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680A -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 Google Patents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680A
KR20210101680A KR1020200015938A KR20200015938A KR20210101680A KR 20210101680 A KR20210101680 A KR 20210101680A KR 1020200015938 A KR1020200015938 A KR 1020200015938A KR 20200015938 A KR20200015938 A KR 20200015938A KR 20210101680 A KR20210101680 A KR 20210101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core
app
templat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9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준혁
박홍민
Original Assignee
박홍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민 filed Critical 박홍민
Priority to KR102020001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680A/en
Publication of KR20210101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68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63F13/46Computing the game sco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009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importing or creating game content, e.g. authoring tools during game development, adapting content to different platforms, use of a scripting language to create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apable of authoring a mobile-based game application (app) supporting a score competition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ditor device provides various templates for users to easily create their own game app development. Since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contains coding that provides the user identification (ID), game identifier, and game score to a game server after the user's game ends, the game app created by the user can automatically provide a score competition mode service with the game server.

Description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반의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본 발명은 온라인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모바일 기반의 앱(App)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에디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버를 통한 점수 경쟁모드 알고리즘이 추가된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게임화면을 저작하는 것만으로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itor capable of authoring a mobile-based App game serviced on an online server.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template to which a score competition mode algorithm through a server is added, score competition only by authoring a game screen It relates to an editor device for game creation that can author app games that support mods.

모바일 기기의 발달에 따라 모바일 기기에서 동작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개발되고 있으며, 게임 소프트웨어도 그 중 하나이다. 이하에서는 스마트 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 동작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를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의미하는 '앱'이라는 단어를 차용하여 '앱 게임'이라고 한다. 이런 정의에 의하더라도, 모바일 기기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이기 때문에 모든 종류의 컴퓨터 기반 게임 소프트웨어는 앱 게임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various software operating on mobile devices are being developed, and game software is one of them. Hereinafter, game software operating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referred to as an 'app game' by borrowing the word 'app' meaning an application. Even by this definition, since a mobile device is also a computer device, any kind of computer-based game software can be created in the form of an app game.

앱 게임에는 멀티 플레이 형식의 게임도 있지만, 종래의 아케이드 게임처럼 사용자 혼자서 즐기는 게임도 많이 있다. 이런 단독 플레이 게임들은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화면에서 특정한 임무를 수행하고, 그 임무를 완수하였는지 또는 어는 단계까지 임무를 완수하였는지를 기준으로 게임을 즐기게 된다. 단독 플레이 게임들을 서비스하는 게임 서비스 공급자들은 자신들의 웹 페이지를 통해 동일한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 사이에 점수를 비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In app games, there are multiplayer games, but there are also many games that the user enjoys alone, like conventional arcade games. In these single-player games, a specific mission is performed on the screen provided by the software, and the game is enjoyed based on whether the mission is completed or to what stage the mission is completed. Game service providers that service stand-alone games also provide a service for comparing scores between users who play the same game through their web pages.

한편, 게임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보급은 상당한 수준의 전문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앱 게임이라면 서버와 같은 장비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통상 전문 프로그래머가 개발하고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제작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다양한 코딩 제작용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어 코딩 교육이 활발해지면서 소프트웨어 코딩의 저변이 넓어지면서, 아마추어인 일부 사용자들은 기성제품 형식의 게임이 아닌 자신만의 게임을 만들어 즐기기를 원하기도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game software not only requires a significant level of professional skills, but also requires equipment such as servers for app games. . However, as various software for coding production has been developed and coding education has become more active, the basis of software coding has expanded.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서버에서 서비스되는 모바일 기반 앱(App)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에디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버를 통한 점수 경쟁모드 알고리즘이 추가된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게임화면을 저작하는 것만으로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ditor capable of authoring a mobile-based App game serviced on an online server, and in particular, by providing a template to which a score competition mode algorithm through a server is added, score points only by authoring the game screen It is to provide an editor for game production that can author app games that support competition mod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반의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는 템플릿 관리부, 표시부, 입력부 및 에디팅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앱 게임은 게임 서버와 연동하여 동일한 종류의 앱 게임 사용자의 게임 점수를 상호 비교하는 점수 경쟁모드를 제공하는 게임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apable of authoring a mobile-based app game supporting a score competition mode. The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late management unit, a display unit, an input unit, and an editing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 game is a game that provides a score competition mode in which game scores of users of the same type of app game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in conjunction with a game server.

