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4139A -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의 양자화를 통한 tbs 결정 - Google Patents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의 양자화를 통한 tbs 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4139A
KR20210104139A KR1020217022946A KR20217022946A KR20210104139A KR 20210104139 A KR20210104139 A KR 20210104139A KR 1020217022946 A KR1020217022946 A KR 1020217022946A KR 20217022946 A KR20217022946 A KR 20217022946A KR 20210104139 A KR20210104139 A KR 20210104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er
information bits
ninfo
wireless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페이 블랑켄십
사라 샌드버그
마티아스 앤더슨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210104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6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 H04L1/000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format by modifying the frame l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송기 또는 수신기(620, 670)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은,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400, 410)하는 것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402, 412)하는 것으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것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404, 414)하는 것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416) 또는 수신(406)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의 양자화를 통한 TBS 결정
본 출원은,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의 양자화를 통한 TBS 결정"으로 명명된 2019년 1월 1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792,756호의 우선권을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통합된다.
본 개시 내용은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TBS: Transport Block Size) 결정과 관련된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는 5세대(5G)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무선 인터페이스를 연구하는 진행 중인 스터디 아이템이 있다. 이 새로운 및 다음 세대 기술을 표시하기 위한 용어는 아직 수렴되지 않았으므로, 용어 뉴 라디오(NR: New Radio) 및 5G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더욱이, 기지국은 향상된 또는 진화된 노드B(eNB) 대신 NR 기지국(gNB)으로서 언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용어 전송-수신-포인트(TRP)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슬롯 구조
NR 슬롯은 다수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로 이루어진다. 현재 합의에 따르면, NR 슬롯은 ≤ 60kHz OFDM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7 또는 14 심볼 및 > 60kHz OFDM 서브캐리어 스페이싱에 대한 14 심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14 OFDM 심볼을 갖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Ts및 Tsymbol은 슬롯 및 OFDM 심볼 지속 기간을 각각 표시한다. 추가적으로, 슬롯은 다운링크(DL)/업링크(UL) 과도 주기 또는 DL 및 UL 전송 모두를 수용하기 위해서 단축될 수 있다. 잠재적인 변형을 도 2에 나타낸다.
더욱이, NR은 또한 미니-슬롯을 규정한다. 미니-슬롯은 슬롯보다 단축되고, 소정의 심볼에서 시작할 수 있다. 현재 합의에 따르면, 미니-슬롯 지속 기간은 1 또는 2 심볼로부터 어떤 슬롯 마이너스 1의 심볼의 수까지될 수 있다. 미니-슬롯은, 슬롯의 전송 지속 기간이 너무 길거나 또는 다음 슬롯 시작(슬롯 정렬)의 발생이 너무 늦으면, 사용된다. 미니-슬롯의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것 중에서, 레이턴시 크리티컬 전송 및 라이센스되지 않은 스펙트럼을 포함하는데, 여기서, 전송은 리슨 비포 톡(LBT)이 성공한 후 즉시 시작해야 한다. 레이턴시 크리티컬 전송의 경우, 미니-슬롯 길이 및 미니-슬롯의 빈번한 기회는 중요하다. 라이센스되지 않은 스펙트럼의 경우, 미니-슬롯의 빈번한 기회는 특히 중요하다. 일례의 미니(mini)-슬롯을 도 3에 나타낸다.
제어 정보
PDCCH(물리적인 다운링크 제어 채널)가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 예를 들어 다운링크 스케줄링 할당 및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대해서 NR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PDCCH는 슬롯의 시작에서 전송되고, 동일한 또는 나중의 슬롯과 관련된다. 미니-슬롯의 경우, PDCCH는 정규 슬롯 내에서 전송될 수 있다. PDCCH의 다른 포맷(사이즈)은 다른 DCI 페이로드 사이즈 및 다른 애그리게이션 레벨, 즉, 주어진 페이로드 사이즈에 대한 다른 코드 레이트를 핸들링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 장비 장치(UE: User Equipment device)는 다른 애그리게이션 레벨 및 DCI 페이로드 사이즈의 PDCCH 후보에 대해서 감시(즉, 서치)하도록 암시적으로 및/또는 명시적으로 구성된다. DCI가 UE가 감시하도록 지시된 아이덴티티(ID)를 포함하는 후보의 성공적인 디코등에 의해서 유효한 DCI 메시지를 검출함에 따라서, UE는 DCI를 따른다. 예를 들어, UE는 DCI에 따라서 대응하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 또는 업링크로 전송한다.
NR에서는, 현재, 다수의 UE에 의해서 수신되는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을 도입할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채널은 "그룹 공통 PDCCH"로서 언급된다. 이러한 채널의 정확한 내용은 현재 논의 중이다. 이러한 채널에서 배치될 수도 있는 정보의 하나의 예는, 슬롯 포맷에 관한 정보, 즉, 소정의 슬롯이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인지, 슬롯의 어떤 부분이 UL 또는 DL인지에 관한 정보; 동적인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시스템에서 유용하게 될 수 있는 정보이다.
전송 파라미터 결정
DCI는, 어떻게 다운링크 전송을 수신 또는 업링크로 전송할지를 UE에 명령하는 다수의 파라미터를 반송한다.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롱 텀 에볼루션(LTE) DCI 포맷 1A은, 물리적인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에 대한 로컬화된/분산된 가상 자원 블록(VRB) 할당 플래그, 자원 블록 할당, 변조 및 코딩 방안(MCS), 하이브리드 자동 반복 요청(HARQ) 프로세스 수, 새로운 데이터 인디케이터(NDI), 리던던시 버전 및 전송 전력 제어(TPC) 커맨드와 같은 파라미터를 반송한다.
UE가 시스템에서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한 키 파라미터 중 하나는 채널 코딩 및 변조되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TBS)로서 언급되는 데이터의 사이즈이다. LTE에 있어서, TBS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UE는 MCS 테이블로부터 TBS 인덱스 ITBS를 판독하기 위해서 DCI에 의해서 주어진 MCS를 사용한다. 일례의 MCS 테이블을 테이블 1에 나타낸다. UE는 DCI 내에 주어진 자원 블록 할당으로부터 NPRB와 같은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를 결정한다.
UE는 TBS 테이블로부터 실재 TBS를 판독하기 위해서 TBS 인덱스 ITBS 및 PRB의 수 NPRB를 사용한다. TBS 테이블의 부분은 일례로서 테이블 2에 나타낸다.
테이블 1 LTE 변조 및 코딩 방안(MCS) 테이블
Figure pct00001
테이블 2 LTE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TBS) 테이블( 디멘전은 27 x 110)
Figure pct00002
LTE 접근은 이하 기술된 바와 같이, 몇몇 문제를 갖는다.
문제 1: LTE TBS 테이블은 각각의 할당된 PRB 내의 사용 가능한 자원 엘리먼트(RE)의 수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을 위한 OFDM 심볼의 수에 대한 특정 상정으로 원래 설계되었다. 다른 양의 기준 심볼 오버헤드를 갖는 다른 전송 모드가 LTE에서 나중에 도입되었을 때, 이는, 새로운 전송 모드에 대해서 최적화하기 위해서 또 다른 TBS 테이블을 규정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결국, 3GPP의 컴퍼니들은 몇몇 제한된 경우에 대해서 최적화하기 위해서 LTE TBS 테이블 내에 몇몇 새로운 로우(row)를 도입함으로써 타협했다. 즉, 명시적인 TBS 테이블 접근은 LTE 시스템의 계속적인 에볼루션 및 개선을 방해한다.
문제 2: 데이터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기존 접근에 있어서는 다른 슬롯 사이즈 또는 구조와 함께 높은 성능 동작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LTE에서의 서브프레임이 다양한 사이즈로 될 수 있으므로, LTE 시스템에서 널리 공지된 문제이다. 정규 서브프레임은 다른 사이즈의 제어 영역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데이터 영역에 대해서 다른 사이즈를 남긴다. TDD LTE는 TDD 특별한 서브프레임의 다운링크 부분(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에서 다른 사이즈를 지원한다. 서브프레임의 다양한 다른 사이즈는 테이블 3에서 요약된다.
그런데, LTE MCS 및 TBS 테이블은, 11 OFDM 심볼이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사용 가능하다는 상정에 기반해서 설계된다. 즉,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PDSCH)에 대한 사용 가능한 OFDM 심볼의 실재 수가 11과 다를 때, 전송의 스펙트럼의 효율은 테이블 4에 나타낸 것으로부터 벗어날 것이다. 먼저, 코드 레이트는, PDSCH에 대한 OFDM 심볼의 실재 수가 실질적으로 상정된 11 심볼 미만일 때 과도하게 높게 되는 것에 유의하자. 이들 경우는 테이블 4에서 어두운 그늘로 강조된다. LTE에 있어서, UE는 0.930보다 높은 효과적인 코드 레이트로 소정의 PDSCH 전송을 디코딩하는 것이 기대되지 않는다. UE가 이러한 높은 코드 레이트를 디코딩할 수 없게 될 것이므로, 이들 어두은 그늘 MCS에 기반한 전송은 실패할 것이고 재전송이 필요하게 될 것이다. 둘째로, 무선 자원 상정의 미스매치와 함께, 일부 MCS에 대한 코드 레이트는 광대역 무선 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범위 밖으로 벗어난다. 일례로서 다운링크 전송에 대한 광범위한 링크 성능 평가에 기반해서, 직교 위상 시프트 키잉(QPSK QPSK) 및 16 직교 진폭 변조(QAM 16QAM)에 대한 코드 레이트는 0.70보다 높지 않게 되어야 한다. 더욱이, 16QAM 및 64QAM에 대한 코드 레이트는 0.32 및 0.40 각각보다 낮지 않게 되어야 한다. 덜 그늘진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 4 내의 일부 MCS는 서브-최적의 코드 레이트로 귀결한다.
전송이 불안정한 또는 서브-최적의 코드 레이트에 기반할 때 데이터 처리량이 감소하므로, 기지국에서의 양호한 스케줄링 구현은 테이블 4에 나타낸 소정의 그늘진 MCS를 회피해야 한다. PDSCH에 대한 OFDM 심볼의 실재 수가 상정된 11 심볼로부터 벗어날 때, 사용 가능한 MCS의 수는 상당히 줄어드는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테이블 3: LTE에서 PDSCH()에 대한 OFDM 심볼의 사용 가능한 수
Figure pct00003
테이블 4 LTE에 있어서 데이터 전송을 위한 OFDM 심볼의 다른 수를 갖는 코드 레이트
Figure pct00004
문제 3: 상기된 바와 같이, NR에 대한 슬롯 구조는 UE가 수신 또는 전송하기 위해서 할당된 자원의 양의 매우 큰 범위와 함께 더 유연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TBS 테이블을 설계하는 기반은 상당히 감소된다.
상기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예를 들어, NR에 대해서 TBS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필요가 있다.
