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278A -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278A
KR20210106278A KR1020200021262A KR20200021262A KR20210106278A KR 20210106278 A KR20210106278 A KR 20210106278A KR 1020200021262 A KR1020200021262 A KR 1020200021262A KR 20200021262 A KR20200021262 A KR 20200021262A KR 20210106278 A KR20210106278 A KR 202101062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pressure
home life
image data
life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경택
김희종
Original Assignee
크리액티브(주)
(주)대우루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액티브(주), (주)대우루컴즈 filed Critical 크리액티브(주)
Priority to KR102020002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6278A/ko
Publication of KR20210106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7Reporting to a device within the home network; wherein the reception of the information reported automatically triggers the execution of a home applianc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트, 상기 압력 데이터가 생성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매트로터 압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압력 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활성화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앱(application)을 통한 보안 모드 설정에 따른 압력 정보 감지 시,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홈 라이프케어 허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Platform service system for smart home life care}
본 발명은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모드 실행의 시 집 내에 구비된 매트에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관련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단말의 보급으로 사용자가 목적하는 다양한 앱을 설치하면 그에 따른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런데, 스마트 단말에 설치되는 앱도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능동적으로 앱을 활성화할 때에 비로소 해당하는 서비스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생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을 휴대하기는 하지만, 스마트 단말의 앱을 활성화하고 확인할 틈도 없이 바쁜 시간대는 있기 마련인데, 그러한 바쁜 시간대에서도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은 항상 존재한다.
예컨대, 아침에 바쁘게 출근을 하거나 약속에 따라 급히 외출을 하는 등의 상황에서 실외의 예상 날씨를 확인하기 위해 스마트 단말의 관련 앱을 활성화 하거나 댁내 가전기기나 가스기기의 온오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휴대한 스마트 단말의 관련 앱을 활성화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결국, 실생활에 꼭 필요한 앱이 개발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에 설치가 되어 있어도 사용자가 생활하는 공간이나 시간대의 특성상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 피트니스 등의 설정 모드의 실행 시, 집 내의 해당 설정 모드 실행을 위한 위치에 구비된 매트에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관련된 압력 정보를 수집, 영상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게 함으로써, 설정 모드에 따라 현재 필요한 홈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트, 상기 압력 데이터가 생성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매트로터 압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압력 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활성화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앱(application)을 통한 보안 모드 설정에 따른 압력 정보 감지 시,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홈 라이프케어 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매트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카메라의 선택적인 작동에 대한 온/오프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보안 모드 설정에 따른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해당 정보에 대한 전달 이력을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의 출력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달되면,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피트니스 모드의 설정 시,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모두가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앱을 활성화시켜 전달되는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정을 위한 분석이 수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애완 모드의 설정 시, 상기 매트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최소 중량 이상의 대상에 대한 압력 감지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스켈레톤 구별을 통해 해당 대상을 인지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매트는 현관 입구에 배치되며, 집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은, 보안, 피트니스 등의 설정 모드의 실행 시, 집 내의 해당 설정 모드 실행을 위한 위치에 구비된 매트에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관련된 압력 정보를 수집, 영상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게 함으로써, 설정 모드에 따라 현재 필요한 홈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에서 최소 중량 이상의 대상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3D 카메라를 이용한 스켈레톤 구별을 통하여 해당 대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피트니스 뿐만 아니라 애완 모드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홈 라이프케어 허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보안 모드 설정 시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피트니스 모드 설정 시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애완 모드 설정 시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홈 라이프케어 허브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보안 모드 설정 시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피트니스 모드 설정 시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애완 모드 설정 시의 제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은 매트(100), 카메라(200) 및 홈 라이프케어 허브(300)를 포함한다.
매트(100)는 현관 입구에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집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매트(100)는 복수개의 압력 센서가 내장되며, 이를 통해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카메라(200)는 동작 인식 및 추적을 위한 3D 카메라로 이루어지며, 매트(100)에서 압력 데이터가 생성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 또는 촬영 대상을 추적하며 활동 정보 취득을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홈 라이프케어 허브(300)는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TV)와 인터넷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10), 매트(100), 카메라(200) 간의 네트워킹 허브 역할을 한다.
홈 라이프케어 허브(300)는 매트(100)로부터 압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해당되는 압력 데이터가 전달되면, 카메라(200) 작동을 활성화시켜 영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홈 라이프케어 허브(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 모듈(310), 입력부(320), 메인 컨트롤러(330), 출력부(340) 및 데이터 저장부(35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홈 라이프케어 허브(300)는 무선통신 모듈(310)을 통해 매트(100) 및 카메라(200)로부터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는데, 만일 매트(100)에서 압력 정보가 감지되면, 선택적으로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입력부(320)를 구비한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330)는 매트(100) 및 카메라(200)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특히 카메라(200)의 온/오프를 제어하여 카메라(200)의 선택적인 작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한다.
다시 말해, 메인 컨트롤러(330)는 예를 들어 보안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매트(100)로부터 압력 정보가 감지되게 되면, 입력부(320)에 매트(100)가 배치된 위치의 영상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카메라(200)의 온(ON) 작동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것이다.
