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773A -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 Google Patents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773A
KR20210098773A KR1020200012739A KR20200012739A KR20210098773A KR 20210098773 A KR20210098773 A KR 20210098773A KR 1020200012739 A KR1020200012739 A KR 1020200012739A KR 20200012739 A KR20200012739 A KR 20200012739A KR 20210098773 A KR20210098773 A KR 20210098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ressure control
shaft
guide
protectio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2201B1 (ko
Inventor
이동배
Original Assignee
엠티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티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엠티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00012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20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0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composed of diaphragms or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 방호구역에 설치된 환기 장치의 덕트에 결합되는 케이싱(110);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가이드 서포트(122)와 가이드(123)로 구성되는 가이더(120); 스프링홀더(131)와 디스크 플레이트(132)와 스프링(133)으로 구성되어 가이드(123)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130); 및 슬라이더(130)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샤프트(141)와 커버 플랜지(142)와 캡(143)으로 구성되는 커버(140);를 포함하여, 캡(143)의 분리를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41)를 정역회전시켜 케이싱(110)의 전단과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의 이격거리를 가변시켜, 제품분해없이 캡(143)만을 열어 스프링(133)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생방 상황 발생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Pressure Control Valve for Regulating Positive Pressure of Protection Zone in Ship}
본 발명은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분해 없이 캡만을 열어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생방 상황 발생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선박에서, 선실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환기장치의 덕트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덕트 내부에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댐퍼를 이용하고 있으나, 특히 해군 함정의 화생방전을 대비하여 덕트를 밀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댐퍼가 밀폐성이 낮아서 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즉, 평상시, 밸브는 공기의 흐름을 완전히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화생방물질이 차단되어 선실 내부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나, 특히 화생방 상황 발생시에는, 이에 의해 발생하는 방호구역의 양압을 덕트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기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환기장치에 설치되는 압력조절밸브가 적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압력조절밸브에서, 방호구역의 환경에 따른 양압을 자동으로 배기하기 위한 설정압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품을 분해한 후 설정압력을 조절하고, 재조립 과정을 수행하여야 해서 설정압력 조절과정이 상당히 번거로운 측면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53380호 (건물 덕트용 차단장치, 2010.04.20)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9500 (밀폐형 댐퍼, 2005.07.18)
본 발명의 사상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호구역의 환경에 따른 양압을 자동으로 배기하기 위한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은 선박 방호구역에 설치된 환기 장치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전단은 방호구역 내부공간과 연통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단 내부에 형성된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의 중앙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 서포트와, 상기 가이드 서포트 상단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로 구성되는, 가이더; 상기 가이드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슬라이딩하는 스프링홀더와, 상기 스프링홀더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디스크 플레이트와,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스프링홀더에 의해 홀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더; 및 일측은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의 중심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서포트와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샤프트와, 상기 케이싱의 전단을 커버하는 커버 플랜지와, 상기 커버 플랜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샤프트를 커버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캡의 분리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샤프트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의 이격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랜지를 관통하여 고졍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볼트체결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1샤프트와, 