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2586A - Knot necklace chai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Knot necklace chai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2586A
KR20210102586A KR1020200016742A KR20200016742A KR20210102586A KR 20210102586 A KR20210102586 A KR 20210102586A KR 1020200016742 A KR1020200016742 A KR 1020200016742A KR 20200016742 A KR20200016742 A KR 20200016742A KR 20210102586 A KR20210102586 A KR 20210102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threads
thread
once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25960B1 (en
Inventor
서지영
Original Assignee
서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영 filed Critical 서지영
Priority to KR10202000167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960B1/en
Publication of KR20210102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5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9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8Fasteners for straps, chains or the like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tted necklace string providing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handmade fee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tted necklace string comprises: a connection ring; a fixed knot formed by using one thread of a plurality of threads to wind and tie the other threads of the plurality of threads in a cross knot at least once to fix a plurality of threads folded in half through a hole of the connection ring to the connection ring; first and second knotted strings formed by bisecting the threads under the fixed knot and weaving each knot to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the other threads with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at least once to prevent the first knot from being untied; a second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the other threads with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at least once to prevent the second knot from being untied; a socket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string; and a stud attach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ted string and coupled to the socket correspondingly.

Description

매듭 목걸이 줄 및 그 제조방법{KNOT NECKLACE CHAI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Knot necklace str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귀금속이나 장신구 따위, 또는 중요한 물건을 목에 걸 수 있도록 만든 매듭 목걸이 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급스럽고 세련된 수제 느낌을 주는 매듭 목걸이 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tted necklace line made to be able to hang precious metals, ornaments, or important things around the ne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knotted necklace line giving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handmade feel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귀금속이나 보석, 장신구 따위는 대부분 목걸이 줄을 이용해 목에 걸며, 이러한 목걸이 줄은 모양 및 형태에 따라 여러 개의 고리를 연결한 체인 구조, 와이어를 꼬은 구조, 여러 개의 구슬을 꿴 구조 등이 있다.In general, most precious metals, jewels, and ornaments are hung around the neck using a necklace string, and depending on the shape and shape, these necklace strings have a chain structure in which several rings are connected, a structure in which wires are twisted, and a structure in which several beads are attached. .

최근에는 장식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로프, 실, 끈 등을 가지고 고리를 짓거나 마디를 엮어서 만든 이른바 매듭 목걸이 줄이 새로운 패션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enhance the decorative effect, the so-called knot necklace line made by making a loop with rope, thread, string, etc. or weaving knots is in the spotlight as a new fashion item.

그런데 종래의 매듭 목걸이 줄은 기계로 짜서 고리 모양으로 만든 단순한 형태여서 별다른 도구 없이 손뜨개 방식으로 로프, 실, 끈 등을 여러 모양으로 땋아 만든 수제품만이 느낄 수 있는 고급스러움과 세련미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However, the conventional knot necklace string is a simple form of machine weaving into a ring shape, so it lacks the luxury and refinement that can only be felt by hand-knitting ropes, threads, and strings in various shapes without any tools. .

또한, 사용자가 목에 걸 때 이탈되거나 풀리지 않도록 길이 방향의 양쪽 끝부분을 서로 묶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묶은 부분이 너저분하여 착용감과 외관미가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a method of tying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separation or loosening when the user hangs it from the neck, the tied part is messy,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t and appearance are considerably deteriorated.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The background art or prior art described herein is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only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technical mean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ology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t should be noted that it does not mean a technique widely known in the field, and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ior art are independent of the reference numerals in the present invention.

