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926A - Energy Storage Apparatus - Google Patents

Energy Storag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926A
KR20210103926A KR1020200172435A KR20200172435A KR20210103926A KR 20210103926 A KR20210103926 A KR 20210103926A KR 1020200172435 A KR1020200172435 A KR 1020200172435A KR 20200172435 A KR20200172435 A KR 20200172435A KR 20210103926 A KR20210103926 A KR 20210103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sealing
energy storage
storage devic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2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경훈
이정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EP20918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05955A4/en
Priority to JP2022527846A priority patent/JP7395733B2/en
Priority to US17/799,167 priority patent/US20230083879A1/en
Priority to PCT/KR2020/018627 priority patent/WO2021162229A1/en
Priority to CN202080077845.4A priority patent/CN114667583A/en
Publication of KR2021010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92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34Carbon-based characterised by carbonisation or activation of carb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66Current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lyte; an electrode element stored in the housing; a cas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wherein the case comprises a base part formed with a through-hole for inserting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sealing part coupled to the base part to seal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ing part is located in the through-hole and comprises a terminal sealing memb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to seal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electrode terminal.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trengthening a sealing force.

Description

에너지 저장장치{Energy Storage Apparatus}Energy Storage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등과 같은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ergy storage device for storing energy such as electrical energy and the like.

전지(Battery), 커패시터(Capacitor) 등은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대표적인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이러한 커패시터 중에서 울트라 커패시터(Ultra-Capacitor, UC)는 높은 효율, 반영구적인 수명, 및 빠른 충방전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차전지의 약점인 짧은 사이클과 순간 고전압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로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A battery and a capacitor are representative energy storage devices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Among these capacitors, ultra-capacitor (UC) has high efficiency, semi-permanent lifespan, and fast charging/discharging characteristics. is forming

이와 같은 장점을 바탕으로, 울트라 커패시터는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조 전원으로서뿐만 아니라, 고용량이 요구되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태양전지용 전원장치, 야간 도로 표시등, 무정전 전원장치(UPS, Uninterrupted Power Supply) 등의 주전원 혹은 보조 전원으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Based on these advantages, ultracapacitors are used not only as auxiliary power sources for mobile devices such as cell phones, tablet PCs, and laptops, but also for electric vehicles, hybrid vehicles, solar cell power supplies, night road lights,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that require high capacity. (UPS, Uninterrupted Power Supply) is widely used as a main or auxiliary power sour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전해액과 전극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10),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결합된 케이스(120), 상기 케이스(120)에 결합된 전극단자(130)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단자(130)는 상기 케이스(120)에 삽입되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한 전극소자에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energy stor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housing 110 for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and an electrode element, a case 120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10 , and the case 120 . It includes an electrode terminal 130 coupled to the. The electrode terminal 130 is inserted into the case 120 and connected to an electrode element located inside the housing 110 .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00)는 상기 케이스(120)와 상기 전극단자(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된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함에 따라 전지성능이 저하되고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Here,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battery performance is deteriorated and the battery performance is deteriorated as the electrolyte solution contained in the housing 110 leak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se 120 and the electrode terminal 130 .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espan is shorten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전해액의 누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n energy storage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leakage of an electrolyte.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는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전극소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극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극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폐부는 상기 관통공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전극단자에 밀착되는 단자밀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for accommodating an electrolyte; an electrode element housed in the housing; a cas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n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The case may include a base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seal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to seal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electrode terminal. The sealing part may include a terminal sealing member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to seal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electrode terminal.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achieved.

본 발명은 밀폐부를 이용하여 케이스와 전극단자 사이의 틈새에 대한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케이스와 전극단자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해액의 누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내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strengthen the sealing force for the gap between the case and the electrode terminal by using the sealing p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mount of leakage of the electrolyt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case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can enhance the durability to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전극소자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를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도 4를 기준으로 하는 케이스와 전극단자의 개략적인 분해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비교예에 대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베이스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에 밀폐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적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에 있어서 지지돌기를 갖는 베이스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베이스부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
1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lectrode element in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line II of Figure 2
5 is a schematic explode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se and the electrode terminal based on FIG.
6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arative example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sealing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art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base portion having a support protrusion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bottom view of the base part of the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energy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울트라 커패시터(Ultra-Capacitor, UC)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전극소자(2, 도 3에 도시됨), 하우징(3), 케이스(4), 및 전극단자(5)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storing electrical energy.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n ultra-capacitor (UC).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de element 2 (shown in FIG. 3 ), a housing 3 , a case 4 , and an electrode terminal 5 .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전극소자(2)는 베어셀이라 불리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3)에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전극소자(2)는 제1전극(21), 상기 제1전극(21)과 반대되는 극성을 갖는 제2전극(22), 및 상기 제1전극(21)과 상기 제2전극(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전극(21)과 상기 제2전극(22)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키는 분리막(Separator, 23)이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21)이 양극(+)이면, 상기 제2전극(22)은 음극(-)이 된다. 반대로, 상기 제1전극(21)이 음극(-)이면, 상기 제2전극(22)은 양극(+)이 된다.2 and 3 , the electrode device 2 is called a bare cell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3 . The electrode device 2 includes a first electrode 21 , a second electrode 22 having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electrode 21 , and the first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22 . A separator 23 disposed therebetween to electrically separate the first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22 may be wound and formed. In one embodiment, when the first electrode 21 is an anode (+), the second electrode 22 becomes a cathode (-). Conversely, when the first electrode 21 is a negative electrode (-), the second electrode 22 becomes an anode (+).

