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3140A -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3140A
KR20210103140A KR1020200017508A KR20200017508A KR20210103140A KR 20210103140 A KR20210103140 A KR 20210103140A KR 1020200017508 A KR1020200017508 A KR 1020200017508A KR 20200017508 A KR20200017508 A KR 20200017508A KR 20210103140 A KR20210103140 A KR 20210103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ject
face
questionnaire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7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7597B1 (en
Inventor
강기헌
권태송
이윤석
유용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200017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597B1/en
Publication of KR2021010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5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a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job recommendation system including: an image input module where a subject face image is input; a face analysis unit analyzing a feature point on the subject face based on the face image input to the image input module and determining the subject's personality type by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analyzed subject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pre-stored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by personality type;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providing the subject with a recommendation job survey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subject's personality type determined by the face analysis unit among pre-stored recommendation job survey questionnaires for job recommendation; an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inputting answer information of the subject regarding questions of the recommendation job survey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 subject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and a job recommendation module recommending a job suitable for the subject based on the answer information input at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sonality type is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s face characteristics, the subject is provided with a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and job recommendation is performed based on subject answer information analysis. Accordingly, a suitable job for the subject can be recommended more accurately.

Description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에 따라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성격 유형을 토대로 피검사자에 대응되는 설문지를 제공하여 설문지의 응답정보에 따라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할 수 있는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and a wor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determining the personality type of a subject according to the subject's facial features, and providing a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subject based on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A task recommendation system capable of recommending a task suitable for a subject according to response information, and a tas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업무를 추천하기 위해 개인의 성격이나 능력, 적성 등 심리를 알아보기 위한 현재 일반화된 검사 방법은 설문을 통한 심리적성검사법이 있다. 심리적성검사법은 설문지 유형의 성격검사, 지능검사 등과 같은 구조화된 검사들이 있다. 이 검사방법들은 다수의 문항을 포함하고, 문항에 대한 응답에 대해 점수를 계산하여 피검사자의 성향을 판별한다. The current generalized test method for examining the psychology of an individual, such as personality, ability, and aptitude to recommend work is the psychological test method through questionnaire. There are structured tests such as questionnaire-type personality tests and intelligence tests. These test methods include a number of questions, and a score is calculated for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s to determine the subject's disposition.

그러나, 종래의 검사방법은 피검사자가 문항에 대한 응답을 직접 기재하는 방식이므로 피검사자가 의도적으로 문항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기재할 경우,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판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inspection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inspected directly writes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if the inspected intentionally writes wrong information about the question,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task suitable for the inspected.

등록특허공보 제10-1553327호: 심리 분석 장치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53327: Psychological analysis device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에 따라 성격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설문지를 피검사자에 제공하여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토대로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할 수 있는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ersonality ty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facial features of the examinee, and a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is provided to the examinee to perform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based on the subject's response inform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ommendable work recommendation system and a wor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은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가 입력되는 이미지 입력모듈과, 상기 이미지 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저장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는 얼굴 분석부와, 업무 추천을 위한 기저장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 중 상기 얼굴 분석부에서 판별된 상기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해당 피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설문지 제공부와, 상기 설문지 제공부에서 상기 피검사자에게 제공되는 해당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들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모듈과, 상기 정보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하는 업무추천모듈을 구비한다. The tas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mage input module to which a face image of a subject is input, and a feature point of the subject's face based on the face image input to the image input module, and analyzed A face analysis unit that compares and analyzes th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with pre-stored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questionnaire for a recommended work survey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determined in and an information input module to which response information is input, and a task recommendation module for recommending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to be inspected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상기 업무추천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상기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에 배당된 점수를 계산하여 업무별 점수 분포를 산출하는 설문 점수 산출부와, 상기 설문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업무별 점수를 토대로 가장 높은 점수의 업무를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로 추천하는 추천 선정부를 구비한다. The task recommendation module includes a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score distribution for each task by calculating the scores allocated to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work research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and in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A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is provided that recommends the task with the highest score as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to be inspected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for each task.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은 다수의 피조사자에 대한 얼굴 특징점 정보 및 성격 유형을 분석하여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상기 얼굴분석부에 제공하는 샘플 제공부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as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personality type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to generate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analyzes the generated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It may further include a sample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unit.

상기 샘플 제공부는 성격 유형을 검사하기 위한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들에 대한 상기 피조사자들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응답 입력모듈과, 상기 응답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상기 피조사자들의 성격유형을 판별하는 성격 판별모듈과,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 이미지가 입력되는 샘플 입력모듈과, 상기 샘플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는 샘플 분석부와, 상기 샘플 분석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들을 해당 피조사자의 성격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격유형별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을 토대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모듈을 구비한다. The sample providing unit determines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response input module to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subjects is input to the questions of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for examining the personality type, and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sponse input module a personality determination module; a sample input module to which the face images of the subjects are input; and a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for classifying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provided in , by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nd generating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classified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for each personality type.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는 에니어그램(Enneargram)의 설문 문항,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설문 문항, DISC(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의 설문 문항 중 적어도 어느 한 설문 문항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preferably includes at least one of the Enneagram questionnair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questionnaire, and DISC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questionnaire. do.

상기 응답 입력모듈은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을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피조사자가 상기 문항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샘플 입력모듈은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와, 상기 촬영 카메라를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얼굴 분석부에 제공하는 이미지 선별부를 구비한다. The response input module further includes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the questions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nd an input member for allowing the examinee to input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 and the sample input module is configured to hold the edge of the monitor. a photographing camera which is installed movably along an edge of the monitor to photograph the face of the subject to input the response information by manipulating the input member; and an image selection unit that provides an image of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from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to the face analysis unit.