상기 커버 플랜지의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 가이드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2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의 종단 양측면은 회전공구 삽입을 위해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샤프트의 종단에는 회전공구 삽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에 의해 승강 슬라이딩하여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하단에 접촉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볼트체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랜지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세팅 볼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하강에 따른 상기 케이싱의 전단의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의 기밀을 위한 개스킷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랜지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개스킷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개스킷을 개재하여 상기 커버 플랜지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후단 외주면에 연장 형성된 케이스 플랜지는 환기 장치의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덕트연결 플랜지와 개스킷을 개재하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의 전단 내측에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와 접촉시 상기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랜지의 외측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장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가 커버 플랜지를 기밀하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생방 상황 발생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방호구역의 환경에 따라, 슬라이더가 반응하는 설정압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품분해없이, 캡만을 열어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적용예를 예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내부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2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가이더와 슬라이더를 분리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동작을 각각 예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2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샤프트에 의한 스프링 장력 조절을 예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2의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샤프트와 캡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PCV)는, 전체적으로, 선박 방호구역에 설치된 환기 장치의 덕트에 결합되는 케이싱(110);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가이드 서포트(122)와 가이드(123)로 구성되는 가이더(120); 스프링홀더(131)와 디스크 플레이트(132)와 스프링(133)으로 구성되어 가이드(123)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하는 슬라이더(130); 및 슬라이더(130)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샤프트(141)와 커버 플랜지(142)와 캡(143)으로 구성되는 커버(140);를 포함하여, 캡(143)의 분리를 통해 노출되는 샤프트(141)를 정역회전시켜 케이싱(110)의 전단과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의 이격거리를 가변시켜, 제품분해없이 캡(143)만을 열어 스프링(133)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생방 상황 발생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우선, 케이싱(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은 선박, 예컨대 전함의 방호구역에 설치된 환기 장치의 덕트(10)에 연통되도록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전단은 방호구역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다음, 가이더(1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후단 내부에 인접하여 형성된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트라이앵글 브라켓(121)의 중앙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형성된 가이드 서포트(122)와, 가이드 서포트(122)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형성된 가이드(123)(도 6 및 도 7 참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이더(120)는 케이싱(110) 내부공간에서 슬라이더(130)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다음, 슬라이더(130)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23) 외측에 결합되어 내측의 가이드(123)에 의해 안내되어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이격되어 승강 슬라이딩하는 스프링홀더(131)와, 스프링홀더(131)의 상단에 볼트체결되어 고정 결합된 디스크 플레이트(132)와,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디스크 플레이트(132) 사이에 형성되어 디스크 플레이트(132)를 탄성지지하고 스프링홀더(131)에 의해 홀딩되는 스프링(13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평상시에는, 슬라이더(130)는 스프링(133)의 탄성에 의해 가이더(120)에 의해 안내되어 커버(140)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폐쇄하고(clsoe), 도 7을 참조하면, 예기치 못한 화생방 상황 발생시에는, 화생방 상황에 의한 방호구역의 갑작스런 압력 증가로 인해 양압이 발생하게 되면, 슬라이더(130)는 양압에 상응하는 스프링(133)의 장력만큼 커버(140)로부터 하강 슬라이딩하여 커버(140)가 개방되어(open) 양압이 배기통로인 덕트(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서, 방호구역의 양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배기통로로의 밸브역할을 수행한다.
