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7869A - 광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광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7869A
KR20210107869A KR1020217025132A KR20217025132A KR20210107869A KR 20210107869 A KR20210107869 A KR 20210107869A KR 1020217025132 A KR1020217025132 A KR 1020217025132A KR 20217025132 A KR20217025132 A KR 20217025132A KR 20210107869 A KR20210107869 A KR 20210107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rradiated
light source
wavelength band
irradi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희호
윤영민
이아영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10107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4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for eliminating microbes, germs, bacteria on or i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9Radiation
    • A61L2/0047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1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ultravio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광 조사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광원을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블루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자외선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의 출사 후 상기 제2 광원이 순차적으로 출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광원의 도즈량은 상기 제1 광원의 도즈량 대비 1/10 이내일 수 있다.

Description

광 조사 장치
본 발명은 광 조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광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외선을 이용한 다양한 치료기가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살균 효과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으며, 종래의 자외선 치료기는 전통적인 자외선 램프를 사용하여 이를 피부 근처에서 가동하여 치료가 요구되는 부위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자외선은 살균 효과와 더불어 피부 노화나 암을 유발하는 등 부작용이 있다. 이에 따라 인체에 영향을 끼치지 않은 안전한 방식으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최소화되면서도 살균 효과가 높은 광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블루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자외선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과 상기 제2 광이 순차적으로, 또는, 중첩하여, 또는 중첩하지는 않더라도 근접한 시기에 출사되도록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광원의 도즈량은 상기 제1 광원의 도즈량의 1/10 보다 작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의 출사 시작 후 상기 제2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UVA, UVB, 및 UVC 파장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 대역에 해당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약 400nm 내지 약 500nm의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광은 가시 광선에 대응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광은 약 380nm 내지 약 780nm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광의 스팩트럼은 노멀라이즈된 태양광 스펙트럼의 면적 대비 약 55% 이상의 면적을 가지며, 제1 광의 피크는 노멀라이즈된 태양광 스펙트럼 대비 약 0.14 이하의 편차(deviation)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약 240nm 내지 약 280nm의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제1 시간 동안 조사되고,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광의 조사가 완료된 후 조사가 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광의 조사가 완료되기 전 조사가 시작되며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하는 구간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광은 연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광은 불연속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주기적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장치는 인체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급성 창상 치료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이 인체에 인가될 때 하루당 무해한 범위의 도즈량을 허용 도즈량이라고 하면, 상기 제2 광원은 허용 도즈량 내에서 상기 제2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약 30 J/m2 내지 약 1,000,000 J/m2의 도즈량으로 조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에 대한 부작용이 최소화되면서도 살균 효과가 높은 광 조사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에 있어서,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스펙트럼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제품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들이다.
도 10은 기존 발명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 대상에 광을 조사하였을 때 조사 조건에 따른 살균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a는 제1 광의 살균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1b는 제2 광의 살균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a는 제1 광 단독으로 조사된 경우, 제2 광 단독으로 조사된 경우와, 제1 및 제2 광이 조합되어 조사된 경우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b는 제1 광 단독으로 조사된 경우, 제2 광 단독으로 각각 조사된 경우와, 제1 및 제2 광이 조합되어 조사된 경우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a는 제1 광과 제2 광의 조합 순서가 달리 설정되어 조사된 경우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b는 제1 광과 제2 광의 조합 순서가 달리 설정되어 조사된 경우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a는 in vitro 조건에서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b는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a는 in vivo 조건에서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b는 in vivo 조건에서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는 in vivo 조건에서의 날짜에 따른 살균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는 in vivo 조건에서의 날짜에 대한 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in vivo 조건에서의 날짜에 따른 상처 면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날짜에 따른 상처 면적의 형상을 촬상한 사진들인 바, 도 19a는 무조사군의 상처의 사진들이며, 도 19b는 광조사군의 상처의 사진들이다.
도 20a는 조직내에서 티민 다이머의 함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0b는 DCFH-DA에 염색된 조직 발광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살균이 필요한 대상에 살균 광을 인가함으로써 살균을 수행하는 광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상처 치유가 필요한 곳에 상처 치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살균이 필요한 대상이 인체이고 피부에 상처가 난 경우, 상처 부위의 병원체를 살균할 필요가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상처에서의 병원체를 살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병원체(病原體, pathogen)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세균, 균류, 원생 생물, 곰팡이 등의 미생물 등을 가리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창상, 궤양(ulcer), 절개 부위의 감염(surgical site infection), 열상(laceration), 절상(incised wound), 자상(punctured wound) 등 다양한 상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100)는 제1 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30), 제2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40), 및 상기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을 실장하는 기판(20)을 포함한다.
제1 광원(30)과 제2 광원(40)은 기판(20) 상에 실장되는 바, 기판(20)은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을 실장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판(20)은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선이 포함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기판(20)은 예를 들어, 배선이 형성된 금속 기판, 인쇄 회로 기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광원(30)은 가시 광선 파장 대역 중 블루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출사한다. 제1 광은 약 400nm 내지 약 500nm의 파장 대역의 광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은 약 400nm 내지 약 420nm의 파장 대역의 광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더 상세하게는 제1 광은 405nm의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다.
제1 광은 박테리아, 세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 내에 존재하는 광감작제(photosensitizer)에 작용하여 세포를 손상시킴으로써 미생물의 사멸을 유도한다. 제1 광은 세균 내 존재하는 광감작제인 포르피린(porphyrin)의 흡수 파장에 대응한다. 제1 광은 특히 400nm 내지 420nm, 455nm 내지 470nm 파장에서 높은 살균력을 보이며, 이는 광감작제인 포르피린(porphyrin)의 흡수 파장 대역에 해당한다. 포르피린은 세포 내 산소 전달 과정에 필수 요소인 안료(pigment)이다. 포르피린은 특히 약 402nm 내지 약 420nm 파장에서 높은 흡수율을 보이며, 약 455nm 내지 470nm 파장도 흡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포르피린은 박테리아의 종류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1 광의 파장 및 강도를 조절함으로써 특정 박테리아의 사멸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세균에 제1 광이 인가되면 세균 내 포르피린은 제1 광을 흡수하며, 제1 광의 에너지에 의해 세균의 세포 내에 활성 산소(reactive oxygen species)가 생성된다. 활성 산소는 세균의 세포 내에 축적되어 세균의 세포벽을 산화시키며, 그 결과 세균이 사멸되는 효과가 있다.
제2 광원(40)은 자외선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출사한다. 즉, 제2 광은 약 100 nm 내지 약 400nm 파장 대역의 광일 수 있으며, UVA, UVB, UVC일 수 있다. UVA는 약 315 nm 내지 약 400nm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UVB는 약 280 nm 내지 약 315nm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으며, UVC는 약 100 nm 내지 약 280nm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광은 UVC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때, 약 240nm 내지 약 280nm의 파장 대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더 상세하게는 제2 광은 275nm의 파장을 갖는 광일 수 있다.
