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948A -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948A
KR20210104948A KR1020200018805A KR20200018805A KR20210104948A KR 20210104948 A KR20210104948 A KR 20210104948A KR 1020200018805 A KR1020200018805 A KR 1020200018805A KR 20200018805 A KR20200018805 A KR 20200018805A KR 20210104948 A KR20210104948 A KR 20210104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gas
oxidizing
liquid
remove harmfu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2888B1 (ko
Inventor
김선형
윤형철
조강희
김종남
전상구
김승곤
조현정
최종원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8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8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4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62Removing mixtures of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87Removing 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05Mono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1Di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B01D2252/20415Tri- or polyam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해가스가 포함된 기체를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킨 기체를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및 아민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METHOD FOR REMOVING HAZARDOUS GAS USING ABSORPTION LIQUID FOR REMOVING HAZARDOUS GAS}
본 발명은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나 공업용 보일러, 폐기물 소각로에서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거나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은 분진(Particulate matter),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이산화탄소(CO2),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납, 악취물질 등으로 다양하며, 통상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이 중, 질소산화물(NOx)은 태양광선의 조사에 의해 광화학 스모그의 원인이 되고, 눈이나 코를 자극할 수 있으며, 폐충혈, 폐수종, 폐쇄성 기관지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황산화물(SOx)은 대부분 연료 중에 포함된 황이 연소하여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이산화황(SO2) 또는 삼산화황(SO3)을 통칭하며, 질소산화물과 함께 산성비의 원인이 되고, 대기 중의 습도가 높은 경우 물과 반응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생성하여 빛의 분산, 금속 및 재료의 부식, 시야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급성 또는 만성 호흡기 질환, 천식 등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고, 미세먼지를 야기하는 등 대기오염의 주원인이 되므로, 배출 규제 강화와 함께 이를 저감 시키기 위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를 효과적으로 동시에 제거하는 공정은 거의 상용화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현재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은 각 물질별로 분리되어 처리되는 복잡한 공정으로 제거되고 있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의 주요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CO2)의 포집이 매우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복합적으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등이 함께 처리될 필요가 있어, 이들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산성가스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해가스가 포함된 기체를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킨 기체를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및 아민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기 산화액은, ClO2, NaClO2, Ca(ClO2)2, NaClO, KMNO4, Na2SO3, CrO3, K2CrO4, Na2CrO4 및 H2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은, 상기 산화제와 물을 1 : 0.1 내지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흡수액은, 상기 흡수 증진제와 물을 1 : 1 내지 1 : 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염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디에탄올아민(diethaolamine, DE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N-메틸디에탄올아민(N-methyl diethanolamine, MDEA), 3-이소부톡시프로필아민(3-Isobutoxypropylamine),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Dimethylaminoethylamine), 디글리콜아민(DGA, Diglycolamine), 헥실아민(Hexylamine),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AMP, 2-Amino-2-methyl-propanol), 헥사메틸렌디아민(HMDA, Hexamethylenediamine), 프로필아민(Propylamine), 디프로필아민(Dipropylamine), 부틸아민(Butylamine), 이소부틸아민(Isobutylamine), 2-에틸헥실아민(2-Ethylhexylamine), 4-아미노부탄올(4-Aminobutanol), 3-메톡시프로필아민(3-Methoxypropylamine), 알릴아민(Allylamine), 메틸디알릴아민(Methyldiallylamine), 펜틸아민(Pentylamine), 이소아밀아민(Isoamylamin), N-메틸에틸아민(NMethylethylamine), 2-옥실아민(2-Octylamine), 및 2-하이드록실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2-Hydroxyethylaminopropy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TIPA) 및 피페라진(piperaz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흡수 증진제는, 상기 수산화염 및 상기 아민계열 화합물을 1 : 1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각각, 20 ℃내지 90 ℃의 온도범위에서, 2 초 내지 20 초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각각, 2 내지 25의 액기비(L/m3)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해가스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질소산화물(NOx)의 제거율은 90 % 이상이고, 황산화물(SOx)의 제거율은 90 % 이상이며, 이산화탄소(CO2)의 제거율은 80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산화액을 포함하는 산화부; 및 흡수액을 포함하는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아민계열 화합물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은, 고가의 촉매 및 암모니아 또는 우레아의 환원제를 사용한 다단의 흡수 과정 없이 저온에서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산성가스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동시에 고효율로 제거함으로써, 처리 공정이 단순화되고 비용과 시간이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유해가스가 포함된 기체를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킨 기체를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및 아민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은, 유해가스가 포함된 기체를 산화액 및 흡수액에 순차적으로 접촉시키는 비교적 단순한 처리 공정으로,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각 성분들의 간섭 현상 없이 동시에 고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은, ClO2, NaClO2, Ca(ClO2)2, NaClO, KMNO4, Na2SO3, CrO3, K2CrO4, Na2CrO4 및 H2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산화제는, 일산화질소(NO)를 이산화질소(NO2)로 산화시키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질소산화물(NOx) 주성분인 일산화질소는 물에 용해도가 매우 낮아(56 mg/LH2O) 흡수방식으로 제거가 어렵다. 따라서, 상기 산화제를 통해 일산화질소를 이산화질소로 산화시켜 용액 내 용해도를 높임으로써, 일산화질소의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제는, 황산화물(SOx)의 주성분인 이산화황(SO2)과도 일부 반응하여 황산화물(SOx)을 일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제의 음이온 성분은 일산화질소를 이산화질소로 산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산화제의 양이온 성분은 이산화황과 반응하여 황산화물(SOx)을 형성함으로써, 질소산화물(NOx)과 황산화물(SOx)이 동시에 일차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은, 상기 산화제와 물을 1 : 0.1 내지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산화액 중, 상기 산화제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유해가스가 포함된 기체와 접촉 시 일산화질소의 산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거나 황산화물을 일차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수 있으며, 상기 산화제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산화제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흡수액은, 상기 흡수 증진제와 물을 1 : 1 내지 1 : 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흡수액 중, 상기 흡수 증진제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산화액과 접촉시킨 기체와 접촉 시 이산화질소(NO2),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흡수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흡수 증진제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흡수 증진제가 불필요하게 소모될 수 있다.
