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602A -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602A
KR20210098602A KR1020200012314A KR20200012314A KR20210098602A KR 20210098602 A KR20210098602 A KR 20210098602A KR 1020200012314 A KR1020200012314 A KR 1020200012314A KR 20200012314 A KR20200012314 A KR 20200012314A KR 20210098602 A KR20210098602 A KR 2021009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elongings
lost
loss
the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권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형석 filed Critical 권형석
Priority to KR1020200012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602A/ko
Publication of KR2021009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43Hash functions, e.g. MD5, SHA, HMAC or f9 M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 G06Q2220/10Usage protection of distributed data files
    • H04L2209/3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면, 각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반응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통하여 소지품 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이 블록 체인화되어 실시간으로 분실/도난신고가 가능함에 따라 관련된 기관(기업)에서 거래정지를 통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방지하고 민원 신청인 입장에서도 본인 스스로 관련 소지품을 관리하여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민원 정보를 즉시 제공하여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을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감, 편의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How to manage lost / stolen belongings using blockchain And system}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성과 효율성을 가진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이용자 스마트폰 고유식별정보 기반으로 서버에 미리 저장된 이용자 관련 소지품 정보 중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정보를 검출 후 확인된 소지품 도난/분실정보를 신속하게 관련된 기관(기업)에 정보가 제공되어 각종 소지품 거래를 차단시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생성된 정보로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를 온라인으로 발급하여 행정업무 간소화를 통한 분실자의 불편함 해소와 소지품을 돌려받을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각종 신용카드(체크카드)나 신분증은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경제수단 및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인식수단이고, 스마트폰은 중요한 연락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신분증에서도 여권은 해외여행 시 본인의 신분을 증명하는 유일한 신분증명서로서 매우 중요한 기능을 가지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분실된 여권을 제 3자가 습득하여 위·변조 등 나쁜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본인에게 막대한 피해가 돌아갈 수 있으므로 보관을 철저히 하여야 한다.
또한, 여권 분실 시 곧바로 분실신고나 재발급을 받지 않게 되면 효력이 유효해 자칫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
국내에서 여권을 분실하였을 경우 가까운 지방자치단체 여권 사무대행기관에 여권 분실을 신고하고, 해외여행 중 여권을 분실하였을 때에는 가까운 경찰서로 가서 분실한 경위를 작성하고 여권 분실 후 분실신고를 했다는 분실신고서를 받아야 한다.
그리고 해외에서 여권을 분실하였을 경우에는 대사관 또는 총영사관으로 가서 서류들을 작성하고 여행증명서나 단수여권을 발급을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과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여러 단계의 과정이 많아 분실자로선 언어 소통도 어렵고 불편할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이 도난/분실된 관련 서류를 작성하여 서면 제출하는 과정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전환하면 종이서류 관리 비용, 업무처리 시간 절감 등 행정력 낭비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민원 신청인 입장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한 분산원장(블록체인)을 통하여 개인의 신원을 확인·증명하고, 본인 스스로 관련 개인정보를 관리하여 도난/분실 관련된 민원 정보를 즉시 제공하여 온라인 발급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으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감, 편의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최근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은 투명성과 신뢰가 보장되는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누군가 임의로 변경할 수 없고 참여자 모두가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불편함과 문제점을 최소화하고 도난/분실을 대비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출원한 제10-2020-0003972호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분증 관리방법 및 시스템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하여 소지품 도난/분실정보(도난/분실신고 정보,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 발급 정보)를 해쉬값으로 변환하여 블록체인 기반으로 저장함에 따라 도난/분실정보의 위변조가 불가능하도록 하여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을 온라인으로 발급함으로써 행정업무 간소화를 통한 분실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사본 정보를 제공하고 소지품을 습득한 자가 연락할 수 있는 정보제공으로 분실 신고된 소지품을 돌려받을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590076호 개인정보 관리 방법 공개특허 제10-2019-0128309호 (2019.11.18)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분증 및 이의 발급과 신원확인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산화된 P2P 네트워크 위에서 이용자가 소지품 관리 및 소지품 도난/분실에 관련된 민원업무를 사전에 정의된 규칙에 따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민원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관에서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행정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수단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실/도난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APP 설치 이후 이용자의 스마트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소지품 정보 입력키 생성을 요청한다.
여기서 요청된 관련 소지품 정보 입력키에 1:1로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소지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되면 이용자 정보 입력 및 소지품 정보 입력 또는 이미지를 촬영한다.
그리고 입력된 소지품 정보와 이용자 고유식별 정보 기반으로 소지품 공개키를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으로 1:1 매칭될 수 있도록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 해쉬값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소지품이 도난 및 분실할 경우 이용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소지품 목록 중에서 도난 및 분실된 소지품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하여 도난 및 분실된 위치정보, 분실물 정보, 연락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움요청 발생조건을 더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되어있는 정보를 확인하고 도움요청(도난/분실)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그러면 스마트 컨트랙트로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생성되어 확인된 도난 및 분실물 도움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된다.
