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0955A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0955A
KR20210100955A KR1020200014961A KR20200014961A KR20210100955A KR 20210100955 A KR20210100955 A KR 20210100955A KR 1020200014961 A KR1020200014961 A KR 1020200014961A KR 20200014961 A KR20200014961 A KR 20200014961A KR 20210100955 A KR20210100955 A KR 20210100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cabinet
cloth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9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재일
전호일
하영수
이경아
박규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4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0955A/en
Priority to CN202410298189.0A priority patent/CN118065119A/en
Priority to PCT/KR2021/001185 priority patent/WO2021157961A1/en
Priority to US17/798,221 priority patent/US20230118347A1/en
Priority to CN202410298181.4A priority patent/CN118065118A/en
Priority to EP21750953.8A priority patent/EP4101972A4/en
Priority to CN202180013007.5A priority patent/CN115053030B/en
Publication of KR2021010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14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 D06F75/16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the steam being produced from water in a reservoir carried by the iron the reservoir being heated to produce the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10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with means for supplying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06F75/20Arrangements for discharging the steam to the article being iron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6Temperature control or indicating arrangements
    • D06F75/265Temperature 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kno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08Hand irons internally heated by electricity
    • D06F75/28Arrangements for attaching, protecting or supporting the electric supply cab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5/00Hand irons
    • D06F75/38Sole pl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03Ironing boards  with flat iron suppor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006Ironing boards  with fabric support or garment rack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81/00Ironing boards 
    • D06F81/12Sleeve boards; Attach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abinet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n outlet passing through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using; a first support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 processing unit drawn out of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eat and moisture to the clothes; a body provided to be drawn out of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outlet; and a second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body and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part, wherein the second support part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clothes are supported, and has an area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first support part. The second support part includes: a first board fixed to the body so as to be rotatable from the body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a second board which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board so as to be rotatable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provides the space in which the clothes are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 ironing board and a sleeve ironing board can be easily used.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ment Apparatus}Laundry Treatment Apparatus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의류처리장치는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의류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기, 물에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의류로부터 냄새를 제거하거나 의류의 주름을 제거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 의류의 주름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장치로는 챔버에 펼쳐진 상태로 거치된 의류에 스팀을 공급하는 장치, 사용자가 지지면(다리미판 등)에 안착된 의류를 눌러주면서 열과 스팀을 공급하는 다리미가 일반적이었다.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s a concept including a washing machine that removes foreign substances from clothes using water and detergent, a dryer that dries wet clothes, and a device that removes odors from clothes or removes wrinkles from clothes. As a device for removing wrinkles or odors from clothes among conventional clothes treatment devices, a device for supplying steam to clothes placed in an unfolded state in a chamber, and a device for supplying heat and steam while a user presses clothes seated on a support surface (ironing board, etc.) Irons to do this were common.

다리미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의류가 지지되는 다리미판이 다리미와 분리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다림질이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는 다리미판과 다리미를 각각 준비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the cas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uch as an iron, since the ironing board on which the clothes are supported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iron, the use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prepare the ironing board and the iron each time ironing is required.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소매나 어깨 등을 다림질할 때 필요한 우마(sleeve ironing board)가 다리미판이나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우마를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lothes treatment apparatus does not have a sleep ironing board necessary for ironing sleeves or shoulders, etc. in the ironing board or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so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separately prepare the wool.

나아가,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다리미가 완료된 의류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는 장치가 없어, 다림질을 통해 구김이 제거된 의류에 또 다시 구김이 발생하는 불편함이 있었다.Furthermore, since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oes not have a device for maintaining an unfolded state of the ironed clothes, there is an inconvenience in that the wrinkle is generated again in the clothes from which the wrinkle is removed through ironing.

본 출원은 의류에 열과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처리부, 및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treatment unit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heat and steam to clothing, and a support unit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lothing is supported.

또한, 본 출원은 다리미판 및 우마(sleeve ironing board)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리미판 및 우마의 보관과 사용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both an ironing board and a sleep ironing board, thereby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facilitates storage and use of an ironing board and a sleeper.

또한, 본 출원은 다림질 등의 처리 과정이 완료된 의류를 펼쳐진 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clothes that have been processed, such as ironing, in an unfolded state.

본 출원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연통하는 인출구;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며, 의류에 열과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처리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1지지부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진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abinet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using; a first support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 processing unit withdrawable from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eat and moisture to clothes; and a second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outlet to provide a space for supporting clothes, and has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part.

본 출원은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연통하는 인출구;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며, 의류에 열과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처리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진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cabinet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using; a first support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 processing unit withdrawable from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eat and moisture to clothes; a body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outlet; and a second support part provided on the body, positioned above the first support par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bu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part.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된 제1보드;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드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보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first board fixed to the body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is rotatable from the body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econd board that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board so as to be rotatable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가 상기 제2하우징에서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바디 인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ody pull-out unit configured to provide power for the body to be drawn out from the second housing.

상기 바디 인출부는 상기 제2하우징에 상기 제2하우징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랙;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랙에 결합된 피니언;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rack provided in the second housing along a height direction of the second housing; a pinion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and coupled to the rack; and a pinion motor rotating the pinion.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art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body.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지지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드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board receiving part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is locat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body is concavely ben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is accommodated; may includ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옷걸이의 고리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lothes hanger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body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hook of the hanger is supported.

상기 옷걸이 지지부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 또는 상기 지지바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로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의 고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hanger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bar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body; and a ring receiving part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is concavely bent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ook of the hanger is accommodated.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지지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전방면에 구비되고, 상기 옷걸이 지지부는 상기 바디의 후방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portion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ortion is locat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body, and the hanger support portion is at least one of a rear surface, a left surface, a right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It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스팀발생기; 상기 바디에 구비된 유로체결부; 상기 유로체결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일단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로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처리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steam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including a storage unit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heater heating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a flow path fasten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flow path fastening part and the storage part; and a connec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rocessing unit and the other end being detachably fixed to the flow path fastening unit to supply steam to the processing unit.

