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988A -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988A
KR20210104988A KR1020200019426A KR20200019426A KR20210104988A KR 20210104988 A KR20210104988 A KR 20210104988A KR 1020200019426 A KR1020200019426 A KR 1020200019426A KR 20200019426 A KR20200019426 A KR 20200019426A KR 20210104988 A KR20210104988 A KR 20210104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der
information
terminal
data
r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창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패션
Priority to KR102020001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4988A/ko
Publication of KR2021010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9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51Trans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 기록매체로서,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기능; 상기 주문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 세트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의 역변환에 따라 구성된 업체별 템플릿을 설정하는 업체별 템플릿 설정하는 기능; 상기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역변환을 처리하여, 업체 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출력하는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 하는 기능; 및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와, 업체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이다.

Description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A Recording medium for order standardization service program}
본 발명은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주문 데이터 표준화하여 도소매 사입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처리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와 같은 패션 상품을 공급하는 도매 업체와 도매 업체로부터 공급받은 상품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소매 업체 사이에서의 거래는, 소매 업체가 상품에 대하여 소비자로부터 주문을 받고 주문을 집계하여 도매 업체로 주문을 하면, 도매 업체가 집계된 수량에 맞게 소매 업체로 출고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때, 통상 소매 업체는 주문과 동시에 상품의 대금을 선결제하고, 도매 업체는 결제 이후에 상품의 재고를 확인하여 출고하거나 또는 부족한 수량의 상품 제작을 진행하는 방식을 취한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하는 소매 업체는 대부분 낮 시간에 영업을 하는 반면, 상품을 대량으로 제조하고 유통하는 도매 업체는 주로 늦은 밤 또는 새벽에 영업을 하기 때문에, 종래의 도소매 거래 방식에 따르면, 소매 업체가 도매 업체에게 재입고 일정에 대하여 문의하거나 또는 필요한 상품의 수량, 사이즈, 색상 등을 변경하는 요청을 하는 경우에는 상당한 불편함을 겪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대부분의 소매 업체는 큰 부담을 안고 사업을 운영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도소매 업체 서로간의 신뢰성과 예측가능성을 확보하여 상품의 출고 및 배송 처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입과 같은 도소매 중개 서비스가 대두되고 있다.
사입은 사전적으로는 물건을 구매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의류를 취급하는 도소매 서비스에서는 소매로부터 받은 주문을 도매에 전달하고, 도매로부터 받은 상품을 소매에 전달하는, 주문 관리 및 중개 업무를 의미한다.
사입자는 소매로부터 받은 주문을 당일 도매에 주문해야 하며, 수거 및 배송을 완료하여야 한다. 사입 업무는 특성상 신속성과 정확성을 모두 요구하나, 실상은 소매로부터 받은 주문서 내용을 일일히 가위로 잘라 도매처에 사진을 찍어 보내는 등 업무 효율성이 매우 떨어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문정보를 자동화된 형태의 전자 데이터로 저장 및 관리하게 하는 여러 도소매 거래 중개용 시스템 등이 제안되고 있다.
다만, 현재의 시스템은 특정한 도소매 거래 중개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컴퓨터가 요구되며, 도매, 소매, 사입간 통일된 주문서 양식을 이용하여야만 정상적인 주문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점에서 그 한계성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한계성은 실시간적인 처리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호환성을 저해하는 바, 각 도매 또는 소매들이 개별 편의성을 위해 사용하던 개인화된 주문서들을 거래 중개용 소프트웨어 양식에 맞게 다시 작성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소프트웨어의 사용성 및 편의성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주문서 재작성에도 과도한 시간이 소요되는 바, 수정사항 등이 발생되는 경우 업무 처리 시간이 오히려 더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도매 및 소매별로 파편화된 주문 데이터들을 별도의 수정이나 주문서 재작성 없이 자동화된 규칙 설정에 따라 분석 및 표준화 처리하며, 이러한 표준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도소매 거래 및 그 사입 중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사입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는,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기능; 상기 주문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 세트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의 역변환에 따라 구성된 업체별 템플릿을 설정하는 업체별 템플릿 설정하는 기능; 상기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역변환을 처리하여, 업체 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출력하는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 하는 기능; 및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와, 업체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처리 프로그램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는,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 상기 주문서 정보를 기 설정된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는 표준화 처리부; 및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단계; 상기 주문서 정보를 기 설정된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소매, 도매 또는 사입의 개별 주문서 정보를 사전 설정된 표준화 자동화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데이터 구조화 처리하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상기 도매, 소매 및 사입의 개별 주문서 양식과 호환될 수 있도록 변환 및 역변환 가능하게 처리됨으로써, 도매 및 소매별로 파편화된 주문 데이터들을 각 도소매업자들의 별도 수정이나 주문서 재작성 없이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및 표준화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도소매 거래 및 그 사입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매, 소매 및 사입간 실시간 갱신 가능한 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편리한 주문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화 인터페이스 제공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중개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서비스 제공 장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의 표준화 처리 설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서비스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입 단말의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7 내지 도 21은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에 따라 사입 단말에서 출력되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주문서의 표준화 처리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서비스 이용에 따른 요청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아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 및 관련 부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 단말(50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각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형성되는 서비스 네트워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은 상호 통신을 위한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는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파이(Wi-Fi),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통신 네트워크는 유선 및 무선이 혼용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상 정보 입력 단말(500)이 포함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정보 입력 단말(5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정보 입력 단말(500)과 서비스 제공 장치(100)간 통신 연결은 보안화된 내부 망으로 연결되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출력, 태그 정보 입력, 트렌드 분석 설정 정보 입력 등을 지원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처리하며, 송수신되는 데이터로부터 획득되는 소매, 도매 또는 사입의 개별 주문서 정보를 사전 설정된 표준화 자동화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데이터 구조화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상기 도매, 소매 및 사입의 개별 주문서 양식과 호환될 수 있도록 변환 및 역변환 가능하게 처리됨으로써, 도매 및 소매별로 파편화된 주문 데이터들을 각 도소매업자들의 별도 수정이나 주문서 재작성 없이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및 표준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입 단말(200)의 사용자인 사입자에 대한 사입 중개 서비스와, 소매 단말(300)의 사용자인 소매자에 대한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와, 도매 단말(400)의 사용자인 도매자에 대한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입 중개 서비스는 사입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주문서 데이터를 표준화 처리하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등록 처리 및 도매 단말(400)로의 알림 인터페이스 메시지 전송 처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문서 데이터는 소매 단말(300)에 대응하여 개인화된 다양한 포맷의 