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874A -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874A
KR20210096874A KR1020200010451A KR20200010451A KR20210096874A KR 20210096874 A KR20210096874 A KR 20210096874A KR 1020200010451 A KR1020200010451 A KR 1020200010451A KR 20200010451 A KR20200010451 A KR 20200010451A KR 20210096874 A KR20210096874 A KR 20210096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online
marketplace
s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윤
Original Assignee
이정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윤 filed Critical 이정윤
Priority to KR102020001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6874A/ko
Publication of KR20210096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8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9Buyer or seller confidence or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미디어 컨텐츠의 저자가 자신의 글을 공유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유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단체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한 컨텐츠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 컨텐츠 판매수단(100)과, 컨텐츠 구매수단(200)과,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망(400)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컨텐츠 판매자가 블로그와 같은 자신의 개인미디어 사이트에 컨텐츠를 업로드시키고, 공개 게재 의사를 밝히면, 해당 컨텐츠를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에 등록시키고, 컨텐츠 구매자가 마켓플레이스에 올라와 있는 컨텐츠 중 원하는 컨텐츠를 구입하고 자사의 웹사이트에 간단한 스크립트 코드의 삽입만으로도 구입한 컨텐츠를 게재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How to Operate Online Content Marketplace System for Effective Content Delivery}
본 발명은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개인미디어 컨텐츠의 거래 및 손쉬운 사용을 돕기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인미디어 컨텐츠의 저자가 자신의 글을 공유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유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단체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한 컨텐츠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미디어(이하, '블로그')를 사용한 컨텐츠 제작자의 일반적인 수익 창출의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대분되는데, 그 첫 번째 방법이 Affiliate Program(Google의 AdSense나 Amazon의 Associates Program)을 사용하여 다른 사이트의 광고를 게재해주고 수익을 내는 방법이고, 그 두 번째 방법이 컨텐츠 자체의 내용을 오프라인(Offline)화하여 판매를 하여 수익을 내는 방법이다.
상기 첫 번째의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광고를 통해 얻은 수익을 광고를 게재한 사용자와 나누어 가지는 방식이며, 상기 두 번째 경우 컨텐츠를 offline화하면서 얻는 이익을 회사와 컨텐츠의 제작자가 나누어 가지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 첫 번째의 경우 글 자체의 내용으로 인해 수익이 판가름 나기보다는 블로그 전체적인 지명도에 따라 수익이 좌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의 경우 실제로 오프라인(offline)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경우 모두 온라인(online) 상에서 볼 수 있는 내용이므로 수익이 많이 생기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인미디어 컨텐츠 제작량의 증가속도가 빨라지고 있음에도 온라인에서 컨텐츠 자체의 내용을 가지고 수익을 창출해내는 수익모델은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보통 개인미디어 컨텐츠에서 가격을 매길 수 있다고 생각하는 내용은 대부분 정보성 글이며, 정보성이 아닌 감성적인 컨텐츠들의 경우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체적인 시스템을 찾아볼 수 없다.
한편, 스크립트 언어 삽입을 통해 동적인 컨텐츠를 보여주는 예로서는, Google사의 AdSense 프로그램을 들 수 있다. AdSense에서는 사용자가 간단한 javascript를 자신의 홈페이지에 삽입만 하면, 현재 페이지의 내용을 분석하여 그 문맥에 맞는 내용의 광고를 Google사의 광고 DB에서 받아 동적으로 보여주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은 컨텐츠 제작자에게 수익을 낼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지만, 상기의 프로그램을 악용하여 수익을 내려는 수많은 스팸성 블로그들(저질의 내용이나 의미 없는 내용의 웹사이트에 수많은 AdSense 프로그램을 삽입하여 사용자들을 속여서 돈을 벌기 위한 블로그들)이 양산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1). 개인미디어 컨텐츠의 저자가 자신의 글을 공유시킬 수 있도록 하고, 공유된 컨텐츠에 대해서는 필요로 하는 개인이나 단체들이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구매한 컨텐츠를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글의 메타정보나 색인된 내용을 통해 구축된 글 자체의 내용 관련 DB를 통하여 개인미디어의 저자가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를 공개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컨텐츠를 제 3자 집단 및 사용자들이 구매하고 자신들의 웹사이트에 손쉽게 게재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텐츠의 저자에게 수익을 얻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컨텐츠의 사용자에게는 자신의 사이트의 홍보, 새로운 메타 사이트의 생성 및 기타 목적을 효율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다.