템플릿 관리부는 상기 앱 게임의 시작화면용 템플릿, 점수화면용 템플릿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구비한다. 표시부는 상기 앱 게임 저작용 저작 화면을 표시하고,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앱 게임 저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다. 에디팅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시작화면용 템플릿, 점수화면용 템플릿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사용하여 시작화면, 게임장면 및 점수화면을 완성하고 결합하여 상기 앱 게임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수화면용 템플릿에는 사용자의 게임 종료 후에 사용자 아이디, 게임 식별자 및 게임 점수를 상기 게임서버에 제공하는 코딩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앱 게임이 상기 게임 서버와 함께 상기 점수 경쟁모드를 서비스할 수 있다. The template manager includes a template for a start screen of the app game, a template for a score screen, and a template for a game scene. 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authoring screen for authoring the app game, and the input unit receives a control command for authoring the app game from the user. The editing unit may produce the app game by completing and combining the start screen, the game scene, and the score screen using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and the template for the game scene according to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In addition,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includes coding for providing a user ID, a game identifier, and a game score to the game server after the user's game ends, so that the app gam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competes for the score with the game server. You can service the mod.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시작화면용 템플릿에는 사용자 아이디를 기초로 상기 게임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코딩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앱 게임이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아 상기 게임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게임서버에 로그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includes coding for logging in to the game server based on a user ID, so that the app gam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user ID and provides it to the game server. You can log in to the game server.

이 경우, 상기 점수 경쟁모드는 상기 게임 점수를 상기 사용자 아이디가 속한 그룹 내의 다른 사용자가 상기 앱 게임으로 기획득해 둔 점수와 비교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score competition mode, the game score may be compared with scores obtained by other users in the group to which the user ID belongs by using the app game.

또한, 상기 에디팅부는, 상기 시작화면용 템플릿, 점수화면용 템플릿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사용하여 시작화면, 게임장면 및 점수화면을 완성할 때, 비주얼 프로그래밍 형식의 저작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diting unit may display an authoring screen in a visual programming format when the start screen, the game scene, and the score screen are completed using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and the template for the game scene.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제작용 에디터(Editor)는 앱 게임 개발을 위한 다양한 템플릿을 제공함으로써 자신만의 앱 게임을 쉽게 만들 수 있다. The editor for gam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create its own app game by providing various templates for app game development.

또한, 본 발명의 에디터가 제공하는 템플릿에는 앱 게임을 여러 사람이 동시에 즐길 경우에 사용자들 사이에 점수를 상호 비교하는 점수 경쟁 모드를 위한 코딩이 추가되어 있어서, 저작자들이 본 발명의 에디터를 통해 앱 게임을 저작하는 것만으로도 점수 경쟁모드를 제공하는 앱 게임을 만들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emplate provided by the ed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ding for a score competition mode that compares scores between users when multiple people enjoy the app game at the same time is added, so that authors can use the app through the ed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can create an app game that provides a score competition mode just by authoring the game.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서비스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게임 서버의 점수 경쟁모드를 설명하는데 제공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디터 장치의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에디터 장치에서 사용되는 템플릿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game servic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the score competition mode of the game serv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the edito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template used in an editor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게임 서비스 시스템(100)은 등록된 앱 게임 사용자들 사이의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게임 서버(110)와 인터넷(130)를 통해 게임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사용자 단말기(130, 140, 150, 160)를 포함하고,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에디터 장치(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game service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ess the game server 110 through the game server 110 and the Internet 130 supporting a score competition mode between registered app game users. It includes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30 , 140 , 150 , 160 , and includes an editor device 300 capable of authoring an app game.

