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363A -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363A
KR20210104363A KR1020200019001A KR20200019001A KR20210104363A KR 20210104363 A KR20210104363 A KR 20210104363A KR 1020200019001 A KR1020200019001 A KR 1020200019001A KR 20200019001 A KR20200019001 A KR 20200019001A KR 20210104363 A KR20210104363 A KR 2021010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lock
concrete
press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0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5352B1 (en
Inventor
김경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라스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라스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라스택
Priority to KR1020200019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352B1/en
Publication of KR2021010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3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3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intless block and a method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block through a press molding technique, which can make masonry blocks to prevent appearance of joints, unlike general blocks where joints cannot be avoided due to masonry blocks made by filling the mortar between the blocks, by creating an invisible space between the blocks, and filling the invisible space with mortar. In order to solve the disadvantages of concrete blocks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injection method released for jointless construction, the rigidity of a support jaw surrounding a mortar filling groove is secured through the press molding technique while retaining the groove for filling the mortar inside the block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lock capable of preventing a backward fall phenomenon and at the same time inserting the masonry reinforcement materials into the mortar filled portion.

Description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TECHNICAL FIELD [0002]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줄눈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블록사이에 몰탈을 충전하여 블록을 조적함으로써 줄눈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는 일반 블록과 다르게, 블록과 블록 사이에 보이지 않는 공간을 마련하고 보이지 않는 공간에 몰탈을 충전 함으로써 외관상 줄눈이 생기지 않도록 블록을 조적할 수 있는 무줄눈 블록 및 이러한 블록을 프레스 성형 기법을 통해 제조 할 수 있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joint block that can be constructed without a join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it is different from a general block in which joints cannot be avoided by filling the blocks with mortar and masonry between the blocks. The purpose of this is to provide an invisible space and filling the invisible space with mortar to provide a no-joint block capable of masonry blocks so that no joints appear on the outsid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manufacture these blocks through the press molding technique. .

블록을 쌓아 벽면을 형성하는 조적 공사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쌓기 방식이 존재한다.There are various types of stacking methods as a method for performing masonry construction to form walls by stacking blocks.

이 중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직육면체의 블록과 블록 사이를 몰탈(mortar)로 충전하여 석재들을 결합시키고, 각 블록과 몰탈 사이의 접합부를 채우는 줄눈 시공을 통해 내구성을 보강하는 시공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Among these, the most common method is a construction method of reinforcing durability by filling the block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mortar to combine the stones and filling the joint between each block and mortar.

그러나 이러한 줄눈은 피가열물로서 가장 침식 받기 쉬운 부분일 뿐만 아니라 줄눈이 침해 받아 벽돌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안전 측면에 있어서는 줄눈의 폭은 가능한 얇거나 없는 것이 유리하다고 할 수 있다.However, these joints are not only the parts that are most susceptible to erosion as a heating object, bu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bricks may fall due to the intrusion of the joints, so it is advantageous to have the width of the joints as thin or not as possible in terms of safety.

그 뿐만 아니라 외관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줄눈 없이 시공된다면 석재 재질로 시공한 것과 같은 심미적인 효과나 고급스러운 느낌을 불러 일으키기 때문에 무줄눈 시공이 더 선호되는 경향이 존재한다.Not only that, but also in terms of appearance, if it is constructed without joints, there is a tendency to prefer non-joint construction because it evokes the same aesthetic effect or luxurious feeling as if it was constructed with stone materials.

그러나 기존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는 경우 몰탈을 이용하여 줄눈 없이 시공하기는 불가능하고, 몰탈 대신 접착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조적 하는 무줄눈 시공 방식은 존재하나 일반적인 줄눈 시공 방식에 비해 시공이 어렵고 및 내구성 문제가 존재하는 등의 문제로 시공을 기피하는 상황이 다수 존재한다.However, in the case of using an existing concrete block,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without a joint using mortar, and there is a joint-free construction method that uses an adhesive instead of mortar to masonry a concrete block, but compared to a general joint construc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and has durability problems. There are many situations where construction avoids construction due to problems such as the existence of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무줄눈 시공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블록이 몇 가지 종류로 출시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사출방식으로 제작되어 몰탈 충전 홈을 둘러싼 지지턱 부분의 강성이 보장되지 않아 해당 부분이 쉽게 깨지는 등의 고질적인 품질 측면의 문제점이 존재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several types of concrete blocks for the purpose of joint-free construction have been released in the past, but they are all manufactured by injection method, so the rigidity of the supporting jaw surrounding the mortar filling groove is not guaranteed, so the part is easily broken. There are chronic quality problems such as

또한 종래의 무줄눈 시공을 목적으로 한 콘크리트 블록은 사출 방식으로 제작되어 코너(corner) 부분을 시공할 수 있는 블록을 별도로 생산할 수 없는 기술적인 한계가 존재하였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crete block for the purpose of joint-free construction was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ethod, and there was a technical limitation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separately produce a block capable of constructing a corner part.