(2). 일반적으로 주로 유용하다고 여겨졌던 정보성 글로부터 수익을 얻는 것 이외에도 충분히 유용한 종류의 글들, 특히 경험과 관련 있는 글들에 대해서도 수익을 창출해 낼 수 있도록 한다.
(3). 여러 개인미디어 컨텐츠를 직접 구입하여 컨텐츠들을 모아서 보여주는 하나의 aggregation 사이트, 즉 웹진(인터넷 잡지)의 형태를 가지는 웹사이트를 손쉽게 구성할 수도 있도록 한다.
(4). 컨텐츠의 구매 목적이 자신의 웹사이트 또는 제품의 홍보인 경우, 돈의 지불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돈을 지불하는 주체가 자신이 구입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 수 있기 때문에 돈의 흐름 자체만 놓고 보았을 때에는 타게팅(targeting)된 흐름이므로, 기존의 배너 광고나 AdSense와 같은 접근방식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5). 자신의 웹사이트에서 다른 사람이 생산한 컨텐츠를 사용하면서도 사이트의 방문자들이 그 컨텐츠에 접근하기 위해서 해당 사이트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현재 컨텍스트(context)를 잃지 않게 하면서도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컨텐츠의 판매자에게 실질적으로 자신이 직접 제작한 컨텐츠의 내용만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컨텐츠의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소정 제품을 사용해보고 취향이 맞아 그에 해당하는 글을 쓰고 공유를 할 경우, 그 제품을 생산한 업체에서 공유된 컨텐츠를 일정 금액을 지불하고 구매한 후 그 내용을 자신의 웹사이트에 게재할 수 있게 되고, 그 순간 그 글을 쓴 사람은 해당 제품의 대변자가 되어, 해당 제품을 광고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회사들에게는 이런 마켓플레이스를 통하여 기존에는 어려웠던 스니저(sneezer: 어떠한 제품을 좋아하여 그 제품에 대해 무보수로 적극 홍보하는 대변자 역할을 하는 집단) 마케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줄 수 있다. 즉, 특정 제품에 대한 경험과 같은 내용에 대해 글을 쓰거나 사진을 찍거나 동영상을 만들거나 하여 컨텐츠를 만들어낸 경우, 이러한 컨텐츠를 그 회사의 홈페이지에 게시하게 되면 해당 컨텐츠의 저자들은 오프라인상에서 자신들이 만든 저작물이 그 사이트에 올라왔다는 것을 홍보하게 될 것이고, 또한 블로그를 통한 컨텐츠의 전파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입소문 마케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품에 관련한 이러한 경험관련 컨텐츠들은 그 회사의 홈페이지를 방문한 여러 사람들에게, 자사의 제품과 관련한 경험을 가진 다른 사람들이 써놓은 글, 사진, 또는 동영상과 같은 매체를 접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텐츠의 제작자들에게는 자신들이 만들어낸 컨텐츠를 판매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해주어 양질의 컨텐츠를 제작해 낼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글의 정보성이 좋은 경우는 물론이고, 단순한 한 장의 사진이라도 구매자가 효용성이 있다고 판단하면(예를 들어 사람들의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내용을 사용하여 감성마케팅에 사용할 수 있는 경우) 거래가 가능하도록 서비스하게 되는 경우 오히려 이런 내용에서 더 효과적인 마케팅이 가능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단순히 정보성 글의 효용성을 뛰어넘어 여러 방향으로 뛰어난 컨텐츠들의 양산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컨텐츠를 모아서 웹진과 같은 새로운 메타사이트를 손쉽게 생성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온라인상의 컨텐츠를 사고 팔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함과 동시에 구매한 컨텐츠를 간단한 스크립트 코드 또는 동적 컴포넌트 하나만으로도 손쉽게 자신의 홈페이지에 삽입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음악과 영화와 같은 미디어에만 한정되어 있던 컨텐츠의 매매 가능성을 일반 사용자들에 의해 제작된 컨텐츠로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게재 허가 받은 사용자 컨텐츠의 수집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컨텐츠의 마켓플레이스에서의 검색/탐색 및 구매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컨텐츠의 웹사이트 자동 임베딩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웹사이트 자동 임베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게재 허가 받은 사용자 컨텐츠의 수집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자동 구매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중 컨텐츠의 웹사이트 자동 임베딩 루틴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웹사이트 자동 임베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은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판매수단(100)과, 컨텐츠 구매수단(200)과,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망(40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판매수단(100)은,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110)와 컨텐츠 제공 웹페이지(120)로 이루어지며,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110)는 컨텐츠 제공 웹페이지(12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제작한 컨텐츠를 게재한다.
