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7249A -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7249A
KR20210097249A KR1020200010324A KR20200010324A KR20210097249A KR 20210097249 A KR20210097249 A KR 20210097249A KR 1020200010324 A KR1020200010324 A KR 1020200010324A KR 20200010324 A KR20200010324 A KR 20200010324A KR 20210097249 A KR20210097249 A KR 2021009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ight
display
laye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3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진
하승화
오세윤
이종환
정민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7249A/en
Publication of KR2021009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72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42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for double-sid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the liquid crystal having positive dielectric anisotrop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The display device is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disposed on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a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 protective window disposed on the step compensation layer and position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The thickness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s equal to a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on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투명 표시부(transparent display)를 가질 수 있다. 투명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투명 표시부의 일면(예, 전면)을 통해 다른 면(예, 후면)을 볼 수 있게 하는 표시부이다. 즉, 투명 표시부 상에서는 후면에 위치한 사물이 전면에 투영(projected)된다.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may have a transparent display.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is a display unit that allows the user to see the other side (eg, the rear side) through one side (eg, the front side) of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That is, on the transparent display unit, an object located in the rear is projected on the front.

또한, 전자 장치는 화면이 다수의 부분들로 폴딩될 수 있는 폴더블 표시 장치(foldable display device)를 가질 수 있다. 폴더블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일 수 있다. 이러한 폴더블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의 액정을 감싸는 유리 기판을 플라스틱 필름으로 대체함으로써 표시 장치에 유연성을 부여한 것이다.Also, the electronic device may have a fold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 screen can be fol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he foldable display device may be, for example, a flexible display device. Such a foldable display provides flexibility to the display by replacing the glass substrate surrounding the liquid crystal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with a plastic film.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표시면 전부 또는 일부에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all or part of a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경우, 표시면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xternally recognizing an image and an image displayed on a display surfa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folde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단차 보상층, 상기 단차 보상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보호 윈도우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투광 제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단차 보상층의 두께 및 상기 보호 윈도우의 두께의 합과 동일하다.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display device includes a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and a display disposed over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a panel, a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 protective window disposed on the step compensation layer, and dispos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display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and a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disposed on the panel,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s equal to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on layer and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상기 투광 제어층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을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include a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ayer.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의 굴절률 이방성은 0.1 내지 0.25일 수 있다.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ayer may be 0.1 to 0.25.

상기 투과 제어층은 5% 내지 95%의 범위에서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may control transmittance in the range of 5% to 95%.

상기 투광 제어층 및 상기 보호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and the protective window, and disposed over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표시 투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may include a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and at least one light-transmitting part.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되, 상기 투광부를 불포함하는 표시 전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may include a display-onl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but not including the light-transmitting part.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은 양면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may be a double-sided emission type display panel.

상기 표시 전용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단차 보상층 및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투광 제어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only area and a lower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상기 하부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하부 단차 보상층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0.3㎛ 내지 0.5㎛ 또는 0.1㎛ 내지 0.7㎛ 일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3 μm to 0.5 μm or 0.1 μm to 0.7 μm.

투광 제어층은 적어도 하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의 굴절률 이방성은 0.10 내지 0.25일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liquid crystal molecule, and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 may be 0.10 to 0.25.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디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폴딩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인 폴딩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전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투광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화소 및 투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광부는 상기 화소보다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표시 투광 영역에만 배치된다.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non-folding area, a second non-folding area, and a folding line disposed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A display device in-folding based on a line, the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only area dispos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 display transmissive area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a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disposed in an area, wherein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ixel and a light-transmitting part, wherein the light-transmitting part has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pixel and is disposed only in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활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보다 클 수 있다. and an active area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overlapping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overlapping the second non-folding area, wherein the resolu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is set to a resolution of the second display area may be larger than the resolution of

상기 표시 투광 영역에 배치된 상기 화소와 상기 투광부는 교대로 배열되며,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pixels and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disposed in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may be alternately arranged and may have the same area.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보호 윈도우 및 단차 보상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윈도우의 두께 및 상기 단차 보상층의 두께의 합은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A protective window and a step compensation layer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first non-folding region, and a sum of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and a thickness of the step compensation layer may be equal to a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0.3㎛ 내지 0.5㎛ 또는 0.1㎛ 내지 0.7㎛일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0.3 μm to 0.5 μm or 0.1 μm to 0.7 μm.

투광 제어층은 적어도 하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의 굴절률 이방성은 0.10 내지 0.25일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include at least one liquid crystal molecule, and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 may be 0.10 to 0.25.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은 양면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may be a double-sided emission type display panel.

상기 표시 전용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단차 보상층 및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투광 제어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하부 단차 보상층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A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below the display-only area and a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disposed below the display light transmitting area,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can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표시 장치의 표시면 전부 또는 일부에서 투과되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 display device capable of adjusting transmittance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all or part of a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provided.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경우, 표시면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외부에서 시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is in-fold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xternally recognizing an image and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surface.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Effect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인 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비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 및 투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 및 투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영역별 화소와 투광부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제어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차광 모드의 차광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투과 모드의 차광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액정의 비율 및 전압에 따른 투광 제어층의 투과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비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제2 표시 영역의 투과율이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비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표시 장치가 멀티 폴딩(Multi-folding)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n unfolded stat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 an in-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pixels and a light transmitting unit for each area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 blocking device in a light blocking mod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 blocking device in a transmission mode.
11 is a graph illustrating transmittance of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according to a ratio and voltage of a liquid crystal.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non-folding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transmittance of a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a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non-folding stat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is multi-folded.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Reference to an element or layer “on” of another element or layer includes any intervening layer or other element directly on or in the middle of the other element or layer.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서, 도 1의 표시 장치가 인 폴딩(In-folding)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of FIG.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면에서 제1 방향(DR1)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의 가로 방향을 나타내고, 제2 방향(DR2)은 평면도상 표시 장치(1)의 세로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두께 방향(제3 방향)은 표시 장치(1)의 두께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는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며, 두께 방향(제3 방향)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이 놓이는 평면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모두 수직으로 교차한다. 다만,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을 언급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실시예는 언급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 a first direction DR1 represents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 in a plan view, and a second direction DR2 represents a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 in a plan view. In addition, the thickness direction (third direction) represent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ntersect perpendicularly to each other, and the thickness direction (third direction) is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plane on which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are placed. Both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intersect perpendicularly.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rections mentioned in the embodiments refer to relative directions, and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mentioned directions.

표시 장치(1)는 후술할 활성 영역(AAR)을 통해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며, 활성 영역(AAR)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치가 그에 포함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의 예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비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활성 영역(AAR)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 displays a screen or an image through an active area AAR to be described later, and various devices including the active area AAR may be included therein. Examples of the display device 1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smartphone, a mobile phone, a tablet PC,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television, a game console, a wrist watch type electronic device, and a head mount. Various consumer electronics including displays, personal computer monitors, notebook computers, car navigation systems, car dashboards, digital cameras, camcorders, external billboards, electronic billboards, various medical devices, various inspection devices, active areas (AARs) such as refrigerators and washing machines, etc. , IoT devices, and the like.

표시 장치(1)는 평면상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평면상 모서리가 수직인 직사각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가로 방향(제1 방향(DR1))으로 배치된 2개의 단변과 세로 방향(제2 방향(DR2))으로 배치된 2개의 장변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 may have a rectangular or square shape in plan view. The display device 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with vertical edges or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edges on a plane.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two short sid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first direction DR1 ) and two long side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second direction DR2 ).

표시 장치(1)는 활성 영역(AAR)과 비활성 영역(NAR)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R)은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가 터치 기능을 갖는 경우에 터치 입력의 감지가 이루어지는 영역인 터치 영역 또한 활성 영역(AAR)에 포함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n active area AAR and a non-active area NAR. The active area AAR of 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display area. Also, when the display device 1 has a touch function, a touch area, which is an area in which a touch input is sensed, may also be included in the active area AAR.

활성 영역(AAR)의 형상은 활성 영역(AAR)이 적용되는 표시 장치(1)의 형상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가 평면도상 직사각형인 경우, 활성 영역(AAR)의 형상 또한 직사각형일 수 있다. The shape of the active area AAR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splay device 1 to which the active area AAR is applied. For example,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rectangular in plan view, the shape of the active area AAR may also be rectangular.

활성 영역(AAR)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는 화면을 표시하는 기본 단위가 된다. 화소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적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청색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는 평면상 교대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소는 행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ctive area AA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A pixel becomes the basic unit for displaying a screen. The pixel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red pixel, a green pixel, and a blue pixel. The plurality of pixels may be alternately arranged on a plane. For example, the pixels may be arranged in a matrix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각 화소는 발광 영역(도 5의 'EMA'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영역은 발광 물질, 예를 들어 유기 발광층이 배치된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의 평면상 크기는 화소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화소 내에서 유기 발광층 등의 발광 물질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은 비발광 영역(도 5의 'NEA')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발광 영역에는 화소를 구동하는 회로나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Each pixel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area (refer to 'EMA' in FIG. 5 ). The light emitting region may be defined as a region in which a light emitting material, for exampl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disposed. The siz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on a plane may be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ixel. An area in the pixel in which a light emitting material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is not disposed may be defined as a non-emission area ('NEA' in FIG. 5 ). A circuit or wirings for driving a pixel may be disposed in the non-emission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비활성 영역(NAR)은 활성 영역(AAR)의 모든 변을 둘러쌀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활성 영역(AAR)의 네 변들 중 적어도 일부 부근에는 비활성 영역(NAR)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표시 장치(1)의 베젤 영역은 비활성 영역(NAR)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non-active area NAR may surround the active area AAR. The non-active area NAR may include a non-display area where no display is made. The non-active area NAR may surround all sides of the active area A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on-active area NAR may not be disposed near at least some of the four sides of the active area AAR. .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configured as a non-active area NAR.

활성 영역(AA)은 투광부(TA)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표시 영역(DA1)은 활성 영역(AAR) 중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중첩하는 부분과 대응될 수 있으며, 제2 표시 영역(DA2)은 활성 영역(AAR) 중 제2 비폴딩 영역(NFA2)과 중첩하는 부분과 대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표시 영역(DA1)은 표시 전용 영역(도 3의 '11' 참조)과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중첩하고,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투광 영역(도 3의 '12' 참조)과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중첩할 수 있다. The active area AA may be divided into a first display area DA1 and a second display area DA2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is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display area DA1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verlapping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of the active area AAR,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the active area AAR. ) may correspond to a portion overlapping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display area DA1 overlaps the display-only area (refer to '11' of FIG. 3 )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the display transmissive area (see '11 ' of FIG. 3 ). Refer to '12') and the thickness direction (third direction DR3) may overlap.

제1 표시 영역(DA1)은 투광하지 않고 표시만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투광하면서 표시도 이루어지는 영역으로, 서로 분리된 복수개의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display area DA1 is an area that does not transmit light and only displays, and may not include a light-transmitting part (refer to 'TA' in FIGS. 5 to 7 ).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a display area while transmitting light,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transmitting parts (refer to 'TA' in FIGS. 5 to 7 ) separated from each other.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는 그 자체로 발광하지 않는 영역으로, 두께 방향으로 빛을 투과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빛은 가시광선 파장의 빛 뿐만 아니라, 근적외선 및/또는 적외선 파장의 빛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가 투과시키는 상기 빛은 근자외선 및/또는 자외선 파장의 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tting part (refer to 'TA' in FIGS. 5 to 7 ) is a region that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and transmits light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light may include not only light of a visible wavelength, but also light of a near-infrared and/or infrared wavelength. The light transmitted by the light-transmitting part (refer to 'TA' in FIGS. 5 to 7 ) may further include near-ultraviolet and/or ultraviolet-wavelength light.

