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8169A -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8169A
KR20210098169A KR1020200012021A KR20200012021A KR20210098169A KR 20210098169 A KR20210098169 A KR 20210098169A KR 1020200012021 A KR1020200012021 A KR 1020200012021A KR 20200012021 A KR20200012021 A KR 20200012021A KR 20210098169 A KR20210098169 A KR 20210098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0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순용
양미정
오성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12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8169A/en
Publication of KR20210098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1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1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15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 H04L1/0017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 H04L1/0018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strategy where the mode-switching is based on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 based on latency requir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63Mapping of traffic onto schedule, e.g. scheduled allocation or multiplexing of flow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cheduling method in a commun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operating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may comprise the steps of: receiving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 for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 configured grant from a base station;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rom the base station, receiving downlink data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a resource indicated by the DCI; and transmitting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in the resource indicated by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the configured grant when the downlink data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figured grant is activated. Accordingly, the performance of the communication system can be improved.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결정성 통신 시스템에서의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간 민감성 네트워킹(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기술이 적용된 결정성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cheduling method and apparatus in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traffic in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technology is applied.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인 무선 통신 기술로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LTE(long term evolution), NR(new radio) 등이 있다. LTE는 4G(4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고, NR은 5G(5th Generation) 무선 통신 기술들 중에서 하나의 무선 통신 기술일 수 있다.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Representativ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lude long term evolution (LTE) and new radio (NR) defined in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s. LTE may be one of 4G (4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NR may be one of 5G (5th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4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LTE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의 상용화 이후에 급증하는 무선 데이터의 처리를 위해,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만 아니라 4G 통신 시스템의 주파수 대역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어,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5G 통신 시스템(예를 들어, NR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5G 통신 시스템은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URLLC(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및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다.4G communication system as well as a frequency band of a 4G communication system (e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ess) for processing of wireless data that increases rapidly after commercialization of a 4G communication system (eg,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LTE) A 5G communication system (eg,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NR) using a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requency band of (eg,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more) is being considered. The 5G communication system may support 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URLLC), and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MTC).

3GPP의 NR 그룹에서는 시간 민감성 네트워킹(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기술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TSN 기술은 이더넷을 기반으로 낮은 지연(low latency), 낮은 지연 편차(low delay variation) 및 낮은 패킷 손실(low packet loss) 등을 보장하여 결정성 또는 확정성 있는(deterministic)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TSN 기술은 공장 자동화 또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사물인터넷(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In the NR group of 3GPP, standardization of 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technology is in progress. TSN technology is based on Ethernet to ensure low latency, low delay variation, and low packet loss to provide deterministic or deterministic network services. it's technology This TSN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a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system for factory automation or industrial automation.

IIoT 시스템에 적용되는 TSN의 트래픽은 주기적 결정성 통신(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비주기적 결정성 통신(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비결정성 통신(non-deterministic communication) 또는 혼합 트래픽(mixed traffic) 등 여러 가지 통신 유형에 적용될 수 있으며, 통신 유형에 따라서 성능 요구사항 및 처리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주기적 결정성 통신 및 비주기적 결정성 통신의 경우 산업 자동화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통신 유형에 적용되어 IIoT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TSN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 traffic of TSN applied to the IIoT system includes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uch as 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non-deterministic communication, or mixed traffic. It can be applied to the type,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processing method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ty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and 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ince it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industrial automation field, the development of TSN technology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IoT system by being applied to these types of communication.

상기한 요구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간 민감성 네트워킹(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기술이 적용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needs relates to a method for schedul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a 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technology is appli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그랜트(configured grant)의 설정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설정 그랜트가 활성화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receiving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 for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onfigured grant from a base station, a base station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rom In this case, the method may include transmitting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in a resource indicated by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grant.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면,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한 이후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TSN 기술이 적용된 결정형 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만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after a preset response time (T d ) elapses. A schedul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do so. Accordingly, the requirements of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TSN technology is applied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정되는 설정 그랜트는, 종래의 설정 그랜트 타입 1 또는 설정 그랜트 타입 2와는 달리 새롭게 정의되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일 수 있다.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는 복수의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상향링크 데이터가 높은 신뢰도로 지정된 시각에 전송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The setting grant se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ewly defined setting grant type 3 unlike the conventional setting grant type 1 or setting grant type 2 .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gra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wly defined field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uplink data can be transmitted at a specified time with high reliability.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결정성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모션 컨트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결정성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스케줄링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otion control system to which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is applied.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uplink schedu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cheduling operation for a plurality of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통신 시스템은 아래 설명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은 통신 네트워크(network)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will be described. Th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is not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below,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Here, a communication system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a communication network (network).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verall understand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nd duplicate descriptions of the same components are omitted.

