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9080A -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 Google Patents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9080A
KR20210099080A KR1020217020584A KR20217020584A KR20210099080A KR 20210099080 A KR20210099080 A KR 20210099080A KR 1020217020584 A KR1020217020584 A KR 1020217020584A KR 20217020584 A KR20217020584 A KR 20217020584A KR 20210099080 A KR20210099080 A KR 20210099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hinge axis
platen member
feature
alig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0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3253B1 (ko
Inventor
아주르 아자파직
다니엘 마르텔
Original Assignee
쿨린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쿨린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쿨린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99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28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with linear peristaltic action, i.e. comprising at least three pressurising members or a helical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5/00Feeding-tubes for therapeutic purposes
    • A61J15/0026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feeding-tubes
    • A61J15/0076Feed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2Pressure infusion, e.g. using pumps
    • A61M5/14212Pumping with an aspiration and an expulsion action
    • A61M5/14232Roller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0009Speci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23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the actuating elements, e.g. rollers, moving in a straight line during squ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3/00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 F04B43/12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 F04B43/1238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using only one roller as the squeezing element, the roller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 F04B43/1246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having flexible working members having peristaltic action using only one roller as the squeezing element, the roller moving on an arc of a circle during squeezing the roller being placed at the outside of the tubular flexi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5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23/00 or F04B39/00 - F04B47/00
    • F04B53/16Casings; Cylinders; Cylinder liners o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9/00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 F04B9/0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 F04B9/04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 F04B9/042Piston machines or pumps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or driven means to or from their working members the means being mechanical the means being cams, eccentrics or pin-and-slot mechanisms the means being c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5Patient controlled analgesia [P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44Measuring or controlling pressure at the body treatment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주입 펌프의 펌핑 메커니즘에 대향하여 위치 가능한 압반 조립체는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펌프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압반 부재, 및 제1 경첩 축과 상이한 제2 경첩 축을 중심으로 피벗되도록 제1 압반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압반 부재를 포함한다. 압반 조립체가 펌프 동작 위치에 있을 때, 압반 부재들의 각각의 압반 표면은 단일 표면 프로파일, 예를 들어 곡선형 연동 펌프의 경우에 궁형 표면 프로파일을 따른다. 압반 조립체는, 펌프 상의 상응하는 정렬 특징부와 교합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정렬 대응-특징부를 포함하는 손상-방지적 설계를 가질 수 있고, 압반 조립체는 또한, 압반 조립체의 결과적인 변형이 안전한 펌핑을 위한 허용 가능한 공차 내에 있는 경우에만, 펌프가 낙하되거나 손상된 후에도 여전히 폐쇄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본 발명은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밍 가능 주입 펌프가, 장내 공급을 위한 액체 식품 및 통증 관리와 같은 다양한 목적을 위한 약물의 제어된 전달을 수행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일반적인 배열에서, 주입 펌프는, 주입 펌프의 펌핑 메커니즘이 결합되도록 설계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배관 세그먼트를 갖는 가요성 배관을 포함하는 일회용 투여 세트를 수용한다. 예를 들어, 펌핑 메커니즘은, 연동 방식으로 배관 세그먼트를 국소적으로 변형시켜 액체를 배관을 통해서 환자를 향해서 강제하기 위해서 배관 세그먼트에 대항하여(against)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복수의 핑거(finger)를 포함할 수 있다. 펌핑 중에, 주입 펌프의 압반 부재는 펌핑 메커니즘에 대향되는 배관 세그먼트의 측면 상의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되고, 그에 따라 배관 세그먼트를 따라서 압반 표면을 제공하여 배관 세그먼트를 펌핑 메커니즘의 압력에 대항하여 제 위치에서 유지한다. 종래 기술의 주입 펌프에서, 펌프의 압반 부재는 펌프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1-단편 부재이고, 그에 의해서 압반 부재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경첩 축을 중심으로 피벗될 수 있다. 개방 위치에서, 압반 부재는 펌프 본체로부터 멀리 피벗되고, 그에 따라, 배관 세그먼트가 펌핑 메커니즘에 인접한 상태로, 투여 세트가 주입 펌프 내로 적재될 수 있게 한다. 폐쇄 위치에서, 압반 부재는 펌프 본체를 향해서 피벗되고 펌프 본체에 대해서 걸쇠 잠금되거나 록킹되고, 그에 따라 압반 표면은 배관 세그먼트에 인접한 그리고 펌핑 메커니즘에 대향되는 동작 위치에서 유지된다. 전술한 배열의 예가 Moubayed 등의 미국 특허 제6,164,921호에 개시되어 있다.