각 화소의 비발광 영역(도 5의 'NEA')도 그 자체로 발광하지 않는 영역이지만,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는 이들 비발광 영역보다 높은 광 투과율을 갖는다. 여기서, 광 투과율은 각 영역을 통과하는 방향의 빛의 투과율로서 두께 방향으로 진행하는 빛의 투과율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를 포함하는 제2 표시 영역(DA2)은 투광부(도 5 내지 도 7의 'TA' 참조)를 포함하지 않는 제1 표시 영역(DA1)에 비해 높은 광 투과율을 갖게 된다. 제2 표시 영역(DA2)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제2 표시 영역(DA2)의 활용 방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DA2)을 투명 디스플레이처럼 활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의 배면에 다른 부품이 배치되지 않으며, 마치 윈도우처럼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해 배면에 위치하는 물체를 확인할 수 있다. Although the non-emission area ('NEA' in FIG. 5) of each pixel does not emit light by itself, the light-transmitting part (refer to 'TA' in FIGS. 5 to 7) has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se non-emission areas. Here, the light transmittance is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a direction passing through each region and means transmittance of light travel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Accordingly,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ncluding the light-transmitting part (refer to 'TA' in FIGS. 5 to 7 ) is the first display area (see 'TA' in FIGS. 5 to 7 ) not including the light-transmitting part (see 'TA' in FIGS. 5 to 7 ). It has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DA1).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A method of using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not limited thereto, but for example,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used as a transparent display. In this case, other components are not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and an object positioned on the rear surface may be check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like a window.

표시 장치(1)는 폴더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폴더블 표시 장치라 함은 폴딩이 가능한 표시 장치로서, 폴딩 상태와 비폴딩 상태를 모두 가질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지칭한다. 또한, 폴딩은 대표적으로 약 180°의 각도로 접히는 것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 않고, 접히는 각도가 180°를 초과하거나 그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예컨대 90° 이상 180° 미만 또는 120° 이상 180° 미만의 각도로 꺾이는 경우에도 폴딩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아울러, 폴딩 상태는 완전한 폴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비폴딩 상태를 벗어나 꺾여 있는 상태인 경우 폴딩 상태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90° 이하의 각도로 꺽여 있다고 하더라도, 최대 폴딩 각도가 90°이상이 되는 이상 비폴딩 상태와 구별하기 위해 폴딩 상태에 있는 것으로 표현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be a foldable display device. As used herein, a foldable display device is a foldable display device, and refers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have both a folding state and a non-folding state. In addition, folding typically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folding at an angle of about 180°, and when the folding angle exceeds or falls short of 180°, for example, 90° or more and less than 180° or 120° or more and less than 180°. Even when it is bent at an angle, it may be understood as being folded. In addition, the folding state may be referred to as a folding state when it is in a bent state out of a non-folding state, even if complete folding is not performed. For example, even if it is bent at an angle of 90° or less, it may be expressed as being in a folded state to distinguish it from a non-folding state as long as the maximum folding angle is 90° or more.

표시 장치(1)는 폴딩 라인(FDA)(또는 폴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1)는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폴딩은 표시 장치(1)의 표시면이 내측을 향하도록 폴딩되는 인 폴딩과 외측을 향하도록 폴딩되는 아웃 폴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표시 장치(1)가 인 폴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웃 폴딩 방식으로 폴딩될 수도 있다. 또한, 표시 장치(1)는 인 폴딩 방식과 아웃 폴딩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만으로 폴딩될 수도 있고, 인 폴딩과 아웃 폴딩이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인 폴딩과 아웃 폴딩이 모두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의 경우, 인 폴딩과 아웃 폴딩이 동일한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인 폴딩 전용 폴딩 라인과 아웃 폴딩 전용 폴딩 라인 등 서로 다른 방식의 폴딩을 수행하는 복수의 폴딩 라인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folding line FDA (or a folding area). The display device 1 may be folded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Folding may be divided into in-folding, in which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 is folded toward the inside, and out-folding, in which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 is folded toward the outside. Although FIG. 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1 is in-fold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isplay device 1 may be folded in an out-folding manner. Also, the display device 1 may be folded using only one of an in-folding method and an out-folding method, or both in-folding and out-folding may be performed. In the case of a display device in which both in-folding and out-folding are performed, in-folding and out-folding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same folding line (FDA), and different methods of folding such as in-folding dedicated folding line and out-folding dedicated folding line may be use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to perform.

폴딩 라인(FDA)은 표시 장치(1)의 일변에 평행한 연장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라인(FDA)은 표시 장치(1)의 세로 방향과 동일한 방향(도 1에서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될 수 있다. 폴딩 라인(FDA)은 제1 방향(DR1)으로도 소정의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폴딩 라인(FDA)의 제1 방향(DR1)의 폭은 제2 방향(DR2)의 폭에 비해 훨씬 작을 수 있다. The folding line FDA may have an extension directio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display device 1 . For example, the folding line FDA may exte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 (the second direction DR2 in FIG. 1 ). The folding line FDA may also have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DR1 .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folding line FDA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much smaller than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표시 장치(1)는 폴딩 라인(FDA) 주변에 배치된 비폴딩 영역(NFA)을 포함할 수 있다. 비폴딩 영역(NFA)은 폴딩 라인(FDA)의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폴딩 라인(FDA)의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제1 방향(DR1) 폭은 서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display device 1 may include a non-folding area NFA disposed around the folding line FDA. The non-folding area NFA includes a first non-folding area NFA1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folding line FDA and a second second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DR1 of the folding line FDA. A non-folding area NFA2 may be included. The width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in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the s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이나 그에 적층된 층, 패널, 기판 자체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져 해당 부재들이 모두 폴딩됨으로써 폴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10)이나 그에 적층된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는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분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비폴딩 영역(NFA)에 위치하는 상기 분리된 부재는 플렉시블한 특성을 갖지 않을 수도 있다.In an exemplary embodiment, the display device 1 may be folded by folding the display panel 10 or the layers, panels, and substrates stacked thereon, and thus the corresponding members are all flexible. In some embodiments, the display panel 10 or at least some of the members stacked thereon may have a shape separated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In this case, the separated member positioned in the non-folding area NFA may not have a flexible characteristic.

상술한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R)/비활성 영역(NAR)과 폴딩 라인(FDA)/비폴딩 영역(NFA)은 서로 동일한 위치에 중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위치는 활성 영역(AAR)이면서 동시에 제1 비폴딩 영역(NFA1)일 수 있다. 다른 특정 위치는 비활성 영역(NAR)이면서 동시에 제1 비폴딩 영역(NFA1)일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위치는 활성 영역(AAR)이면서 동시에 폴딩 라인(FDA) 배치 영역일 수 있다. The active area AAR/non-active area NAR and the folding line FDA/non-folding area NFA of the display device 1 described above may overlap each other at the same position. For example, the specific location may be the active area AAR and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t the same time. Another specific location may be the non-active area NAR and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t the same time. Another specific location may be an active area AAR and a folding line FDA arrangement area.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R)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모두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경계에 해당하는 폴딩 라인(FDA)에도 활성 영역(AAR)이 위치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R)은 비폴딩 영역(NFA), 폴딩 라인(FDA) 등의 경계와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중 어느 한 영역에만 활성 영역(AAR)이 위치할 수 있고,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활성 영역(AAR)이 배치되지만 폴딩 라인(FDA)에는 활성 영역(AAR)이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the active area AAR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disposed over both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Furthermore, the active area AAR may also be located in the folding line FDA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That is, the active area AAR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continuously disposed regardless of boundaries of the non-folding area NFA and the folding line FD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ctive area AAR may be located in only one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nd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2 The active area AAR may be disposed in the non-folding area NFA2 , but the active area AAR may not be disposed in the folding line FDA.

이하, 상술한 표시 장치(1)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 1 will be described.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비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4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인 폴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n an unfolded stat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in an in-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10), 표시 패널(10)의 두께 방향(제3 방향(DR3)) 일측으로 순차 적층된 편광 부재(POL),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된 단차 보상층(20) 및 보호 윈도우(30),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된 투광 제어층(40), 보호 필름(50), 및 표시 패널(10)의 두께 방향(제3 방향(DR3)) 타측으로 순차 적층된 고분자 필름층(PF) 및 쿠션층(CU)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적층 부재들 사이에는 접착층이나 점착층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부재가 배치되어 인접한 적층 부재들을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 층 사이에는 다른 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고, 각 적층 부재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3 and 4 , the display device 1 includes a display panel 10 , a polarizing member POL sequentially stacked on one side of the display panel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 and a first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and the protective window 30 disposed in the non-folding area NFA1,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he protective film 50, and the display panel ( 10) may include a polymer film layer PF and a cushion layer CU sequentially stacked on the other si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ird direction DR3). At least one coupling member, such as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spective stacking members to couple adjacent stacking member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othe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each layer, and some of the stacking members may be omitted.

표시 패널(10)은 화면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로서, 그 예로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OLED), 무기 발광 표시 패널(inorganic EL), 퀀텀닷 발광 표시 패널(QED), 마이크로 LED 표시 패널(micro-LED), 나노 LED 표시 패널(nano-L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DP), 전계 방출 표시 패널(FED), 음극선 표시 패널(10)(CRT)등의 자발광 표시 패널 뿐만 아니라, 액정 표시 패널(LCD), 전기 영동 표시 패널(EPD) 등의 수광 표시 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0)로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예로 하여 설명하며, 특별한 구분을 요하지 않는 이상 실시예에 적용된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을 단순히 표시 패널로 약칭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가 유기 발광 표시 패널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기술적 사상을 공유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열거된 또는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다른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panel 10 is a panel for displaying a screen or an imag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OLED), an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organic EL), a quantum dot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QED), and a micro LED display panel (micro). -LED), nano-LED display panel (nano-LED), plasma display panel (PDP), field emission display panel (FED), cathode ray display panel 10 (CRT) as well as self-luminous display panel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LCD),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EPD), and the like). Hereinaft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display panel 10 , and unless a special distinction is require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pplied to the embodiment will be simply abbreviated as a display panel. However,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d other display panels listed above or known in the art may be applied within the scope sharing the technical idea.

표시 패널(10)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된 표시 전용 영역(1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된 표시 투광 영역(12)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전용 영역(11)은 화소(PX)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시 투광 영역(12)은 화소(PX) 및 투광부(도 5 내지 도 7 'TA'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전용 영역(11)과 표시 투광 영역(12)은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폴딩 라인(FDA) 부근에서 서로 이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전용 영역(11)과 표시 투광 영역(12)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display panel 10 may include a display-only area 11 dispos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a display transmissive area 12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The display-only area 11 may include only the pixel PX, and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may include the pixel PX and the light-transmitting part (refer to 'TA' of FIGS. 5 to 7 ). The display-only area 11 and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may have separate structure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icinity of the folding line FDA,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display-only area 11 and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may be integrally formed.