도 1은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통신 노드들(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시스템(100)은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예를 들어, S-GW(serving-gateway), P-GW(PDN(packet data network)-gateway),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더 포함할 수 있다.1,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110-1, 110-2, 110-3, 120-1, 120-2,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s a core network (core network) (eg, S-GW (serving-gateway), P-GW (packet data network (PDN)-gateway), MME (mobility management entity)) may include more.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표준에서 규정된 4G 통신(예를 들어, LTE(long term evolution), LTE-A(advanced)), 5G 통신 등을 지원할 수 있다. 4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고, 5G 통신은 6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뿐 만 아니라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G 통신 및 5G 통신을 위해 복수의 통신 노드들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WCDMA(wideband C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iltered 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CP(cyclic prefix)-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C(single carrier)-FDMA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FBMC(filter bank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UFMC(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SDMA(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 등을 지원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노드들 각각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support 4G communication (eg, long term evolution (LTE), advanced (LTE-A)), 5G communication, etc. defined in a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standard. 4G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ess, and 5G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more as well as a frequency band of 6 GHz or less. For exampl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for 4G communication and 5G communication is a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WCDMA (wideband C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F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Filtered OFDM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CP (cyclic prefix)-OFDM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DFT-s-OFDM (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C (single carrier)-FDMA based communication protocol,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GFDM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based communication protocol, FBMC (filter bank multi-carrier)-based communication protocol, UFMC (universal filtered multi-carrier)-based communication protocol, SDMA (Space Division Multiple Access)-based communication protocol, etc. can be supported. . Each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may have the following structure.

도 2는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신 노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node constituting a communication system.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노드(2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및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노드(2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2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250), 저장 장치(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노드(2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2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210 , a memory 220 , and a transceiver 230 connected to a network to perform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interface device 240 , an output interface device 250 , a storage device 260 , and the like.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node 200 may be connected by a bus 27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220) 및 저장 장치(2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 program command stored in at least one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 The processor 210 may mean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or a dedicated processor on which method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erformed. Each of the memory 220 and the storage device 26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storage medium and a non-volatile storage medium. For example, the memory 220 may be configured as at least one of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100)은 복수의 기지국들(base stations)(110-1, 110-2, 110-3, 120-1, 120-2),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 및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100)은 "액세스 네트워크"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매크로 셀(macro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 및 제5 기지국(120-2) 각각은 스몰 셀(small cell)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의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 내에 제4 기지국(120-1), 제3 단말(130-3) 및 제4 단말(130-4)이 속할 수 있다. 제2 기지국(11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2 단말(130-2),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이 속할 수 있다. 제3 기지국(110-3)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5 기지국(120-2), 제4 단말(130-4), 제5 단말(130-5) 및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 제4 기지국(120-1)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1 단말(130-1)이 속할 수 있다. 제5 기지국(120-2)의 셀 커버리지 내에 제6 단말(130-6)이 속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 1 , the communication system 100 includes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 - 1 , 110 - 2 , 110 - 3 , 120 - 1 and 120 - 2 , and a plurality of terminals 130 - 1, 130-2, 130-3, 130-4, 130-5, 130-6). base station (110-1, 110-2, 110-3, 120-1, 120-2) and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The comprising communication system 100 may be referred to as an “access network”.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form a macro cell. Each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and the fifth base station 120-2 may form a small cell.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third terminal 130-3,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terminal 130-2,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The fifth base station 120-2, the fourth terminal 130-4, the fifth terminal 130-5, and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third base station 110-3. there is. The first terminal 130-1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fourth base station 120-1. The sixth terminal 130-6 may belong to the cell coverage of the fifth base station 120-2.

여기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노드B(Node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B), gNB, ng-eNB, BTS(base transceiver station), 무선 기지국(radio base station), 무선 트랜시버(radio transceiver),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액세스 노드(node), RSU(road side unit), RRH(radio remote head), TP(transmission point), TRP(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f(flexible)-TRP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UE(user equipment), 터미널(terminal), 액세스 터미널(access terminal), 모바일 터미널(mobile terminal), 스테이션(station),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모바일 스테이션(mobile station), 휴대 가입자 스테이션(portable subscriber station), 노드(node), 다바이스(device), IoT(internet of things) 기능을 지원하는 장치, 탑재 장치(mounted module/device/terminal), OBU(on board unit)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is a NodeB, an evolved NodeB, gNB, ng-eNB, and BTS. (base transceiver station), radio base station (radio base station), radio transceiver (radio transceiver), access point (access point), access node (node), RSU (road side unit), RRH (radio remote head), TP ( It may be referred to as a transmission point),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a flexible (f)-TRP, and the lik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a user equipment (UE), a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mobile terminal), station (station), subscriber station (subscriber station), mobile station (mobile station), portable subscriber station (portable subscriber station), node (node), device (device), Internet of things (IoT) It may be referred to as a device supporting a function, a mounted module/device/terminal, an on board unit (OBU), or the like.