주입 펌프가 손상되고 그러한 손상이 펌핑 성능 및 환자 안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주입 펌프, 특히 매일 사용하기 위해서 환자에 수반되도록 설계된 소위 "외래(ambulatory)" 주입 펌프가 때때로 낙하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반 부재가 변형될 수 있다. 변형 범위에 따라, 검출될 수 없는 자유 유동 및/또는 제어되지 않은 또는 정확하지 않은 유체 유동이 발생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환자가 처방된 양에 비해서 너무 많거나 너무 적은 주입 액체를 수용할 수 있는 안전 위험이 생성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주입 펌프는 어떠한 방식으로도 압반 손상을 검출하고 평가하지 않거나, 손상이 주입 펌프의 사용을 안전하지 않게 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판정을 하지 않는다.
본 개시 내용은 주입 펌프를 위한 내-손상적인(damage-resistant) 그리고 손상-방지적인 압반 조립체를 제공한다. 압반 조립체는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펌프 본체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주입 펌프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압반 부재, 및 제2 경첩 축을 중심으로 제1 압반 부재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제1 압반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압반 부재를 포함한다. 압반 조립체는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로 그리고 폐쇄 위치로 피벗될 수 있고, 개방 위치에서 제2 압반 부재 및 제1 압반 부재가 펌프 본체 내의 펌핑 메커니즘으로부터 멀리 배치되고, 폐쇄 위치에서 제2 압반 부재 및 제1 압반 부재는 펌프의 동작을 위해서 펌핑 메커니즘에 대향되게 그리고 그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제1 압반 부재는 제1 경첩 축과 제2 경첩 축 사이에서 굽힘부 또는 곡선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제1 압반 부재를 통한 제2 경첩 축으로부터 제1 경첩 축으로의 적재 경로(load path)가 비-선형적이고, 그에 의해서 펌프가 낙하되는 경우에 압반 조립체의 손상을 저지하기 위해서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모멘트를 생성한다.
압반 조립체는, 펌프 상의 상응하는 정렬 특징부와 교합(mate)되도록 배열된 복수의 정렬 대응-특징부를 포함하는 손상-방지적 설계를 가질 수 있고, 압반 조립체는 또한, 압반 조립체의 결과적인 변형이 안전한 펌핑을 위한 허용 가능한 공차 내에 있는 경우에만, 펌프가 낙하되거나 손상된 후에도 여전히 폐쇄될 수 있다.
제1 압반 부재는 제1 압반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압반 부재는 제2 압반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압반 표면 및 제2 압반 표면은, 압반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주입 펌프에 의해서 수용되는 투여 세트의 배관과 결합된다. 압반 조립체의 폐쇄 위치에서, 제1 및 제2 압반 표면은 단일 표면 프로파일, 예를 들어 곡선형 연동 펌프의 경우에 궁형 표면 프로파일을 따를 수 있다.
제1 압반 부재는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제1 압반 부재를 펌프 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 부분, 및 장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지부(branch)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분은 제1 경첩 축의 방향으로 분지부보다 더 두꺼울 수 있고, 분지부는 장착 부분의 대향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투여 세트의 배관은, 제1 압반 부재 바로 전방의 간극 또는 개구부를 통해서 또는 제1 압반 부재 바로 후방의 간극 또는 개구부를 통해서 펌프에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작의 본질 및 모드가 이제 첨부 도면과 함께 취해진 본 발명의 이하의 구체적인 설명에서 보다 완전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주입 펌프의 압반 조립체가 그 개방 위치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주입 펌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압반 조립체가 그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고 투여 세트가 주입 펌프 내에 적재된, 주입 펌프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서 부분적으로 절취된, 도 1에 도시된 주입 펌프의 정면도이다.