이하에서, 표시 패널(1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이 참조된다. Hereinafter, reference is made to FIGS. 5 to 7 to describe a detailed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10 .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 및 투광부의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화소(PX)의 단면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 패널(10)은 기판(100), 버퍼층(105), 반도체층(110), 제1 절연층(121), 제1 도전층(130), 제2 절연층(122), 제2 도전층(140), 제3 절연층(123), 제3 도전층(150), 제4 절연층(124), 제4 도전층(160), 제5 절연층(125), 제5 도전층(170), 제5 도전층(17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126), 화소 정의막(126)의 개구부 내에 배치된 유기층(190), 및 유기층(190)과 화소 정의막(126) 상에 배치된 제6 도전층(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층들은 단일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복수의 막을 포함하는 적층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각 층들 사이에는 다른 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First,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pixel PX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 The display panel 10 includes a substrate 100 , a buffer layer 105 , a semiconductor layer 110 , a first insulating layer 121 , a first conductive layer 130 , a second insulating layer 122 , and a second conductive layer. 140 ,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 and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 ), a pixel defining layer 126 including an opening exposing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 an organic layer 190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and the organic layer 190 and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 may include a sixth conductive layer 180 disposed on it. Each of the above-described layers may be formed of a single film, but may also be formed of a laminate film including a plurality of films. Another layer may be further disposed between each layer.

기판(100)은 그 위에 배치되는 각 층들을 지지한다. 기판(100)은 고분자 수지 등의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물질의 예로는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 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수 있다. 기판(100)은 벤딩(bending), 폴딩(folding), 롤링(rolling) 등이 가능한 플렉시블(flexible) 기판일 수 있다. 플렉시블 기판을 이루는 물질의 예로 폴리이미드(PI)를 들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substrate 100 supports respective layers disposed thereon. The substrate 100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polymer resin. Examples of the polymer material include polyethersulphone (PES), polyacrylate (PA), polyarylate (PAR), polyetherimide (PEI), and polyethylene napthalate (PEN). ),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sulfide (PPS), polyallylate, polyimide (PI), polycarbonate (PC), cellulose triacetate ( cellulose triacetate: CAT),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substrate 100 may be a flexible substrate capable of bending, folding, rolling, or the like. Exampl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flexible substrat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imide (PI).

기판(100) 상에는 버퍼층(105)이 배치된다. 버퍼층(105)은 불순물 이온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분이나 외기의 침투를 방지하며, 표면 평탄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버퍼층(105)은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또는 실리콘 산질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05)은 기판(100)의 종류나 공정 조건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A buffer layer 105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00 . The buffer layer 105 may prevent diffusion of impurity ions, prevent penetration of moisture or external air, and perform a surface planarization function. The buffer layer 105 may include silicon nitride, silicon oxide, or silicon oxynitride. The buffer layer 105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substrate 100 or process conditions.

버퍼층(105) 상에는 반도체층(110)이 배치된다. 반도체층(110)은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채널을 이룬다. 반도체층(110)은 다결정 실리콘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반도체층(110)은 단결정 실리콘, 저온 다결정 실리콘, 비정질 실리콘이나,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산화물 반도체는 예를 들어 인듐, 아연, 갈륨, 주석, 티타늄, 알루미늄, 하프늄(Hf), 지르코늄(Zr), 마그네슘(Mg) 등을 함유하는 이성분계 화합물(ABx), 삼성분계 화합물(ABxCy), 사성분계 화합물(ABxCyDz)을 포함할 수 있다. A semiconductor layer 110 is disposed on the buffer layer 105 . The semiconductor layer 110 forms a channel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pixel PX. The semiconductor layer 110 may include polycrystalline silic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miconductor layer 110 may include single crystal silicon,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silicon, amorphous silicon, or an oxide semiconductor. The oxide semiconductor is, for example, a binary compound (ABx), a ternary compound (ABxCy) containing indium, zinc, gallium, tin, titanium, aluminum, hafnium (Hf), zirconium (Zr), magnesium (Mg), etc. , may include a four-component compound (ABxCyDz).

제1 절연층(121)은 게이트 절연 기능을 갖는 게이트 절연막일 수 있다. 제1 절연층(121)은 실리콘 화합물, 금속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절연층(121)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하프늄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제1 절연층(121)은 단일막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일 수 있다.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may be a gate insulating layer having a gate insulating functi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may include a silicon compound, a metal oxide, or the like. For example,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may include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aluminum oxide, tantalum oxide, hafnium oxide, zirconium oxide, titanium oxide, or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ed layer including stacked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제1 절연층(121)은 반도체층(110) 상에 배치되고, 대체로 기판(100)의 전체 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is disposed on the semiconductor layer 110 , and may generally be dispos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

제1 도전층(130)은 제1 절연층(121) 상에 배치된다. 제1 도전층(130)은 제1 게이트 도전층일 수 있다. 제1 도전층(130)은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131)과 그에 연결된 스캔 라인, 및 유지 커패시터 제1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is dispos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may be a first gate conductive layer.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131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pixel PX, a scan line connected thereto, and a storage capacitor first electrode 132 .

제1 도전층(13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층(130)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includes molybdenum (Mo),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 Nd), iridium (Ir), chromium (Cr), calcium (Ca), titanium (Ti), tantalum (Ta), tungsten (W),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copper (Cu).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layer.

제1 도전층(130) 상에는 제2 절연층(12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절연층(122)은 층간 절연막일 수 있다. 제2 절연층(12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A second insulating layer 122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2 may be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2 may include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hafnium oxide,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tantalum oxide, or zinc oxide.

제2 도전층(140)은 제2 절연층(122) 상에 배치된다. 제2 도전층(140)은 제2 게이트 도전층일 수 있다. 제2 도전층(140)은 유지 커패시터 제2 전극(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층(140)은 몰리브덴(Mo), 알루미늄(Al),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층(140)은 제1 도전층(13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도전층(140)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is disposed on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2 .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may be a second gate conductive layer.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may include a storage capacitor second electrode 140 .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includes molybdenum (Mo), aluminum (Al),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 Nd), iridium (Ir), chromium (Cr), calcium (Ca), titanium (Ti), tantalum (Ta), tungsten (W),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copper (Cu).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conductive layer 13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layer.

제2 도전층(140) 상에는 제3 절연층(123)이 배치된다. 제3 절연층(123)은 층간 절연막일 수 있다. 제3 절연층(123)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나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123)은 단일막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일 수 있다.A third insulating layer 123 is disposed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140 .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may be an interlayer insulating layer.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hafnium oxide,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tantalum oxide, zinc oxide, polyacrylates resin, or epoxy resin. ), phenolic resin, polyamides resin, polyimides rein,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polyphenylenethers resin, polyphenyl It may includ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phenylenesulfides resin or benzocyclobutene (BCB).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layer formed of a stack of different materials.

제3 절연층(123) 상에는 제3 도전층(150)이 배치된다. 제3 도전층(150)은 제1 소스/드레인 도전층일 수 있다. 제3 도전층(150)은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151)과 제2 전극(152)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151)과 제2 전극(152)은 제3 절연층(123), 제2 절연층(122) 및 제1 절연층(121)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반도체층(110)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PX)의 제1 전원 전압 전극(153)도 제3 도전층(15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 third conductive layer 150 is disposed on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may be a first source/drain conductive layer.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may include the first electrode 15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pixel PX. The first electrode 151 and the second electrode 15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re connected to the semiconductor layer ( 1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The first power voltage electrode 153 of the pixel PX may also be formed of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

제3 도전층(150)은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도전층(150)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도전층(150)은 Ti/Al/Ti, Mo/Al/Mo, Mo/AlGe/Mo, Ti/Cu 등의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includes aluminum (Al), molybdenum (Mo),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 Nd), iridium (Ir), chromium (Cr), calcium (Ca), titanium (Ti), tantalum (Ta), tungsten (W),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copper (Cu).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layer. For example,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ructure of Ti/Al/Ti, Mo/Al/Mo, Mo/AlGe/Mo, Ti/Cu, or the like.

제3 도전층(150) 상에는 제4 절연층(124)이 배치된다. 제4 절연층(124)은 제3 도전층(150)을 덮는다. 제4 절연층(124)은 비아층일 수 있다. 제4 절연층(124)은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 fourth insulating layer 124 is disposed on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covers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may be a via layer.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includes acrylic resin (polyacrylates resin), epoxy resin (epoxy resin), phenolic resin (phenolic resin), polyamides resin (polyamides resin), polyimide resin (polyimides rein), unsaturated polyester It may includ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polyphenyleneethers resin, polyphenylenesulfides resin, or benzocyclobutene (BCB).

제4 절연층(124) 상에는 제4 도전층(160)이 배치된다. 제4 도전층(160)은 제2 소스/드레인 도전층일 수 있다. 제4 도전층(160)은 화소(PX)의 데이터 라인, 연결 전극(162), 제1 전원 전압 라인(161, 1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 라인(161)은 화소(PX)에서 제4 절연층(12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1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전극(162)은 제4 절연층(12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화소(PX)의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15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원 전압 라인(163)은 또한, 제4 절연층(124)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1 전원 전압 전극(15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A fourth conductive layer 160 is disposed on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may be a second source/drain conductive layer.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may include a data line of the pixel PX, a connection electrode 162 , and first power voltage lines 161 and 163 . The first power voltage line 16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151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pixel PX through a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in the pixel PX. The connection electrode 16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5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f the pixel PX through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The first power voltage line 163 may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voltage electrode 153 through a contact hole passing through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제4 도전층(160)은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백금(Pt), 팔라듐(Pd), 은(Ag), 마그네슘 (Mg), 금(Au), 니켈(Ni), 네오디뮴(Nd), 이리듐(Ir), 크롬(Cr), 칼슘(Ca), 티타늄(Ti), 탄탈륨(Ta), 텅스텐(W), 구리(Cu) 가운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도전층(160)은 단일막 또는 다층막일 수 있다. 제4 도전층(160)은 제3 도전층(15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includes aluminum (Al), molybdenum (Mo), platinum (Pt), palladium (Pd),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nickel (Ni), neodymium ( Nd), iridium (Ir), chromium (Cr), calcium (Ca), titanium (Ti), tantalum (Ta), tungsten (W), and may include one or more metals selected from copper (Cu).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layer.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third conductive layer 150 ,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4 도전층(160) 상에는 제5 절연층(125)이 배치된다. 제5 절연층(125)은 제4 도전층(160)을 덮는다. 제5 절연층(125)은 비아층일 수 있다. 제5 절연층(125)은 상술한 제4 절연층(124)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거나, 제4 절연층(124)의 구성 물질로 예시된 물질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 fifth insulating layer 125 is disposed on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covers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may be a via layer.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may include the same material as the above-described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or may include one or more materials selected from the exemplified materials of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제5 절연층(125) 상에는 제5 도전층(170)이 배치된다. 화소 전극인 애노드 전극은 제5 도전층(17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제5 절연층(125)을 관통하는 컨택홀을 통해 제4 도전층(160)으로 이루어진 연결 전극(16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를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152)과 연결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은 화소(PX)의 발광 영역(EM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A fifth conductive layer 170 is disposed on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 The anode electrode, which is the pixel electrode, may be formed of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 The anode electrod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lectrode 162 made of the fourth conductive layer 160 through a contact hole penetrating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152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hrough it. can The anode electrode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emission area EMA of the pixel PX.