도 1에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를 대표하여 제1 사용자의 제1 단말기(130), 제2 사용자의 제2 단말기(140), 제3 사용자의 제3 단말기(150) 및 제4 사용자의 제4 단말기(160)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3 단말기(150)를 대신하여 '사용자'라고 표시하고 설명할 수 있는데, 이때에도 '사용자'의 동작은 특별히 지시한 경우가 아니면 사용자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 내부 구성의 동작으로 이해되어야 한다.1, a first terminal 130 of a first user, a second terminal 140 of a second user, a third terminal 150 of a third user, and a fourth terminal of a fourth user on behalf of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60) is shown. 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user' may be displayed and described in place of the first to third terminals 150, but even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user' is a user terminal or a user terminal unless specifically instructed otherwise. It should be understood as the operation of the internal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앱 게임'은 모바일 기기에서 동작하는 '게임 소프트웨어'로서 사용자가 단독으로 플레이하는 단독 플레이 게임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앱 게임은 본 발명의 게임 서버(110)를 통해 동일한 게임을 즐기는 모든 사용자들 또는 동일한 게임을 즐기면서 특정 그룹에 속해 있는 사용자들 사이에 점수를 비교할 수 있는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게임으로 한정된다. 여기서, '점수 경쟁모드'는 단독 플레이 게임을 시작한 후 기설정된 종료과정을 거쳐 획득한 점수를 동일한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비교하거나 등수를 매기는 것을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pp game' is a 'game software' operated on a mobile device, and is a stand-alone game played by a user alone. In addition, the app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ore competition mode' in which scores can be compared between all users who enjoy the same game or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while enjoying the same game through the game server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Limited to games that support Here, the 'score competition mode' refers to comparing or ranking scores between users who enjoy the same game between users who enjoy the same game after starting a single play game and then passing through a preset end process.

어느 사용자가 예를 들어, '아이오르'라는 이름의 앱 게임을 본 발명의 에디터 장치(300)를 통해 저작하였다고 가정하자. 아이오르 게임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130, 140, 150, 160)에게 배포되고, 여러 사용자들이 아이오르 게임을 즐기게 된다. 사용자가 아이오르 게임을 즐기고 점수를 획득하면, 단말기(130는 그 점수를 게임 서버(110)에게 제공하고, 게임 서버(110)는 아이오르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 사이에 점수를 비교하고 등수를 정하여 게시하게 된다. 실시 예에 따라서 게임 서버(110)는 점수가 비교된 사용자 단말기(130)에게 비교 결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앱 게임이 사용자 단말기(130)에게 배포될 때 게임 서버(110)가 그 배포과정을 중개할 수도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앱 게임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배포되어도 무방하다. It is assumed that a user authored, for example, an app game named 'Ior' through the editor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OR game is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30 , 140 , 150 , and 160 through various routes, and several users enjoy the IOR game. When the user enjoys the IOR game and obtains a score, the terminal 130 provides the score to the game server 110, and the game server 110 compares the scores among users who enjoy the IOR game and determines the r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game server 110 may provide a comparison result to the user terminal 130 with which the score is compar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pp game is distributed to the user terminal 130, the game server 110 ) may mediate the distribution process, but it is not essential, and the app game may be distributed through any path.

단말기terminal

제1 단말기(130), 제2 단말기(140), 제3 단말기(150) 및 제4 단말기(160)는 본 발명에서는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단말기(130), 제2 단말기(140), 제3 단말기(150) 및 제4 단말기(160)를 대신하여 단순히 '단말기'라고 표시한다. The first terminal 130 , the second terminal 140 , the third terminal 150 , and the fourth terminal 160 can be described in the same way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terminal 140 , the third terminal 150 , and the fourth terminal 160 , it is simply indicated as a 'terminal'.