상기 처리부는 전력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가열판이 바닥면에 구비된 열공급바디; 상기 열공급바디에 고정된 핸들; 상기 핸들을 상기 열공급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부; 상기 핸들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과 상기 가열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팀배출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ing unit includes a heat supply bod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ing plate for dissipating heat when power is supplied; a handle fixed to the heat supply body; a connection part for removably fixing the handle to the heat supply body; a first flow path provided on the handle and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moves; and a second flow path provid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team outle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heat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전원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선;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전원에 연결된 전력선 체결부;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력선 연결부; 상기 전력선 연결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핸들의 일단에 구비된 제1단자 및 제2단자에 공급하는 제1전력선;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열공급바디에 고정되면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 및 상기 제1연결단자 및 상기 제2연결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가열판에 공급하는 제2전력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cabinet power lin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power line connection unit provided on the body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power line connection unit provided in the connecto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line connection unit; a first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line connection unit to first and second terminal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respectively, when the handle is fixed to the heat supply body; and a second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the heating plat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 연결부 및 상기 유로체결부는 상기 커넥터 고정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or is detachably fixed, and the power line connection part and the flow path fastening part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fixing part. .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와 상기 캐비닛 전력선을 연결하는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power controller provided on the body and configured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a circuit connecting the heater and the cabinet power lin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unit;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body to disp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lamp provided on the body to emit light to the first support part; and a lamp controller provided on the bod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lamp.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로밸브;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flow path valv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low path; and a valv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andle to operate the flow path valv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력선의 개폐를 제어하는 가열판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plate power controller provided on the handl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power line.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수위감지부;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핸들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provided to detect a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unit; and a handl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andle to display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의류가 지지되는 면에 구비된 제1관통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된 제2관통홀; 공기를 상기 제1관통홀에서 상기 제2관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팬의 작동, 상기 팬의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팬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es: a first through hole provided in a surface o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first support unit; a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art; a fan for moving air from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 fan controller provided on the hand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the fan and a rotation speed of the fan.

본 출원은 의류에 열과 스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처리부, 및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processing unit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heat and steam to clothes, and a support unit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또한, 본 출원은 다리미판 및 우마(sleeve ironing board)가 모두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리미판 및 우마의 보관과 사용이 용이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both an ironing board and a sleep ironing board, thereby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th which the ironing board and the sleep ironing board are easily stored and used.

또한, 본 출원은 다림질 등의 처리 과정이 완료된 의류를 펼쳐진 상태로 거치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holding clothes that have been processed, such as ironing, in an unfolded state.

도 1과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제1지지부의 작동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처리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유틸리티 유닛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1 and 2 show an exampl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3 and 4 show an operation example of the first support part.
5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ing unit.
6 shows an example of a utility uni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apparatus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indicate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의 일면에서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지지부(3),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에 열과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처리부(7), 상기 캐비닛(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옷걸이가 지지되는 공간 등의 편의를 제공하는 장치가 구비된 유틸리티 유닛(5)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 that forms an exterior, and is rotatable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1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to support clothing. A first support part 3 providing a space to be used, a processing part 7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1 and supplies at least one of heat and moisture to clothes, and a processing part 7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cabinet 1 and a utility unit 5 provided with a device for providing convenience such as a space in which a hanger is support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이 구비되는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벽을 통해 서로 분리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FIG. 2 , a housing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and the housing includes a first housing 11 separated from each other through a partition wall dividing the housing into two spaces, and It may be provided as the second housing 12 .

상기 제1하우징(11)에는 상기 처리부(7)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C1), 상기 처리부(7)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기(16)가 수용되는 제2챔버(C2), 및 상기 스팀발생기(16)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탱크(18)가 수용되는 제3챔버(C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12)은 상기 유틸리티 유닛(5)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In the first housing 11 , a first chamber C1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processing unit 7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hamber C2 in which a steam generator 16 supplying steam to the processing unit 7 is accommodated. ), and a third chamber C3 in which a water supply tank 18 for supplying water to the steam generator 16 is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The second housing 12 is provid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utility unit 5 is accommodated.

상기 캐비닛(1)의 일면에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연통하는 투입구(111)가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의 다른 일면에는 상기 제2하우징(12)에 연통하는 인출구(112)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 또는 후방면에 구비되고, 상기 인출구(112)는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An inlet 11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housing 11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abinet 1, and an outlet 11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using 12 is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abinet 1 provided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inlet 11 is provid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 and the outlet 11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113)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입구(11)를 개방한 뒤 챔버들(C1, C2, C3)에 수납된 장치를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유틸리티 유닛(5)은 상기 인출구(112)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12)에서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인출된다.The inlet 11 is opened or closed by the door 113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1 .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out the device accommodated in the chambers C1 , C2 , and C3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fter opening the inlet 11 . The utility unit 5 is drawn out of the cabinet 1 from the second housing 12 through the outlet 112 .

상기 제2챔버(C2)에 구비된 스팀발생기(16)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161), 상기 저장부 내부에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물을 가열하는 히터(16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eam generator 16 provided in the second chamber C2 includes a storage unit 161 that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heater 167 that is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and heats water when power is supplie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상기 저장부(161)는 상기 급수탱크(18)에 연결된 유입구(162)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스팀은 배출구(163)를 통해 상기 저장부(161)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63)에 밸브(165)가 구비될 경우, 스팀은 상기 밸브(165)가 배출구(163)를 개방한 때 상기 저장부(161)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저장부(161)에는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16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167)는 전원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선(19)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61 receives water through an inlet 162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tank 18 , and the steam inside the storage un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61 through an outlet 163 . . When the valve 165 is provided at the outlet 163 , steam will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61 when the valve 165 opens the outlet 163 . The storage unit 161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unit 169 for detecting the water level. The heater 167 may be provided to receive power through a cabinet power line 19 connected to a power source.

상기 급수탱크(18)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제3챔버(C3)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탱크바디(181), 상기 탱크바디(181)의 바닥면에 구비된 배수밸브(182), 상기 제3챔버(C3)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배수밸브(182)를 개방하는 밸브 작동부(187), 일단은 상기 밸브 작동부(187)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팀발생기의 유입구(162)에 연결된 급수관(188)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upply tank 18 provides a space for storing water, a tank body 181 that is detachably fixed to the third chamber C3, and a drain valve 182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181 . ), a valve operating unit 187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chamber C3 to open the drain valve 182, one end connected to the valve operating unit 187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inlet of the steam generator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water supply pipe 188 connected to 162 .

상기 탱크바디(181)의 상부면에는 급수구(181a)가 구비되는데, 상기 급수구(181a)는 상기 탱브바디(18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리드(181b)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탱크바디(181)의 바닥면에는 상기 배수밸브(18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배수구(181c)가 구비된다.A water supply port 181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nk body 181 , and the water supply port 181a is closed by a lead 181b detachably coupled to the tank body 181 . A drain hole 181c that is opened or closed by the drain valve 182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181 .

상기 탱크바디(181)의 바닥면에는 상기 밸브 작동부(187)가 삽입되는 체결부(181d)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배수구(181c)는 상기 탱크바디(181) 내부의 물을 상기 체결부(181d)로 배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 fastening part 181d into which the valve operating part 187 is inserted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ank body 181. In this case, the drain hole 181c drains the water inside the tank body 181. It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o the fastening part 181d.

