine print inform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for providing as 155,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and/or modify this FIG. 1 to see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system ( For example, some components are omitted, subdivided, or combined implementation metho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only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The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의약관리모듈(130)과, 정보처리모듈(135)를 구비하며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100)와 통신하는 약국 내 단말(125)과, 상기 약국 내 단말(100)과 직접 또는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약품 포장지 인쇄를 위해 약품인쇄정보를 제공받는 인쇄장치(140)와,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과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145)와,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기능과,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는 기능과, 상기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기능과,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서버(100)와,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앱(155)이 설치된 상기 환자의 무선단말(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ug management module 130,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and a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that communicates with the operation server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terminal 100 in the pharmacy A printing device 140 connected directly o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receive drug printing information for printing drug packaging paper, a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interworking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and the touch screen A function of receiving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from the device 145 and linking and storing i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and managing the patient's med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drug print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r database) A function of receiving (or extracting) information, a function of generating the n-th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based on the patient's drug print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wireless terminal 150 using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 of the app 155 of the operation server 100 that performs one or more functions of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corresponding to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It may include the patient's wireless terminal 150 in which the app 155 for receiving the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is installed.

상기 인쇄장치(140)는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상기 약국 내 단말(100)로부터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기 위한 약품인쇄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약품 포장지를 인쇄할 수 있다.The printing device 140 may be provided in the pharmacy to receive drug printing information for printing the drug wrapping paper from the terminal 100 in the pharmacy to print the drug wrapping paper.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과 연동하며,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기능과,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 입력받고, 상기 터치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받는 기능과, 상기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기능과,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하는 기능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touch screen device 145 interworks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rovided in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receives the drug print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and receives the drug print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a function of outputting N (N≥1) pieces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art of the patient uniq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 n ≤ N) a function of receiving a touch input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function of receiving a touch input of the touche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 th patient, and transmitting the input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 th patient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One of a function of requesting to confirm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nd a function of providing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operation server 100 when the n-th patient is subscribed to the service It can perform more than one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may link and store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 designated management storage area using the n-th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고, 상기 유효시간 경과 시,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100)를 통해 서비스 가입 상태가 확인되든, 확인되지 않든, 유효시간이 경과하면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in association and checks whether a specified effective time elapses, and the When the effective time has elapsed,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may be deleted from the management storage area. Here, whether or not the service subscription status is confirmed through the operation server 100, it is preferable to delete it when the valid time elapse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운영서버(100)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n-th patient is stored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You can delet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약국 내 단말(125)과, 인쇄장치(140)와,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약국 내에서 직접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the printing device 140, and the touch screen device 145 can be connected directly in the pharmacy or through a local area network.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약국 내 단말(125)은 의약관리모듈(130)과 정보처리모듈(13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may include a medication management module 130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은 의료시설에서 진료한 진료정보와, 환자에게 처방한 처방전 정보 및 환자에게 복약을 처방한 복약정보 등 의료시설에서 환자에게 처방한 진료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dication management module 130 may store treatment information prescribed to a patient in a medical facility, such as treatment information treated at a medical facility, prescription information prescribed to the patient, and medication information prescribed to the patient.