주문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주문서 데이터는 예를 들어, 엑셀 파일, 워드 파일, pdf 파일, 스캔된 이미지 파일 기타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주문서 데이터를 표준화된 포맷의 구조 데이터로 변환하고, 사전 설정된 규칙에 따라 필요 정보를 추출하여 배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 데이터는 상기 사전 설정된 규칙의 역적용 및 역변환 처리에 따라, 상기 각 사용자에 대응하여 개인화된 다양한 포맷의 주문서 데이터로 출력 가능한 바, 각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또는 도매 단말(400)에서 취급하는 포맷을 변경하지 않고도 편리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매 단말(400)에서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데이터베이스 등록 처리에 따른 상기 알림 인터페이스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알림 인터페이스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입력을 처리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접수, 품절, 미송 처리 등의 응답 메시지가 사입 단말(200) 또는 소매 단말(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상기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를 사입 단말(200)로 전달하거나, 사입 단말(200)에서의 요청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도매 단말(400)로의 주문 처리 결과 및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등록에 따른 주문 정보 관리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매 단말(400)로부터의 입력에 따른 주문 상태 정보의 변경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처리 상태 정보 또는 관련 메시지 정보를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로 공유하고, 상기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의 대화 메시지를 중개하는 대화 인터페이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위해,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스마트 글래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정보 입력을 위한 입력부,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에 따른 인터페이스 출력을 위한 출력부 및 통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통신부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도소매 거래 및 그 사입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업무 처리 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도매, 소매 및 사입간 실시간 갱신 가능한 주문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편리한 주문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화 인터페이스 제공 등의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바,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중개 관리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누적 수집하여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각 주문 데이터에 대한 이미지 정보 및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포맷의 태그 정보를 매핑하며, 매핑된 이미지 정보 및 태그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학습 분석에 따라, 트렌드 분석, 상품 추천 서비스 등의 다양한 관련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 표준화 처리부(120), 인터페이스 처리부(130),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 메시지 처리부(150), 태깅 처리부(160), 분석부(170) 및 서비스 제공부(180)를 포함하며,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 서비스부(181),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 및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를 포함한다.
여기서, 각 구성요소는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 및 기능의 실행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부(180)는 제어부의 기능 동작의 실행에 따라, 사전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상기 데이터 송수신 및 정보 제공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포맷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구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데이터 입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이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각 단말들에 설치된 거래 어플리케이션기반 인터페이스이거나, 각 단말들에 설치된 메신저 인터페이스 기반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 있다.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사입 단말(200)로부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하나 이상의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문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표준화 처리부(120)는 상기 주문서 정보에 대응하는 변환 처리를 수행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하며, 생성된 주문 데이터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표준화 처리부(120)는 미리 설정된 주문서 변환 규칙 설정 정보에 따라 분석 및 매핑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주문서 변환 규칙 설정 정보는 주문서 포맷 및 주문서에 대응하는 소매처 정보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소매점의 변환 규칙 설정 정보는 상기 특정 소매점 양식의 주문서 엑셀 파일로부터 획득되는 텍스트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텍스트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 규칙 설정 정보는 주문서 내 특정 위치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배치 변환 규칙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규칙 정보 및 배치 변환 규칙 정보는 각 소매점별 주문서 변환 규칙 설정 정보에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표준화 처리부(120)는 소매점별 주문서에 대한 별도의 수정 또는 재입력 없이도 설정 규칙 기반의 자동화된 처리를 통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는, 소매 단말(300)의 소매처 정보, 상품명, 상품 옵션, 상품 개수, 특이 사항, 도매처 명칭, 주소, 도매처에 대한 주문을 전송 받을 도매 단말(400)의 연락처, 주문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사입, 도매 및 소매에서 상호 처리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는 상태 정보 필드가 부가될 수 있으며, 상태 정보는 예를 들어 주문완료 인덱스, 픽업(사입자가 픽업 완료함) 인덱스, 품절 인덱스 또는 미송(상품 입고시 발송)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는 바, 특히 패션 관련 사입 중개 서비스에서 매우 편리한 상태 정보 확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에서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기반한 주문 수정 또는 편집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상기 상태 정보 필드의 변경 입력을 처리할 수도 있다. 만약 상태 정보 필드가 변경된 경우, 서비스 제공부(180)는 이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를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준화 처리부(120)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다시 소매 단말(300)에 대응하는 주문서 정보로서 역변환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특정 소매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수정이 발생된 경우, 수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로 역변환 처리하여,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가 상기 특정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양식에 맞는 맞춤형 수정 주문서로서 출력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표준화 처리부(120)에서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를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 및 등록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는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180) 및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로 전달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의 주문 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사입 중개 서비스,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 또는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문 서비스부(18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주문 서비스부(181)는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 정보를 상태 정보로서 도매 단말(400), 사입 단말(200) 또는 소매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 정보의 제공 및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로부터의 입출력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거나, 관련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에서 접속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API를 통해 상기 사입 중개 서비스, 소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 또는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상기 서비스에 따른 온라인 입출력이 가능한 웹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상기 웹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링크 정보를 상기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API 또는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여, 서비스 제공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 관련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및 사입 단말(200)간 대화 메시지도 송수신 가능한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는, 각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간 대화자를 상호 제한하거나 확장할 수도 있으며, 대화 메시지와 함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기반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픽업/품절/미송 등)가 함께 출력될 수 있어 각 사업자간의 업무 처리를 원활하게 한다.