제2 광이 세균에 인가되면 세균 내의 DNA가 제2 광을 흡수하며, 제2 광의 에너지에 의해 DNA 구조의 변화가 생긴다. DNA는 상기 광의 흡수에 의해 DNA 내의 티민과 아데닌의 결합이 끊어지는 바, 이는 DNA를 구성하는 염기들인 퓨린이나 피리미딘 등이 자외선을 강하게 흡수하기 때문이며, 광의 흡수 결과 티민 다이머가 형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DNA의 변형이 일어나며, 변형된 DNA는 세포 증식 능력이 없기 때문에 세균의 사멸로 이어진다. DNA는 약 240nm 내지 약 280nm 파장 대역의 광을 흡수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제1 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30), 제2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40), 상기 제1 광원(30)과 상기 제2 광원(40)의 출사를 제어하는 제어부(50), 제어부(50)와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원들(30, 40) 각각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루 파장 대역을 포함하는 제1 광과 자외선 파장 대역을 포함하는 제2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은 다양한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은 각각 독립적으로 발광 다이오드, 할로겐 램프, 형광등, 가스방전 램프, 레이저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50)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으로부터 광의 출사 여부, 광량, 광의 강도, 출사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다양한 방식으로 광의 출사 여부, 광량, 광의 강도, 출사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60)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와 제어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와 제어부(50)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면에서는 전원 공급부(60)가 제어부(50)를 통해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에 전원 공급부(60)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광 조사 장치(100)에는 선택적으로 제1 및 제2 광원들(30, 40)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속하거나 발산시키는 광학부가 더 제공될 수 있다.광학부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로부터 생성된 광을 필요에 따라 좁은 범위 또는 넓은 부위로 집속할 수 있다. 또는, 광을 조사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균일하거나 불균일한 형태로 집속하거나 분산시킬 수 있다. 광학부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로부터의 광을 집속, 분산, 균일화, 불균일화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를 이용하여 좁은 면적에 광을 조사할 경우,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에 광을 집속하기 위한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100)을 이용하여 넓은 면적, 예를 들어, 방 전체에 광을 제공할 경우, 광을 분산시키기 위한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제1 광원(30)과 제2 광원(40)을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각각 구동한다. 즉,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이 동시에 온/오프 될 수 있으며, 제1 광원(30)과 제2 광원(40) 각각이 별개로 온/오프 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광원(30)과 제2 광원(40)으로부터의 출사광, 즉, 제1 및 제2 광의 세기 또한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50)는 자외선의 일일 조사량이 3mJ/cm2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50)는 UVC의 경우 일일 조사량이 3 mJ/cm2 이하가 되도록 유지한다. 이에 더해, UVA의 경우 일별 조사 시간이 1000초 미만일 경우, 자외선 조사량이 1 J/cm2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되고, 일별 조사 시간이 1000초 이상일 때는 자외선 조사량이 1mW/cm2를 초과하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30) 및 제2 광원(40)으로부터 살균 대상까지의 거리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의 광의 세기,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의 종류, 살균하고자 하는 면적이나 부피, 살균하고자 하는 목적 물질(예를 들어, 세균, 박테리아 등)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30) 및 제2 광원(40)의 광 조사 시간 또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에 있어서,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제1 광은 L1,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제2 광을 L2라고 하고 시간의 경과를 T로 나타내면, 제1 광원은 제1 시간(t1) 동안 턴 온되어 제1 광(L1)을 조사하며, 제2 광원은 제2 시간(t2) 동안 턴 온되어 제2 광(L2)을 조사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L1)이 조사되는 제1 시간(t1)은 제2 광(L2)이 조사되는 제2 시간(t2)보다 길수 있다. 제2 광(L2)의 경우, 특히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제1 광(L1)보다 짧은 시간 동안 조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은 약 10분 정도의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으며, 제2 광원은 약 10초 이내의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및 제2 광(L2)의 조사 시간(t1, t2)과 조사시의 광량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나,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으로의 총 도즈량은 인체에 무해한 범위 내로 설정된다. 특히, 제2 광(L2)이 인체에 인가될 때 하루당 무해한 범위의 도즈량을 허용 도즈량이라고 하면, 제2 광원은 허용 도즈량 내에서 상기 제2 광(L2)을 출사할 수 있다. 제1 광원과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유해성에 따라 도즈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 광원의 도즈량이 상기 제1 광원의 도즈량 대비 1/10 이내일 수 있으며,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1/20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 광(L2)의 허용 도즈량은 약 30 J/m2 내지 약 1,000,000 J/m2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L1)과 제2 광(L2)은 동시에 조사를 시작하거나, 서로 다른 시간에 조사를 시작할 수 있다. 제1 광(L1)과 제2 광(L2)이 서로 다른 시간에 조사를 시작하는 경우, 제1 광(L1)이 먼저 조사되거나 제2 광(L2)이 먼저 조사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L1)과 제2 광(L2)이 조사되는 시간은 서로 중첩하거나 중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광(L1)과 제2 광(L2)이 조사되는 시간이 중첩하지 않는 경우, 제1 광(L1)과 제2 광(L2)이 인가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은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L1)과 제2 광(L2)이 인가되는 시간 사이의 간격은 몇 시간 이내, 또는 몇분 이내, 또는 몇초 이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제1 광 및 제2 광을 동시에 또는 동시는 아니더라도 근접한 시간 내에 인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시너지에 의해, 제1 광 단독에 대한 살균 효과나 제2 광 단독에 대한 살균 효과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살균 효과를 보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광감작제에 의한 활성 산소종의 생성을 유도하는 제1 광과 티민 다이머를 생성함으로써 DNA의 손상을 유도하는 제2 광의 살균 원리를 동시에 채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광원을 혼합 사용함으로써 각 광원을 단독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적은 에너지량으로도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내에 현저히 높은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화학적 물리적 스트레스가 가해진 박테리아는 추가적으로 가해지는 다른 종류의 약한 자극에 의해서도 사멸률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블루 광과 자외선에 해당하는 제1 광 및 제2 광에 의한 서로 다른 두 가지 살균 메커니즘은 박테리아에 각기 다른 스트레스를 유도한다. 이에 따라, 이 스트레스들의 시너지 효과로 두 광원을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더 적은 에너지로 박테리아를 사멸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광을 살균 대상의 생체 조직에 무해한 에너지량 조건으로 조사하면서 제1 광을 혼합 적용함으로써, 두 광원에 의한 살균 시너지 효과를 얻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살균 대상이 인체일 경우에도 인체 조직의 손상없이 단기간에 효과적인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비해, 제1 광만을 사용하는 경우 인체에는 무해하나 상대적으로 살균력이 약하기 때문에 고 에너지로 장시간 조사하는 것이 필요하며, 제2 광만을 사용하는 경우 살균력은 좋으나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병원체를 살균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급성 감염 창상에 대하여 살균광을 조사하여 감염균을 초기에 살균하는 데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창상 치유 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급성 창상의 경우, 상처가 난 초기에 감염균의 균 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상처 치유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하다. 