도 2에는 상기 분리막(23)이 상기 제1전극(21) 및 상기 제2전극(22)의 사이에만 위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제1전극(21) 또는 상기 제2전극(22)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전극(21) 및 상기 제2전극(22)의 외부에도 상기 분리막(23)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극소자(2)는 분리막(23), 제1전극(21), 분리막(23), 제2전극(22), 분리막(23) 순서로 배치되어 권취될 수 있다. 상기 전극소자(2)는 분리막(23), 제2전극(22), 분리막(23), 제1전극(21), 분리막(23) 순서로 배치되어 권취될 수도 있다.In FIG. 2 , the separator 23 is illustrated as being positioned only between the first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22 , but the first electrode 21 or the second electrode 22 is In order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 separator 23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utside the first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22 . For example, the electrode device 2 may be disposed and wound in the order of the separator 23 , the first electrode 21 , the separator 23 , the second electrode 22 , and the separator 23 . The electrode device 2 may be disposed and wound in the order of the separator 23 , the second electrode 22 , the separator 23 , the first electrode 21 , and the separator 23 .

상기 제1전극(21)은 금속재질의 집전체(미도시) 상에 활성탄소(Activated Carbon)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1활성물질층(211), 및 상기 제1활성물질층(211)의 일측에 연결된 제1전극리드(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극리드(212)는 상기 집전체에서 상기 제1활성물질층(21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구성된다.The first electrode 21 is a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1 formed using activated carbon on a metal current collector (not shown), and one side of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1 . 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lead 212 connected to. In this case, the first electrode lead 212 is configured as a region in the current collector where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1 is not formed.

상기 제2전극(22)은 금속재질의 집전체(미도시) 상에 활성탄소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2활성물질층(221), 및 상기 제2활성물질층(221)의 일측에 연결된 제2전극리드(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극리드(222)는 상기 집전체에서 상기 제2활성물질층(221)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구성된다.The second electrode 22 includes a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1 formed using activated carbon on a metal current collector (not shown), and a second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1 . An electrode lead 222 may be included. In this case, the second electrode lead 222 is configured as a region in the current collector where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1 is not formed.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21) 및 상기 제2전극(22)을 구성하는 집전체는 금속 포일(Foil)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전체는 상기 제1활성물질층(211) 및 상기 제2활성물질층(221)으로부터 방출되거나 공급되는 전하의 이동통로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활성물질층(211) 및 상기 제2활성물질층(221)은 상기 집전체의 양면에 코팅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활성물질층(211) 및 상기 제2활성물질층(221)은 전기 에너지가 저장되는 부분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urrent coll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22 may be formed using a metal foil. The current collector serves as a movement path for charges emitted or supplied from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1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1 .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1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1 may be coat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The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1 and the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1 are portions in which electrical energy is stor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21) 및 상기 제2전극(22)은, 상기 제1전극리드(212)가 상기 전극소자(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전극리드(222)가 상기 전극소자(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권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in the first electrode 21 and the second electrode 22, the first electrode lead 212 is positioned below the electrode element 2, and the second electrode lead ( 222 may be wound to be positioned above the electrode element 2 .

한편, 상기 전극소자(2)에는 전기 에너지의 충전을 위한 전해액이 함침된다. 이 경우, 상기 전극소자(2)에 전해액을 함침시키는 공정은, 상기 전극소자(2)를 전해액이 채워져 있는 용기 속에 일정 시간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electrode element 2 is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e for charging electric energy. In this case, the process of impregnating the electrode element 2 with the electrolyte may be performed by immersing the electrode element 2 in a container filled with the electrolyte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하우징(3)은 전해액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는 상기 전해액과 함께 상기 전극소자(2)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하우징(3)은 상면(上面)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전해액과 상기 전극소자(2)를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면 직방체 형태 등 다각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2 and 3, the housing 3 is to accommodate the electrolyte. The electrode element 2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3 . The housing 3 may be formed in an open form at one side. For example, the housing 3 may have an open top surface. The housing 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the electrolyte and the electrode element 2 .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케이스(4)는 상기 하우징(3)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4)는 상기 하우징(3)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4)에는 상기 전극단자(5)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되어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극소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하우징(3)의 개방된 일측을 밀폐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사각판 형태 등 다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2 to 5 , the case 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3 . The case 4 may seal one open side of the housing 3 .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4 .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4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2 located inside the housing 3 . The case 4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plate shape, such as a square plate shape, as long as it can seal an open side of the housing 3 .

상기 케이스(4)는 밀폐부(41), 및 베이스부(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se 4 may include a sealing part 41 and a base part 42 .