KR10-1296977 B1(2013.08.08)KR10-1296977 B1 (2013.08.08) KR20-0414792 Y1(2006.04.18)KR20-0414792 Y1 (2006.04.18) KR20-2009-0010583 U(2009.10.19)KR20-2009-0010583 U (2009.10.19) KR20-2018-0003543 U(2018.12.18)KR20-2018-0003543 U (2018.12.1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귀금속이나 보석, 장신구 따위를 목에 걸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매듭 목걸이 줄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으로, 공산품과 다른 특색있는 디자인을 구현하여 감각적인 스타일을 연출하고 독창적인 개성을 드러낼 수 있음은 물론 고급스럽고 세련된 수제 느낌을 구현할 수 있고, 아울러 한층 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매듭 목걸이 줄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 is an idea to solve the technic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knot necklace line that allows you to hang precious metals, jewels, ornaments, etc. around your neck wh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above, and a design different from industrial products. Developed a new structure of knotted necklace st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create a sensual style and reveal a unique individuality, as well as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handmade feeling, and provide a more comfortable fi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as a result of continuous research with diligent efforts to do so.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고급스럽고 세련된 수제 느낌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매듭 목걸이 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and object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notted necklace string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implement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handmade feeling.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and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은 물론 종래기술의 문제점 내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여러 가닥의 실을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고정매듭; 상기 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실들을 양분하여 각각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형성된 제1 및 제2매듭줄; 상기 제1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1마감매듭; 상기 제2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2마감매듭;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된 소켓; 및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목걸이 줄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technical object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o solve the problems or technical problems of the prior art, a connecting ring; A fixed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to fix a plurality of threads that are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 and folded in half to the link. ; first and second knot lines formed by bisecting the threads under the fixed knot and weaving each knot to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to prevent the knot of the first knot from unraveling. ; A second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to prevent the knot of the second knot from unraveling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 a socket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and a stud attach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and coupled with the socket to provide a knotted necklace l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mployed.

이로써 본 발명은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만들어 내는 공산품과 다른 특색있는 디자인을 구현하여 감각적인 스타일을 연출하고 독창적인 개성을 드러낼 수 있음은 물론 고급스럽고 세련된 수제 느낌을 줄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sensuous style by realizing a design different from industrial products produced by processing with mechanical power, revealing a unique individuality, as well as giving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handmade feeling.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은 (A) 여러 가닥의 실을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고, 그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여 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B) 상기 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실들을 양분하여 각기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제1매듭줄과 제2매듭줄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소켓을 부착하는 공정; (F)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를 부착하는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And the knot necklace string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ed in half by threading several threads through the hole of the linkage, and at least one of them is threaded with the other several threads The process of forming a fixed knot by winding the bundles at least once with a twisted knot and fixing them to the connecting ring; (B) bisecting the threads under the fixed knot and weaving each kno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first knot line and a second knot line; (C) forming a first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tangle; (D) forming a second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E) attaching the socket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F) it can be manufactured by a process of attaching a stud corresponding to the socket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 수단은,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제1실다발을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실다발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1고정매듭;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제2실다발을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실다발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2고정매듭; 상기 제1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1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형성된 제1매듭줄; 상기 제2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2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형성된 제2매듭줄; 상기 제1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1마감매듭; 상기 제2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2마감매듭;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된 소켓; 및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목걸이 줄을 제시한다.Specific means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linkage; In order to fix the first thread bundle folded in half by being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to the linker,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is used to tie the other multiple threads with a cross-knot at least once or more. A first fixed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 produc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o the second thread bundle, which is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and folded in half, to the linker by winding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with a cross knot. 2 fixed knots; a first knot line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under the first fixing knot; a second knot line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second bundle of threads under the second fixing knot; A first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so that the knot of the first knot is not untied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 A second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to prevent the knot of the second knot from unraveling. ; a socket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and a stud that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and is coupled to the socket to provide a knotted necklace line.