전송기 또는 수신기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은,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하는 것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하는 것으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2-to-the-power of a third integ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것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로서 또는 이에 기반해서 계산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 될 수 있으면, 제로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4정수는 5와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를 계산하고 계산된 2진 로그에 기반함으로써 더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의 플로어(floor)를 계산함으로써 더 획득될 수 있고, 그러므로, 계산하는 것에 기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제4정수에 의해서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감소시킴으로써 더 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사용해서 더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정수는 라운드 함수(round function)를 사용해서 더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제2정수에 의해서 Ninfo의 선형 함수를 나눔으로써 도출될 수 있는 변수의 라운드 함수를 사용해서 더 획득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채널이 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노드(radio node)는,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하는 동작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하는 동작으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동작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동작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로서 계산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 될 수 있으면, 제로로 설정될 수 있다.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노드는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노드로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및/또는 이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는,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하는 동작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하는 동작으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동작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동작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로서 계산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 될 수 있으면, 제로로 설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기지국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UE)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통합되고 이의 부분을 형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개시의 다수의 측면을 도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개시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1은 14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을 갖는 서브프레임을 나타낸다;
도 2는 잠재적 슬롯 변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례의 미니-슬롯을 도시한다;
도 4a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수신을 위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TBS)를 결정 및 사용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4b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전송을 위한 TBS를 결정 및 사용하기 위한 기지국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5a, 5b 및 5c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MIMO 구성에 대해서 생성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의 그래프이다;
도 5d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인접한 TBS 사이의 차이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5e는, 일부 실시예에 따라서 생성된 인접한 TBS 사이의 차이의 비율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일례의 무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측면에 따라서 UE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호스트 컴퓨터에 중간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원격 통신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부분적으로 무선 접속을 통해서 UE와 기지국을 통해서 통신하는 호스트 컴퓨터를 도시한다;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묘사한다;
도 16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무선 네트워크) 내의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는, 당업자가 실시예를 실시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나타내고, 실시예를 실시하는 최상의 모드를 도시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뒤따르는 설명을 읽음에 따라서, 당업자는 본 개시의 개념을 이해할 것이고, 특히 여기서 다루지 않는 이들 개념의 적용을 인식할 것이다. 이들 개념 및 적용은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다른 의미가 이것이 사용되는 콘텍스트로부터 명확히 주어지지 않는 한 및/또는 이로부터 의미되지 않는 한 관련 기술 분야에서 그들의 일반적인 의미에 따라서 해석되는 것이다. a/an/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에 대한 모든 언급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엘리먼트, 장치, 컴포넌트, 수단, 단계 등의 적어도 하나의 예를 언급하는 것으로 공개적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방법의 단계는, 단계가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는 또는 선행하는 것으로서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는 한, 개시된 정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이 아니고 및/또는, 암시적으로 단계는 또 다른 단계를 뒤따르거나 또는 선행해야 한다.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실시예의 소정의 형태는, 적합한 경우,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소정의 실시예 중 소정의 장점은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으며, 그 반대도 될 수 있다. 포함된 실시예의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출원에 있어서 용어 사용자 장비 장치(UE), 단말, 핸드셋 등은 인프라스트럭처와 통신하는 장치를 표시하기 위해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용어는 소정의 특정 타입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모든 장치에 적용되며,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기술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관련된 솔루션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유사하게, 기지국은 UE와 통신하는 인프라스트럭처 내의 노드를 표시하는 것이 의도된다. 다른 명칭이 적용 가능하게 될 수 있고, 기지국의 기능성은 또한 다양한 방식으로 분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프로토콜의 부분이 종단하는 무선 헤드 및 무선 프로토콜의 다른 부분에 종단하는 중앙 집중화된 유닛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구현을 구분하지 않을 것이고; 대신, 용어 기지국은 본 개시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든 대안적인 아키텍처를 언급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고려된 일부 실시예가,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해서 더 완전히 기술될 것이다. 그런데, 다른 실시예가 본 개시의 주제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본 개시에 개시된 주제는 여기에 설명된 실시예에만 제한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에게 본 주제의 범위를 전달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에서 사용되는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TBS) 결정과 관련된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테이블 대신 수식을 통해 공식을 통해서 TBS를 결정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TBS가 결정되는 하나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o υ는 코드워드가 매핑되는 계층의 수이고;
o
Figure pct00006
는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PDSCH)을 반송하기 위해서 사용 가능한 슬롯/미니-슬롯 당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이며;
o NPRB는 할당된 PRB의 수이며;
o 변조 순서(Qm) 및 타깃 코드 레이트(R)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에서 시그널링된 IMCS에 기반한 변조 및 코딩 방안(MCS)으로부터 판독되고;
o C의 일례의 값은, TBS가 8의 배수인 것을 보장하도록 8이다.
여기서, NPRB,
Figure pct00007
, υ, Qm, R은 DCI를 통해서 시그널링되거나 또는 더 높은 계층을 통해서 구성된다. 다른 공식이 또한 가능하다.
RAN1#90bis에서, 다음 합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생성하기 위해서 만들어지고:
정보 비트의 "중간" 수
Figure pct00008
를 계산하고, 여기서,
υ는 계층의 수이고,
Qm은, MCS 인덱스로부터 획득된 변조 순서이며,
R은 MCS 인덱스로부터 획득된 코드 레이트,
NRE는 자원 엘리먼트의 수이다.
NRE = Y * #PRBs_scheduled
슬롯 내의 NRE(RE의 수)를 결정할 때:
X = 12* #OFDM_symbols_scheduled - Xd - Xoh를 결정
Xd = 스케줄링된 지속 기간 내의 #REs_for_DMRS_per_PRB
Xoh = CSI-RS, CORESET 등으로부터 오버헤드를 고려. UL에 대한 하나의 값, DL에 대한 하나.
Xoh는 세미-정적으로 결정된다.
사전 규정된 세트의 값 중 하나로 X를 양자화, Y [8] 값으로 귀결. 이는, 모든 전송 지속 기간 동안 적절한 정확성을 위해서 허용되어야 하고, 스케줄된 심볼의 수에 의존할 수 있다.
X의 양자화는 플로어(floor), 세일링(ceiling) 또는 일부 다른 양자화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양자화 단계는, 동일한 TB 사이즈가, 재전송을 위해서 사용된 계층의 수에 관계없이, 전송과 재전송 사이에서 획득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Xd는 계층의 수에 독립적이어햐 한다.
실제 TB 사이즈는 채널 코딩 결정에 따라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단일 LDPC(Low-Density Parity-Check) 기본 그래프에 대한 TBS를 설계할 때 동일한 사이즈 코드 블록을 달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는 것이다. 공식을 고려하자:
Figure pct00009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이 기술될 수 있는데:
Figure pct00010
여기서 TBS0는 스케줄링 자원, MCS 및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구성에 따라서 결정된 실제 TBS의 근사이다:
Figure pct00011
일반적으로, TBS0은 희망하는 대략적인 TBS에 대한 소정의 공식을 통해서 결정될 수 있다. 어떻게 TBS0를 결정할지의 또 다른 예는 LTE TBS 테이블과 같은 룩업 테이블에서 이를 발견하는 것이다.
코드 블록의 수(C)는 LTE와 유사한 다음의 방식으로 결정되는 것으로 상정하자. 코드블록의 총 수(C)는 다음에 의해서 결정된다:
TBS + L1 ≤ Z이면
코드블록의 수: C = 1
그렇지 않으면
코드블록의 수:
Figure pct00012
End if
C = 1이면, L1 CRC 비트는 각각의 트랜스포트 블록에 첨부된다. C > 1이면, L2 CRC 비트는 각각의 트랜스포트 블록에 첨부되고 및 L3 추가적인 사이클릭 리던던시 체크(CRC) 비트는 세그먼테이션 후 각각의 코드블록에 첨부된다. Z는 CRC 비트를 포함한 최대 코드블록 사이즈이다. L1, L2, 및 L3의 일부 예 값은 0, 8, 16, 또는 24이다. 일부 또는 모든 L1, L2, 및 L3는 동일하게 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TBS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C = 1이면
Figure pct00013
그렇지 않으면
Figure pct00014
End if.
A의 일례의 값은, TBS가 8의 배수인 것을 보장하도록 8이다. A의 또 다른 예의 값은 1이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TBS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C = 1이면
Figure pct00015
그렇지 않으면
Figure pct00016
End if.
여기서 lcm(C, A)는 A 및 C의 최소 공배수이다. A의 일례의 값은, TBS가 8의 배수인 것을 보장하도록 8이다. A의 또 다른 예의 값은 1이다.
소정의 CRC 비트를 부가한 후, 트랜스포트 블록이 가장 큰 가능한 코드블록 사이즈보다 크면, 트랜스포트 블록은 다수의 코드블록으로 세그먼트될 필요가 있다. LTE에서 본 절차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Technical Specification) 36.212 V13.2.0(2016-06) 섹션 5.1.2에 설명되어 있다. 유사한 절차가 뉴 라디오(NR)에서도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NR에 대해서 규정된 LDPC 코드의 2개의 세트가 있다. 하나의 세트는 ~8/9로부터 1/3까지의 코드 레이트 및 8448까지의 블록 길이에 대해서 설계되고, BG#1으로도 불리는 기본 그래프 #1로서 언급된다. 다른 세트는 ~2/3로부터 1/5까지의 코드 레이트 및 3840까지의 블록 길이에 대해서 규정되고 기본 그래프 #2 또는 BG#2로서 언급된다. 이들 LDPC 코드가 설계된 것보다 낮은 레이트로 사용될 때, 반복 및 체이스 결합(chase combining)이 더 낮은 코딩 레이트를 달성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현재, 소정의 도전(들)이 존재한다. 특히, NR에서 큰 수의 가능한 파라미터 조합에 기인해서, Ninfo의 큰 수의 가능한 값이 있게 되는데, 여기서, Ninfo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이다. 기존 합의에 따라서 TB 사이즈(TBS)를 직접 결정하기 위해서 Ninfo를 사용할 때, 이는, TBS의 큰 수의 가능한 값으로 귀결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TBS 값은 적은 수의 다른 구성과 관련된다. 이는, 재전송이 초기 전송과 다른 구성을 사용하면, 재전송 동안 동일한 TBS에 대해서 스케줄하기 어렵게 한다.
본 개시의 소정 측면 및 그들 실시예는, 상기 문제 또는 다른 도전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을 고려하는 TBS 결정 절차가 적용되기 전에 Ninfo는 양자화된다. 양자화는 그리드로서 2의 거듭제곱을 사용한다.
소정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다음의 기술적인 장점(들)을 제공할 수 있다. Ninfo의 양자화를 사용하면, TBS의 가능한 값의 수는 상당히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TBS 값은 큰 수의 구성과 관련된다. 이는, 재전송 동안 동일한 TBS에 대해서 스케줄하기 용이하게 하고, 여기서, 재전송은 초기 전송과 다른 구성을 사용할 수 있다. 재전송을 위한 더 큰 스케줄링 유연성과 함께, 희망하는 곳에 가깝게 MCS 인덱스 및 자원 할당을 선택할 수 있는 찬스가 더 높아진다. 이는, 차례로, 전체 시스템 처리량을 개선한다.
TBS 결정을 위한 Ninfo의 양자화
이 논의에 있어서는, 전체 트랜스포트 블록이 전송 또는 재전송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로부터 계산되는데, 이는, 차례로, 자원 할당, MCS, 및 MIMO 계층의 수에 의존한다. 이하, 정보 비트의 중간 수, 즉, 대략적인 TB 사이즈를 Ninfo로 표시한다. 어떻게 TBS가 Ninfo로부터 결정되는지는, 기본 그래프 모두 또는 이들 중 하나만이 전송기 및 수신기에서 구현되는지에 의존한다.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계산하기 위해서, 다수의 파라미터가 규정될 것이다.