상기 밀폐부(41)는 상기 베이스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41)는 상기 베이스부(42)와 상기 전극단자(5)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부(41)는 상기 베이스부(42)와 상기 하우징(3)의 사이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밀폐부(41)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상기 베이스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41)는 탄성 변형(Elastic Deformation)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밀폐부(41)는 고무, 에폭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BT(Bismaleimide Triazine) 수지, EMC(Epoxy Molding Compound)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41)는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밀폐부(41)는 상기 베이스부(42)에 도포된 후에 경화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42)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sealing part 41 may be coupled to the base part 42 . The sealing part 41 may seal between the base part 42 and the electrode terminal 5 . The sealing part 41 may also seal between the base part 42 and the housing 3 . The sealing part 41 may be coupled to the base part 42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 The sealing part 4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elastic deformation. For example, the sealing part 41 may be formed of rubber, epoxy resin, polyimide resin, bismaleimide triazine (BT) resin, epoxy molding compound (EMC), or the like. The sealing part 41 may be coupled to the base part 42 through injection molding. The sealing part 41 may be applied to the base part 42 and then cured to be coupled to the base part 42 .

상기 밀폐부(41)는 단자밀폐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41 may include a terminal sealing member 411 .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베이스부(42)와 상기 전극단자(5)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베이스부(42)에 형성된 관통공(420)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관통공(420)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된 상기 전극단자(5)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전극단자(5)와 상기 베이스부(42)의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밀폐부(41)를 이용하여 상기 전극단자(5)와 상기 베이스부(42) 사이의 틈새에 대한 밀폐력을 강화함으로써, 상기 전극단자(5)와 상기 베이스부(42) 사이의 틈새를 통한 전해액의 누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전해액에 대한 누액방지성능이 강화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내압에 대해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이 강화될 수 있다.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seals between the base portion 42 and the electrode terminal 5 .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located in the through hole 420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 . Accordingly,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through hole 420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5 inserted into the case 4 . Accordingly,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seal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5 and the base portion 42 . Accordingly,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sealing part 41 to strengthen the sealing force for the gap between the electrode terminal 5 and the base part 42, so that the electrode terminal ( 5) and the amount of electrolyte leakag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ase part 42 can be reduced. Accordingly,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kage preventing performance of the electrolyte can be strengthened, and the durability to withstand the internal pressure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is.

상기 단자밀폐부재(411)에는 상기 전극단자(5)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411a, 도 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삽입공(411a)에 삽입되면서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를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가압력에 의해 압축됨에 따라 발생한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전극단자(5)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관통공(420)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42)의 내면 전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된 상기 전극단자(5)의 부분 전체에 대해 상기 단자밀폐부재(411)가 밀착되도록 구현되므로, 누액방지성능과 내구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An insertion hole 411a (shown in FIG. 5 ) through which the electrode terminal 5 is inserted may be formed in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press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411a. Accordingly,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can be strongly adhered to the electrode terminal 5 by using a restoring force generated as it is compressed by a pressing force.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in contact with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facing the through hole 420 . Accordingly, since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so that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portion of the electrode terminal 5 inserted into the case 4, the leakage preventing performance and Durabilit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상기 밀폐부(41)는 상면밀폐부재(4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41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

상기 상면밀폐부재(412)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上面)에 위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상면밀폐부재(412)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 대한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3)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下面)에 대해 반대 쪽에 위치한 면(面)이다.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은 상기 하우징(3)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은 대략 일치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밀폐부재(412)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상부밀폐부재(412)와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밀폐부재(412)와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Accordingly,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may implement a sealing for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is a surface locat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fac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3 .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may be located outside the housing 3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and the base portion 42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rea.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may be formed in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upper sealing member 412 and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sealing member 412 and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상면밀폐부재(412)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411T)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밀폐부재(411)의 두께(411T)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의 두께(412T)에 비해 더 두꺼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대적으로 누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위치한 상기 단자밀폐부재(411)의 두께(411T)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의 두께(412T)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서 재료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단자밀폐부재(411)의 두께(411T)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서 누액방지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Whe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is provided,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thickness 411T tha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 That is, the thickness 411T of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412T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 Accordingly,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411T of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positioned at a portion where leakage is relatively high may be formed to be thicker. Therefore,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412T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so that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can be suppressed, an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of the Since the thickness 411T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 the leakage preventing performance may be enhanced.

상기 밀폐부(41)는 하면밀폐부재(4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41 may include a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

상기 하면밀폐부재(413)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에 위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하면밀폐부재(413)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에 대한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하면밀폐부재(413)와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은 대략 일치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밀폐부재(413)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면밀폐부재(413)와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밀폐부재(413)와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Accordingly,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can implement the sealing forc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and the base portion 42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rea.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may be formed in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and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and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하면밀폐부재(413)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단자밀폐부재(411)는 상기 하면밀폐부재(413)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411T)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자밀폐부재(411)의 두께(411T)는 상기 하면밀폐부재(413)의 두께(413T)에 비해 더 두꺼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하면밀폐부재(413)의 두께(413T)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서 재료비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단자밀폐부재(411)의 두께(411T)가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되어서 누액방지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When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is provided,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thickness 411T than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 That is, the thickness 411T of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413T of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 Accordingly,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413T of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n, thereby suppressing an increase in material cost and, at the same time,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of the Since the thickness 411T is formed to be relatively thick, the leakage preventing performance may be enhanced.