이로써 본 발명은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만들어 내는 공산품과 다른 특색있는 디자인을 구현하여 감각적인 스타일을 연출하고 독창적인 개성을 드러낼 수 있음은 물론 고급스럽고 세련된 수제 느낌을 줄 수 있다.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duce a sensuous style by realizing a design different from industrial products produced by processing with mechanical power, revealing a unique individuality, as well as giving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handmade feeling.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은 (A) 제1실다발을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고, 그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여 제1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B) 제2실다발을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고, 그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여 제2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제1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1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일정한 길이의 제1매듭줄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제2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2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일정한 길이의 제2매듭줄을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G)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소켓을 부착하는 공정; (H)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를 부착하는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And the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ed in half by threading the first thread bundle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ng ring, and at least one of them is threaded with the other multiple threads. The process of forming a first fixed knot by winding the bundles at least once with a twisted knot and fixing them to the connecting ring; (B) A second bundle of threads is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and folded in half, a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are wound at least once with at least one of them and fixed to the linker to make a second thread. 2 The process of forming a fixed knot; (C) forming a first knot string of a certain length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under the first fixing knot; (D) forming a first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E) forming a second knot of a constant length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second bundle of threads under the second fixing knot; (F) forming a second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G) the step of attaching a socket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H) may be manufactured by a process of attaching a stud corresponding to the socket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실을 여러 모양으로 섬세하게 땋아 만들어 정성이 많이 들어가는 수제품만의 자연스러운 느낌을 제대로 살려주어 기계력으로 가공하여 만들어 내는 공산품과 다른 고급스럽고 세련된 외관미를 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and embodimen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based on a unique solution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the natural feeling of handmade products that require a lot of attention is properly produced by delicately braiding threads in various shapes. It is possible to create a luxurious and sophisticated appearance that is different from industrial products made by processing with mechanical power.

또한, 다양한 색상을 갖는 여러 가닥의 실을 일정한 패턴으로 매듭을 땋아 줄을 형상화 및 시각화함으로써 형형색색의 특색있고 멋스러운 디자인을 구현하여 감각적인 스타일을 연출하고 독창적인 개성을 드러낼 수 있음은 물론 한층 더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reate a sensuous style and reveal a unique individuality by realizing a colorful, distinctive and stylish design by braiding several strands of threads of various colors in a certain pattern to shape and visualize the string. It can provide a more comfortable fit.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Here,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표현한 제조공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을 제조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표현한 제조공정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express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schematically express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knot necklace strin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Prior to this,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specified that the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anings commonly or commonly recognized in the art.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 that parts are exaggerated or simplifi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echnology, and it is revealed that each component does not exactly correspond to the actual size and shape.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or the term "and/or" is meant to include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and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is a particularly opposite description This does not mean that other components are excluded, but other components can be further included.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That is, it means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those.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each step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tated order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pper, lower, upper, lower, or upper, lower, upper, lower,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are used for convenience to distinguish relative positions of each component. For example, the upper side in the drawing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s the lower side,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may be named or referred to as the left/right direction.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Also,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at is, terms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제1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은 연결고리(10), 고정매듭(20), 제1매듭줄(30), 제1마감매듭(31), 제2매듭줄(40), 제2마감매듭(42), 소켓(50) 및 스터드(60)를 포함하고 있다.1 and 2, the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ring 10, a fixed knot 20, a first knot line 30, a first closing knot 31 , includes a second knot line 40 , a second closing knot 42 , a socket 50 and a stud 60 .

연결고리(10)는 귀금속이나 보석, 장신구 따위를 매다는 고리이다.The connecting ring 10 is a ring for hanging precious metals, jewels, or ornaments.

여기서 연결고리(10)는 단면이 원형인 강재나 환봉 또는 강관을 원형으로 둥글게 말아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다각형 강재로 형성할 수도 있다.Here, the connecting ring 10 is preferably formed by rolling a steel material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 round bar or a steel pipe in a circ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polygonal steel material.

또한, 연결고리(10)는 고급스러운 이미지와 귀금속 느낌을 주고, 광택효과와 더불어 내식성 향상 등을 위해 전기도금법 등의 방법으로 금 또는 은, 주석의 얇은 막을 입히는 표면처리를 수행한 것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ring 10 gives a luxurious image and a precious metal feeling, and in order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s well as a gloss effect, it is to adopt a surface treatment of coating a thin film of gold, silver, or tin by an electroplating method. desirable.

고정매듭(20)은 연결고리(10)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여러 가닥의 실(T) 올을 연결고리(10)에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fixing knot 20 is one of several threads of thread (T) in order to firmly fix the multiple strands of thread (T) folded in half by threading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on ring (10) to the connection ring (10). It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one thread a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여기서 고정매듭(20)은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xing knot 20 is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threa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of the multiple threads T,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또한, 여러 가닥의 실(T) 올은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여러 가닥의 실다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ulti-stranded yarn (T) ol is made of a multi-stranded yarn bundle having different colors so that various designs can be produced.

