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6259A -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6259A
KR20210106259A KR1020200021216A KR20200021216A KR20210106259A KR 20210106259 A KR20210106259 A KR 20210106259A KR 1020200021216 A KR1020200021216 A KR 1020200021216A KR 20200021216 A KR20200021216 A KR 20200021216A KR 20210106259 A KR20210106259 A KR 20210106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leakage current
iot
things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414B1 (ko
Inventor
신부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21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4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1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AC or DC current with one threshold, e.g. load current, over-current, surge current or fault curr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63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 G01R31/127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solid or fluid materials, e.g. insulation films, bulk material; of semiconductors or LV electronic components or parts;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of cable, line or wire insulation, e.g.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장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장정보 수집장치는 통신부, 전주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철의 제1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중성선의 제2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중성선과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선 인입구의 제3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3 센서 및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Distribution line fault information collecting device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장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로 감지되는 누설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폐기는 가공배전선로에 설치하여 배전선로 고장복구, 휴전작업, 부하전환 등 필요시에 배전선로 개폐용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개폐기는 전력수요의 증가에 따라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노후화된 기자재의 안전성능 및 품질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개폐기는 기기내부에 금속이물이 혼입되거나 절연물의 결함 등의 원인으로 절연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이상 부위에서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이 진행됨과 아울러 기계적 열화를 초래하여 최종적으로 절연 파괴가 된다.
개폐기가 주택가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폐기 고장으로 인한 폭발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개폐기 고장으로 인한 수요가의 정전상태에 따라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기는 외부 부싱 균열, 몸체 소손, 몰드콘 접속 불량 등과 같은 결함에 의해 자체적인 요인으로 정전고장을 유발한다.
이러한 이유로, 개폐기는 고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여 조속하게 보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주 당 하나의 개폐기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경우에는 불특정 개폐기를 무차별적으로 진단할 때 효율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체 개폐기들을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개폐기는 결함에 의한 고장예방과 설비진단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기의 이상상태를 사전에 검출하고 고장 예측이 가능한 기술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는 4개의 도선으로 삼상 기기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으로 도선 가운데 1개는 중성점에, 다른 3개는 각각 3개의 상에 접속하는 3상 4선식 Y결선 다중 접지 계통을 사용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3상 4선식 다중접지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a 변압기 접지, 도 1b는 가공지선 접지, 도1c는 중성선 및 완철을 도시한 것이다. 즉, 일반적으로 1a 내지 도 1c에서 알 수 있듯이 완철, 변압기나 개폐기와 같은 기기 외함, 가공지선, 중성선은 접지선이 공통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이때 3상 불평형이나 단락, 지락과 같은 전선 고장에 의해 이상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전기 설비에서의 불꽃 및 화재 발생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 시킨다.
따라서 화재 방지를 위한 예방 진단 방법에 대한 기술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현재 사용중인 열화상 카메라, 초음파 장비, 광학 카메라와 같은 가공 설비 진단으로는 전선 등 에 발생하는 화제 위험성을 예측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현재는 전기재해 예방을 위해 주기적으로 전기안전 전문가가 방문하여 전기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방문점검은 부재가구의 증가 및 긴 점검주기로 인하여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전기사고를 예방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또한, 전기설비의 복잡 다양화에 따라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전기안전 전문가가 모든 전기설비의 상태를 알 수가 없고, 사고 징후를 사전에 예상하기 어려워 인력기반의 전기안전관리기술로는 전기재해를 예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누전, 정전 및 아크 등 전기사고의 종류는 다양하게 존재하고, 이론적으로는 상기 전기사고의 종류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잘 알려져있다.
하지만 실제 상황에서 어떠한 요인이 전기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고 있지 않아서 각 전기사고에 대한 원인 분석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편, 전기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시간으로 전기안전 데이터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또한, 전기안전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전기사고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도록 많은 사례에 대한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러나, 전기 사고 예방을 위한 데이터 분석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문제점은 분석을 위한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는 전기사고의 빈도수가 많지 않고,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데이터 값이 없기 때문이다.