상기 응답 입력모듈은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을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문항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샘플 입력모듈은 일단이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회동로드와, 상기 회동로드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와, 상기 촬영 카메라가 상기 모니터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기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회동로드를 회동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얼굴 분석부에 제공하는 이미지 선별부를 구비한다. The response input module further includes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the questions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nd an input member for the subject to input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question, and the sample input module has one end of the edge of the monitor. A rotating rod rotatably installed in the monitor and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monitor,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rod, and operates the input member to photograph the face of the subject to input the response information A photographing camera,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rotation rod every predetermined unit time so that the photographing camera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nitor, and an image photographed of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from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the face An image selection unit provided to the analysis unit is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방법은 이미지 입력모듈을 통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가 수집되는 이미지 입력단계와,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저장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는 얼굴 분석단계와, 업무 추천을 위한 기저장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 중 상기 얼굴 분석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입력단계와,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수집된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하는 업무 추천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work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input step in which the face image of the subject is collected through an image input module, and the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face are analyzed based on the face image of the subject, and the analyzed subject's The face analysis step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nd the face analysis step of the pre-stored recommended job survey questionnaires for business recommendation. An information input step of collecting response information of an examinee to a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task research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xaminee, and a task recommendation step of recommending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by analyzing the respons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includes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은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에 따라 성격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설문지를 피검사자에 제공하여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업무를 추천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task recommendation system and the tas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facial characteristics of the examinee, and provide a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to the examinee to analyze the subject's response information to recommend work.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ommend a job suitable for the subject more accurate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의 샘플 입력모듈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업무 추천 시스템에 대한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샘플 입력모듈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a work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mple input module of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the work recommendation system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ample input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Hereinafter,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and a wor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han the actual size for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100)이 도시되어 있다. 1 illustrates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업무 추천 시스템(100)은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가 입력되는 이미지 입력모듈(110)과, 상기 이미지 입력모듈(110)에 입력된 상기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저장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는 얼굴 분석부(120)와, 업무 추천을 위한 기저장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 중 상기 얼굴 분석부(120)에서 판별된 상기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해당 피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설문지 제공부(130)와, 상기 설문지 제공부(130)에서 상기 피검사자에게 제공되는 해당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들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모듈(140)과, 상기 정보 입력모듈(140)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하는 업무추천모듈(150)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ask recommendation system 100 includes an image input module 110 to which a face image of a subject is input, and a feature point of the subject's face based on the face image input to the image input module 110 . A face analysis unit 120 that analyzes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analyzed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nd a pre-stored recommendation task group for business recommendation Among the questionnaires used,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that provides a questionnaire for a recommended task research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identified by the face analysis unit 120 to the subject, and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into which the subject's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s of the corresponding recommended task survey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 subject is input, and the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A recommended work recommendation module 150 is provided.

상기 이미지 입력모듈(110)은 피검사자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기기가 적용된다. 해당 이미지 입력모듈(110)은 입력된 얼굴 이미지를 얼굴 분석부(120)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얼굴 이미지는 피검사자의 얼굴 정면에 대한 이미지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age input module 110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for the subject to input his or her face image is applied. The image input module 110 provides the input face image to the face analysis unit 12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of the face of the subject is applied as the face image.

얼굴 분석부(120)는 이미지 입력모듈(110)로부터 제공받은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해당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을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얼굴 특징점에는 눈, 눈썹, 코, 입의 형태 또는 얼굴의 형태 등이 포함된다. 한편, 얼굴 분석부(120)는 성향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121)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해당 특징점 정보는 눈, 눈썹, 코, 입의 형태 또는 얼굴의 형태 등이 포함된다. The face analysis unit 120 analyzes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 based on the face image provided from the image input module 110 . Here, the facial feature points include the shape of eyes, eyebrows, nose, mouth, or the shape of the face. On the other hand, the face analysis unit 120 further includes a database 121 in which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for each type of disposition is stored. Here, the corresponding feature point information includes the shape of eyes, eyebrows, nose, mouth, or face.

이때, 데이터베이스(121)에는 성격진단도구의 성향 유형별로 각각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격진단도구에는 에니어그램(Enneargram),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DISC(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등이 포함된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istic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is stored in the database 121 for each propensity type of the personality diagnosis tool. The personality diagnosis tool includes the Enneagram,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DISC), and the like.

즉, 성격진단도구로 에니어그램이 적용될 경우, 데이터베이스(121)에는 에니어그램의 9가지 성격유형(1번 내지 9번 유형)별로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성격진단도구로 MBTI가 적용될 경우, 데이터베이스(121)에는 MBTI의 16가지 성격유형(내향적 감각형, 내향적 직관형, 내향적 사고형, 내향적 감정형, 외향적 감각형, 외향적 직관형, 외향적 사고형, 외향적 감정형) 별로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성격진단도구로 DISC가 적용될 경우, 데이터베이스(121)에는 DISC의 4가지 성격 유형(주도형, 사교형, 신중형, 안정형)별로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That is, when the Enneagram is applied as a personality diagnosis tool, information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reference face is stored in the database 121 for each of the nine personality types (Types 1 to 9) of the Enneagram. In addition, when the MBTI is applied as a personality diagnosis tool, the database 121 contains 16 personality types (introverted sensing type, introverted intuition type, introverted thinking type, introverted emotional type, extraverted sensing type, extroverted intuition type, and extroverted typ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is stored for each thinking type, extroverted emotional type). In addition, when the DISC is applied as a personality diagnosis tool, the database 121 stores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 points of the reference face for each of the four personality types of the DISC (initiative, sociable, cautious, and stable).

