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196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196A
KR20210101196A KR1020210105496A KR20210105496A KR20210101196A KR 20210101196 A KR20210101196 A KR 20210101196A KR 1020210105496 A KR1020210105496 A KR 1020210105496A KR 20210105496 A KR20210105496 A KR 20210105496A KR 20210101196 A KR20210101196 A KR 20210101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rminal
frequency hopping
base s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5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708B1 (ko
Inventor
최수한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1010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4Rate requirement of the data, e.g. scalable bandwidth, data prior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 및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구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복수의 PUSCH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동일하게 매핑됨, 및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PUSCH의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호핑의 범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REPETITION TRANSMISSION BY USING FREQUENCY HOPPING FOR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해 동일한 데이터를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여 반복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통신 시나리오에 해당되는 다양한 응용 분야의 통신을 위해서는 데이터가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단말이 빠르게 이동하는 환경에서 채널이 나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등에는 해당 단말이 기지국으로 피드백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를 기반으로 기지국에서 전송 포맷을 설정하여 전송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해당 데이터를 재전송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라면 데이터가 재전송되어도 큰 문제가 없지만, URLLC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재전송이 발생하면 지연(latency)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 호핑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짧은 지연으로 반복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데이터를 안정적이고 짧은 지연으로 전송하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 및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구성하는 단계 - 여기서 상기 복수의 PUSCH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동일하게 매핑됨, 및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PUSCH의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호핑의 범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에 사용되는 미니 슬롯(mini-slot)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PUSCH는 상기 미니 슬롯 단위로 전송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자원은 상기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의 양 끝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는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는 상기 주파수 호핑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 및 주파수 호핑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기본(default) 반복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기본 반복 전송 횟수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실제 반복 전송 횟수 간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채널 품질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로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된 주파수 자원을 통해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PUSCH를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PUSCH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동일하게 매핑되고, 상기 주파수 호핑의 범위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상기 단말에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가 URLLC(ultra-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에 해당하는 경우 송신기는 미니 슬롯을 기반으로 주파수 호핑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두 번 이상 반복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슬롯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미니 슬롯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할당 방식과 BWP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다중 BWP와 BWP를 변경하면서 전송하는 Bandwidth Adaptation 방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호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과 복수의 단말들(user equipments)(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차세대 노드 B(next generation Node B, g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노변 장치(road side unit, RSU), DU(Digital Unit), CDU(Cloud Digital Unit), RRH(Radio Remote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중계 노드(relay nod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디바이스(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셀룰러(cellular) 통신(예를 들어,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NR(new Radio)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ideal backhaul)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을 통해 코어(core)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OFDMA 기반의 하향링크(down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고, OFDMA 또는 SC-FDMA 기반의 상향링크(uplink)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device to device, D2D) 통신(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및/또는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 통신을 코디네이션(coordination)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코디네이션에 의해 D2D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통신 노드들 중에서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전송 또는 수신)이 설명되는 경우에도 이에 대응하는 제2 통신 노드는 제1 통신 노드에서 수행되는 방법과 상응하는 방법(예를 들어, 신호의 수신 또는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단말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기지국은 단말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의 동작이 설명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단말은 기지국의 동작과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하향링크(DL: Downlink)는 기지국에서 단말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L: Uplink)는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단말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의 일부이고, 수신기는 기지국의 일부일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smartphone) 및 IoT(Internet of Things) 단말들의 보급이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통신 망을 통해 주고받는 정보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에서는 기존의 통신 시스템(또는 기존의 무선 접속 기술(radio access technology))보다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더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예: 향상된 이동 광대역 통신(enhanced mobile broadband communication))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수의 기기들 및 사물(object)들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의 디자인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통신의 신뢰성(reliability) 및/또는 지연(latency)에 민감한 서비스(service) 및/또는 단말(terminal) 등을 고려하는 통신 시스템(예: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의 디자인도 논의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차세대 무선 접속 기술은 New RAT(Radio Access Technology)으로 지칭되며, 상기 New RAT이 적용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NR(New Radio)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NR 시스템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NG-RAN(Next Generation-Radio Access Network)은 NG-RA 사용자 평면(새로운 AS sublayer/PDCP/RLC/MAC/PHY) 및 UE(User Equipment)에 대한 제어 평면(RRC) 프로토콜 종단을 제공하는 gNB들로 구성된다. NG-RAN에는 기존 LTE 기지국인 eNB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NG-C는 NG-RAN과 5GC(5 Generation Core) 사이의 NG2 레퍼런스 포인트(reference point)에 사용되는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NG-U는 NG-RAN과 5GC 사이의 NG3 레퍼런스 포인트에 사용되는 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gNB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연결되고,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C로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gNB는 NG-C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로 연결되고, NG-U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User Plane Function)로 연결된다.
