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991A -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 Google Patents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991A
KR20210104991A KR1020200019429A KR20200019429A KR20210104991A KR 20210104991 A KR20210104991 A KR 20210104991A KR 1020200019429 A KR1020200019429 A KR 1020200019429A KR 20200019429 A KR20200019429 A KR 20200019429A KR 20210104991 A KR20210104991 A KR 20210104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terminal
interfa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4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노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Priority to KR102020001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991A/en
Publication of KR20210104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99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n 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method among a retail terminal, a wholesale terminal and a purchasing terminal. The method comprises: a step of receiving and managing order form information of the retail terminal; a rule engine-based conversion processing step of converting the order form information into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preset rule set setting information; a template engine-based inverse transformation processing step of setting a template for each company which sets a template for each company configured according to inverse transformation of the rule set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 inverse transformation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the template for each company, and outputting an order form in the form of the company; a step of providing an order management service among the retail terminal, the wholesale terminal, and the purchase terminal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order form in the form of the company; and an interface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a standardized order data-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to the purchasing terminal, the retail terminal or the wholesale terminal in order to provide a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ork processing time can be greatly shortened.

Description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recording medium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본 발명은 주문 관리 서비스를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사입 간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an order management service is recorded.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between wholesale and retail purchase based on standardization of order data is recorded.

일반적으로 의류와 같은 패션 상품을 공급하는 도매 업체와 도매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소매 업체 사이에서의 거래는, 소매 업체가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로부터 주문을 받고 주문을 집계하여 도매 업체로 주문을 하면, 도매 업체가 집계된 수량에 맞게 소매 업체로 출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통상 소매 업체는 주문과 동시에 상품의 대금을 선결제하고, 도매 업체는 결제 이후에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여 출고하거나 또는 부족한 수량의 상품 제작을 진행하는 방식을 취한다.In general, in a transaction between a wholesaler that supplies fashion products such as clothing and a retailer that sells goods supplied by the wholesaler to consumers, the retailer receives orders from consumers for the goods, aggregates the orders, and becomes a wholesaler. When you place an order, the wholesaler ships it to the retailer according to the counted quantity. In this case, in general, the retailer prepays the price of the product at the same time as the order, and the wholesaler checks the stock of the product after payment and releases it or manufactures the product in insufficient quantity.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 업체는 대부분 낮 시간에 영업을 하는 반면, 상품을 대량으로 제조하고 유통하는 도매 업체는 주로 늦은 밤 또는 새벽에 영업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도소매 거래 방식에 따르면, 소매 업체가 도매 업체에게 재입고 일정에 대하여 문의하거나 또는 필요한 상품의 수량, 사이즈, 색상 등을 변경하는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대부분의 소매 업체는 큰 부담을 안고 사업을 운영할 수 밖에 없다.Since most retailers selling products to consumers are open during the day, while wholesalers that manufacture and distribute products in bulk are mainly open late at night or early in the morn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wholesale and retail transaction method, When a retailer inquires a wholesaler for a restocking schedule or makes a request to change the quantity, size, color, etc. of the required product, it causes considerable inconvenience. Due to these problems, most retailers have no choice but to operate their business with a great burden.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도소매 업체 서로간의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하여 상품의 출고 및 배송 처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입과 같은 도소매 중개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While solving these problems, wholesale and retail brokerage services such as purchasing are emerging in order to provide product shipment and delivery processing by securing reliability and predictability between wholesale and retail companies.

사입은 사전적으로는 물건을 구매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의류를 취급하는 도소매 서비스에서는 소매로부터 받은 주문을 도매에 전달하고, 도매로부터 받은 상품을 소매에 전달하는, 주문 관리 및 중개 업무를 의미한다.Purchasing means purchasing goods in the dictionary, but in a wholesale/retail service that deals with clothing, it refers to order management and brokerage business, delivering orders received from retailers to wholesalers and delivering goods received from wholesalers to retailers.

사입자는 소매로부터 받은 주문을 당일 도매에 주문해야 하며, 수거 및 배송을 완료하여야 한다. 사입 업무는 특성상 신속성과 정확성을 모두 요구하나, 실상은 소매로부터 받은 주문서 내용을 일일히 가위로 잘라 도매처에 사진을 찍어 보내는 등 업무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고 있다.Buyers must place orders received from retailers at wholesale on the same day, and complete collection and delivery. Purchasing business requires both promptness and accuracy due to the nature of the business, but in reality, the work efficiency is very low, such as cutting the contents of the order received from the retailer one by one with scissors and taking pictures and sending it to the wholesaler.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문정보를 자동화된 형태의 전자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게 하는 여러 도소매 거래 중개용 시스템 등이 제안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wholesale and retail transaction brokerage systems have been proposed that store and manage order information as electronic data in an automated form.

다만, 현재의 시스템은 특정한 도소매 거래 중개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가 요구되며, 도매, 소매, 사입간 통일된 주문서 양식을 이용하여야만 정상적인 주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점에서 그 한계성이 존재하고 있다.However, the current system requires a computer installed with specific wholesale/retail transaction brokerage software, and has limitations in that it is possible to process order data normally only by using a unified order form between wholesale, retail, and purchase.

이러한 한계성은 실시간적인 처리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호환성을 저해하는 바, 각 도매 또는 소매들이 개별 편의성을 위해 사용하던 개인화된 주문서들을 거래 중개용 소프트웨어 양식에 맞게 다시 작성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This limitation not only makes real-time processing difficult, but also hinders data compatibility,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write and input the personalized order forms used by each wholesaler or retailer for individual convenience according to the transaction brokerage software form. are doing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주문서 재작성에도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바, 수정사항 등이 발생되는 경우 업무 처리 시간이 오히려 더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Due to these inconveniences, not only the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the software are reduced, but also excessive time is required to rewrite the order for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work processing time may be rather longer if modifications are mad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도매 및 소매별로 파편화된 주문 데이터들을 별도의 수정이나 주문서 재작성 없이 자동화된 규칙 설정에 따라 분석 및 표준화 처리하며, 이러한 표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도소매 거래 및 그 사입 중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사입 중개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를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alyzes and standardizes order data fragmented by wholesale and retail according to automated rule setting without separate correction or rewriting of order form, and based on these standardized data Executes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for 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wholesale and retail purchase brokerag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that not only improves usability and convenience, but also significantly shortens business processing time by providing a database-based wholesale and retail transaction and purchase brokerage servi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으로서,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단계, 상기 주문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 세트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 단계,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의 역변환에 따라 구성된 업체별 템플릿을 설정하는 업체별 템플릿 설정하고, 상기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역변환을 처리하여, 업체 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출력하는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 단계,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와, 업체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기반의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입 단말, 상기 소매 단말 또는 도매 단말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recorded is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between a retail terminal, a wholesale terminal, and a purchase terminal A servic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d managing order form information of a retail terminal; a rule engine-based conversion processing step of converting the order form information into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preset rule set setting information; A template engine-based inverse transformation processing step of setting a template for each compan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nverse transform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inverse transformation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the template for each company, and outputting an order form in the form of a compan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In order to provide a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providing an order management service between the retail terminal, the wholesale terminal, and the purchase terminal using the order data and the order form in the form of a company,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including an interface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a standardized order data-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to the purchasing terminal, the retail terminal or the wholesale terminal is recorded.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 상기 주문서 정보를 기 설정된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는 표준화 처리부; 및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n order management service between a retail terminal, a wholesale terminal, and a purchase terminal, wherei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includes an order form of a retail terminal an order data management unit that receives and manages information; a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for converting the order form information into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preset rule setting information;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n order management service between the retail terminal, the wholesale terminal, and the purchase terminal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매, 도매 또는 사입의 개별 주문서 정보를 사전 설정된 표준화 자동화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데이터 구조화 처리하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상기 도매, 소매 및 사입의 개별 주문서 양식과 호환될 수 있도록 변환 및 역변환 가능하게 처리됨으로써, 도매 및 소매별로 파편화된 주문 데이터들을 각 도소매업자들의 별도 수정이나 주문서 재작성 없이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및 표준화 처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order form information of retail, wholesale, or purchase is structured data according to the preset standardization automation rule setting information, but the standardized order data is compatible with the individual order form of the wholesale, retail and purchase. By being processed so that it can be converted and inversely transformed, order data fragmented by wholesale and retail can be converted and standardized as standardized order data without separate modification or order rewriting by wholesalers and retailers.

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도소매 거래 및 그 사입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atabase-based wholesale/retail transaction based on standardized order data and its purchase brokerage service, which not only improves usability and convenience, but also significantly reduces business processing tim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매, 소매 및 사입간 실시간 갱신 가능한 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편리한 주문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화 인터페이스 제공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중개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장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standardized order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rder brokerage service that can be updated in real time between wholesale, retail, and purchase, and provides a convenient ord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a conversation interface using a message application, etc.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rvice providing device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 wholesale/retail brokerag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provide an additional service of a b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의 표준화 처리 설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서비스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입 단말의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7 내지 도 21은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에 따라 사입 단말에서 출력되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9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standardization processing of a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an interface processing unit that provides an order manageme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service system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rder book sharing process of a buying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7 to 21 are examples for explaining an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output from a buying terminal according to the order book sharing process It is also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following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devic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listed herei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solely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understood, and not limited to the specifically enumerated embodiments and states as such. should be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oreo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l detailed description reciting the principles, aspects, an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s well as specific embodiments, are intended to cover structural and functional equivalents of such matter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such equivalents include not only currently known equivalents, but also equivalents developed in the future, i.e., all devices invented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regardless of structure.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us, for example, the block diagrams herein are to be understood as representing conceptual views of illustrative circuitry embodying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ly, all flowcharts, state transition diagrams, pseudo code, etc. may be tangibly embodied on computer-readable media and be understood to represent various processes performed by a computer or processor, whether or not a computer or processor is explicitly shown. should be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clear use of terms presented as processor, control, or similar concep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exclusively referring to hardware having the ability to execute software, and without limitation,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hardware, ROM for storing software. It should be understood to implicitly include (ROM), RAM (RAM) and non-volatile memory. Other common hardware may also be included.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The above-describ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relation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ccordingl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ntir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주문서의 표준화 처리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 및 관련 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단말(50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 1 ,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that provides a service using order data standardized according to standardization processing of an order form, and a request according to service use It may include one or more purchase terminals 200 , retail terminals 300 and wholesale terminals 400 that transmit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or receive and output service information fro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In addition, th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electively include an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for inputting tag information and related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ized order data.