여기서 서버는,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용자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 및 관련 소지품 해쉬값 정보가 일치하는지 진위를 확인한다.
그리고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해쉬값 정보를 검출 후 매칭되어 확인된 정보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임시증명서 발급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관련된 기관(기업)에서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는 프라이빗키를 관련된 기관(기업)에 제공한다.
그러면 관련된 기관(기업)은 프라이빗키로 디코딩(decoding)된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정보로 거래를 차단시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생성된 정보로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등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발급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를 이용자한테 제공한다.
여기서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발급에 있어서는 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증명서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이름, 생년월일,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의 이용범위나 용도, 이용 기간, 이용 가능지역 정보 등 관련 정보 해쉬값을 생성한다.
그러면 생성된 해쉬값 정보에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난수로 된 식별 코드(QR 코드)가 생성된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된 해쉬값 정보와 식별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여기서 이용자에게 발급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등을 출력장치와 연동하여 인쇄물 형태로 출력한다.
위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소지품 등을 도난/분실 시 신속하게 관련된 기관(기업)에 도난/분실된 관련 민원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관련된 기관(기업)에는 행정업무 처리 시간 절감 등 행정력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민원 신청자 입장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한 분산원장(블록체인)을 통해 개인 소지품을 확인·증명하고, 본인 스스로 관련 소지품 정보를 관리하여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민원 정보를 즉시 제공하여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을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감, 편의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블록체인상에서 소지품 등록을 통하여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민원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신뢰도 높은 분산 어플리케이션을 손쉽게 구현하여 분실/도난신고 정보제공이 가능함에 따라 관련된 기관(기업)에서는 도난/분실된 소지품을 실시간으로 거래정지를 통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방지하고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등 관련 민원서류를 원스톱 온라인 발급서비스로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감, 편의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가 소지품 정보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소지품 등이 도난 및 분실 신고과정과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임시증명서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소지품 등 도난 및 분실 신고된 정보를 해제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여권 소지자가 여권 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내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구분 항목에서 운전면허증을 선택할 수 있는 과정을 나타내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여권 소지자가 입력한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가 소지품 정보를 등록한 관련 리스트 정보에서 분살/도난된 여권을 선택할 수 있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이용자가 소지품 정보를 등록한 관련 리스트 정보에서 분살/도난된 여권을 선택하여 도난 및 분실신고를 하기 위한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여권도난/분실 발생 시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가 발급된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증이 도난 및 분실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위치 반경 내에 위치한 다수의 전자장치로 관련 분실정보가 실시간 제공되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다.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스마트폰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이용자 스마트폰 및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및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용 단말장치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소지품(500)에 대응되는 다수의 정보를 이용하여 스마트 컨트랙트(100a) 기반으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이 블록 체인화(700)되어 실시간으로 고유 식별정보 코드로 저장한다.
여기서 각종 소지품(500)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신분증. 공무원증, 회원증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증명서와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쉽카드, 복지카드, 휴대폰, 노트북, 열쇠, 지갑, 가방 등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소지품 중 하나로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이 블록 체인화(700)되어 실시간으로 고유 식별정보 코드로 저장된 고유 식별정보 코드를 이용하여 이용자가 분실 또는 도난된 물품을 신속하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하여 소지품(500) 도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와 부당사용을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난 및 분실 신고된 각종 소지품(500)을 해당 기관/기업 분실 센터의 분실 또는 습득 신고를 연동시킴으로 분실자에겐 도난 및 분실 신고된 소지품(500)의 빠른 확인과 회수가 가능할 수 있도록 각종 소지품의 도난·분실·확인할 수 있는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활한 기능 변경과 효율적인 트랜잭션 처리를 위하여 각 기능을 분리해 설계할 수 있도록 하여 스마트 컨트랙트를 실행할 수 있는 독립된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용자의 스마트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소지품 등록정보와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여러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조건을 이용자가 입력하면 해당 조건을 만족하는 상황에서 특정 계약을 스스로 수립, 검증, 이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토콜로서 일정 조건을 만족시키면 중개자의 개입없이 거래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것을 말한다.
즉, 자동화된 계약시스템으로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또는 임시증명서 발급, 개인 신원증명, 소유권 인증, 물품구매, 상품보증, 도난/분실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유효기간 및 분실증명서 또는 임시증명서 사용 범위나 용도, 이용 기간, 도난/분실정보 등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사물인터넷과 연계되어 이용되고 있다.
스마트 계약에서는 조건에 의해 거래가 자동적으로 성립되므로 중간관리자에 의한 위, 변조 피해를 막을 수 있다.
또한, 거래정보 기록이 보존되기 때문에 소지품 위조*사고기록 조작 등과 같은 악의적 행위의 방지가 가능하여 2차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의 구조는 간단하다.