또한, 출력부(340)는 매트(100) 및 카메라(200)로부터 입력된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취합,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10)로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출력부(340)에서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위치, 더 구체적으로는 매트(100) 주변으로 설정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가 될 수 있으며, 촬영 대상을 인식, 동작을 추적해가며 연속적으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사용자 단말기(10)로 출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저장부(350)는 보안 모드 설정에 따른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 정보, 즉 수신된 모든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10)로의 해당 정보에 대한 전달 이력을 시간 정보와 함게 저장되도록 한다.
이렇게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에 의한 요청 시 확인 가능하며, 그에 따라 만일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보안 모드 설정 시에 따른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지 못한 경우, 해당 시간(날짜)과 함께 저장된 정보의 확인을 통해 추후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홈 라이프케어 허브(300)는 음성 출력부(3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출력부(360)는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메시지의 출력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달되면,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메시지는, 보안 모드가 설정됨에 따라 경고 메시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데이터 저장부(350)에 삭제 또는 추가 저장할 수 있고, 외부 침입과 같은 상황 발생 시 메시지를 전달하여 침입자로 하여금 1차적으로 경고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보안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의 외출 시, 사용자 단말기(10)의 앱(application)을 이용하여 보안 모드를 설정한다(S10).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보안 모드가 설정되면(S10), 집 내의 현관에 배치된 매트(100)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1).
만일, 매트(100)로부터 압력 정보가 감지되게 되면, 집 내에서 침입자 발생 등과 같은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메인 컨트롤러(350)를 통해 카메라(200)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ON) 시키고, 입력부(320)를 통해 매트(100)의 주변에 대한 영상 데이터, 더 구체적으로는 촬영 대상을 인식하여 동작 추적에 따른 영상 데이터를 추출하여 입력받도록 한다(S12).
즉, 3D 카메라는 스켈레톤 트레킹(Skeleton Tracking) 알고리즘으로 카메라(200)를 통해 취득된 영상을 20 개의 관절과 19 개의 뼈로 인식하여 센서 거리를 복합적으로 계산, X, Y, Z, 3 축에 대한 모션 센서(Motion Sensor)를 이용하여 사람의 모습을 가진 대상의 모습을 추적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320)에 입력된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는 시간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되는 한편, 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내의 앱으로 전송되게 된다(S13).
이후, 사용자 단말기(10)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알람 등을 통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앱 실행 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황에 맞는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14).
예를 들어, 집 내에 칩입자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면, 음성 출력부(360)를 제어하여 침입자에게 메시지가 출력되게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영상 데이터를 확인하여 경찰서, 보안 업체 등으로 신고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침입자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피트니스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의 앱을 이용하여 피트니스 모드를 설정한다(S20).
이때, 만일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피트니스 모드가 설정되면(S20), 메인 컨트롤러(340)를 통해 매트(100)에 내장된 복수개의 압력 센서를 활성화시킴과 동시에, 카메라(200)를 활성화시켜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입력부(320)에 입력되도록 한다(S21).
여기서, 매트(100)에는 복수개의 압력 센서가 내장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의 무게에 따른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ffect element)를 매트(100)의 내측에 함께 실장할 수 있다.
이는, 소정의 무게가 매트(100)에 가해지면 자연적으로 압전 소자가 무게 변화에 대응하여 전원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처럼 무게에 따라 지속적인 전원을 발생시키고, 이렇게 발생된 전원은 배터리(미도시)에 충전되기 때문에, 별도의 충전 장비를 이용한 배터리 충전 없이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취합되면, 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달한다(S22).
여기서, 압력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무게/밸런스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통해 사용자의 자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정보를 이용, 사용자 단말기(10)의 앱을 통해 사용자의 무게/밸런스 정보 및 자세 정보가 전문 피트니스 강사의 정보와 유사 여부를 판단한다(S23).
이때, 만일 사용자의 무게/밸런스 정보 및 자세 정보가 피트니스 강사의 해당 정보와 미리 설정된 유사도, 예를 들어 80% 이상 유사한 것으로 판단되면, 연속적으로 다른 동작에 대한 유사도 평가를 위하여 압력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 입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10)에 설치된 앱에는 전문 피트니스 강사의 운동 자세를 기록한 복수의 동영상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사용자와의 무게/밸런스 정보 및 자세 정보의 비교 시 해당되는 동영상이 선택적으로 재생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만일 사용자의 무게/밸런스 정보 및 자세 정보가 피트니스 강사의 해당 정보와 비교하여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피트니스 강사의 영상이 앱을 통해 반복 출력되게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무게/밸런스 정보 및 자세 정보를 따라하며 자세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S2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된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애완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의 앱을 이용하여 애완 모드를 설정한다(S30).
여기서, 매트(100)는 애완 동물의 이동 경로, 일례로 현관, 배변 공간 주변 또는 거주 공간 주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애완 모드가 설정되면(S30), 매트(100)에서 미리 설정된 최소 중량 이상, 예를 들어 2 kg 중량 이상의 대상에 대한 압력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S31).
