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458A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458A
KR20210097458A KR1020200011181A KR20200011181A KR20210097458A KR 20210097458 A KR20210097458 A KR 20210097458A KR 1020200011181 A KR1020200011181 A KR 1020200011181A KR 20200011181 A KR20200011181 A KR 20200011181A KR 20210097458 A KR20210097458 A KR 20210097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tirrer
water
tub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1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훈봉
배순철
최문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458A/en
Publication of KR20210097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45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6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which can determine whether tangled clothing is untangled. The control method of a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comprises: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a tub; a first water current forming step of forming a water current in a drum provided in the tub by rotating only an agitator provided in the drum without rotating the drum; a firs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agitato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 cloth untangling step of alternately performing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agitator if a first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first measurement step is larg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 second measurement step which is started after completion of the cloth untangling step, and measures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agitato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nd a second water current forming step which is started if a second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measurement step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forms a water current in the drum by rotating only the agitator without rotating the drum.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출원은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세탁대상물, 건조대상물)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s a concept including an apparatus for washing clothes (a laundry object, an object to be dried), an apparatus for drying clothes, and an apparatus for performing both washing and drying of clothes.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된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된 교반부,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회전축, 상기 드럼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부와 모터의 로터에 연결된 교반부 회전축, 상기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연결하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Among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a cabinet, a tub provided in the cabinet to store water, a drum provided in the tub, a stirring unit provided in the drum, a drum rotating shaft rotating the drum, and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drum rotating shaft There was a thing including a rotating shaft of the stirring unit connected to the stirring unit and the rotor of the motor, and a clutch connecting the drum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클러치가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연결하는 위치에 있으면 드럼 및 교반부가 함께 회전하고, 상기 클러치가 드럼회전축과 로터를 분리시키는 위치에 있으면 교반부만 회전하는 구조이다.In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 described above, when the clutch is positioned to connect the drum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the drum and the stirring unit rotate together, and when the clutch is positioned to separate the drum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only the stirring unit rotates.

상술한 구조의 의류처리장치들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오물을 분리하는 세탁단계, 상기 교반부를 회전시켜 의류에서 세제를 제거하는 헹굼단계,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단계, 드럼과 교반부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되었다.In the above-described clothes treatment apparatuses,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a washing step of rotating the stirring unit to separate dirt from clothes, a rinsing step of removing detergent from clothes by rotating the stirring unit, and draining the water from the tub It was provided to include a draining step to separate the water from the clothes by rotating the drum and the stirring unit in the same direction.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상기 세탁단계나 헹굼단계의 진행 중 의류의 엉킴을 풀어주는 포풀기단계를 진행하는 것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포풀기단계가 구비된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상기 포풀기단계의 완료 후 의류의 엉킴이 얼마나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 없어, 상기 포풀기단계의 효과를 실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Among the conventional clothes treatment apparatuses, there is a fabric unwinding step of untangling clothes during the washing or rinsing step. 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nventional laundry treatment apparatuses provided with the cloth unwinding step do not realize the effect of the cloth unwinding step because there is no process of determining how much the tangle of the clothes has been resolved after the cloth unwinding step is completed.

본 출원은 포풀기단계의 완료 후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함으로써 의류의 엉킴이 풀렸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clothes are untangled by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after completion of the unrolling step and comparing the measured vibr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ke it a task to be solved.

또한, 본 출원은 탈수단계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배수단계와 중첩되게 함으로써, 탈수단계의 진행 시 드럼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minimiz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drum during the dehydration step by allowing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dewatering step to overlap the draining step. do it with

본 출원은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에 구비된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수류형성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실행하는 포풀기단계; 상기 포풀기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이하인 때 개시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2수류형성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a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agitator among the drum provided in the tub and the stirrer provided in the drum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a firs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first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first measurement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 popping step of performing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 secon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ch is started after completion of the popping step, and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It is started when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measuring step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a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stirre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includes; To provide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ehydration step that is started after completion of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and separates water from clothes by rot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진동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회전수보다 큰 제2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및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2회전수로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hydration step may include: a first acceleration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preset first rotational speed; a dehydration vibr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 second acceleration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second rotational speed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dewatering vibration value measured in the dewatering vibration measuring ste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ibration reference value; and a maintenance step of maintaining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의 진행 중 개시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step tha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inside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tub, and is initiated during the first acceleration step or during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ement step.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 회전축;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출원은 의류의 양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기준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수류형성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상기 교반기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포풀기단계; 상기 포풀기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 이하인 때 개시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2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a tub in which water is store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store clothes; a stirrer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drum; a drum rotating shaft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to rotate the drum; an agitator rotating shaf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drum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stirrer; a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and a vibration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ing: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up to a reference water level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othes; a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stirre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a firs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first measuring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 popping step of alternately performing 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 secon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ch is started after completion of the popping step, and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of starting when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measuring step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rotating only the stirre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and a dehydration step that starts after completion of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and separates water from clothes by rot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제1측정단계 및 상기 제2측정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공진유발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가 상기 공진유발 RPM에 도달하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 및 상기 공진유발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와 상기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의 진행 중 상기 드럼에 발생된 언밸런스의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measuring step and the second measuring step may include: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resonance-inducing RPM; de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0 RPM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reaches the resonance-inducing RPM; and measuring the degree of unbalance generated in the drum during the steps of accelerating to the resonance-inducing RPM and decelerating to 0 RPM.

상기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공진유발 RPM으로 유지하는 과정없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가 상기 공진유발 RPM에 도달한 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celerating to 0 RPM may be started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reaches the resonance-inducing RPM without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resonance-inducing RPM.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진동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회전수보다 큰 제2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및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2회전수로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hydration step may include: a first acceleration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preset first rotational speed; a dehydration vibr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 second acceleration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second rotational speed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dewatering vibration value measured in the dewatering vibration measuring ste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ibration reference value; and a maintaining step of maintaining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의 진행 중 개시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step tha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inside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tub, and is initiated during the first acceleration step or during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ement step.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탈수진동 값이 상기 진동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포풀기 급수단계; 및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상기 교반기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교반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when the dehydration vibr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vibration reference value,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the stirrer; Populgi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and a stirring step of alternately performing 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may be provided to proceed sequentially.