이때, 컨텐츠 판매자는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로 자신의 컨텐츠 제공 웹페이지(120)에 게재시킨 컨텐츠를 공유시켜 판매하고자 한다는 메시지(이하, '판매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 판매요청 메시지는 하기의 게재 허가 메시지와 동일한 메시지이다.
한편, 컨텐츠 판매자는 상기 판매요청 메시지 대신에 컨텐츠 제공 웹페이지(120)를 통해 컨텐츠를 게재할 때 상기 컨텐츠를 공유시키고 판매할 의사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매 의사 표시는 컨텐츠 자체에 특정토큰을 집어넣거나, 메타데이터를 붙이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컨텐츠 자체에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와 통신 가능한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를 간단한 태그만으로 삽입하여 일종의 메타데이터 겸 판매요청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후자의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를 이용할 경우 하기에서 설명하는 기술적 동작 및 그에 따른 동작 흐름이 일부 변동된다. 후자에 대해서는 아래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설명 부분에서 살피기로 한다.
컨텐츠 구매수단(200)은 컨텐츠 구매자 단말기(210)와 구매자용 웹페이지(220)로 이루어지며, 컨텐츠 구매자 단말기(210)는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에 등록되어 있는 판매용 컨텐츠를 검색 또는 탐색한 후 원하는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하고, 컨텐츠 구매자는 컨텐츠 구매자 단말기(210)를 이용하여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후 구매한 컨텐츠를 삽입시키기 위한 스크립트 코드 를 입력한다. 컨텐츠 구매자가 구매자용 웹페이지(220) 상에서 상기 스크립트 코드를 입력하면,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에 해당 컨텐츠가 내장되어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에 온라인 접속을 이룬 사용자들에게 노출된다.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판매자의 프로필 정보를 판매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판매자 정보 DB(301)와, 컨텐츠 구매자의 프로필 정보를 구매자의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구매자 정보 DB(303)와, 컨텐츠 판매자에 의해 게재 허가된 컨텐츠를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와,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 중 판매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판매 컨텐츠 DB(307)와, 컨텐츠 매매시 발생한 결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결제정보 DB(309)와, 컨텐츠 판매자가 회원 등록으로 등록할 경우 판매자 식별정보를 생성시키고, 컨텐츠 판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판매자의 프로필 정보를 상기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판매자 정보 DB(301)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판매자 정보 관리모듈(311)과, 컨텐츠 구매자가 회원 등록으로 등록할 경우 구매자 식별정보를 생성시키고, 컨텐츠 구매자에 의해 입력되는 구매자의 프로필 정보를 상기 구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구매자 정보 DB(303)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구매자 정보 관리모듈(313)과,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110)로부터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게재 허가된 컨텐츠에 대해 업로드 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과,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로부터 업로드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업로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업로드 정보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수집하여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한편 웹상에 게재된 컨텐츠 중 내용에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수집하여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판매용 컨텐츠 수집 모듈(317)과, 컨텐츠 판매자에 의해 게재 허가된 컨텐츠만을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관리하는 판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319)과,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해 소정 구매자가 검색 및 탐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그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소정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컨텐츠 판매모듈(321)과, 소정 구매자가 컨텐츠 판매모듈(321)을 통해 소정 컨텐츠를 구매한 경우 구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컨텐츠를 관리하는 구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323)과, 소정 컨텐츠가 판매된 경우 판매된 컨텐츠에 상기 컨텐츠가 게재되는 웹페이지의 링크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컨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해당 웹페이지
가 제공되도록 하는 판매 컨텐츠 게재 웹페이지 연결모듈(325)과, 컨텐츠 판매모듈(321)에 의해 소정 컨텐츠가 판매되는 경우 구매자로부터 컨텐츠 대금을 결제받은 후 상기 컨텐츠 판매자에게 해당 컨텐츠 판매대금을 지불하고, 결제 후 생성된 결제정보를 결제정보 DB(309)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결제관리모듈(327)로 구성된다.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는 인덱싱(indexing)을 통한 색인내용도 포함하고 있으며, 컨텐츠 판매자가 직접 컨텐츠에 포함시킨 태그와 같은 메타데이터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상기 판매자에 의해 게재 허가된 컨텐츠에 대해 문서 식별정보를 생성시켜 관리한다.
