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567A -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567A
KR20210097567A KR1020200011426A KR20200011426A KR20210097567A KR 20210097567 A KR20210097567 A KR 20210097567A KR 1020200011426 A KR1020200011426 A KR 1020200011426A KR 20200011426 A KR20200011426 A KR 20200011426A KR 20210097567 A KR20210097567 A KR 20210097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acoustic sensor
measured
noise
decibel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4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89619B1 (en
Inventor
정도영
신성식
김승리
오종수
Original Assignee
정도영
김승리
오종수
신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영, 김승리, 오종수, 신성식 filed Critical 정도영
Priority to KR1020200011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619B1/en
Publication of KR20210097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5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6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9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dea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4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 A61F11/045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e.g. through the touch sense using mechanical stimulation of ner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logy (AREA)
  • Phys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for acquired deaf people to enable the acquired deaf people to autonomously adjust voice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surrounding nois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comprises: a wearable device formed in a shape of a ring with a cut part to fit the neck of a deaf person and detecting voice of the deaf person and noise of a place where the deaf person is located; a server analyzing a decibel value of voice and noise measur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in a time-series manner, and determining a standard value for determining the loudness of the voice compared to the noise;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operat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output of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rver.

Description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 및 방법{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본 발명은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청각장애인의 주변 상황 및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맞추어 청각장애인 스스로가 본인의 목소리 크기를 조절함과 동시에 위험상황을 인지하여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the acquired deaf person, and more particularly, to the deaf person by adjusting their own voice volume in accordance with the noise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situation and place of the deaf person and at the same time to a dangerous situation It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to recognize and respond quickly.

대한민국 총인구의 5%에 해당하는 약 250만명이 장애인이며, 그 중 청각장애인은 30만명으로 2번째로 많은 수를 기록하고 있다. 청각장애인의 원인은 선천적인 요인과 후천적인 요인으로 나눌 수 있고, 후천적인 요인에 의한 청각장애인은 선천적인 요인에 의한 청각장애인과는 목소리를 통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는 차이점이 있다.About 2.5 million people, or 5%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re disabled, and among them, the number of hearing impaired is 300,000, which is the second largest number. The causes of deafness can be divided into congenital factors and acquired factors,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hearing impaired people due to acquired factors can communicate through voice with those who are deaf due to congenital factors.

전술한 차이점으로 인해 후천적 청각장애인은 일상생활에서 본인의 의사를 목소리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이 가능하지만, 목소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즉, 카페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서 작은 목소리로도 대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후천적 청각장애인은 본인의 목소리와 주변 소음을 듣지 못해 목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공공장소에서의 대화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다.Due to the above-mentioned differences, acquired deaf people have a fatal problem in that although they can communicate their intentions to others through their voices in their daily life, they cannot control the volume of their voices. In other words, despite being able to communicate in a small voice in public places such as cafes, the acquired deaf person cannot hear their own voice and ambient noise and cannot control the volume of their voice, so it is difficult to communicate in public places. suffer