제5 도전층(170)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인듐-주석-산화물(Indium-Tin-Oxide: ITO), 인듐-아연-산화물(Indium-Zinc-Oxide: IZO), 산화아연(Zinc Oxide: ZnO), 산화인듐(Induim Oxide: In2O3)의 일함수가 높은 물질층과 은(Ag),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백금(Pt), 납(Pd), 금(Au), 니켈(Ni), 네오듐(Nd), 이리듐(Ir), 크롬(Cr), 리튬(Li), 칼슘(Ca)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과 같은 반사성 물질층이 적층된 적층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함수가 높은층이 반사성 물질층보다 위층에 배치되어 유기층(19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5 도전층(170)은 ITO/Mg, ITO/MgF, ITO/Ag, ITO/Ag/ITO의 복수층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indium-tin-oxide (ITO), indium-zinc-oxide (IZO), and zinc oxide (ZnO). ), a material layer with a high work function of indium oxide (In2O3) and silver (Ag), magnesium (Mg), aluminum (Al), platinum (Pt), lead (Pd), gold (Au), nickel ( Ni), neodium (Nd), iridium (Ir), chromium (Cr), lithium (Li), calcium (Ca), or a reflective material layer such as a mixture thereof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in which layers are stacked. A layer having a high work function may be disposed above the reflective material layer and disposed close to the organic layer 190 .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ITO/Mg, ITO/MgF, ITO/Ag, and ITO/Ag/I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5 도전층(170) 상에는 화소 정의막(126)이 배치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화소(PX)의 비발광 영역(NEA)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제5 도전층(170)을 노출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하프늄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티타늄 산화물, 탄탈륨 산화물, 아연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나 아크릴계 수지(polyacrylates resin), 에폭시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ther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126)은 단일막 또는 서로 다른 물질의 적층막으로 이루어진 다층막일 수 있다.A pixel defining layer 126 may be disposed on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may at least partially overlap the non-emission area NEA of the pixel PX.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may include an opening exposing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may be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licon nitride, silicon oxynitride, hafnium oxide, aluminum oxide, titanium oxide, tantalum oxide, zinc oxide, polyacrylates resin, or epoxy resin. , phenolic resin, polyamides resin, polyimides rein, unsaturated polyesters resin, polyphenylenethers resin, polyphenylene It may include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polyphenylenesulfides resin or benzocyclobutene (BCB).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may be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ed layer including stacked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화소 정의막(126)의 개구부 내에는 유기층(190)이 배치된다. 유기층(190)은 유기 발광층, 정공 주입/수송층, 전자 주입/수송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190)은 발광 영역(EMA)과 중첩할 수 있다.An organic layer 190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The organic layer 190 may include an organic emission layer, a hole injection/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transport layer. The organic layer 190 may overlap the emission area EMA.

유기층(190)과 화소 정의막(126) 상에는 제6 도전층(180)이 배치된다. 공통 전극인 캐소드 전극은 제6 도전층(18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소드 전극은 화소(PX)의 발광 영역(EMA) 뿐만 아니라 비발광 영역(NEA)에도 배치될 수 있다. 즉, 캐소드 전극은 각 화소(PX)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6 도전층(180)은 Li, Ca, LiF/Ca, LiF/Al, Al, Mg, Ag, Pt, Pd, Ni, Au Nd, Ir, Cr, BaF, Ba 또는 이들의 화합물이나 혼합물(예를 들어, Ag와 Mg의 혼합물 등)과 같은 일함수가 작은 물질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6 도전층(180)은 상기 일함수가 작은 물질층 상에 배치된 투명 금속 산화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 sixth conductive layer 180 is disposed on the organic layer 190 and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The common electrode,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formed of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disposed not only in the emission area EMA of the pixel PX but also in the non-emission area NEA. That is, the cathode electrode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each pixel PX.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is Li, Ca, LiF/Ca, LiF/Al, Al, Mg, Ag, Pt, Pd, Ni, Au Nd, Ir, Cr, BaF, Ba, or a compound or mixture thereof (eg, For example, a material layer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such as a mixture of Ag and Mg) may be included.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metal oxide layer disposed on the material layer having a small work function.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6 도전층(180) 상부에는 봉지막이 배치될 수 있다. 봉지막은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봉지막은 제1 무기막, 제1 무기막 상부의 유기막, 유기막 상부의 제2 무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encapsula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 The encapsulation film may include an inorganic film. In an embodiment, the encapsulation film may include a first inorganic film, an organic film on the first inorganic film, and a second inorganic film on the organic film.

계속해서, 투광부(TA)의 단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투광부(TA)는 화소(PX)의 적층 구조 중, 일부의 층이 제거된 구조를 갖는다. 투광부(TA)는 발광을 하지 않는 영역이기 때문에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캐소드 전극 등에 상응하는 층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층의 생략으로 인해 투광부(TA)는 화소(PX)에 비해 높은 투과율을 가질 수 있다. Next,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will be describe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has a structure in which some layers are removed from among the stacked structures of the pixels PX. Since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is an area that does not emit light, it is possible to omit layers corresponding to the anode electr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cathode electrode, and the like. Due to the omission of the layer,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may have a higher transmittance than the pixel PX.

구체적으로, 투광부(TA)에는 캐소드 전극인 제6 도전층(180)이 배치되지 않는다. 캐소드 전극은 공통 전극으로서 화소(PX)의 경우 제6 도전층(180)이 전 영역에 걸쳐 배치되지만, 투광부(TA)에서는 제거되어 투광 개구(OP)를 형성한다. 투광 개구(OP)는 제6 도전층(18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전면 발광형 패널에서 캐소드 전극은 빛을 어느 정도 투과시키긴 하지만, 반사 또는 흡수되는 빛도 상당하다. 투광부(TA)에 캐소드 전극인 제6 도전층(180)이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화소(PX)의 비발광 영역(NEA)보다 높은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다. In detail,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serving as a cathode is not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he cathode electrode is a common electrode, and in the case of the pixel PX,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is disposed over the entire area, but is removed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o form the light transmitting opening OP. The light transmitting opening OP may be defined by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 In a top-emitting panel, the cathode transmits light to some extent, but also reflects or absorbs a significant amount of light. Since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serving as a cathode is not disposed in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A, transmittance higher than that of the non-emission area NEA of the pixel PX may be secured.

또한, 투광부(TA)에는 애노드 전극인 제5 도전층(170)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전면 발광형 패널에서 애노드 전극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성 물질층을 포함하게 되는데, 투광부(TA)에서는 제5 도전층(170) 자체를 비배치함으로써 두께 방향으로 광 투과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투광부(TA)에는 유기층(190)이 배치되지 않음으로써, 더 높은 투과율을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투광부(TA)에는 반도체층이나 기타 다른 도전층도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Also,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serving as an anode electrode may not be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In the top emission type panel, the anode electrode includes the reflective material layer as described above.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he fifth conductive layer 170 itself is not disposed so that light can be transmitt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lso, since the organic layer 190 is not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a higher transmittance may be maintained. Furthermore, a semiconductor layer or other conductive layer may not be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따라서, 예시적인 투광부(TA)의 적층 구조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0), 버퍼층(105), 제1 절연층(121), 제2 절연층(122), 제3 절연층(123), 제4 절연층(124), 제5 절연층(125) 및 화소 정의막(126)이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exemplary laminated structur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is as shown in FIG. 6A , the substrate 100 , the buffer layer 105 ,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2 ,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 and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화소 및 투광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조에서 투광부(TA)의 절연막들이 더 생략될 수 있음을 예시한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xel and a light transmitting part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6 illustrates that insulating layers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may be further omitted in the structure of FIG. 5 .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TA)에서는 화소 정의막(126), 제5 절연층(125), 제4 절연층(124), 제3 절연층(123), 제2 절연층(122), 제1 절연층(121), 및 버퍼층(105)이 모두 제거되고 기판(100)의 표면이 노출될 수 있다. 투광 개구(OP)는 제6 도전층(180), 화소 정의막(126), 제5 절연층(125), 제4 절연층(124), 제3 절연층(123), 제2 절연층(122), 제1 절연층(121), 및 버퍼층(105)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기판(100)은 투광부(TA)에서도 여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기판(100)은 투광부(TA)와 중첩하며, 투광부(TA)에서 관통홀을 불포함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많은 절연층이 추가 제거됨으로써, 도 5의 실시예에 비해 투광부(TA)의 투과율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s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6 ,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and the third insulating layer ( 123 ),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2 ,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 and the buffer layer 105 are all removed,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100 may be exposed. The light transmitting opening OP includes the sixth conductive layer 180 ,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 and the second insulating layer ( 122 ),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 and the buffer layer 105 . The substrate 100 may not be removed even in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hat is, the substrate 100 may overlap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and may not include a through hole in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6 , since many insulating layers are additionally removed as described above,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may be further improved compared to the embodiment of FIG. 5 .

다른 예로, 도 6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투광부(TA)에서 화소 정의막(126), 제5 절연층(125), 제4 절연층(124), 제3 절연층(123), 제2 절연층(122), 제1 절연층(121), 및 버퍼층(105) 중 일부가 제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비아층에 해당하는 제4 절연층(124)으로부터 그 위쪽에 위치하는 층들이 모두 제거되어 투광 개구(OP)를 형성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6 , the pixel defining layer 126 , the fifth insulating layer 125 ,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 the third insulating layer 123 , and the Some of the second insulating layer 122 , the first insulating layer 121 , and the buffer layer 105 may be removed. For exampl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all of the layers positioned above the fourth insulating layer 124 corresponding to the via layer may be removed to form the light-transmitting opening OP.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영역별 화소와 투광부의 배열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arrangement of pixels and a light transmitting unit for each area of a display pane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은 각각 적색 화소(PX_R), 녹색 화소(PX_G) 및 청색 화소(PX_B)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각 색상별 화소(PX)의 크기는 동일하며, 제1 표시 영역(DA1)의 화소(PX)와 제2 표시 영역(DA2)의 화소(PX)의 크기 또한 동일하다. 제2 표시 영역(DA2)은 화소(PX) 외에 투광부(TA)를 더 포함한다. 투광부(TA)의 크기는 화소(PX)의 크기와 동일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7 ,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nclude a red pixel PX_R, a green pixel PX_G, and a blue pixel PX_B, respectively.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size of the pixel PX for each color is the same, and the pixel PX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pixel PX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have the same size. The second display area DA2 further includes a light transmitting part TA in addition to the pixel PX. The siz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is the same as the size of the pixel PX,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표시 영역(DA1)은 제2 방향(DR2)으로 동일한 색의 화소(PX)가 배열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다른 색의 화소(PX)가 교대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에서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적색 화소(PX_R), 녹색 화소(PX_G), 청색 화소(PX_B), 적색 화소(PX_R), 녹색 화소(PX_G), 청색 화소(PX_B)의 순으로 배열된다.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 pixels PX of the same color are arranged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and pixels PX of different color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For example,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 the red pixel PX_R, the green pixel PX_G, the blue pixel PX_B, the red pixel PX_R, the green pixel PX_G, The blue pixels PX_B are arranged in order.