한편, 옭매듭은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실들을 감아서 고리 형태로 만든 후 그 어느 한 가닥의 실 일단을 다시 고리 안으로 삽입하고 조여서 만들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 cross-knot may be made by winding one of the multiple threads (T) to form a loop by winding the other threads, then inserting one end of the thread back into the loop and tightening it.

제1매듭줄(30)은 고정매듭(20) 아래의 실(T)들을 둘로 나누고, 그 한쪽을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knot line 30 is formed by dividing the thread (T) under the fixed knot 20 into two, and tying one side of the knot to a predetermined length.

여기서 제1매듭줄(30)은 세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세 줄 땋기 또는 네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네 줄 땋기 등의 매듭으로 짓거나 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매듭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rst knot 30 may be tied or woven in a knot such as a three-line braid in which three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or a four-line braid in which four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various Of course, it can be formed by any one of the knot methods.

제1마감매듭(31)은 제1매듭줄(30)의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그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losing knot 31 i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reads T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30 in order to firmly fix the knot of the first knot line 30 not to be untied. It is formed by winding the remaining several strands of yarn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여기서 제1마감매듭(31)은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closing knot 31 is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threa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among the multiple threads T,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제2매듭줄(40)은 고정매듭(20) 아래의 실(T)들을 둘로 나누고, 그 다른 한쪽을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knot line 40 is formed by dividing the threads (T) under the fixed knot 20 into two, and tying the other end to a fixed length.

여기서 제2매듭줄(40)은 세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세 줄 땋기 또는 네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네 줄 땋기 등의 매듭으로 짓거나 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매듭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second knot 40 may be tied or woven in a knot such as a three-line braid in which three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or a four-line braid in which four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various Of course, it can be formed by any one of the knot methods.

제2마감매듭(42)은 제2매듭줄(40)의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그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losing knot 42 i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threads T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40 in order to firmly fix the second knot line 40 so as not to unravel. It is formed by winding the remaining several strands of yarn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여기서 제2마감매듭(42)은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closing knot 42 is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threa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of the multiple threads T,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소켓(50)은 사용자의 목에 매듭 목걸이 줄을 걸 때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다.The socket 5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30 in order to conveniently connect the first knot 30 and the second knot 40 when the user's neck is hung with a knotted necklace line.

즉,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소켓(50)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속에 삽입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노출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at is, by inserting the adhesive into the hol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ocket 50 after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string, i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exposing the connection part.

스터드(60)는 사용자의 목에 매듭 목걸이 줄을 걸 때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부착되어 있다.The stud 6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40 in order to conveniently connect the first knot 30 and the second knot 40 when the user's neck is hung with a knot necklace.

즉,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스터드(60)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속에 삽입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노출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That is, by inserting the adhesive into the hole formed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tud 60 after applying the adhesive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40, it can be firmly fixed without exposing the connecting portion.

여기서 스터드(60)는 소켓(50)과 암수가 서로 대응 결합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stud 60 may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 socket 50 and the male and female are coupled to each other correspondingly.

예를 들면, 소켓(50)의 한쪽 면에 스터드(60)가 삽입 또는 압입되도록 홈을 형성하여 원터치 방식으로 끼움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 또는 소켓(50)과 스터드(60)에 서로 극성이 다른 영구자석을 내장하여 서로 끌어당기는 힘(인력)에 의해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For example, a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ocket 50 so that the stud 60 is inserted or press-fitted to form a structure that can be fitted and separated in a one-touch method, or the socket 50 and the stud 60 have different polarities. It is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that can stably maintain the bonding state by the force (attractive force) that attracts each other by embedding other permanent magnets.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2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실(T) 올을 연결고리(10)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는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2, several strands of thread (T) are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ng ring 10 and folded in half.

즉, 실(T)들의 가운데 부분을 연결고리(10)에 걸친 상태로 마치 '∩'자 모양으로 구부려서 접는다.That is, the middle part of the threads (T) is bent and folded in the shape of a '∩' shape with the connecting ring 10 over it.