Xoh: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값의 세트가 규정될 필요가 있다. Xoh에 대한 가능한 값의 세트는 슬롯 대 미니-슬롯, DL 대 UL을 고려해야 한다. 양자화가 Y에 적용되므로, Xoh에 대해서 설정할 많은 값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Y 값의 세트는 Xoh보다 더 직접적으로 Ninfo에 영향을 준다. 다음을 제안한다.
DL에 대해서, 양호한 추정치는: 스케줄되는 OFDM 심볼의 수가 7보다 적으면, Xoh = 6(RE), 그렇지 않으면 Xoh = 12(RE).
UL에 대해서, Xoh = 12 또는 24(RE)
Y: Y 값의 세트는 Ninfo의 값의 세트를 결정한다. 미니-슬롯 및 슬롯, DL 및 UL을 고려해서 8 값의 다음 세트를 제안한다.
Y = 12 * [2 4 6 7 8 10 11 12]
LDPC에 대해서 수행된 단계와 함께 TBS는 다음 절차를 사용해서 결정된다.
단계 1:
Figure pct00017
에 의해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계산.
단계 2: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2n의 가장 가까운 배수로 라운드:
Figure pct00018
여기서
Figure pct00019
즉, n의 값은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의 선형 함수에 기반해서 계산된다. 특히, n의 값은, Ninfo의 2진 로그로부터 정수 값을 감산함으로써 획득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의 선형 함수로서 계산된다. n의 값은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Ninfo의 2진 로그가 감소되었던 정수 값 미만이면, 제로로 설정된다. 특별한 실시예에 있어서, 정수 값은 5와 동일하다. 이하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접근은 낮은 값의 Ninfo에 대해서 양호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 3: MAC 계층에 대한 최종 TBS 값(TBS1)으로 TBS0을 더 조정하는데, 여기서 TBS1은 BG #1이 상정될 때 바이트-정렬된 코드 블록의 정수 수로 세그먼트될 수 있다.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계산은 UL(즉, PUSCH, 또는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채널) 및 DL(즉, PDSCH, 또는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 모두에 적용되는 것에 유의하자. 유사하게, 단계 1 - 단계 3은 PDSCH 및 PUSCH 모두에 적용된다.
TBS에 대한 1, 2, 및 4 MIMO 계층을 고려할 때, TBS1 분산은 도 5a에 나타낸다. 2개의 인접한 TBS1 값 사이의 차이를 도 5b에 나타낸다. 도 5c는, 2n에 의해서 라운딩하는 것에 기인해서, 2개의 인접한 TBS1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는 더 큰 TBS에 대해서 최대 3%인 것을 입증한다.
상기 논의에 기반해서, 다음 접근이 제공된다.
Y 값의 세트는 8 값들을 갖는다: 12 * [2 4 6 7 8 10 11 12].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는 스케줄링에서 사용된 TBS 값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2n의 가장 가까운 배수로 라운드된다.
TBS 결정은, 상기 주어진 바와 같이 입력으로서 Ninfo를 취하는, 및 바이트-정렬되고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 후 동일-사이즈의 코드 블록을 제공하는 최종 TBS를 출력하는 공식-기반 접근이다. 초기 전송의 레이트에 의존해서 사용하는 어떤 기본 그래프를 결정하는 합의는, TBS를 계산할 때 사용하는 어떤 최대 코드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므로, 코드 블록이 세그먼테이션 후 동일한 사이즈가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 단계 2 및 단계 3에 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이다.
단계 2:
NR에서 TBS는 공식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LTE에서와 같이 허용된 TB 사이즈의 거친 그리드를 갖는 것은 중요하다. LTE에 있어서, TBS 테이블에서 발견된 최대 TBS는 391,656 비트이고 고유 허용된 TB 사이즈의 총 수는 237이다. 거친 TBS 그리드를 갖는 이유는, 상기된 바와 같이, 할당 또는 MCS 인덱스에 작은 변화가 있을 때도, 재전송의 제어 정보가 초기 전송에서와 동일한 TBS에 대응하도록 재전송을 스케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단계 3:
합의에 따르면, 본 방법은, 코드 블록 세그먼테이션을 수행할 때 모든 허용된 TB 사이즈가 코드 블록의 수의 배수인 것을 보장한다. 이는, 제로 패딩이 BG1 또는 BG2 세그먼테이션과 함께 필요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아래 절차는, 어떻게 TBS가 TBS0 및 선택된 기본 그래프로부터 결정될 것인지를 기술한다:
기본 그래프 #1이 선택되면
TBS0 + L1 ≤ Z1이면
코드 블록의 수: C = 1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Figure pct00020
그렇지 않으면
코드 블록의 수:
Figure pct00021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Figure pct00022
종료
그렇지 않으면
TBS0 + L0 ≤ Z2이면
코드 블록의 수: C = 1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Figure pct00023
그렇지 않으면
코드 블록의 수:
Figure pct00024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Figure pct00025
종료
종료
L1 = L2 = 24와 함께, L0 = 16, Z1 = 8448, Z2 = 3840, TBS 계산에서 8×C에 의한 곱셈 및 나눗셈은, 동일한-사이즈의 바이트-정렬된 CBS 및, 이에 의해서, 또한, 바이트-정렬된 TBS를 보장한다.
TBS 결정과 기본 그래프 선택 사이의 서큘러(circular) 관계를 회피하기 위해서, 기본 그래프 선택은 TBS 대신 정보 비트의 중간 수에 기반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 결정의 입증(validation)
이 섹션에 있어서, TBS 결정 절차는 발생할 수 있는 TB 사이즈의 세트만 아니라 허용된 TB 사이즈 사이의 상대적인 차이를 나타냄으로써 입증된다. 도 5a, 5b 및 5c는 1, 2 및 4 MIMO 계층 각각에 대해서 발생하는 TB 사이즈를 나타낸다. 이 섹션에 나타낸 도면에 있어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는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Figure pct00026
여기서
o υ는 각각의 도면 내에 나타낸 MIMO 계층의 수에 고정되고,
o
Figure pct00027
는 점유된 OFDM 심볼의 수, CORESET, DMRS 등에 기인하는 오버헤드 등을 고려해서 어떤 범위의 값을 취할 수 있다. 도 1-3의 테스트에 있어서,
Figure pct00028
는 24와 144 사이인 것으로 상정;
o NPRB는 1과 275 사이의 범위,
o Qm, 및 타깃 코드 레이트(R)는 부록에서 MCS 테이블로부터 값을 취한다.
TBS는 상기된 바와 같이 Ninfo로부터 결정되었다. 도면은 발생하는 TBS가 Ninfo 값의 전체 범위를 커버하는 것을 나타낸다.
이제, MIMO 계층의 수가 1로부터 4까지의 범위에 걸칠 때 발생하는 TB 사이즈를 고려하자. 도 5d는 2개의 인접한 TB 사이즈 사이의 차이를 나타내고, TBS를 결정하기 위해서 제안된 공식으로, TBS는 큰 TBS에 대한 증가하는 차이로 규칙적으로 이격되는 것을 나타낸다. 추가적으로, 도 5e는, 동일-사이즈 및 바이트-정렬된 CBS가 BG1에 대해서 시행되었음에도, (TBSj +1 - TBSj)/ TBSj로서 계산된 2개의 인접한 TB 사이의 차이의 비율이 대략 1% 이하임을 나타낸다.
TBS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본 개시에 기술된다. 특히, 무선 노드는 물리적인 채널의 전송을 위한 TBS를 결정하고 결정된 TBS에 따라서 전송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이다. 도 4a는 무선 노드가 물리적인 채널의 전송을 위한 TBS를 결정하고 결정된 TBS에 따라서 전송을 수신하는 예를 도시한다. 무선 노드는 UE가 될 수 있고,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다운링크 채널이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노드는 기지국(gNodeB)이 될 수 있고,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업링크 채널이 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은,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하는 동작(블록 400)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하는 동작으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동작(블록 402)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동작(블록 404)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의 전송을 수신하는 동작(블록 406)을 포함한다.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로서 계산되고,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면, 제로로 설정된다.
도 4b는 무선 노드가 물리적인 채널의 전송을 위한 TBS를 결정하고 결정된 TBS에 따라서 전송을 전송하는 예를 도시한다. 무선 노드는 UE가 될 수 있고,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업링크 채널이 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무선 노드는 기지국(gNodeB)이 될 수 있고,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다운링크 채널이 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은,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하는 동작(블록 410)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하는 동작으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동작(블록 412)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동작(블록 414)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하는 동작(블록 416)을 포함한다.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로서 계산되고,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면, 제로로 설정된다.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가 소정의 적합한 컴포넌트를 사용하는 소정의 적합한 타입의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예의 무선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와 관련해서 기술된다. 단순화를 위해서, 도 6의 무선 네트워크는 네트워크(606), 네트워크 노드(660 및 660B) 및 WD(610, 610B, 및 610C)만을 묘사한다. 실제로,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장치들 사이의 또는 무선 장치와 랜드라인 전화기, 서비스 제공자, 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엔드 장치와 같은 또 다른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서 적합한 소정의 추가적인 엘리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포넌트의, 네트워크 노드(660) 및 무선 장치(WD)(610)는 추가적인 세부 사항으로 묘사된다.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무선 장치 액세스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또는 이를 통해서 제공된 서비스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무선 장치에 통신 및 다른 타입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타입의 통신, 원격 통신, 데이터, 셀룰러,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또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시스템을 포함 및/또는 이들과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특정 표준 또는 다른 타입의 사전 규정된 규칙 또는 절차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의 특정 실시예는, 이동 통신을 위한 글로벌 시스템(GSM), 유니버셜 이동 원격 통신 시스템(UMTS), LTE, 및/또는 다른 적합한 2, 3, 4, 또는 5세대(2G, 3G, 4G, 또는 5G) 표준과 같은 통신 표준; IEEE 802.11 표준과 같은 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WLAN) 표준; 및/또는 마이크로파 액세스에 대한 월드와이드 인터오페라빌리티(WiMax), 블루투스, Z-웨이브 및/또는 ZigBee 표준과 같은 소정의 다른 적합한 무선 통신 표준을 구현될 수 있다.