제2 표시 영역(DA2)은 제1 방향(DR1)으로 화소(PX) 및 투광부(TA)가 교대로 배열된다. 화소(PX)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서로 다른 색의 것이 배열된다. 예를 들어, 제2 표시 영역(DA2)에서는 제1 방향(DR1)을 따라 적색 화소(PX_R), 투광부(TA), 녹색 화소(PX_G), 투광부(TA), 청색 화소(PX_B), 투광부(TA)의 순으로 배열된다. 제2 방향(DR2)으로는 동일한 색의 화소(PX)가 배열되거나, 투광부(TA)들이 배열된다.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화소(PX)의 수와 투광부(TA)의 수는 같을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화소(PX)의 면적과 투광부(TA)의 면적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표시 영역(DA2) 전체 면적에 대한 투광부(TA)의 면적은 50%일 수 있다.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the pixels PX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Pixels PX of different colors are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DR1 . For example,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the red pixel PX_R,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the green pixel PX_G,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the blue pixel PX_B, They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s TA. In the second direction DR2 , pixels PX of the same color are arranged or light transmitting units TA are arrang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the number of pixels PX and the number of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s TA may be the same. Also,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the area of the pixel PX and the area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may be the same. That is, the area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with respect to the total area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50%.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화소(PX)와 투광부(TA)가 교대로 배열되면(다시 말해서, 투광부(TA)가 화소(PX)의 사이 사이에 섞여서 배치되면), 화소(PX)의 개입 없이 넓은 면적의 투광부(TA)가 형성된 경우에 비해 투광부(TA)의 존재가 잘 시인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투광부(TA)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교대 배열된 화소(PX)에 의해 표시 패널의 사용자가 해당 영역이 제1 표시 영역(DA1)인지 제2 표시 영역(DA2)인지 구분하지 못할 정도로 자연스러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투광부(TA)에 의해 빛을 투과시킴으로써 제2 표시 영역(DA2)을 투명 디스플레이나 광 센싱 통로로 활용할 수 있다. When the pixel PX and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ar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that is, when the light-transmitting part TA is mixed between the pixels PX), the pixel PX Compared to a case in whic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having a large area is formed without the intervention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he existen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may not be easily recognized. Accordingly, despite the presence of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the pixels PX are alternately arranged so that the user of the display panel cannot distinguish whether the corresponding area is the first display area DA1 or the second display area DA2. screen can be displayed. At the same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used as a transparent display or a light sensing path by transmitting light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한편, 도 7의 실시예의 경우,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화소(PX)의 수와 투광부(TA)의 수가 동일하다.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의 각 화소(PX)와 투광부(TA)의 크기가 서로 동일하다고 가정할 때, 제2 표시 영역(DA2)의 화소(PX)의 수는 제1 표시 영역(DA1)의 화소(PX)의 수의 절반이 된다. 즉, 단위 면적당 제2 표시 영역(DA2)의 화소(PX)의 수는 단위 면적당 제1 표시 영역(DA1)의 화소(PX)의 수의 절반이 되어 절반의 해상도를 갖게 된다. 결과적으로, 표시 패널은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높은 고해상도 영역과 상대적으로 해상도가 낮은 저해상도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 패널(10) 내에서 고해상도 영역과 저해상도 영역이 산재되어 있으면,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해당 영역을 인식하여 화질이 저하될 수 있지만, 영역의 배치 및 영역별 표시 내용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FIG. 7 , the number of pixels PX and the number of light transmitting parts TA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re the same. Assuming that each pixel PX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nd the light transmitting part TA have the same size, the pixel PX of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s The number is half of the number of pixels PX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 That is, the number of pixels PX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per unit area becomes half the number of pixels PX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per unit area, so that the resolution is half. As a result, the display panel may be divided into a high resolution area having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and a low resolution area having a relatively low resolution. If the high-resolution region and the low-resolution region are interspersed in the display panel 10 , in some cases, the user may recognize the corresponding region and thus the image quality may deteriorate. can lower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0) 상부에는 편광 부재(POL)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POL)는 통과하는 빛을 편광시킨다. 편광 부재(POL)는 외광 반사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3 and 4 , a polarizing member POL may be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10 . The polarizing member POL polarizes the passing light. The polarizing member POL may serve to reduce reflection of external light.

편광 부재(POL) 상부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에는 단차 보상층(20) 및 보호 윈도우(30)가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 보호 윈도우(30)가 단차 보상층(20)의 상부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차 보상층(20)이 보호 윈도우(3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편광 부재(POL) 상부의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투광 제어층(40)이 배치될 수 있다. 투광 제어층(40)은 단차 보상층(20)과 동일한 층(예를 들어, 편광 부재(POL))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단차 보상층(20)이 보호 윈도우(3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경우, 투광 제어층(40)은 보호 윈도우(30)와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즉, 투광 제어층(40)은 단차 보상층(20) 및/또는 보호 윈도우(3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and the protective window 3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on the polarization member POL.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at the protective window 30 is disposed on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may be disposed on the protective window 30 .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on the polarization member POL.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eg, a polarizing member P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may be disposed on the protective window ( When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30 ,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as the protective window 30 . That is,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and/or the protection window 30 .

단차 보상층(20)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차 보상층(20)은 수지(Resin)를 도포한 뒤 경화시킨 필름 형태이거나 투명한 유리나 플라스틱일 수 있다. 다만, 단차 보상층(20)을 이루는 물질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편광층(POL)과 보호 윈도우(30)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층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편광층(POL)과 보호 윈도우(30)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층의 두께는 편광층(POL)과 투광 제어층(40)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층의 두께보다 클 수 있다.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may be in the form of a film cured after applying a resin, or may be made of transparent glass or plastic. However,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bond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olarization layer POL and the protective window 30 .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olarization layer POL and the protective window 3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nd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polarization layer POL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

단차 보상층(20)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된 보호 윈도우(30)의 두께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된 투광 제어층(40)의 두께 사이의 차이를 보상해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투광 제어층(40)의 두께는 보호 윈도우(30)의 두께보다 클 수 있는데, 보호 윈도우(30) 상에 단차 보상층(20)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두께 차이를 보상해 줄 수 있다. 즉, 단차 보상층(20)의 두께(TH1) 및 보호 윈도우(30)의 두께(TH2)의 합은 투광 제어층(40)의 두께(TH3)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투광 제어층(40)의 상면은 보호 윈도우(3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있거나 보호 윈도우(30)의 상면의 연장면 상에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의 제1 비폴딩 영역(NFA1)의 활성 영역(AAR)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활성 영역(AAR)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차를 보상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R)이 전체적으로 평평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인식하는 표시 장치(1)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전체적으로 굴곡없이 자연스러울 수 있다.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compensates for a difference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30 dispos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can do it Specifically, the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30 . As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is disposed on the protective window 30 , the thickness difference is compensated for. can do it That is, the sum of the thickness TH1 of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 and the thickness TH2 of the protective window 30 may be substantially equal to the thickness TH3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window 30 , and may be substantially on the same plane or on an extended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ective window 3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ompensate for a step difference that may occur between the active area AAR of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active area AAR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active area AAR of the display device 1 is entirely flat. That is,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 recognized by the user may be natural without bending as a whole.

보호 윈도우(30)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윈도우(30)는 예를 들어, 유리나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 윈도우(30)가 유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유리는 초박막(Ultra Thin Glass; UTG) 내지 박막 유리일 수 있다. 보호 윈도우(30)가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플라스틱은 투명한 폴리이미드(polyimide) 등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protective window 30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protective window 30 may include, for example, glass or plastic. When the protective window 30 includes glass, the glass may be Ultra Thin Glass (UTG) or thin glass. When the protective window 30 includes plastic, the plastic may be, for example, transparent polyim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투광 제어층(40)은 투광 제어층(40)의 외부에서부터 들어오는 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을 투과하는 투과율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0% 내지 96%일 수 있다. 즉,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을 투과하는 투과율은 0% 내지 96%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투광 제어층(40)은 제3 방향(DR3)으로 0.3㎛ 내지 0.5㎛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투광 제어층(40)의 두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0.1㎛ 내지 0.7㎛의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coming from the outsid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transmitt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for example, 0% to 96%. That is, the transmittance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changed within the range of 0% to 96%. Also,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have a thickness of 0.3 μm to 0.5 μm in the third direction DR3 . However, the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thickness of 0.1 μm to 0.7 μm.

투광 제어층(40)을 표시 패널(10)의 상부 즉, 표시 패널(10)에서 방출되는 빛의 경로 상에 배치함에 따라, 표시 패널(10)의 on/off 조절 없이도, 투광 제어층(10)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표시 장치(1)의 활성 영역(AAR) 전부 또는 일부에서 화상 및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표시 장치(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이 타인에게 시인되지 않길 원하는 경우,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타인에게 표시 장치(1)의 화상 및 영상이 시인되지 않거나, 선명하지 않게 시인되도록 할 수 있다. By disposing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10 , that is, on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10 ,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10 can be controlled without on/off control of the display panel 10 . ) by adjusting the transmittance of the display device 1 , images and images may not be displayed in all or a part of the active area AAR of the display device 1 . That is, when the user does not want the images and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 to be viewed by others,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adjusted so that the images and images of the display device 1 are not viewed by others. Or, it can be made to be recognized in a unclear manner.

이하에서, 투광 제어층(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8 내지 도 11이 참조된다. Hereinafter, reference is made to FIGS. 8 to 11 to describe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n detail.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투광 제어층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차광 모드의 차광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투과 모드의 차광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액정의 비율 및 전압에 따른 투광 제어층의 투광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 blocking device in a light blocking mode,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ight blocking device in a transmission mode. 11 is a graph showing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ttance control layer according to the ratio of liquid crystal and the voltage.

도 8을 참조하면, 투광 제어층(40)은 제1 액정층 기판(410), 제1 액정층 전극(420), 액정층(430), 제2 액정층 전극(440), 및 제2 액정층 기판(45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includes a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 a first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20 , a liquid crystal layer 430 , a second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40 , and a second liquid crystal layer. and a layered substrate 450 .

제1 액정층 기판(410)과 제2 액정층 기판(450)은 투명한 유리 기판(glass substrate) 또는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정층 기판(410)과 제2 액정층 기판(450)은 TAC(triacetyl cellulose) 또는 DAC(diacetyl cellulose)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수지, 노르보르넨 유도체(Norbornene derivatives) 등의 COP(cyclic olefin polymer), COC(cyclic olefin copolymer), PMMA(poly(methylmethacrylate)) 등의 아크릴 수지, PC(polycarbonate), PE(polyethylene) 또는 PP(polypropylene) 등의 폴리올레핀(polyolefin), PVA(polyvinyl alcohol), PES(poly ether sulfone), PEEK(polyetheretherketone), PEI(polyetherimide), PEN(polyethylenenaphthalate),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등의 폴리에스테르, PI(polyimide), PSF(polysulfone), 또는 불소 수지(fluoride resin) 등을 포함하는 시트 또는 필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50 may be a transparent glass substrate or a plastic film. For example,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50 include cellulose resins such as triacetyl cellulose (TAC) or diacetyl cellulose (DAC), and COP (Norbornene derivatives). Acrylic resin such as cyclic olefin polymer), COC (cyclic olefin copolymer), PMMA (poly(methylmethacrylate)), polyolefin such as PC (polycarbonate), PE (polyethylene) or PP (polypropylene), PVA (polyvinyl alcohol) Polyester such as , PES (poly ether sulfone), PEEK (polyetheretherketone), PEI (polyetherimide), PEN (polyethylenenaphthalate),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 PI (polyimide), PSF (polysulfone), or fluoride resin, etc. It may be a sheet or film comprising a,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액정층 기판(410)상에는 제1 액정층 전극(420)이 마련되고, 제2 액정층 기판(450)상에는 제2 액정층 전극(440)이 마련된다.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은 투명한 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은 은 산화물(예; AgO 또는 Ag2O 또는 Ag2O3 ), 알루미늄 산화물(예; Al2O3), 텅스텐 산화물(예; WO2 또는 WO3 또는 W2O3), 마그네슘 산화물(예; MgO), 몰리브덴 산화물(예; MoO3), 아연 산화물(예; ZnO), 주석 산화물(예; SnO2), 인듐 산화물(예; In2O3), 크롬 산화물(예; CrO3 또는 Cr2O3), 안티몬 산화물(예; Sb2O3 또는 Sb2O5), 티타늄 산화물(예; TiO2), 니켈 산화물(예;NiO), 구리 산화물(예; CuO 또는 Cu2O), 바나듐 산화물(예; V2O3 또는 V2O5), 코발트 산화물(예; CoO), 철 산화물(예; Fe2O3 또는 Fe3O4), 니오븀 산화물(예; Nb2O5), 인듐 주석 산화물(예; 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예; Indium Zinc Oxide, IZO), 알루미늄 도핑된 아연 산화물(예; Aluminum doped Zinc Oxide, ZAO), 알루미늄 도핑된 주석 산화물(예; Aluminum Tin Oxide, TAO) 또는 안티몬 주석 산화물(예; Antimony Tin Oxide, ATO)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 first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20 is provided on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 and a second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40 is provided on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50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and 440 may be transparent electrode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 440 may be formed of silver oxide (eg, AgO or Ag2O or Ag2O3 ), aluminum oxide (eg, Al2O3 ), tungsten oxide (eg WO2 or WO3 or W2O3 ), magnesium Oxides (eg MgO), molybdenum oxides (eg MoO3), zinc oxides (eg ZnO), tin oxides (eg SnO2), indium oxides (eg In2O3), chromium oxides (eg CrO3 or Cr2O3), antimony Oxides (eg Sb2O3 or Sb2O5), titanium oxides (eg TiO2), nickel oxides (eg NiO), copper oxides (eg CuO or Cu2O), vanadium oxides (eg V2O3 or V2O5), cobalt oxides (eg; CoO), iron oxide (e.g. Fe2O3 or Fe3O4), niobium oxide (e.g. Nb2O5), indium tin oxide (e.g.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e.g. Indium Zinc Oxide, IZO), aluminum doped It may be zinc oxide (eg, Aluminum doped Zinc Oxide, ZAO), aluminum doped tin oxide (eg, Aluminum Tin Oxide, TAO), or antimony tin oxide (eg, Antimony Tin Oxide, ATO),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액정층(430)은 제1 액정층 기판(410)과 제2 액정층 기판(4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액정층(430)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ayer)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하나의 액정층(430)이 제1 액정층 기판(410)과 제2 액정층 기판(45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복수 개의 액정층(430)이 제1 액정층 기판(410)과 제2 액정층 기판(45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액정층(430)의 굴절률 이방성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10 내지 0.25 또는 0.05 내지 0.30일 수 있다. 또한, 액정층(430)의 유전률 이방성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50 .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be a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ayer (PDLC). 8 illustrates that one liquid crystal layer 43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5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 layers 4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1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substrate 450 .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0.10 to 0.25 or 0.05 to 0.30. In addition, the dielectric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s not limited thereto, but may be 3 to 30 or 10 to 20.