도 2의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numerology)들이 지원될 수 있다. 여기서, 뉴머롤로지는 서브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과 CP(Cyclic Prefix) 오버헤드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다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기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정수로 스케일링(scaling) 함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에서 매우 낮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이용되지 않는다고 가정될지라도, 이용되는 뉴머롤로지는 주파수 대역과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뉴머롤로지에 따른 다양한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OFDM 뉴머롤로지 및 프레임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슬롯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NR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 구조는 상향링크(UL: Uplink)와 하향링크(DL: Downlink)를 하나의 슬롯(slot)(또는 서브프레임(subframe))에서 모두 처리하는 구조이다. 이는 TDD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의 지연(latency)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self-contained 구조 또는 self-contained 슬롯이라 지칭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하나의 슬롯은 14개의 OFDM 심볼(symbol)들로 구성될 수 있다. Extended CP(cyclic prefix)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은 12개의 OFDM 심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영역 310은 하향링크 제어 영역(downlink control region)을 나타내고, 영역 320은 상향링크 제어 영역(uplink control region)을 나타낸다. 하향링크 제어 영역(310) 및 상향링크 제어 영역(320)으로 사용되는 심볼 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하향링크 제어 영역(310) 및 상향링크 제어 영역(320) 이외의 영역(즉, 별도의 표시가 없는 영역)은 하향링크 데이터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향링크 제어 정보 및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하나의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데이터의 경우, 상향링크 데이터 및/또는 하향링크 데이터가 하나의 슬롯에서 전송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조가 이용되는 경우, 하나의 슬롯 내에서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및 상향링크 ACK/NACK의 수신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전송의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데이터의 재전송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지연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3과 같은 슬롯 구조에서, 기지국 및/또는 단말이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서 수신 모드(reception mode)로 전환하는 과정 또는 수신 모드에서 전송 모드로 전환하는 과정을 위한 시간차(time gap)이 요구된다. 상기 시간차와 관련하여, 상기 슬롯에서 하향링크 전송 이후에 상향링크 전송이 수행되는 경우, 일부 OFDM 심볼(들)이 보호 구간(GP: Guard Period)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사용되는 미니 슬롯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URLLC에 대한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 슬롯 단위의 스케줄링 이외에, 미니 슬롯(mini-slot) 단위 스케줄링이 지원될 수 있다. 이하에서, 미니슬롯을 기반으로 하는 전송 방식을 non-slot 전송 방식이라고도 한다. 미니 슬롯은 기지국에 의한 최소 스케줄링 단위로서, 슬롯보다 작은 단위(1 내지 13심볼)로 전송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미니 슬롯은 2, 4 또는 7개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미니 슬롯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롯 내 어느 OFDM 심볼에서도 시작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슬롯 내에 서로 다른 길이(OFDM 심볼의 개수)를 갖는 2개의 미니 슬롯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슬롯 내에 복수개의 미니 슬롯이 포함되는 경우 각각의 미니 슬롯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개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하, NR 시스템에서의 자원 할당에 대해 설명한다.
NR 시스템에서는 특정 개수(예를 들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각각 최대 4개)의 대역폭 부분(BWP; bandwidth part)이 정의될 수 있다. BWP(또는 반송파 BWP)는 연속하는 PRB(Physical Resource Block)의 집합이며, 공통 RB(CRB; Common Resource Block)의 연속적인 부분집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CRB 내의 각 RB는 CRB0로 시작하여 CRB1, CRB2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주파수 할당 방식과 BWP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수의 BWP가 CRB 그리드에서 정의될 수 있다. CRB 그리드의 기준점(공통 기준점, 시작점 등으로 언급될 수 있음)은 NR에서 소위 "포인트 A"로 불린다. 포인트 A는 RMSI(Remaining Minimum System Information)에 의해 지시된다. 구체적으로, SS(Synchronization Signal)/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블록이 전송되는 주파수 대역과 포인트 A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이 RMSI 의 SIB1(System Information Block #1)를 통해 지시될 수 있다. 포인트 A는 CRB0의 첫번째 부반송파(subcarrier)에 대응한다. 또한, 포인트 A는 NR에서 RE의 주파수 대역을 지시하는 변수 “k”가 0으로 설정되는 지점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다수의 BWP는, 하나의 셀(예를 들어, PCell(primary cell))로 구성된다. 복수의 BWP는 개별적으로 또는 공통적으로 각 셀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BWP는 CRB0로부터의 크기 및 시작점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BWP, 즉 BWP #0은 CRB0로부터의 오프셋을 통해 시작점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BWP# 0에 대한 크기를 통해 BWP# 1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각 BWP들은 전체 채널대역폭(CBW: Channel BandWidth) 내에서 겹치게 정의될 수 있다.