상기 흡수 증진제는, 이산화질소(NO2),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흡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흡수 증진제는, 상기 수산화염 및 상기 아민계열 화합물을 1 : 1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만일, 상기 수산화염 및 상기 아민계 화합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산화질소, 황산화물, 이산화탄소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동시 흡수 증진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산성가스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와 같은 유해가스를 동시에 흡수시키기 위해, 상기 수산화염 및 상기 아민계열 화합물의 중량비를 상기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수산화염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디에탄올아민(diethaolamine, DE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N-메틸디에탄올아민(N-methyl diethanolamine, MDEA), 3-이소부톡시프로필아민(3-Isobutoxypropylamine),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Dimethylaminoethylamine), 디글리콜아민(DGA, Diglycolamine), 헥실아민(Hexylamine),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AMP, 2-Amino-2-methyl-propanol), 헥사메틸렌디아민(HMDA, Hexamethylenediamine), 프로필아민(Propylamine), 디프로필아민(Dipropylamine), 부틸아민(Butylamine), 이소부틸아민(Isobutylamine), 2-에틸헥실아민(2-Ethylhexylamine), 4-아미노부탄올(4-Aminobutanol), 3-메톡시프로필아민(3-Methoxypropylamine), 알릴아민(Allylamine), 메틸디알릴아민(Methyldiallylamine), 펜틸아민(Pentylamine), 이소아밀아민(Isoamylamin), N-메틸에틸아민(NMethylethylamine), 2-옥실아민(2-Octylamine), 및 2-하이드록실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2-Hydroxyethylaminopropy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TIPA) 및 피페라진(piperaz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N-메틸디에탄올아민(N-methyl diethanolamine, MDEA), 피페라진(piperazin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이산화탄소(CO2)의 흡수를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이산화탄소(CO2)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흡수를 동시에 증진시키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각각, 20 ℃내지 90 ℃의 온도범위에서, 2 초 내지 20 초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방법은, 저온에서 단시간 내에 진행됨으로써, 공정의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각각, 2 내지 25의 액기비(L/m3)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액기비는, 액체와 기체의 비율을 의미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유해가스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질소산화물(NOx)의 제거율은 90 % 이상이고, 황산화물(SOx)의 제거율은 90 % 이상이며, 이산화탄소(CO2)의 제거율은 80 %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질소산화물(NOx)의 제거율은 90 % 내지 99 %이고, 황산화물(SOx)의 제거율은 90 % 내지 100 %이며, 이산화탄소(CO2)의 제거율은 80 % 내지 98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은,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와 같은 산성가스를 동시에 고제거율로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산화액을 포함하는 산화부; 및 흡수액을 포함하는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아민계열 화합물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장치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및 이산화탄소(CO2)를 성분들 간의 간섭 현상 없이 동시 제거 가능하여, 단일 스크러버와 함께 흡수 공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발전소, 중소형 연소시설을 포함하여, 제약, 디스플레이, 반도체, 선박 등 다양한 제조 시설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유해가스 제거장치는 산성가스와 함께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산화부에 포함된 산화액 및 상기 흡수부에 포함된 흡수액의 특징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산화제 및 흡수 증진제를 사용하여, 유해가스 제거를 위한 산화액 및 흡수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산화액 및 흡수액의 구성 및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산화액 흡수액
비교예 1 NaClO2 (0.3M) -
실시예 1 NaClO2 (0.3M) NaOH (0.3M)
실시예 2 NaClO2 (0.3M) MEA (20 wt%), NaOH (0.3M)
실시예 3 NaClO2 (0.3M) MDEA (20 wt%), NaOH (0.3M)
[ 실험예 ]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산화액 및 흡수액을 사용하여,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의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먼저 초기 기체의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측정한 뒤, 기체를 산화액과 접촉시킨 다음 흡수액과 접촉시켰다.