상기 배수밸브(182)는 상기 탱크바디(181)에 구비되어 상기 배수구(181c)를 폐쇄하는 제1밸브바디(183), 상기 체결부(181d)에 위치된 제2밸브바디(184), 상기 배수구(181c)에 삽입되어 상기 제1밸브바디와 제2밸브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바(185), 상기 제2밸브바디에 구비된 밸브바디 관통홀(184a)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181d)에는 상기 제1밸브바디(183)가 상기 배수구(181c)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186)이 구비된다.The drain valve 182 includes a first valve body 183 provided in the tank body 181 to close the drain hole 181c, a second valve body 184 positioned in the fastening part 181d, and the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nnecting bar 185 inserted into the drain port 181c to connect the first valve body and the second valve body, and a valve body through-hole 184a provided in the second valve body. The fastening part 181d is provided with a spring 186 for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valve body 183 closes the drain port 181c.

상기 밸브 작동부(187)는 상기 제3챔버(C3)의 바닥면에 고정된 작동바디(187a), 상기 작동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바디 관통홀(187b)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탱크바디(181)를 제3챔버(C3)에 삽입하면, 상기 작동바디(187a)는 상기 체결부(181d)에 삽입된다. 상기 작동바디(187a)가 상기 체결부(181d)에 삽입되면 상기 배수밸브(182)는 상기 배수구(181c)를 개방하며, 상기 배수구(181c)가 개방되면 탱크바디의 물은 상기 급수관(188)을 통해 스팀발생기(16)로 공급될 것이다.The valve operating part 187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operating body 187a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chamber C3, and a body through-hole 187b provided to penetrate the operating body. When the user inserts the tank body 181 into the third chamber C3, the operation body 187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181d. When the working body 187a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part 181d, the drain valve 182 opens the drain port 181c, and when the drain hole 181c is opened, the water in the tank body flows into the water supply pipe 188. It will be supplied to the steam generator 16 through the.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는 상기 캐비닛(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휠(13), 및 상기 캐비닛(1)을 실내 공간의 바닥면(G,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부(14)가 구비될 수 있다.A wheel 13 for facilitating movement of the cabinet 1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and a fixing part 14 for fixing the cabinet 1 to the floor surface (G, ground) of the indoor space. may be provided.

상기 고정부(14)는 상기 캐비닛(1)을 지면에 고정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의 바닥면 중 마주보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고정바디(141, 142)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의 바닥면 각 모서리에 구비된 4개의 고정바디(141, 142, 143, 144)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fixing part 14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fix the cabinet 1 to the ground. The fixing part 14 may be provided with two fixing bodies 141 and 142 respectively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1 as shown in FIG. 3, and as shown in FIG. Similarly, it may be provided with four fixed bodies (141, 142, 143, 144) provided at each corn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은 상기 캐비닛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상기 캐비닛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xed bodies 141 , 142 , 143 , and 144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and may be provided to unfol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abinet as necessary.

나아가,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은 고정바디 구동부를 통해 자동으로 펼쳐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바디 구동부는 캐비닛의 바닥면에 고정된 축지지부(142b), 일단은 상기 축지지부(142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바디에 고정된 축(142a),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모터(142e),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142c), 및 상기 축(142a)에 구비되어 상기 주동기어에 체결된 종동기어(142d)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Further, the fixed bodies (141, 142, 143, 144) may be provided to automatically unfold through the fixed body driving unit. As shown in FIG. 3, the fixed body driving part has a shaft support part 142b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binet, one end of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art 142b, and the other end is a shaft fixed to the fixed body. 142a), the motor 142e provided in the cabinet 1, the main driving gear 142c rotating by the motor, and the driven gear 142d provided on the shaft 142a and fastened to the main driving gear.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상기 축(142a)은 상기 축지지부(142b)에 나선결합되므로, 상기 모터(142e)에 의해 상기 축(142a)가 회전하면,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은 상기 캐비닛(1)의 바닥면에서 상기 지면(G)을 향해 이동하게 될 것이다.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이 상기 지면(G)을 향해 이동하는 거리는 상기 휠(13)을 상기 지면(G)에서 분리시키는 거리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Since the shaft 142a is helically coupled to the shaft support part 142b, when the shaft 142a is rotated by the motor 142e, the fixed bodies 141, 142, 143, 144 are connected to the cabinet ( It will move toward the ground (G) from the bottom surface of 1). The distance at which the fixed bodies 141 , 142 , 143 , and 144 move toward the ground G is preferably set to a distance separating the wheel 13 from the ground 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수용홈(1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수용홈(117)의 깊이는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이 상기 고정부 수용홈(117)에 삽입된 때 노출되는 면이 상기 고정부 수용홈(117)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깊이로 설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part accommodating groove 117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fixing bodies 141 , 142 , 143 , 144 are accommodated. The depth of the fixing part accommodating groove 117 is the surface exposed when the fixing bodies 141 , 142 , 143 , 144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part accommodating groove 117 . It may be set to a depth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상기 모터(142e)는 고정바디 제어부(15)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고정바디 제어부(15)가 상기 캐비닛의 좌측면에 푸시버튼 형태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고정바디 제어부(15)로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142e)는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이 상기 고정부 수용홈(117)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축(142a)을 회전시키고, 상기 고정바디 제어부(15)로 한 번 더 외력이 입력되면 상기 모터(142e)는 상기 고정바디들(141, 142, 143, 144)이 상기 고정부 수용홈(117)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축(142a)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motor 142e may be provided to be operated by the fixed body control unit 15 .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xed body control unit 15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ush button on the left side of the cabinet. When an external force is input to the fixed body control unit 15 , the motor 142e moves the fixed bodies 141 , 142 , 143 , 144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bodies 141 , 142 , 143 and 144 are drawn out from the fixing unit receiving groove 117 . and when an external force is inputted to the fixed body control unit 15 once more, the motor 142e moves the fixed bodies 141 , 142 , 143 , 144 to the fixed body accommodating groove 117 . The shaft 142a may be rota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부(3)는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디(31),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각도조절부(3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first support part 3 includes a support body 31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nd an angle adjusting part 33 rotatably coupling the support body to the cabinet 1 . ) may be provided to include.

상기 지지바디(31)는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과 후방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안착되는데,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에 상기 도어(113)가 구비될 경우, 상기 지지바디(31)는 상기 캐비닛(1)의 후방면에 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의 후방면에는 상기 지지바디(31)의 바닥면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수용홈(11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 수용홈(118)은 상기 캐비닛(1)의 후방면이 상기 캐비닛(1)의 내부를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31 is seated on any one of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and when the door 113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he support body 31 is It may be provided to be se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 A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118 providing a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is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 The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118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 is concavely bent toward the inside of the cabinet 1 .