이뿐만 아니라 전면과 후면의 지지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조적조 보강 자재들을 몰탈 부분에 삽입하여 외벽에 고정하거나 강성을 확보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crete block having both front and rear support sills, masonry reinforcement materials were inserted into the mortar and fixed to the exterior wall or rigidity could not be secured.

또한 전면의 지지턱만 가지고 있는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에는 뒷면에 지지하는 부분이 없어 몰탈 부분이 블록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무른 관계로 시공 시 또는 시공 후 무른 몰탈 부분으로 블록이 넘어가는 일명 넘어짐 현상이 일어나 시공 자체가 어렵고 시공하더라도 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문제들이 존재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crete block having only the front support sill, there is no supporting part on the back side, so the mortar part is relatively softer than the block part. There were problems with a high possibility of defects even though they were difficult to construct.

본 발명은 무줄눈 시공을 위해 출시된 종래 사출 방식으로 제작된 콘크리트 블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프레스 성형 방식을 통해 블록 내부에 몰탈을 충전하기 위한 홈을 보유하면서도 몰탈 충전 홈을 감싸는 지지턱의 강성을 확보하고, 이 뿐만 아니라 뒤로 넘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동시에 조적조 보강 자재들을 몰탈 충분 부분에 삽입할 수 있도록 설계된 후면 지지 돌기를 포함한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shortcomings of the concrete block manufactured by the conventional injection method released for jointless construc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roove for filling the mortar inside the block through the press molding method, while retaining the rigidity of the support jaw surrounding the mortar filling groove It is intended to provide a press-forming-based anti-tumble joint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cluding a rear support protrusion designed to secure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외부에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하단부와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전면 지지턱을 포함하는 블록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동일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 후면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U자 형태의 측면홈을 포함하는 블록 측면부; 상기 블록 전면부 및 후면부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직사각 형태의 블록 하단부;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위치한 상기 전면 지지턱과 후면 지지 돌기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접착용 몰탈이 충전되는 상단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crete block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duced by press-molding, the non-joint block based on the press-molding is press-molded. a block front part including a front lower part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thickness and a front supporting jaw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nd thickness as the front lower part; a block rear portion including a rear lower portion formed in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front portion and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having the same height and thickness as the front support jaw; a block side portion having a U-shaped side groov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block and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 lower end of a rectangular block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lock at right angle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upper groov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depth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block, and filled with mortar for bondin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후면부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block may have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at regular interval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at an interval of 50 mm to 180 mm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end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하나가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be located one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and one may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locat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may have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의 길이의 2/3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position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may be 2/3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하단면 넓이가 돌기 상단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돌기 하단면에서 돌기 상단면으로 이어지는 각 돌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t least one of the protrusion side surfaces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of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constant curv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 측면은, 돌기 전면, 돌기 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 후면은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기 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side is composed of a protrusion front surface, a protrusion rear surface, a protrusion left surface, and a protrusion right surface, and the protrusion rear surface i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respectively, and the protrusion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the left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right surface of the projection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a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돌기 상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 하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안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upp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side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facing outward, and the protrusion low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side may be formed to have an inward curv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40~80mm,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64~104mm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may have a length of 40 to 80 m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 length of 64 to 104 m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30~50mm, 상기 후면 지지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42~62mm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may have a length of 30 to 50 m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 length of 42 to 62 m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블록 측면부 중 일 측면이 U자 형태의 측면홈 대신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두께의 측면 지지턱을 가지고, 상기 측면 지지턱과 전면 지지턱이 ㄱ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lock side portion has a side support jaw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ront support jaw instead of a U-shaped side groove, and the side support jaw and the front support jaw are connected in a L shape. can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은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상기 긁어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상기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press forming includes: injecting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U-shaped side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using a scraping frame connected to a transfer press to scrape off the concrete located in the scraping port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ving the scraping frame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craping direction to collect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scraped portion to the edge portion; forming a front support jaw and a rear support protrusion by applying press molding and vibration molding to the edge portion using a mold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and demolding the mold to produce a concrete block.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11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includes putting the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cuboid having U-shaped side grooves on both sides, and the scraping out step is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It can be scraped off so that the rim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figure 11 in the plate-shaped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한쪽 측면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includes putting the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a U-shaped side groove is formed on only one side, and the scraping out step is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It can be scraped so that the rim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are formed in a U-shape in the plate-shaped mol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긁어냄 틀은 상기 판형 몰드 내의 긁어짐 부분의 콘크리트를 긁어내고 남은 콘크리트는 다시 테두리 부분에 모아지도록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ping frame may have a certain shape to scrape the concrete of the scraped portion in the plate-shaped mold and the remaining concrete to be collected again at the ed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금형은 상기 테두리 부분에 모아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may have a form capable of press-molding a front support jaw and a rear support protrusion having a certain rigidity using the concrete collected on the edg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방식을 통하여 콘크리트 벽돌을 제조함으로써 몰탈 충전 홈을 감싸는 지지턱 및 지지돌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support jaw and the support protrusion surrounding the mortar filling groove by manufacturing the concrete brick through the press forming method.