KR 10-1543651 B1 KR 10-1601605 B1 KR 10-2008472 B1 KR 10-0885847 B1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기의 부분방전 크기와 누설전류 크기를 이용하여 개폐기의 고장정도(고장 상태 등급, 예상 교체 시기)를 판단함으로써, 개폐기 고장을 사전에 예상하고 관제센터로 통보하기 위한, 개폐기의 고장정보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이 같은 기술적 배경에서 도출된 것으로,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 안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정전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측정된 전기안전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배전선로에서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고장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장정보 수집장치는, 통신부; 전주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철의 제1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중성선의 제2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중성선과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선 인입구의 제3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3 센서; 및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중성선의 순환전류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과 상기 순환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고장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고장 위험도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크기를 측정하는 부분방전 측정부;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누설전류 크기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측정부; 및 상기 부분방전 크기와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개폐기의 고장정도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장판단부는 부분방전과 누설전류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부분방전 크기와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의 교차점을 확인하고, 상기 교차점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기의 고장 상태 등급과 예상 교체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각각 서로 다른 전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로부터 각 전주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신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지점을 탐색하는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각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는 각 전주에서 센싱되는 누설전류 및 순환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고장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는 각 전주 사이의 연결 관계를 트리 구조로 정의하고, 상기 트리 구조에서 고장 위험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전주를 중심으로 상기 고장 지점을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은 전류 측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안전 점검 장치 및 상기 안전 점검 장치로부터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가시적인 데이터로 제공하는 안전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폐기의 부분방전 크기와 누설전류 크기를 이용하여 개폐기의 고장정도(고장 상태 등급, 예상 교체 시기)를 판단함으로써, 개폐기 고장을 사전에 예상하고 관제센터로 통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설비에서 발생하는 전기 안전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함으로써 고장 발생 여부의 예측이 가능하고,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 고장 발생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정전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도 측정된 전기안전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및 방법,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3상 4선식 다중접지를 나타낸 예시도들
도 2a은 고장진단 수집장치가 설치되는 완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진단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b의 고장정보 수집장치에 대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고장정보 수집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의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해 의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a은 일자형 완철(10)의 결합공(13)에 브라켓(14)과 볼쇄클(15)에 의해서 애자련(16)과 전선(17)이 직각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어 있는 사용 상태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완철은 변전소에서 일반가정 및 공장 등에 가공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전주 상단에 전선을 설치할 때 이를 지지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로써, 현재 사용되고 있는 완철(10)은 도 2a에서와 같이 일자형태(bar type)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일반장주용 완철은 양쪽 선단의 단면적이 개방된 사각의 지지대(11)로 이루어져 있고, 이 사각의 지지대(11)의 중앙에는 완철밴드 및 아답터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될 수 있도록 장공 형태의 볼트공(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 부근에는 가공전선 및 애자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공(13) 들이 형성되어 있는 애자장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진단 수집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이하 '고장정보 수집장치'라 함, 100)는, 가공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기(30)의 고장정도를 진단하여 원격으로 관리자에게 통보한다.
여기서, 개폐기(300)는 22.9㎸-y 가공배전선로에 설치하는 배전선로 개폐용으로 사용하는 부하 개폐기일 수 있다.
개폐기(300)는 내부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해 주회로부(도체부)와 접지부의 전계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면 부분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대표적인 방전원은 기공방전(void), 계면방전(옆면), 기중방전(corona)이다. 이처럼 개폐기(300)는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부분방전의 발생부위에 절연물이 탄화된다. 이후, 개폐기(300)는 탄화부분의 면적이 증가하여 부분방전량이 증가하면, 절연파괴(고장)로 이어진다.
개폐기(300)는 충격파 내전압 시험, 상용주파 내전압 시험, 부분방전 시험, 절연저항 측정 시험 등을 통해 절연 상태를 확인 가능하다. 그런데, 운전상태의 개폐기(300)의 절연상태를 확인하려는 경우에는 부분방전 시험만 가능하다.
이에 따라,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부분방전 크기를 측정하여 개폐기(300)의 절연상태를 확인한다. 즉,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부분방전 전하량의 추이를 측정하면 절연파괴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런데, 개폐기(300)는 부분방전(Partial Discharge)의 크기가 증가하면 방전부분이 탄화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개폐기(300)의 방전부분에서 나타나는 탄화정도가 심해질수록, 누설전류의 크기도 증가한다. 다시 말해, 개폐기(300)의 절연상태 저하는 개폐기(300)의 도체부와 접지부의 절연상태가 저하된 것으로서, 동일한 대지전압(13.2㎸)에서 누설전류의 증가를 수반한다.
