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044A -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044A
KR20210101044A KR1020200015169A KR20200015169A KR20210101044A KR 20210101044 A KR20210101044 A KR 20210101044A KR 1020200015169 A KR1020200015169 A KR 1020200015169A KR 20200015169 A KR20200015169 A KR 20200015169A KR 20210101044 A KR20210101044 A KR 20210101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sensor
authentication code
recog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5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15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1044A/ko
Publication of KR2021010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0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05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with means for limiting the frequency of smoking, e.g. with time-control, coun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01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는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하는 제어부, 및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SYSTEM INCLUDING CIGARETTE PACKA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는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상기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고, 고유한 인증 코드가 부여된 담뱃갑; 및 상기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상기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에서 담뱃갑은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고, 고유한 인증 코드가 부여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고,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만큼의 가열 동작들이 모두 수행되면, 추가적인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이 수신되더라도 가열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가 인증되면, 사용자는 해당 담뱃갑에 최초로 패키징되었던 궐련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만큼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흡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흡연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담뱃갑에 부여된 새로운 인증 코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제한된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불필요하게 차감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고, 이에 따라, 궐련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을 이용하여 하나의 궐련을 흡연한 이후, 해당 궐련을 다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하여 재사용하게 되면, 궐련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무화량, 향미 또는 풍미가 이전 사용과는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궐련 재사용이 방지됨에 따라 궐련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무화량, 향미 또는 풍미가 매 사용마다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담뱃갑이 인증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수행 가능한 흡연 동작의 횟수가 해당 담뱃갑에 패키징되었던 궐련들의 개수로 제한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담뱃갑에 패키징되었던 궐련이 아닌 다른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삽입하여 흡연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다. 이에 따라, 궐련 오남용, 예를 들어, 인증되지 않은 궐련을 이용한 흡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담뱃갑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궐련이 삽입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증기화기(140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공간에는 궐련(200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히터(13000)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히터(130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에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가 일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에는 증기화기(14000) 및 히터(13000)가 병렬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궐련(20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히터(13000) 및/또는 증기화기(14000)를 작동시켜, 궐련(20000) 및/또는 증기화기(14000)로부터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히터(13000) 및/또는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필요에 따라, 궐련(20000)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히터(13000)를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1000)는 히터(13000) 또는 증기화기(1400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00)는 배터리(11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히터(13000)는 배터리(1100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하여 가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삽입되면, 히터(13000)는 궐련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열된 히터(13000)는 궐련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히터(13000)는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00)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13000)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13000)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예로, 히터(13000)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13000)에는 궐련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13000)는 관 형 가열 요소, 판 형 가열 요소, 침 형 가열 요소 또는 봉 형의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의 모양에 따라 궐련(20000)의 내부 또는 외부를 가열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는 히터(13000)가 복수 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13000)들은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고,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히터(13000)들 중 일부는 궐련(2000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배치되고, 나머지는 궐련(2000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터(13000)의 형상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증기화기(1400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은 궐련(20000)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기류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고, 기류 통로는 증기화기(14000)에 의하여 생성된 에어로졸이 궐련을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액체 저장부, 액체 전달 수단 및 가열 요소는 독립적인 모듈로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체 저장부는 증기화기(14000)로부터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제작될 수도 있고, 증기화기(14000)와 일체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액체 저장부의 액상 조성물을 가열 요소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전달 수단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열 요소는 액체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기 위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가열 요소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가열 요소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요소는,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가열 요소와 접촉된 액체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체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화기(1400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배터리(11000), 제어부(12000), 히터(13000) 및 증기화기(1400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궐련 삽입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궐련(20000)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 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배터리(11000)의 충전에 이용될 수 있다. 또는, 크래들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히터(13000)가 가열될 수도 있다.
궐련(20000)은 일반적인 연소형 궐련과 유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20000)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 1 부분과 필터 등을 포함하는 제 2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궐련(20000)의 제 2 부분에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과립 또는 캡슐의 형태로 만들어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제 2 부분에 삽입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는 제 1 부분의 전체가 삽입되고, 제 2 부분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의 내부에 제 1 부분의 일부만 삽입될 수도 있고, 제 1 부분의 전체 및 제 2 부분의 일부가 삽입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제 2 부분을 입으로 문 상태에서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이때, 에어로졸은 외부 공기가 제 1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생성되고, 생성된 에어로졸은 제 2 부분을 통과하여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된다.