먼저, 각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되는 서비스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First, each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the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may be configured as a service network formed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이를 위해, 각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은 상호 통신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the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may include one or more communication modules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for mutual communication.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implemented as a wired network such as,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In addition, communication networks include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Bluetooth, Wireless Broadband Internet (Wibro),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i-Fi, Long Term Evolution (LTE). ) can be implemented with any kind of wireless network, such as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network in which wired and wireless are mixed.

그리고, 시스템상 정보 입력 단말(500)이 포함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보 입력 단말(5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 입력 단말(500)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간 통신 연결은 보안화된 내부 망으로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출력, 태그 정보 입력, 트렌드 분석 설정 정보 입력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is included in the system,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and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 communication connection is connected to a secure internal network, and may include an input/output interface for supporting standardized order data output, tag information input, trend analysis setting information input, etc. processed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획득되는 소매, 도매 또는 사입의 개별 주문서 정보를 사전 설정된 표준화 자동화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데이터 구조화 처리할 수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rocesse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service-registered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 and retail and wholesale obtained from the transmitted and received data. Alternatively, the individual order form information of the purchase can be structured and processed according to the preset standardization automation rule setting information.

여기서,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상기 도매, 소매 및 사입의 개별 주문서 양식과 호환될 수 있도록 변환 및 역변환 가능하게 처리됨으로써, 도매 및 소매별로 파편화된 주문 데이터들을 각 도소매업자들의 별도 수정이나 주문서 재작성 없이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및 표준화 처리할 수 있다.Here, the standardized order data is converted and reverse-converted to be compatible with the individual order form of the wholesale, retail, and purchase, so that the order data fragmented by wholesale and retail is separately modified or rewritten by each wholesaler and retailer It can be converted and standardized as standardized order data without 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입 단말(200)의 사용자인 사입자에 대한 사입 중개 서비스와, 소매 단말(300)의 사용자인 소매자에 대한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도매 단말(400)의 사용자인 도매자에 대한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rchase brokerage service for a purchaser who is a user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and a user of the retail terminal 300 using standardized order data. A retail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for a retailer and a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for a wholesaler who is a user of the wholesale terminal 400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여기서, 상기 사입 중개 서비스는 사입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주문서 데이터를 표준화 처리하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등록 처리 및 도매 단말(400)로의 알림 인터페이스 메시지 전송 처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purchase brokerage service receives the order form data of the retail terminal 300 received from the purchase terminal 200, standardizes the order form data, and performs database registration processing and wholesale terminal 400 using standardized order data. It may include a notification interface message transmission processing service to the .

여기서, 상기 주문서 데이터는 소매 단말(300)에 대응하여 개인화된 다양한 포맷의 주문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엑셀 파일, 워드 파일, pdf 파일, 스캔된 이미지 파일 기타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주문서 데이터를 표준화된 포맷의 구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다.Here, the order form data may include order form data in various formats personalized to correspond to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order form data may include, for example, data in various formats such as an excel file, a word file, a pdf file, a scanned image file, and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converts the order form data into structural data in a standardized format And, by extracting and arranging necessary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set rul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주문 데이터는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의 역적용 및 역변환 처리에 따라, 상기 각 사용자에 대응하여 개인화된 다양한 포맷의 주문서 데이터로 출력 가능한 바, 각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또는 도매 단말(400)에서 취급하는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도 편리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order data can be output as order form data in various formats personalized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inverse application and inverse transformation processing of the preset rule, each retail terminal 300, purchase terminal 200, or Convenient service use is possible without changing the format handled by the wholesale terminal 400 .

한편, 도매 단말(400)에서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 등록 처리에 따른 상기 알림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림 인터페이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입력을 처리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접수, 품절, 미송 처리 등의 응답 메시지가 사입 단말(200) 또는 소매 단말(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receives the notification interface message according to the database registration processing of standardized order data, and processes a response input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notification interface message, and receives standardized order data, sold out, not sent A response message such as processing may be processed to be delivered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or the retail terminal 300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상기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를 사입 단말(200)로 전달하거나, 사입 단말(200)에서의 요청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도매 단말(400)로의 주문 처리 결과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ail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the order form information of the retail terminal 300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or transmits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a request from the purchase terminal 200 . It may include a service for providing order processing results and status information to the wholesale terminal 400 used.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등록에 따른 주문 정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매 단말(400)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주문 상태 정보의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nd, the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rder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standardized order data registration, and change processing of order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wholesale terminal 400 . can be do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처리 상태 정보 또는 관련 메시지 정보를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로 공유하고, 상기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 메시지를 중개하는 대화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ares the processing status information or related message information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to each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 And, each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may provide a conversation interface service that mediates at least one conversation message.

이러한 처리를 위해,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인터페이스 출력을 위한 출력부 및 통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For this processing, each purchase terminal 200,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are smart phones, tablet computers, notebook computer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portable multimedia players (PMPs), smart glasses, etc.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nd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information,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interface according to the service provis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nnecting to a communication network, respectively.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도소매 거래 및 그 사입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도매, 소매 및 사입간 실시간 갱신 가능한 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편리한 주문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화 인터페이스 제공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중개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such,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can provide a database-based wholesale and retail transaction based on standardized order data and a purchase brokerage service thereof, which not only improves usability and convenience, but also greatly reduces business processing time. It can provide an order brokerage service that can be updated in real time between wholesale, retail, and purchase, and can provide additional services such as a convenient order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a conversation interface using a message application. It can improve the quality of brokerage management services.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누적 수집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각 주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포맷의 태그 정보를 매핑하며, 매핑된 이미지 정보 및 태그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학습 분석에 따라, 트렌드 분석, 상품 추천 서비스 등의 다양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s standardized order data, builds it into one or more databases, maps tag information of various formats indicating image information and features for each order data, ,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various related additional services such as trend analysis and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according to database construction and learning analysis for mapped image information and tag inform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 표준화 처리부(120), 인터페이스 처리부(1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 메시지 처리부(150), 태깅 처리부(160), 분석부(170) 및 서비스 제공부(180)를 포함하며,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 서비스부(181),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 및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 a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 an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 a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and a message processing unit 150 . ), a tagging processing unit 160 , an analysis unit 170 and a service providing unit 180 ,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is an order service unit 181 , a trend analysis service unit 182 and a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unit. (183).

여기서, 각 구성요소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의 실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Here, each component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control unit may be implemented as one or more microprocessors that generally control the operation and execution of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180)는 제어부의 기능 동작의 실행에 따라, 사전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포맷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data transmission/recep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between the pre-registered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may configure a user interface of various formats for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an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and process data input/output based on the configured 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이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각 단말들에 설치된 거래 어플리케이션기반 인터페이스이거나, 각 단말들에 설치된 메신저 인터페이스 기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ser interface may be a web interface, a transaction application-based interface installed in each terminal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r a messenger interface-based interface installed in each terminal.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사입 단말(20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문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한다.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receives order form information of one or more retail terminals 300 received from the purchase terminal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stores the received order form information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그리고, 표준화 처리부(120)는 상기 주문서 정보에 대응하는 변환 처리를 수행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주문 데이터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conversion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order form information to generat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generated order data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as standardized order data.

여기서, 표준화 처리부(120)는 미리 설정된 주문서 변환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분석 및 매핑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서 변환 규칙 설정 정보는 주문서 포맷 및 주문서에 대응하는 소매처 정보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Here,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may generate standardized order data by analyzing and mapping according to preset order book conversion rule setting information. The order book conversion rule setting information may be variab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rder form format and retail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form.

예를 들어, 특정 소매점의 변환 규칙 설정 정보는 상기 특정 소매점 양식의 주문서 엑셀 파일로부터 획득되는 텍스트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텍스트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규칙 설정 정보는 주문서 내 특정 위치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배치 변환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version rule setting information of a specific retail store may include text rule information for extracting standardized order data from text obtained from the order form Excel file of the specific retail store. In addition, the conversion rul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batch conversion rule information for extract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standardized order data from a specific location in the order book.

이러한 텍스트 규칙 정보 및 배치 변환 규칙 정보는 각 소매점별 주문서 변환 규칙 설정 정보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표준화 처리부(120)는 소매점별 주문서에 대한 별도의 수정 또는 재입력 없이도 설정 규칙 기반의 자동화된 처리를 통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uch text rule information and batch conversion rule information may be selectively included in the order book conversion rul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retail store, and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performs automated processing based on the setting rule without separate modification or re-entry of the order form for each retail store. can generate standardized order data.

예를 들어,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는, 소매 단말(300)의 소매처 정보, 상품명, 상품 옵션, 상품 개수, 특이 사항, 도매처 명칭, 주소, 도매처에 대한 주문을 전송 받을 도매 단말(400)의 연락처, 주문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may include information on retailers of the retail terminal 300 , product names, product options, number of products, special items, names of wholesalers, addresses, and orders for wholesalers to be transmitted. It may include contact information of the wholesale terminal 400, an order method, and the like.

또한, 이렇게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사입, 도매 및 소매에서 상호 처리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는 상태 정보 필드가 부가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주문완료 인덱스, 픽업(사입자가 픽업 완료함) 인덱스, 품절 인덱스 또는 미송(상품 입고시 발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특히 패션 관련 사입 중개 서비스에서 매우 편리한 상태 정보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is standardized order data can reflect information that is mutually processed in purchasing, wholesale and retail in real time. To this end, a status information field may be added to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status information is, for example, any one of an order completion index, a pickup (pickup completed by the purchaser) index, a stockout index, or an unsent (shipped when goods are receive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very convenient status information check in a fashion-related buying brokerage service.