상기와 같은 압력 감지가 이루어게 되면(S31), 메인 컨트롤러(350)를 통해 카메라(200) 작동을 선택적으로 온(ON) 시키고, 3D 카메라로 형성된 카메라(200)를 이용하여 감지, 다시 말해 스켈레톤 구별을 통하여 감지 대상을 인지하여 추적이 이루어지게 하면서 영상 데이터가 입력부(320)에 입력되도록 한다(S32).
여기서, 카메라(200)의 활성화의 경우, 압력이 감지되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자 단말기(10)를 이용하여 메인 컨트롤러(350)로 카메라(200)의 작동 신호를 전달, 원하는 시간에 감지 대상에 영상 데이터가 추출되어 전송되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부(320)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는 해당 시간 정보와 함께 데이터 저장부(350)에 저장되는 한편, 출력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 내의 앱으로 전송되게 된다(S33).
이후, 사용자 단말기(10)로 영상 데이터가 전송되면,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그에 따라 앱 실행 시 해당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애완 동물 상태에 대한 확인이 가능하게 한다(S34).
본 발명은, 보안, 피트니스 등의 설정 모드의 실행 시, 집 내의 해당 설정 모드 실행을 위한 위치에 구비된 매트에 압력이 감지됨에 따라 관련된 압력 정보를 수집, 영상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되게 함으로써, 설정 모드에 따라 현재 필요한 홈 라이프케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매트에서 최소 중량 이상의 대상에 대한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3D 카메라를 이용한 스켈레톤 구별을 통하여 해당 대상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 피트니스 뿐만 아니라 애완 모드의 실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 : 사용자 단말기 100 : 매트
200 : 카메라 300 : 홈 라이프케어 허브
310 : 무선통신 모듈 320 : 입력부
330 : 출력부 340 : 메인 컨트롤러
350 : 데이터 저장부 360 : 음성 출력부

Claims (7)

  1.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압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매트;
    상기 압력 데이터가 생성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미리 설정된 위치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 및
    상기 매트로터 압력 정보가 감지됨에 따라 압력 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카메라의 작동을 활성화시켜 상기 영상 데이터가 선택적으로 수신되도록 하며, 사용자 단말기의 앱(application)을 통한 보안 모드 설정에 따른 압력 정보 감지 시,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하는 홈 라이프케어 허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무선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상기 매트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카메라의 선택적인 작동에 대한 온/오프 제어 명령을 전달하는 메인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보안 모드 설정에 따른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대한 수신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의 해당 정보에 대한 전달 이력을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메시지의 출력에 해당하는 신호가 전달되면, 미리 저장된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피트니스 모드의 설정 시,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모두가 실시간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앱을 활성화시켜 전달되는 상기 압력 데이터 및 상기 영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교정을 위한 분석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라이프케어 허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한 애완 모드의 설정 시, 상기 매트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최소 중량 이상의 대상에 대한 압력 감지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스켈레톤 구별을 통해 해당 대상을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는,
    현관 입구에 배치되며, 집 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1020200021262A 2020-02-20 2020-02-20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KR202101062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62A KR20210106278A (ko) 2020-02-20 2020-02-20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62A KR20210106278A (ko) 2020-02-20 2020-02-20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78A true KR20210106278A (ko) 2021-08-30

Family

ID=77502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62A KR20210106278A (ko) 2020-02-20 2020-02-20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62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276B2 (en) Monitor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main control device thereof,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gistering terminal device
KR100999665B1 (ko) 이벤트 기반의 상황 인식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CN102760341B (zh) 健康信息监测系统及方法
WO2011094819A1 (en) A monitoring system
CN101124617A (zh) 用于耳聋的人的管理和辅助系统
CN1910635B (zh) 用于火情检测和人员定位的自动音频系统
CN103273982A (zh) 一种多功能全地形仿生机器人
JP2008523388A (ja) 盲人用管理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2390405B1 (ko) 도어벨 장치
CN203211418U (zh) 一种多功能全地形仿生机器人
JP5908160B2 (ja) 救助信号発信装置
US20190313183A1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and sound reproduction system
JP475285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制御ノード、固定ノード、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200027329A1 (en) Interfacing peripheral devices used in a hazardous environment
US12018824B2 (en) Security flashlights with threat detection
CN207558176U (zh) 一种aed求助箱及aed求助系统
JP2007152470A (ja) 自己診断機能付きロボット
CN111182408B (zh) 一种信息播放方法、音箱设备及存储介质
CN210293277U (zh) 一种多合一的无线文物环境监测器及文物储藏柜
US8264365B2 (en) Motion sensing remote microphone
KR20210106278A (ko) 스마트 홈 라이프케어를 위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CN116466727A (zh) 移动机器人的巡检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KR20150126106A (ko) 로봇 청소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62325B1 (ko) 웨어러블 통신 장치를 이용한 관제 서비스 시스템
CN106384471A (zh) 一种电子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