다음, 커버(140)는,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은 트라이앵글 브라켓(121)의 중심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 서포트(122)와 디스크 플레이트(132)를 관통하여 케이싱(11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더(130)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샤프트(141)와, 케이싱(110)의 전단을 커버하는 커버 플랜지(142)와, 커버 플랜지(142)의 중앙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커버 플랜지(142)를 통해 노출된 샤프트(141)를 커버하는 캡(143)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 플랜지(142)는 케이싱(110) 내부공간과 연통되면서 중앙 상단에는 캡(143)이 결합되도록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샤프트(141)는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볼트체결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샤프트(141a)와, 커버 플랜지(142)의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 가이드(144)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2샤프트(141b)로 구성된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샤프트(141b)의 종단 양측면은 회전공구 삽입을 위해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어서, 제2샤프트(141b)의 종단 형상에 상응하는 회전공구를 삽입하여 제1샤프트(141a)를 회전시켜서, 케이싱(110)의 전단과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의 이격거리를 가변시켜, 슬라이더(130)가 커버(140)의 커버 플랜지(142)를 기밀하는 스프링(133)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생방 상황 발생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9를 참조하면, 제2샤프트(141b)의 종단에는 회전공구 삽입을 위한 관통홀(141b-1)이 형성되어서, 전용 회전공구가 아닌, 단순 봉형상의 샤프트를 관통홀(141b-1)에 삽입하여 샤프트(141)를 쉽고 간편하게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방호구역의 환경에 따라, 슬라이더(130)가 반응하는 설정압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품분해없이, 캡(143)만을 열어 샤프트(141)를 회전시켜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후단에 고정되고 트라이앵글 브라켓(121)과 케이싱(110)의 전단과 커버 플랜지(142)를 관통하여 고졍 결합되는 슬라이드바(151)를 더 포함하고, 슬라이드바(151)는 트라이앵글 브라켓(121)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정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바(151)에 의해 승강 슬라이딩하여 디스크 플레이트(132)의 하단에 접촉하는 스토퍼(152)와, 스토퍼(152)에 볼트체결되고 케이싱(110)의 전단과 커버 플랜지(142)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세팅 볼트(153)를 더 포함하여서, 양압 발생에 의한 디스크 플레이트(132)의 하강을 일정거리로 제한하여 케이싱(110)의 전단의 과도한 개방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세팅 볼트(153)의 정역회전에 의해 스토퍼(152)의 슬라이드바(151)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여 디스크 플레이트(132)의 하강 슬라이딩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트(132) 상단에는 케이싱(110)의 전단과의 기밀을 위한 개스킷(132a)이 형성되고, 케이싱(110)의 전단과 커버 플랜지(142)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개스킷(142a)이 형성될 수 있고, 케이싱(110)의 후단 외주면에 연장 형성된 케이스 플랜지(111)는 환기 장치의 덕트(10)와의 연결을 위한 덕트연결 플랜지(112)와 개스킷(112a)을 개재하여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43)은 개스킷(143a)을 개재하여 커버 플랜지(142)와 기밀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0)의 전단 내측에는 디스크 플레이트(132)와 접촉시 스프링(133)의 장력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미도시)가 형성되고, 커버 플랜지(142)의 외측에는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장력을 표시하는 표시부(154)가 형성되어서, 슬라이더(130)에 의해 커버(140)가 개방되는 양압에 상응하는 설정압력을 쉽게 식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의 구성에 의해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더가 커버 플랜지를 기밀하는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여 화생방 상황 발생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방호구역의 환경에 따라, 슬라이더가 반응하는 설정압력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품분해없이, 캡만을 열어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전함 내 방호구역의 설정압력을 쉽고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10 : 케이싱 111 : 케이스 플랜지
112 : 덕트연결 플랜지 120 : 가이더
121 : 트라이앵글 브라켓 122 : 가이드 서포트
123 : 가이드 130 : 슬라이더
131 : 스프링홀더 132 : 디스크 플레이트
133 : 스프링 140 : 커버
141 : 샤프트 142 : 커버 플랜지
143 : 캡 144 : 샤프트 가이드
151 : 슬라이드바 152 : 스토퍼
153 : 세팅 볼트 10 : 덕트

Claims (8)

  1.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후단은 선박 방호구역에 설치된 환기 장치에 연통되도록 결합되고, 전단은 방호구역 내부공간과 연통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후단 내부에 형성된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의 중앙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 서포트와, 상기 가이드 서포트 상단에 고정 형성된 가이드로 구성되는, 가이더;
    상기 가이드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 슬라이딩하는 스프링홀더와, 상기 스프링홀더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 디스크 플레이트와,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를 탄성지지하고 상기 스프링홀더에 의해 홀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더; 및