또한,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에서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기반한 주문 수정 또는 편집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 필드의 변경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만약 상태 정보 필드가 변경된 경우, 서비스 제공부(180)는 이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purchase terminal 200,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may perform order correction or editing processing based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may process a change input of the status information field. have. If the state information field is change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provide a corresponding notification message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

또한, 상기 표준화 처리부(120)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다시 소매 단말(300)에 대응하는 주문서 정보로서 역변환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특정 소매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된 경우, 수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로 역변환 처리하여,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가 상기 특정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양식에 맞는 맞춤형 수정 주문서로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Also,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may inversely transform the standardized order data back into order form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tail terminal 300 . For example, whe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is modifi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specific retail terminal 300 ,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inversely converts the standardized order data into an order form of the retail terminal 300 using the corrected data. , the standardized order data may be processed so that it can be output as a customized modified order form suitable for the order form of the specific retail terminal 300 .

이에 따라,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표준화 처리부(120)에서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may store and register the order data standardized b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to the order form information of the retail terminal 300 to be stored and registered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그리고,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180)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 전달한다.Then,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transmit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nd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

여기서,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의 주문 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사입 중개 서비스,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 또는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문 서비스부(1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서비스부(181)는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 정보를 상태 정보로서 도매 단말(400), 사입 단말(200) 또는 소매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may include an order service unit 181 that provides the aforementioned purchase brokerage service, retail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or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according to the order data of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 In addition, the order service unit 181 may provid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standardized order data as status information to the wholesale terminal 400 , the purchase terminal 200 , or the retail terminal 300 .

이러한 상태 정보의 제공 및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로부터의 입출력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관련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order to provide such status information and input/output services from each purchase terminal 200, retail terminal 300, and wholesale terminal 400,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generates an interface for service provision, or related data processing can be performed.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에서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API를 통해 상기 사입 중개 서비스,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 또는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에 따른 온라인 입출력이 가능한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상기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API 또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is the purchase brokerage service, the retail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or the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API accessible from the purchase terminal 200,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create a web interface capable of online input/output according to the service, and provide link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web interface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retail terminal 300, or wholesale terminal 400, , may receiv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pplication API or web interface, and transmit it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 관련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및 사입 단말(200)간 대화 메시지도 송수신 가능한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provides registration information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status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order-related wholesale terminal 400 ,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purchase terminal 200 may provide an order dialog interfa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ialog message.

이러한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는, 각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간 대화자를 상호 제한하거나 확장할 수도 있으며, 대화 메시지와 함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기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픽업/품절/미송 등)가 함께 출력될 수 있어 각 사업자간의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한다.Such an order conversation interface may mutually limit or extend the dialogue between each wholesale terminal 400,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and state information based on standardized order data (eg, a conversation message) For example, pickup / out of stock / undelivered, etc.) can be output together to facilitate business processing between each operator.

그리고,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상에 입출력되는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처리부(150)를 통해 수집,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50)는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를 통한 대화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메시지 입력에 따른 주문 데이터의 수정, 변경, 특이사항 입력등의 자동화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And, the message information input and output on the order dialog interface may be collected, stored, and managed through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may store and manage the conversation message through the order dialogue interface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and may perform automated processing such as correction, change, and input of special items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message. have.

이러한 메시지 처리부(150)의 대화 메시지는 각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및 사입 단말(200)에 대응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화 메시지는 이후 분석부(170)에서 분석 처리되어 상품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등의 분석 데이터로서 가공될 수도 있다.The conversation message of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may be stored and managed corresponding to each retail terminal 300 , the wholesale terminal 400 and the purchase terminal 200 , and these conversation messages are then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170 . It may be processed and processed as analysis data such as product defect rate, friendliness, and response time.

한편, 태깅 처리부(16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태그 정보 입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서 누적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으며,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및 도매 단말(400)의 활동이 누적됨에 따라 유의미한 분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Meanwhile,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perform tag information input processing for analysis of standardized order data.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ccumulated and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and as the activities of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purchasing terminal 2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are accumulated, It can represent meaningful analysis information.

이를 위해, 태깅 처리부(160)는 각 주문 데이터별 학습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태그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할당할 수 있으며, 입력된 태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를 통해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allocate tag information for facilitating learning and analysis for each order data to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input tag information is the standardized order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It can be mapped to data and stored.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태깅 처리부(160)로 입력될 태그 정보를 정보 입력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태그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입력 단말(500)은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입력하여 태깅 처리부(160)로 전달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일 수 있다.Also,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may generate a tag interface capable of receiving the tag information to be input to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from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and provide it to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Here,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may be a manager terminal capable of receiving order data, inputting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delivering the tag information to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

여기서, 상기 태그 인터페이스는 태그 정보를 입력할 제1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상기 이미지 정보가 없는 주문 데이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입력 단말(500)에서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색인하여 입력할 수 있는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Here, the tag interface may include an image input interface for receiving image information in response to first order data for inputting tag information. In general, the standardized order data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but order data without the image information may also exist. Accordingly,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may output an image input interface capable of indexing and inputting product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ized order data.

그리고, 이미지 정보가 정보 입력 단말(500)로부터 입력되면, 태깅 처리부(160)는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 파일이거나, 이미지 파일이 링크된 웹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And, when the image information is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map the input image information to standardized order data and store it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Here, the image information may be an image file or may include information on a web address to which the image file is linked.

그리고, 태깅 처리부(160)는 상기 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천 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천 태그 정보는 제1 주문 데이터에 매핑된 상품 이미지와 일정 유사도 이내의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provide the recommended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data through the tag interface. Here, the recommendation tag information may be obtained from tag history information of similar order data within a certain degree of similarity to a product image mapped to the first order data.

태깅 처리부(160)는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 색인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로의 색인 요청 및 응답 수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태깅 처리부(16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의 색인에 따라 획득된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를 정보 입력 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perform an index request and response reception processing to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for tag history indexing of similar order data.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transmit the tag history of the similar order data obtained according to the index of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to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그리고, 정보 입력 단말(500) 사용자는 상기 히스토리 중 제1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유사 주문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가 상기 제1 주문 데이터에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user selects specific similar order data corresponding to the first order data from the history, so that one or more tag information among the tag history information of the specific similar order data is applied to the first order data can be handled as much as possible.

이에 따라, 태깅 처리부(160)는 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문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may receive order data input through the tag interface and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and store and manage the received tag information through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이와 같은 처리에 따라, 상기 주문 데이터에 기반한 개별 태그 정보 매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태그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가 매핑된 주문 데이터는 분석부(170)의 분석 처리에 이용될 수 있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의 트렌드 분석 서비스 처리 또는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의 상품 추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such processing, individual tag information mapping based on the order data is possible, and the order data to which the tag information and product image information are mapped can be used for analysis processing by the analysis unit 170 , and the analysis result It may be used for the trend analysis service processing of the trend analysis service unit 182 or th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of th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unit 183 based on .

예를 들어, 분석부(170)는 정보 입력 단말(500)에서 설정된 분석 설정 정보 입력에 따라, 태그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트렌드 분석 및 상품 추천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nalysis unit 170 may perform various trend analysis and product recommendation analysis processing based on tag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setting information input set in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분석부(170)에서 트렌드 분석이 처리되면, 처리 결과에 따른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의 트렌드 분석 서비스가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상품 구매자 기준의 분석 서비스와는 달리, 도매 정보, 소매 정보 및 사입 정보를 고려한 차별화된 분석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는 도매 정보에 기초한 인기 도매상가 정보, 인기 도매 건물의 특정 층 판매 트렌드 정보, 특정 품목이 많이 도매/소매 거래되는 상가 트렌드 등의 주문 데이터 기반 새로운 분석요소들을 적용한 분석 인터페이스를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trend analysis is processed by the analysis unit 170 , the trend analysis service of the trend analysis service unit 182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may be provided to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wholesale terminal 400 ,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 , thi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differentiated analysis service in consideration of wholesale information, retail information, and purchase information, unlike the existing product purchaser-based analysis service. For example, the trend analysis service unit 182 analyzes new analysis elements based on order data, such as popular wholesale mall information based on wholesale information, sales trend information on a specific floor of a popular wholesale building, and a shopping mall trend in which a lot of specific items are wholesale/retail traded. The applied analysis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wholesale terminal 400 ,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

또한, 분석부(170)에서 상품 추천 분석이 처리되면, 처리 결과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의 상품 추천 서비스가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product recommendation analysis is processed by the analysis unit 170 , th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of th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unit 183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is provided to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 can be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한 분석부(170)의 태그 정보 기반 트렌드 분석에 따른 신규 측면에서의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70)는 태그 정보에 기초한 연도, 기간, 품목, 속성별 도소매 주문수량 정보로부터 날씨, 계절, 사회적 이벤트 등과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는 이러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도소매 상품을 추천하는 새로운 상품 추천 서비스를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Th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unit 183 may provide a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in a novel aspect according to the tag information-based trend analysis of the analysis unit 170 for standardized order data. For example, the analysis unit 170 derives correlations with weather, season, social events, etc. from the wholesale/retail order quantity information for each year, period, item, and attribute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unit 183 responds to the occurrence of these events. Accordingly, a new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for recommending wholesale and retail products may be provided to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wholesale terminal 400 ,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

한편,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는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등록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등록을 위한 소매처 정보, 도매처 정보 또는 사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90 may process user registration for service provision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 and retail information and wholesale information for user registration. Alternatively, the purchas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and stored and managed in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base managemen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는 앞서 설명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태깅 정보 데이터베이스(143),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4),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 및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146)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databases for the functional operation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described above, a user information database 141 , an order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database 142 , a tagging information database 143 , an image information database 144 , a message information database 145 , and an analysis information database 146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를 통해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의 소매처 정보, 도매처 정보 또는 사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정보, 소속 정보, 업종 분류 정보(도매, 소매, 사입 등), 주소 정보, 연락처 정보, 로그인 정보, 단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database 141 includes retail information, wholesale information or purchaser information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registered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90 to provide a service. can be received, stored and managed. The user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user name information, affiliation information, industry classification information (wholesale, retail, purchase, etc.), address information, contact information, login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information.