네트워크(606)는 하나 이상의 백홀 네트워크, 코어 네트워크,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광 네트워크, 광역 네트워크(WAN), 로컬 영역 네트워크(LAN), WLAN, 유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대도시 영역 네트워크, 및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660) 및 WD(610)는 이하 더 상세히 기술된 다양한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이들 컴포넌트는,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것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무선 장치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함께 작업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네트워크는 소정 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제어기, 무선 장치, 중계국 및/또는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통한 데이터 및/또는 신호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이에 참가할 수 있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장치에 대한 무선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이를 제공하기 위해서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기능(예를 들어, 관리)을 수행하기 위해서, 무선 장치와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 내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장비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장비를 언급한다. 네트워크 노드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액세스 포인트(AP)(예를 들어, 무선 액세스 포인트), 기지국(BS)(예를 들어, 무선 기지국, 노드 B, 향상된 또는 진화된 노드B(eNB) 및 NR 노드B(gNB))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이들이 제공하는 커버리지의 양(또는, 달리 말하면, 그들의 전송 전력 레벨)에 기반해서 분류될 수 있고, 그러면 펨토 기지국, 피코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또는 매크로 기지국으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기지국은 릴레이 노드 또는 릴레이를 제어하는 릴레이 도너 노드가 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앙화된 디지털 유닛 및/또는 때때로 RRH(Remote Radio Head)로도 언급되는 RRU(Remote Radio Unit)와 같은 분배된 무선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또는 모든)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원격 무선 유닛은, 안테나 통합된 무선(antenna integrated radio)으로서 안테나와 통합되거나 또는 통합되지 않을 수 있다. 분산된 무선 기지국의 부분은 분산된 안테나 시스템(DAS)에서 노드로서 언급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의 네트워크 노드는, MSR BS와 같은 멀티-표준 무선(MSR) 장비,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는 BS 제어기(BSC)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 기지국 송수신기(BTS), 전송 포인트, 전송 노드, 멀티-셀/멀티캐스트 조정 엔티티(MCE), 코어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이동 스위칭 센터(MSC), 이동 관리 엔티티(MME)), 오퍼레이션 및 메인터넌스(O&M) 노드, 동작 지원 시스템(OSS) 노드, 자체 구성 네트워크(SON) 노드, 포지셔닝 노드(예를 들어, 진화된 서빙 이동 로케이션 센터(E-SMLC)), 및/또는 드라이브 테스트의 최소화(MDT)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로서, 네트워크 노드는, 아래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은 가상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그런데, 네트워크 노드는,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할 수 있는 및/또는 액세스를 갖는 무선 장치를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한 무선 장치에 일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제공하도록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소정의 적합한 장치(또는 장치의 그룹)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660)는 처리 회로(670),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 인터페이스(690), 보조 장비(684), 전력 소스(686), 전력 회로(687), 및 안테나(662)를 포함한다. 도 6의 예의 무선 네트워크 내에 도시된 네트워크 노드(660)가 하드웨어 컴포넌트의 도시된 조합을 포함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음에도, 다른 실시예는 다른 조합의 컴포넌트를 갖는 네트워크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본 개시에 개시된 태스크, 형태, 기능 및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소정의 적합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노드(660)의 컴포넌트가 더 큰 박스 내에 위치된, 또는 다수의 박스 내에 안착된 단일 박스로서 묘사되지만, 실재로, 네트워크 노드는 단일 도시된 컴포넌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다른 물리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예를 들어,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는 다수의 분리의 하드 드라이브만 아니라 다수의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네트워크 노드(660)는 각각이 그들 자체의 각각의 컴포넌트를 가질 수 있는 다수의 물리적인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노드B 컴포넌트 및 RNC 컴포넌트, 또는 BTS 컴포넌트 및 BSC 컴포넌트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660)가 다수의 분리의 컴포넌트(예를 들어, BTS 및 BSC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소정 시나리오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분리의 컴포넌트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 중에서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싱글 RNC는 다수의 노드B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각각의 고유한 노드B 및 RNC 쌍은, 일부 예에 있어서, 단일의 분리의 네트워크 노드로 고려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660)는 다수의 무선 액세스 기술(RAT)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컴포넌트는 듀플리케이트될 수 있고(예를 들어, 다른 RAT에 대한 분리의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일부 컴포넌트는 재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동일한 안테나(662)가 RAT에 의해서 공유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660)는, 또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네트워크 노드(660) 내에 통합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다수의 세트의 다양한 도시된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네트워크 노드(660) 내의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및 다른 컴포넌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처리 회로(6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제공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 계산,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670)에 의해 수행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네트워크 노드 내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67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 및,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을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67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중앙 처리 유닛(CPU),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애플리케이션 특정 통합된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계산 장치의 조합, 자원, 또는 단독으로 또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노드(660) 컴포넌트와 함께 네트워크 노드(66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670)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 또는 처리 회로(67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기능, 또는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670)는 시스템 온 어 칩(SOC: system on a chip)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670)는, 하나 이상의 무선 주파수(RF) 송수신기 회로(6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6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74)는 분리의 칩(또는 칩의 세트), 보드(boards), 또는 무선 유닛 및 디지털 유닛과 같은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67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74)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보드, 또는 유닛 상에 있을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 기지국, eNB 또는 다른 이러한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서 제공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 또는 처리 회로(670) 내의 메모리 상에 기억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670)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이 분리의 또는 이산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67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하던지, 처리 회로(670)는 상기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670) 단독 또는 네트워크 노드(66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로서 네트워크 노드(66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는, 제한 없이, 영구 스토리지, 고체 상태 메모리, 원격 탑재된 메모리, 자기 매체, 광학 매체, 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매스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플래시 드라이브, 컴팩트 디스크(CD)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장치 판독 가능한 및/또는 처리 회로(67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실행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67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및, 네트워크 노드(660)에 의해서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는 처리 회로(670)에 의해서 이루어진 소정의 계산 및/또는 인터페이스(690)를 통해서 수신된 소정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670) 및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8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690)는, 네트워크 노드(660), 네트워크(606) 및/또는 WD(610) 사이의 시그널링 및/또는 데이터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서 사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690)는,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예를 들어, 유선 접속을 통해서 네트워크(606)에 송신 및 이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포트(들)/단말(들)(694)을 포함한다. 인터페이스(690)는, 또한, 안테나(662)에 결합될 수 있는, 또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그 부분이 될 수 있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는 필터(698) 및 증폭기(69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는 안테나(662) 및 처리 회로(670)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는 안테나(662)와 처리 회로(670) 사이에서 통신되는 신호를 컨디셔닝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어야 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는 필터(698) 및/또는 증폭기(696)의 조합을 사용해서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디지털 데이터를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무선 신호는 안테나(662)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662)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67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660)는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대신, 처리 회로(67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분리의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 없이 안테나(662)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모든 또는 일부 RF 송수신기 회로(672)는 인터페이스(690)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690)는 무선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으로서 하나 이상의 포트 또는 단말(694),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2), 및 RF 송수신기 회로(672)를 포함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690)는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74)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는, 디지털 유닛(도시 생략)의 부분이다.
안테나(662)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662)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90)에 결합될 수 있고,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는 소정 타입의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662)는, 예를 들어, 2기가헤르츠(GHz)와 66GHz 사이의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 이상의 전방향의, 섹터, 또는 패널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성의 안테나는 소정의 방향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섹터 안테나는 특별한 영역 내에서 장치로부터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패널 안테나는 비교적 직선으로 무선 신호를 전송/수신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시선 안테나가 될 수 있다. 일부 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안테나의 사용은 MIMO로서 언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662)는 네트워크 노드(66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네트워크 노드(66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662), 인터페이스(690), 및/또는 처리 회로(6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동작 및/또는 소정의 획득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유사하게, 안테나(662), 인터페이스(690), 및/또는 처리 회로(670)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무선 장치, 또 다른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소정의 다른 네트워크 장비에 전송될 수 있다.
전력 회로(687)는,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 또는 이에 결합될 수 있고,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한 전력으로 네트워크 노드(660)의 컴포넌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전력 회로(687)는 전력 소스(686)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력 소스(686) 및/또는 전력 회로(687)는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형태로(예를 들어,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필요한 전압 및 전류 레벨에서) 네트워크 노드(660)의 다양한 컴포넌트에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소스(686)는 전력 회로(687)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660) 내에 포함되거나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660)는 전기 케이블과 같은 입력 회로 또는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에 접속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외부 전력 소스는 전력을 전력 회로(687)에 공급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전력 소스(686)는 전력 회로(687)에 접속된 또는 이것 내에 통합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 형태의 전력의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외부 전력 소스 실패의 경우 백업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광전지의 장치와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66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기능성 및/또는 본 개시에 기술된 주제를 지원하기 위해서 필요한 소정의 기능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의 기능성의 소정의 측면을 제공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는 도 6에 나타낸 것들 이외의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660)는, 네트워크 노드(660) 내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는 및 네트워크 노드(66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노드(660)에 대한 진단, 메인터넌스, 수리, 및 다른 관리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무선 장치(WD)"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다른 무선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구성된, 배열된 및/또는 동작 가능한 장치를 언급한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용어 WD는 본 개시에서 UE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선으로 통신하는 것은, 전자기파, 무선파, 적외선의 파, 및/또는 에어를 통해서 정보를 운반하기 적합한 다른 타입의 신호를 사용해서 무선 신호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는, 직접적인 휴먼 상호 작용 없이, 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D는, 내부 또는 외부 이벤트에 의해서,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에 응답해서, 트리거될 때, 사전 결정된 스케줄 상에서 네트워크에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WD의 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스마트 폰, 모바일 폰, 셀 폰, VoIP(Voice over IP) 폰, 무선 로컬 루프 폰, 데스크탑 컴퓨터,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PDA), 무선 카메라, 게이밍 콘솔 또는 장치, 뮤직 스토리지 장치, 재생 기기, 웨어러블 단말 장치, 무선 엔드포인트, 이동국, 태블릿, 랩탑, 랩탑 매립된 장비(LEE), 랩탑 탑재된 장비(LME), 스마트 장치, 무선 고객 구내 장비(CPE), 차량-탑재된 무선 단말 장치 등을 포함한다. WD는,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V2V(vehicle-to-vehicle), V2I(vehicle-to-infrastructure),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에 대한 3GPP 표준을 구현함으로써 D2D(device-to-device) 통신을 지원할 수 있고, 이 경우, D2D 통신 장치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예로서, IoT(internet of Things)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감시 및/또는 측정을 수행하는 및, 이러한 감시 및/또는 측정의 결과를 또 다른 WD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전송하는 머신 또는 다른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 WD는 머신-투-머신(M2M) 장치가 될 수 있고, 이는 3GPP 콘텍스트에서 머신-타입 통신(MTC) 장치로서 언급될 수 있다. 