또한,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은 병원에서 환자에게 처방한 처방전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처방전 정보에 대응하는 약품 포장지 인쇄를 위한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인쇄장치(14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prescribed by the hospital to the patient is input,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may provide the printing device 140 with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for printing medicine packaging paper corresponding to the prescrip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약품인쇄정보는 환자 고유정보와 약품 포장지에 인쇄될 약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may include patient-specific information and drug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the drug packaging.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약국 내 구비되는 터치스크린장치(145)와 연동하며,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된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제공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locks with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intercepts drug print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through the medication management module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when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intercepted, it can be provided to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cepts the drug print information, the printing device 140 may perform a procedure of deliver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on behalf of the pers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125) 내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이 구동된 경우, 상기 구동된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125)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것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driven in the terminal 125 , the drive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stores a setting file associated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 Check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at prints the medicine packaging in conjunction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by referring or referring to the system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25, and based 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may be detected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possible to intercept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when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device for printing drug packaging paper, po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port interworking with the printing device, and a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through the printing devic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piec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identification method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river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or the printing port.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USB 방식으로 단말(125)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device 14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25 in a USB manner and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may store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basis, in conjunction with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it detects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and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and It is possible to intercept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conjun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125)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erforms the print identification when the printing device 14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25 through a serial port method and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interlocked with a serial port-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to detect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and the serial port of the terminal 125 is transmitted. It is possible to intercept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port-related driver.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s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in conjunction with the Bluetooth-related driver of 125, and interworks with the Bluetooth-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to print the print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evice 140 may be intercep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고,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방식은 무선랜 방식이나 유선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s whether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drug management module 130 in conjunction with the network-related driver of 125, and prints the print by interworking with the network-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evice 140 may be intercepted. Here, the network method may include either a wireless LAN method or a wired LAN method.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은 각종 이동통신단말, 각종 휴대폰,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받기 위해,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 내에 구비된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지정된 앱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무선단말(15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포함하는 앱(155)을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에 다운로드 설치된 앱(155)은 설치 후 최초 실행(또는 정보 등록 전 실행) 시 상기 무선단말(150)과 앱(155)의 조합(또는 상기 앱(155)을 설치한 환자 무선단말(150), 또는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에 설치된 앱(155))을 고유한 매체로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예컨대, 디바이스토큰, UUID 등)를 생성하거나 지정된 서버를 통해 할당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과 앱(155)의 조합을 고유한 매체로 고유 식별하는 매체식별정보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various mobile phones, various smart phones, and various tablet PCs, and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 function of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a designated app providing server (eg, Apple's App Store, etc.) through a data network to which communication resources provided in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can be accessed. The process of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app 155 including the program code for performing the above may be perform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 155 downloaded and installed on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is first executed after installation (or executed before information registration), the combination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and the app 155 (or the app 155 is installed)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device token, UUID, etc.) that identifies a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or the app 155 installed in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as a unique medium is created or allocated through a designated server A receiving procedure may be performed, and a procedure of registering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combination of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and the app 155 as a unique medium to a designated server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의 앱(155)은 상기 무선단말(100)을 고유 식별하는 무선단말정보(예컨대, 전화번호, IMSI, IMEI 등)를 지정된 서버에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무선단말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환자 무선단말(150)의 앱(155)은 상기 앱(155)를 설치한 환자 무선단말(150)의 환자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예컨대, 주민등록번호, 고유ID(또는 회원ID), 성명, 생년월일 등)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버는 상기 매체식별정보와 상기 환자의 고유식별정보를 연계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app 155 of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may perform a procedure of registering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eg, phone number, IMSI, IMEI, etc.) that uniquely identifies the wireless terminal 100 to a designated server. , in this case, the server can manage the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wireless terminal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storage. On the other hand, the app 155 of the patient wireless terminal 150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unique ID (or member ID), name, date of birth, etc.) may be performed, and in this case, the server may link and manage the medi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patient'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가입 확인부(105)와, 정보 저장부(110)와, 정보 처리부(115)와, 정보 제공부(12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1의 실시예는 편의상 상기 운영서버(100)를 하나의 서버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운영서버(100)를 구현하는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운영서버(100)는 둘 이상의 서버 조합 또는 서버 시스템 형태로 구현되거나 기 구축된 서버에 탑재되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operation server 100 may include a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05 , an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15 , and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embodiment of this figure 1 shows the operation server 100 in the form of one server for convenience, the embodiment implementing the operation server 100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ration server 100 has two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the above servers or a server system, o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software mounted on a pre-built serv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such embodiments.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에 따라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제공할 수 있다.The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05 confirms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ccording to a request to confirm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the touch screen device 145 . can be provided as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145, the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05 selects a member DB design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t is possible to check the service subscription status of the nth patient by inquiring.