특히, 도매처 정보는 별도 레코드에 의해 구성되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매칭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매처 정보는 도매처명, 대표 도매명, 대표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 도매명은 도매처 레코드에 매칭가능한 표준 도매처 명칭일 수 있으며, 일부 텍스트가 상이하더라도 대표 도매명으로 주문 데이터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In particular, the wholesaler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by a separate record and formed to match the standardized order data. The wholesaler information may include a wholesaler name, a representative wholesaler name, and representative contact information. The representative wholesaler name may be a standard wholesaler name that can be matched to the wholesaler record, and even if some texts are different,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order data as the representative wholesaler name.

또한, 하나의 도매처에도 복수의 연락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실제 이용 빈도(시간 및 횟수 기반)에 따라 대표 연락처를 설정하고, 나머지 연락처들은 선택 옵션 데이터로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lurality of contac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one wholesaler, a representative contact may be set according to an actual frequency of use (based on time and number of times), and the remaining contacts may be stored and managed as selection option data.

그리고,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에서 처리되는 주문서 정보와, 표준화 처리부(120)에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기능 동작에 있어서 필요한 구성요소들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may store and manage the order data processed by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and the order data standardized b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to be mapped, stored and managed. It provides standardized order data to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overall functional operation.

한편,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태깅 처리부(160)에서 입력된 태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와의 매핑 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할 수있다.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상기 태그 정보를 분석부(170)로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태깅 처리부(160)로 제공하여 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사 태그 히스토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Meanwhile, the tag information database 143 may store and manage the tag information input by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together with mapping information with the standardized order data of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 The tag information database 143 may provide the tag information to the analysis unit 170 to perform data analysis processing, or may provide the tag information to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to output similar tag history through the tag interface.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4)는 태깅 처리부(160) 또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에서 입력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와의 매핑 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할 수있다.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부(170)로 제공하여, 이미지 분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태깅 처리부(160)로 제공하여 유사 태그 히스토리 색인에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144 may store and manage the mapping information between the image information input from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or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and the standardized order data of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 The image information database 143 may provide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analysis unit 170 to perform image analysis processing, or may provide the image information to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to be used for similar tag history indexing.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는 메시지 처리부(150)를 통해 처리되는 대화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출력되는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는 분석부(170)에서 분석 처리되어 상품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등의 분석 데이터로서 가공될 수 있다.The message information database 145 may store and manage messages input and output through a conversation message interface processed through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 As described above, the message information database 145 may be analyzed and processed by the analysis unit 170 and processed as analysis data such as product defect rate, friendliness, response time, and the like.

한편,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146)는, 분석부(170)에서의 데이터 분석 처리결과를 수집 및 분류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17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와 그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분석, 태그 정보 기반의 다양한 트렌드 분석 및 상품 추천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80)는 그 분석 결과를 가공 처리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바,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146)는 분석 설정 정보와, 분석 결과 및 가공 처리된 분석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analysis information database 146 may collect, classify, and store data analysis processing results performed by the analysis unit 170 . The analysis unit 170 may perform image analysis, various trend analysis based on tag information and product recommendation analysis, etc., based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mapping data,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provides the analysis result Since it can be processed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the analysis information database 146 can store and manage the analysis setting information, the analysis result, and the processed analysis information by mapping each other.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in more deta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로 출력하거나, 소매 단말(300) 업체별 템플릿에 따른 배치 역변환을 통해 기 저장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업체별 서식에 따른 주문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order form information of the retail terminal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s described above, converts it into standardized order data, and processes it into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The process of outputting to 140 or extracting and outputting order form information according to a format for each company from pre-stored standardized order data through inverse batch transformation according to a template for each company in the retail terminal 300 may be performed.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표준화 처리부(120)는 주문서 정보 입력부(121),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부(123),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부(125), 검증부(127), 추출 정보 입력부(122),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부(126) 및 출력부(129)를 포함한다.To this end, more specificall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includes an order form information input unit 121 , a standardization analysis rule set setting unit 123 , a rule engine-based conversion processing unit 125 , a verification unit 127 , and an extrac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2 . , including a template setting unit 124 for each company, a template engine-based inverse transform processing unit 126 and an output unit 129 .

먼저 주문서 정보 입력부(121)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처리를 위한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는다. 주문서 정보는 소매 단말(300)로부터 업로드되거나,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를 전달받은 사입 단말(2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주문서 정보는 예를 들어 엑셀 파일과 같은 데이터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소매 단말(300)의 업체별로 서로 다른 주문서 형식이 존재할 수 있다.First, the order form information input unit 121 receives order form information for order data standardization processing. The order form information may be uploaded from the retail terminal 300 or may be input through the purchase terminal 200 that has received the order form of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order form information may have a data file format such as, for example, an Excel file, and a different order form may exist for each company of each retail terminal 300 .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주문서 형식들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처리하기 위하여,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부(123)는 표준화 분석을 위한 규칙 세트 설정을 처리할 수 있으며,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부(125)는 설정된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 처리할 수 있다.In order to convert different order form formats as standardized order data in this way, the standardized analysis rule set setting unit 123 may process the rule set setting for standardized analysis, and the rule engine-based conversion processing unit 125 is set By using the standardized analysis rule set, the input order form information may be converted and processed into standardized order data.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규칙 세트는, 하나 이상의 주문서 파일로부터 획득되는 텍스트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텍스트 규칙 정보와, 주문서 내 특정 위치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배치 변환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analysis rule 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racts text rule information for extracting standardized order data from text obtained from one or more order form files, and information necessary for standardized order data from a specific location within the order form.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batch conversion rule information for

또한, 이러한 텍스트 규칙 정보 및 배치 변환 규칙 정보는 단순히 특정 업체의 주문서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하나의 방식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나아가 복수의 규칙을 포함하는 규칙 정보의 조합 구성에 따라 업체별로 설정가능한 규칙 세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 세트 정보는 데이터 전처리 규칙, 텍스트 추출 규칙, 데이터 후처리 규칙 등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다양한 추출 및 변환 규칙들 중 조합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규칙 정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uch text rule information and batch conversion rule information may simply represent one method of extracting text from an order form of a specific company, but furthermore, a rule set that can be set for each company according to a combination configuration of rule inform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rules can be set by For example, the rule set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rule information identifiers form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various extraction and transformation rules classified into a data pre-processing rule, a text extraction rule, a data post-processing rule, and the like.

또한, 이러한 규칙 설정은 변환 처리될 표준화 데이터의 포맷 항목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such rule setting may be determined corresponding to a format item of standardized data to be converted.

이에 따라,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부(123)는, 이러한 표준화 데이터의 포맷 항목 설정과, 규칙 정보 식별자 기반의 규칙 세트 정보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된 규칙 세트 정보에 기초하여 구축된 규칙 엔진 기반의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전 설정된 규칙 정보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규칙 세트를 조합 생성할 수 있게 하며, 개별적인 업체별 데이터 표준화 변환 규칙 설정시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tandardization analysis rule set setting unit 123 performs the format item setting of the standardized data, the rule set information setting based on the rule information identifier, and the rule engine-based transformation constructed based on the set rule set information. processing can be performed. This makes it possible to create a rule set in combination using preset rule information identifiers, and it is possible to more efficiently support the operation of setting data standardization conversion rules for individual companies.

예를 들어, 업체별 변환 설정을 위해 하나의 데이터마다 변환 매핑을 설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업체 수 증가에 따라 비효율적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업체별 표준화 분석 규칙을 사전 설정된 복수의 규칙 정보 식별자의 세트 조합으로 설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업체별로 다양화된 표준화 변환 규칙 엔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an operation of setting a conversion mapping for each piece of data may be performed to set conversion for each company, but it becomes inefficient as the number of companies increases.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etting the standardization analysis rule for each company as a set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preset rule information identifier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diversified standardization transformation rule engine setting for each company within a shorter time.

또한, 표준화 처리부(120)는 이러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된 정보 입력 단말(500)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설정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바, 이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 예시를 들어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provides a user interface for such a setting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or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connec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and facilitates the user setting input,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an example of a screen in more detail.

한편, 검증부(127)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부(125)에서 변환 처리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처리를 수행한다. 검증 처리는 예를 들어, 데이터 추출 값들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여부 등을 검증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 처리가 완료된 경우, 검증부(127)는 검증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출력부(129)로 전달한다.Meanwhile, the verification unit 127 performs verification processing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converted by the rule engine-based conversion processing unit 125 . The verification proces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 of verifying whether the data extraction values are within a normal range or the like. When the verification process is completed, the verification unit 127 transmits the verified standardized order data to the output unit 129 .

출력부(129)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서 데이터 관리부(1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고, 이후 사입 단말(200), 도매 단말(400) 및 소매 단말(300) 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공유 및 갱신 처리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태깅 처리부(160)의 태깅 처리와 서비스 제공부(180)의 서비스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29 may transmit the standardized order data to the database management unit 140 through the order form data management unit 110 , and the standardized order data may be stored and managed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 and then purchased The terminal 200, the wholesale terminal 400, and the retail terminal 300 may be shared and updated and managed based on the conversation interface, and the tagging processing of the tagging processing unit 160 a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s described above. ) can be used to provide services.

한편, 추출 정보 입력부(122)는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소매 업체별 서식 형태의 주문서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정보를 입력받는다. 추출 정보는 예를 들어, 소매점 정보, 주문일자 정보, 도매점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다.Meanwhile, the extrac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2 receives extraction information for extracting an order form in the form of each retailer from the standardized order data stored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 The extracted information may be, for example, retail store information, order date information, wholesale store information, and the like.

그리고,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는 추출 정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데이터 항목과, 상기 추출된 데이터 항목을 적용하기 위한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 템플릿 정보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는 업체별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와, 데이터 항목 설정 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미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표기형식 정보 및 데이터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template setting unit 124 for each company sets the data item to be extracted from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the extraction information, and the company form form order form template information for applying the extracted data item. To this end, the template setting unit 124 for each company may receive and store and manage in advance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 the company template type order form template setting information and the data item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in advance. The order form template setting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data notation format information and data arrangement information.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부(126)는, 추출 정보 입력부(122)에서 입력된 추출 정보에 따라,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에서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와, 데이터 항목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항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추출 데이터를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따라 재구성하여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 데이터로서 역변환 처리한다.The template engine-based inverse transformation processing unit 126 obtains order form template setting information and data item setting information from the template setting unit 124 for each company according to the extrac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extraction information input unit 122, and sets the data item Extracted data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standardized order data stored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order form template setting information, and inversely transformed as company form form order form data.