사용자 단말기(130)는 인터넷(130)를 통해 게임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서, 컴퓨터 기반의 앱 게임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개인용 컴퓨터(PC) 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등이 해당한다. 단말기(130)는 본 발명의 앱 게임을 수행하는 앱게임처리부(131)를 포함한다. The user terminal 130 is a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game server 110 through the Internet 130, and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processing a computer-based app game. Accordingly, not only personal computers (PCs), but also smartphones (Smart Phones), tablets, and the like are applicable. The terminal 130 includes an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for performing the app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앱게임처리부(131)는 단말기(130)에 앱 게임이 설치됨으로써 생성된다. 앱 게임 자체는 하나의 소프트웨어이지만, 단말기(130)에 설치되면 단말기(130)의 하드웨어 및 운영체제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등을 이용하여 하드웨어 구성부처럼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단말기(130)와 그 운영체제 프로그램에 설치된 앱 게임과, 앱 게임을 동작을 지원하는 하드웨어 구성의 결합을 앱게임처리부(131)로 표시한다. 따라서 종래의 단말기에 앱 게임을 설치하면, 앱게임처리부(131)가 단말기(130)에 생성된다. Here,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is generated by installing the app game on the terminal 130 . The app game itself is a piece of software, but when installed in the terminal 130 , it operates like a hardware component using the hardware and operating system (OS) of the terminal 130 . Therefore, hereinafter, the combination of the app game installed in the terminal 130 and the operating system program and the hardware configuration supporting the operation of the app game is displayed as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 Therefore, when an app game is installed in a conventional terminal,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is generated in the terminal 130 .

앱게임처리부(131)의 동작은 앱 게임 소프트웨어에 의해 정의된다. 따라서 앱게임처리부(131)는 로그인 정보를 입력받아 게임 서버(110)에 접속할 수 있으며, 게임 서버(110)와 연계하여 '점수 경쟁모드'를 처리한다. The operation of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is defined by the app game software. Accordingly,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may receive login information to access the game server 110 , and process the 'score competition mode' in connection with the game server 110 .

도 1에 도시된 제1 단말기(130), 제2 단말기(140), 제3 단말기(150) 및 제4 단말기(160)에 동일한 앱 게임이 설치되었다면, 제1 단말기(130), 제2 단말기(140), 제3 단말기(150) 및 제4 단말기(160)에는 동일한 앱게임처리부(131)가 설치된 것이다. If the same app game i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130 , the second terminal 140 , the third terminal 150 and the fourth terminal 160 shown in FIG. 1 , the first terminal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40 , the third terminal 150 and the fourth terminal 160 are provided with the sam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

서버장치server device

게임 서버(110)는 본 발명의 앱 게임이 설치된 단말기(130)와 연계하여 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게임 서버(110)는 로그인한 사용자들 사이에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한다. 본 발명의 점수 경쟁모드를 처리하기 위해, 게임 서버(110)는 접속관리부(111)와 점수관리부(113)를 포함한다. The game server 110 may provide an app game service in connection with the terminal 130 on which the app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game server 110 supports a score competition mode between logged-in users. In order to process the score competi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ame server 110 includes a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and a score management unit 113 .

접속관리부(111)은 사용자 계정, 사용자 그룹, 그리고 서비스하고 있는 게임의 식별자(게임 ID)를 관리하며, 사용자 단말기(130)의 접속에 따른 로그인 절차를 관리한다.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manages a user account, a user group, and an identifier (game ID) of a game being serviced, and manages a login procedur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user terminal 130 .

