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994A -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994A
KR20210101994A KR1020200016673A KR20200016673A KR20210101994A KR 20210101994 A KR20210101994 A KR 20210101994A KR 1020200016673 A KR1020200016673 A KR 1020200016673A KR 20200016673 A KR20200016673 A KR 20200016673A KR 20210101994 A KR20210101994 A KR 2021010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tire pressure
pressure monitoring
air
valve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32860B1 (en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6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860B1/en
Publication of KR2021010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86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60C23/042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transmission means
    • B60C23/0433Radio signals
    • B60C23/0447Wheel or tyre mounted circuits
    • B60C23/0455Transmission control of wireless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01Devices for manually or automatically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whilst the vehicle is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9/00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9/002Arrangements of tyre-inflating valves to tyres or rims; Accessories for tyre-inflating valv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articular features of the valve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pressure emergency adjustment system. The tire pressure emergency adjus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air inlet of a tire wheel to measure an air pressure; a valve device installed in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to open the air inlet during sudden braking;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which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tire pressure emergency adjustment system capable of improving a traction performance of a pneumatic tire.

Description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긴급 제동시에 트랙션(traction) 성능 향상을 위해 공기입 타이어의 내부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air pressure emergency adjustment system, and to a system for adjusting the internal air pressure of a pneumatic tire to improve traction performance during emergency braking.

일반적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바퀴는 타이어와 휠로 이루어지는데, 자동차 휠은 타이어와 함께 차량의 전중량을 분담하여 지지하고, 제동 및 구동시 토크, 노면에서의 충격, 선회시의 원심력이나 차량이 경사졌을 때 생기는 횡방향의 힘 등에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 것으로서 림과 디스크 및 림과 림을 연결해주는 허브로 구성된다. 상기 림의 둘레를 따라 타이어가 덧씌워지게 되어 자동차 바퀴를 구성하게 된다.Generally, the wheels installed in a vehicle are composed of a tire and a wheel, and the automobile wheel supports by sharing the entire weight of the vehicle together with the tire. It is manufactured to withstand the lateral force that occurs when it occurs and is composed of a rim and a disk and a hub that connects the rim and rim. A tire is overlai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rim to constitute a vehicle wheel.

한편, 바퀴가 제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타이어 내부의 공기압이 적절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타이어 공기압은 타이어의 내부에 구성된 공기튜브에 채워진 공기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서 타이어의 공기압이 떨어지게 되면 고속 주행시의 내구성이 저하되고, 또한 구름저항은 증대됨과 더불어 조종 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악역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타이어 공기압이 정상보다 높아지게 되면 고속주행시 조그만 충격에도 차체가 크게 흔들리게 되며 특히 우천시에는 고속주행을 하다 급정거를 하게 되면 수막현상의 발생이 잦게 되어 사고발생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for the wheel to function properly,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proper air pressure inside the tire. The tire air pressure is the pressure applied by the air filled in the air tube configured inside the tire. The durability is lowered, and the rolling resistance is increased, and the negative effects such as the lowering of the steering performance are generated. On the other hand, if the tire pressure is higher than normal, the car body shakes greatly even with a small impact during high-speed driving.

따라서, 계속적으로 운행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매일 타이어 공기압력을 체크하여야 하고, 일반적인 차량의 경우에도 한 달에 한 번 정도는 공기압을 측정하여 타이어의 상태를 점검하고 적정한 타이어 공기압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타이어의 공기압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일반 사용자는 손으로 눌러 보거나 혹은 발로 타이어를 눌러줌으로써 대충 타이어의 공기압력이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는 정확한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그 신뢰성이 떨어져 타이어의 정확한 공기압력 상태 및 적정성 여부를 알기 어렵고, 이로 인해 대부분 정비업소에서 타이어의 공기압을 측정하고 이를 보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e case of continuous driving,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tire air pressure every day, and even in the case of a general vehicle, it is recommended to measure the air pressure at least once a month to check the condition of the tire and to maintain the proper tire pressure. It is important. However, in the process of checking the tire air pressure as described above, the general user roughly determines whether the tire air pressure is appropriate by pressing the tire with his or her hand or by pressing the tire with his or her foot. It is difficult to know the exact condition of the tire's air pressure and whether it is appropriate, and for this reason, most repair shop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have to go through the cumbersome process of measuring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and replenishing it.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에는 타이어 내부 공기 압력을 측정하고 능동적으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였다. 이 경우, 고압의 트레일러 에어 탱크(Trailer air tank)를 장착해야 하는데, 에어 탱크는 무겁고 부피가 크기 때문에 소형 차량에는 설치하기 어렵고 트럭과 같은 대형 차량에만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evice for measur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tire and actively adjusting the pressure is installed in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high-pressure trailer air tank. Since the air tank is heavy and bulky, it is difficult to install it in a small vehicle, and it is installed only in a large vehicle such as a truck.