이에 따라, 출력부(129)는 재구성된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를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는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출력되거나, 별도의 인쇄 장치에서 인쇄물의 형태로 출력되어, 소매, 도매, 사입 별 각 필요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utput unit 129 may output the reconfigured company form form order form to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and the output firm form form order form may be output in the form of a display or separately printed. It is output in the form of printed matter from the device, and can be us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ecessary situation for each retail, wholesale, and purchase.

예를 들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공유, 변경 및 갱신에 따른 최종적인 주문서가 확정된 경우, 사입 단말(200)에서는 도매점에서 구매하기 위한 주문장을 소매점별로 출력하여 개별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경우 기존 시스템에서는 소매점 업체별 주문서 양식을 소매자 측에 다시 요청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즉시 역변환 출력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사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inal order form according to the sharing, change and update of standardized order data is confirmed, the purchase terminal 200 needs to output an order book for purchasing at a wholesale store for each retail store and process it individually, In this case, in the existing system, an order form for each retailer must be requested again from the retailer, bu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verse conversion output processing is possible immediately from the standardized order data updated in real time, so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purchasing can be greatly shortened.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의 표준화 처리 설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5 to 9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a setting interface for setting standardization processing of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표준화 처리부(120)의 동작을 위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별도의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용이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구성에 따른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 업체별 템플릿 설정 정보 등을 표준화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5 to 9 , for the operation of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as described above,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provides various functions that enable easy setting through a display of a separat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A setting interface may be provided, and standardization analysis rule set setting according to information configuration input therefrom, template setting information for each company, etc. may be transmitted to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

먼저 도 5는 표준화 데이터 포맷의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를 도시한 것으로,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는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출력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포함될 항목들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소매점별 템플릿 항목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항목 편집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는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를 통해 표준화 포맷 항목을 위한 템플릿 설정 및 컬럼별 데이터 항목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First, FIG. 5 shows an item setting interface 501 of a standardized data format, and the item setting interface 501 may be output to a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and be included i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It may include various item editing interfaces that can add or delete items, set template items for each retail store, and the like. As shown in FIG. 5 , the service provider may perform template setting for standardized format items and data item setting for each column through the item setting interface 501 .

그리고, 상기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는 각 항목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를 위한 색상, 주문내용(소매명, 도매명, 도매주소, 주문상품명, 옵션, 단가, 수량, 주문비고 등)과, 세부 주문데이터(주문일, 담당사입, 소매지역, 소매명 지점, 빌딩명, 층, 호수, 도매주소, 대표번호, 주문번호, 단가, 옵션비고, 주문상태, 차수 등)이 각각의 편집 선택 가능한 항목 데이터로서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tem setting interface 501 includes color for ord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item, order contents (retail name, wholesale name, wholesale address, order product name, options, unit price, quantity, order remarks, etc.), and detailed order Data (order date, company in charge, retail area, retail name branch, building name, floor, number, wholesale address, representative number, order number, unit price, option remarks, order status, order, etc.) is displayed as data of each editable and selectable item can do.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템플릿, 컬럼, 색상, 내용 등으로 구분되는 주문 데이터 분류 항목들을 설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set the order data classification items divided into templates, columns, colors, contents, and the like.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템플릿 표기 설정 인터페이스(503)를 도시한 것으로, 표기 설정 인터페이스(503)는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출력될 수 있으며, 각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표기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표기 방식 설정은 예를 들어, 수치 등의 업체별 상이한 표기 방식을 업체별로 설정하게 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양식은 지하층, 지상층의 표기 방식이 B2, 지하-2, 지하2층 또는 1F, 1, 1층 등 과 같이 각각 상이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는, 표기 설정 인터페이스(503)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템플릿 표기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역변환 처리시 이를 이용할 수 있다.Meanwhile, FIG. 6 shows a template notation setting interface 50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otation setting interface 503 may be output to the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each It includes a notation method setting interface that can be determ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a template for each company. The notation method setting is, for example, to set a different notation method for each company, such as numerical values, for each company. -2, the second basement floor, or 1F, 1, 1st floor, etc., which may be different, respectivel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rks a template corresponding thereto through the mark setting interface 503 The setting information may be received, stored and managed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and may be used during inverse transformation processing.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는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7 to 9 show a rule set setting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s shown in FIG. 7 , the rule set setting interface is a service provider through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may be output to the same user.

사용자는 주문서 선택 인터페이스(505)를 통해 주문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표준화 처리부(120)는 입력된 주문서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507)를 출력할 수 있고,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합 설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a)가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될 수 있다.The user may input order form information through the order form selection interface 505, and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may output an order form data sheet 507 corresponding to the input order form information, and select the order form data sheet corresponding to the order form data sheet. A rule set setting interface 508a including one or more rule information that can be combined and set may be output on the display of the information input terminal 500 .

보다 구체적으로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a)에서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전처리, 추출 처리 및 후처리로 구분되는 각 프로세스별 규칙 정보를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rule set setting interface 508a may include an editing interface capable of setting one or more rule information for each process divided into pre-processing, extraction processing, and post-processing in order to convert the order form data sheet into standardized data. hav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규칙 정보는 트리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처리된 시트에 대응하여 추출할 표준화 데이터 항목들(도매명, 도매주소, 상품명, 소매상품명, 옵션 등)별 세부 규칙들이 각각 할당되는 규칙 데이터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규칙 데이터 트리 구성에 따라 조합 형성된 규칙 세트 정보를 설정할 수 이 있다. As shown in FIG. 7 , each rule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in a tree structure, and detailed rules for each standardized data item (wholesale name, wholesale address, product name, retail product name, option, etc.) to be extracted corresponding to the preprocessed sheet are provided. You can configure a rule data tree that is assigned to each. The user can set rule set information that is formed in combination according to such a rule data tree configuration.

각 항목별 설정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a)에서 특정 표준화 데이터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표준화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여 적용 가능한 규칙(rule) 목록 인터페이스(509)가 더 출력될 수 있다.For each item setting, as shown in FIG. 8 , when a specific standardized data item is selected in the rule set setting interface 508a, an applicable rule list interface 509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tandardized data item is displayed More can be printe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 목록 인터페이스(509)를 통해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규칙 정보가 설정 가능하며, 상기 규칙 정보 또한 별도의 설정을 통해 미리 정의되어 표준화 처리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As shown in FIG. 8, various rul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rder form data sheet can be set through the rule list interface 509, and the rule information is also predefined through a separate setting and stored in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can

예를 들어, 규칙 목록 인터페이스(509)를 통해, 전처리 규칙(preProcessingRule)으로서 행 타이핑 규칙(RowTypingRule), 헤더 체크 규칙(CheckHeaderRule), 헤더상 사이즈 분석 규칙(SizesOnHeaderRule)이 선택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전 추출 규칙(preExtractingRules)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억 규칙(MemorizeRule, MemorizeRuleV2), 하나 이상의 카피 규칙(CopyColumnRule, CopyRowRule) 등이 설정될 수 있고, 추출 규칙(extractingRules)으로서, 열 설정 규칙(SetColumnRule), 시트네임 획득 규칙(GetSheetNameRule), 분리 규칙(SeparateRule), 잘라내기 규칙(CutRule), 텍스트 삭제 규칙(RemoveTextRule), 고유값 설정 규칙(SetConstantRule), 연결 규칙(ConcatRule), 문자열 추출 규칙(SubStringRule), 기억 획득 규칙(GetMemoryRule), 기억 삭제 규칙(RemoveMemoryRule), 복사 규칙(CopyRule), 문자열 변환 규칙(JoinRule) 및 반올림 규칙(RoundRule) 등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후처리 규칙으로서 테스트 논리 조건에 따른 OR규칙(OrRule), 필요 도메인 규칙(RequiredDomainRule), 행 제외 규칙(ExcludeRowRule)과 같은 규칙들이 설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rough the rule list interface 509, a row typing rule (RowTypingRule), a header check rule (CheckHeaderRule), and a size analysis rule on the header (SizesOnHeaderRule) as a preProcessingRule may be set to be selectable, One or more memory rules (MemorizeRule, MemorizeRuleV2), one or more copy rules (CopyColumnRule, CopyRowRule), etc. may be set as preExtractingRules, and as extraction rules (extractingRules), column setting rules (SetColumnRule), sheet name acquisition Rule (GetSheetNameRule), Separation Rule (SeparateRule), Cut Rule (CutRule), Delete Text Rule (RemoveTextRule), Set Distinct Value (SetConstantRule), Concatenate Rule (ConcatRule), Extract String Rule (SubStringRule), Acquire Memory Rule ( GetMemoryRule), memory deletion rule (RemoveMemoryRule), copy rule (CopyRule), string conversion rule (JoinRule), rounding rule (RoundRule), and the like may be set. Meanwhile, as post-processing rules, rules such as an OR rule (OrRule), a required domain rule (RequiredDomainRule), and a row exclusion rule (ExcludeRowRule) according to test logic conditions may be set.

예를 들어, 각각의 열 설정 규칙들은 엑셀 규격의 시트 데이터를 기준으로 몇 번째 열(column)을 분석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의 규칙들은 사전 결정된 조건에 따라, 값이 비어 있는 경우 상단에 있는 상품명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쉼표 앞에 있는 값을 도매업체 전화번호로 획득하게 하거나, 소수점 값에 대한 반올림, 올림 또는 내림 등의 처리를 사전에 설정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규칙들은 조합에 따라 각각의 규칙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column setting rule may indicate which column to analyze based on Excel standard sheet data, and each rule is based on a predetermined condition. As it is possible to use the existing product name as it is, to obtain the value in front of the comma as the wholesaler's phone number, or to set processing such as rounding, rounding or rounding off of the decimal point in adv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rules may constitute each rule set according to a combination.