급성 창상에서 초기 살균이 충분히 되지 않으면, 창상 치유가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3개월 이상 창상이 치유되지 않는 만성 창상으로 발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감염균을 초기에 살균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체 이외에도 동물이나 각종 물품 상에 있는 박테리아, 세균, 곰팡이 등의 미생물들도 살균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의 처리 대상은 인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물 및 각종 물품에도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원과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제1 광 및 제2 광을 동시에 또는 동시는 아니더라도 근접한 시간 내에 조사를 하는 경우 살균 효과가 현저히 증가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에따르면,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경우 제2 광과 제1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것보다 높은 살균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과정을 통해 살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을 제2 광의 조사 이전에 소정 시간 동안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인가하고, 그 다음 제2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광의 선 조사 이후 DNA가 손상으로부터 다시 복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제1 광을 단독으로 조사하는 것 대비 적은 도즈량으로도 획기적으로 높은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광의 경우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살균력은 우수하나, 인체에 장시간 노출시 인체에도 좋지 않은 영향, 예를 들어, 피부 노화나 암 유발 등의 영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단독으로 제2 광을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인가하는 것은 매우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광의 조사에 더해 제2 광을 조사함으로써 단독으로 조사할 경우 대비 적은 양의 조사에도 불구하고 현저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에 더해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출사하고자 하는 경우, 제2 광의 광량을 제어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광과 제2 광의 순차 조사를 통한 살균의 시너지 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인체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온/오프할 때, 지속적으로 광을 출사하는 방식, 순차적으로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거나 증가시키는 방식, 점멸 방식, 또는 혼합한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경우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L1)의 조사가 선행되고 이후 제2 광(L2)의 조사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광(L1)을 먼저 조사하고 제2 광(L2)을 조사하는 경우, 제2 광(L2)을 먼저 조사하고 제1 광(L1)을 나중에 조사하는 경우보다 살균력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제2 광(L2)을 선 조사하고 제1 광(L1)을 후 조사하는 경우, 제2 광(L2)에 의한 세균 증식 저해 효과가 제1 광(L1)의 조사에 의해 감소될 수 있는 바, 이는 제2 광(L2)에 의해 DNA의 구조가 일부 변형되더라도, 가시광선 파장 대역을 포함하는 제1 광(L1)의 조사에 의해 변형된 DNA가 광회복(photoreactivation)되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제1 광(L1)의 조사에 의해 회복된 세균들은 다시 증식될 수 있는 상태로 돌아가게 되므로, 전체적인 살균력이 여전히 좋기는 하나 제1 광(L1) 및 제2 광(L2)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경우보다는 최종적인 살균력이 감소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를 이용하여 제1 광(L1)을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인가한 후, 제2 광(L2)을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경우, 선 조사된 제1 광(L1)에 의해 세균 내 활성 산소가 생성되어 세균에 산화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이 상태에서 후 조사된 제2 광(L2)에 의해 추가적인 살균이 일어나는 바, 적은 조사량으로도 세균의 사멸 정도가 현저하게 증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L1)과 제2 광(L2)을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한도 내에서 제2 광(L2)의 인가 시점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L1)의 조사가 완료된 후에, 제2 광(L2)의 조사가 시작될 수도 있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L1)의 조사가 완료되지는 않았으나 제2 광(L2)의 조사가 시작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광(L1)과 제2 광(L2)의 인가 시점이 일부 중첩할 수도 있는 바, 상기 제1 시간과 제2 시간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하는 구간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제1 광(L1)과 제2 광(L2)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한도 내에서 제어부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구동 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광원의 온/오프에 따른 시간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1 광(L1)과 제2 광(L2)은 주기적으로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에 조사될 수 있다. 즉, 제1 광(L1)이 제1 시간(t1) 동안 살균 대상에 조사되고 제2 광(L2)이 제2 시간(t2) 동안 조사된 후, 다시 제1 광(L1) 및 제2 광(L2)의 조사가 반복될 수 있다. 이러한 반복 주기 및 반복 회수는 살균하고자 하는 대상의 종류, 총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광(L1)이 총 도즈량 및 제2 광(L2)의 총 도즈량은 인체에 허용된 허용 도즈량 이하의 값이 되도록 제1 광(L1) 및 제2 광(L2)의 반복 주기 및 회수가 결정 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광(L1)과 제2 광(L2)의 인가시 제1 광(L1)의 인가 이후 제2 광(L2)이 인가되는 한도 내에서 제1 광(L1)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살균 대상에 인가될 수 있다. 반면에, 제2 광(L2)은 연속적으로 제공되지 않으며 불연속적으로 제1 광(L1)과 중첩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L1)은 제1 시간(t1) 동안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살균 대상에 계속 인가될 수 있으며, 제2 광(L2)은 제1 광(L1)의 인가가 어느 정도 진행된 후, 제1 광(L1)의 인가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중간에 제2 시간(t2) 동안 살균 대상에 인가될 수 있다. 제2 광(L2)은 살균 대상에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인가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제1 광(L1)과 제2 광(L2)의 인가시 제1 광(L1)의 인가 이후 제2 광(L2)이 인가되는 한도 내에서 제1 광(L1)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살균 대상에 인가될 수 있으며, 또는 제2 광(L2)이 인가되기 전에 중단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광(L1)이 제1 시간(t1) 동안 살균 대상에 인가되는 경우, 제2 광(L2)은 제1 광(L1)의 인가 도중 제2 시간(t2) 동안 인가될 수 있다. 이후, 제1 광(L1)의 인가가 종료된 후 제2 광(L2)이 제3 시간(t3) 동안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광(L2)의 인가 시간은 인체에 안전하다고 허용된 허용 도즈량 이하의 값 내에서 서로 다른 시간 동안 살균 대상에 인가될 수 있다. 즉, 제2 광(L2)이 인가되는 제2 시간(t2)과 제3 시간(t3)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L1)을 인가하다가 중단한 후 곧바로 제2 광(L2)을 인가하는 경우 가장 살균 효과가 높을 수 있으며, 제1 광(L1)을 인가한 상태에서 중단없이 순차적으로 제2 광(L2)을 인가할 수 있다. 다만, 제1 광(L1)을 인가하다가 중단하고 나서 곧바로 제2 광(L2)을 인가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일부 경화된 후 제2 광(L2)을 인가할 수도 있으나, 그 간격은 매우 짧을 수 있다. 반면, 제1 광(L1)과 제2 광(L2)을 순차적으로 인가하여 소정의 살균 효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다음 제1 광(L1)과 제2 광(L2)의 순차적인 인가는 충분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은 가시 광선 파장 대역 중 살균이 가능한 블루 파장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 파장 대역의 광을 포함하여 다른 가시 광선 영역의 광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에 있어서,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스펙트럼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광원은 약 380nm 내지 약 750nm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며, 대부분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대에 해당된다. 즉, 제1 광원은 백색광을 출사하는 광원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은 제2 광과 조합되어 시너지를 내는 블루 파장 대역의 광을 포함하고 있어, 동일한 방식으로 상술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해, 본 실시예에서의 제1 광원은 전체적인 파장 대역의 광이 골고루 섞인 형태로서 태양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광원은 자외선 파장 대역의 대부분을 제외하고 출사한다는 점에서 태양광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원은 실질적으로 가시 광선의 전체 파장 대역에 대응하는 약 380nm 내지 약 780nm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출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태양광과 유사하다라는 의미는 노멀라이즈된 태양광 스펙트럼을 기준으로 할 때, 기존 발명 대비 중첩되는 면적이 소정 값 이상이며, 태양광 스펙트럼으로부터의 피크의 편차(태양광 스펙트럼의 피크를 기준으로 했을 때 벗어난 정도) 또한 소정 값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은 노멀라이즈된 태양광 스펙트럼의 면적 대비 약 55% 이상의 면적을 갖는 광을 출사할 수 있으며, 제1 광의 피크는 노멀라이즈된 태양광 스펙트럼 대비 약 0.14 이하의 편차(deviation)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광이 태양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가짐으로써 태양광에 자주 노출되는 경우와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타민 D의 합성이 용이해지거나 근시와 같은 질병의 유병률이 낮아 질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제1 광원(30), 제2 광원(40), 및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이 실장된 기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3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광원(40) 또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들(30)과 제2 광원들(40)은 동수로 제공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행열 형태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광원(30)의 개수가 제2 광원(40)의 개수보다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광원(30)과 제2 광원(40)의 개수에 따라,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과 기판(20)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투과하는 투과창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과창을 통해 인체 측으로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20) 상에는 제어부(50)가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기판(20) 상에 별도의 회로 배선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어 기판(20) 상에 실장 되는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살균이 필요한 다양한 다른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광원을 사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살균 장치에 전용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닌 조명 장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는 소정 공간에 광을 제공하는 조명용으로 추가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추가 광원은 가시 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추가 광원은 가시 광선 영역의 전 스펙트럼에 대응하는 광을 출사할 수도 있고, 특정 컬러의 스펙트럼에 대응하는 광을 출사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별도의 추가 광원 없이 제1 광원이 블루 파장 대역의 광을 포함하는 가시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은 약 380nm 내지 약 750nm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며, 대부분은 가시광선 파장 영역대에 해당된다. 