상기 캐비닛(1)에는 상기 각도조절부(33)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슬롯(116)이 구비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33)의 일단은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각도조절부(33)의 타단은 상기 슬롯(116)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디(31)에 고정될 수 있다.The cabinet 1 is provided with a slot 116 that provides a movement path of the angle adjusting unit 33 . That is, 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unit 33 is rotatably fixed to the cabinet 1 , and the other end of the angle adjusting unit 33 is inserted into the slot 116 and fixed to the support body 31 . can be

상기 각도조절부(33)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롯(116)에 삽입된 조절부 바디(331), 상기 조절부 바디(331)를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332)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One end of the angle adjusting unit 33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31 , and the other end of the adjusting unit body 331 inserted into the slot 116 , and the adjusting unit body 331 are attached to the cabinet 1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rotation shaft 332 that is rotatably connected.

상기 제1지지부(3)에는 상기 지지바디(31)가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위치고정부(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35)는 일단은 바 회전축(353)을 통해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지지바디(3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바(35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바(351)의 자유단이 상기 지지바디(31)의 바닥면에 구비된 스토퍼(317)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지지바디(31)의 위치를 고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토퍼(317)는 상기 지지바디(31)의 바닥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part 3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part 35 for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body 31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 The position fixing part 35 has one end rotatably fixed to the cabinet 1 through a bar rotation shaft 353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bar 351 removably fixed to the support body 31 . can be provided. FIG. 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ree end of the bar 351 is inserted into the stopper 317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to fix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ody 31 . . The stopper 317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is concavely ben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351)는 상기 캐비닛(1)에 구비된 바 수용홈(119)에서 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 수용홈(119)은 상기 지지부 수용홈(118)의 바닥면이 캐비닛의 중심을 향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고, 상기 바 회전축(353)은 상기 바(351)의 일단을 상기 바 수용홈(119)에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bar 351 may be provided to be drawn out from the bar receiving groove 119 provided in the cabinet 1 . In this case, the bar accommodating groove 119 is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accommodating groove 118 is concavely bent toward the center of the cabinet, and the bar rotating shaft 353 is one end of the bar 351 . may be provided to connect to the bar receiving groove 119 .

상기 지지바디(31)가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때 상기 지지바디(31)와 캐비닛(1)의 상부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의 상부면 또는 상기 지지바디(31)의 바닥면에는 안착부(37)가 더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support body 31 is rotated to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 the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1 may be maintained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support body 3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1 . A seating part 37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urface or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

상기 지지바디(31)는 내부에 팬(312)이 장착되는 공간 및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수용부(3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331)에 연통하는 제1관통홀(313), 상기 지지바디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331)에 연통하는 제2관통홀(315)이 구비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31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in which the fan 312 is mounted and an accommodating part 331 forming an air flow path. A first through hole 313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that passes through the support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part 331, pass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nd communicates with the receiving part 331 A second through hole 315 may be provided.

의류가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팬(312)이 작동하면, 공기는 상기 제1관통홀(313)을 통해 상기 수용부(331)로 유입되고, 상기 수용부(331) 내부의 공기는 상기 제2관통홀(315)을 통해 배출될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지지부(3)는 의류를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에 고정 가능하므로, 상기 처리부(7)로 다림질 등을 할 때 의류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When the fan 312 is operated while clothes ar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art 331 through the first through hole 313 , and the receiving part (331) The air inside will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 (315). Since the support part 3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fix the clothes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aking of the clothes when ironing with the processing part 7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틸리티 유닛(5, utility unit)은 .상기 인출구(112)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12)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51)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As shown in FIG. 2 , the utility unit 5 is provided to include a body 51 that is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housing 12 through the outlet 112 .

상기 바디(51)는 바디 인출부(52)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12)에서 인출되는 동력을 제공 받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바디 인출부(52)는 상기 제2하우징(12)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하우징에 고정된 랙(521), 상기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랙에 결합된 피니언(523), 및 상기 피니언을 회전시키는 피니언 모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body 51 may be provided to receive power drawn out from the second housing 12 through a body lead-out part 52 , and the body lead-out part 52 has a height of the second housing 12 . A rack 521 fixed to the second housing along the direction, a pinion 523 rotatably provided on the body 51 and coupled to the rack, and a pinion motor (not shown) for rotating the pinion. may be provided to do so.

상기 바디(5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2하우징(12)에서 인출된 때 상기 제2하우징(12)의 외부에 노출되는 공간에는 커넥터 고정부(59, 커넥터 제1고정부)가 구비된다. 도 2는 상기 커넥터 제1고정부(59)가 상기 바디(51)의 상부면에 형성된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A connector fixing part 59 (connector first fixing part) is provided in a space provided by the body 51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housing 12 when it is withdrawn from the second housing 12 . . 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connector first fixing part 59 is provided with a groov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51 as an example.

상기 커넥터 제1고정부(59)에는 전력선 체결부(591) 및 유로체결부(59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력선 체결부(591)는 전선을 통해 상기 캐비닛 전력선(19)에 연결되고, 상기 유로체결부(593)는 연결관(595)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의 배출구(16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디(51)는 상기 제2하우징(12)에서 인출 가능하므로, 상기 전선과 연결관은 상기 바디(51)의 운동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or first fixing part 59 may include a power line coupling part 591 and a flow path coupling part 593 . The power line fastening unit 591 is connected to the cabinet power line 19 through an electric wire, and the flow path fastening unit 593 is connected to the outlet 163 of the steam generator through a connecting pipe 595. have. Since the body 51 is withdrawable from the second housing 12 , the electric wire and the connecting pipe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is stretchable alon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ody 5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처리부(7)는 커넥터(77)를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16) 및 전원에 연결되는 스팀공급부(71), 상기 스팀공급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 열공급부(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부(75)는 상기 스팀발생기(16)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을 의류에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력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가열판(752)을 통해 의류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5, the processing unit 7 includes a steam supply unit 71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16 and a power source through a connector 77, and a heat supply unit 75 detachably fixed to the steam supply unit. )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heat supply unit 75 can supply the steam supplied through the steam generator 16 to the clothes, and can be provided to supply heat to the clothes through the heating plate 752 that emits heat when power is supplied. have.

상기 커넥터(77)는 커넥터 바디(771), 상기 커넥터 바디(79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체결부(593)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상기 처리부(7)에 공급하는 유로연결부(773), 및 상기 커넥터 바디(791)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 체결부(591)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처리부(7)에 공급하는 전력선 연결부(7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or 77 includes a connector body 771, a flow path connection part 773 provided inside the connector body 791 to supply steam discharged from the flow path fastening part 593 to the processing part 7, and the It may be provided in the connector body 791 to include a power line connection unit 775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line coupling unit 591 to the processing unit 7 .