특정 개수(예를 들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 각각 최대 4개)의 BWP가 단말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3GPP Release 15 규격에서는 복수의 BWP가 구성되더라도, 주어진 시간 동안 셀 별로 오직 특정 개수(예를 들어, 1개)의 BWP만이 활성화될 수 있다. 그러나 이후 규격에서는 주어진 시간 동안 복수개의 BWP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다만, 단말에 SUL(supplementary uplink) 반송파가 구성되는 경우, 추가적으로 최대 4개의 BWP가 SUL 반송파에 구성될 수 있으며, 주어진 시간 동안 1개의 BWP가 활성화될 수 있다. 구성 가능한 BWP의 개수나 활성화된 BWP의 개수는 UL 및 DL에 대해 공통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DL BWP에 대한 뉴머롤로지 및/또는 CP와, UL BWP에 대한 뉴머롤로지 및/또는 CP는 DL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에 구성될 수 있다. 단말은 활성 DL BWP에서만 PDSCH, PDCCH, CSI(channel state information) RS 및 또는 TRS(tracking RS)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은 활성 UL BWP에만 PUSCH 및/또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될 수 있는 다중 BWP가 시간적으로 변경되면서 사용되는 Bandwidth Adaptation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3개의 BWP가 설정된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제1 BWP는 40 MHz 대역에 걸쳐있을 수 있으며 15kHz의 부반송파 간격이 적용될 수 있다. 제 2 BWP는 10 MHz 대역에 걸쳐있을 수 있으며 15 kHz의 부반송파 간격이 적용될 수 있다. 제3 BWP는 20 MHz 대역에 걸쳐있을 수 있으며 60 kHz의 부반송파 간격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3개의 BWP 중 적어도 하나의 BWP를 활성 BWP로 구성할 수 있으며, 활성 BWP를 통해 UL 및/또는 DL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시간 자원은 DL 또는 UL 자원을 할당하는 PDCCH의 전송 시점에 기초하여 시간차/오프셋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지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CCH에 대응하는 PDSCH/PUSCH의 시작점과 PDSCH/PUSCH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개수가 지시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는 LTE/LTE-A와 마찬가지로, 반송파 집성(CA: carrier aggregation)이 지원될 수 있다. 즉, 연속 또는 불연속한 구성 반송파(CC; component carrier)를 집성하여 대역폭을 증가시키고 결과적으로 비트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각각의 CC는 (서빙) 셀에 대응할 수 있고, 각 CC/셀은 PSC(primary serving cell)/PCC(primary CC) 또는 SSC(secondary serving cell)/ SCC(secondary CC)로 나뉠 수 있다.
또한 NR 시스템에서는 단일 빔 및 다중 빔 형성이 지원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일 빔 또는 다중 빔을 배치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단일 빔이 다른 시간에 사용될 수 있다. 단일 빔 또는 다중 빔이 배치되는지 여부에 상관 없이, UE 관점에서, 제어 채널 모니터링을 위해 모니터링 할 자원을 표시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특히, 다중 빔이 사용되거나 반복이 사용되는 경우, UE 관점에서, 동일한 제어 채널이 여러 번 전송될 수 있다.