청각장애인을 위한 보청기가 개발되고 있기는 하나, 정확히 주변 소음과 본인의 목소리 크기를 반영하지 못하므로, 보청기를 착용한다고 하더라도 후천적 청각장애인 스스로가 상황에 맞추어 목소리를 조절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위험상황이 발생하면, 주변에서 소리를 통해 위험상황을 인지시키게 되는데, 청각장애인의 경우에 소리를 통한 인지가 어려워 위험상황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존재한다.Although hearing aids for the deaf are being developed, it is not easy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ed to adjust their voi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even if they wear a hearing aid because they cannot accurately reflect the ambient noise and the loudness of their voice. In addition, in general,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a dangerous situation is recognized through a sound in the vicinity. However, in the case of the hearing impaired,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rough sound,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exposed to the dangerous situation as it is.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3682호 (2018.07.23)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83682 (2018.07.23)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진동 알람을 통해 후천적 청각장애인이 처한 상황 및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음에 맞게 스스로가 목소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상황에서 소리를 통한 인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rough a vibration alarm, the acquired deaf person can adjust his or her voice according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situation and place, and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rough sound in a dangerous situ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and method f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은, 청각장애인의 목 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일부가 단절된 환(ring) 형상으로 제작되어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청각장애인이 위치한 장소의 소음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의 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결정하는 서버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및 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모니터링 정보의 출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part is cu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hearing impaired, so that the voice of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place where the hearing impaired are located A wearable device that detects noise, a server that time-series analyzes the decibel value of voice and noise measur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nd a server that determines the reference value for judging the loudness of the voice versus the noise. It may include a user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outputting the generated monitor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하기 위한 음향센서, 청각장애인이 스스로 목소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하는 진동모듈 및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시벨 값을 기초로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에 따라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cibel value measured by an acoustic sensor for measuring decibel values of voice and noise, a vibration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so that a deaf person can monitor their own voice, and a sound sensor It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voice compared to the noise based o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센서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방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음향센서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후방 중심에 배치되는 제 2 음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acoustic 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acoustic sensor disposed at both front ends of the wearable device and a second acoustic sensor disposed at a rear center of the wearable devic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determine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by determining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를 추정하여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is 55.5 dB or more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by estim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은, 제 1 음향센서 및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또는 소음의 데시벨 값이 100dB 이상인 경우, 진동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or nois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is 100 dB or mor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방법은, 청각장애인이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음향센서 및 제 2 음향센서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하는 단계,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모듈이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을 기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분석이 시작되면, 제어모듈이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을 기초로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assistance method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decibel values of the voice and noise of the deaf person through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worn by the hearing impaired person Step, the control module of the wearable device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when the analysis starts, the control module It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based o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이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can decide whether to star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이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를 추정하여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the decibel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value is 55.5 dB or more,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judg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sound sensor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sound sensor is estimated to determine the value of the vibration module. You can decide whether to operate or no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제 1 음향센서 및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또는 소음의 데시벨 값이 10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이 진동모듈을 동작시킬 수 있다.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or nois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is 10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vibration module. can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서 제공되는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후천적 청각장애인 스스로가 진동을 통해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가 크다는 것을 인지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위험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소리에 기반하여 빠르게 인지하여 피해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행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and method provided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quired deaf themselves can recognize and adjust the loudness of the voice compared to the noise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through vibration, and even if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Based on the sound, it can quickly recognize and act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dam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나타낸 정면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아두이노 데시벨 측정모듈의 성능 검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거리에 따른 목소리 크기의 감소량을 실험한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
도 6은 상대적으로 조용한 공간인 카페와 시끄러운 공간인 식당에서의 소음 통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wearab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 of the Arduino decibel measurement module.
5 is a table summariz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amount of decrease in voice volume according to distance.