예를 들어, 표준화 처리부(120)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해, A(0)열에 있는 데이터를 읽는 제1 열 규칙 설정과, B(1)열에 있는 데이터를 제2 열 규칙 설정과, C(2)열에 있는 데이터를 읽는 제3 열 규칙 설정과, 상기 A(0), B(1), C(2) 열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연결 규칙 설정을 조합 적용하여, 표준화된 제1 데이터 항목으로 변환할 수 있다.For example, for the order form data sheet,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sets a first column rule for reading data in column A(0), sets a second column rule for data in column B(1), and sets C(2) )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the third column rule setting that reads the data in column and the linking rule setting that connects the data in the A(0), B(1), and C(2) columns to convert it into a standardized first data item. can

또한, 예를 들어 표준화 처리부(120)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해, 쉼표 앞에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규칙 설정과, 이를 기억 데이터로 획득하는 기억 획득 규칙 설정과, 빈 값이 있는 경우 기억 데이터를 복사 입력하는 복사 규칙 설정을 조합 적용하여, 표준화된 제2 데이터 항목으로 변환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for the order form data sheet,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sets a rule for extracting data in front of a comma, sets a memory acquisition rule for acquiring it as memory data, and copies and inputs the memory data when there is an empty value It is possible to convert to a standardized second data item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copy rule settings.

도 9에서는 이와 같은 규칙 세트들이 조합에 따라 복수 개 적용된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b)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b)의 연결 규칙(ConcatRule)은 하위 트리에 포함된 제1 열 설정 규칙(SetColumnRule), 제2 열 설정 규칙, 제3 열 설정 규칙, 제4 열 설정 규칙을 조합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열 설정 규칙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설정 규칙들로서, 그 조합에 따라 각 업체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처리 가능하며, 역변환에 따라 템플릿으로 구성 가능한 형태의 규칙 세트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9 illustrates a rule set setting interface 508b in which a plurality of such rule sets are applied according to a combination. The concatenation rule (ConcatRule) of the rule set setting interface 508b of FIG. 9 combines the first column setting rule (SetColumnRule), the second column setting rule, the third column setting rule, and the fourth column setting rule included in the subtree. It may consist of connecting. As described above, each column setting rules are different setting rules, an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they can be classified and processed differently for each company, and a rule set in a form configurable as a template can be set according to the inverse transform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는,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편리한 규칙 세트 설정에 따라 표준화된 데이터 변환을 위한 규칙 엔진을 각각의 업체별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In this wa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ule set setting interface, and easily applies a rule engine for standardized data conversion according to a convenient rule set setting corresponding thereto for each company. make it possible

이러한 처리를 위해, 표준화 처리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서 업체별 규칙 세트 정보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규칙 세트(룰셋) 저장 버튼 또한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에 구비시킬 수 있다. 이는 다른 업체의 주문서에 대하여 미리 설정 저장된 규칙들을 이용하여 현재 주문서에 대해 조합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규칙 세트들은 모듈화될 수 있으며, 업체별 표준화 데이터 변환 규칙 엔진이 모듈화에 따라 신속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rocessing,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not only provides a function to upload or download rule set information for each order book company as shown in FIG. 9 , but also provides a separate rule set (rule set) save button in the rule set setting interface can do it This makes it possible to apply a combination to the current order by using the rules set and stored in advance with respect to the order form of another company. Accordingly, the rule sets can be modularized, and the standardized data conversion rule engine for each company can be quickly and easi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modularization.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Meanwhile, FIG. 10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more detail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that provides an order manageme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서비스 제공부(180)가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들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by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the purchase terminal 200, the retail It is possible to create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terminal 300 or the wholesale terminals 400 .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호 피드백 정보를 이용한 공유 정보를 입출력 처리하여,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의 주문 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제공부(180)의 주문 서비스에 따른 상태 정보 알림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In addition,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inputs and outputs shared information using mutual feedback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of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0 and the service provider 180 state according to the order service. It enables processing of information notification and the like.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전송 정보 획득부(131),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 및 피드백 기반 공유 정보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의 일부 요소들로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이 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처리 및 제공을 위한 제어부, 출력부, 그래픽 처리부 등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구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includes a transmiss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1 ,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 and a feedback-based share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5 . However, the above components are some elements of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for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controls other components such as a control unit, an output unit,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for processing and providing various interfaces in addition to this.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urther driving microprocessor.

전송 정보 획득부(131)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간 공유될 전송 정보를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획득한다.The transmiss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131 acquires transmission information to be shared between the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from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when the registration of standardized order data is completed. do.

그리고,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는 서비스 제공부(180)의 주문 서비스부(181)로 제공될 수 있으며, 주문 서비스부(181)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에 사전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generates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based on the transmission information. Acces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generat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may be provided to the order service unit 181 of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 and the order service unit 181 is a pre-registered purchaser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190 . By providing the access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 it may be processed to access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여기서,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이거나, 각 단말들(200, 300, 400)에 설치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대화 채널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처리되는 경우, 메시지 처리부(150)에서는 메시지 포맷에 대응하는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정보의 변환 및 송수신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Here,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may be a web interface or may be configured as a chat channel input/output interface based on a message application installed in each of the terminals 200 , 300 , 400 . In the case of processing based on the message application,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may perform conversion and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ing of order management interf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message format.

그리고, 피드백 기반 공유 정보 처리부(135)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150) 또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를 통해 생성된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180)의 주문 서비스부(181)로 전달하고, 주문 서비스부(181)는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여 주문 데이터의 변경 정보 또는 상태 갱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 정보 또는 상태 갱신 정보를 주문 데이터 처리부(111)로 전달한다. 주문 데이터 처리부(111)는 변경 또는 상태 갱신에 따라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업데이트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back-based share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5 connects to the interface generated through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or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and provides feedback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the service provider 180 for ordering service. transmits to the unit 181 , the order service unit 181 analyzes the feedback information to obtain change information or status update information of order data, and transmits the change information or status update information to the order data processing unit 111 . The order data processing unit 111 may update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according to a change or status update.

또한, 피드백 기반 공유 정보 처리부(135)는 피드백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업데이트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피드백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간 공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edback-based shared information processing unit 135 obtains the update processing result of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and transmits it to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 Accordingly,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shares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edback between each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can be handled as much as possible.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11 to 1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its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도 11은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의 전체적인 화면 예시도로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및 사입 단말(200)이 접속하여 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한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와, 도/소매별 주문 목록 검색이 가능한 주문 목록 인터페이스(201)와, 선택된 주문 목록에 대응하는 주문 내역 및 확인 피드백처리가 가능한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11 to 14 , first, FIG. 11 is an exemplary overall screen view of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ng unit 133 includes a wholesale terminal 400 and a retail terminal 300 . and a message interface 203 that allows the purchase terminal 200 to access and send and receive messages, an order list interface 201 capable of searching for an order list by wholesale/retail, and order details and confirmation feedback processing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order list. possibl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이와 같은 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주문 목록 인터페이스(201),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 및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페이스들(201, 203, 207)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 처리할 수 있다.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may extract necessary items from standardized order data in order to generate such interfaces, and based on the extracted items, the order list interface 201 as described above. , creating an order history interface 207 and a message interface 203, and creating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optionally including the generated interfaces 201, 203, 207 to create a wholesale terminal 400, a retail terminal ( 300) or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the output may be processed.

특히, 각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매 및 소매 정보가 모두 표시될 수 있는 사입 단말(200)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each of the wholesale terminal 400 , the retail terminal 3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may share a similar interface, bu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the wholesale and retail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purchase terminal 200 .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the screen interface of

먼저 주문 목록 인터페이스(201)는 주문이 들어온 소매업체 또는 물건을 구입할 도매업체 및 담당 사입자에 대응하는 주문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First, the order list interface 201 may display an order list corresponding to a retailer that has received an order, a wholesaler to purchase the product, and a purchaser in charge.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목록은, 도매 A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1 주문 목록과, 도매 X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2 주문 목록과, 도매 Y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3 주문 목록과, 도매 Z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4 주문 목록과, 도매 C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AA의 제5 주문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입 단말(200)에서 선택된 제1 주문 목록 에 대응하는 주문 내역 정보가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상에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도매 A 및 소매 BBB와 대화 가능한 메시지 인터페이스(203)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 the order list includes a first order list of retail BBB requested to be purchased from wholesale A, a second order list of retail BBB requested to be purchased from wholesale X, and a purchase from wholesale Y. It may include a third order list of retail BBB who requested the ), order histor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first order list may be output on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and a message interface 203 capable of interacting with the wholesale A and retail BBB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output.

이러한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는,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로 제공될 수 있다.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상에서는 먼저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 서비스부(181)의 알림 정보가 공유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간 상호 메시지 피드백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Such a message interface 203 may be provided to each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 First, no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rder service unit 181 corresponding to the order information may be shared on the message interface 203 , and the corresponding purchase terminal 200 , the retail terminal 300 ,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are mutually It is possible to send and receive message feedback.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상의 모든 메시지가 서로 공유되도록 처리하거나, 각 단말(200, 300, 400)별 설정에 따라 개별 선택된 사용자들만 공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설정할 수 있는 대화자 설정 메뉴(205)가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대화자 설정 메뉴(205)를 통해 사입 단말(200)과 소매 단말(300)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등의 개인 간 대화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ng unit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cesses all messages on the message interface 203 to be shared with each other, or individual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ettings for each terminal 200 , 300 , 400 . You can process it to be shared only by users. A dialog setting menu 205 for setting this may be provided on the message interface 203 , and through the dialog setting menu 205 , only the buying terminal 200 and the retail terminal 300 transmit and receive messages. Interactions may also be possible.