상기 밀폐부(41)는 측면밀폐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ling part 41 may include a side sealing member 414 .

상기 측면밀폐부재(414)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측면(側面)에 위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밀폐부재(414)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측면에 대한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측면밀폐부재(414)와 상기 베이스부(42)의 측면은 대략 일치하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밀폐부재(414)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측면밀폐부재(414)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하면밀폐부재(413) 각각에 연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밀폐부재(414), 상기 상면밀폐부재(412), 및 상기 하면밀폐부재(41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ide sealing member 414 is loca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Accordingly, the side sealing member 414 may implement a sealing force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Side surfaces of the side sealing member 414 and the base part 42 may be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area. The side sealing member 414 may be formed in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entire sid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side sealing member 414 may be formed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 The side sealing member 414,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밀폐부(41)는 밀폐돌기(4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sing part 41 may include a closing protrusion 415 .

상기 밀폐돌기(415)는 상기 하우징(3)의 커링부재(31, 도 4에 도시됨)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밀폐돌기(415)는 상기 커링부재(31)의 내측에 삽입되어서 걸림을 통해 상기 커링부재(3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밀폐돌기(415)와 상기 커링부재(31)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4)와 상기 하우징(3)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내압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밀폐돌기(415)와 상기 커링부재(31)를 이용하여 상기 밀폐부(41)와 상기 하우징(3)이 서로 밀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4)와 상기 하우징(3) 사이의 틈새에 대한 밀폐력을 강화할 수 있다.The closing protrusion 415 supports the curling member 31 (shown in FIG. 4 ) of the housing 3 . The closing protrusion 415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urrying member 31 to support the currying member 31 through the latching. Accordingly,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trengthen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case 4 and the housing 3 by using the sealing protrusion 415 and the currying member 31, thereby providing durability against internal pressure. can improve In addition,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part 41 and the housing 3 can be maintained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sealing protrusion 415 and the currying member 31 . Therefore, the sealing force for the gap between the case 4 and the housing 3 can be strengthened.

상기 밀폐돌기(415)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밀폐돌기(415)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폐돌기(415)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측면밀폐부재(414)가 서로 연결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돌기(415)와 상기 상면밀폐부재(41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커링부재(31)는 상기 밀폐돌기(415)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링부재(31)는 걸림에 의해 상기 밀폐돌기(41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링부재(31)는 상기 하우징(3)의 상단(上段)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된 전극단자(5) 쪽으로 굽힙 가공됨으로써 상기 밀폐돌기(415)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링부재(31)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밀폐돌기(415)는 돌출될수록 크기가 감소하도록 형성되되, 끝단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losing protrusion 415 may protrude upward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 The closing protrusion 415 may be disposed at an edge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 In this case, the closing protrusion 415 may be formed at a point where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and the side sealing member 414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ealing protrusion 415 and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may be integrally formed. The curling member 31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closing protrusion 415 . Accordingly, the curling member 31 may be supported by the closing protrusion 415 by being caught. The curling member 31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3 and is bent toward the electrode terminal 5 inserted into the case 4 to surround the closing protrusion 415 . can be The curling member 31 may be shaped to form a curved surface. In this case, the closing protrusion 415 may be formed to decrease in size as it protrudes, and the end may be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여기서, 상기 하우징(3)은 비딩부재(32, 도 4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딩부재(32)는 상기 케이스(4)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커링부재(31)는 상기 케이스(4)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밀폐돌기(4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커링부재(31)와 상기 비딩부재(32)를 이용하여 상기 케이스(4)의 상면과 하면 각각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케이스(4)가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비딩부재(32)는 상기 하면밀폐부재(41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비딩부재(32)는 상기 하우징(3)의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굽힘 가공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Here, the housing 3 may include a beading member 32 (shown in FIG. 4 ). The beading member 32 may protrud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 . In this case, the currying member 31 may be supported by the closing protrusion 415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4 . Accordingly, the housing 3 may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ase 4 using the curling member 31 and the beading member 32 ,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such that the case 4 is firmly maintained in a state coupled to the housing 3 . The beading member 32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 The beading member 32 may be implement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housing 3 to protrude inward.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상기 밀폐부(41)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42)에는 상기 관통공(4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20)은 상기 베이스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에는 상기 관통공(420)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4)에는 상기 전극단자(5)가 복수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420)들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2 to 6 , the base part 42 is to which the sealing part 41 is coupled. The through hole 420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 . The through hole 420 may be formed through the base portion 42 . 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420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 .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terminals 5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4 . The through holes 42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베이스부(42)는 상기 밀폐부(41)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4)는 상기 베이스부(42)를 통해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구현됨과 아울러 상기 밀폐부(41)를 통해 밀폐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는 상기 밀폐부(41)에 비해 가스에 대한 차단력이 더 크게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스(4)는 상기 베이스부(42)를 통해 전해액이 가스 형태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밀폐부(41)를 통해 전해액이 액체 형태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베이스부(42)는 플라스틱(Plastic)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part 42 may be formed to have greater strength than the sealing part 41 . Accordingly, the case 4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through the base portion 42 and to have a sealing force through the sealing portion 41 . The base part 42 may have a greater blocking force against gas than the sealing part 41 . Accordingly, the case 4 may block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out in the gaseous form through the base part 42 and also block the electrolyte from flowing out in the liquid form through the sealing part 41 . For example, the base part 42 may be formed of plastic.