6 is a graph showing noise statistics in a cafe, which is a relatively quiet space, and a restaurant, which is a noisy space.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assistance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currently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and the like. In addition, in a specific case,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corresponding invention. Therefore,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the name of a simpl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은, 청각장애인의 목 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일부가 단절된 환(ring) 형상으로 제작되어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청각장애인이 위치한 장소의 소음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측정된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의 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결정하는 서버(200)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 및 서버(200)를 통해 생성되는 모니터링 정보의 출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part is cut to be in close contact along the neck of the hearing impaired, so that the voice of the hearing impaired and The wearable device 100 that detects the noise of the place where the deaf person is located,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and noise measur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are time-series analyzed, and the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loudness of the voice compared to the noise is determined and a user terminal 300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rver 200 and the wearable device 100 and outputting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rver 20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청각장애인의 목에 착용되어 주변 소음 대비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과 위험상황 발생을 알리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청각장애인의 목소리와 주변 소음을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진동을 통한 알람을 청각장애인에게 제공함으로써, 청각장애인 스스로가 목소리를 조절하거나 위험상황을 인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는 일부가 단절된 환 형상의 바디 내부에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하기 위한 음향센서(110), 청각장애인이 스스로 목소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하는 진동모듈(120), 음향센서(110)에 의해 측정된 데시벨 값을 기초로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에 따라 진동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30), 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300)과의 연동을 통해 정보들을 송수신하는 통신모듈(140)을 구비할 수 있다.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on the neck of a deaf person and serves to notify the occurrence of a situation in which the voice becomes louder compared to the surrounding noise and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That is, the wearable device 100 provides an alarm through vibration to the hearing impaire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hearing impaired's voice and ambient noise, thereby allowing the hearing impaired to control their voice or to recognize a dangerous situation. do. For example, the wearable device 100 includes an acoustic sensor 110 for measuring decibel values of voice and noise inside a partly cut annular body, and vibration for outputting an alarm so that the hearing impaired can monitor their own voice. Module 120, the control module 130, the server 200 and the user terminal (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interworking with 300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버(2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수집된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에 대한 정보를 누적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기초로 측정 지점과 환경이라는 변수에 알맞은 기준치 설정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시계열적으로 정리되는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의 누적값을 계산하여 전체 평균값을 실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소음과 관련하여 전체 평균값을 기준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상당히 큰 데시벨 값이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서버(200)는 해당 상황을 새로운 변수값으로 보고, 전술한 데시벨 값을 반영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모듈(130)에서 판단하는 기준치를 새롭게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측정 지점과 환경에 따른 변수라는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기타 상황에 맞는 변수들도 점층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다.The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ively manages information on decibel values of voice and noise collect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and based on this, a reference value suitable for a variable such as a measurement point and environment.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setting is performed. For example, the server 200 may calculate an accumulated value of decibel values of voices and noises arranged in time series to calculate an overall average value in real time. At this time, when a fairly large decibel value is transmitt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100 for a predetermined time based on the overall average value in relation to noise, the server 200 views the situation as a new variable value, and the above-mentioned decibel value is In reflection, the reference value determined by the control module 130 of the wearable device 100 may be newly determined. Through this process, we can get out of the constraints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point and environment, and we can gradually solve the variables suitable for other situa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동작 제어와 관련된 정보들을 통신모듈(140)을 통해 전달받아 출력하거나, 서버(200)를 통해 관리되고 있는 모니터링 정보들을 출력하여 시각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이란 유무선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로서,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태블릿 PC, 랩탑 PC 등을 말한다. 즉, 사용자 단말(300)에서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면, 사용자인 청각장애인은 시각화된 모니터링 정보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청각장애인 스스로가 주변의 도움을 받아 서버(200)에 의해 설정된 기준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nd outputs information related to operation control of the wearable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140 , or monitors monitoring information managed through the server 200 . It plays the role of output and visualization. Here, the user terminal 300 i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wired/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and refers to a smart phone, a smart watch, a tablet PC, a laptop PC, and the like. That is, when the application is run in the user terminal 300, the deaf user can easily check the visualized monitoring information, and the deaf themselves can change the reference value set by the server 200 with the help of the surroundin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정면 투시도이다.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earable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센서(11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방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음향센서(111)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후방 중심에 배치되는 제 2 음향센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음향센서(111)와 제 2 음향센서(112)는 모두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할 수 있으나, 위치 상 제 1 음향센서(111)는 착용자의 목소리, 제 2 음향센서(112)는 주변 소음을 측정하는데 용이하다. 따라서, 제어모듈(130)은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데시벨 값은 목소리에 대한 데시벨 값,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데시벨 값은 주변 소음에 대한 데시벨 값에 보다 가중치를 두어 진동모듈(120)의 제어를 위한 분석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The acoustic sens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acoustic sensor 111 disposed at both front ends of the wearable device 100 and a second acoustic sensor disposed at the rear center of the wearable device 100 ( 112) may be included. Both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may measure decibel values of the voice and noise of the deaf person, but in terms of location,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the wearer's voice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easy to measure the ambient noise. Accordingly, the control module 130 determines that the decibel valu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a decibel value for voice, and the decibel valu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a decibel value for ambient noise. It is designed to perform analysis for control of the vibration module 120 by weight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의 데이터 처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processing process of a control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130)은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동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데시벨 값이 70dB 미만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분석을 시작하지 않고 재차 전술한 판단을 수행한다.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진동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을 시작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70 dB or more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120 . It is possible to decide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to control the For example, when the voice decibel valu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less than 70 dB, the control module 130 performs the above-described determination again without starting the analysis. When the voice decibel valu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7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130 starts an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130)은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를 추정하여 진동모듈(1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주변 소음에 따라 목소리의 크기가 달라져야 하므로, 청각장애인이 위치한 장소가 상대적으로 조용한 공간인지 시끄러운 공간인지를 구별하기 위함이다. 즉, 55.5dB이라는 기준치는 장소의 구별을 위해 설정된 기준값이다. In the control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70 dB or more,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It is determined whether it is 55.5 dB or mor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judgment Thu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module 120 operates. To determine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55.5 dB or more, the loudness of the voice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noise, so whether the place where the hearing impaired is located is a relatively quiet space or a noisy space in order to distinguish That is, the reference value of 55.5 dB is a reference value set to distinguish places.