또한 종래 사출 방식으로는 제조할 수 없는 코너 부분에 사용 가능한 'ㄱ'자 형태의 지지턱을 성형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를 성형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ld a 'L'-shaped support jaw that can be used in a corner that cannot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injection method, and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can be molded.

이렇게 강성이 확보된 성형된 후면 지지 돌기를 이용하여 조적조 보강 자재를 몰탈 충분 부분에 삽입 가능하면서도 넘어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By using the formed rear support protrusion that has secured rigidity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masonry reinforcing material into the sufficient portion of the mortar while provid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alling phenomenon.

도 1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 시 발생하는 뒤로 넘어짐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코너 부분 시공 시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지지 돌기의 일 실시 예를 더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상단면과 돌기 하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조적할 시 블록 측면부의 u자 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접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구조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 하기 전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ckward fall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injection-type jointless concrete block.
FIG. 2 is a view showing a cut surface during construction of a corner part of a conventional injection-type jointless concrete block.
3 is a view show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an embodiment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shown in FIG. 3 .
5 is a view show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view showing the top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jection of the rear support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masonry us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filling and bonding of mortar in the u-shaped groove of the block side portion when masonry of the press-formed base for preventing fall-free join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masonry structure us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press m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step before pouring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 step of putting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 step of scraping off the concrete located in the scratched port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a step of collecting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scratched portion to the ed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a step of forming a front support jaw and a rear support protrusion by applying press molding and vibration molding to the ed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view illustrating a step of demolding a mold to produce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 press-molded-based anti-fall joint block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 한정하고 있는 수치는 블록 하단면의 가로 길이 500mm, 세로 길이 90mm, 높이 70mm인 콘크리트 블록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크기가 다른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크기와 비례하여 한정된 수치도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numerical value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based on a concrete block having a horizontal length of 500 mm, a vertical length of 90 mm, and a height of 70 mm at the bottom of the block. and can be applied.

도 1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시공 시 발생하는 뒤로 넘어짐 현상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backward fall phenomenon that occu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conventional injection-type jointless concrete block.

도 1을 참조하면 무줄눈 시공을 위하여 종래에 존재하는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해당 블록을 여러층 쌓아 올리면, 쌓아 올릴수록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한 몰탈 충전 부분이 눌려 몰탈 충전 부분 방향으로 넘어진 현상이 발생하여 조적된 구조의 강건성이 매우 취약하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 when the block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using conventional non-joint concrete blocks for joint-free construction, the mortar filling part, which has relatively weak bearing capacity, is pressed and fell in the direction of the mortar filling part as it is piled up. As a result, the robustness of the masonry structure becomes very weak.

도 2은 종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의 코너 부분 시공 시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a cut surface during construction of a corner part of a conventional injection-type jointless concrete block.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사출형 무줄눈 콘크리트 블록은 사출 방식의 한계로 인하여 사선 또는 측면 부분의 지지대를 성형할 수 없어 직사각형 형태로 되어 있는 블록의 일 단을 코너 부분에 맞도록 사선으로 절단하고 절단면을 맞붙여 시공하여 왔다.Referring to FIG. 2 , in the conventional injection-type jointless concrete block, one end of the rectangular block is cut diagonally to fit the corner part because the support of the diagonal or side part cannot be molded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injection method. It has been constructed by pasting the cut surfaces.

그러나 이렇게 블록을 사선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금 또는 미세한 균열이 생겨 전체 강성 및 내구성이 약화되고, 절단면이 맞붙은 자리에는 틈이 발생하여 물이나 얼음으로 인해 틈이 더 벌어서 전체 구조의 약화를 필연적으로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하여 왔다.However, in the process of cutting the block diagonally in this way, cracks or microcracks are generated, which weakens the overall rigidity and durability. There have been problems that may be caused.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블록 전면부(100), 블록 후면부(200), 블록 측면부(300), 블록 하단부(400), 상단홈(5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block front part 100, the block rear part 200, the block side part 300, the block lower part 400, the upper part of the block front part 100, the block rear part 200, the block top It may include a groove 500 .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양 측면에 U자 홈이 존재하는 일반형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the press molding may be a general type fall prevention joint block having U-shaped grooves on both sides thereof.

블록 전면부(100)는 외부에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전면 하단부(110)와 전면 하단부(110)와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전면 지지턱(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 front part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front lower end 110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and constant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ront supporting jaw 120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nd thickness as the front lower end 110. ca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지지턱(120)은 전면 하단부(110)의 상단에 위치하고 동일한 두께로 하나의 면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jaw 120 may be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front lower part 110 and connected to one surface with the same thicknes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면 지지턱(120)은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jaw 120 may have a thickness of 15 mm.