상기 포풀기 급수단계를 통해 상기 터브에 공급된 물은 상기 교반단계의 완료 후 재개되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water supplied to the tub through the popping water supply step may be provide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during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ement step, which is resumed after the stirring step is completed.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측정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터브에 기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3수류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thir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ich is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ing step;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a preset amount of water to the tub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nd a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agitato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during the progress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제1기준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의 개시 후 상기 제1측정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이하가 되도록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이하인 때 개시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water level sensing step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tub, which is performed after the start of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an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ing step; and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in the water level sensing step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tub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measuring step includes: It may be started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측정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 및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터브에 기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는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thir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ich is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ing step; and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a preset amount of water to the tub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further comprising, wherein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includes: It may be started while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is in progress or after completion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3수류형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가 개시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제1기준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the control method,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agitato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 and, the first measuring step may be started after a preset reference time has elapsed from when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is started. The second reference value may be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본 출원은 포풀기단계의 완료 후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고, 측정된 진동과 기 설정된 기준 값을 비교함으로써 의류의 엉킴이 풀렸는지 여부를 판단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clothes are untangled by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after completion of the unrolling step and comparing the measured vibration with a preset reference valu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t works.

또한, 본 출원은 탈수단계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배수단계와 중첩되게 함으로써, 탈수단계의 진행 시 드럼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applica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minimiz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drum during the dewatering step by allowing at least some sections of the dewatering step to overlap the draining step.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구동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상기 구동부의 작동과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2 shows an example of a driving unit.
3 and 4 show an example of an operation process of the driving uni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출원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configuration or control method of the device to be described below is only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not for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same reference numbers us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2),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3),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includes a cabinet 1 , a tub 2 provided in the cabinet to store water, and a drum 3 rotatably provided in the tub to store clothes. ), including a stirrer (4)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drum.

상기 캐비닛(1)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면에 투입구(11)가 구비된다. 상기 투입구(11)는 상기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The cabinet 1 may be provided to form the exterior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an inlet 11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The inlet 11 is opened and closed by a door 13 rotatably fixed to the cabinet 1 .

상기 캐비닛(1)에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고,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와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컨트롤패널(1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코스 등의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51),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스위치(15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15)에는 표시부에 표시된 제어명령을 선택 가능하게 하는 제1입력부(155), 사용자가 상기 제1입력부를 통해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을 요청 가능하게 하는 제2입력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The cabinet 1 may include a control panel 15 for inputting a control command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and display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rol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control panel 15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for displaying information such as a course selectable by a user, and a power switch 153 for supplying power to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 addition, the control panel 15 includes a first input unit 155 for selecting a control comm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second input unit 157 for enabling a user to request execution of a control command select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may be provided.

상기 터브(2)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을 저장하는 터브 바디(21), 및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 바디 내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터브 투입구(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The tub 2 includes a tub body 21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store water, and a tub inle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21 to communicate the inside of the tub body with the outside ( 23) is provided to include.

상기 터브 바디(21)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터브 지지부(22)를 통해 상기 캐비닛(1)에 고정된다. 상기 터브 투입구(23)는 상기 투입구(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The tub body 21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is fixed to the cabinet 1 through the tub support part 22 . The tub inlet 23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inlet 11 .

상기 터브(2)는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받고, 배수부를 통해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급수부는 급수원에 연결된 급수관(24),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급수관(24)을 개폐하는 밸브(25)로 구비될 수 있다.The tub 2 receives water through a water supply unit, and discharges water stored in the tub 2 through a drain uni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 The water supply unit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ipe 24 connected to a water supply source, and a valve 2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water supply pipe 24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a control unit.

상기 급수관(24)은 상기 터브 투입구(23)를 통해 물을 터브 바디(21)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2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급수홀(미도시)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전자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water supply pipe 24 may be provided to supply water to the tub body 21 through the tub inlet 23 , and to a water supply hole (not shown)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tub body 21 . It may be provided to be connected. 1 shows the former as an example.

상기 배수부는 펌프(27),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물을 상기 펌프(27)로 안내하는 제1배수관(26), 상기 펌프(27)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캐비닛(1)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2배수관(28)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 unit includes a pump 27 , a first drain pipe 26 for guiding water inside the tub body 21 to the pump 27 , and a water discharged from the pump 27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 It may be provided as a second drain pipe 28 to guide.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터브(2)에는 수위감지부(2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부(29)는 터브 바디(21) 내부의 수위를 감지 가능한 한 어떠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수위감지부(29)가 상기 터브 바디(21)의 압력을 이용하여 수위를 판단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In order to detec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21 , the tub 2 may further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ng unit 29 .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29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it can detec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body 21 . In FIG. 1 , the water level sensing unit 29 uses the pressure of the tub body 21 . A case provided to determine the water level is shown as an example.

상기 터브(2)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3)은 상부면에 드럼 투입구(33)가 구비된 원통형상의 드럼 바디(3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투입구(33)는 상기 터브 투입구(23)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상기 투입구(11)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는 상기 터브 투입구(23) 및 드럼 투입구(33)를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로 공급될 것이다.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과 원주면에는 다수의 드럼 관통홀(32)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 관통홀(32)을 통해 상기 드럼 바디(31) 내부 공간은 상기 터브 바디(21)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The drum 3 provided inside the tub 2 may be provided as a cylindrical drum body 31 having a drum inlet 33 on its upper surface. Since the drum inlet 33 is located below the tub inlet 23 , the clothes supplied through the inlet 11 are supplied to the drum body 31 through the tub inlet 23 and the drum inlet 33 . will be supplied with A plurality of drum through-holes 32 are provided on the bottom and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drum body 31 . The inner space of the drum body 31 communicates with the inner space of the tub body 21 through the drum through hole 32 .

상기 의류처리장치(100)는 상기 드럼 바디(3)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드럼 바디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교반기(4)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교반기(4)가 드럼 바디(31)의 바닥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교반기(4)는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허브(41), 상기 허브에 고정된 다수의 암(43)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암(43)은 상기 허브(41)에서 상기 드럼 바디(31)의 원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 다수의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to include a stirrer 4 rotatably provided on the drum body 3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body. 1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tirrer 4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um body 31 as an example. The stirrer 4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hub 41 forming a center of rotation. ,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rms 43 fixed to the hub. The plurality of arms 43 may be provided as a plurality of bars radially protruding from the hub 41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um body 31 .

