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712A -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712A
KR20210101712A KR1020200015983A KR20200015983A KR20210101712A KR 20210101712 A KR20210101712 A KR 20210101712A KR 1020200015983 A KR1020200015983 A KR 1020200015983A KR 20200015983 A KR20200015983 A KR 20200015983A KR 20210101712 A KR20210101712 A KR 20210101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device
power receiving
power
charg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하식
이승호
장경익
강두석
김성진
박상경
이병철
이홍섭
조중호
최보근
최치정
현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5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712A/ko
Priority to PCT/KR2021/000972 priority patent/WO2021162278A1/en
Priority to US17/159,373 priority patent/US20210249886A1/en
Publication of KR20210101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1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remote indication, e.g. on external char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data exchange
    • H02J7/00034Charger exchanging data with an electronic device, i.e. telephone, whose internal battery is under char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connection de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개시에 따른 일 실시 예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관리 회로,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전력 관리 회로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충전이 감지되면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CURRENT}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력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페어(pair)를 이루는 전력 수신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 이어폰은 전자 장치(예: 스마트폰, 또는 PC)와 블루투스 페어링을 통해 연동함으로써, 통화 및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는 제품이다. 기존 유선 이어폰과 달리 사용자에게 활동성 및 편의성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최근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초기의 블루투스 이어폰은 한쪽 귀에만 착용하는 모노 타입, 이어폰 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사용자의 목 뒷부분에 착용하는 넥밴드 타입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이어폰의 선을 완전히 제거한 코드 프리(code-free) 타입이 블루투스 이어폰의 산업 분야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코드 프리(code-free) 타입의 블루투스 이어폰은 전자 장치 및 이어폰 유닛 간에 연결하기 위한 선이 없으므로, 이를 착용한 사용자가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코드 프리(code-free) 타입의 이어폰 유닛은 별도의 배터리를 포함하므로, 배터리의 충전을 통해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제조사는 사용자가 오랜 시간 동안 이어폰을 착용하더라도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배터리를 탑재한 이어폰의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켜왔으나, 이어폰의 크기가 축소됨에 따라 배터리의 용량도 감소하게 되었다. 코드 프리(code-free) 타입의 블루투스 이어폰은 배터리의 짧은 지속 시간으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배터리의 짧은 지속 시간을 보완하기 위해 코드 프리(code-free) 타입의 블루투스 이어폰은 배터리를 충전 및 보관할 수 있도록, 전력 공급 기능을 수행하는 별도의 충전 케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코드 프리(code-free) 타입의 이어폰은 대부분 페어(pair)로 동작하나, 사용환경에 따라서 각각의 이어폰 유닛의 배터리 잔량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페어로 구성된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유닛만을 사용함에 따라 이어폰 유닛의 배터리 잔량 상태가 상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이어폰 중 어느 하나의 이어폰 유닛은 단말과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는 주요 역할을 수행함에 따라 다른 이어폰 유닛에 비해 더 많은 전력을 소모할 수 있다.
배터리 잔량 상태가 상이한 각각의 이어폰 유닛이 충전 케이스에 장착되면, 충전 케이스는 각각의 이어폰 유닛에 대하여 동일한 전압으로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 잔량 상태가 상이한 각각의 이어폰 유닛은 서로 다른 시점에 충전이 완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른쪽 이어폰의 배터리가 60% 남아 있고 왼쪽 이어폰의 배터리가 35% 남아 있는 상태에서 충전을 수행하면, 오른쪽 이어폰의 배터리가 100% 된 시점에 왼쪽 이어폰의 배터리는 80% 정도만 충전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이 완료되지 않은 이어폰에 대하여 추가적인 충전이 필요할 수 있다. 페어로 구성된 이어폰에 대하여 충전이 수행된 이후에도 서로 다른 배터리 잔량 상태를 갖는 이어폰 유닛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는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페어를 이루는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관리 회로,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전력 관리 회로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충전이 감지되면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충전이 감지되면 충전 전류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수용부,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 인터페이스, 배터리,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은, 페어를 이루는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페어를 이루는 전력 수신 장치와 균형적인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공급 장치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 중 제1 전력 수신 장치만 전력 공급 장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공급 장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 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정보 수신 여부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전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장치(10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110)가 배치될 수 있는 제1 수용부(102)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120)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수용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수용부(102)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인터페이스(106)가 배치되고, 제2 수용부(104)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를 포함하는 제2 인터페이스(108)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106) 및 제2 인터페이스(108)는 포고(pogo)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106) 및 제2 인터페이스(108)는 충전용 전원 단자, 그라운드(GND) 단자, 디텍트(detect) 단자 또는 데이터 통신용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인터페이스(106) 및 제2 인터페이스(108)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는 충전용 전원 단자, 디텍트 단자 및 데이터 통신용 단자의 기능 중 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106)에 포함된 하나의 단자는 제1 전력 수신 장치(110)가 제1 수용부(102)에 배치됨을 검출하고, 제1 전력 수신 장치(110)를 충전하고, 제1 전력 수신 장치(1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08)에 포함된 하나의 단자는 제2 전력 수신 장치(120)가 제2 수용부(104)에 배치됨을 검출하고, 제2 전력 수신 장치(120)를 충전하고, 제2 전력 수신 장치(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LED 표시등(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LED 표시등(130)은 제1 수용부(102) 또는 제2 수용부(104) 중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에 제1 전력 수신 장치(110) 또는 제2 전력 수신 장치(120)가 배치되는 경우에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110)가 제1 수용부(102)에 배치되는 경우, 제1 전력 수신 장치(110)의 충전 상태(예: 충전 완료 또는 충전 중)를 나타내는 신호(예: 녹색 광 또는 적색 광)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110)는 제1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120)는 제2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110)는 제1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장치(120)는 제2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11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110)는 제1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장치(120)는 제2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11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120)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전력 수신 장치(12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110)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10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공급 