이때, 얼굴 분석부(120)는 분석된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각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각 성격 유형별 기준얼굴 특징점과 해당 피검사자 얼굴 특징점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얼굴 분석부(120)는 성격 유형들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성격 유형을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유형으로 판별한다. At this time, the face analysis unit 120 compares the analyzed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with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for each personality type stored in the database 121, and calculates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the facial feature point of the subject. . Here, the face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a personality type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among personality types as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설문지 제공부(130)는 다수의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가 저장된 설문 저장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는 성격 유형별로 각각 마련된다. 즉,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은 각각 기설정된 성격 유형에 따라 상이한 문항이 포함된다. 상기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은 각 성격 유형별 추천 업무가 설정되어 있고, 해당 추천 업무들에 대한 피검사자의 적합성을 검사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된다.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includes a questionnaire storage unit (not shown) in which a plurality of recommended business survey questionnaires are stored. Here, the questionnaire for recommendation work research is prepared for each personality type. That is, each of the questionnaires for the recommendation work survey includes different items according to a preset personality type. The recommended task survey questionnaires have recommended tasks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include questions for examining the suitability of the examinee for the recommended tasks.

설문지 제공부(130)는 상기 설문 저장부에 저장된 설문지 중 얼굴 분석부(120)에서 판별된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해당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해당 피검사자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설문지 제공부(13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해당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피검사자에게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selects a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work investig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determined by the face analysis unit 120 from among the questionnaires stored in the questionnaire storage unit, and applies the selected recommended work investigation questionnaire to the subject. provide to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corresponding recommended task research questionnaire to the examinee.

정보 입력모듈(140)은 상기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처리기기가 적용된다. 여기서, 정보 입력모듈(140)은 설문지 제공부(130)에서 제공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에 대해 피검사자가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입력수단이 적용된다. 피검사자는 해당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에 대한 응답으로 1 ~ 5 중 어느 한 숫자를 선택하여 응답항목에 기입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is applied with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inputting the subject's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naire for the recommended task research. Here,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applies an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or mouse for the subject to input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work research provided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 The examinee may select any one number from 1 to 5 as a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corresponding recommended work survey questionnaire and write it in the response item.

업무추천모듈(150)은 정보 입력모듈(140)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해당 피검사자에게 업무를 추천하는 것으로서, 설문 점수 산출부(151) 및 추천 선정부(152)를 구비한다. The task recommendation module 150 recommends a task to the subject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 and includes a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151 and a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152 .

상기 설문 점수 산출부(151)는 정보 입력모듈(140)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상기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에 배당된 점수를 계산하여 업무별 점수 분포를 산출한다. 여기서, 설문 점수 산출부(151)는 응답정보에 따른 추천 업무별 점수 분포 데이터를 추천 선정부(152)에 제공한다.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151 calculates a score distribution for each job by calculating the scores allocated to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job research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 Here,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151 provides the score distribution data for each recommended task accor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152 .

추천 선정부(152)는 설문 점수 산출부(151)에서 산출된 추천 업무별 점수를 토대로 가장 높은 점수의 업무를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로 추천한다. 해당 추천 선정부(152)는 기설정된 관리자의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해당 추천 업무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The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152 recommends a job having the highest score as a job suitable for the subject, based on the score for each recommended job calculated by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151 . The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152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recommendation task to a terminal or display unit of a preset manager.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을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에 대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2 is a flowchart of a wor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wor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업무 추천 방법은 이미지 입력단계(S101), 얼굴분석단계(S102), 정보 입력단계(S103) 및 업무 추천 단계(S104)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ork recommendation method includes an image input step (S101), a face analysis step (S102), an information input step (S103), and a work recommendation step (S104).

상기 이미지 입력단계(S101)는 이미지 입력모듈(110)을 통해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가 수집되는 단계이다. 이미지 입력모듈(110)은 피검사자에 의해 입력된 얼굴 이미지를 얼굴 분석부(120)에 제공한다. 이때, 얼굴 이미지는 피검사자의 얼굴 정면에 대한 이미지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mage input step S101 is a step in which a face image of the subject is collected through the image input module 110 . The image input module 110 provides the face image input by the subject to the face analysis unit 120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of the face of the subject is applied as the face image.

얼굴분석단계(S102)는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저장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얼굴 분석부(120)는 분석된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된 각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여 각 성격 유형별 기준얼굴 특징점과 해당 피검사자 얼굴 특징점의 유사도를 산출한다. 여기서, 얼굴 분석부(120)는 성격 유형들 중 유사도가 가장 높은 성격 유형을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유형으로 판별한다. The face analysis step (S102) analyzes the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face based on the face image of the subject, and compares and analyzes the analyzed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analyze the personality of the subject This is the stage to determine the type. Here, the face analysis unit 120 compares the analyzed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with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for each personality type stored in the database 121 to calculate the similarity between the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the facial feature point of the subject. . Here, the face analysis unit 120 determines a personality type having the highest similarity among personality types as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정보 입력단계(S103)는 업무 추천을 위한 기저장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 중 상기 얼굴 분석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설문지 제공부(130)는 설문 저장부에 저장된 설문지 중 얼굴 분석부(120)에서 판별된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해당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선별하고, 선별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해당 피검사자에게 제공한다. 피검사자는 정보 입력모듈(140)을 통해 해당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input step (S103) is a step of collecting the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to the recommended task survey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xaminee determined in the face analysis step among the pre-stored recommended task survey questionnaires for business recommendation am. Here,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30 selects a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work research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xaminee determined by the face analysis unit 120 from among the questionnaires stored in the questionnaire storage unit, and corresponds to the selected recommended work research questionnaire. provided to the examinee. The examinee may input response information for the corresponding recommended task research questionnaire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