액정층(430)은 폴리머(431)와 복수의 액적(droplet)(432)을 포함한다. 복수의 액적(432) 각각에는 복수의 액정(433)(또는 액정 분자)이 포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액정(433)은 폴리머(431)에 의해 복수의 액적(droplet)(432)들로 분산될 수 있다. 복수의 액정(433)은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의 수직 전계 즉, 제3 방향(DR3)으로의 전계에 의해 배열이 변경되는 네마틱(nematic) 액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ncludes a polymer 431 and a plurality of droplets 432 . Each of the plurality of droplets 432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quid crystals 433 (or liquid crystal molecules). That is,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s 433 may be dispersed into a plurality of droplets 432 by the polymer 431 .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s 433 may be nematic liquid crystals whose arrangement is changed by the vertical electric fiel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and 440 , that is, the electric field in the third direction DR3 . not limited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복수의 액적(432)은 블랙(black)의 차광 모드를 구현하기 위해서, 복수의 이색성 염료(dichroic dy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이색성 염료는 빛을 흡수하는 염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색성 염료는 가시광선 파장대의 빛을 모두 흡수하는 블랙 염료(black dye) 또는 특정한 색(예를 들어 적색)의 파장대 이외의 빛을 흡수하고 특정한 색(예를 들어 적색)의 파장대의 빛을 반사하는 염료일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액적(432)이 복수의 이색성 염료를 포함함에 따라, 액정층(430)은 빛을 흡수하여, 차광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plurality of droplets 432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dichroic dyes to implement a black light blocking mode. The plurality of dichroic dyes may be light-absorbing dye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ichroic dyes may be a black dye that absorbs all light in a visible light wavelength band or a specific color (eg red) that absorbs light other than a wavelength band of a specific color (eg, red). It may be a dye that reflects light in a wavelength band of Accordingly, as the plurality of droplets 432 include the plurality of dichroic dyes,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absorb light and block the light.

액정층(430)은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빛을 차광하는 차광 모드 또는 빛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투광 제어층(40)의 차광, 투과 모드를 가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액정층(430)의 차광 모드와 투과 모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be implemented in a light blocking mode that blocks light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and 440 or a transmission mode that transmits light. That is, by controll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and 440 , the light blocking and transmission mode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varied. Hereinafter, a light blocking mode and a transmission mode of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

도 9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거나 제1 액정층 전극(420)에 인가되는 제1 전압과 제2 액정층 전극(440)에 인가되는 제2 전압 간의 차이가 문턱값보다 작은 경우, 액정층(430)의 복수의 액정(433) 은 무작위로 또는 랜덤하게 배열된다. 이 때, 액정층(430)에 입사되는 빛은 액정(433)들에 의해 산란된다. 따라서, 액정층(430)은 차광 모드에서, 투광 제어층(40)으로 입사되는 빛이 투광 제어층(40)을 투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no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and 440 , or the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2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40 are applied.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voltages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s 433 of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are arranged randomly or randomly. In this case, the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s scattered by the liquid crystals 433 . Accordingly,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block light incident to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from passing through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in the light blocking mode.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액정층(430)은 제1 및 제2 전극들(420, 440) 각각에 소정의 전압을 공급하는 전압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정층 전극(420)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 액정층 전극(4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액정층(430)에 포함된 복수의 액정(433)의 배열을 제어함으로써 입사되는 빛을 차단하는 차광 모드 또는 입사되는 빛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로 구현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further include a voltag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420 and 440 . By controlling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s 433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20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40 , the incident light is reduced. It may be implemented in a light blocking mode that blocks or a transmission mode that transmits incident light.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액정층 전극(420)에 인가되는 제1 전압과 제2 액정층 전극(440)에 인가되는 제2 전압 간의 차이가 문턱값보다 큰 경우 액정층(430)의 복수의 액정(433)은 제1 액정층 전극(420)과 제2 액정층 전극(440) 사이에 형성되는 수직 전계 즉, 제3 방향(DR3)으로의 전계에 의해 제3 방향(DR3)으로 배열된다. 이 때, 복수의 액정(433)은 빛이 입사되는 방향으로 배열되며, 액정층(430)의 폴리머(431)와 제1 액정(433)들 간의 굴절률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액정층(430)에 입사되는 빛의 산란은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액정층(430)에 입사되는 빛의 대다수는 액정층(430)을 그대로 통과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20 and the second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40 is greater than a threshold,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 layers 430 is The liquid crystals 433 of the are arranged in the third direction DR3 by the vertical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first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20 and the second liquid crystal layer electrode 440 , that is, the electric field in the third direction DR3 . do.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liquid crystals 433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in which light is incident, and since the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polymer 431 of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and the first liquid crystal 433 is minimized,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is The scattering of the incident light is minimized. Accordingly, most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may pass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430 as it is.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아래의 실험예 1 내지 4에 따른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로, 투광 제어층(40)은 다양한 투과율을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투광 제어층(40)은 빛을 투과하는 투과 모드 및 빛을 차광하는 차광 모드로 가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0% 내지 96% 또는 0% 내지 99%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은 상기 투과율의 범위 내에서 조절할 수 있다. 즉,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은 조절할 수 있으며,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 및 투광 제어층(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 FIG. 11 is a graph showing result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below, and shows that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have various transmittances. Specifically,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not only change into a transmission mode for transmitting light and a light blocking mode for blocking light, but also have a transmittance of 0% to 96% or 0% to 99%, ,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adjusted within the above transmittance range. That is,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may be adjusted,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ratio of the polymer 431 to the liquid crystal 433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

이하, 실험예를 통해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 및 투광 제어층(40)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ratio of the liquid crystal 433 to the polymer 431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perimental examples.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투광 제어층(40)에 인가되는 전압은 10V이며,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에 따른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was 10V,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olymer 431 to the liquid crystal 433 was confirmed. The result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1 below.

투과율(%)Transmittance (%) 폴리머 대비 액정의 비율(%)Ratio of liquid crystal to polymer (%) 9595 3030 9090 2525 8585 2020 8080 1717 7575 1818 7070 1313 6565 12.512.5 6060 1111 5555 10.810.8 5050 1010 4545 9.59.5 4040 88 3535 7.57.5 3030 77 2525 6.56.5 2020 66 1515 55 1010 22 55 1One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투광 제어층(40)에 인가되는 전압은 8V이며,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에 따른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was 8V,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olymer 431 to the liquid crystal 433 was confirmed. The result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2 below.

투과율(%)Transmittance (%) 폴리머 대비 액정의 비율(%)Ratio of liquid crystal to polymer (%) 9595 3535 9090 2929 8585 2626 8080 2323 7575 2222 7070 2020 6565 1515 6060 1414 5555 13.513.5 5050 1212 4545 1010 4040 99 3535 88 3030 7.57.5 2525 77 2020 6.56.5 1515 5.55.5 1010 33 55 22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투광 제어층(40)에 인가되는 전압은 5V이며,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에 따른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was 5V,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olymer 431 to the liquid crystal 433 was confirmed. The result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3 below.

투과율(%)Transmittance (%) 폴리머 대비 액정의 비율(%)Ratio of liquid crystal to polymer (%) 9595 4040 9090 3838 8585 3535 8080 3030 7575 2828 7070 2525 6565 2222 6060 2020 5555 1818 5050 1616 4545 1515 4040 1010 3535 99 3030 88 2525 7.57.5 2020 77 1515 66 1010 55 55 33

<실험예 4><Experimental Example 4>

투광 제어층(40)에 인가되는 전압은 3V이며,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에 따른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에 따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The voltage applied to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was 3V,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olymer 431 to the liquid crystal 433 was confirmed. The results according to Experimental Example 1 are shown in Table 4 below.

투과율(%)Transmittance (%) 폴리머 대비 액정의 비율(%)Ratio of liquid crystal to polymer (%) 9595 5050 9090 4747 8585 4545 8080 4040 7575 3535 7070 3333 6565 2828 6060 2727 5555 2525 5050 2323 4545 2020 4040 1818 3535 1515 3030 1313 2525 1212 2020 1010 1515 77 1010 66 55 33

도 11, 실험예 1 내지 4 및 표 1 내지 4를 참조하면,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은 폴리머(431) 대비 액정(433)의 비율에 따라,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은 5% 내지 95% 사이의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11, Experimental Examples 1 to 4 and Tables 1 to 4,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depends on the ratio of the polymer 431 to the liquid crystal 433, and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5 It was confirmed that it can be adjusted in the range between % and 95%.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호 윈도우(30) 및 투광 제어층(40) 상부에는 보호 필름(50)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 필름(50)은 보호 윈도우(30) 및 투광 제어층(40)의 비산 방지, 충격 흡수, 찍힘 방지, 지문 방지, 눈부심 방지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필름(50)은 생략될 수도 있다. Again, referring to FIGS. 3 and 4 , a protective film 50 may be disposed on the protective window 30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 The protective film 50 may perform at least one of scattering prevention, shock absorption, engraving prevention, fingerprint prevention, and glare prevention of the protective window 30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 The protective film 50 may be omitted.

표시 패널(10)의 하부에는 고분자 필름층(PF)이 배치될 수 있다. 고분자 필름층(PF)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술폰(PSF),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AC), 시클로올레핀 폴리머(C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A polymer film layer PF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10 . Polymer film layer (PF) is, for example, polyimide (PI),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carbonate (PC), polyethylene (PE), polypropylene (PP), polysulfone (PSF), polymethyl meta acrylates (PMMA), triacetyl cellulose (TAC), cycloolefin polymers (COP), and the like.