장치 및 전력 수신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관리 모듈(216), 배터리(206), 인터페이스(112), 센서 모듈(210), 메모리(212) 및 통신 회로(2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의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도 1의 제1 전력 수신 장치(110)에 대응될 수 있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도 1의 제2 전력 수신 장치(120)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대응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206)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206)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은 35%이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은 50%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모듈(216)은 프로세서(202) 및 전력 관리 회로(20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204)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회로(204)는 외부(예: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을 감지하여 배터리(206)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204)는 프로세서(202)로부터 수신된 충전 전류 값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02)는 배터리(206)의 전압 값과 무관하게 충전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충전 정보(예: 전력 공급 장치(220)에 대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 여부,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또는 배터리 전압 값) 또는 배터리 만충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충전 정보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 값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결정한 충전 전류 값을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는 생성한 데이터 신호를 전력 관리 회로(204)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02)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수신한 전력 관리 회로(204)는, 배터리(206) 전압에 기반하여 설정한 최초 충전 전류에서 데이터 신호에 기반한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전압에 따른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 여부,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 및 충전 상태(예: 유선 충전, 무선 충전, 급속 충전 또는 충전 중 아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210)은 사용자의 착용을 감지하는 착용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10)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었음을 감지하여, 착용 상태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212)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예: 프로세서(202) 또는 센서 모듈(210))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12)는 복수 개의 전압 구간 중에서 배터리(206)의 전압 값에 해당하는 구간의 구간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메모리(212)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간의 배터리 전압 구간 값의 차이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충전 전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회로(214)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와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 스마트폰, PC 또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 회로(214)는 프로세서(202)와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회로(214)를 통해 일정 범위(예: 15m) 내에 위치하는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통신 회로(214)를 통해 단말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부터 각각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각각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말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보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93%에 해당하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95%에 해당하여 배터리 잔량 차이가 미비한 경우에, 단말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동일하게 95%로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통신 회로(214)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와 데이터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통신 회로(214)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레벨 정보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통신 회로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레벨 정보를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배치된 상태의 전력 공급 장치(220)가 활성화 상태(예: 전력 공급 장치(220)의 케이스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통신 회로(214)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와 배터리 레벨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02)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02)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에 포함된 배터리 잔량을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과 비교하여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수신되는 충전 전류를 변경하도록 전력 관리 회로(204)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예: 도 1의 전력 공급 장치(100))는 프로세서(222) 및 전력 관리 회로(PMIC)(224)를 포함하는 전력 관리 모듈(236), 배터리(226), 제1 인터페이스(106), 제2 인터페이스(108), 센서 모듈(232) 및 통신 회로(23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224)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회로(224)는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을 감지함에 따라 배터리(226)를 충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220)는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전원이 인가됨을 감지할 수 있는 외부 전원 인터페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관리 회로(224)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관리 회로(224)는 충전된 배터리(22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를 충전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전력 관리 회로(224)는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전원이 인가됨을 감지함에 따라 외부 전원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를 충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226)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또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중 적어도 하나의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226)는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고,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인터페이스(106)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디텍트 단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인터페이스(106)에서의 저항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치됨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치됨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통신 회로(234)를 통해 단말(예: 스마트 폰) 및/또는 전력 수신 장치(200, 24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220)는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회로(234)를 통해 일정 범위(예: 15m) 내에 위치하는 단말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레벨 정보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된 전력 수신 장치(200, 240)의 배터리 레벨 정보를 통신 회로(234)를 통해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 모듈(232)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232)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기능(예: 음성 통화, 알림, 또는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정보를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222)는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부터 수신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를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동일한 시점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가 감지된 경우에,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35%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부터 5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50%에 해당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35%에 해당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탈착이 감지되는 경우에,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탈착이 