상기 커넥터 바디(771)의 일단에는 상기 유틸리티 유닛의 커넥터 제1고정부(59)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체결단(771a)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771)의 타단에는 상기 처리부(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체결단(771b)이 구비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onnector body 771 is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end 771a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first fixing portion 59 of the utility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connector body 771 is provided with the processing unit ( A second fastening end 771b detachably connected to 7) may be provided.

상기 스팀공급부(71)는 바 형상의 핸들(712)이 구비된 스팀공급바디(711)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의 일단에는 상기 커넥터의 제2체결단(771b)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커넥터 고정부(712a, 커넥터 제2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steam supply unit 71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team supply body 711 provided with a bar-shaped handle 712 . A connector fixing part 712a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end 771b of the connector is detachably fixed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team supply body 711 .

상기 스팀공급바디(711) 내부에는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7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유로(713)는 일단은 상기 커넥터 제2고정부(712a)에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에 구비된 접촉면(712b, 열공급부에 접촉하는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제2체결단(771b)이 상기 커넥터 제2고정부(712a)에 삽입되면, 상기 제1유로(713)는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유로연결부(773) 및 상기 유틸리티 바디에 구비된 연결관(595)을 통해 상기 스팀발생기(16)에 연결될 것이다.A first flow path 713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moves is provided inside the steam supply body 711 . One end of the first flow path 713 is provided in the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712a,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ntact surface 712b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body 711,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heat supply unit). can be Accordingly, when the second fastening end 771b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712a, the first flow path 713 is provided in the flow path connection part 773 provided in the connector and the utility body. It will be connected to the steam generator 16 through a connecting pipe 595 .

상기 제1유로(713)에는 유로밸브(714)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유로밸브(714)는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에 구비된 밸브 제어부(716)에 의해 제1유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제어부(716)는 핸들(712)에 구비될 수 있다.A flow path valve 714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flow path 713 , and the flow path valve 714 opens or closes the first flow path by the valve control unit 716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body 711 . may be provided to do so. As shown in the drawing, the valve control unit 716 may be provided in the handle 712 .

상기 스팀공급바디(711) 내부에는 제1전력선(715)이 구비된다. 상기 스팀공급바디의 접촉면(712b)에는 상기 열공급부(75)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1단자(715a) 및 제2단자(715b)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전력선(715)은 상기 단자들(715a, 715b)을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전력선 연결부(775)에 연결하는 수단이다.A first power line 715 is provided inside the steam supply body 711 . A first terminal 715a and a second terminal 715b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 supply unit 75 are provided on the contact surface 712b of the steam supply body, and the first power line 71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s It is a means for connecting the 715a and 715b to the power line connection part 775 provided in the connector.

즉, 상기 제1전력선은 일단은 상기 제1단자(715a)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 제2고정부(712a)에 고정된 전선, 및 일단은 상기 제2단자(715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 제2고정부(712a)에 고정된 전선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의 제2체결단(771b)이 상기 커넥터 제2고정부(712a)에 삽입되면, 상기 단자들(715a, 715b)은 상기 제1전력선(715), 전력선 연결부(795), 및 전력선 체결부(591)를 통해 상기 캐비닛 전력선(19)에 연결될 것이다.That is, the first power line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715a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712a, and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715b and the other end is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electric wire fixed to the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712a. Accordingly, when the second fastening end 771b of the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712a, the terminals 715a and 715b ar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line 715, the power line connection part 795, and It will be connected to the cabinet power line 19 through the power line fastening part 591 .

상기 제1전력선(715)은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에 구비된 가열판 전력 제어부(717)에 의해 개방(단자들에 전력공급을 차단)되거나 폐쇄(단자들에 전력을 공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팀공급부(71)에는 상기 제1전력선(715)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가열판 전력 제어부(717)는 상기 스위치의 위치를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가열판 전력 제어부(717)가 핸들(712)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first power line 715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power supply to the terminals is cut off) or closed (power is supplied to the terminals) by the heating plate power control unit 717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body 711 . have. That is, the steam supply unit 71 may be provided with a switch for opening or closing the first power line 715 , and the heating plate power control unit 717 may be provided to control the position of the switch. The figure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heating plate power control unit 717 is provided in the handle 712 as an example.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에는 상기 지지바디(31) 내부에 구비된 팬(312)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7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 제어부(718)는 상기 팬(312)의 작동여부, 상기 팬의 회전수 등을 제어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편의를 고려할 때 상기 핸들(71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The steam supply body 711 may be provided with a fan control unit 718 for controlling the fan 312 provided in the support body 31 . The fan control unit 718 may be provided to control whether the fan 312 is operated, the rotation speed of the fan, etc., and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handle 712 in consideration of ease of use.

나아가,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에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저장부(161)에 저장된 물의 양을 표시하는 표시부(719, 핸들 표시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719)는 상기수위감지부(169)가 감지한 상기 저장부(161)의 수위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하일 때에만 점등되는 램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사용편의를 고려할 때, 상기 표시부(719)는 상기 핸들(712)의 상부면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steam supply body 711 may be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719 (handl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1 of the steam generator. The display unit 719 may be provided to notify the user of the water level in the storage unit 161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69, and is lit only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unit is below a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It may be provided as a lamp.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unit 719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712 .

상기 열공급부(75)는 상기 스팀공급바디(711)가 고정되는 열공급바디(751), 상기 열공급바디(751)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전력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가열판(752), 상기 스팀공급바디(711)를 상기 열공급바디(75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755, 7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eat supply unit 75 includes a heat supply body 751 to which the steam supply body 711 is fixed, a heating plate 752 that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upply body 751 to radiate heat when power is supplied, the steam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connection parts (755, 757) for removably connecting the supply body (711) to the heat supply body (751).

상기 열공급바디(751)는 상기 가열판(752)이 고정되는 공간 및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의 접촉면(712b)이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어떠한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The heat supply body 751 may have any shape as long as it can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heating plate 752 is fixed and a spac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712b of the steam supply body 711 is fixed.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열공급바디(751)의 상부면에 고정된 연결바디(755), 상기 스팀공급바디(711)를 상기 연결바디(755)에 체결하는 체결바디(75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onnection body 755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t supply body 751 , and a fastening body 757 for coupling the steam supply body 711 to the connection body 755 . .

상기 연결바디(755)에는 제1연결단자(755a) 및 제2연결단자(755b)가 구비된다. 상기 스팀공급바디(711)가 상기 열공급바디(751)에 고정되면, 상기 제1연결단자(755a)는 상기 스팀공급부에 구비된 제1단자(715a)에 접촉하고, 상기 제2연결단자(755b)는 상기 스팀공급부에 구비된 제2단자(715b)에 접촉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The connection body 755 is provided with a first connection terminal 755a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755b. When the steam supply body 711 is fixed to the heat supply body 751,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755a contacts the first terminal 715a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unit,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755b ) should be provided so as to contact the second terminal 715b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unit.