이 경우, 제1 광원은 가시 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전체적으로 제공하면서, 제2 광과 조합되어 시너지를 내는 블루 파장 대역의 광을 포함하고 있어, 상술한 실시예들과 같은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시 광선 파장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추가 광원이 구비되거나, 제1 광원이 가시 광선 파장 대역의 광을 출사하는 경우, 그 광은 태양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이 태양광과 유사한 스펙트럼을 갖는 경우, 태양광에 자주 노출되는 경우와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비타민 D의 합성이 용이해지거나 근시와 같은 질병의 유병률이 낮아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 광원(30), 제2 광원(40), 및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이 실장된 기판(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광원(30)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2 광원(40) 또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원들(30)과 제2 광원들(40)은 동수로 제공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행열 형태로 서로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광원(30)의 개수가 제2 광원(40)의 개수보다 많을 수도 적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광원(30)과 제2 광원(40)의 개수에 따라,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과 기판(20)을 수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투과하는 투과창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투과창을 통해 인체 측으로 광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판(20) 상에는 제어부(50)가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기판(20) 상에 별도의 회로 배선으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칩으로 형성되어 기판(20) 상에 실장 되는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발광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조명 및 살균이 필요한 곳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조명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실, 병원 등과 같이 의료 시설, 공공 위생이나 개인 위생용 조명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환자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명 장치는 공공 시설, 공공 사용 공간 및 공동 사용 제품 등에 적용하여 공공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개인 시설, 개인 사용 공간 및 개인 사용 제품 등에 적용하여 개인 치료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명 장치에 전용하여 사용되는 것이 아닌, 다른 치료 장치에 부가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가 제품으로 구현된 예를 도시한 것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광을 출사하는 발광 장치(100), 발광 장치(100)가 수용되는 하우징(300), 발광 장치의 상부에 제공된 윈도우(210), 및 상기 윈도우(210)와 하우징(300)을 고정하는 고정 부재(220)를 포함한다.
하우징(300) 은 발광 장치(100)를 수용 및 지지하여, 발광 장치에 전기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형태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00)은 본체(310), 전원 공급 장치(320), 전원 케이스(330), 및 전원 접속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320)는 전원 케이스(330) 내에 수용되어 발광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IC칩을 포함할 수 있다. IC칩은 발광 장치(100)로 공급되는 전원의 특성을 조절, 변환 또는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케이스(330)는 전원 공급 장치(32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고, 전원 공급 장치(320)가 그 내부에 고정된 전원 케이스(330)는 본체(3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원 접속부(340)는 전원 케이스(3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전원 케이스(330)와 결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 접속부(340)는 전원 케이스(330) 내부의 전원 공급 장치(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 전원이 전원 공급 장치(320)에 공급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발광 장치(100)는 기판(20) 및 기판(20) 상에 배치된 제1 및 제2 광원들(30, 40)을 포함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발광 장치(100)는 본체(310) 상부에 마련되어 전원 공급 장치(3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판(20)은 본체(3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본체(310) 상부의 고정 부재(220)부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윈도우(210)는 발광 장치(100)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우징(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210)는 발광 장치(100) 상에 배치되되, 본체(310)에 고정되어 발광 장치(100)를 커버할 수 있다. 윈도우(210)에는 발광 장치(100)로부터의 광의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 렌즈 부재(211)가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210)는 투광성 재질을 가질 수 있으며, 윈도우(210)의 형태 및 광 투과성을 조절하여 조명 장치의 지향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210)는 조명 장치의 이용 목적 및 적용 태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윈도우(210) 상부에 제공되어 윈도우(210), 발광 장치(100), 및 본체(310)부를 서로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조명 장치는 각종 광 치료기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소정 공간(예를 들어 챔버)을 이루는 벽이나 천장에 장착되는 조명 기기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실생활에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0')는 받침대(530)와, 광을 출사하는 발광 장치(100)와, 지지대(520) 및 발광 장치(100)를 둘러싸는 반사갓(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스탠드는 각종 치료기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받침대(510)의 표면에는 조명 스탠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기(530)가 배치될 수 있다. 받침대(510)는 발광 장치(100)가 배치된 기판(20)과 지지대(520)를 통해 연결하여 고정한다. 받침대(510)는 전원부(600)를 통해 발광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지지대(520)는 받침대(510)와 발광 장치(100)가 배치된 기판(20) 사이를 연결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미도시함)이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대(520)가 단단한 단일 부재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1회의 절곡이 가능한 벤딩 가능한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가요성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520)은 특정 정도의 외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되,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그 형상이 유지되는 정도의 연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배선부(130)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배선부(130)의 일부 형상을 바꿀 수 있으나, 상기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배선부(130)는 외력이 가해진 직후의 최종적인 형상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520)은 자바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발광 장치(100)를 둘러싸는 반사갓(400)은 발광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광원을 반사시키고 조도를 높일 수 있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구성되거나 빛 투과가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사갓(400)의 내측 표면에는 광촉매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 물질은 TiO2, ZnO, ZrO2, WO3의 그룹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조사 장치의 살균 효과에 대해 실험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험예 1 - 조사 조건에 따른 살균 효과
도 10 은 기존 발명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살균 대상에 광을 조사하였을 때 조사 조건에 따른 살균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에 있어서, 살균의 대상으로 사용된 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며, 황색포도상구균을 세균배양배지에 도말하여 35-37℃에서 하루동안 배양하고 세균배양배지 상에 형성된 세균 콜로니를 수집해 생리식염수에 혼탁하여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버린 후 다시 생리식염수를 넣고, 이를 희석해 살균실험에 적당한 농도의 세균액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세균액을 별도의 용기에 담고, 기존 발명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를 용기로부터 특정한 거리에 설치한 후,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다음, 광 조사가 이루어진 세균액을 희석하여 세균배양배지 위에 고르게 도포하고 35-37℃에서 하루 동안 배양한 후, 세균배양배지 상에 형성된 콜로니를 확인하고 이를 희석배수로 곱해 계수함으로써 살균 효과에 대한 결과를 얻었다.