하나의 특별한 예로서, WD는 3GPP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표준을 구현하는 UE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머신 또는 장치의 특별한 예는, 센서, 전력 미터와 같은 미터링 장치, 산업 기계, 또는, 가정용 또는 개인용 기기(예를 들어, 냉장고, 텔레비전 등의), 퍼스널 웨어러블(예를 들어, 시계, 피트니스 트래커(fitness tracker) 등)이다. 다른 시나리오에 있어서, WD는 그 동작 상태 또는 그 동작과 관련된 다른 기능을 감시 및/또는 보고할 수 있는 차량 또는 다른 장비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무선 접속의 엔드포인트를 나타낼 수 있고, 이 경우, 장치는 무선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된 바와 같은 WD는, 이동(mobile; 모바일)일 수 있고, 이 경우, 이는 또한 무선 장치 또는 이동 단말로서 언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장치(610)는 안테나(611), 인터페이스(614), 처리 회로(620),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 보조 장비(634), 전력 소스(636) 및 전력 회로(637)를 포함한다. WD(610)는, 소수만을 언급해서, 예를 들어, GSM, WCDMA, LTE, NR, WiFi, WiMAX, 또는 블루투스 무선 기술과 같은 WD(610)에 의해서 지원된 다른 무선 기술에 대한 하나 이상의 도시된 컴포넌트의 다수의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무선 기술은 WD(610) 내의 다른 컴포넌트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안테나(611)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또는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인터페이스(614)에 접속된다. 소정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안테나(611)는 WD(6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인터페이스 또는 포트를 통해서 WD(610)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안테나(611), 인터페이스(614), 및/또는 처리 회로(6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됨에 따라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수신 또는 전송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정의 정보, 데이터 및/또는 신호는 네트워크 노드 및/또는 또 다른 WD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 및/또는 안테나(611)는 인터페이스로 고려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614)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 및 안테나(611)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는 하나 이상의 필터(618) 및 증폭기(616)를 포함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4)는 안테나(611) 및 처리 회로(620)에 접속되고, 안테나(611)와 처리 회로(620) 사이에서 통신된 신호를 컨디셔닝하도록 구성된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는 안테나(611) 또는 그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WD(61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고, 오히려, 처리 회로(620)는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611)에 접속될 수 있다. 유사하게,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RF 송수신기 회로(622)는 인터페이스(614)의 부분으로 고려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는 무선 접속을 통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또는 WD로 송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는 필터(618) 및/또는 증폭기(616)의 조합을 사용해서 디지털 데이터를 적합한 채널 및 대역폭 파라미터를 갖는 무선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그 다음, 무선 신호는 안테나(611)를 통해서 전송될 수 있다. 유사하게, 데이터를 수신할 때, 안테나(611)는 무선 신호를 수집할 수 있는데, 이는, 그 다음, 무선 프론트 엔드 회로(612)에 의해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디지털 데이터는 처리 회로(620)로 패스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620)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CPU, DSP, ASIC, FPGA, 또는 소정의 다른 적합한 계산 장치의 조합, 자원, 또는 단독 또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와 같은 다른 WD(610)와 조합해서 WD(610)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인코딩된 로직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은, 본 개시에 논의된 소정의 다양한 무선 형태 또는 이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620)는, 본 개시에 개시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 또는 처리 회로(620) 내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 회로(620)는 하나 이상의 RF 송수신기 회로(6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62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다른 컴포넌트 및/또는 컴포넌트의 다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610)의 처리 회로(620)는 SO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6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6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626)의 일부 또는 모두는 하나의 칩 또는 칩의 세트 내에 결합될 수 있고, RF 송수신기 회로(622)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622) 및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24)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한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626)는 분리의 칩 또는 칩의 세트 상에 있을 수 있다.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622), 베이스밴드 처리 회로(624) 및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626)의 일부 또는 모두는 동일한 칩 세트 또는 칩의 세트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RF 송수신기 회로(622)는 인터페이스(614)의 부분이 될 수 있다. RF 송수신기 회로(622)는 처리 회로(620)에 대한 RF 신호를 컨디셔닝(조정)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WD 또는 UE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가 될 수 있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는 처리 회로(62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성은, 하드-와이어드 방식에서와 같이 분리의 또는 이산의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지 않고, 처리 회로(620)에 의해서 제공될 수 있다. 소정의 이들 특별한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 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던지 안하던지, 처리 회로(620)는 기술된 기능성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에 의해서 제공된 이익은 처리 회로(620) 단독 또는 WD(610)의 다른 컴포넌트에 제한되지 않지만, 전체로서 WD(610)에 의해서 및/또는 일반적으로 엔드 사용자 및 무선 네트워크에 의해서 향유된다.
처리 회로(620)는, WD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서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결정하는, 계산하는, 또는 유사한 동작(예를 들어, 소정의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회로(620)에 의해 수행된 이들 동작은, 예를 들어, 획득된 정보를 다른 정보로 변환하고,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를 WD(610)에 의해서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며, 및/또는 획득된 정보 또는 변환된 정보에 기반해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처리 회로(620)에 의해서 획득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처리의 결과로서 결정을 한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는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하나 이상의 로직, 규칙, 코드, 테이블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처리 회로(6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다른 명령을 저장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는, 컴퓨터 메모리(예를 들어, RAM 또는 ROM), 대용량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제거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예를 들어, CD(Compact Disk) 또는 DVD), 및/또는 소정의 다른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비일시적인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 및/또는 처리 회로(620)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정보, 데이터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컴퓨터 실행 가능한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620) 및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630)는 통합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휴먼 사용자가 WD(610)와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하는 컴포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호 작용은 시각, 청각, 촉각 등과 같은 많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사용자에 대한 출력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WD(610)에 대한 입력을 제공하게 허용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호 작용의 타입은 WD(610) 내에 인스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의 타입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D(610)가 스마트폰이면, 상호 작용은 터치 스크린을 통해서 될 수 있고; WD(610)가 스마트 미터이면, 상호 작용은 사용량(예를 들어, 사용된 갤런 수)을 제공하는 스크린 또는 가청 경보(예를 들어, 스모크가 검출되면)를 제공하는 스피커를 통해서 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WD(610) 내로의 정보의 입력을 허용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회로(620)가 입력 정보를 처리하게 허용하도록 처리 회로(620)에 접속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근접 또는 다른 센서, 키/버튼, 터치 디스플레이, 하나 이상의 카메라, USB 포트, 또는 다른 입력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또한, WD(610)로부터의 정보의 출력을 허용하고, 처리 회로(620)가 WD(610)로부터 정보를 출력하게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는, 예를 들어, 스피커, 디스플레이, 진동 회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헤드폰 인터페이스, 또는 다른 출력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비(632)의, 하나 이상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회로를 사용해서, WD(610)는 엔드 사용자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이들이 본 개시에 기술된 기능성으로부터 이익을 갖도록 허용한다.
보조 장비(634)는, 일반적으로, WD에 의해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는 더 특정된 기능성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이는, 다양한 목적을 위한 측정을 행하기 위한 특화된 센서, 유선 통신과 같은 추가적인 타입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장비(634)의 컴포넌트의 포함 및 타입은 실시예 및/또는 시나리오에 의존해서 변화할 수 있다.
전력 소스(636)는,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배터리 또는 배터리 팩의 형태로 될 수 있다. 외부 전력 소스(예를 들어, 전기 출구), 광전지의 장치 또는 전력 셀과 같은 다른 타입의 전력 소스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WD(610)는, 본 개시에 기술된 또는 표시된 소정의 기능성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력 소스(636)로부터 전력을 필요로 하는 WD(610)의 다양한 부분으로 전력 소스(636)로부터의 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전력 회로(6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637)는,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 관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회로(637)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을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WD(610)는 입력 회로 또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외부 전력 소스(전기 출구와 같은)에 접속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전력 회로(637)는, 또한,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전력 소스로부터 전력 소스(636)로 전력을 전달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전력 소스(636)의 차징을 위한 것이 될 수 있다. 전력 회로(637)는, 전력이 공급되는 WD(610)의 각각의 컴포넌트에 대해서 적합한 전력을 만들기 위해서, 전력 소스(636)로부터의 전력에 대한 소정의 포맷팅, 변환, 또는 다른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기술된 다양한 측면에 따라서 UE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사용됨에 따라서, 사용자 장비 또는 UE는, 관련 장치를 소유 및/또는 동작하는 휴먼 사용자의 의미에서 사용자를 반드시 가질 필요는 없다. 대신, UE는, 특정 휴먼 사용자(예를 들어, 스마트 스프링클러 제어기)와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또는 초기에 관련되지 않을 수 있지만, 휴먼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의도하는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UE는, 사용자(예를 들어, 스마트 스프링클러 제어기)의 이익과 관련될 수 있지만 또는 사용자의 이익을 위해서 동작될 수 있지만 엔드 사용자에 대한 판매 또는 이에 의한 동작을 위해서 의도되지 않은 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UE(7200)는 NB-IoT UE, MTC UE, 및/또는 향상된 MTC(eMTC) UE를 포함하는 3GPP에 의해서 식별된 소정의 UE가 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700)는, 3GPP의 GSM, UMTS, LTE, 및/또는 5G 표준과 같은, 3GPP에 의해서 공표된 하나 이상의 통신 표준에 따라서 통신을 위해서 구성된 하나의 예의 WD이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용어 WD 및 UE는 상호 교환 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이 UE임에도, 본 개시에 기술된 컴포넌트는 WD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고 반대도 가능하다.
도 7에 있어서, UE(7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 RF 인터페이스(709),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711), RAM(717), ROM(719), 및 스토리지 매체(721) 등을 포함하는 메모리(715), 통신 서브시스템(731), 전력 소스(733), 및/또는 소정의 다른 컴포넌트, 또는 이들의 소정의 조합에 동작 가능하게 결합된 처리 회로(701)를 포함한다. 스토리지 매체(7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7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725), 및 데이터(727)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721)는 다른 유사한 타입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UE는 도 7에 나타낸 모든 컴포넌트, 또는 서브세트의 컴포넌트만을 활용할 수 있다. 컴포넌트들 사이의 통합의 레벨은 하나의 UE로부터 또 다른 UE로 변화할 수 있다. 더욱이, 소정의 UE는 다수의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전송기, 수신기 등과 같은 다수의 예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처리 회로(701)는 컴퓨터 명령 및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처리 회로(701)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구현된 상태 머신과 같은 메모리 내의 머신 판독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저장된 머신 명령을 실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소정의 순차적인 상태 머신(예를 들어, 이산 로직, FPGA, ASIC 등의 내부의); 적합한 펌웨어와 함께의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적합한 소프트웨어와 함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DSP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일반 목적 프로세서; 또는 상기 소정의 조합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회로(701)는 2개의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는 컴퓨터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적합한 형태의 정보가 될 수 있다.