NR 시스템에서 V2X(Vehicle to Everything), URLLC 시나리오 등에 해당되는 다양한 응용 분야의 통신을 위해서는 전송하는 데이터가 에러가 거의 없이 안정적이고 빠르게 전송이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단말이 빠르게 이동하는 환경에서 채널이 나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해당 단말이 기지국으로 피드백한 CQI를 기반으로 기지국에서 전송 포맷을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하는 경우 에러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재전송을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 데이터와 같은 일반적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라면 재전송이 발생해도 큰 문제가 없지만, URLLC 데이터의 경우에는 재전송이 발생하면 재전송으로 인한 지연(latency)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V2X 시나리오, URLLC 시나리오 등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전송되는 사용자 데이터의 양이 크지 않으므로, 약간의 추가적인 자원(resource)을 사용하는 것은 큰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에러가 발생하고 이로 인한 재전송으로 지연이 커지는 상황이 더 안 좋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전송 또는 중복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은 V2X 등의 자동차 통신뿐만 아니라 URLLC의 다양한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도 7 내지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호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가 수신기로 동일한 정보(동일 데이터)를 중복 또는 반복하여 전송할 때,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호핑(frequency hopping: FH)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송신기가 단말인 경우, 수신기는 기지국이거나 다른 단말일 수 있다. 송신기가 기지국인 경우, 수신기는 단말일 수 있다.
일례로서, 단말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또는 중복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때, 미니 슬롯 단위로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PUSCH를 구성한 후, 제1 PUSCH는 제1 미니 슬롯에서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제2 PUSCH는 상기 제1 미니 슬롯과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2 미니 슬롯에서 주파수 호핑에 따른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각 PUSCH에는 동일한 상향링크 데이터가 동일하게 매핑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또는 중복하여 단말로 전송할 때, 미니 슬롯 단위로 주파수 영역에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PDSCH를 구성한 후, 제1 PDSCH는 제1 미니 슬롯에서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하고, 제2 PUSCH는 상기 제1 미니 슬롯과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2 미니 슬롯에서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각 PDSCH에는 동일한 하향링크 데이터가 동일하게 매핑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사이드링크 전송 환경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송신기는 전송 단말이 되고, 수신기는 수신 단말이 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는 PSSCH 또는 PSSCH 데이터라 할 수도 있고, URLLC에 관한 데이터라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주파수 호핑에 사용되는 주파수의 범위는 BWP(bandwidth part)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는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FH에 BWP의 양 끝에 해당되는 주파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BWP가 10개 PRB(PRB #0 내지 PRB #9)로 구성되고 4회의 반복 전송이 설정된 경우, 송신기는 제1 미니슬롯 및 제3 미니슬롯에서 BWP 내 가장 낮은 주파수 자원인 PRB #0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미니슬롯 및 제4 미니슬롯에서 BWP 내 가장 높은 주파수 자원인 PRB #9를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신기는 도 7과는 달리, 제1 미니슬롯 및 제3 미니슬롯에서 PRB #9를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미니슬롯 및 제4 미니슬롯에서 PRB #0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데이터 전송에 보다 많은 주파수 자원(Resource Block: RB)이 필요한 경우, 송신기는 BWP의 맨 끝에서부터 RB의 수를 늘려가면서 여러 개의 주파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BWP가 10개 PRB(PRB#0 내지 PRB#9)로 구성되고 4회의 반복 전송이 설정된 상황에서, 송신기는 제1 미니슬롯 및 제3 미니슬롯에서 PRB #0과 PRB #1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미니슬롯 및 제4 미니슬롯에서 PRB #8과 PRB #9를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송신기는 도 8과는 달리, 제1 미니슬롯 및 제3 미니슬롯에서 PRB #8과 PRB #9를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미니슬롯 및 제4 미니슬롯에서 PRB #0과 PRB #1을 사용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는 URLLC 트래픽이 많은 경우에는 주파수 자원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특히, 여러 개의 단말 간에 주파수 호핑에 사용할 자원이 겹치게 되는 경우에는, 주파수 호핑의 범위를 조정하여 주파수 자원이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BWP의 맨 끝의 주파수 자원이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 및 제2 단말에 대해 4회의 반복 전송이 설정되고 제1 단말의 주파수 호핑 자원과 제2 단말의 주파수 호핑 자원이 겹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말은 주파수 호핑을 위해 기본적으로 설정된 주파수 자원인 PRB #0 및 PRB #9를 기반으로 미니 슬롯 단위로 주파수 호핑을 사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고, 제2 단말은 BWP 내에서 주파수 호핑 범위를 조절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설정된 주파수 자원의 안쪽 주파수 자원인 PRB #1 및 PRB #8을 기반으로 미니 슬롯 단위로 주파수 호핑을 사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말과 제2 단말 모두 주파수 호핑 범위를 조절하여 제1 단말은 PRB #0과 PRB #8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고, 제2 단말은 PRB #1과 PRB #9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단말과 제2 단말은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되, 서로 다른 주파수 호핑 패턴을 사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동일 데이터의 반복 전송 시 주파수 호핑은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 하나의 미니 슬롯 내에서는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기 위해 미니 슬롯이 여러 개 사용되는 경우, 주파수 호핑이 적용될 수 있다. 