예를 들어,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가 30dB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차이가 3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곧바로 진동모듈(120)을 동작시키고, 차이가 30dB 미만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진동모듈(120)을 동작시키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For example,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55.5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130 sets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sou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cibel values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nsor 112 is 30 dB or more. When the difference is 3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130 immediately operates the vibration module 120 , and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30 dB, the control module 130 does not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120 and maintains the current state.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미만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가 20dB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차이가 2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곧바로 진동모듈(120)을 동작시키고, 차이가 20dB 미만인 경우, 제어모듈(130)은 진동모듈(120)을 동작시키지 않고 현재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less than 55.5 dB, the control module 130 controls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 It is judged whether the difference in decibel values of noise measured by When the difference is 2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130 immediately operates the vibration module 120 , and when the difference is less than 20 dB, the control module 130 does not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120 and maintains the current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모듈(130)은 제 1 음향센서(111) 및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이 100dB 이상인 경우, 진동모듈(12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이는 소음에 관계없이 목소리의 크기가 지나치게 크거나 위험상황에 노출된 것인지를 판단하고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과 같이 분석이 시작된 이후 곧바로 일차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고, 분석이 시작된 이후에 실시간으로 계속 수행될 수도 있다.The control modul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the vibration module 120 when the decibel values of the voice and nois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are 100 dB or more. can make it work This is to determine whether the volume of the voice is too loud or exposed to a dangerous situation regardless of the noise and to provide vibration. may continue to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어모듈(130)의 판단 과정에서 사용된 기준치들이 어떻게 산출되었는지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Hereinafter, how the reference values used in the determination process of the aforementioned control module 130 are calculat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4는 아두이노 데시벨 측정모듈의 성능 검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performance verification result of the Arduino decibel measurement modul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센서(110)로 아두이노 데시벨 측정모듈을 사용하였을 때, 기존 데시벨 측정기와 대비하여 선형적인 상관관계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두이노 데시벨 측정모듈과 기존 데시벨 측정기에 의한 측정값들은 0.9649의 기울기를 갖는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데, 이를 1일 기준으로 약 4%의 오차를 보이는 것이므로, 아두이노 데시벨 측정모듈을 사용하더라도 측정값 자체에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휴대성을 고려하면, 음향센서(110)로서 기존 데시벨 측정기와 높은 상관성을 갖는 아두이노 데시벨 측정모듈이 사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Arduino decibel measurement module is used as the acoustic senso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inear correlation is shown compared to the existing decibel meter. Specifically, the measured values by the Arduino decibel measurement module and the existing decibel meter show a linear relationship with a slope of 0.9649, which shows an error of about 4% based on 1 day, so even if the Arduino decibel measurement module is used It can be seen that high reliability of the measured value itself can be secured.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portability of the wearable device 100 , an Arduino decibel measurement module having a high correlation with an existing decibel meter may be used as the acoustic sensor 110 .