점수관리부(113)은 동일한 앱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정확히는 사용자 단말기)들로부터 제공된 게임 점수를 비교하여 등수를 매기고, 그 비교결과를 사용자 단말기(130)에게 제공하는 점수 경쟁모드를 제공한다. The score management unit 113 compares game scores provided from users (or more precisely, user terminals) who enjoy the same app game, ranks them, and provides a score competition mode in which the comparison result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130 .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앱 게임을 즐기는 사용자들 중에서도 특정 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 사이의 게임 점수만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제3 사용자 및 제4 사용자가 모두 '아이오르' 게임을 즐기지만,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만이 제1 그룹에 속하고 제4 사용자는 다늘 그룹에 속했다면, 제1 사용자의 점수는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와만 비교된다. 사용자 그룹은 예를 들어, 카카오톡과 같은 메신저 서비스에서 친구로 등록된 사용자들이 자동으로 하나의 그룹으로 지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nly game scores among users belonging to a specific group among users who enjoy the same app game may be compared. For example,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the third user, and the fourth user all enjoy the 'Ior' game, but only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belong to the first group and 4 If the user belongs to the multi-group, the score of the first user is compared only with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The user group, for example, users registered as friends in a messenger service such as KakaoTalk may be automatically designated as one group.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점수경쟁 모드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core competition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설명의 편리를 위해, 제1 단말기(130), 제2 단말기(140), 제3 단말기(150) 및 제4 단말기(160)는 동일한 앱 게임을 수행한다. 다만,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및 제3 사용자가 동일한 그룹에 속해 있다. 이하의 설명은 제1 단말기(130)에 대한 게임 서비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terminal 130 , the second terminal 140 , the third terminal 150 , and the fourth terminal 160 perform the same app game. However, the first user, the second user, and the third user belong to the same group.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game service for the first terminal 130 .

<단말기의 접속: S201, S203><Terminal connection: S201, S203>

접속관리부(111)은 새로운 접속자를 상시 대기한다. 제1 단말기(130)의 앱게임처리부(131)가 인터넷(130)을 통해 게임 서버(110)의 접속관리부(111)에 접속하면, 접속관리부(111)은 제1 단말기(130)의 앱게임처리부(131)로부터 사용자 계정 및 게임 식별자 등을 제공받아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 다른 단말기들의 접속도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된다. 게임 식별자는 복수 개의 앱 게임을 상호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식별자로서, 게임 서버(110)가 앱 게임을 등록하는 과정에서 생성될 수 있다(S201).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always waits for a new connection. When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of the first terminal 130 accesses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of the game server 110 through the Internet 130 ,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is an app game of the first terminal 130 . A login procedure is performed by receiving a user account and a game identifier from the processing unit 131 . Connection of other terminals is performed in the same way. The game identifier is an identifier used to mutually identify a plurality of app games, and may b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gistering the app game by the game server 110 (S201).

게임 서버(110)의 접속관리부(111)는 제1 단말기(130)의 앱게임처리부(131)가 제공한 로그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확인하고 로그인 절차를 수행한다(S203). The connection management unit 111 of the game server 110 uses the logi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of the first terminal 130 to confirm the user and perform a login procedure (S203).

<게임 수행 및 게임 점수 제공: S205, S207><Providing game performance and game score: S205, S207>

로그인 후에, 제1 단말기(130)의 앱게임처리부(131)는 사용자에게 앱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앱 게임을 즐기도록 한다(S205). After logging in,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of the first terminal 130 provides the app game servic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app game (S205).

게임 플레이가 종료하면, 앱게임처리부(131)는 점수를 계산하고, 게임 점수를 게임 서버(110)에게 제공한다(S207). When the game play ends,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calculates a score and provides the game score to the game server 110 (S207).

<게임 점수 비교: S209><Compare game score: S209>

점수관리부(113)는 S207 단계로 제공된 게임 점수를 해당 앱 게임 사용자들의 기존 게임 점수와 비교하여 순위를 매긴다. 따라서 점수관리부(113)는 현재 상태 보유한 다른 사용자의 게임 점수를 S207 단계에서 획득한 점수와 비교하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의 게임 점수가 도착하기를 기다릴 필요가 없다. The score management unit 113 ranks the game scores provided in step S207 by comparing them with the existing game scores of the corresponding app game users. Therefore, since the score management unit 113 compares the game score of the other user in the current state with the score obtained in step S207, there is no need to wait for the game score of the other user to arrive.

<점수비교 결과 제공: S211><Score comparison result provided: S211>

점수관리부(113)는 S209 단계에서 비교한 결과를 제1 단말기(130)에게 제공하면, 제1 단말기(130)의 앱게임처리부(131)가 비교결과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When the score management unit 113 provides the comparison result in step S209 to the first terminal 130 , the app game processing unit 131 of the first terminal 130 displays the comparison result to the user.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서버 장치(110)의 게임 서비스 방법이 수행된다. In the above method, the game service method of the server device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erformed.