블록 후면부(200)는 블록 전면부와 동일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후면 하단부(210)와 전면 지지턱(120)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 rear portion 200 may include a rear lower portion 210 formed in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front portion of the block and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having the same height and thickness as the front support jaw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210)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r more rear support protrusions 220 may be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21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지지 돌기(220)는 1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may have a thickness of 15 mm.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실시 예에 따르면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3개의 후면 지지 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라고 무줄눈 블록 조적 시 후면에 조적 되는 블록을 지지할 수 있으며, 후면 지지 돌기(220)사이에 조적조 보강 자재가 들어갈 수 있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라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all prevention joint block may include three rear support protrusions 2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supported, and if the masonry reinforcing material can be inserted betwee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0, one or more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여기서 조적조 보강 자재란 내단열 방식의 조적 시공 시 골조 또는 콘크리트 벽에 고정하여 콘크리트 블록이 조적된 구조인 조적조를 연결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철물을 의미한다.Here, the masonry reinforcing material refers to a hardware that can be fixed to a frame or a concrete wall to connect and fix the masonry, a structure in which concrete blocks are masonry, when constructing masonry using an insulation-resistant metho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조적조 보강 자재는 사각고리와 블록 메쉬를 연결하는 연결판 또는 하중 분상을 위한 철제 또는 아연 앵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 시공 시 고정력 및 하중 분상, 강성 향상 들을 위해 몰탈 접합부에 삽입할 수 있는 자재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onry reinforcing material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connecting plate connecting the square ring and the block mesh, or an iron or zinc angle for load distribu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During construction, any material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mortar join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to improve the fixing force, load division, and rigidity.

여기서 사각 고리는 고정철물과 연결판을 연결하여 수직하중의 분산, 조적조의 수평유지를 할 수 있는 보강 자재를 의미하며, 고정 철물이란 콘크리트 벽체 또는 단열재가 설치된 벽에 고정하여, 조적조에 연결할 수 있는 철물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quare ring refers to a reinforcing material that can distribute the vertical load and maintain the level of the masonry by connecting the fixed hardware and the connecting plate. It could mean iron.

또한 블록 메쉬란 콘크리트 블록의 몰탈 접합부에 매몰되어 고정 철물과 연결판을 연결할 수 있는 철선 또는 아연 강선을 이용하여 격자 구조로 형성된 보강자제를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ck mesh may refer to a reinforcing material formed in a lattice structure using an iron wire or zinc steel wire that is buried in the mortar joint of the concrete block and can connect the fixed iron and the connecting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지지 돌기(220)는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may have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end at an interval of 50 mm to 180 mm.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무줄눈 시공 시 콘크리트 블록을 깨지 않으면서도 콘크리트 블록 내의 몰탈이 충전된 접합부에 적조 보강 자재를 삽입하여 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 사이에 조적조 보강 자재들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the masonry reinforcement between at least one or more rear support protrusions 220 so that reinforcement work can be performed by inserting a red tide reinforcing material into the junction filled with mortar in the concrete block without breaking the concrete block during jointless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ize in which the materials can be inserted.

따라서 상기 실시 예에 있어서 후면 지지 돌기(220) 사이의 간격은 삽입되는 가장 작은 자재인 연결판(가로 50mm)의 크기보다 크고, DMR??S 앵글의 최대 크기인 180mm, DMR??S 앵글의 최대 가로 길이인 200mm보다 크거나 같게 하여 앵글 삽입에 유리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gap betwee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0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nnecting plate (width 50mm), which is the smallest material to be inserted, and the maximum size of the DMR??S angle is 180mm, the DMR??S angle. It may be advantageous for angle insertion by making it larger than or equal to the maximum horizontal length of 200mm.

그러나 내부 실험 결과에 따르면 콘크리트 조적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500mm의 길이를 가지는 콘크리트 블록의 사이즈로 본 발명의 무줄눈 블록을 생성하는 경우 후면 지지 돌기(220) 사이의 간격이 180mm보다 간격이 클 경우에는 후면 지지 돌기(220)의 크기가 한계 이상으로 작아져 상대적으로 지지력 및 강성 저하가 생길 가능성이 존재한다.However, according to the internal test results, when the jointles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with the size of a concrete block having a length of 500 mm generally used for concrete masonry,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0 is greater than 180 mm, Since the size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is smaller than the limi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earing capacity and rigidity may be relatively decreased.

이를 보완하고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할 수 있다.In order to supplement th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at an interval of 50 mm to 180 mm.

블록 측면부(300)는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U자 형태의 측면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ock side portion 300 may include a U-shaped side groov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block and having a constant curvatu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U자 형태의 측면홈의 너비는 40mm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U-shaped side groove may be 40 mm.

블록 하단부(400)는 블록 전면부 및 블록 후면부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직사각 형태일 수 있다.The block lower end 400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being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lock front portion and the block rear portion, respectively, and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하단부(400)는 가로 500mm, 세로 90mm의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lower end 400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of 500 mm in width and 90 mm in length.

상단홈(500)은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위치한 전면 지지턱과 후면 지지 돌기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접착용 몰탈이 충전될 수 있다.The upper groove 5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block, and may be filled with mortar for bonding.