도 5는 거리에 따른 목소리 크기의 감소량을 실험한 결과를 정리한 표이다.5 is a table summarizing the results of experiments on the amount of decrease in voice volume according to distance.

일반적으로 소리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감소된다는 원리에 기초하여 도 5는 착용자의 목소리의 크기가 제 1 음향센서(111)를 기준으로 75dB로 감소되는 거리를 계산한 결과를 나타낸다. 이때, 계산에 이용된 산출식은 다음의 [식 1]과 같다.In general,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size of a sound decreases as the distance increases, FIG. 5 shows the result of calculating the distance at which the level of the wearer's voice is reduced to 75 dB with respect to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 At this time, the calculation formula used for the calculation is as follows [Equation 1].

[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S2는 75dB로 고정값이고, S1은 음원으로부터 D1만큼 떨어진 위치에서의 소리의 크기, D1은 음원을 기준으로 S1이 측정되는 거리, D2는 음원을 기준으로 S2가 측정되는 거리를 의미한다.Here, S 2 is a fixed value of 75 dB, S 1 is the sound level at a distance of D 1 from the sound source, D 1 is the distance S1 is measured from the sound source, and D 2 is S 2 measured from the sound source. means the distance

도 5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는 거리에서는 80dB 내지 90dB 수준의 목소리 크기가 유지됨을 알 수 있으며, 목소리가 커지는 경우에 90dB 수준으로 목소리의 크기가 증가할 수도 있으나, 1.5미터 이상 떨어진 곳에서는 75dB 수준까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일반적으로 안정감 있는 대화가 가능한 데시벨 값인 75dB을 기준으로 그 이상인 경우, 통상적인 대화가 이루어지는 거리에서 주변에 피해없이 안정적인 대화를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t can be seen that the voice level of 80 dB to 90 dB is maintained at a distance where a normal conversation takes place, and when the voice becomes louder, the volume of the voice may increase to 90 dB level, but at a distance of 1.5 meters or more It can be seen that it is reduced to a level of 75 dB. That is, it can be seen that, when it is higher than 75 dB, which is a standard decibel value for which a stable conversation is possible, stable convers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damage to the surroundings at a distance where a normal conversation takes place.

도 6은 상대적으로 조용한 공간인 카페와 시끄러운 공간인 식당에서의 소음 통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6 is a graph showing noise statistics in a cafe, which is a relatively quiet space, and a restaurant, which is a noisy space.

주변 소음에 대한 기준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장소에 대한 변수와 소리 자체의 변수가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모든 변수를 고려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어려우므로, 장소에 대한 변수를 시끄러운 공간, 조용한 공간, 위험상황의 세 가지로 구분하고, 소리 자체의 변수 중에서는 음량과 측정 위치의 두 가지를 선정하여 기준치 설정을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In order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ambient noise, both the variables of the place and the variables of the sound itself must be considered. Since it is physically difficult to consider all variables, the variables for a place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 noisy space, a quiet space, and a dangerous situation.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상대적으로 조용한 공간으로서 대표적인 공간을 카페, 시끄러운 공간으로서 대표적인 공간을 식당으로 선정하여 소음측정 기준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의 음량을 측정하였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식당은 최대 101.6dB, 최소 50.8dB의 범위 내에서 평균 75dB 수준의 소음 크기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카페는 식당은 최대 94.2dB, 최소 40.8dB의 범위 내에서 최대 평균 55.5dB 수준의 소음 크기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계 결과를 기초로 도 3을 통해 전술한 목소리 조절을 위한 주변 소음에 대한 기준을 상대적으로 조용한 공간과 시끄러운 공간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The representative space as a relatively quiet space was selected as a cafe, and the representative space as a noisy space was selected as a restaurant, and the volume was measured at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standard. Referring to (a) of FIG. 6 , it can be seen that the restaurant exhibits an average noise level of 75 dB within a range of a maximum of 101.6 dB and a minimum of 50.8 dB. Referring to (b) of FIG. 6 , it can be seen that cafes and restaurants have a maximum average noise level of 55.5 dB within a range of 94.2 dB maximum and 40.8 dB minimum. Based on these statistical results, the criteria for the ambient noise for voice control described above were set by dividing them into a relatively quiet space and a noisy space through FIG. 3 .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소리 인지가 필요한 위험상황을 자동차 클락션이 울리는 상황으로 설정하여 소음측정 기준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의 음량을 측정하였다. 특히, 착용자의 후방에서 클락션이 울리는 상황을 가정하였으며, 제 1 음향센서(111) 및 제 2 음향센서(112)가 위치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전후방에서 측정된 소음의 크기는 모두 100dB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도 3을 통해 전술한 위험상황 인지를 위한 주변 소음의 기준은 100dB로 설정하였다.Although not shown, the sound volume was measured at a specific location accor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standard by setting a dangerous situation requiring sound recognition as a car clock sounding situation.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hat the clasp sounds from the rear of the wearer, and the noise levels measur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wearable device 100 in which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are located are all 100 dB or more. did. Therefore, the reference of the ambient noise for recognizing the above-described dangerous situation through FIG. 3 was set to 100 dB.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assistance method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방법은, 청각장애인이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 1 음향센서(111) 및 제 2 음향센서(112)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하는 단계(S100),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제어모듈(130)이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을 기초로 웨어러블 디바이스(100)의 진동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00) 및 분석이 시작되면, 제어모듈(130)이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을 기초로 진동모듈(1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communication assistance method for the acquired hearing impair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of the wearable device 100 worn by the hearing impaired person ) measuring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and noise of the deaf person through (S100), the control module 130 of the wearable device 100 based o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120 of the wearable device 100 (S200) and when the analysis starts, the control module 130 is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t may include a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120 based o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S30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00)에서는, 제어모듈(130)이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진동모듈(1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S200)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module 130 determines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70 dB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동모듈(1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300)에서는,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이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제 1 음향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를 추정하여 진동모듈(12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In the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is 7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13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is 55.5 dB or more,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and the secon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vibration module 120 operates by estimating a difference in decibel values of noise measured by the acoustic sensor 112 .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200)에서는, 소음의 데시벨 값과는 상관없이 제 1 음향센서(111) 및 제 2 음향센서(112)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100dB 이상인 경우, 제어모듈(130)이 진동모듈(120)을 동작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ep (S200)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coustic sensor 111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112 measure the measured value regardless of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is 10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130 may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120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시스템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Regard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may be applied. Accordingly, in relation to the method, descriptions of the same contents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system are omitt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코드를 기록하는 기록 매체는, 반송파(carrier waves)나 신호들과 같이 일시적인 대상들은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DVD 등)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recorded in a computer. In other words,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written as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on a computer, and can be implemented in a general-purpose digital computer that operates the program using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data used in the above-described method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rough various means. A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an executable computer program or code for performing various method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cluding temporary objects such as carrier waves or signals.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storage medium such as a magnetic storage medium (eg,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etc.) and an optically readable medium (eg, a CD-ROM, a DVD, etc.).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웨어러블 디바이스 110: 음향센서
111: 제 1 음향센서 112: 제 2 음향센서
120: 진동모듈 130: 제어모듈
140: 통신모듈 200: 서버
300: 사용자 단말
100: wearable device 110: acoustic sensor
111: first acoustic sensor 112: second acoustic sensor
120: vibration module 130: control module
140: communication module 200: server
300: user terminal