이때,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게재 허가 메시지를 수신하는 Ping 핸들러와, 컨텐츠에 포함된 태그나 메타데이터를 읽을 수 있는 크롤링 엔진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판매자 정보 DB(301)에 게재 허가된 컨텐츠에 해당되는 식별정보만 저장시키고, 실제 컨텐츠에 대한 퍼머링크(permalink)나 내용 또는 웹상 주소인 URL 등과 같은 정보는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시켜 관리한다.
이하, 상술한 기술적 구성을 마련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제 1 실시예에 따른 게재 허가 받은 사용자 컨텐츠의 수집 루틴 ]
먼저, 컨텐츠 판매자는 블로그(blog)나 미니홈피(미니 홈페이지)와 같은 개인미디어, 또는 자신이 생성한 일반 웹페이지에 게재된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해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로 Trackback, XML-RPC나 HTTP request 등과 같은 방식으로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를 송출하거나, 상기 컨텐츠에 게재를 허가하기 위한 내용을 갖는 태그(메타데이터)를 포함시키거나 컨텐츠에 특정토큰을 포함시킨다.
전술한 점들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해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의 컨텐츠 수집모듈(317)이 게재 허가 받은 컨텐츠를 수집하는 루틴에 대해 설명하면, 첨부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데이터 통신망(400)을 통해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S101).
상기 S101 과정의 판단 결과,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상기 게재 허가 메시지를 통해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의 현재 위치 등을 파악(S102)하여 해당 컨텐츠를 수집한다(S103).
그리고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수집된 컨텐츠에 대해 문서 식별정보를 발행하여 부여하고,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컨텐츠 판매자 정보 DB(301)에 등록시켜 관리하고, 컨텐츠의 내용은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시켜 관리한다(S105). 이때, 상기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는 컨텐츠의 내용뿐만 아니라 기타정보, 인덱싱을 통한 색인된 내용, 그리고 컨텐츠 판매자가 직접 컨텐츠에 태그(주석)와 같은 메타데이터를 포함시키는 경우 태그 및 메타데이터의 내용도 포함된다.
한편, 상기 S101 과정의 판단 결과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웹상의 컨텐츠를 탐색한다(S107),
그리고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탐색한 컨텐츠에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09). 판단 결과 컨텐츠에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S103 과정부터 수행한다.
그리고 판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319)은 상기와 같이 컨텐츠 수집모듈(317)에 의해 수집되어 컨텐츠 판매자 정보 DB(301)에 등록된 컨텐츠 ID 및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 중 컨텐츠 판매자가 원할 경우 판매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만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컨텐츠 판매자로 하여금 상기 웹페지이를 통해 소정 컨텐츠의 내용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 제 1 실시예에 따른 마켓플레이스에서의 컨텐츠 검색/탐색/구매 루틴 ]
컨텐츠의 마켓플레이스에서의 포지셔닝 루틴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구매자가 온라인 접속을 이룬 경우(S201),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컨텐츠 구매자가 메타 정보 및 색인정보를 이용하여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를 검색 및 탐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S203).
그리고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사용자가 검색 및 탐색을 완료한 경우 그 결과 화면을 제공한다(S205).
그리고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컨텐츠 구매자가 상기 결과 화면상의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고(S207), 판단 결과 소정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선택된 컨텐츠를 참조하고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한다(S209). 즉, 컨텐츠 구매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구입하여 게재하고 있는 사이트들을 제공받아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여 컨텐츠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컨텐츠 구매자가 결과 화면상의 소정 컨텐츠를 구매하려고 하는지를 판단한다(S211). 판단 결과 소정 컨텐츠를 구매하려고 하는 경우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결제관리모듈(327)로 하여금 컨텐츠 구매자 단말기(200)로 결제창을 제공하고(S213),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결제관리모듈(327)로부터 결제완료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S215). 이때 결제 관리모듈(327)은 구매자가 지불한 금액 중 n%를 컨텐츠 판매자에게 제공하고, 100-n%를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비로 이용한다.