묘사된 실시예에 있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또는 입력 및 출력 장치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700)는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를 통해서 출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입력 장치와 동일한 타입의 인터페이스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포트는 UE(700)에 대한 입력 및 이로부터의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출력 장치는, 스피커, 사운드 카드, 비디오 카드, 디스플레이, 모니터, 프린터, 액추에이터, 에미터, 스마트카드, 또 다른 출력 장치,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UE(700)는, 사용자가 UE(700) 내에 정보를 캡처하도록 허용하기 위해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705)를 통해서 입력 장치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 장치는, 터치 민감한 또는 존재 민감한 디스플레이, 카메라(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웹 카메라 등), 마이크로폰, 센서, 마우스, 트랙볼, 방향 패드, 트랙패드, 스크롤 휠, 스마트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존재 민감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해서 용량성 또는 저항성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는, 예를 들어,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틸트(tilt) 센서, 포스(force) 센서, 자력계, 광학 센서, 근접 센서, 다른 유사 센서,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가속도계, 자력계, 디지털 카메라, 마이크로폰, 및 광학 센서가 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RF 인터페이스(709)는 전송기(송신기), 수신기, 및 안테나와 같은 RF 컴포넌트에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711)는 네트워크(743A)에 대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743A)는 LAN, 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원격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743A)는 Wi-Fi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711)는, 이더넷(Ethernet),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IP), 동기의 광학 네트워킹(SONET), 비동기의 전송 모드(ATM)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수신기 및 전송기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인터페이스(711)는 통신 네트워크 링크(예를 들어, 광, 전기 등)에 적합한 수신기 및 전송기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은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RAM(717)은 오퍼레이팅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장치 드라이버와 같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실행 동안 데이터 또는 컴퓨터 명령의 스토리지 또는 캐싱을 제공하기 위해서 처리 회로(701)에 버스(702)를 통해서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OM(719)은 컴퓨터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 회로(701)에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OM(719)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에 저장된 키보드로부터의 키스트로크의 기본 입력 및 출력(I/O), 스타트업, 또는 수신과 같은 기본 시스템 기능을 위한 불변의 낮은-레벨 시스템 코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721)는 RAM, ROM, 프로그램 가능한 ROM(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ROM(EPRO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한 ROM(EEPROM), 마그네틱 디스크, 광학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제거 가능한 카트리지, 또는 플래시 드라이브와 같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스토리지 매체(721)는, 오퍼레이팅 시스템(723), 웹 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 위젯(widget) 또는 가젯(gadget) 엔진 또는 또 다른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725), 및 데이터 파일(727)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721)는, UE(700)에 의한 사용을 위해서, 소정의 다양한 오퍼레이팅 시스템 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조합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721)는,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플래시 메모리, USB 플래시 드라이브, 외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썸 드라이브(thumb drive), 펜 드라이브, 키 드라이브, HD-DVD(high-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내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Blu-Ray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홀로그래픽 디지털 데이터 스토리지(HDDS)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다수의 물리적인 드라이브 유닛, 외부 미니-듀얼 인-라인 메모리 모듈(DIMM), 동기의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DRAM), 외부 마이크로-DIMM SDRAM, 구독자 아이덴티티 모듈 또는 제거 가능한 사용자 아이덴티티(SIM/RUIM) 모듈과 같은 스마트카드 메모리, 다른 메모리,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 매체(721)는, UE(700)가 데이터를 오프-로드하거나, 또는 데이터를 업로드하기 위해서 일시적인 또는 비일시적인 메모리 매체 상에 저장된 컴퓨터-실행 가능한 명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액세스하게 허용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과 같은 제조 물품은 스토리지 매체(721) 내에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는 장치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처리 회로(701)는 통신 서브시스템(731)을 사용해서 네트워크(743B)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743A) 및 네트워크(743B)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들이 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731)은 네트워크(743B)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731)은, IEEE 802.7,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WCDMA), GSM, LTE, 유니버셜 테레스트리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UTRAN), WiMax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또 다른 WD, UE,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치의 하나 이상의 원격 송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해서 사용된 하나 이상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송수신기는 RAN 링크(예를 들어, 주파수 할당 등)에 적합한 전송기 및 수신기 기능성 각각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송기(733) 및/또는 수신기(7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송수신기의 전송기(733) 및 수신기(735) 기능은 회로 컴포넌트,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를 공유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분리해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731)의 통신 기능은 데이터 통신, 보이스 통신, 멀티미디어 통신, 블루투스, 니어-필드 통신과 같은 단거리 통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PS)의 사용과 같은 위치 기반 통신, 또 다른 유사 통신 기능, 또는 그 소정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서브시스템(731)은 셀룰러 통신, Wi-Fi 통신, 블루투스 통신, 및 GPS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743b)는 LAN, WAN, 컴퓨터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원격 통신 네트워크, 또 다른 유사 네트워크 또는 그 소정의 조합과 같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743B)는 셀룰러 네트워크, Wi-Fi 네트워크, 및/또는 니어-필드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전력 소스(713)는 UE(700)의 컴포넌트에 교류(AC) 또는 직류(DC) 전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UE(700)의 하나의 컴포넌트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UE(700)의 다수의 컴포넌트를 가로질러 파티션될 수 있다. 더욱이, 본 개시에 기술된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의 소정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나의 예에 있어서, 통신 서브시스템(731)은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처리 회로(701)는 버스(702)를 통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는, 처리 회로(701)에 의해서 실행될 때, 본 개시에 기술된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기능성은 처리 회로(701)와 통신 서브시스템(731) 사이에서 파티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소정의 이러한 컴포넌트의 비계산적으로 집중적인 기능은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고, 계산적으로 집중적인 기능은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 기능이 가상화될 수 있는 가상화 환경(800)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본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화는, 가상화 하드웨어 플랫폼, 스토리지 장치 및 네트워킹 자원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또는 장치의 가상의 버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됨에 따라서, 가상화는 노드(예를 들어, 가상화 기지국 또는 가상화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장치(예를 들어, UE, 무선 장치 또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통신 장치) 또는 그 컴포넌트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내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인 처리 노드를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 기능, 가상의 머신 또는 컨테이너를 통해서) 기능성의 적어도 부분이 하나 이상의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되는 구현과 관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또는 모든 기능은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노드(830)에 의해서 호스팅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환경(800)에서 구현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에 의해서 실행된 가상의 컴포넌트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가상의 노드가 무선 액세스 노드가 아닌 또는 무선 접속성을 요구하지 않는 실시예에 있어서(예를 들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네트워크 노드는 전적으로 가상화될 수 있다.
기능은, 일부 본 개시에 기술된 실시예의 일부 형태, 기능, 및/또는 이득을 구현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820)(이는, 대안적으로, 소프트웨어 인스턴스, 가상의 기기, 네트워크 기능, 가상의 노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 등으로 불릴 수 있다)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820)은 처리 회로(860) 및 메모리(89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830)를 제공하는 가상화 환경(800)에서 구동한다. 메모리(890)는, 이에 의해서 애플리케이션(820)이 본 개시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형태, 이익, 및/또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동작하는 처리 회로(8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명령(895)을 포함한다.
가상화 환경(800)은, COTS(commercial off-the-shelf) 프로세서, 전용의 ASIC, 또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하드웨어 컴포넌트 또는 특별한 목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소정의 다른 타입의 처리 회로가 될 수 있는, 세트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처리 회로(860)를 포함하는 일반 목적 또는 특별한-목적의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치(830)를 포함한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처리 회로(860)에 의해서 실행된 명령(895) 또는 소프트웨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비-지속적인 메모리가 될 수 있는 메모리(890-1)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물리적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8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로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NIC)(8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는, 또한, 내부에 처리 회로(860)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895) 및/또는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인, 지속적인, 머신-판독 가능한 스토리지 매체(890-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895)는 하나 이상의 가상화 계층(850)(또한, 하이퍼바이저(hypervisor)로서 언급)을 예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소정의 타입의 소프트웨어, 가상의 머신(840)을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만 아니라 본 개시에 기술된 일부 실시예와 관련해서 기술된 기능, 형태 및/또는 이익을 실행하도록 허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머신(840)은, 가상의 처리, 가상의 메모리, 가상의 네트워킹 또는 인터페이스 및 가상의 스토리지를 포함하고, 대응하는 가상화 계층(850) 또는 하이퍼바이저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가상의 기기(820)의 예의 다른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840) 상에서 구현될 수 있고, 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동작 동안, 처리 회로(860)는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화 계층(850)을 예시하기 위해서 소프트웨어(895)를 실행하는데, 가상화 계층은, 때때로, 가상의 머신 모니터(VMM: virtual machine monitor)로서 언급될 수 있다. 가상화 계층(850)은 가상의 머신(840)에 대한 네트워킹 하드웨어 같이 보이는 가상의 오퍼레이팅 플랫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드웨어(830)는 일반적인 또는 특정 컴포넌트를 갖는 독립형의 네트워크 노드가 될 수 있다. 하드웨어(830)는 안테나(8225)를 포함할 수 있고 가상화를 통해서 일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드웨어(830)는 더 큰 클러스터의 하드웨어(예를 들어, 데이터 센터 또는 CPE에서와 같은)의 부분이 될 수 있는데, 여기서, 많은 하드웨어 노드가 함께 작업하고, 다른 것 중에서, 애플리케이션(820)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감독하는 관리 및 오케스트레션(MANO)(8100)을 통해서 관리된다.
하드웨어의 가상화는, 일부 콘텍스트에 있어서,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FV)로서 언급된다. NFV는, 많은 네트워크 장비 타입을, 데이터 센터 및 CPE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산업 표준 대용량 서버 하드웨어, 물리적인 스위치, 및 물리적인 스토리지에 통합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머신(840)은, 이들이 물리적인, 비가상화 머신 상에서 실행되었던 것 같이 프로그램을 구동하는, 물리적인 머신의 소프트웨어 구현이 될 수 있다. 각각의 가상의 머신(840), 및 그 가상 머신을 실행하는 하드웨어(830)의 부분은, 이것이 그 가상의 머신에 전용인 하드웨어 및/또는 그 가상 머신에 의해서 다른 가상의 머신(840)과 공유된 하드웨어이면, 분리의 가상의 네트워크 엘리먼트(VNE)를 형성한다.
여전히 NFV의 콘텍스트에 있어서, 가상의 네트워크 기능(VNF)은 하드웨어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830)의 상단에서 하나 이상의 가상의 머신(840)에서 구동하는 특정 네트워크 기능을 핸들링하는 것을 담당하고, 도 8의 애플리케이션(820)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이 하나 이상의 전송기(8220) 및 하나 이상의 수신기(8210)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유닛(820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8225)에 결합될 수 있다. 무선 유닛(8200)은 하나 이상의 적합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드웨어 노드(830)와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고, 무선 액세스 노드 또는 기지국과 같은, 무선 능력을 가상의 노드에 제공하기 위해서 가상의 컴포넌트와 조합해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일부 시그널링은 하드웨어 노드(830)와 무선 유닛(8200) 사이의 통신을 위해서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어 시스템(8230)의 사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와 같은 액세스 네트워크(911) 및 코어 네트워크(914)를 포함하는 3GPP-타입 셀룰러 네트워크와 같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910)를 포함한다. 액세스 네트워크(911)는 노드B, eNB, gNB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복수의 기지국(912A, 9l2B, 912C)을 포함하고, 각각은 대응하는 커버리지 영역(913A, 9l3B, 913C)을 규정한다. 각각의 기지국(912A, 9l2B, 912C)은 유선 또는 무선 접속(915)을 통해서 코어 네트워크(914)에 접속 가능하다. 커버리지 영역(913C)에 위치된 제1UE(991)는 대응하는 기지국(912C)에 무선으로 접속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페이징되도록 구성된다. 커버리지 영역(913A) 내의 제2UE(992)는 대응하는 기지국(912A)에 무선으로 접속 가능하다. 복수의 UE(991, 992)가 이 예에서 도시되지만, 개시된 실시예는 유일한 UE가 커버리지 영역에 있거나 또는 유일한 UE가 대응하는 기지국(912)에 접속하는 상황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910)는 독립형 서버, 클라우드-구현된 서버, 분산형 서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서버 팜(server farm) 내의 처리 자원으로서 구현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930)에 자체 접속된다. 호스트 컴퓨터(930)는 서비스 제공자의 소유권 또는 제어하에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또는 서비스 제공자 대신 동작될 수 있다. 원격 통신 네트워크(910)와 호스트 컴퓨터(930) 사이의 접속(921, 922)은 코어 네트워크(914)로부터 호스트 컴퓨터(930)로 직접 연장하거나 또는 옵션의 중간 네트워크(920)를 통해서 진행할 수 있다. 중간 네트워크(920)는 공공, 사설 또는 호스팅된 네트워크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이 될 수 있고; 있다면, 중간 네트워크(920)는 백본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중간 네트워크(920)는 2 이상의 서브 네트워크(도시 생략)를 포함할 수 있다.