도 3a는, 압반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서 도시되고 투여 세트가 주입 펌프 내에 적재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입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3b는, 적재된 투여 세트의 대안적인 배열이 도시된, 도 3a의 주입 펌프와 유사한 주입 펌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압반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주입 펌프의 전자 회로소자의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는 개시된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주입 펌프(10)를 도시한다. 도 1에서 주입 펌프(10)만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 도 2에서 주입 펌프(10)는 펌프 내에 적재된 일회용 투여 세트(12)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투여 세트(12)는 주입 펌프(10)에 의해서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설계된다. 투여 세트(12)는 주입 액체의 유동을 공급원 저장용기(미도시)로부터 환자(미도시)에게 이송하기 위해서 펌프(10)가 위에 작용하는 가요성 배관을 포함한다.
주입 펌프(10)는 펌핑 메커니즘(16)을 포함하는 펌프 본체(14)를 포함한다. 펌프(10)는 또한 압반 조립체(18)를 포함하고, 압반 조립체는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펌프 본체(14)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펌프 본체(14)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압반 부재(20), 및 제2 경첩 축(HA2)을 중심으로 제1 압반 부재(20)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제1 압반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압반 부재(22)를 포함한다. 제1 경첩 축(HA1) 및 제2 경첩 축(HA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반 조립체(18)는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로 피벗될 수 있고, 개방 위치에서 제2 압반 부재(22) 및 제1 압반 부재(20)는 펌핑 메커니즘(16)으로부터 멀리 배치된다. 압반 조립체(18)가 도 1에 도시된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펌핑 메커니즘(16)이 노출되고, 그에 의해서, 투여 세트의 배관 세그먼트(12A)가 펌핑 메커니즘(16)에 인접하도록, 일회용 투여 세트(12)가 주입 펌프(10) 내로 적재될 수 있다. 도 2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반 조립체(18)는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로 피벗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제2 압반 부재(22) 및 제1 압반 부재(20)는 대향되어 그리고 펌핑 메커니즘(16)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펌핑 메커니즘(16)은 복수의 연장 가능 및 후퇴 가능 펌핑 핑거(24)를 가지는 연동 펌핑 메커니즘일 수 있고, 펌핑 핑거들은 순차적인 연동 방식으로 구동되어 배관 세그먼트(12A)와 결합되고 일시적으로 변형시키며, 그에 따라 액체가 투여 세트(12)의 배관을 통해서 환자의 방향으로 펌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펌핑 메커니즘(16)은 곡선형 구성을 가지고, 펌핑 핑거(24)는 모터-구동형 편심 캠(26)의 회전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펌핑 메커니즘(16)은 다른 형태, 예를 들어 회전 샤프트에 장착된 각각의 캠에 의해서 이동되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핑거들을 가지는 선형 연동 펌핑 메커니즘, 또는 회전자 상의 펌핑 요소의 결합을 위해서 배관 세그먼트(12A)가 주위에 부분적으로 권취되는 모터-구동형 회전자를 가지는 회전 펌핑 메커니즘을 취할 수 있다.
이제, 도 1 및 도 2에 더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압반 조립체(18)를 더 설명할 것이다.
제1 압반 부재(20)는 제1 경첩 축(HA1)과 제2 경첩 축(HA2) 사이에서 굽힘부 또는 곡선부(28)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제2 경첩 축(HA2)과 제1 경첩 축(HA1) 사이의 직선형 적재 경로가 방지된다. 제1 압반 부재(20)의 그러한 구성이 유리한데, 이는, 펌프(10)가 낙하되는 경우에 제2 압반 부재(22)에 가해지는 충격력이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를 초래하여 압반 부재(20, 22)의 손상을 저지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제1 압반 부재(20)는 굽힘부 또는 곡선부(28)와 제2 경첩 축(HA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제1 압반 표면(30)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압반 표면(30)은 압반 조립체(18)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투여 세트(12)의 배관 세그먼트(12A)와 결합된다. 제1 압반 부재(20)는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제1 압반 부재(20)를 펌프 본체(14)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 부분(32), 및 장착 부분(32)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지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 부분(32)은 제1 경첩 축(HA1)의 방향으로 분지부(33)보다 두꺼울 수 있고, 분지부(33)는 장착 부분(32)의 대향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투여 세트(12)의 배관이 펌프(10)에 진입하기 위한 분지부(33) 전방의 전방 개구부(34F) 및 분지부(33) 후방의 후방 개구부(34R) 모두를 제공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배관이 도 3a에 도시된 전방 개구부(34F)를 통해서 또는 도 3b에 도시된 후방 개구부(34R)를 통해서 연장되도록, 배관을 적재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러한 배열의 모두가 의도되고 올바른 것이기 때문이다. 분지부(33)가 장착 부분(32)의 대향되는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서 중앙에 위치되어, 2개의 동일한 개구부(34F 및 34R)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압반 부재(20)는 제2 압반 부재(22)의 회전 가능한 커플링을 위해서 구성된 원위 단부(38)를 가질 수 있다.