참고적으로 컨텐츠의 판매가 일어날 때, 금액의 흐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매자측에서 판매자측으로 향하는 것이 기본이나, 역으로 판매자측에서 구매자측으로 가는 것도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웹사이트의 특정 삽입 부분에 자신의 글을 올리기 위해서 컨텐츠 공급자(판매자)는 그 삽입 컴포넌트의 주인(컨텐츠 구매자)에게 일정 금액을 내고 자신의 글을 게재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결제 관리모듈(327)은 판매자가 지불한 금액 중 n%를 컨텐츠 구매자에게 제공하노 100-n%를 운영비로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금액의 역 흐름은 수요와 공급의 시장원리에 따라서 적절히 적용가능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금액의 흐름을 없애고 컨텐츠만 교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S215 과정의 판단 결과 결제가 완료된 경우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구매한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 웹페이지에 게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한다(S217).
상기와 같이 컨텐츠 판매가 완료되면 컨텐츠 판매모듈(321)은 판매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판매 컨텐츠 DB(307)에 등록시켜 판매 관련 정보가 갱신되도록 한다(S219). 뒤미처 구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323)은 구매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로부터 읽어와 구매자 정보 DB(303)에 추가시킨다.
그리고 구매자 정보 DB(303)에 등록된 컨텐츠 정보는 각 구매자별로 개별화된 구매 컨텐츠 관리용 웹페이지를 자동으로 생성시켜 컨텐츠 구매자가 컨텐츠 구매자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컨텐츠 구매자는 컨텐츠 관리용 웹페이지를 통해 자신이 구매한 컨텐츠의 목록 및 부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은 컨텐츠의 구매자가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를 통해 컨텐츠를 구매하여 자신의 웹사이트에 삽입시켜 자체적으로 여러 효과를 노림과 동시에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를 통해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받은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나타나는, 자신들이 구입한 컨텐츠로 인해 형성된, 그 컨텐츠를 열람한 사용자들과의 접점을 통해 포커스된 사용자층의 유입을 노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포커스(focus)"되었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서비스 웹사이트에서 메타데이터를 통한 탐색이나 색인정보를 통한 검색을 통하여 컨텐츠를 열람하던 사용자들이 그 컨텐츠를 참조하고 있는 다른 사이트에 대해 알고 싶어서 "마우스 클릭"이라는 형태의 행동을 통하여 그 사이트를 방문하게 된다면, 이것은 충분히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 제 1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웹사이트 자동 임베딩 루틴 ]
첨부 도면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구매자는 소정 컨텐츠를 구매한 후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에 온라인 접속을 한 후, 웹페이지 특정부분에 javascript와 같은 일련의 간단한 스크립트 코드를 삽입시킨다(S301). 이때의 삽입된 코드에 대한 예가 도 6a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면 스크립트 코드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구매자 정보 DB(303)를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를 찾아낸 후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가져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의 해당 영역에 내장시킨다(S302).
이때 스크립트 코드는 구매한 컨텐츠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각화하여 제공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크립트 코드는 보여주는 동적인 내용은 따로 사용자가 해당 페이지에 접속을 해서 볼 필요가 없을 정도로 컨텐츠의 원 내용을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되며, 자동으로 생성되어 제공되는 삽입된 내용은 원 게시물로의 링크를 제공할 수도 있고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이때 제 2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므로 앞서 상술한 바로 대체하기로 하며, 다만 특징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와 구분되는 일부 운영방법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 제 2 실시예에 따른 게재 허가 받은 사용자 컨텐츠의 수집 루틴 ]
먼저, 컨텐츠 판매자는 자신의 컨텐츠를 판매하기 위해,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과 직접 통신 가능한 스크립트나 flex 또는 laszlo와 같은 동적 컴포넌트를 상기 컨텐츠에 삽입한다.
이때의 동적 컴포넌트는 자신이 삽입된 페이지의 주소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 가능하며, 컨텐츠 작성이 완료된 후 이를 포함한 페이지가 최초로 로딩되었을 때 상기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에 자신이 속한 페이지의 주소를 포함하는 여러 정보와 함께 게재 허가 메시지를 송출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환언하면, 상기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이 컴포넌트가 삽입된 페이지의 위치(주소)를 식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컴포넌트가 컨텐츠 자체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은 컨텐츠 작성자가 컨텐츠 작성시에 삽입하였다는 것을 말하고, 이는 컨텐츠에 대한 게재 허가를 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로의 직접적인 가입 없이도 컨텐츠의 작성자와 컨텐츠의 게재 허가자가 일치한다는 것이 자연히 인증되는 것이다.