업무 추천 단계(S104)는 정보 입력단계(S103)에서 수집된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하는 단계이다. 정보 입력모듈(140)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업무추천모듈(150)은 해당 피검사자에게 업무를 추천한다. 업무추천모듈(150)의 설문 점수 산출부(151)는 응답정보에 따른 추천 업무별 점수 분포 데이터를 추천 선정부(152)에 제공하고, 추천 선정부(152)는 설문 점수 산출부(151)에서 산출된 추천 업무별 점수를 토대로 가장 높은 점수의 업무를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로 추천한다. The task recommendation step (S104) is a step of analyzing the respons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S103) to recommend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the task recommendation module 150 recommends a task to the subject.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151 of the task recommendation module 150 provides the score distribution data for each recommended task according to the response information to the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152, and the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152 is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151 Based on the score for each recommended task calculated in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업무 추천 방법은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에 따라 성격 유형을 판별하고, 판별된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설문지를 피검사자에 제공하여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업무를 추천하므로 보다 정확하게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task recommend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task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according to the facial features of the examinee, and provide a questionnaire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personality type to the examinee to analyze the examinee's response information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commend a job suitable for the subject more accurately because it recommends the job.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업무 추천 시스템(20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3 shows a work recommendation system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Elem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in the drawings shown above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업무 추천 시스템(200)은 다수의 피조사자에 대한 얼굴 특징점 정보 및 성격 유형을 분석하여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상기 얼굴분석부에 제공하는 샘플 제공부(21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task recommendation system 200 analyzes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personality type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to generate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the generated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a sample providing unit 210 provided to the face analysis unit.

상기 샘플 제공부(210)는 성격 유형을 검사하기 위한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들에 대한 상기 피조사자들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응답 입력모듈(211)과, 상기 응답 입력모듈(211)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상기 피조사자들의 성격유형을 판별하는 성격 판별모듈(212)과,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 이미지가 입력되는 샘플 입력모듈(213)과, 상기 샘플 입력모듈(213)에서 입력된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는 샘플 분석부(214)와, 상기 샘플 분석부(214)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들을 해당 피조사자의 성격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격유형별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을 토대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모듈(215)을 구비한다. The sample providing unit 210 includes a response input module 211 into which response information of the subjects to the questions of a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for examining a personality type is input, and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sponse input module 211 . A personality determination module 212 that determines the personality types of the subjects based on A sample analysis unit 214 that analyzes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examinee based on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and classifies the facial features of the subjects provided by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nd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lassified personality type and an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feature points of the reference face for each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feature points of their faces.

응답 입력모듈(211)은 성향 분석 설문지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처리기기가 적용된다. 여기서, 정보 입력모듈(140)은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을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와,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문항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입력부재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sponse input module 211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for inputting response information of a subject to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Here,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140 may include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the questions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nd an input member for the subject to input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s.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an input means for inputting information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is applied to the input member.

여기서, 성향 분석 설문지는 얼굴 분석부(120)에서 사용된 성격진단도구에 따른 설문문항을 포함한다. 즉,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는 에니어그램(Enneargram)의 설문 문항,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설문 문항 또는 DISC(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의 설문 문항 중 어느 하나의 설문 문항을 포함한다. 성향 분석 설문지의 각 문항에는 해당 문항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 형태를 수치로 기입할 수 있는 응답 항목이 마련될 수도 있다. 피검사자는 해당 문항에 대한 응답으로 1 ~ 5 중 어느 한 숫자를 선택하여 응답항목에 기입할 수 있다. 해당 성향 분석 설문지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에 따라 해당 성격진단도구에서 분류하는 성향 유형들 중 어느 한 성향 유형으로 해당 피조사자를 판별한다. Here,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includes questionnaire items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diagnosis tool used in the face analysis unit 120 . That is,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includes any one of the Enneagram questionnaire questions, 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questionnaire questions, or the DISC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questionnaire questions. . For each question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 response item may be provided in which the form of the testee's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question can be entered numerically. The examinee may select any number from 1 to 5 as a response to the question and write it in the response item.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the subject is determined as one of the propensity types classified by the personality diagnosis tool.

즉, 성향 분석 설문지가 에니어그램의 설문 문항을 포함할 경우, 해당 성향 분석 설문지에 대한 피조사자의 응답에 따라 에니어그램의 9가지 유형(1번 내지 9번 유형) 중 어느 한 성향 유형으로 해당 피조사자를 판별한다. 또한, 성향 분석 설문지가 MBTI의 설문 문항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피조사자의 응답정보에 따라 MBTI의 16가지 유형(내향적 감각형, 내향적 직관형, 내향적 사고형, 내향적 감정형, 외향적 감각형, 외향적 직관형, 외향적 사고형, 외향적 감정형) 중 어느 한 성격 유형으로 해당 피조사자를 판별한다. 또한, 설문지가 DISC의 설문 문항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피조사자의 응답정보에 따라 DISC의 4가지 유형(주도형, 사교형, 신중형, 안정형) 중 어느 한 성격 유형으로 해당 피조사자를 판별한다. That is, if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includes the enneagram questionnaire, the subject is selected as one of the nine types (types 1 to 9) of the Enneagram according to the subject's response to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to determine In addition, if the propensity analysis questionnaire contains questions from the MBTI, 16 types of MBTI (introverted sensing type, introverted intuition type, introverted thinking type, introverted feeling type, extraverted sensing type, Extroverted intuition type, extraverted thinking type, extroverted feeling type), the subject is determined by any one personality type. In addition, if the questionnaire includes DISC questionnaires, the subject is identified as one of the four types of DISC (initiative, sociable, cautious, and stable)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response information.