조건이 만족되면 실행되고 이러한 거래조항은 블록체인내에 스크립트에 기록할 수 있으며, 이 역시 모든 참여자에게 공유된다.
블록체인(blockchain)은 데이터 정보를 기록한 원장을 특정 기관의 중앙 서버가 아닌 P2P 네트워크에 분산하여, 네트워크에 참여한 전자장치가 공동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기존 시스템은 임의의 중앙관리자가 있어 쌍방 간의 데이터를 확정하고 청산하며 거래기록을 보관하는 역할을 했지만, 블록체인은 궁극적으로 이러한 중앙관리자의 역할을 불필요하게 만들어 시스템의 인프라 비용이 적고, 블록체인에 참여한 전자장치가 많을수록 데이터의 무결성이 증대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서 트랜잭션(Transaction)은 하나의 논리적인 작업 단위를 구성하는 연산들의 집합체로서 원자성(Atomicity)(분리 할수 없는 하나의 단위로 작업은 모두 완료되거나 모두 취소), 일관성(Consistency)(사용되는 모든 데이터는 일관), 고립성(Isolation) (접근하고 있는 데이터는 다른 트랜잭션(Transaction)으로부터 트랜잭션(Transaction)이 진행되기 전과 완료된 후에 상태를 볼 수 있지만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진행되는 중간 데이터는 볼수 없다), 영속성(Durability)(트랙잭션이 정상 종료되면 그 결과는 시스템에 영구적으로 적용)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은 이용자(200)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각종 소지품(500) 정보 관리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고 통신망(400) 서비스 가입자에게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각종 소지품(500)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통신망(400)으로 연결된 스마트폰(전자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는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 소지품 정보 입력키가 실행되면 스마트폰 고유식별 정보인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 번호(MIN 또는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등이 자동 생성되고 소지품 관련 정보를 입력 또는 분실/도난 신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이용자 스마트폰(200), 기관 서버(30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수의 스마트폰(7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비스 공급자 서버(100)는 통신부(110)를 통해 유무선 통신망(400)에 접속되어 복수의 전자장치들(200, 300, 700)과 통신한다.
관리서버(100)는 프로세서(120), 제어부(130), 데이터베이스(14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제조된 WINDOWS 2000, WINDOWS 2008, WINDOWS NT 3.51, WINDOWS NT 4.0, 캘리포니아 쿠퍼티노(Cupertino)의 애플 컴퓨터에 의해 제조된 MacOS, 자바, 유닉스(UNIX) 또는 리눅스(LINUX)를 포함하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은 다양한 운영 시스템의 제어 아래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기계학습(딥러닝) 및 기계학습을 활용한 요소기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학습은 입력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학습하는 알고리즘 기술이며, 요소기술은 딥러닝 등의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기술로서, 언어적 이해, 시각적 이해, 추론/예측, 지식 표현, 동작 제어 등의 기술 분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공지능 기술이 응용되는 분야는 다음과 같다.
시각적 이해는 각종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신분증. 공무원증, 회원증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증명서와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쉽카드, 복지카드, 휴대폰, 노트북, 열쇠, 지갑, 가방 등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소지품 중 이미지를 인식하고 응용 / 처리하는 기술로서, 객체 식별, 객체 추적, 장면 이해, 공간 이해, 이미지 개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소지품(500)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고 최적화 예측, 지식 구축(데이터 생성/분류), 지식 관리(데이터 활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140)는 별도의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예컨대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 (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머클루트를 데이터로 포함하는 트랜잭션을 생성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전파하는 방법을 통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스마트폰(700)에 머클루트를 저장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소지품(500)별로 트랜잭션 또는 트랜잭션을 생성하는데 사용한 블록체인 주소를 저장하고 있다.
그리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상기 트랜잭션 또는 블록체인 주소를 검색하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저장된 해당 머클루트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머클루트는 블록이 보유하고 있는 거래 내역들의 해시값을 가장 가까운 거래내역 끼리 쌍을 지어 해시화하고 쌍을 지을 수 없을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했을 때 얻게 되는 값이다.
이는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거래의 요약본으로 해당 블록에 포함된 거래로부터 생성된 머클트리의 루트에 대한 해시정보가 담겨있다.