일 예로서, 외부 공기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기 통로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에 형성된 공기 통로의 개폐 및/또는 공기 통로의 크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화량, 끽연감 등이 사용자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외부 공기는 궐련(20000)의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을 통하여 궐련(20000)의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궐련(20000)의 일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궐련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궐련(20000)은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제 1 부분(21000)은 담배 로드(21000)를 포함하고, 제 2 부분(32000)은 필터 로드(22000)를 포함한다.
도 4에는 필터 로드(22000)가 단일 세그먼트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필터 로드(22000)는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제 1 세그먼트 및 에어로졸 내에 포함된 소정의 성분을 필터링하는 제 2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필터 로드(22000)에는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궐련(20000)은 적어도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래퍼(24000)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거나 내부 기체가 유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hole)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궐련(20000)은 하나의 래퍼(24000)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궐련(20000)은 2 이상의 래퍼(24000)들에 의하여 중첩적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래퍼에 의하여 담배 로드(21000)가 포장되고, 제 2 래퍼에 의하여 필터 로드(22000)가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담배 로드(21000) 및 필터 로드(22000)가 결합되고, 제 3 래퍼에 의하여 궐련(20000) 전체가 재포장될 수 있다. 만약, 담배 로드(21000) 또는 필터 로드(22000) 각각이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면, 각각의 세그먼트가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개별 래퍼에 의하여 포장된 세그먼트들이 결합된 궐련(20000) 전체가 다른 래퍼에 의하여 재포장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유기산(organic acid)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에는, 멘솔 또는 보습제 등의 가향액이, 담배 로드(21000)에 분사됨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담배 로드(21000)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배 로드(21000)는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각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는 열 전도 물질에 의하여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전도 물질은 알루미늄 호일과 같은 금속 호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담배 로드(21000)에 전달되는 열을 고르게 분산시켜 담배 로드에 가해지는 열 전도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담배 맛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담배 로드(21000)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되는 서셉터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담배 로드(21000)는 외부를 둘러싸는 열 전도 물질 이외에도 추가의 서셉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한편, 필터 로드(2200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필터 로드(22000)는 원기둥 형(type) 로드일 수도 있고,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는 리세스 형(type) 로드일 수도 있다. 만약, 필터 로드(22000)가 복수의 세그먼트들로 구성된 경우, 복수의 세그먼트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필터 로드(22000)는 향미가 발생되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필터 로드(22000)에 가향액이 분사될 수도 있고, 가향액이 도포된 별도의 섬유가 필터 로드(22000)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필터 로드(22000)에는 적어도 하나의 캡슐(23000)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캡슐(23000)은 향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캡슐(23000)은 향료를 포함하는 액체를 피막으로 감싼 구조일 수 있다. 캡슐(23000)은 구형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만약, 필터 로드(22000)에 에어로졸을 냉각하는 세그먼트가 포함될 경우, 냉각 세그먼트는 고분자 물질 또는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세그먼트는 순수한 폴리락트산 만으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냉각 세그먼트는 복수의 구멍들이 뚫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냉각 세그먼트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에어로졸이 냉각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 따른 궐련(20000)은 전단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00)에 있어서, 필터 로드(22000)에 대향하는 일측에 위치한다. 전단 필터는 담배 로드(21000)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흡연 중에 담배 로드(21000)로부터 액상화된 에어로졸이 에어로졸 발생 장치(도 1 내지 도 3의 10000)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는 센서(510), 제어부(520) 및 히터(5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제어부(520) 및 히터(530)는 각각 도 1 내지 도 3의 제어부(12000) 및 히터(1300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는 도 1 내지 도 3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와 같이, 배터리(1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510)는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는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포함되는 센서(510)가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담뱃갑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담뱃갑(5)은 소정의 개수(예를 들어, 20개피)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는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궐련을 개별적으로 구매하지 않고, 궐련들이 패키징된 담뱃갑(5)을 구매한다. 