각각의 접촉단계는,20 ℃내지 90 ℃의 온도범위에서, 2 초 내지 20 초 동안 진행되었고, 액체와 기체의 비율인 액기비는 (L/m3) 2 내지 25 이하로 진행되었다.
접촉 후 기체 내에 포함된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측정하여 제거율을 계산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질소산화물
(NO, NO2, NOx) 제거율
황산화물
제거율
이산화탄소
제거율
비교예 1 92.50%, 61.88%, 54.38% 85.3% 5.7%
실시예 1 92.70%, 93.2%, 85.9% 99.8% 53.2%
실시예 2 92.70%, 98.2%, 90.9% 99.9% 85.7%
실시예 3 92.70%, 97.8%, 90.5% 99.8% 89.2%
표 2를 참조하면, 산화액만을 접촉시킨 비교예 1은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이산화 탄소의 제거율이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를 거의 제거하지 못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산화액과 흡수액을 모두 접촉시킨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및 이산화탄소의 제거율이 현저히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수산화염 및 아민계 산화물이 포함된 흡수액을 사용한 실시예 2 및 3의 경우 질소산화물의 제거율이 90% 이상, 황산화물 제거율이 99% 이상, 이산화탄소 제거율이 85% 이상으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산화액 및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은, 산성가스와 같은 유해가스를 동시에 높은 제거율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유해가스가 포함된 기체를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킨 기체를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며,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및 아민계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액은,
    ClO2, NaClO2, Ca(ClO2)2, NaClO, KMNO4, Na2SO3, CrO3, K2CrO4, Na2CrO4 및 H2O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액은,
    상기 산화제와 물을 1 : 0.1 내지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액은,
    상기 흡수 증진제와 물을 1 : 1 내지 1 : 9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염은,
    NaOH 및 KOH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모노에탄올아민(monoethanolamine, MEA), 디에탄올아민(diethaolamine, DEA),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 테트라에틸렌펜타아민(Tetraethylenepentamine, TEPA),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Triethylenetetramine, TETA), N-메틸디에탄올아민(N-methyl diethanolamine, MDEA), 3-이소부톡시프로필아민(3-Isobutoxypropylamine), 디메틸아미노에틸아민(Dimethylaminoethylamine), 디글리콜아민(DGA, Diglycolamine), 헥실아민(Hexylamine), 2-아미노-2-메틸프로판올(AMP, 2-Amino-2-methyl-propanol), 헥사메틸렌디아민(HMDA, Hexamethylenediamine), 프로필아민(Propylamine), 디프로필아민(Dipropylamine), 부틸아민(Butylamine), 이소부틸아민(Isobutylamine), 2-에틸헥실아민(2-Ethylhexylamine), 4-아미노부탄올(4-Aminobutanol), 3-메톡시프로필아민(3-Methoxypropylamine), 알릴아민(Allylamine), 메틸디알릴아민(Methyldiallylamine), 펜틸아민(Pentylamine), 이소아밀아민(Isoamylamin), N-메틸에틸아민(NMethylethylamine), 2-옥실아민(2-Octylamine), 및 2-하이드록실에틸아미노프로필아민(2-Hydroxyethylaminopropylamine),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triisopropanolamine, TIPA) 및 피페라진(piperazi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증진제는,
    상기 수산화염 및 상기 아민계열 화합물을 1 : 1 내지 1 : 10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각각,
    20 ℃내지 90 ℃의 온도범위에서, 2 초 내지 20 초 동안 수행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액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상기 흡수액과 접촉시키는 단계는, 각각,
    2 내지 25의 액기비(L/m3)로 수행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해가스는,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이산화탄소(CO2)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질소산화물(NOx)의 제거율은 90 % 이상이고, 황산화물(SOx)의 제거율은 90 % 이상이며, 이산화탄소(CO2)의 제거율은 80 % 이상인 것인,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12. 산화액을 포함하는 산화부; 및
    흡수액을 포함하는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액은 이산화염소, 아염소산염, 차아염소산염, 과망간산염, 황산염, 무수크롬, 크롬산염 및 과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산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액은 수산화염, 아민계열 화합물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흡수 증진제를 포함하는 것인,
    유해가스 제거장치.
