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995A -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 Google Patents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995A
KR20210097995A KR1020200011663A KR20200011663A KR20210097995A KR 20210097995 A KR20210097995 A KR 20210097995A KR 1020200011663 A KR1020200011663 A KR 1020200011663A KR 20200011663 A KR20200011663 A KR 20200011663A KR 20210097995 A KR20210097995 A KR 202100979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sh flowers
business card
flowers
decora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3273B1 (ko
Inventor
이수화
Original Assignee
이수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화 filed Critical 이수화
Priority to KR1020200011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2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97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7/00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 B42F17/02Card-filing arrangements, e.g. card indexes or catalogues or filing cabinets in which the cards are stored substantially at right angles to the bottom of their containers
    • B42F17/08Construction of the containers, e.g. trays or drawers
    • B42F17/16Construction of the containers, e.g. trays or drawers with card-retain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탁상용 장식물에 있어서,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명함(70)을 꽂아놓기 위한 명함꽂이부(20)와, 관상용으로 생화(80)를 꽂아놓기 위한 꽃꽂이부(30)가 구성되어 탁상용 장식물을 제공함에 있어 생화를 꽂아 장식미를 높이면서 꽃꽂이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를 갖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DESKTOP ORNAMENT USING FRESH FLOWER}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상용 액자는 목재나 금속재의 프레임에, 유리나 아크릴 등의 투명판을 전방에 설치하고, 배면에는 사진이나 그림을 지지하는 사진고정판을 끼워 넣은 다음 사진고정판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진이나 그림이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프레임 뒷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고정편을 이용하여 사진고정판을 고정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액자를 탁상에 올려놓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받침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즉, 종래의 탁상용 액자는 사진을 보관하여 보여주기 위한 단순한 기능만이 제공되어 보관된 사진이나 그림을 감상할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41755호, '탁상용 액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기능을 갖는 탁자용 장식물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탁상용 장식물에 있어서,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명함(70)을 꽂아놓기 위한 명함꽂이부(20)와, 관상용으로 생화(80)를 꽂아놓기 위한 꽃꽂이부(3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몸체(10)의 전면부에는 몸체(10)에 형성된 공간부 내측에 생화(42)와 투명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어 시각적으로 생화(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관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지부(4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지부(40)에는 방수처리된 조명부(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탁상용 장식물을 제공함에 있어 생화를 꽂아 장식미를 높이면서 꽃꽂이의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용도를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구성도이며, 도 3은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탁상용 장식물은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명함(70)을 꽂아놓기 위한 명함꽂이부(20)와, 생화(80)를 꽂아 관상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꽃꽂이부(30)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상기 몸체(10)는 입체 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그 모양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호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탁상용 장식물을 제공함에 있어 명함(70)과 꽃을 각각 꽂아 보관할 수 있어 기능성을 가짐과 함께 관상용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명함(70)을 꽂을 수 있도록 좌우로 길게 명함꽂이부(20)가 형성되며, 소정의 깊이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명함(70)을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명함(70)이 보관된 몸체(10)를 사무용 책상 위에 두는 경우 명함(70)이외에도 메모지 등을 꽂아 사용할 수도 있다.
명함꽂이부(20)가 형성된 몸체(10)의 상부면에는 꽃을 꽂기 위한 꽃꽂이부(30)가 형성되며, 생화(80)나 필요에 따라 조화를 꽂아 장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꽃꽂이부(30)에는 꽂혀있는 생화(80)가 쉽게 시들지 않고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끼움관(31)이 끼워지며, 상기 끼움관(31)의 내측벽에는 꽃꽂이부(30)에 생화(80)의 줄기에 수분을 제공하기 위한 수분패드(32)가 설치된다.
꽃꽂이부(30)에 생화(80)를 꽂아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분이 줄기에 공급되지 못하면 생화(80)가 금방 시들어 버려 오랫동안 관상용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며, 그에 따라 생화(80)를 자주 바꿔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생화(80)를 꽂는 꽃꽂이부(30)에 수분패드(32)가 설치된 끼움관(31)을 끼설치함으로써 수분패드(32)가 수분을 머금고 있는 상태에서 생화(80)를 끼움관(31)에 꼽아 최종적으로 끼움관(31)을 꽃꽂이부(30)에 끼움으로써 생화(80)의 줄기부분에 수분패드(32)의 수분이 공급될 수 있어 생화(80)가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분패드(32)는 스펀지와 같이 수분을 오랫동안 머금고 있을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되며, 생화(80)를 끼움관(31)에 꽂기 전에 물을 채워 수분을 머금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몸체(10)의 전면부에는 몸체(10)에 형성된 공간부 내측에 생화(42)와 투명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어 시각적으로 생화(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관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지부(40)가 설치된다.
상기 수지부(40)는 생화(42)를 공간부에 위치시킨 후 유기계 접착제, 유기화합물 열경화성수지, 합성수지, 에폭시수지, 무발포 우레탄수지,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 중 하나 이상과 경화제를 소정의 비율로 배합하여 생화(42)가 있는 공간부에 채워 굳힘으로써 투명하게 형성된 수지부(40)를 통해 내측에 채워진 생화(42)가 시각적으로 노출되는 것이다.
수지부(40)를 통해 생화(42)를 보관함에 따라 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투명한 수지부(40)의 내측에 위치한 생화(42)가 감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내측에 생화(42)가 위치한 수지부(40)를 형성함에 있어 생화(42)와 함께 방수처리된 LED 칩과 같은 조명부(50)를 함께 위치시켜 투명 수지부(40)를 통한 조명기능이 가능해진다.
상기 조명부(50)는 몸체(10) 일측에 설치된 작동부(52)에 의해 온,오프가 가능하게 되며, 특히 야간에 조명부(50)를 켜 수지부(40) 내측의 생화(42)가 밝게 노출되어 시각적으로 독특한 장식미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10)의 전면에 다양한 형태의 장식품이 거치될 수 있는 자석(6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자석(60)에는 동물의 캐릭터 모양이나 메모지 등이 몸체(10)의 전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며, 몸체(10) 내측에 자석(60)이 삽입설치된 상태에서 자석(60)이 설치된 동물 캐릭터와 같은 장식품을 부착하거나 자석(60)을 서로 부착하여 메모지의 부착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몸체(10)의 전면부에 현재시간을 확인할 수 있는 시계(90)가 설치될 수 있으며, LCD 화면에 현재시간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 현재시간 확인이 용이한 것이다.
상기 시계(9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터리(미도시)는 몸체의 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발명은 생화를 영구히 보관하면서 관상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장식용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10)-- 몸체 (20)-- 명함꽂이부
(30)-- 꽃꽂이부 (31)-- 끼움관
(32)-- 수분패드
(40)-- 수지부 (42)-- 생화
(50)-- 조명부 (52)-- 작동부
(60)-- 자석 (70)-- 명함
(80)-- 생화 (90)-- 시계