담뱃갑(5)의 적어도 일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 코드(51)가 부여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증 코드(51)가 담뱃갑(5)의 전면부 하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인증 코드(51)는 담뱃갑(5)의 후면부, 상면부, 하면부 및 측면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담뱃갑(5)의 내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인증 코드(51)는 담뱃갑(5)에 대해 고유하게 부여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담뱃갑(5)에 부여된 인증 코드(51)와 다른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에서, 인증 코드(51)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바코드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는 담뱃갑(5)에 부여된 인증 코드(51)를 인식하기에 적합한 센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센서(510)의 위치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인바, 센서(51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의 임의의 적절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센서(510)는 NFC 판독기, 광학 스캐너 및 RFID 판독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담뱃갑(5)에 부여된 인증 코드(51)가 NFC 태그인 경우, 센서(510)는 NFC 판독기일 수 있고, 담뱃갑(5)에 부여된 인증 코드(51)가 바코드인 경우, 센서(510)는 광학 스캐너일 수 있으며, 담뱃갑(5)에 부여된 인증 코드(51)가 RFID 태그인 경우, 센서(510)는 RFID 판독기일 수 있다. 한편, 앞선 예시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인증 코드(51) 및 센서(510)의 종류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인증 코드(51) 및 센서(510)는 센서(510)가 인증 코드(51)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제어부(520)는 센서(5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에 담뱃갑에 20개피의 궐련들이 패키징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520)는 센서(5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20개피에 대응되는 20회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0)는 센서(5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변경하지 않고,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어부(520)가 센서(5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70)는 센서(710), 제어부(720) 및 히터(730) 외에 메모리(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센서(710), 제어부(720) 및 히터(730)는 각각 도 5의 센서(510), 제어부(520) 및 히터(53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7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0)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740)는 제어부(720)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740)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0)에서 센서(710)에 의해 이전에 인식되었던 인증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4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0)에서 센서(710)에 의해 이전에 인식되었던 모든 인증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모리(740)는 센서(710)에 의해 이전에 인식되었던 인증 코드들 중 가장 최근에 인식되었던 인증 코드부터 기 설정된 개수까지의 인증 코드들만을 저장할 수도 있으며, 최근으로부터 소정의 기간 내에 센서(710)에 의해 인식되었던 인증 코드들만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720)는 센서(7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와 메모리(740)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을 비교한 결과, 센서(7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메모리(740)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센서(7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720)는 센서(7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메모리(740)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센서(7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70) 내의 메모리(740)를 이용하여 센서(7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와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80)는 센서(810), 제어부(820) 및 히터(830) 외에 통신 인터페이스(8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센서(810), 제어부(820) 및 히터(830)는 각각 도 5의 센서(510), 제어부(520) 및 히터(530)에 대응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서버(85)는 통신 인터페이스(850), 제어부(860) 및 메모리(8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80) 및 서버(85) 각각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80) 및 서버(85) 각각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40)는 서버(85)의 통신 인터페이스(8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840) 및 통신 인터페이스(85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시들은 통신 인터페이스(840) 및 통신 인터페이스(850)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인 경우의 예시들에 해당하나, 이는 예시에 불과할 뿐이다. 통신 인터페이스(840) 및 통신 인터페이스(850)는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도 있다.