상기 드럼 바디(31)와 상기 교반기(4)는 구동부(5)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구동부(5)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고정되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스테이터(52),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53),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드럼 바디(31)에 고정되고, 자유단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위치하는 드럼 회전축(제1회전축, 54), 상기 제1회전축(54)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일단은 상기 로터(53)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교반기의 허브(41)에 고정된 교반기 회전축(제2회전축, 55)을 포함한다.The drum body 31 and the stirrer 4 are rotated by a driving unit 5 . The driving unit 5 includes a stator 52 fixed to the outside of the tub body 21 to form a rotating magnetic field, a rotor 53 provided outside the tub body 21 to rotate by the rotating magnetic field, I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one end is fixed to the drum body 31, and the free end is a drum rotation shaft (first rotation shaft, 54) positioned outside the tub body 21, the first rotation shaft It is provided to pass through 54, and one end is fixed to the rotor 53,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stirrer rotating shaft (second rotating shaft, 55) fixed to the hub 41 of the stirrer.

상기 스테이터(52)는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스테이터(52)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 바디에 고정된 지지부(51)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The stator 52 may be provided in a ring shape, and is provided to include a coil that forms a rotating magnetic field when current is supplied. The stator 52 may be directly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or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support part 51 fixed to the tub body.

상기 로터(53)는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테이터(52)의 원주면은 상기 로터(53)의 내측 원주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터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영구자석(351)이 구비되는데, 상기 영구자석들(351)은 N극과 S극이 교번적으로 노출되도록 로터의 내주면에 고정되어야 한다.The rotor 53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ne surface open,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52 is provided to fac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53 . A plurality of permanent magnets 351 ar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and the permanent magnets 351 must be fix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or so that N poles and S poles are alternately expos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54)은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축 바디(541), 상기 축 바디(541)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축 바디의 길이 방향(Y축 방향)를 따라 구비된 축 관통홀(543), 상기 축 바디(541)의 원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 바디(3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드럼 체결부(54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 체결부(545)는 상기 축 바디(541)에 고정된 디스크로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first rotating shaft 54 is provided to pass through a shaft body 541 provided to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 and the shaft body 541 to pass through the shaft body. A shaft through-hole 543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drum fastening part 545 may be provided as a disk fixed to the shaft body 541 .

상기 축 바디(541)의 원주면에는 상기 제1회전축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축 기어(547)가 구비된다. 상기 제1축 기어(547)는 상기 축 바디(541)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터브 바디(21)의 외부에 노출된 공간에 구비되어야 한다. 도 2는 상기 제1축 기어(547)가 상기 축 바디(541)의 자유단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A first shaft gear 547 provid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 shaft is provid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body 541 . The first shaft gear 547 should be provided in a spac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ub body 21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shaft body 541 .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first shaft gear 547 is provided at the free end of the shaft body 541 .

상기 제2회전축(55)은 상기 축 관통홀(543)에 삽입되어 일단은 상기 허브(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로터(53)에 고정된다. 상기 제2회전축(55)은 상기 축 관통홀(543) 내부에 고정된 베어링(5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회전축(54)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second rotation shaft 55 is inserted into the shaft through hole 543 , and one end is fixed to the hub 41 ,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otor 53 . The second rotation shaft 55 may be rotatably fix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54 by being inserted into the bearing 551 fixed inside the shaft through hole 543 .

상기 제2회전축(55)은 항상 상기 로터(53)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상기 제1회전축(54)은 동력 전달부(T)에 의해 상기 로터(53)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로터(53)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The second rotation shaft 55 always maintains a state connected to the rotor 53, but the first rotation shaft 54 may be connected to the rotor 53 by a power transmission unit T, and the rotor ( 53) can also be isolated.

상기 동력 전달부(T)는 상기 터브 바디(21)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스토퍼(56), 상기 로터(53)에 구비되어 상기 제2회전축(55)이 고정되는 고정부(57), 상기 제1축 기어(547)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6)와 고정부(57) 사이를 왕복하도록 구비된 클러치(58)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T includes a stopper 56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21 , a fixing unit 57 provided in the rotor 53 to which the second rotation shaft 55 is fixed, and the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lutch 58 provided to reciprocate between the stopper 56 and the fixing part 57 in a state coupled to the first shaft gear 547 .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지지부(51)를 통해 상기 터브 바디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6)는 상기 지지부(51)에 고정된 스토퍼 바디(561), 상기 스토퍼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축 바디(541)가 삽입되는 스토퍼 관통홀(563), 상기 스토퍼 바디(561)에 구비되어 상기 클러치(58)의 상부면이 고정되는 제1체결부(56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1체결부(565)가 상기 스토퍼 관통홀(563)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 다수의 홈으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1 , the stopper 56 may be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body through the support part 51 . As shown in FIG. 2 , the stopper 56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stopper body 561 fixed to the support part 51 and the stopper body, and the stopper through-hole 563 into which the shaft body 541 is inserted. ), the stopper body 561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first fastening portion 565 to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clutch 58 is fixed. 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565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stopper through hole 563 as an example.

상기 고정부(57)는 상기 로터(53)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회전축(55)의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바디(571), 상기 고정바디(571)에 상기 고정바디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제2축 기어(575)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57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otor 53, the fixing body 571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55 is fixed, the fixing body 571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xing body ( Y-axis direction)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second axis gear 575 provided along.

상기 제2축 기어(575)는 상기 제2회전축(55)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축 기어(575)의 직경은 상기 제1축 기어(547)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shaft gear 575 is provid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rotation shaft 55 , and the diameter of the second shaft gear 575 is set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first shaft gear 547 . It is preferable to be

상기 고정바디(571)에는 상기 클러치(58)의 하부면이 고정되는 제2체결부(57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573)는 상기 고정바디(571)에 구비되어 상기 제2축 기어(575)를 감싸도록 배치된 다수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xed body 571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fastening portion 573 to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clutch 58 is fixe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573 may be provided on the fixed body 571 and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shaft gear 575 .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체결부(565)와 제2체결부(573) 사이에 위치하는 클러치 바디(581), 상기 클러치 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회전축(54)이 삽입되는 클러치 관통홀(587), 상기 클러치 관통홀(587)에 구비되어 상기 제1축 기어(547)에 체결되는 클러치 기어(589)를 포함한다.The clutch 58 is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clutch body 581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art 565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573, the clutch body, into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54 is inserted. It includes a clutch through hole 587 and a clutch gear 589 provided in the clutch through hole 587 and fastened to the first shaft gear 547 .