제2 압반 부재(22)는, 압반 조립체(18)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제2 압반 부재(22) 상에 제공된 제2 압반 표면(40)이 배관 세그먼트(12A)와 결합되도록, 펌핑 메커니즘(16)의 펌핑 핑거(24) 위에서 연장되는 배열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압반 부재(22)는 제1 압반 부재(20)의 원위 단부(38)를 수용하기 위한 크레비스(clevis)-형상의 단부(4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압반 조립체(18)는 펌프 본체(14) 상에 제공된 복수의 정렬 특징부(15, 17)와 각각 교합되는 복수의 정렬 대응-특징부(42, 44)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예를 들어 펌프(10)가 우발적으로 낙하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반 조립체(18)가 미리 결정된 공차 한계를 넘어서 변형된 경우에, 폐쇄 위치로의 압반 조립체(18)의 이동이 방지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정렬 대응-특징부(42, 44)는 제2 압반 부재(22) 상에 제공된다. 제1 정렬 대응-특징부(42)는 제2 압반 표면(40)의 근위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고, 제2 정렬 대응-특징부(44)는 제2 압반 표면(40)의 대향되는 원위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제1 정렬 특징부(15)와 제1 정렬 대응-특징부(42)의 교합, 및 제2 정렬 특징부(17)와 제2 정렬 대응-특징부(44)의 교합은, 압반 조립체(18)가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그 폐쇄 위치로 피벗될 때 발생된다. 다수의 정렬 특징부(15, 17)를 펌프 본체(14) 상에 제공하고 상응하는 대응-특징부(42, 44)를 제2 압반 부재(22) 상에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 그리고 정렬 특징부 및 상응하는 정렬 대응-특징부를 제2 압반 표면(40)의 각각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배관 세그먼트(12A)에 대한 제2 압반 표면(40)의 임계-안전 배치가 압반 조립체(18)의 폐쇄 시에 확인된다. 도면에 따라, 정렬 특징부(15, 17)는 핀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정렬 대응-특징부(42, 44)는 슬롯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렬 특징부(15, 17)가 슬롯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정렬 대응-특징부(42, 44)가 핀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정렬 특징부(15, 17)가 적어도 하나의 핀 및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할 수 있고 대응-특징부(42, 44)가 적어도 하나의 슬롯 및 적어도 하나의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반 부재(20)가 펌프 본체(14)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게 하는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압반 부재(20)는, 펌프 본체(14)에 장착되고 제1 압반 부재(20)의 장착 부분(32) 내에 제공된 원통형 부싱(48)을 통해서 연장되도록 배열되는 피벗 핀(46)에 의해서, 펌프 본체(14)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압반 부재(22)가 제1 압반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게 할 수 있는 방식이 변경된다. 예로서, 피벗 핀(50)이 제2 압반 부재(22)의 크레비스-형상의 단부(42)에 제공되고 제1 압반 부재(20)의 교합 원위 단부(38) 내의 홀(52)을 통해서 연장되도록 배열된다. 물론, 제1 압반 부재(20)를 펌프 본체(14)에, 그리고 제2 압반 부재(22)를 제1 압반 부재(20)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시키기 위한 다른 배열이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펌핑 메커니즘(16)은 곡선형 구성을 가질 수 있고, 펌핑 핑거(24)가 전반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 압반 부재(20)와 연관된 제1 압반 표면(30) 및 제2 압반 부재(22)와 연관된 제2 압반 표면(40)은, 도 2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압반 조립체(18)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단일 궁형 프로파일을 따르도록 구성된 궁형 압반 표면일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제2 압반 표면(40)은 모든 펌핑 핑거(24)에 대향될 수 있고, 제1 압반 표면(3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상류 압력 센서에 대향될 수 있다. 또한, 펌핑 핑거(24)의 일부가 제1 압반 표면(30)에 대향되도록, 압반 조립체(18)를 재구성할 수 있다.