감지됨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치만이 감지된 경우에,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을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35%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가 감지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가 감지되는 경우에, 프로세서(222)는 제1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가 감지됨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프로세서(202), 전력 관리 회로(PMIC)(204), 배터리(206), 인터페이스(112) 및 센서 모듈(210)의 설명과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206), 상기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관리 회로(204),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인터페이스(112),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전력 관리 회로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02)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충전이 감지되면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이 감지되면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보다 높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제1 충전 전류보다 낮은 제2 충전 전류로 변경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제1 충전 전류보다 높은 제3 충전 전류로 변경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로 설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제1 전압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정보는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제2 전압 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과 관련된 복수의 전압 구간들 중 상기 제1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1 구간의 값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전압 구간들 중 상기 제2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2 구간의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구간의 값과 상기 제2 구간의 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 및 배터리의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 충전 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이 감지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값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충전 정보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제어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01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와 연결됨에 따라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는 포고 핀의 형태를 갖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인터페이스(예: 도 2의 제1 인터페이스(106))와 연결되는 경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06))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03에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개시 시점에 대하여 지정된 전류 값으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지정된 전류 값은 사용자의 설정, 장치 내 임의의 설정 또는 제조사 설정에 따라 설정된 충전 전류 값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개시 시점에 대하여 설정된 전류 값인 70mA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충전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개시 시점에서의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충전 개시 시점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70%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70%의 배터리 잔량에 대응하는 100mA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206)의 최대 충전 전류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05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충전 정보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또는 배터리 전압 값) 또는 배터리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전 정보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이 개시된 직후의 배터리 잔량(예: 65%)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충전 정보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온도 상태(예: 정상 상태, 저온 상태 또는 고온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충전 정보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이 복수 개의 전압 구간들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 나타내는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에 전력 공급 장치(220)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시점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이 개시되는 시점,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1 충전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 시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가 감지됨을 포함하는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수신한 시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상태가 변경된 시점(예: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 구간이 변경된 시점, 온도가 변경된 시점) 또는 일정 주기에 도달한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충전 정보는 최초 시점의 제1 충전 정보 및 갱신된 제1 충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07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충전 정보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치 여부,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또는 배터리 전압 값) 또는 배터리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전 정보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이 개시된 직후의 배터리 잔량(예: 4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충전 정보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온도 상태(예: 정상 상태, 저온 상태 또는 고온 상태)를 나타내는 온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충전 정보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이 복수 개의 전압 구간들 중 어느 구간에 속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ID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배터리 ID 정보는 배터리의 제조사 및/또는 종류에 따라 상이한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ID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부터 수신한 제2 충전 정보를 보정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충전 정보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충전 정보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충전이 개시된 직후의 배터리 잔량(예: 85%)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2 충전 정보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26))의 충전 상태가 유선 충전, 무선 충전, 급속 충전 또는 충전 중이 아닌지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09에서 제1 충전 정보 및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충전 정보에 포함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및 제2 충전 정보에 포함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11에서 제1 충전 정보 및 제2 충전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충전 정보에 포함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65%이고, 제2 충전 정보에 포함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40%인 경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303에서 설정한 충전 전류보다 낮은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226)의 충전 상태를 포함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226)가 충전 중(예: 유선 충전, 무선 충전 또는 급속 충전)임을 포함하는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예: 140mA)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충전 정보 및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전력 공급 장치(220)로 지정된 전력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전력 전송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의 차이에 기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지정된 전력 전송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와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낮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 지정된 전력 전송을 우선적으로 요청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동작 321 내지 동작 331에 대한 설명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동작 301 내지 동작 311에 