에디터 장치editor device

에디터 장치(300)는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툴(Tool)을 제공하는 장치이며, 바람직하게는 비주얼 프로그래밍 방식의 저작 툴을 제공한다. 비주얼 프로그래밍은 가시성을 목표로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방법으로서 프로그램 구조를 시각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제공한다. 예를 들어, MIT(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의 미디어 랩(Medialap)에서 개발한 스크래치(Scratch), 엔트리 교육연구소의 엔트리(Entry) 등이 이에 해당하며, 본 발명의 에디터 장치(300)도 스크래치나 엔트리를 이용한 앱 게임 저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ditor device 300 is a device that provides a tool capable of authoring an app game, and preferably provides an authoring tool of a visual programming method. Visual programming is a programming method designed for visibility, and provides a visually comprehensible and easy-to-understand program structure. For example, Scratch developed by the Media Lab of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MIT), Entry of the Ent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etc. correspond to this, and the editor devic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scratch or An app game authoring screen using Entry can be provided.

에디터 장치(300)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동작을 위하여 표시부(301), 입력부(303), 템플릿 관리부(311) 및 에디팅부(3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에디터 장치(300)의 형태에 따라, 표시부(301)와 입력부(303)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editor device 300 includes a display unit 301 , an input unit 303 , a template management unit 311 , and an editing unit 313 for characteristic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ditor device 300 , the display unit 301 and the input unit 303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devices.

표시부(301)는 각종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입력부(303)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와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에디팅부(313)에게 제공한다. The display unit 301 display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be visually recognized, and the input unit 303 receiv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and control commands from the user and provides them to the editing unit 313 .

템플릿 관리부(311)는 앱 게임 저작을 위한 복수 개의 템플릿을 저장하고 관리하며, 적어도 시작화면용 템플릿과 점수화면용 템플릿을 구비한다. 시작화면용 템플릿과 점수화면용 템플릿에는 게임 서버(110)와 연동하여 기설정된 각종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코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앱 게임을 저작할 때 본 발명의 템플릿을 이용하면 게임 서버(110)의 클라이언트 기능을 따로 코딩할 필요가 없다. The template manager 311 stores and manages a plurality of templates for app game authoring, and includes at least a template for a start screen and a template for a score screen. Since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and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include coding for performing various preset client func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game server 110, when a user uses the tem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uthoring an app game, the game There is no need to separately code the client function of the server 110 .

(1) 시작화면용 템플릿(a): 시작화면용 템플릿(a)은 앱 게임의 로그인용 시작화면을 위한 템플릿으로서, S201 단계를 위한 화면이다. 시작화면용 템플릿(a)에 포함되는 클라이언트 기능은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정보를 게임 서버(110)에게 제공하여 게임 서버(110)와 기설정된 S201 단계의 로그인 절차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시작화면용 템플릿(a)에는 S201 단계의 로그인 절차 중 클라이언트로서 수행해야 하는 코딩이 포함되어 있다. (1) Template for start screen (a): The template for start screen (a) is a template for a start screen for login of an app game, and is a screen for step S201. The client function included in the template (a) for the start screen is to provide the login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o the game server 110 to perform the login procedure of the preset step S201 with the game server 110,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a) includes coding to be performed as a client during the login procedure of step S201.