주입 펌프(10)는, 펌핑 메커니즘(16)의 상류 및 하류 각각의 위치에서 투여 세트(12)의 배관 세그먼트(12A) 내의 유체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된, 상류 압력 센서(54) 및 하류 압력 센서(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류 압력 센서(54)는 제1 압반 표면(30)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유체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고, 하류 압력 센서(56)는 제2 압반 표면(40)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유체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제1 압반 부재(20)가 허용 가능한 공차를 넘어서 변형된 경우에 상류 압력 센서(54)를 이용하여 압력 변동을 검출할 수 있다는, 그리고 제2 압반 부재(22)가 허용 가능한 공차를 넘어서 변형된 경우에 하류 압력 센서(56)를 이용하여 압력 변동을 독립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예로서, 압력 센서(54, 56)의 각각은 배관 세그먼트(12A)의 외부 표면과 결합되도록 배열된 일 단부 및 스트레인 빔 변환기(strain beam transducer)와 결합되도록 배열된 대향 단부를 가지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고, 유체 압력 변화로 인한 배관 세그먼트의 팽창 및 수축이 스트레인 빔 변환기에 전달되어, 플런저가 배관 세그먼트와 접촉되는 위치에서의 유체 압력을 나타내는 상응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투여 세트(12)가 펌프 내에 적재된 후에 펌핑 동작을 위해서 압반 조립체(18)를 그 폐쇄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해서, 압반 조립체(18)는 펌프 본체(14) 상의 걸쇠 잠금 특징부(58)와 결합하기 위한 걸쇠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걸쇠 부재(60)는 피벗 핀(62)에 의해서 제2 압반 부재(22)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피벗 핀(62)은 제2 압반 부재(22)를 통해서 횡방향으로 진행되는 약간 세장화된(elongated) 통로(64)를 통해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고, 스프링(66)이 배열되어 피벗 핀(62)을 통로(64)의 상부 단부를 향해서 편향시킬 수 있다. 걸쇠 부재(60)는 걸쇠 대응-특징부(68)를 구비할 수 있고, 그러한 걸쇠 대응-특징부는, 압반 조립체(18)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리고 걸쇠 부재(60)가 도 1 및 도 2에서 볼 때 시계 방향으로 피벗될 때, 걸쇠 잠금 대응-특징부(68)가 캠-유사 방식으로 걸쇠 잠금 특징부(58)와 결합되어 제2 압반 부재(22)의 단부를 스프링(66)의 편향에 대항하여 걸쇠 부재(60)에 대해서 하향으로, 걸쇠 잠금 특징부(58)가 걸쇠 잠금 대응-특징부(68)의 내부 단부 영역에 수용될 때까지, 점진적으로 당기도록, 배열 및 구성되고, 걸쇠 잠금 특징부가 걸쇠 잠금 대응-특징부의 내부 단부 영역에 수용되는 지점에서, 제2 압반 부재(22)는 스프링(66)에 의해서 걸쇠 부재(60)에 대해서 상향 방향으로 강제되고, 그에 따라 스프링-편향 방식으로 걸쇠 잠금 특징부(58)와 걸쇠 잠금 대응-특징부(68)의 결합을 확실하게 유지하며, 그에 의해서 압반 조립체(18)를 펌핑 메커니즘(16)에 대향되는 그 적절한 정적 위치에서 록킹한다. 걸쇠 부재(60)는, 펌프 본체(14) 내에 또는 상에 수용되는 걸쇠 센서(72)(도 5 참조)에 의해서 검출될 수 있는 자석(70)을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압반 조립체(18)가 적절하게 걸쇠 잠금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걸쇠 잠금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쇠 센서(72)가 홀 효과 센서(Hall effect sensor)일 수 있다.