KR1020200018805A 2020-02-17 2020-02-17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KR10230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805A KR102302888B1 (ko) 2020-02-17 2020-02-17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805A KR102302888B1 (ko) 2020-02-17 2020-02-17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948A true KR20210104948A (ko) 2021-08-26
KR102302888B1 KR102302888B1 (ko) 2021-09-23

Family

ID=7746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805A KR102302888B1 (ko) 2020-02-17 2020-02-17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888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071A (ko) * 2001-07-25 2003-02-05 주식회사 얼라이브텍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및 이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 방법
KR20030047406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와 mdea를 이용한 코크스오븐가스중의 황화수소흡수효율 향상방법
KR20110074225A (ko) * 2009-12-24 2011-06-30 크린시스템스코리아(주) 유해가스 처리용 흡수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 방법
KR101550639B1 (ko) * 2014-10-24 2015-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산성 가스 제거용 흡수제 및 산성 가스 제거 방법
KR101702831B1 (ko) * 2016-06-17 2017-02-06 (주)금강기계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제거
KR20170118213A (ko) * 2015-03-20 2017-10-24 베이징 보위안 헝셩 하이-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가스의 탈질 공정 및 설비
KR20180045956A (ko) * 2016-10-26 2018-05-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혼합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32387B1 (ko) * 2019-04-05 2019-10-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질된 활성탄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재생용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방법
KR20200009913A (ko) * 2018-07-20 2020-01-30 한국전력공사 산성가스 분리용 혼합 흡수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0071A (ko) * 2001-07-25 2003-02-05 주식회사 얼라이브텍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및 이에 의한 유해가스 제거 방법
KR20030047406A (ko) * 2001-12-10 2003-06-18 주식회사 포스코 안수와 mdea를 이용한 코크스오븐가스중의 황화수소흡수효율 향상방법
KR20110074225A (ko) * 2009-12-24 2011-06-30 크린시스템스코리아(주) 유해가스 처리용 흡수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해가스 처리 방법
KR101550639B1 (ko) * 2014-10-24 2015-09-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산성 가스 제거용 흡수제 및 산성 가스 제거 방법
KR20170118213A (ko) * 2015-03-20 2017-10-24 베이징 보위안 헝셩 하이-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가스의 탈질 공정 및 설비
KR101702831B1 (ko) * 2016-06-17 2017-02-06 (주)금강기계 질소산화물 및 황산화물의 제거
KR20180045956A (ko) * 2016-10-26 2018-05-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혼합가스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9913A (ko) * 2018-07-20 2020-01-30 한국전력공사 산성가스 분리용 혼합 흡수제
KR102032387B1 (ko) * 2019-04-05 2019-10-1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개질된 활성탄을 포함하는 이산화탄소 흡수제 재생용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를 포집하는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3, Vol. 9, No.2(200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888B1 (ko)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59878B2 (en) Exhaust gas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CA2801169C (en) Air pollu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WO2013053109A1 (zh) 氧化法去除废气中氮氧化合物、硫氧化物和汞的工艺及其设备
CN108176208B (zh) 一种配合前置氧化技术的高效的湿法脱硝剂
KR102114062B1 (ko) 폴리올 복합용액으로 가스 중의 SOx를 제거하는 방법
MXPA05013459A (es) Metodo para la recuperacion de co2 a partir de corrientes de
KR101724358B1 (ko) 오존 산화 및 습식 스크러버를 이용한 질소산화물과 황산화물의 동시 제거방법
CN105289228B (zh) 一种工业烟气协同脱硫脱硝方法
CN103736373A (zh) 一种氧化镁同时脱硫脱硝脱汞的烟气处理方法及装置
CN104801160A (zh) 一种结合湿法脱硫技术降低中小型工业燃煤锅炉烟气中氮氧化物的方法
CN110052142B (zh) 一种分流臭氧氧化协同吸收烟气脱硫脱硝的装置和方法
KR102302888B1 (ko) 유해가스 제거용 흡수액을 사용한 유해가스의 제거방법
CN101376080A (zh) 不锈钢酸洗工艺废气净化处理方法
CN110090538A (zh) 一种氧化自由基湿法烟气脱硫脱硝方法
CN109126431A (zh) 液相吸附式氧化还原法烟气脱硝的装置及方法
JPH01164422A (ja) 工業用炉装置の廃ガスから酸性成分および窒素酸化物を除去する方法
CN107261805A (zh) 一种烟囱烟气脱硫脱硝专用联氨溶液及其制备方法
CN111001278A (zh) 一种湿法脱硝工艺
CN108905407A (zh) 复合烟气脱硫脱硝脱白超低排放处理的方法
CN211987967U (zh) 一种烧结烟气脱硫脱硝系统
KR100550603B1 (ko) 건식으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087018A (ko) So3 제거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처리장치
CN106559989A (zh) 烟道气流中氮氧化物的处理
KR100406510B1 (ko) 산화촉매를 이용한 질소산화물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
KR20150030262A (ko)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 위한 오존 및/또는 과산화수소를 갖는 아민 함유 세정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