중복 또는 반복 전송이 여러 개의 슬롯에 걸쳐 일어나는 경우, 다음 슬롯에서는 이전 슬롯에서 사용한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슬롯 간 FH이 적용될 수 있다. 이 때, 일 예로 기지국 또는 송신 단말은 채널 정보(주파수 별 채널 이득(channel gain) 등)를 신뢰할 수 있는 경우에는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지 않고, 채널 상태가 좋은 주파수 자원을 할당하여 반복적으로 데이터가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호핑과 관련된 정보 예를 들어, FH 관련 설정 정보는 기지국이 상위계층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반정적(semi-static)으로 설정하고 이를 단말에게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FH와 관련된 제어정보는 DCI에 포함되어 PDCCH로 전송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전송 환경인 경우, FH 관련 정보는 기지국이 RRC 등의 상위계층 시그널링으로 단말로 전송하거나,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FH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 FH 패턴에 대한 정보 등을 DCI를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즉, 기지국은 이와 같은 전송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DCI에 포함시켜서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경우, 새로운 필드가 DCI에 추가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이 수신 단말로 데이터를 반복 또는 중복 전송하는 경우에는, 송신 단말은 FH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 FH 패턴에 대한 정보 등을 SCI(Sidelink Control Information)를 통해 수신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상향링크 전송 또는 하향링크 전송에 있어서, 미니 슬롯의 길이와 반복 전송 횟수는 기지국이 DCI를 통해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반복 전송 횟수는 RRC로 미리 알려줘서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예로, 기지국은 RRC로 기본(default) 반복 전송 횟수를 알려주고, 기본 반복 전송 횟수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DCI로 실제 반복 전송 횟수를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 때, 기본 반복 전송 횟수와 실제 반복 전송 횟수 간의 차이값에 대한 정보가 DCI에 포함될 수 있다. 사이드 링크 전송에 있어서, 미니 슬롯의 길이와 반복 전송 횟수는 송신 단말 또는 기지국이 SCI 또는 DCI를 통해 수신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주파수 호핑을 사용하는 경우, 각 반복 전송마다 별도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송신기가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여 수신기에게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경우에는 DM-RS가 별도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하나의 DM-RS로 여러 번 반복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채널이 빨리 변경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주파수 자원을 사용하더라도 DM-RS가 별도로 사용될 수 있다. 즉, 각 반복 전송마다 별도의 DM-RS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복 전송 시 DM-RS 사용 개수는 서비스 또는 서비스의 QoS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속 이동 시에는 DM-RS를 각 반복 전송마다 별도로 적용하고, 천천히 이동하는 경우에는 DM-RS 하나로 여러 번 반복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매우 중요한 정보의 경우 동일한 정보가 주파수 영역과 시간영역에서 중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일 예로, 송신기는 주파수 자원을 여러 개 할당하여 각 주파수 자원으로 동일한 정보를 여러 번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서와 같이, 송신기는 동일 데이터를 PRB#0과 PRB#9에 각각 매핑하여 제1 미니슬롯 내지 제4 미니슬롯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방식은 주파수 자원이 많고 시간 자원이 짧은 mm-Wave 환경에서 좀 더 적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신기는 다른 주파수와 시간 자원을 모두 사용하여 동일한 정보를 여러 번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서와 같이 송신기는 제1 데이터 반복 전송 시 PRB#0과 PRB#9를 이용하여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고, 제1 데이터와 동일한 제2 데이터에 대해서는 CQI에 기반한 최적의 주파수 자원(도 13에서는 RPB #5)를 이용하여 반복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주파수 호핑 자원은 다음의 표 1을 기반으로 도출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활성 상향링크 BWP 내 RPB의 수를 기반으로 반복 전송 시의 주파수 호핑 오프셋이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호핑 비트의 값에 따라 주파수 호핑 패턴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파수 호핑 자원 결정 방식은 하향링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송신기는 채널 상태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동일 데이터를 수신기로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기는 기지국 또는 송신 단말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 또는 수신 단말일 수 있다.