그리고,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상에 입출력되는 메시지 정보는 메시지 처리부(150)를 통해 수집,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150)는 주문 대화 인터페이스를 통한 대화 메시지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메시지 입력에 따른 주문 데이터의 수정, 변경, 특이사항 입력등의 자동화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시지 처리부(150)의 대화 메시지는 각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및 사입 단말(200)에 대응하여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대화 메시지는 이후 분석부(170)에서 분석 처리되어 상품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등의 분석 데이터로서 가공될 수도 있다.
한편, 태깅 처리부(16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태그 정보 입력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서 누적 저장 및 관리될 수 있으며,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및 도매 단말(400)의 활동이 누적됨에 따라 유의미한 분석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를 위해, 태깅 처리부(160)는 각 주문 데이터별 학습 및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태그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할당할 수 있으며, 입력된 태그 정보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를 통해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태깅 처리부(160)로 입력될 태그 정보를 정보 입력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는 태그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정보 입력 단말(5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입력 단말(500)은 주문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입력하여 태깅 처리부(160)로 전달할 수 있는 관리자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그 인터페이스는 태그 정보를 입력할 제1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여, 이미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는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으나, 상기 이미지 정보가 없는 주문 데이터도 존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보 입력 단말(500)에서는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품 이미지 정보를 색인하여 입력할 수 있는 이미지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이미지 정보가 정보 입력 단말(500)로부터 입력되면, 태깅 처리부(160)는 입력된 이미지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매핑시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 파일이거나, 이미지 파일이 링크된 웹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태깅 처리부(160)는 상기 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추천 태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천 태그 정보는 제1 주문 데이터에 매핑된 상품 이미지와 일정 유사도 이내의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 정보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태깅 처리부(160)는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 색인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로의 색인 요청 및 응답 수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태깅 처리부(160)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의 색인에 따라 획득된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를 정보 입력 단말(5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입력 단말(500) 사용자는 상기 히스토리 중 제1 주문 데이터에 대응하는 특정 유사 주문 데이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유사 주문 데이터의 태그 히스토리 정보 중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가 상기 제1 주문 데이터에 적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깅 처리부(160)는 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주문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태그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를 통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에 따라, 상기 주문 데이터에 기반한 개별 태그 정보 매핑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태그 정보 및 상품 이미지 정보가 매핑된 주문 데이터는 분석부(170)의 분석 처리에 이용될 수 있고, 그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하는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의 트렌드 분석 서비스 처리 또는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의 상품 추천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70)는 정보 입력 단말(500)에서 설정된 분석 설정 정보 입력에 따라, 태그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트렌드 분석 및 상품 추천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분석부(170)에서 트렌드 분석이 처리되면, 처리 결과에 따른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의 트렌드 분석 서비스가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의 상품 구매자 기준의 분석 서비스와는 달리, 도매 정보, 소매 정보 및 사입 정보를 고려한 차별화된 분석 서비스 제공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트렌드 분석 서비스부(182)는 도매 정보에 기초한 인기 도매상가 정보, 인기 도매 건물의 특정 층 판매 트렌드 정보, 특정 품목이 많이 도매/소매 거래되는 상가 트렌드 등의 주문 데이터 기반 새로운 분석요소들을 적용한 분석 인터페이스를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70)에서 상품 추천 분석이 처리되면, 처리 결과에 따른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의 상품 추천 서비스가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한 분석부(170)의 태그 정보 기반 트렌드 분석에 따른 신규 측면에서의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170)는 태그 정보에 기초한 연도, 기간, 품목, 속성별 도소매 주문수량 정보로부터 날씨, 계절, 사회적 이벤트 등과의 연관성을 도출하고 상품 추천 서비스부(183)는 이러한 이벤트 발생에 따라 도소매 상품을 추천하는 새로운 상품 추천 서비스를 소매 단말(300),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는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사용자 등록을 처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 등록을 위한 소매처 정보, 도매처 정보 또는 사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는 앞서 설명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기능 동작을 위한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 태깅 정보 데이터베이스(143),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4),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 및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14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41)는 서비스 제공을 위해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를 통해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의 소매처 정보, 도매처 정보 또는 사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정보, 소속 정보, 업종 분류 정보(도매, 소매, 사입 등), 주소 정보, 연락처 정보, 로그인 정보, 단말 장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도매처 정보는 별도 레코드에 의해 구성되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매칭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매처 정보는 도매처명, 대표 도매명, 대표 연락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 도매명은 도매처 레코드에 매칭가능한 표준 도매처 명칭일 수 있으며, 일부 텍스트가 상이하더라도 대표 도매명으로 주문 데이터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하나의 도매처에도 복수의 연락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 바, 실제 이용 빈도(시간 및 횟수 기반)에 따라 대표 연락처를 설정하고, 나머지 연락처들은 선택 옵션 데이터로서 저장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에서 처리되는 주문서 정보와, 표준화 처리부(120)에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체적인 기능 동작에 있어서 필요한 구성요소들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제공한다.