(2) 점수화면용 템플릿(c): 점수화면용 템플릿(c)은 사용자가 앱 게임으로 게임을 플레이하고 게임을 종료한 경우에 점수를 표시하는 화면을 위한 템플릿으로서, S207 및 S211 단계를 위한 화면이다. 따라서 게임 서버(110)와 관련된 클라이언트 기능이 아니지만, 점수화면용 템플릿(c)에는 점수를 표시하는 코딩이 포함된다. 점수화면용 템플릿(c)에 포함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기능은 '점수 경쟁모드'와 관련된다. 점수 경쟁모드는 도 2에서 설명한 것처럼 동일한 앱 게임을 사용하는 사용자 사이에서 게임 점수를 상호 비교하고 등수를 매기는 것으로서 게임 서버(110)에 의해 수행된다. 점수 경쟁모드를 수행하려면, 앱 게임은 클라이언트로서 게임이 종료된 후에 기설정된 S207 단계에 따라 사용자 아이다, 게임 식별자 및 게임 점수를 게임 서버(110)에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점수화면용 템플릿(c)에는 S207 단계를 위한 코딩이 포함된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점수화면용 템플릿(c)에는 S211 단계에서처럼 게임 서버(110)가 제공하는 점수비교 결과 등을 단말기(130)의 표시부(301)에 표시하기 위한 '점수 표시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2) Template for score screen (c): The template for score screen (c) is a template for a screen that displays scores when a user plays a game with an app game and ends the game, for steps S207 and S211 is the screen Therefore, although it is not a client function related to the game server 110, the template (c) for the score screen includes coding for displaying the score. The client func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template (c) for the score screen is related to the 'score competition mode'. The score competition mode is performed by the game server 110 to compare and rank game scores among users using the same app game as described in FIG. 2 . In order to perform the score competition mode, the app game, as a client, needs to provide the user ID, the game identifier, and the game score to the game server 110 according to the preset step S207 after the game is finished. Accordingly, the template (c) for the score screen includes coding for step S207.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emplate (c) for the score screen includes a 'score display function' for displaying the score comparison result provided by the game server 110 on the display unit 301 of the terminal 130 as in step S211. may include

또한, 템플릿 관리부(311)는 앱 게임의 게임 화면을 위한 다양한 게임장면용 템플릿(b)을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mplate management unit 311 may be provided with various game scene templates (b) for the game screen of the app game.

(3) 게임장면용 템플릿(b): 앱 게임의 게임 진행화면을 위한 템플릿으로서, 사용자는 복수 개의 게임장면용 템플릿(b)을 기초로 자신만의 앱 게임을 만들 수 있다. 이때, 게임화면 또는 게임 진행 알고리즘은 게임장면용 템플릿(b)을 기초로 비주얼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제작할 수 있다. (3) Template for game scene (b): As a template for a game progress screen of an app game, a user can create his/her own app game based on a plurality of game scene templates (b). In this case, the game screen or the game progress algorithm may be produced in a visual programming method based on the template (b) for the game scene.

에디팅부(313)는 앱 게임 저작을 위한 '저작 화면'을 표시부(301)에 표시하고, 입력부(303)를 통해 사용자의 코딩을 입력받아 앱 게임을 생성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에디팅부(313)는 비주얼 프로그램밍 형식의 앱 게임 저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The editing unit 313 displays an 'authoring screen' for app game authoring on the display unit 301 , and receives the user's coding through the input unit 303 to generate an app game. As described above, the editing unit 313 may provide an app game authoring screen in a visual programming format.

도 4를 참조하면, 에디팅부(313)는 템플릿 관리부(311)에 등록된 시작화면용 템플릿(a), 점수화면용 템플릿(c)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시작화면, 점수화면 및 게임장면을 제작한다. Referring to FIG. 4 , the editing unit 313 presents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a),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c) and the template for the game scene registered in the template management unit 311 to the user, Start screen, score screen, and game scene are produced accordingly.