상기 클러치 바디(581)는 상기 제1축 기어(547) 및 상기 클러치 기어(589)를 통해 상기 제1회전축(54)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클러치 바디(581)는 상기 제1회전축(54)의 높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Since the clutch body 581 maintains a stat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54 through the first shaft gear 547 and the clutch gear 589, the clutch body 581 is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 54) is movable along the height direction (Y-axis direction).

상기 클러치 기어(589)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상기 제2축 기어(575)를 연결한다. 즉, 상기 클러치 바디(581)가 상기 로터(53)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기어(589)의 상단은 상기 제1축 기어(547)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클러치 기어(589)의 하단은 상기 제2축 기어(575)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e clutch gear 589 connects the first shaft gear 547 and the second shaft gear 575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clutch body 581 . That is, when the clutch body 581 moves toward the rotor 53 , the upper end of the clutch gear 589 remain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ear 547 , and The lower end may maintain a state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gear 575 .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1체결부(565)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러치 제1체결부(583)가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하부면에는 상기 제2체결부(57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클러치 제2체결부(585)가 구비된다.A clutch first fastening part 583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art 565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utch body 581 ,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583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lutch body 581 . A clutch second fastening part 585 detachably coupled to the part 573 is provided.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583)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상부면에서 돌출된 다수의 돌기가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되고,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585)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하부면에 구비된 다수의 홈들이 링을 형성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The clutch first fastening part 583 is provided such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lutch body 581 are arranged to form a ring, and the clutch second fastening part 585 is the clutch body 581 . ), a plurality of groove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may be provided by being arranged to form a ring.

상기 클러치 제1체결부(583)가 상기 제1체결부(565)에 결합하면, 상기 클러치 기어(589)는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제2축 기어(575)가 분리된 상태(제1회전축과 로터가 분리된 상태)를 만든다. 이와 반대로, 상기 클러치 제2체결부(585)가 상기 제2체결부(573)에 결합하면, 상기 클러치 기어(589)는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제2축 기어(575)가 연결된 상태(제1회전축과 로터가 연결된 상태)를 만들게 된다.When the first coupling part 583 of the clutch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565, the clutch gear 589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haft gear 547 and the second shaft gear 575 are separated (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the rotor are separated). On the contrary, when the clutch second fastening part 585 is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573 , the clutch gear 589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ear 547 and the second shaft gear 575 . A state (a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al shaft and the rotor are connected) is created.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조의 동력 전달부(T)는 클러치 이송부(59a, 59b)를 통해 제1지점(P1)과 제2지점(P2) 사이를 왕복 가능하다. 상기 제1지점(P1)은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상기 제2축 기어(575)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점이고, 상기 제2지점(P2)은 상기 제1축 기어(547)와 상기 제2축 기어(575)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지점이다.3 and 4 , the power transmission unit 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reciprocable between the first point P1 and the second point P2 through the clutch transfer units 59a and 59b. The first point P1 is a point at which the first shaft gear 547 and the second shaft gear 575 are maintained in a separated state, and the second point P2 is the first shaft gear 547 . ) and the second shaft gear 575 are maintained in a connected st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 이송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59a),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클러치(58)의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동력변환부(59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1, the clutch transfer un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motor 59a f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nd a power conversion unit 59b for conver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clutch 58. there i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력변환부(59b)는 모터의 회전축(59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592), 상기 회전판에 연결된 연결 바(593), 상기 연결 바(593)에 의해 하우징(596)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595), 일단은 상기 피스톤(595)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클러치 바디(581)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작동 바(597)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power conversion unit 59b includes a rotating plate 592 rotating by a rotating shaft 591 of the motor, a connecting bar 593 connected to the rotating plate, and a housing by the connecting bar 593 . A piston 595 reciprocating linearly inside 596 may be provided to include an operation bar 59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iston 595 and the other end supporting the clutch body 581 .

상기 작동 바(597)는 상기 클러치 바디(581)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클러치 지지부(597a),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와 상기 피스톤(595)을 연결하는 피스톤 연결부(597b)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 바(597)는 바 회전축(598)을 통해 상기 지지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데, 도 3은 상기 바 회전축(598)이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를 상기 지지부(5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회전판(592)의 회전을 통해 상기 클러치(58)는 도 3의 상태와 도 4의 상태를 반복할 것이다.The operation bar 597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clutch support portion 597a supporting the lower surface of the clutch body 581 and a piston connecting portion 597b connecting the clutch support portion 597a and the piston 595 to each other. can The operation bar 597 is rotatably fixed to the support part 51 through a bar rotation shaft 598 . In FIG. 3 , the bar rotation shaft 598 rotates the clutch support part 597a to the support part 51 . A case in which it is possible is shown as an example. Throug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592, the clutch 58 will repeat the state of FIG. 3 and the state of FIG.

즉, 도 3의 상태에 있는 상기 회전판(592)이 상기 모터(59a)에 의해 회전하면, 상기 피스톤(595)은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를 상기 제1회전축(54) 방향으로 밀어준다.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가 상기 제1회전축(54)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56)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고정부(57)에 연결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도 4의 상태, 제2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52)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드럼(3)과 교반기(4) 중 교반기만 회전하게 될 것이다.That is, when the rotating plate 592 in the state of FIG. 3 is rotated by the motor 59a, the piston 595 pushes the piston connecting portion 597b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otational shaft 54 . When the piston connecting part 597b moves toward the first rotational shaft 54, the free end of the clutch support part 597a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topper 56, and in this process, the clutch 58 engages the It will move until it is connected to the fixing part 57 (state of FIG. 4, it will move until it reaches the second point).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stator 52 in this state, only the agitator among the drum 3 and the agitator 4 will rotate.