제어부(820)는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를 통신 인터페이스(840)를 이용하여 서버(85)로 전송하고, 서버(85)로부터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와 서버(85)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을 비교한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결과에 기초하여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820)는 서버(85)로부터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와 서버(85)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이 상이하다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820)는 서버(85)로부터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서버(85)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다는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센서(81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850)는 통신 인터페이스(840)와의 통신을 통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 인터페이스(85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뿐만 아니라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들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8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 의해 현재 인식된 인증 코드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80) 또는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에 의해 이전에 인식되어 서버(85)로 전송되었던 인증 코드들을 비교할 수 있고, 그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 의해 현재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87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0)로부터 현재 인증 코드를 수신하기 이전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80) 또는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모든 인증 코드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서 기 인식된 인증 코드들만을 고려하지 않고, 다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들에서 기 인식된 인증 코드들도 함께 고려하여 현재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가 판단되므로, 보다 정확한 판단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서로 배치되는 내용을 포함하지 않는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들의 조합 또한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하고, 메모리 및 서버 각각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과 현재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의 비교를 통해, 현재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다시 도 5로 돌아와서, 히터(530)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520)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히터(530)를 이용한 가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히터(530)를 이용한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20)는 가열 동작이 수행된 이후,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1회 차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히터(530)를 이용한 가열 동작이 수행될 때마다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줄어들 수 있고,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0회가 되면, 히터(530)를 이용한 추가적인 가열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센서(510)에 의해 다른 새로운 인증 코드가 인식될 때까지 가열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를 이용하여 다시 흡연하기 위해 새로운 담뱃값을 구매한 뒤, 새로운 담뱃값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센서(510)에 인식시켜야 하며, 이에 따라, 궐련 재사용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예시에서는 제어부(520)가 히터(530)에 의한 가열 동작이 수행된 이후,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차감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흡연 동작의 횟수를 제한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정시키되, 히터(530)에 의해 기 수행된 가열 동작들의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와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비교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흡연 동작의 횟수를 제한하는 실시예도 선택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의 경우, 새로운 인증 코드가 센서(510)에 의해 인식됨에 따라 카운팅된, 히터(530)에 의해 기 수행된 가열 동작들의 횟수가 0회로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1회의 가열 동작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를 이용하여 하나의 궐련을 흡연하기 위해 히터(530)에 의해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의해 삽입된 후, 제어부(520)는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버튼 입력 또는 퍼프 감지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히터(530)의 가열 동작이 시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히터(530)는 기 정의된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해당 궐련을 가열할 수 있고, 기 정의된 가열 프로파일이 진행되는 한 번의 과정이 1회의 가열 동작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기 정의된 가열 프로파일이 퍼프 감지 센서에 의한 퍼프 감지에 기초하여 진행된다면, 1회의 가열 동작은 기 정의된 퍼프 횟수 또는 퍼프 시간으로 환산될 수 있고, 담뱃값에 부여된 새로운 인증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 설정되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도 잔여 퍼프 횟수 또는 잔여 퍼프 시간으로 환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궐련에 대한 가열 동작이 기 정의된 가열 프로파일에 따라 14회 퍼프 이후 종료되고, 하나의 담뱃갑에 20개피의 궐련들이 패키징된다고 가정하면, 제어부(520)는 새로운 인증 코드가 센서(510)에 의해 인식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의 잔여 퍼프 횟수를 280회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퍼프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퍼프 횟수가 280회에 도달하면, 다른 새로운 인증 코드가 센서(510)에 의해 인식될 때까지, 히터(530)를 이용한 추가적인 가열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가 인증되면, 사용자는 해당 담뱃갑에 최초로 패키징되었던 궐련들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만큼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를 이용하여 흡연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를 이용하여 다시 흡연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담뱃갑에 부여된 새로운 인증 코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50)를 이용함에 있어, 제한된 흡연 동작 가능 횟수가 불필요하게 차감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고, 이에 따라, 궐련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의 가열 동작을 이용하여 하나의 궐련을 흡연한 이후, 해당 궐련을 다시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삽입하여 재사용하게 되면, 궐련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무화량, 향미 또는 풍미가 이전 사용과는 달라질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의해 궐련 재사용이 방지됨에 따라 궐련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무화량, 향미 또는 풍미가 매 사용마다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담뱃갑이 인증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의해 수행 가능한 흡연 동작의 횟수가 해당 담뱃갑에 패키징되었던 궐련들의 개수로 제한되므로, 사용자는 해당 담뱃갑에 패키징되었던 궐련이 아닌 다른 궐련을 에어로졸 생성 장치(50)에 삽입하여 흡연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다. 이에 따라, 궐련 오남용, 예를 들어, 인증되지 않은 궐련을 이용한 흡연이 방지될 수 있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50), 에어로졸 생성 장치(7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 도 5, 도 7 및 도 8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00), 에어로졸 생성 장치(50), 에어로졸 생성 장치(70)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8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9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단계 91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센서에 의해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가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센서에 의해 인증 코드가 인식되는 경우, 단계 920을 수행하고, 센서에 의해 인증 코드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단계 910을 수행하거나 대기할 수 있다.