이하 일 예로, 도 14를 참조하여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CQI 보고를 기초로 해당 단말이 전송하고자 하는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해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은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기지국으로 CQI 보고를 전송할 수 있다(S1410). 기지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CQI 보고에 포함된 CQI 값을 기반으로 채널 상태를 확인하여, 만일 채널 상태가 좋으면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지 않고 해당 데이터를 반복 전송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채널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나, 채널 정보를 알 수 없는 경우 또는 신뢰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반복 전송 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해당 단말로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 및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DCI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DCI에는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 이외에, 반복 전송에 사용되는 미니 슬롯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는 주파수 호핑의 적용 여부에 대한 정보 및/또는 주파수 호핑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CI를 수신하면, 이를 기반으로 주파수 호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420). 만일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지 않고 반복 전송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은 최적의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S1430). 이 때, 단말은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라 동일 데이터를 복수의 주파수 및/또는 시간 자원을 이용하여 반복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 전송 시 주파수 호핑을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단말은 제1 미니 슬롯에서 제1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1 데이터를 전송하고(S1440), 상기 제1 미니 슬롯과 시간적으로 인접한 제2 미니 슬롯에서 주파수 호핑에 따른 제2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를 수신기로 반복 전송할 수 있다(S1450). 이 때, 단말은 도 7 내지 도 13의 주파수 호핑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동일 데이터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DCI가 수신되면, 상기 DCI에 포함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복수의 PUSCH를 구성하고, 상기 DCI에 포함된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PUSCH의 전송을 위한 주파수 자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PUSCH에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가 동일하게 매핑될 수 있다. 또한, 반복 전송 시 주파수 호핑의 범위는 해당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활성화된 BWP의 크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단말(1500)은 메모리(1505), 프로세서(1510)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515)를 포함한다. 메모리(1505)는 프로세서(1510)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1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515)는 프로세서(15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예를 들어, RF부(1515)는 기지국(1550)으로부터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RRC 메시지, DCI 등의 설정 및/또는 제어 정보, PDSCH 등의 하향링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부(1515)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CQI 보고, PUSCH 등의 상향링크 신호를 기지국(1550)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단말(미도시)과 PSSCH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5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단말의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510)는 도 7 내지 도 14에 따른 단말의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5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PUSCH 또는 복수의 PSSCH를 구성하고 이들을 도 7 내지 도 13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주파수 호핑 방법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단말(1500)의 동작은 프로세서(151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505)는 본 명세서에 따른 제어 정보, 설정 정보 등을 저장하고 프로세서(1510)의 요구에 따라 프로세서(1510)에게 상기 제어 정보, 설정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81550)은 프로세서(1555), 메모리(1560)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1565)을 포함한다. 메모리(1560)는 프로세서(1555)와 연결되어, 프로세서(1555)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1565)는 프로세서(1555)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1555)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기지국의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155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555)는 본 명세서에서 게시된 RRC 메시지, 하향링크 제어 정보 등을 생성하거나, 복수의 PDSCH를 구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8)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호핑의 범위를 조정하는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반복(repetition)을 구성하는 단계; 및
    PUSCH 반복의 순서대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단계는, 첫번째 PUSCH 반복에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제1 기본 자원블록(resource block : RB)을 포함한 복수의 RB들을 사용하고, 두번째 PUSCH 반복에는 상기 제1 기본 RB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제2 기본 RB를 포함한 복수의 RB들을 사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기본 RB와 상기 제2 기본 RB 사이의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에 사용되는 미니 슬롯(mini-slot)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PUSCH 반복은,
    상기 미니 슬롯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를 포함하는 복수의 RB들과 상기 제2 RB를 포함하는 복수의 RB들은 각각 상기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의 양 끝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매 PUSCH 반복마다 별도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기본(default) 반복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기본 반복 전송 횟수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실제 반복 전송 횟수 간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말에 있어서,
    주파수 호핑의 범위를 조정하는 설정 정보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고,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RF부; 및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반복(repetition)을 구성하고, PUSCH 반복의 순서대로 주파수 호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첫번째 PUSCH 반복에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제1 기본 자원블록(resource block : RB)을 포함한 복수의 RB들을 사용하고, 두번째 PUSCH 반복에는 상기 제1 기본 RB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제2 기본 RB를 포함한 복수의 RB들을 사용하며,
    상기 제1 기본 RB와 상기 제2 기본 RB 사이의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에 사용되는 미니 슬롯(mini-slot)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PUSCH 반복은,