등록특허공보 제10-0277336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277336 등록특허공보 제10-1365183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65183

본 발명은 급제동시 후륜 타이어에서 공기를 적정량 배출하여, 무겁고 큰 트레일러 에어 탱크를 장착할 필요 없이, 공기입 타이어의 트랙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capable of discharging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from a rear tire during sudden braking and improving the traction performance of a pneumatic tire without the need to install a heavy and large trailer air tan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은, 타이어 휠의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설치되어 급제동시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는 밸브장치; 및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air inlet of a tire wheel to measure air pressure; a valve device installed in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to open the air inlet during sudden braking;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회로부에 구비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와, 상기 회로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공기주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로 연결되는 파이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includes a case, a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provided in a circuit unit installed in the case,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the air inlet connected to the case It may include a pipe part.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파이프부 내부에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코어와, 상기 밸브코어의 일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는 모터와, 상기 밸브코어의 타단에 구비되어 밸브코어가 닫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device includes a valve core provided inside the pipe part to open and close a flow path, a motor for pulling a wi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alve core, and a spr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alve core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valve core. may include.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otor.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급제동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밸브코어를 열어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서 감지되는 타이어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밸브코어가 다시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uring sudden braking, the motor opens the valve core to discharge air, and when the tire pressure sensed by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By stopping the mot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valve core to close again by the spring.

상기한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급제동시 후륜 타이어에서 공기를 적정량 배출하여, 무겁고 큰 트레일러 에어 탱크를 장착할 필요 없이, 공기입 타이어의 트랙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ergency tire pressure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from the rear tire during sudden braking, thereby improving the traction performance of the pneumatic tire without the need to mount a heavy and large trailer air tank.

도 1은 자동차가 등속으로 주행 중일 때 전륜과 후륜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자동차가 급제동할 때 전륜과 후륜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자동차에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와 전자제어유닛이 무선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타이어 휠에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와 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loads applied to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when a vehicle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load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braked.
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in a vehicle.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stalled on a tire wheel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a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ing' or 'having'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case,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자동차가 등속으로 주행 중일 때 전륜과 후륜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자동차가 급제동할 때 전륜과 후륜에 작용하는 하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load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when the vehicle is driving at a constant speed, and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loads applied to the front and rear wheels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braked.

도시된 자동차(10)는 승용차를 도시하였으나, 공기입 타이어가 장착되는 차량이라면 SUV나 트럭 또는 버스 등 대형 자동차에도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다.Although the illustrated vehicle 10 is a passenger car, if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pneumatic tires, the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a large vehicle such as an SUV, a truck, or a bus.