대한 설명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내용과 대응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동작 321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와 연결됨에 따라 인터페이스를 통해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동작 321은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동작 301과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동작 323에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동작 325에서 제2 충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충전 정보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또는 배터리 전압 값) 또는 배터리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1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충전 정보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치 여부,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구간 정보(또는 배터리 전압 값) 또는 배터리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동작 329에서 제1 충전 정보 및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동작 331에서 제1 충전 정보 및 제2 충전 정보의 비교 결과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 제2 전력 수신 장치 및 전력 공급 장치 간에 연결에 따른 상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도 4a, 도 4b 및 도 4c의 설명과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대응되거나 동일 또는 유사한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4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인터페이스(112)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제1 인터페이스(106)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인터페이스(122)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제2 인터페이스(108)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주 이어폰에 해당하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부 이어폰에 해당할 수 있다. 주 이어폰은 단말(예: 스마트 폰)과 직접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부 이어폰은 상기 주 이어폰과 단말의 통신 연결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주 이어폰과 단말이 송수신 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주 이어폰 및 부 이어폰의 역할(또는 설정)은 지정된 조건에 기반하여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를 동시에 꺼내는 경우에, 오른쪽(R)에 착용될 수 있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주 이어폰에 해당하고, 왼쪽(L)에 착용될 수 있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부 이어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만을 꺼내는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주 이어폰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주 이어폰 및 부 이어폰의 역할은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주 이어폰 및 부 이어폰의 역할은 설계자에 의해 지정되고, 지정된 후 변경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간에 무선 통신(405)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와의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와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에 대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무선으로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코일 안테나와 같은 무선 전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무선 전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할 수도 있다.
도 4b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력 수신 장치 중 제1 전력 수신 장치만 전력 공급 장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인터페이스(112)와 전력 공급 장치(220)의 제1 인터페이스(106)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배터리 잔량(432)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220)에 전송(412)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개시 시점에서 배터리 잔량(432)이 75%에 해당함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220)에 전송(412)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특정 시점 또는 일정 주기에 기반하여 갱신된 충전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220)에 전송(412)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배터리 전압 구간이 변경된 시점, 온도가 변경된 시점 또는 사용자나 시스템에 의해 설정된 일정 주기(예: 1분)에 도달한 시점에서의 충전 정보를 전송(412)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인터페이스(106) 및 제2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전력 수신 장치(200, 240)의 배치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터페이스(108)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가 디텍트 단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2 인터페이스(108)에서 저항 값의 변화가 없음에 따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배치되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인터페이스(112)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충전 정보를 수신(41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만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410)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배치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수신(410)할 수도 있다.
도 4c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전력 공급 장치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배치된 상태의 전력 공급 장치(220)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전력 공급 장치(220)를 통해 전력선 통신(PLC)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와 쌍을 이루어 각각의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인터페이스(122)와 전력 공급 장치(220)의 제2 인터페이스(108)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인터페이스(122)를 통해 배터리 잔량(434)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220)에 전송(414)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 개시 시점에서 배터리 잔량(434)이 25%에 해당함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전력 공급 장치(220)에 전송(414)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 및/또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충전 정보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에 전송(416)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로부터 수신한 충전 정보를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에 전송(410)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 장치(22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75%에 해당함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에 전송(416)하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25%에 해당함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를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에 전송(410)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 이하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잔량이 75%인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25%이고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이 20%인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75%이고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이 20%인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전력 공급 장치(220)의 배터리 잔량이 기준 값(예: 25%) 이하임을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을 수행하지 않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정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예: 도 2의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1에서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충전 개시 시점에 대하여 지정된 전류 값(예: 70mA)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3에서 전력 공급 장치(예: 도 2의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예: 도 2의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충전 정보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충전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5에서 제1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포함하는 제2 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충전 전류(예: 70mA)로 설정된 충전 전류를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06))의 최대 충전 전류(예: 