또한, 상기 연결바디(755)에는 상기 열공급바디(751)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연통홀(755c)이 구비된다. 상기 스팀공급바디(711)가 상기 열공급바디(751)에 고정되면, 상기 연통홀(755c)은 상기 스팀공급부의 제1유로(713)에 연결되도록 구비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ody 755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755c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of the heat supply body 751 with the outside. When the steam supply body 711 is fixed to the heat supply body 751 , the communication hole 755c should be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713 of the steam supply unit.

상기 체결바디(757)는 상기 스팀공급바디(711)에 구비된 수용홈(757b), 상기 연결바디(755)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홈(757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고정돌기(757a), 상기 고정돌기(757a)의 위치를 제어하는 고정부 락(757c)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body 757 includes a receiving groove 757b provided in the steam supply body 711, a fixing protrusion 757a provided in the connection body 755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757b,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xing portion lock (757c)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the fixing projection (757a).

상기 고정부 락(575c)은 상기 열공급바디(751)의 측면에 구비된 슬라이드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외력이 입력되면(슬라이드 버튼이 일측으로 밀리면) 상기 고정돌기(757a)는 상기 수용홈(757b)에서 인출되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에 외력이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고정돌기(757a)는 상기 수용홈(757b)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lock 575c may be provided as a slide button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eat supply body 751 . When an external force is input to the slide button (when the slide button is pushed to one side), the fixing protrusion 757a is withdrawn from the receiving groove 757b, and if no external force is input to the slide button, the fixing protrusion 757a is the It may be provided to maintain a stat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757b).

상기 가열판(752)은 전도체로 구비되어 상기 열공급바디(751)의 바닥면에 고정된 가열판 바디, 상기 가열판 바디 내부에 구비된 가열판 히터(752a)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열공급바디(751)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열판 바디(752)를 절연하는 절연부(752b)가 구비될 수 있다.The heating plate 752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heating plate body provided as a conductor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 supply body 751 , and a heating plate heater 752a provided in the heating plate body. An insulating part 752b for insulating the heating plate body 752 may b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eat supply body 751 .

상기 가열판 히터(752a)는 제2전력선(759)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즉, 상기 제2전력선(759)은 상기 제1연결단자(755a)와 상기 가열판 히터(752a)의 일단을 연결하는 전선, 및 상기 제2연결단자(7554b)와 상기 가열판 히터(752a)의 타단을 연결하는 전선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들(715a, 715b)이 상기 연결단자들(755a, 755b)에 연결된 상태(스팀공급바디가 열공급바디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판 전력 제어부(717)가 전력회로를 폐쇄하면, 상기 가열판 히터(752a)는 발열하게 될 것이다.The heating plate heater 752a receives power through a second power line 759 . That is, the second power line 759 includes a wire connect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755a and one end of the heating plate heater 752a,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7554b and the other end of the heating plate heater 752a. It is provided to include a wire connecting the. Therefore,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s 715a and 715b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s 755a and 755b (the state in which the steam supply body is coupled to the heat supply body), the heating plate power control unit 717 closes the power circuit , the heating plate heater 752a will generate heat.

상기 가열판(752)에는 상기 가열판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팀배출구(752c)가 구비된다. 상기 스팀배출구(752c)는 제2유로(758)를 통해 상기 연통홀(755c)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공급바디(711)가 상기 열공급바디(751)에 연결되면, 상기 제1유로(713)에서 배출되는 스팀은 상기 연통홀(755c) 및 상기 제2유로(758)를 통해 상기 스팀배출구(752c)로 이동 가능하다.The heating plate 752 is provided with a steam outlet 752c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heating plate body. The steam outlet 752c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755c through a second flow path 758 . Accordingly, when the steam supply body 711 is connected to the heat supply body 751 , the steam discharged from the first flow path 713 passes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755c and the second flow path 758 . It is movable to the outlet (752c).

한편, 상기 스팀배출구(752c)가 여러개의 홀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열공급바디(751)에는 노즐(75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노즐(753)은 상기 제2유로(758)에서 공급되는 스팀을 각각의 스팀배출구(752c)로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eam outlet 752c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es, the heat supply body 751 may further include a nozzle 753 . The nozzle 753 is preferably provided to supply the steam supplied from the second flow path 758 to each steam outlet 752c.

상기 유틸리티 유닛(5)가 메인 컨트롤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바디(51)에는 입력부(511, 512, 513), 및 표시부(5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는 상기 스팀발생기의 히터(167)와 상기 캐비닛 전력선(19)을 연결하는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511), 상기 바디 인출부(52)의 피니언 모터를 제어하는 인출제어부(51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put units 511 , 512 , 513 , and a display unit 514 may be provided in the body 51 so that the utility unit 5 can function as a main controller. As shown in FIG. 6 , the input unit includes a power control unit 511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circuit connecting the heater 167 of the steam generator and the cabinet power line 19 , and a pinion of the body draw-out unit 52 .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withdrawal control unit 513 for controlling the motor.

상기 전력 제어부(511)는 상기 바디(5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지지바디(3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고, 상기 인출제어부(513)는 상기 바디(51)의 상부면(제2하우징에 삽입되면 캐비닛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e power control unit 511 is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ody 31 is located among the space provided by the body 51 , and the withdrawal control unit 51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51 ( When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한편, 상기 바디(51)에는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5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는 상기 램프(55)의 작동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512)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램프 제어부(512)는 상기 바디(5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지지바디(3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에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51 may further include a lamp 55 for emitting l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 In this case, the input un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lamp control unit 5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amp 55 . The lamp control unit 512 may b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ody 31 is located in the space provided by the body 51 .

상기 표시부(514)는 상기 수위감지부(169)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부(514)는 상기수위감지부(169)가 감지한 데이터(사용자가 수위를 인지할 수 있게 하는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 이하일 때에만 점등되는 램프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514 may be provided to disp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169 . That is, the display unit 514 may be provided to notify the user of the data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unit 169 (data that enables the user to recognize the water level), and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unit is preset. It may be provided with a lamp that is turned on only when the water level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한편, 상기 바디(51)에는 셔츠의 소매나 어깨를 다람질할 때 지지판의 역할을 하는 제2지지부(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57)는 상기 바디(51)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지지바디(31)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5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upport portion 57 serving as a support plate when ironing the sleeve or shoulder of the shirt. The second support part 57 is provided on the body 51 and is located on the support body 31 , and provides a space for clothes to be supported, but has an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support body 31 . can be provided.