고분자 필름층(PF)의 하부에는 쿠션층(CU)이 배치될 수 있다. 쿠션층(CU)은 표시 장치(1)의 두께 방향(제3 방향(DR3))으로 가해질 수 있는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증가시키고, 표시 장치(1)가 낙하되었을 때, 이에 대한 낙하 충격을 개선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쿠션층(CU)은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 cushion layer CU may be disposed under the polymer film layer PF. The cushion layer CU increases durability against shocks that may be appli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hird direction DR3) of the display device 1 , and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dropped, it improves the drop shock. can play a role in The cushion layer CU may include polyurethane or the like.

도시하진 않았으나, 쿠션층(SUB) 또는 고분자 필름층(PF) 하부에는 금속 플레이트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구리, 은 등과 같은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metal plate may be further disposed under the cushion layer SUB or the polymer film layer PF. The metal plate may include, for example, a metal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copper or silver.

표시 장치(1)의 폴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표시 장치(1)의 일부 층은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 상부에 배치되는 보호 윈도우(30) 및 투광 제어층(40)은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비폴딩 상태에서 보호 윈도우(30)와 투광 제어층(4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비폴딩 상태에서 보호 윈도우(30)와 투광 제어층(40)는 각각 폴딩 라인(FDA)과 비중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rder to facilitate folding of the display device 1 , some layers of the display device 1 may be separated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For example, the protective window 30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In this case, the protective window 30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non-folding state. In the non-folding state, the protection window 30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each not overlap the folding line FDA, but is not limited thereto.

표시 전용 영역(11)과 표시 투광 영역(12)의 경우에도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분리될 수도 있지만, 이들이 충분한 연성을 갖는 경우 폴딩 라인(FDA) 및 비폴딩 영역(NFA)과 무관하게 일체로 연결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display-only area 11 and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may also be separated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if they have sufficient ductility, regardless of the folding line FDA and the non-folding area NFA They may be connected integrally.

표시 장치(1)가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인 폴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비폴딩 영역(NFA2)이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폴딩 라인(FDA)과 무관하게 연결되어 있는 고분자 필름층(PF), 쿠션층(CU), 편광 부재(POL), 보호 필름(50) 등은 폴딩 라인(FDA)의 폭 방향을 따라 단면상 곡선을 이루도록 휘어질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in-folded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may overlap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ere is. The polymer film layer (PF), the cushion layer (CU), the polarizing member (POL), the protective film 50, etc. that are connected regardless of the folding line (FDA) form a cross-sectional curve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folding line (FDA). can be bent to achieve

표시 장치(1)가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인 폴딩됨에 따라, 표시 전용 영역(11)과 표시 투광 영역(12)의 폴딩 라인(FDA)에 인접한 일부분은 각각 폴딩 라인(FDA)에 인접한 영역에서 폭 방향을 따라 단면상 곡선을 이루도록 휘어질 수 있다. 또한, 보호 윈도우(30)와 투광 제어층(40)의 폴딩 라인(FDA)에 인접한 일부분은 각각 폴딩 라인(FDA)에 인접한 영역에서 폭 방향을 따라 단면상 곡선을 이루도록 휘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 전용 영역(11), 표시 투광 영역(12), 보호 윈도우(30) 및 투광 제어층(40)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장치(1)가 폴딩 라인(FDA)을 기준으로 인 폴딩됨에도 불구하고, 휘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라도, 표시 전용 영역(11)과 표시 투광 영역(12)의 사이 및 보호 윈도우(30)와 투광 제어층(40)의 사이는 이격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1)가 원활하게 폴딩될 수 있다. As the display device 1 is in-folded based on the folding line FDA, portions adjacent to the folding line FDA of the display-only area 11 and the display transmissive area 12 are adjacent to the folding line FDA, respectively. The region may be bent to form a curve in cross-s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portions of the protective window 30 and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djacent to the folding line FDA may be bent to form a curved cross-sectional view along the width direction in an area adjacent to the folding line FDA,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display-only area 11 ,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 the protective window 30 , and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may be formed by the display device 1 through the folding line FDA. Despite being in-folded as a reference, it may not be bent. Even in this case, since the display-only area 11 and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and between the protection window 30 and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are spaced apart, the display device 1 can be smoothly folded. there is.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비폴딩 상태에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2가을 참조된다. Hereinafter,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12 to describe an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in the non-folding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비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non-folding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을 조절함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에서의 상기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of the display device 1 may vary. That is, as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adjusted,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adjusted.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상세히 설명하면, 제2 표시 영역(DA2)은 투과부(TA)를 포함하는 표시 투광 영역(12) 및 투광 제어층(4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투광 제어층(40)을 투과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표시 투광 영역(12)에서 빛이 투과될 뿐만 아니라, 투광 제어층(40)에서도 빛이 투과되므로,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하여 표시 장치(1), 구체적으로는, 표시 장치(1)의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시인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은 영상 및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하여, 표시 장치(1)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시인함과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되는 역상 및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하여 표시 장치(1)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를 확인하거나, 상기 물체를 확인하는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아울러,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을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장치(1)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의 선명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more detail, since the second display area DA2 includes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 including the transmission part TA and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 when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is changed to the transmission mode , since light not only transmits through the display transmissive area 12 but also through the light transmittance control layer 40 , the display device 1 ,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 , passes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 an object positioned behi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may be visually recognized. In this state,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display an image and an image. That is,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an objec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 and simultaneously view the reverse image and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user can check the object locat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or check the object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t the same time. Images and images can be visually recognized. In addition, by variously changing the transmittance of light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 the sharpness of an object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display device 1 that can be check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adjusted.

도면상에서,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은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은 서로 다른 별개의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표시 영역(DA1)과 제2 표시 영역(DA2)이 모두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하는 경우,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에 걸쳐 하나의 화상 및 영상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화상 및 영상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의 구분없이, 제1 표시 영역(DA1) 및 제2 표시 영역(DA2)의 전 영역 즉, 활성 영역(AAR)에서 표시될 수도 있다.In the drawings,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re illustrated as separate images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both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display an image and an image, one image and An image may be displayed. That is, one image and one image are displayed in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second display area DA2, that is, the active area ( AAR) may also be indicated.

투광 제어층(40)을 차광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 장치(1)의 후방에 배치된 물체를 더 이상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하여 표시 장치(1)의 후방에 배치된 물체를 시인하고 싶지 않은 경우, 투광 제어층(40)을 차광모드로 변경하여, 표시 장치(1)의 후방에 위치하는 물체가 더 이상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변경할 수 있다. Whe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changed to the light blocking mode, the user may no longer check the object disposed behind the display device 1 . That is, when it is not desired to visually recognize an object disposed behind the display device 1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is changed to the light blocking mode and the display device It can be changed so that the object located in the rear of (1) is no longer recognized by the user.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폴딩 상태에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3을 참조된다. Hereinafter, reference is made to FIG. 13 to describe an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이 달라질 수 있다. 즉,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을 조절함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에서의 상기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of the display device 1 may vary. That is, as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i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adjusted, the transmittance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adjusted. Accordingly, use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시 장치(1)가 인 폴딩된 상태에서 투광 제어층(40)이 차광 모드인 경우, 사용자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시인할 수 없다. 다만, 투광 제어층(40)을 투과 모드로 변경하는 경우, 표시 투광 영역(12)에서 빛이 투과될 뿐만 아니라, 투광 제어층(40)에서도 빛이 투과되므로,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배면을 통하여, 외부에서 시인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배면을 통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투광 제어층(40)을 투과 모드로 변경하여, 제2 비폴딩 영역(NFA2)의 배면을 통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시인하거나, 투광 제어층(40)을 차광 모드로 변경하여,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변경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in the light blocking mode in the in-folded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 , the user cannot view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 However, whe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changed to the transmission mode, light not only transmits through the display light transmitting area 12 , but also transmits light through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 so that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The displayed image and image may be view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hat is, the user may visually recognize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Therefore,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the user changes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to the transmission mode, and sees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lternatively,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changed to the light blocking mode so that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re not viewed from the outside.

이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가 폴딩되는 각도에 따른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 변화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a change in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ccording to an angle at which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s folded will be described.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이 이루는 각도에 따라 제2 표시 영역의 투과율이 변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ange in transmittance of a second display area according to an angle formed by a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1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의 제2 표시 영역(DA2)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은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가 폴딩되는 정도에 따라,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이 투과되는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 the transmittance of light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of the display device 1 may vary depending on an angle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here is. That i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1 is folded,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is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adjusted, and user convenience may be improved.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비폴딩 상태의 표시 장치(1)를 폴딩하는 과정에서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광 제어층(40)에서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이 달라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비폴딩 상태에서 투광 제어층(40)이 차광 모드인 경우, 표시 장치(1)가 폴딩됨에 따라,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가 일정 각도 이하가 되는 순간 투광 제어층(40)이 투과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또는, 제1 비폴딩 영역(NFA1)과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에 따라,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이 점차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별도의 조작없이 단순히 표시 장치(1)를 폴딩함으로써, 투광 제어층(40)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투광 제어층(40)이 차광 상태에서 표시 장치(1)가 폴딩되더라도, 비폴딩 상태에서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해서 시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folding the display device 1 in the unfolded state, the angle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may vary, and accordingly,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n (40), the transmittance through which light transmits may vary.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is in a light blocking mode in a non-folding state, as the display device 1 is folded,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When the angle between the NFA2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angle,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changed to a transmission mode. Alternatively,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may gradually change according to an angle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Accordingly, the user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by simply folding the display device 1 without a separate manipulation for the user's convenience. In addition, even when the display device 1 is folded in the light-blocking state of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 images and image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DA1 in the non-folding state can be viewed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can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표시 장치(1)는 제1 비폴딩 영역(NFA1) 및 제2 비폴딩 영역(NFA2) 사이의 각도 변화를 감지하는 각도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도 감지부는 근조도 센서(미도시) 및 홀센서(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display device 1 may further include an angle sensing unit that detects an angle change betwee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The angle senso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roughness sensor (not shown) and a hall sensor (not shown).

이하,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전에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pla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or simplified for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already previously described, and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비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non-folding stat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는 투광 제어층(40_1)을 포함하되, 투광 제어층(40_1)은 표시 패널(10)의 하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15 and 16 , the display device 1_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_1 , wherein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_1 is disposed below the display panel 10 .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3 embodiment.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투광 제어층(40_1)은 표시 패널(10)의 상부 즉, 도면상 표시 패널(10)과 보호 필름(50) 사이에 배치되지 않으며, 표시 패널(10)의 하부 즉, 표시 패널(10)과 고분자 필름층(PF) 사이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투광 제어층(40_1)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에 배치되되, 표시 투광 영역(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_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not disposed above the display panel 10 , that is, between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protective film 50 in the drawing, and the display panel 10 . is disposed under the display panel 10 and the polymer film layer PF. In other words,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1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 light transmission area 10 .

투광 제어층(40_1)의 측면에는 단차 보상층(20_1)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단차 보상층(20_1)은 제1 비폴딩 영역(NFA1)에 배치되되, 표시 전용 영역(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투광 제어층(40_1)의 두께와 단차 보상층(20_1)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으며, 투광 제어층(40_1)과 단차 보상층(20_1)은 폴딩 라인(FDA)에 인접한 영역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A step compensation layer 20_1 may be disposed on a side surface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1 . That is,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_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display-only area 10 .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_1 and the thickness of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_1 may be the same, and the light-emitting control layer 40_1 and the step compensation layer 20_1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rea adjacent to the folding line FDA. may be spaced apart.