한편,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태깅 처리부(160)에서 입력된 태그 정보를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와의 매핑 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할 수있다. 태그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상기 태그 정보를 분석부(170)로 제공하여, 데이터 분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태깅 처리부(160)로 제공하여 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유사 태그 히스토리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4)는 태깅 처리부(160) 또는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에서 입력된 이미지 정보와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와의 매핑 정보와 함께 저장 및 관리할 수있다. 이미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3)는 상기 이미지 정보를 분석부(170)로 제공하여, 이미지 분석 처리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태깅 처리부(160)로 제공하여 유사 태그 히스토리 색인에 이용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는 메시지 처리부(150)를 통해 처리되는 대화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출력되는 메시지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는 분석부(170)에서 분석 처리되어 상품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등의 분석 데이터로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146)는, 분석부(170)에서의 데이터 분석 처리결과를 수집 및 분류 저장할 수 있다. 분석부(170)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와 그 매핑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미지 분석, 태그 정보 기반의 다양한 트렌드 분석 및 상품 추천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80)는 그 분석 결과를 가공 처리하여 단말로 제공할 수 있는 바, 분석 정보 데이터베이스(146)는 분석 설정 정보와, 분석 결과 및 가공 처리된 분석 정보를 서로 매핑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로 출력하거나, 소매 단말(300) 업체별 템플릿에 따른 배치 역변환을 통해 기 저장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업체별 서식에 따른 주문서 정보를 추출하여 출력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표준화 처리부(120)는 주문서 정보 입력부(121),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부(123),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부(125), 검증부(127), 추출 정보 입력부(122),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부(126) 및 출력부(129)를 포함한다.
먼저 주문서 정보 입력부(121)는 주문 데이터 표준화 처리를 위한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는다. 주문서 정보는 소매 단말(300)로부터 업로드되거나,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를 전달받은 사입 단말(2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주문서 정보는 예를 들어 엑셀 파일과 같은 데이터 파일 포맷을 가질 수 있으며, 각 소매 단말(300)의 업체별로 서로 다른 주문서 형식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주문서 형식들을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서 변환 처리하기 위하여,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부(123)는 표준화 분석을 위한 규칙 세트 설정을 처리할 수 있으며,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부(125)는 설정된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석 규칙 세트는, 하나 이상의 주문서 파일로부터 획득되는 텍스트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텍스트 규칙 정보와, 주문서 내 특정 위치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배치 변환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텍스트 규칙 정보 및 배치 변환 규칙 정보는 단순히 특정 업체의 주문서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는 하나의 방식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나아가 복수의 규칙을 포함하는 규칙 정보의 조합 구성에 따라 업체별로 설정가능한 규칙 세트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 세트 정보는 데이터 전처리 규칙, 텍스트 추출 규칙, 데이터 후처리 규칙 등으로 구분되는 복수의 다양한 추출 및 변환 규칙들 중 조합에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규칙 정보 식별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규칙 설정은 변환 처리될 표준화 데이터의 포맷 항목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부(123)는, 이러한 표준화 데이터의 포맷 항목 설정과, 규칙 정보 식별자 기반의 규칙 세트 정보 설정을 수행하고, 설정된 규칙 세트 정보에 기초하여 구축된 규칙 엔진 기반의 변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사전 설정된 규칙 정보 식별자들을 이용하여 규칙 세트를 조합 생성할 수 있게 하며, 개별적인 업체별 데이터 표준화 변환 규칙 설정시의 작업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업체별 변환 설정을 위해 하나의 데이터마다 변환 매핑을 설정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업체 수 증가에 따라 비효율적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업체별 표준화 분석 규칙을 사전 설정된 복수의 규칙 정보 식별자의 세트 조합으로 설정하게 함으로써,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업체별로 다양화된 표준화 변환 규칙 엔진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표준화 처리부(120)는 이러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연결된 정보 입력 단말(500)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 설정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 바, 이에 대하여는 보다 구체적으로 화면 예시를 들어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검증부(127)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부(125)에서 변환 처리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한 검증 처리를 수행한다. 검증 처리는 예를 들어, 데이터 추출 값들이 정상 범위 이내인지 여부 등을 검증하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검증 처리가 완료된 경우, 검증부(127)는 검증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출력부(129)로 전달한다.
출력부(129)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주문서 데이터 관리부(110)를 통해 데이터베이스 관리부(14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는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될 수 있고, 이후 사입 단말(200), 도매 단말(400) 및 소매 단말(300) 간 대화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공유 및 갱신 처리되어 관리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은 태깅 처리부(160)의 태깅 처리와 서비스 제공부(180)의 서비스 제공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추출 정보 입력부(122)는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소매 업체별 서식 형태의 주문서를 추출하기 위한 추출 정보를 입력받는다. 추출 정보는 예를 들어, 소매점 정보, 주문일자 정보, 도매점 정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는 추출 정보에 따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데이터 항목과, 상기 추출된 데이터 항목을 적용하기 위한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 템플릿 정보를 설정한다. 이를 위해,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는 업체별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와, 데이터 항목 설정 정보를 사전에 입력받아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미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 표기형식 정보 및 데이터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부(126)는, 추출 정보 입력부(122)에서 입력된 추출 정보에 따라, 업체별 템플릿 설정부(124)에서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와, 데이터 항목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 항목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추출 데이터를 상기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주문서 템플릿 설정 정보에 따라 재구성하여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 데이터로서 역변환 처리한다.