140mA)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7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9에서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보다 낮은 제2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작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11에서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보다 높은 제3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70%이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65%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인 70mA보다 낮은 30mA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70%이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85%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인 70mA보다 높은 120mA로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낮은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초에 설정된 제1 충전 전류의 값에 따라 제1 충전 전류의 값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1에서 제1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예: 140mA)로 설정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충전 전류를 유지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507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40)는 배터리 잔량 차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크고, 배터리 잔량 차이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2 충전 전류(예: 30mA)로 변경하고,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크고, 배터리 잔량 차이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3 충전 전류(예: 70mA)로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작고, 배터리 잔량 차이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제3 충전 전류(예: 70mA)로 변경하고,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보다 작고, 배터리 잔량 차이가 기준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4 충전 전류(예: 100mA)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보다 충전이 먼저 완료되는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충전 완료 시점에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과 동일한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동작 501에서 충전 전류를 설정할 때, 배터리(206)의 최대 충전 전류(예: 140mA)의 절반에 해당하는 전류(예: 70mA)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70%로 동일한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최초에 설정한 제1 충전 전류인 70mA로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된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또한 도 5의 동작 501 내지 동작 511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최초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로 설정하고, 전력 공급 장치(220)로부터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수신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충전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과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을 비교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보다 크거나 동일한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보다 낮은 제2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잔량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잔량보다 작은 경우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보다 높은 제3 충전 전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배터리 잔량 정보 즉,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에 대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력 수신 장치(200, 240)는 배터리 전압에 따라 충전 전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전력 수신 장치(200, 240)의 배터리 SOC 값은 배터리 전압 값과 실질적으로는 비슷하나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배터리 전압 값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고자 한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 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하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6의 동작 주체는 제1 전력 수신 장치로 작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제2 전력 수신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예: 도 2의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601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제1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1 구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603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제2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2 구간 값을 획득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200, 240)의 전압 값에 대응하는 구간 값은 미리 설정된 표(table)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V) 구간 값
~ 3.6V 0
3.6V~3.8V 1
3.8V~4.0V 2
4.0V~ 3
표 1은 전력 수신 장치(200, 240)의 전압 값이 속하는 전압 구간에 대한 구간 값을 설정해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수신 장치(200, 240)의 배터리 전압 구간은 복수 개의 전압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전압 구간은 제1 전압 구간(예: 배터리 전압<3.6V), 제2 전압 구간(예: 3.6V≤배터리 전압<3.8V), 제3 전압 구간(예: 3.8V≤배터리 전압<4.0V) 및 제4 전압 구간(예: 배터리 전압≥4.0V)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배터리 전압 구간에서 기준 전압 값(예: 3.6V, 3.8V, 4.0V)은 제조사 설정, 사용자 설정 또는 장치 내 임의 설정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예: 도 2의 배터리(206))는 3.9V의 전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복수 개의 전압 구간들 중 3.9V의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1 구간(예: 3.8V 내지 4.0V의 전압 값을 포함하는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구간에 대하여 지정된 제1 구간 값인 “2”를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는 3.5V의 전압 값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복수 개의 전압 구간들 중 3.5V의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2 구간(예: 3.6V 미만의 전압 값을 포함하는 구간)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구간에 대하여 지정된 제2 구간 값인 “0”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605에서 제1 구간 값 및 제2 구간 값의 차이 값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동작 607에서 제1 구간 값 및 제2 구간 값의 차이 값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제1 구간 값 및 제2 구간 값의 차이에 대응하는 충전 전류는 미리 설정된 표(table)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제1 구간 값 및 제2 구간 값의 차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전류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전류
제1 전력 수신 장치 단독 충전 140mA -
-3 100mA 40mA
-2 100mA 40mA
-1 70mA 70mA
0 70mA 70mA
1 70mA 70mA
2 40mA 100mA
3 40mA 100mA
제2 전력 수신 장치 단독 충전 - 140mA
표 2는 제1 구간 값 및 제2 구간 값의 차이에 대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전류를 미리 설정해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각각 단독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만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인 140mA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이 3.9V이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이 3.5V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구간 값인 “2”와 제2 구간 값인 “0”의 차이 값인 “2”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구간 값과 제2 구간 값의 차이 값인 “2”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전류 값인 “40mA”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이 3.5V이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이 3.9V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구간 값인 “0”과 제2 구간 값인 “2”의 차이 값인 “-2”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구간 값과 제2 구간 값의 차이 값인 “-2”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전류 값인 “100mA”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만,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또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이 저전압(예: 2.8V)에 해당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또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표 