압반 조립체(18)가 적절히 폐쇄되고 걸쇠 잠금될 때, 제2 압반 부재(22)의 제2 압반 표면(40)이 펌핑 핑거(24)와 상호 작용하여 배관 세그먼트(12A)를 통한 유체의 연동 펌핑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압반 표면(40)을 포함하는 제2 압반 부재(22)가 특정의 정적 위치에 위치되고 록킹되어, 유체의 제어되고 정확한 전달을 보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압반 표면(40)은 펌핑 핑거(24) 주위에서 곡선화될 수 있고, 배관 세그먼트(12A)는 제2 압반 표면(40)과 펌핑 핑거(2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압반 조립체(18)의 손상 또는 변형이, 유체의 제어되고 정확한 전달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허용 가능한 공차 이내인 한, 압반 조립체(18)가 손상되거나 변형된 경우에도, 정렬 특징부(15, 17) 및 정렬 대응-특징부(42, 44)가 교합되도록 구성 및 배열될 수 있다. 압반 조립체(18)가 허용 가능한 공차를 넘어서 손상 또는 변형된 경우에, 정렬 특징부(15, 17)는 정렬 대응-특징부(42, 44)와 적절하게 교합되지 않을 것이고 펌프(10)가 디스에이블링되어(disabled) 사용자가 펌프를 안전하지 않은 조건에서 이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 압반 부재(20)는, 펌프(10)가 낙하되는 경우에 충격 에너지를 흡수 및/또는 전환하도록, 그에 의해서 제2 압반 부재(22)의 구조적 무결성을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배열된다. 충격 에너지가 제2 경첩 축(HA2)에서의 커플링을 통해서 제2 압반 부재(22)로부터 제1 압반 부재(20)까지 전달될 수 있으나, 충격 에너지의 일부가 전환되어 제2 경첩 축(HA2)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압반 부재(20)와 제2 압반 부재(22) 사이의 회전 변위, 그리고 제1 경첩 축(HA1)을 중심으로 하는 제1 압반 부재(20)와 펌프 본체(14) 사이의 회전 변위를 유발할 것이다. 회전 변위를 유발하도록 전환되지 않은 충격 에너지는 변형을 통해서 제1 압반 부재(20)에 의해서 흡수될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충격시의 압축력으로부터 초래되는 제1 압반 부재(20)의 회전 변위 및/또는 변형은 피벗 핀들(46 및 50)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는 결과만을 초래할 수 있다(그에 따라 이러한 거리를 더 길게 만들기 위해서는, 낙하되는 펌프(10)로부터 가능하지 않은 큰 인장 응력을 인가할 필요가 있다). 낙하 펌프(10)로 인한 제2 압반 부재(22)의 위치의 임의의 변화는, 펌핑 메커니즘(16)으로부터 멀어지는 상향 성분 대신, 펌핑 메커니즘(16)을 향하는 하향 성분을 항상 가질 것이다. 펌핑 메커니즘(16)으로부터 멀어지는 제2 압반 부재(22) 및 제2 압반 표면(40)의 상향 변위가 위험한 자유-유동 조건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개시된 압반 조립체(18)는 펌프(10) 낙하와 연관된 안전 위험을 줄인다.