이에 따라, 출력부(129)는 재구성된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를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로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된 업체 서식형태 주문서는 디스플레이의 형태로 출력되거나, 별도의 인쇄 장치에서 인쇄물의 형태로 출력되어, 소매, 도매, 사입 별 각 필요한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공유, 변경 및 갱신에 따른 최종적인 주문서가 확정된 경우, 사입 단말(200)에서는 도매점에서 구매하기 위한 주문장을 소매점별로 출력하여 개별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 경우 기존 시스템에서는 소매점 업체별 주문서 양식을 소매자 측에 다시 요청하여야 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즉시 역변환 출력 처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사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의 표준화 처리 설정을 위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표준화 처리부(120)의 동작을 위하여,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별도의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용이한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다양한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 구성에 따른 표준화 분석 규칙 세트 설정, 업체별 템플릿 설정 정보 등을 표준화 처리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먼저 도 5는 표준화 데이터 포맷의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를 도시한 것으로,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는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출력될 수 있으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포함될 항목들을 추가하거나 삭제하거나, 소매점별 템플릿 항목 등을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항목 편집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자는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를 통해 표준화 포맷 항목을 위한 템플릿 설정 및 컬럼별 데이터 항목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항목 설정 인터페이스(501)는 각 항목에 대응하는 주문 정보를 위한 색상, 주문내용(소매명, 도매명, 도매주소, 주문상품명, 옵션, 단가, 수량, 주문비고 등)과, 세부 주문데이터(주문일, 담당사입, 소매지역, 소매명 지점, 빌딩명, 층, 호수, 도매주소, 대표번호, 주문번호, 단가, 옵션비고, 주문상태, 차수 등)이 각각의 편집 선택 가능한 항목 데이터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템플릿, 컬럼, 색상, 내용 등으로 구분되는 주문 데이터 분류 항목들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템플릿 표기 설정 인터페이스(503)를 도시한 것으로, 표기 설정 인터페이스(503)는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에게 출력될 수 있으며, 각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는 표기 방식 설정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표기 방식 설정은 예를 들어, 수치 등의 업체별 상이한 표기 방식을 업체별로 설정하게 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매 단말(300)의 주문서 양식은 지하층, 지상층의 표기 방식이 B2, 지하-2, 지하2층 또는 1F, 1, 1층 등 과 같이 각각 상이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는, 표기 설정 인터페이스(503)를 통해 이에 대응하는 템플릿 표기 설정 정보를 입력받아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고, 역변환 처리시 이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는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주문서 선택 인터페이스(505)를 통해 주문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표준화 처리부(120)는 입력된 주문서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507)를 출력할 수 있고,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조합 설정 가능한 하나 이상의 규칙 정보를 포함하는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a)가 정보 입력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상에 출력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a)에서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전처리, 추출 처리 및 후처리로 구분되는 각 프로세스별 규칙 정보를 하나 이상 설정할 수 있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규칙 정보는 트리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처리된 시트에 대응하여 추출할 표준화 데이터 항목들(도매명, 도매주소, 상품명, 소매상품명, 옵션 등)별 세부 규칙들이 각각 할당되는 규칙 데이터 트리를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규칙 데이터 트리 구성에 따라 조합 형성된 규칙 세트 정보를 설정할 수 이 있다.
각 항목별 설정을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a)에서 특정 표준화 데이터 항목이 선택되면, 선택된 표준화 데이터 항목에 대응하여 적용 가능한 규칙(rule) 목록 인터페이스(509)가 더 출력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규칙 목록 인터페이스(509)를 통해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규칙 정보가 설정 가능하며, 상기 규칙 정보 또한 별도의 설정을 통해 미리 정의되어 표준화 처리부(12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 목록 인터페이스(509)를 통해, 전처리 규칙(preProcessingRule)으로서 행 타이핑 규칙(RowTypingRule), 헤더 체크 규칙(CheckHeaderRule), 헤더상 사이즈 분석 규칙(SizesOnHeaderRule)이 선택 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전 추출 규칙(preExtractingRules)으로서 하나 이상의 기억 규칙(MemorizeRule, MemorizeRuleV2), 하나 이상의 카피 규칙(CopyColumnRule, CopyRowRule) 등이 설정될 수 있고, 추출 규칙(extractingRules)으로서, 열 설정 규칙(SetColumnRule), 시트네임 획득 규칙(GetSheetNameRule), 분리 규칙(SeparateRule), 잘라내기 규칙(CutRule), 텍스트 삭제 규칙(RemoveTextRule), 고유값 설정 규칙(SetConstantRule), 연결 규칙(ConcatRule), 문자열 추출 규칙(SubStringRule), 기억 획득 규칙(GetMemoryRule), 기억 삭제 규칙(RemoveMemoryRule), 복사 규칙(CopyRule), 문자열 변환 규칙(JoinRule) 및 반올림 규칙(RoundRule) 등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후처리 규칙으로서 테스트 논리 조건에 따른 OR규칙(OrRule), 필요 도메인 규칙(RequiredDomainRule), 행 제외 규칙(ExcludeRowRule)과 같은 규칙들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열 설정 규칙들은 엑셀 규격의 시트 데이터를 기준으로 몇 번째 열(column)을 분석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각의 규칙들은 사전 결정된 조건에 따라, 값이 비어 있는 경우 상단에 있는 상품명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쉼표 앞에 있는 값을 도매업체 전화번호로 획득하게 하거나, 소수점 값에 대한 반올림, 올림 또는 내림 등의 처리를 사전에 설정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규칙들은 조합에 따라 각각의 규칙 세트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화 처리부(120)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해, A(0)열에 있는 데이터를 읽는 제1 열 규칙 설정과, B(1)열에 있는 데이터를 제2 열 규칙 설정과, C(2)열에 있는 데이터를 읽는 제3 열 규칙 설정과, 상기 A(0), B(1), C(2) 열의 데이터를 연결하는 연결 규칙 설정을 조합 적용하여, 표준화된 제1 데이터 항목으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표준화 처리부(120)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에 대해, 쉼표 앞에 있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규칙 설정과, 이를 기억 데이터로 획득하는 기억 획득 규칙 설정과, 빈 값이 있는 경우 기억 데이터를 복사 입력하는 복사 규칙 설정을 조합 적용하여, 표준화된 제2 데이터 항목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이와 같은 규칙 세트들이 조합에 따라 복수 개 적용된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b)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의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508b)의 연결 규칙(ConcatRule)은 하위 트리에 포함된 제1 열 설정 규칙(SetColumnRule), 제2 열 설정 규칙, 제3 열 설정 규칙, 제4 열 설정 규칙을 조합 연결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열 설정 규칙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설정 규칙들로서, 그 조합에 따라 각 업체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처리 가능하며, 역변환에 따라 템플릿으로 구성 가능한 형태의 규칙 세트 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준화 처리부(120)는,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응하는 편리한 규칙 세트 설정에 따라 표준화된 데이터 변환을 위한 규칙 엔진을 각각의 업체별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처리를 위해, 표준화 처리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서 업체별 규칙 세트 정보의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규칙 세트(룰셋) 저장 버튼 또한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에 구비시킬 수 있다. 이는 다른 업체의 주문서에 대하여 미리 설정 저장된 규칙들을 이용하여 현재 주문서에 대해 조합 적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규칙 세트들은 모듈화될 수 있으며, 업체별 표준화 데이터 변환 규칙 엔진이 모듈화에 따라 신속 용이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서비스 제공부(180)가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한 도매 주문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또는 도매 단말(400)들과의 정보 송수신을 위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호 피드백 정보를 이용한 공유 정보를 입출력 처리하여, 주문 데이터 관리부(110)의 주문 데이터 관리 및 서비스 제공부(180)의 주문 서비스에 따른 상태 정보 알림 등의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전송 정보 획득부(131),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 및 피드백 기반 공유 정보 처리부(135)를 포함한다. 다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의 일부 요소들로서,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는 이 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처리 및 제공을 위한 제어부, 출력부, 그래픽 처리부 등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구동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전송 정보 획득부(131)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간 공유될 전송 정보를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로부터 획득한다.