한편,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전술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주문 상품의 리스트 및 내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은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에 대응하는 주문 확인 처리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바,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에서는 주문된 상품의 공급 가능 여부를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입력 처리할 수 있다.Meanwhile,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is generated based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described above, and a list of order products and detail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can be set to enable the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put corresponding to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in the order Whether the product can be supplied may be input and processed through the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terface 211 .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는, 도매 단말(400) 또는 지정된 사입 단말(200)만이 입력할 수 있도록 사전 권한이 설정될 수 있으며,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주문 가능, 품절 또는 미송(입고 예정)과 같은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입력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The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terface 211 may be pre-authorized so that only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the designated purchase terminal 200 can be input, and the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terface 211 can be ordered through the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terface 211, out of stock or undelivered ( It may be possible to process confirmation feedback input of order status information such as to be stocked).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이와 같은 확인 피드백 입력 처리에 따라, 주문 서비스부(181)로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 서비스부(181)는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정보를 주문 데이터 관리부(111)로 전달하여,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provides the confirmation feedback information of the order status information to the order service unit 181 according to the confirmation feedback input processing as described above, and the order service unit 181 receives the order status information of the order status information. The confirmation feedback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1 to request an update of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

그리고,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업데이트 처리에 따른 주문 내역 처리 결과를 사전 결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른 알림 메시지로 구성하여, 상기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ng unit 133 may configure the order history processing result according to the update processing as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ssage format, and output the result through the message interface 203 .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매 A 또는 사입 단말(200)의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 입력에 따라, 사입 단말(200) 또는 BBB 소매 단말(400)로 제품의 주문 가능, 품절 또는 미송 처리 정보가 생성되어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terface 211 of the wholesale A or purchase terminal 200 , the product can be ordered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or the BBB retail terminal 400 , sold out, or undelivered processing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output through the message interface 203 .

예를 들어, 도매 단말(400)에서 처음으로 당일 주문 데이터를 확인하는 경우, 그 당일 주문 데이터의 상태 정보는 미확인 주문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매 단말(400)에서 주문 확인을 입력한 경우, 확인주문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확인된 주문에 대응하는 비고 전달 메시지가 도매 단말(400)에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wholesale terminal 400 checks the order data for the first tim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order data on that day may be designated as an unconfirmed order. And, when the order confirmation is input in the wholesale terminal 400 , it may be processed as a confirmation order, and a remark delivery message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order may be displayed on the wholesale terminal 400 .

또한,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주문이 전송된 시간 정보와 주문 관련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일부 공급이 가능한 경우를 위해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공급이 가능한 경우 입력된 항목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른 알림 메시지로 구성되어, 상기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may include information about the time the order was transmitted and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rder. For example,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quantity for a case where a partial supply is available, and when a partial supply is available, the entered item information is a notificatio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ssage format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mposed of a message and output through the message interface 203 .

나아가, 도매 단말(400)에서는 미송 처리 시 상품이 재입고 되는 날짜 및 사입/소매업체에 전달할 내용 등을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는 바, 당일 들어온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상품 목록에 대해서 각각의 가능/품절/미송 처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in the wholesale terminal 400, the date when the product is re-stocked and the content to be delivered to the buying/retailer when processing undelivered can be input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so that the user can talk in real time. Each possible / out of stock / undelivered processing for the ordered product list can be made in real tim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주문을 받은 도매 단말(400)과, 주문서를 입력한 소매 단말(300)과, 이를 중개하는 사입 단말(200)에서 각각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피드백 처리할 수 있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on unit 13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wholesale terminal 400 receiving the order, the retail terminal 300 inputting the order form, and the buying terminal 200 intermediarying the same. ) may provide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that can acquire necessary information and process feedback, and this process can be processed quickly and easily by using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의 입력에 따라 갱신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주문서를 화면을 간편히 출력할 수 있는 인쇄용 보기 메뉴(209)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may reflect the standardized order data updated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the purchase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order history interface 207 may include a print view menu 209 for easily outputting an order form on the scree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용 보기 메뉴(209) 입력시 출력되는 주문서 인쇄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서 인쇄 정보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준화 처리부(120)에서 역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는 바, 주문서 양식은 각 소매 또는 도매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거나, 사전 결정된 기본 주문서 양식에 대응할 수 있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order form print information output when the print view menu 209 is inp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2 , the order form pri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versely converted and output by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based on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order form is stored in a template for each retailer or wholesaler. It may correspond to a different determined or pre-determined basic order form.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매 단말(400)의 세부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도매 단말(400)에서는 주문된 상품의 공급 가능 여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일부 공급이 가능한 경우를 위해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미송 처리 입력시에는 상품이 재입고 되는 날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입 단말(200) 또는 소매 단말(300)로 전달할 내용 비고 메시지를 작성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내용은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 처리되어 상기 대화 인터페이스(203)상에 출력될 수 있다.13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input interface of the wholesale terminal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 the wholesale terminal 400 may input whether the ordered product can be supplied, and some supply For this possible case, you can enter quantity information, and when entering undelivered processing, you can input the date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being restocked, and write a remark message to be delivered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or the retail terminal 300. can Accordingly, the inputted content may be converted into a message format and output on the conversation interface 203 .

도 14는 휴대 단말에서 출력되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사입 단말(200), 도매 단말(400) 또는 소매 단말(300)은 휴대 단말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경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소화 처리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상단의 주문 목록, 주문내역 보기, 대화하기 및 주문장 메뉴 입력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간 전환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도 11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14 shows an interface of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ng unit 133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the purchase terminal 200, the wholesale terminal 400, or the retail terminal 3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and a portable terminal. In the case of the terminal,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may be simplified as shown in FIG. 14 . Each user can perform switching input between the interfaces shown in FIG. 11 through the upper order list, order history view, conversation, and order book menu input, and the service provid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case of FIG. 11 . can be dealt with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부(150)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특정 중요 메시지의 경우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정보는 이후 분석부(170)의 메시지 분석에 이용될 수 있는 바, 분석부(170)는 메시지 분석 결과에 따른 도매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고, 도매 분석 데이터는 메시지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도매업체의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등의 분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cess a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may store and manage a specific important message in the message information database 145 .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ssage information database 145 may then be used for message analysis by the analysis unit 170, and the analysis unit 170 may generate and output wholesale analysis data according to the message analysis result, and wholesale analysis The data may include analysis information such as a defective rate, kindness, and response time of a wholesaler derived from a message analysis resul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 서비스부(181)를 통해 주문 관리 서비스 뿐만 아니라 업체 분석, 주문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ly,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various analysis services such as company analysis and order data analysis as well as order management service through the order service unit 181 .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서비스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15 is a ladder diagram for explaining the overall service system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소매 단말(300)은 먼저 주문서를 업체별 양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업로드한다(S101).Referring to FIG. 15 , the retail terminal 300 first separately prepares an order form according to a form for each company and uploads it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S101 ).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 처리부(120)를 통해 주문 데이터의 표준화 처리를 수행하며(S103), 주문 데이터 관리부(111)를 통해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등록한다(S105).Then,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standardization processing of order data through the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20 (S103), and registers it in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through the order data management unit 111 (S105).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를 통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기반의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각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및 도매 단말(4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S107).Thereafte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generates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based on standardized order data through the interface processing unit 130 , and each retail terminal 300 , the purchase terminal 200 and the wholesale terminal 400 . to provide a notification service (S107).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부(180)를 통해,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또는 도매 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주문 피드백 메시지 정보 기반의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S109). 여기서, 사입 단말(200)에서는 갱신된 주문 정보 기반의 소매 업체별 주문장 역변환 출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S110).Thereafter,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performs an order information database update process based on the order feedback messag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retail terminal 300 , the purchasing terminal 200 or the wholesale terminal 400 through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 perform (S109). Here, the purchase terminal 200 may use the inverse transformation output function of the order book for each retailer based on the updated order information (S110).

사입 단말(200)은 갱신된 주문 데이터 기반으로 주문장을 사입 단말(200) 그룹 내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된 주문장 기반의 주문 내역 처리를 수행한다(S111).The purchase terminal 200 may share the order book within the group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based on the updated order data, and performs order history processing based on the shared order book (S111).

그리고, 사입 단말(200)의 주문 내역 처리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된다(S113).Then, the order detail processing information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is transmitted to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S113).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 내역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갱신하며(S115), 갱신된 정보를 반영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의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S117).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updates the order information database 142 based on the order detail processing information (S115), and performs the update process of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reflecting the updated information (S117).

이에 따라,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및 사입 단말(200)은 각 주문 현황 및 처리 결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대화형 인터페이스와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호 정보을 공유하기 때문에 매우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the wholesale terminal 400, the retail terminal 300, and the purchase terminal 200 can check each order status and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shar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interactive interface and standardized order dat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cess very quickly and accurately.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입 단말(200)의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7 내지 도 21은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에 따라 사입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16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rder book sharing process of the buy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7 to 21 are order book management output from the buying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order book sharing process It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an interfa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입 단말(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주문 서비스 이용에 따라, 사입을 위한 주문장 관리 및 사입 단말 그룹 내 업무 분배 처리와, 상호 공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use of the order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 the purchase terminal 200 performs order book management for purchase, business distribution processing within the purchase terminal group, and mutual sharing processing. can do.

이를 위해,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사입 단말(200)은 주문 서비스부(181)에서 제공되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일 사입을 수행할 제1 도매업체에 대한 소매업체별 주문 내역을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S201).For this purpose, first, referring to FIG. 16 , the purchase terminal 200 stores the order details for each retailer for the first wholesaler to be purchased on the same day based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provided from the order service unit 181 in the order book. It is output through the management interface (S201).

그리고, 사입 단말(200)에서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된 소매업체별 주문 내역에 대응하는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S203).Then, the purchasing terminal 200 performs a filtering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output order details for each retailer according to an input to the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S203).

이후, 사입 단말(200)은 주문장 공유 입력에 따라, 상기 필터링 처리된 주문 내역 정보를 제1 사입 단말 그룹 내 공유 알림 처리한다(S205).Thereafter, according to the order book sharing input, the purchase terminal 200 processes the filtered order history information to share notification within the first purchase terminal group (S205).