한편,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또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ideal backhaul link) 또는 논(non)-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아이디얼 백홀 링크 또는 논-아이디얼 백홀 링크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코어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에 전송할 수 있고, 해당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코어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operate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or may operate in the same frequency b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deal backhaul link or a non-ideal backhaul link. , information can b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rough an ideal backhaul link or a non-ideal backhaul link.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connected to the core network through an ideal backhaul link or a non-ideal backhaul link.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re network to the corresponding terminals 130-1, 130-2, 130-3, 130 -4, 130-5, 130-6), and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terminal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transmitted to the core network can be sent to

또한,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MIMO 전송(예를 들어, SU(single user)-MIMO, MU(multi user)-MIMO, 대규모(massive) MIMO 등), CoMP(coordinated multipoint) 전송, CA(carrier aggregation) 전송,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에서 전송, 단말 간 직접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또는, ProSe(proximity services)) 등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단말들(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각각은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과 대응하는 동작, 기지국(110-1, 110-2, 110-3, 120-1, 120-2)에 의해 지원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지국(110-2)은 S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S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2 기지국(110-2)은 MU-MIMO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MU-MIMO 방식에 의해 제2 기지국(110-2)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transmits MIMO (eg, single user (SU)-MIMO, multi user (MU)- MIMO, massive MIMO, etc.), CoMP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CA (carrier aggregation) transmission, transmission in an unlicensed band,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erminals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or ProSe ( proximity services)), and the like. Her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130-5, 130-6 is the base station 110-1, 110-2, 110-3, and 120-1. , 120-2) and corresponding operations, and operations supported by the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and 120-2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SU-MIMO method,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may transmit a signal based on the SU-MIMO method. A signal may be received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2 . Alternatively,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based on the MU-MIMO scheme, and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each of the fifth terminals 130 - 5 may receive a signal from the second base station 110 - 2 by the MU-MIMO method.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CoMP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제4 단말(130-4)에 전송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은 CoMP 방식에 의해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들(110-1, 110-2, 110-3, 120-1, 120-2) 각각은 자신의 셀 커버리지 내에 속한 단말(130-1, 130-2, 130-3, 130-4, 130-5, 130-6)과 CA 방식을 기반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기지국(110-1),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은 제4 단말(130-4)과 제5 단말(130-5) 간의 D2D를 제어할 수 있고, 제4 단말(130-4) 및 제5 단말(130-5) 각각은 제2 기지국(110-2) 및 제3 기지국(110-3) 각각의 제어에 의해 D2D를 수행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ourth terminal 130-4 based on the CoMP scheme, and the fourth The terminal 130-4 may receive signals from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by the CoMP method. A plurality of base stations (110-1, 110-2, 110-3, 120-1, 120-2) each of the terminals (130-1, 130-2, 130-3, 130-4) belonging to its own cell coverage , 130-5, 130-6) and the CA method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Each of the first base station 110-1,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controls D2D between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and each of the fourth terminal 130-4 and the fifth terminal 130-5 may perform D2D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base station 110-2 and the third base station 110-3, respectively. .

한편,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예를 들어,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 기저대역(baseband)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원격 무선 송수신 기능은 TRP(transmission reception point)(예를 들어, f(flexible)-T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통신 프로토콜의 모든 기능들 중에서 기저대역 처리 기능은 BBU(baseband unit)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TRP는 RRH(remote radio head), RU(radio unit), TP(transmission point) 등일 수 있다. BBU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BBU 또는 적어도 하나의 DU(digital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BBU 블록은 "BBU 풀(pool)", "집중화된(centralized) BBU"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TRP는 유선 프론트홀(fronthaul) 링크 또는 무선 프론트홀 링크를 통해 BBU 블록에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링크 및 프론트홀 링크로 구성되는 통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분리(function split) 기법이 적용되는 경우, TRP는 BBU의 일부 기능 또는 MAC/RLC의 일부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Meanwhile, in a communication system, a base station may perform all functions of a communication protocol (eg, a remote radio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a baseband processing function). Alternatively, a remote radio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among all functions of a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performed by a transmission reception point (TRP) (eg, f(flexible)-TRP), and a baseband processing function among all functions of a communication protocol may be performed by a baseband unit (BBU) block. The TRP may be a remote radio head (RRH), a radio unit (RU), or a transmission point (TP). The BBU block may include at least one BBU or at least one digital unit (DU). A BBU block may be referred to as a “BBU pool”, a “centralized BBU”, or the like. The TRP may be connected to the BBU block through a wired fronthaul link or a wireless fronthaul link. A communication system composed of a backhaul link and a fronthaul link may be as follows. When the function split technique of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applied, the TRP may selectively perform some functions of the BBU or some functions of the MAC/RLC.

도 3은 결정성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모션 컨트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3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motion control system to which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is applied.

도 3을 참조하면, 시간 민감성 네트워킹(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기술은 이더넷을 기반으로 낮은 지연(low latency), 낮은 지연 편차(low delay variation) 및 낮은 패킷 손실(low packet loss) 등을 보장하여 결정성 또는 확정성 있는(deterministic)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이러한 TSN 기술은 공장 자동화 또는 산업 자동화를 위한 산업용 사물인터넷(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ime sensitive networking (TSN) technology guarantees low latency, low delay variation, and low packet loss based on Ethernet. It is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deterministic or deterministic network service. This TSN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a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system for factory automation or industrial automation.