성격 판별모듈(212)은 응답 입력모듈(211)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에 배당된 점수를 계산하여 성격 유형별 점수 분포를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성격 판별모듈(212)은 산출된 점수 분포를 토대로 가장 높은 점수의 성격 유형을 해당 피조사자의 성격 유형으로 판별한다. The personality determination module 212 calculates a score distribu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by calculating the scores assigned to the questions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sponse input module 211 . Then, the personality determination module 212 determines the personality type having the highest score as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calculated score distribution.

샘플 입력모듈(213)은 피조사자가 자신의 얼굴 이미지를 입력하기 위한 컴퓨터와 같은 정보처리기기가 적용된다. 해당 샘플 입력모듈(213)은 입력된 얼굴 이미지를 샘플 분석부(214)에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얼굴 이미지는 피조사자의 얼굴 정면에 대한 이미지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ample input module 213 is a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uch as a computer for the subject to input his or her face image is applied. The sample input module 213 provides the input face image to the sample analyzer 214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image of the face of the subject is applied as the face image.

샘플 분석부(214)는 샘플 입력모듈(213)로부터 제공받은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해당 피조사자의 얼굴 특징점을 분석한다. 여기서, 상기 얼굴 특징점에는 눈, 눈썹, 코, 입의 형태 또는 얼굴의 형태 등이 포함된다. 그리고, 샘플 분석부(214)는 해당 피조사자의 얼굴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해당 피조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한 정보와 함께 정보 생성모듈(215)로 전송한다. The sample analyzer 214 analyzes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 based on the face image provided from the sample input module 213 . Here, the facial feature points include the shape of eyes, eyebrows, nose, mouth, or the shape of the face. Then,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 to th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together with information on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정보 생성모듈(215)은 샘플 분석부(214)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성격유형별로 분류한다. 즉, 정보 생성모듈(215)은 샘플 분석부(214)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들을 해당 피조사자의 성격 유형별로 분류한다. 또한, 정보 생성모듈(215)은 분류된 성격유형별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을 토대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한다. 즉, 정보 생성모듈(215)은 각 성격 유형별로 분류된 피조사들의 얼굴의 특징점에 대한 평균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을 해당 성격 유형의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로 선정한다. The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215 classifies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by personality type. That is, th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classifies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provided by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th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generates the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for each classified personality type. That is, th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calculates an average of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investigated subjects classified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select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s th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of the corresponding personality type.

해당 정보 생성모듈(215)은 생성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얼굴 분석부(120)에 제공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샘플 제공부(210)는 다수의 피조사자의 얼굴 및 성격을 분석하여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므로 얼굴 분석부(120)에서의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provides the generated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the face analysis unit 120 . The sample providing unit 2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alyzes the faces and personalities of a plurality of subjects to generate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reference face, so that the accuracy of the analysis result by the face analyzer 120 can be improved.

한편,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샘플 제공부(210)는 피조사자의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221)와, 상기 열화상 카메라(221)에서 제공되는 열화상 이미지를 토대로 피검사자의 상태를 판별하는 신뢰도 판별부(222)를 더 구비한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ample providing unit 210 determines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based on the thermal imaging camera 221 that takes a thermal image of the subject and the thermal image provid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221 . It further includes a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222 to discriminate.

열화상 카메라(221)는 응답 입력모듈(211)의 모니터(231)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응답 입력모듈(211)(230)에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피조사자의 얼굴에 대한 열화상 이미지를 촬영한다. 해당 열화상 카메라(221)는 촬영된 열화상 이미지를 신뢰도 판별부(222)에 제공한다. The thermal imaging camera 221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monitor 231 of the response input module 211 to capture a thermal image of the face of a subject who inputs response information to the response input modules 211 and 230 . The thermal imaging camera 221 provides the photographed thermal image to the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222 .

상기 신뢰도 판별부(222)는 열화상 카메라(221)에서 제공되는 열화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피조사자의 얼굴 체온이 기설정된 기준범위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피조사자를 신뢰도 의심상태로 판별한다. 여기서, 기준범위는 관리자가 설문지의 문항 또는 성향 분석 목적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짓말을 한 사람의 얼굴 체온은 상승하는데, 신뢰도 판별부(222)는 피조사자의 얼굴 체온이 기준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면, 해당 피조사자가 의도적으로 설문지의 문항에 대해 잘못된 정보를 기재한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피조사자를 신뢰도 의심상태로 판별한다. The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222 analyzes the thermal image provided by the thermal imaging camera 221 and determines that the inspected person is in a suspicious reliability state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ubject's face increases above a preset reference range. Here, it is desirable for the manager to set th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questions of the questionnaire 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tendency. The face temperature of the person who lied rises, and the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222 determines that when the body temperature of the subject rises above the reference range,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has intentionally entered incorrect information on the questions in the questionnaire, is determined to be a reliability questionable state.