여기서 소정의 깊이란 전면 지지턱(120)과 후면 지지 돌기(2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깊게 파일 수 있다.Here, the predetermined depth may be equal to or deeper than the heights of the front support jaw 120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단홈(500)은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전면 지지턱(120)과 후면 지지 돌기(220)를 제외한 모든 부분을 대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groove 500 may be formed on the top of the concrete block for all parts except for the front support sill 120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후면 지지 돌기의 일 실시 예를 더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in more detail an embodiment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shown in FIG. 3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220)는 후면 하단부 상단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222, 223)하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하나(221)가 위치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220 is locat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222, 223), and one (221)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can be loca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는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2 and 223 locat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rear portion may have a relatively shorter length than the rear support projections 22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의 경우는 조적조 구성 시 좌우 측에 조적 되는 무줄눈 블록의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와 맞닿아 연결되어 충분한 지지력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2 and 223, which are locat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one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of the jointless block to be masonry on the left and right when the masonry is constructed. This is because it is connected to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2 and 223 to provide sufficient suppo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는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의 길이의 2/3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2 and 223 locat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may be 2/3 of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have.

후면 지지 돌기는 원활한 조적조 보강 자재 삽입의 측면에 있어서는 길이가 짧을수록 좋으나, 일정 이상 짧아지는 경우 지지력 및 강성 저하가 초래될 수 있다. The shorter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in terms of smooth insertion of the masonry reinforcing material, however, if it becomes shorter than a certain amount, the bearing capacity and rigidity may be reduced.

따라서 내부 실험 결과에 따라 원활한 조적조 보강 자재 삽입 공간을 확보하면서도 지지력 및 강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222, 223)와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의 길이는 최소한 2:3의 비율로 제작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in order to secure support and rigidity while ensuring a smooth insertion space for masonry reinforc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ternal experiments,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2 and 223 located one at each end and the rear surfac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The length of the support protrusion 221 may be manufactured in a ratio of at least 2:3.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5 is a view show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제2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은 코너 부분을 마감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The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the press moldin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to finish the corner por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블록 측면부(300) 중 일 측면이 U자 형태의 측면홈 대신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두께의 측면 지지턱(310)을 가지고, 측면 지지턱(310)과 전면 지지턱(110)이 ㄱ자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ide of the block side portion 300 has a side support jaw 310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ront support jaw instead of a U-shaped side groove, and the side support jaw ( 310) and the front support jaw 110 may be connected in a L shape.

상기 제2 실시 예에 따르면 측면 지지턱(310)과 전면 지지턱(110)이 ㄱ자 형태로 연결되어 코너 부분을 틈 없이 마감할 수 있어 조적조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side support jaws 310 and the front support jaws 110 are connected in a L-shape, so that the corner portions can be finished without gaps, thereby improving the rigidity and durability of the masonry masonry.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상단면과 돌기 하단면을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 6 is a side view showing the top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jection of the rear support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하단면(231) 넓이가 돌기 상단면(232)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i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lower end surface 231 of the protrusion may be relatively wider than the area of the upper surface 232 of the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1)는 후면 지지 돌기의 강성 확보 및 직각 일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방지를 위하여 돌기 측면을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돌기 측면을 곡면 도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도록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232)의 길이가 40~80mm, 돌기 하단면(231)의 길이가 64~104mm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221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may have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on the side of the protrusion to secure rigidity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and prevent damage that may occur when it is at a right angle. In this case, th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have a length of 40 to 80 m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2 and a length of 64 to 104 m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1 so as to form the protrusion side as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하단부 상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222, 223)는 후면 지지 돌기의 강성 확보 및 직각 일 때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의 방지를 위하여 돌기 측면을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력을 유지하면서도 돌기 측면을 곡면 도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도록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30~50mm, 돌기 하단면(231)의 길이가 42~62mm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pport protrusions 222 and 223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art have the protrusion side curved or inclined in order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and prevent damage that may occur when it is at a right angle. In this case, the rear support protrusion has a length of 30-50 m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a length of 42-62 mm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231 so as to form the protrusion side as a curved or inclined surface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ing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후면 지지 돌기의 돌기 하단면(231)은 두께가 15mm, 돌기 상단면(232)은 두께가 12mm 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lower surface 231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have a thickness of 15 mm, and the protrusion upper surface 232 may have a thickness of 12 mm.