그리고,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전송 정보에 기초하여,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생성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접속 정보는 서비스 제공부(180)의 주문 서비스부(181)로 제공될 수 있으며, 주문 서비스부(181)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90)에 사전 등록된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접속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에 접속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는 웹 인터페이스이거나, 각 단말들(200, 300, 400)에 설치된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대화 채널 입출력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기반으로 처리되는 경우, 메시지 처리부(150)에서는 메시지 포맷에 대응하는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정보의 변환 및 송수신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피드백 기반 공유 정보 처리부(135)는 상기 메시지 처리부(150) 또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를 통해 생성된 인터페이스에 접속하여 송수신되는 피드백 정보를 서비스 제공부(180)의 주문 서비스부(181)로 전달하고, 주문 서비스부(181)는 피드백 정보를 분석하여 주문 데이터의 변경 정보 또는 상태 갱신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 정보 또는 상태 갱신 정보를 주문 데이터 처리부(111)로 전달한다. 주문 데이터 처리부(111)는 변경 또는 상태 갱신에 따라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업데이트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피드백 기반 공유 정보 처리부(135)는 피드백 정보에 따른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업데이트 처리 결과를 획득하여,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피드백에 대응하는 처리 결과 정보를 상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간 공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및 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도 11은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의 전체적인 화면 예시도로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및 사입 단말(200)이 접속하여 메시지를 송수신 가능한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와, 도/소매별 주문 목록 검색이 가능한 주문 목록 인터페이스(201)와, 선택된 주문 목록에 대응하는 주문 내역 및 확인 피드백처리가 가능한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를 포함한다.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이와 같은 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부터 필요한 항목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된 항목들에 기초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주문 목록 인터페이스(201),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 및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터페이스들(201, 203, 207)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 처리할 수 있다.
특히, 각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또는 사입 단말(200)은 유사한 인터페이스를 공유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매 및 소매 정보가 모두 표시될 수 있는 사입 단말(200)의 화면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주문 목록 인터페이스(201)는 주문이 들어온 소매업체 또는 물건을 구입할 도매업체 및 담당 사입자에 대응하는 주문 목록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문 목록은, 도매 A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1 주문 목록과, 도매 X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2 주문 목록과, 도매 Y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3 주문 목록과, 도매 Z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BBB의 제4 주문 목록과, 도매 C에서 구매를 요청한 소매 AA의 제5 주문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입 단말(200)에서 선택된 제1 주문 목록 에 대응하는 주문 내역 정보가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상에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는 도매 A 및 소매 BBB와 대화 가능한 메시지 인터페이스(203)가 출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는, 각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로 제공될 수 있다.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상에서는 먼저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주문 서비스부(181)의 알림 정보가 공유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사입 단말(200), 소매 단말(300), 및 도매 단말(400)간 상호 메시지 피드백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상의 모든 메시지가 서로 공유되도록 처리하거나, 각 단말(200, 300, 400)별 설정에 따라 개별 선택된 사용자들만 공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를 설정할 수 있는 대화자 설정 메뉴(205)가 메시지 인터페이스(203)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대화자 설정 메뉴(205)를 통해 사입 단말(200)과 소매 단말(300)만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등의 개인 간 대화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전술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것으로, 주문 상품의 리스트 및 내역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은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에 대응하는 주문 확인 처리 입력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는 바,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에서는 주문된 상품의 공급 가능 여부를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입력 처리할 수 있다.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는, 도매 단말(400) 또는 지정된 사입 단말(200)만이 입력할 수 있도록 사전 권한이 설정될 수 있으며,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를 통해 주문 가능, 품절 또는 미송(입고 예정)과 같은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입력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이와 같은 확인 피드백 입력 처리에 따라, 주문 서비스부(181)로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 서비스부(181)는 주문 상태 정보의 확인 피드백 정보를 주문 데이터 관리부(111)로 전달하여,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의 업데이트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업데이트 처리에 따른 주문 내역 처리 결과를 사전 결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른 알림 메시지로 구성하여, 상기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매 A 또는 사입 단말(200)의 주문 확인 처리 인터페이스(211) 입력에 따라, 사입 단말(200) 또는 BBB 소매 단말(400)로 제품의 주문 가능, 품절 또는 미송 처리 정보가 생성되어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매 단말(400)에서 처음으로 당일 주문 데이터를 확인하는 경우, 그 당일 주문 데이터의 상태 정보는 미확인 주문으로 지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매 단말(400)에서 주문 확인을 입력한 경우, 확인주문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확인된 주문에 대응하는 비고 전달 메시지가 도매 단말(4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주문이 전송된 시간 정보와 주문 관련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일부 공급이 가능한 경우를 위해 수량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공급이 가능한 경우 입력된 항목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메시지 포맷에 따른 알림 메시지로 구성되어, 상기 메시지 인터페이스(203)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도매 단말(400)에서는 미송 처리 시 상품이 재입고 되는 날짜 및 사입/소매업체에 전달할 내용 등을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는 바, 당일 들어온 주문 내역에 대한 주문 상품 목록에 대해서 각각의 가능/품절/미송 처리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는, 주문을 받은 도매 단말(400)과, 주문서를 입력한 소매 단말(300)과, 이를 중개하는 사입 단말(200)에서 각각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고 피드백 처리할 수 