그리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고정매듭(20)을 형성한다.And as shown in (b) of Figure 2, at least one of the multiple threads of the thread (T) is wound at least once or more by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of the other multiple threads with a twist knot to form a fixed knot (20). .

이때,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T)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잡아당겨서 실(T)들을 연결고리(10)에 움직이지 않게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c) of FIG. 2 , by pulling so as not to form a gap between the threads T, it is possible to firmly fix the threads T to the connecting ring 10 so as not to move.

이어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매듭(20) 아래의 실(T)들을 절반으로 양분하여 각기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을 형성한다.Then, as shown in (d) of Figure 2, the thread (T) under the fixed knot 20 is divided in half and weaved a knot at a constant length, respectively, the first knot line 30 and the second knot line 40 to form

이 과정에서 도 2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그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마감매듭(31)을 형성하고,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그 여러 가닥의 실(T)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마감매듭(42)을 형성한다.In this process, as shown in (e) of FIG. 2, in order to prevent the knots of the first knot line 30 and the second knot line 40 from being untied,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30, the several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 of the strands is wound and tied at least once by winding the other several threads with one of the threads (T) to form the first closing knot 31, and the end of the second knotted string 40 The second closing knot 42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thread among the multiple threads T,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이후, 도 2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매듭 목걸이 줄을 걸 때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소켓(50)을 부착하고, 아울러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소켓(50)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60)를 부착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 of FIG. 2, when hanging a knot necklace line around the user's neck, in order to conveniently connect the first knot 30 and the second knot 40, the first knot 30. Attach the socket 50 to the end of the, and also attach the stud 60 that is coupled to the socket 50 and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40).

이때,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후 소켓(50)과 스터드(60)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속에 삽입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노출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ends of the first knot 30 and the second knot 40, respectively, the socket 50 and the stud 60 ar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It can be fixed firmly without exposure of

<제2실시 예><Second embodiment>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은 연결고리(10), 제1고정매듭(21), 제2고정매듭(22), 제1매듭줄(30), 제1마감매듭(31), 제2매듭줄(40), 제2마감매듭(42), 소켓(50) 및 스터드(60)를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3 and 4 , the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ng ring 10 , a first fixing knot 21 , a second fixing knot 22 , and a first knot. It includes a line 30 , a first closing knot 31 , a second knot line 40 , a second closing knot 42 , a socket 50 and a stud 60 .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과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Here, among the components related to the knot necklace lin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or similar effec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petitive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se will be omitted.

제1고정매듭(21)은 연결고리(10)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제1실다발(T1)을 연결고리(10)에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1실다발(T1)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fixing knot 21 is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ng ring 10 to firmly fix the first yarn bundle T1 folded in half to the connecting ring 10 so as not to move. It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of the yarns with a yarn of at least one of the other yarn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여기서 제1고정매듭(21)은 제1실다발(T1)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fixed knot 21 is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threa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of the first thread bundle T1,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제2고정매듭(22)은 연결고리(10)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제2실다발(T2)을 연결고리에 움직이지 않게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2실다발(T2)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fixing knot 22 is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in order to firmly fix the second thread bundle T2, which is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ng ring 10 and folded in half, to the connecting ring without moving. It is formed by winding one strand of yarn at least once with the other multiple strands of yarn at least once.

여기서 제2고정매듭(22)은 제2실다발(T2)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cond fixing knot 22 is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thread bundles T2 located out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제1매듭줄(30)은 제1고정매듭(2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실다발(T1)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knot line 30 is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T1 positioned below the first fixed knot 21 .

여기서 제1매듭줄(30)은 세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세 줄 땋기 또는 네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네 줄 땋기 등의 매듭으로 짓거나 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매듭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first knot 30 may be tied or woven in a knot such as a three-line braid in which three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or a four-line braid in which four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various Of course, it can be formed by any one of the knot methods.

제1마감매듭(31)은 제1매듭줄(30)의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그 제1실다발(T1)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closing knot 31 is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first yarn bundle T1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30 in order to firmly fix the first knot line 30 so as not to unravel. It is formed by winding the remaining several strands of yarn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여기서 제1마감매듭(31)은 제1실다발(T1)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first closing knot 31 is preferably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thread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outside of the first thread bundle T1,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제2매듭줄(40)은 제2고정매듭(2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실다발(T2)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knot line 40 is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located below the second fixed knot 22 .