Claims (3)

  1. 탁상용 장식물에 있어서,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상부면에는 명함(70)을 꽂아놓기 위한 명함꽂이부(20)와,
    관상용으로 생화(80)를 꽂아놓기 위한 꽃꽂이부(3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10)의 전면부에는 몸체(10)에 형성된 공간부 내측에 생화(42)와 투명 수지가 채워진 상태로 경화되어 시각적으로 생화(4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관상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수지부(4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3. 제2항에 있어서,
    수지부(40)에는 방수처리된 조명부(5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KR1020200011663A 2020-01-31 2020-01-31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KR10232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63A KR102323273B1 (ko) 2020-01-31 2020-01-31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663A KR102323273B1 (ko) 2020-01-31 2020-01-31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995A true KR20210097995A (ko) 2021-08-10
KR102323273B1 KR102323273B1 (ko) 2021-11-05

Family

ID=7731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663A KR102323273B1 (ko) 2020-01-31 2020-01-31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27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073Y1 (ko) * 1999-08-10 2000-02-15 박노열 탁상용 꽃병
KR200215897Y1 (ko) * 2000-08-14 2001-03-15 김용철 메모판과 자석 홀더를 갖는 탁상용 시계
KR200341755Y1 (ko) 2003-09-24 2004-02-14 김정식 탁상용 액자
KR200411846Y1 (ko) * 2006-01-04 2006-03-17 이동휘 발광장치가 부가된 탁상용 장식물
JP2011042076A (ja) * 2009-08-20 2011-03-03 Showa Mokko Kk 装飾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073Y1 (ko) * 1999-08-10 2000-02-15 박노열 탁상용 꽃병
KR200215897Y1 (ko) * 2000-08-14 2001-03-15 김용철 메모판과 자석 홀더를 갖는 탁상용 시계
KR200341755Y1 (ko) 2003-09-24 2004-02-14 김정식 탁상용 액자
KR200411846Y1 (ko) * 2006-01-04 2006-03-17 이동휘 발광장치가 부가된 탁상용 장식물
JP2011042076A (ja) * 2009-08-20 2011-03-03 Showa Mokko Kk 装飾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273B1 (ko) 2021-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15823A (en) Decorative article holder
JP3208734U (ja) 収納機能を有する装飾板
KR102323273B1 (ko) 생화를 이용한 탁상용 장식물
KR101706634B1 (ko) 별자리가 표시된 아기액자
KR20200088105A (ko) 디퓨저 자석 액자
KR20100041046A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트로피
KR20220167478A (ko) 조명기능을 갖는 탁상용 장식물
US4894756A (en) Diversified bookrest
CN210416050U (zh) 一种透光玉扣摆件
US20090027871A1 (en) Display device for creating a backlit effect on a display article
US11229303B2 (en) Modular, multi-function frame system
CN217610366U (zh) 一种数码相框用便与更换的塑料脚垫
CN215423819U (zh) 一种用于展示物品的圆形灯箱
CN201086584Y (zh) 一种多功能工艺品
KR20010073242A (ko) 장식용 사진 액자
KR950001915Y1 (ko) 액 자
CN202234291U (zh) 装饰画框
KR200324540Y1 (ko) 엘이디전광판이 구비된 광고겸용 화분
KR20240000848U (ko) 엘이디와 로고를 구비한 인조화환
KR200272046Y1 (ko) 장식용 조명등
KR890008543Y1 (ko) 장식용 시계
KR20220058359A (ko) Led조명 장식물
JP3054307U (ja) 裸石ケース
KR200297958Y1 (ko) 광고판과 시계가 구비된 장식용 사방화
KR20100042011A (ko) 액자 겸용 케익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