있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이용함에 따라 신속하고 용이하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도매 단말(400) 또는 사입 단말(200)의 입력에 따라 갱신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반영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07)는 주문서를 화면을 간편히 출력할 수 있는 인쇄용 보기 메뉴(209)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쇄용 보기 메뉴(209) 입력시 출력되는 주문서 인쇄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서 인쇄 정보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표준화 처리부(120)에서 역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는 바, 주문서 양식은 각 소매 또는 도매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이하게 결정되거나, 사전 결정된 기본 주문서 양식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매 단말(400)의 세부 입력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13을 참조하면, 도매 단말(400)에서는 주문된 상품의 공급 가능 여부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일부 공급이 가능한 경우를 위해 수량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미송 처리 입력시에는 상품이 재입고 되는 날짜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입 단말(200) 또는 소매 단말(300)로 전달할 내용 비고 메시지를 작성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된 내용은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 처리되어 상기 대화 인터페이스(203)상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4는 휴대 단말에서 출력되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 생성부(133)의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사입 단말(200), 도매 단말(400) 또는 소매 단말(300)은 휴대 단말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의 경우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소화 처리될 수 있다. 각 사용자는 상단의 주문 목록, 주문내역 보기, 대화하기 및 주문장 메뉴 입력을 통해, 도 1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간 전환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제공되는 서비스는 도 11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처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메시지 처리부(150)는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으며, 특정 중요 메시지의 경우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메시지 정보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된 정보는 이후 분석부(170)의 메시지 분석에 이용될 수 있는 바, 분석부(170)는 메시지 분석 결과에 따른 도매 분석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고, 도매 분석 데이터는 메시지 분석 결과로부터 도출되는 도매업체의 불량률, 친절도, 응답 시간 등의 분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 서비스부(181)를 통해 주문 관리 서비스 뿐만 아니라 업체 분석, 주문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서비스 시스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소매 단말(300)은 먼저 주문서를 업체별 양식에 따라 개별적으로 작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업로드한다(S101).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표준화 처리부(120)를 통해 주문 데이터의 표준화 처리를 수행하며(S103), 주문 데이터 관리부(111)를 통해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에 등록한다(S105).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인터페이스 처리부(130)를 통해,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 기반의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각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및 도매 단말(400)로 알림 서비스를 제공한다(S107).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부(180)를 통해, 소매 단말(300), 사입 단말(200) 또는 도매 단말(400)로부터 수신되는 주문 피드백 메시지 정보 기반의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S109). 여기서, 사입 단말(200)에서는 갱신된 주문 정보 기반의 소매 업체별 주문장 역변환 출력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S110).
사입 단말(200)은 갱신된 주문 데이터 기반으로 주문장을 사입 단말(200) 그룹 내 공유할 수 있으며, 공유된 주문장 기반의 주문 내역 처리를 수행한다(S111).
그리고, 사입 단말(200)의 주문 내역 처리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된다(S113).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주문 내역 처리 정보에 기초하여 주문 정보 데이터베이스(142)를 갱신하며(S115), 갱신된 정보를 반영한 대화형 주문 관리 인터페이스의 갱신 처리를 수행한다(S117).
이에 따라, 도매 단말(400), 소매 단말(300) 및 사입 단말(200)은 각 주문 현황 및 처리 결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대화형 인터페이스와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호 정보을 공유하기 때문에 매우 신속하고 정확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입 단말(200)의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7 내지 도 21은 주문장 공유 프로세스에 따라 사입 단말(200)에서 출력되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입 단말(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주문 서비스 이용에 따라, 사입을 위한 주문장 관리 및 사입 단말 그룹 내 업무 분배 처리와, 상호 공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도 16을 참조하면, 사입 단말(200)은 주문 서비스부(181)에서 제공되는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기초하여 당일 사입을 수행할 제1 도매업체에 대한 소매업체별 주문 내역을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한다(S201).
그리고, 사입 단말(200)에서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에 대한 입력에 따라 상기 출력된 소매업체별 주문 내역에 대응하는 필터링 처리를 수행한다(S203).
이후, 사입 단말(200)은 주문장 공유 입력에 따라, 상기 필터링 처리된 주문 내역 정보를 제1 사입 단말 그룹 내 공유 알림 처리한다(S205).
그리고, 사입 단말(200)은 담당 사입자 단말에서 입력된 입력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장에 대한 공유 알림 정보를 갱신 처리한다(S207).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특정일자에 대응하는 특정 도매 업체에 대한 소매업체별 주문 내역 확인 출력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부(180)는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 출력을 위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여 사입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입 단말(200)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기초한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주문장 관리 인터페이스는, 필터링 인터페이스(211)와, 주문 내역 인터페이스(213)와, 상세 주문 보기 인터페이스(217) 및 주문장 공유 버튼(215)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링 인터페이스(211)는 주문 타입(주문, 배송, 반품 등) 또는 사입을 수행할 빌딩 등과 같은 주문 데이터의 속성별 필터링을 가능하게 하는 선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7에서는 주문 타입과 빌딩만 필터링이 가능하게 도시되어 있으나, 필터링 인터페이스(211)는 기타 주소, 도매명, 주문량 등과 같은 다양한 주문 데이터의 속성에 따른 필터링 처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주문 내역에는 필터링에 따라 정렬된 주문 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도 17에서는 상단에 선택된 필터에 따라, 빌딩, 층, 호수 정렬에 따른 도매명, 주소, 전화번호가 정렬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8은 상세 주문 보기 인터페이스(217) 입력에 따른 상세 주문 내역이 출력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 주문 내역 출력 기능은 선택된 도매업체에 대응하는 소매별 주문 내역 확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각 사입 단말(200)의 사용자는 주문 상세 내역에 따른 사입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사입 단말 그룹 내 공유할 수 있다. 즉, 사입 단말(200)은 하나의 사입 업체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단말은 사입 업체에 대응하는 하나의 사입 단말 그룹을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주문장 인터페이스에 대한 주문장 공유 버튼(215) 입력에 따라, 주문장 정보는 담당 사입자들에게 공유될 수 있다.