x축은 제1 및 제2 광의 도즈량을 나타낸 것이며, y축은 세균의 비활성화 정도를 로그 스케일로 나타낸 것이다. 비교예 1은 제2 광만 세균에 인가한 것으로서 275nm 파장 대역의 광을 세균에 인가한 것이다. 비교예 2는 제1 광만 세균에 인가한 것으로서 405nm 파장 대역의 광을 세균에 인가한 것이다. 비교예 3은 세균에 275nm 파장 대역의 제2 광의 인가 후 405nm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인가한 것이다. 실시예는 세균에 405nm 파장 대역의 제1 광의 인가 후 275nm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인가한 것이다. 다만, 그래프에 있어서, 비교예 1의 경우는 3mJ/cm2의 도즈량으로만 275nm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인가한 것이며,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시예의 경우는 각각 405nm의 파장 대역의 제1 광의 도즈량을 변경해 가면서, 즉, 30 J/cm2, 60 J/cm2, 90 J/cm2, 120 mJ/cm2, 150 J/cm2의 도즈량으로 인가하였으며, 275nm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3mJ/cm2 은 도즈량으로 인가한 것이다. 여기서, 제2 광의 경우, 인체에 미치는 허용 도즈량을 고려하여 제1 광보다 낮은 도즈량으로 책정되었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의 경우 세균에 제2 광만을 인가한 경우로서 3 mJ/cm2의 도즈량으로 인가하였을 때 비활성화도가 약 1.5 (log CFU/ml) 정도이며, 비교예 2의 경우 세균에 제1 광만을 인가한 경우로서 30 J/cm2의 도즈량으로 인가하였을 때 비활성화도가 약 1 (log CFU/ml)정도를 나타내었다. 제2 광을 세균에 3 mJ/cm2의 도즈량으로 선 조사하고 제1 광을 30 J/cm2의 도즈량으로 후 조사한 경우로서 비활성화도가 약 1.5 (log CFU/ml)정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제1 광을 30 J/cm2의 도즈량으로 선 조사하고 제2 광을 3 mJ/cm2의 도즈량으로 후 조사한 실시예의 경우 비활성화도가 약 4 (log CFU/ml)정도로 매우 높은 살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비교예 3과 실시예는 제1 광과 제2 광의 순서만 다르며 동일한 양이 세균에 조사되었음에도 실제 살균 정도는 현저한 효과의 차이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의 경우 제1 광의 도즈량을 60 J/cm2의 도즈량으로 동일한 양상을 나타낸 바, 실시예의 살균 효과가 비교예 2나 비교예 3보다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
다만, 제1 광의 도즈량이 90 J/cm2을 이상인 경우, 비교예 3과 실시예가 약 6 (log CFU/ml)으로 정체된 값을 보이나, 이는 새로운 균의 유입이 없는 실험실 조건에서 살균될 수 있는 세균이 더 이상 없기 때문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균의 유입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개방된 외부 조건에서는 비교예 1 내지 3보다 실시예의 살균 효과가 현저하게 높으리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하기 표 2은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에 있어서, 원하는 살균 정도를 얻기 위한 최소 도즈량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비교예 1은 제2 광만 세균에 인가한 것으로서 275nm 파장 대역의 광을 세균에 인가한 것이다. 비교예 2는 제1 광만 세균에 인가한 것으로서 405nm 파장 대역의 광을 세균에 인가한 것이다. 비교예 3은 세균에 275nm 파장 대역의 제2 광의 인가 후 405nm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인가한 것이다. 실시예는 세균에 405nm 파장 대역의 제1 광의 인가 후 275nm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인가한 것이다.
표 1을 참조하면, 제2 광원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매우 적은 도즈량으로도 90% 이상, 99% 이상, 또는 99.9% 이상의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제2 광의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제2 광만으로 도즈량을 높여 살균을 진행하기는 어렵다.
다음으로, 제1 광과 제2 광을 혼합하여 사용한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시예를 살펴보면, 비교예 2 및 비교예 3과 대비하여, 실시예의 경우 훨씬 적은 제1 광의 도즈량으로 높은 살균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9%의 살균 효과를 얻기 위해, 비교예 2의 경우, 65 J/cm2의 도즈량이 요구되고 비교예 3의 경우 40J/cm2 의 도즈량이 요구된 반면, 실시예의 경우 단지 15J/cm2의 도즈량만이 요구되었다.
살균성능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1 log 살균(90% 살균) 7 J/cm2±10% 2mJ/cm2±10% 30J/cm2±10% 20J/cm2±10%
2 log 살균(99% 살균) 15J/cm2±10% 4mJ/cm2±10% 65J/cm2±10% 40J/cm2±10%
3 log 살균(99.9% 살균) 25J/cm2±10% 8mJ/cm2±10% 110J/cm2±10% 60J/cm2±1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는 기존 발명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살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제1 광 및 제2 광의 개별 살균력 테스트
본 테스트에 있어서, 병원체로서 MRSA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MRSA 균주를 배양한 후 일정한 균 농도(7 log)의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균 현탁액에 제1 광 및 제2 광을 각각 광량별로 조사하였다. 이때, 제1 광의 파장은 405nm였으며, 제2 광의 파장은 275nm였다. 제1 광 및 제2 광이 각각 조사된 균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고,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다시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된 균의 콜로니 수를 확인하고 그 수치를 로그 값으로 환산하였다. 각 테스트는 5회에 걸쳐서 동일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표 2 및 도 11a는 제1 광의 살균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표 3 및 도 11b는 제2 광의 살균력을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광량 (J/cm2) 0 30 60 90 120
균 수 (log) 7.00 5.97 5.78 5.15 4.17
오차 0.00 0.32 0.35 0.43 0.29
표 2 및 도 11a를 참조하면, 제1 광의 인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균의 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 범위를 감안하더라도 균의 수가 감소하는 것은 명백하였다.
광량 (mJ/cm2) 0 1 2 3
균 수 (log) 7.00 6.23 5.88 5.45
오차 0.00 0.23 0.27 0.18
표 3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제2 광의 인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균의 수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오차 범위를 감안하더라도 균의 수가 감소하는 것은 명백하였다. 또한, 제2 광의 경우, 제1 광보다 훨씬 더 적은 양으로 살균이 수행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 제1 광 및 제2 광의 조합 시 살균력 테스트
본 테스트에 있어서, 병원체로서 MRSA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MRSA 균주를 배양한 후 일정한 균 농도(7 log)의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균 현탁액에, 제1 광 단독, 제2 광 단독, 제1 광과 제2 광을 조합하여 조사하였으며, 균 현탁액에 아무 것도 조사하지 않은 것은 비교예 1, 제2 광 단독으로 조사한 것은 비교예 2, 제1 광 단독으로 조사한 것은 비교예 3, 제1 광과 제2 광을 조합하여 조사한 것은 실시예로 도시하였다. 이때, 제1 광의 파장은 405nm이고 도즈량은 120J/cm2이었으며, 제2 광의 파장은 275nm이고, 도즈량은 3mJ/cm2였다. 실시예의 경우, 제2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조사한 후 제1 광을 120J/cm2의 도즈량으로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의 균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고,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다시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된 균의 콜로니 수를 확인하고 그 수치를 로그 값으로 환산하였다.