또한, 도 4의 상태에 있는 회전판(592)이 회전하면, 상기 피스톤(595)은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를 상기 제1회전축(5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스톤 연결부(597b)가 상기 제1회전축(54)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클러치 지지부(597a)의 자유단은 상기 스토퍼(56)를 향해 이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스토퍼(56)에 연결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도 3의 상태, 제1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이동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테이터(52)에 전력이 공급되면,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rotating plate 592 in the state of FIG. 4 rotates, the piston 595 moves the piston connecting portion 597b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rotating shaft 54 . When the piston connection part 597b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rotation shaft 54, the free end of the clutch support part 597a moves toward the stopper 56, and in this process, the clutch 58 moves the It will move until it connects to the stopper 56 (state of FIG. 3, it will move until it reaches the first point). When electric power is supplied to the stator 52 in this state,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will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는 상기 드럼(3)의 회전 시 발생하는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6)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감지부(6)는 상기 로터(53)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터브(2)의 진동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추정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상기 진동감지부(6)가 상기 터브 바디(21)에 고정되어 상기 드럼의 진동을 추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is provided with a vibration sensing unit 6 that measures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drum 3 rotates. The vibration sensing unit 6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rotor 53 to measure the vibration of the drum, and the vibration of the drum 3 by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tub 2 . It may be provided to estimate .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vibration sensing unit 6 is fixed to the tub body 21 to estimate the vibration of the drum.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부의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 바디(21)에 기 설정된 기준주위까지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S10), 상기 드럼(3)과 상기 교반기(4)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3)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수류형성단계(S20)를 포함한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control method of FIG. 5 is a water supply step (S10) of controlling the valve 25 of the water supply part to supply water to the tub body 21 up to a preset reference circumference (S10), the drum 3 and the agitator 4 and a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of rotating only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3 .

상기 기준수위는 상기 드럼(3)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드럼(3)에 투입된 의류의 양을 판단하기 위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단계(S10)의 이전에 진행되는 포량판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량판단단계는 상기 드럼(3)을 기 설정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52)에 공급된 전류량, 또는 상기 드럼(3)의 회전수를 기 설정된 회전수까지 가속하기 위해 상기 스테이터(52)에 공급된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써 의류의 양을 판단하는 과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reference water level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othes put into the drum 3 . In order to determine the amount of clothes put into the drum 3 , the control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laundry weight determination step performed before the water supply step ( S10 ). The weight determination step includes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stator 52 to rotate the drum 3 by a preset rotation angle, or the stator ( 52) may be provided as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clothing b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device.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는 상기 드럼(3) 내부에 수류를 형성시켜 의류에서 이물질이나 세제를 분리하는 과정으로,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를 통해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이나 의류의 헹굼을 진행한다.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에서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회전축(54)과 상기 로터(53)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제1지점(P1)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에서 상기 교반기(4)는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is a process of forming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3 to separate foreign substances or detergents from clothes. or rinse clothes. In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 S20 ), the clutch 58 is located at a first point P1 at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54 and the rotor 53 are maintained in a separated state. In addition, in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the stirrer 4 is preferably controlled to repeat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의 진행 중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의 진행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시간(제1기준시간)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S25)한다.During the progress of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the control method determines whether the running time of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has reached a preset reference time (a first reference time) (S25).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의 진행시간이 상기 제1기준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측정하는 측정단계(S30, 제1측정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1측정단계(S30)는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를 공진유발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 상기 공진유발 RPM에 도달하면,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의 회전수를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 및 상기 공진유발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와 상기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의 진행 중 상기 드럼에 발생된 언밸런스의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running time of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reaches the first reference time, the control method proceeds to a measuring step (S30, first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3 . The first measuring step (S30) is a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to the resonance-inducing RPM. When the resonance-inducing RPM is reache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is measure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the steps of decelerating to 0 RPM, and measuring the degree of unbalance generated in the drum during the steps of accelerating to the resonance-inducing RPM and decelerating to 0 RPM.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지점(P1)에서 상기 제1회전축(54) 및 상기 로터(53)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지점(P2)으로 이동해야 한다. 상기 공진유발 RPM은 상기 의류처리장치(100)에 공진이 유발되는 회전수로, 그 크기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 및 무게에 따라 다르다.In order to rotate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in the same direction, the clutch 58 maintains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54 and the rotor 53 are connected at the first point P1. to the second point P2. The resonance-inducing RPM is the number of revolutions at which resonance is induced in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00 , and the size thereof varies depending on the structure and weight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를 0 RPM으로 감속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공진유발 RPM으로 유지하는 과정없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가 상기 공진유발 RPM에 도달한 때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step of decelerating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to 0 RPM,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reaches the resonance inducing RPM without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resonance-inducing RPM. It may be provided to be initiated at one time.

상기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값(제1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 이하이면(S31), 상기 제어방법은 제2수류형성단계(S40)를 진행한다.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는 상기 드럼(3) 및 상기 교반기(4) 중 상기 교반기(4)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과정이다.When the valu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measuring step ( S30 )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 S31 ), the control method proceeds to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 S40 ).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is a process of forming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by rotating only the stirrer 4 among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를 진행하기 위해, 상기 클러치(58)는 상기 제1회전축(54)과 상기 로터(53)가 분리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1지점(P1)에 위치해야 하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교반기(4)가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반복하도록 상기 구동부(5)를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the clutch 58 should be located at a first point P1 at which the first rotation shaft 54 and the rotor 53 are maintained in a separated state. , a control unit (not shown)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5 so that the stirrer 4 repeats clockwise rotation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한편, 상기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제1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S31),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교반기(4)의 시계방향 회전과 상기 교반기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여 의류의 엉킴을 완화하는 제1포풀기단계(S35)를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first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measuring step (S30)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S31), the control method alternates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4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of mitigating the tangles of the clothes is performed.

다만, 상기 제1포풀기단계(S35)의 제한없는 반복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포풀기단계(S35)는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의 진행 중 실행된 상기 제1포풀기단계의 실행횟수가 기 설정된 기준횟수 이하인 때에만 진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S33).However, since unrestricted repetition of the first unrolling step (S35) may cause a problem of increasing the operating time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is performed in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 may be provided to proceed only when the number of executions of the first unwinding step executed during the proces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number (S33).

상기 제1포풀기단계(S35)의 완료 후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진동감지부(6)가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S37)를 진행한다. 상기 제2측정단계(S37)는 상술한 제1측정단계(S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fter completion of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the control method is a second method in which the vibration sensing unit 6 measures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 measurement step (S37) is performed. The second measuring step (S37)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vibration of the drum 3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first measuring step (S30).