전체로서 도 9의 통신 시스템은, 접속된 UE(991, 992)와 호스트 컴퓨터(930) 사이의 접속성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성은 OTT(over-the-top) 접속(950)으로서 기술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930) 및 접속된 UE(991, 992)는, 액세스 네트워크(911), 코어 네트워크(914), 소정의 중간 네트워크(920) 및 가능한 또 다른 인프라스트럭처(도시 생략)를 중간자로서 사용해서, OTT 접속(950)을 통해서 데이터 및/또는 시그널링을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OTT 접속(950)은 OTT 접속(950)이 통과하는 참가하는 통신 장치가 업링크 및 다운링크 통신의 라우팅을 인식하지 못하는 의미에서 투명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912)은 접속된 UE(991)에 포워딩(예를 들어, 핸드오버)되는 호스트 컴퓨터(930)로부터 기원하는 데이터를 갖는 인입 다운링크 통신의 과거 라우팅에 관해서 통지받지 않거나 통지받을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유사하게, 기지국(912)은 호스트 컴퓨터(930)를 향해서 UE(991)로부터 기원하는 인출 업링크 통신의 미래의 라우팅을 인식할 필요는 없다.
선행하는 문단들에서 논의된 UE, 기지국 및 호스트 컴퓨터의, 실시예에 따른, 예의 구현이, 이제 도 10을 참조해서 기술될 것이다. 통신 시스템(1000)에서, 호스트 컴퓨터(1010)는 통신 시스템(10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016)를 포함하는 하드웨어(1015)를 포함한다. 호스트 컴퓨터(1010)는 스토리지 및/또는 처리 능력을 가질 수 있는 처리 회로(1018)를 더 포함한다. 특히, 처리 회로(1018)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010)는 호스트 컴퓨터(101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101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01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011)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012)을 포함한다.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012)은 UE(1030) 및 호스트 컴퓨터(10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1050)을 통해서 접속하는 UE(1030)와 같은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원격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012)은 OTT 접속(1050)을 사용해서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1000)은, 원격 통신 시스템 내에 제공되고 이것이 호스트 컴퓨터(1010) 및 UE(103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하드웨어(1025)를 포함하는 기지국(1020)을 더 포함한다. 하드웨어(1025)는 통신 시스템(1000)의 다른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접속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026)만 아니라 기지국(1020)에 의해서 서빙되는 커버리지 영역(도 10에서 도시 생략)에 위치된 UE(1030)와 적어도 무선 접속(1070)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102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26)는 호스트 컴퓨터(1010)에 대한 접속(1060)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속(1060)은 직접적일 수 있거나 또는, 이는 원격 통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도 10에 도시 생략)를 통과 및/또는 원격 통신 시스템 외측의 하나 이상의 중간 네트워크를 통과할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1020)의 하드웨어(1025)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1028)를 더 포함한다. 기지국(1020)은 내부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외부 접속을 통해서 액세스 가능한 소프트웨어(1021)를 더 갖는다.
통신 시스템(1000)은 이미 언급된 UE(1030)를 더 포함한다. 그 하드웨어(1035)는 UE(1030)가 현재 위치되는 커버리지 영역을 서빙하는 기지국과 무선 접속(1070)을 설정 및 유지하도록 구성된 무선 인터페이스(1037)를 포함할 수 있다. UE(1030)의 하드웨어(1035)는 명령을 실행하기 위해서 적응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ASIC, FPGA 또는 이들의 조합(도시 생략)을 포함할 수 있는 처리 회로(1038)를 더 포함한다. UE(1030)는 UE(1030)에 저장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서 액세스 가능한 및 처리 회로(1038)에 의해서 실행 가능한 소프트웨어(1031)를 더 포함한다. 소프트웨어(1031)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32)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32)은, 호스트 컴퓨터(1010)의 지원과 함께, UE(1030)를 통해서 휴먼 또는 비휴먼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게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1010)에 있어서, 실행하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012)은 UE(1030) 및 호스트 컴퓨터(1010)에서 종료하는 OTT 접속(1050)을 통해서 실행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32)과 통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클라언트 애플리케이션(1032)은 호스트 애플리케이션(1012)으로부터 요청 데이터를 수신하고, 요청 데이터에 응답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OTT 접속(1050)은 요청 데이터 및 사용자 데이터 모두를 전송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1032)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해서 이것이 제공하는 사용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호스트 컴퓨터(1010), 기지국(1020) 및 UE(1030)가, 각각 도 9의 호스트 컴퓨터(930), 기지국(912A, 912B, 912C) 중 하나 및 UE(991, 992) 중 하나와 유사하게 또는 동일하게 될 수 있는 것에 유의하자. 즉, 이들 엔티티의 내부 작업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될 수 있고, 독립적으로, 주변 네트워크 토폴로지는 도 9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10에 있어서, OTT 접속(1050)은, 소정의 중간 장치에 대한 명시적인 참조 및 이들 장치를 통한 메시지의 정확한 라우팅 없이, 기지국(1020)을 통해서 호스트 컴퓨터(1010)와 UE(1030) 사이의 통신을 도시하기 위해서 추상적으로 그려졌다.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UE(1030)로부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1010)를 동작시키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또는 모두로부터 숨기도록 구성될 수 있는 라우팅을 결정할 수 있다. OTT 접속(1050)이 활성인 동안,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의 로드 밸런싱 고려 또는 재구성에 기반해서) 이것이 라우팅을 동적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더 행할 수 있다.
UE(1030)와 기지국(1020) 사이의 무선 접속(1070)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른다. 하나 이상의 다양한 실시예는, 무선 접속(1070)이 최종 세그먼트를 형성하는 OTT 접속(1050)을 사용해서 UE(1030)에 제공된 OTT 서비스의 성능을 개선시킨다.
측정 절차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개선하는 데이터 레이트, 레이턴시 및 다른 팩터를 감시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측정 결과의 변동에 응답해서, 호스트 컴퓨터(1010)와 UE(1030) 사이의 OTT 접속(10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옵션의 네트워크 기능성이 더 있을 수 있다. OTT 접속(1050)을 재구성하기 위한 측정 절차 및/또는 네트워크 기능성은 호스트 컴퓨터(1010)의 소프트웨어(1011) 및 하드웨어(1015)로 또는 UE(1030)의 소프트웨어(1031) 및 하드웨어(1035), 또는 모두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도시 생략)는 OTT 접속(1050)이 통과하는 통신 장치 내에 또는 통신 장치와 관련해서 배치될 수 있고, 센서는 상기 예시된 감시된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또는 소프트웨어(1011, 1031)가 감시된 양을 계산 또는 추정할 수 있는 다른 물리적인 양의 값을 공급함으로써, 측정 절차에 참가할 수 있다. OTT 접속(1050)의 재구성은 메시지 포맷, 재전송 세팅, 선호 라우팅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재구성은 기지국(1020)에 영향을 줄 필요가 없으며, 기지국(1020)에 알려지지 않거나 또는 감지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절차 및 기능성은 당업계에 공지되고 실행될 수 있다. 소정의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은, 처리량, 전파 시간, 레이턴시 등의 호스트 컴퓨터(1010)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는 독점적인 U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은, 이것이 전파 시간, 에러 등을 감시하는 동안 OTT 접속(1050)을 사용해서 메시지, 특히, 빈(empty) 또는 '더미(dummy)' 메시지를 전송하게 하는 소프트웨어(1011, 1031)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9 및 10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1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1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110의 서브단계 11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1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11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호스트 컴퓨터가 개시한 전송에서 반송했던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전송한다. 단계 114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된 호스트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도 1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9 및 10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2를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방법의 단계 121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옵션의 서브단계(도시 생략)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호스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22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데이터를 UE에 반송하는 전송을 개시한다. 전송은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을 통해서 통과할 수 있다. 단계 12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9 및 10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3을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31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한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단계 1320에 있어서, UE는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320의 서브단계 132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한다. 단계 1310의 서브단계 1311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UE는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서 제공된 수신된 입력 데이터에 반응해서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 데이터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실행된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을 더 고려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가 제공되었던 특정 방식에 관계없이, UE는, 서브단계 1330에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방법의 단계 1340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는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UE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서,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된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통신 시스템은, 도 9 및 10을 참조해서 기술된 것들이 될 수 있는, 호스트 컴퓨터, 기지국 및 UE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단순화를 위해서, 도 14를 참조하는 도시만이 이 섹션에 포함될 것이다. 단계 1410(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에서, 본 개시를 통해서 기술된 실시예의 교시에 따라서, 기지국은 UE로부터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단계 142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기지국은 호스트 컴퓨터에 대한 수신된 사용자 데이터의 전송을 개시한다. 단계 1430에 있어서(이는, 옵션이 될 수 있다), 호스트 컴퓨터는 기지국에 의해서 개시된 전송으로 반송된 사용자 데이터를 수신한다.
도 15는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묘사하는데, 이 방법은 본 개시에 개시된 바와 같은 TBS 결정을 수행하는 것(예를 들어, 상기된 소정의 실시예에 따라서)(단계 1502) 및 결정된 TBS를 사용해서 전송을 수행하는 것(단계 1504)을 포함한다. 옵션으로, 단계 1504는 상기된 바와 같이 필러 비트를 전송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5의 방법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들(660) 중 하나와 같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서 또는, 예를 들어, 무선 장치들(610) 중 하나와 같은, 예를 들어, 무선 장치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은 무선 네트워크(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무선 네트워크) 내의 장치(1600)의 개략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장치는, 무선 장치 또는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낸 무선 장치(610) 또는 네트워크 노드(66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장치(1600)는 도 15를 참조해서 기술된 예의 방법 및, 가능하게는, 본 개시에 개시된 소정의 다른 프로세스 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또한, 도 5의 방법은 장치(1600)에 의해서 반드시 단독으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방법의 적어도 일부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엔티티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가상 장치(1600)는 처리 회로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제어기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DSP, 특별한-목적의 디지털 로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회로는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ROM, RAM, 캐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장치, 광학 스토리지 장치 등과 같은 하나 또는 다수 타입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는 하나 이상의 원격 통신 및/또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만 아니라 다수의 실시예에 있어서, 본 개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처리 회로는 장치(1600)의 제1수행 유닛(1602), 제2수행 유닛(1604), 및 소정의 다른 적합한 유닛이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1600)는 제1수행 유닛(1602) 및 제2수행 유닛(1604)을 포함한다. 제1수행 유닛(1602)은 본 개시에 기술된 소정의 실시예(들)에 따라서 TBS 결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제2수행 유닛(1604)은 결정된 TBS를 사용해서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용어 유닛은 전자, 전기 장치 및/또는 전자 장치의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의미하는 것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및/또는 전자 회로, 장치, 모듈, 프로세서, 메모리, 로직 고체 상태 및/또는 이산 장치, 본 개시에 기술된 것들과 같은 각각의 태스크, 절차, 계산,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및/또는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전송기 또는 수신기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하는 것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하는 단계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등한, 양자화하는 것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것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 또는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로서 계산되고,
여기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면, 제로로 설정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제4정수는 5와 동일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를 계산함으로써 더 획득된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방법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계산함으로써 더 획득된다.