아무리 거래가 많이 발생하여도 하나로 압축된 머클루트의 용량은 항상 32 바이트이다
여기서 트랜잭션 또는 블록체인 주소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해당 트랜잭션을 특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정보로서 서버는 트랜잭션과 블록체인 주소 중 하나만 저장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트랜잭션을 알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을 확인하여 블록체인 주소를 확인할 수 있고 블록체인 주소를 알면 상기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분실정보를 위조하려는 시도가 있어도 머클트리의 머클경로를 따라가면 해쉬값이 다른 것이 나오게 되어 금방 기록의 위변조를 알 수 있게 되고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의 프로세서(120)는 실물 각종 소지품 정보를 코드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여기서 이용자의 소지품 열람기록, 소지품의 인증 등 소지품의 관리, 소지품 도난/분실정보의 무결성 확인(위변조 확인)과 같은 전반적인 소지품 관리에 관한 프로세스를 블록체인 기반에서 스마트 컨트랙트(100a)가 적용된 프로세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정보 생성부(120a), 정보 저장부(120c), 검출부(120b), 정보 인식부(120d), 인코팅부(120e), 디코팅부(120f)를 포함하며 서비스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설명은 후술에 다시 설명한다.
여기서 정보 생성부(120a)는 먼저 이용자(200)로부터 이용자 정보 및 소지품(500) 정보를 기초로 URL / 특수 문자나 숫자 / 특수 기능 등 인터베이스를 포함한 유니크한 코드체계로서 각종 소지품(500) 종류에 따라 위치를 서로 대응시켜 시각적으로 보이는 영역에서 각종 소지품(500) 이미지와 정보영역에 배치된 기준으로 정의된 코드체계(150)에서 고유 식별정보 데이터 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서 입력된 이용자 회원 정보, 각종 소지품(500) 정보를 1:1로 대응하여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정보와 회원정보...등은 서비스 공급자가 제공하는 각종 소지품(500) 정보에 대응되는 URL을 포함한 특수 문자나 숫자 또는 특수 기능(실행 버튼)이 포함된 인터페이스에 라이트 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확인 실행하면 자동으로 관련 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스마트폰과 통신(400)할 수 있는 서버(1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서버는 블록체인(block-chain)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스마트폰에 소지품 분실/도난 정보를 블록체인화 하여 기록하며,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지품 분실/도난에 대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행정업무를 포함하는 행정업무 처리를 상기 블록체인상에서 승인된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지도록 행정업무를 처리한다.
또한, 서버는 상기 소지품 분실/도난 신고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소지품 분실/도난 신고가 요청된 경우, 요청된 정보 이전이 상기 블록체인상에서 승인 처리된 후 소지품에 대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행정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각종 소지품(500) 정보를 매칭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하여 각종 소지품(500) 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 정보인 이용자(200) 정보 및 도움요청(도난/분실) 해쉬값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112), 이용자(200)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자 정보 또는 소지품 정보인 해쉬값, 그리고 소지품의 머클트리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120c), 수신된 이용자 해쉬값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관련 이용자 정보 또는 소지품 해쉬값 정보와 일치하는지 진위를 확인하는 검출부(120b), 이미지 데이터양을 줄이기 위하여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매핑하여 데이터를 코드화한 인코팅부(120e), 코드화(化)된 데이터나 명령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독하는 디코딩부(120f)를 둔다.
그리고 이용자 스마트폰(200)의 설정부(210)를 통한 도난/분실 신호의 발생 여부 해쉬값 정보를 확인하여 다수의 전자장치(300, 700)로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111)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정보 수신부(112)로 수신된 도움요청(도난/분실) 해쉬값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소지품 해쉬값 정보를 검출 후 매칭되어 확인된 정보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관련된 기관 및 기업(300)에 정보가 제공되어 각종 소지품(500) 거래를 차단시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로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를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또는 임시증명서(600) 등을 발급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행정업무는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발급, 분실/도난이 발생한 위치정보, 분실/도난된 소지품 해쉬값 정보, 연락정보, 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증명서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이름, 생년월일 또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의 이용범위나 용도를 제한하는 경우 이에 관한 사항 등 확인할 수 있는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00a)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체인상에서 승인 처리된 후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는 이용자 스마트폰(200)에 저장된 소지품(500) 중 도난 및 분실된 소지품(500)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하고, 도움을 요청할 정보 및 도난 또는 분실이 발생한 위치정보, 분실된 소지품 해쉬값 정보, 습득한 자가 연락할 수 있는 연락정보, 도움요청(도난/분실)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지품(500) 공개키의 조회요청이 있을 때 상기 조회요청 정보는 소지품(500)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700)에 참여한 자가 클릭 확인한 소지품(500) 정보로서 스마트 컨트랙트(100a)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블록 체인화된 이용자(200) 연락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스마트 컨트랙트(100a)로 암호화된 소지품(500)의 머클루트를 요청하면 다수의 스마트폰(700)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소지품(500) 정보로부터 해쉬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해쉬값과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쉬값을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할 때는, 상기 해쉬값과 머클트리로 부터 머클루트를 계산한 다음 상기 전송받은 머클루트와 비교하여 소지품(500)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관련 스마트폰으로 진위 여부 확인 메시지가 더 표시되어 전송한다.
여기서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140)는 스마트폰 및 소지품 고유식별정보(140a), 설정정보(140b), 이용자 회원 정보(140c)를 저장 관리한다.