상기 제2측정단계(S37)는 상기 제1포풀기단계(S35)를 통해 의류의 엉킴이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측정단계(S37)가 실행된 경우,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는 상기 제2측정단계(S37)에서 측정된 제2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 이하인 때에만 개시된다.The second measuring step (S37)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tangle of the clothes has been resolved through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When the second measuring step S37 is executed,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is started only when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measuring step S37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즉, 상기 제2측정단계(S37)에서 측정된 제2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를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제2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포풀기단계(S35) 및 제2측정단계(S37)를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제1포풀기단계(S35)를 통해 의류의 엉킴을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7, S31)가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의 진행 중 드럼에 진동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가능하다.That is, if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measuring step (S37)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ethod proceeds to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However, when the second measurement value is great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ethod sequentially performs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and the second measurement step (S37). Since the control method includes steps (S37 and S31)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tangles of the clothes have been resolved through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the drum during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is in progres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vibration.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진행된다.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배수부의 펌프(27)를 통해 상기 터브(2)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단계(50), 및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제거하는 탈수단계(S60)를 진행한다.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is performed for a preset time. When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is finished, the control method is a drain step (50) of discharging the water stored in the tub (2)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pump (27) of the drain unit (50); And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ar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to remove water from the clothes (S60).

상기 탈수단계(S60)는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를 기 설정된 제1RPM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S61),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의 회전수를 상기 제1RPM으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S63),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진동기준 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5), 상기 탈수진동 값이 상기 진동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를 상기 제1RPM보다 큰 제2RPM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S67), 및 상기 드럼(3) 및 교반기(4)의 회전수를 상기 제2RPM으로 유지하는 유지단계(S69)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ehydration step (S60) is a first acceleration step (S61) of accelerating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to a preset first RPM (S61), and the number of rotations of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is set to the first RPM A spin-drying vibration measurement step (S63)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maintaining at If th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vibration reference value, a second acceleration step (S67) of accelerating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to a second RPM greater than the first RPM, and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maintaining step (S69) of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at the second RPM.

이 경우, 상기 배수단계(S50)는 상기 제1가속단계(S61)의 진행 중 또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63)의 진행 중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이 저장된 터브(2) 내부에서 상기 드럼(3)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배수하면 의류를 드럼(3) 내부에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탈수단계(S60)의 진행 중 상기 드럼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draining step (S50) may be provided to be started while the first acceleration step (S61) is in progress or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ing step (S63) is in progress. When the water inside the tub 2 is drained while the drum 3 rotates inside the tub 2 in which water is stored, the clothes can be evenly distributed in the drum 3, and through this, the dehydration step (S60)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vibration that occurs in the drum during the process.

한편,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S63)에서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진동기준 값보다 크면(S65), 상기 탈수단계(S60)는 제2포풀기단계(S70)를 진행한다. 상기 제2포풀기단계(S70)는 상기 드럼 및 교반기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S71), 및 의류의 엉킴을 풀어주는 급수 및 교반단계(S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 및 교반단계(S73)는 상기 급수부의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포풀기 급수단계, 및 상기 구동부(5)를 제어하여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진행하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dewatering vibration value measured in the dewatering vibration measuring step (S63) is greater than the preset vibration reference value (S65), the dewatering step (S60) proceeds to the second unrolling step (S70). The second unwinding step (S70) may include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drum and the stirrer (S71), and supplying and stirring water to untangle the clothes (S73). The water supply and agitation step (S73) includes a poplar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2 by controlling the valve 25 of the water supply unit, and a 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5 and 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stirring step of alternating counterclockwise rotation.

상기 급수 및 교반단계(S73)의 완료 후 상기 제2포풀기단계(S70)는 상기 포풀기 급수단계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는 탈수배수단계(S75)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배수단계(S75)의 완료 후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탈수단계(S60)를 재개하는데, 상기 탈수배수단계(S75)는 재개된 탈수단계의 제1가속단계(S61) 또는 재개된 탈수단계의 탈수진동 측정단계(S63)의 진행 중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탈수단계(S60)는 기 설정된 탈수시간이 경과하면 종료(S80)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After completion of the water supply and stirring step (S73), the second foam unwinding step (S70) proceeds with a dewatering and draining step (S75) of discharging the water supplied in the foaming water supply step to the outside of the tub. After completion of the dehydration and drainage step (S75), the control method resumes the dehydration step (S60), wherein the dehydration and drainage step (S75) is the first accelerated step (S61) of the resumed dehydration step or the restarted dehydration step. It may be provided to be started during the progress of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ing step (S63). The above-described dehydration step (S60) may be set to end (S80) when a preset dehydration time elapses.

도 6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제1측정단계(S320)의 개시 전 진행되는 제3측정단계(S22),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진동의 크기에 따라 상기 터브(2)에 추가로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S231)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where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third measuring step (S22) and a third measuring step (S22) performed before the first measuring step (S320) is star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S231) of additionally supplying water to the tub (2)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ibration measured in the measuring step.

즉, 도 6의 제어방법은 급수단계(S10)의 완료 후 제1수류형성단계(S20)를 진행한다.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의 개시 후 기 설정된 기준시간(제2기준시간)이 경과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진동감지부(6)가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S22)를 진행한다. 상기 제3측정단계(S22)는 상술한 제1측정단계(S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측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in the control method of FIG. 6 ,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 S20 ) is performed after the water supply step ( S10 ) is completed. When a preset reference time (second reference time) has elapsed after the start of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third method in which the vibration sensing unit 6 measures the vibration of the drum. A measurement step (S22) is performed. Since the third measuring step (S22) may be provided to measure the vibration of the drum 3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described first measuring step (S3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제3측정단계(S22)에서 측정된 측정 값이 기 설정된 기준 값(제2기준 값) 이하이면,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교반기(4)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3수류형성단계(S24)를 진행한다.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24)는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의 진행 중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의 완료 후 개시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f the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S22)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reference value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ethod of FIG. 6 rotates only the stirrer 4 to form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3 Proceed to the water flow forming step (S24).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S24) may be provided to be started while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S231) is in progress, or may be provided to be star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S231).

한편, 상기 제3측정단계(S22)에서 측정된 측정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다면,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급수부의 밸브(25)를 제어하여 상기 터브(2)에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S231)를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S22)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the control method of FIG. 6 controls the valve 25 of the water supply part to supply water to the tub 2 .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S231) is performed.