자동차(10)는 엔진 또는 모터로 바퀴를 구동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주행한다. 자동차(10)는 한 쌍의 전륜 타이어(20)와 한 쌍의 후륜 타이어(30)를 구비할 수 있다.The vehicle 10 runs by rotating the wheels by driving the wheels with an engine or a motor. The vehicle 10 may include a pair of front wheel tires 20 and a pair of rear wheel tires 30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가 등속으로 주행 중일 때에는 전륜 타이어(20)와 후륜 타이어(30)에 작용하는 하중(F), 즉 지면의 반발력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자동차(10) 자체의 무게와 승객 및 화물의 무게가 전륜 타이어(20)와 후륜 타이어(30)에 가하는 하중이 동일한 것을 전제로 한다.As shown in FIG. 1 , when the vehicle 10 is traveling at a constant speed, the load F acting on the front wheel tire 20 and the rear wheel tire 30 , that is, the repulsive force of the ground may be the same. Of course, this assumes that the weight of the vehicle 10 itself and the weight of passengers and cargo are the same as the load applied to the front tire 20 and the rear tire 30 .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10)가 급제동하면 관성력에 의해 후륜 타이어(30)에 작용하는 하중(F2)이 전륜 타이어(20)에 작용하는 하중(F1)보다 작아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마찰력은 수직 항력에 비례하기 때문에, 급제동시 이상적인 트랙션(Traction) 성능을 발휘하기 위한 후륜 타이어(30)의 적정 압력은 순간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급제동시 후륜 타이어(30)의 공기압은 평상시보다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as shown in FIG. 2 , when the vehicle 10 is suddenly braked, the load F 2 acting on the rear tire 30 due to the inertia force becomes smaller than the load F 1 acting on the front tire 20 . do. In general, since frictional force is proportional to vertical drag, the appropriate pressure of the rear tire 30 for exhibiting ideal traction performance during sudden braking is momentarily reduc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rear tire 30 during sudden braking is lower than usual.

도 3은 자동차에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와 전자제어유닛이 무선 통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3 is a plan view illustrat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in a vehicle.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자동차(10)의 각 휠(50, 도 4 참고)에 설치된다.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타이어 휠(50)의 공기주입구(22, 32, 도 5 참고)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타이어 내부 공기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each wheel 50 (refer to FIG. 4 ) of the vehicle 10 .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air inlets 22 and 32 of the tire wheel 50 (refer to FIG. 5 ) to measure the pressure of the air inside the tire.

자동차(10)는 엔진과 각종 전장 부품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ECU: Electronic Controlling Unit)(300)을 구비한다. 전자제어유닛(300)은 디스플레이(350)를 구비하여 측정된 타이어 공기압을 표시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10 includes an Electronic Controlling Unit (ECU) 3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ngine and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may include a display 350 to display the measured tire air pressure or output a warning message.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TPMS(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라고도 하며, 타이어의 공기압과 온도를 측정하여 일정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를 내는 장치이다. 공기압은 온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온도과 압력을 모두 고려하여 공기압을 판단해야 한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is also referred to as a TPMS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is a device that measures the air pressure and temperature of a tire and generates an alarm when out of a predetermined range. Since air pressure varies with temperature, it is necessary to judge air pressure by considering both temperature and pressure.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통신부(150)를 구비하여 전자제어유닛(300)과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타이어 휠(50)은 회전하기 때문에 이에 장착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전자제어유닛(300)과 무선으로 통신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과 전자제어유닛(300)은 양방향으로 무선 통신할 수 있다. 그래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측정한 공기압 신호를 전자제어유닛(300)으로 송신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자제어유닛(300)은 밸브장치(200)로 개방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100 may include the communication unit 150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 Since the tire wheel 50 rotates,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mounted thereon must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wirelessly.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and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can communicate wirelessly in both directions. Thus, the air pressure signal measured by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is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may transmit an opening signal to the valve device 200 . .

도 4는 타이어 휠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tire wheel,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자동차(10)의 타이어가 장착되는 휠(50)에는 공기주입구(22, 3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휠(50)의 외주면에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가 공기주입구(22, 32)와 연결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공기주입구(22, 32)에는 마개가 설치되어 있다.The wheel 50 on which the tire of the vehicle 10 is mounted is provided such that the air inlets 22 and 32 are exposed to the outside. Also,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heel 50 to be connected to the air inlets 22 and 32 . 4 and 5, the air inlet (22, 32) is provided with a stopper.

도 4에 도시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와 도 5에 도시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케이스(110)의 외형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공통적으로 케이스(110) 내부에 압력 모니터링 센서와 배터리를 구비하고, 공기 압력 측정을 위해 케이스(110)에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4 and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100 illustrated in FIG. 5 have different outer shapes of the case 110 . However,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apparatus 100 commonly includes a pressure monitoring sensor and a battery inside the case 110 , and one or more holes may be formed in the case 110 to measure air pressur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와 밸브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and a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은, 타이어 휠(50)의 공기주입구(22, 32)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와,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설치되어 급제동시 공기주입구(22, 32)를 개방하는 밸브장치(200)와,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와 무선 통신하여 밸브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300)을 포함한다.The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tha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air inlets 22 and 32 of the tire wheel 50 to measure the air pressure, and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It includes a valve device 200 that opens the air inlets 22 and 32 during sudden braking,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300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200 .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케이스(110)와,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회로부(120)에 구비되는 압력 모니터링 센서(130)와, 회로부에 구비되어 전자제어유닛(300)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150)와, 공기주입구(22, 32)로부터 케이스로 연결되는 파이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includes a case 110 , a pressure monitoring sensor 130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120 installed in the case, and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to wirelessly communicate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 150) and a pipe portion 140 connected to the case from the air inlets 22 and 32 may be included.