도 6은 상기 제2지지부(57)가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이 위치된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51)에 고정된 제1보드(571),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드(5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된 제2보드(5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first board 571 fixed to the body 51 and the support body 31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57 is rotatable toward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is located. It is shown as an example of a case in which the second board 573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board 571 so as to be rotatable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ard 573 to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

상기 제1보드(571)는 제1축(575)을 통해 상기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2보드(573)는 제2축(577)을 통해 상기 제1보드(57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축(575)은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에 평행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축(577)은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보드(573)는 상기 지지바디(31)의 상부면과 나란하고, 사기 지지바디의 상부면보다 높은 지점에 위치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다.The first board 571 is rotatably fixed to the body 51 through a first shaft 575 , and the second board 573 is the first board 571 through a second shaft 577 . ) can be rotatably fixed to the The first shaft 575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 and the second axis 577 may be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 Accordingly, the second board 573 is rotatable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31 and located at a point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ody.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부(57)는 상기 바디(5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51)에는 상기 제2지지부(57)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드 수용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드 수용부(516)는 상기 바디(5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지지바디(3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support portion 57 may be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body 51 . In this case, the body 51 may be provided with a board accommodating part 516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57 is accommodated. The board accommodating part 516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body 31 is positioned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body 51 is concavely bent.

다림질 등의 처리과정이 완료된 의류를 펼쳐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유틸리티 유닛(5)에는 옷걸이의 고리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 지지부(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utility unit 5 may further include a hanger support part 54 providing a space for supporting the hook of the hanger so that the clothes after the ironing process are completed can be held in an unfolded state.

상기 제2지지부(57)가 상기 바디(5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지지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바디의 전방면)에 구비될 경우, 상기 옷걸이 지지부(54)는 상기 바디(51)의 후방면, 좌측면, 우측면, 및 상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은 상기 옷걸이 지지부(54)가 상기 바디(51)의 후방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When the second support part 57 is provided on a surface (a front surface of the body)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is located among the space provided by the body 51, the hanger support part 54 is the body ( 51) may be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rear surface, the left surface, the right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anger support part 54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51 .

상기 바디(51)의 후방면에는 상기 옷걸이 지지부(5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바 수용홈(5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 수용홈(515)은 상기 바디(51)의 후방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A support bar receiving groove 515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hanger support part 54 is accommodated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51 . The support bar receiving groove 515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51 is concavely bent.

상기 옷걸이 지지부(54)는 상기 지지바 수용홈(515)에 위치하는 지지바(541), 상기 지지바의 하단을 상기 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지지바 회전축(미도시), 상기 지지바(54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 또는 상기 지지바(541)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로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의 고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 수용부(54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바(541)의 자유단을 상기 지지바 수용홈(515)에서 인출한 뒤 옷걸이를 상기 지지바(541)에 거치 가능하다.The hanger support part 54 includes a support bar 541 positioned in the support bar receiving groove 515, a support bar rotation shaft (not shown) for rotatably fixing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bar to the body 51, and the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541 is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541 is concavely bent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541 to include a ring receiving part 543 that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hook of the hanger is accommodated. can be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out the free end of the support bar 541 from the support bar receiving groove 515 and then mount the hanger on the support bar 541 if necessary.

상술한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은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는 한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본 출원의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Since each element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have various structures as long as they implement the same func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1: 제1하우징
111: 투입구 112: 인출구 113: 도어
116: 슬롯 117: 고정부 수용홈 118: 지지부 수용홈
119: 바 수용홈 12: 제2하우징 13: 휠
14: 고정부 141: 제1고정바디 142: 제2고정바디
15: 고정바디 제어부 16: 스팀발생기 161: 저장부
162: 유입구 163: 배출구 165: 밸브
167: 히터 169: 수위감지부 18: 급수탱크
181: 탱크바디 182: 배수밸브 187: 밸브 작동부
188: 급수관 19: 캐비닛 전력선 3: 제1지지부
31: 지지바디 311: 수용부 312: 팬
317: 스토퍼 33: 각도 조절부 331: 조절부 바디
332: 회전축 35: 위치고정부 351: 바
353: 바 회전축 37: 안착부
5: 유틸리티 유닛 51: 바디 514: 표시부
515: 지지바 수용홈 516: 보드 수용홈 52: 바디 인출부
521: 랙 523: 피니언 54: 옷걸이 지지부
541: 지지바 543: 고리수용부 55: 램프
57: 제2지지부 571: 제1보드 573: 제2보드
575: 제1축 577: 제2축 59: 커넥터 제1고정부
591: 전력선 체결부 593: 유로체결부 595: 연결관
7: 처리부 71: 스팀공급부 711: 스팀공급바디
712: 핸들 712a: 커넥터 제2고정부 713: 제1유로
714: 유로밸브 715: 제1전력선 716: 밸브 제어부
717: 가열판 전력 제어부 718: 팬 제어부 719: 핸들 표시부
75: 열공급부 751: 열공급바디 752: 가열판
753: 노즐 755: 연결바디 757: 체결바디
758: 제2유로 759: 제2전력선 77: 커넥터
771: 커넥터 바디 773: 유로연결부 775: 전력선 연결부
100: clothes treatment device 1: cabinet 11: first housing
111: inlet 112: outlet 113: door
116: slot 117: fixed receiving groove 118: support receiving groove
119: bar receiving groove 12: second housing 13: wheel
14: fixed part 141: first fixed body 142: second fixed body
15: fixed body control unit 16: steam generator 161: storage unit
162: inlet 163: outlet 165: valve
167: heater 169: water level detection unit 18: water supply tank
181: tank body 182: drain valve 187: valve operating part
188: water supply pipe 19: cabinet power line 3: first support
31: support body 311: receiving part 312: fan
317: stopper 33: angle adjustment unit 331: adjustment unit body
332: rotation shaft 35: position fixing part 351: bar
353: bar rotation shaft 37: seating portion
5: utility unit 51: body 514: display
515: support bar receiving groove 516: board receiving groove 52: body withdrawal part
521: rack 523: pinion 54: hanger support
541: support bar 543: ring receiving part 55: lamp
57: second support 571: first board 573: second board
575: first axis 577: second axis 59: connector first fixing part
591: power line fastening unit 593: flow path fastening unit 595: connector
7: processing unit 71: steam supply unit 711: steam supply body
712: handle 712a: connector second fixing part 713: first flow path
714: flow valve 715: first power line 716: valve control unit
717: heating plate power control unit 718: fan control unit 719: handle display unit
75: heat supply unit 751: heat supply body 752: heating plate
753: nozzle 755: connecting body 757: fastening body
758: second euro 759: second power line 77: connector
771: connector body 773: flow path connection part 775: power line connection part