또한 돌기 하단(231)면에서 돌기 상단면(232)으로 이어지는 각 돌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룰 수 있으며, 이는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protrusion side of each protrusion side extending from the protrusion lower end 231 surface to the protrusion upper surface 232 may be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 constant curvatur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후면 지지 돌기의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르면 각 돌기 측면은 돌기 전면, 돌기 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중 돌기 후면은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직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돌기 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protrusion side may be composed of a protrusion front surface, a protrusion rear surface, a protrusion left surface, and a protrusion right surface, of which the protrusion rear surface is at right angl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respectively.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jection, the left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right surface of the projection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rojection a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돌기 상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241)되며, 돌기 하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안을 향하도록 형성(242)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top surface and the protrusion side may be formed to have a curvature 241 toward the outside, and the protrusion bottom surface and the protrusion side may be formed 242 so that the curvature faces inward.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 masonry us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이 조적된 조적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과 같이 무줄눈 벽돌을 엇갈리게 쌓고 상단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다수의 무줄눈 블록을 넘어짐 현상 없이 조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t is a view showing a masonry in which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asonry, and 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jointless blocks are stacked alternately and mortar is filled in the upper groove. can be masonry without falling over.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조적할 시 블록 측면부의 U자 홈에 몰탈을 충전하여 접합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9 is a view showing the filling and bonding of mortar in the U-shaped groove of the side of the block when masonry of the block for preventing the fall of the press-formed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무줄눈 벽돌을 엇갈리게 쌓고 상단홈 U자 형태의 측면홈이 서로 맞닿는 부분에 몰탈을 충전하여 다수의 무줄눈 블록을 넘어짐 현상 없이 조적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a plurality of non-joint blocks can be masonry without falling over by stacking non-joint bricks alternately and filling the portion where the upper groove U-shaped side grooves abut each other with morta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을 이용하여 조적한 구조의 절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masonry structure us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a press m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이 조적된 조적조는 엇갈리며 쌓아질 수 있으며 상단홈 및 U자 형태의 측면홈에 몰탈이 충전되어 조적되고 후면 지지돌기는 몰탈 부분이 눌려 뒤로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지지력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 the masonry masonry in which the fall prevention joint block of the press-forming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asonry can be stacked alternately, and the upper groove and the U-shaped side groove are filled with mortar and masonry,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is The mortar part may have a bearing force to prevent it from falling backwards by being pressed.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ll prevention joint block based on press mo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다(S10).Concrete is put into the plate-shaped mold (S1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crete may be poured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n which U-shaped side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여기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는 도 12와 같이 소정의 깊이를 가진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epth as shown in FIG. 12 .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 하기 전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step before pouring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직육면체 중 가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양 측면 중 하나 또는 양 측면 모두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될 수 있다.12 ,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haped side groove may be formed on one or both side surface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relatively short horizontal length.