우선, 도 6에서 파이프부(14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공기주입구는 생략되어 있다. 파이프부(140)는 휠(50)의 관통공을 통과하도록 장착된다. 파이프부(140)의 타단부는 케이스(110)에 결합된다.First, in FIG. 6 , the air inlet provided at one end of the pipe unit 140 is omitted. The pipe 140 is mount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wheel 50 . The other end of the pipe 140 is coupled to the case 110 .

케이스(110)는 파이프부(14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내부에 회로부(120)와 배터리(160)가 장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 내부에는 후술하는 모터(250)도 설치될 수 있다.The case 110 may have a coupling part to which an end of the pipe part 140 is coupled, and a space in which the circuit part 120 and the battery 160 are mounted may be formed therein. In addition, a motor 2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installed inside the case 110 .

회로부(120)에는 공기압을 측정하는 압력 모니터링 센서(130)와, 전자제어유닛(300)과 무선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150)가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160)는 회로부(120)에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회로부(120)를 통해 모터(2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A pressure monitoring sensor 130 for measuring air pressure and a communication unit 150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may be installed in the circuit unit 120 . The battery 160 may supply power to the motor 250 through the circuit unit 120 as well as supply power to the circuit unit 120 .

밸브장치(200)는 파이프부(140) 내부에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코어(210)와, 밸브코어의 일단에 연결된 와이어(240)를 당기는 모터(250)와, 밸브코어의 타단에 구비되어 밸브코어가 닫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device 200 is provided in the pipe unit 140 and includes a valve core 2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low path, a motor 250 for pulling a wire 24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alve core, and the other end of the valve core. It may include a spring 230 that applies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valve core.

밸브코어(210)는 파이프부(140) 내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를 위해, 파이프부(140) 내주면에는 밸브코어(21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밸브코어(210)의 일단부는 가이드리브 내부의 공기 통로를 개폐하기 위해 외경이 커져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밸브코어(210)의 타단부는 스프링(230)을 지지하기 위해 외경이 커져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valve core 210 is slidably mounted inside the pipe 140 . To this end, a guide rib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valve core 2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unit 140 . One end of the valve core 21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by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to open and close the air passage inside the guide rib. The other end of the valve core 210 may be formed to be stepped by increasing the outer diameter to support the spring 230 .

밸브코어(210)의 일단부에는 와이어(240)가 연결되고, 이 와이어(240)는 케이스(110) 내부에 장착되는 모터(250)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모터(250)는 와이어(240)가 감길 수 있는 권취부를 구비할 수 있다. 자동차가 급제동시 전자제어유닛(300)으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회로부(120)로 작동 신호가 수신되면, 모터(250)는 작동되어 와이어(240)를 당김으로써 공기주입구가 개방되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A wire 24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alve core 210 , and the wire 240 may be pulled by a motor 250 mounted inside the case 110 . The motor 250 may include a winding unit around which the wire 240 may be wound. When an oper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to the circuit unit 1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vehicle is suddenly braked, the motor 250 is operated and by pulling the wire 240, the air inlet is opened and air can be discharged. have.

스프링(230)은 밸브코어(21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용수철 스프링일 수 있다. 스프링(230)은 밸브코어(210)의 타단 단차부와 파이프부(140)의 가이드리브 단부 사이에 지지될 수 있다. 스프링(230)은 모터(250)의 작동이 중단되면 밸브코어(210)가 닫히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다.The spring 230 may be a spring spring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alve core 210 . The spring 230 may be supported between the step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valve core 210 and the guide rib end of the pipe portion 140 . The spring 230 may appl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valve core 210 when the operation of the motor 250 is stopped.