이제 도 5를 참조한다.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에서, 상류 압력 센서(54), 하류 압력 센서(56) 및 걸쇠 센서(72)에 의해서 생성된 신호가, 펌핑 메커니즘(16)의 구동 모터(82)를 제어하는 펌프 제어기(80)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신호는, 상류 압력 센서(54)로부터의 상류 압력 신호가 예상되는 바와 같은 미리 결정된 한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하류 압력 센서(56)로부터의 하류 압력 신호가 예상되는 바와 같은 미리 결정된 한계 내에 있지 않은 경우에, 또는 압반 조립체(18)가 적절하게 걸쇠 잠금되지 않았다는 것을 걸쇠 센서(72)로부터의 걸쇠 잠금 신호가 나타내는 경우에, 펌핑 메커니즘(16)의 모터(82)를 디스에이블링시키고 그에 의해서 펌프 동작을 방지하도록 펌프 제어기(80)와 연관된 메모리 내로 프로그래밍된 제어 로직에 의해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0)가 낙하된 후에 압반 조립체(18)가 여전히 물리적으로 걸쇠 잠금될 수 있으나, 펌핑 메커니즘(16)에 대한 제1 압반 표면(30) 및/또는 제2 압반 표면(40)의 위치를 방해하는 그리고 압력이 변동되게 하는 소정 변형이 압반 조립체 내에 있는 경우에, 이러한 조건은 펌핑 전에 감지될 수 있고, 교정 작용이 취해질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범위를 기술된 특정 형태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의 그러한 대안예, 수정예 및 균등물을, 청구항의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것과 같이,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5)

  1. 주입 펌프이며:
    펌핑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펌프 본체;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상기 펌프 본체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상기 펌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압반 부재, 및 제2 경첩 축을 중심으로 제1 압반 부재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제1 압반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압반 부재를 포함하는 압반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압반 조립체는 상기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개방 위치로 피벗될 수 있고, 개방 위치에서 상기 제2 압반 부재 및 상기 제1 압반 부재가 상기 펌핑 메커니즘으로부터 멀리 배치되고;
    상기 압반 조립체는 상기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폐쇄 위치로 피벗될 수 있고, 폐쇄 위치에서 상기 제2 압반 부재 및 상기 제1 압반 부재는 상기 펌핑 메커니즘에 대향되게 그리고 그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주입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반 부재는 상기 제1 경첩 축과 상기 제2 경첩 축 사이에서 굽힘부 또는 곡선부를 포함하는, 주입 펌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본체는 제1 정렬 특징부 및 제2 정렬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압반 조립체는 제1 정렬 대응-특징부 및 제2 정렬 대응-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제2 정렬 특징부의 각각은, 상기 압반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정렬 대응-특징부 및 상기 제2 정렬 대응-특징부와 교합되는, 주입 펌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특징부 및 상기 제2 정렬 대응-특징부가 상기 제2 압반 부재에 포함되는, 주입 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압반 부재는 압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렬 대응-특징부 및 상기 제2 정렬 대응-특징부의 각각이 상기 압반 표면의 대향 단부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주입 펌프.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특징부가 제1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렬 대응-특징부는 제1 슬롯을 포함하는, 주입 펌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 특징부가 제2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렬 대응-특징부는 제2 슬롯을 포함하는, 주입 펌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반 부재는 상기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위해서 상기 제1 압반 부재를 상기 펌프 본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구성된 장착 부분, 및 상기 장착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분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 부분은 상기 제1 경첩 축의 방향으로 상기 분지부보다 더 두껍고, 상기 분지부는 상기 장착 부분의 대향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 그리고 그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는, 주입 펌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부는 상기 장착 부분의 대향되는 축방향 단부들 사이에서 중앙에 위치되는, 주입 펌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반 부재는 제1 압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반 부재는 제2 압반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압반 표면 및 상기 제2 압반 표면은, 상기 압반 조립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주입 펌프에 의해서 수용되는 투여 세트의 배관과 결합되는, 주입 펌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반 표면이 제1 궁형 압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반 표면이 제2 궁형 압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궁형 압반 표면 및 상기 제2 궁형 압반 표면은, 상기 압반 조립체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나의 궁형 프로파일을 따르는, 주입 펌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류 압력 센서 및 하류 압력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류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압반 표면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주입 펌프에 의해서 수용되는 투여 세트의 배관 내의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하류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압반 표면에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 투여 세트의 배관 내의 압력을 검출하도록 배열되는, 주입 펌프.
  13. 주입 펌프용 압반 조립체이며:
    제1 압반 표면을 가지는 제1 압반 부재로서, 제1 경첩 축을 중심으로 상기 주입 펌프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상기 주입 펌프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1 압반 부재; 및
    제2 압반 표면을 가지는 제2 압반 부재로서, 상기 제1 경첩 축과 상이한 제2 경첩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압반 부재에 대해서 피벗되도록 상기 제1 압반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제2 압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압반 부재는 펌프 동작 위치로 상기 제1 압반 부재에 대해서 피벗될 수 있고, 펌프 동작 위치에서 상기 제1 압반 표면 및 상기 제2 압반 표면은 단일 표면 프로파일을 따르는, 압반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표면 프로파일이 궁형 표면 프로파일인, 압반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반 부재를 통한 상기 제2 경첩 축으로부터 상기 제1 경첩 축까지의 적재 경로가 비-선형이 되도록, 상기 제1 압반 부재가 구성되는, 압반 조립체.