단계 92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인증 코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인증 코드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930을 수행하고,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인증 코드가 아니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94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93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소정의 횟수로 설정할 수 있다. 소정의 횟수는 최초에 담뱃갑에 의해 패키징되었던 궐련들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94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 950을 수행하고,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이 수신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계속해서 단계 940을 수행하거나 대기할 수 있다.
단계 95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960을 수행하고,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단계 970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96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을 수행한 이후,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1회 차감하고, 단계 940을 다시 수행하거나 대기할 수 있다.
단계 970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가열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미만이라는 것은 새로운 인증 코드가 인식됨에 따라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소정의 횟수로 설정된 이후에 수행된 가열 동작들의 횟수가 소정의 횟수에 도달하였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담뱃갑에 부여된, 다른 새로운 인증 코드가 인식될 때까지 추가적인 가열 동작이 제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하여 다시 흡연을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담뱃갑에 부여된 새로운 인증 코드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 개시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이용함에 있어, 제한된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불필요하게 차감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이고, 이에 따라, 궐련 재사용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 담뱃갑 850: 통신 인터페이스
50: 에어로졸 생성 장치 860: 제어부
51: 인증 코드 870: 메모리
510: 센서
520: 제어부
530: 히터
70: 에어로졸 생성 장치
710: 센서
720: 제어부
730: 히터
740: 메모리
80: 에어로졸 생성 장치
85: 서버
810: 센서
820: 제어부
830: 히터
840: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는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상기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이전에 인식되었던 인증 코드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을 비교한 결과,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과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이라고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인증 코드들을 비교한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BLE(Bluetooth Low Energy)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동작을 위한 외부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이상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가열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1회 차감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가 1회 미만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다른 새로운 인증 코드가 인식될 때까지 상기 가열 동작을 제한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는 상기 담뱃갑에 대해 고유하게 부여된 것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코드는 NFC 태그, 바코드 및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NFC 판독기, 광학 스캐너 및 RFID 판독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소정의 개수의 궐련들을 패키징하도록 구성되고, 고유한 인증 코드가 부여된 담뱃갑; 및
    상기 담뱃갑에 부여된 인증 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센서,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인증 코드가 새로운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상기 소정의 개수에 대응되는 횟수로 설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열 동작 가능 횟수를 고려하여 가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되는 히터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20200015169A 2020-02-07 2020-02-07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KR202101010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69A KR20210101044A (ko) 2020-02-07 2020-02-07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5169A KR20210101044A (ko) 2020-02-07 2020-02-07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044A true KR20210101044A (ko) 2021-08-18

Family

ID=77464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169A KR20210101044A (ko) 2020-02-07 2020-02-07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10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98A1 (en) * 2021-11-24 2023-06-0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3113314A1 (en) * 2021-12-17 2023-06-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notif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298A1 (en) * 2021-11-24 2023-06-01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3113314A1 (en) * 2021-12-17 2023-06-22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providing notifica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3103463A (ja) シガレットの種類別にエアロゾル生成装置に含まれたヒータの温度を制御する方法及びシガレットの種類別にヒータの温度を制御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CN110612034A (zh) 具有检测卷烟插入功能的气溶胶生成装置及方法
KR10241211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57487A (ko) 하나의 배터리로 두 개의 히터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7403628B2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2055548A (zh) 气溶胶生成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645866B (zh) 气溶胶生成系统和香烟
KR20190049393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생성 방법
KR20210101044A (ko)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2188840B (zh) 气溶胶生成装置、其电力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2188839A (zh) 控制可连续使用的气溶胶生成装置的加热器的电力的方法以及其气溶胶生成装置
US20240114974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system
KR10225305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5443079A (zh) 判断气溶胶生成物品是否为过湿状态的气溶胶生成装置
KR10244641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5553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60137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564029B1 (ko) 담뱃갑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JP7260225B2 (ja) 媒質に含まれたニコチンの移行量が増大するようにエアロゾル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21526009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れを制御する方法
EP4144243A1 (en) Aerosol generation device
EP4133958A1 (en) Aerosol-genera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4006192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user
CN113329648A (zh) 气溶胶生成装置
CN117642088A (zh) 气溶胶生成装置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