케이스(110) 내부에는 배터리(160)가 구비되어 있어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30), 통신부(150) 및 모터(25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250)는 회로부(120)를 통해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Since the battery 160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10 ,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130 , the communication unit 150 , and the motor 250 . As described above, the motor 250 may receive power through the circuit unit 120 .

전자제어유닛(300)은, 급제동시 통신부(150)를 통해 모터(25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모터(250)가 밸브코어(210)를 열어 공기를 배출하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30)에서 감지되는 타이어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모터(250)를 정지시켜서 스프링(230)에 의해 밸브코어(210)가 다시 닫히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25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during sudden braking, the motor 250 opens the valve core 210 to discharge air, and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130 ), the motor 250 is stopped and the valve core 210 is controlled to close again by the spring 230 when the tir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전자제어유닛(300)은 자동차(10)의 속도가 소정 시간 내에 소정값 이상 줄어드는 경우 급제동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전자제어유닛(300)은 급제동이라고 판단되면, 통신부(150)를 통해 회로부(120)로 모터(250)의 작동 신호를 송신한다. 자동차(10)에 ABS(Anti-lock Braking System)이 구비되는 경우, 전자제어유닛(300)은 ABS가 작동하기 시작하는 시점에 모터(25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may determine that sudden braking occurs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10 decreas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within a predetermined tim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250 to the circuit unit 1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5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raking is sudden. When the vehicle 10 is equipped with an anti-lock braking system (ABS),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may transmit a signal to operate the motor 250 at a time when the ABS starts to operate.

급제동시 공기 압력을 줄일 필요가 있는 것은 후륜 타이어(30)이므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전륜과 후륜에 모두 구비되지만, 밸브장치(200)를 구비한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100)는 후륜에만 구비될 수 있다.Sinc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ir pressure during sudden braking,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is provided on both the front and rear wheels, but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00 with the valve device 200 is not can only be provided.

회로부(120)는 모터(250)를 작동시켜 와이어(240)를 소정거리 잡아당겨서 밸브코어(210)를 열어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130)는 계속 타이어 공기압을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적정 압력에 도달하면, 전자제어유닛(300) 또는 회로부(120)는 모터(250)의 작동을 정지한다. 그러면, 압축되었던 스프링(230)이 신장되면서 밸브코어(210)를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circuit unit 120 operates the motor 250 to pull the wire 240 a predetermined distance to open the valve core 210 to discharge air. At this time, when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130 continuously measures the tire air pressure and reaches a preset appropriate pressure, the electronic control unit 300 or the circuit unit 120 stops the operation of the motor 250 . Then, as the compressed spring 230 is extended, it is possible to move the valve core 210 in a closing direction.

급제동시 타이어의 공기압이 줄어들면, 일반 주행시 필요한 적정 공기압보다 작기 때문에, 수차례 급제동하여 공기 배출 작동 이후에는 공기주입구(32)를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보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If the air pressure of the tire is reduced during sudden braking, since it is smaller than the appropriate air pressure required for general driving, it may be necessary to supplement the air by injecting air through the air inlet 32 after the air discharge operation by sudden braking several times.

본 발명의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에 의하면, 급제동시 후륜 타이어에서 공기를 적정량 배출하여, 무겁고 큰 트레일러 에어 탱크를 장착할 필요 없이, 공기입 타이어의 트랙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ropriate amount of air is discharged from the rear tire during sudden braking, thereby improving the traction performance of the pneumatic tire without the need to mount a heavy and large trailer air tank.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u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add, change, delete or add components within the scop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자동차
20: 전륜 타이어
22: 공기주입구
25: 주입구 마개
30: 후륜 타이어
32: 공기주입구
50: 휠
100: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110: 케이스
120: 회로부
130: 압력 모니터링 센서
140: 파이프부
150: 통신부
160: 배터리
200: 밸브장치
210: 밸브코어
230: 스프링
240: 와이어
250: 모터
300: 전자제어유닛
350: 디스플레이
10: car
20: front tire
22: air inlet
25: inlet plug
30: rear tire
32: air inlet
50: wheel
100: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110: case
120: circuit unit
130: pressure monitoring sensor
140: pipe part
150: communication department
160: battery
200: valve device
210: valve core
230: spring
240: wire
250: motor
300: electronic control unit
350: display