이에 따라,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단지 부분방전의 크기뿐만 아니라, 개폐기(300)의 방전부분에서 나타나는 탄화정도와 관련된 누설전류의 크기도 함께 측정하여 개폐기(300)의 고장정도를 진단한다. 이 경우,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에 고장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수준이 아니라, 개폐기(300)의 고장 상태를 정상, 주의, 위험과 같은 등급별로 구별하거나, 개폐기(300)의 예상 교체 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
아울러, 부분방전의 주파수 대역은 고주파 대역이고, 누설전류의 주파수 대역은 상용주파수(60㎐) 대역이다.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고주파 및 저주파 대역의 병행 측정을 통해 부분방전과 누설전류의 크기가 동시에 증가하는 것을 감지하면, 외부 노이즈나 개폐기(300)의 주변 기자재(200)로부터 발생되는 부분방전과 구별하여 개폐기(300)의 고장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기자재(200)는 애자, 전선, LA, COS 등일 수 있다.
이러한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고장정도를 진단하기 위해, 부분방전 크기와 누설전류 크기의 상관관계와 관련된 기준정보를 관제센터(도면에 미도시)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관제센터는 여러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기(300)에 의해 측정된 부분방전 및 누설전류 크기에 대한 수집 데이터를 이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을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관제센터는 개폐기(300)에 의해 측정된 부분방전 및 누설전류의 크기를 통해 개폐기(300)의 고장정도를 진단하기 위한 기준정보를 도출 가능할 수 있다.
한편,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는지 또는 개폐기(300)의 외부 즉, 주변 기자재(200)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도 2b의 고장정보 수집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센서부(110), 부분방전 측정부(120), 누설전류 측정부(130), 고장판단부(140), 통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방전 측정부(120), 상기 누설전류 측정부(130) 및 상기 고장판단부(140)는 상기 고장정보 수집장치(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센서부(110)는 부분방전을 감지(센싱)하기 위한 HFCT 센서(111), 누설전류를 감지(센싱)하기 위한 누설전류 센서(112)를 포함한다. 즉, HFCT 센서(111)는 고주파 전류 트랜스포머(High Frequency Current Transformer) 센서로서, 전자유도방식으로 고주파 전류를 감지한다. 누설전류 센서(112)는 개??기(300)의 외함에서 접지전류 진단기법으로 누설전류를 감지한다.
부분방전 측정부(120)는 센서부(110)의 HFCT 센서(111)에 의해 감지된 부분방전의 크기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부분방전 측정부(120)는 제1 필터부(121), 제1 증폭부(122), 피크검출부(123), A/D 변환부(124)를 포함한다.
제1 필터부(121)는 부분방전의 주파수 대역(고주파대역)에서 공중파 또는 핸드폰 등의 주변 노이즈원의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1 필터부(121)는 1∼50㎒ 부분의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한다.
제1 증폭부(122)는 제1 필터부(121)를 통과한 부분방전 크기를 측정 가능한 상태로 증폭한다.
피크검출부(Peak Detector)(124)는 제1 증폭부(122)에 의해 증폭되고 순간적으로 나타나는 부분방전의 최대값(peak)을 검출한다.
여기서는 부분방전을 측정할 때 개??기(300)의 면적을 측정하는 방식이 정확하지만, 면적 측정 방식의 경우 고가인 점을 감안하여 피크검출부(123)를 이용하여 부분방전의 최대값을 검출한다.
A/D 변환부(124)는 피크검출부(123)에 의해 검출된 부분방전의 최대값을 아날로그 신호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고장판단부(140)로 전달한다.
한편, 누설전류 측정부(130)는 센서부(110)의 누설전류 센서(112)에 의해 감지된 누설전류의 크기(즉, 누설전류의 실효값)를 측정한다.
한편, 누설전류 측정부(130)는 센서부(110)의 누+-설전류 센서(112)에 의해 감지된 누설전류의 크기(즉, 누설전류의 실효값)를 측정한다.
제2 필터부(131)는 누설전류의 주파수 대역(저주파대역)에서 주변 노이즈원의 신호를 필터링한다. 제2 필터부(131)는 1㎑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한다.