상기 베이스부(42)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에 비해 더 강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베이클라이트에 비해 전해액에 대한 흡수성이 더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와 대비할 때, 향상된 내구성과 내습성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base portion 4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stronger strength than Bakelite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lower absorbency to an electrolyte than Bakelite.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 have improved durability and moisture resistance when compared to the comparative example. Looking at this in detail, it is as follows.

우선, 도 6에 도시된 비교예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층(4a)과 베이클라이트(Bakelite)층(4b)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EPDM층(4a)은 밀폐력을 구현할 수 있다. EPDM층(4a)은 상기 베이클라이트층(4b)의 상면 쪽에만 배치될 수 있다. 베이클라이트층(4b)은 페놀 적층판으로, 지지대 기능을 하여 밀폐와 강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예는 베이클라이트층(4b)이 종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므로, 전해액을 흡수 가능하여 습기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비교예는 EPDM층(4a)이 상기 베이클라이트층(4b)의 상면에만 배치되므로, 상기 전극단자(5)와의 사이를 통해 전해액의 누액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First, the comparative example shown in FIG. 6 may be implemented in a structure in which an 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layer 4a and a Bakelite layer 4b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EPDM layer 4a may implement sealing force. The EPDM layer 4a may be disposed only on the upper surface side of the bakelite layer 4b. The bakelite layer 4b is a phenolic laminate, and functions as a support to implement sealing and rigidity. In this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bakelite layer 4b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properties similar to that of paper, the electrolyte can be absorbed, and thus the bakelite layer 4b is vulnerable to moisture. In addition, in the comparative example, since the EPDM layer 4a is disposed only on the top surface of the bakelite layer 4b,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electrolyte may leak through the electrode terminal 5.

이와 달리, 도 4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부(42)가 베이클라이트에 비해 더 강한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베이클라이트에 비해 전해액에 대한 흡수성이 더 낮은 재질로 형성되므로, 비교예와 대비할 때 더 큰 강도와 더 높은 내습성을 갖는 케이스(4)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 하면, 측면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공(420)에도 상기 밀폐부(41)가 위치하므로, 상기 전극단자(5)와의 사이를 통한 전해액의 누액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the base part 42 has a stronger strength than that of bakelite and at the same time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lower absorbency to an electrolyte than that of bakelite. It can be implemented as a case 4 having greater strength and higher moisture resistance when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since the sealing part 41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420 as well as the upper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42 , the amount of leakage of the electrolyte through the electrode terminal 5 . can reduce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상면돌기(421)를 포함할 수 있다.2 to 8 , the base part 42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protrusion 421 .

상기 상면돌기(421)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는 상기 상면돌기(421)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돌기(421)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42)에 상기 밀폐부(41)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상면돌기(421)는 금형(10, 도 8에 도시됨)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금형(10)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을 이격시킬 수 있다. 도 8에서 하측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일면이 상면에 해당하고, 상측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타면이 하면에 해당한다. 상기 밀폐부(41)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수지는 상기 상면돌기(421)에 의해 상기 금형(10)과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 사이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 상기 밀폐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상면돌기(421)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 상기 밀폐부(41)를 형성하는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상면돌기(421)들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부(41)와 상기 베이스부(42) 간의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밀폐부(41)와 상기 베이스부(42)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에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 6개의 상면돌기(421)가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는 2개 이상 5개 이하, 또는 7개 이상의 상면돌기(421)가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상면돌기(421)들과 상기 베이스부(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upper surface protrusion 421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A plurality of upper projections 42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upper surface projections 421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sealing part 41 is coupled to the base part 42 through injection molding, the upper surface projection 421 is supported by a mold 10 (shown in FIG. 8 ), so that the base is removed from the mold 10 by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 42 may be spaced apart. In FIG. 8 , one surface of the base part 42 facing downward corresponds to the upper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facing upward corresponds to the lower surface. The molding resin for forming the sealing part 41 is introduc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mold 10 and the base part 42 by the upper surface protrusion 421 , and thus is sea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 A portion 41 may be formed. Accordingly,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asiness of forming the sealing part 4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by using the upper surface protrusions 421 may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aling part 41 and the base part 42 by using the upper surface projections 421, the sealing part 41 and th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parts 42 may be increased. 7 shows that six upper surface projections 421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bove upper surface projections 421 may protrude. The upper protrusions 421 and the base portion 42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버팀돌기(422)를 포함할 수 있다.2 to 8 , the base part 42 may include a holding protrusion 422 .

상기 버팀돌기(422)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다. 버팀돌기(422)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가 원반 형태로 형성된 경우, 상기 버팀돌기(422)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이 이루는 원의 중심에서 돌출될 수 있다.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42)에 상기 밀폐부(41)를 결합시킬 때 상기 밀폐부(41)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수지가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버팀돌기(422)는 상기 금형(10)에 지지되어서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베이스부(42)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팀돌기(422)는 전체적으로 원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성형수지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42)에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 직방체 형태 등과 같이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422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holding protrusion 422 may protrude from the center of the base part 42 . When the base part 42 is formed in a disk shape, the holding protrusion 422 may protrude from the center of a circl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 When the sealing part 41 is coupled to the base part 42 through injection molding, even if the molding resin for forming the sealing part 41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the holding protrusion ( 422 is supported by the mold 10 to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reby preventing the base portion 42 from sagging. The holding protrusion 42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s a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in the base portion 42 by the molding resin, i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e.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연통공(423)을 포함할 수 있다.2 to 8 , the base part 42 may include a communication hole 423 .