만약,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이 불가하다면,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f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the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05 sends the n-th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to the app 155 of the n-th patient's wireless terminal 150 . Provides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receives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and stores the information in the member DB It is possible to store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또한,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또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 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05 confirms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or newly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ember DB,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s information about the n-th patient. Service subscrip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가입 확인부(105)는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이 불가한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05 cannot confirm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us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Check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155 of A procedure of sending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consent request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저장매체는 상기 운영서버(100)의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may receive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145 and link and store the information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Here, th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side the operation server 100 or may be located outside.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저장부(110)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한 경우,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제n 환자 고유정보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상기 회원DB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newly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ember DB, the n-th patient-specif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may be linked and stored in the member DB.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가 연계되어 지정된 저장매체에 저장되면,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160)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15 is stored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in connection with the n-th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through the designate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r database) 160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may be received (or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or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printed medication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여기서, 상기 복약관리정보는 지정된 복약 기간 중 복약관리를 위한 일시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may include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date and time for medication management during a designated medication period.

또한, 상기 정보 처리부(115)는 상기 정보 저장부(110)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통신번호정보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할 수 있다.Als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15 may link and store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rough the information storage unit 110 .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정보 처리부(115)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가 수신(또는 추출)되거나 생성되면,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n-th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th patient's drug print information is received (or extracted) or gener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15,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communicates with the n-th patient. A procedure of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may be performed using the number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 제공부(120)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0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by us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 push message for confirm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by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carry out the process of sending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에서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intercepting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 terminal in a pharmacy to a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약국 내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2 shows a process of intercepting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rovided in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shown in FIG. 1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the pharmac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nferring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for the above process by referring to and/or modifying this FIG. 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2 .

도면2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의 구동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200).Referring to FIG. 2 , the illustrated implementation process may be started from the operation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rovided in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 200 ).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125)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한다(205).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refers to a setting file associated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or refers to the system information of the terminal 125 and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o print the medicine packaging.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vice 140 is checked ( 205 ).

여기서,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device that prints the drug packaging paper, po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port interworking with the printing device, a method of identifying a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through the printing device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river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or the printing port may be included.

상기 인쇄하는 인쇄장치(140)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한다(210).Whe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o be printed is confirm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sends the medicine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based 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detected whether pri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 210 ).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가 감지되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어 획득한다(215).When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s detec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cepts and obtains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 215 ).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USB 방식으로 단말(125)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inting device 14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25 in a USB manner and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may store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basis,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in conjunction with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 135) may intercept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124)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124 in a serial port manner and the printing device 140 is interlocked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e print identific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in conjunction with the serial port-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an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The module 135 may intercept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serial port-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in conjunction with the Bluetooth-related driver at 125, an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the It is possible to intercept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conjunction with the Bluetooth-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130)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단말(125)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방식은 무선랜 방식이나 유선랜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130 in conjunction with the network-related driver at 125, an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is the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may be intercepted by interworking with the network-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125 . Here, the network method may include either a wireless LAN method or a wired LAN method.

한편,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은 상기 인쇄장치(140)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한다(220).On the other h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erforms a procedure of transferring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o the printing device 140 on behalf of the printer (220).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약국 내 단말과 터치스크린장치를 통해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a patient through a terminal and a touch screen device in a pharmac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상기 도면2의 과정을 통해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이후,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약국 내 터치스크린장치(145)와 연동하여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3 shows drug printing that is provided in the pharmacy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rovided in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through the process of FIG. 2 and deliver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that prints the drug packaging After intercepting the informati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shows the process of checking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by interworking with the touch screen device 145 in the pharmacy. Those who have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changed in order) for the above process by referring and/or modifying this figure 3,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inferred All implementation methods are included,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illustrated in FIG. 3 .

도면3을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약국 내 단말(125)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135)을 통해 약국 내 인쇄장치(140)로 전달되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이후, 상기 정보처리모듈(135)에서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제공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300).Referring to FIG. 3 , in the illustrated implementation process, after intercepting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140 in the pharmacy throug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provided in the terminal 125 in the pharmacy, the information processing It can be started from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intercepted by the module 135 to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300).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정보처리모듈(135)로부터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수신되면(305),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수신된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한다(310).The touch screen device 145 receives the drug print information from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35 (305), the patient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atient-specif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received drug print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Outputs N (N≥1)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310).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의 터치 입력이 확인되면(315), 상기 터치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의 터치 입력을 확인한다(320).And, when the touch input of the nth (1≤n≤N)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N pieces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checks (315) the touch input nth Confirmation of the touch input of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320).