Claims (10)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청각장애인의 목 둘레를 따라 밀착되도록 일부가 단절된 환(ring)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상기 청각장애인이 위치한 장소의 소음을 감지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된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고, 상기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의 판단을 위한 기준치를 결정하는 서버;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제어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생성되는 모니터링 정보의 출력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한 사용자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In the communication assistance system for acquired hearing impaired,
A wearable device manufactured in a ring shape in which a part is cu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neck of the deaf person and detects the voice of the deaf person and the noise of the place where the deaf person is located;
a server for time-series analysis of decibel values of voice and noise measured through the wearable device, and determining a reference value for judging the size of the voice compared to the noise; and
and a user terminal capable of driving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earable device and outputting monitor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ser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상기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하기 위한 음향센서;
상기 청각장애인이 스스로 목소리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알람을 출력하는 진동모듈; 및
상기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시벨 값을 기초로 상기 소음 대비 목소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earable device,
an acoustic sensor for measuring decibel values of the voice and noise;
a vibration module for outputting an alarm so that the deaf person can monitor his/her own voice; and
and a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voice compared to the noise based on the decibel value measured by the acoustic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센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전방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음향센서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후방 중심에 배치되는 제 2 음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ound sensor is
A system comprising: a first acoustic sensor disposed at both front ends of the wearable device; and a second acoustic sensor disposed at a rear center of the wearable devi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module is
Th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tart th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by determining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상기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상기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를 추정하여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module is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is 55.5 dB or more, a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second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vibration module operates by estim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 1 음향센서 및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또는 소음의 데시벨 값이 100dB 이상인 경우, 상기 진동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trol module is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or noise measured by the first and second acoustic sensors is 100 dB or more, the vibration module is operated.
후천적 청각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보조 방법에 있어서,
청각장애인이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 1 음향센서 및 제 2 음향센서를 통해 상기 청각장애인의 목소리 및 소음의 데시벨 값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제어모듈이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을 기초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상기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을 기초로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In the communication assistance method for acquired hearing impaired,
measuring decibel values of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voice and noise through a first acoustic sensor and a second acoustic sensor of a wearable device worn by the hearing impaired;
determining, by the control module of the wearable device, whether to start an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of the wearable device based o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determining, by the control module,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based o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when the analysis is started How to includ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tart the analys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vibration module by determining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sound sensor is 70 dB or more.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이 70dB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이 55.5dB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 1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의 데시벨 값과 상기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소음의 데시벨 값의 차이를 추정하여 상기 진동모듈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vibration module operates,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is 7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is 55.5 dB or more, and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the vibration module by estimating a difference betwe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decibel value of the noise measured by the second acoustic sensor based on the first acoustic sens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의 시작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 1 음향센서 및 제 2 음향센서에 의해 측정된 목소리 또는 소음의 데시벨 값이 100dB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진동모듈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tart the analysis,
When the decibel value of the voice or noise measured by the first acoustic sensor and the second acoustic sensor is 100 dB or more, the control module operates the vibration module.
KR1020200011426A 2020-01-30 2020-01-30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KR1023896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426A KR102389619B1 (en) 2020-01-30 2020-01-30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426A KR102389619B1 (en) 2020-01-30 2020-01-30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567A true KR20210097567A (en) 2021-08-09
KR102389619B1 KR102389619B1 (en) 2022-04-25