1 및 표 2가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의 차이가 기준 값(예: 1V)을 초과하는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대 충전 전류 값인 140mA로 충전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의 배터리 전압이 3.0V이고,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배터리 전압이 4.1V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가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단독으로 충전을 수행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간의 배터리 전압 차이가 기준 값(예: 1V) 이하에 도달하는 시점까지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충전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력 수신 장치(예: 도 2의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또는 제2 전력 수신 장치(240))는 복수 개의 전압 구간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구간 값인 표 1의 데이터를 메모리(예: 도 2의 메모리(2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력 수신 장치(200, 240)는 전력 수신 장치(200, 240) 간의 배터리 전압 구간 값의 차이에 대하여 설정된 충전 전류 값인 표 2의 데이터를 메모리(212)에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정보 수신 여부에 따른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전류 그래프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전력 수신 장치(예: 도 2의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예: 도 2의 전력 공급 장치(220))와 연결되어 충전을 개시(701)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력 공급 장치(220)에 배치됨에 따라 최초 충전 전류 값(703)인 70mA로 충전 전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일정 시간 내에 제2 전력 수신 장치(예: 도 2의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705)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대 충전 전류 값(707)인 140mA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초 충전 전류 값(703)으로 충전을 유지하다가, 5초가 지난 시점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 수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대 충전 전류 값으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최대 충전 전류 값으로 충전 중에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력 수신 장치(240)의 충전 정보가 수신된 경우(709)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전압 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간의 전압 구간의 차이가 “-3” 또는 “-2”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100mA(711)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간의 전압 구간의 차이가 “-1”, “0” 또는 “1”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70mA(713)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제1 전력 수신 장치(200) 및 제2 전력 수신 장치(240) 간의 전압 구간의 차이가 “2” 또는 “3”인 경우에, 제1 전력 수신 장치(200)는 40mA(715)로 충전 전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 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 전력 수신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포함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와 작동적으로 연결되는 전력 관리 회로;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터리, 상기 전력 관리 회로 및 상기 인터페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충전이 감지되면 충전 전류를 설정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이 감지되면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로 설정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보다 높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제1 충전 전류보다 낮은 제2 충전 전류로 변경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제1 충전 전류보다 높은 제3 충전 전류로 변경하도록 설정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로 설정하도록 설정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제1 전압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정보는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제2 전압 값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충전과 관련된 복수의 전압 구간들 중 상기 제1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1 구간의 값을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전압 구간들 중 상기 제2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2 구간의 값을 획득하고,
    상기 제1 구간의 값과 상기 제2 구간의 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도록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전송되는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 및 배터리의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지정된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 충전 정보를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었음이 감지되는 것을 포함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조건은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의 SOC(state of charge) 값의 변경을 포함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충전 정보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전력 수신 장치.
  11.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충전이 감지되면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충전 전류를 설정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 또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전력 관리 회로를 통해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충전이 감지되면 상기 충전 전류를 제1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동작;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보다 높거나 동일한 경우,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제1 충전 전류보다 낮은 제2 충전 전류로 변경하는 동작; 및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보다 낮은 경우, 상기 충전 전류를 상기 제1 충전 전류보다 높은 제3 충전 전류로 변경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제1 전압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충전 정보는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전압을 나타내는 제2 전압 값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압 값과 상기 제2 전압 값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충전과 관련된 복수의 전압 구간들 중 상기 제1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1 구간의 값을 획득하는 동작;
    상기 복수의 전압 구간들 중 상기 제2 전압 값에 대응하는 제2 구간의 값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구간의 값과 상기 제2 구간의 값의 차이에 기반하여 상기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충전 전류를 최대 충전 전류로 설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전력 공급 장치에 있어서,
    제1 전력 수신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제1 수용부 및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쌍을 이루는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배치될 수 있는 제2 수용부;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되는 제2 인터페이스;
    배터리; 및
    상기 제1 인터페이스, 상기 제2 인터페이스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1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수용부에 배치된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와 연관된 제2 충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제2 충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로 상기 제1 충전 정보를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력 공급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용부에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가 배치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정보를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도록 설정되는, 전력 공급 장치.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 및 배터리의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제2 충전 정보는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온도 정보, 배터리 전압, 배터리 전압 구간 정보 및 배터리의 만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2 충전 정보 및 상기 제2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제1 충전 정보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충전 정보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충전 정보는 상기 전력 공급 장치의 배터리 잔량 정보 및 충전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장치.