여기서 제2매듭줄(40)은 세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세 줄 땋기 또는 네 개의 실을 엇갈리게 계속 엮어 나가는 네 줄 땋기 등의 매듭으로 짓거나 엮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매듭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 the second knot 40 may be tied or woven in a knot such as a three-line braid in which three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or a four-line braid in which four threads are continuously woven alternatel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 addition to various Of course, it can be formed by any one of the knot methods.

제2마감매듭(42)은 제2매듭줄(40)의 매듭이 풀리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그 제2실다발(T2)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closing knot 42 is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second bundle T2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40 in order to firmly fix the second knot line 40 so as not to unravel. It is formed by winding the remaining several strands of yarn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여기서 제2마감매듭(42)은 제2실다발(T2)들 중 좌우 바깥쪽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losing knot 42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second thread bundles T2 located outside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매듭 목걸이 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FIG. 4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notted necklace li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다발(T1)과 제2실다발(T2)을 연결고리(10)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는다.First, as shown in (a) of FIG. 4 , the first thread bundle T1 and the second thread bundle T2 are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ng ring 10 and folded in half.

즉, 제1실다발(T1)과 제2실다발(T2)의 가운데 부분을 연결고리(10)에 걸친 상태로 마치 '∩'자 모양으로 각각 구부려서 접는다.That is, the middle portion of the first thread bundle T1 and the second thread bundle T2 is bent and folded in a '∩' shape while the connecting ring 10 is crossed.

그리고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다발(T1)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고정매듭(21)을 형성한다.And as shown in Fig. 4 (b),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T1 is wound and tied at least once or more by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with a twisted knot to tie the first fixed knot (21). to form

아울러 제2실다발(T2)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고정매듭(22)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second fixed knot 22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이때,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다발(T1) 및 제2실다발(T2)의 실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잡아당겨서 그 각각의 실들을 연결고리(10)에 움직이지 않게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c) of FIG. 4 , the first and second thread bundles T1 and T2 are pulled so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threads and the respective threads are moved to the connecting ring 10 . It can be fixed firmly.

이어서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매듭(21)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1실다발(T1)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제1매듭줄(30)을 형성하고, 제2고정매듭(2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제2실다발(T2)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제2매듭줄(40)을 형성한다.Subsequently, as shown in (d) of FIG. 4 , a first knot is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T1 positioned below the first fixed knot 21 to form a first knot line 30, and the second A second knot line 40 is formed by ty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located below the fixed knot 22 .

이 과정에서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의 매듭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제1실다발(T1)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마감매듭(31)을 형성하고,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제2실다발(T2)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마감매듭(42)을 형성한다.In this process, as shown in (e) of FIG. 4, in order to prevent the knots of the first knot line 30 and the second knot line 40 from being untied, the first The first closing knot 31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thread bundle T1, a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are wound and tied at least once with a cross knot, and the end of the second knot string 40 The second closing knot 42 is formed by wind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T2 and wind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cross knot.

이후, 도 4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에 매듭 목걸이 줄을 걸 때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을 간편하게 연결하기 위해 제1매듭줄(30)의 끝부분에 소켓(50)을 부착하고, 아울러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소켓(50)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60)를 부착한다.Thereafter, as shown in (f) of FIG. 4, when hanging a knot necklace line on the user's neck, in order to conveniently connect the first knot 30 and the second knot 40, the first knot 30. Attach the socket 50 to the end of the, and also attach the stud 60 that is coupled to the socket 50 and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40).