제2 증폭부(132)는 제2 필터부(131)를 통과한 누설전류 크기를 측정 가능한 상태로 증폭한다.
전류측정부(133)는 제2 증폭부(132)에 의해 증폭된 누설전류의 실효값(Root Mean Square, RMS)을 측정한다. 이때, 전류측정부(133)는 누설전류의 실효값을 고장판단부(140)로 전달한다.
고장판단부(140)는 부분방전 측정부(120)로부터 전달된 부분방전 크기와 누설전류 측정부(130)로부터 전달된 누설전류 크기를 이용하여 개??기(300)의 고장정도(즉, 고장 상태 등급, 예상 교체 시점)를 판단한다.
이 경우, 고장판단부(140)는 부분방전과 누설전류 크기의 상관 관계를 고려한 고장정도 판단용 매트릭스(matrix)를 미리 설정한다. 이러한 매트릭스는 정상 상태의 개??기(300), 결함이 적출된 개??기(300), 인위적으로 결합을 발생시킨 개??기(300)로부터 수집된 다량의 실험데이터(측정값)에 대한 데이터처리 및 판단기술(예를 들어, 인공지능을 이용한 분석방식)을 통해 마련된다.
도 4는 고장정보 수집장치에 구비된 센서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적어도 3개의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센서(원도형 1)는 전주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철의 제1 누설전류를 센싱한다.
제2 센서(원도형 2)는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중성선의 제2 누설전류를 센싱한다. 나아가,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중성선의 순환전류를 추가적으로 센싱할 수 있다.
제3 센서(원도형 3)는 상기 중성선과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선 인입구의 제3 누설전류를 센싱한다.
프로세서는,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나아가,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과 상기 순환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고장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고장 위험도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부분방전 및 누설전류를 감지(센싱)한다(S201).
이후,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부분방전 및 누설전류 크기가 측정되면(S202, S203), 미리 준비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개폐기(300)의 고장 상태 등급 및 예상 교체 시점을 판단한다(S204). 이때,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매트릭스 상의 해당 교차점의 지점을 확인하여 개폐기(300)의 고장 상태의 등급을 확인하고, 해당 교차점의 영역에서 개폐기(300)의 예상 교체 시점을 확인한다.
또한,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부분방전이 측정되면(S202), 부분방전 발생 유형으로서, 내부방전 또는 외부방전인지를 판단한다(S206).
이후, 고장정보 수집장치(100)는 개폐기(300)의 고장 진단 결과를 관제서버로 전송한다(S205).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진단방법으로 다수의 기자재를 진단할 수 있고, 누설전류를 바탕으로 고장원인을 사전에 파악해 예방할 수 있을뿐만아니라 고장구간을 파악할 수 있다. 개폐기 미설치 구간에서 고장 발생시 고장발생에 대한 정보제공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정보 수집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를 포함한다.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은 각각 서로 다른 전주에 배치된다. 각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는 각 전주에서 센싱되는 누설전류 및 순환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고장 위험도를 산출한다.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는 상기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로부터 각 전주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신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지점을 탐색한다.
상기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는 각 전주 사이의 연결 관계를 트리 구조로 정의하고, 상기 트리 구조에서 고장 위험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전주를 중심으로 상기 고장 지점을 탐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물 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1)은 IoT 센서를 이용한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고장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거나 파악하고, 고장 발생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전 점검 장치(700)는 전기 사고의 주요 원인이 되는 누설 전류, 순환 전류, 과전류, 과전압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전기적 위험 요소 정보를 안전 관리자 단말(900)로 전송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안전 점검 장치(700)는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20)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710) 및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720)를 포함한다.
누설 전류(Leakage Current)는 절연체에 전압을 가했을 때 흐르는 약한 전류를 말한다. 내부를 흐르는 것과 표면을 흐르는 것이 있으나 보통 표면을 흐르는 것이 더 크며, 이것을 표면 누설 전류라 한다.
이는 내부 상태나 표면의 상태, 형상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난다. 옴의 법칙에서 벗어나는 수가 많으며 내부 온도나 표면의 습도 등 주의 조건에 의해서 좌우되기도 한다.