실시예 5: 실시예 4의 방법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제4정수에 의해서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감소시킴으로써 더 조정된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방법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사용해서 획득된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방법에 있어서,
제1정수는 라운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더 획득된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방법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제2정수에 의해서 Ninfo의 선형 함수를 나눔으로써 도출되는 변수의 라운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더 획득된다.
실시예 9: 소정의 이전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이다.
실시예 10: 소정의 이전의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채널이다.
실시예 11: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네트워크 노드로서,
무선 노드는 실시예 1-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의 무선 노드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기지국이다.
실시예 13: 실시예 11의 무선 노드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UE)이다.
실시예 14: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노드로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노드에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및/또는 이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터페이스와;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처리 회로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실시예 1-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실시예 15: 실시예 14의 무선 노드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기지국이다.
실시예 16: 실시예 14의 무선 노드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UE)이다.
약어
다음의 약어의 적어도 일부가 본 개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약어 사이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 위에 사용된 방법에 우선 순위를 부여해야 한다. 아래에 다수 회 열거되면, 제1의 열거가 소정의 후속 열거에 대해서 우선되어야 한다.
· 2G Second Generation
· 3G Third Generation
· 3GPP 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4G Fourth Generation
· 5G Fifth Generation
· AC Alternating Current
· AP Access Point
·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 BS Base Station
· BSC Base Station Controller
·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 CD Compact Disk
·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COTS Commercial Off-the-Shelf
· CPE Customer Premise Equipment
· CPU Central Processing Unit
· CRC Cyclic Redundancy Check
· D2D Device-to-Device
· DAS Distributed Antenna System
· DC Direct Current
· 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 DIMM Dual In-Line Memory Module
· DL Downlink
·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 DVD Digital Video Disk
· DwPTS Downlink Pilot Time Slot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eMTC Enhanced Machine Type Communication
· eNB Enhanced or Evolved Node B
·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E-SMLC Evolved Serving Mobile Location Center
·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 FPG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 GHz Gigahertz
· gNB New Radio Base Station
·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 HARQ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 HDDS Holographic Digital Data Storage
· HD-DVD High-Density Digital Versatile Disc
· ID Identity
· I/O Input and Output
· IoT Internet of Things
· IP Internet Protocol
· kHz Kilohertz
· LAN Local Area Network
· LBT Listen-Before-Talk
· LDPC Low-Density Parity-Check
· LEE Laptop Embedded Equipment
· LME Laptop Mounted Equipment
· LPDC Low-Parity Density-Check
· LTE Long Term Evolution
· M2M Machine-to-Machine
· MANO Management and Orchestration
· MCE Multi-Cell/Multicast Coordination Entity
·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MDT Minimization of Drive Tests
·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 MSC Mobile Switching Center
· MSR Multi-Standard Radio
· MTC Machine Type Communication
· NB-IoT Narrowband Internet of Things
· NFV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 NIC Network Interface Controller
· NR New Radio
· O&M Operation and Maintenance
·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 OSS Operations Support System
· OTT Over-the-Top
·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CCH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 PRB Physical Resource Block
· PROM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 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 QAM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 QPSK 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 RAI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 RAM Random Access Memory
· RAN Radio Access Network
· RAT Radio Access Technology
· RE Resource Element
· RF Radio Frequency
· RNC Radio Network Controller
· ROM Read Only Memory
· RRH Remote Radio Head
· RRU Remote Radio Unit
· RUIM Removable User Identity
· SDRAM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
· SOC System on a Chip
· SON Self-Organizing Network
· SONET Synchronous Optical Networking
· TBS Transport Block Size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TDD Time Division Duplexing
· TPC Transmit Power Control
· TRP Transmission-Receive-Point
· TS Technical Specification
· UE User Equipment
· UL Uplink
·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 USB Universal Serial Bus
· UTRAN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 V2I Vehicle-to-Infrastructure
· V2V Vehicle-to-Vehicle
· V2X Vehicle-to-Everything
· VMM Virtual Machine Monitor
· VNE Virtual Network Element
· VNF Virtual Network Function
· VoIP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 VRB Virtual Resource Block
· WAN Wide Area Network
·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WD Wireless Device
·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당업자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한 개선 및 수정을 인식할 것이다. 모든 이러한 개선 및 수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의 범위 내에서 고려된다.

Claims (28)

  1. 전송기 또는 수신기(620, 670)에 의해서 수행된 방법으로서: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400, 410)하는 단계와;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402, 412)하는 단계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단계와;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404, 414)하는 단계와;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416) 또는 수신(406)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에 기반해서 계산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면, 제로로 설정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4정수는 5와 동일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를 계산하는 것에 기반해서 더 획득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계산하는 것에 기반해서 더 획득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제4정수에 의해서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감소하는 것에 기반해서 더 조정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에 기반해서 획득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정수는 라운드 함수에 기반해서 더 획득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제2정수에 의해서 Ninfo의 선형 함수를 나눔으로써 도출되는 변수의 라운드 함수에 기반해서 더 획득되는, 방법.
  10. 상기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채널인, 방법.
  12.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노드(610, 660)로서,
    무선 노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무선 노드.
  13. 제12항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기지국(660)인, 무선 노드.
  14. 제12항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UE)(610)인, 무선 노드.
  15.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무선 노드(610, 660)로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노드에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 및/또는 이로부터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터페이스(614, 690)와;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처리 회로(620, 670)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무선 노드.
  16.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기지국(660)인, 무선 노드.
  17. 제15항에 있어서,
    무선 노드는 사용자 장비(UE)(610)인, 무선 노드.
  18.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사용자 장비(UE)(610)로서,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 내의 또 다른 노드에 신호를 무선으로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인터페이스(614, 690)와;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처리 회로(620, 670)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다음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동작하고, 다음 동작은:
    할당된 물리적인 자원 블록(PRB)의 수, PRB 당 자원 엘리먼트(RE)의 수, 다중 입력 다중 출력(MIMO) 계층의 수, 변조 순서 및 정보 비트의 전송을 위한 타깃 코드 레이트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결정(400, 410)하는 동작과;
    제2정수의 제1정수 배로서 정보 비트의 중간 수를 양자화(402, 412)하는 동작로서, 제2정수는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를 제공하기 위해서 2의 제3정수 승(power)과 동일한, 양자화하는 동작과;
    정보 비트의 양자화된 중간 수로부터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를 결정(404, 414)하는 동작과;
    결정된 트랜스포트 블록 사이즈에 따른 물리적인 채널을 통해서 트랜스포트 블록을 전송(416) 또는 수신(406)하는 동작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에 기반해서 계산되는, 사용자 장비.
  19. 제18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의 2진 로그가 제4정수 미만이면, 제로로 설정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제4정수는 5와 동일한,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를 계산함으로써 더 획득되는,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Ninfo의 선형 함수의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계산함으로써 더 획득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제3정수는 제4정수에 의해서 2진 로그의 플로어를 감소시킴으로써 더 조정되는, 방법.
  24. 제18항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정보 비트의 중간 수(Ninfo)를 사용해서 획득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제1정수는 라운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더 획득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제1정수는 제2정수에 의해서 Ninfo의 선형 함수를 나눔으로써 도출되는 변수의 라운드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더 획득되는, 방법.
  27.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다운링크 공유된 채널인, 방법.
  28. 제18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리적인 채널은 물리적인 업링크 공유된 채널인, 방법.
KR1020217022946A 2019-01-15 2020-01-15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의 양자화를 통한 tbs 결정 KR202101041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792756P 2019-01-15 2019-01-15
US62/792,756 2019-01-15
PCT/IB2020/050318 WO2020148684A1 (en) 2019-01-15 2020-01-15 Tbs determination with quantization of intermediate number of information bi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139A true KR20210104139A (ko) 2021-08-24

Family

ID=6937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946A KR20210104139A (ko) 2019-01-15 2020-01-15 정보 비트의 중간 수의 양자화를 통한 tbs 결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77997A1 (ko)
EP (1) EP3912291A1 (ko)
JP (1) JP7416808B2 (ko)
KR (1) KR20210104139A (ko)
CN (1) CN113557683A (ko)
WO (1) WO2020148684A1 (ko)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7750B2 (en) * 2009-06-02 2013-09-17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 block size design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WO2011111961A2 (en) * 2010-03-07 2011-09-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ize of transport block transmitted by base station to relay node i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N102684816A (zh) * 2011-03-09 2012-09-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热点小区覆盖的数据传输方法、装置及基站
CN103548409B (zh) * 2011-05-02 2017-07-28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发射/接收数据的方法及其基站
KR101479911B1 (ko) * 2014-10-06 2015-01-08 (주) 종합건축사사무소 동일건축 환경친화적 생분해성 잔디 홀씨 식생용기 고정구조
US10257807B2 (en) * 2014-12-05 2019-04-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variable transport block size without associat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197521B (zh) * 2016-03-15 2023-01-13 夏普株式会社 物理共享信道参数的确定机制以及基站和用户设备
CN108462556B (zh) * 2017-02-22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和装置
AU2018237895B2 (en) * 2017-03-20 2021-06-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nodes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data block size
WO2018174564A1 (ko) * 2017-03-23 2018-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송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 및 무선 기기
KR102414531B1 (ko) * 2017-06-15 2022-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통신 또는 방송 시스템에서 채널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4513286B9 (zh) * 2017-06-16 2023-01-20 华为技术有限公司 确定传输块大小的方法及装置
US10939321B2 (en) * 2017-09-11 2021-03-02 Apple Inc. Power boosting and transport block size (TBS) design in a new radio (NR) system
US10476728B2 (en) * 2017-10-09 2019-11-12 Nec Corporation Probabilistic shaping for arbitrary modulation formats
EP3695536B1 (en) * 2017-10-13 2021-12-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for new radio
CN110166164A (zh) * 2018-02-12 2019-08-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通信处理方法及装置
US10736132B2 (en) * 2018-04-06 2020-08-04 Apple Inc. Transport block size (TBS) determination in full-dimensio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FD MIMO) networks
WO2020204559A1 (ko) * 2019-03-29 2020-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에서 전송 블록 사이즈를 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51934B2 (en) * 2019-07-25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block size and rate matching for multicast communications
WO2022032659A1 (en) * 2020-08-14 2022-02-17 Zte Corporation Method for a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procedure
US11533729B2 (en) * 2020-09-16 2022-12-20 Qualcomm Incorporated Transport block size determination for downlink transmissions including multiplexed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16808B2 (ja) 2024-01-17
EP3912291A1 (en) 2021-11-24
JP2022523457A (ja) 2022-04-25
CN113557683A (zh) 2021-10-26
US20220077997A1 (en) 2022-03-10
WO2020148684A1 (en)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490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downlink shared channels
RU2743667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изации о назначении ресурсов частотной области
US11917632B2 (e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source allocation
CA3079375C (en)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 resource allocation
CN112119606B (zh) 用于下行链路控制信息(dci)大小对齐的系统和方法
US20230025192A1 (en) Tbs determination with multiple base graphs
US20210344452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3008056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downlink shared channels
EP4055754B1 (en) Configurat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s
WO2021212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interference in radio carrier band
US20220077997A1 (en) Tbs determination with quantization of intermediate number of information 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