KR1020217020584A 2018-12-06 2019-08-30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KR1026232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211,536 US11147913B2 (en) 2018-12-06 2018-12-06 Platen for peristaltic infusion pump
US16/211,536 2018-12-06
PCT/US2019/048947 WO2020117339A1 (en) 2018-12-06 2019-08-30 Platen for peristaltic infusion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080A true KR20210099080A (ko) 2021-08-11
KR102623253B1 KR102623253B1 (ko) 2024-01-11

Family

ID=7097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0584A KR102623253B1 (ko) 2018-12-06 2019-08-30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147913B2 (ko)
EP (1) EP3890819A4 (ko)
JP (2) JP2022511507A (ko)
KR (1) KR102623253B1 (ko)
CN (1) CN113164731B (ko)
CA (1) CA3121714C (ko)
CR (1) CR20210358A (ko)
IL (1) IL283523A (ko)
MX (1) MX2021006538A (ko)
WO (1) WO202011733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921A (en) * 1998-11-09 2000-12-26 Moubayed; Ahmad Maher Curvilinear peristaltic pump having insertable tubing assembly
US20180050153A1 (en) * 2016-08-22 2018-02-22 Curlin Medical Inc. Administration set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cam profiles
KR20180050153A (ko) 2016-11-04 2018-05-14 (주)헥사시스템즈 착용형 하지 보행 재활 로봇용 발목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9693B2 (en) * 1996-03-12 2000-05-18 Curlin Medical Inc. Peristaltic pump with pinch fingers for providing complete occlusion
US5924852A (en) * 1996-03-12 1999-07-20 Moubayed; Ahmad-Maher Linear peristaltic pump
CN1218413A (zh) * 1996-03-19 1999-06-02 I-弗琉公司 压板泵(platen pump)
US5868712A (en) * 1997-06-12 1999-02-09 Abbott Laboratories Pump with door-mounted mechanism for positioning tubing in the pump housing
US6629955B2 (en) * 2001-05-04 2003-10-07 Alaris Medical Systems, Inc. Medical instrument flow stop interface
US7223079B2 (en) 2003-07-28 2007-05-29 The Coca-Cola Company Quick loading peristaltic pump
US20120257986A1 (en) * 2011-04-11 2012-10-11 Ahmad Momeni Rotary cam actuated linear peristaltic pump
US10549032B2 (en) * 2017-06-27 2020-02-04 Curlin Medical Inc. Infusion pump latch mechanism and associated free-flow prote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64921A (en) * 1998-11-09 2000-12-26 Moubayed; Ahmad Maher Curvilinear peristaltic pump having insertable tubing assembly
US20180050153A1 (en) * 2016-08-22 2018-02-22 Curlin Medical Inc. Administration set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cam profiles
KR20180050153A (ko) 2016-11-04 2018-05-14 (주)헥사시스템즈 착용형 하지 보행 재활 로봇용 발목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253B1 (ko) 2024-01-11
EP3890819A1 (en) 2021-10-13
WO2020117339A1 (en) 2020-06-11
CA3121714C (en) 2023-10-10
CN113164731B (zh) 2023-03-31
JP2022511507A (ja) 2022-01-31
EP3890819A4 (en) 2022-08-24
CR20210358A (es) 2021-07-20
MX2021006538A (es) 2021-07-07
JP2023071959A (ja) 2023-05-23
CA3121714A1 (en) 2020-06-11
IL283523A (en) 2021-07-29
CN113164731A (zh) 2021-07-23
US11147913B2 (en) 2021-10-19
US20200179593A1 (en)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24110B2 (en) Infusion pump latch mechanism and associated free-flow protection device
US11065384B2 (en) Administration set detection and authentication using CAM profiles
US20240142022A1 (en) Lever for auto insertion and secure placement of iv tubing for use in intravenous pump systems
CN112295047B (zh) 具有集成的夹紧夹封堵器的输注泵盒
KR20210099080A (ko) 연동 주입 펌프용 압반
AU2020384865B2 (en) Infusion pump apparatus having convex platen su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