하지만 웹사이트마다의 다른 설정으로 인해 컴포넌트 또는 스크립트가 자신이 삽입된 페이지의 주소를 알아낼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웹서버의 레퍼러(referer) 로그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주소를 알아낼 수 있다. 레퍼러 로그란 어떤 웹페이지에 이미지나 링크가 삽입되어 있을 경우, 그 이미지가 로딩되는 페이지 또는 그 링크를 통해서 웹서버에 접근할 때 링크가 속해있는 페이지의 주소에 대한 정보가 웹서버의 로그에 남는 것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에 존재하는 특정 이미지 파일을 <img>등의 태그를 이용하여 삽입하고 페이지를 로딩시켰을 때, 마켓플레이스 웹서버의 레퍼러 로그를 분석하면 어떤 웹사이트에서 상기 이미지를 참조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와 같이 마켓플레이스 서버측에 레퍼러 로그를 남길 수 있는 내용(이하, '레퍼러 정보')이 컨텐츠에 삽입되어 있다는 것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작성자가 컨텐츠 작성시에 삽입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로의 직접적인 가입 없이도 컨텐츠의 작성자와 컨텐츠의 게재 허가자가 일치한다는 것이 인증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를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컨텐츠 판매자는 게재 허가하려는 컨텐츠의 특정부분에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 아울러 레퍼러 정보를 삽입한 후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작성을 완료한다(S401).
S401 과정의 컨텐츠 작성 후, 상기 컨텐츠 판매자는 자신이 작성한 컨텐츠가 포함된 페이지를 로딩하여 작성된 결과를 확인하게 되는데(S402), 이때 로딩된 상기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는 자신이 속한 페이지 주소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는지 판단한다(S403).
S403 과정의 판단결과,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상기 스크립트 또는 컴포넌트는 자신이 속한 주소 및 현재 페이지에 대한 정보(이하,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게재 허가 메시지를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로 전송한다(S404).
이어서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의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은 상기 부가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스크립트 또는 컴포넌트가 삽입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내용, 주소 및 메타데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받아온다(S405).
상기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은 상기 스크립트 또는 컴포넌트가 최초로 로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406), 최초로 로딩된 경우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의 판매자별 컨텐츠 관리 모듈(319)이 상기 컨텐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과 아울러 해당 컨텐츠의 작성자가 판매를 허가 하였다고 판단하고 상기 컨텐츠를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저장한다(S407).
한편, 상기 S403 과정의 판단결과, 정보를 알 수 없다면,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은 마켓플레이스의 웹서버 로그를 이용하여 레퍼러 정보가 로딩되는 페이지의 주소를 알아낼 수 있는지 판단한다(S408).
S408 과정의 판단결과, 알아낼 수 있다면,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은 상기한 웹서버 로그를 바탕으로 해당 스크립트 또는 컴포넌트가 삽입된 페이지의 주소를 추출한다(S409).
다음으로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S409 과정에서 추출된 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내용, 주소 및 메타데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받아온다(S410). 뒤이어 전술한 S406 과정이 수행된다.
[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자동 구매 루틴 ]
한편, 본 발명의 따른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서,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는 컨텐츠 구매자가 온라인 접속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컨텐츠 구매자가 미리 여러 가지 메타데이터나 질어 필터와 같은 조건(이하, '구매조건 정보')을 설정해 놓음으로써, 구매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들을 자동으로 구매 할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는 도 8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에서 컨텐츠 자동 구매모듈(320)을 더 포함한다.
도 8b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텐츠 구매자(컨텐츠 구매자 단말기)는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상에서 상기 구매조건 정보를 설정하게 되는데(S501), 컨텐츠 자동 구매모듈(320)은 이를 구매자 정보 DB(303)에 저장해 놓는다(S502).
뒤미처 상기 컨텐츠 자동 구매모듈(320)은 게재 허가된 컨텐츠에 대해 그 내용 및 메타데이터를 상기 구매자 정보 DB(303)에 기저장된 구매조건 정보와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03), 부합할 경우 해당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판매 컨텐츠 DB(307)에 등록시켜 판매 관련 정보가 갱신되도록 한다(S504, S505).
다음으로 구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323)은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로부터 읽어와 구매자 정보 DB(303)에 추가시킨다(S506).
[ 제 2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의 웹사이트 자동 임베딩 루틴 ]
한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살펴본 제 1 실시예의 자동 임베딩과 유사하게 첨부된 도 9의 루틴이 적용될 수 있다.