각 테스트는 5회에 걸쳐서 동일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도 12a 및 표 4은 제1 광과 제2 광 단독으로 각각 조사된 경우와, 제1 및 제2 광이 조합되어 조사된 경우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2b 및 표 5은 제1 광과 제2 광 단독으로 각각 조사된 경우와, 제1 및 제2 광이 조합되어 조사된 경우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광 조건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균 수 (log) 7.00 5.45 4.17 2.83
오차 0.00 0.18 0.29 0.37
광 조건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살균력 0.00 1.55 2.83 4.17
오차 0.00 0.18 0.29 0.37
도 12a, 도 12b, 표 4, 및 표 5를 참조하면, 제2 광의 단독 조사 시에는 약 90%의 살균력을 보였으며, 제1 광의 단독 조사시에는 약 99%의 살균력을 보였으나, 제1 광 및 제2 광을 조합하여 조사시에는 99.99% 이상의 살균력을 보였다. 이로써, 광을 조사하지 않는 경우, 및 제1 광 또는 제2 광을 단독으로 조사하였을 경우보다, 제1 광과 제2 광을 조합하여 조사하는 조건에서 균량이 현저하게 감소하며, 이에 따른 살균력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 제1 광과 제2 광의 조합 순서에 따른 살균력 변화 테스트
본 테스트에 있어서, 병원체로서 MRSA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MRSA 균주를 배양한 후 일정한 균 농도(7 log)의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균 현탁액에, 제2 광 조사 후 제1 광 조사하고, 제1 광 조사 후 제2 광 조사 조사하였다. 균 현탁액에 아무 것도 조사하지 않은 것은 비교예 1, 제2 광 조사 후 제1 광을 조사한 것은 실시예 1, 제1 광 조사 후 제2 광을 조사한 것은 실시예 2로 도시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의 경우, 275nm의 제2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조사한 후 405nm의 제1 광을 120J/cm2의 도즈량으로 조사하였으며, 실시예 2의 경우, 405nm의 제1 광을 120J/cm2의 도즈량으로 조사 후 275nm의 제2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조사하였다.
다음으로, 비교예,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균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고,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다시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된 균의 콜로니 수를 확인하고 그 수치를 로그 값으로 환산하였다.
각 테스트는 5회에 걸쳐서 동일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도 13a 및 표 6은 제1 광과 제2 광의 조합 순서가 달리 설정되어 조사된 경우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3b 및 표 7은 제1 광과 제2 광의 조합 순서가 달리 설정되어 조사된 경우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광 조건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균 수 (log) 7.00 2.83 0.00
오차 0.00 0.37 0.00
광 조건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살균력 0.00 4.17 7.00
오차 0.00 0.37 0.00
도 13a, 도 13b, 표 6, 및 표 7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은 99.99%의 살균력을 보이는데 반해, 실시예 2는 균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실질적으로 완전 살균이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즉, 제1 광의 조사 후 제2 광을 조사하는 경우 그 반대의 경우보다 동일한 조사 광량에서 현저하게 더 높은 살균력을 보였으며, 이는 제2 광의 조사후 제1 광을 조사하는 경우 보다 더 적은 광량으로 동일한 살균력을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적은 광량의 적용은 광 조사 시간이 짧아지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보다 광의 조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실험예 5 - 광량 조건 설정 (in vitro)
제1 광과 제2 광의 순차적인 조사에 의해 현저한 살균력의 증가를 보인 것을 기초로, 각 광원의 최적 광량을 알아보기 위해 제1 및 제2 광의 순차 조사시 광량을 변경해 가며 박테리아의 수 및 살균력을 in vitro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본 테스트에 있어서, 병원체로서 MRSA 균주를 사용하였으며, MRSA 균주를 배양한 후 일정한 균 농도(7 log)의 현탁액을 준비하였다. 균 현탁액에, 제1 광의 도즈량을 30 J/cm2, 60 J/cm2, 90 J/cm2, 120 J/cm2로 변경하여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였다. 단, 제2 광의 경우 인체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275nm의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균을 일정 농도로 희석하고,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다시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된 균의 콜로니 수를 확인하고 그 수치를 로그 값으로 환산하였다.
각 테스트는 5회에 걸쳐서 동일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도 14a 및 표 8은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4b 및 표 9은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광량 (J/cm2) 0 30 60 90 120
균 수 (log) 7.00 3.47 2.13 1.70 0.00
오차 0.00 0.13 0.27 0.22 0.00
광량 (J/cm2) 0 30 60 90 120
살균력 0.00 3.53 4.87 5.03 7.00
오차 0.00 0.13 0.27 0.22 0.00
도 14a, 도 14b, 표 8, 및 표 9를 참조하면, 제1 광의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균 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120J/cm2의 광량에서는 완전 살균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 광량 조건 설정 (in vivo)
실시예 4에서 제2 광(405nm)의 도즈량이 3mJ/cm2인 조건에서 제1 광(275nm)의 도즈량이 120J/cm2일 때 완전 살균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in vivo 조건에서도 이와 같은 살균 효과가 있는지 테스트하였다.
본 테스트에 있어서, in vivo 조건에서의 광 적용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광량 조건은 in vitro에서의 조건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마우스는 BALB/c 마우스(6~8주령)를 이용하였으며, 마우스의 등의 털을 깎은(shaving) 후, 등 부위에 지름 10mm의 창상을 생성하였다. 상기 창상에 병원성 세균을 접종(5log 접종)한 후, 제1 광의 도즈량을 30 J/cm2, 60 J/cm2, 90 J/cm2, 120 J/cm2로 변경하여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였다. 단, 제2 광의 경우 인체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275nm의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조직을 채취하고, 채취한 조직을 파쇄한 후,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다시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된 균의 콜로니 수를 확인하고 그 수치를 로그 값으로 환산하였다.
각 테스트는 5회에 걸쳐서 동일 조건으로 실시되었다.
도 15a 및 표 10은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박테리아 수를 나타낸 것이며, 도 15b 및 표 11은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되 제1 광의 광량을 달리 하였을 때의 살균력을 나타낸 것이다.
광량 (J/cm2) 0 30 60 90 120
균 수 (log) 5.00 3.17 3.32 1.48 0.00
오차 0.00 0.36 0.38 0.31 0.00
광량 (J/cm2) 0 30 60 90 120
살균력 0.00 1.83 1.68 3.52 5.00
오차 0.00 0.36 0.38 0.31 0.00
도 15a, 도 15b, 표 10, 및 표 11를 참조하면, in vivo 조건에서도 제1 광의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균 수가 감소함을 확인하였으며, 120J/cm2의 광량에서는 완전 살균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 유효성 평가 1 (in vivo)
실시예 5에서 in vivo 조건에서의 살균을 위한 광의 도즈량을 확인하였는 바, 이를 기초로 in vivo 조건에서의 시간에 따른 살균력 및 균수 변화를 테스트하였다.