Family

ID=7731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426A KR102389619B1 (en) 2020-01-30 2020-01-30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6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906A (en) * 1998-04-14 2003-08-19 ヒアリング エンハンスメント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adjustable ability to the taste of hearing-impaired and non-hearing-impaired listeners
JP2013058820A (en) * 2011-09-07 2013-03-28 Ehime Univ Voice volume display terminal and voice volume display program
KR101484930B1 (en) * 2006-10-13 2015-01-21 러트거스,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Methods and systems for screening and treatment of young infants demonstrating deficits in auditory processing
KR20180012474A (en) * 2016-07-27 2018-02-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Voice control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rson
KR20180083682A (en) 2017-01-13 2018-07-23 박지원 Assistance system for hearing-impaired peop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4906A (en) * 1998-04-14 2003-08-19 ヒアリング エンハンスメント カンパニー,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adjustable ability to the taste of hearing-impaired and non-hearing-impaired listeners
KR101484930B1 (en) * 2006-10-13 2015-01-21 러트거스, 더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Methods and systems for screening and treatment of young infants demonstrating deficits in auditory processing
JP2013058820A (en) * 2011-09-07 2013-03-28 Ehime Univ Voice volume display terminal and voice volume display program
KR20180012474A (en) * 2016-07-27 2018-02-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Voice control device for hearing impaired person
KR20180083682A (en) 2017-01-13 2018-07-23 박지원 Assistance system for hearing-impaired peop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619B1 (en)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441B2 (en) Smart hearing aid
EP3108646B1 (en) Environment sensing intelligent apparatus
US10848887B2 (en) Blocked microphone detection
US20130142345A1 (en) Hea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US11612320B2 (en) Cognitive benefit measure related to hearing-assistance device use
US8488825B2 (en) Hearing aid and hearing aid system
KR101535112B1 (en) Earphone and mobile apparatus and system for protecting hearing,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12168499A (en) Sound correcting device, sound correcting method, and sound correcting program
CN116324969A (en) Hearing enhancement and wearable system with positioning feedback
US11842725B2 (en) Detection of speech
CN113395647A (en) Hearing system with at least one hear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CN110830866A (en) Voice assistant awakening method and device, wireless earphone and storage medium
WO2021030463A1 (en) Method for safe listening and user engagement
WO2011026113A2 (en) Hearing aid feedback noise alarms
KR102389619B1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and method for acquired deaf people
CN108810787B (en) Foreign matter det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audio equipment and terminal
AU201720262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KR101737270B1 (en) Automatic directional-gain control Hearing Aids aid automatic control system for direction of sound
US8107660B2 (en) Hearing aid
JP2019090962A (en) Voice detection system and voice detection method
KR20050109323A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the hearing ability test function
US20220141600A1 (en) Hear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of adjusting an output sound of the hearing assistance device
CN114073004A (en) Automatic gradual transition of volume to ambient no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