또한 도 13과 같이 다수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수 있다.In addition, concrete can be put into a plurality of plate-shaped molds as shown in FIG. 13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ep of putting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직육면체 중 가로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양 측면 중 하나 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몰드와 양 측면 모두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몰드가 나타나 있으며, 도 13과 같이 다수의 몰드가 나란히 배치되어 콘크리트를 투입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a mold in which a U-shaped side groove is formed on only one of both sides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relatively short horizontal length and a mold in which a U-shaped side groove is formed on both sides are shown. of molds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concrete can be poured.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낸다(S20).The concrete located in the scratched port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is scrap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2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4 is a view showing a step of scraping off the concrete located in the scratched port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4와 같이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이용하여 콘크리트가 투입된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4 , using a scraping frame connected to a transfer press, it is possible to scrape off the concrete located at the scratching part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into which the concrete is p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여기서 긁어짐 부분은 콘크리트가 투입되어 콘크리트로 가득 채워진 판형 몰드의 내부에 있어 지지턱 및 지지돌기 성형을 위해 남겨놓은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scratched part may refer to the remaining part except for the rim 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left for forming the support jaw and the support protrusion in the inside of the plate-shaped mold filled with concrete and filled with concrete.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콘크리트를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판형 몰드 내에 11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when concrete is put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cuboid having U-shaped side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s of the plate-shaped mold at regular intervals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It can be scraped off to form a figure 11 shape inside.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콘크리트를 한쪽 측면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는 경우에는,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낼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4, when concrete is put into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plate-shaped mold in which a U-shaped side groove is formed on only one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dge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are It can be scraped so that it is formed in a U-shape in the plate-shaped mold.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준다(S30).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scratched part is collected as the edge part (S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긁어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the scraping frame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craping direction,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scratched portion to the edge por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step of collecting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scratched portion to the ed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라 긁어냄 틀로 긁어짐 부분을 긁어내면 깔끔하게 모두 긁어지지 아니하고 불가피하게 남은 콘크리트 찌꺼기들이 남게 되는바, 상대적으로 강성이 필요한 지지턱 및 지지 돌기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지턱 및 지지 돌기를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테두리 부분에 모아 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 when the scraped part is scraped off with a scrap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scraping is not neatly scraped, and the remaining concrete residues are inevitably left. In order to do this, it can be gathered in the rim part used to form the support jaw and the support protrus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긁어냄 틀은 판형 몰드 내의 긁어짐 부분의 콘크리트를 긁어내고 남은 콘크리트는 다시 테두리 부분에 모아지도록 일정한 형상을 이룰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aping frame may have a certain shape to scrape the concrete of the scratched portion in the plate-shaped mold and the remaining concrete to be collected again at the edge portion.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한다(S30).Press molding and vibration molding are applied to the edge portion to form a front support jaw and a rear support protrusion (S3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하여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be formed by applying press molding and vibration molding to the edge portion using a mold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금형은 테두리 부분에 모아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ld may be in a form capable of press-molding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having a certain rigidity using the concrete collected at the edge por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6 is a view showing a step of forming a front support jaw and a rear support protrusion by applying press molding and vibration molding to the edge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6과 같이 테두리 부분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해 지표면 방향으로 찍어 눌러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6 ,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may be press-molded by pressing the edge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ground surface using a mold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한다(S40).A concrete block is created by demolding the mold (S40).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17 is a view illustrating a step of demolding a mold to produce a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도 17과 같이 금형를 탈형하여 다수의 콘크리트 블록을 한번에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crete blocks can be created at once by demolding the mold as shown in FIG. 17 .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devices and/or methods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ollowing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7)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블록은,
외부에 노출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정한 두께를 가진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하단부와 동일한 길이와 두께로 형성된 전면 지지턱을 포함하는 블록 전면부;
상기 전면부와 동일한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후면 하단부와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높이와 두께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를 포함하는 블록 후면부;
상기 콘크리트 블록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일정한 곡률을 가지는 U자 형태의 측면홈을 포함하는 블록 측면부;
상기 블록 전면부 및 후면부와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된 직사각 형태의 블록 하단부; 및
상기 콘크리트 블록 상단에 위치한 상기 전면 지지턱과 후면 지지 돌기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소정의 깊이를 구비하고 형성되며 접착용 몰탈이 충전되는 상단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In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shaped concrete block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oduced by press molding,
The concrete block is
a block front portion including a front lower e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and constant thick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ront supporting jaw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nd thickness as the front lower end;
a block rear portion including a rear lower portion formed in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front portion and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having the same height and thickness as the front support jaw;
a block side portion having a U-shaped side groov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oncrete block and having a constant curvature;
a lower end of a rectangular block connecte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block at right angle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press-molded base for preventing fal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redetermined depth and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at the top of the concrete block and includes an upper groove filled with adhesive mortar. joint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후면부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ck rear portion,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is a press-molded anti-fall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면 지지 돌기가 50mm~180mm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rear support projection,
At least one rear support protrusion on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ortion is a press-molding-based anti-fall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itioned at an interval of 50 mm to 180 m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며,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According to claim 3, The rear support projection,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and one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or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보다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is a press-molding-based anti-fall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is relatively shorter than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양 끝단에 하나씩 위치하는 후면 지지 돌기는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면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의 길이의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6. The method of claim 5,
The back support protrusion positioned one at each end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is 2/3 the length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lower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하단면 넓이가 돌기 상단면의 넓이보다 상대적으로 넓고. 상기 돌기 하단면에서 돌기 상단면으로 이어지는 각 돌기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의 돌기 측면이 일정한 곡률을 이루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support projection,
The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t least one protrusion side of each protrusion side leading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protrusion to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is a press-molding-based anti-fall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forming a constant curva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측면은,
돌기 전면, 돌기 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 후면은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직각으로 연결되고, 상기 돌기 전면, 돌기 좌측면, 돌기 우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상기 돌기 하단면 및 돌기 상단면과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According to claim 7, The projection side,
It consists of the front side of the projection, the rear side of the projection, the left side of the projection, and the right side of the projection.
The rear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connected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top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rojection, the left surface of the projection, and the right surface of the projection is a curved surface or an inclined surface. A fall-resistant joint block based on a press-formed fea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상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바깥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 하단면과 돌기 측면은 곡률이 안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trusion top surface and the protrusion side are formed so that the curvature faces outward, and the protrusion bottom surface and the protrusion side are formed so that the curvature faces inwar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중앙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40~80mm,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64~10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8. The method of claim 7,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part is a press-molded anti-fall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40 to 80 mm, and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64 to 104 m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하단부 상단의 양 끝단에 위치한 후면 지지 돌기는 돌기 상단면의 길이가 30~50mm, 상기 후면 지지 돌기 하단면의 길이가 42~6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ar support protrusion locat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rear lower end has a length of 30-50 m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nd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support protrusion is 42-62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측면부 중 일 측면이 U자 형태의 측면홈 대신 상기 전면 지지턱과 동일한 두께의 측면 지지턱을 가지고, 상기 측면 지지턱과 전면 지지턱이 ㄱ자 형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of the block side portion has a side support jaw having the same thickness as the front support jaw instead of a U-shaped side groove, and the side support jaw and the front support jaw are formed to be connected in a L-shape. of anti-tumble joint blocks.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이용하여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을 제외한 긁어짐 부분에 위치하고 있던 콘크리트를 길이 진행 방향으로 긁어 내는 단계;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긁어냄 틀을 상기 긁어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긁어짐 부분에 남아 있는 콘크리트를 상기 테두리 부분으로 모아주는 단계;
상기 트랜스퍼 프레스에 연결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 테두리 부분에 프레스 성형 및 진동 성형을 가해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금형을 탈형하여 콘크리트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Putting concrete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U-shaped side groove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using a scraping frame connected to a transfer press to scrape off the concrete located in the scratched portion except for the edge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oving the scraping frame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scraping direction to collect the concrete remaining in the scraped portion to the edge portion;
forming a front support jaw and a rear support protrusion by applying press molding and vibration molding to the edge portion using a mold connected to the transfer press; and
Press-molding-based fall prevention joint block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demolding the mold to create a concrete block.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양 측면에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11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Concrete is put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U-shaped side grooves on both sides,
The scraping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molding-based anti-fall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im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are scraped to be formed in the shape of a figure 11 in the plate-shaped mol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를 투입하는 단계는,
콘크리트를 한쪽 측면에만 U자 형태의 측면홈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판형 몰드에 투입하고,
상기 긁어 내는 단계는,
상기 판형 몰드 내부에 위치한 일정 간격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판형 몰드 내에 ㄷ자 형태로 형성되도록 긁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step of pouring the concrete,
Concrete is put into a plate-shaped mol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ith U-shaped side grooves formed on only one side,
The scraping step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ress-forming-based anti-tumble joint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rim portions at regular intervals located inside the plate-shaped mold are scraped to form a U-shape in the plate-shaped mold.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긁어냄 틀은 상기 판형 몰드 내의 긁어짐 부분의 콘크리트를 긁어내고 남은 콘크리트는 다시 테두리 부분에 모아지도록 일정한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craping frame scrapes off the concrete of the scratched portion in the plate-shaped mold, and the remaining concrete is again gathered in the edge por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은 상기 테두리 부분에 모아진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한 강성을 가지는 전면 지지턱 및 후면 지지 돌기를 프레스 성형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성형 기반의 넘어짐 방지 무줄눈 블록 제조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ld is a press-molding-based fall prevention joint block manufactur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hape capable of press-molding the front support jaw and the rear support protrusion having a certain rigidity using the concrete collected in the edge portion.
KR1020200019001A 2020-02-17 2020-02-17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22953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01A KR102295352B1 (en) 2020-02-17 2020-02-17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001A KR102295352B1 (en) 2020-02-17 2020-02-17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363A true KR20210104363A (en) 2021-08-25
KR102295352B1 KR102295352B1 (en) 2021-08-30