상기 연통공(423)은 상기 베이스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된 것이다.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베이스부(42)에 상기 밀폐부(41)를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밀폐부(41)를 형성하기 위한 성형수지는 상기 연통공(423)에 채워짐으로써 연결밀폐부재(416)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밀폐부재(416)는 상기 연통공(423)에 형성되어서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 위치한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에 위치한 하면밀폐부재(413)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연통공(423)과 상기 연결밀폐부재(416)를 이용하여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하면밀폐부재(413)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통공(423)은 상기 관통공(42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부(4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에는 상기 연통공(423)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통공(423)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부(41)는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하면밀폐부재(413)를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연결하는 복수개의 연결밀폐부재(416)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상면밀폐부재(412)와 상기 하면밀폐부재(413)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42)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hole 423 is formed through the base portion 42 . When the sealing part 41 is coupled to the base part 42 through injection molding, the molding resin for forming the sealing part 41 is filled in the communication hole 423, so that the connection sealing member 416 is can be implemented as The connection sealing member 416 is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ole 423 so that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are formed. can be connected Therefore, 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is the base portion using the communication hole 423 and the connection sealing member 416 . (42) can be prevented from floating. The communication hole 423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base portion 42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420 .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holes 423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 . The communication holes 42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 sealing part 41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sealing members 416 for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 412 )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 respectively, may further strengthen the preventing power from lifting off the base portion 42 .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압착홈(424)을 포함할 수 있다.2 to 7 , the base part 42 may include a compression groove 424 .

상기 압착홈(424)은 상기 관통공(420)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압착홈(424)은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압착홈(424)이 구비된 경우, 상기 밀폐부(41)는 압착밀폐부재(4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착밀폐부재(417)는 상기 압착홈(424)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4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밀폐부(41)에서 상기 압착밀폐부재(417)가 위치한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압착밀폐부재(417)를 압착하여 상기 케이스(4)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4)에 더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압착밀폐부재(417)의 두께가 두꺼운만큼 더 큰 변위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전극단자(5)가 상기 압착밀폐부재(417)를 더 강하게 압착하여 상기 케이스(4)에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압착밀폐부재(417)는 상기 전극단자(5)가 갖는 플랜지(51)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에 상기 전극단자(5)가 복수개 결합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부(42)에는 상기 압착홈(424)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compression groove 424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420 . The compression groove 424 may be implemented as a groove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When the compression groove 424 is provided, the sealing part 41 may include a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may be coupled to the base portion 42 so as to cover the compression groove 424 . Accordingly, the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41 in which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is located may be formed to have a greater thickness than other portions. Accordingly, since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coupled to the case 4 by pressing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 it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case 4 . Since elastic deformation can be made with a greater displacement as the thickness of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is thicker, the electrode terminal 5 is more strongly compressed by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to be coupled to the case 4 . because it can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may be compressed by the flange 51 of the electrode terminal 5 . When a plurality of the electrode terminals 5 are coupled to the case 4 , a plurality of compression grooves 424 may be formed in the base portion 42 .

도 2 내지 도 7, 및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지지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2 to 7 and 9 , the base part 42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425 .

상기 지지돌기(425)는 상기 커링부재(31)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돌기(425)는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425)가 구비된 경우, 상기 밀폐부(41)는 지지공(4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공(418)은 상기 밀폐부(41)의 상부(上部)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공(418)은 상기 상면밀폐부재(41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425)는 상기 지지공(418)에 삽입되어서 상기 지지공(418)을 통해 상기 밀폐부(41)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밀폐부(41)의 외부에 위치한 상기 커링부재(3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커링부재(31)는 상기 밀폐부(41)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갖는 지지돌기(425)에 지지되므로, 상기 케이스(4)에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커링부재(31)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돌기(425)의 일면은, 평면(平面)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425 supports the curling member 31 . The support protrusion 425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 When the support protrusion 425 is provided, the sealing part 41 may include a support hole 418 . The support hole 418 may be formed through an upper portion of the sealing part 41 . In this case, the support hole 418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2 . The support protrusion 425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hole 418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part 41 through the support hole 418, so that the currying member ( 31) can be supported. Accordingly, since the curling member 31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rotrusion 425 having greater strength than the sealing part 41 , it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case 4 . One surface of the support protrusion 425 supporting the curling member 31 may be formed to form a flat surface.

도 2 내지 도 7, 및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베이스부(42)는 보강돌기(426, 도 10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2 to 7 and 10 , the base part 42 may include a reinforcing protrusion 426 (shown in FIG. 10 ).