이 경우, 상술한 비폴딩 상태의 표시 장치(1_1)의 작동 모습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가 비폴딩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1)는 추가적인 작동 모습을 더 가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표시 장치(1_1)가 비폴딩 상태에서, 제2 표시 영역(DA2)은 표시 장치(1_1)의 후방에 배치된 물체를 제2 표시 영역(DA2)을 통해 시인되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투광 제어층(40_1)은 차광 모드이면서, 제2 표시 영역(DA2)에서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of the display device 1_1 in the non-folding state, when the display device 1_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unfolded, the display device 1_1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additionally operate. can have more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n a non-fold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_1 ,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display an object disposed behind the display device 1_1 through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An image and an image may b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while preventing visual recognition. That is,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1 may display an image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while in the light blocking mode.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에서의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Even in this case, the user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폴딩 상태에서 작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operating in a folded stat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는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을 더 포함하고, 표시 투광 영역(12_2)이 양면 발광형 표시 패널이라는 점에서 도 3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Referring to FIGS. 17 and 18 , the display device 1_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_2, and the display light transmission area 12_2 is a double-sided emission type display panel.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는 투광 제어층(40)을 포함하되, 제2 비폴딩 영역(NFA2)에서 표시 투광 영역(12_2)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의 외측에는 하부 단차 보상층(20_2)이 배치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0)의 하부에서, 제2 비폴딩 영역(NFA1)에는 하부 단차 보상층(20_2)이 배치되며, 제2 비폴딩 영역(NFA2)에는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이 배치될 수 있다. 하부 투광 제어층(40_2)과 하부 단차 보상층(20_2)은 폴딩 라인(FDA) 부근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의 두께와 하부 단차 보상층(20_2)의 두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_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 but a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disposed below the display light transmission area 12_2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40_2)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a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20_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2 . That is, under the display panel 10 ,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20_2 is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1 , and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2 is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can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2 and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20_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icinity of the folding line FDA. The thickness of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_2 and the thickness of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20_2 may be the same.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투광 영역(12_2)은 양면 발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투광 영역(12_2)의 애노드 전극(170) 및 캐소드 전극(180)은 빛을 투과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투광 영역(12_2)에서 방출되는 빛은 표시 투광 영역(12_2)의 상부 및 하부로 향할 수 있다. 즉, 표시 투광 영역(12_2)에서 방출되는 빛은 표시 투광 영역(12_2)로부터 투광 제어층(40) 및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transmissive area 12_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be a double-sided emission type display panel. In this case, the anode electrode 170 and the cathode electrode 180 of the display transmissive region 12_2 may be formed of a material that transmits light.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transmissive area 12_2 may be directed towar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isplay transmissive area 12_2 . That is,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_2 may be emitted from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12_2 toward the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 and the lower light-transmitting control layer 40_2 .

상술한 인 폴딩 상태의 표시 장치(1_2)의 작동 모습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가 인 폴딩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_2)는 추가적인 작동 모습을 더 가질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투광 제어층(40)은 차광 모드이고 하부 투광 제어층(40_2)이 투광 모드인 경우,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은 제2 비폴딩 영역(NFA2)을 통해 시인되지 않으면서,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표시 장치(1_2)의 배면을 통하여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되는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투광 제어층(40)을 투광 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 이경우, 제2 비폴딩 영역(NFA2)은 표시 장치(1_2)의 배면을 통하여,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하는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하는 화상 및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 표시 영역(DA1)에서 표시하는 화상 및 영상과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하는 화상 및 영상을 동시에 시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화상 및 영상을 시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operating state of the display device 1_2 in the in-folding state, when the display device 1_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in-folded, the display device 1_2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further have an additional operating state. can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is in the light blocking mode and the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_2 is in the light transmission mode,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re displayed in the second ratio. While not being viewed through the folding area NFA2 ,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may display an image and an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_2 . In this state, the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40 may be changed to the light transmission mode, and in this case,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may display an image displayed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through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1_2 and While displaying the image, the image and the image displayed in the first display area DA1 may be displayed. That is, the user may simultaneously view the image and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DA1 and the image a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Accordingly,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images and images of various types.

즉,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에서의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further improved.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19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20은 도 19의 표시 장치가 멀티 폴딩(Multi-folding)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of FIG. 19 is multi-folded.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폴딩 라인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19 and 20 ,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exemplary embodiment of FIG. 1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folding lines.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_3)는 제1 폴딩 라인(FDA1) 및 제2 폴딩 라인(FDA2)을 포함하고,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제3 비폴딩 영역(NFA3)을 포함하며, 제1 표시 영역(DA1),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폴딩 영역(NFA1), 제2 비폴딩 영역(NFA2) 및 제3 비폴딩 영역(NFA3)과 제1 표시 영역(DA1), 제2 표시 영역(DA2) 및 제3 표시 영역(DA3)은 각각 제1 폴딩 라인(FDA1) 및 제2 폴딩 라인(FDA2)에 의해 나눠질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display device 10_3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includes a first folding line FDA1 and a second folding line FDA2 , and includes a first non-folding area NFA1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 NFA2 ) and a third non-folding area NFA3 , and may include a first display area DA1 , a second display area DA2 , and a third display area DA3 . The first non-folding area NFA1 , the second non-folding area NFA2 , and the third non-folding area NFA3 , the first display area DA1 , the second display area DA2 , and the third display area DA3 may be divided by the first folding line FDA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DA2 , respectively.

표시 장치(10_3)는 제1 폴딩 라인(FDA1) 및 제2 폴딩 라인(FDA2)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면에서, 표시 장치(10_3)는 제1 폴딩 라인(FDA1)에 따라 아웃 폴딩되고, 제2 폴딩 라인(FDA2)에 따라 인 폴딩 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display device 10_3 may be folded based on the first folding line FDA1 and the second folding line FDA2 . In the drawing, the display device 10_3 is illustrated as being out-folded along the first folding line FDA1 and in-folded along the second folding line FDA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표시 장치(10_3)의 제3 표시 영역(DA3)에는 투광 제어층(40) 및 표시 패널(10)의 표시 투광 영역(12)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 장치(10_3)가 폴딩된 상태에서, 제3 표시 영역(DA3)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표시 영역(DA2)에서 표시되는 화면 및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40 and the display light transmission area 12 of the display panel 10 may be disposed in the third display area DA3 of the display device 10_3 . In this case, the user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the third display area DA3 while the display device 10_3 is folded, and accordingly, the screen and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DA2 may be viewed. there is.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제3 표시 영역(DA3)에서의 빛이 투과하는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Even in this case, the user may adjust the transmittance of light in the third display area DA3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표시 장치
10: 표시 패널
POL: 편광 부재
20: 단차 보상부
30: 보호 윈도우
40: 투광 제어층
50: 보호 필름
1: display device
10: display panel
POL: Polarizing member
20: step compensation unit
30: protection window
40: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50: protective film

Claims (20)

제1 비폴딩 영역 및 제2 비폴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된 표시 패널;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단차 보상층;
상기 단차 보상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위치하는 보호 윈도우;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위치하는 투광 제어층을 포함하되,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단차 보상층의 두께 및 상기 보호 윈도우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표시 장치.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non-folding area, th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display panel disposed over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a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on the display panel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 protective window disposed on the step compensation layer and position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positioned on the display panel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A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s equal to a sum of a thickness of the step difference compensation layer and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제어층은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ncludes a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ayer.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분산형 액정층의 굴절률 이방성은 0.1 내지 0.25인 표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layer is 0.1 to 0.2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 제어층은 5% 내지 95%의 범위에서 투과율을 조절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mittance control layer controls transmittance in a range of 5% to 9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제어층 및 상기 보호 윈도우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걸쳐 배치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ive film disposed on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and the protective window, and disposed over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the second non-folding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 및 적어도 하나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표시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panel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includes a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and at least one light-transmitting par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의 상기 표시 패널은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되, 상기 투광부를 불포함하는 표시 전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y panel of the second non-folding area includes a display-onl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but not including the light-transmitting par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은 양면 발광형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display light transmitting area is a double-sided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용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단차 보상층 및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투광 제어층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only area; and a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하부 단차 보상층의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A thickness of the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is the same as a thickness of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0.3㎛ 내지 0.5㎛ 또는 0.1㎛ 내지 0.7㎛ 인 표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s 0.3 μm to 0.5 μm or 0.1 μm to 0.7 μm.
제11 항에 있어서,
투광 제어층은 적어도 하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의 굴절률 이방성은 0.10 내지 0.25 인 표시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ncludes at least one liquid crystal molecule, and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 is 0.10 to 0.25.
제1 비폴딩 영역, 제2 비폴딩 영역 및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상기 제2 비폴디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폴딩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라인을 기준으로 인 폴딩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전용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상기 제2 비폴딩 영역에 배치되는 투광 제어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화소 및 투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투광부는 상기 화소보다 높은 광 투과율을 가지며, 상기 표시 투광 영역에만 배치되는 표시 장치.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non-folding area; a second non-folding area;
a display panel including a display-only area disposed in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 display transmissive area disposed in the second non-folding area; and
a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non-folding area;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pixel and a light-transmitting part, wherein the light-transmitting part has a higher light transmittance than the pixel and is disposed only in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비폴딩 영역과 중첩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활성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해상도보다 큰 표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and an active area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overlapping the first non-folding area and a second display area overlapping the second non-folding area, wherein a resolution of the first display area is set to a resolution of the second display area A display device that is larg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device.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투광 영역에 배치된 상기 화소와 상기 투광부는 교대로 배열되며, 동일한 면적을 갖는 표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pixels and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s disposed in the display light-transmitting area are alternately arranged and have the same area.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폴딩 영역에 보호 윈도우 및 단차 보상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윈도우의 두께 및 상기 단차 보상층의 두께의 합은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play device further includes a protective window and a step compensation layer in the first non-folding region, wherein a sum of a thickness of the protective window and a thickness of the step compensation layer is equal to a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0.3㎛ 내지 0.5㎛ 또는 0.1㎛ 내지 0.7㎛ 인 표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thickness of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s 0.3 μm to 0.5 μm or 0.1 μm to 0.7 μm.
제17 항에 있어서,
투광 제어층은 적어도 하나의 액정 분자를 포함하고, 상기 액정 분자의 굴절률 이방성은 0.10 내지 0.25 인 표시 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ncludes at least one liquid crystal molecule, and the refractive index anisotropy of the liquid crystal molecule is 0.10 to 0.2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은 양면 발광형 표시 패널인 표시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display light transmitting area is a double-sided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전용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단차 보상층 및 상기 표시 투광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투광 제어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부 투광 제어층의 두께는 상기 하부 단차 보상층의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20. The method of claim 19,
A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only area and a lower light emission control layer disposed under the display light transmitting area,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lower light transmission control layer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lower step compensation layer Device.
KR1020200010324A 2020-01-29 2020-01-29 Display device KR202100972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324A KR20210097249A (en) 2020-01-29 2020-01-29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324A KR20210097249A (en) 2020-01-29 2020-01-29 Display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7249A true KR20210097249A (en) 2021-08-09

Family

ID=7731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324A KR20210097249A (en) 2020-01-29 2020-01-29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724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7639B2 (en) Display device
US11662864B2 (en) Display device
US20200089350A1 (en)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37118B2 (en) Display Device
CN113140600A (en) Display device
KR20170133815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30162816A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10097249A (en) Display device
KR102600994B1 (en)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90073819A (en)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mirr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42484B1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483230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95945B1 (en)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55092B1 (en)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407526B1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392356B1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3018946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118155502A (en) Display device
KR20190011398A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2449049B1 (en) Light controlling apparatus,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11812653B2 (en) Display device
KR102501021B1 (en) Light controlling device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230369312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apparatus
US20230380231A1 (en) Display apparatus
US2023001586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