이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한다(325).Thereafter, the touch screen device 145 links and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 designated management storage area using the n-th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 325 ).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o subscribe to a service by using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약국 내 터치스크린장치(145)에서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확인한 이후, 상기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상기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4 shows that after confirming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in the pharmacy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to provide the patient's As showing the process of confirming whether to subscribe to the servic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fer to and/or modify this FIG. 4 to see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process (eg,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of which is changed) may be inferr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inferred implementation methods,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4 only.

도면4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상기 도면3의 과정을 통해 터치스크린장치(145)에서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410). Referring to FIG. 4, in the illustrated implementation process, after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are linked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i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through the process of FIG. 3, the designated effective time It may be started from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is has elapsed ( 410 ).

만약, 상기 유효시간이 경과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한다(405).If it is confirmed that the effective time has elapsed, the touch screen device 145 delet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 405 ).

그리고,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100)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한다(410).Then, the touch screen device 145 transmit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designated operation server 100 to request confirmation of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 410 ).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가 수신되면(415),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한다(420).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received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145 ( 415 ), the operation server 100 inquires a designated member DB through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obtain the n-th patient. Check the service subscription status of (420).

만약,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이 불가능하다면,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한다(425).If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the operation server 100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send the n-th patient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n Provides the patient's service subscription request information (425).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하고(430),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한다(445).And, whe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the n-th patient is stored in the member DB.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is stored (430), and service subscrip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n-th patient is provided to the touch screen device (145) (445).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환자의 무선단말로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to a patient's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상기 도면4의 과정을 통해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가 확인된 이후,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에서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운영서버(100)로 제공하여 상기 운영서버(100)에서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상기 통신번호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의 무선단말(150)로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In more detail, FIG. 5 shows the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ing information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after the patient's service subscription is confirmed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s showing a process of providing the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rug print information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o the patient's wireless terminal 150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be able to infer various implementation methods (eg, an implementation method in which some steps are omitted or the order is changed) for the above process by referring and/or modifying this figure 5. ,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cluding all the implementation methods inferred above, and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are not limited only to the implementation method shown in FIG. 5 .

도면5를 참조하면, 도시된 실시 과정은, 도면4의 과정을 통해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가 확인된 이후,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145)이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부터 개시될 수 있다(500).Referring to FIG. 5 , in the illustrated implementation process,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through the process of FIG. 4 ,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d in the pharmacy is sent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It may start from the process of receiving the patient's service subscrip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500).

상기 운영서버(100)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00)로 제공한다(505).When the service subscrip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00, the touch screen device 145 provide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operation server 100 ( 505).

상기와 같이 운영서버(100)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는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re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100 as described above, the touch screen device 145 stor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It is preferable to delete

한편,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145)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510).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145, the receive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re designated and stored. Linked and stored in the medium (510).

그리고, 상기 운영서버(100)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고(515),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통신번호정보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한다(520).And, the operation server 100 receives (or extracts)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corresponding to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hrough a designate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r database), or the medicine of the n-th patient Based on the print information,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generated (515), and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linked and stored in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a designated storage medium (520).

이후,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한다(525).Then, the operation server 100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tak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provides (525).

여기서, 상기 운영서버(100)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150)의 앱(155)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server 100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confirm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may be sent to the app 155 of the wireless terminal 150 of the n-th patient by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100 : 운영서버 105 : 가입 확인부
110 : 정보 저장부 115 : 정보 처리부
120 : 정보 제공부 125 : 약국 내 단말
130 : 의약관리모듈 135 : 정보처리모듈
140 : 인쇄장치 145 : 터치스크린장치
150 : 환자 무선단말 155 : 앱
160 : 정보관리서버
100: operation server 105: subscription confirmation unit
110: information storage unit 115: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20: information providing unit 125: terminal in the pharmacy
130: drug management module 135: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140: printing device 145: touch screen device
150: patient wireless terminal 155: app
160: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laims (18)