여기서 스마트폰 및 소지품 고유식별정보(140a)는 이용자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모바일 식별 번호(MIN 또는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정보 및 소지품에 해당되는 해쉬값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1:1로 매핑할 수 있는 정의된 코드체계로서 URL / 특수 문자나 숫자 / 특수 기능이 포함된 인터베이스이고, 설정정보(140b)는 각종 소지품에 대한 도난/분실물 정보, 공개 범위, 공개 기간, 재전송 범위, 도난/분실물 위치정보, 가족, 지인 연락처 정보, 비밀번호 설정 정보 등이다.
여기서 이용자 회원 정보(140c)로는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또는 임시증명서 발급 정보, ID, 패스워드, 전화번호, 회원명, 생년월일, 주소, SNS 정보, 도난/분실증명서 발행국가 정보, 인증 기관의 명칭, 유효기간 및 분실증명서 또는 임시증명서 사용 범위나 용도, 이용 기간, 도난/분실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전자장치(스마트폰 등)(200, 300, 700)는 디바이스가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전자장치(스마트폰 등)(200, 300, 700)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100)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100)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100)와 연결된 전자장치(스마트폰 등)(200, 300, 700)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자장치(스마트폰 등)(200, 300, 700)와 매핑(Mapping) 또는 매칭 (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전자장치(스마트폰 등)(200, 300, 700)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각종 소지품(500)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는 이용자(200) 스마트폰에 저장된 소지품(500) 중 도난 및 분실된 소지품(500)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하고, 도움을 요청할 정보 및 도난 또는 분실이 발생한 위치정보, 분실된 신분증 해쉬값 정보, 연락정보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난/분실된 소지품(500)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발급 관련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기관에서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는 프라이빗 키를 관련 기관에 제공하여 복호화된 도난/분실된 소지품(500) 정보 기반으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를 발급하여 이용자(200)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발급되는 정보에는 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증명서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이름, 생년월일,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의 이용범위나 용도를 제한하는 경우 이에 관한 사항 등 확인할 수 있는 내역이 포함된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100a)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 체인화된 정보로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보데이터 기반으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가 발급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조회요청은 제공된 식별정보 공개키와 동일한 정보로서 임시증명서(600) 정보를 판독 또는 식별자가 코드를 클릭 또는 전자장치 카메라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 주위 적정공간에 생성된 QR 코드(610)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의 영상인식에 의해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자 스마트폰(200)으로 전송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600) 등은 출력장치(800)와 연동하여 해당 신청자의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600) 등이 인쇄물 형태로 출력되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200) 스마트폰은 설정부(210), 디스플레이(220), 전송부(230), 제어부(250), 촬영부(260) 및 프로세서(240)을 포함한 스마트폰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스마트폰은 서버(100)와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용자(200) 스마트폰은 서버(100)와 통신(400)하여 각종 소지품(500) 정보를 매핑할 수 있는 데이터 정보를 요청하거나 등록된 자신의 각종 소지품(500)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도난/분실 시 고유 식별정보가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400)을 통해 외부의 전자장치로 전송하는 이용자(200) 스마트폰은 소지품 정보 입력키에 1:1로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소지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생성부(240a)를 통하여 생성된 입력창에 이용자 정보, 소지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240b) 및 소지품 관련 정보 입력 신호를 통하여 생성된 상기 이용자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240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 (240c)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를 서버(1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정보 전송부(23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는 이용자 스마트폰을 식별할 수 있는 모바일 식별 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 또는 Mobile Subscription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 이동통신 번호 정보, 소유자 정보, 국가별 언어 식별정보 및 전자장치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된다.
여기서 스마트폰(200)은 스마트폰(200) 고유 식별정보 생성과 NFC Tag 정보, 소지품 정보, 연락처 정보 등 관련 정보를 입력·등록·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여기서 소지품 관리 프로그램은 이용자로부터 소지품(500)에 관련된 공개키를 발급요청 하면, 요청된 소지품(500)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소지품(500) 공개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지품(500) 공개키와 이용자 고유식별 정보 기반으로 소지품(500) 정보를 입력 또는 분실/도난 신고 정보를 스마트컨트랙트(100a) 기반으로 1:1 매칭될 수 있도록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 해쉬값을 블록 체인화하여 서버 (100)또는 블록체인(block-chain)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스마트폰(700)에 저장한다.
여기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전자장치(700)도 각종 소지품(500)의 머클트리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에 있어서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APP 설치 이후 이용자의 스마트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소지품 정보 입력키 생성을 요청한다.
그러면 요청된 관련 소지품 정보 입력키에 1:1로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소지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220)되어 생성된 입력창에서 이용자 정보, 소지품 정보 입력 및 소지품 이미지를 촬영(221)한다.