도 9의 S601 과정 및 S602 과정은 상기한 S301 과정 및 S302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스크립트 코드가 아닌 동적 컴포넌트를 이용한다는 점이다. 도 10에는 동적 컴포넌트가 삽입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스크립트 코드(예: javascript)와 동적 컴포넌트(예: flash)는 마켓플레이스 서버에 링크되는(또는 참조되는) 방식이므로 기능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100 : 컨텐츠 판매수단 200 : 컨텐츠 구매수단
300 :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 301 : 판매자 정보 DB
303 : 구매자 정보 DB 305 :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
307 : 판매 컨텐츠 DB 309 : 결제정보 DB
311 : 판매자 정보 관리모듈 313 : 구매자 정보 관리모듈
315 :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7 : 컨텐츠 수집모듈
319 : 판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 320 : 컨텐츠 자동 구매모듈
321 : 컨텐츠 판매모듈
323 : 구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
325 : 구매된 컨텐츠 게재 웹페이지 관리모듈
329 : 결제 관리모듈

Claims (12)

  1. 컨텐츠 판매수단(100)과, 컨텐츠 구매수단(200)과,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와, 데이터 통신망(400)으로 이루어진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300)는,
    컨텐츠 판매자에 의해 게재 허가된 컨텐츠를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고 있는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와,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110)로부터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여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게재 허가된 컨텐츠에 대해 업로드 정보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과, 게재 허가 메시지 수신모듈(315)로부터 업로드 정보가 입력되는지를 체크하고, 업로드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 업로드 정보에 해당되는 컨텐츠를 수집하여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판매용 컨텐츠 수집 모듈(317)과,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에 대해 소정 구매자가 검색 및 탐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그 결과에 따라 구매자가 소정 컨텐츠를 구매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컨텐츠 판매모듈(32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용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웹상에 게재된 컨텐츠 중 내용에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확인 결과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수집하여 판매자 식별정보에 매칭시켜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수집모듈(317)은,
    상기 판매자에 의해 게재 허가된 컨텐츠에 대해 문서 식별정보를 생성시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소정 컨텐츠가 판매된 경우 판매된 컨텐츠에 상기 컨텐츠가 게재되는 웹페이지의 링크정보를 포함시켜 상기 컨텐츠를 클릭하는 경우 해당 웹페이지가 제공되도록 하는 판매 컨텐츠 게재 웹페이지 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5.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1)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2)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판단 결과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게재 허가 메시지를 통해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
    (3)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상기 파악된 컨텐츠 정보 및 컨텐츠의 현재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수집하는 과정; 및
    (4)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수집된 컨텐츠에 대해 문서 식별정보를 발행하여 부여하고, 컨텐츠의 식별정보는 컨텐츠 판매자 정보 DB에 등록시켜 관리하고, 컨텐츠의 내용은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에 등록시켜 관리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 과정의 판단 결과, 컨텐츠 게재 허가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웹상의 컨텐츠를 탐색하고, 탐색한 컨텐츠에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컨텐츠에 특정토큰이나 메타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3) 과정의 데이터 수집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7.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1)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컨텐츠 구매자가 온라인 접속을 이룬 경우 컨텐츠 구매자가 메타 정보 및 색인정보를 이용하여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305)에 등록된 컨텐츠를 검색 및 탐색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과정;
    (2)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사용자가 검색 및 탐색을 완료한 경우 그 결과 화면을 제공하는 과정;
    (3)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컨텐츠 구매자가 상기 결과 화면상의 소정 컨텐츠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4)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소정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컨텐츠를 참조하고 있는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과정;
    (5)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컨텐츠 구매자가 결과 화면상의 소정 컨텐츠를 구매하려고 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6)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소정 컨텐츠를 구매하려고 하는 경우 컨텐츠 구매자 단말기로 결제창을 제공하고,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과정;
    (7)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결제완료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8)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결제가 완료된 경우 구매한 컨텐츠를 컨텐츠 구매자 웹페이지에 게재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9)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는, 컨텐츠 판매가 완료되면 판매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판매 컨텐츠 DB에 등록시켜 판매 관련 정보가 갱신되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9.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1) 웹페이지 특정부분에 javascript와 같은 일련의 간단한 스크립트 코드 또는 flash와 같은 동적 컴포넌트를 삽입시키는 과정; 및