한편, 정보 생성모듈(215)은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시 상기 신뢰도 판별부에서 신뢰도 의심상태로 판별된 피조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제외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information generating module 215 may exclud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of the subject, determined by the reliability determining unit as a suspicious reliability state, when generating the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한편,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샘플 입력모듈(24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a sample input module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S. 4 and 5 .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샘플 입력모듈(240)은 상기 모니터(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재(232)를 조작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241)와, 상기 촬영 카메라(241)를 상기 모니터(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미도시)와, 상기 촬영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샘플 분석부(214)에 제공하는 이미지 선별부(24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ample input module 240 is installed movably along the edge of the monitor 231, and operates the input member 232 to photograph the face of the subject to input the response information. A photographing camera 241, a driving unit (not shown) for reciprocally moving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along the edge of the monitor 231, and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and an image selection unit 242 that provides the captured image to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

여기서, 모니터(231)의 가장자리에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촬영 카메라(241)가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이동레일(2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레일(244)은 모니터(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moving rail 244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monitor 231 so that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can be movably supported. The moving rail 244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edge of the monitor (231).

상기 촬영 카메라(241)는 모니터(231)를 통해 표시되는 성격 분석 설문지를 바라보는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도록 모니터(231)의 전방을 촬영한다. 해당 촬영 카메라(241)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photographs the front of the monitor 231 so as to photograph the face of the subject looking at the personality analysis questionnaire displayed through the monitor 231 . Since the corresponding photographing camera 241 is a camera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photograph an imag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구동부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외주면이 이동레일(244)에 접촉되며, 촬영 카메라(24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구동휠과, 상기 구동휠들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휠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구비한다. 한편, 구동부는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촬영 카메라(241)를 이동레일(244)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수단이면 무엇이든 적용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riving unit has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moving rail 244 , a plurality of driving wheels rotatably installed in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 and a rotation installed on the driving wheels to rotate the driving wheel provided with a motor. Meanwhile, the driving un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driving means capable of moving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along the moving rail 244 may be applied.

이미지 선별부(242)는 촬영 카메라(241)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이미지 중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선별한다. 여기서, 이미지 선별부(242)는 촬영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피조사자의 눈, 코, 입 등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이미지가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선별한다. 또한, 이미지 선별부(242)는 선별된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샘플 분석부(214)에 제공한다. The image selection unit 242 selects an image in which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from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provided from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 Here, the image selection unit 242 recognizes the positions of the eyes, nose, mouth, etc. of the subject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and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is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recognized information Thus, an image of the subject's frontal face is selected. Also, the image selection unit 242 provides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with a photographed image of the selected subject's front face.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샘플 입력모듈(240)은 모니터(2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하는 촬영 카메라(241)를 통해 피조사자의 얼굴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며, 촬영된 이미지에서 정면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선별하여 샘플 분석부(214)(130)에 제공하므로 피조사자의 얼굴을 통한 성향 유형 분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The sample input module 2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ptures the subject's face from various angles through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moving along the edge of the monitor 231, and takes an image of the front face from the photographed image. Since it is selected and provided to the sample analyzers 214 and 130 ,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ccuracy of analyzing the propensity type through the face of the subject.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샘플 입력모듈(250)이 도시되어 있다. Meanwhile, FIG. 6 illustrates a sample input module 25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샘플 입력모듈(250)은 일단이 상기 모니터(231)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23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회동로드(251)와, 상기 회동로드(251)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재(232)를 조작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241)와, 상기 촬영 카메라(241)가 상기 모니터(23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기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회동로드(251)를 회동시키는 회동부(253)와, 상기 촬영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샘플 분석부(214)에 제공하는 이미지 선별부(242)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one end of the sample input module 25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monitor 231 , and includes a rotation rod 251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monitor 231 , and the A photographing camera 241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rod 251 and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subject who inputs the response information by manipulating the input member 232, and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is the monitor A rotating unit 253 for rotating the rotating rod 251 for each predetermined unit time to be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231, and an image in which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among the images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An image selection unit 242 provided to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is provided.

회동로드(251)는 소정길이 연장된 바형으로 형성되며, 모니터(231)에 표시된 설문지를 피조사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tating rod 251 is formed in a bar shape extending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examinee can easily see the questionnaire displayed on the monitor 231 .

촬영 카메라(241)는 회동로드(25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모니터(231)의 전방을 촬영한다. 해당 촬영 카메라(241)는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카메라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is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rod 251 to photograph the front of the monitor 231 . Since the corresponding photographing camera 241 is a camera generally used in the prior art to photograph an imag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회동부(253)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회동로드(251)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회동로드(251)를 회동시키는 회동모터와, 상기 촬영 카메라(241)가 모니터(231)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기설정된 단위시간마다 회동로드(251)가 회동되도록 회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초기에, 회동로드(251)의 타단부가 모니터(231)의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도록 회동모터를 작동시키고, 초기 이후에, 단위시간이 경과한 다음, 회동로드(251)의 타단부가 모니터(231)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회동모터를 작동시키고, 촬영 카메라(241)를 통해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한다. 촬영 카메라(241)에서 이미지 촬영이 완료되면, 제어부는 회동로드(251)의 타단부가 모너티의 가장자리 측으로 복귀하도록 회동모터를 작동시킨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otation unit 253 is installed at one end of the rotation rod 251 and includes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rotation rod 251 and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nitor 231 .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motor so that the rotation rod 251 is rotated every predetermined unit time so as to be provided. The control unit initially operates the rotation mot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rod 251 is located on the edge side of the monitor 231, and after the initial unit time has elapsed,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rod 251 The rotation motor is operated to b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nitor 231 , and the subject's face is photographed through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 When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completes the image capture, the controller operates the rotation motor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rod 251 returns to the edge of the monity.