Claims (16)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하우징에 연통하는 인출구;
상기 캐비닛의 일면에서 상기 캐비닛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지지부;
상기 제1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며, 의류에 열과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 처리부;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2하우징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제1지지부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진 제2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바디에서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면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바디에 고정된 제1보드; 및 상기 제1지지부의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보드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의류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2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n outlet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housing;
a first support part provided to be rotatable from one surface of the cabinet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cabinet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 processing unit withdrawable from the first housing and provided to supply at least one of heat and moisture to clothes;
a body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outlet; and
It is provided on the body and is located above the first support part,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but a second support part having an area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support part;
a first board fixed to the body so that the second support part is rotatable from the body toward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art; and a second board that is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board so as to be rotatable in a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support part is provided to be withdrawable from the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제1지지부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2지지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드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board receiving part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a surface fac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upport part is located among the space provided by the body is provided as a recessed groove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second support part is accommodated.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어 옷걸이의 고리가 지지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옷걸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lothes hanger support part that is provided to be drawn out from the body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hook of the hanger is suppo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옷걸이 지지부는 상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된 홈 또는 상기 지지바의 표면에서 돌출된 돌기로 구비되어 상기 옷걸이의 고리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리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anger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support bar provided to be withdrawn from the body; and a ring accommodating part provided with a groov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is concavely bent or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bar to provide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hook of the clothes hanger. .
제3항에 있어서,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구비하여,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스팀발생기;
상기 바디에 구비된 유로체결부;
상기 유로체결부와 상기 저장부를 연결하는 연결관; 및
일단은 상기 처리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로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처리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steam generator provided in the first housing, including a storage unit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a heater heating the water in the storage unit;
a flow path fastening unit provided on the body;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flow path fastening part and the storage part; and
and a connec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reatment unit and the other end being detachably fixed to the flow path fastening unit to supply steam to the treatment uni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전력이 공급되면 열을 발산하는 가열판이 바닥면에 구비된 열공급바디;
상기 열공급바디에 고정된 핸들;
상기 핸들을 상기 열공급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연결부;
상기 핸들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이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제1유로; 및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연통홀과 상기 가열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스팀배출구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제1유로에 연결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rocessing unit
a heat supply body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a heating plate that emits heat when power is supplied;
a handle fixed to the heat supply body;
a connection part for removably fixing the handle to the heat supply body;
a first flow path provided on the handle and providing a flow path through which steam supplied through the connector moves; and
a second flow path provided to connect the communication hole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team outle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heating plate, and connected to the first flow path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전원에 연결된 캐비닛 전력선;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전원에 연결된 전력선 체결부;
상기 커넥터에 구비되어 상기 전력선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전력선 연결부;
상기 전력선 연결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핸들의 일단에 구비된 제1단자 및 제2단자에 공급하는 제1전력선;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며, 상기 핸들이 상기 열공급바디에 고정되면 상기 제1단자와 상기 제2단자에 각각 접촉하는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 및
상기 제1연결단자 및 상기 제2연결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가열판에 공급하는 제2전력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cabinet power line provided in the cabinet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power line connection unit provided on the body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power line connection unit provided in the connector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ower line connection unit;
a first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supplied to the power line connection unit to first and second terminals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a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a second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connection part and respectively contacting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when the handle is fixed to the heat supply body; and
and a second power line for supplying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to the heating pla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커넥터의 일단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넥터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선 연결부 및 상기 유로체결부는 상기 커넥터 고정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connector fixing part provided on the body to provide a space in which one end of the connector is detachably fixed;
and the power line connection part and the flow path fastening part are provided in the connector fixing par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히터와 상기 캐비닛 전력선을 연결하는 회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power controller provided on the body and configured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a circuit connecting the heater and the cabinet power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부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unit; and
and a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body to display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부에 빛을 방출하는 램프; 및
상기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램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램프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lamp provided on the body to emit light to the first support; and
and a lamp controller provided on the body to control an operation of the lamp.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를 개폐하도록 구비된 유로밸브;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유로밸브를 작동시키는 밸브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low path valve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first flow path; and
and a valv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handle to operate the flow path valv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제1전력선의 개폐를 제어하는 가열판 전력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heating plate power controller provided on the handle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first power lin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구비된 수위감지부;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부가 감지한 정보를 표시하는 핸들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water level sensing unit provided to sense the water level inside the storage unit; and
and a handle display unit provided on the handle to display information sensed by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가 제공하는 공간 중 의류가 지지되는 면에 구비된 제1관통홀;
상기 제1지지부에 구비된 제2관통홀;
공기를 상기 제1관통홀에서 상기 제2관통홀로 이동시키는 팬; 및
상기 핸들에 구비되어 상기 팬의 작동, 상기 팬의 회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도록 구비된 팬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first through hole provided in a surface on which clothes are supported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first support unit;
a second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first support part;
a fan for moving air from the first through hole to the second through hole; and
and a fan controller provided on the handle to control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of the fan and a rotation speed of the fan.
KR1020200014961A 2020-02-07 2020-02-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100955A (en)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61A KR20210100955A (en) 2020-02-07 2020-02-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N202410298189.0A CN118065119A (en) 2020-02-07 2021-01-29 Clothes treating apparatus
PCT/KR2021/001185 WO2021157961A1 (en) 2020-02-07 2021-01-29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US17/798,221 US20230118347A1 (en) 2020-02-07 2021-01-29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N202410298181.4A CN118065118A (en) 2020-02-07 2021-01-29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21750953.8A EP4101972A4 (en) 2020-02-07 2021-01-29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N202180013007.5A CN115053030B (en) 2020-02-07 2021-01-29 Clothes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61A KR20210100955A (en) 2020-02-07 2020-02-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55A true KR20210100955A (en) 2021-08-18

Family

ID=7746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61A KR20210100955A (en) 2020-02-07 2020-02-07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0095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8753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948582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EP3428335B1 (en)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KR101208532B1 (en) laundry dryer
KR20080056833A (en) Steam laundry dryer
KR20170002879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080062616A (en) Method for controlling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120022364A (en) Laundry machine
KR100845843B1 (en) Refresher
KR10265998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10100955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17000288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30118347A1 (en)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KR20100094678A (en) Complex washing machine
KR20210100956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20210100957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0808172B1 (en) Refresher
KR100808173B1 (en) Refresher
KR20060095406A (en) Washing machine
KR100845844B1 (en) Refresher
KR100880633B1 (en) Refresher
KR10213849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57860B1 (en) Iron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583512B1 (en) Clothing processing equipment
KR100891659B1 (en) Refre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