이때 누설전류(Leakage Current)의 발생이유로는 전자기기 노이즈 필터에 의한 누설전류, 선로와 대지 간 정전용량에 의한 누설 전류, 누전이나 지락에 의한 누설 전류, 접지 전로의 폐루프 형성에 따른 순환전류, 다중 접지 계통에 흐르는 불평형 부하전류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점검 장치(700)는 가공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IoT 센서(800)를 활용하여 누설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720)는 IoT 센서(800)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장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점검 장치(700)는 고장 발생과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IoT 센서(800)에서 감지되는 결과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 및 고장 발생 위치를 파악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IoT 센서(800)는 완철 외함 등 공동 접속부분 하단(①)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중성선에 흐르는 누설 전류 및 순환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중성선(②)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접지선이 중성선과 연결된 이후의 지점인 접지선 인입구(③)에 설치될 수 있다.
IoT 센서(800)는 도 4에 도시된 위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에서와 같이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IoT 센서(80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각 기자재의 누설전류 및 순환 전류를 측정한다.
일 양상에 있어서, 안전 점검 장치(700)의 예측부(730)는 전류 측정부(710)에서 측정되는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의 특성 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먼저 측정된 누설 전류값이 설정 범위를 초과할 경우에, 추가로 누설 전류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다. 그리고 기자재별 고장 요인을 분석하고 고장 발생 위험도를 안전 관리자 단말(900)을 통해 미리 안내할 수 있다.
예측부(730)는 누설전류 및 순환 전류의 특성 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할 수 있도록 누설 전류 특성 값에 따른 고장 이상 징후 판단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고장 이상 징후 판단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예측부(730)는 전류의 크기, 위상, 유효값, 무효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고장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고장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전 점검 장치(700)의 위치 파악부(740)는 전류 측정부(710)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의 특성 값에 따라 고장 위치를 파악한다.
고장 발생에 따른 DAS FI 발생 시에 IoT 센서(800)에서 감지되는 누설 전류 데이터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기자재별 고장 요인을 분석한다. 그리고 기자재별로 누설 전류 데이터를 파악하여 분석함으로써 고장점을 탐지한다. 이에 따라 고장 구간을 파악하여 실제 전선에 고장 발생시에 고장 구간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의 고장 발생 여부 및 고장 발생 위치의 파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안전 점검 장치(700)의 예측부(730) 및 위치 파악부(740)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누설 전류값, 고장 이상 징후 판단결과, 고장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안전 관리자 단말(900)로 정보 제공한다.
안전 관리자 단말(900)은 안전 점검 장치(700)로부터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가시적인 데이터로 제공한다.
안전 관리자 단말(900)은 일 예로 데스크탑 PC(desktop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형태의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도록 해석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 (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태블릿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관리자 단말(900)은 누설 전류 파악결과 고장이 예측되는 지점에는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FI 발생시에 고장이 발생 된 위치를 파악하여 고장점(Fault) 표시를 함으로써 고장 발생 구간을 파악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고장발생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개폐기 미설치 구간의 고장 발생시에 고장 발생 개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은 전류 측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S500) 기재의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측정한다(S510).
이때 누설전류(Leakage Current)의 발생이유로는 전자기기 노이즈 필터에 의한 누설전류, 선로와 대지 간 정전용량에 의한 누설 전류, 누전이나 지락에 의한 누설 전류, 접지전로의 폐루프 형성에 따른 순환전류, 다중 접지 계통에 흐르는 불평형 부하전류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점검 방법은 가공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IoT 센서를 활용하여 누설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IoT 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장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가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520).
안전 점검 방법은 판단부가 고장 발생과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IoT 센서에서 감지되는 결과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 및 고장 발생 위치를 파악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이후에 예측부는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한다(S530).
누설전류(Leakage Current)의 발생이유로는 전자기기 노이즈 필터에 의한 누설전류, 선로와 대지 간 정전용량에 의한 누설 전류, 누전이나 지락에 의한 누설 전류, 접지전로의 폐루프 형성에 따른 순환전류, 다중 접지 계통에 흐르는 불평형 부하전류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 점검 방법은 가공 배전 선로에 설치되는 IoT 센서를 활용하여 누설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예측부는 IoT 센서로부터 취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고장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다. 안전 점검 방법에서 예측부는 고장 발생과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IoT 센서에서 감지되는 결과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 및 고장 발생 위치를 파악하거나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는 누설전류 및 순환 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할 수 있도록 누설 전류 특성 값에 따른 고장 이상 징후 판단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이때 고장 이상 징후 판단 알고리즘은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일 예로 예측부는 전류의 크기, 위상, 유효값, 무효값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측정된 값을 고장 알고리즘으로 분석하여 고장 이상 징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파악부가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위치를 파악한다(S540).