Claims (5)

타이어 휠의 공기주입구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설치되어 급제동시 상기 공기주입구를 개방하는 밸브장치; 및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와 무선 통신하여 상기 밸브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
a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n air inlet of a tire wheel to measure air pressure;
a valve device installed in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to open the air inlet during sudden braking; and
and an electronic control unit that wirelessly communicates with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valv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회로부에 구비되는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와,
상기 회로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공기주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로 연결되는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comprises:
case and
a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provided in a circuit unit installed in the case;
a communication unit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lectronic control unit;
and a pipe part connected from the air inlet to the cas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파이프부 내부에 구비되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코어와,
상기 밸브코어의 일단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는 모터와,
상기 밸브코어의 타단에 구비되어 밸브코어가 닫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alve device is
a valve core provided inside the pipe part to open and close the flow path;
a motor pulling a wi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valve core;
and a spring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valve core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close the valve cor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 상기 통신부 및 상기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mo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급제동시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터의 작동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모터가 상기 밸브코어를 열어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타이어 압력 모니터링 센서에서 감지되는 타이어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상기 모터를 정지시켜서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밸브코어가 다시 닫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 공기압 긴급 조절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onic control unit transmits an operation signal of the moto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during sudden braking, the motor opens the valve core to discharge air, and when the tire pressure sensed by the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reaches a predetermined pressure, Tire air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by stopping the motor and controlling the valve core to close again by the spring.
KR1020200016673A 2020-02-11 2020-02-11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KR10233286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73A KR102332860B1 (en) 2020-02-11 2020-02-11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673A KR102332860B1 (en) 2020-02-11 2020-02-11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994A true KR20210101994A (en) 2021-08-19
KR102332860B1 KR102332860B1 (en) 2021-11-30

Family

ID=77492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673A KR102332860B1 (en) 2020-02-11 2020-02-11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86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336B1 (en) 1996-12-27 2001-01-15 정몽규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868318B1 (en) * 2007-09-21 2008-11-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Automatic control unit for tire air pressure
KR101360167B1 (en) * 2012-04-16 2014-02-12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ire pressure and the control method
KR101365183B1 (en) 2013-06-27 2014-02-20 주식회사 신승정밀공업사 Tire pressure controll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7336B1 (en) 1996-12-27 2001-01-15 정몽규 Tire pressur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0868318B1 (en) * 2007-09-21 2008-11-11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Automatic control unit for tire air pressure
KR101360167B1 (en) * 2012-04-16 2014-02-12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Automatic control system of tire pressure and the control method
KR101365183B1 (en) 2013-06-27 2014-02-20 주식회사 신승정밀공업사 Tire pressure control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860B1 (en)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35068B2 (en) Load-based tire inflation system for heavy-duty vehicles
US9522577B2 (en) Dynamic tire air pressure system
US6561017B1 (en) Tire inflation method
US920713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arrying out a brake test on trailer vehicles and/or semitrailer vehicles
US7284585B2 (en) Wheel assembly, wheel and wheel condition determining apparatus
US8897957B2 (en) Control and monitoring device of a vehicle having a tire-monitoring control unit and a brake control unit integrated in a subassembly
US20180186198A1 (en) External Mounting Intelligent Vehicle Tire Pressure Management System Apparatus
MX2013005601A (en) Tire management system.
US7444859B2 (en) Wheel assembly with internal pressure reservoir and pressure fluctuation warning system
US8474500B2 (en) Pressure monitoring and adjustment for two wheeled vehicle with wheel based pressure reservoir
US10160269B2 (en) Vehicle air supply system
KR102332860B1 (en) Tire pressure emergency control system
CN209904461U (en) Tire pressure regulating device for automatic inflation and deflation of vehicle
KR100461355B1 (en) Pneumatic injection device of tire
KR100552175B1 (en) Apparatus for controling tire air pressure in vehicle
KR100814555B1 (en) Assistant braking apparatus for pneumatic tire
CN113263873A (en) Tire assembly and method for improving tire grip
KR101294120B1 (en)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same
KR20100052734A (en) Anti spin regulator control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