IIoT 시스템에 적용되는 TSN의 트래픽은 주기적 결정성 통신(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비주기적 결정성 통신(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비결정성 통신(non-deterministic communication) 또는 혼합 트래픽(mixed traffic) 등 여러 가지 통신 유형에 적용될 수 있으며, 통신 유형에 따라서 성능 요구사항 및 처리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주기적 및 비주기적 결정성 통신의 경우 산업 자동화 분야에 널리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통신 유형에 적용되어 IIoT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TSN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 traffic of TSN applied to the IIoT system includes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such as 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non-deterministic communication, or mixed traffic. It can be applied to the type,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and processing method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mmunication typ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iodic and 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ince it can be widely applied to the industrial automation field, the development of TSN technology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IoT system by being applied to this type of communication.

결정성 통신(deterministic communication) 시스템은 모션 컨트롤 시스템(motion control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모션 컨트롤 시스템은 공장 자동화(factory automation, FA) 시스템의 한 실시 형태로서, 장치의 위치나 움직임에 관한 사항들을 특정 작동기를 이용해 제어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션 컨트롤 시스템(300)은 모션 컨트롤러(motion controller)(310), 작동기(actuator)(320) 및 피드백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may be applied to a motion control system. The motion control system is an embodiment of a factory automation (FA) system, and may refer to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n apparatus using a specific actuator. Referring to FIG. 3 , the motion control system 300 may include a motion controller 310 , an actuator 320 , and a feedback sensor 330 .

모션 컨트롤러(310)는 장치의 위치나 움직임에 관한 사항들을 포함하는 세트 포인트(set points)를 생성할 수 있다. 모션 컨트롤러(310)는 장치의 정밀한 제어를 위하여 피드백 회로(feedback loop)를 추가로 설정할 수 있다. 모션 컨트롤러(310)는 세트 포인트를 포함하는 명령을 작동기(320)로 전송할 수 있다.The motion controller 310 may generate set points including items related to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device. The motion controller 310 may additionally set a feedback loop for precise control of the device. The motion controller 310 may send a command including the set point to the actuator 320 .

작동기(320)는 출력 운동(output motion)을 위한 장치로, 모션 컨트롤러(310)에서 전송된 명령에 포함된 세트 포인트에 따라서 작동할 수 있다. 작동기(320)가 작동함에 따라서 모션 컨트롤 시스템 또는 장치는 설정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모션 컨트롤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작동기는 수압 펌프, 유압 펌프, 공기 실린더, 전기모터, 서보모터, 또는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에 해당할 수 있다.The actuator 320 is a device for output motion, and may operate according to a set point included in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tion controller 310 . As actuator 320 is actuated, the motion control system or device may perform established processes. An actuator used in a motion control system may correspond to a hydraulic pump, a hydraulic pump, an air cylinder, an electric motor, a servomotor, or a linear actuator.

피드백 센서(330)는 작동기(320)의 작동에 따른 프로세스의 수행 상태 또는 장치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피드백 센서(330)는 측정된 값들을 모션 컨트롤러(310)로 전송할 수 있다. 모션 컨트롤러(310)로 전송된 측정값들은 피드백 회로의 설정에 활용될 수 있다. 모션 컨트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피드백 센서(330)는 광학 인코더, 리졸버, 또는 홀 효과 장비 등에 해당할 수 있다.The feedback sensor 330 may measure a state of performing a proces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320 , or a position or movement of a device. The feedback sensor 330 may transmit the measured values to the motion controller 310 . The measured values transmitted to the motion controller 310 may be used to set the feedback circuit. The feedback sensor 330 used in the motion control system may correspond to an optical encoder, a resolver, or Hall effect equipment.

결정성 통신 시스템이 적용된 모션 컨트롤 시스템(300)의 경우, 모션 컨트롤러(310)가 작동기(320)로 명령을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모션 컨트롤러(310)가 피드백 센서(330)로부터 측정값들을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ase of the motion control system 300 to which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is applied,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motion controller 310 transmits a command to the actuator 320 to the point in time when the motion controller 310 receives the measured values from the feedback sensor 33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interval is determined.

도 4는 결정성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도 4를 참조하면, 결정성 통신 시스템(400)은 단말(410) 및 기지국(4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41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작동기(320) 및 피드백 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20)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션 컨트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400 may include a terminal 410 and a base station 420 . The terminal 410 may include the actuator 320 and the feedback sensor 3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base station 420 may include the motion controller 3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기지국(420)은 단말(410)로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30). 기지국(420)에서 단말(410)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단말(410) 또는 단말(410)이 포함하는 장치가 수행할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S430 단계에서 전송되는 하향링크 데이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모션 컨트롤러(310)에서 작동기(320)로 전송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410)은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420 may transmit downlink (DL) data to the terminal 410 (S430). Down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420 to the terminal 410 may include a command to be performed by the terminal 410 or a device included in the terminal 410 . For example, the downlink data transmitted in step S430 may include a command transmitted from the motion controller 310 to the actuator 3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The terminal 410 may receive the transmitted downlink data.

단말(410)은 기지국(420)으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440). 단말(410)에서 기지국(420)으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응답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테면, S440 단계에서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피드백 센서(330)에서 모션 컨트롤러(310)로 전송되는 측정값들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420)은 전송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The terminal 410 may transmit uplink (UL) data to the base station 420 (S440). The up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410 to the base station 420 may include a feedback response to the downlink data. For example, the uplink data transmitted in step S440 may include measurement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eedback sensor 33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the motion controller 310 . The base station 420 may receive the transmitted uplink data.