이때, 제1매듭줄(30)과 제2매듭줄(40)의 끝부분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후 소켓(50)과 스터드(60)의 대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 속에 삽입함으로써 연결 부분의 노출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applying an adhesive to the ends of the first knot 30 and the second knot 40, respectively, the socket 50 and the stud 60 are inserted into the holes formed on the opposite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It can be fixed firmly without exposure of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pplied in various ways not illustrated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each It is clear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it can be widely applied by changing the component substitution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odification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technical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연결고리 20: 고정매듭
21: 제1고정매듭 22: 제2고정매듭
30: 제1매듭줄 31: 제1마감매듭
40: 제2매듭줄 42: 제2마감매듭
50: 소켓 60: 스터드
T: 실 T1: 제1실다발
T2: 제2실다발
10: link 20: fixed knot
21: first fixed knot 22: second fixed knot
30: 1st knot line 31: 1st closing knot
40: second knot 42: second closing knot
50: socket 60: stud
T: Thread T1: First Thread Bundle
T2: 2nd yarn bundle

Claims (4)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여러 가닥의 실을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고정매듭;
상기 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실들을 양분하여 각각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형성된 제1 및 제2매듭줄;
상기 제1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1마감매듭;
상기 제2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2마감매듭;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된 소켓; 및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
를 포함하는 매듭 목걸이 줄.
linkage;
A fixed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to fix a plurality of threads that are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 and folded in half to the link. ;
first and second knot lines formed by bisecting the threads under the fixed knot and weaving each knot to a predetermined length;
A first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so that the knot of the first knot is not untied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
A second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to prevent the knot of the second knot from unraveling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
a socket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and
a stud attach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and coupled to the socket;
A knot necklace line comprising a.
연결고리;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제1실다발을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실다발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1고정매듭;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은 제2실다발을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2실다발의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2고정매듭;
상기 제1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1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형성된 제1매듭줄;
상기 제2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2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형성된 제2매듭줄;
상기 제1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1마감매듭;
상기 제2매듭줄의 매듭이 풀리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형성된 제2마감매듭;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된 소켓; 및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부착되고,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
를 포함하는 매듭 목걸이 줄.
linkage;
In order to fix the first thread bundle folded in half by being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to the linker,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is used to tie the other multiple threads with a cross-knot at least once or more. A first fixed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In order to fix the second yarn bundle folded in half by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connecting ring to the connecting ring, at least one of the yarns of the second yarn bundle is threaded and the other several yarns are cross-knotted at least once or more. a second fixed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 first knot line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first bundle of threads under the first fixed knot;
a second knot line formed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second bundle of threads under the second fixing knot;
A first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to prevent the knot of the first knot from unraveling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
A second closing knot formed by winding and tying at least one of the threads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to prevent the knot of the second knot from unraveling. ;
a socket attached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line; and
a stud attach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line and coupled to the socket;
A knot necklace line comprising a.
다음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매듭 목걸이 줄의 제조방법.
(A) 여러 가닥의 실을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고, 그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여 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B) 상기 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실들을 양분하여 각기 일정한 길이로 매듭을 엮어 제1매듭줄과 제2매듭줄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소켓을 부착하는 공정;
(F)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를 부착하는 공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notted necklace line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Thread several threads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and fold it in half, and with at least one of the threads, wi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knot and tie it to the linker and fix it to a fixed knot forming a process;
(B) bisecting the threads under the fixed knot and weaving each kno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form a first knot line and a second knot line;
(C) forming a first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tangle;
(D) forming a second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E) attaching the socket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F) attaching a stud that is coupled to the socket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다음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매듭 목걸이 줄의 제조방법.
(A) 제1실다발을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고, 그 제1실다발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여 제1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B) 제2실다발을 상기 연결고리의 구멍에 꿰어서 반으로 접고, 그 제2실다발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상기 연결고리에 고정하여 제2고정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C) 상기 제1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1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일정한 길이의 제1매듭줄을 형성하는 공정;
(D)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1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E) 상기 제2고정매듭 아래의 상기 제2실다발의 실들로 매듭을 엮어 일정한 길이의 제2매듭줄을 형성하는 공정;
(F)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그 실들 중 적어도 어느 한 가닥의 실로 나머지 다른 여러 가닥의 실들을 옭매듭으로 적어도 한 번 이상 감아 묶어서 제2마감매듭을 형성하는 공정;
(G) 상기 제1매듭줄의 끝부분에 소켓을 부착하는 공정;
(H) 상기 제2매듭줄의 끝부분에 상기 소켓과 대응 결합되는 스터드를 부착하는 공정;
A method of manufacturing a knotted necklace line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A) Thread the first thread bundle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fold it in half, and wrap the other multiple threads with at least one thread of the first thread bundle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and tie it to the linker. The process of forming a first fixing knot by fixing;
(B) A second thread bundle is threaded through the hole of the linker and folded in half, and the other multiple threads of the second thread bundle are wound and tied at least once in a cross knot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thread bundles. The process of forming a second fixing knot by fixing to;
(C) forming a first knot string of a certain length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first thread bundle under the first fixing knot;
(D) forming a first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first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E) forming a second knot of a constant length by weaving a knot with the threads of the second bundle of threads under the second fixing knot;
(F) forming a second closing knot by winding at least one thread of at least one of the threads at the end of the second knot and tying the other multiple threads at least once with a twist;
(G) the step of attaching a socket to the end of the first knot;
(H) attaching a stud corresponding to the socket and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knot;
KR1020200016742A 2020-02-12 2020-02-12 Manufacturing method of knot necklace chains KR1023259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42A KR102325960B1 (en) 2020-02-12 2020-02-12 Manufacturing method of knot necklace chai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42A KR102325960B1 (en) 2020-02-12 2020-02-12 Manufacturing method of knot necklace cha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586A true KR20210102586A (en) 2021-08-20
KR102325960B1 KR102325960B1 (en) 2021-11-12