이미지 선별부(242)는 촬영 카메라(241)로부터 제공되는 촬영 이미지 중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선별한다. 여기서, 이미지 선별부(242)는 촬영 카메라(241)에서 촬영된 이미지에서, 피조사자의 눈, 코, 입 등의 위치를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이미지가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에 대한 이미지를 선별한다. 또한, 이미지 선별부(242)는 선별된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에 대한 촬영 이미지를 샘플 분석부(214)에 제공한다. The image selection unit 242 selects an image in which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is photographed from among the photographed images provided from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 Here, the image selection unit 242 recognizes the positions of the eyes, nose, mouth, etc. of the subject in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241, and determines whether the image is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based on the recognized information Thus, an image of the subject's frontal face is selected. Also, the image selection unit 242 provides the sample analysis unit 214 with a photographed image of the selected subject's front face.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is to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0: 업무 추천 시스템
110: 이미지 입력모듈
120: 얼굴 분석부
121: 데이터베이스
130: 설문지 제공부
140: 정보 입력모듈
150: 업무추천모듈
151: 설문 점수 산출부
152: 추천 선정부
100: work recommendation system
110: image input module
120: face analysis unit
121: database
130: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140: information input module
150: work recommendation module
151: survey score calculation unit
152: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Claims (8)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가 입력되는 이미지 입력모듈;
상기 이미지 입력모듈에 입력된 상기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저장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는 얼굴 분석부;
업무 추천을 위한 기저장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 중 상기 얼굴 분석부에서 판별된 상기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를 해당 피검사자에게 제공하는 설문지 제공부;
상기 설문지 제공부에서 상기 피검사자에게 제공되는 해당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들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정보 입력모듈; 및
상기 정보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하는 업무추천모듈;을 구비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an image input module to which a face image of a subject is input;
Based on the facial image input to the image input module,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 are analyzed, and the analyzed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with pre-stored reference face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 face analysis unit that determines;
a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a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work research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xaminee determined by the face analysis unit among the pre-stored recommended work survey questionnaires for work recommendation to the subject;
an information input module for inputting response information of a subject to the items of a questionnaire for a corresponding recommended task research provided to the subject by the questionnaire providing unit; and
A task recommendation module for recommending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to be inspected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work recommend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무추천모듈은
상기 정보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상기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의 문항에 배당된 점수를 계산하여 업무별 점수 분포를 산출하는 설문 점수 산출부; 및
상기 설문 점수 산출부에서 산출된 업무별 점수를 토대로 가장 높은 점수의 업무를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로 추천하는 추천 선정부;를 구비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ask recommendation module is
a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score distribution for each job by calculating the scores allocated to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job research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information input module; and
A recommendation selection unit for recommending a task with the highest score as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to be tested based on the score for each task calculated by the questionnaire score calculation unit;
work recommend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피조사자에 대한 얼굴 특징점 정보 및 성격 유형을 분석하여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상기 얼굴분석부에 제공하는 샘플 제공부;를 더 구비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sample providing unit that analyzes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and personality types for a plurality of subjects to generate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and provides the generated reference face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the face analysis unit; provided,
work recommendation system.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제공부는
성격 유형을 검사하기 위한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들에 대한 상기 피조사자들의 응답정보가 입력되는 응답 입력모듈;
상기 응답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응답정보를 토대로 상기 피조사자들의 성격유형을 판별하는 성격 판별모듈;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 이미지가 입력되는 샘플 입력모듈;
상기 샘플 입력모듈에서 입력된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는 샘플 분석부;
상기 샘플 분석부에서 제공되는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들을 해당 피조사자의 성격 유형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성격유형별 상기 피조사자들의 얼굴의 특징점을 토대로 상기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ample provider
a response input module into which response information of the subjects to the questions of a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for examining personality types is input;
a personality determination module for determining personality types of the subjects based on the response information input from the response input module;
a sample input module to which face images of the subjects are input;
a sample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faces based on the face images of the subjects input from the sample input module;
an information generation module for classifying the facial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provided by the sample analysis unit by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and generating reference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based on the classified facial feature points for each personality type; provided with
work recommend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는 에니어그램(Enneargram)의 설문 문항,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설문 문항, DISC(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의 설문 문항 중 적어도 어느 한 설문 문항을 포함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includes at least one questionnaire item among the Enneagram questionnaire, Myers-Briggs Type Indicator (MBTI) questionnaire, and DISC (Dominance, Influence, Steadiness, Conscientiousness) questionnaire.
work recommend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입력모듈은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을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 및
상기 피조사자가 상기 문항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샘플 입력모듈은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
상기 촬영 카메라를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를 따라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얼굴 분석부에 제공하는 이미지 선별부;를 구비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sponse input module is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the questions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put member for the subject to input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
The sample input module is
a photographing camera installed movably along the edge of the monitor and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subject to which the response information is input by manipulating the input member;
a driving unit for reciprocating the photographing camera along an edge of the monitor; and
An image selection unit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from amo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to the face analysis unit;
work recommendation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입력모듈은
상기 성향 분석 설문지의 문항을 표시할 수 있는 모니터; 및
상기 피검사자가 상기 문항에 대한 응답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샘플 입력모듈은
일단이 상기 모니터의 가장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모니터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회동로드;
상기 회동로드의 타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부재를 조작하여 상기 응답정보를 입력하는 상기 피조사자의 얼굴을 촬영하는 촬영 카메라;
상기 촬영 카메라가 상기 모니터의 중앙부에 위치되도록 기설정된 단위시간마다 상기 회동로드를 회동시키는 회동부; 및
상기 촬영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 중 상기 피조사자의 정면 얼굴이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얼굴 분석부에 제공하는 이미지 선별부;를 구비하는,
업무 추천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esponse input module is
a monitor capable of displaying the questions of the disposition analysis questionnaire; and
Further comprising; an input member for the subject to input response information to the question;
The sample input module is
a rotation rod having one end rotatably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monitor and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central direction of the monitor;
a photographing camera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ng rod and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subject to input the response information by manipulating the input member;
a rotating unit for rotating the rotating rod for each preset unit time so that the photographing camera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monitor; and
An image selection unit for providing an image of the front face of the subject from among the images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camera to the face analysis unit;
work recommendation system.
이미지 입력모듈을 통해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가 수집되는 이미지 입력단계;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이미지를 토대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의 특징점을 분석하고, 분석된 상기 피검사자의 얼굴 특징점 정보를 기저장된 성격 유형별 기준 얼굴의 특징점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을 판별하는 얼굴 분석단계;
업무 추천을 위한 기저장된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들 중 상기 얼굴 분석단계에서 판별된 상기 피검사자의 성격 유형에 대응되는 추천 업무 조사용 설문지에 대한 피검사자의 응답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입력단계; 및
상기 정보 입력단계에서 수집된 응답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피검사자에 적합한 업무를 추천하는 업무 추천 단계;를 포함하는,
업무 추천 방법.