그리고, 사입 단말(200)은 담당 사입자 단말에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장에 대한 공유 알림 정보를 갱신 처리한다(S207).Then, the purchase terminal 200 updates the sharing notification information for the order book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the purchaser terminal in charge (S20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특정일자에 대응하는 특정 도매 업체에 대한 소매업체별 주문 내역 확인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 출력을 위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입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17 is a view showing an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outputting order history confirmation for each retailer for a specific wholesal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pecific date. can To this end, the service providing unit 180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may extract standardized order data for outputting the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and provide it to the purchase terminal 200 .

그리고, 사입 단말(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기초한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는, 필터링 인터페이스(211)와,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13)와, 상세 주문 보기 인터페이스(217) 및 주문장 공유 버튼(215)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rchase terminal 200 may output an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based on the standardized order data received from the service providing device 100 , and the order book management interface includes a filtering interface 211 and an order history interface ( 213 ), a detailed order view interface 217 , and an order book share button 215 .

필터링 인터페이스(211)는 주문 타입(주문, 배송, 반품 등) 또는 사입을 수행할 빌딩 등과 같은 주문 데이터의 속성별 필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주문 타입과 빌딩만 필터링이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필터링 인터페이스(211)는 기타 주소, 도매명, 주문량 등과 같은 다양한 주문 데이터의 속성에 따른 필터링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ltering interface 211 may provide a selection function that enables filtering by attribute of order data, such as an order type (order, delivery, return, etc.) or a building to be purchased. 17 shows that only order types and buildings can be filtered, the filtering interface 211 may provide a filtering processing function according to attributes of various order data, such as other addresses, wholesale names, order quantities, and the like.

또한, 주문 내역에는 필터링에 따라 정렬된 주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17에서는 상단에 선택된 필터에 따라, 빌딩, 층, 호수 정렬에 따른 도매명, 주소, 전화번호가 정렬되어 출력될 수 있다.In addition, order data sorted according to filtering may be displayed in the order history, and in FIG. 17, according to the filter selected at the top, wholesale names, addresses, and phone numbers according to the sorting of buildings, floors, and lakes may be sorted and output. .

도 18은 상세 주문 보기 인터페이스(217) 입력에 따른 상세 주문 내역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주문 내역 출력 기능은 선택된 도매업체에 대응하는 소매별 주문 내역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18 shows that detailed order details are output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detailed order view interface 217. The detailed order history outpu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unction to check the order details for each retail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holesaler. can provide

각 사입 단말(200)의 사용자는 주문 상세 내역에 따른 사입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사입 단말 그룹 내 공유할 수 있다. 즉, 사입 단말(200)은 하나의 사입 업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은 사입 업체에 대응하는 하나의 사입 단말 그룹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문장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문장 공유 버튼(215) 입력에 따라, 주문장 정보는 담당 사입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The user of each purchase terminal 200 may perform purchase according to the order details and share the result in the purchase terminal group. That is, the buying terminal 2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erminals constituting one buying company,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may constitute one buying terminal group corresponding to the buying company, and in the order book interfac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order book share button 215 for the order book, the order book information may be shared with the purchasers in charge.

도 19는 주문장 공유 버튼 입력시 출력되는 공유 리스트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입 그룹 내 다른 사입 단말(200)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선택 입력하여, 공유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입 그룹 설정 및 공유 정보 처리는 사입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체적으로 처리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주문 서비스부(18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사입 단말(200) 사용자는 주문장을 공유할 그룹 내 사입 담당자를 추가하고, 추가된 사입 담당자를 공유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19 is a shared list output when an order book share button is input, and a user may request to share by selecting and inputt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other purchasing terminal 200 user in his/her purchasing group. The purchase group setting and sharing information processing may be processed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urchase terminal 200 , or may be processed by the order service unit 181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 A user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may add a purchase officer in a group to share the order book, and select the added purchase officer as a sharing target.

도 20은 공유 정보를 전달받은 사입 그룹 내 다른 사입자의 사입 단말(200) 출력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메시지 처리부(150)에 의해 알림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 처리되어 사입 단말(200)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20 exemplifies an output screen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of another purchaser in the purchase group that has received the shared information, and the shared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to the message processing unit 150 of th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100. It is preferable to be converted into a notification message format by the user and transmitted through the message application of the purchase terminal 200 .

이와 같은 알림 메시지는 상기 주문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주문내역보기'와 같은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당 사입자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사입 단말(200)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유 주문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Such a notification message may include link information such as 'view order history' for outputting the order book interface, and the purchaser in charge selects the link information, as shown in FIG. 21 in the purchase terminal 200 You can output the same shared order book interface.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된 공유 주문장 인터페이스는 담당자의 사입 결과 정보를 반영하여 사입 그룹 내 공유될 수 있는 바, 이를 표시하기 위한 주문 처리 여부 체크박스(213)가 상기 공유 주문장 인터페이스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이 들어간 도매업체에 대한 소매 주문내역 확인과 함께, 주문 처리여부에 대한 정보가 사입 그룹 내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사입 담당자들 간 도매업체의 중복 방문을 피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사입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문장 공유 인터페이스의 필터링 기능에 따라, 건물별, 소매별, 도매별, 층별 담당자 분배 설정도 가능하게 되므로 업무 분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21 , the shared order book interface can be shared within the buying group by reflecting the purchasing result information of the person in charge, and an order processing check box 213 for displaying this is displayed in the shared order book. It can be included on the interface. Accordingly,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the order has been processed may be shared within the purchasing group along with checking the retail order details for the wholesaler where the order has been plac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void overlapping visits by wholesalers among multiple purchasing managers, and more efficient purchasing business processing is possibl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ltering function of the order book sharing interface, it is possible to set the distribution of the person in charge by building, by retail, by wholesale, and by floor, so that division of duties can be facilitated.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a computer system connected through a network, so that the computer-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주문 데이터 관리부
120 : 표준화 처리부 130 : 인터페이스 처리부
14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50 : 메시지 처리부
160 : 태깅 처리부 170 : 분석부
180 : 서비스 제공부 190 : 사용자 정보 관리부
200 : 사입 단말 300 : 소매 단말
400 : 도매 단말 500 : 정보 입력 단말
100: service providing device 110: order data management unit
120: standardization processing unit 130: interface processing unit
140: database management unit 150: message processing unit
160: tagging processing unit 170: analysis unit
180: service providing unit 190: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200: buy terminal 300: retail terminal
400: wholesale terminal 500: information input terminal

Claims (5)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단계;
상기 주문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 세트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 단계;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의 역변환에 따라 구성된 업체별 템플릿을 설정하는 업체별 템플릿 설정하고, 상기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역변환을 처리하여, 업체 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출력하는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 단계;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와, 업체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기반의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상기 사입 단말, 상기 소매 단말 또는 도매 단말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n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standardization of order data between retail terminals, wholesale terminals and purchase terminals is recorded,
receiving and managing order form information of the retail terminal;
a rule engine-based conversion processing step of converting the order book information into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preset rule set setting information;
A template engine-based inverse transformation processing step of setting a template for each company that sets a template for each compan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nverse transformation of the rule set sett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 inverse transformation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ccording to the template for each company, and outputting an order form in the form of a company ;
providing an order management service between the retail terminal, the wholesale terminal, and the purchase terminal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d the order form in the form of a company; and
In order to provide a wholesale order data management service using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n interface processing step of providing a standardized order data-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to the purchase terminal, the retail terminal, or the wholesale terminal;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a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method is recor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처리 단계는,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제공부에서 상기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여 주문 데이터의 변경 정보 또는 상태 갱신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가 피드백 정보에 따른 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재공유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face processing step is
transferring feedback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by accessing the interface generated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generating unit to the service providing unit;
performing change information or status update processing of order data by analyzing the feedback information in the service providing unit; and
A computer-readable program for executing an 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an interface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processing resul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eedback information to be re-shared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recording mediu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는,
주문 내역에 대응하는 상기 도매 단말의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입력 처리가 가능한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an 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method including an order confirmation processing interface capable of processing confirmation feedback input processing of order status information of the wholesa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order details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는,
대화 메시지 송수신을 처리하며,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상태 정보 갱신을 사전 결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른 알림 메시지로 구성하여 출력하는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 program for executing an 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method including a message interface that processes the communication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and outputs the status information update of the standardized order data as a notification messag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ssage format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there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메시지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도매업체의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ccording to claim 1,
analyzing the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interface; and
In a computer recorded wit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order data standardization-based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method further comprising outputting at least one analysis information of the wholesaler's defect rate, kindness, and response time derived from the message analysis result 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20200019429A 2020-02-18 2020-02-18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9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29A KR20210104991A (en) 2020-02-18 2020-02-18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29A KR20210104991A (en) 2020-02-18 2020-02-18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991A true KR20210104991A (en) 2021-08-26

Family

ID=77465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429A KR20210104991A (en) 2020-02-18 2020-02-18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499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81935A (en) Method for order management,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nd ordering system
US20160260178A1 (en) Commodity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for managing commodity
KR20210104991A (en) A Recording medium recording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program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93A (en) A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for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89A (en) Method for Interactive Order Management Service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88A (en) A Recording medium for order standardization service program
KR20210104992A (en) A method for order management service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95A (e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order management service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94A (en)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order management service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90A (en) A Program for Information Processing for Order Standardization Service
KR20210104983A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mediating management services for wholesale and retail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and a method for operating it
KR20210104985A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wholesale and retail inter-order brokerage management services
KR20210104987A (en) A method for providing intermediating management services for wholesale and retail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86A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mediating management services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4984A (en) An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mediating management services for wholesale and retail based on order data standardization
KR20210105010A (en) A recording medium for computer-readable recording of program providing on-demand trend analysis service
KR20220135661A (en) Program for provides trend analysis service
KR20210105009A (en) A program for providing Trend Analysis Service Order
KR20210105001A (en) Record medium on which program is recorded for supporting tagging of feature information in order data
KR20210104997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eature information tagging
KR20210104999A (en) A operating method for supporting feature information tagging
KR20210105000A (en) A program for executing a method on a computer that supports tagging featu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standardized order data
KR20210104996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eature information tagging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10105007A (en) Record medium for recording the trend analysis service program of order data
KR20210104998A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eature information tag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