도 19는 주문장 공유 버튼 입력시 출력되는 공유 리스트로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입 그룹 내 다른 사입 단말(200)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선택 입력하여, 공유 요청할 수 있다. 이러한 사입 그룹 설정 및 공유 정보 처리는 사입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자체적으로 처리되거나,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주문 서비스부(18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사입 단말(200) 사용자는 주문장을 공유할 그룹 내 사입 담당자를 추가하고, 추가된 사입 담당자를 공유 대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도 20은 공유 정보를 전달받은 사입 그룹 내 다른 사입자의 사입 단말(200) 출력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유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메시지 처리부(150)에 의해 알림 메시지 포맷으로 변환 처리되어 사입 단말(200)의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알림 메시지는 상기 주문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주문내역보기'와 같은 링크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담당 사입자는 상기 링크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사입 단말(200)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유 주문장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유된 공유 주문장 인터페이스는 담당자의 사입 결과 정보를 반영하여 사입 그룹 내 공유될 수 있는 바, 이를 표시하기 위한 주문 처리 여부 체크박스(213)가 상기 공유 주문장 인터페이스상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문이 들어간 도매업체에 대한 소매 주문내역 확인과 함께, 주문 처리여부에 대한 정보가 사입 그룹 내 공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사입 담당자들 간 도매업체의 중복 방문을 피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인 사입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주문장 공유 인터페이스의 필터링 기능에 따라, 건물별, 소매별, 도매별, 층별 담당자 분배 설정도 가능하게 되므로 업무 분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서비스 제공 장치 110 : 주문 데이터 관리부
120 : 표준화 처리부 130 : 인터페이스 처리부
140 : 데이터베이스 관리부 150 : 메시지 처리부
160 : 태깅 처리부 170 : 분석부
180 : 서비스 제공부 190 : 사용자 정보 관리부
200 : 사입 단말 300 : 소매 단말
400 : 도매 단말 500 : 정보 입력 단말

Claims (5)

  1. 소매 단말, 도매 단말 및 사입 단말 간의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소매 단말의 주문서 정보를 입력받아 관리하는 기능;
    상기 주문서 정보를 미리 설정된 규칙 세트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주문서 정보를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로 변환하는 규칙 엔진 기반 변환 처리하는 기능;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의 역변환에 따라 구성된 업체별 템플릿을 설정하는 업체별 템플릿 설정하는 기능;
    상기 업체별 템플릿에 따라 상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의 역변환을 처리하여, 업체 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출력하는 템플릿 엔진 기반 역변환 처리 하는 기능; 및
    상기 표준화 처리된 주문 데이터와, 업체서식형태의 주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소매 단말, 상기 도매 단말 및 상기 사입 단말 간 주문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는,
    하나 이상의 주문서 파일로부터 획득되는 텍스트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텍스트 규칙 정보와, 주문서 내 특정 위치로부터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필요한 정보들을 추출하기 위한 배치 변환 규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는 복수의 규칙을 포함하는 개별 규칙 설정 정보의 조합 구성에 따라 업체별로 설정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규칙 설정 정보를 조합 설정할 수 있는 규칙 세트 설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칙 세트 설정 정보는
    주문서 데이터 시트로부터 추출할 표준화 데이터 항목별 규칙 설정 정보로 구성된 규칙 데이터 트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200019426A 2020-02-18 2020-02-18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101049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26A KR20210104988A (ko) 2020-02-18 2020-02-18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426A KR20210104988A (ko) 2020-02-18 2020-02-18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988A true KR20210104988A (ko) 2021-08-26

Family

ID=7746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426A KR20210104988A (ko) 2020-02-18 2020-02-18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498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17320A (zh) 适用于多平台的表单/报表设计器、方法及信息化管理系统
KR20190081935A (ko) 주문 관리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및 주문 시스템
US20160260178A1 (en) Commodity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for managing commodity
KR20210104988A (ko)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10104991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210104990A (ko) 주문서 표준화 서비스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
KR20210104993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를 위한 정보처리 프로그램
KR20210104994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주문서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10104995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주문서 관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20210104992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주문서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10104987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사입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10104986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주문서 관리 서비스 장치
KR20210104989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대화형 주문 관리 서비스 방법
KR20210104983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사입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04984A (ko) 주문 데이터 표준화 기반 도소매 사입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20210104985A (ko) 도소매 및 사입 간 주문서 중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KR20210105010A (ko) 주문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20135661A (ko) 트렌드 분석 서비스 프로그램
KR20210105009A (ko) 주문 트렌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KR20210105001A (ko) 주문 데이터에 특징 정보 태깅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210104997A (ko)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한 특징 정보 태깅을 지원하는 장치
KR20210105000A (ko)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한 특징 정보 태깅을 지원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20210104999A (ko)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한 특징 정보 태깅을 지원하는 방법
KR20210104996A (ko)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한 특징 정보 태깅을 지원하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104998A (ko) 표준화된 주문 데이터에 대응한 특징 정보 태깅을 지원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