an image input step of collecting the face image of the subject through an image input module;
A face analysis step of analyzing the feature points of the subject's face based on the face image of the subject,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nalyzed facial feature point information with pre-stored reference facial feature information for each personality type to determine the personality type of the subject ;
an information input step of collecting response information of the examinee to the questionnaire for recommended task research correspon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the examinee determined in the face analysis step from among the pre-stored recommended task research questionnaires for business recommendation; and
Including; a task recommendation step of analyzing the response information collected in the information input step to recommend a task suitable for the subject to be tested;
How to recommend work.




KR1020200017508A 2020-02-13 2020-02-13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3275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508A KR102327597B1 (en) 2020-02-13 2020-02-13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7508A KR102327597B1 (en) 2020-02-13 2020-02-13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140A true KR20210103140A (en) 2021-08-23
KR102327597B1 KR102327597B1 (en) 2021-11-17

Family

ID=7749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7508A KR102327597B1 (en) 2020-02-13 2020-02-13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59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24B1 (en) * 2022-07-25 2023-07-06 (주)하톤 LED lighting System using web-linke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34B1 (en) * 1997-03-10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microphone device for video conference system
US20150242707A1 (en) * 2012-11-02 2015-08-27 Itzhak Wilf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personality traits, capabilities and suggested interactions from images of a person
KR101553327B1 (en) 2014-04-30 2015-09-15 강병우 Apparatus for analyzing of mentality
KR102058268B1 (en) * 2017-03-22 2019-12-20 오세정 Job Competency Analysing Method using Fingerprint Pattern Data
KR20190143174A (en)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비긴메이트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team with a high suitability between team membe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134B1 (en) * 1997-03-10 2004-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Camera/microphone device for video conference system
US20150242707A1 (en) * 2012-11-02 2015-08-27 Itzhak Wilf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personality traits, capabilities and suggested interactions from images of a person
KR101553327B1 (en) 2014-04-30 2015-09-15 강병우 Apparatus for analyzing of mentality
KR102058268B1 (en) * 2017-03-22 2019-12-20 오세정 Job Competency Analysing Method using Fingerprint Pattern Data
KR20190143174A (en) * 2018-06-20 2019-12-30 주식회사 비긴메이트 System and method for organizing team with a high suitability between team member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태연, "얼굴이미지와 직업적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 적합성 탐색", 부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년* *
김태연, "직업유형에 따른 얼굴이미지와 얼굴 형태의 특징에 따른 성격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017년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1924B1 (en) * 2022-07-25 2023-07-06 (주)하톤 LED lighting System using web-linked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597B1 (en)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afi et al. A practical guide on conducting eye tracking studies in software engineering
KR101772987B1 (en) Method for providing results of psychological tests using scanned image
Toker et al. Individual user characteristics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connecting the dots through eye tracking
Hirshfield et al. Brain measurement for usability testing and adaptive interfaces: an example of uncovering syntactic workload with functional near infrared spectroscopy
Goldberg et al. Comparing information graphics: a critical look at eye tracking
US201202370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the existence and position of text in visual media content and for determining a subject's interactions with the text
US8433612B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ackaging effectiveness using video-based analysis of in-store shopper response
CN110678935A (en) Interactive adaptive learning and neurocognitive disorder diagnosis system applying face tracking and emotion detection and related methods thereof
Li et al. Automated detection of cognitive engagement to inform the art of staying engaged in problem-solving
US2009019241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JPH024309A (en) Automatic vision inspector
WO2007135796A1 (en) Control device for evaluating user response to content
Zou et al. Where do we look? An eye-tracking study of architectural features in building design
Stuart et al. Do you see what I see? Mobile eye-tracker contextual analysis and inter-rater reliability
KR102327597B1 (en) Job Recommendation System and Job Recommendation Method using the same
US11666258B2 (en) Eye-tracking system for detection of cognitive load
KR101984993B1 (en) Visual field examination device using personalized marker control
RU2519774C1 (en) Method for determining occupational guidance
Nugrahaningsih et al. Assessing learning styles through eye tracking for e-learning applications
Man et al. Detecting preknowledge cheating via innovative measures: A mixture hierarchical model for jointly modeling item responses, response times, and visual fixation counts
KR102052300B1 (en) System of Analyzing of Character with Pictures
Praveena et al. Classifica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typically developed children for eye gaze image dataset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Sahay et al. Webcam based eye gaze tracking using a landmark detector
CN115429271A (en) Autism spectrum disorder scree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eye movement and facial expression
Cullipher et al. Using fixations to measure atten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