결정성 통신 시스템(400)의 경우, 기지국(420)이 단말(4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시점(S430)으로부터 기지국(420)이 단말(410)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 간격이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결정성 통신 시스템(400)의 기지국(420)은 단말(4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하면 단말(410)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게 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400 , from the time when the base station 420 transmits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410 ( S430 ) to the time when the base station 420 receives the uplink data from the terminal 410 .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ime interval is fixed. That is, the base station 420 of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400 transmits the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410 and then when a preset response time T d elapses, the base station 420 will receive the uplink data from the terminal 410 . ca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500)은 단말(510) 및 기지국(5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520)은 NR 통신에 사용되는 gNB(gNodeB) 기지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500)의 구성 및 특징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결정성 통신 시스템(400)의 구성 및 특징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communication system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erminal 510 and a base station 520 . The base station 520 may be a gNB (gNodeB) base station used for NR communication.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communication system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ose of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40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기지국(520)은 단말(510)로 설정 그랜트(configured grant, CG)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30). 단말(510)은 기지국(520)으로부터 전송된 RRC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그랜트는 종래에 NR 통신 시스템에서 설정되는 설정 그랜트 타입 1 또는 설정 그랜트 타입 2와는 달리 새롭게 설정되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지국(520)이 전송하는 RRC 메시지는 설정 그랜트 설정 정보 및 논리채널 ID(logical channel ID, LCID)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그랜트 설정 정보 및 LCID 설정 정보는 하나의 RRC 메시지에 함께 포함될 수 있고, 또는 각각 별도의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 inclu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onfigured grant (CG) to the terminal 510 ( S530 ). The terminal 510 may receive the RRC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520 . The configuration gr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fined as a configuration grant type 3 newly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1 or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2 configured in the conventional NR communication system. The RRC message transmitted by the base station 520 may include configuration grant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logical channel ID (LCID) configuration information. The configuration grant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the LCID configuration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one RRC message, or may be included in a separate RRC message, respectively.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설정 그랜트 구성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etting gran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RC 메시지는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RRC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는 설정 그랜트 구성(ConfiguredGrantConfig)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ConfiguredGrantConfig 정보 요소는 상향링크 전송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the RRC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onfiguration grant. Specifically, the RRC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RC message may include a ConfiguredGrantConfig information element. The ConfiguredGrantConfig information ele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for configuring uplink transmission.

ConfiguredGrantConfig 정보 요소는 periodicity 필드, 및 rrc-ConfiguredUplinkGrant 필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periodicity 필드는 설정 그랜트 타입 1 또는 설정 그랜트 타입 2에서의 주기성을 지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정 그랜트 타입 1 또는 설정 그랜트 타입 2를 통하여 상향링크 전송이 설정된 경우, 단말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이후 periodicity 필드의 값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rrc-ConfiguredUplinkGrant 필드는 상향링크 전송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세부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rc-ConfiguredUplinkGrant 필드는 timeDomainOffse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timeDomainOffset 필드는 시간 영역에서 상향링크 그랜트가 시작되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지시할 수 있다. ConfiguredGrantConfig 정보 요소는 이외에도 상향링크 전송의 설정을 위한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figuredGrantConfig information element may include a periodicity field, an rrc-ConfiguredUplinkGrant field, and the like. Here, the periodicity field may indicate periodicity in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1 or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2. Specifically, when uplink transmission is configured through configuration grant type 1 or configuration grant type 2, the UE may periodically transmit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periodicity field after receiving downlink data. Meanwhile, the rrc-ConfiguredUplinkGrant field may include a plurality of detailed fields for configuring uplink transmission. Specifically, the rrc-ConfiguredUplinkGrant field may include a timeDomainOffset field. The timeDomainOffset field may indicate information on a point at which an uplink grant starts in the time domain. In addition, the ConfiguredGrantConfig information ele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for configuring uplink transmiss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그랜트는 설정 그랜트 타입 1 및 2와는 달리 새롭게 정의되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onfigredGrantConfig 정보 요소는 periodicity 필드 및 timeDomainOffset 필드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ConfigredGrantConfig 정보 요소는 새롭게 정의되는 설정시간오프셋 (determinedTimeOffse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시간오프셋 필드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을 위하여 정의된 필드로서, 제1 설정시간에 해당하는 복수의 슬롯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제1 설정 시간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같이 결정성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된 이후 상향링크 데이터가 전송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으로서의 기 설정된 응답시간(Td)과 동일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g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ewly defined configuration grant type 3 unlike configuration grant types 1 and 2 . The ConfigredGrantConfig informa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use the periodicity field and the timeDomainOffset field. In addition, the ConfigredGrantConfig informa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ewly defined set time offset (determinedTimeOffset) field. The set time offset field is a field defined for set grant type 3 and may indicate the number of a plurality of slo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t time. The first set time may be the same as a preset response time (T d ) as a time required for uplink data to be transmitted after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in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500)은 결정성 통신(deterministic communication) 시스템일 수 있으며, 따라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이후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하면 상향 링크의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510)은 매번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때마다 일회성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기술에서는 periodicity 필드의 값에 따라 1회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복수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회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에 대하여 1회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periodicity 필드의 값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정시간오프셋 필드에서 지시하는 슬롯의 개수에 따라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은 timeDomainOffset에 의한 상향링크 그랜트 시작 지점 지시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timeDomainOffset 필드의 값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The communication system 5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and thu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a preset response time (T d ) after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has elapsed. In this case, uplink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uplink data one-time whenever it receives downlink data. Here,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a plurality of uplink data transmissions occur periodically for one downlink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periodicity fiel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time for one downlink data transmission Only uplink data transmission can occur.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the periodicity field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used.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downlink data recep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indicated by the set time offset field. That i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link grant start point indication by timeDomainOffset as in the prior art may not be require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ue of the timeDomainOffset field as described above may not be used.