상기 터브(2)에 물을 추가하면 드럼(3) 내부의 의류가 분산 가능한 공간이 확장되므로, 의류가 엉킬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는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 이후에 진행되는 수류형성단계들(S30, S40)에서 상기 드럼(3)에 발생하는 진동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상기 제2기준 값은 후술할 제1기준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When water is added to the tub 2 , the space in which the clothes inside the drum 3 can be dispersed is expanded,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clothes getting tangled. This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drum 3 in the water flow forming steps ( S30 and S40 ) performed after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 S231 ). In order to maximize this effect,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set to a value smaller than a first reference value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를 통해 상기 터브에 공급되는 물의 양은 상기 드럼에 투입된 의류의 양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도 있고, 의류의 양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o the tub through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S231) may be se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amount of clothes put into the drum, or may be set the same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lothes.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24)의 진행 중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수위감지부(29)를 통해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S27)를 진행한다. 상기 수위감지단계(S27)는 상기 제1측정단계(S30)의 개시 전 진행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는데, 도 6은 상기 수위감지단계(S27)가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가 개시된 후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한 때 진행되도록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During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S24), the control method of FIG. 6 proceeds with a water level detecting step (S27) of detect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ng unit (29). The water level detecting step (S27) should be provide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ing step (S30), and FIG. 6 shows that the water level detecting step (S27)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is started. A case in which it is provided to proceed when one reference time has elapsed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상기 제1수류형성단계(S20)가 개시된 후 상기 제1기준시간이 경과하면,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24)를 종료한 뒤 상기 수위감지단계(S27)를 진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2) 내부의 수위를 보다 정확히 판단하기 위함이다.When the first reference time elapses after the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S20) is started, the control method of FIG. 6 ends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S24) and then proceeds to the water level detecting step (S27). can be provided. This is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2).

상기 수위감지단계(S27)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이하이면(S29),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드럼(3)과 교반기(4)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진동감지부(6)가 상기 드럼(3)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S30)를 진행한다.If the water level measured in the water level detecting step (S27)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S29), the control method of FIG. 6 is the vibration detecting unit 6 while rotating the drum 3 and the stirrer 4 in the same direction. ) proceeds to the first measurement step (S30)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3).

그러나, 상기 수위감지단계(S27)에서 측정된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도 6의 제어방법은 상기 터브(2)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이하가 되도록 상기 터브(2)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S271)를 진행한다. 상기 터브(2)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일 때 상기 진동감지부(6)가 측정하는 데이터가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보다 높을 때 상기 진동감지부(6)가 측정하는 데이터는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S271)는 상기 제1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되는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However, if the water level measured in the water level detection step (S27)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the control method of FIG. 6 controls the water inside the tub 2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2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A draining step (S271) is performed. The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6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2 is the reference water level is data measured by the vibration sensing unit 6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water level. Since it may be different, the step of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tub (S271)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accuracy of the data measured in the first measuring step (S30).

상기 제1측정단계(S30)의 완료 후 진행되는 측정 값을 제1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S31), 포풀기 횟수의 실행횟수를 기준횟수와 비교하는 단계(S33), 제1포풀기단계(S35), 제2측정단계(S37), 제2수류형성단계(S40), 배수단계(S50), 탈수단계(S60), 및 제2포풀기단계(S70)는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Comparing the measurement value progressed after completion of the first measuring step (S30) with a first reference value (S31), comparing the execution number of the number of unwinding with the reference number (S33), the first unwinding step (S35), the second measuring step (S37),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the draining step (S50), the dewatering step (S60), and the second unwinding step (S70) are the sam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ar will be omitted.

도 7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가 진행된 경우 제3수류형성단계(S24)를 진행하지 않고, 제2수류형성단계(S40)를 진행한다는 점이다.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 of FIG. 6 , in th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 S231 ) is performed,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 S24 ) is not performed, and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 S40 ) is performed that it does

도 7의 제어방법은 도 6의 제어방법과 마찬가지로, 급수단계(S10), 제1수류형성단계(S20), 제2기준시간이 경과한 때 진행되는 제3측정단계(S21, S22), 상기 제3측정단계(S22)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진행되는 추가급수단계(S23, S231), 상기 제3측정 값이 상기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진행되는 제3수류형성단계(S23, S24)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 method of FIG. 7 is similar to the control method of FIG. 6 , the water supply step (S10), the first water flow formation step (S20), and the third measurement step (S21, S22) performed when the second reference time elapses, the above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S23, S231) that is performed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S22) is greater than the second reference value, and a third that is performed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value It is provided to include the water flow forming step (S23, S24).

도 7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S231)의 완료 후 곧바로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를 진행된다.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S24) 이후의 과정들은 도 5의 제어방법과 동일하고,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S40) 이후의 과정들은 도 6의 제어방법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FIG. 7 ,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 S40 ) is performed during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 S231 ) or immediately after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 S231 ) is completed. Processes after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S24 are the same as the control method of FIG. 5 , and the processes after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S40 are the same as the control method of FIG. 6 ,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상술한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본 출원의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The above-describe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but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5: 컨트롤패널
2: 터브 21: 터브 바디 23: 터브 투입구
24: 급수관 29: 수위감지부 3: 드럼
4: 교반기 5: 구동부 51: 지지부
52: 스테이터 53: 로터 54: 제1회전축
541: 축 바디 543: 축 관통홀 545: 드럼 체결부
547: 제1축 기어 55: 제2회전축 551: 베어링
T: 동력 전달부 56: 스토퍼 561: 스토퍼 바디
563: 스토퍼 관통홀 565: 제1체결부 57: 고정부
571: 고정바디 573: 제2체결부 575: 제2축 기어
58: 클러치 581: 클러치 바디 583: 클러치 제1체결부
585: 클러치 제2체결부 587: 클러치 관통홀 589: 클러치 기어
59a: 모터 59b: 동력변환부 591: 모터회전축
592: 회전판 593: 연결 바 594: 절곡홈
595: 피스톤 596: 하우징 597: 작동 바
598: 바 회전축 6: 진동감지부
100: clothes processing device 1: cabinet 15: control panel
2: tub 21: tub body 23: tub inlet
24: water supply pipe 29: water level detection unit 3: drum
4: agitator 5: drive part 51: support part
52: stator 53: rotor 54: first rotational shaft
541: shaft body 543: shaft through hole 545: drum fastening part
547: first shaft gear 55: second rotation shaft 551: bearing
T: power transmission unit 56: stopper 561: stopper body
563: stopper through hole 565: first fastening part 57: fixing part
571: fixed body 573: second fastening part 575: second shaft gear
58: clutch 581: clutch body 583: clutch first fastening part
585: clutch second fastening part 587: clutch through hole 589: clutch gear
59a: motor 59b: power conversion unit 591: motor rotating shaft
592: rotating plate 593: connecting bar 594: bending groove
595: piston 596: housing 597: actuation bar
598: bar rotation shaft 6: vibration sensing unit