여기서 입력된 소지품 정보와 이용자 고유식별 정보 기반으로 소지품 공개키를 스마트컨트랙트 기반으로 1:1 매칭(222)될 수 있도록 생성된 트랜잭션 (Transaction) 해쉬값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223)한다.
아래 도표는 예시로 여권 정보 등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소지품이 도난 및 분실함에 있어서. 이용자 스마트폰(200)에 저장된 소지품(500) 중 도난 및 분실된 소지품(500)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241)한다.
여기서 도난 및 분실된 위치정보, 분실물 정보, 연락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움요청 발생조건을 더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되어있는 정보를 확인(242)한다.
여기서 도난/분실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실시간 위치정보를 설정할 시 이용자의 국적 또는 스마트폰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해당되는 가장 근접한 자국 기관의 위치정보와 연락정보 등이 이용자(200) 스마트폰에 디스플레이 되어 생성된다.
여기서 자국 기관이란 이용자(200) 국적에 해당되는 대사관 영사관 등 관련된 기관 등이다.
그리고 도움요청(도난/분실)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242a)한다.
그러면 스마트 컨트랙트(100a)로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생성되어 확인된 도난 및 분실물 도움요청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키패드, 단축키 등을 사전에 설정하여 저장되어 선택된 어느 하나로 실행정보를 서버(100)로 전송(243)한다.
여기서 서버(100)는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용자 정보가 상기 서버(100)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 및 관련 소지품(500) 해쉬값 정보가 일치하는지 진위를 확인(244)한다.
여기서 서버(100)에 저장된 관련 이용자(200)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 후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직접통화 또는 기관을 방문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그리고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해쉬값 정보를 검출 후 매칭되어 확인된 정보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임시증명서(600) 발급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관련된 기관(기업)(300)에서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디코딩(decoding) 할 수 있는 프라이빗키를 관련된 기관(기업)(300)에 제공(246)한다.
그러면 관련된 기관(기업)은 프라이빗키로 디코딩(decoding)된 소지품(600) 관련 정보로 거래를 차단시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로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 등을 스마트 컨트랙트(100a)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발급(246a)된다.
여기서 도난/분실된 각종 소지품(500) 거래가 차단될 때 관련된 기관(300)에서 발급하는 소정의 양식에 따라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 등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자(200)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이와같이 소지품(500) 등이 도난/분실되었을 때에 이용자(200) 스마트폰에 등록한 소지품(500) 목록에서 도난/분실된 소지품 선택만으로 실행되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 발급(246a)에 있어서는 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증명서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이름, 생년월일,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의 이용범위나 용도, 이용 기간, 이용 가능지역 정보 등 관련 해쉬값이 생성되고 생성된 해쉬값 정보에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난수로 된 식별 코드(QR 코드)가 생성하여 발급(246a)한다.
그리고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된 해쉬값 정보와 식별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확인(246b)할 수 있도록 전송한다.
그러면 이용자 스마트폰으로 발급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정보를 확인(246b)하고 확인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 등을 출력장치(800)와 연동하여 인쇄물 형태로 출력(810)한다.
여기서 인터넷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600) 등은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증명서로서, 증명서 재발급 신청 시 분실신고를 한 접수번호(분실증명서) 또는 임시 증명서(600) 정보를 통하여 증명서 등을 재발급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아래 도표는 본 발명에 의한 여권도난 및 분실 신고과정과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임시증명서 생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예시이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거래가 차단된 각종 소지품(500) 분실/도난해제를 요청(261)할 시, 거래정지 해제 요청 정보에 포함된 거래정지 도움요청 시 설정된 정보와 비밀번호가 일치하는 여부를 확인(263)한다.
여기서 확인 후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거래정지 해제 요청 절차에 따른 관련된 행정을 처리할 수 있는 기관 및 기업(300)에 거래정지 해제 요청 관련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264)된다.
이와같이 도난 및 분실 신고된 각종 소지품(500) 등을 찾았을 때에는 거래정지 해제 요청하는 것만으로 관련 정보가 실시간 관련 기관 및 기업(300)에 제공되어 분실 신고된 각종 소지품(500) 등을 정상적으로 사용(265)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을 설명하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다.
다시 도 7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여권 소지자가 여권 정보 및 이용자 정보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이고, 도 8은 구분 항목에서 운전면허증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고, 도 9는 여권 소지자가 여권 관련 정보를 등록하기 위해 확인하는 화면이고, 도 10은 이용자가 소지품 정보를 등록한 관련 리스트 정보에서 분살/도난된 여권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1은 이용자가 소지품 정보에서 분살/도난된 여권을 선택하여 도난 및 분실신고를 할 수 있는 화면이고, 도 12는 여권도난/분실 발생 시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가 발급된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운전면허증이 도난 및 분실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위치 반경 내에 위치한 다수의 전자장치로 관련 분실정보가 실시간 제공되는 스마트폰 실물 해상도이다.