이때 고장 발생 여부, 고장 발생 요인, 고장 위치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안전 관리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정보 제공함으로써 안전 관리자가 신속하게 배전 선로의 고장 예측 및 고장 수리를 할 수 있다.
안전 관리자 단말은 누설 전류 파악결과 고장이 예측되는 지점에는 상이한 색으로 표시하여 관리자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FI 발생시에 고장이 발생 된 위치를 파악하여 고장점(Fault) 표시를 함으로써 고장 발생 구간을 파악하기 위한 단서를 제공한다. 따라서 관리자가 고장발생 위치를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개폐기 미설치 구간의 고장 발생시에 고장 발생 개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고장 진단 장치 110 : 센서부
111 : HFCT 센서 111a : 좌측부
111b : 우측부 112 : 누설전류 센서
120 : 부분방전 측정부 121 : 제1 필터부
122 : 제1 증폭부 123 : 피크검출부
124 : A/D 변환부 130 : 누설전류 측정부
131 : 제2 필터부 132 : 제2 증폭부
133 : 전류 측정부 140 : 고장판단부
150 : 통신부 200 : 주변 기자재
300 : 개폐기

Claims (18)

  1. 통신부;
    전주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완철의 제1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1 센서;
    상기 전주에 설치되는 중성선의 제2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2 센서;
    상기 중성선과 접지선이 연결되는 접지선 인입구의 제3 누설전류를 센싱하는 제3 센서; 및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전주에 설치된 전자기기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태 정보가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중성선의 순환전류를 추가적으로 센싱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과 상기 순환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고장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는 상기 고장 위험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부분방전 크기를 측정하는 부분방전 측정부;
    상기 제1 내지 제3 누설전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누설전류 크기를 측정하는 누설전류 측정부; 및
    상기 부분방전 크기와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를 이용하여 개폐기의 고장정도를 판단하는 고장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판단부는,
    부분방전과 누설전류의 상관 관계를 고려하여 미리 설정된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상기 부분방전 크기와 상기 누설전류의 크기의 교차점을 확인하고, 상기 교차점에 근거하여 상기 개폐기의 고장 상태 등급과 예상 교체 시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5. 각각 서로 다른 전주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개시된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 및
    상기 복수의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들로부터 각 전주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며,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신된 복수의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고장 지점을 탐색하는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각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는 각 전주에서 센싱되는 누설전류 및 순환전류 사이의 상관 관계에 근거하여 고장 위험도를 산출하며,
    상기 배전선로 고장지점 탐지장치는 각 전주 사이의 연결 관계를 트리 구조로 정의하고, 상기 트리 구조에서 고장 위험도가 가장 높은 어느 하나의 전주를 중심으로 상기 고장 지점을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완철 하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중성선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는 접지선 인입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
  13.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장치에서 수행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에 있어서,
    전류 측정부가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및
    판단부가 상기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예측부가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위치 파악부가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점검 방법.