Family

ID=7746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42A KR102325960B1 (en) 2020-02-12 2020-02-12 Manufacturing method of knot necklace chai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96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752U (en) * 1982-09-04 1983-11-23 Gye Rang Oh Personal ornament's chains
KR200414792Y1 (en) 2006-02-14 2006-04-25 주식회사 아트랑 a necklace having a pendant
KR20090010583U (en) 2008-04-14 2009-10-19 이복성 Clamp Using Pendant Necklace
KR101296977B1 (en) 2011-12-21 2013-08-14 최선희 The string for accessories with the ring can be untie and tighten by using knot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03543U (en) 2017-06-08 2018-12-18 고지은 Length control device for accessory length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2752U (en) * 1982-09-04 1983-11-23 Gye Rang Oh Personal ornament's chains
KR200414792Y1 (en) 2006-02-14 2006-04-25 주식회사 아트랑 a necklace having a pendant
KR20090010583U (en) 2008-04-14 2009-10-19 이복성 Clamp Using Pendant Necklace
KR101296977B1 (en) 2011-12-21 2013-08-14 최선희 The string for accessories with the ring can be untie and tighten by using knot and thereof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03543U (en) 2017-06-08 2018-12-18 고지은 Length control device for accessory leng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5960B1 (en)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8295B1 (en) Modifiable band jewelry
CN102162181B (en) Embroidering method adopting coiled twist silk threads
KR102325960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knot necklace chains
KR1024770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bracelet
CN105124839B (en) A kind of wig and its manufacture method
KR200493466Y1 (en) Accessory for length adjustable of decorative string
JP201809093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hair-increasing member and attaching method of the same
US5997966A (en) Decorative pomp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4973090A (en) Method and means of securing, shortening and drawing objects together using a knot
KR100684775B1 (en) Synthetic textile with crimp and thereof manufacture method
JPH0734365A (en) Braid-like twisted string
KR101651542B1 (en) Manufacture method of decoration string using silk
JP2014221094A (en) Rosary tuft and rosary-tufted rosary
JP6873569B2 (en) How to knit and knit
JP3177396U (en) Amulet decoration
WO1998041680A9 (en) Decorative pompo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3194901U (en) Sewing
KR200401739Y1 (en) decoration cord
JP3228952U (en) Scrunchie
JP3096972U (en) Decorative string
JP3076027U (en) Ice price of synthetic fiber rope
CN105852335A (en) Isolation knot and hook knot-free necklace-waist chain dual-purpose all-match ornament chain composed of isolation knots
KR20230001181U (en) Chain type bracelet
CN205741488U (en) A kind of lace colored ribbon
US4143894A (en) Method of making decorative ring links and article produc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