KR1020200015983A 2020-02-10 2020-02-10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210101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83A KR20210101712A (ko) 2020-02-10 2020-02-10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PCT/KR2021/000972 WO2021162278A1 (en) 2020-02-10 2021-01-25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current
US17/159,373 US20210249886A1 (en) 2020-02-10 2021-01-27 Power receiv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harging curr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83A KR20210101712A (ko) 2020-02-10 2020-02-10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712A true KR20210101712A (ko) 2021-08-19

Family

ID=77177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983A KR20210101712A (ko) 2020-02-10 2020-02-10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49886A1 (ko)
KR (1) KR20210101712A (ko)
WO (1) WO20211622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70A1 (ko) * 2022-05-04 2023-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29839A1 (ko) * 2022-08-02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5714B2 (en) * 2020-08-07 2022-08-02 Bose Corporation Wireless audio device battery pre-loading and pre-charg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7697A1 (en) * 2004-11-10 2006-05-11 Eaglepicher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cell equalization with switched charging sources
US7626358B2 (en) * 2006-12-01 2009-12-01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charging peripherals
US8159191B2 (en) * 2007-04-17 2012-04-17 Tsun-Yu Chang Advanced rechargeable battery system
US8093862B2 (en) * 2008-09-03 2012-01-10 Modalis Engineering, Inc.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for battery charge management
US9018898B2 (en) * 2012-02-10 2015-04-28 Sandisk Technologies Inc. Regulation of wirelessly charging multiple devices from the same source
US20140082384A1 (en) * 2012-09-20 2014-03-20 Apple Inc. Inferring user intent from battery usage level and charging trends
US20160219358A1 (en) * 2015-01-28 2016-07-28 Alpha Audiotronics, Inc. Wireless earbuds with reciprocating leader and follower configuration
US20170245039A1 (en) * 2016-02-19 2017-08-24 Erato (Cayman) Holdings Co., Ltd. Charging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CN108616148A (zh) * 2016-12-09 2018-10-02 手持产品公司 智能电池平衡系统和方法
KR20180073270A (ko) * 2016-12-22 2018-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력 관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84519B1 (ko) * 2017-12-27 2022-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618227B1 (en) * 2018-08-29 2024-01-03 Oticon A/s Wireless charging of multiple rechargeable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4770A1 (ko) * 2022-05-04 2023-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찾기 기능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29839A1 (ko) * 2022-08-02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배터리 관리를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2278A1 (en) 2021-08-19
US20210249886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4519B1 (ko) 이어 피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3373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based on temperature
US1128840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voltage output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size of voltage detected at signal terminal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
KR20200117461A (ko) 전원 라인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10101712A (ko) 충전 전류를 제어하는 전력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2542279B1 (ko) 무선 충전 수신기 회로를 가지는 안경, 안경용 안경 케이스, 및 시스템
KR20190087033A (ko) 무선 충전 중단 사유 전송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569178B1 (ko) 충전 회로와 연결된 스위치들을 제어하는 복수의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98006B1 (ko) 외부 객체를 감지하여 무선 전송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102434405B1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무선 전력 수신 회로를 비활성화하는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13475051B (zh) 用于根据无线电力共享提供用户界面的装置和方法
KR2015009882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절전 방법
US1128995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ly transmitting power based on foreign object detection in the electronic device
KR102540749B1 (ko) 전자 장치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력의 속성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적어도 기반하여 전력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200008319A (ko)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충전 방법
KR2021002853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인증 방법
CN108513196B (zh) 一种无线耳机及其配对方法
CN112018831B (zh) 一种充电控制方法、充电控制装置及电子设备
KR20200100976A (ko) 무선 전력 충전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KR20200042426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유무선 충전 방법
KR20210043351A (ko) 배터리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00048975A (ko) 복수의 부분들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전자 장치
KR20200058067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를 진단하는 방법
KR20210101718A (ko) 무선 충전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