의약관리모듈을 구비한 약국 내 단말에 구비된 정보처리모듈과 상기 약국 내 구비되어 상기 정보처리모듈과 연동하는 터치스크린장치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터치스크린장치와 연동하는 운영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에 구비된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약국 내 구비되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로 전달하려는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제1 단계;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가로챈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약국 내 구비된 터치스크린장치로 제공하는 제2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고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환자 고유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N(N≥1)개의 환자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제3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N개의 환자 식별정보 중 제n(1≤n≤N) 환자 식별정보를 터치 입력받고, 상기 터치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터치 입력받는 제4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입력된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지정된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5 단계;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상기 운영서버로 제공하는 제6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제7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지정된 정보관리서버(또는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대응하는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수신(또는 추출)하거나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를 생성하는 제8 단계; 및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제9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 method executed through a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provided in a terminal in a pharmacy having a drug management module, a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and interlocking wit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and an operation server interworking with the touch screen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first step in which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cepts drug printing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 printing device that is provided in a pharmacy through a drug management module provided in the terminal and prints drug packaging;
a second step of providing the intercepted drug print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to a touch screen device provided in the pharmacy;
The touch screen device receives the drug print information and outputs N (N ≥ 1)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ing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patient uniqu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ug print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a third step;
The touch screen device receives a touch input of nth (1≤n≤N)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the N pieces of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screen, and a fourth touch input for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touched nth patient step;
a fifth step of sending, by the touch screen device, the input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a designated operation server and requesting confirmation of whether the n-th patient has subscribed to the service;
a sixth step of providing, by the touch screen devic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ing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operation server when the n-th patient's service subscription is confirmed;
a seventh step of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and storing the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a designated storage medium;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or extracts) the nth patient's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th patient's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through a designated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or database), or based on the nth patient's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an eighth step of generating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nd
a ninth step of performing, by the operation server, a procedure of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by us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a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챈 경우,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대행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When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intercept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using the touch screen device-based drug pri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performing a procedure of transferr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to the printing device on behalf of the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품인쇄정보는,
환자 고유정보와 약품 포장지에 인쇄될 약품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A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patient-specific information and medication information to be printed on medication packag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에서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구동된 경우, 상기 구동된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계된 설정 파일을 참조하거나 상기 단말의 시스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해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와 관련된 인쇄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a 단계; 및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제b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s driven in the terminal, the driven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refers to a setting file associated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or refers to the system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nd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to print the medicine packaging. a (a) step of confirming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printing device to be printed; and
A step b of detecting whether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transmits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based 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step is
Medication management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drug pri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cepts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when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HOW TO PROVIDE SERVICES.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식별정보는,
약품 포장지를 인쇄하는 인쇄장치를 식별하는 장치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와 연동하는 인쇄포트를 식별하는 포트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를 통해 인쇄하는 인쇄방식을 식별하는 방식식별정보,
상기 인쇄장치 또는 인쇄포트와 관련된 드라이버를 식별하는 드라이버식별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dentify the printing device that prints the drug packaging,
Port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port interworking with the printing device;
Method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printing method for printing through the printing device;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of dri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identifying a driver related to the printing device or the printing port.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USB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USB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printing device is connected to a terminal in a USB manner and interlocks with the drug management module,
The step b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whether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drug management module in conjunction with a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step is a touch screen device-based drug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intercept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USB-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시리얼포트 방식으로 단말에 연결되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시리얼포트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printing device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through a serial port method and interworks with the drug management module,
The step b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working with the serial port-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etect whether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medication management module. includes,
The first step, touch screen device-based drug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cept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serial port 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블루투스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printing device interworks wit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through Bluetooth communication,
The step b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whether the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medicine management module in conjunction with a Bluetooth-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step is a touch screen device-based drug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intercepting the drug printing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locking with the Bluetooth-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장치가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상기 의약관리모듈과 연동하는 경우,
상기 제b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인쇄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의약관리모듈을 통해 상기 인쇄장치로 상기 약품인쇄정보가 전달되는지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정보처리모듈이 상기 단말의 네트워크 관련 드라이버와 연동하여 상기 인쇄장치로 전달되는 상기 약품인쇄정보를 가로채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n the printing device interworks with the drug management module through network communication,
The step b further includes the step of detecting,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whether the drug pri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through the drug management module in conjunction with a network-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pri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The first step is a touch screen device-based drug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ule intercepting the drug print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printing device in conjunction with the network-related driver of the terminal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제n 환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지정된 관리 저장영역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urth step,
The touch screen device-based touch scree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 designated management storage area by using the n-th pati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ethod of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연계 저장한 후 지정된 유효시간이 경과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시간 경과 시,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checking, by the touch screen device, whether a specified effective time has elapsed after the n-th patient's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drug print information are linked and stored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and
When the effective time elapses, the touch screen device delet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로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제공한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장치가 상기 관리 저장영역에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와 약품인쇄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ixth step,
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re provided to the operation server, the touch screen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let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and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anagement storage area A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로부터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통해 지정된 회원DB를 조회하여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가입 동의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또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터치스크린장치로 상기 제n 환자에 대한 서비스 가입 확인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fth step,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from the touch screen device;
checking, by the operation server, a service subscription status of the n-th patient by inquiring a designated member DB through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When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the operation server provides the n-th patient's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by us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
receiving, by the operation server,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app of the n-th patient's wireless terminal;
storing, by the operation server,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ember DB; and
providing, by the operation server, service subscription confirmation information for the n-th patient to the touch screen device when confirming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or newly storing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the member DB; A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확인 불가 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서비스 가입 동의 요청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n it is impossible to confirm the service subscription of the n-th patient, the operation server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confirm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of the n-th patient's wireless terminal, and performing a procedure of sending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the n-th patient's service subscription consent request information to the app of the n-th patient's wireless terminal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 method of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회원DB에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신규 저장한 경우,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약품인쇄정보에 포함된 제n 환자 고유정보와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상기 회원DB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venth step,
When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s newly stored in the member DB, the operation server stores the n-th patient-specific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rug pri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and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member.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link in the DB.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약관리정보는,
지정된 복약 기간 중 복약관리를 위한 일시 별 복약서비스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 method for providing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for each date and time for medication management during a designated medication peri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8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와 통신번호정보와 지정된 저장매체에 연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ighth step,
The method of providing a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on server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storing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in association with a designated storage mediu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9 단계는,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제n 환자의 통신번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지정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기 위한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n 환자의 무선단말의 앱으로 상기 제n 환자의 복약관리정보에 대응하는 복약서비스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푸시 메시지를 발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기반의 약품인쇄정보를 이용한 복약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inth step,
The operation server uses the communication number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check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sending a designated push message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the n-th patient, and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n-th patient Touch screen device-based medication printing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sending a push message for providing medication serv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dication management information of the n-th patient to the app of the wireless terminal of How to provide medication management service using
KR1020200022500A 2020-02-24 2020-02-24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85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500A KR20210108510A (en) 2020-02-24 2020-02-24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500A KR20210108510A (en) 2020-02-24 2020-02-24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510A true KR20210108510A (en) 2021-09-03