위와 같이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컨트랙트(100a)를 활용하여 이용자가 소지품(500) 등을 도난/분실 시 신속하게 관련된 기관(기업)(300)에 도난/분실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으로 행정업무 처리 시간 절감 등 행정력 낭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민원 신청인 이용자 입장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한 분산원장(블록체인)을 통해 개인 소지품을 확인·증명하고, 본인 스스로 관련 소지품 정보를 관리하여 도난/분실된 관련된 민원 정보를 즉시 제공하여 분실증명서 및 임시 신분증을 온라인으로 발급받을 수 있어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절감, 편의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서버 200 : 이용자 스마트폰
300 : 기관 및 기업 400 : 통신망
500 : 소지품 600 : 분실증명서/임시증명서
7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참여한 다수의 스마트폰
800 : 출력장치

Claims (13)

  1.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소지품 정보 입력키가 실행되면 스마트폰 고유식별 정보인 국제 모바일 기기 식별 번호(MIN 또는 MSIN), 국제 모바일 장치 식별 정보(IMEI), 이동 통신 번호 정보 등이 자동 생성되고 소지품 관련 정보를 입력 또는 분실/도난 신고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이용자 스마트폰;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다수의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은 스마트폰 고유 식별정보 생성과 NFC Tag 정보, 소지품 정보, 보호자 연락처 정보 등 관련 정보를 입력·등록·확인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소지품 관리 프로그램은 이용자로부터 소지품에 관련된 공개키를 발급요청 하면, 요청된 소지품에 따른 시리얼 번호를 가진 소지품 공개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소지품 공개키와 이용자 고유식별 정보 기반으로 소지품 정보를 입력 또는 분실/도난 신고 정보를 스마트 컨트랙트로 1:1 매칭될 수 있도록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 해쉬값을 블록 체인화하여 서버 또는 블록체인(block-chain)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블록체인(block-chain) 네트워크에 참여한 다수의 스마트폰에 소지품 분실/도난 정보를 블록체인화 하여 기록하며, 블록체인에 기록된 소지품 분실/도난에 대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행정업무를 포함하는 행정업무 처리를 상기 블록체인상에서 승인된 경우에 한하여 이루어지도록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소지품 분실/도난 신고하는 스마트폰으로부터 소지품 분실/도난 신고가 요청된 경우, 요청된 정보 이전이 상기 블록체인상에서 승인 처리된 후 소지품에 대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행정업무가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이용자 정보, 소지품 정보 또는 도움요청(도난/분실) 해쉬값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이용자 정보 또는 소지품 정보인 해쉬값, 그리고 소지품의 머클트리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수신된 이용자 해쉬값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관련 이용자 정보 또는 소지품 해쉬값 정보와 일치하는지 진위를 확인하는 검출부;
    상기 이용자 스마트폰 설정부를 통한 도난/분실 신호의 발생 여부 해쉬값 정보를 확인하여 다수의 스마트폰으로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송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로 수신된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에 따른 신호 수신 시,
    상기 수신된 도움요청(도난/분실) 해쉬값 정보에 해당되는 상기 서버에 미리 저장된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소지품 해쉬값 정보를 검출 후 매칭되어 확인된 정보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관련된 기관 및 기업에 정보가 제공되어 각종 소지품 거래를 차단시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로 도난/분실된 소지품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또는 임시증명서 등을 발급할 수 있도록 관련된 기관 및 기업에 도난/분실된 소지품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정업무는, 상기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발급, 분실/도난이 발생한 위치정보, 분실/도난된 소지품 해쉬값 정보, 연락정보, 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증명서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이름, 생년월일 또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의 이용범위나 용도를 제한하는 경우 이에 관한 사항 등 확인할 수 있는 내역이 포함된 노드의 정보데이터 실행에 따른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건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로 출력 생성된 트랜잭션(Transaction)을 블록체인상에서 승인 처리된 후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소지품 활용한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6.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움요청(도난/분실) 정보는
    상기 이용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소지품 중 도난 및 분실된 소지품 하나 이상의 정보를 선택하고, 도움을 요청할 정보 및 도난 또는 분실이 발생한 위치정보, 분실된 소지품 해쉬값 정보, 습득한 자가 연락할 수 있는 연락정보, 도움요청(도난/분실)에 대한 비밀번호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7.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소지품 확인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소지품에 해당되는 머클루트를 요청하면 상기 서버 및 다수의 스마트폰에 저장되어 있는 소지품 정보로부터 해쉬값을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해쉬값과 상기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쉬값을 비교하여 동일 여부를 판단하고, 동일할 때는, 상기 해쉬값과 머클트리로부터 머클루트를 계산한 다음 상기 전송받은 머클루트와 비교하여 소지품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여 관련 스마트폰으로 진위 여부 확인 메시지가 더 표시되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지품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신분증. 공무원증, 회원증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각종 증명서와 신용카드, 체크카드, 멤버쉽카드, 복지카드, 휴대폰, 노트북, 열쇠, 지갑, 가방 등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소지품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9.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에 있어서,
    APP 설치 이후 이용자의 스마트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소지품 정보 입력키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관련 소지품 정보 입력키에 1:1로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소지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입력창에서 이용자 정보, 소지품 정보 입력 및 소지품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상기 입력된 소지품 정보와 이용자 고유식별 정보 기반으로 소지품 공개키를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1:1 매칭될 수 있도록 생성된 트랜잭션 (Transaction) 해쉬값을 블록 체인화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된 입력부를 통하여 소지품 정보를 입력 저장한 후,