    일측은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의 중심에 볼트체결되어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가이드 서포트와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싱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샤프트와, 상기 케이싱의 전단을 커버하는 커버 플랜지와, 상기 커버 플랜지를 통해 노출된 상기 샤프트를 커버하는 캡으로 구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상기 캡의 분리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샤프트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의 이격거리를 가변시켜 상기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후단에 고정되고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랜지를 관통하여 고졍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바는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의 승강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트라이앵글 브라켓과 볼트체결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제1샤프트와, 상기 커버 플랜지의 중앙에 형성된 샤프트 가이드에 의해 정역회전하는 제2샤프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2샤프트의 종단 양측면은 회전공구 삽입을 위해 평평하게 절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샤프트의 종단에는 회전공구 삽입을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바에 의해 승강 슬라이딩하여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하단에 접촉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에 볼트체결되고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랜지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세팅 볼트를 더 포함하여,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의 하강에 따른 상기 케이싱의 전단의 개방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 상단에는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의 기밀을 위한 개스킷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전단과 상기 커버 플랜지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개스킷이 형성되고, 상기 캡은 개스킷을 개재하여 상기 커버 플랜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후단 외주면에 연장 형성된 케이스 플랜지는 환기 장치의 덕트와의 연결을 위한 덕트연결 플랜지와 개스킷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전단 내측에는 상기 디스크 플레이트와 접촉시 상기 스프링의 장력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 플랜지의 외측에는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측정된 장력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KR1020200012739A 2020-02-03 2020-02-03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KR102292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39A KR102292201B1 (ko) 2020-02-03 2020-02-03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39A KR102292201B1 (ko) 2020-02-03 2020-02-03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773A true KR20210098773A (ko) 2021-08-11
KR102292201B1 KR102292201B1 (ko) 2021-08-23

Family

ID=7731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739A KR102292201B1 (ko) 2020-02-03 2020-02-03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89Y1 (ko) * 1994-01-29 1998-12-01 이대원 실내압 자동조절장치
KR100389500B1 (ko) 2000-12-23 2003-06-25 김용학 전자개폐기
KR100953380B1 (ko) 2008-01-30 2010-04-20 (주) 인디고텍 건물 덕트용 차단장치
KR20120054698A (ko) * 2010-11-22 2012-05-31 국방과학연구소 누출량 선형제어를 위한 미압조절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789Y1 (ko) * 1994-01-29 1998-12-01 이대원 실내압 자동조절장치
KR100389500B1 (ko) 2000-12-23 2003-06-25 김용학 전자개폐기
KR100953380B1 (ko) 2008-01-30 2010-04-20 (주) 인디고텍 건물 덕트용 차단장치
KR20120054698A (ko) * 2010-11-22 2012-05-31 국방과학연구소 누출량 선형제어를 위한 미압조절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2201B1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0250A (en) Choke unit
JP6615512B2 (ja) ガス圧力調整器の応答改善用の付加チャンバ
EP2806196B1 (en) Flow regulating apparatus
EP3201500B1 (en) Flow-rate dynamic balancing control valve
EP3181960B1 (en) Balanced valve element and pressure regulating valve
KR102292201B1 (ko) 선박 방호구역의 양압조절을 위한 압력조절밸브
US4007758A (en) Respirator pressure-demand exhalation valve
US4852606A (en)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TW201510690A (zh) 氣體調節裝置
US3020925A (en) Pilot operated regulator mechanism
US6085781A (en) Valve with pivoting flap and installation equipped with the valve
CN110657268A (zh) 控制阀
JPS63259299A (ja) ガス圧力調整装置
KR102020203B1 (ko) 터보 송풍기 설치용 블로우 오프 밸브
KR101158737B1 (ko) 누출량 선형제어를 위한 미압조절밸브
US5275202A (en) Adjustable emergency relief vent with surge protection
KR101972946B1 (ko) 벤츄리 이펙트를 이용한 유량 제어 감압밸브
SE444473B (sv) Tryckfluidummatad tetning
USRE31785E (en) Breathing valve assembly with diaphragm control of the exhaust ports
JP2002157021A (ja) 減圧弁
CN205559904U (zh) 一种可调节开合力量的防火阀
KR101425013B1 (ko) 압력조절 밸브
GB2077397A (en) Vacuum regulator
CN114530668B (zh) 一种具有防水透气阻湿功能的防爆阀及实现方法
CA2397908C (en) Pilot operated relief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