상기 보강돌기(426)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에는 상기 보강돌기(426)가 복수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보강돌기(426)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보강돌기(426)들을 이용하여 상기 베이스부(42)의 강도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케이스(4)의 내구성을 더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보강돌기(426)들을 이용하여 상기 밀폐부(41)와 상기 베이스부(42) 간의 접촉면적을 늘릴 수 있으므로, 상기 밀폐부(41)와 상기 베이스부(42)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베이스부(42)로부터 상기 밀폐부(41)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보강돌기(426)들과 상기 베이스부(4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reinforcing protrusion 426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426 may protrude from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2 .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may protrude from different positions. Accordingly,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base portion 42 by using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 thereby further strengthening the durability of the case 4 . . In addition, since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ealing part 41 and the base part 42 by using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 the sealing part 41 and th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parts 42 may be increased. Therefore,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rengthen the preventing power of preventing the sealing part 41 from being peeled off from the base part 42 .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and the base portion 42 may be integrally formed.

도 10에는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에 상기 보강돌기(426)들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보강돌기(426)들은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돌기(426)들은 상기 베이스부(42)의 하면과 상기 베이스부(42)의 상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 보강돌기(426)들이 각자형태를 이루며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부(42)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형태이면 상기 보강돌기(426)들은 다른 형태를 이루며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FIG. 10 illustrates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42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42 .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may be formed on both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42 .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reinforcing protrusions 426 are shown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ir respective shapes in FIG. 1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may be formed and formed.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극소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삽입공(411a)을 통해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되어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극소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2 to 5 , the electrode terminal 5 is inserted into the case 4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2 .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4 through the insertion hole 411a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2 located inside the housing 3 .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플랜지(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51)는 상기 케이스(4)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51)는 상기 압착밀폐부재(417)를 압착할 수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5 may include the flange 51 . The flange 51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4 . In this case, the flange 51 may press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7 .

상기 전극단자(5)는 단자핀(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핀(52)은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되어서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자핀(52)의 외면에는 상기 단자밀폐부재(411)가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핀(52)은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한 상기 전극소자(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5 may include a terminal pin 52 . The terminal pin 52 may be inserted into the case 4 and positioned inside the housing 3 . In this case, the terminal sealing member 41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pin 52 . The terminal pin 5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2 located inside the housing 3 .

상기 전극단자(5)는 체결부재(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3)는 상기 케이스(4)의 하면으로 돌출된 상기 단자핀(52)에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극단자(5)는 상기 케이스(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3)는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53)의 내면 및 상기 단자핀(52)의 외면 일부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5 may include a fastening member 53 . The fastening member 53 may be fastened to the terminal pin 52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4 . Accordingly,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coupled to the case 4 . The fastening member 53 may be located inside the housing 3 . Threads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53 and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pin 52 , respectively.

상기 전극단자(5)는 하나 이상의 제1리드선(미도시)에 연결되는 제1전극단자(5a, 도 2에 도시됨), 및 하나 이상의 제2리드선(미도시)에 연결되는 제2전극단자(5b, 도 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단자(5a)와 상기 제2전극단자(5b)는 상기 케이스(4)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4)에 결합되고, 상기 제1리드선과 상기 제2리드선을 통해 상기 전극소자(2)에 연결될 수 있다.The electrode terminal 5 includes a first electrode terminal 5a (shown in FIG. 2) connected to one or more first lead wires (not shown), and a second electrode terminal connected to one or more second lead wires (not shown). (5b, shown in FIG. 2). The first electrode terminal 5a and the second electrode terminal 5b are coupled to the case 4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case 4, and the electrode through the first lead wire and the second lead wire It can be connected to element 2 .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1)는 상기 케이스(4)에 다양한 종류의 전극단자(5)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4)에는 부스바(Bus-bar)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된 전극단자(5)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극단자(5)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4)에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현된 전극단자(5)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전극단자(5)는 전체적으로 니은자로 절곡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energy storag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electrode terminals 5 may be coupled to the case 4 . As shown in FIG. 2 , an electrode terminal 5 embodi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a bus-bar may be coupled to the case 4 . In this case,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s a whole. Although not shown, an electrode terminal 5 implement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be coupled to the case 4 . In this case, the electrode terminal 5 may be formed as a whole in a plate shape bent with a nieunja.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1: 에너지 저장장치 2 : 전극소자
3 : 하우징 4 : 케이스
5 : 전극단자 21 : 제1전극
211 : 제1활성물질층 212 : 제1전극리드
22: 제2전극 221 : 제2활성물질층
222 : 제2전극리드 23 : 분리막
31 : 커링부재 32 : 비딩부재
41 : 밀폐부 411 : 단자밀폐부재
412 : 상면밀폐부재 413 : 하면밀폐부재
414 : 측면밀폐부재 415 : 밀폐돌기
416 : 연결밀폐부재 417 : 압착밀폐부재
418 : 지지공 42 : 베이스부
420 : 관통공 421 : 상면돌기
422 : 버팀돌기 423 : 연통공
424 : 압착홈 425 : 지지돌기
426 : 보강돌기 51 : 플랜지
52 : 단자핀 5a : 제1전극단자
5b : 제2전극단자
1: energy storage device 2: electrode element
3: housing 4: case
5: electrode terminal 21: first electrode
211: first active material layer 212: first electrode lead
22: second electrode 221: second active material layer
222: second electrode lead 23: separator
31: currying member 32: beading member
41: sealing part 411: terminal sealing member
412: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413: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414: side sealing member 415: sealing projection
416: connection sealing member 417: compression sealing member
418: support hole 42: base part
420: through hole 421: top projection
422: brace 423: communication hole
424: compression groove 425: support protrusion
426: reinforcing projection 51: flange
52: terminal pin 5a: first electrode terminal
5b: second electrode terminal