    (2) 스크립트 코드 또는 동적 컴포넌트는 해당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구매자 정보 DB를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에 등록된 컨텐츠를 찾아낸 후 해당 컨텐츠의 내용을 가져와 구매자용 웹페이지(220)의 해당 영역에 내장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여 구매한 컨텐츠를 웹사이트에 자동으로 임베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10.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1) 컨텐츠 판매자가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게재 허가하려는 컨텐츠의 특정부분에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 그리고 레퍼러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컨텐츠를 작성완료 하는 과정;
    (2) 컨텐츠 판매자 단말기가 상기 작성 완료된 컨텐츠를 포함한 페이지를 로딩하는 과정;
    (3) 로딩된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가 자신이 속한 페이지 주소 등의 정보를 알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정보를 알 수 있다면 상기 페이지 주소 및 현재 페이지에 대한 정보(부가정보)를 포함하여 게재 허가 메시지를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4)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가 상기 부가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스크립트 또는 컴포넌트가 삽입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내용, 주소 및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및
    (5)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가 상기 스크립트 또는 동적 컴포넌트가 최초로 로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최초로 로딩된 경우 컨텐츠의 현재 위치를 파악함과 아울러 게재 허가된 컨텐츠 DB에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3) 과정의 판단결과 정보를 알 수 없다면,
    (6)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가 웹서버 로그를 이용하여 레퍼러 정보가 로딩되는 페이지의 주소를 알아낼 수 있는지 판단하여, 알아낼 수 있다면 상기 웹서버 로그를 바탕으로 해당 스크립트 또는 컴포넌트가 삽입된 페이지의 주소를 추출하는 과정; 및
    (7)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가 상기 (6) 과정에서 추출한 페이지의 주소에 해당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내용, 주소 및 메타데이터와 같은 추가적인 정보를 받아오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에 있어서,
    (1)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가 온라인 접속된 컨텐츠 구매 단말기로부터 구매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구매자 정보 DB에 저장하는 과정;
    (2)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컨텐츠 자동 구매모듈이 게재 허가된 컨텐츠의 내용 및 메타데이터를 상기 저장된 구매조건 정보와 부합하는지 판단하여, 부합할 경우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판매 컨텐츠 DB에 등록시켜 판매 관련 정보를 갱신시키는 과정; 및
    (3)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서버의 구매자별 컨텐츠 관리모듈이 상기 컨텐츠의 식별정보를 허가된 컨텐츠 DB에 추가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여 컨텐츠 구매자가 상기 구매조건 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를 오프라인 상태에서도 자동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200010451A 2020-01-29 2020-01-29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KR202100968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51A KR20210096874A (ko) 2020-01-29 2020-01-29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51A KR20210096874A (ko) 2020-01-29 2020-01-29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874A true KR20210096874A (ko) 2021-08-06

Family

ID=77315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451A KR20210096874A (ko) 2020-01-29 2020-01-29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68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264B1 (ko)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및 운영방법
US11182835B2 (en) Individual online price adjustments in real time
US8145526B2 (en) Revenue sharing system that incentivizes content providers and registered users and includes payment processing
US8271878B2 (en) Behavior-based selection of items to present on affiliate sites
US6611814B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virtual wish lists for assisting shopping over computer networks
US100431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product promotion
US20070043583A1 (en) Reward driven online system utilizing user-generated tags as a bridge to suggested links
US8244578B2 (en) Methods and systems to facilitate keyword bid arbitrage with multiple advertisement placement providers
US201503024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provider-driven shopping
US20190164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blockchain based content monetization in an online trading platform
KR20130031376A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정보 처리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10511961A (ja) 広告仲介サイトを利用した電子広告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265833A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方法
JP6732973B2 (ja) 物理媒体を利用した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
JP2006293920A (ja) 流行創出型広告システム、流行創出型広告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0987058B1 (ko) 인터넷 컨텐츠의 키워드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방법,시스템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 기록매체
JP5636082B1 (ja) 広告情報共有システム
KR20210096874A (ko) 효과적인 컨텐츠 제공을 위한 온라인 컨텐츠 마켓플레이스 시스템 운영방법
USRE46092E1 (en) Revenue sharing system that incentivizes content providers and registered users and includes payment processing
US20140236774A1 (en) Digital content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using download window
KR100915467B1 (ko) 인터랙티브 쇼핑파일 제공시스템 및 제공방법
JP7164062B1 (ja) 販促支援システム、販促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9420A (ko) 도메인 광고 및 도메인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2585096B1 (ko) 제품 컨텐츠 제작 기법을 활용한 쇼핑몰 광고 시스템
JP7276577B1 (ja) 販促支援システム、販促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