에디팅부(313)는 사용자의 게임 저작이 완료되면, 사용자 단말기(130)에 설치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변환하여 앱 게임(d)을 생성한다.When the user's game creation is completed, the editing unit 313 converts it into an application form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130 to generate an app game (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점수 경쟁모드를 지원하는 모바일 기반의 앱 게임을 저작할 수 있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앱 게임의 시작화면용 템플릿, 점수화면용 템플릿)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구비한 템플릿 관리부. 상기 앱 게임은 게임 서버와 연동하여 동일한 종류의 앱 게임 사용자의 게임 점수를 상호 비교하는 점수 경쟁모드를 제공함;
상기 앱 게임 저작용 저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앱 게임 저작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시작화면용 템플릿, 점수화면용 템플릿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사용하여 시작화면, 게임장면 및 점수화면을 완성하고 결합하여 상기 앱 게임을 제작하는 에디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수화면용 템플릿에는 사용자의 게임 종료 후에 사용자 아이디, 게임 식별자 및 게임 점수를 상기 게임서버에 제공하는 코딩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앱 게임이 상기 게임 서버와 함께 상기 점수 경쟁모드를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
In the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apable of authoring mobile-based app games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A template management unit having a template for a start screen of the app game, a template for a score screen) and a template for a game scene. the app game provides a score competition mode for mutually comparing game scores of users of the same type of app game in conjunction with a game server;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uthoring screen for the app game authoring;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control command for authoring the app game from a user; and
In accordance with the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by using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and the template for the game scene to complete and combine the start screen, the game scene, and the score screen to produce the app game, and ,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includes coding for providing a user ID, a game identifier, and a game score to the game server after the user's game ends, so that the app gam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performs the score competition mode together with the game server.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화면용 템플릿에는 사용자 아이디를 기초로 상기 게임 서버에 로그인하기 위한 코딩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앱 게임이 상기 사용자 아이디를 입력받아 상기 게임 서버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게임서버에 로그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includes coding for logging in to the game server based on a user ID, so that the app gam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receives the user ID and provides it to the game server to log in to the game server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점수 경쟁모드는,
상기 게임 점수를 상기 사용자 아이디가 속한 그룹 내의 다른 사용자가 상기 앱 게임으로 기획득해 둔 점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core competition mode is,
The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game score is compared with the score obtained by another user in the group to which the user ID belongs by using the app g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디팅부는,
상기 시작화면용 템플릿, 점수화면용 템플릿 및 게임장면용 템플릿을 사용하여 시작화면, 게임장면 및 점수화면을 완성할 때, 비주얼 프로그래밍 형식의 저작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제작용 에디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editing unit,
The editor device for game produc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tart screen, the game scene, and the score screen are completed using the template for the start screen, the template for the score screen, and the template for the game scene, an authoring screen in a visual programming format is displayed.
KR1020200015938A 2020-02-10 2020-02-10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KR202101016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38A KR20210101680A (en) 2020-02-10 2020-02-10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938A KR20210101680A (en) 2020-02-10 2020-02-10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680A true KR20210101680A (en) 2021-08-19

Family

ID=7749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938A KR20210101680A (en) 2020-02-10 2020-02-10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6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4854B2 (en) Cloud-based game slice generation and frictionless social sharing with instant play
CN112601589B (en) Connecting players to expert help in real time during a game play process of a gaming application
US952698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game streaming data, and method and server for transmitting game streaming data
US8608572B1 (en) Game processing server apparatus and game processing server system
US10155163B2 (en) Methods, systems, and products for control of gaming applications
JP5889876B2 (en) Placement of user information in the game space
US20210245059A1 (en) Dynamic interfaces for launching direct gameplay
JP2010523206A (en) Context Gamer Options menu
JP2007505673A (en) Game system using network
KR2014013695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ching users to groups for online communities and computer simulations
KR1016702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 representation of one or more characteristics of items
CN113260435A (en) System level multi-player pairing
CN111643903B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cloud gam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348024A (en) Establishing and managing multiplayer sessions
US9375645B2 (en) Information-processing system,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processing method for sharing posting information
CN114288639A (en) Picture display method, provid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503534B (en) Initiating a multi-user session
KR20210101680A (en) Game Writing Editor Capable of Writing Mobile Game Supporting Score Competition Mode
JP2019155103A (en) Game replay method and system
EP3928487B1 (en) Contextual layer for digital content
CN114743422A (en) Answer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7463509B2 (en) Prominent display of your target game in search results
JP2021097921A (en) Game program, server device, and game system
JP2020195691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40075888A (en) Method, apparatus, system for generating platform based on location and method for playing on-line games using plat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