이하, 표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논리채널 구성 정보 요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RRC 메시지는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RRC 메시지에 포함되는 RRC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는 논리채널 구성(LogicalChannelConfig)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LogicalChannelConfig 정보 요소는 논리채널 설정을 위한 복수의 필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the RRC mess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onfiguration grant. Specifically, the RRC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RC message may include a LogicalChannelConfig information element. The LogicalChannelConfig information elem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elds for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LogicalChannelConfig 정보 요소는 configuredGrantType1Allowe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configuredGrantType1Allowed 필드는 설정 그랜트 타입 1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이를테면, configuredGrantType1Allowed 필드의 값이 참(true)이면 설정 그랜트 타입 1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The LogicalChannelConfig information element may include a configuredGrantType1Allowed field. The configuredGrantType1Allowed field may indicate whether uplink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onfigured grant type 1 is possible. 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configuredGrantType1Allowed field is true,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onfigured grant type 1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정 그랜트는 설정 그랜트 타입 1 및 2와는 달리 새롭게 설정되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ogicalChannelConfig 정보 요소는 새롭게 정의되는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결정성 통신 시스템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의 회신이 높은 신뢰도로 보장되어야 한다.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필드는 이를 위하여 정의된 필드로서,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필수적인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다. 이를테면,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필드의 값이 참(true)이면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의한 데이터 전송이 필수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The setting gr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ewly set setting grant type 3 unlike the setting grant types 1 and 2 . The LogicalChannelConfig information el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newly defined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field.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and therefore, the uplink data response according to the downlink data transmission should be guaranteed with high reliability. The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field is a field defined for this purpose, and may indicate whether uplink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onfigured grant type 3 is essential. For example, if the value of the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field is true,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onfigured grant type 3 may be essentially performed.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520)은 단말(510)로 설정 그랜트(configured grant, CG)의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530). 단말(510)은 기지국(520)으로부터 전송된 RRC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는 표 1 및 표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설정 그랜트 구성 정보 요소 및 논리채널 구성 정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 그랜트 구성 정보 요소 및 논리채널 구성 정보 요소는 단일 RRC 메시지에 함께 포함될 수 있고, 또는 각각 별도의 RRC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 5 , 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 includ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onfigured grant (CG) to the terminal 510 ( S530 ). The terminal 510 may receive the RRC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520 . The setting information of the setting grant may include the setting gran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the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s 1 and 2. The configuration gran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and the logical channel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may be included together in a single RRC message, or may be included in separate RRC messages, respectively.

S530 단계에서 전송되는 RRC 메시지에 포함된 설정 그랜트 구성 정보 요소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것으로서, 새롭게 정의된 설정시간오프셋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510)은 수신한 설정 그랜트에 포함된 설정시간오프셋 필드에서 지시하는 슬롯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grant configuration information element included in the RRC message transmitted in step S530 i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3 and may include a newly defined configuration time offset field. The terminal 510 may check the number of slots indicated by the configuration time offset field included in the received configuration grant.

기지국(520)은 단말(510)로 하향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전송할 수 있다(S540). 단말(510)은 기지국(520)으로부터 전송된 DCI를 수신할 수 있고, DCI에 포함된 스케줄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to the terminal 510 (S540). The terminal 510 may receive the DCI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520 and may check scheduling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CI.

기지국(520)은 단말(510)로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50). 단말(510)은 기지국(520)으로부터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된 MAC(medium access control) SDU(Service Data Unit)에 포함된 LCID가, RRC로 설정된 LCID들 중에서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필드의 값이 true인 LCID와 대응하는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는 결정성 통신을 위하여 기 설정된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대응하는 하향링크 데이터임이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정보가 HARQ 엔티티에 저장될 수 있다. 이로써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설정 그랜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downlink (DL) data to the terminal 510 (S550). The terminal 510 may receive down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520 . Here, when the LCID included in the received medium access control (MAC) service data unit (SDU) corresponds to the LCID in which the value of the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field is true among the LCIDs set as RRC, downlink data is for deterministic communication. It may be confirmed that it is downlink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onfiguration grant type 3 . In this case,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HARQ entity. Accordingly, the setting grant according to the setting grant type 3 may be activated.