Family

ID=77495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001A KR102295352B1 (en) 2020-02-17 2020-02-17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35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581B2 (en) * 1989-02-27 1998-07-02 瀧田 智三郎 Construction method of mating concrete block
JPH11166275A (en) * 1997-12-03 1999-06-22 Katsuya Hiraoka Execution of building and concrete product
KR200415090Y1 (en) * 2006-02-02 2006-04-27 (주)지플러스 Integrated split blocks with no lines in wall
KR20180138315A (en)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삼정비알 Clay bricks that can be construction without masonry joi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1581B2 (en) * 1989-02-27 1998-07-02 瀧田 智三郎 Construction method of mating concrete block
JPH11166275A (en) * 1997-12-03 1999-06-22 Katsuya Hiraoka Execution of building and concrete product
KR200415090Y1 (en) * 2006-02-02 2006-04-27 (주)지플러스 Integrated split blocks with no lines in wall
KR20180138315A (en) * 2017-06-21 2018-12-31 주식회사 삼정비알 Clay bricks that can be construction without masonry j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352B1 (en)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4199B1 (en) Molds for producing masonry units with roughened surface
KR100707134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uilding elements and methods in relation to same
US710088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aking a masonry block with a roughened surface
US20080307740A1 (en) Mold box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block
US20120192522A1 (en) Molds for producing concrete blocks with roughened surfaces; blocks made therefrom; and methods of use
US20060145050A1 (en) Multi-block mold and system
US6978580B1 (en) Solid core concrete block and method of making a concrete block retaining wall
KR102295352B1 (en) Press-molded preventing falling down jointless blo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1503114A (en) Water diversion building block
JP2024029165A (en) Auxiliary parts and construction methods
CN204825542U (en) Multifunctional road square brick
US3427774A (en) Grooved brick construction and composite thereof
CN205530929U (en) Building garbage recovery's foraminiferous building block of three public generating circle head crosss and brickwork thereof
CN212336494U (en) Solid brick capable of being built to form wall with firm structure
CN205444643U (en) Building garbage recovery's foraminiferous building block of four generating circle head crosss and brickwork thereof
CN205382617U (en) Building garbage recovery's foraminiferous building block of two hectogram generating circle head crosss and brickwork thereof
CN212176323U (en) Concrete supporting cushion block
EP2781654B1 (en) Paver block
JP3240771U (en) concrete block for retaining wall
CN217325448U (en) Brickwork side form with high-efficient tight function of clamp
CN212763987U (en) Grass planting brick based on baking-free brick machine manufacturing
JP2007070876A (en) Coping block
US6991206B1 (en) Concrete block mold with improved stripping ability
CN211775714U (en) Wall pouring formwork set
CN205476008U (en) Brickwork that three tenon right angle building blocks and building block were built by laying bricks or st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