    상기 미니 슬롯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를 포함하는 복수의 RB들과 상기 제2 RB를 포함하는 복수의 RB들은 각각 상기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의 양 끝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상기 기지국으로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전송하고,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1. 제7항에 있어서,
    매 PUSCH 반복마다 별도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기본(default) 반복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기본 반복 전송 횟수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실제 반복 전송 횟수 간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1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파수 호핑의 범위를 조정하는 설정 정보를 단말로 전송하고,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반복 전송 횟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RF부; 및
    상기 반복 전송 횟수에 대응하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반복(repetition)을 복호화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PUSCH 반복의 순서대로 주파수 호핑이 수행되며,
    상기 주파수 호핑은, 첫번째 PUSCH 반복에는 기본적으로 설정된 제1 기본 자원블록(resource block : RB)을 포함한 복수의 RB들을 사용하고, 두번째 PUSCH 반복에는 상기 제1 기본 RB에서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의 제2 기본 RB를 포함한 복수의 BR들을 사용하며,
    상기 제1 기본 RB와 상기 제2 기본 RB 사이의 상기 일정 간격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bandwidth part: BWP)의 크기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반복 전송에 사용되는 미니 슬롯(mini-slot)의 길이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PUSCH 반복은 상기 미니 슬롯 단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B를 포함하는 복수의 RB들과 상기 제2 RB를 포함하는 복수의 RB들은 각각 상기 활성화된 대역폭 부분의 양 끝에 해당하는 주파수 자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상기 단말로부터 채널 품질 정보(channel quality information)를 수신하고,
    상기 주파수 호핑에 관한 제어 정보는 상기 채널 품질 정보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매 PUSCH 반복마다 별도의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부는 상기 단말로 상향링크 전송에 대한 기본(default) 반복 전송 횟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하향링크 제어 정보는, 상기 기본 반복 전송 횟수와 상기 상향링크 데이터의 실제 반복 전송 횟수 간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10105496A 2019-08-09 2021-08-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2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246 2019-08-09
KR20190097246 2019-08-09
KR1020190169079A KR102290723B1 (ko) 2019-08-09 2019-12-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079A Division KR102290723B1 (ko) 2019-08-09 2019-12-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196A true KR20210101196A (ko) 2021-08-18
KR102362708B1 KR102362708B1 (ko) 2022-02-15

Family

ID=747322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079A KR102290723B1 (ko) 2019-08-09 2019-12-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0210105496A KR102362708B1 (ko) 2019-08-09 2021-08-1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079A KR102290723B1 (ko) 2019-08-09 2019-12-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07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73889B (zh) * 2021-03-18 2024-04-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跳频处理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707A (ko) * 2018-01-05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상향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707A (ko) * 2018-01-05 2019-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상향 제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708B1 (ko) 2022-02-15
KR20210017976A (ko) 2021-02-17
KR102290723B1 (ko)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6409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3106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V2X terminal to receive PSCCH scheduling information and transmit PSCC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727644B (zh) 无线通信系统中通过跳频执行上行链路发送的方法及其装置
US952605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ell switching
JP201953163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端末のd2d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JP2018532330A (ja) 追加の送信タイミングオフセットを使用してのアンライセンスセルにおける改良されたアップリンク送信
EP3879905B1 (en) User terminal, radio base station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US109250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sidelink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2051720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サイドリンク信号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3023908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ultra-low latency and highly-reliabl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20220377764A1 (en) Side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for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11201816B (zh) 用于终端在无线通信系统中在载波聚合期间针对多个cc设置发送功率的方法和设备
KR102334627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t-rpt를 통하여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0320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전송 블록에 대한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627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986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917264B2 (en) NR-LTE coexisting operation for uplink
KR10233866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9179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cbg 기반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9179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초저지연 고신뢰성 통신을 위한 반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13535B1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40064576A (ko) 다중 송수신점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합 tci 설정 방법 및 장치
KR20230169915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에 기반하여 랜덤 액세스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30075027A (ko) 비지상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10065840A (ko) 통신 시스템에서 직교 시퀀스를 이용한 신호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