단말(510)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60).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대한 설정 그랜트가 활성화되었을 경우, 단말(510)은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한 시점 이후로 설정시간오프셋 필드에서 지시하는 개수만큼의 슬롯이 경과하는 시점에 기지국(520)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 이후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한 시점에 상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510)은 S560 단계에서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때, S550 단계에서 수신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단말(510)은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서 오류가 검출되지 않았을 경우 HARQ ACK를 전송하고,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서 오류가 검출되었을 경우 HARQ NACK를 전송할 수 있다.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uplink (UL) data as a response to the downlink data (S560). When the configuration grant for configuration grant type 3 is activated, the terminal 510 uplinks to the base station 520 when the number of slots indicated by the configuration time offset field elapses since the time when downlink data is received. data can be transmitted. Accordingly, the uplink data can be transmitted at a time point when a preset response time (T d ) has elapsed after the downlink data is transmitted. When transmitting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in step S560, 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a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response to the downlink data received in step S550. Specifically, 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a HARQ ACK if no error is detected in the received downlink data, and may transmit a HARQ NACK if an error is detected in the received downlink data.

S55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단말(510)이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고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설정 그랜트가 활성화되면, 기지국(520)은 S530 단계에서 전송한 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된 자원을 통하여,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한 시점에 상향링크 데이터가 수신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520)은 S550 단계에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로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하는 시점 전후로, S530 단계에서 전송한 RRC 메시지에 의해 설정된 자원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단말(510)로부터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step S550, when the terminal 510 receives downlink data and a configuration grant according to configuration grant type 3 is activated, the base station 520 uses the resources set by the RRC message transmitted in step S530, It can be expected that the uplink data will be received when the response time (T d ) has elapsed. Therefore, the base station 520 performs monitoring on the resource set by the RRC message transmitted in step S530 before and after the time when the preset response time (T d ) elapses after transmitting downlink data in step S550, Uplink data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510 may be received.

이후 기지국(520)은 다시금 단말(5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70). S570 단계에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은, 앞서 설명한 S550 단계에서의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시스템(500)은 주기적 결정성 통신 또는 비주기적 결정성 통신일 수 있다. 통신 시스템(500)이 주기적 결정성 통신일 경우, 기지국(520)은 정해진 주기에 따라서 단말(5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570). 즉, 기지국(520)은 처음으로 단말(5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 이후 정해진 주기가 도과할 때마다 단말(510)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은 동적 스케줄링(dynamic scheduling) 또는 반영구적 스케줄링(semi-persistent scheduling, SPS)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시스템(500)이 비주기적 결정성 통신일 경우,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은 동적 스케줄링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말(510)은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한 시점에 상향링크 데이터를 기지국(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580). S580 단계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은 앞서 설명한 S560 단계에서의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510 again (S570). The downlink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step S57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downlink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step S550 described above. Here, the communication system 500 may be 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or 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When the communication system 500 is 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510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eriod (S570). That is, the base station 520 may transmit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510 every time a predetermined period elapses after transmitting the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510 for the first time. In this case, the transmission of downlink data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dynamic scheduling or semi-persistent scheduling (SPS). Meanwhile, when the communication system 500 is aperiodic deterministic communication, downlink data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dynamic scheduling. After receiving the transmitted downlink data, the terminal 510 may transmit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520 when a preset response time T d elapses ( S580 ).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step S580 may b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operation in step S560 described abov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스케줄링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 스케줄링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6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n uplink schedu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n uplink schedul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510)은 기지국(520)으로부터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 설정 그랜트, 및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말은 수신한 설정 그랜트 및 그 설정 정보에 포함된 값들을 기초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할당된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또는 자원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510 may receiv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grant, the configuration grant, and downlink (DL) data from the base station 520 . The UE may check a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 or resource allocated for transmission of uplink (UL) data based on the received configuration grant and values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전송되는 상향링크 데이터는 수신한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서, 1회만 전송될 수 있다. 다르게 말하면,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설정 그랜트는 일회성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에 포함된 설정시간오프셋(determinedTimeOffset) 필드는 하향링크 데이터의 전송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 시점의 결정을 위하여 슬롯의 개수를 지시할 수 있다. 설정시간오프셋 필드에서 지시하는 슬롯의 개수에 따른 슬롯 지속 길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기 설정된 응답시간(Td)과 동일할 수 있다. The transmitted uplink data may be transmitted only once as a response to the received downlink data. In other words, the configuration grant for uplink data may be activated once. A determinedTimeOffset field included in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grant may indicate the number of slots for determining the uplink data transmission time according to the downlink data transmission. The slot dur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slots indicated by the set time offset field may be the same as the preset response time T 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상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스케줄링 동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scheduling operation for a plurality of uplink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나의 단말(510)에서 복수의 상향링크 데이터가 발생하면, 복수의 상향링크 데이터 중 일부를 우선해서 전송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우선여부의 판단은 논리채널 우선순위 절차(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LCP)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이를테면, 단말(510)에서 일반 상향링크 데이터(a)와 TSN 트래픽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b)가 함께 발생할 경우, LCP에 따라서 이 중 어떤 상향링크 데이터가 우선으로 전송될지가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TSN 트래픽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는 지정된 시각에 정확히 전송되어야 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TSN 트래픽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b)가 일반 상향링크 데이터(a)와의 우선순위에서 밀리지 않고 지정된 시점(t(x))에 전송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논리채널 선택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uplink data is generated from one terminal 510, some of the plurality of uplink data may be transmitted with priority. Determination of such priority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a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LCP) procedure. For example, when normal uplink data (a) and uplink data (b) according to TSN traffic are generated together in the terminal 510, which uplink data is to be transmitted with priority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CP. As described above, uplink data according to TSN traffic has a characteristic that it must be accurately transmitted at a specified time. Accordingly, the following logical channel selection procedure may be required in order for the uplink data (b) according to the TSN traffic to be transmitted at a designated time point (t(x)) without being pushed by the priority of the general uplink data (a).