Claims (11)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교반기; 상기 터브의 바닥면에 직교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드럼 회전축; 상기 드럼 회전축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교반기 회전축;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감지부; 및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진동감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의류의 양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기준수위까지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1수류형성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1측정단계;
상기 제1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1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1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상기 교반기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포풀기단계;
상기 포풀기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2측정단계;
상기 제2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2측정 값이 상기 제1기준 값 이하인 때 개시되며,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2수류형성단계; 및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류에서 물을 분리하는 탈수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측정단계 및 상기 제2측정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공진유발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가 상기 공진유발 RPM에 도달하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를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 및
상기 공진유발 RPM까지 가속하는 단계와 상기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의 진행 중 상기 드럼에 발생된 언밸런스의 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 tub in which water is stored; a drum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store clothes; a stirrer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drum; a drum rotating shaft provid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ub to rotate the drum; an agitator rotating shaft provided to pass through the drum rotating shaft to rotate the stirrer; a water level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and a vibra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measure the vibration of the drum.
a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up to a reference water level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mount of clothing;
a first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stirre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a first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If the first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first measurement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alue, a popping step of alternately performing 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 second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ch is started after completion of the popping step, and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a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of starting when the secon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second measuring step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and rotating only the stirre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and
It is start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and a dehyd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water from the clothes by rot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in the same direction;
The first measuring step and the second measuring step are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resonance-inducing RPM;
de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0 RPM 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reaches the resonance-inducing RPM; and
and measuring the degree of unbalance generated in the drum during the steps of accelerating to the resonance-induced RPM and decelerating to 0 RP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0 RPM까지 감속하는 단계는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공진유발 RPM으로 유지하는 과정없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가 상기 공진유발 RPM에 도달한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decelerating to 0 RPM is started when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reaches the resonance-inducing RPM without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resonance-inducing RPM. How to control th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단계는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기 설정된 제1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1가속단계;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의 회전수를 상기 제1회전수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탈수진동 측정단계;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탈수진동 값이 기 설정된 진동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1회전수보다 큰 제2회전수까지 가속하는 제2가속단계; 및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를 상기 제2회전수로 유지하는 유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dehydration step
a first acceleration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preset first rotational speed;
a dehydration vibration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maintain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first rotation speed;
a second acceleration step of accelerati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a second rotational speed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al speed when the dewatering vibration value measured in the dewatering vibration measuring ste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vibration reference value; and
and a maintaining step of maintaining the drum and the stirrer at the second rotation spe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가속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의 진행 중 개시되는 배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and a drainage step that is provided to discharge the water inside the tub to the outside of the tub, and is initiated during the first acceleration step or during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ement step. control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진동 값이 상기 진동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의 회전을 중단하는 단계;
상기 터브에 물을 공급하는 포풀기 급수단계; 및
상기 교반기의 시계방향 회전과 상기 교반기의 반시계방향 회전을 교번적으로 실행하는 교반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stopping rotation of the drum and the stirrer when the dewatering vibration value is greater than the vibration reference value;
Populgi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water to the tub;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sequentially performing a stirring step of alternately performing 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and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stirr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풀기 급수단계를 통해 상기 터브에 공급된 물은 상기 교반단계의 완료 후 재개되는 상기 탈수진동 측정단계의 진행 중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ied to the tub through the popping water supply step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tub during the dehydration vibration measuring step, which is resumed after the stirring step is complet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터브에 기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 및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완료 후,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3수류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third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ich is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ement step;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a preset amount of water to the tub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nd
A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agitato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 the drum during the progress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A method of controlling a process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 값은 상기 제1기준 값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reference value is set to a value smaller than the first reference valu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의 개시 후 상기 제1측정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측정하는 수위감지단계; 및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측정된 수위가 기 설정된 기준수위보다 높으면,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이하가 되도록 상기 터브 내부의 물을 배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터브 내부의 수위가 상기 기준수위 이하인 때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 water level sensing step of measur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tub after the start of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an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ing step; and
When the water level measured in the water level sensing step is higher than the preset reference water level, draining the water inside the tub so that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further comprising,
The first measuring step is started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tub is below the reference water level.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정단계의 개시 전 진행되며, 상기 드럼 및 상기 교반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드럼의 진동을 측정하는 제3측정단계; 및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보다 크면, 상기 터브에 기 설정된 양의 물을 공급하는 추가급수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수류형성단계는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진행 중 또는 상기 추가급수단계의 완료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third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the vibration of the drum while the drum and the stirrer rotate in the same direction, which is performed before the start of the first measurement step; and
When the third measured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ing step is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n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f supplying a preset amount of water to the tub; further comprising,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water flow forming step is started during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or after the additional water supply step is comple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측정단계에서 측정된 제3측정 값이 기 설정된 제2기준 값 이하이면, 상기 드럼과 상기 교반기 중 상기 교반기만을 회전시켜 상기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제3수류형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측정단계는 상기 제3수류형성단계가 개시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기준시간이 경과한 후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third measurement value measured in the third measurement step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reference value, a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of rotating only the stirrer among the drum and the stirrer to form a water flow inside the drum; further comprising do,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measuring step is started after a preset reference time has elapsed from when the third water flow forming step is started.
KR1020200011181A 2020-01-30 2020-01-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9745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81A KR20210097458A (en) 2020-01-30 2020-01-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1181A KR20210097458A (en) 2020-01-30 2020-01-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458A true KR20210097458A (en) 2021-08-09

Family

ID=7731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81A KR20210097458A (en) 2020-01-30 2020-01-30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745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1650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7797778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215432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7191484B2 (en) Laundry appliance
EP3290561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949671B (en) Control method of clothes treatment equipment
EP2826906B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448503B1 (en) Washing apparu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7596824B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U2001233977A1 (en) Laundry appliance
AU2018244670B2 (en) Control method for managing dying in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JP2009077748A (en) Laundry machine
US11111619B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s and methods for operation
KR20210097458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97456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123539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10097457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ol Method for the same
JP2010284288A (en) Washing machine
JP2009011559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20180089965A (en)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00144820A (en) Control method of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20090080819A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9095528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JP7252534B2 (en) Dehydrator
KR20210057521A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