    고유 식별정보가 포함된 소지품이 도난 및 분실함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 스마트폰에 저장된 소지품 중 하나 이상의 도난 및 분실된 소지품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도난 및 분실된 위치정보, 분실물 정보, 연락정보 등을 포함하는 도움요청 발생조건을 더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되어있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도움요청(도난/분실)에 대한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 (Transaction)이 생성되어 확인된 도난 및 분실물 도움요청 정보를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서버는,
    상기 도움요청(도난 및 분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이용자 정보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 및 관련 소지품 해쉬값 정보가 일치하는지 진위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난/분실된 소지품 관련 해쉬값 정보를 검출 후 매칭되어 확인된 정보로 거래정지 및 분실증명서, 임시증명서 발급 행정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관련된 기관(기업)에서 진위여부를 확인하고 정보를 판독할 수 있도록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는 프라이빗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관련된 기관(기업)은 프라이빗키로 디코딩(decoding)된 소지품 관련 정보로 거래를 차단시켜 부당사용 및 범죄에 악용되는 피해를 실시간으로 방지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로 도난/분실된 소지품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등을 스마트 컨트랙트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되어 발급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를 이용자한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도난/분실된 소지품을 증명할 수 있는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발급에 있어서,
    증명서 발행국가, 인증 기관의 명칭, 증명서 일련번호와 유효기간, 이름, 생년월일,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의 이용범위나 용도, 이용 기간, 이용 가능지역 정보 등 관련 해쉬값이 생성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해쉬값 정보에 대응되는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난수로 된 식별 코드(QR 코드)가 생성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으로 트랜잭션(Transaction)이 생성된 해쉬값 정보와 식별 코드를 이용자 스마트폰에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용자에게 발급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정보를 스마트폰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분실증명서 및 임시증명서 등을 출력장치와 연동하여 인쇄물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13. 제 1항 내지 제 3항 또는 제 9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블록체인을 활용한 분실/도난 관리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200012314A 2020-02-02 2020-02-02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8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14A KR20210098602A (ko) 2020-02-02 2020-02-02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314A KR20210098602A (ko) 2020-02-02 2020-02-02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602A true KR20210098602A (ko) 2021-08-11

Family

ID=77313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314A KR20210098602A (ko) 2020-02-02 2020-02-02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6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477B1 (ko) * 2021-09-07 2022-12-20 주식회사 한컴위드 실물 상품에 인쇄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실물 상품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메타버스 환경 상에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6B1 (ko) 2015-11-18 2016-02-01 주식회사 웨이브스트링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20190128309A (ko) 2018-05-08 2019-11-18 라온시큐어(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분증 및 이의 발급과 신원확인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076B1 (ko) 2015-11-18 2016-02-01 주식회사 웨이브스트링 개인정보 관리 방법
KR20190128309A (ko) 2018-05-08 2019-11-18 라온시큐어(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분증 및 이의 발급과 신원확인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477B1 (ko) * 2021-09-07 2022-12-20 주식회사 한컴위드 실물 상품에 인쇄된 2차원 코드와의 연동을 통해 상기 실물 상품에 매칭되는 아이템을 메타버스 환경 상에 제공할 수 있는 메타버스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메타버스 서비스 운영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471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management
US115637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management
US116831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remote identity verification
AU201430861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ty management
KR20210090800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신분증 관리방법 및 시스템.
US11456876B2 (en) Virtual credentials and licenses
US20140279544A1 (en) Creation and use of mobile identities
US20180197263A1 (en) Virtual credentials and licenses
KR20170063559A (ko) 언제 인증이 철회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기준을 정의하기 위한 다차원 프레임워크
KR20200114188A (ko)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블록체인을 활용한 전자투표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98602A (ko) 블록체인을 활용한 소지품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10101681A (ko) 탈중앙화 신원 인증에 기반한 소지품 정보 관리 및 분실/도난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7865A (ko) 스마트폰 정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9883A (ko) 신분증을 이용한 정보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3489A (ko)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도움요청 알림 제어방법 및 시스템.
US11995210B2 (en) Identity vault system using distributed ledgers for event processing
KR20210050405A (ko) 고유 식별정보를 통한 도움요청 알림 제어방법 및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