본 발명에 다른 논리채널 선택 절차에서는, HARQ 엔티티에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확인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HARQ 엔티티에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설정 그랜트가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논리채널이 우선 선택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HARQ 엔티티에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정보가 포함되어 있음이 확인될 경우, TSN 트래픽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b)에 높은 우선순위가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TSN 트래픽에 따른 상향링크 데이터(b)가 지정된 시점(t(x))에 정상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HARQ 엔티티에 본 발명에 따른 configuredGrantType3Requiered가 포함되어 있지 않을 경우, 종래의 논리채널 선택 절차에 따른 스케줄링이 수행될 수 있다.In the logical channel selection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hecked whether the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HARQ entity.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when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HARQ entity, the configuration gra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3 may be in an activated state. In this case, the logical channel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3 may be selected first. In other words,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HARQ entity, high priority may be given to uplink data (b) according to TSN traffic. Accordingly, uplink data (b) according to TSN traffic may be normally transmitted at a designated time point t(x). Meanwhile, when configuredGrantType3Requi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cluded in the HARQ entity, scheduling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logical channel selection procedure may be perform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케줄링 방법에 의하면, 기지국이 단말로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면, 기 설정된 응답시간(Td)이 도과한 이후 단말이 기지국으로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스케줄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TSN 기술이 적용된 결정형 통신 시스템의 요구사항이 만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chedul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ase station transmits downlink data to the terminal, the terminal transmits the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after a preset response time (T d ) elapses. A schedul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to do so. Accordingly, the requirements of the deterministic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TSN technology is applied can be satisfi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정되는 설정 그랜트는, 종래의 설정 그랜트 타입 1 또는 설정 그랜트 타입 2와는 달리 새롭게 정의되는 설정 그랜트 타입 3일 수 있다. 설정 그랜트 타입 3에 따른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는 복수의 새롭게 정의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상향링크 데이터가 높은 신뢰도로 지정된 시각에 전송될 수 있도록 보장할 수 있다.The setting grant se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ewly defined setting grant type 3 unlike the conventional setting grant type 1 or setting grant type 2 .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gra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grant type 3 may include a plurality of newly defined fields.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nsure that uplink data can be transmitted at a specified time with high reliability.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by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carry out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at least one software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will be able

Claims (1)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으로부터 설정 그랜트(configured grant)의 설정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기지국으로부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DCI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을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하향링크 데이터가 설정 그랜트가 활성화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설정 그랜트의 설정 정보에 의해 지시되는 자원에서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의 동작 방법.
In a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 system,
Receiving a radio resource control (RRC) message with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configured grant from the base station;
Receiv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 from the base station;
receiving downlink data from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resource indicated by the DCI; and
When the downlink data include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onfiguration grant is activated, transmitting uplink data to the base station in a resource indicated by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configuration grant.
KR1020200012021A 2020-01-31 2020-01-3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100981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21A KR20210098169A (en) 2020-01-31 2020-01-3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021A KR20210098169A (en) 2020-01-31 2020-01-3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169A true KR20210098169A (en) 2021-08-10

Family

ID=77316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021A KR20210098169A (en) 2020-01-31 2020-01-31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816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9522916A (en) Reference signal triggering and control signaling
KR201800747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scheduling
KR201901075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failure recovery in communication system
CN108702595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EP3874645B1 (en) Retransmission schemes and optimizations for preconfigured uplink resources
US20220132506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device
CN110741668A (en) Physical resource group size for precoded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s
US113635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communication based on grant-free scheme in communication system
JP2019528642A (en) Method of operating a communication node that transmits system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11930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random access procedure in communication system
CN106464471B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uplink transmissions on two or more carriers
KR202200990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configured grant resource in communication system
JP2022552161A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Node
KR10239860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or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202200698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ging in sidelink communication
KR202100981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507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roadcast signal in communication system
JP2024519220A (en) User equipment, scheduling node, method for user equipment, method for a scheduling node and integrated circuit - Patents.com
KR20200087692A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eedback inform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202001197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nfiguring bandwidth part in sidelink communication
KR102338663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or ultra-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of
KR1025227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using orthogonal sequence in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534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feedback in communication system
US20240064764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2201024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ndom access in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