본 테스트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마우스는 BALB/c 마우스(6~8주령)를 이용하였으며, 마우스의 등의 털을 깎은(shaving) 후, 등 부위에 지름 10mm의 창상을 생성하였다. 상기 창상에 병원성 세균을 접종(5log 접종)한 후, 제1 광(405nm)의 도즈량을 120 J/cm2로 하여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매일 같은 시간에 총 6회 반복 조사하였다. 단, 제2 광의 경우 인체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275nm의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그 다음, 균수를 매일 확인하기 위해, 조직을 채취하고, 채취한 조직을 파쇄한 후, 일정 농도로 희석하여 아가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다시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된 균의 콜로니 수를 확인하고 그 수치를 로그 값으로 환산하였다. 균 수의 경우, 초기 살균력의 확인을 위해 3회 광조사까지 그 양을 검출하였다.
도 16 및 표 12은 in vivo 조건에서의 날짜에 따른 살균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며, 도 17 및 표 13는 in vivo 조건에서의 날짜에 대한 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 및 표 13에 있어서, 비교예는 광을 조사하지 않은 무조사군이며, 실시예는 광을 조사한 광조사군에 해당한다.
Day 접종 0 1 2
살균력 0.00 5.00 4.09 5.29
오차 0.00 0.00 0.13 0.09
균 수 (%) 균 수 (log)
Day 접종 0 1 2 접종 0 1 2
무조사군 100 100 4,466 173,780 5.00 5.00 6.65 8.24
광조사군 100 0 0.36 0.89 5.00 0.00 2.56 2.95
도 16, 도 17, 표 12, 및 표 13을 참조하면, 창상 초기에 광을 조사한 이후 살균력이 99.99%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광을 조사한 경우 균 수는 실질적으로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었다.
실험예 8 - 유효성 평가 2 (in vivo)
실시예 5에서 in vivo 조건에서의 살균을 위한 광의 도즈량을 확인하였는 바, 이를 기초로 in vivo 조건에서의 광 조사에 의한 상처 치유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본 테스트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마우스는 BALB/c 마우스(6~8주령)를 이용하였으며, 마우스의 등의 털을 깎은(shaving) 후, 등 부위에 지름 10mm의 창상을 생성하였다. 상기 창상에 병원성 세균을 접종(5log 접종)한 후, 제1 광(405nm)의 도즈량을 120 J/cm2로 하여 제1 광과 제2 광을 순차적으로 매일 같은 시간에 총 6회 반복 조사하였다. 단, 제2 광의 경우 인체 허용 수준을 고려하여 275nm의 광을 3mJ/cm2의 도즈량으로 한정하여 진행하였다.
매일 동일한 시간에 상처의 형상 변화(특히 면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상처 크기는 상피화 시점까지 매일 관찰하여 값을 기록하였다.
도 18 및 표 14는 in vivo 조건에서의 날짜에 따른 상처 면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18 및 표 14에 있어서, 비교예는 광을 조사하지 않은 무조사군이며, 실시예는 광을 조사한 광조사군에 해당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날짜에 따른 상처 면적의 형상을 촬상한 사진들인 바, 도 19a는 무조사군의 상처의 사진들이며, 도 19b는 광조사군의 상처의 사진들이다.
Day 접종 0 2 3 6 10 15
무조사군 100.0 100.0 108.8 93.8 83.3 55.9 22.4
오차 7.8 7.8 7.0 5.0 3.8 2.7 4.2
광조사군 100.0 100.0 101.0 82.1 50.3 28.8 0.0
오차 7.8 7.8 4.1 3.6 1.9 3.2 0.0
도 18, 표 14,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상처 이후 2일차까지 상처의 치유가 가시적으로 관찰되지 않았으며 상처에서의 균수는 현저히 감소하였는 바, 살균이 진행되는 단계로 볼 수 있었다. 상처 이후 2일차부터 딱지가 생성되고, 그 후, 상처의 면적이 점점 감소하였는 바, 상처 이후 2일차부터 상처 치유가 진행되는 단계로 볼 수 있었다. 상처에 딱지가 생성되면 딱지에 의해 상처의 외부에의 노출이 없어지므로 추가적인 감염은 매주 적어진다. 다만, 딱지가 형성되기 전까지의 살균 여부에 따라 딱지의 크기 및 상처의 회복에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상처 치유 단계에서 상처의 면적이 50%로 감소되는 시점은 광조사군의 경우 6일에 불과하였으나, 무조사군의 경우 10일이나 소요되었다. 또한 광조사군의 경우 15일차에서 상피화되었으나, 무조사군의 경우 15일에도 여전히 상피화가 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광 조사시 상처 치유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9 - 안전성 평가 1 (in vivo)
상술한 실험예에서의 조사 조건이 인체에 유해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DNA 변이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테스트에서는 광조사에 의하여 감염되지 않은 조직에 DNA 변이(mutation)가 발생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광 조사 후 티민 다이머(thymine dimer) 형성 정도를 면역 조직화학적 분석(immunohistochemical analysis)을 통해 확인하였다. DNA에 과량의 UV를 조사하면 티민 다이머와 같은 DNA 변이가 발생하여 세포가 사멸하게 되는 바 티민 다이머의 형성 정도로 DNA 변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테스트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마우스는 BALB/c 마우스(6~8주령)를 이용하였으며, 마우스의 등의 털을 깎은(shaving) 후, 펀치를 이용하여 등 부위에 지름 10mm의 창상을 생성하였다. 상기 창상에 광을 조사한 후, 조직을 채취하고, 포르말린과 파라핀으로 채취한 조직을 고정한 후 절편을 취하였다. 광 조사시, 대조군은 광을 처리하지 않은 무조사군이며, 실험군 1은 과량의 UVC를 처리한 광조사군이며, 실험군 2는 제1 광(405nm)의 도즈량을 120 J/cm2로, 제2 광(275nm)의 도즈량을 3mJ/cm2로 한정하여 순차적으로 조사한 광조사군이었다.
도 16a 및 표 15는 조직내에서 티민 다이머의 함량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a 및 표 15를 참조하면, 실험군 1에서는 티민 다이머가 발견되었으나, 실험군 2에서는 티민 다이머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한 광조건은 감염되지 않은 조직에 조사하여도 DNA 변이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되었다.
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함량(%) 2 58 3
오차 1 8 1
실험예 10 - 안전성 평가 2 (in vivo)
상술한 실험예에서의 조사 조건이 인체에 유해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ROS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본 테스트에서는 감염되지 않은 조직에도 광조사에 의해 활성 산소(ROS)가 유도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감염균에 살균광이 조사되면 ROS를 유도하여 균이 사멸하게 된다.
본 테스트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마우스는 BALB/c 마우스(6~8주령)를 이용하였으며, 마우스의 등의 털을 깎은(shaving) 후, 펀치를 이용하여 등 부위에 지름 10mm의 창상을 생성하였다. 상기 창상에 광을 조사한 후, 광 조사 부위에 DCFH-DA(Dichlorofluorescin diacetate)를 처리한 후 DCFH-DA에 의해 염색된 부분의 발광(emission) 량을 측정하여 ROS 여부를 확인하였다. DCFH-DA는 세포 내에서 ROS에 의해 산화되어 형광 발광한다. DCFH-DA의 여기시 흡수 파장은 445 내지 490 nm이며, 형광 발광 파장은 515 내지 575 nm이다.