Family

ID=7778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500A KR20210108510A (en) 2020-02-24 2020-02-24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851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95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storage and forwarding of patient information
US20180137936A1 (en) Secure real-time health record exchange
EP2443552B1 (en) Providing a customized application to a user terminal
KR102571307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rypting, converting and interacting with medical images
EP2683994A2 (en) Mobile device-based system for automated, real time health record exchange
CN104137129A (en) Method for processing patient-based data sets
KR1008056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hanging medical data between hospitals
WO20212618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on-face-to-face electronic prescription service
US20050216311A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a method of processing medical data
CN1111926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ing health data
JP2016126361A (en) Medicin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CN112489770B (en) DICOM file transmission system, DICOM file transmission method and DICOM file transmission device
US20130268390A1 (en) Providing a customized application to a user terminal
KR20210108510A (en)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8509A (en)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KR20210108515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8511A (en)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7975A (en) Method for Simplifying Loss Insurance Claim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7977A (en) Method for Simplifying Loss Insurance Claim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8516A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EP1316892A1 (en) Member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individual information acquiring method, and system
KR20210107966A (en) Method for Providing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7974A (en) Method for Simplifying Loss Insurance Claim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KR20210108513A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 Based on Touch Screen Device
KR20210108512A (en) Method for Providing Interactive Taking Medicine Management Service by Using Medicine Print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