  16. 적어도 하나의 사물인터넷(IoT) 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재의 누설 전류 또는 순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및 상기 측정된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안전 점검 장치; 및
    상기 안전 점검 장치로부터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신하여 가시적인 데이터로 제공하는 안전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 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점검 장치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 전류 또는 순환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발생 요인을 예측하는 예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점검 장치는,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누설전류의 특성값에 따라 고장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IoT) 기반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0200021216A 2020-02-20 2020-02-20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309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16A KR102309414B1 (ko) 2020-02-20 2020-02-20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216A KR102309414B1 (ko) 2020-02-20 2020-02-20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259A true KR20210106259A (ko) 2021-08-30
KR102309414B1 KR102309414B1 (ko) 2021-10-07

Family

ID=7750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216A KR102309414B1 (ko) 2020-02-20 2020-02-20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4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46B1 (ko) * 2022-08-08 2022-11-18 정경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전신주의 배전장치 관리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14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전력공사 고장표시기와 고장전류값을 함께 고려한 배전계통고장구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2067A (ko) * 2007-03-07 2008-09-11 (주)에디테크 배전선로의 순시용 고장 점 탐지장치
KR100885847B1 (ko) 2007-04-25 2009-0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용 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KR20100052855A (ko) * 2008-11-11 2010-05-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1543651B1 (ko) 2015-03-13 2015-08-11 원시스템주식회사 사물인터넷기반 스마트 자동전력 가전기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1605B1 (ko) 2015-08-13 2016-03-21 주식회사 대경산전 전기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배전반
KR101963853B1 (ko) * 2018-03-30 2019-04-01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20190037623A (ko) * 2017-09-29 2019-04-08 한국전력공사 개폐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2008472B1 (ko) 2018-12-19 2019-08-07 (주)대신피아이씨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014A (ko) * 2001-10-29 2003-05-09 한국전력공사 고장표시기와 고장전류값을 함께 고려한 배전계통고장구간 판단 장치 및 그 방법
KR20080082067A (ko) * 2007-03-07 2008-09-11 (주)에디테크 배전선로의 순시용 고장 점 탐지장치
KR100885847B1 (ko) 2007-04-25 2009-02-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용 개폐기의 부분방전 검출장치
KR20100052855A (ko) * 2008-11-11 2010-05-20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의 방법
KR101543651B1 (ko) 2015-03-13 2015-08-11 원시스템주식회사 사물인터넷기반 스마트 자동전력 가전기기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1605B1 (ko) 2015-08-13 2016-03-21 주식회사 대경산전 전기 사고 방지용 스마트 배전반
KR20190037623A (ko) * 2017-09-29 2019-04-08 한국전력공사 개폐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KR101963853B1 (ko) * 2018-03-30 2019-04-01 주식회사 금강엔지니어링 지중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102008472B1 (ko) 2018-12-19 2019-08-07 (주)대신피아이씨 IoT 기반의 전기 수용가별 실시간 원격 관리 및 경보 출동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546B1 (ko) * 2022-08-08 2022-11-18 정경하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전신주의 배전장치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414B1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9306B (zh) 电力二次系统电流采集回路监测方法
CN103558455B (zh) 避雷器检测方法
KR102309900B1 (ko) IoT 기반 비접촉식 피뢰기 상태 진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리 시스템
CN109633384A (zh) 一种智能型绝缘线路防雷在线监测装置及方法
CN103926510A (zh) 一种电缆护层电流及载流量在线监测和故障诊断定位方法
KR101200053B1 (ko) 전력설비용 변압기와 애자의 진행성 이상상태 실시간 진단장치 및 그 방법
US7355412B1 (en) Remote fault monitoring system
KR100476982B1 (ko) 변압기의 고장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109283433A (zh) 一种针对局部放电和接地环流的电缆联合检测装置及方法
CN103792440A (zh) 一种数据中心动力系统安全分析评估的方法
KR102309414B1 (ko) 배전선로 고장정보 수집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1916362B1 (ko) 절연 열화에 의한 삼상 누설전류 측정방법을 이용한 지능형 전력설비 고장 예지 시스템 및 방법
KR101972325B1 (ko) 개폐기의 고장 진단 장치 및 그 방법
CN109239547A (zh) 一种测量高压电缆运行状态的方法及装置
KR101151559B1 (ko) 파급정전 검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급정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23221431A1 (zh) 一种配电线路故障查找系统及方法
CN108416462B (zh) 一种风电场升压站及35kV集电线路设备预防性试验周期优化方法及系统
CN116840614A (zh) 基于谐波异动特征的电缆线路缺陷感知预警方法
JP3876966B2 (ja) 変電設備の遠隔監視システムおよび遠隔監視方法
CN109357710A (zh) 一种基于物联网的配电房运维系统
CN113064033B (zh) 一种气体绝缘组合电器及其故障监测装置
KR20240026133A (ko) 절연 전력 케이블 시스템의 기능적 신뢰성 평가
CN103558450A (zh) 变压器夹件接地电流的三互感器在线监测装置
KR20220055323A (ko) 전기선로의 열화 위험도 판단 방법 및 장치
Abdullah et al. Surge Arrester Monitoring Implementation at 33kV Distribution Overhead Line in Malays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