여기서, 대조군은 아무 추가 처리도 무처리군이며, 실험군 1은 과산화수소 처리군이며, 실험군 2는 제1 광(405nm)의 도즈량을 120 J/cm2로, 제2 광(275nm)의 도즈량을 3mJ/cm2로 한정하여 순차적으로 조사한 처리군이었다.
도 20b 및 표 16은 DCFH-DA에 의해 염색된 부분의 발광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b 및 표 16을 참조하면, 실험군 2에서는 실험군 1에서는 형광이 일어나 ROS의 존재를 확인하였으나 실험군 2에서는 형광이 나타나지 않아 ROS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적용한 광조건은 감염되지 않은 조직에 조사하여도 ROS가 발생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대조군 실험군1 실험군2
발광정도(RLU; relative light units) 0 1.5 0
오차 0 0.3 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2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된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된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블루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자외선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과 상기 제2 광이 순차적으로, 또는, 중첩하여, 또는 중첩하지는 않더라도 근접한 시기에 출사되도록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의 발광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광원의 도즈량은 상기 제1 광원의 도즈량의 1/10 보다 작은 광 조사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광의 출사 시작 후 상기 제2 광이 출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을 제어하는 광 조사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UVA, UVB, 및 UVC 파장 대역 중 적어도 하나의 파장 대역에 해당하는 광 조사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약 400nm 내지 약 500nm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 조사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가시광선에 대응하는 파장 대역의 광을 더 포함하는 광 조사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약 380nm 내지 약 780nm 파장 대역을 갖는 광 조사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약 240nm 내지 약 280nm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 조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제1 시간 동안 조사되고,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조사되는 광 조사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광의 조사가 완료된 후 조사가 시작되는 광 조사 장치.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광의 조사가 완료되기 전 조사가 시작되며 상기 제1 시간과 상기 제2 시간의 적어도 일부는 서로 중첩하는 구간을 갖는 광 조사 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연속적으로 조사되는 광 조사 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불연속적으로 조사되는 광 조사 장치.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주기적으로 조사되는 광 조사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장치는 인체 치료용인 광 조사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 장치는 급성 창상 치료용인 광 조사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이 인체에 인가될 때 하루당 무해한 범위의 도즈량을 허용 도즈량이라고 하면, 상기 제2 광원은 허용 도즈량 내에서 상기 제2 광을 출사하는 광 조사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은 약 30 J/m2 내지 약 1,000,000 J/m2의 도즈량으로 조사되는 광 조사 장치.
  18.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블루 파장 대역의 제1 광을 출사하는 제1 광원;
    적어도 1개 이상으로 제공되며 자외선 파장 대역의 제2 광을 출사하는 제2 광원; 및
    상기 제1 광원의 출사 후 상기 제2 광원이 순차적으로 출사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광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광원의 도즈량은 상기 제1 광원의 도즈량 대비 1/10 이내인 치료용 광 조사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약 약 400nm 내지 약 500nm의 파장 대역을 가지며, 상기 제2 광은 약 240nm 내지 약 280nm의 파장 대역을 가지는 치료용 광 조사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은 제1 시간 동안 조사되고, 상기 제2 광은 상기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 동안 조사되는 치료용 광 조사 장치.
KR1020217025132A 2019-01-23 2020-01-23 광 조사 장치 KR202101078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5730P 2019-01-23 2019-01-23
US62/795,730 2019-01-23
US201962825993P 2019-03-29 2019-03-29
US62/825,993 2019-03-29
US16/747,688 2020-01-21
US16/747,688 US20200230435A1 (en) 2019-01-23 2020-01-21 Light radiation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PCT/KR2020/001167 WO2020153788A1 (ko) 2019-01-23 2020-01-23 광 조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869A true KR20210107869A (ko) 2021-09-01

Family

ID=71609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5132A KR20210107869A (ko) 2019-01-23 2020-01-23 광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200230435A1 (ko)
EP (1) EP3915635A4 (ko)
JP (1) JP2022519820A (ko)
KR (1) KR20210107869A (ko)
CN (1) CN112512629A (ko)
CA (1) CA3127589A1 (ko)
WO (1) WO2020153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2782A1 (en) * 2020-04-16 2021-10-21 Pathy Medical, Llc Therapeutic lighting devic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0201B2 (en) * 2002-02-11 2005-11-01 Quanticum, Llc Method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kin and nail infections
US8128672B2 (en) * 2006-05-09 2012-03-06 Thermotek, Inc. Wound care method and system with one or both of vacuum-light therapy and thermally augmented oxygenation
US8109981B2 (en) * 2005-01-25 2012-02-07 Valam Corporation Optical therapies and devices
US9463333B2 (en) * 2007-07-05 2016-10-11 Koninklijke Philips N.V. Skin treatment device, lamp and use
JP5534331B2 (ja) * 2010-07-30 2014-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光源ユニット及びプロジェクタ
US20160015962A1 (en) * 2014-07-16 2016-01-21 Mehdi Shokoueinejad Maragheh Smart Patch For Wound Management
KR101515992B1 (ko) * 2015-02-09 2015-05-06 (주)씨엘라이트 휴대용 피부 치료기기
CA2991752A1 (en) * 2015-07-14 2017-01-19 Vitabeam Ltd. Methods and devices for sanitation,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US20180093107A1 (en) * 2016-09-30 2018-04-05 Gliese 623B, LLC System and Method For Healing and/or Disinfecting Wounds and Bur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512629A (zh) 2021-03-16
EP3915635A4 (en) 2022-12-07
EP3915635A1 (en) 2021-12-01
CA3127589A1 (en) 2020-07-30
WO2020153788A1 (ko) 2020-07-30
US20230045570A1 (en) 2023-02-09
US20200230435A1 (en) 2020-07-23
JP2022519820A (ja)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65363B (zh) 医疗用敷料
US20210268309A1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effecting and/or killing bacteria
Gupta et al. Ultraviolet radiation in wound care: sterilization and stimulation
US95552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thermal nail, foot, and hand fungus treatment
US201002228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lonizing Microbes on the Surfaces of the Skin and In Body Cavities
US7422599B2 (en) Device for treating infants with light
US11992698B2 (en) Light irradiation device
IL119683A (en) Method and device for light irradiation into tissue
US202200802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Healing and/or Disinfecting Wounds and Burns
US113580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thermal nail, foot, and hand fungus treatment
WO2016208244A1 (ja) 光線力学的治療用光照射装置および光照射方法
US20230045570A1 (en) Light radiation device for medical treatment
Kim et al. Effect of 660 nm light‐emitting diode on the wound healing in fibroblast‐like cell lines
Jazaeri et al. Comparison of pulsed and Continuous wave diode Laser at 940 nm on the viability and migration of gingival fibroblasts
Ribeiro et al. Exploring light-based technology for wound healing and appliance disinfection
JP2013146528A (ja) 光刺激方法及び光刺激装置
AU2023252691B2 (en) Visible light chromophore excitation for microorganism control
WO2014177837A1 (en) Photodynamic therapy
KR20070002794A (ko) 광선치료기
KR20120030469A (ko) 광선치료기
KR20070002795A (ko) 광선치료기
OA20368A (en) Light emission device
Lubart et al. Photobiological Basis for Laser Biost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