Claims (12)

전해액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납된 전극소자;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삽입되어서 상기 전극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극단자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공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밀폐부는 상기 관통공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전극단자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전극단자에 밀착되는 단자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lyte;
an electrode element housed in the housing;
a case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and an electrode terminal inserted into the cas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element,
The case includes a base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 inserting the electrode terminal, and a seal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portion to seal between the base portion and the electrode terminal,
and the sealing part is located in the through hole and includes a terminal sealing member in close contact with the electrode terminal to seal between the base part and the electrod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上面)에 위치한 상면밀폐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측면(側面)에 위치한 측면밀폐부재, 및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下面)에 위치한 하면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energy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side sealing member locat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a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loc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stor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上面)에 위치한 상면밀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밀폐부재는 상기 상면밀폐부재에 비해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aling part includes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The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sealing member is formed to be thicker than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베이클라이트(Bakelite)에 비해 더 큰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베이클라이트에 비해 전해액에 대한 흡수성이 더 낮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portion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greater strength than Bakelite and at the same time having a lower absorbency to an electrolyte than Bakeli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복수개의 상면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돌기들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It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surface project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The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rojection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버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上面)에 위치한 상면밀폐부재,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下面)에 위치한 하면밀폐부재, 및 상기 상면밀폐부재와 상기 하면밀폐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연통공에 형성된 연결밀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mmunication hole formed through the base part,
The sealing part includes an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a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loc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a connection sealing member formed in the communication hole to connect the upper surface sealing member and the lower surface sealing member. Energy storag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걸림에 의해 상기 밀폐부에 지지되는 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커링부재의 내측에 삽입되어서 걸림을 통해 상기 커링부재를 지지하는 밀폐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currying member supported by the sealing part by the latching,
The closure part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currying member, the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osing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currying member through a hook.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커링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지지돌기가 삽입되는 지지공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지지공을 통해 상기 밀폐부의 외부로 노출되어서 상기 커링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ase portion includes a support protrusion for supporting the curling member,
The sealing part includes a support hole into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is inserted,
The support protrusion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aling part through the support hole to support the currying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커링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면(上面)에 위치한 상기 밀폐돌기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下面)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비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urrying member is supported by the closing protrusio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The housing is an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ading member protruding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관통공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압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압착홈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된 압착밀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밀폐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상기 전극단자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base portion includes a pressing groov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The sealing portion includes a compression sealing member coupled to the base to cover the pressing groove,
The compression sealing member is an energy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ressed by the electrode terminal coupled to the c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上面)과 상기 베이스부의 하면(下面)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서 돌출된 복수개의 보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and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KR1020200172435A 2020-02-14 2020-12-10 Energy Storage Apparatus KR20210103926A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918631.1A EP4105955A4 (en) 2020-02-14 2020-12-18 Energy storage device
JP2022527846A JP7395733B2 (en) 2020-02-14 2020-12-18 energy storage device
US17/799,167 US20230083879A1 (en) 2020-02-14 2020-12-18 Energy storage device
PCT/KR2020/018627 WO2021162229A1 (en) 2020-02-14 2020-12-18 Energy storage device
CN202080077845.4A CN114667583A (en) 2020-02-14 2020-12-18 Energy stor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227 2020-02-14
KR20200018227 2020-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926A true KR20210103926A (en) 2021-08-24

Family

ID=7750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2435A KR20210103926A (en) 2020-02-14 2020-12-10 Energy Storage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392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452B1 (en) Rechargeable battery
JP4537958B2 (en) Lithium ion battery
KR100467703B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applying the same
KR101159652B1 (en) Ultra-capacitor improved in electrolyte impregnation property and internal terminal structure for the same
KR100684802B1 (en) Secondary battery
KR101718060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reinforced bending strength of an electrode collector
US8927140B2 (en) Secondary battery
KR20210103926A (en) Energy Storage Apparatus
EP4105955A1 (en) Energy storage device
JP6346449B2 (en) Secondary battery
CN207719263U (en) Secondary cell cap assembly, secondary cell and automobile
RU2787465C1 (en) Energy storage device
KR100759396B1 (en) Secondary battery
KR101182191B1 (en) Super capacitor having cap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168725B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for super capacitor
KR102415843B1 (en) Energy storage device
KR20040022715A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KR102422472B1 (en) Energy Storage Device Having Structure Internal Pressure
KR20230151355A (en)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1222872B1 (en) Super capacitor having cas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244280B1 (en) Super capacitor having case terminal
KR20240042934A (en) Energy Storage Apparatus
KR101297093B1 (en) Wiring substrate and super capacitor of surface mount type using the same
KR100418056B1 (en) Seal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condary batteries
KR20170019752A (en) Ultra Capaci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